KR101832987B1 - 조명장치를 포함하는 화장품 케이스 - Google Patents

조명장치를 포함하는 화장품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2987B1
KR101832987B1 KR1020160131248A KR20160131248A KR101832987B1 KR 101832987 B1 KR101832987 B1 KR 101832987B1 KR 1020160131248 A KR1020160131248 A KR 1020160131248A KR 20160131248 A KR20160131248 A KR 20160131248A KR 101832987 B1 KR101832987 B1 KR 1018329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per cover
cosmetic
cover
light
light e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12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엄재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안코스메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안코스메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안코스메틱
Priority to KR10201601312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29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29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29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26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 A45D33/32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with illumin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006Vanity boxes or cases, compacts, i.e. containing a powder receptacle and a puff or applicator
    • A45D33/008Vanity boxes or cases, compacts, i.e. containing a powder receptacle and a puff or applicator comprising a mirro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2Casings characterised by a hinged cov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4Casings for two or more cosmet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065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with hinged, foldable or pivotable spo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48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the closure being provided with transient audible or visual signaling means, e.g. for indicating dispensing, or other illuminating or acoustic devices, e.g. whist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04Personal or domestic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2033/001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2040/0006Accesso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1/00Point-like light sour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조명장치를 포함하는 화장품 케이스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화장품 케이스는 화장품 케이스 용기와, 화장품 케이스 용기의 내측에 삽탈되는 리필 용기를 포함하는 화장품 케이스이고, 화장품 케이스 용기는 리필 용기가 내측에 수용되며 저면에는 제1 조명부가 장착되는 제1 몸체와, 제1 몸체를 덮는 형태로 상기 제1 몸체와 힌지 결합하는 제1 상부커버를 포함하고, 리필 용기는 광투과성 물질로 형성되며 제1 몸체에 수용되는 제2 몸체와, 제2 몸체를 덮는 형태로 제2 몸체와 힌지 결합하며 내부면이 구획벽에 의해 1 이상의 부분으로 구획되는 제2 상부커버와, 제2 상부커버 내부면의 구획 공간들 중 일부인 제1 구획 공간을 덮는 형태로 제2 상부커버와 힌지 결합하는 제3 상부커버와, 제1 구획 공간과 다른 제2 구획 공간에 장착되는 제2 조명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조명장치를 포함하는 화장품 케이스{COSMETICS CASE COMPRISING LIGHTING APPARATUS}
본 발명은 화장품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화장품 케이스 용기와 상기 화장품 케이스 용기에 착탈되는 리필 용기에 조명장치를 장착시킨 화장품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장품 케이스는 화장 물질을 내부에 보관하는 휴대 가능한 용기를 말한다. 대부분의 화장품 케이스는 화장 물질을 내부에 보관하는 하부 커버와, 상기 하부 커버에 개폐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상부 커버가 결합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화장품 케이스는 화장 물질의 보관 및 휴대성과 같은 본질적 기능 이외에도 사용자들의 개성을 표출하기 위한 수단으로 역할이 확대되고 있다. 화장품 케이스에 수려하고 미려한 외관이나 특이한 외관이 많이 적용되는 이유다. 또한 화장품 케이스는 대부분의 사용자들(특히 여성들)이 항상 소지하는 물품 중 하나로 편의성을 보다 높이거나, 화장품 케이스 본연의 기능 이외의 기능들을 추가하여 이용자들의 일상 생활에 다른 형태의 도움을 줄 수 있도록 진화하고 있다.
특히 전자의 예로, 조명장치를 포함하는 화장품 케이스를 들 수 있다. 어두운 곳에서도 사용자들이 화장 상태를 확인하거나 고칠 수 있도록 편의성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조명장치를 포함하는 화장품 케이스의 예로는 특허문헌 1,2 등이 있다.
특허문헌 1: 한국등록특허 제10-1211271호 (2012.12.11 공고) 특허문헌 2: 한국등록특허 제10-1233669호 (2007.6.28 공개)
본 발명은 화장품 케이스 용기와 리필 용기에 각각 조명장치를 장착시켜 사용자의 안면에 다양한 각도로 빛을 비출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리필 용기를 이중 구조로 형성함으로써 두 종류의 화장 물질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한 화장품 케이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화장품 케이스 용기와, 상기 화장품 케이스 용기의 내측에 삽탈되는 리필 용기를 포함하는 화장품 케이스이고, 상기 화장품 케이스 용기는, 상기 리필 용기가 내측에 수용되며 저면에는 제1 조명부가 장착되는 제1 몸체와, 상기 제1 몸체를 덮는 형태로 상기 제1 몸체와 힌지 결합하는 제1 상부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리필 용기는, 광투과성 물질로 형성되며 상기 제1 몸체에 수용되며 상부에는 화장 물질을 수용하는 제1 화장물질 수용부가 형성되며 하부 테두리를 따라 홈부가 형성되는 제2 몸체와, 상기 제2 몸체를 덮는 형태로 상기 제2 몸체와 힌지 결합하며 내부면이 구획벽에 의해 1 이상의 부분으로 구획되는 제2 상부커버와, 상기 제2 상부커버 내부면의 구획 공간들 중 일부인 제1 구획 공간을 덮는 형태로 상기 제2 상부커버와 힌지 결합하며 내측에는 화장 물질을 수용하는 제2 화장물질 수용부가 형성되는 제3 상부커버와, 상기 제1 구획 공간과 다른 제2 구획 공간에 장착되는 제2 조명부와, 상기 제2 구획 공간을 덮는 광투과성 물질의 커버 부재와, 파이프형(광투과성 물질)으로 형성되어 상기 홈부에 착탈 가능하도록 끼움 결합되는 것으로 표면에는 채색 안료가 도포되어 상기 제1 조명부로부터 조사되는 광에 도포된 채색 안료의 색상을 부여하는 1 이상의 광확산 컬러 채널부를 포함하는 화장품 케이스가 제공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의 구체예들에 따른 화장품 케이스는 화장품 케이스 용기와 리필 용기에 각각 조명부를 장착시킴으로써, 사용자의 안면에 다양한 각도로 빛을 비출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리필 용기를 이중 구조로 형성함으로써 서로 다른 종류의 화장 물질들을 하나의 리필 용기에 수용하게 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리필 용기의 배면에 광확산 컬러 채널부를 적용하여 화장품 케이스 용기로부터 나오는 빛을 확산시킴과 동시에 사용자들의 선호에 따른 컬러를 부여하게 함으로써, 사용자들 각각에 커스터마이징 가능한 화장품 케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화장품 케이스에서 화장품 케이스 용기와 리필 용기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화장품 케이스에서 화장품 케이스 용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화장품 케이스에서 리필 용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리필 용기의 배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화장품 케이스에서 화장품 케이스 용기에 리필 용기가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은 본 발명을 구체적인 예시를 들어 기술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하기의 설명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화장품 케이스에서 화장품 케이스 용기(100)와 리필 용기(200)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화장품 케이스(이하, 화장품 케이스라고 함)는 화장품 케이스 용기(100)와, 화장품 케이스 용기(100)의 내측에 삽탈되는 리필 용기(200)를 포함한다.
화장품 케이스 용기(100)는 화장품 케이스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이다. 화장품 케이스 용기(100)는 제1 몸체(110)와, 제1 몸체(110)를 덮는 형태로 제1 몸체(110)와 힌지 결합하는 제1 상부커버(12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제1 상부커버(120)는 제1 몸체(110)와 제1 힌지부재(10)를 통해 힌지 결합할 수 있다. 제1 상부커버(120)의 저면 테두리의 일 지점에는 제1 돌기(120a)가 형성되며, 제1 돌기(120a)와 상응되는 제1 몸체(110)의 일 지점에는 제1 돌기(120a)와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홈(110a)이 형성된다. 결합홈(110a)에는 누름부재(미도시)가 형성되어 있어서, 사용자가 제1 상부커버(120)를 개방하고자 하여 상기 누름부재를 누르면 제1 돌기(120a)가 결합홈(110a)으로부터 이탈하여 제1 상부커버(120)가 개방된다. 반대로 사용자가 제1 상부커버(120)를 폐쇄하고자 하여 제1 상부커버(120)의 위에서 외력을 주면 제1 돌기(120a)가 결합홈(110a)에 수용되어 제1 상부커버(120)가 제1 몸체(110)를 완전히 덮어 화장품 케이스 용기(100)가 폐쇄된다.
제1 상부 커버(120)의 내부 저면에는 거울(121)이 장착될 수 있다.
제1 몸체(110)는 용기 형태를 가지며, 내부가 비어 있다. 제1 몸체(110)는 리필 용기(200)를 내측의 리필용기 수용부(112)에 수용할 수 있다. 제1 몸체(110)의 저면에는 제1 조명부가 장착된다.
관련하여 도 2는 도 1의 화장품 케이스에서 화장품 케이스 용기(100)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제1 조명부는 조명 역할을 한다. 상기 제1 조명부는 제1 몸체(110)의 저면에 매립되는 인쇄회로기판(미도시)과,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연결되어 제1 몸체(110)의 저면에 노출되는 1 이상의 발광다이오드(111)와,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연결되어 발광다이오드(111)를 점멸시키고 제1 몸체(110)의 상부 테두리의 일 지점에 노출되는 스위치(11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쇄회로기판, 발광다이오드(111), 스위치(115)를 포함하는 제1 조명부의 구성은 공지된 조명 구성과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제1 몸체(110)의 저면과 배면 사이의 공간(사용자의 눈에 보이지 않음)에 매립될 수 있다. 발광다이오드(111)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연결되고, 제1 몸체(110)의 저면에 형성되고 발광다이오드(111)의 형상에 상응하는 홀(미표기)을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사용자의 눈에 보임). 예컨대 도 2에서는 발광다이오드(111)를 곡률을 갖는 타원형으로 도시하고 있으며, 발광다이오드(111)의 형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스위치(115)의 형태는 특정되지 않는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스위치(115)는 버튼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스위치(115)는 제1 몸체(110)의 상부 테두리의 일 지점에 형성되는 홀(미표기)에 돌출되는 돌기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손으로 스위치(115)를 제1 방향으로 움직이면 발광다이오드(111)가 점등되고, 상기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움직이면 발광다이오드(111)가 점멸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스위치(115)는 터치스위치 일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스위치(115)에 손가락을 대거나 스위치(115)에 손가락을 근접시키면 발광다이오드(111)가 점등되고, 같은 동작을 반복하면 발광다이오드(111)가 점멸될 수 있다. 터치스위치의 원리 등은 공지된 기술 내용을 적용 가능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1 조명부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는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근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함께 제1 몸체(110)의 저면과 배면 사이의 공간(사용자의 눈에 보이지 않음)에 매립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사용자가 상기 배터리를 교체할 수 있도록 제1 몸체(110)의 저면에는 배터리 커버(117)가 형성될 수 있다. 배터리 커버(117)가 개방되면 상기 배터리가 외부로 노출된다. 사용자는 배터리 커버(117)를 개방하여 배터리를 교환하고 다시 배터리 커버(117)를 닫을 수 있다.
제1 몸체(110)의 내부 측벽에는 광을 반사시키는 반사 필름이 코팅되거나 광 반사 기능을 갖는 물질이 코팅 내지 도포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제1 몸체(110)의 내부 측벽은 크롬 코팅이 될 수 있다.
제1 몸체(110)의 상부 테두리의 일 지점에는 리필 용기(200)의 제2 힌지부재(20)를 안착시키기 위한 안착홈(110b)이 형성될 수 있다. 안착홈(110b)의 형성 위치는 특정되지 않는다. 다만, 리필 용기(200)가 화장품 케이스 용기(100)와 결합하였을 때 서로 간섭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1 몸체(110)의 저면 중앙 지점을 기준으로 안착홈(110b)이 위치하는 방향은 제1 상부커버(120)가 위치하는 방향과 90°내지 270°범위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구체적으로, 안착홈(110b)은 제1 몸체(110)의 저면 중앙 지점을 기준으로 안착홈(110b)이 위치하는 방향은 제1 상부커버(120)가 위치하는 방향과 대략 90°또는 대략 270°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리필 용기(200)는 화장품 케이스 용기(100) 내부에 삽탈되는 것으로, 화장 물질을 수용한다. 사용자는 화장 물질이 소진되면 리필 용기(200)는 폐기하고 새로운 리필 용기를 구매하여 사용할 수 있다.
리필 용기(200)는 광투과성 물질로 형성된다. 즉, 리필 용기(200)는 투명 재질이거나 반투명 재질로 형성된다. 따라서 리필 용기(200)가 화장품 케이스 용기(100)에 삽입되어 있을 때, 화장품 케이스 용기(100)의 제1 조명부로부터 나오는 조명빛이 리필 용기(200)를 투과하여 외부에 시인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조명부로부터 나오는 조명빛이 사용자에게 직접 조사되는 것이 아니라 리필 용기(200)를 투과하여 간접적으로 조사되므로, 사용자의 눈부심을 방지할 뿐더러 은은한 조명빛으로 인해 보다 고급스러운 느낌을 줄 수 있다. 광투과성 물질의 예로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이미드(PI),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폴리카보네이트(PC) 등이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3은 도 1의 화장품 케이스에서 리필 용기(200)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리필 용기(200)는 제2 몸체(210)와, 제2 몸체(210)를 덮는 형태로 제2 몸체(210)와 힌지 결합하는 제2 상부커버(220)와, 제2 상부커버(220)와 힌지 결합하는 제3 상부커버(23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제2 상부커버(220)는 제2 몸체(210)와 제2 힌지부재(20)를 통해 힌지 결합할 수 있다. 그리고 제3 상부커버(230)는 제2 상부커버(220)와 제3 힌지부재(30)를 통해 힌지 결합할 수 있다. 제2 상부커버(220)의 저면 테두리의 일 지점에는 제2 돌기(220a)가 형성되며, 제2 돌기(220a)와 상응되는 제2 몸체(210)의 일 지점에는 제2 돌기(220a)와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홈(210a)이 형성된다 .또한 도면에 잘 나타나 있지는 않으나 제2 돌기(220a)와 상응하는 제2 상부커버(220)의 상부 부분은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기 쉽도록 소정 정도 돌출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사용자가 제2 상부커버(220)를 개방하고자 할 때에는 제2 상부커버(220)의 상기 돌출된 부분을 손으로 잡고 제2 상부커버(220)를 위로 들어 올려 개방할 수 있다. 반대로 사용자가 제2 상부커버(220)를 폐쇄하고자 하여 제2 상부커버(220)의 위에서 외력을 주면 제2 돌기(220a)가 결합홈(210a)에 수용되어 제2 상부커버(220)가 제2 몸체(210)를 완전히 덮어 리필 용기(200)가 폐쇄된다.
제2 몸체(210)는 용기 형태를 가지며, 화장 물질을 제1 화장물질 수용부(211)에 수용할 수 있다. 상기 화장 물질은 제1 화장물질 수용부(211)에 바로 수용될 수 있으며, 또는 제1 화장물질 수용부(211)의 크기, 형태와 상응하는 별도의 용기(미도시)에 화장 물질이 수용되고, 상기 용기가 제1 화장물질 수용부(211)에 끼움 결합되는 형태를 취할 수도 있다.
제2 상부커버(220)는 용기 형태를 가지며, 내부면은 구획벽(221)에 의해 1 이상의 부분으로 구획될 수 있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상부커버(220)가 구획벽(221)에 의해 두 부분으로 구획된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세로 방향으로 형성된 구획벽(221)에 의해 제2 상부커버(220)의 내부면은 두 부분으로 구획될 수 있다. 편의상 도 3에서 제2 조명부가 장착되지 않은 왼쪽 구획 부분을 제1 구획 공간(a)라 하고, 제2 조명부가 장착되는 오른쪽 구획 공간을 제2 구획 공간(b)이라 칭하기로 한다. 제1 구획 공간(a)은 내부가 비어 있을 수 있다. 한편, 구획벽(221)의 폭은 제2 상부커버(220)의 폭보다 클 수 있다. 즉 구획벽(221)의 일부분이 제2 상부커버(220)의 위쪽으로 돌출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 조명부는 조명 역할을 한다. 상기 제2 조명부는 제2 구획 공간(b)에 배치되는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연결되어 제2 구획 공간(b)의 저면에 배치되는 1 이상의 발광다이오드(222)와,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연결되어 발광다이오드(222)를 점멸시키고, 구획벽(221) 표면에 노출되는 스위치(226)를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치(226)는 구획벽(221) 표면에 노출되어 있다가 외력에 의해 구획벽(221) 내부로 인입되고, 상기 외력이 해제되면 다시 구획벽(221) 표면으로 노출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예를 들어 탄성부재를 이용함). 그리고 스위치(226)가 구획벽(221) 표면에 노출되어 있을 때 발광다이오드(222)가 점등되고, 스위치(226)가 구획벽(221) 내부로 인입되었을 때 발광다이오드(222)가 점멸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제2 조명부의 구성은 상술한 제1 조명부의 구성과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미관을 위해 제2 구획 공간(b)의 내부 표면(저면 및 측면)은 불투과성 물질(예컨대 필름)로 코팅될 수 있다. 또한, 리필 용기(200)는 제2 구획 공간(b)의 상부를 덮는 커버 부재(22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커버 부재(227)는 제2 구획 공간(b)을 덮도록 제2 상부커버(220)의 테두리에 결합될 수 있고, 구획벽(221)이 제2 상부커버(220)의 위쪽으로 돌출된 부분의 폭과 커버 부재(227)의 두께는 상응할 수 있다. 즉, 구획벽(221)의 상부면과 커버 부재(227)의 상부면은 일치할 수 있다.
커버 부재(227)는 광투과성을 갖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커버 부재(227)는 투명 재질이거나 반투명 재질로 형성된다. 따라서 제2 조명부로부터 나오는 조명빛이 사용자에게 직접 조사되는 것이 아니라 커버 부재(227)를 투과하여 간접적으로 조사되므로, 사용자의 눈부심을 방지할 뿐더러 은은한 조명빛으로 인해 보다 고급스러운 느낌을 줄 수 있다. 커버 부재(227)를 이루는 광투과성 물질의 예로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이미드(PI),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폴리카보네이트(PC) 등이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 구획 공간(b)의 내부 측벽에는 광을 반사시키는 반사 필름이 코팅되거나 광 반사 기능을 갖는 물질이 코팅 내지 도포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제2 구획 공간(b)의 내부 측벽은 크롬 코팅이 될 수 있다.
제3 상부커버(230)는 제2 상부커버(220)의 내부면의 제1 구획 공간(a)을 덮는 형태로 형성된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도 3에서와 같이 제1 구획 공간(a)이 반원 형태를 갖는 경우, 제3 상부커버(230)는 제1 구획 공간(a)의 형태에 상응하도록 마찬가지로 반원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2 조명부가 장착되지 않은 제1 구획 공간(a)이 복수 개 있을 수도 있으며, 제1 구획 공간(a)에 각각 대응하도록 제3 상부커버(230)가 복수개가 장착될 수 있다. 또는 제1 구획 공간(a) 전체의 형태에 상응하는 형태를 갖는 제3 상부커버(230)의 내부면에 제1 구획 공간(a)의 구획벽들과 상응하는 돌기 형태의 구획선들이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일 구체예에 있어서, 구획벽(221)이 제2 상부커버(220)의 위쪽으로 돌출된 부분의 폭과 제3 상부커버(230)의 두께는 상응할 수 있다. 즉, 구획벽(221)의 상부면과 폐쇄되었을 때의 제3 상부커버(230)의 상부면은 일치할 수 있다.
제3 상부커버(230)는 용기 형태를 가지며, 화장 물질을 제2 화장물질 수용부(231)에 수용할 수 있다. 제2 화장물질 수용부(231)에 수용되는 화장 물질은 제1 화장물질 수용부(211)에 수용되는 화장 물질과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제1,2 화장물질 수용부(211,231)에 수용되는 화장 물질이 상이한 경우, 사용자는 리필 용기(200)에 서로 다른 종류의 화장 물질들을 수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제1 구획 공간(a)이 아닌 제3 상부커버(230)에 화장 물질을 수용함으로써, 리필 용기(200)를 폐쇄시켰을 때 상기 화장 물질이 제3 상부커버(230)의 저면에 의해 지지되므로 보다 안정적으로 수용될 수 있다.
한편, 제3 상부커버(230)가 닫힐 때에는 제3 상부커버(230)의 측부가 구획벽(221) 표면에 노출된 스위치(226)를 누를 수 있다. 이를 위해 스위치(226)는 구획벽(221)이 제2 상부커버(220)의 위쪽으로 돌출된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3 상부커버(230)를 닫았을 경우에는 스위치(226)가 눌려 구획벽(221) 내부로 인입됨으로써 발광다이오드(222)가 점멸되고, 제3 상부커버(230)를 개방하였을 때에는 스위치(226)의 가압이 해제되어 구획벽(221) 표면에 다시 노출됨으로써 발광다이오드(222)가 점등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제3 상부커버(230)를 개방하면 발광다이오드(222)는 자동으로 점등될 수 있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리필 용기(200)의 배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리필 용기(200)의 제2 몸체(210)는 하부(배면)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는 홈부(212)와, 홈부(212)에 끼움 결합되어 화장품 케이스 용기(100)에 형성된 상기 제1 조명부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확산시키고 상기 광에 색상을 부여하는 광확산 컬러 채널부(213)를 포함할 수 있다. 광확산 컬러 채널부(213)는 홈부(212)에 끼움 결합되는 것으로, 필요에 따라 교체도 가능하다.
광확산 컬러 채널부(213)는 채널(또는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고, 광투과성 및 광확산성을 가지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광확산 컬러 채널부(213)는 아크릴, 염화비닐수지 등의 광투과성과 광확산성을 갖는 소재로 형성되고 표면에는 채색 안료가 도포될 수 있다. 채색 안료의 예로는 산화제2철(Fe2O3)을 포함하는 적색 안료, 헥사이아노철(Ⅱ)산철(Ⅲ)칼륨[Fe7(CN)18(H2O)x]을 포함하는 청색 안료, 크롬산납(PbCrO4)을 포함하는 황색 안료와, 산화크로뮴(Cr2O3)을 포함하는 녹색 안료와, 망가니즈(Mn)를 포함하는 자색 안료, 사산화삼철(Fe3O4)을 포함하는 흑색 안료 등이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4에서 광확산 컬러 채널부(213)는 홈부(212)의 일부에만 끼워져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홈부(212) 전체에 끼워질 수 있다. 또한, 서로 다른 채색 안료가 도포된 복수의 광확산 컬러 채널부(213)가 홈부(212)에 끼워질 수도 있다.
리필 용기(200)를 화장품 케이스 용기(100)에 결합시킨 후에 화장품 케이스 용기(100)의 제1 몸체(110) 저면에 위치한 발광다이오드(111)를 점등시키면, 발광다이오드(111)로부터 조사되는 조명빛이 리필 용기(200)를 투과할 때에 배면에 위치된 광확산 컬러 채널부(213)를 거치면서 광확산 되고 나아가 광확산 컬러 채널부(213)에 도포된 채색 안료의 색상에 따라 색을 띠게 된다. 사용자는 자신의 선호에 맞는 색상을 갖는 광확산 컬러 채널부(213)를 선택할 수 있으며(예컨대 광확산 컬러 채널부가 가지는 색상에 따라 리필 용기를 선택하거나 광확산 컬러 채널부를 교체 가능함), 이에 따라 사용자들 각각에 커스터마이징 가능한 화장품 케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5는 도 1의 화장품 케이스에서 화장품 케이스 용기(100)에 리필 용기(200)가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케이스는 화장품 케이스 용기(100)에 장착된 제1 조명부로부터 조명빛이 조사되고, 리필 용기(200)에 장착된 제2 조명부로부터 조명빛이 조사될 수 있다. 사용자가 화장품 케이스 용기(100)를 한 손으로 파지하여 안면에 가까이 두고 있는 경우, 제1 조명부로부터 조사된 조명빛은 사용자의 안면의 아랫 방향에서 사용자의 안면을 비추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리필 용기(200)의 제2 상부커버(220)를 개방하고, 다시 제3 상부커버(230)를 개방하면 상기 제2 조명부로부터 조명빛이 조사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는 제2 상부커버(220)의 각도를 조절하면서 제2 조명부로부터의 조명빛을 사용자의 안면에 다양한 각도로 비출 수 있다. 즉, 사용자의 안면에 두 방향에서의 조명빛이 조사되는 바, 사용자는 다양한 각도로 안면에 조명빛을 비출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화장 편의성이 크게 높아진다. 또한, 리필 용기(200)는 상술한 것처럼 이중 구조로 되어 있어 2 이상의 화장 물질을 수용할 수 있는 바, 사용자가 복수의 화장품 케이스를 가지고 다닐 필요가 없어 사용자 편의성이 높아진다. 나아가 화장품 케이스 용기(100)의 제1 조명빛으로부터 조사되는 조명빛은 리필 용기(200)의 배면에 위치한 광확산 컬러 채널부(213)를 통해 광확산되고 나아가 색을 띠게 되므로, 사용자는 자신의 선호 색상을 선택하여 개성을 표출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구현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기술의 구체적 적용에 따른 단순한 설계변경, 일부 구성요소의 생략, 단순한 용도의 변경 등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형 역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됨은 자명하다.
100: 화장품 케이스 용기 110: 제1 몸체
120: 제1 상부커버 121: 거울
200: 리필 용기 210: 제2 몸체
220: 제2 상부커버 221: 구획벽
230: 제3 상부커버 212: 홈부
213: 광확산 컬러 채널부

Claims (6)

  1. 화장품 케이스 용기와, 상기 화장품 케이스 용기의 내측에 삽탈되는 리필 용기를 포함하는 화장품 케이스이고,
    상기 화장품 케이스 용기는,
    상기 리필 용기가 내측에 수용되며 저면에는 제1 조명부가 장착되는 제1 몸체와,
    상기 제1 몸체를 덮는 형태로 상기 제1 몸체와 힌지 결합하는 제1 상부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리필 용기는,
    광투과성 물질로 형성되며 상기 제1 몸체에 수용되며 상부에는 화장 물질을 수용하는 제1 화장물질 수용부가 형성되며 하부 테두리를 따라 홈부가 형성되는 제2 몸체와,
    상기 제2 몸체를 덮는 형태로 상기 제2 몸체와 힌지 결합하며 내부면이 구획벽에 의해 1 이상의 부분으로 구획되는 제2 상부커버와,
    상기 제2 상부커버 내부면의 구획 공간들 중 일부인 제1 구획 공간을 덮는 형태로 상기 제2 상부커버와 힌지 결합하며 내측에는 화장 물질을 수용하는 제2 화장물질 수용부가 형성되는 제3 상부커버와,
    상기 제1 구획 공간과 다른 제2 구획 공간에 장착되는 제2 조명부와,
    상기 제2 구획 공간을 덮는 광투과성 물질의 커버 부재와,
    파이프형(광투과성 물질)으로 형성되어 상기 홈부에 착탈 가능하도록 끼움 결합되는 것으로 표면에는 채색 안료가 도포되어 상기 제1 조명부로부터 조사되는 광에 도포된 채색 안료의 색상을 부여하는 1 이상의 광확산 컬러 채널부를 포함하는 화장품 케이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제1 상부커버 내측에는 거울이 부착되는 화장품 케이스.
  3. 청구항 1에 있어서,
    제1 몸체의 내부 측벽에는 제1 조명부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반사시키는 반사 필름이 코팅되거나, 또는 광반사 기능을 갖는 물질이 코팅되는 화장품 케이스.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조명부는, 상기 제1 몸체에 매립되는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연결되어 상기 제1 몸체의 저면에 형성되는 1 이상의 발광다이오드와, 제1 몸체의 테두리의 일지점에 노출되어 사용자가 상기 발광다이오드의 온오프를 제어하도록 제공되는 제1 스위치를 포함하는 화장품 케이스.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획벽은 일부분이 제2 상부커버의 위쪽으로 돌출된 형태를 가짐으로써 상기 구획벽의 상부면과 커버 부재의 상부면이 일치하는 화장품 케이스.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조명부는, 상기 제2 구획 공간에 배치되는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연결되는 1 이상의 발광다이오드와, 상기 구획벽에 노출되어 상기 제3 상부커버를 닫았을 때에 가압되어 상기 발광다이오드를 점멸시키고 상기 제3 상부커버를 열었을 때에 가압이 해제되어 상기 발광다이오드를 점등시키는 제2 스위치를 포함하는 화장품 케이스.
KR1020160131248A 2016-10-11 2016-10-11 조명장치를 포함하는 화장품 케이스 KR1018329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1248A KR101832987B1 (ko) 2016-10-11 2016-10-11 조명장치를 포함하는 화장품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1248A KR101832987B1 (ko) 2016-10-11 2016-10-11 조명장치를 포함하는 화장품 케이스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2590A Division KR101934058B1 (ko) 2018-01-09 2018-01-09 화장품 리필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2987B1 true KR101832987B1 (ko) 2018-04-13

Family

ID=619742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1248A KR101832987B1 (ko) 2016-10-11 2016-10-11 조명장치를 포함하는 화장품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298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7320Y1 (ko) * 2007-05-17 2007-11-28 (주)씨엠아이태가코리아 라이트를 구비한 휴대용 화장품 용기
KR200439645Y1 (ko) * 2006-12-11 2008-04-23 (주)아모레퍼시픽 아이새도우 화장품 용기
JP2009292486A (ja) * 2008-06-03 2009-12-17 Key Tranding Co Ltd 照明付容器
US20110061675A1 (en) 2009-08-31 2011-03-17 Mckinley Sharon Ruth Custom compact cosmetic case with makeup pans and brushes
KR101211271B1 (ko) 2011-07-18 2012-12-11 문선철 조명장치가 설치된 화장품 케이스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9645Y1 (ko) * 2006-12-11 2008-04-23 (주)아모레퍼시픽 아이새도우 화장품 용기
KR200437320Y1 (ko) * 2007-05-17 2007-11-28 (주)씨엠아이태가코리아 라이트를 구비한 휴대용 화장품 용기
JP2009292486A (ja) * 2008-06-03 2009-12-17 Key Tranding Co Ltd 照明付容器
US20110061675A1 (en) 2009-08-31 2011-03-17 Mckinley Sharon Ruth Custom compact cosmetic case with makeup pans and brushes
KR101211271B1 (ko) 2011-07-18 2012-12-11 문선철 조명장치가 설치된 화장품 케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4058B1 (ko) 화장품 리필 용기
KR101896245B1 (ko) 살균기능을 갖는 화장품 케이스
CN112133583B (zh) 用于均匀照明按键的照明结构
KR101377120B1 (ko) 터치에 의한 발광기능을 갖는 색조화장품 케이스
KR101211271B1 (ko) 조명장치가 설치된 화장품 케이스
KR101832987B1 (ko) 조명장치를 포함하는 화장품 케이스
AU2021312860B2 (en) Cosmetic container comprising a surface with controllable transparency
US2748260A (en) Molded dougle-faced jack-omicron'-lantern
JP5221212B2 (ja) 照明付コンパクト容器
KR20180115194A (ko) Led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
GB2384424A (en) Illuminating mirror assembly
US20060203473A1 (en) Portable illuminator with mirror
WO2019156267A1 (ko) 조명장치를 포함하는 화장품 케이스
KR200461897Y1 (ko) 콤팩트 용기
WO2015078090A1 (zh) 一种可发光的数码产品保护壳
KR101868586B1 (ko) 조명을 갖는 화장품 케이스
KR102082619B1 (ko) 보틀에 장착되는 액세서리
KR102122309B1 (ko) 송풍 유닛을 포함하는 화장품 케이스
KR100358791B1 (ko) 간이화장용구가 내장된 핸드폰
WO2005050084A1 (ja) 携帯用ケース
KR20100007699A (ko) 화장품 용기
KR200275814Y1 (ko) 지지커버의 착탈식 가방
KR200489313Y1 (ko) 화장품 용기
CN217146794U (zh) 一种可发光的礼盒
JP7378956B2 (ja) 洗濯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