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2331B1 - 장치들 간의 무선 전력 전송 및 통신 - Google Patents

장치들 간의 무선 전력 전송 및 통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2331B1
KR101832331B1 KR1020110064029A KR20110064029A KR101832331B1 KR 101832331 B1 KR101832331 B1 KR 101832331B1 KR 1020110064029 A KR1020110064029 A KR 1020110064029A KR 20110064029 A KR20110064029 A KR 20110064029A KR 101832331 B1 KR101832331 B1 KR 1018323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wireless power
unit
wireless
power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40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2833A (ko
Inventor
추인창
이재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640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2331B1/ko
Priority to US13/538,622 priority patent/US9166654B2/en
Publication of KR201300028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28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23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23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7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H04B5/79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data transfer in combination with power transf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02J50/12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of the resonant typ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4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two or more transmitting or receiving devices
    • H02J50/402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two or more transmitting or receiving devices the two or more transmitting or the two or more receiving devices being integrated in the same unit, e.g. power mats with several coils or antennas with several sub-antenna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5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additional energy repeaters between transmitting devices and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9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detection or optimisation of position, e.g. alignm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03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data exchange
    • H02J7/00045Authentication, i.e. circuits for checking compatibility between one component, e.g. a battery or a battery charger, and another component, e.g. a power sour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2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technique;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H04B5/24Inductive coupling
    • H04B5/26Inductive coupling using coils
    • H04B5/266One coil at each side, e.g. with primary and secondary coi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8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the exchange of data, concerning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between transmitting devices and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02J7/00304Overcurrent prote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02J7/00308Overvoltage pro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명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 형태는 배터리를 구비하는 장치 본체; 제 1 장치가 형성한 제 1 무선 전력 신호를 수신하는 전력 수신부; 상기 수신된 제 1 무선 전력 신호를 기초로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충전부; 상기 배터리의 전원을 이용하여 제 2 장치로 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제 2 무선 전력 신호를 형성하는 전력 변환부; 및 전력 수신 기능 또는 전력 송신 기능을 활성화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력 수신 기능이 활성화 된 경우 상기 제 1 무선 전력 신호를 수신하도록 상기 전력 수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전력 송신 기능이 활성화 된 경우 상기 제2 무선 전력 신호를 형성하도록 전력 변환부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이다.

Description

장치들 간의 무선 전력 전송 및 통신{WIRELESS POWER TRANSMISSION AND COMMUNICATION BETWEEN DEVICES}
본 명세서는 무선 전력 전송에 관한 것이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장치들 간의 무선 전력 전송에 관한 것이다.
전통적으로 전자 기기들에게 유선으로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는 방법 대신에, 최근에는 접촉 없이 무선으로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는 방법이 사용된다. 무선으로 에너지를 수신하는 전자 기기는 상기 수신된 무선 전력에 의하여 직접 구동되거나, 상기 수신된 무선 전력을 이용하여 배터리를 충전하고 상기 충전된 전력에 의하여 구동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상호간의 무선 전력 전송을 지원하는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을 제시하기 위함이다. 구체적으로, 본 명세서는 단일 장치 내에 무선 전력을 전송하는 기능 및 무선 전력을 수신하는 기능을 동시에 제공하는 장치를 제시함으로써, 장치들 사이에서 전력을 중계하는 방법, 전력을 제공함으로써 통신 자원을 사용할 수 있게 하는 방법 및 전력 수신 장치의 동작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방법을 제시하기 위함이다.
일 실시 형태로 전자 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전자 장치는, 배터리를 구비하는 장치 본체; 제 1 장치가 형성한 제 1 무선 전력 신호를 수신하는 전력 수신부; 상기 수신된 제 1 무선 전력 신호를 기초로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충전부; 상기 배터리의 전원을 이용하여 제 2 장치로 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제 2 무선 전력 신호를 형성하는 전력 변환부; 및 전력 수신 기능 또는 전력 송신 기능을 활성화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력 수신 기능이 활성화 된 경우 상기 제 1 무선 전력 신호를 수신하도록 상기 전력 수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전력 송신 기능이 활성화 된 경우 상기 제2 무선 전력 신호를 형성하도록 전력 변환부를 제어한다.
상기 일 실시 형태 또는 그 밖의 형태들은 다음과 같은 특징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장치로부터 전력 제어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전력 제어 메시지에 기초하여 상기 전력 송신 기능을 활성화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전력 제어 메시지는 상기 제 2 무선 전력 신호의 송신 요청 메시지이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송신 요청 메시지를 기초로 상기 전력 송신 기능을 활성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력 변환부는 상기 제 2 장치에 의하여 변조된 제 2 무선 전력 신호를 수신하되, 상기 전력 제어 메시지는 상기 변조된 제 2 무선 전력 신호를 통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제 2 장치와의 연결을 통해서 사용자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를 더 구비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장치에 대한 상기 전력 송신 기능이 활성화 된 경우에 상기 연결을 통해 사용자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접속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 2 장치와의 상기 연결을 수립하되, 상기 접속 정보는 상기 전력 변환부에 의하여 수신된 상기 전력 제어 메시지에 포함되어 수신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속 정보는 상기 제 2 장치의 주소, 인증 정보, 장치의 식별 정보, 중계 서비스를 위한 제어 정보 또는 테더링을 위한 제어 정보일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에 의하여 수신된 상기 제 2 장치의 상기 사용자 데이터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데이터는 상기 제 2 장치의 화면 데이터 또는 상기 제 2 장치에서 발생한 이벤트 정보일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무선 전력 신호를 기초로 전달되는 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제 2 무선 전력 신호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전력 수신부 및 전력 변환부와 연결된 코일을 더 포함하고, 상기 코일은 상기 제 1 무선 전력 신호의 수신 및 상기 제 2 무선 전력 신호의 형성에 사용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 형태로서 전자 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전자 장치는 제 1 장치가 형성한 제 1 무선 전력 신호를 수신하는 전력 수신부; 상기 제 1 무선 전력 신호를 기초로 획득한 전원을 이용하여 제 2 장치로 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제 2 무선 전력 신호를 형성하고, 상기 제 2 장치에 의하여 변조된 제 2 무선 전력 신호를 수신하는 전력 변환부; 상기 제 2 장치와의 연결을 통해서 사용자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변조된 제 2 무선 전력 신호를 통해 접속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접속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 2 장치와의 상기 연결을 수립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또 다른 실시 형태로서 전력 전송 장치로부터 전력 전송을 위한 무선 전력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무선 전력 신호에 전력 제어 메시지가 포함되도록 변조하는 전력 수신부; 상기 전력 전송 장치와의 연결을 통해 사용자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무선 전력 신호를 송신할 것을 요청하는 전력 제어 메시지를 상기 전력 전송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연결을 수립하기 위한 접속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메시지를 상기 전력 전송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접속 정보를 기초로 상기 연결을 수립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화면 데이터 또는 이벤트 정보를 상기 전력 전송 장치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전자 장치는 배터리를 충전하는 충전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무선 전력 신호를 기초로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도록 상기 충전부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따르면, 상호간 무선 전력 전송을 지원하는 전자 기기는 다른 전자 기기에게 무선으로 전력을 전송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수신 기능이 있는 장치는 주위에 가용한 무선 충전기가 없는 환경에서 상호간 무선 전력 전송을 지원하는 전자 기기로부터 전력을 공급 받을 수 있다.
특히, 대용량 배터리를 구비한 전자 기기(예를 들어, 노트북)가 상호간 무선 전력 전송을 지원하는 경우 다른 무선 전력 수신 장치(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에게 상기 대용량 배터리에 남아 있는 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호간 무선 전력 전송을 지원하는 전자 기기는 다른 전자 기기에게 무선으로 전력을 제공하고 그에 대한 보상으로 상기 다른 전자 기기(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 액세스 포인트)가 제공하는 네트워크 자원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호간 무선 전력 전송을 지원하는 전자 기기는 무선 전력을 제공 받는 다른 기기로부터 화면 또는 이벤트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하여 전력 전송 중 다른 전자 기기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호간 무선 전력 전송을 지원하는 전자 기기는 다른 무선 전력 전송장치로부터 수신한 무선 전력을 다른 전자 기기에게 충전 없이 직접 제공하거나, 또는 충전 후 충전된 전원을 제공하는 방식으로 중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장치 및 무선 전력 수신장치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의 (a) 및 (b)는 각각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에서 채용 가능한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 및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의 구성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유도 결합 방식에 따라 무선 전력 전송장치로부터 무선 전력 수신장치에 무선으로 전력이 전달되는 개념을 도시한다.
도 4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에서 채용 가능한 전자기 유도 방식의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 및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의 구성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는 공진 결합 방식에 따라 무선 전력 전송장치로부터 무선 전력 수신장치에 무선으로 전력이 전달되는 개념을 도시한다.
도 6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에서 채용 가능한 공진 방식의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 및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의 구성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7은 도 2의 (a)에 도시된 구성 외에 추가적인 구성을 더 포함하는 무선 전력 전송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가 이동 단말기 형태로 구현된 경우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9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을 따르는 무선 전력 전송장치 및 무선 전력 수신장치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무선 전력 전송(wireless power transfer)에 적용된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기술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는 모든 전력 전송 시스템 및 방법, 무선 충전회로 및 방법, 그 외 무선으로 전송되는 전력을 이용하는 방법 및 장치에도 적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의 사상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그 기술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무선 전력 전송장치 및 무선 전력 수신장치 개념도
도 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장치 및 무선 전력 수신장치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는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에게 필요한 전력을 무선으로 전달하는 전력 전달 장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는 무선으로 전력을 전달함으로써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무선 충전 장치일 수 있다.
그 밖에도,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는 접촉되지 않은 상태에서 전원이 필요한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에게 전력을 전달하는 여러 가지 형태의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는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로부터 무선으로 전력을 수신하여 동작이 가능한 기기이다. 또한,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는 상기 수신된 무선 전력을 이용하여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개시된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는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에 구비된 무선 전력 수신 기능을 포함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무선 전력을 전송하는 기능 및 수신하는 기능을 모두 구비한 전자 기기의 구현은 도 7을 참조하여 후술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무선으로 전력을 수신하는 무선 전력 수신장치는 휴대가 가능한 모든 전자 기기, 예컨대 키보드, 마우스, 영상 또는 음성의 보조 출력장치 등의 입출력장치를 비롯하여, 휴대폰, 셀룰러폰, 스마트 폰(smart phone),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와, 태블릿, 혹은 멀티미디어 기기 등을 포괄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한다.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는, 후술되는 바와 같이, 이동 통신 단말기(예컨대 휴대폰, 셀룰러폰, 태블릿) 또는 멀티미디어 기기일 수 있다.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가 이동단말기로 구현되는 실시 예는 도 8을 참조하여 후술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무선 전력 전송장치는 무선 충전기와 같이 전력 충전을 주로 수행하는 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무선 전력 수신 기능을 구비한 무선 전력 수신 장치의 경우 위와 같은 이동 통신 단말기 또는 멀티미디어 기기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는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로 상호간 접촉이 없이 무선으로 전력을 전달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무선 전력 전달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즉,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는 상기 무선 전력 신호에 의하여 발생하는 전자기 유도 현상에 기초한 유도 결합(Inductive Coupling) 방식과 특정 주파수의 무선 전력 신호에 의하여 발생하는 전자기적 공진 현상에 기초한 공진 결합(Electromagnetic Resonance Coupling) 방식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유도 결합 방식에 의한 무선 전력 송신은, 1차 코일 및 2차 코일을 이용하여 전력을 무선으로 전송하는 기술로, 하나의 코일에서 전자기 유도 현상에 의하여 생성되는 변화하는 자기장에 의하여 다른 코일 쪽에 전류가 유도됨으로써 전력이 전달되는 것을 말한다.
상기 공진 결합 방식에 의한 무선 전력 송신은,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에서 전송한 무선 전력 신호에 의하여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에서 전자기적 공진이 발생하고, 상기 공진 현상에 의하여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로부터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로 전력이 전달되는 것을 말한다.
이하에서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 및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에 관한 실시 예들이 구체적으로 설명된다. 하기의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부가된 참조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가 사용된다.
도 2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에서 채용 가능한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 및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의 구성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무선 전력 전송장치
도 2의 (a)를 참조하면,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는 전력 전달부(Power Transmission Unit)(110)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전력 전달부(110)는 전력 변환부(Power Conversion Unit)(111) 및 전력 송신 제어부(Power Transmission Control Unit)(11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력 변환부(111)는 송신측 전원 공급부(190)로부터 공급된 전력을 무선 전력 신호(wireless power signal)로 변환하여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로 전달한다. 상기 전력 변환부(111)에 의하여 전달되는 무선 전력 신호는 진동(oscillation)하는 특성을 가진 자기장(magnetic field) 또는 전자기장(electro-magnetic field)의 형태로 형성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전력 변환부(111)는 상기 무선 전력 신호가 발생하는 코일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력 변환부(111)는 각 전력 전달 방식에 따라 다른 형태의 무선 전력 신호를 형성하기 위한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들에서는, 상기 전력 변환부(111)는 유도 결합 방식에 따라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의 2차 코일에 전류를 유도시키기 위하여 변화하는 자기장을 형성시키는 1차 코일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어떤 실시 예들에서는, 상기 전력 변환부(111)는 공진 결합 방식에 따라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에 공진 현상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특정 공진 주파수를 가진 자기장을 형성시키는 코일(또는 안테나)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어떤 실시 예들에서는, 상기 전력 변환부(111)는 전술된 유도 결합 방식과 공진 결합 방식 중 하나 이상의 방법을 이용하여 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전력 변환부(111)에 포함되는 구성 요소들 중 유도 결합 방식을 따르는 것들에 대하여는 도 4를 참조하여, 공진 결합 방식을 따르는 것들에 대하여는 도 6을 참조하여 후술된다.
한편, 상기 전력 변환부(111)는 상기 무선 전력 신호를 형성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주파수, 인가되는 전압, 전류 등의 특성을 조절할 수 있는 회로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력 송신 제어부(112)는 상기 전력 전달부(110)에 포함되는 각 구성요소를 제어한다. 어떤 실시 예들에서는, 상기 전력 송신 제어부(112)가 상기 무선 전력 공급 장치(100)를 제어하는 다른 제어부(미도시)와 통합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무선 전력 신호가 도달할 수 있는 영역은 두 가지로 구분될 수 있다. 먼저, 활동 영역(active area)은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로 전력을 전달하는 무선 전력 신호가 통과하는 영역을 말한다. 다음으로, 감지 영역(semi-active area)은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가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의 존재를 감지할 수 있는 관심 영역을 말한다. 여기서, 상기 전력 송신 제어부(112)는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가 상기 활동 영역 또는 감지 영역에 배치(placement)되거나 제거(removal)되었는지 여부에 대하여 감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력 송신 제어부(112)는 상기 전력 변환부(111)에서 형성되는 무선 전력 신호를 이용하거나, 별도로 구비된 센서에 의하여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가 상기 활동 영역 또는 감지 영역에 배치되었는지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전력 송신 제어부(112)는 상기 감지 영역에 존재하는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로 인하여 상기 무선 전력 신호가 영향을 받아, 상기 전력 변환부(111)의 상기 무선 전력 신호를 형성하기 위한 전력의 특성이 변화하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함으로써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의 존재를 검출할 수 있다. 다만, 상기 활동 영역 및 감지 영역은 유도 결합 방식 및 공진 결합 방식 등의 무선 전력 전달방식에 따라 다를 수 있다.
상기 전력 송신 제어부(112)는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의 존재를 검출한 결과에 따라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를 식별하는 과정을 수행하거나, 무선 전력 전송을 시작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력 송신 제어부(112)는 상기 무선 전력 신호를 형성하기 위한 상기 전력 변환부(111)의 주파수, 전압, 전류 중 하나 이상의 특성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특성의 결정은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 측의 조건에 의하여 또는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 측의 조건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어떤 실시 예들에서, 상기 전력 송신 제어부(112)는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의 장치 식별 정보를 기초로 상기 특성을 결정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들에서, 상기 전력 송신 제어부(112)는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의 요구 전력 정보 또는 그 요구 전력에 대한 프로파일 정보를 기초로 상기 특성을 결정할 수 있다.상기 전력 송신 제어부(112)는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로부터 전력 제어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전력 송신 제어부(112)는 상기 수신된 전력 제어 메시지를 기초로 상기 전력 변환부(111)의 주파수, 전압, 전류 중 하나 이상의 특성을 결정할 수 있으며, 그 밖에 상기 전력 제어 메시지를 기초로 다른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력 송신 제어부(112)는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의 정류된 전력량 정보, 충전 상태 정보 및 식별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전력 제어 메시지에 따라 상기 무선 전력 신호를 형성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주파수, 전류, 전압 중 하나 이상의 특성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력 제어 메시지를 이용하는 그 밖의 다른 제어 동작으로서,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는 무선 전력 전달과 관련된 일반적인 제어 동작을 상기 전력 제어 메시지를 기초로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는 상기 전력 제어 메시지를 통하여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와 관련된 청각적 또는 시각적으로 출력할 정보를 수신하거나, 기기간의 인증 등에 필요한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어떤 실시 예들에서는, 상기 전력 송신 제어부(112)는 이와 같은 상기 전력 제어 메시지를 상기 무선 전력 신호를 통하여 수신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들에서는, 상기 전력 송신 제어부(112)는 사용자 데이터를 수신하는 방법을 통하여 상기 전력 제어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전력 제어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하여,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는 상기 전력 변환부(111)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변복조부(Power Communications Modulation/Demodulation Unit)(113)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변복조부(113)는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에 의하여 변조된 무선 전력 신호를 복조하여 상기 전력 제어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그 밖에, 상기 전력 송신 제어부(112)는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에 포함되어 있는 통신 수단(미도시)에 의하여 전력 제어 메시지가 포함되어 있는 사용자 데이터를 수신함으로써 전력 제어 메시지를 획득할 수도 있다.
무선 전력 수신장치
도 2의 (b)를 참조하면,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는(200)는 전원 공급부(290)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전원 공급부(290)는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의 작동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한다. 상기 전원 공급부(290)는 전력 수신부(291) 및 전력 수신 제어부(29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력 수신부(291)는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로부터 무선으로 전달되는 전력을 수신한다.
상기 전력 수신부(291)는 무선 전력 전달 방식에 따라 상기 무선 전력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필요한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력 수신부(291)는 하나 이상의 무선 전력 전달 방식에 따라 전력을 수신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전력 수신부(291)는 각 방식에 따라 필요한 서로 구성 요소들을 함께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상기 전력 수신부(291)는 진동하는 특성을 가진 자기장 또는 전자기장의 형태로 전달되는 무선 전력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코일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어떤 실시 예들에서는, 상기 전력 수신부(291)가 유도 결합 방식에 따른 구성 요소로서 변화되는 자기장에 의하여 전류가 유도되는 2차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어떤 실시 예들에서는, 상기 전력 수신부(291)가 공진 결합 방식에 따른 구성 요소로서 특정 공진 주파수를 가진 자기장에 의하여 공진 현상이 발생되는 코일 및 공진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어떤 실시 예들에서는 상기 전력 수신부(291)가 하나 이상의 무선 전력 전달 방식에 따라 전력을 수신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상기 전력 수신부(291)는 하나의 코일을 이용하여 수신하도록 구현되거나, 또는 각 전력 전달 방식에 따라 다르게 형성된 코일을 이용하여 수신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전력 수신부(291)에 포함되는 구성 요소들 중 유도 결합 방식을 따르는 실시 예들에 대하여는 도 4를 참조하여, 공진 결합 방식을 따르는 실시 예들에 대하여는 도 6을 참조하여 후술된다.
한편, 상기 전력 수신부(291)는 상기 무선 전력 신호를 직류로 변환하기 위한 정류 회로(rectifier) 및 평활 회로(regulato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력 수신부(291)는 수신된 전력 신호에 의하여 과전압 또는 과전류가 발생하지 않도록 방지하는 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력 수신 제어부(292)는 상기 전원 공급부(290)에 포함되는 각 구성요소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력 수신 제어부(292)는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로 전력 제어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전력 제어 메시지는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에게 무선 전력 신호의 전달을 개시하거나 종료하도록 지시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력 제어 메시지는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에게 상기 무선 전력 신호의 특성을 조절하도록 지시하는 것일 수 있다.
어떤 실시 예들에서는, 상기 전력 수신 제어부(292)가 상기 전력 제어 메시지를 상기 무선 전력 신호를 통하여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어떤 실시 예들에서는, 상기 전력 수신 제어부(292)가 사용자 데이터를 통하여 전송하는 방법을 통하여 상기 전력 제어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전력 제어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하여,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는 상기 전력 수신부(291)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변복조부(Power Communications Modulation/Demodulation Unit)(293)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변복조부(293)는, 전술된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상기 무선 전력 신호를 통하여 상기 전력 제어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변복조부(293)는 상기 무선 전력 송신장치(100)의 전력 변환부(111)를 흐르는 전류 및/또는 전압을 조절하는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 측과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 측의 각각의 변복조부(113 및 293)가 무선 전력 신호를 통한 전력 제어 메시지의 송수신을 위하여 사용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다.
상기 전력 변환부(111)에 의하여 형성된 무선 전력 신호는 상기 전력 수신부(291)에 의하여 수신된다. 이때, 상기 전력 수신 제어부(292)는 상기 무선 전력 신호를 변조(modulation)하도록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 측의 변복조부(293)를 제어한다. 예컨대, 상기 전력 수신 제어부(292)는 상기 전력 수신부(291)과 연결된 변복조부(293)의 리액턴스(reactance)를 변경시킴으로써 상기 무선 전력 신호로부터 수신하는 전력량이 그에 따라 변하도록 변조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무선 전력 신호로부터 수신되는 전력량의 변경은 상기 무선 전력 신호를 형성시키는 상기 전력 변환부(111)의 전류 및/또는 전압의 변경을 가져온다. 이 때,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 측의 변복조부(113)는 상기 전력 변환부(111)의 전류 및/또는 전압의 변경을 감지하여 복조(demodulation) 과정을 수행한다.
즉, 상기 전력 수신 제어부(292)는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전력 제어 메시지를 포함하는 패킷(packet)을 생성하여 상기 패킷이 포함되도록 상기 무선 전력 신호를 변조하고, 상기 전력 송신 제어부(112)는 상기 변복조부(113)의 복조 과정 수행 결과를 기초로 상기 패킷을 디코드함으로써, 상기 패킷에 포함되어 있는 상기 전력 제어 메시지를 획득할 수 있다.
그 밖에, 어떤 실시 예들에서, 상기 전력 수신 제어부(292)는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에 포함되어 있는 통신 수단(미도시)에 의하여 전력 제어 메시지가 포함되어 있는 사용자 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전력 제어 메시지를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그 밖에, 상기 전원 공급부(290)는 충전부(298) 및 배터리(299)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원 공급부(290)로부터 동작을 위한 전원을 공급받는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는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로부터 전달된 전력에 의하여 동작하거나, 또는 상기 전달된 전력을 이용하여 상기 배터리(299)를 충전한 후 상기 배터리(299)에 충전된 전력에 의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력 수신 제어부(292)는 상기 전달된 전력을 이용하여 충전을 수행하도록 상기 충전부(298)를 제어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에 적용 가능한 무선 전력 전송장치 및 무선 전력 수신장치에 대하여 설명된다.
먼저,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유도 결합 방식을 지원하는 실시 예들에 따라,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가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로 전력을 전달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유도 결합 방식
도 3은 유도 결합 방식을 지원하는 실시 예들에 따라 무선 전력 전송장치로부터 무선 전력 수신장치에 무선으로 전력이 전달되는 개념을 도시한다.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의 전력 전달이 유도 결합 방식을 따르는 경우, 상기 전력 전달부(110) 내의 1차 코일(primary coil)에 흐르는 전류의 세기가 변화되면, 그 전류에 의해 1차 코일을 통과하는 자기장이 변화한다. 이와 같이 변화된 자기장은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 내의 2차 코일(secondary coil) 측에 유도 기전력을 발생시킨다.
이 방식에 따르면,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의 상기 전력 변환부(111)는 자기 유도에서의 1차 코일로 동작하는 전송 코일(Tx coil)(1111a)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의 상기 전력 수신부(291)는 자기 유도에서의 2차 코일로 동작하는 수신 코일(Rx coil)(2911a)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먼저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 측의 상기 전송 코일(1111a)과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 측의 수신 코일이 근접하도록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 및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를 배치한다. 그 후 상기 전력 송신 제어부(112)가 상기 전송 코일(1111a)의 전류가 변화되도록 제어하면, 상기 전력 수신부(291)는 상기 수신 코일(2911a)에 유도된 기전력을 이용하여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유도 결합 방식에 의한 무선 전력 전달의 효율은, 주파수 특성에 따른 영향은 적으나, 각 코일을 포함하는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 및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 사이의 배열(alignment) 및 거리(distance)의 영향을 받게 된다.
한편, 유도 결합 방식에 의한 무선 전력 전달을 위하여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는 평평한 표면(flat surface) 형태의 인터페이스 표면(interface surface)(미도시)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 표면의 상부에는 하나 이상의 무선 전력 수신장치가 놓일 수 있으며, 상기 인터페이스 표면의 하부에는 상기 전송 코일(1111a)가 장착될 수 있다. 그 경우, 상기 인터페이스 표면의 하부에는 장착된 상기 전송 코일(1111a)과 상기 인터페이스 표면의 상부에 위치한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의 수신 코일(2911a) 사이의 수직 공간(vertical spacing)이 작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코일들 간의 거리는 유도 결합 방식에 의한 무선 전력 전달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충분히 작게 된다.
또한, 상기 인터페이스 표면의 상부에는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가 놓일 위치를 지시하는 배열 지시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열 지시부는 상기 인터페이스 표면의 하부에 장착된 전송 코일(1111a)과 상기 수신 코일(2911a) 사이의 배열이 적합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의 위치를 지시한다. 어떤 실시 예들에서, 상기 배열 지시부는 단순한 표시(marks)일 수 있다. 어떤 실시 예들에서는, 상기 배열 지시부가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의 위치를 가이드하는 돌출 구조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어떤 실시 예들에서는, 상기 배열 지시부가 상기 인터페이스 표면의 하부에 장착되는 자석과 같은 자성체의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 내부에 장착된 다른 극의 자성체와의 상호간 인력에 의하여 상기 코일들이 적합한 배열을 이루도록 가이드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는 하나 이상의 전송 코일을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는 상기 하나 이상의 전송 코일 중에서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의 수신 코일(2911a)과 적합하게 배열된 일부의 코일을 선택적으로 이용하여 전력 전송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에 적용 가능한 유도 결합 방식의 무선 전력 전송장치 및 무선 전력 수신장치의 구성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된다.
유도 결합 방식의 무선 전력 전송장치 및 무선 전력 수신장치
도 4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에서 채용 가능한 전자기 유도 방식의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 및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의 구성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의 (a)를 참조하여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에 포함된 상기 전력 전달부(110)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고, 도 4의 (b)를 참조하여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에 포함된 상기 전원 공급부(290)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의 (a)를 참조하면,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의 상기 전력 변환부(111)는 전송 코일(Tx coil)(1111a) 및 인버터(1112)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송 코일(1111a)는, 전술된 바와 같이, 전류의 변화에 따라 무선 전력 신호에 해당하는 자기장을 형성한다. 어떤 실시 예들에서, 상기 전송 코일(1111a)은 평판 나선형태(Planar Spiral type)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어떤 실시 예들에서는 상기 전송 코일(1111a)이 원통형 솔레노이드 형태(Cylindrical Solenoid type)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인버터(1112)는 상기 전원 공급부(190)로부터 얻은 직류 입력(DC input)을 교류 파형(AC waveform)으로 변형시킨다. 상기 인버터(1112)에 의해 변형된 교류 전류는 상기 전송 코일(1111a) 및 커패시터(capacitor)(미도시)를 포함하는 진동 회로(resonant circuit)를 구동시킴으로써 자기장이 상기 전송 코일(1111a)에서 형성된다.
그 밖에, 상기 전력 변환부(111)는 위치 결정부(Positioning Unit)(1114)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위치 결정부(1114)는 상기 유도 결합 방식에 의한 무선 전력 전달의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상기 전송 코일(1111a)을 이동 또는 회전시킬 수 있다. 이는, 전술된 바와 같이, 유도 결합 방식에 의한 전력 전달은 1차 및 2차 코일을 포함하는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 및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 사이의 배열(alignment) 및 거리(distance)의 영향을 받기 때문이다. 특히, 상기 위치 결정부(1114)는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가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의 활동 영역 내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위치 결정부(1114)는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의 상기 전송 코일(1111a)과 및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의 상기 수신 코일(2911a)의 중심간 거리(distance)가 일정 범위 이내가 되도록 상기 전송 코일(1111a)을 이동시키거나, 상기 전송 코일(1111a)과 상기 수신 코일(2911a)의 중심이 중첩되도록 상기 전송 코일(1111a)를 회전시키는 구동부(미도시)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는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의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로 이루어진 위치 감지부(detection unit)(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 있고, 상기 전력 송신 제어부(112)는 상기 위치 감지 센서로부터 수신한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의 위치 정보를 기초로 상기 위치 결정부(1114)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이를 위하여 상기 전력 송신 제어부(112)는 상기 변복조부(113)를 통하여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와의 배열 또는 거리에 대한 제어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배열 또는 거리에 대한 제어 정보를 기초로 상기 위치 결정부(1114)를 제어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전력 변환부(111)가 복수의 전송 코일을 포함하도록 구성되었다면, 상기 위치 결정부(1114)는 상기 복수의 전송 코일 중에서 어느 것이 전력 전달을 위하여 사용될 것인지 결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력 변환부(111)는 전력 센싱부(1115)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 측의 전력 센싱부(1115)는 상기 전송 코일(1111a)에 흐르는 전류 또는 전압을 모니터링한다. 상기 전력 센싱부(1115)는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의 정상동작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의 전압 또는 전류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전압 또는 전류가 임계값을 초과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전력 센싱부(1115)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의 전압 또는 전류를 검출하기 위한 저항과 상기 검출된 전원의 전압값 또는 전류값과 임계값을 비교하여 그 비교 결과를 출력하는 비교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력 센싱부(1115)의 상기 확인 결과를 기초로, 상기 전력 송신 제어부(112)는 스위칭부(미도시)를 제어하여 상기 전송 코일(1111a)로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할 수 있다.
도 4의 (b)를 참조하면,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의 상기 전원 공급부(290)는 수신 코일(Rx 코일)(2911a) 및 정류 회로(2913)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송 코일(1111a)로부터 형성된 자기장에 변화에 의하여 상기 수신 코일(2911a)에서 전류가 유도된다. 상기 수신 코일(2911a)의 구현 형태는, 상기 전송 코일(1111a)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실시 예들에 따라, 평판 나선 형태 또는 원통형 솔레노이드 형태일 수 있다.
또한, 무선 전력의 수신 효율을 높이거나 공진 감지(resonant detection)를 위해 직/병렬 커패시터들(series and parallel capacitors)이 상기 수신 코일(2911a)과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수신 코일(2911a)은 단일 코일 또는 복수의 코일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정류 회로(2913)는 교류를 직류로 변환시키기 위하여 전류에 대하여 전파 정류(full-wave rectification)를 수행한다. 상기 정류 회로(2913)는, 예컨대, 4개의 다이오드로 이루어진 브릿지(full bridge) 정류 회로, 또는 능동 소자(active components)를 이용한 회로로 구현될 수 있다.
그 밖에, 상기 정류 회로(2913)는 정류된 전류를 보다 평탄하고 안정적인 직류로 만들어 주는 평활 회로(regulato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류 회로(2913)의 출력 전원은 상기 전원 공급부(290)의 각 구성 요소들에게 공급된다. 또한, 상기 정류 회로(2913)은 출력되는 직류 전원을 상기 전원 공급부(290)의 각 구성 요소(예컨대, 충전부(298)와 같은 회로)에 필요한 전원에 맞추기 위하여 적정한 전압으로 변환하는 직류-직류 변환기(DC-DC converte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변복조부(293)는 상기 전력 수신부(291)과 연결되고, 직류 전류에 대해서는 저항(resistance)이 변하는 저항성 소자로 구성될 수 있고, 교류 전류에 대해서는 리액턴스(reactance)가 변하는 용량성 소자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력 수신 제어부(292)는 상기 변복조부(293)의 저항 또는 리액턴스를 변경시킴으로써 상기 전력 수신부(291)에 수신되는 무선 전력 신호를 변조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원 공급부(290)는 전력 센싱부(2914)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 측의 전력 센싱부(2914)는 상기 정류 회로(2913)에 의하여 정류된 전원의 전압 및/또는 전류를 모니터링하고, 상기 모니터링 결과 상기 정류된 전원의 전압 및/또는 전류가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전력 수신 제어부(292)는 적절한 전력을 전달하도록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에게 전력 제어 메시지를 송신한다.
이하에서,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공진 결합 방식을 지원하는 실시 예들에 따라 무선 전력 전송장치가 전력을 전달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공진 결합 방식
도 5는 공진 결합 방식을 지원하는 실시 예들에 따라 무선 전력 전송장치로부터 무선 전력 수신장치에 무선으로 전력이 전달되는 개념을 도시한다.
먼저, 공진(resonance)(또는 공명)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공진(resonance)이란, 진동계가 그 고유 진동수와 같은 진동수를 가진 외력을 주기적으로 받아 진폭이 뚜렷하게 증가하는 현상을 말한다. 공진은 역학적 진동 및 전기적 진동 등 모든 진동에서 일어나는 현상이다. 일반적으로 외부에서 진동계에 진동시킬 수 있는 힘을 가했을 때 그 진동계의 고유 진동수와 외부에서 가해주는 힘의 진동수가 같으면 그 진동은 심해지고 진폭도 커진다.
같은 원리로, 일정 거리 내에서 떨어져 있는 복수의 진동체들이 서로 동일한 주파수로 진동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진동체들은 상호 공진하며, 이 경우 상기 복수의 진동체들 간에는 저항이 감소하게 된다. 전기 회로에서는 인덕터와 커패시터를 사용하여 공진 회로를 만들 수 있다.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의 전력 전달이 공진 결합 방식을 따르는 경우, 상기 전력 전달부(110)에서 교류 전원에 의하여 특정한 진동 주파수를 가진 자기장이 형성된다. 상기 형성된 자기장에 의하여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에서 공진 현상이 일어나는 경우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 내에서는 상기 공진 현상에 의하여 전력이 발생된다.
공진 주파수는, 예를 들어, 다음 수학식 1과 같은 수식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다.
Figure 112011049876370-pat00001
여기서, 공진 주파수(f)는 회로 내의 인덕턴스(L) 및 커패시턴스(C)에 의하여 결정된다. 코일을 사용하여 자기장을 형성하는 회로에 있어서 상기 인덕턴스는 상기 코일의 회전 수 등에 의하여 결정되고, 상기 커패시턴스는 상기 코일 사이의 간격, 면적 등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다. 상기 공진 주파수를 결정하기 위하여 상기 코일 외에 용량성 공진 회로가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공진 결합 방식에 따라 무선으로 전력이 전송되는 실시 예들의 경우,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의 상기 전력 변환부(111)는 자기장이 형성되는 전송 코일(Tx coil)(1111b) 및 상기 전송 코일(1111b)와 연결되고 특정한 진동 주파수를 결정하기 위한 공진 회로(1116)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공진 회로(1116)는 용량성 회로(capacitors)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전송 코일(1111b)의 인덕턴스 및 상기 공진 회로(1116)의 커패시턴스를 기초로 상기 특정한 진동 주파수가 결정된다.
상기 공진 회로(1116)의 회로 소자의 구성은 상기 전력 변환부(111)가 자기장을 형성할 수 있도록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도 5와 같이 상기 전송 코일(1111b)과 병렬로 연결되는 형태로 제한되지 아니한다.
또한,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의 상기 전력 수신부(291)는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에서 형성된 자기장에 의하여 공진 현상이 일어날 수 있도록 구성된 공진 회로(2912) 및 수신 코일(Rx coil)(2911b)을 포함한다. 즉, 상기 공진 회로(2912)는 역시 용량성 회로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공진 회로(2912)는 상기 수신 코일(2911b)의 인덕턴스와 상기 공진 회로(2912)의 커패시턴스를 기초로 결정되는 공진 주파수가 상기 형성된 자기장의 공진 주파수와 동일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공진 회로(2912)의 회로 소자의 구성은 상기 전력 수신부(291)가 상기 자기장에 의하여 공진이 일어날 수 있도록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도 5와 같이 상기 수신 코일(2911b)과 직렬로 연결되는 형태로 제한되지 아니한다.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에서의 상기 특정한 진동 주파수는 LTx, CTx를 가지고 상기 수학식 1을 이용하여 획득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의 LRX 및 CRX를 상기 수학식 1에 대입한 결과가 상기 특정한 진동 주파수와 동일한 경우에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에서는 공진이 일어난다.
공진 결합에 의한 무선 전력 전송 방식을 지원하는 실시 예들에 따르면,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 및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가 각각 동일 주파수로 공진하는 경우 전자파가 근거리 전자장을 통해 전달되게 되므로, 주파수가 다르면 상기 기기간 에너지 전달이 없게 된다.
따라서, 상기 공진 결합 방식에 의한 무선 전력 전달의 효율은, 주파수 특성에 따른 영향이 큰 반면, 각 코일을 포함하는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 및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 사이의 배열 및 거리에 따른 영향은 유도 결합 방식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다.
이하에서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에 적용 가능한 공진 결합 방식의 무선 전력 전송장치 및 무선 전력 수신장치의 구성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된다.
공진 결합 방식의 무선 전력 전송장치
도 6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에서 채용 가능한 공진 방식의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 및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의 구성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6의 (a)를 참조하여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에 포함된 상기 전력 전달부(110)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된다.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의 상기 전력 변환부(111)는 전송 코일(Tx coil)(1111b), 인버터(1112) 및 공진 회로(1116)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인버터(1112)는 상기 전송 코일(1111b) 및 상기 공진 회로(1116)와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송 코일(1111b)은 유도 결합 방식에 따라 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전송 코일(1111a)과 별도로 장착될 수 있으나, 하나의 단일 코일을 이용하여 유도 결합 방식 및 공진 결합 방식으로 전력을 전달할 수도 있다.
상기 전송 코일(1111b)은, 전술된 바와 같이, 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자기장을 형성한다. 상기 전송 코일(1111b) 및 상기 공진 회로(1116)는 교류 전원이 인가되면 진동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 때 상기 전송 코일(1111b)의 인덕턴스 및 상기 공진 회로(1116)의 커패시턴스를 기초로 진동 주파수가 결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인버터(1112)는 상기 전원 공급부(190)로부터 얻은 직류 입력을 교류 파형으로 변형시키고, 상기 변형된 교류 전류가 상기 전송 코일(1111b) 및 상기 공진 회로(1116)에 인가된다.
그 밖에, 상기 전력 변환부(111)는 상기 전력 변환부(111)의 공진 주파수 값을 변경시키기 위한 주파수 조절부(1117)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력 변환부(111)의 공진 주파수는 수학식 1에 의하여 상기 전력 변환부(111)를 구성하는 회로내의 인덕턴스 및 커패시턴스를 기초로 결정되므로, 상기 전력 송신 제어부(112)는 상기 인덕턴스 및/또는 커패시턴스가 변경되도록 상기 주파수 조절부(1117)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전력 변환부(111)의 공진 주파수를 결정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들에서, 상기 주파수 조절부(1117)는 상기 공진 회로(1116)에 포함된 커패시터 간의 거리를 조절하여 커패시턴스를 변경시킬 수 있는 모터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어떤 실시 예들에서는, 상기 주파수 조절부(1117)가 상기 전송 코일(1111b)의 회전 수(number of turns) 또는 직경을 조절하여 인덕턴스를 변경시킬 수 있는 모터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어떤 실시 예들에서는, 상기 주파수 조절부(1117)가 상기 커패시턴스 및/또는 인덕턴스를 결정하는 능동 소자들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력 변환부(111)는 전력 센싱부(1115)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력 센싱부(1115)의 동작에 대해서는 전술된 바와 동일하다.
도 6의 (b)를 참조하여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에 포함된 상기 전원 공급부(290)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된다. 상기 전원 공급부(290)는, 전술된 바와 같이, 상기 수신 코일(Rx coil)(2911b) 및 공진 회로(2912)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 외에도, 상기 전원 공급부(290)의 전력 수신부(291)는 공진 현상에 의하여 생성된 교류 전류를 직류로 변환시키는 정류 회로(2913)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정류 회로(2913)는 전술된 바와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력 수신부(291)는 정류된 전원의 전압 및/또는 전류를 모니터링하는 전력 센싱부(2914)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력 센싱부(2914)는 전술된 바와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른 상호간 무선 충전기능을 구비한 전자 기기
한편, 이하에서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을 따라 동작하도록 장치 상호간 무선 충전기능을 구비한 전자 기기의 형태로 구현된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의 예가 설명된다.
도 7은 도 2의 (a)에 도시된 구성 외에 추가적인 구성을 더 포함하는 무선 전력 전송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7을 참조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는 전술된 상기 유도 결합 방식 및 공진 결합 방식 중 하나 이상을 지원하는 전력 전달부(110) 및 전원 공급부(190)외에, 센서부(120), 통신부(130), 출력부(140), 메모리(15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를 본체 내에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전력 변환부(110), 상기 센서부(120), 상기 통신부(130), 상기 출력부(140), 상기 메모리(150) 및 상기 전원 공급부(190)를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180)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된 상기 전력 변환부(110) 내의 전력 송신 제어부(112)와 별도의 모듈로 구현되거나 단일 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센서부(120)는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의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센서부(120)가 감지한 위치 정보는 상기 전력 변환부(110)가 효율적으로 전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유도 결합 방식을 지원하는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전력 전달의 경우, 상기 센서부(120)는 위치 감지부(detection unit)로 동작할 수 있으며, 상기 센서부(120)가 감지한 위치 정보는 상기 전력 변환부(110) 내의 상기 전송 코일(1111a)을 이동 또는 회전 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전술된 하나 이상의 전송 코일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실시 예들을 따르는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는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의 위치 정보를 기초로 상기 하나 이상의 전송 코일들 중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의 수신 코일과 유도 결합 관계 또는 공진 결합 관계에 놓일 수 있는 코일들을 결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센서부(120)는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가 충전이 가능한 영역으로 접근하는지 여부를 모니터링 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센서부(120)의 접근 여부 감지 기능은 상기 전력 전달부(110) 내의 전력 송신 제어부(112)가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의 접근 여부를 감지하는 기능과 별도로 또는 서로 결합되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통신부(130)는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와 유무선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상기 통신부(130)는 BluetoothTM, 지그비(Zigbee), UWB(Ultra Wide Band), Wireless USB,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reless LAN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위한 전자 부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출력부(140)는 디스플레이부(141) 및 음향 출력부(14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4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41)는 상기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충전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15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15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150)에는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의 전술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또는 명령들이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무선으로 전력을 전송하기 위하여 상기 메모리(150)에 저장된 프로그램 또는 명령들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에 포함된 다른 구성 요소들(예컨대, 제어부(180))이 상기 메모리(150)를 액세스하기 위해서 메모리 컨트롤러(미도시)를 이용할 수 있다.
이상 개시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장치의 구성은 무선 충전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도킹 스테이션(docking station), 단말기 크래들 장치(cradle device), 기타 전자 장치 등과 같은 장치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전원 공급부(190)는 상기 전력 변환부(111)가 무선 전력 신호를 형성하기 위한 전원을 공급한다. 상기 전원 공급부(190)는 배터리(199)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다른 무선 전력 전송장치로부터 전송되는 무선 전력을 수신하기 위한 모듈들(예를 들어, 전력 수신부(191), 전력 수신 제어부(192) 및 변복조부(193) 등)과 상기 배터리(199)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부(198)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 내의 전원 공급부(190)의 구성 중 이하 설명될 무선 전력 수신장치의 전원 공급부(290)의 구성과 동일한 명칭을 가진 것들에 대해서는 도 8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구성에 대한 설명을 준용한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상호간 무선 전력 전송을 위한 실시 예들을 따르는 무선 전력 전송 장치는 다른 무선 전력 전송장치(제 1 장치)로부터 무선 전력을 수신하고, 상기 제 1 장치로부터 수신된 무선 전력을 기초로 무선 전력 수신장치(제 2 장치)로 무선 전력을 전송하는 전자 기기(100)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전자 기기(100)는 제 1 장치가 형성한 제 1 무선 전력 신호를 수신하는 전력 수신부(191)와, 상기 제 1 무선 전력 신호를 기초로 획득한 전원을 이용하여 제 2 장치로 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제 2 무선 전력 신호를 형성하고, 상기 제 2 장치에 의하여 변조된 제 2 무선 전력 신호를 수신하는 전력 변환부(111)와 상기 제 2 장치와의 연결을 통해서 사용자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130)와, 상기 변조된 제 2 무선 전력 신호를 통해 접속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접속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 2 장치와의 상기 연결을 수립하는 제어부(112, 180, 192)를 포함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상호간 무선 전력 전송을 위한 실시 예들을 따르는 무선 전력 전송 장치는 다른 무선 전력 전송장치(제 1 장치)로부터 무선 전력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무선 전력 신호를 기초로 배터리를 충전하고, 무선 전력 수신장치(제 2 장치)로 무선 전력을 전송하는 전자 기기(100)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전자 기기(100)는 상기 배터리(199)를 구비하는 본체와, 제 1 장치가 형성한 제 1 무선 전력 신호를 수신하는 전력 수신부(191)와, 상기 수신된 제 1 무선 전력 신호를 기초로 상기 배터리(199)를 충전하는 충전부(198)와, 상기 배터리(199)의 전원을 이용하여 제 2 장치로 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제 2 무선 전력 신호를 형성하는 전력 변환부(111)와, 전력 수신 기능 또는 전력 송신 기능을 활성화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제어부(112, 180, 192)를 포함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12, 180, 192)는 상기 전력 수신 기능이 활성화 된 경우 상기 제 1 무선 전력 신호를 수신하도록 상기 전력 수신부(191)를 제어하고, 상기 전력 송신 기능이 활성화 된 경우 상기 제2 무선 전력 신호를 형성하도록 전력 변환부(111)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12, 180, 192)는 상기 송신 요청 메시지를 기초로 상기 전력 송신 기능을 활성화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력 제어 메시지는 상기 제 2 무선 전력 신호의 송신 요청 메시지일 수 있다.
이동 단말기로 구현된 무선 전력 수신장치
도 8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가 이동 단말기 형태로 구현된 경우의 구성을 나타낸다.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200)는 도 2, 도 4 또는 도 6에 도시된 전원 공급부(29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단말기(200)는 무선 통신부(210), A/V(Audio/Video) 입력부(220), 사용자 입력부(230), 센싱부(240), 출력부(250), 메모리(260), 인터페이스부(270), 제어부(2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단말기가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무선 통신부(210)는 단말기(2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단말기(200)와 단말기(2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 또는 단말기(200)와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210)는 방송 수신 모듈(211), 이동통신 모듈(212), 무선 인터넷 모듈(213), 근거리 통신 모듈(214) 및 위치정보 모듈(2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2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센터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및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센터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2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수신 모듈(211)은, 예를 들어,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송 수신 모듈(2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다른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방송 수신 모듈(2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2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2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2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단말기(2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2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무선의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한편, 유선의 근거리 통신으로는 USB(Universal Serial Bus), IEEE 1394, 썬더볼트(ThunderboltTM)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213) 또는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214)은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와 데이터 통신 연결을 수립할 수 있다.
상기 수립된 데이터 통신을 통해,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213) 또는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214)은 무선으로 전력을 전달하는 중에, 출력할 오디오 신호가 있는 경우, 상기 오디오 신호를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립된 데이터 통신을 통해,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213) 또는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214)은 디스플레이할 정보가 있는 경우, 상기 정보를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수립된 데이터 통신을 통해,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213) 또는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214)은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에 내장된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213) 또는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214)은 상기 이동 단말기(200)의 식별 정보(예컨대, 휴대폰인 경우 전화 번호, 또는 기기명)를 상기 수립된 데이터 통신을 통해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위치정보 모듈(215)은 단말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A/V(Audio/Video) 입력부(2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221)와 마이크(2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2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2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2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2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2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221)는 사용 환경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2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212)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2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2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센싱부(240)는 근접센서(241), 압력센서(242), 및 모션 센서(243)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근접센서(241)는 이동 단말기(200)로 접근하는 물체나, 이동 단말기(200)의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 등을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근접센서(241)는, 교류자계의 변화나 정자계의 변화를 이용하거나, 혹은 정전용량의 변화율 등을 이용하여 근접물체를 검출할 수 있다. 상기 근접센서(241)는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압력센서(242)는 이동 단말기(200)에 압력이 가해지는지 여부와, 그 압력의 크기 등을 검출할 수 있다. 상기 압력센서(242)는 사용환경에 따라 이동 단말기(200)에서 압력의 검출이 필요한 부위에 설치될 수 있다. 만일, 압력센서(242)가 디스플레이부(251)에 설치되는 경우, 상기 압력센서(242)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251)를 통한 터치 입력과, 터치 입력보다 더 큰 압력이 가해지는 압력터치 입력을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력센서(242)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압력터치 입력시 상기 디스플레이부(251)에 가해지는 압력의 크기도 알 수 있다.
상기 모션 센서(243)는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등을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200)의 위치나 움직임 등을 감지한다. 상기 모션 센서(243)에 사용될 수 있는 가속도 센서는 어느 한 방향의 가속도 변화에 대해서 이를 전기 신호로 바꾸어 주는 소자이다. 가속도 센서는 보통 2축이나 3축을 하나의 패키지에 실장하여 구성되며, 사용 환경에 따라서는 Z축 한 축만 필요한 경우도 있다. 따라서, 어떤 이유로 Z축 방향 대신 X축 또는 Y축 방향의 가속도 센서를 써야 할 경우에는 별도의 조각 기판을 사용하여 가속도 센서를 주 기판에 세워서 실장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자이로 센서는 회전 운동을 하는 이동 단말기(200)의 각속도를 측정하는 센서로서, 각 기준 방향에 대한 회전된 각도를 감지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자이로 센서는 3개 방향의 축을 기준으로 한 각각의 회전 각도, 즉 방위각(azimuth), 피치(pitch) 및 롤(roll)을 감지할 수 있다.
출력부(2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251), 음향 출력 모듈(252), 알람부(253), 및 햅틱 모듈(254)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51)는 단말기(2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단말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단말기(2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2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TOLED(Transparent OLED)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부(251)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단말기 바디의 디스플레이부(251)가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단말기 바디의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
단말기(2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251)이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2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251)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함)에, 디스플레이부(2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2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2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2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280)는 디스플레이부(2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상기 터치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단말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근접 센서(241)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근접 센서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 센서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다.
상기 근접 센서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상기 포인터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포인터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터치스크린(터치 센서)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칭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칭한다.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포인터로 근접 터치가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포인터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상기 근접센서는, 근접 터치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한다. 상기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정보는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252)은 호 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2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2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252)은 단말기(2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 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2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253)는 단말기(2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단말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253)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부(251)나 음성 출력 모듈(2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어서, 그들(251,252)은 알람부(253)의 일부로 분류될 수도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254)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254)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택 모듈(254)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254)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c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254)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254)은 단말기(2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메모리(260)는 제어부(2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 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26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들에서는, 메모리(260)에 운영 체제(Operating System)(미도시), 무선통신부(210) 기능을 수행하는 모듈, 사용자 입력부(230)와 함께 동작하는 모듈, A/V 입력부(220)와 함께 동작하는 모듈, 출력부(250)와 함께 동작하는 모듈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들이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운영 체제(예를 들어, LINUX, UNIX, OS X, WINDOWS, Chrome, Symbian, iOS, Android, VxWorks 또는 기타 임베디드 운영체제)는 메모리 관리, 전력 관리 등과 같이 시스템 작업(tasks)들을 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들 및/또는 드라이버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260)는 무선 전력 전송 또는 무선 충전과 관련된 설정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설정 프로그램은 상기 제어부(280)에 의하여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260)는 어플리케이션 제공 서버(예: 앱스토어)로부터 다운로드한 무선 전력 전송(또는 무선 충전)과 관련된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무선 전력 전송 관련 어플리케이션은 무선 전력 전송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는 해당 프로그램을 통해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로부터 무선으로 전력을 수신하거나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와 데이터 통신을 위한 연결을 수립할 수 있다.
메모리(2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기(2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2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270)는 단말기(2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2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단말기(2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단말기(2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270)에 포함될 수 있다.
식별 모듈은 단말기(2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t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단말기(20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단말기(2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단말기(2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단말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단말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도 있다.
제어부(controller, 280)는 통상적으로 단말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2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2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281)은 제어부(2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2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된 상기 전원 공급부(290) 내의 전력 수신 제어부(292)와 별도의 모듈로 구현되거나 단일 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8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80)는 사용자 입력 또는 내부 입력에 따라 유선 충전 또는 무선 충전을 수행한다. 여기서, 내부 입력은 단말기 내부의 2차코일에서 생성되는 유도 전류가 감지되었음을 알리는 신호이다.
전술된 바와 같이, 상기 전원 공급부(290) 내의 전력 수신 제어부(292)는 상기 제어부(280)에 포함되어 구현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서 상기 전력 수신 제어부(292)에 의한 동작은 상기 제어부(280)가 수행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전원 공급부(290)는 제어부(2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및/또는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공급부(290)는 단말기(200)의 각 구성요소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299)를 구비하며, 상기 배터리(299)를 유선 또는 무선 충전하기 위한 충전부(298)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을 따르는 단말 장치(200)는 전력 전송 장치로부터 전력 전송을 위한 무선 전력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무선 전력 신호에 전력 제어 메시지가 포함되도록 변조하는 전력 수신부(291)와, 상기 전력 전송 장치와의 연결을 통해 사용자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210)와, 상기 무선 전력 신호를 송신할 것을 요청하는 전력 제어 메시지를 상기 전력 전송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연결을 수립하기 위한 접속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메시지를 상기 전력 전송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접속 정보를 기초로 상기 연결을 수립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화면 데이터 또는 이벤트 정보를 상기 전력 전송 장치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280, 292)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 장치(200)는 배터리(299)를 충전하는 충전부(298)를 더 포함하도록 구현되고, 상기 제어부(280, 292)는 상기 수신된 무선 전력 신호를 기초로 상기 배터리(299)를 충전하도록 상기 충전부(298)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는 무선으로 전력을 수신하는 장치로서 이동 단말을 예로서 개시하고 있으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다양한 실시 예들
도 9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을 따르는 전자 기기의 상호간 무선 전력 전송 및 통신 방법을 도시한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상호간 무선 전력 전송을 수행하는 전자 기기(100)는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에게 무선으로 전력을 전달하는 기능 및 다른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로부터 무선으로 전력을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상기 전자 기기(100)는 다른 무선 전력 전송장치(제 1 장치)(100')로부터 무선 전력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무선 전력 신호를 기초로 배터리를 충전하고, 무선 전력 수신장치(제 2 장치)(200)로 무선 전력을 전송하는 전자 기기(100)의 형태로 구현된 것이다.
이와 같은 전자 기기(100)는 전원 공급부(190)를 포함하도록 구성 될 수 있다. 상기 전원 공급부(190)는 상기 배터리(199)를 구비하는 본체와, 제 1 장치(100')가 형성한 제 1 무선 전력 신호를 수신하는 전력 수신부(191)와, 상기 수신된 제 1 무선 전력 신호를 기초로 상기 배터리(199)를 충전하는 충전부(198)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전자 기기(100)는 상기 제 2 무선 전력 신호를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배터리(199)의 전원을 이용할 수 있으나, 상기 제 1 무선 전력 신호를 통하여 수신되는 전원을 이용하는 것을 제외하지 아니한다.
이와 같이, 상호간 무선 전력 전송을 수행하기 위하여 상기 전자 기기(100)는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에게 무선으로 전력을 전달하는 기능 및 다른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로부터 무선으로 전력을 수신하는 기능을 공유된 코일 또는 안테나를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즉, 상기 전력 수신부(191) 및 상기 전력 변환부(111)는 무선 전력을 송신 및 수신하기 위한 코일 또는 안테나를 공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 기기(100)는 상기 배터리(199)의 전원을 이용하여 제 2 장치로 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제 2 무선 전력 신호를 형성하는 전력 변환부(111)와, 전력 수신 기능 또는 전력 송신 기능을 활성화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제어부(180)를 포함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무선 전력 전달부(110)내의 전력 송신 제어부(112) 또는 상기 전원 공급부(190) 내의 전력 수신 제어부(192)와 통합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도 9를 참조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전자 기기(100)는 상기 제 2 장치(200)와의 연결을 통해서 사용자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13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들에서는,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 2 장치(200)에 대한 상기 전력 송신 기능이 활성화 된 경우에 상기 연결을 통해 사용자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상기 통신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전자 기기(100)가 인터넷, 외부 네트워크, 또는 공용 네트워크에 직접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 할 수 없는 경우에 상기 제 2 장치(200)와 수립된 연결을 통하여 외부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전자 기기(100)는 외부와의 통신을 위한 상기 제 2 장치(200)의 통신 자원을 사용하되 그에 대한 보상으로 무선 전력을 제공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한편, 어떤 실시 예들에서는, 상기 전자 기기(100)는 무선 전력 송신 기능과 무선 전력 수신 기능을 각각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전력 수신 기능이 활성화 된 경우 상기 제 1 무선 전력 신호를 수신하도록 상기 전력 수신부(191)를 제어하고, 상기 전력 송신 기능이 활성화 된 경우 상기 제2 무선 전력 신호를 형성하도록 전력 변환부(111)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180)는 송신 요청 메시지를 기초로 상기 무선 전력 송신 기능을 활성화할 수 있다. 상기 송신 요청 메시지는 상기 제 2 장치(200)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 2 무선 전력 신호의 송신 요청 메시지일 수 있으며, 전력 제어 메시지의 형태로 상기 제 2 장치(200)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상기 전력 제어 메시지는 상기 제 2 장치(200)에 의하여 변조된 상기 제 2 무선 전력 신호를 통해 전달 되거나, 상기 통신부(130)에 의한 사용자 데이터를 통하여 전달 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전력 변환부(111)는 상기 제 2 장치(200)에 의하여 변조된 제 2 무선 전력 신호를 수신하되, 상기 전력 제어 메시지는 상기 변조된 제 2 무선 전력 신호를 통해 수신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전력 송신 요청 메시지에 의하여 상기 전력 송신 기능이 활성화 된 경우 상기 제2 무선 전력 신호를 형성하여 상기 제 2 장치(200)에게 무선 전력을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무선 전력 수신장치에 해당하는 상기 제 2 장치(200)는 자신의 전원상태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전원 상태를 기초로 상기 전력 송신 요청 메시지를 상기 전자 기기(100)로 송신 할 수 있다.
상기 전자 기기(100)는 상기 배터리(199)의 전원의 잔량을 고려하여 상기 송신 요청 메시지를 처리 할 수 있다. 즉, 상기 전자 기기(100)는 자신의 배터리(199) 잔량이 일정 정도 이하인 경우에는 무선 전력 전송 기능을 활성화하지 않고, 상기 송신 요청 메시지를 무시하거나 불가능함을 상기 제 2 장치(200)에게 통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 2 장치(200)로부터 수신한 접속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 2 장치(200)와 연결을 수립하도록 상기 통신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접속 정보는 상기 제 2 장치의 주소, 인증 정보, 장치의 식별 정보, 또는 중계 서비스를 위한 제어 정보일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접속 정보는 데이터 통신을 위한 인증(authentication) 또는 허가(authorization)를 위한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통신부(130)는 블루투스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접속 정보는 암호(password) 또는 주소(address)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블루투스 주소를 기초로 상기 제 2 장치(200)와 장치 페어링을 수행함으로써 데이터 통신을 위한 연결을 수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통신부(130)는 무선 랜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접속 정보는 상기 무선 랜 접속에 필요한 암호(password), 키(key) 또는 주소(address)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접속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 2 장치(200)와 인증을 수행함으로써 데이터 통신을 위한 연결을 수립할 수 있다.
상기 무선 랜 방식의 통신은 인프라스트럭쳐(infrastructure) 모드 또는 애드혹(ad-hoc) 모드로 동작이 가능하다. 따라서, 어떤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제 2 장치(200)는 외부 네트워크와 연결을 수행하는 AP(Access Point) 형태로 동작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전자 기기(100)는 상기 제 2 장치(200)로부터 무선 랜을 통한 네트워크 자원을 사용할 수 있고, 그에 대한 보상으로 무선 전력을 제공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서는, 위의 무선 랜의 경우와 유사하게 상기 전자 기기(100)는 테더링 방식으로 상기 통신부(130)를 통하여 상기 제 2 장치(200)와 데이터를 송수신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접속 정보는 테더링을 위한 제어 정보일 수 있다.
상기 접속 정보는 무선 전력 신호를 통하여 전달 될 수 있다. 즉, 상기 접속 정보는 상기 전력 변환부(111)에 의하여 수신된 상기 전력 제어 메시지에 포함되어 수신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자 기기(100)는 상기 제 1 장치(100')로부터 수신한 무선 전력을 상기 제 2 장치(200)로 중계하는 장치로 동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장치(100')가 지원하는 무선 전력 전달 방법(예를 들어, 자기 유도 결합 방식 또는 자기 공명 결합 방식)에 따라 제 1 무선 전력 신호를 기초로 전력을 전달하는 거리의 한계가 다르므로, 상기 전자 기기(100)는 양 기기(100', 200)를 위하여 무선 전력 신호를 중계하는 역할을 수 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전자 기기(100)는 무선 전력 전달 방식을 변경하여 중계할 수도 있다. 즉, 상기 전자 기기(100)는 상기 제 1 장치(100')로부터 상대적으로 근거리 무선 전력 전송이 가능한 자기 유도 방식으로 전달받아 상기 제 2 장치(200)로는 자기 공명 방식으로 상대적으로 원거리 무선 전력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자 기기(1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41)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통신부(130)에 의하여 수신된 상기 제 2 장치(200)의 상기 사용자 데이터를 상기 디스플레이부(141)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들에서는, 상기 사용자 데이터는 상기 제 2 장치(200)의 화면 데이터일 수 있다. 즉, 상기 제 2 장치(200)가 디스플레이부(251)를 가지도록 구현된 경우, 상기 제 2 장치(200)의 디스플레이부(251)에 표시될 화면에 대한 데이터가 상기 연결을 통해 상기 전자 기기(100)로 송신되고,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수신된 화면 데이터를 상기 디스플레이부(141)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 2 장치는 자신의 디스플레이부(251)의 화면이 사용자에게 보이지 않을 때,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251)이 바닥을 향하도록 상기 제 2 장치(200)가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 그 화면 데이터를 상기 전자 기기(100)의 디스플레이부(141)에 표시하도록 전송 할수 있다.
어떤 실시 예들에서는, 상기 사용자 데이터는 상기 제 2 장치(200)에서 발생한 이벤트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2 장치(200)가 이동 단말기인 경우 수신된 문자 등 데이터, 무선 전력 전송 상태 또는 충전 상태 등의 변경이 있는 경우 등의 이벤트 발생시 상기 발생된 이벤트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전자 기기(100)의 디스플레이부(141)에 표시하도록 전송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방법은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지금까지 설명한 방법들은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방법들은 상기 전자 기기(100)의 제어부(180) 또는 전력 송신 제어부(112)에 구현될 수도 있고, 또는 상기 방법들은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의 제어부(280) 또는 전력 수신 제어부(292)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 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으로 소프트웨어 코드가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코드는 상기 전자 기기(100)의 메모리(150)에 저장되고, 상기 제어부(180) 또는 상기 전력 송신 제어부(112)에 의해 실행될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의 메모리(260)에 저장되고, 상기 제어부(280) 또는 상기 전력 수신 제어부(292)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로 한정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 및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수정, 변경, 또는 개선될 수 있다.

Claims (14)

  1. 배터리;
    제 1 장치가 형성한 제 1 무선 전력 신호를 수신하는 전력 수신부;
    상기 수신된 제 1 무선 전력 신호를 기초로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충전부;
    제 2 장치의 위치를 감지하고 상기 제 2 장치가 충전 가능 영역에 접근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부;
    상기 배터리의 전원을 이용하여 제 2 장치로 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제 2 무선 전력 신호를 형성하고 상기 제 2 장치의 상기 감지된 위치에 기반하여 상기 제 2 장치로 상기 제2 무선 전력 신호를 전송하는 전력 변환부; 및
    전력 수신 기능 또는 전력 송신 기능을 활성화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력 수신 기능이 활성화 된 경우 상기 제 1 무선 전력 신호를 수신하도록 상기 전력 수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전력 송신 기능이 활성화 된 경우 상기 제2 무선 전력 신호를 형성하도록 상기 전력 변환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장치로부터 전력 제어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전력 제어 메시지에 기초하여 상기 전력 송신 기능을 활성화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전력 제어 메시지는 상기 제 2 무선 전력 신호의 송신 요청 메시지이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송신 요청 메시지를 기초로 상기 전력 송신 기능을 활성화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변환부는 유도 결합 및 전자기적 공진 결합 중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제2 무선 전력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변환부는,
    상기 전자기적 공진 결합에 따라 상기 제2 장치의 수신 코일에 공진 현상을 발생시키기 위해 특정 공진 주파수를 갖는 자기장을 형성시키는 전송 코일; 및
    상기 제 2 장치의 상기 감지된 위치에 기반하여, 상기 전송 코일과 상기 제 2 장치의 상기 수신 코일의 중심 간 거리가 일정 범위 이내가 되도록 상기 전송 코일을 이동시키거나, 상기 전송 코일과 상기 수신 코일의 중심이 중첩되도록 상기 전송 코일을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변환부는 상기 제 2 장치로부터의 상기 제 2 무선 전력 신호의 변조된 버전을 수신하되,
    상기 전력 제어 메시지는 상기 변조된 제 2 무선 전력 신호를 통해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장치와의 연결을 통해서 사용자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를 더 구비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장치에 대한 상기 전력 송신 기능이 활성화 된 경우에 상기 연결을 통해 사용자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접속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 2 장치와의 상기 연결을 수립하되,
    상기 접속 정보는 상기 전력 변환부에 의하여 수신된 상기 전력 제어 메시지에 포함되어 수신되고,
    상기 접속 정보는
    상기 제 2 장치의 주소, 인증 정보, 장치의 식별 정보, 중계 서비스를 위한 제어 정보 또는 테더링을 위한 제어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7. 삭제
  8. 제 5 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에 의하여 수신된 상기 제 2 장치의 상기 사용자 데이터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고,
    상기 사용자 데이터는 상기 제 2 장치의 화면 데이터 또는 상기 제 2 장치에서 발생한 이벤트 정보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9. 삭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무선 전력 신호를 기초로 전달되는 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제 2 무선 전력 신호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1. 삭제
  12. 제 1 장치가 형성한 제 1 무선 전력 신호를 수신하는 전력 수신부;
    제 2 장치의 위치를 감지하고 상기 제 2 장치가 충전 가능 영역에 접근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부;
    상기 제 1 무선 전력 신호를 기초로 획득한 전원을 이용하여 제 2 장치로 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제 2 무선 전력 신호를 형성하고, 상기 제 2 장치의 상기 감지된 위치에 기반하여 상기 제 2 장치로 상기 제2 무선 전력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제 2 장치로부터 상기 제 2 무선 전력 신호의 변조된 버전을 수신하는 전력 변환부;
    상기 제 2 장치와의 연결을 통해서 사용자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제 2 무선 전력 신호의 변조된 버전을 통해 접속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접속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 2 장치와의 상기 연결을 수립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장치로부터 전력 제어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전력 제어 메시지에 기초하여 전력 송신 기능을 활성화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전력 제어 메시지는 상기 제 2 무선 전력 신호의 송신 요청 메시지이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송신 요청 메시지를 기초로 상기 전력 송신 기능을 활성화포함하는 전자 장치.
  13. 제 2 장치의 위치를 감지하고 상기 제 2 장치가 충전 가능 영역에 접근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부;
    전력 전송 장치로부터 전력 전송을 위한 무선 전력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무선 전력 신호에 전력 제어 메시지가 포함되도록 변조하는 전력 수신부;
    상기 전력 전송 장치와의 연결을 통해 사용자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무선 전력 신호를 송신할 것을 요청하는 전력 제어 메시지를 상기 전력 전송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연결을 수립하기 위한 접속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메시지를 상기 전력 전송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접속 정보를 기초로 상기 연결을 수립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화면 데이터 또는 이벤트 정보를 상기 전력 전송 장치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장치로부터 전력 제어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전력 제어 메시지에 기초하여 전력 송신 기능을 활성화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전력 제어 메시지는 상기 무선 전력 신호의 송신 요청 메시지이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송신 요청 메시지를 기초로 상기 전력 송신 기능을 활성화하는 전자 장치.
  14. 삭제
KR1020110064029A 2011-06-29 2011-06-29 장치들 간의 무선 전력 전송 및 통신 KR1018323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4029A KR101832331B1 (ko) 2011-06-29 2011-06-29 장치들 간의 무선 전력 전송 및 통신
US13/538,622 US9166654B2 (en) 2011-06-29 2012-06-29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nd communication between devic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4029A KR101832331B1 (ko) 2011-06-29 2011-06-29 장치들 간의 무선 전력 전송 및 통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2833A KR20130002833A (ko) 2013-01-08
KR101832331B1 true KR101832331B1 (ko) 2018-02-26

Family

ID=473911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4029A KR101832331B1 (ko) 2011-06-29 2011-06-29 장치들 간의 무선 전력 전송 및 통신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166654B2 (ko)
KR (1) KR10183233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91934B1 (en) 2011-12-29 2013-03-05 Elwha Llc Customized hardware selection for a mobile phone
US9553959B2 (en) * 2011-12-29 2017-01-24 Elwha Llc Customized hardware selection for a mobile phone
US10965164B2 (en) * 2012-07-06 2021-03-30 Energous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of wirelessly delivering power to a receiver device
US11502551B2 (en) 2012-07-06 2022-11-15 Energous Corporation Wirelessly charging multiple wireless-power receivers using different subsets of an antenna array to focus energy at different locations
US10992185B2 (en) 2012-07-06 2021-04-27 Energous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of using electromagnetic waves to wirelessly deliver power to game controllers
KR101486485B1 (ko) * 2012-07-17 2015-01-26 주식회사 이랜텍 배터리부를 포함하는 공진방식 무선전력중계장치
US9632969B2 (en) * 2012-08-07 2017-04-25 Googl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a wireless connection between a computing device and a peripheral module
US9031502B2 (en) * 2012-11-16 2015-05-12 Broadcom Corporation Antenna solution for wireless power transfer—near field communication enabled communication device
KR101967340B1 (ko) * 2012-11-20 2019-08-13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전력 수신기
KR102007226B1 (ko) * 2013-01-08 2019-08-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CN103135440B (zh) * 2013-02-25 2015-04-22 无锡威峰科技有限公司 蓝牙智能手表
US9276639B2 (en) 2013-02-25 2016-03-01 Apple Inc. Wirelessly charged electronic device with shared inductor circuitry
US10038341B2 (en) * 2013-06-16 2018-07-31 Chris Beckman Techniques for optimizing wireless power transmission
WO2014147714A1 (ja) * 2013-03-18 2014-09-25 株式会社 東芝 電力中継台
US20150099462A1 (en) * 2013-10-03 2015-04-09 Blackberry Limited Nfc-capable holder for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KR20150048013A (ko) * 2013-10-25 2015-05-06 삼성전기주식회사 무선 전원 송수신 장치 및 이를 갖는 휴대 단말기
WO2015134387A1 (en) * 2014-03-03 2015-09-11 Divergent, Inc. Generation and use of magnetic vector potential
US9472366B2 (en) 2014-03-03 2016-10-18 Divergent, Inc. Generation and use of electric fields from capacitive effects of a solenoid
US9373966B2 (en) 2014-03-03 2016-06-21 Divergent, Inc. Wireless power and communication systems using magnetic vector potential
AR099614A1 (es) 2014-03-03 2016-08-03 Divergent Inc Generación y utilización de potencial vectorial magnético
US9615254B2 (en) * 2014-03-21 2017-04-04 Intel Corporation Wireless power transmitting devices, methods for signaling access information for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method for authorizing a wireless power receiving device
GB2526326A (en) * 2014-05-21 2015-11-25 Meiban Int Pte Ltd Cableless mobile energy source
KR101530491B1 (ko) * 2014-08-18 2015-06-22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칩 간 무선 전송을 위한 무선 칩
KR101648626B1 (ko) * 2014-08-19 2016-08-16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무선전력 중계 장치, 시스템 및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
DE102014222000A1 (de) * 2014-10-29 2016-05-04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und Bodeneinheit zum induktiven Laden von Elektro- und Hybridfahrzeugen
US9407333B2 (en) * 2014-10-30 2016-08-02 Mastercard International Incorporated Inductive coupling for battery sharing and multi-function inductive antenna
KR102183127B1 (ko) * 2014-12-09 2020-11-2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무선 전력 송신 장치
KR102365346B1 (ko) * 2015-03-27 2022-02-21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무선 충전 방법
US10245976B2 (en) * 2015-03-27 2019-04-02 Faurecia Automotive Seating, Llc Controller and interface for vehicle seat
KR20170027624A (ko) * 2015-09-02 2017-03-10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충전용 크래들 및 그것에 적용되는 전자 장치
KR102411001B1 (ko) * 2015-09-18 2022-06-2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장치 및 전자장치의 데이터 전송 방법
US10164600B2 (en) * 2015-10-12 2018-12-25 Nxp B.V. NFC or RFID device RF detuning detection and driver output power regulation
KR101704934B1 (ko) * 2015-11-25 2017-02-23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최대수신전력 자동 위치정렬을 이용한 무선충전패드 및 이를 이용한 무선충전방법
KR102532366B1 (ko) * 2015-12-03 2023-05-15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충전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102473790B1 (ko) * 2016-08-30 2022-12-05 삼성전자 주식회사 저전력 상태에서 시간 정보 제공 방법 및 이 방법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0923954B2 (en) 2016-11-03 2021-02-16 Energous Corporation Wireless power receiver with a synchronous rectifier
EP3574565B1 (en) 2017-01-26 2021-10-20 Powermat Technologies Ltd. Wireless charging management system
US11011942B2 (en) 2017-03-30 2021-05-18 Energous Corporation Flat antennas having two or more resonant frequencies for use i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s
US11462949B2 (en) 2017-05-16 2022-10-04 Wireless electrical Grid LAN, WiGL Inc Wireless charging method and system
WO2018209620A1 (en) * 2017-05-17 2018-11-22 Tink Labs Limited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a location of a computing device via a current state of the computing device and signals received by and/or from other computing devices
US11342798B2 (en) 2017-10-30 2022-05-24 Energous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coexistence of wireless-power signals and data signals operating in a same frequency band
US10908428B2 (en) * 2018-09-25 2021-02-02 Facebook Technologies, Llc Multiple-device system with multiple power and data configurations
CN109066920A (zh) * 2018-09-29 2018-12-2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拼接显示屏及其供电方法、显示装置
EP3641098A1 (en) 2018-10-15 2020-04-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wired or wireless charging in electronic device
KR102608558B1 (ko) * 2018-11-15 2023-11-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력 중계 장치 및 시스템
KR20200088607A (ko) * 2019-01-15 2020-07-23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전력 중계 장치 및 무선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WO2020160015A1 (en) 2019-01-28 2020-08-06 Energous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miniaturized antenna for wireless power transmissions
KR20210123329A (ko) 2019-02-06 2021-10-13 에너저스 코포레이션 안테나 어레이에 있어서의 개별 안테나들에 이용하기 위해 최적 위상을 추정하는 시스템 및 방법
US11095153B2 (en) * 2019-03-15 2021-08-17 Ossia Inc. Wireless power system technology implemented in lighting infrastructure
US11381118B2 (en) 2019-09-20 2022-07-05 Energous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machine learning based foreign object detection for wireless power transmission
EP4032169A4 (en) 2019-09-20 2023-12-06 Energous Corporation CLASSIFICATION AND DETECTION OF FOREIGN OBJECTS USING POWER AMPLIFIER CONTROLLER INTEGRATED CIRCUIT I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S
WO2021055898A1 (en) 2019-09-20 2021-03-25 Energous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machine learning based foreign object detection for wireless power transmission
CN115104234A (zh) 2019-09-20 2022-09-23 艾诺格思公司 使用多个整流器保护无线电力接收器以及使用多个整流器建立带内通信的系统和方法
US11355966B2 (en) 2019-12-13 2022-06-07 Energous Corporation Charging pad with guiding contours to align an electronic device on the charging pad and efficiently transfer near-field radio-frequency energy to the electronic device
US10985617B1 (en) 2019-12-31 2021-04-20 Energous Corporation System for wirelessly transmitting energy at a near-field distance without using beam-forming control
US11799324B2 (en) 2020-04-13 2023-10-24 Energous Corporation Wireless-power transmitting device for creating a uniform near-field charging area
US20210344232A1 (en) * 2020-05-04 2021-11-04 Apple Inc. Wireless Power Relay with Constant Power Controlled Converter
KR102252250B1 (ko) * 2020-08-11 2021-05-13 김동인 무선충전 가능한 단말기 모듈 및 단말기의 무선충전 방법
CN111740512B (zh) * 2020-08-21 2021-01-15 广东希荻微电子有限公司 一种无线充电发射端系统以及控制方法
CN116368686A (zh) * 2020-10-12 2023-06-30 三星电子株式会社 用于提高天线效率的电子装置和方法
US11665513B2 (en) 2021-07-13 2023-05-3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ulti-device power management
WO2023065777A1 (zh) * 2021-10-22 2023-04-27 佛山市顺德区美的电子科技有限公司 空调机组、无线供电控制方法、装置及存储介质
US11916398B2 (en) 2021-12-29 2024-02-27 Energous Corporation Small form-factor devices with integrated and modular harvesting receivers, and shelving-mounted wireless-power transmitters for use therewith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34213A1 (en) * 2003-11-05 2005-06-23 Tsutomu Takagi Contactless power transmitting device
US20100270970A1 (en) * 2009-04-28 2010-10-28 Shoichi Toya Device housing a battery and charging pad
US20110115433A1 (en) * 2009-11-13 2011-05-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Wireless charger for charging control and charging control method therefor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83827B2 (en) * 2003-01-28 2012-05-2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Adaptive charger system and method
US7839124B2 (en) * 2006-09-29 2010-11-23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Wireless power storage device comprising battery, semiconductor device including battery,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wireless power storage device
US8159364B2 (en) * 2007-06-14 2012-04-17 Omnilectric, Inc.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JP2009027781A (ja) * 2007-07-17 2009-02-05 Seiko Epson Corp 受電制御装置、受電装置、無接点電力伝送システム、充電制御装置、バッテリ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4600453B2 (ja) * 2007-09-26 2010-12-1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送電制御装置、送電装置、受電装置、無接点電力伝送システム、電子機器、2次コイル位置検出方法および1次コイルの位置決め方法
JP4788693B2 (ja) * 2007-09-26 2011-10-0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構造物
JP5188211B2 (ja) * 2008-03-07 2013-04-24 キヤノン株式会社 給電装置及び給電方法
US9178387B2 (en) * 2008-05-13 2015-11-03 Qualcomm Incorporated Receive antenna for wireless power transfer
US8278784B2 (en) * 2008-07-28 2012-10-02 Qualcomm Incorporated Wireless power transmission for electronic devices
US8421274B2 (en) * 2008-09-12 2013-04-16 University Of Pittsburgh-Of The Commonwealth System Of Higher Education Wireless energy transfer system
US8126433B2 (en) * 2008-09-15 2012-02-28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Electronic devices and methods that communicate via transferjet and NFC transmitter and receiver pairing
JP5258521B2 (ja) * 2008-11-14 2013-08-0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給電システム
US8194583B2 (en) * 2008-12-08 2012-06-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of radio frequency (RF) power transmission in a wireless network
JP5266397B2 (ja) * 2008-12-12 2013-08-21 ハンリム ポステック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無接点電力送信装置
EP2367262B1 (en) * 2008-12-12 2019-02-27 GE Hybrid Technologies, LLC Contactless power receiving device
US8497658B2 (en) * 2009-01-22 2013-07-30 Qualcomm Incorporated Adaptive power control for wireless charging of devices
US20100201201A1 (en) * 2009-02-10 2010-08-12 Qualcomm Incorporated Wireless power transfer in public places
US8970180B2 (en) * 2009-04-07 2015-03-03 Qualcomm Incorporated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cheduling
KR20110034773A (ko) * 2009-09-29 2011-04-06 삼성전자주식회사 유도성 결합 방식을 이용한 무선 충전기
KR101059657B1 (ko) * 2009-10-07 2011-08-25 삼성전기주식회사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 및 그 방법
US8547057B2 (en) * 2009-11-17 2013-10-01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selective wireless power transfer
KR20110103295A (ko) * 2010-03-12 2011-09-20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망을 이용한 무선 충전 방법
US8462968B2 (en) * 2010-06-18 2013-06-11 Research In Motion Limited Shared coil for inductive charging and hearing-aid-compliance requirements in mobile phones
JP5539069B2 (ja) * 2010-06-30 2014-07-02 キヤノン株式会社 給電装置
US20120104997A1 (en) * 2010-11-01 2012-05-03 Qualcomm Incorporated Wireless charging device
KR101672768B1 (ko) * 2010-12-23 2016-11-04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전력 및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
JP5666997B2 (ja) * 2011-06-21 2015-02-12 タナシン電機株式会社 コイル移動型無接点充電器
US9260026B2 (en) * 2011-07-21 2016-02-16 Ut-Battelle, Llc Vehicle to wireless power transfer coupling coil alignment sensor
KR101988009B1 (ko) * 2012-03-23 2019-06-11 삼성전자주식회사 공진 주파수를 조정해서 커플링 효율을 높이는 무전전력 전송 시스템 및 방법
US9685791B2 (en) * 2012-07-09 2017-06-20 Sandisk Technologies Llc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wireless power transfer to mobile device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34213A1 (en) * 2003-11-05 2005-06-23 Tsutomu Takagi Contactless power transmitting device
US20100270970A1 (en) * 2009-04-28 2010-10-28 Shoichi Toya Device housing a battery and charging pad
US20110115433A1 (en) * 2009-11-13 2011-05-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Wireless charger for charging control and charging control method theref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005252A1 (en) 2013-01-03
US9166654B2 (en) 2015-10-20
KR20130002833A (ko) 2013-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2331B1 (ko) 장치들 간의 무선 전력 전송 및 통신
KR101688948B1 (ko) 무선 전력 전송을 이용한 데이터 통신 연결 수립
KR101977088B1 (ko) 무선 전력 전송장치
KR101760750B1 (ko) 무선전력 전송장치, 무선전력 수신장치 및 무선 충전 시스템
KR101811292B1 (ko) 공진 주파수의 조절 기능을 구비한 무선 전력 송신 장치 및 무선 전력 수신 장치
KR101912692B1 (ko) 무선 전력 전송에서의 주파수를 주기적으로 변경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768588B1 (ko) 무선 충전에 따른 음향 출력 상태의 제어
KR102082415B1 (ko) 무선 전력 전송 장치 및 그 방법
KR102096312B1 (ko) 무선 전력 전송 장치 및 그 방법
KR101956570B1 (ko) 유도 방식과 공진 방식을 지원하는 무선 전력 수신장치 및 무선 전력 수신방법
KR101910379B1 (ko) 양방향 통신이 가능한 무선 전력 전송장치
KR101299549B1 (ko) 무선 충전 가능한 전자 기기
KR102166687B1 (ko) 무선 전력 전송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50003553A (ko) 무선 전력 전송장치
KR20140099822A (ko) 무선 전력 전송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무선충전시스템
KR20140108958A (ko) 전자 기기, 전기 차량 및 무선 전력 전송장치
KR102036637B1 (ko) Nfc용 코일부 및 무선 충전용 코일부를 구비하는 무선 전력 수신장치의 수신코일
KR20140121200A (ko) 무선 전력 수신장치 및 무선 전력 송수신장치
KR20130003965A (ko) 복수의 전력 수신기에 대한 무선 전력 전송
KR20140095352A (ko) 무선 충전 시스템
KR20140095349A (ko) Lc공진 발진기의 동작점 유지 기능을 갖는 무선 전력 전송장치 및 동작점 유지 방법
KR102166686B1 (ko) 무선 전력 전송장치
KR20140024194A (ko) 무선 전력 전송 이득 조절 기능을 구비한 무선 전력 전송장치 및 무선 전력 전송방법
KR102035466B1 (ko) 수신된 무선 전력에 대한 전력 분배 기능을 가지는 전자기기 및 전력 분배방법
KR20150074801A (ko) 무선 전력 전송장치 및 상쇄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