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2692B1 - 무선 전력 전송에서의 주파수를 주기적으로 변경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전력 전송에서의 주파수를 주기적으로 변경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2692B1
KR101912692B1 KR1020147034592A KR20147034592A KR101912692B1 KR 101912692 B1 KR101912692 B1 KR 101912692B1 KR 1020147034592 A KR1020147034592 A KR 1020147034592A KR 20147034592 A KR20147034592 A KR 20147034592A KR 101912692 B1 KR101912692 B1 KR 1019126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power
frequency
transmission
power transmission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345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32529A (ko
Inventor
이재성
서정교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500325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25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26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26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7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H04B5/79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data transfer in combination with power transf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02J50/12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of the resonant typ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4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two or more transmitting or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8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the exchange of data, concerning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between transmitting devices and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9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detection or optimisation of position, e.g. alignm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명세서는, 무선 전력 신호의 주파수를 주기적으로 변경하여 특정 주파수 영역에서의 자기장 강도를 낮추어 주파수 스펙트럼(spectrum)을 스프레드(spread) 시키는 무선 전력 전송장치 및 주파수 변경방법을 제공한다.
이를 위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장치는, 캐리어 신호를 근거로 무선 전력을 전송하기 위한 무선 전력 신호를 형성하는 전력 전달부; 상기 캐리어 신호에 대한 스윕(Sweep) 주파수 범위 및 스윕 주기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스윕(Sweep) 주파수 범위 및 스윕 주기를 근거로 상기 캐리어 신호의 주파수를 주기적으로 변경하여 상기 무선 전력 신호의 주파수가 주기적으로 변경되도록 상기 전력 전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 전력 전송에서의 주파수를 주기적으로 변경하는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PERIODICALLY CHANGING FREQUENCY IN WIRELESS POWER TRANSFER}
본 명세서는 무선 전력 전송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무선 전력 전송에서 전력전송정보를 기초로 주파수를 주기적으로 변경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통적으로 무선 전력 수신장치들에게 유선으로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는 방법 대신에, 최근에는 접촉 없이 무선으로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는 방법이 사용된다. 무선으로 에너지를 수신하는 무선 전력 수신장치는 상기 수신된 무선 전력에 의하여 직접 구동되거나, 상기 수신된 무선 전력을 이용하여 배터리를 충전하고 상기 충전된 전력에 의하여 구동될 수 있다.
자기 유도 방식의 무선 전력 전송에 대한 기술을 다루는 무선 전력 협의체(Wireless Power Consortium)는 2010년 4월 12일에 무선 전력 전송에서의 호환성(interoperability)에 대한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설명서, 제1권, 저전력, 파트 1: 인터페이스 정의, 버젼 1.00 RC1(System Description Wireless Power Transfer, Volume 1, Low Power, Part 1: Interface Definition, Version 1.00 Release Candidate 1)" 표준 문서를 공개하였다. 상기 무선 전력 협의체의 표준 문서는 자기 유도 방식에 의하여 하나의 무선 전력 전송장치로부터 하나의 무선 전력 수신장치로 전력을 전달하는 방식을 설명하고 있다.
본 명세서는 무선 전력 신호의 주파수를 주기적으로 변경하여 특정 주파수 영역에서의 자기장 강도를 낮추어 주파수 스펙트럼(spectrum)을 스프레드(spread) 시키는 무선 전력 전송장치(a wireless power transfer apparatus or Wireless power transmitter) 및 주파수 변경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명세서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장치는, 캐리어 신호를 근거로 무선 전력을 전송하기 위한 무선 전력 신호를 형성하는 전력 전달부; 상기 캐리어 신호에 대한 스윕(Sweep) 주파수 범위 및 스윕 주기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스윕(Sweep) 주파수 범위 및 스윕 주기를 근거로 상기 캐리어 신호의 주파수를 주기적으로 변경하여 상기 무선 전력 신호의 주파수가 주기적으로 변경되도록 상기 전력 전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윕 주파수 범위는, 기결정된 주파수를 포함하는 주파수 범위인 것일 수 있다.
상기 기결정된 주파수는, 무선 전력 전송에 있어서의 공진 주파수 또는 최대 무선 전력 전송효율을 나타내는 주파수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스윕 주파수 범위는, 제 1 최대주파수 및 제 2 최대 주파수 사이의 주파수 범위이되, 상기 제 1 최대 주파수는 제 1 주파수 범위 내에서 최대 무선 전력 전송효율을 나타내는 주파수이고, 상기 제 2 최대 주파수는 제 2 주파수 범위 내에서 최대 무선 전력 전송효율을 나타내는 주파수일 수 있다.
상기 전력 전달부는, 상기 무선 전력 신호를 수신하는 무선 전력 수신장치로부터 전력전송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획득된 전력전송정보를 근거로 전송 프로파일을 생성하고, 상기 전송 프로파일을 근거로 상기 스윕 주파수 범위를 결정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전력 전달부는, 서로 다른 주파수를 가지는 무선 전력신호들을 순차적으로 전송하고, 상기 순차적으로 전송된 각 무선 전력신호에 해당하는 전력전송정보를 획득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전력전송정보는,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의 수신측 전압,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의 수신측 전류, 제 1 기준전압 및 제 2 기준전압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윕 주파수 범위는, 상기 수신측 전압이 상기 제 1 기준전압 이하이고, 상기 제 2 기준전압 이상인 범위 내에 해당하는 주파수 범위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제 1 기준전압은,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에 대한 손상 유발이 가능한 전압인지 여부를 기준으로 결정되고, 상기 제 2 기준전압은,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가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로부터 무선 전력을 수신하는(또는 수신할 수 있는) 전압인지 여부를 기준으로 결정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전송 프로파일은, 상기 수신측 전압, 전송효율 및 전송이득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무선 전력 신호의 주파수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전송효율은,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의 전송전력 및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의 수신전력 간의 비율이고, 상기 전송이득은,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의 송신측 전압 및 상기 수신측 전압 간의 비율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송 프로파일상의 상기 수신측 전압, 전송효율 및 전송이득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서 주파수에 대한 1차 미분값이 ‘0’이고, 2차 미분값이 음수가 되는 주파수를 기준 주파수로 추출하고, 상기 기준 주파수를 근거로 상기 스윕 주파수 범위를 결정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준 주파수가 포함되는 특정 주파수 범위를 상기 스윕 주파수 범위로 결정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기준 주파수는, 제 1 주파수 및 제 2 주파수를 포함하고, 상기 스윕 주파수 범위는, 상기 제 1 주파수 및 상기 제 2 주파수 사이의 주파수 범위인 것일 수 있다.
상기 기준 주파수는, N개의 주파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N개의 주파수 중 2개의 주파수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2개의 주파수 사이의 주파수 범위를 상기 스윕 주파수 범위로 결정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선택된 2개의 주파수는, 상기 N개의 주파수 중 무선 전력 전송에 있어서의 공진 주파수와 가장 가까운 2개의 주파수인 것일 수 있다.
상기 기준 주파수는, N개의 주파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N개의 주파수 중 특정 주파수를 선택하고, 상기 특정 주파수가 포함되는 특정 주파수 범위를 상기 스윕 주파수 범위로 결정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특정 주파수는, 상기 수신측 전압, 전송효율 및 전송이득 중 적어도 하나가 최대가 되는 주파수 또는 상기 N개의 주파수 중 무선 전력 전송에 있어서의 공진 주파수에 가장 가까운 주파수인 것일 수 있다.
상기 특정 주파수 범위는, 상기 전송 프로파일상의 상기 수신측 전압, 전송효율 및 전송이득 중 적어도 하나를 근거로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가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로부터 무선 전력을 수신할 수 있는지 여부를 기준으로 결정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는, 복수 개이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력전송정보를 근거로 상기 복수의 무선 전력 수신장치 각각에 해당하는 복수의 전송 프로파일을 생성하고, 상기 복수의 전송 프로파일을 근거로 상기 스윕 주파수 범위를 결정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전송 프로파일 중 적어도 하나의 전송 프로파일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전송 프로파일을 근거로 상기 스윕 주파수 범위를 결정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전송 프로파일 중 적어도 하나의 전송 프로파일의 선택은, 상기 제 1 기준전압이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에 대한 손상 유발이 가능한 전압인지 여부 및 상기 제 2 기준전압이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가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로부터 무선 전력을 수신하는(또는 수신할 수 있는) 전압인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기준으로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전송 프로파일을 근거로 기준 전송 프로파일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기준 전송 프로파일을 근거로 상기 스윕 주파수 범위를 결정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기준 전송 프로파일은, 상기 복수의 전송 프로파일을 통계적인 방식으로 처리하여 생성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통계적인 방식은, 상기 복수의 전송 프로파일의 평균, 분산 및 표준편차 중 적어도 하나를 근거로 한 방식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스윕 주기는, 복수 개의 서브 스윕주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무선 전력 수신장치에 전송할 데이터를 근거로 상기 복수 개의 서브 스윕주기 중 특정 서브 스윕주기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특정 서브 스윕주기를 근거로 상기 캐리어 신호의 주파수를 주기적으로 변경하여 상기 무선 전력 신호의 주파수가 변경되도록 상기 전력 전달부를 제어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는, 상기 무선 전력 신호로부터 상기 특정 스윕주기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특정 스윕주기를 근거로 전송된 데이터를 복원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서브 스윕주기는, 제 1 서브 스윕주기 및 제 2 서브 스윕주기이고, 상기 제 1 서브 스윕주기는 데이터 ‘0’에 해당하는 주기이고, 상기 제 2 서브 스윕주기는 데이터 ‘1’에 해당하는 주기인 것일 수 있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명세서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장치가 전송하는 무선 전력신호의 주파수 변경방법은, 캐리어 신호를 근거로 무선 전력을 전송하기 위한 무선 전력 신호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캐리어 신호에 대한 스윕(Sweep) 주파수 범위 및 스윕 주기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스윕(Sweep) 주파수 범위 및 스윕 주기를 근거로 한 상기 캐리어 신호 주파수의 주기적인 변경을 통하여 상기 무선 전력 신호의 주파수를 주기적으로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윕(Sweep) 주파수 범위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무선 전력 신호를 수신하는 무선 전력 수신장치로부터 전력전송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전력전송정보를 근거로 전송 프로파일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전송 프로파일을 근거로 상기 스윕 주파수 범위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송 프로파일은, 상기 수신측 전압, 전송효율 및 전송이득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무선 전력 신호의 주파수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스윕(Sweep) 주파수 범위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전송 프로파일상의 상기 수신측 전압, 전송효율 및 전송이득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서 주파수에 대한 1차 미분값이 ‘0’이고, 2차 미분값이 음수가 되는 주파수를 기준 주파수로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기준 주파수를 근거로 상기 스윕 주파수 범위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무선 전력 신호의 주파수를 주기적으로 변경하여 특정 주파수 영역에서의 자기장 강도를 낮추어 주파수 스펙트럼(spectrum)을 스프레드(spread) 시키는 무선 전력 전송장치 및 주파수 변경방법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무선 전력 전송장치 및 주파수 변경방법에 따르면, 무선 전력 신호에 대한 주파수 스윕에 의해 상기 무선 전력 신호의 주파수 스펙트럼이 스프레드되는 효과가 발생할 수 있고, 이로 인해 특정 주파수 대역에서의 자기장 강도가 감소되어 EMC (Electro-magnetic Compatibility) 규제에 대응할 수 있는 이점이 있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장치 및 전자 기기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각각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에서 채용 가능한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 및 전자 기기(200)의 구성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유도 결합 방식에 따라 무선 전력 전송장치로부터 전자 기기에 무선으로 전력이 전달되는 개념을 도시한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에서 채용 가능한 전자기 유도 방식의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 및 전자 기기(200)의 구성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에서 채용 가능한 유도 결합 방식에 따라 전력을 수신하는 하나 이상의 전송 코일들을 가지도록 구성된 무선 전력 전송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6은 공진 결합 방식에 따라 무선 전력 전송장치로부터 전자 기기에 무선으로 전력이 전달되는 개념을 도시한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에서 채용 가능한 공진 방식의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 및 전자 기기(200)의 구성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에서 채용 가능한 공진 결합 방식에 따라 전력을 수신하는 하나 이상의 전송 코일들을 가지도록 구성된 무선 전력 전송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9는 도 2a에 도시된 구성 외에 추가적인 구성을 더 포함하는 무선 전력 전송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0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기기(200)가 이동 단말기 형태로 구현된 경우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11a 및 도 11b는 무선 전력 전달에 있어서 무선 전력 신호의 변조 및 복조를 통하여 무선 전력 전송장치와 전자 기기 사이에 패킷을 송수신하는 개념을 도시한다.
도 12a 및 도 12b는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가 전력 제어 메시지를 구성하는 데이터 비트 및 바이트의 표시 방법을 도시한다.
도 13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을 따르는 무선 전력 전달방법에 사용되는 전력 제어 메시지를 포함하는 패킷을 도시한다.
도 14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을 따르는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 및 전자 기기(200)의 동작 상태들을 도시한다.
도 15 내지 도 19는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 및 전자 기기(200)간의 전력 제어 메시지를 포함하는 패킷들의 구조를 도시한다.
도 20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에 따라 주파수를 설정하는 무선 전력 전송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에 따른 무선 전력신호의 주파수 변경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2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신호의 주파수 변경방법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23 및 도 24는 무선 전력 전송장치의 전송 코일 및 무선 전력 수신장치의 수신 코일 사이에서 발생하는 주파수 분리 현상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5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제 1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장치의 주파수 변경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6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제 1 실시예에 따른 전송 프로파일의 종류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27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제 1 실시예에 따른 스윕 주파수 범위의 결정방법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28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제 2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신호의 주파수 변경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9는 본 명세서에 제 2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신호의 주파수 변경방법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30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제 3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신호의 주파수 변경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3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제 3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신호의 주파수 변경방법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무선 전력 전송(wireless power transfer)에 적용된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기술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는 모든 전력 전송 시스템 및 방법, 무선 충전회로 및 방법, 그 외 무선으로 전송되는 전력을 이용하는 방법 및 장치에도 적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의 사상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그 기술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장치 및 전자 기기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 wireless power transfer apparatus or wireless power transmitter)는 상기 전자 기기(200, electronic device or wireless power receiver)에게 필요한 전력을 무선으로 전달하는 전력 전달 장치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자기기(200)은 무선 전력 수신장치(wireless power receiving apparatus)라고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는 무선으로 전력을 전달함으로써 상기 전자 기기(또는 무선 전력 수신장치, 200)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무선 충전 장치일 수 있다.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로 구현되는 실시 예는 도 9를 참조하여 후술된다.
그 밖에도,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는 접촉되지 않은 상태에서 전원이 필요한 전자 기기(200)에게 전력을 전달하는 여러 가지 형태의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전자 기기(200)는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로부터 무선으로 전력을 수신하여 동작이 가능한 기기이다. 또한, 상기 전자 기기(200)는 상기 수신된 무선 전력을 이용하여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무선으로 전력을 수신하는 전자 기기는 휴대가 가능한 모든 전자 기기, 예컨대 키보드, 마우스, 영상 또는 음성의 보조 출력장치 등의 입출력장치를 비롯하여, 휴대폰, 셀룰러폰, 스마트 폰(smart phone),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와, 태블릿, 혹은 멀티미디어 기기 등을 포괄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한다.
상기 전자 기기(200)는, 후술되는 바와 같이, 이동 통신 단말기(예컨대 휴대폰, 셀룰러폰, 태블릿) 또는 멀티미디어 기기일 수 있다. 상기 전자 기기(200)가 이동단말기로 구현되는 실시 예는 도 10을 참조하여 후술된다.
한편,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는 상기 전자 기기(200)로 상호간 접촉이 없이 무선으로 전력을 전달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무선 전력 전달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즉,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는 상기 무선 전력 신호에 의하여 발생하는 전자기 유도 현상에 기초한 유도 결합(Inductive Coupling) 방식과 특정 주파수의 무선 전력 신호에 의하여 발생하는 전자기적 공진 현상에 기초한 공진 결합(Electromagnetic Resonance Coupling) 방식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유도 결합 방식에 의한 무선 전력 송신은, 1차 코일 및 2차 코일을 이용하여 전력을 무선으로 전송하는 기술로, 하나의 코일에서 전자기 유도 현상에 의하여 생성되는 변화하는 자기장에 의하여 다른 코일 쪽에 전류가 유도됨으로써 전력이 전달되는 것을 말한다.
상기 공진 결합 방식에 의한 무선 전력 송신은,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에서 전송한 무선 전력 신호에 의하여 상기 전자 기기(200)에서 전자기적 공진이 발생하고, 상기 공진 현상에 의하여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로부터 상기 전자 기기(200)로 전력이 전달되는 것을 말한다.
이하에서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 및 전자 기기(200)에 관한 실시 예들이 구체적으로 설명된다. 하기의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부가된 참조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가 사용된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에서 채용 가능한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 및 전자 기기(200)의 구성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는 전력 전달부(Power Transmission Unit)(110)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전력 전달부(110)는 전력 변환부(Power Conversion Unit)(111) 및 전력 송신 제어부(Power Transmission Control Unit)(11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력 변환부(111)는 송신측 전원 공급부(190)로부터 공급된 전력을 무선 전력 신호(wireless power signal)로 변환하여 상기 전자 기기(200)로 전달한다. 상기 전력 변환부(111)에 의하여 전달되는 무선 전력 신호는 진동(oscillation)하는 특성을 가진 자기장(magnetic field) 또는 전자기장(electro-magnetic field)의 형태로 형성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전력 변환부(111)는 상기 무선 전력 신호가 발생하는 코일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력 변환부(111)는 각 전력 전달 방식에 따라 다른 형태의 무선 전력 신호를 형성하기 위한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들에서는, 상기 전력 변환부(111)는 유도 결합 방식에 따라 상기 전자 기기(200)의 2차 코일에 전류를 유도시키기 위하여 변화하는 자기장을 형성시키는 1차 코일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어떤 실시 예들에서는, 상기 전력 변환부(111)는 공진 결합 방식에 따라 상기 전자 기기(200)에 공진 현상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특정 공진 주파수를 가진 자기장을 형성시키는 코일(또는 안테나)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어떤 실시 예들에서는, 상기 전력 변환부(111)는 전술된 유도 결합 방식과 공진 결합 방식 중 하나 이상의 방법을 이용하여 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전력 변환부(111)에 포함되는 구성 요소들 중 유도 결합 방식을 따르는 것들에 대하여는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공진 결합 방식을 따르는 것들에 대하여는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후술된다.
한편, 상기 전력 변환부(111)는 상기 무선 전력 신호를 형성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주파수, 인가되는 전압, 전류 등의 특성을 조절할 수 있는 회로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력 송신 제어부(112)는 상기 전력 전달부(110)에 포함되는 각 구성요소를 제어한다. 어떤 실시 예들에서는, 상기 전력 송신 제어부(112)가 상기 무선 전력 공급 장치(100)를 제어하는 다른 제어부(미도시)와 통합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무선 전력 신호가 도달할 수 있는 영역은 두 가지로 구분될 수 있다. 먼저, 활동 영역(active area)은 상기 전자 기기(200)로 전력을 전달하는 무선 전력 신호가 통과하는 영역을 말한다. 다음으로, 감지 영역(semi-active area)은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가 상기 전자 기기(200)의 존재를 감지할 수 있는 관심 영역을 말한다. 여기서, 상기 전력 송신 제어부(112)는 상기 전자 기기(200)가 상기 활동 영역 또는 감지 영역에 배치(placement)되거나 제거(removal)되었는지 여부에 대하여 감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력 송신 제어부(112)는 상기 전력 변환부(111)에서 형성되는 무선 전력 신호를 이용하거나, 별도로 구비된 센서에 의하여 상기 전자 기기(200)가 상기 활동 영역 또는 감지 영역에 배치되었는지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전력 송신 제어부(112)는 상기 감지 영역에 존재하는 상기 전자 기기(200)로 인하여 상기 무선 전력 신호가 영향을 받아, 상기 전력 변환부(111)의 상기 무선 전력 신호를 형성하기 위한 전력의 특성이 변화하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함으로써 상기 전자 기기(200)의 존재를 검출할 수 있다. 다만, 상기 활동 영역 및 감지 영역은 유도 결합 방식 및 공진 결합 방식 등의 무선 전력 전달방식에 따라 다를 수 있다.
상기 전력 송신 제어부(112)는 상기 전자 기기(200)의 존재를 검출한 결과에 따라 상기 전자 기기(200)를 식별하는 과정을 수행하거나, 무선 전력 전송을 시작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력 송신 제어부(112)는 상기 무선 전력 신호를 형성하기 위한 상기 전력 변환부(111)의 주파수, 전압, 전류 중 하나 이상의 특성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특성의 결정은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 측의 조건에 의하여 또는 상기 전자 기기(200) 측의 조건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어떤 실시 예들에서, 상기 전력 송신 제어부(112)는 상기 전자 기기(200)의 장치 식별 정보를 기초로 상기 특성을 결정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들에서, 상기 전력 송신 제어부(112)는 상기 전자 기기(200)의 요구 전력 정보 또는 그 요구 전력에 대한 프로파일 정보를 기초로 상기 특성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전력 송신 제어부(112)는 상기 전자 기기(200)로부터 전력 제어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전력 송신 제어부(112)는 상기 수신된 전력 제어 메시지를 기초로 상기 전력 변환부(111)의 주파수, 전압, 전류 중 하나 이상의 특성을 결정할 수 있으며, 그 밖에 상기 전력 제어 메시지를 기초로 다른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력 송신 제어부(112)는 상기 전자 기기(200)의 정류된 전력량 정보, 충전 상태 정보 및 식별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전력 제어 메시지에 따라 상기 무선 전력 신호를 형성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주파수, 전류, 전압 중 하나 이상의 특성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전력 송신 제어부(112)는 상기 활동 영역 또는 감지 영역 내에 배치되어 있는 무선 전력 수신장치의 주파수 별 전력전송정보를 획득하기 위하여 상기 전력 변환부(111)를 제어하여 일정 범위내의 주파수에 대하여 스캐닝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스캐닝은 무선 전력신호의 주파수 변화에 따른 상기 전력전송정보의 추이를 확인하는 동작 내지 방식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에 의해 서로 다른 주파수를 가지는 무선 전력신호들이 순차적으로 전송되고,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가 상기 순차적으로 전송된 각 무선 전력신호에 해당하는 전력전송정보를 획득하는 동작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전력전송정보는,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의 수신측 전압,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의 수신측 전류, 제 1 기준전압 및 제 2 기준전압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기준전압은,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에 대한 손상 유발이 가능한 전압인지 여부를 기준으로 결정되고, 상기 제 2 기준전압은,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가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로부터 무선 전력을 수신할 수 있는 전압인지 여부를 기준으로 결정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력 제어 메시지를 이용하는 그 밖의 다른 제어 동작으로서,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는 무선 전력 전달과 관련된 일반적인 제어 동작을 상기 전력 제어 메시지를 기초로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는 상기 전력 제어 메시지를 통하여 상기 전자 기기(200)와 관련된 청각적 또는 시각적으로 출력할 정보를 수신하거나, 기기간의 인증 등에 필요한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어떤 실시 예들에서는, 상기 전력 송신 제어부(112)는 이와 같은 상기 전력 제어 메시지를 상기 무선 전력 신호를 통하여 수신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들에서는, 상기 전력 송신 제어부(112)는 사용자 데이터를 수신하는 방법을 통하여 상기 전력 제어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전력 제어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하여,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는 상기 전력 변환부(111)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변복조부(Power Communications Modulation/Demodulation Unit)(113)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변복조부(113)는 상기 전자 기기(200)에 의하여 변조된 무선 전력 신호를 복조하여 상기 전력 제어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전력 변환부(111)가 무선 전력 신호를 이용하여 전력 제어 메시지를 수신하는 방법에 대하여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후술된다.
그 밖에, 상기 전력 송신 제어부(112)는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에 포함되어 있는 통신 수단(미도시)에 의하여 전력 제어 메시지가 포함되어 있는 사용자 데이터를 수신함으로써 전력 제어 메시지를 획득할 수도 있다.
도 2b는 상기 전자 기기(200)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2b를 참조하면, 상기 전자 기기(200)는 전원 공급부(290)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전원 공급부(290)는 상기 전자 기기(200)의 작동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한다. 상기 전원 공급부(290)는 전력 수신부(291) 및 전력 수신 제어부(29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력 수신부(291)는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로부터 무선으로 전달되는 전력을 수신한다.
상기 전력 수신부(291)는 무선 전력 전달 방식에 따라 상기 무선 전력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필요한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력 수신부(291)는 하나 이상의 무선 전력 전달 방식에 따라 전력을 수신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전력 수신부(291)는 각 방식에 따라 필요한 서로 구성 요소들을 함께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상기 전력 수신부(291)는 진동하는 특성을 가진 자기장 또는 전자기장의 형태로 전달되는 무선 전력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코일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어떤 실시 예들에서는, 상기 전력 수신부(291)가 유도 결합 방식에 따른 구성 요소로서 변화되는 자기장에 의하여 전류가 유도되는 2차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어떤 실시 예들에서는, 상기 전력 수신부(291)가 공진 결합 방식에 따른 구성 요소로서 특정 공진 주파수를 가진 자기장에 의하여 공진 현상이 발생되는 코일 및 공진 형성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어떤 실시 예들에서는 상기 전력 수신부(291)가 하나 이상의 무선 전력 전달 방식에 따라 전력을 수신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상기 전력 수신부(291)는 하나의 코일을 이용하여 수신하도록 구현되거나, 또는 각 전력 전달 방식에 따라 다르게 형성된 코일을 이용하여 수신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전력 수신부(291)에 포함되는 구성 요소들 중 유도 결합 방식을 따르는 실시 예들에 대하여는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여, 공진 결합 방식을 따르는 실시 예들에 대하여는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여 후술된다.
한편, 상기 전력 수신부(291)는 상기 무선 전력 신호를 직류로 변환하기 위한 정류 회로(rectifier) 및 평활 회로(regulato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력 수신부(291)는 수신된 전력 신호에 의하여 과전압 또는 과전류가 발생하지 않도록 방지하는 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력 수신 제어부(292)는 상기 전원 공급부(290)에 포함되는 각 구성요소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력 수신 제어부(292)는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로 전력 제어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전력 제어 메시지는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에게 무선 전력 신호의 전달을 개시하거나 종료하도록 지시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력 제어 메시지는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에게 상기 무선 전력 신호의 특성을 조절하도록 지시하는 것일 수 있다.
어떤 실시 예들에서는, 상기 전력 수신 제어부(292)가 상기 전력 제어 메시지를 상기 무선 전력 신호를 통하여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어떤 실시 예들에서는, 상기 전력 수신 제어부(292)가 사용자 데이터를 통하여 전송하는 방법을 통하여 상기 전력 제어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전력 제어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하여, 상기 전자 기기(200)는 상기 전력 수신부(291)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변복조부(Power Communications Modulation/Demodulation Unit)(293)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변복조부(293)는, 전술된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상기 무선 전력 신호를 통하여 상기 전력 제어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변복조부(293)는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의 전력 변환부(111)를 흐르는 전류 및/또는 전압을 조절하는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 측과 상기 전자 기기(200) 측의 각각의 변복조부(113 및 293)가 무선 전력 신호를 통한 전력 제어 메시지의 송수신을 위하여 사용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다.
상기 전력 변환부(111)에 의하여 형성된 무선 전력 신호는 상기 전력 수신부(291)에 의하여 수신된다. 이때, 상기 전력 수신 제어부(292)는 상기 무선 전력 신호를 변조(modulation)하도록 상기 전자 기기(200) 측의 변복조부(293)를 제어한다. 예컨대, 상기 전력 수신 제어부(292)는 상기 전력 수신부(291)과 연결된 변복조부(293)의 리액턴스(reactance)를 변경시킴으로써 상기 무선 전력 신호로부터 수신하는 전력량이 그에 따라 변하도록 변조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무선 전력 신호로부터 수신되는 전력량의 변경은 상기 무선 전력 신호를 형성시키는 상기 전력 변환부(111)의 전류 및/또는 전압의 변경을 가져온다. 이 때,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 측의 변복조부(113)는 상기 전력 변환부(111)의 전류 및/또는 전압의 변경을 감지하여 복조(demodulation) 과정을 수행한다.
즉, 상기 전력 수신 제어부(292)는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전력 제어 메시지를 포함하는 패킷(packet)을 생성하여 상기 패킷이 포함되도록 상기 무선 전력 신호를 변조하고, 상기 전력 송신 제어부(112)는 상기 변복조부(113)의 복조 과정 수행 결과를 기초로 상기 패킷을 디코딩(decoding)함으로써, 상기 패킷에 포함되어 있는 상기 전력 제어 메시지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가 상기 전력 제어 메시지를 획득하는 구체적인 방법에 대해서는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후술된다.
그 밖에, 어떤 실시 예들에서, 상기 전력 수신 제어부(292)는 상기 전자 기기(200)에 포함되어 있는 통신 수단(미도시)에 의하여 전력 제어 메시지가 포함되어 있는 사용자 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전력 제어 메시지를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그 밖에, 상기 전원 공급부(290)는 충전부(298) 및 배터리(299)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원 공급부(290)로부터 동작을 위한 전원을 공급받는 상기 전자 기기(200)는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로부터 전달된 전력에 의하여 동작하거나, 또는 상기 전달된 전력을 이용하여 상기 배터리(299)를 충전한 후 상기 배터리(299)에 충전된 전력에 의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력 수신 제어부(292)는 상기 전달된 전력을 이용하여 충전을 수행하도록 상기 충전부(298)를 제어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에 적용 가능한 무선 전력 전송장치 및 전자 기기에 대하여 설명된다.
먼저,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유도 결합 방식을 지원하는 실시 예들에 따라,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가 상기 전자 기기로 전력을 전달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도 3은 유도 결합 방식을 지원하는 실시 예들에 따라 무선 전력 전송장치로부터 전자 기기에 무선으로 전력이 전달되는 개념을 도시한다.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의 전력 전달이 유도 결합 방식을 따르는 경우, 상기 전력 전달부(110) 내의 1차 코일(primary coil)에 흐르는 전류의 세기가 변화되면, 그 전류에 의해 1차 코일을 통과하는 자기장이 변화한다. 이와 같이 변화된 자기장은 상기 전자 기기(200) 내의 2차 코일(secondary coil) 측에 유도 기전력을 발생시킨다.
이 방식에 따르면,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의 상기 전력 변환부(111)는 자기 유도에서의 1차 코일로 동작하는 전송 코일(Tx coil)(1111a)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전자 기기(200)의 상기 전력 수신부(291)는 자기 유도에서의 2차 코일로 동작하는 수신 코일(Rx coil)(2911a)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먼저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 측의 상기 전송 코일(1111a, transfer coil, transmitting coil or Tx coil)과 상기 전자 기기(200) 측의 수신 코일(receiving coil or Rx coil)이 근접하도록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 및 상기 전자 기기(200)를 배치한다. 그 후 상기 전력 송신 제어부(112)가 상기 전송 코일(1111a)의 전류가 변화되도록 제어하면, 상기 전력 수신부(291)는 상기 수신 코일(2911a)에 유도된 기전력을 이용하여 상기 전자 기기(200)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유도 결합 방식에 의한 무선 전력 전달의 효율은, 주파수 특성에 따른 영향은 적으나, 각 코일을 포함하는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 및 상기 전자 기기(200) 사이의 배열(alignment) 및 거리(distance)의 영향을 받게 된다.
한편, 유도 결합 방식에 의한 무선 전력 전달을 위하여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는 평평한 표면(flat surface) 형태의 인터페이스 표면(interface surface)(미도시)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 표면의 상부에는 하나 이상의 전자 기기가 놓일 수 있으며, 상기 인터페이스 표면의 하부에는 상기 전송 코일(1111a)가 장착될 수 있다. 그 경우, 상기 인터페이스 표면의 하부에는 장착된 상기 전송 코일(1111a)과 상기 인터페이스 표면의 상부에 위치한 전자 기기(200)의 수신 코일(2911a) 사이의 수직 공간(vertical spacing)이 작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코일들 간의 거리는 유도 결합 방식에 의한 무선 전력 전달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충분히 작게 된다.
또한, 상기 인터페이스 표면의 상부에는 상기 전자 기기(200)가 놓일 위치를 지시하는 배열 지시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열 지시부는 상기 인터페이스 표면의 하부에 장착된 전송 코일(1111a)과 상기 수신 코일(2911a) 사이의 배열이 적합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상기 전자 기기(200)의 위치를 지시한다. 어떤 실시 예들에서, 상기 배열 지시부는 단순한 표시(marks)일 수 있다. 어떤 실시 예들에서는, 상기 배열 지시부가 상기 전자 기기(200)의 위치를 가이드하는 돌출 구조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어떤 실시 예들에서는, 상기 배열 지시부가 상기 인터페이스 표면의 하부에 장착되는 자석과 같은 자성체의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전자 기기(200) 내부에 장착된 다른 극의 자성체와의 상호간 인력에 의하여 상기 코일들이 적합한 배열을 이루도록 가이드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는 하나 이상의 전송 코일을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는 상기 하나 이상의 전송 코일 중에서 상기 전자 기기(200)의 수신 코일(2911a)과 적합하게 배열된 일부의 코일을 선택적으로 이용하여 전력 전송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전송 코일을 포함하는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에 관하여 도 5를 참조하여 후술된다.
이하에서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에 적용 가능한 유도 결합 방식의 무선 전력 전송장치 및 전자 기기의 구성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된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에서 채용 가능한 전자기 유도 방식의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 및 전자 기기(200)의 구성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a를 참조하여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에 포함된 상기 전력 전달부(110)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고, 도 4b를 참조하여 상기 전자 기기(200)에 포함된 상기 전원 공급부(290)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a를 참조하면,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의 상기 전력 변환부(111)는 전송 코일(Tx coil)(1111a) 및 인버터(1112)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송 코일(1111a)는, 전술된 바와 같이, 전류의 변화에 따라 무선 전력 신호에 해당하는 자기장을 형성한다. 어떤 실시 예들에서, 상기 전송 코일(1111a)은 평판 나선형태(Planar Spiral type)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어떤 실시 예들에서는 상기 전송 코일(1111a)이 원통형 솔레노이드 형태(Cylindrical Solenoid type)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인버터(1112)는 상기 전원 공급부(190)로부터 얻은 직류 입력(DC input)을 교류 파형(AC waveform)으로 변형시킨다. 상기 인버터(1112)에 의해 변형된 교류 전류는 상기 전송 코일(1111a) 및 커패시터(capacitor)(미도시)를 포함하는 진동 회로(resonant circuit)를 구동시킴으로써 자기장이 상기 전송 코일(1111a)에서 형성된다. 상기 형성된 자기장으로 인하여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로부터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로 무선 전력 신호가 전달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인버터(1112)에 생성되는 상기 교류 파형은 캐리어 신호일 수 있고, 상기 캐리어 신호가 상기 진동 회로를 구동하며, 상기 구동에 의해 상기 전송 코일(1111a)로부터 상기 무선 전력 신호가 생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무선 전력 신호는 상기 캐리어 신호를 근거로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그 밖에, 상기 전력 변환부(111)는 위치 결정부(Positioning Unit)(1114)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위치 결정부(1114)는 상기 유도 결합 방식에 의한 무선 전력 전달의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상기 전송 코일(1111a)을 이동 또는 회전시킬 수 있다. 이는, 전술된 바와 같이, 유도 결합 방식에 의한 전력 전달은 1차 및 2차 코일을 포함하는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 및 상기 전자 기기(200) 사이의 배열(alignment) 및 거리(distance)의 영향을 받기 때문이다. 특히, 상기 위치 결정부(1114)는 상기 전자 기기(200)가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의 활동 영역 내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위치 결정부(1114)는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의 상기 전송 코일(1111a)과 및 상기 전자 기기(200)의 상기 수신 코일(2911a)의 중심간 거리(distance)가 일정 범위 이내가 되도록 상기 전송 코일(1111a)을 이동시키거나, 상기 전송 코일(1111a)과 상기 수신 코일(2911a)의 중심이 중첩되도록 상기 전송 코일(1111a)를 회전시키는 구동부(미도시)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는 상기 전자 기기(200)의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로 이루어진 위치 감지부(detection unit)(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 있고, 상기 전력 송신 제어부(112)는 상기 위치 감지 센서로부터 수신한 상기 전자 기기(200)의 위치 정보를 기초로 상기 위치 결정부(1114)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이를 위하여 상기 전력 송신 제어부(112)는 상기 변복조부(113)를 통하여 상기 전자 기기(200)와의 배열 또는 거리에 대한 제어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배열 또는 거리에 대한 제어 정보를 기초로 상기 위치 결정부(1114)를 제어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전력 변환부(111)가 복수의 전송 코일을 포함하도록 구성되었다면, 상기 위치 결정부(1114)는 상기 복수의 전송 코일 중에서 어느 것이 전력 전달을 위하여 사용될 것인지 결정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전송 코일을 포함한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의 구성에 대해서는 도 5를 참조하여 후술된다.
한편, 상기 전력 변환부(111)는 전력 센싱부(1115)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 측의 전력 센싱부(1115)는 상기 전송 코일(1111a)에 흐르는 전류 또는 전압을 모니터링한다. 상기 전력 센싱부(1115)는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의 정상동작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의 전압 또는 전류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전압 또는 전류가 임계값을 초과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전력 센싱부(1115)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의 전압 또는 전류를 검출하기 위한 저항과 상기 검출된 전원의 전압값 또는 전류값과 임계값을 비교하여 그 비교 결과를 출력하는 비교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력 센싱부(1115)의 상기 확인 결과를 기초로, 상기 전력 송신 제어부(112)는 스위칭부(미도시)를 제어하여 상기 전송 코일(1111a)로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할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상기 전자 기기(200)의 상기 전원 공급부(290)는 수신 코일(Rx 코일)(2911a) 및 정류 회로(2913, rectifying circuit or rectifier circuit)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송 코일(1111a)로부터 형성된 자기장에 변화에 의하여 상기 수신 코일(2911a)에서 전류가 유도된다. 상기 수신 코일(2911a)의 구현 형태는, 상기 전송 코일(1111a)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실시 예들에 따라, 평판 나선 형태 또는 원통형 솔레노이드 형태일 수 있다.
또한, 무선 전력의 수신 효율을 높이거나 공진 감지(resonant detection)를 위해 직/병렬 커패시터들(series and parallel capacitors)이 상기 수신 코일(2911a)과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수신 코일(2911a)은 단일 코일 또는 복수의 코일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정류 회로(2913)는 교류를 직류로 변환시키기 위하여 전류에 대하여 전파 정류(full-wave rectification)를 수행한다. 상기 정류 회로(2913)는, 예컨대, 4개의 다이오드로 이루어진 브릿지(full bridge) 정류 회로, 또는 능동 소자(active components)를 이용한 회로로 구현될 수 있다.
그 밖에, 상기 정류 회로(2913)는 정류된 전류를 보다 평탄하고 안정적인 직류로 만들어 주는 평활 회로(regulato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류 회로(2913)의 출력 전원은 상기 전원 공급부(290)의 각 구성 요소들에게 공급된다. 또한, 상기 정류 회로(2913)은 출력되는 직류 전원을 상기 전원 공급부(290)의 각 구성 요소(예컨대, 충전부(298)와 같은 회로)에 필요한 전원에 맞추기 위하여 적정한 전압으로 변환하는 직류-직류 변환기(DC-DC converte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변복조부(293)는 상기 전력 수신부(291)과 연결되고, 직류 전류에 대해서는 저항(resistance)이 변하는 저항성 소자로 구성될 수 있고, 교류 전류에 대해서는 리액턴스(reactance)가 변하는 용량성 소자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력 수신 제어부(292)는 상기 변복조부(293)의 저항 또는 리액턴스를 변경시킴으로써 상기 전력 수신부(291)에 수신되는 무선 전력 신호를 변조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원 공급부(290)는 전력 센싱부(2914)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자 기기(200) 측의 전력 센싱부(2914)는 상기 정류 회로(2913)에 의하여 정류된 전원의 전압 및/또는 전류를 모니터링하고, 상기 모니터링 결과 상기 정류된 전원의 전압 및/또는 전류가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전력 수신 제어부(292)는 적절한 전력을 전달하도록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에게 전력 제어 메시지를 송신한다.
도 5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에서 채용 가능한 유도 결합 방식에 따라 전력을 수신하는 하나 이상의 전송 코일들을 가지도록 구성된 무선 전력 전송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을 따르는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의 전력 변환부(111)는 하나 이상의 전송 코일들(1111a-1 내지 1111a-n)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전송 코일들(1111a-1 내지 1111a-n)은 부분적으로 겹치는 1차 코일들의 배열(an array of partly overlapping primary coils)일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전송 코일들 중 일부에 의하여 활동 영역이 결정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전송 코일들(1111a-1 내지 1111a-n)은 상기 인터페이스 표면의 하부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력 변환부(111)는 상기 하나 이상의 전송 코일들(1111a-1 내지 1111a-n) 중 일부의 코일들의 연결을 수립하고 해제하는 다중화기(Multiplexer)(11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 표면의 상부에 놓인 전자 기기(200)의 위치가 감지되면, 상기 전력 송신 제어부(112)는 상기 전자 기기(200)의 감지된 위치를 고려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전송 코일들(1111a-1 내지 1111a-n) 중 상기 전자 기기(200)의 수신 코일(2911a)과 유도 결합 관계에 놓일 수 있는 코일들이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다중화기(1113)를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전력 송신 제어부(112)가 상기 전자 기기(200)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들에서는, 상기 전력 송신 제어부(112)가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에 구비된 상기 위치 감지부(미도시)에 의하여 상기 인터페이스 표면 상의 상기 전자 기기(200)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들에서는, 상기 전력 송신 제어부(112)가 상기 하나 이상의 전송 코일들(1111a-1 내지 1111a-n)을 각각 이용하여 상기 인터페이스 표면 상의 물체로부터 무선 전력 신호의 강도를 나타내는 전력 제어 메시지 또는 상기 물체의 식별 정보를 나타내는 전력 제어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결과를 기초로 상기 하나 이상의 전송 코일들 중 어느 코일의 위치와 근접한지를 판단함으로써 상기 전자 기기(200)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활동 영역은 상기 인터페이스 표면의 일부로서,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가 상기 전자 기기(200)에 무선으로 전력을 전달할 때 높은 효율의 자기장이 통과할 수 있는 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활동 영역을 통과하는 자기장을 형성시키는 단일 전송 코일 또는 하나 이상의 전송 코일들의 조합을 주요 셀(primary cell)로 지칭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력 송신 제어부(112)는 상기 전자 기기(200)의 감지된 위치를 기초로 활동 영역을 결정하고, 상기 활동 영역에 대응되는 주요 셀의 연결을 수립하여 상기 전자 기기(200)의 수신 코일(2911a)와 상기 주요 셀에 속한 코일들이 유도 결합 관계에 놓일 수 있도록 상기 다중화기(1113)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나 이상의 전송코일들(1111a-1 내지 1111a-n)을 포함하도록 구성된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의 인터페이스 표면 상에 하나 이상의 전자 기기(200)들이 배치된 경우, 상기 전력 송신 제어부(112)는 각 전자 기기의 위치에 대응되는 주요 셀에 속하는 코일들이 각각 유도 결합 관계에 놓이도록 상기 다중화기(1113)를 제어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는 각각 다른 코일을 이용하여 무선 전력 신호를 형성함으로써 하나 이상의 전자 기기들에게 무선으로 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력 송신 제어부(112)는 상기 전자 기기들에 대응되는 코일들에 대하여 각각 다른 특성을 가진 전원이 공급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는 전자 기기 별로 다른 전력 전달 방식, 효율, 특성 등을 설정하여 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전자 기기들을 위한 전력 전달에 대하여 도 8을 참조하여 후술된다.
한편, 상기 전력 변환부(111)는 연결된 코일들과 진동 회로(resonant circuit)를 형성하도록 임피던스를 조절하는 임피던스 매칭부(impedance matching unit)(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공진 결합 방식을 지원하는 실시 예들에 따라 무선 전력 전송장치가 전력을 전달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도 6은 공진 결합 방식을 지원하는 실시 예들에 따라 무선 전력 전송장치로부터 전자 기기에 무선으로 전력이 전달되는 개념을 도시한다.
먼저, 공진(resonance)(또는 공명)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공진(resonance)이란, 진동계가 그 고유 진동수와 같은 진동수를 가진 외력을 주기적으로 받아 진폭이 뚜렷하게 증가하는 현상을 말한다. 공진은 역학적 진동 및 전기적 진동 등 모든 진동에서 일어나는 현상이다. 일반적으로 외부에서 진동계에 진동시킬 수 있는 힘을 가했을 때 그 진동계의 고유 진동수와 외부에서 가해주는 힘의 진동수가 같으면 그 진동은 심해지고 진폭도 커진다.
같은 원리로, 일정 거리 내에서 떨어져 있는 복수의 진동체들이 서로 동일한 주파수로 진동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진동체들은 상호 공진하며, 이 경우 상기 복수의 진동체들 간에는 저항이 감소하게 된다. 전기 회로에서는 인덕터와 커패시터를 사용하여 공진 회로를 만들 수 있다.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의 전력 전달이 공진 결합 방식을 따르는 경우, 상기 전력 전달부(110)에서 교류 전원에 의하여 특정한 진동 주파수를 가진 자기장이 형성된다. 상기 형성된 자기장에 의하여 상기 전자 기기(200)에서 공진 현상이 일어나는 경우 상기 전자 기기(200) 내에서는 상기 공진 현상에 의하여 전력이 발생된다.
상기 공진 결합 방식의 원리에 대해 상술하면, 일반적으로 전자기파를 생성하여 전력을 전송하는 방식은 전력전송효율이 낮을 수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진동체들이 전자기적으로 상호 공진하면 상기 복수의 진동체들 이외의 주변 물체들에 영향을 받지 않기 때문에 전력전송효율이 매우 높을 수 있다. 이렇게 전자기적으로 상호 공진하는 복수의 진동체들 사이에는 에너지 터널(tunnel)이 발생할 수 있다. 이를 에너지 커플링(coupling) 또는 에너지 꼬리(tail)이라고 하기도 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공진 결합 방식은 낮은 주파수를 가지는 전자기파를 사용할 수 있는데, 낮은 주파수를 가지는 전자기파를 이용하여 전력을 전송하는 경우, 상기 전자기파의 단일파장내에 위치하는 영역에는 거의 자기장만이 영향을 끼지게 된다. 이를 자기적 결합(magnetic coupling) 또는 자기적 공진(magnetic resonance)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자기적 공진은 상기 낮은 주파수를 가지는 전자기파의 단일파장 내에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와 상기 전자 기기(200)가 위치할 때 발생될 수 있다.
또한, 공진 현상으로 인한 에너지 꼬리(energy tail)가 형성되어 전력 전송형태가 비방사성(non- radiative)을 띄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전자기파를 이용하여 전송하여 전력을 전송함에 의해 흔히 발생될 수 있는 방사성(radiative)문제가 해결될 수 있다.
상기 공진 결합 방식은 위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낮은 주파수를 가지는 전자기파를 이용하여 전력을 전달하는 방식일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의 상기 전송 코일(1111b)은 원칙적으로 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자기장 또는 전자기파를 형성할 수 있지만 이하에서 공진 결합 방식에 대해서는 자기장 공진(magnetic resonance)측면, 즉, 자기장에 의한 전력 전달의 측면에서 기술하기로 한다.
공진 주파수는, 예를 들어, 다음 수학식 1과 같은 수식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다.
Figure 112014119782513-pct00001
여기서, 공진 주파수(f)는 회로 내의 인덕턴스(L) 및 커패시턴스(C)에 의하여 결정된다. 코일을 사용하여 자기장을 형성하는 회로에 있어서 상기 인덕턴스는 상기 코일의 회전 수 등에 의하여 결정되고, 상기 커패시턴스는 상기 코일 사이의 간격, 면적 등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다. 상기 공진 주파수를 결정하기 위하여 상기 코일 외에 용량성 공진 형성 회로가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공진 결합 방식에 따라 무선으로 전력이 전송되는 실시 예들의 경우,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의 상기 전력 변환부(111)는 자기장이 형성되는 전송 코일(Tx coil)(1111b) 및 상기 전송 코일(1111b)와 연결되고 특정한 진동 주파수를 결정하기 위한 공진 형성 회로(1116)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공진 형성 회로(1116)는 용량성 회로(capacitors)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전송 코일(1111b)의 인덕턴스 및 상기 공진 형성 회로(1116)의 커패시턴스를 기초로 상기 특정한 진동 주파수가 결정된다.
상기 공진 형성 회로(1116)의 회로 소자의 구성은 상기 전력 변환부(111)가 자기장을 형성할 수 있도록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도 6과 같이 상기 전송 코일(1111b)과 병렬로 연결되는 형태로 제한되지 아니한다.
또한, 상기 전자 기기(200)의 상기 전력 수신부(291)는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에서 형성된 자기장에 의하여 공진 현상이 일어날 수 있도록 구성된 공진 형성 회로(2912) 및 수신 코일(Rx coil)(2911b)을 포함한다. 즉, 상기 공진 형성 회로(2912)는 역시 용량성 회로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공진 형성 회로(2912)는 상기 수신 코일(2911b)의 인덕턴스와 상기 공진 형성 회로(2912)의 커패시턴스를 기초로 결정되는 공진 주파수가 상기 형성된 자기장의 공진 주파수와 동일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공진 형성 회로(2912)의 회로 소자의 구성은 상기 전력 수신부(291)가 상기 자기장에 의하여 공진이 일어날 수 있도록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도 6과 같이 상기 수신 코일(2911b)과 직렬로 연결되는 형태로 제한되지 아니한다.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에서의 상기 특정한 진동 주파수는 LTx, CTx를 가지고 상기 수학식 1을 이용하여 획득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자 기기(200)의 LRx 및 CRx를 상기 수학식 1에 대입한 결과가 상기 특정한 진동 주파수와 동일한 경우에 상기 전자 기기(200)에서는 공진이 일어난다.
공진 결합에 의한 무선 전력 전송 방식을 지원하는 실시 예들에 따르면,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 및 상기 전자 기기(200)가 각각 동일 주파수로 공진하는 경우 전자파가 근거리 전자장을 통해 전달되게 되므로, 주파수가 다르면 상기 기기간 에너지 전달이 없게 된다.
따라서, 상기 공진 결합 방식에 의한 무선 전력 전달의 효율은, 주파수 특성에 따른 영향이 큰 반면, 각 코일을 포함하는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 및 상기 전자 기기(200) 사이의 배열 및 거리에 따른 영향은 유도 결합 방식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다.
이하에서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에 적용 가능한 공진 결합 방식의 무선 전력 전송장치 및 전자 기기의 구성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된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에서 채용 가능한 공진 방식의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 및 전자 기기(200)의 구성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7a를 참조하여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에 포함된 상기 전력 전달부(110)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된다.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의 상기 전력 변환부(111)는 전송 코일(Tx coil)(1111b), 인버터(1112) 및 공진 형성 회로(1116)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인버터(1112)는 상기 전송 코일(1111b) 및 상기 공진 형성 회로(1116)와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송 코일(1111b)은 유도 결합 방식에 따라 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전송 코일(1111a)과 별도로 장착될 수 있으나, 하나의 단일 코일을 이용하여 유도 결합 방식 및 공진 결합 방식으로 전력을 전달할 수도 있다.
상기 전송 코일(1111b)은, 전술된 바와 같이, 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자기장을 형성한다. 상기 전송 코일(1111b) 및 상기 공진 형성 회로(1116)는 교류 전원이 인가되면 진동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 때 상기 전송 코일(1111b)의 인덕턴스 및 상기 공진 형성 회로(1116)의 커패시턴스를 기초로 진동 주파수가 결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인버터(1112)는 상기 전원 공급부(190)로부터 얻은 직류 입력을 교류 파형으로 변형시키고, 상기 변형된 교류 전류가 상기 전송 코일(1111b) 및 상기 공진 형성 회로(1116)에 인가된다.
그 밖에, 상기 전력 변환부(111)는 상기 전력 변환부(111)의 공진 주파수 값을 변경시키기 위한 주파수 조절부(1117, frequency regulation unit or frequency adjustment unit)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력 변환부(111)의 공진 주파수는 수학식 1에 의하여 상기 전력 변환부(111)를 구성하는 회로내의 인덕턴스 및 커패시턴스를 기초로 결정되므로, 상기 전력 송신 제어부(112)는 상기 인덕턴스 및/또는 커패시턴스가 변경되도록 상기 주파수 조절부(1117)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전력 변환부(111)의 공진 주파수를 결정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들에서, 상기 주파수 조절부(1117)는 상기 공진 형성 회로(1116)에 포함된 커패시터 간의 거리를 조절하여 커패시턴스를 변경시킬 수 있는 모터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어떤 실시 예들에서는, 상기 주파수 조절부(1117)가 상기 전송 코일(1111b)의 회전 수(number of turns) 또는 직경을 조절하여 인덕턴스를 변경시킬 수 있는 모터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어떤 실시 예들에서는, 상기 주파수 조절부(1117)가 상기 커패시턴스 및/또는 인덕턴스를 결정하는 능동 소자들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력 변환부(111)는 전력 센싱부(1115)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력 센싱부(1115)의 동작에 대해서는 전술된 바와 동일하다.
도 7b를 참조하여 상기 전자 기기(200)에 포함된 상기 전원 공급부(290)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된다. 상기 전원 공급부(290)는, 전술된 바와 같이, 상기 수신 코일(Rx coil)(2911b) 및 공진 형성 회로(2912)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 외에도, 상기 전원 공급부(290)의 전력 수신부(291)는 공진 현상에 의하여 생성된 교류 전류를 직류로 변환시키는 정류 회로(2913)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정류 회로(2913)는 전술된 바와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그 밖에, 상기 전력 수신부(291)는 상기 전력 수신부(291)의 공진 주파수 값을 변경시키기 위한 주파수 조절부(2917)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력 수신부(291)의 공진 주파수는 수학식 1에 의하여 상기 전력 수신부(291)를 구성하는 회로내의 인덕턴스 및 커패시턴스를 기초로 결정되므로, 상기 전력 수신 제어부(292)는 상기 인덕턴스 및/또는 커패시턴스가 변경되도록 상기 주파수 조절부(2917)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전력 수신부(291)의 공진 주파수를 결정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들에서, 상기 주파수 조절부(2917)는 상기 공진 형성 회로(2912)에 포함된 커패시터 간의 거리를 조절하여 커패시턴스를 변경시킬 수 있는 모터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어떤 실시 예들에서는, 상기 주파수 조절부(2917)가 상기 수신 코일(2911b)의 회전 수(number of turns) 또는 직경을 조절하여 인덕턴스를 변경시킬 수 있는 모터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어떤 실시 예들에서는, 상기 주파수 조절부(2917)가 상기 커패시턴스 및/또는 인덕턴스를 결정하는 능동 소자들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력 수신부(291)는 정류된 전원의 전압 및/또는 전류를 모니터링하는 전력 센싱부(2914)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력 센싱부(2914)는 전술된 바와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도 8은 공진 결합 방식을 지원하는 실시 예들에 따라 전력을 수신하는 하나 이상의 전송 코일들을 가지도록 구성된 무선 전력 전송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을 따르는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의 전력 변환부(111)는 하나 이상의 전송 코일들(1111b-1 내지 1111b-n) 및 각 전송 코일들과 연결된 공진 형성 회로(1116-1 내지 1116-n)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력 변환부(111)는 상기 하나 이상의 전송 코일들(1111b-1 내지 1111b-n) 중 일부의 코일들의 연결을 수립하고 해제하는 다중화기(Multiplexer)(11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전송 코일들(1111b-1 내지 1111b-n)은 동일한 공진 주파수를 갖도록 설정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들에서는, 상기 하나 이상의 전송 코일들(1111b-1 내지 1111b-n)의 일부가 서로 다른 공진 주파수를 갖도록 설정될 수 있으며, 이는 상기 하나 이상의 전송 코일들(1111b-1 내지 1111b-n)과 각각 연결된 상기 공진 형성 회로(1116-1 내지 1116-n)들이 어떠한 인덕턴스 및/또는 커패시턴스를 갖는지에 따라 결정된다.
한편, 상기 하나 이상의 전송코일들(1111b-1 내지 1111b-n)을 포함하도록 구성된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의 활동 영역 또는 감지 영역에 하나 이상의 전자 기기(200)들이 배치된 경우, 상기 전력 송신 제어부(112)는 전자 기기 별로 다른 공진 결합 관계에 놓이도록 상기 다중화기(1113)를 제어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는 각각 다른 코일을 이용하여 무선 전력 신호를 형성함으로써 하나 이상의 전자 기기들에게 무선으로 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력 송신 제어부(112)는 상기 전자 기기들에 대응되는 코일들에 대하여 각각 다른 특성을 가진 전원이 공급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는 전자 기기 별로 다른 전력 전달 방식, 공진 주파수, 효율, 특성 등을 설정하여 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전자 기기들을 위한 전력 전달에 대하여 도 28을 참조하여 후술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주파수 조절부(1117)는 상기 하나 이상의 전송 코일들(1111b-1 내지 1111b-n)과 각각 연결된 상기 공진 형성 회로(1116-1 내지 1116-n)들의 인덕턴스 및/또는 커패시턴스를 변경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무선 충전기의 형태로 구현된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의 예가 설명된다.
도 9는 도 2a에 도시된 구성 외에 추가적인 구성을 더 포함하는 무선 전력 전송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9를 참조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는 전술된 상기 유도 결합 방식 및 공진 결합 방식 중 하나 이상을 지원하는 전력 전달부(110) 및 전원 공급부(190)외에, 센서부(120), 통신부(130), 출력부(140), 메모리(150) 및 제어부(180, control unit or controlle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전력 변환부(110), 상기 센서부(120), 상기 통신부(130), 상기 출력부(140), 상기 메모리(150) 및 상기 전원 공급부(190)를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180)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된 상기 전력 변환부(110) 내의 전력 송신 제어부(112)와 별도의 모듈로 구현되거나 단일 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센서부(120)는 상기 전자 기기(200)의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센서부(120)가 감지한 위치 정보는 상기 전력 변환부(110)가 효율적으로 전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유도 결합 방식을 지원하는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전력 전달의 경우, 상기 센서부(120)는 위치 감지부(detection unit)로 동작할 수 있으며, 상기 센서부(120)가 감지한 위치 정보는 상기 전력 변환부(110) 내의 상기 전송 코일(1111a)을 이동 또는 회전 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전술된 하나 이상의 전송 코일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실시 예들을 따르는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는 상기 전자 기기(200)의 위치 정보를 기초로 상기 하나 이상의 전송 코일들 중 상기 전자 기기(200)의 수신 코일과 유도 결합 관계 또는 공진 결합 관계에 놓일 수 있는 코일들을 결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센서부(120)는 상기 전자 기기(200)가 충전이 가능한 영역으로 접근하는지 여부를 모니터링 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센서부(120)의 접근 여부 감지 기능은 상기 전력 전달부(110) 내의 전력 송신 제어부(112)가 상기 전자 기기(200)의 접근 여부를 감지하는 기능과 별도로 또는 서로 결합되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통신부(130)는 상기 전자 기기(200)와 유무선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상기 통신부(130)는 BluetoothTM, 지그비(Zigbee), UWB(Ultra Wide Band), Wireless USB,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reless LAN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위한 전자 부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출력부(140)는 디스플레이부(141) 및 음향 출력부(142, sound output unit or audio output uni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4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41)는 상기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충전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15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15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150)에는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의 전술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또는 명령들이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무선으로 전력을 전송하기 위하여 상기 메모리(150)에 저장된 프로그램 또는 명령들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에 포함된 다른 구성 요소들(예컨대, 제어부(180))이 상기 메모리(150)를 액세스하기 위해서 메모리 컨트롤러(미도시)를 이용할 수 있다.
이상 개시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장치의 구성은 무선 충전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도킹 스테이션(docking station), 단말기 크래들 장치(cradle device), 기타 전자 장치 등과 같은 장치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0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기기(200)가 이동 단말기 형태로 구현된 경우의 구성을 나타낸다.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200)는 도 2, 도 4 또는 도 7에 도시된 전원 공급부(29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단말기(200)는 무선 통신부(210), A/V(Audio/Video) 입력부(220), 사용자 입력부(230), 센싱부(240), 출력부(250), 메모리(260), 인터페이스부(270), 제어부(2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단말기가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무선 통신부(210)는 단말기(2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단말기(200)와 단말기(2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 또는 단말기(200)와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210)는 방송 수신 모듈(211), 이동통신 모듈(212), 무선 인터넷 모듈(213), 근거리 통신 모듈(214) 및 위치정보 모듈(215, position information module, location information module or position-location modul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2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센터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및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센터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2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수신 모듈(211)은, 예를 들어,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송 수신 모듈(2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다른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방송 수신 모듈(2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2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2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2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단말기(2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2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무선의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한편, 유선의 근거리 통신으로는 USB(Universal Serial Bus), IEEE 1394, 썬더볼트(ThunderboltTM)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213) 또는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214)은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와 데이터 통신 연결을 수립할 수 있다.
상기 수립된 데이터 통신을 통해,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213) 또는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214)은 무선으로 전력을 전달하는 중에, 출력할 오디오 신호가 있는 경우, 상기 오디오 신호를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립된 데이터 통신을 통해,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213) 또는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214)은 디스플레이할 정보가 있는 경우, 상기 정보를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수립된 데이터 통신을 통해,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213) 또는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214)은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에 내장된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213) 또는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214)은 상기 이동 단말기(200)의 식별 정보(예컨대, 휴대폰인 경우 전화 번호, 또는 기기명)를 상기 수립된 데이터 통신을 통해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위치정보 모듈(215)은 단말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A/V(Audio/Video) 입력부(2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221)와 마이크(2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2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2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2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2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2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221)는 사용 환경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2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212)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2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2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센싱부(240)는 근접센서(241), 압력센서(242), 및 모션 센서(243)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근접센서(241)는 이동 단말기(200)로 접근하는 물체나, 이동 단말기(200)의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 등을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근접센서(241)는, 교류자계의 변화나 정자계의 변화를 이용하거나, 혹은 정전용량의 변화율 등을 이용하여 근접물체를 검출할 수 있다. 상기 근접센서(241)는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압력센서(242)는 이동 단말기(200)에 압력이 가해지는지 여부와, 그 압력의 크기 등을 검출할 수 있다. 상기 압력센서(242)는 사용환경에 따라 이동 단말기(200)에서 압력의 검출이 필요한 부위에 설치될 수 있다. 만일, 압력센서(242)가 디스플레이부(251)에 설치되는 경우, 상기 압력센서(242)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251)를 통한 터치 입력과, 터치 입력보다 더 큰 압력이 가해지는 압력터치 입력을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력센서(242)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압력터치 입력시 상기 디스플레이부(251)에 가해지는 압력의 크기도 알 수 있다.
상기 모션 센서(243)는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등을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200)의 위치나 움직임 등을 감지한다. 상기 모션 센서(243)에 사용될 수 있는 가속도 센서는 어느 한 방향의 가속도 변화에 대해서 이를 전기 신호로 바꾸어 주는 소자이다. 가속도 센서는 보통 2축이나 3축을 하나의 패키지에 실장하여 구성되며, 사용 환경에 따라서는 Z축 한 축만 필요한 경우도 있다. 따라서, 어떤 이유로 Z축 방향 대신 X축 또는 Y축 방향의 가속도 센서를 써야 할 경우에는 별도의 조각 기판을 사용하여 가속도 센서를 주 기판에 세워서 실장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자이로 센서는 회전 운동을 하는 이동 단말기(200)의 각속도를 측정하는 센서로서, 각 기준 방향에 대한 회전된 각도를 감지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자이로 센서는 3개 방향의 축을 기준으로 한 각각의 회전 각도, 즉 방위각(azimuth), 피치(pitch) 및 롤(roll)을 감지할 수 있다.
출력부(2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251), 음향 출력 모듈(252), 알람부(253), 및 햅틱 모듈(254)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51)는 단말기(2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단말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단말기(2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2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TOLED(Transparent OLED)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부(251)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단말기 바디의 디스플레이부(251)가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단말기 바디의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
단말기(2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251)이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2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251)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함)에, 디스플레이부(2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2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2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2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280)는 디스플레이부(2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상기 터치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단말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근접 센서(241)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근접 센서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 센서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다.
상기 근접 센서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상기 포인터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포인터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터치스크린(터치 센서)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칭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칭한다.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포인터로 근접 터치가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포인터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상기 근접센서는, 근접 터치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한다. 상기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정보는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252)은 호 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2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2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252)은 단말기(2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 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2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253)는 단말기(2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단말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253)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부(251)나 음성 출력 모듈(2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어서, 그들(251,252)은 알람부(253)의 일부로 분류될 수도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254)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254)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택 모듈(254)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254)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c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254)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254)은 단말기(2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메모리(260)는 제어부(2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26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들에서는, 메모리(260)에 운영 체제(Operating System)(미도시), 무선통신부(210) 기능을 수행하는 모듈, 사용자 입력부(230)와 함께 동작하는 모듈, A/V 입력부(220)와 함께 동작하는 모듈, 출력부(250)와 함께 동작하는 모듈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들이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운영 체제(예를 들어, LINUX, UNIX, OS X, WINDOWS, Chrome, Symbian, iOS, Android, VxWorks 또는 기타 임베디드 운영체제)는 메모리 관리, 전력 관리 등과 같이 시스템 작업(tasks)들을 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들 및/또는 드라이버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260)는 무선 전력 전송 또는 무선 충전과 관련된 설정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설정 프로그램은 상기 제어부(280)에 의하여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260)는 어플리케이션 제공 서버(예: 앱스토어)로부터 다운로드한 무선 전력 전송(또는 무선 충전)과 관련된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무선 전력 전송 관련 어플리케이션은 무선 전력 전송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상기 전자 기기(200)는 해당 프로그램을 통해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로부터 무선으로 전력을 수신하거나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와 데이터 통신을 위한 연결을 수립할 수 있다.
메모리(2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기(2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2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270)는 단말기(2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2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단말기(2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단말기(2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270)에 포함될 수 있다.
식별 모듈은 단말기(2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t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단말기(20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단말기(2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단말기(2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단말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단말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도 있다.
제어부(controller, 280)는 통상적으로 단말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2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2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281)은 제어부(2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2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된 상기 전원 공급부(290) 내의 전력 수신 제어부(292)와 별도의 모듈로 구현되거나 단일 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8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80)는 사용자 입력 또는 내부 입력에 따라 유선 충전 또는 무선 충전을 수행한다. 여기서, 내부 입력은 단말기 내부의 2차코일에서 생성되는 유도 전류가 감지되었음을 알리는 신호이다.
전술한 무선 충전이 이루어질 경우, 상기 제어부(280)가 각 구성 요소를 제어하는 동작에 관해서는 이하 도 14의 동작 상태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된다. 전술된 바와 같이, 상기 전원 공급부(290) 내의 전력 수신 제어부(292)는 상기 제어부(280)에 포함되어 구현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서 상기 전력 수신 제어부(292)에 의한 동작은 상기 제어부(280)가 수행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전원 공급부(290)는 제어부(2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및/또는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공급부(290)는 단말기(200)의 각 구성요소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299)를 구비하며, 상기 배터리(299)를 유선 또는 무선 충전하기 위한 충전부(298)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무선으로 전력을 수신하는 장치로서 이동 단말을 예로서 개시하고 있으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1a 및 도 11b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을 따르는 무선 전력 전달에 있어서 무선 전력 신호의 변조 및 복조를 통하여 무선 전력 전송장치와 전자 기기 사이에 패킷을 송수신하는 개념을 도시한다.
도 11a를 참조하면, 상기 전력 변환부(111)에 의하여 형성되는 상기 무선 전력 신호는 자기장(magnetic field) 또는 전자기장(electro-magnetic field) 내에서 폐루프(closed-loop)를 형성하므로, 상기 전자 기기(200)가 상기 무선 전력 신호를 수신하는 중에 상기 무선 전력 신호를 변조(modulation)하는 경우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는 변조된 무선 전력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변복조부(113)는 상기 감지된 무선 전력 신호를 복조(demodulation)하고, 복조된 무선 전력 신호로부터 상기 패킷을 디코딩(decoding)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와 상기 전자 기기(200) 간의 통신에 사용되는 변조 방법은 진폭 변조(Amplitude Modulation)일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상기 진폭 변조 방식은 상기 전력 변환부(111)가 형성한 무선 전력 신호(10a)의 진폭을 상기 전자 기기(200) 측의 변복조부(293)가 변경시켜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 측의 변복조부(293)가 상기 변조된 무선 전력 신호(10b)의 진폭을 검출하는 백스캐터 변조(backscatter modulation) 방식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1b를 더 참조하면, 상기 전자 기기(200) 측의 전력 수신 제어부(292)는 상기 전력 수신부(291)을 통하여 수신되는 무선 전력 신호(10a)를 상기 변복조부(293) 내의 부하 임피던스(Impedance)를 변경시킴으로써 변조한다. 상기 전력 수신 제어부(292)는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로 전송하고자 하는 전력 제어 메시지를 포함하는 패킷이 포함되도록 상기 무선 전력 신호(10a)를 변조한다.
그 후,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 측의 전력 송신 제어부(112)는 상기 변조된 무선 전력 신호(10b)를 포락선 검출(Envelop Detection) 과정을 통하여 복조하고, 상기 검출된 신호(10c)를 디지털 데이터(10d)로 디코딩(decoding)한다. 상기 복조 과정은 변조된 무선 전력 신호에 의하여 상기 전력 변환부(111)를 흐르는 전류 또는 전압이 HI 상태(HI Phase) 및 LO 상태(Phase)로 두 가지 상태로 구분되는 것을 감지하고, 상기 상태들에 따라 구분되는 디지털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전자 기기(200)가 전송하고자 하는 패킷을 획득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가 복조된 디지털 데이터로부터 상기 전자 기기(200)가 전송하고자 하는 전력 제어 메시지를 획득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12a 및 도 12b는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가 전력 제어 메시지를 구성하는 데이터 비트 및 바이트의 표시 방법을 도시한다.
도 12a를 참조하면, 상기 전력 송신 제어부(112)는 포락선 검출된 신호로부터 클럭 신호(CLK)를 이용하여 인코딩된 비트를 검출한다. 상기 검출되는 인코딩된 비트는 상기 전자 기기(200) 측의 변조 과정에서 사용된 비트 인코딩 방법에 따라 인코딩 된 것이다. 어떤 실시 예들에서, 상기 비트 인코딩 방법은 NRZ(non-return to zero)일 수 있다. 어떤 실시 예들에서는, 상기 비트 인코딩 방법이 2-위상(bi-phase) 인코딩일 수 있다.
예컨대, 어떤 실시 예들에서, 상기 검출되는 비트는 차동 2-위상(differential bi-phase; DBP) 인코딩된 것일 수 있다. 상기 DBP 인코딩에 의하면, 상기 전자 기기(200) 측의 전력 수신 제어부(292)는 데이터 비트 1을 인코딩하기 위하여 두 번의 상태 전이(transitions)를 갖도록 하고, 데이터 비트 0을 인코딩하기 위하여 한 번의 상태 전이를 갖도록 한다. 즉, 데이터 비트 1은 상기 클럭 신호의 상승 에지(rising edge) 및 하강 에지(falling edge)에서 HI 상태 및 LO 상태간의 전이가 발생하도록 인코딩된 것이고, 데이터 비트 0은 상기 클럭 신호의 상승 에지에서 HI 상태 및 LO 상태간의 전이가 발생하도록 인코딩된 것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전력 송신 제어부(112)는 비트 인코딩 방법에 따라 검출된 비트열로부터 패킷을 구성하는 바이트 포맷(byte format)을 이용하여 바이트 단위의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들에서, 상기 검출된 비트열은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은 11 비트 비동기 직렬 포맷(11-bit asynchronous serial format)을 이용하여 전송된 것일 수 있다. 즉, 바이트의 시작을 알리는 시작 비트(start bit)와 종료를 알리는 종료 비트(stop)를 포함하고, 시작 비트와 종료 비트 사이에 데이터 비트들(b0 내지 b7)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의 오류를 검사하기 위한 패러티 비트(parity bit)가 추가될 수 있다. 상기 바이트 단위의 데이터는 전력 제어 메시지를 포함하는 패킷을 구성한다.
도 13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을 따르는 무선 전력 전달방법에 사용되는 전력 제어 메시지를 포함하는 패킷을 도시한다.
상기 패킷(500)은 프리앰블(preamble)(510), 헤더(header)(520), 메시지(message)(530) 및 체크섬(checksum)(540)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리앰블(510)은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가 수신되는 데이터와 동기화를 수행하고 상기 헤더(520)의 시작 비트를 정확히 검출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프리앰블(510)은 동일한 비트가 반복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프리앰블(510)은 상기 DBP 인코딩에 따른 데이터 비트 1이 11번 내지 25번 반복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헤더(520)는 상기 패킷(500)의 타입을 지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헤더(520)가 나타내는 값을 기초로 상기 메시지(530)의 크기 및 그 종류가 결정될 수 있다. 상기 헤더(520)는 일정한 크기를 가진 값이며, 상기 프리앰블(510)에 이어서 위치한다. 예컨대, 상기 헤더(520)는 한 바이트의 크기일 수 있다.
상기 메시지(530)는 상기 헤더(520)를 기초로 결정되는 데이터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메시지(530)는 종류에 따라 정해진 크기를 갖는다.
상기 체크섬(540)은 전력 제어 메시지가 전송되는 도중에 상기 헤더(520) 및 상기 메시지(530)에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감지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동기화를 위한 상기 프리앰블(510) 및 오류 검사를 위한 상기 체크섬(540)을 제외한 상기 헤더(520) 및 상기 메시지(530)를 명령 패킷(command_packet)이라고 부를 수 있다.
이하에서,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 및 상기 전자 기기(200)의 동작 상태들에 대하여 설명된다.
도 14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을 따르는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 및 전자 기기(200)의 동작 상태들을 도시한다. 또한, 도 15 내지 도 19는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 및 전자 기기(200)간의 전력 제어 메시지를 포함하는 패킷들의 구조를 도시한다.
도 14를 참조하면, 무선 전력 전송을 위한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 및 전자 기기(200)의 동작 상태는 선택 상태(Selection Phase) (610), 검출 상태(Ping Phase)(620), 식별 및 설정 상태(Identification and Configuration Phase)(630), 그리고 전력 전송 상태(Power Transfer Phase)(640)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선택 상태(610)에서는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가 무선으로 전력을 전송할 수 있는 범위 내에 물체(object)들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감지하고, 상기 검출 상태(620)에서는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가 상기 감지된 물체로 검출 신호를 보내고, 상기 전자 기기(200)는 상기 검출 신호에 대한 응답을 보낸다.
또한, 상기 식별 및 설정 상태(630)에서는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가 이전 상태들을 통하여 선택된 전자 기기(200)를 식별하고 전력 전달을 위한 설정 정보를 획득한다. 상기 전력 전송 상태(640)에서는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가, 상기 전자 기기(200)로부터 수신한 제어 메시지에 대응하여 전송하는 전력을 조절하면서, 상기 전자 기기(200)로 전력을 전송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각 동작 상태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1) 선택 상태(Selection Phase)
상기 선택 상태(610)에 있는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는 감지 영역 내에 존재하는 전자 기기(200)를 선택하기 위하여 검출 과정을 수행한다. 상기 감지 영역은, 전술된 바와 같이, 해당 영역 내의 물체가 상기 전력 변환부(111)의 전력의 특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영역을 말한다. 상기 검출 상태(620)와 비교하여, 상기 선택 상태(610)에서 전자 기기(200)의 선택을 위한 검출 과정은 전력 제어 메시지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 기기(200)로부터 응답을 수신하는 방식 대신에,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 측의 전력 변환부에서 무선 전력 신호를 형성하기 위한 전력량이 변화하는 것을 감지하여 일정 범위 내에 물체가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과정이다. 상기 선택 상태(610)에서의 검출 과정은 후술될 검출 상태(620)에서 디지털 형식의 패킷을 이용하지 아니하고 무선 전력 신호를 이용하여 물체를 검출하는 점에서 아날로그 검출 과정(analog ping)으로 불릴 수 있다.
상기 선택 상태(610)의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는 상기 감지 영역 내에 물체가 들어오고 나가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는 상기 감지 영역 내에 있는 물체들 중에서 무선으로 전력을 전달할 수 있는 전자 기기(200)와 그 밖의 물체들(예를 들어, 열쇠, 동전 등)을 구분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유도 결합 방식 및 공진 결합 방식에 따라 무선으로 전력을 전송할 수 있는 거리가 다르므로 상기 선택 상태(610)에서 물체가 검출되는 감지 영역은 서로 다를 수 있다.
먼저, 유도 결합 방식에 따라 전력이 전송되는 실시 예들의 경우, 상기 선택 상태(610)의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는 물체들의 배치 및 제거를 감지하기 위하여 인터페이스 표면(미도시)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는 상기 인터페이스 표면의 상부에 놓인 전자 기기(200)의 위치를 감지할 수도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전송 코일을 포함하도록 형성된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는 상기 선택 상태(610)에서 상기 검출 상태(620)로 진입하고, 상기 검출 상태(620)에서 각각의 코일을 이용하여 상기 물체로부터 검출 신호에 대한 응답이 전송되는지 여부를 확인하거나 또는 그 후 상기 식별 상태(630)로 진입하여 상기 물체로부터 식별 정보가 전송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는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획득한 상기 감지된 전자 기기(200)의 위치에 기초하여 무선 전력 전송에 사용될 코일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공진 결합 방식에 따라 전력이 전송되는 실시 예들의 경우, 상기 선택 상태(610)의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는 상기 감지 영역 내의 물체로 인한 상기 전력 변환부의 주파수, 전류, 전압 중 하나 이상이 변경되는 것을 감지함으로 써 상기 물체를 검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선택 상태(610)의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는 상기 유도 결합 방식 및 공진 결합 방식에 따른 검출 방법 중 적어도 하나의 방법에 의하여 물체를 검출할 수 있다.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는 각 전력 전송 방식에 따른 물체 검출 과정을 수행하고, 이후에 다른 상태들(620, 630, 640)로 진행하기 위하여 무선 전력 전달을 위한 결합 방식 중에서 상기 물체를 검출한 방식을 선택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선택 상태(610)의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는 물체를 검출하기 위하여 형성하는 무선 전력 신호와 이후 상태들(620, 630, 640)에서의 디지털 검출, 식별, 설정 및 전력 전송을 위하여 형성하는 무선 전력 신호는 그 주파수, 세기 등의 특성이 다를 수 있다. 이는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의 선택 상태(610)는 물체를 검출하기 위한 대기 상태(idle Phase)에 해당하여,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가 대기 중의 소비 전력을 줄이거나, 또는 효율적인 물체 검출을 위하여 특화된 신호를 생성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2) 검출 상태(Ping Phase)
상기 검출 상태(620)에 있는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가 전력 제어 메시지를 통해 상기 감지 영역 내에 존재하는 전자 기기(200)를 검출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상기 선택 상태(610)에서 무선 전력 신호의 특성 등을 이용한 전자 기기(200)의 검출 과정과 비교하여, 상기 검출 상태(620)에서의 검출 과정은 디지털 검출 과정(digital ping)이라 불릴 수 있다.
상기 검출 상태(620)에서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는 상기 전자 기기(200)를 검출하기 위한 무선 전력 신호를 형성하고, 상기 전자 기기(200)에 의하여 변조된 무선 전력 신호를 복조하고, 상기 복조된 무선 전력 신호로부터 상기 검출 신호에 대한 응답에 해당하는 디지털 데이터 형태의 전력 제어 메시지를 획득한다.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는 상기 검출 신호에 대한 응답에 해당하는 전력 제어 메시지를 수신함으로써 전력 전송의 대상이 되는 상기 전자 기기(200)를 인지 할 수 있다.
상기 검출 상태(620)에 있는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가 디지털 검출 과정을 수행하기 위하여 형성하는 검출 신호는 특정 동작 포인트(operating point)의 전력 신호를 일정한 시간 동안 인가함으로써 형성되는 무선 전력 신호일 수 있다. 상기 동작 포인트는 전송 코일(Tx coil)에 인가되는 전압의 주파수, 듀티 사이클(duty cycle) 및 진폭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는 상기 특정 동작 포인트의 전력 신호를 인가함으로써 생성된 상기 검출 신호를 일정한 시간 동안 생성하고, 상기 전자 기기(200)로부터 전력 제어 메시지를 수신할 것을 시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검출 신호에 대한 응답에 해당하는 전력 제어 메시지는 상기 전자 기기(200)가 수신한 무선 전력 신호의 강도(strength)를 나타내는 메시지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자 기기(200)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기 검출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서 수신된 무선 전력 신호의 강도를 나타내는 메시지가 포함된 신호 강도 패킷(Signal Strength Packet)(5100)을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패킷(5100)은 신호 강도를 나타내는 패킷임을 알리는 헤더(5120) 및 상기 전자 기기(200)가 수신한 전력 신호의 강도를 나타내는 메시지(5130)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메시지(5130) 내의 전력 신호의 강도는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와 상기 전자 기기(200) 사이의 전력 전송을 위한 유도 결합 또는 공진 결합의 정도(degree of coupling)를 나타내는 값일 수 있다.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는 상기 검출 신호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여 상기 전자 기기(200)를 발견한 후에, 상기 디지털 검출 과정을 연장하여 식별 및 검출 상태(630)로 진입할 수 있다. 즉,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는 상기 전자 기기(200)를 발견한 후에 상기 특정 동작 포인트의 전력 신호를 유지하여 상기 식별 및 검출 상태(630)에서 필요한 전력 제어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다만,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가 전력을 전달할 수 있는 전자 기기(200)를 발견하지 못한 경우,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의 동작 상태는 상기 선택 상태(610)로 되돌아갈 수 있다.
3) 식별 및 설정 상태(Identification and Configuration Phase)
상기 식별 및 설정 상태(630)의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는 상기 전자 기기(200)가 전송하는 식별 정보 및/또는 설정 정보를 수신하여 전력 전달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식별 및 설정 상태(630)에서 상기 전자 기기(200)는 자신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전력 제어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전자 기기(200)는, 예컨대, 도 16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전자 기기(200)의 식별 정보를 나타내는 메시지가 포함된 식별 패킷(Identification Packet)(5200)을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패킷(5200)은 식별 정보를 나타내는 패킷임을 알리는 헤더(5220) 및 상기 전자 기기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5230)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메시지(5230)는 무선 전력 전송을 위한 규약의 버전을 나타내는 정보(2531 및 5232), 상기 전자 기기(200)의 제조 업체를 식별하는 정보(5233), 확장 장치 식별자의 유무를 나타내는 정보(5234) 및 기본 장치 식별자(5235)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확장 장치 식별자의 유무를 나타내는 정보(5234)에 확장 장치 식별자가 존재하는 것으로 표시되는 경우, 도 16B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확장 장치 식별자를 포함한 확장 식별 패킷(Extended Identification Packet)(5300)이 별도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패킷(5300)은 확장 장치 식별자를 나타내는 패킷임을 알리는 헤더(5320) 및 확장 장치 식별자를 포함하는 메시지(5330)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확장 장치 식별자가 사용되는 경우에, 상기 전자 기기(200)를 식별하기 위하여 상기 제조 업체의 식별 정보(5233), 상기 기본 장치 식별자(5235) 및 상기 확장 장치 식별자(5330)에 기초한 정보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식별 및 설정 상태(630)에서 상기 전자 기기(200)는 예상 최대 전력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전력 제어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전자 기기(200)는, 예컨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설정 패킷(Configuration Packet)(5400)을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패킷은 설정 패킷임을 알리는 헤더(5420) 및 상기 예상 최대 전력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5430)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메시지(5430)는 전력 클래스(5431), 예상 최대 전력에 대한 정보(5432), 무선 전력 전송장치 측의 주요 셀의 전류를 결정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지시자(5433), 선택적인 설정 패킷들의 수(5434)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지시자(5433)는 무선 전력 전송을 위한 규약에 명시된 대로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 측의 주요 셀의 전류가 결정될 것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에 따라 상기 전자 기기(200)는 자신의 요구 전력 정보 또는 그 프로파일 정보를 포함하는 전력 제어 메시지를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들에서는 상기 전자 기기(200)의 요구 전력 정보 또는 그 프로파일 정보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설정 패킷(5400)에 포함되어 전송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들에서는 상기 전자 기기(200)의 요구 전력 정보 또는 그 프로파일 정보는 별도의 설정을 위한 패킷에 포함되어 전송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는 상기 식별 정보 및/또는 설정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전자 기기(200)와 전력 충전에 사용되는 전력 전달 규약(power transfer contract)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전력 전달 규약은 상기 전력 전달 상태(640)에서의 전력 전달 특성을 결정하는 파라미터들의 한정 사항들(limits)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는 상기 전력 전달 상태(640)로 진입하기 전에 상기 식별 및 설정 상태(630)를 종료하고, 상기 선택 상태(610)로 되돌아 갈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는 무선으로 전력을 수신할 수 있는 다른 전자 기기를 찾기 위하여 상기 식별 및 설정 상태(630)를 종료할 수 있다.
4) 전력 전송 상태(Power Transfer Phase)
상기 전력 전송 상태(640)에서의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는 상기 전자 기기(200)로 전력을 전송한다.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는 전력을 전송하는 도중에 상기 전자 기기(200)로부터 전력 제어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전력 제어 메시지에 대응하여 상기 전송 코일에 인가되는 전력의 특성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송 코일의 전력 특성을 조절하기 위해 사용되는 전력 제어 메시지는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어 오류 패킷(Control Error Packet)(5500)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패킷(5500)은 제어 오류 패킷임을 알리는 헤더(5520)와 제어 오류 값을 포함하는 메시지(5530)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는 상기 제어 오류 값에 따라 상기 전송 코일에 인가되는 전력을 조절할 수 있다. 즉, 상기 전송 코일에 인가되는 전류는 상기 제어 오류 값이 0인 경우에 유지되고, 음수(negative value)인 경우에 감소되고, 양수(positive value)인 경우에 증가하도록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전력 전송 상태(640)에서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는 상기 식별 정보 및/또는 설정 정보를 기초로 생성된 전력 전달 규약(power transfer contract) 내의 파라미터들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상기 파라미터들을 모니터링한 결과, 상기 전자 기기(200)와의 전력 전송이 상기 전력 전달 규약 내에 포함되어 있는 한정 사항들을 위반하게 되는 경우에는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는 상기 전력 전송을 취소하고 상기 선택 상태(610)로 되돌아갈 수 있다.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는 상기 전자 기기(200)로부터 전달된 전력 제어 메시지를 기초로 상기 전력 전송 상태(640)를 종료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들에서, 상기 전자 기기(200)가 전달된 전력을 이용하여 배터리를 충전하는 도중에 상기 배터리의 충전이 완료된 경우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로 무선 전력 전송을 중지할 것을 요청하는 전력 제어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는 상기 전력 전송의 중지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수신한 후, 무선 전력 전송을 종료하고 상기 선택 상태(610)로 되돌아 갈 수 있다.
또한 어떤 실시 예들에서는, 상기 전자 기기(200)가 이미 생성된 전력 전달 규약을 갱신하기 위하여 재협상(renegotiation) 또는 재설정(reconfigure)을 요청하는 전력 제어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전자 기기(200)는 현재 전송되는 전력량보다 많거나 적은 양의 전력이 필요한 경우에 상기 전력 전달 규약의 재협상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는 상기 전력 전달 규약의 재협상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수신한 후, 무선 전력 전송을 종료하고 상기 식별 및 설정 상태(630)로 되돌아 갈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전자 기기(200)가 전송하는 메시지는, 예컨대,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전력 전송 중단 패킷(End Power Transfer Packet)(5600)일 수 있다. 상기 패킷(5600)은 전력 전송 중단 패킷임을 알리는 헤더(5620) 및 중단의 이유를 나타내는 전력 전송 중단 코드를 포함하는 메시지(5630)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력 전송 중단 코드는 충전 완료(Charge Complete), 내부 오류(Internal Fault), 과열(Over Temperature), 과전압(Over Voltage), 과전류(Over Current), 배터리 오류(Battery Failure), 재설정(Reconfigure), 무응답(No Response), 알려지지 않은 오류(Unknown) 중 어느 하나를 나타낼 수 있다.
이하, 도 20 내지 도 31를 참조하여 무선 전력 전송장치가 무선 전력 전송을 위한 주파수를 주기적으로 변경하는 방법에 대하여 개시된다.
주기적으로 주파수를 변경하는 기능을 구비하는 무선 전력 전송장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에 따른 주기적으로 주파수를 변경하는 기능을 구비하는 무선 전력 전송장치는, 캐리어 신호를 근거로 무선 전력을 전송하기 위한 무선 전력 신호를 형성하는 전력 전달부, 상기 캐리어 신호에 대한 스윕(Sweep) 주파수 범위 및 스윕 주기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스윕(Sweep) 주파수 범위 및 스윕 주기를 근거로 상기 캐리어 신호의 주파수를 주기적으로 변경하여 상기 무선 전력 신호의 주파수가 주기적으로 변경되도록 상기 전력 전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자기장을 이용한 무선전력전송 기술에 있어서 다양한 규제가 있을 수 있다.
특히, 무선전력전송 기술에 있어서, EMC (Electro-magnetic Compatibility)의 규제를 받을 수 있고 , 각 국가별, 지역별 제한하는 수치 역시 다른 값을 가질 수 있다.
EMC 규제를 회피하거나 극복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방법으로는 ISM (Industrial, Scientific, Medical) band 에 해당하는 주파수를 사용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전력전송에 있어서서, 6.78MHz, 13.56MHz 등을 사용하는 방안이 있을 수 있다.
다른 주파수 대역으로서는 수백 KHz 대역을 사용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으며, 이러한 주파수를 사용할 경우 수십 W를 전송하는데 있어서는 FCC등의 규제보다는 CISPR 11 (Industrial, scientific and medical equipment - Radio-frequency disturbance characteristics -Limits and methods of measurement)의 규제를 받을 수 있으며, 이 경우 저 주파수 대역에서의 자기장 강도를 강하게 규제받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장치는 무선 전력 신호의 주파수를 주기적으로 변경하여 특정 주파수 영역에서의 자기장 강도를 낮출 수 있다. 이를 상기 무선 전력 신호의 주파수 스윕(Sweep)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다른 말로는 상기 무선 전력 신호 주파수에 대한 디더링(dithering)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무선 전력 신호의 주파수 스윕은 스프레드 스펙트럼(Spread Spectrum) 기술이 적용되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는 상기 무선 전력 신호의 형성 근거가 되는 캐리어 신호의 주파수를 주기적으로 변경하여 상기 무선 전력 신호를 주기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구체적인 상기 무선 전력 신호 주파수 스윕방법이 이하에서 자세히 후술된다.
도 20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에 따라 주파수를 설정하는 무선 전력 전송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또한, 도 20은 도 2a에 도시된 구성 외에 추가적인 구성을 더 포함하는 무선 전력 전송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0을 참조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는 전술된 상기 유도 결합 방식 및 공진 결합 방식 중 하나 이상을 지원하는 전력 전달부(또는 무선 전력 전달부, 110) 및 제어부(18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는 이외에 무선 전력 신호의 전송주파수의 설정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전원 공급부(190), 센서부(120), 통신부(130), 출력부(140) 및 메모리(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외에도, 상기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는 주파수 설정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다양한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상기 전력 전달부(110)는 캐리어 신호를 근거로 무선 전력을 전송하기 위한 무선 전력 신호를 형성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무선 전력 신호의 형성과정을 살펴보면, 상기 전력 전달부(110)는 전력 변환부(111)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전력 변환부(111)는 전송 코일(Tx coil)(1111b), 인버터(1112) 및 공진 형성 회로(1116)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버터(1112)는 상기 전송 코일(1111b) 및 상기 공진 형성 회로(1116)와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버터(1112)는 상기 전원 공급부(190)로부터 얻은 직류 입력(DC input)을 교류 파형(AC waveform)으로 변형시킨다. 상기 인버터(1112)에 의해 변형된 교류 전류는 상기 전송 코일(1111a) 및 커패시터(capacitor)(미도시)를 포함하는 진동 회로(resonant circuit)를 구동시킴으로써 자기장이 상기 전송 코일(1111a)에서 형성된다. 상기 형성된 자기장으로 인하여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로부터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로 무선 전력 신호가 전달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인버터(1112)에 생성되는 상기 교류 파형은 캐리어 신호일 수 있고, 상기 캐리어 신호가 상기 진동 회로를 구동하며, 상기 구동에 의해 상기 전송 코일(1111a)로부터 상기 무선 전력 신호가 생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무선 전력 신호는 상기 캐리어 신호를 근거로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전력 전달부(110)는 상기 제어부(180)에 의해 결정된 스윕(Sweep) 주파수 범위 및 스윕 주기를 근거로 상기 캐리어 신호의 주파수를 주기적으로 변경하여 상기 무선 전력 신호의 주파수가 변경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장치는 단방향 통신 무선 전력 전송시스템에도 적용될 수 있지만, 양방향 통신 무선 전력 전송시스템에도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가 양방향 통신에 적용되는 경우, 상기 전력 전달부(110)는 무선 전력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무선 전력신호를 수신하는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로부터 전력전송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는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으로부터 획득된 전력전송정보를 근거로 전송 프로파일을 생성하고, 상기 전송 프로파일을 근거로 상기 스윕 주파수 범위 또는 스윕 주기를 결정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스윕 주파수 범위는, 상기 수신측 전압이 상기 제 1 기준전압 이하이고, 상기 제 2 기준전압 이상인 범위 내에 해당하는 주파수 범위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전력 전달부(110)는 다양한 방식으로 상기 전력전송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력 전달부(110)는, 서로 다른 주파수를 가지는 무선 전력신호들을 순차적으로 전송하고, 상기 순차적으로 전송된 각 무선 전력신호에 해당하는 전력전송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을 주파수 스캐닝이라고 할 수 있다.
상기 주파수 스캐닝을 통하여, 상기 무선 전력 신호의 주파수 및 상기 전력전송정보 간의 관계가 검출될 수 있고, 상기 검출된 관계에 근거하여 상기 무선 전력 신호의 전송주파수가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력전송정보는,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의 수신측 전압,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의 수신측 전류, 제 1 기준전압 및 제 2 기준전압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수신측 전압 및 상기 수신측 전류는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 내부에 존재하는 전압 및 전류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수신측 전압 및 상기 수신측 전류는 상기 수신 코일(Rx coil)(2911a)의 출력 전압 및 출력 전류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기준전압 및 상기 제 2 기준전압은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의 수신측(또는 수신단) 전압과 관련된 전압정보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기준전압은,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에 대한 손상 유발이 가능한 전압인지 여부를 기준으로 결정되고, 상기 제 2 기준전압은,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가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로부터 무선 전력을 수신할 수 있는 전압인지 여부를 기준으로 결정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의 수신측 전압이 100V 이상에서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에 대한 손상 유발 가능성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 1 기준전압은 100V가 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기준전압은 손상 유발이 가능한 수신측의 최소 전압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의 수신측 전압이 10V 이하에서, 정상적으로 무선 전력을 수신할 수 없는 경우, 상기 제 2 기준전압은 10V 일 수 있다. 즉, 상기 제 2 기준전압은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가 정상적으로 동작할 수 있는 수신측의 최소 전압일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무선 전력 신호의 전송주파수에 대한 스윕(Sweep, 또는 디더링)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무선 전력 신호의 전송주파수의 스윕 기능의 수행을 위해 상기 전력 전달부(110), 상기 센서부(120), 상기 통신부(130), 상기 출력부(140), 상기 메모리(150) 및 상기 전원 공급부(190)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80)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된 상기 전력 전달부(110) 내의 전력 송신 제어부(112)와 별도의 모듈로 구현되거나 단일 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캐리어 신호에 대한 스윕(Sweep) 주파수 범위 및 스윕 주기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결정된 스윕(Sweep) 주파수 범위 및 스윕 주기를 근거로 상기 캐리어 신호의 주파수를 주기적으로 변경하여 상기 무선 전력 신호의 주파수가 변경되도록 상기 전력 전달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무선 전력 신호의 주파수는 사이 캐리어 신호의 주파수가 주기적으로 변경됨에 의해 주기적으로 변경(또는 스윕)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무선 전력 신호의 주파수 스윕에 의해 상기 무선 전력 신호의 주파수 스펙트럼이 스프레드되는 효과가 발생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특정 주파수 대역에서의 자기장 강도가 감소되어 EMC (Electro-magnetic Compatibility) 규제에 대응하기가 보다 수월해질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으로부터 획득된 전력전송정보를 근거로 전송 프로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전송 프로파일을 근거로 상기 스윕 주파수 범위 또는 스윕 주기를 결정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송 프로파일은, 상기 수신측 전압, 전송효율 및 전송이득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무선 전력 신호의 주파수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송효율은,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의 전송전력 및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의 수신전력 간의 비율이고, 상기 전송이득은,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의 송신측 전압 및 상기 수신측 전압 간의 비율인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전송 프로파일의 특성을 근거로 상기 스윕 주파수 범위 또는 스윕 주기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송 프로파일의 특성 상 특정 주파수에서 전송이득이 최대인 경우,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특정 주파수를 포함하는 일정한 주파수 범위를 상기 스윕 주파수 범위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전송 프로파일 상의 최대 전송이득값이 매우 커서 빠른 스펙트럼의 분산 효과가 필요한 경우, 상기 스윕 주기를 줄일 수 있다(또는 상기 빠른 스펙트럼의 분산효과가 나타내도록 상기 스윕 주기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스윕 주파수 범위 중 특정 주파수를 상기 무선 전력신호의 전송주파수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특정 주파수는 주파수 스윕 과정에서 선택되는 주파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스윕 주파수 범위가 10MHz ~ 11MHz이고, 단위 스윕 주파수(또는 스윕되는 단위 주파수)가 0.1MHz이고, 기존의 무선 전력 신호의 주파수(또는 전송 주파수)가 10MHz인 경우, 상기 특정 주파수는 10.1MHz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특정 주파수에 해당하는 무선 전력신호를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에 전송하도록 상기 전력 전달부(110)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캐리어 신호에 대한 스윕 주기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다양한 기준 또는 방식으로 상기 스윕 주기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스윕 주기는 사용자 선택 입력에 근거하여 결정된 스윕 주기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스윕 주기는 EMC를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으며, 또한, 주파수에 대한 전송이득 또는 전송효율을 근거로 결정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스윕 주기는, 전송 프로파일을 근거로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송 프로파일의 특성상 빠른 시간동안의 스펙트럼의 분산 효과가 발생되어야 하는 경우, 상기 스윕 주기는 보다 작게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전송 프로파일을 근거로 한 스윕 주파수 범위 또는 스윕 주기의 결정 방법에 대해서는 도 25 내지 도 27을 참조하여 자세히 후술된다.
상기 센서부(120)는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의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센서부(120)가 감지한 위치 정보는 상기 전력 변환부(110)가 효율적으로 전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유도 결합 방식을 지원하는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전력 전달의 경우, 상기 센서부(120)는 위치 감지부(detection unit)로 동작할 수 있으며, 상기 센서부(120)가 감지한 위치 정보는 상기 전력 변환부(110) 내의 상기 전송 코일(1111a)을 이동 또는 회전 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술된 하나 이상의 전송 코일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실시 예들을 따르는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는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의 위치 정보를 기초로 상기 하나 이상의 전송 코일들 중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의 수신 코일과 유도 결합 관계 또는 공진 결합 관계에 놓일 수 있는 코일들을 결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센서부(120)는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가 충전이 가능한 영역으로 접근하는지 여부를 모니터링 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센서부(120)의 접근 여부 감지 기능은 상기 전력 전달부(110) 내의 전력 송신 제어부(112)가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의 접근 여부를 감지하는 기능과 별도로 또는 서로 결합되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통신부(130)는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와 유무선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상기 통신부(130)는 BluetoothTM, 지그비(Zigbee), UWB(Ultra Wide Band), Wireless USB,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reless LAN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위한 전자 부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출력부(140)는 디스플레이부(141) 및 음향 출력부(14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4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41)는 상기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충전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15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SSD(Solid-State Drive),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15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150)에는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의 전술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또는 명령들이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무선으로 전력을 전송하기 위하여 상기 메모리(150)에 저장된 프로그램 또는 명령들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에 포함된 다른 구성 요소들(예컨대, 제어부(180))이 상기 메모리(150)를 액세스하기 위해서 메모리 컨트롤러(미도시)를 이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에 따라 주파수를 설정하는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는 도 2a에 도시된 무선 전력 전송장치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력 변환부(111)는 일정한 주파수 범위 내의 주파수 스캐닝(전술한 방식을 의미함)을 수행하고, 상기 주파수 스캐닝된 주파수에 대한 일정 영역 내의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에 의한 전력전송정보를 획득하고, 설정된 동작 주파수(또는 전송주파수)에 따라 무선으로 전력을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전력 송신 제어부(112)는 전력전송정보를 획득할 것인지 여부를 판단할수 있다. 즉,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력전송정보는, 상기 수신측 전압, 전송효율 및 전송이득 중 적어도 하나가 기준 값 이하인 경우, 특정 영역 내에 새로운 무선 전력 수신장치가 배치되는 경우, 상기 특정 영역 내에 존재하는 무선 전력 수신장치의 개수가 변경하는 경우, 상기 특정 영역 내에 존재하는 하나 이상의 무선 전력 수신장치의 위치가 변경하는 경우, 주기적으로 또는 무선 전력 수신장치로부터 수신된 요청이 있는 경우에 획득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력 송신 제어부(112)는 전송되는 전력의 전송 효율이 소정의 값 이하가 되는지 여부, 주파수 설정의 변경을 요청하는 제어 메시지를 수신하였는지 여부, 또는 주기적으로 전력전송정보가 획득되는 경우에 있어서, 일정 시간이 경과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전력전송정보를 획득할 것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특정 영역은, 상기 무선 전력 신호가 통과하는 영역 또는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가 감지될 수 있는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또는, 전술한 활동 영역 내지 감지 영역).
상기 전송효율은,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의 전송전력 및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의 수신전력 간의 비율이고, 상기 전송이득은,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의 송신측 전압 및 상기 수신측 전압 간의 비율이되, 상기 수신전력은, 상기 수신측 전압 정보 및 수신측 전류 정보를 근거로 검출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전력 송신 제어부(112)는 상기 전력전송정보를 근거로 상기 전력 변환부(111)를 통해 무선으로 전력을 전송하기 위한 전송주파수(또는 동작 주파수)를 설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전력 송신 제어부(112)는 상기 전력전송정보를 근거로 생성된 전송 프로파일을 근거로 스윕 주파수 범위를 결정할 수 있고, 상기 스윕 주파수 중 특정 주파수를 전송주파수로 설정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특정 주파수는 주파수 스윕 기능(또는 주파수 스펙트럼의 분산효과)이 발생되도록 선택되는 주파수일 수 있다.
상기 전력 송신 제어부(112)는 상기 전력 변환부(111)에 의하여 형성된 무선 전력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일정 영역 내의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의 존재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전력 송신 제어부(112)는 별도의 감지부(미도시)에 의하여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의 존재 여부를 감지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에 따른 무선 전력신호의 주파수 변경방법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에 따른 무선 전력신호의 주파수 변경방법은, 캐리어 신호를 근거로 무선 전력을 전송하기 위한 무선 전력 신호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캐리어 신호에 대한 스윕(Sweep) 주파수 범위 및 스윕 주기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스윕(Sweep) 주파수 범위 및 스윕 주기를 근거로 한 상기 캐리어 신호 주파수의 주기적인 변경을 통하여 상기 무선 전력 신호의 주파수를 주기적으로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윕 주파수 범위는 다양한 방식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스윕(Sweep) 주파수 범위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무선 전력 신호를 수신하는 무선 전력 수신장치로부터 전력전송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전력전송정보를 근거로 전송 프로파일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전송 프로파일을 근거로 상기 스윕 주파수 범위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스윕(Sweep) 주파수 범위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전송 프로파일상의 상기 수신측 전압, 전송효율 및 전송이득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서 주파수에 대한 1차 미분값이 0’이고, 2차 미분값이 음수가 되는 주파수를 기준 주파수로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기준 주파수를 근거로 상기 스윕 주파수 범위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에 따른 무선 전력신호의 주파수 변경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1을 참조하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에 따른 무선 전력신호의 주파수 변경방법은 다음과 같은 단계로 이루어질 수 있다.
먼저,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는 캐리어 신호를 근거로 무선 전력을 전송하기 위한 무선 전력 신호를 형성할 수 있다(S110).
다음으로,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는 상기 캐리어 신호에 대한 스윕(Sweep) 주파수 범위 및 스윕 주기를 결정할 수 있다(S120).
다음으로,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는 상기 결정된 스윕(Sweep) 주파수 범위 및 스윕 주기를 근거로 한 상기 캐리어 신호 주파수의 주기적인 변경을 통하여 상기 무선 전력 신호의 주파수를 주기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S130).
도 22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신호의 주파수 변경방법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22(a)를 참조하면,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는 전송 코일(1111a)를 통하여 무선 전력 신호(W110)을 전송할 수 있고,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는 수신 코일(2911a)를 통하여 상기 무선 전력 신호(W110)을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에 포함된 전력 전달부(110)는 캐리어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전송 코일(1111a)를 구동하고(또는 상기 전송 코일(1111a)가 포함된 공진회로를 구동하고), 상기 전송 코일(1111a)은 상기 캐리어 신호를 근거로 하여 형성된 무선 전력 신호를 상기 수신 코일(2911a)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는 상기 무선 전력 신호의 주파수 스윕을 위해, 상기 캐리어 신호에 대한 스윕(Sweep) 주파수 범위 및 스윕 주기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는(또는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결정된 스윕(Sweep) 주파수 범위 및 스윕 주기를 근거로 상기 캐리어 신호의 주파수를 주기적으로 변경하여 상기 무선 전력 신호의 주파수가 주기적으로 변경되도록 상기 전력 전달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스윕 주파수 범위 및 스윕 주기는 다양한 방식으로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스윕 주파수 범위는 상기 스윕 주파수 범위는, 기결정된 주파수를 포함하는 주파수 범위인 것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결정된 주파수는, 무선 전력 전송에 있어서의 공진 주파수 또는 최대 무선 전력 전송효율을 나타내는 주파수인 것일 수 있다.
도 22(b)를 참조하면,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는 상기 무선 전력 신호의 주파수에 대한 전송효율(η)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에서 최대 전송효율(ηmax)를 가지는 주파수(wa, 또는 정점 주파수)를 포함하는 주파수 범위(wb1~wb2)를 상기 스윕 주파수 범위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무선 전력 신호의 주파수에 대한 전송효율(η)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는 전송 프로파일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송 프로파일은, 전송효율뿐만 아니라, 상기 수신측 전압 및 전송이득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무선 전력신호의 주파수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송효율은,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의 전송전력 및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의 수신전력 간의 비율이고, 상기 전송이득은,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의 송신측 전압 및 상기 수신측 전압 간의 비율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전송 프로파일은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으로부터 획득된 전력전송정보를 근거로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송 프로파일은 실험치(예를 들어, 주파수 별 전송효율의 관계를 구하기 위한 실험)를 근거로 하여 획득된 기결정된 전송 프로파일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력전송정보는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의 수신측 전압,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의 수신측 전류, 제 1 기준전압 및 제 2 기준전압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기준전압은,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에 대한 손상 유발이 가능한 전압인지 여부를 기준으로 결정되고, 상기 제 2 기준전압은,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가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로부터 무선 전력을 수신할 수 있는 전압인지 여부를 기준으로 결정되는 것일 수 있다.
도 22(c)를 참조하면, 상기 스윕 주파수 범위는, 제 1 최대주파수 및 제 2 최대 주파수 사이의 주파수 범위이되, 상기 제 1 최대 주파수는 제 1 주파수 범위 내에서 최대 무선 전력 전송효율을 나타내는 주파수이고, 상기 제 2 최대 주파수는 제 2 주파수 범위 내에서 최대 무선 전력 전송효율을 나타내는 주파수인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송효율(η)를 나타내는 전송 프로파일이 두 개의 정점(또는 특정 구간내에서의 최대치, ηm1, ηm2)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두 개의 정점(ηm1, ηm2)에 해당하는 두 개의 주파수(wm1, wm2)를 기준으로 상기 스윕 주파수 범위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두 개의 주파수간의 주파수 범위Δwm(wm1~wm2)를 상기 스윕 주파수 범위로 결정할 수 있다.
도 22(c)와 같이, 상기 전송 프로파일 상에서 두 개의 정점(또는 두 개의 극대점)이 나타나는 원리(또는 주파수 분리현상)는 아래와 같을 수 있다.
도 23 및 도 24는 무선 전력 전송장치의 전송 코일 및 무선 전력 수신장치의 수신 코일 사이에서 발생하는 주파수 분리 현상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3를 참조하면,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 내의 전송 코일(1111) 및 수신 코일(2911) 사이에는 무선 전력 신호가 형성된다. 상기 전송 코일(1111) 및 상기 수신 코일(2911) 사이에 형성되는 무선 전력 신호의 물리적인 특성은 상기 코일들 사이의 무선 전력 전송 방식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송 코일(1111) 및 상기 수신 코일(2911) 사이에 공진 결합 방식에 따른 무선 전력 신호가 형성되어 전력이 전송되는 경우, 상기 무선 전력 신호는 상기 전송 코일(1111)이 형성하는 면적(A1), 상기 전송 코일(1111)의 반지름(r1), 상기 전송 코일(1111)의 회전수(N1; number of turns), 상기 수신 코일(2911)이 형성하는 면적(A2), 상기 수신 코일(2911)의 반지름(r2), 상기 수신 코일(2911)의 회전수(N2) 및 상기 전송 코일(1111)과 상기 수신 코일(2911) 사이의 거리(z)에 의한 자기장 신호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전송 코일(1111) 및 상기 수신 코일(2911) 사이에는 상기 양 코일들 사이에 형성되는 자기장에 의하여 전력이 전송되는 경우에는 상기 자기장의 공진 주파수 근처에서 전력 전송 이득이 높은 특성이 나타난다.
다만, 상기 전송 코일(1111) 및 상기 수신 코일(2911) 사이의 거리, 무선 전력 수신장치의 자기 특성 또는 무선 전력 수신장치의 개수에 따라서 상기 공진 주파수 주위에 다수의 피크(peak)를 가지는 주파수 분리(Frequency Split) 특성이 나타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송 코일(1111) 및 상기 수신 코일(2911) 사이의 무선 전력 전송에서의 전송 이득 곡선에는 공진 주파수(w) 주위의 제 1 주파수(w1) 및 제 2 주파수(w2)에서 피크가 형성되는 주파수 분리 특성이 나타날 수 있다. 상기 주파수 분리 특성은 상기 제 1 주파수(w1) 및 상기 제 2 주파수(w2)를 나타내는 다음 식에 의해 표현될 수 있다.
Figure 112014119782513-pct00002
여기서,
Figure 112014119782513-pct00003
는 상기 두 코일 간의 결합 계수(coupling coefficient)이고,
Figure 112014119782513-pct00004
는 상기 두 코일 간 매체에 의한 손실(dissipation)의 정도를 나타내는 계수이다. 수학식 2로부터 상기 결합 계수는 다음 수학식 3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Figure 112014119782513-pct00005
또한, 상기 수학식들은 다음 수학식 4와 같이 근사화될 수 있다.
Figure 112014119782513-pct00006
도 24를 참조하면, 위와 같은 주파수 분리 특성이 나타나는 경우 상기 공진 주파수(w) 근처가 아닌 제 1 주파수(w1) 및 제 2 주파수(w2)에서 피크가 발생하여, 전송 효율이 최대가 되는 주파수가 달라질 수 있다.
도 22(b) 및 도 22(c)의 전송 프로파일 상의 정점 주파수(또는 특정 범위내에서의 최대 전송효율 주파수, wa, wm1 또는 wm2)는 다양한 방식으로 추출(또는 검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정점 주파수(wa, wm1 또는 wm2)는 함수의 극대값을 구하는 방식으로 추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또는,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전송 프로파일상의 상기 수신측 전압, 전송효율 및 전송이득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서 주파수에 대한 1차 미분값이 '0’이고, 2차 미분값이 음수가 되는 주파수를 기준 주파수로 추출하고, 상기 기준 주파수를 근거로 상기 스윕 주파수 범위를 결정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기준 주파수가 포함되는 특정 주파수 범위를 상기 스윕 주파수 범위로 결정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준 주파수는, 제 1 주파수(또는 제 1 최대 주파수) 및 제 2 주파수(또는 제 2 최대 주파수)를 포함하고, 상기 스윕 주파수 범위는, 상기 제 1 주파수 및 상기 제 2 주파수 사이의 주파수 범위인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2(b)의 경우,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는 전송 프로파일 상의 극대점을 구하기 위하여, 상기 전송 프로파일상의 상기 전송효율에 대해서 주파수에 대한 1차 미분값 및 2차 미분값을 계산할 수 있고, 상기 1차 미분값이 '0'이고, 상기 2차 미분값이 음수가 되는 주파수(wa)를 기준 주파수로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는 상기 기준 주파수를 포함하는 일정(또는 특정) 주파수 범위(Δwa(wb1~wb2))를 상기 스윕 주파수 범위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2(c)의 경우,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는 전송 프로파일 상의 극대점을 구하기 위하여, 상기 전송 프로파일상의 상기 전송효율에 대해서 주파수에 대한 1차 미분값 및 2차 미분값을 계산할 수 있고, 상기 1차 미분값이 '0'이고, 상기 2차 미분값이 음수가 되는 주파수(wm1, wm2)를 기준 주파수(예를 들어, 제 1 최대 주파수(wm1) 및 제 2 최대 주파수(wm1))로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는 상기 기준 주파수간의 주파수 범위(Δwm(wm1~wm2))를 상기 스윕 주파수 범위로 결정할 수 있다.
제 1 실시예 - 전송 프로파일을 근거로 한 스윕 주파수 범위의 결정
본 명세서에 개시된 제 1 실시예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포함하고 있는 구성 또는 단계의 일부 또는 조합으로 구현되거나 실시예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제 1 실시예의 명확한 표현을 위해 중복되는 부분을 생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제 1 실시예에 따른 주기적으로 주파수를 변경하는 기능을 구비하는 무선 전력 전송장치는, 캐리어 신호를 근거로 무선 전력을 전송하기 위한 무선 전력 신호를 형성하는 전력 전달부, 상기 캐리어 신호에 대한 스윕(Sweep) 주파수 범위 및 스윕 주기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스윕(Sweep) 주파수 범위 및 스윕 주기를 근거로 상기 캐리어 신호의 주파수를 주기적으로 변경하여 상기 무선 전력 신호의 주파수가 주기적으로 변경되도록 상기 전력 전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력 전달부는, 상기 무선 전력 신호를 수신하는 무선 전력 수신장치로부터 전력전송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획득된 전력전송정보를 근거로 전송 프로파일을 생성하고, 상기 전송 프로파일을 근거로 상기 스윕 주파수 범위를 결정하는 것일 수 있다.
도 25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제 1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장치의 주파수 변경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5를 참조하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제 1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장치의 주파수 변경방법은 다음과 같은 단계로 이루어질 수 있다.
먼저,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는 캐리어 신호를 근거로 무선 전력을 전송하기 위한 무선 전력 신호를 형성할 수 있다(S110).
다음으로,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는 상기 무선 전력 신호를 수신하는 무선 전력 수신장치로부터 전력전송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121).
다음으로,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는 상기 획득된 전력전송정보를 근거로 전송 프로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S122).
다음으로,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는 상기 캐리어 신호에 해당하는 스윕 주기를 결정할 수 있다(S123).
다음으로,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는 상기 전송 프로파일을 근거로 스윕 주파수 범위를 결정할 수 있다(S124).
다음으로,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는 상기 결정된 스윕(Sweep) 주파수 범위 및 스윕 주기를 근거로 한 캐리어 신호 주파수의 주기적인 변경을 통하여 무선 전력 신호의 주파수를 주기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S130).
여기서, 상기 전력전송정보는,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의 수신측 전압,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의 수신측 전류, 제 1 기준전압 및 제 2 기준전압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기준전압은,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에 대한 손상 유발이 가능한 전압인지 여부를 기준으로 결정되고, 상기 제 2 기준전압은,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가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로부터 무선 전력을 수신할 수 있는 전압인지 여부를 기준으로 결정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전력 전달부(110)는, 서로 다른 주파수를 가지는 무선 전력신호들을 순차적으로 전송하고, 상기 순차적으로 전송된 각 무선 전력신호에 해당하는 전력전송정보를 획득하는 것일 수 있다. 이러한 방식을 주파수 스캐닝이라고 할 수 있다.
상기 주파수 스캐닝을 통하여, 상기 무선 전력 신호의 주파수 및 상기 전력전송정보 간의 관계가 검출될 수 있고, 상기 검출된 관계를 근거로 전송 프로파일이 생성될 수 있다.
도 26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제 1 실시예에 따른 전송 프로파일의 종류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26을 참조하면, 상기 전송 프로파일은, 상기 수신측 전압, 전송효율 및 전송이득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무선 전력신호의 주파수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
도 26(a)의 경우, 상기 전송 프로파일은 상기 무선 전력신호의 주파수(ω) 및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의 수신측 전압(Vin) 간의 관계를 나타낸다.
이 경우, 상기 무선 전력신호의 주파수(ω)의 변화에 따라 상기 수신측 전압(Vin)이 변화함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Vmax는 상기 전송 프로파일 상의 최대 수신측 전압이고, Vmin은 상기 전송 프로파일 상의 최소 수신측 전압으로써,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가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로부터 무선 전력을 수신할 수 있는 최소 전압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2 기준전압이 상기 Vmin이 될 수 있다.
또한, 하한 주파수(ωL, ωH)는 상기 수신측 전압이 Vmin이 되는 주파수를 의미할 수 있다.
도 26(b)의 경우, 상기 전송 프로파일은 상기 무선 전력신호의 주파수(ω) 및 전송 효율(η) 간의 관계를 나타낸다.
이 경우, 상기 무선 전력신호의 주파수(ω)의 변화에 따라 상기 전송 효율(η)이 변화함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ηmax는 상기 전송 프로파일 상의 최대 전송 효율이고, ηmin은 상기 전송 프로파일 상의 최소 전송 효율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수신측 전압이 제 2 기준전압이 될 때 상기 전송 효율(η)이 ηmin이 될 수 있다.
또한, 하한 주파수(ωL, ωH)는 상기 전송 효율(η)이 ηmin이 되는 주파수를 의미할 수 있다.
제 1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송 효율은,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의 전송전력 및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의 수신전력 간의 비율일 수 있다.
제 1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수신전력은, 상기 수신측 전압 정보 및 수신측 전류 정보를 근거로 검출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는 상기 획득된 전력전송정보 중 상기 수신측 전압 값 및 수신측 전류 값을 곱하여 상기 수신전력을 계산할 수 있다.
도 26(c)의 경우, 상기 전송 프로파일은 상기 무선 전력신호의 주파수(ω) 및 전송이득(A) 간의 관계를 나타낸다.
이 경우, 상기 무선 전력신호의 주파수(ω)의 변화에 따라 상기 전송이득(A)이 변화함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Amax는 상기 전송 프로파일 상의 최대 전송이득이고, Amin은 상기 전송 프로파일 상의 최소 전송이득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수신측 전압이 제 2 기준전압이 될 때 상기 전송 이득(A)이 Amin이 될 수 있다.
하한 주파수(ωL, ωH)는 상기 전송 이득(A)이 Amin이 되는 주파수를 의미할 수 있다.
제 1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송이득(A)은,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의 송신측 전압 및 상기 수신측 전압 간의 비율일 수 있다.
제 1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는 상술한 전송 프로파일을 근거로 상기 스윕 주파수 범위를 결정할 수 있다.
도 27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제 1 실시예에 따른 스윕 주파수 범위의 결정방법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27(a)는 상기 전송 프로파일이 상기 무선 전력 신호의 주파수 및 무선 전력 수신장치의 수신측 전압(Vin)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경우를 나타낸다.
도 27(a)를 참조하면,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는 상기 수신측 전압(Vin)이 상기 제 1 기준전압(V1) 이하이고, 상기 제 2 기준전압(V2) 이상인 범위 내에 해당하는 주파수 범위를 상기 스윕 주파수 범위로 결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는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으로부터 전력전송정보 중의 하나인 수신측 전압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수신측 전압정보를 근거로 도 27(a)와 같은 전송 프로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는 상기 생성된 전송 프로파일상에서 상기 제 1 기준전압(V1)이하이고, 상기 제 2 기준전압(V2)이상인 주파수 범위를 추출하여, 상기 추출된 주파수 범위를 상기 스윕 주파수 범위로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기준전압은,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에 대한 손상 유발이 가능한 전압인지 여부를 기준으로 결정되고, 상기 제 2 기준전압은,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가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로부터 무선 전력을 수신할 수 있는 전압인지 여부를 기준으로 결정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는 상기 생성된 전송 프로파일상에서 극대점을 검출하고, 상기 극대점에 해당하는 주파수를 기준 주파수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는 상기 기준 주파수를 근거로 상기 스윕 주파수 범위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기준 주파수는, 제 1 주파수 및 제 2 주파수를 포함하고, 상기 스윕 주파수 범위는, 상기 제 1 주파수 및 상기 제 2 주파수 사이의 주파수 범위인 것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기준 주파수는 상기 전송 프로파일상의 최대 전송효율(또는 최대 전송이득 내지 최대 수신측 전압)을 나타내는 주파수일 수 있다(또는 일정 주파수 범위내에서의 최대 전송효율을 나타내는 주파수일 수 있다).
상기 전송 프로파일상의 극대점(또는 기준 주파수)은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극대점에 해당하는 주파수는 제 1 최대주파수 및 제 2 최대 주파수일 수 있고, 상기 제 1 최대 주파수는 제 1 주파수 범위 내에서 최대 무선 전력 전송효율을 나타내는 주파수이되, 상기 제 2 최대 주파수는 제 2 주파수 범위 내에서 최대 무선 전력 전송효율을 나타내는 주파수일 수 있다.
상기 기준 주파수(또는 극대점에 해당하는 주파수)는 다양한 방식으로 추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기준 주파수는 사용자의 선택입력에 의해 상기 전송 프로파일상의 극대점이 선택됨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상기 기준 주파수는 수학적인 계산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제 1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또는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전송 프로파일상의 상기 수신측 전압, 전송효율 및 전송이득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서 주파수에 대한 1차 미분값이 0’이고, 2차 미분값이 음수가 되는 주파수를 기준 주파수로 추출하고, 상기 기준 주파수를 근거로 상기 스윕 주파수 범위를 결정하는 것일 수 있다.
도 27(b)는 상기 전송 프로파일이 상기 무선 전력 신호의 주파수 및 전송효율(η)간의 관계를 나타내고, 상기 기준 주파수가 1개(또는 최대 전송효율에 해당하는 주파수 1개)인 경우를 나타낸다.
도 27(b)를 참조하면,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는 전력전송정보 중의 하나인 전송효율(η)를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으로부터 획득하고, 상기 획득한 전송효율(η)를 근거로 도 27(b)와 같은 전송 프로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는 상기 생성된 전송 프로파일에 대하여 1차 미분값 및 2차 미분값을 추출하고, 상기 1차 미분값이 0’이고, 상기 2차 미분값이 음수에 해당하는 주파수을 기준 주파수(wam)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또는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기준 주파수(wam)을 포함되는 특정 주파수 범위(Δwam=wa1~wa2)를 상기 스윕 주파수 범위로 결정할 수 있다.
제 1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특정 주파수 범위는, 상기 전송 프로파일상의 상기 수신측 전압, 전송효율 및 전송이득 중 적어도 하나를 근거로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가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로부터 무선 전력을 수신할 수 있는지 여부를 기준으로 결정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7(b)와 같이, 상기 특정 주파수 범위는 최소 전송효율(ηmin)을 나타내는 주파수(wa1, wa2)를 근거로 결정되는 것일 수 있다.
도 27(c)는 상기 전송 프로파일이 상기 무선 전력 신호의 주파수 및 수신측 전압(Vin)간의 관계를 나타내고, 상기 기준 주파수가 2개(또는 특정 범위 내에서 최대 전송효율에 해당하는 주파수 2개)인 경우를 나타낸다.
도 27(c)를 참조하면,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는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으로부터 획득된 수신측 전압정보를 근거로 도 27(c)와 같은 전송 프로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는 상기 생성된 전송 프로파일상에서 2개의 극대점에 해당하는 주파수를 제 1 기준 주파수(wp1) 및 제 2 기준 주파수(wp2)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는 상기 제 1 기준 주파수(wp1) 및 제 2 기준 주파수(wp2) 사이의 주파수 범위(Δwp12)를 스윕 주파수 범위로 결정할 수 있다.
제 1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기준 주파수는, N개의 주파수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또는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N개의 주파수 중 2개의 주파수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2개의 주파수 사이의 주파수 범위를 상기 스윕 주파수 범위로 결정하는 것일 수 있다.
도 27(d)는 상기 전송 프로파일이 상기 무선 전력 신호의 주파수 및 전송이득(A)간의 관계를 나타내고, 상기 N이 3인 경우를 나타낸다.
도 27(d)를 참조하면,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는 3개의 기준 주파수(또는 극대점에 해당하는 주파수, waa, wab, wac) 중 2개의 주파수(waa, wac)를 선택할 수 있다.
제 1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선택된 2개의 주파수는, 상기 N개의 주파수 중 무선 전력 전송에 있어서의 공진 주파수(wc)와 가장 가까운 2개의 주파수인 것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는 상기 선책된 2개의 주파수(waa, wac) 사이의 주파수 범위(Δwc12)를 스윕 주파수 범위로 결정할 수 있다.
제 1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기준 주파수는, N개의 주파수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또는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N개의 주파수 중 특정 주파수를 선택하고, 상기 특정 주파수가 포함되는 특정 주파수 범위를 상기 스윕 주파수 범위로 결정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특정 주파수는, 상기 수신측 전압, 전송효율 및 전송이득 중 적어도 하나가 최대가 되는 주파수 또는 상기 N개의 주파수 중 무선 전력 전송에 있어서의 공진 주파수에 가장 가까운 주파수인 것일 수 있다.
상기 특정 주파수 범위는, 상기 전송 프로파일상의 상기 수신측 전압, 전송효율 및 전송이득 중 적어도 하나를 근거로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가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로부터 무선 전력을 수신할 수 있는지 여부를 기준으로 결정되는 것일 수 있다.
도 27(e)는 상기 전송 프로파일이 상기 무선 전력 신호의 주파수 및 전송이득(A)간의 관계를 나타내고, 상기 N이 3인 경우를 나타낸다.
도 27(e)를 참조하면,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는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으로부터 전송이득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전송이득 정보를 근거로 도 27(e)와 같은 전송 프로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는 상기 생성된 전송 프로파일 상에서 3개의 기준 주파수(ws1, wsm, ws2)를 추출할 수 있다.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는 상기 3개의 기준 주파수 중 특정 주파수(wsm)를 선택할 수 있고, 상기 특정 주파수(wsm)가 포함되는 특정 주파수 범위(Δws)를 상기 스윕 주파수 범위로 결정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특정 주파수는, 전송이득이 최대가 되는 주파수(도 27(e)의 경우임) 또는 상기 3개의 주파수 중 무선 전력 전송에 있어서의 공진 주파수에 가장 가까운 주파수인 것일 수 있다.
제 2 실시예 - 복수 개의 수신장치 존재 시 스윕 주파수 범위의 결정
본 명세서에 개시된 제 2 실시예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포함하고 있는 구성 또는 단계의 일부 또는 조합으로 구현되거나 실시예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제 2 실시예의 명확한 표현을 위해 중복되는 부분을 생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제 2 실시예에 따른 주기적으로 주파수를 변경하는 기능을 구비하는 무선 전력 전송장치는, 캐리어 신호를 근거로 무선 전력을 전송하기 위한 무선 전력 신호를 형성하는 전력 전달부, 상기 캐리어 신호에 대한 스윕(Sweep) 주파수 범위 및 스윕 주기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스윕(Sweep) 주파수 범위 및 스윕 주기를 근거로 상기 캐리어 신호의 주파수를 주기적으로 변경하여 상기 무선 전력 신호의 주파수가 주기적으로 변경되도록 상기 전력 전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는, 복수 개이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력전송정보를 근거로 상기 복수의 무선 전력 수신장치 각각에 해당하는 복수의 전송 프로파일을 생성하고, 상기 복수의 전송 프로파일을 근거로 상기 스윕 주파수 범위를 결정하는 것일 수 있다.
도 28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제 2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신호의 주파수 변경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8을 참조하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제 2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신호의 주파수 변경방법은 다음과 같은 단계로 이루어질 수 있다.
먼저,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는 캐리어 신호를 근거로 무선 전력을 전송하기 위한 무선 전력 신호를 형성할 수 있다(S110).
다음으로,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는 상기 무선 전력 신호를 수신하는 복수의 무선 전력 수신장치로부터 전력전송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210).
다음으로,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는 상기 전력전송정보를 근거로 상기 복수의 무선 전력 수신장치 각각에 해당하는 복수의 전송 프로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S220).
다음으로,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는 상기 캐리어 신호에 해당하는 스윕 주기를 결정할 수 있다(S230).
다음으로,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는 상기 복수의 전송 프로파일을 근거로 스윕 주파수 범위를 결정할 수 있다(S240).
다음으로,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는 상기 스윕(Sweep) 주파수 범위 및 스윕 주기를 근거로 한 캐리어 신호 주파수의 주기적인 변경을 통하여 무선 전력 신호의 주파수를 주기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S130).
제 2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전송 프로파일을 근거로 한 상기 스윕 주파수 범위의 결정은 다양한 방식(또는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또는 제어부(180))는, 상기 복수의 전송 프로파일 중 적어도 하나의 전송 프로파일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전송 프로파일을 근거로 상기 스윕 주파수 범위를 결정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전송 프로파일 중 적어도 하나의 전송 프로파일의 선택은,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에 대한 손상 유발이 가능한 여부 및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가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로부터 무선 전력을 수신할 수 있는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기준으로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또는 제어부(180))는, 상기 복수의 전송 프로파일을 근거로 기준 전송 프로파일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기준 전송 프로파일을 근거로 상기 스윕 주파수 범위를 결정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준 전송 프로파일은, 상기 복수의 전송 프로파일을 통계적인 방식으로 처리하여 생성되는 것일 수 있다.
도 29는 본 명세서에 제 2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신호의 주파수 변경방법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29(a)를 참조하면,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는 복수의 전송 프로파일(L110~L140) 중 하나의 전송 프로파일(L130)을 선택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전송 프로파일(L110~L140) 중 하나의 전송 프로파일(L130)의 선택은,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에 대한 손상 유발이 가능한 여부 및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가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로부터 무선 전력을 수신할 수 있는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기준으로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9의 경우, 제 1 전송 프로파일(L110) 및 제 2 전송 프로파일(L120)은 전반적으로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의 수신측 전압이 높은 분포를 나타낸다. 따라서,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에 대한 손상 유발 가능성을 고려할 때,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는 상기 제 1 전송 프로파일(L110) 및 제 2 전송 프로파일(L120)을 선택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4 전송 프로파일(L140)은 전반적으로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의 수신측 전압이 낮은 분포를 나타낸다. 따라서,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가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로부터 무선 전력을 수신할 수 있는 여부를 고려할 때,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는 상기 제 4 전송 프로파일(L140)을 선택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는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에 대한 손상 유발 가능성 및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의 무선 전력 수신 가능성을 고려하여 제 3 전송 프로파일(L130)을 선택할 수 있다.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는 상기 선택된 제 3 전송 프로파일(L130)을 근거로 상술한 실시예들에 개시된 방법으로 상기 스윕 주파수 범위를 결정할 수 있다.
도 29(b)를 참조하면,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또는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복수의 전송 프로파일(L210, L230)을 근거로 기준 전송 프로파일(L220)을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는 상기 복수의 프로파일(L210, L230)을 통계적인 방식으로 처리하여 상기 기준 전송 프로파일(L220)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프로파일(L210, L230)에 대한 통계적인 방식의 처리는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통계적인 방식은, 상기 복수의 전송 프로파일(L210, L230)의 평균, 분산 및 표준편차 중 적어도 하나를 근거로 한 방식인 것일 수 있다. 이외에도 다양한 통계적인 방식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신호의 주파수 설정방법에 적용될 수 있음이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도 29(b)는,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가 상기 복수의 프로파일(L210, L230)의 평균적인 전송 프로파일을 기준 전송 프로파일(L220)로 결정한 경우를 나타낸다.
제 3 실시예 - 스윕 주기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
본 명세서에 개시된 제 3 실시예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포함하고 있는 구성 또는 단계의 일부 또는 조합으로 구현되거나 실시예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제 3 실시예의 명확한 표현을 위해 중복되는 부분을 생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제 3 실시예에 따른 주기적으로 주파수를 변경하는 기능을 구비하는 무선 전력 전송장치는, 캐리어 신호를 근거로 무선 전력을 전송하기 위한 무선 전력 신호를 형성하는 전력 전달부, 상기 캐리어 신호에 대한 스윕(Sweep) 주파수 범위 및 스윕 주기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스윕(Sweep) 주파수 범위 및 스윕 주기를 근거로 상기 캐리어 신호의 주파수를 주기적으로 변경하여 상기 무선 전력 신호의 주파수가 주기적으로 변경되도록 상기 전력 전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 3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스윕 주기는, 복수 개의 서브 스윕주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무선 전력 수신장치에 전송할 데이터를 근거로 상기 복수 개의 서브 스윕주기 중 특정 서브 스윕주기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특정 서브 스윕주기를 근거로 상기 캐리어 신호의 주파수를 주기적으로 변경하여 상기 무선 전력 신호의 주파수가 변경되도록 상기 전력 전달부를 제어하는 것일 수 있다.
도 30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제 3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신호의 주파수 변경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30을 참조하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제 3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신호의 주파수 변경방법은 다음과 같은 단계로 이루어질 수 있다.
먼저,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는 캐리어 신호를 근거로 무선 전력을 전송하기 위한 무선 전력 신호를 형성할 수 있다(S110).
다음으로,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는 상가 캐리어 신호에 대한 스윕 주파수 범위를 결정할 수 있다(S310).
다음으로,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는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에전송할 데이터를 근거로 복수 개의 서브 스윕주기 중 특정 스윕주기를 선택할 수 있다(S320).
다음으로,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는 상기 스윕(Sweep) 주파수 범위 및 특정 스윕 주기를 근거로 한 캐리어 신호 주파수의 주기적인 변경을 통하여 무선 전력 신호의 주파수를 주기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S330).
도 3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제 3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신호의 주파수 변경방법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31을 참조하면,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에 포함된 전력 전달부(110)는 캐리어 신호(C110)를 근거로 공진회로를 구동하고, 상기 공진회로에 포함된 전송코일(1111a)를 통하여 무선 전력 신호(w210)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무선 전력 신호(w210)는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의 수신 코일(2911a)에 전달될 수 있다.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에 포함된 제어부(180)는 상기 캐리어 신호에 대한 스윕(Sweep) 주파수 범위 및 스윕 주기를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제 3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는 상기 스윕 주기를 변경을 통하여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에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즉,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은 상기 스윕 주기를 변경함으로써 상기 무선 전력 신호를 변조하고, 상기 변조를 통하여 데이터를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에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캐리어 신호에 대한 스윕 주기는, 복수 개의 서브 스윕주기(T1, T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에 전송할 데이터를 근거로 상기 복수 개의 서브 스윕주기(T1, T2) 중 특정 서브 스윕주기(예를 들어, T1)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특정 서브 스윕주기(T1)를 근거로 상기 캐리어 신호의 주파수를 주기적으로 변경하여 상기 무선 전력 신호의 주파수가 주기적으로 변경되도록 상기 전력 전달부를 제어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복수 개의 서브 스윕주기는, 제 1 서브 스윕주기(T1) 및 제 2 서브 스윕주기(T2)이고, 상기 제 1 서브 스윕주기(T1)는 데이터 ‘0’에 해당하는 주기이고, 상기 제 2 서브 스윕주기(T2)는 데이터 ‘1’에 해당하는 주기인 것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는, 상기 무선 전력 신호(w210)로부터 상기 특정 스윕주기(T1)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특정 스윕주기를 근거로 전송된 데이터를 복원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1의 경우,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는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에 데이터 '0' 및 '1'을 순차적으로 전송하고자 할 때, 먼저,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는 데이터 '0'를 전송하기 위하여, 제 1 서브 스윕주기(T1)를 스윕 주기로 선택하고, 상기 제 1 서브 스윕주기(T1)로 캐리어 신호의 주파수를 주기적으로 변경하여 상기 무선 전력 신호(w210)의 주파수를 주기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무선 전력 신호(w210)의 주파수의 변경주기는 T1일 수 있다.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는 데이터 '1'를 전송하기 위하여, 제 2 서브 스윕주기(T2)를 스윕 주기로 선택하고, 상기 제 2 서브 스윕주기(T2)로 캐리어 신호의 주파수를 주기적으로 변경하여 상기 무선 전력 신호(w210)의 주파수를 주기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무선 전력 신호(w210)의 주파수의 변경주기는 T2일 수 있다.
이 때,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는 상기 무선 전력 신호(w210)의 스윕 주기를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은 상기 무선 전력 신호(w210)의 스윕 주기를 순차적으로 T1 및 T2로 검출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은 T1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0'으로 복원하고, T2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1'로 복원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 3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는, 상기 캐리어 신호에 대한 스윕 주기를 변경함으로써 특정 데이터를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에 전달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방법은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지금까지 설명한 방법들은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방법들은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의 제어부(180) 또는 전력 송신 제어부(112)에 구현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 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으로 소프트웨어 코드가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코드는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의 메모리(150)에 저장되고, 상기 제어부(180) 또는 상기 전력 송신 제어부(112)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이상 개시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장치의 구성은 무선 충전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도킹 스테이션(docking station), 단말기 크래들 장치(cradle device), 기타 전자 장치 등과 같은 장치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범위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로 한정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 및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수정, 변경, 또는 개선될 수 있다.

Claims (32)

  1. 캐리어 신호를 근거로 무선 전력을 전송하기 위한 무선 전력 신호를 형성하는 전력 전달부;
    상기 캐리어 신호에 대한 스윕(Sweep) 주파수 범위 및 스윕 주기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스윕(Sweep) 주파수 범위 및 스윕 주기를 근거로 상기 캐리어 신호의 주파수를 주기적으로 변경하여 상기 무선 전력 신호의 주파수가 주기적으로 변경되도록 상기 전력 전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윕 주파수 범위는,
    무선 전력 전송에 있어서의 공진 주파수 또는 최대 무선 전력 전송효율을 나타내는 주파수인 기결정된 주파수를 포함하는 주파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 전송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윕 주파수 범위는,
    제 1 최대주파수 및 제 2 최대 주파수 사이의 주파수 범위이되,
    상기 제 1 최대 주파수는 제 1 주파수 범위 내에서 최대 무선 전력 전송효율을 나타내는 주파수이고,
    상기 제 2 최대 주파수는 제 2 주파수 범위 내에서 최대 무선 전력 전송효율을 나타내는 주파수인 것인 무선 전력 전송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전달부는,
    상기 무선 전력 신호를 수신하는 무선 전력 수신장치로부터 전력전송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획득된 전력전송정보를 근거로 전송 프로파일을 생성하고,
    상기 전송 프로파일을 근거로 상기 스윕 주파수 범위를 결정하는 것인 무선 전력 전송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전달부는,
    서로 다른 주파수를 가지는 무선 전력신호들을 순차적으로 전송하고,
    상기 순차적으로 전송된 각 무선 전력신호에 해당하는 전력전송정보를 획득하는 것인 무선 전력전송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전송정보는,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의 수신측 전압,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의 수신측 전류, 제 1 기준전압 및 제 2 기준전압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인 무선 전력 전송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스윕 주파수 범위는,
    상기 수신측 전압이 상기 제 1 기준전압 이하이고, 상기 제 2 기준전압 이상인 범위 내에 해당하는 주파수 범위인 것인 무선 전력 전송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준전압은,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에 대한 손상 유발이 가능한 전압인지 여부를 기준으로 결정되고,
    상기 제 2 기준전압은,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가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로부터 무선 전력을 수신할 수 있는 전압인지 여부를 기준으로 결정되는 것인 무선 전력 전송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프로파일은,
    상기 수신측 전압, 전송효율 및 전송이득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무선 전력신호의 주파수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것인 무선 전력 전송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효율은,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의 전송전력 및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의 수신전력 간의 비율이고,
    상기 전송이득은,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의 송신측 전압 및 상기 수신측 전압 간의 비율인 것인 무선 전력 전송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송 프로파일상의 상기 수신측 전압, 전송효율 및 전송이득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서 주파수에 대한 1차 미분값이 ‘0’이고, 2차 미분값이 음수가 되는 주파수를 기준 주파수로 추출하고,
    상기 기준 주파수를 근거로 상기 스윕 주파수 범위를 결정하는 것인 무선 전력 전송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준 주파수가 포함되는 특정 주파수 범위를 상기 스윕 주파수 범위로 결정하는 것인 무선 전력 전송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주파수는,
    제 1 주파수 및 제 2 주파수를 포함하고,
    상기 스윕 주파수 범위는,
    상기 제 1 주파수 및 상기 제 2 주파수 사이의 주파수 범위인 것인 무선 전력 전송장치.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주파수는,
    N개의 주파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N개의 주파수 중 2개의 주파수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2개의 주파수 사이의 주파수 범위를 상기 스윕 주파수 범위로 결정하는 것인 무선 전력 전송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2개의 주파수는,
    상기 N개의 주파수 중 무선 전력 전송에 있어서의 공진 주파수와 가장 가까운 2개의 주파수인 것인 무선 전력 전송장치.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주파수는,
    N개의 주파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N개의 주파수 중 특정 주파수를 선택하고,
    상기 특정 주파수가 포함되는 특정 주파수 범위를 상기 스윕 주파수 범위로 결정하는 것인 무선 전력 전송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주파수는,
    상기 수신측 전압, 전송효율 및 전송이득 중 적어도 하나가 최대가 되는 주파수 또는 상기 N개의 주파수 중 무선 전력 전송에 있어서의 공진 주파수에 가장 가까운 주파수인 것인 무선 전력 전송장치.
  19. 제13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주파수 범위는,
    상기 전송 프로파일상의 상기 수신측 전압, 전송효율 및 전송이득 중 적어도 하나를 근거로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가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로부터 무선 전력을 수신할 수 있는지 여부를 기준으로 결정되는 것인 무선 전력 전송장치.
  2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는,
    복수 개이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력전송정보를 근거로 상기 복수의 무선 전력 수신장치 각각에 해당하는 복수의 전송 프로파일을 생성하고,
    상기 복수의 전송 프로파일을 근거로 상기 스윕 주파수 범위를 결정하는 것인 무선 전력 전송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전송 프로파일 중 적어도 하나의 전송 프로파일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전송 프로파일을 근거로 상기 스윕 주파수 범위를 결정하는 것인 무선 전력 전송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송 프로파일 중 적어도 하나의 전송 프로파일의 선택은,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의 제 1 기준전압이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에 대한 손상 유발이 가능한 전압인지 여부 및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의 제 2 기준전압이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가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로부터 무선 전력을 수신하는 전압인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기준으로 이루어지는 것인 무선 전력 전송장치.
  23.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전송 프로파일을 근거로 기준 전송 프로파일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기준 전송 프로파일을 근거로 상기 스윕 주파수 범위를 결정하는 것인 무선 전력 전송장치.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전송 프로파일은,
    상기 복수의 전송 프로파일을 통계적인 방식으로 처리하여 생성되는 것인 무선 전력 전송장치.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통계적인 방식은,
    상기 복수의 전송 프로파일의 평균, 분산 및 표준편차 중 적어도 하나를 근거로 한 방식인 것인 무선 전력 전송장치.
  2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윕 주기는,
    복수 개의 서브 스윕주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무선 전력 수신장치에 전송할 데이터를 근거로 상기 복수 개의 서브 스윕주기 중 특정 서브 스윕주기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특정 서브 스윕주기를 근거로 상기 캐리어 신호의 주파수를 주기적으로 변경하여 상기 무선 전력 신호의 주파수가 변경되도록 상기 전력 전달부를 제어하는 것인 무선 전력 전송장치.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는,
    상기 무선 전력 신호로부터 상기 특정 서브 스윕주기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특정 서브 스윕주기를 근거로 전송된 데이터를 복원하는 것인 무선 전력 전송장치.
  28.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서브 스윕주기는,
    제 1 서브 스윕주기 및 제 2 서브 스윕주기이고,
    상기 제 1 서브 스윕주기는 데이터 ‘0’에 해당하는 주기이고,
    상기 제 2 서브 스윕주기는 데이터 ‘1’에 해당하는 주기인 것인 무선 전력 전송장치.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KR1020147034592A 2012-07-06 2012-07-06 무선 전력 전송에서의 주파수를 주기적으로 변경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9126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2/005392 WO2014007415A1 (en) 2012-07-06 2012-07-06 Method and apparatus for periodically changing frequency in wireless power transf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2529A KR20150032529A (ko) 2015-03-26
KR101912692B1 true KR101912692B1 (ko) 2018-10-29

Family

ID=498821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34592A KR101912692B1 (ko) 2012-07-06 2012-07-06 무선 전력 전송에서의 주파수를 주기적으로 변경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843226B2 (ko)
EP (1) EP2870677B1 (ko)
KR (1) KR101912692B1 (ko)
WO (1) WO201400741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9352A (ko) 2020-10-14 2022-04-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전력을 송신하는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12748B2 (en) 2011-02-01 2019-06-04 Fu Da Tong Techology Co., Ltd. Signal analysis method and circuit
US10574095B2 (en) 2011-02-01 2020-02-25 Fu Da Tong Technology Co., Ltd. Decoding method for signal processing circuit and signal processing circuit using the same
TWI570427B (zh) 2015-10-28 2017-02-11 富達通科技股份有限公司 感應式電源供應器及其金屬異物檢測方法
US10630113B2 (en) 2011-02-01 2020-04-21 Fu Da Tong Technology Co., Ltd Power supply device of induction type power supply system and RF magnetic card identification method of the same
US10615645B2 (en) 2011-02-01 2020-04-07 Fu Da Tong Technology Co., Ltd Power supply device of induction type power supply system and NFC device identification method of the same
US11128180B2 (en) 2011-02-01 2021-09-21 Fu Da Tong Technology Co., Ltd. Method and supplying-end module for detecting receiving-end module
US10056944B2 (en) * 2011-02-01 2018-08-21 Fu Da Tong Technology Co., Ltd. Data determination method for supplying-end module of induction type power supply system and related supplying-end module
TWI568125B (zh) 2015-01-14 2017-01-21 富達通科技股份有限公司 感應式電源供應器之供電模組及其電壓測量方法
US10038338B2 (en) 2011-02-01 2018-07-31 Fu Da Tong Technology Co., Ltd. Signal modulation method and signal rectification and modulation device
US10673287B2 (en) 2011-02-01 2020-06-02 Fu Da Tong Technology Co., Ltd. Method and supplying-end module for detecting receiving-end module
US10289142B2 (en) 2011-02-01 2019-05-14 Fu Da Tong Technology Co., Ltd. Induction type power supply system and intruding metal detection method thereof
US9768643B2 (en) 2012-11-02 2017-09-19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capable of continuing power transmission while suppressing heatup of foreign objects
KR101459922B1 (ko) * 2013-06-26 2014-11-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무선전력 전송 기능을 가지는 차량 구동 시스템 및 그 방법
JP6144176B2 (ja) * 2013-10-15 2017-06-07 日東電工株式会社 磁界空間を形成可能な無線電力伝送装置及びその形成方法
US10116168B2 (en) * 2014-09-10 2018-10-30 Htc Corporation Wireless power transmitter device and wireless power receiver device
DE102014222000A1 (de) * 2014-10-29 2016-05-04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und Bodeneinheit zum induktiven Laden von Elektro- und Hybridfahrzeugen
US10153665B2 (en) 2015-01-14 2018-12-11 Fu Da Tong Technology Co., Ltd. Method for adjusting output power for induction type power supply system and related supplying-end module
US10840744B2 (en) 2015-03-04 2020-11-17 Apple Inc. Inductive power transmitter
US9936337B2 (en) 2015-05-23 2018-04-03 Square, Inc. Tuning a NFC antenna of a device
DK3101815T3 (en) * 2015-06-04 2018-05-22 Abb Technology Oy Signaling between a frequency converter and a terminal device
US11023878B1 (en) 2015-06-05 2021-06-01 Square, Inc. Apparatuses, methods, and systems for transmitting payment proxy information
KR20160144190A (ko) * 2015-06-08 2016-12-1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무선 충전 시스템을 이용한 전력 관리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US10482440B1 (en) 2015-09-18 2019-11-19 Square, Inc. Simulating NFC experience
US10861003B1 (en) 2015-09-24 2020-12-08 Square, Inc. Near field communication device coupling system
US10198727B1 (en) 2015-09-25 2019-02-05 Square, Inc. Modulation of a near-field communication signal
US9646299B1 (en) * 2015-09-25 2017-05-09 Square, Inc. Dynamic adjustment of near field communication tuning parameters
US10164600B2 (en) * 2015-10-12 2018-12-25 Nxp B.V. NFC or RFID device RF detuning detection and driver output power regulation
KR102475095B1 (ko) 2015-10-26 2022-12-08 주식회사 위츠 무선 전력 송신 장치
JP6487121B2 (ja) 2015-11-02 2019-03-20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ヌ ヴェKoninklijke Philips N.V. ワイヤレス誘導電力伝送
KR102130791B1 (ko) 2015-11-19 2020-07-06 애플 인크. 유도 전력 송신기
US10601256B2 (en) * 2016-02-17 2020-03-24 Integrated Device Technology, Inc. Wireless power transfers with frequency range scanning
CN109496380B (zh) * 2016-04-04 2022-04-05 苹果公司 感应式功率发射器
US10688874B2 (en) * 2016-06-14 2020-06-23 Intel Corporation Vehicular inductive power transfer systems and methods
EP3493363B1 (en) * 2016-07-29 2020-07-01 Sony Semiconductor Solutions Corporation Power-supplying device
JP7136694B2 (ja) * 2016-07-29 2022-09-13 ソニーセミコンダクタ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給電システム
KR102605047B1 (ko) * 2016-12-08 2023-11-2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무선 충전을 위한 이물질 검출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US10430784B1 (en) 2017-08-31 2019-10-01 Square, Inc. Multi-layer antenna
KR102483258B1 (ko) 2018-02-06 2023-01-02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전력 전송 장치 및 그의 무선 전력 전송 방법
US11171502B2 (en) * 2018-02-23 2021-11-09 Aira, Inc. Free positioning charging pad
KR102544616B1 (ko) * 2018-04-10 2023-06-19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JP7414526B2 (ja) 2018-04-16 2024-01-16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無線電力伝送システムにおいてデータストリームの送信を行う装置及び方法
US11182770B1 (en) 2018-12-12 2021-11-23 Squar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sensing locations of near field communication devices
KR102625272B1 (ko) * 2019-01-14 2024-01-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전력 전송 장치
KR102648609B1 (ko) * 2019-02-19 2024-03-18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충전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US11114903B2 (en) 2019-06-24 2021-09-07 Apple Inc. Wireless power systems with concurrently active data streams
US10862216B1 (en) 2019-06-28 2020-12-08 Apple Inc. Electronic devices having indirectly-fed slot antenna elements
US11929792B2 (en) 2020-01-10 2024-03-12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Wireless power transfer using dynamic beamforming
KR20210101718A (ko) * 2020-02-10 2021-08-19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충전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20220072611A (ko) * 2020-11-25 2022-06-0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력 송신 장치, 및 그 전력 송신 장치 및 전력 수신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의 최대 효율 동작 점 추적 방법
KR102591380B1 (ko) * 2022-02-11 2023-10-19 한국과학기술원 무선 전력 및 데이터 송수신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93598A (ja) 2009-02-17 2010-09-02 Nippon Soken Inc 非接触給電設備および非接触給電システム
US20110169338A1 (en) 2010-01-14 2011-07-14 Sony Corporation Power feeding device, power receiving device and wireless power feeding system
US20120161541A1 (en) * 2010-12-28 2012-06-28 Tdk Corporatio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200904015A (en) * 2007-03-15 2009-01-16 Powercast Corp Multiple frequency transmitter, receiver, and systems thereof
US20100034238A1 (en) * 2008-08-05 2010-02-11 Broadcom Corporation Spread spectrum wireless resonant power delivery
US8111042B2 (en) 2008-08-05 2012-02-07 Broadcom Corporation Integrated wireless resonant power charging and communication channel
US9473209B2 (en) * 2008-08-20 2016-10-18 Intel Corporation Wireless power transfer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JP5621203B2 (ja) * 2009-03-30 2014-11-12 富士通株式会社 無線電力供給システム、無線電力供給方法
JP5515368B2 (ja) * 2009-03-31 2014-06-11 富士通株式会社 無線電力供給方法及び無線電力供給システム
JP5417942B2 (ja) * 2009-03-31 2014-02-19 富士通株式会社 送電装置、送受電装置および送電方法
US8294418B2 (en) * 2010-02-03 2012-10-23 ConvenientPower, Ltd. Power transfer device and method
KR20110136015A (ko) 2010-06-14 2011-12-21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에서 전자기 간섭 감소를 위한 적응적 주파수 호핑 장치 및 방법
US9203380B2 (en) * 2010-12-29 2015-12-01 National Semiconductor Corporation Resonance tuning
US9325205B2 (en) * 2011-03-04 2016-04-26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Method for driving power supply system
US8594804B2 (en) * 2011-04-28 2013-11-26 Cyberonics, Inc. Implantable medical device charging
US8401664B2 (en) * 2011-04-29 2013-03-19 Cyberonics, Inc. System and method for charging a power cell in an implantable medical device
US8764621B2 (en) * 2011-07-11 2014-07-01 Vascor, Inc. Transcutaneous power transmission and communication for implanted heart assist and other devices
KR101786945B1 (ko) * 2011-07-22 2017-10-1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전력 송신 장치 및 전력 수신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93598A (ja) 2009-02-17 2010-09-02 Nippon Soken Inc 非接触給電設備および非接触給電システム
US20110169338A1 (en) 2010-01-14 2011-07-14 Sony Corporation Power feeding device, power receiving device and wireless power feeding system
US20120161541A1 (en) * 2010-12-28 2012-06-28 Tdk Corporatio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9352A (ko) 2020-10-14 2022-04-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전력을 송신하는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843226B2 (en) 2017-12-12
US20150162785A1 (en) 2015-06-11
EP2870677B1 (en) 2018-09-05
WO2014007415A1 (en) 2014-01-09
KR20150032529A (ko) 2015-03-26
EP2870677A1 (en) 2015-05-13
EP2870677A4 (en) 2016-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2692B1 (ko) 무선 전력 전송에서의 주파수를 주기적으로 변경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811292B1 (ko) 공진 주파수의 조절 기능을 구비한 무선 전력 송신 장치 및 무선 전력 수신 장치
KR101688948B1 (ko) 무선 전력 전송을 이용한 데이터 통신 연결 수립
KR102096312B1 (ko) 무선 전력 전송 장치 및 그 방법
KR101956570B1 (ko) 유도 방식과 공진 방식을 지원하는 무선 전력 수신장치 및 무선 전력 수신방법
US9306401B2 (en) Wireless power transmitter and wireless power transfer method thereof in many-to-one communication
KR102082415B1 (ko) 무선 전력 전송 장치 및 그 방법
KR101832331B1 (ko) 장치들 간의 무선 전력 전송 및 통신
US972254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tting frequency of wireless power transmission
US9825672B2 (en) Method of modulating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ignal
US9444289B2 (en) Wireless power system and resonant frequency changing method thereof
US9923408B2 (en) Method for deciding communication protocol between wireless power transmitter and wireless power receiver
EP2736207B1 (en) Communication of wireless power receiver through wireless power signal
KR101910379B1 (ko) 양방향 통신이 가능한 무선 전력 전송장치
KR102166687B1 (ko) 무선 전력 전송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EP2736206A1 (en) Two-way communication using wireless power signal
KR102036637B1 (ko) Nfc용 코일부 및 무선 충전용 코일부를 구비하는 무선 전력 수신장치의 수신코일
KR20140121200A (ko) 무선 전력 수신장치 및 무선 전력 송수신장치
KR20140060186A (ko) 복수의 전력 전송기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전송장치
KR20140095348A (ko) 고정 주파수를 이용하는 lc공진 발진기의 이득을 조절하는 무선 전력 전송 장치 및 이득 조절 방법
KR102058367B1 (ko) 무선 전력 전송 이득 조절 기능을 구비한 무선 전력 전송장치 및 무선 전력 전송방법
KR20140095349A (ko) Lc공진 발진기의 동작점 유지 기능을 갖는 무선 전력 전송장치 및 동작점 유지 방법
KR102035466B1 (ko) 수신된 무선 전력에 대한 전력 분배 기능을 가지는 전자기기 및 전력 분배방법
KR20150017581A (ko) 무선 전력 송신장치에 접촉되는 전자기기 및 그의 메뉴 표시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