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2360B1 - 저전력 광대역 통신망을 이용한 차량의 운전자 호출기 및 그 호출방법 - Google Patents

저전력 광대역 통신망을 이용한 차량의 운전자 호출기 및 그 호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2360B1
KR101832360B1 KR1020170059842A KR20170059842A KR101832360B1 KR 101832360 B1 KR101832360 B1 KR 101832360B1 KR 1020170059842 A KR1020170059842 A KR 1020170059842A KR 20170059842 A KR20170059842 A KR 20170059842A KR 101832360 B1 KR101832360 B1 KR 1018323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driver
management server
pager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98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성국
박병욱
Original Assignee
콘텔라 주식회사
주식회사 씽크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콘텔라 주식회사, 주식회사 씽크아이 filed Critical 콘텔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598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2360B1/ko
Priority to US15/617,325 priority patent/US9948758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23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23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025Calling or Called party identification service
    • H04M3/42034Calling party identification service
    • H04M3/42042Notifying the called party of information on the calling par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56Arrangement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the called number at the calling subscriber's s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Arrangement of adaptations of instruments
    • B60K35/22
    • B60K35/28
    • B60K35/6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4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60Subscription-based services using application servers or record carriers, e.g. SIM application toolk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B60K2360/16
    • B60K2360/77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LoRa 통신망을 이용하여 저전력으로 차량의 운전자를 호출하고 통신할 수 있는 호출기 및 그 호출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의한 호출기는 차량에 설치되고 LoRa 네트워크를 통해 관리서버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호출기는 사용자의 차량 두드림, 터치 등을 인식하여 운전자 단말기에게 호출 메시지를 전송하고, 운전자가 호출 메시지를 확인한 경우에 운전자가 호출 메시지를 확인하였음을 호출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호출기는 운전자가 호출 메시지를 제때에 확인하지 않는 경우에 운전자 전화번호를 표시함으로써 호출자가 직접 운전자에게 전화를 걸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저전력 광대역 통신망을 이용한 차량의 운전자 호출기 및 그 호출방법{System and Method for Calling Driver of the Parked Vehicle by Using Low Power Wide Area Network}
본 발명은 저전력 광대역 통신망을 이용하여 저전력으로 차량의 운전자를 호출하고 통신하며, 필요한 경우에 운전자를 전화번호를 표시할 수 있는 호출기 및 그 호출방법에 관한 것이다.
LPWAN(Low Power Wide Area Network)은 저전력 광대역 통신 규약으로, 최근에 사물 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s)용 무선 네트워크로 채택되고 있다. 사물 인터넷을 위한 네트워크 플랫폼은 상시로 데이터를 사용하지만 배터리 등으로 동작해야 하므로 저전력 전송이 가능해야 하고, 상시로 사용하지만 데이터의 양이 소량이므로 초고속일 필요가 없으며, 고비용이어서는 경제성이 떨어져서 사용이 불가능한 특징이 있다. LPWAN는 이러한 요구에 대한 솔루션으로서 사물 인터넷을 위한 무선 네트워크로 최근에 주목을 받고 있다. LPWAN은 사물 인터넷 중 커버리지가 상당히 큰 네트워크로서, LoRa, Sigfox, Ingenu, LTE-M, NB-IOT 등의 상용화된 기술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LoRa는 저전력의 통신이 가능하면서도 최대 20Km 정도로 상당히 넓은 커버리지를 가진다는 장점이 있다. Sigfox는 도시의 경우 10Km, 도심을 벗어나면 최대 30Km의 커버리지를 가진다. LTE-MTC(Machine-type Communications)(또는, LTE-M), NB(Narrowband) LTE-M, NB IoT은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릴리즈 12, 13 기반의 LTE 기술로 최근에 발표된 표준이며, 전력 절약모드(PSM: Power Saving Mode) 등이 적용된다.
한편, 차량을 주차할 때, 차량 운전자는 여러 가지 목적으로 자신의 전화번호를 차량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는 위치에 표시한다. 주로 전화번호가 기록된 종이나 플라스틱 패드, 형광 패널, 또는 일종의 엘이디 패널을 차량의 안쪽, 전면 유리창 밑에 둔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전화번호가 항상 노출된 상태로 비치되기 때문에 차량의 이동 주차 등과 같은 원래의 목적이 아닌 용도로 운전자의 전화번호가 이용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운전자들이 매우 꺼리는 방식이다. 실제로 이 전화번호가 노출되면서 많은 광고성 스팸 문자가 많아지기도 한다. 이러한 불편에도 불구하고, 운전자들은 자신의 전용 주차 공간이나 이동 주차의 필요성이 없는 곳에 주차를 하는 경우가 아니면 전화번호를 차량에 남길 수밖에 없다.
[관련 선행기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15859호 (운전자 호출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상기 발명은 호출자의 발신 호를 운전자 단말기로 전환하여 호를 연결시킴으로써 운전자를 호출하는 방법에 관한 것임.
본 발명의 목적은, 저전력 광대역 통신망을 이용하여 저전력으로 차량의 운전자를 호출하고 통신하며, 필요한 경우에 운전자를 전화번호를 표시할 수 있는 호출기 및 그 호출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운전자 호출기는 차량에 설치되고 LPWAN(Low Power Wide Area Network)를 통해 관리서버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LPWAN에는 LoRa 네트워크 이외에도, Sigfox, Ingenu, LTE-M, NB-IOT 등에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호출기는 상기 차량의 일측에 설치되어 호출자의 동작을 감지하는 호출감지센서와, 상기 차량의 유리창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호출자에게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LPWAN 프로토콜에 따른 무선 채널을 통해 상기 LPWAN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LPWAN 인터페이스와, 상기 호출감지센서의 감지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호출자로부터 운전자 호출명령을 입력받는 호출감지부와, 상기 호출명령에 따라 호출기 식별번호를 포함하는 호출 메시지를 상기 LPWAN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관리서버에게 전송하는 호출제어부를 포함한다. 호출제어부는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상기 운전자가 상기 호출 메시지를 확인하였음을 통지하는 호출확인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운전자를 호출중임을 상기 표시부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호출감지센서부는 상기 차량의 특정 영역을 두드림에 따른 차량 진동을 감지하는 충격감지 센서 또는 상기 차량의 특정 영역에 상기 호출자의 손가락 또는 손바닥이 접촉하는 것을 감지하는 정전용량 센서를 구비하여 호출자의 동작을 감지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운전자 단말기는, 상기 LPWAN 네트워크가 아닌 별도의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관리서버와 연결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와,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수신한 상기 호출 메시지를 표시하고, 상기 호출 메시지를 확인하는 조작이 상기 운전자로부터 입력되는 경우에 상기 호출확인 메시지를 상기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전용 메시징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다.
본 발명은 상기 운전자 호출기의 차량 운전자 호출방법에도 미친다. 본 발명의 방법은, (a) 상기 호출기의 호출감지부가 상기 차량의 일측에 설치되어 호출자의 동작을 감지하는 호출감지센서를 이용하여 호출자로부터 운전자 호출명령을 입력받는 단계와, (b) 상기 호출기의 호출제어부가 상기 호출명령에 호출기 식별번호를 부가하여 상기 LoRa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관리서버에게 상기 운전자에게 호출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요청하고, 상기 운전자를 호출중임을 상기 차량의 유리창 내측에 부착된 표시부를 통해 표시하는 단계와, (c) 상기 호출제어부가 상기 (b) 단계의 요청에 대응하는 호출확인 메시지를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표시부를 통해 운전자가 호출을 확인하였음을 표시하되, 상기 호출확인 메시지는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호출기 식별번호에 매핑된 운전자 단말기에게 상기 호출 메시지를 전송하고 운전자가 상기 호출 메시지를 확인한 경우에 생성하는 것인 단계와, (d) 상기 호출제어부가 상기 (b) 단계의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기설정된 시간 내에 상기 호출확인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하였으면, 기저장된 운전자 전화번호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호출기는 호출자가 차량의 유리창 부분을 노크함으로써 호출자를 호출할 수 있다. 호출기는 호출자를 호출 중임을 표시부를 통해 표시할 수 있고 운전자가 호출을 확인하면 그 확인 상태도 표시함으로써 호출자에게 운전자 호출 상황을 즉각 표시할 수 있다.
한편, 호출자의 노크에 의한 운전자 호출에 불구하고 운전자가 호출을 확인하지 않는 경우에, 본 발명의 호출기는 기저장된 운전자 전화번호를 표시부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호출기가 네트워크 연결이 안되는 음영지역에 위치함으로써 호출자의 노크에 의한 운전자 호출 요청을 관리서버에 전송할 수 없는 경우에도, 호출기는 운전자의 전화번호를 표시부에 표시함으로써 호출자가 운전자에게 직접 전화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호출기는 LPWAN 네트워크를 활용하기 때문에 저전력으로 구동되고 따라서 배터리와 같은 소규모 전력으로도 오랫동안 호출기를 동작시킬 수 있다. LPWAN 네트워크 자체의 통신 비용도 매우 저렴하기 때문에, 호출기 운용 비용도 매우 저렴하게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호출 시스템의 구조도,
도 2는 본 발명의 호출기의 블록도,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호출기의 동작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호출 시스템(100)은 차량(10)에 설치되는 호출기(110)와, LPWAN(130)와, 관리서버(150)와, 운전자 단말기(170)와, 인터넷(190)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LPWAN(130) 중에서도 LoRa 네트워크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LPWAN(130)에 해당하는 Sigfox, Ingenu, LTE-M, NB-IOT 등의 네트워크도 이용할 수 있다.
LPWAN,
LPWAN(130)는 복수 개의 게이트웨이(131, 133, 135)와, 복수 개의 게이트웨이(131, 133, 135)가 연결되는 LPWAN 서버(137)를 포함하며, 호출기(110)와 관리서버(150) 사이를 연결한다. 한편, 복수 개의 게이트웨이(131, 133, 135)와 LPWAN 서버(137) 사이의 연결은 LPWAN 프로토콜(예컨대, LoRaWAN)에 의한 것이 아니라, LPWAN과 구분되는 별도의 인터페이스, 예컨대 이동통신 이더넷(3G Ethernet) 등을 사용한다.
또한, LPWAN 서버(137), 관리서버(150) 및 운전자 단말기(170)는 인터넷(190)을 통해 상호 연결된다.
운전자 단말기
우선, 운전자 단말기(170)는 관리서버(150)와 인터넷(190)을 통해 연결되어 호출기(11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운전자 단말기(170)는 인터넷(190)에 접속할 수 있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한편, 운전자 단말기(170)와 호출기(110)는 모두 운전자의 영역에 속하는 것이지만, 운전자 단말기(170)는 호출기(110)를 직접 제어할 수 없고, 관리서버(150)를 통해야 한다. 그것은 호출기(110)가 다른 네트워크 수단을 구비하지 않음으로써 시스템 자원을 최소화하기 위해서이며, 시스템 자원 최소화를 통해 호출기(110)의 전력소모, 네트워크 유지 비용, 기타 기기 가격 등을 줄이기 위해서이다.
또한, 운전자 단말기(170)는 관리서버(150)가 전송하는 '호출 메시지'를 표시부(미도시)에 표시하여 운전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운전자가 호출 메시지를 확인하면 '호출확인 메시지'를 관리서버(150)로 자동 전송한다. 이러한 동작을 위해, 운전자 단말기(170)는 스마트 폰과 같은 휴대 전화기로서, 본 발명의 호출 시스템(100)을 위한 전용의 메시징 어플리케이션(또는 소프트웨어)이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전용 메시징 어플리케이션은 관리서버(150)의 호출 메시지를 사용자에게 표시하고, 사용자가 호출 메시지에 대응하여 메시지 창 오픈, 클릭 등의 메시지 확인동작을 수행한 경우에 호출확인 메시지를 자동으로 관리서버(150)에게 전송한다.
다른 방법으로, 운전자 단말기(170)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본 발명의 호출 시스템(100)을 위한 전용의 단말기이어도 가능하다.
관리서버
관리서버(150)는 본 발명의 호출기(110)에 의한 운전자 호출 서비스를 전체적으로 운용하며, 그 동작을 위하여 운전자를 등록받아 관리한다. 운전자 등록을 통해, 관리서버(150)는 호출기 식별번호와 운전자 정보를 상호 매칭하여 저장하고 관리한다. 여기서, 운전자 정보는 운전자 단말기(170)의 정보(전화번호, MAC 어드레스 등), 로그인 아이디와 패스워드 등이 포함될 것이다.
호출기(110)로부터 '호출 메시지'를 수신하면, 관리서버(150)는 호출 메시지에 포함된 호출기 식별번호를 이용하여 차량의 운전자의 운전자 단말기(170)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운전자 단말기(170)에게 호출 메시지를 전송한다. 운전자 단말기(170)에 상기 메시징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경우라면, 관리서버(150)는 호출 메시지를 일반 데이터 패킷의 형태로 전송할 수 있다.
호출기
호출기(110)는 차량(10) 내부에 설치되며, 표시부(111), 호출감지센서부(113) 및 본체(115)를 포함한다.
표시부(111)는 본체(115)의 호출제어부(207)가 제공하는 각종 정보를 호출자에게 표시한다. 표시부(111)는 호출자가 메시지를 인식할 수 있도록 차량(10)의 유리창 내측에 설치된다. 도 2에서는 표시부(111)가 본체(115)와 별도로 마련되어 케이블 등을 통해 연결된 구성으로 도시되었으나, 표시부(111)가 본체(115)에 장착된 구성일 수도 있다.
표시부(111)는 어떠한 형태의 표시수단이어도 무방하다. 다만, 본 발명은 전원 소모를 최소로 하는 것이 특징 중 하나이고 호출자에게 표시되는 정보도 ① '호출 중' 메시지, ② '운전자 호출 확인' 메시지, 그리고 ③ 운전자 전화번호뿐이므로, 몇 개의 숫자과 알파벳을 간단히 표시할 수 있는 것이면 충분하다.
호출감지센서부(113)는 호출자가 운전자를 호출하는 호출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체(115)의 호출감지부(203)와 함께 '호출명령'을 생성한다.
차량에 키패드와 같은 입력수단을 설치하기는 어렵기 때문에, 호출자가 차량에 대하여 접촉, 두드림 등의 동작을 하는 경우에 해당 동작을 호출명령으로 인식하는 것이 적절하다. 따라서 호출감지센서부(113)는 호출자가 차량(10)을 두드리거나 접촉하는 것을 감지하는 센서를 구비한다. 예컨대, ① 호출감지센서부(113)는 차량(10)의 특정 영역(A)의 진동을 감지하는 충격 감지센서이거나, ② 특정 영역(A)에 접촉하는 호출자의 손가락 또는 손바닥 접촉을 감지하는 정전용량 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호출감지센서부(113)는 호출자가 두드리거나 접촉할 수 있는 차량(10)의 외면 중 특별히 한정된 특정 영역(A)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호출감지센서부(113)는 사용자의 동작을 감지한 감지신호를 호출감지부(203)에게 제공한다.
본체(115)는 차량(10)의 내부에 설치되며 표시부(111) 및 호출감지센서부(113)와 연결되어 동작하고, LPWAN 네트워크의 게이트웨이(131)에도 무선 채널로 연결된다. 본체(115)는 전원부(201), 호출감지부(203), LPWAN 인터페이스(205) 및 호출제어부(207)를 내부 구성으로 포함한다.
전원부(201)는 호출기(110)의 동작을 위한 직류 동작 전원을 제공한다. 전원부(201)는 내장 배터리를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호출기(110)는 LPWAN 네트워크를 사용함으로써 저전력을 구현한 것에 특징이 있으므로, 내장 배터리를 사용하더라도 상당히 오랜 기간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 전원부(201)는 차량(10)의 휴즈박스(미도시)를 통해 차량 배터리(미도시)의 직류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전원을 공급할 수도 있다.
호출감지부(203)는 호출감지센서부(113)를 이용하여 호출자(제3자)로부터 운전자를 호출하는 '운전자 호출명령'을 입력받는다. 운전자 호출명령은 호출감지센서부(113)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입력될 수 있다.
예컨대, ① 호출감지센서부(113)가 특정 영역(A)의 진동을 감지하는 충격 감지센서이면, 호출감지부(203)는 호출감지센서부(113)가 제공하는 감지신호를 이용하여 호출명령을 인식한다. 호출자는 차량의 특정 영역(A)을 '톡톡' 두드림으로써 호출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충격 감지 센서를 사용하는 경우, 비와 같은 다른 형태의 접촉(또는 충격)을 호출자의 접촉과 구분하기 위하여, 호출감지부(203)는 감지신호가 기설정한 크기 이상으로 기설정한 간격으로 입력되는 등의 노이즈 제거를 수행할 수도 있다.
다른 방법으로, ② 호출자가 차량의 특정 영역(A)에 손가락 또는 손바닥 등을 접촉함으로써 호출명령을 입력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호출감지센서부(113)는 특정 영역(A)의 손가락 또는 손바닥 접촉을 감지하는 정전용량 센서를 사용할 수 있으며, 호출감지부(203)는 호출감지센서부(113)의 감지신호가 기설정된 시간 이상 지속되는 경우에 호출명령으로 인식할 수 있다.
여기서, 특정 영역(A)은 차량의 외면 어디라도 무방하다. 종래처럼 운전자들이 운전석 또는 조수석 앞 유리창 아랫부분에 전화번호를 표시하는 것이 일반적인 점을 고려하여, 운전석 또는 보조석 정면의 유리창이나 측면 유리창에서 선택된 일정한 부분을 특정 영역(A)으로 정할 수 있다. 한편, 특정 영역(A)을 호출기가 인식할 수 있도록 표시부(111)를 통해 표시할 수도 있고, 스티커 등을 이용하여 유리창 등에 부착할 수도 있다.
LPWAN 인터페이스(205)는 안테나(미도시)를 구비하고, LPWAN(예컨대, LoRa) 프로토콜에 따른 무선 채널로 게이트웨이(131)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모듈이다. 호출기(110)는 게이트웨이(131)를 통해 관리서버(150)와 연결된다. 따라서 LPWAN 인터페이스(205)는 호출제어부(207)가 제공하는 정보를 관리서버(150)에게 제공하고, 관리서버(150)가 제공하는 정보를 수신하여 호출제어부(207)에게 제공한다.
호출제어부(207)는 본 발명의 호출기(11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특별히 호출자의 호출명령을 인식하고 관리서버(150)에게 운전자를 호출하도록 요청할 뿐만 아니라, 운전자가 호출을 확인하였음을 통지하는 '호출확인 메시지'를 관리서버(150)로부터 수신하여 표시부(111)를 통해 호출자에게 표시한다.
호출제어부(207)는 관리서버(150)로부터 운전자의 전화번호를 미리 전달받아 저장해 두었다가, 전화번호를 표시해야 하는 이벤트(전화번호 표시 이벤트)가 발생하면 기저장해 둔 운전자 전화번호를 표시부(111)에 표시함으로써, 호출자가 직접 운전자에게 전화를 걸어볼 수 있도록 한다. 전화번호 표시 이벤트에 대하여는 아래에서 다시 설명한다.
전화번호 표시 이벤트의 발생 조건은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으며, 전적으로 운전자의 제어, 즉 운전자 단말기(170)가 제공하는 제어명령에 따라 이루어진다. 다시 말해, 운전자 단말기(170)가 호출기(110)와 직접 연결할 수 없으므로, 운전자 단말기(170)는 관리서버(150)를 경유하여 호출기(110)의 전화번호 표시 이벤트를 제어한다.
본체(115) 또는 호출제어부(207)는 상시 동작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지만, 운전자가 특별히 조작한 경우에만 동작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호출기(110)는 버튼(미도시) 등을 통해 운전자로부터 동작의 개시 및 종료에 관한 제어명령을 입력받아 호출제어부(207)에게 제공하기 위한 별도의 수단(스위치 등)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호출기의 운전자 호출 서비스
이하에서는 호출제어부(207)의 운전자 호출 동작을 도 3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리를 위해, 호출감지센서부(113)가 충격감지 센서라 가정한다.
<호출자의 호출명령 인식: S301>
호출기(110)는 동작을 개시하면, 호출감지센서부(113)를 통해 호출명령이 입력되기를 기다린다. 호출감지센서부(113)는 특정 영역(A)에서 발생하는 충격을 감지하여 호출감지부(203)에게 제공한다. 호출감지부(203)는 호출감지센서부(113)가 제공하는 신호를 기초로, 특정 영역(A)에 기설정된 세기 이상의 충격이 기설정된 간격 범위 내에서 연속적으로 입력되고 있다고 판단하면 호출자의 호출명령이 입력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호출명령에 따른 호출기의 호출 개시: S303, S305>
S301 단계에서 호출명령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호출제어부(207)는 우선 관리서버(150)에게 호출 메시지를 전송한다. 호출 메시지에는 호출기(110)를 식별하기 위한 호출기 식별번호가 포함된다. 호출 메시지 전송은 LPWAN 인터페이스(205)가 호출 메시지를 LPWAN 데이터 패킷으로 변환하여 게이트웨이(131)로 전송함으로써 수행된다(S303).
호출제어부(207)는 호출 메시지를 전송한 후에, 표시부(111)를 통해 현재 '운전자를 호출 중'임을 표시한다(S305).
<관리서버의 호출 메시지 수신 및 운전자 호출: S307 내지 S311>
호출기(110)로부터 호출 메시지를 수신한 게이트웨이(131)는 해당 메시지를 LPWAN 서버(137)에게 전송하고, LPWAN 서버(137)는 관리서버(150)에게 전송한다(S307).
호출 메시지를 수신한 관리서버(150)는 해당 호출 메시지에 포함된 호출기 식별번호를 이용하여 운전자를 확인하고, 해당 운전자 정보 중에서 운전자 단말기(170)에 대한 정보를 추출한다(S309).
관리서버(150)는 운전자 단말기(170)에게 기설정된 형태의 호출 메시지를 전송한다. 운전자 단말기(170)에 전용의 메시징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경우라면, 관리서버(150)는 기설정된 정보를 제공하는 형태로 호출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S311).
<운전자의 호출확인; S313>
운전자 단말기(170)는 호출 메시지를 운전자에게 표시할 수 있으며, 운전자가 해당 호출 메시지를 확인하였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은 다양한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운전자 단말기(170)에 전용의 메시징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경우라면, ①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조작하거나, ② 특별히 호출 확인을 요청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요청에 응대하여 조작하면 호출 메시지 확인으로 판단할 수 있다.
<호출확인 메시지를 호출기로 전송: S315 내지 S319>
운전자 단말기(170)의 전용의 메시징 어플리케이션은 운전자가 호출 메시지를 확인하면, 그 호출확인 메시지를 관리서버(150)에게 제공한다(S315). 관리서버(150)는 LPWAN 서버(137)에게 호출확인 메시지를 전달하고 LPWAN 서버(137)는 다시 게이트웨이(131)에게 호출확인 메시지를 전송하며(S317), 게이트웨이(131)는 호출기(110)의 호출제어부(207)에게 전달한다(S319).
<운전자 호출확인 상태를 표시: S321>
호출제어부(207)는 관리서버(150)로부터 호출확인 메시지를 받으면, 표시부(111)를 통해 '운전자 호출 확인'을 전달하기 위한 메시지를 표시한다.
이상의 방법으로, 본 발명의 호출기(110)의 운전자 호출 서비스가 수행된다.
호출기의 '전화번호 표시 이벤트'
운전자는 운전자 단말기(170)를 이용하여 호출기(110)가 표시부(111)를 통해 운전자 전화번호를 표시하는 것에 대하여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관리서버(150)를 통해 운전자 전화번호를 호출기(110)에게 미리 제공하여 저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전화번호 표시 이벤트는 우선, (1) 운전자가 운전자 단말기(170)를 이용하여 호출기(110)가 도 3의 호출 방법을 사용하지 않고 표시부(111)에 전화번호를 우선 표시하도록 제어한 경우에 수행된다. 호출기(110)는 운전자의 제어명령에 따라 도 3의 과정을 수행하지 않고 전화번호를 표시한다. 운전자 제어명령은 앞서 설명한 것처럼, 관리서버(150) → LPWAN 서버(137) → 게이트웨이(131)를 거쳐 호출기(110)로 전달된다.
(2) 두 번째 방법으로, 도 3의 방법에 의해 운전자를 호출하려고 하지만, 차량(10)이 LPWAN 음영지역에 위치하여 호출기(110)가 S303 단계의 호출 메시지를 게이트웨이(131)로 전송하지 못하는 경우라면, 호출제어부(207)는 운전자 전화번호를 우선적으로 표시부(111)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3) 세 번째 방법으로, 도 3의 방법에 의해 운전자를 호출하였으나 운전자가 호출을 확인하지 못하는 경우에, 도 4에 기초하여 아래에서 설명하는 호출기(110)의 '전화번호 표시 이벤트' 처리 방법을 통해서 수행된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위 세 번째 전화번호 표시 이벤트 처리방법을 설명한다.
<기설정된 시간동안 호출확인 메시지를 대기: S401 내지 S405>
S303 단계 및 S305 단계를 수행한 호출제어부(207)는 기설정된 시간(메시지 확인 대기시간) 동안 게이트웨이(131)로부터 S319 단계의 호출확인 메시지를 기다린다. 메시지 확인 대기시간 동안 게이트웨이(131)로부터 S319 단계의 호출확인 메시지를 수신하면, 호출제어부(207)는 도 4의 방법을 수행하지 않고 S321 단계를 수행한다(S401, S403).
메시지 확인 대기시간 동안, 호출감지부(203)는 호출감지센서부(113)를 이용하여 호출자의 새로운 운전자 호출명령이 있는지 대기한다(S405).
만약, 호출자의 새로운 운전자 호출명령이 없이 메시지 확인 대기시간이 종료되면, 호출제어부(207)는 대기모드로 진행하여 S301 단계가 진행되기를 대기하고 도 4의 절차를 종료한다.
<메시지 확인 대기 중의 호출자의 새로운 호출명령 처리: S407>
메시지 확인 대기시간 동안, 호출자의 새로운 운전자 호출명령이 다시 입력되면, 호출제어부(207)는 S303 단계와 S305 단계를 다시 수행하여 호출 메시지를 게이트웨이(131)로 전송하고 대기한다.
<반복 호출 이후의 전화번호 표시 이벤트: S409 내지 S413>
호출제어부(207)는 기설정된 메시지 확인 대기시간 동안 게이트웨이(131)로부터 S319 단계의 호출확인 메시지를 기다린다. 메시지 확인 대기시간 동안 게이트웨이(131)로부터 S319 단계의 호출확인 메시지를 수신하면, 호출제어부(207)는 S321 단계를 수행하고 도 4의 절차를 종료한다(S409, S411).
호출확인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한 상태로 메시지 확인 대기시간이 종료하면, 호출제어부(207)는 전화번호 표시 이벤트를 수행하여 기저정된 운전자 전화번호를 표시부(111)에 표시한다(S413).
이상의 방법으로 본 발명의 호출기(110)의 전화번호 표시 이벤트가 수행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Claims (6)

  1. 차량에 설치되고 저전력광대역 네트워크(LPWAN)를 통해 관리서버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운전자 호출기의 차량 운전자 호출방법에 있어서,
    (a) 상기 호출기의 호출감지부가 상기 차량의 일측에 설치되어 호출자의 동작을 감지하는 호출감지센서를 이용하여 호출자로부터 운전자 호출명령을 입력받는 단계;
    (b) 상기 호출기의 호출제어부가 상기 호출명령에 호출기 식별번호를 부가하여 상기 저전력광대역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관리서버에게 상기 운전자에게 호출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요청하고, 상기 운전자를 호출중임을 상기 차량의 유리창 내측에 부착된 표시부를 통해 표시하는 단계;
    (c) 상기 호출제어부가 상기 (b) 단계의 요청에 대응하는 호출확인 메시지를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표시부를 통해 운전자가 호출을 확인하였음을 표시하되, 상기 호출확인 메시지는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호출기 식별번호에 매핑된 운전자 단말기에게 상기 호출 메시지를 전송하고 운전자가 상기 호출 메시지를 확인한 경우에 생성하는 것인 단계; 및
    (d) 상기 호출제어부가 상기 (b) 단계의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기설정된 시간 내에 상기 호출확인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하였으면, 기저장된 운전자 전화번호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운전자 호출명령을 입력받은 때에, 상기 호출제어부가 운전자의 전화번호 표시명령을 보유한 경우에는 상기 (b) 단계를 수행하지 않고 상기 운전자의 전화번호를 상기 표시부를 통해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화번호 표시명령은 상기 운전자 단말기의 전용 메시징 어플리케이션이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아 상기 관리서버에게 제공한 것으로서,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저전력광대역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호출제어부에게 제공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호출기의 호출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상기 기설정된 시간 중에, 상기 호출제어부가 상기 호출자로부터 상기 운전자 호출명령을 다시 입력받아 상기 (b) 단계를 다시 수행하고 다시 상기 기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호출확인 메시지를 대기하는 단계; 및
    상기 호출확인 메시지를 대기하는 단계를 기설정된 횟수 반복하고도 상기 호출확인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하고 상기 기설정된 시간이 종료하였으면, 상기 운전자 전화번호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출기의 호출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와 네트워크 연결이 되지 않는 지역에 위치함에 따라, 상기 호출제어부가 상기 관리서버에게 상기 요청을 전송하지 못하는 경우에, 상기 운전자 전화번호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출기의 호출방법.
  4. 삭제
  5. 차량에 설치되고 저전력광대역 네트워크(LPWAN)를 통해 관리서버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운전자 호출기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특정 영역을 두드림에 따른 차량 진동을 감지하는 충격감지 센서 또는 상기 차량의 특정 영역에 호출자의 손가락 또는 손바닥이 접촉하는 것을 감지하는 정전용량 센서를 구비하여 호출자의 동작을 감지하는 호출감지센서부;
    상기 호출감지센서부의 감지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호출자로부터 운전자 호출명령을 입력받는 호출감지부;
    상기 차량의 유리창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호출자에게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LPWAN의 프로토콜에 따른 무선 채널을 통해 상기 LPWAN에 접속하는 LPWAN 인터페이스; 및
    상기 호출명령에 따라 호출기 식별번호를 포함하는 호출 메시지를 상기 LPWAN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관리서버에게 전송하여 상기 운전자에게 전달하도록 요청하고 상기 운전자를 호출중임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호출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호출제어부는 운전자가 상기 호출 메시지를 확인하였음을 통지하는 호출확인 메시지를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수신하면 운전자가 호출을 확인하였음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고,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기설정된 시간 내에 상기 호출확인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하였으면 기저장된 운전자 전화번호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며,
    상기 호출감지부가 운전자 호출명령을 입력받은 때에, 상기 호출제어부가 운전자의 전화번호 표시명령을 보유한 경우에는 상기 호출 메시지를 상기 관리서버에게 전송하지 않고 상기 운전자의 전화번호를 상기 표시부를 통해 표시하고,
    상기 전화번호 표시명령은 운전자 단말기의 전용 메시징 어플리케이션이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아 상기 관리서버에게 제공한 것으로서,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저전력광대역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호출제어부에게 제공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호출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호출제어부가 상기 기설정된 시간 중에 상기 호출자로부터 상기 운전자 호출명령을 다시 입력받아 상기 관리서버에게 운전자를 다시 호출하도록 요청하고, 상기 기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호출확인 메시지를 다시 대기하며,
    상기 호출확인 메시지를 다시 대기하는 과정을 기설정된 횟수 반복하고도 상기 호출확인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하고 상기 기설정된 시간이 종료하였으면, 상기 운전자 전화번호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출기.
KR1020170059842A 2017-05-15 2017-05-15 저전력 광대역 통신망을 이용한 차량의 운전자 호출기 및 그 호출방법 KR1018323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9842A KR101832360B1 (ko) 2017-05-15 2017-05-15 저전력 광대역 통신망을 이용한 차량의 운전자 호출기 및 그 호출방법
US15/617,325 US9948758B1 (en) 2017-05-15 2017-06-08 Calling device for calling driver of vehicle by using low-power wide-area network and call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9842A KR101832360B1 (ko) 2017-05-15 2017-05-15 저전력 광대역 통신망을 이용한 차량의 운전자 호출기 및 그 호출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2360B1 true KR101832360B1 (ko) 2018-04-04

Family

ID=618727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9842A KR101832360B1 (ko) 2017-05-15 2017-05-15 저전력 광대역 통신망을 이용한 차량의 운전자 호출기 및 그 호출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948758B1 (ko)
KR (1) KR10183236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8243B1 (ko) * 2018-05-04 2019-12-20 주식회사 씽크아이 저전력 광대역 통신망을 통해 동영상을 전송할 수 있는 블랙박스 단말기 및 그 방법
KR102058241B1 (ko) * 2018-05-04 2019-12-20 주식회사 씽크아이 저전력 광대역 통신망을 통해 동영상을 전송할 수 있는 블랙박스 단말기 및 그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506086A1 (en) * 2017-12-28 2019-07-03 ELATEC GmbH Method for updating or upgrading firmware of a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eader
JP2019207465A (ja) * 2018-05-28 2019-12-05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通信装置、駐車場用通信装置、及び駐車場管理システム
CN115550496B (zh) * 2021-06-30 2024-02-09 上海擎感智能科技有限公司 通话控制方法、装置及系统、电子设备及存储介质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71196A (ko) * 2009-12-21 2011-06-29 나예준 호출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50081188A (ko) * 2014-01-03 2015-07-1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통신 장치 및 이의 통신 방법
KR101571107B1 (ko) * 2014-07-01 2015-11-23 주식회사 프랭클린테크놀로지 주차 또는 정차된 자동차의 운전자를 호출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운전자 호출서버 및 운전자 호출 시스템
KR20160132272A (ko) * 2015-05-08 2016-11-17 펠프 주식회사 얼굴인식 주차노크 알림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70030267A (ko) * 2015-09-09 2017-03-17 이정한 Nfc 태그를 이용해 차량 운전자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해 연락을 제공하는 차량 운전자 연락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49776A (en) * 1990-01-18 1999-09-07 Norand Corporation Hierarchical communication system using premises, peripheral and vehicular local area networking
KR100915859B1 (ko) 2008-04-03 2009-09-07 (주)엘아이에프이물산 운전자 호출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US9787463B2 (en) * 2011-10-14 2017-10-10 Maxlinear, Inc. Method and system for server-side message handling in a low-power wide area network
US10127797B2 (en) * 2015-02-17 2018-11-13 Honeywell International Inc. Alternative inexpensive cloud-based mass market alarm system with alarm monitoring and reporting
US20160345265A1 (en) * 2015-05-20 2016-11-24 Senaya, Inc. Low power wide area network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71196A (ko) * 2009-12-21 2011-06-29 나예준 호출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50081188A (ko) * 2014-01-03 2015-07-1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통신 장치 및 이의 통신 방법
KR101571107B1 (ko) * 2014-07-01 2015-11-23 주식회사 프랭클린테크놀로지 주차 또는 정차된 자동차의 운전자를 호출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운전자 호출서버 및 운전자 호출 시스템
KR20160132272A (ko) * 2015-05-08 2016-11-17 펠프 주식회사 얼굴인식 주차노크 알림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70030267A (ko) * 2015-09-09 2017-03-17 이정한 Nfc 태그를 이용해 차량 운전자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해 연락을 제공하는 차량 운전자 연락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8243B1 (ko) * 2018-05-04 2019-12-20 주식회사 씽크아이 저전력 광대역 통신망을 통해 동영상을 전송할 수 있는 블랙박스 단말기 및 그 방법
KR102058241B1 (ko) * 2018-05-04 2019-12-20 주식회사 씽크아이 저전력 광대역 통신망을 통해 동영상을 전송할 수 있는 블랙박스 단말기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948758B1 (en) 2018-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2360B1 (ko) 저전력 광대역 통신망을 이용한 차량의 운전자 호출기 및 그 호출방법
CN107820331B (zh) 通话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可读存储介质
KR101544431B1 (ko) 오디오 채널을 사용하는 단말기에서 블루투스 기기의 연결 장치 및 방법
CN109803347B (zh) 一种业务处理方法及移动通信终端
CN108012312B (zh) 被寻呼装置、寻呼装置及方法
CN103199899A (zh) 促进无线通信的系统与方法
CA250199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xtending the coverage area of a license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an unlicense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2022543005A (ja) 距離測定方法、ユーザ機器およびコンピュータ可読記憶媒体
CN101545191A (zh) 具有蓝牙通信功能的洗衣机及通信工作方法
CN109691179A (zh) 一种会话迁移方法及设备
US20210245994A1 (en) Inexpensive Elevator Operating Device For An Elevator System With Destination Call Control
CN108419239A (zh) 用于基本服务集关联的系统和方法
CN106470244A (zh) 基于云服务器的自助洗衣机预约提醒系统
CN109979045B (zh) 一种信息输出方法及终端设备
WO2020029914A1 (zh) 多模通信方法、终端和网络侧设备
CN105204457A (zh) 实现车辆远程定位救援的方法、车辆、移动终端及救援服务器
CN102187718A (zh) 无线基站设备及其电源控制方法
US20180146501A1 (en) Mobile Terminals and Communication Method Therefor
CN107786424A (zh) 音视频通信方法、终端及服务器
CN108605206A (zh) 一种社交信息交互方法及装置
CN111818593A (zh) 一种网络切换方法及终端
CN111278169B (zh) 切换方法、第一终端及第二终端
CN106331302B (zh) 一种添加联系人的方法及设备
WO2020224659A1 (zh) 信息上报方法、信息接收方法、终端和网络控制实体
JP4043775B2 (ja) 通信システムの動作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