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1326B1 - 목재 사이딩 권취식 고정 클립 - Google Patents

목재 사이딩 권취식 고정 클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1326B1
KR101831326B1 KR1020150094798A KR20150094798A KR101831326B1 KR 101831326 B1 KR101831326 B1 KR 101831326B1 KR 1020150094798 A KR1020150094798 A KR 1020150094798A KR 20150094798 A KR20150094798 A KR 20150094798A KR 101831326 B1 KR101831326 B1 KR 1018313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ing
vertical
wooden
horizontal
b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47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4445A (ko
Inventor
김기배
Original Assignee
(주)나무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나무들 filed Critical (주)나무들
Priority to KR10201500947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1326B1/ko
Publication of KR201700044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44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13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13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0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1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14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fixed by means of clamping a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1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of wood or with an outer layer of woo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01/00Joining sheets or plates or panels
    • E04F2201/05Separate connectors or inserts, e.g. pegs, pins, keys or strips
    • E04F2201/0511Strips or bars, e.g. nailing strip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01/00Joining sheets or plates or panels
    • E04F2201/05Separate connectors or inserts, e.g. pegs, pins, keys or strips
    • E04F2201/0517U- or C-shaped brackets and cla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목재 사이딩 권취식 고정 클립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재 사이딩 권취식 고정 클립은, 벽체 외장용 목재 사이딩(1)을 구조부재(2)에 고정시키기 위한, 목재 사이딩 고정 클립에 있어서, 상기 사이딩(1)의 일측면을 지지하는 수직부(10)와; 상기 수직부(10)의 상단에 일체로 연결된 채 수평 상방향으로 절곡되어 사이딩(1)의 상면을 지지하는 상부수평부(20)와; 상기 상부수평부(20) 선단에 일체로 연결된 채 수직 하방으로 절곡되어 사이딩(1)의 일측면을 감싸는 하향절곡부(30)와; 상기 수직부(10)의 하단에 일체로 연결된 채 연속으로 수평 및 수직으로 2단 절곡되어 구조부재(2)와의 사이로 삽입홈(41)을 형성하는 홈형성부(40)와; 상기 홈형성부(40) 단부에 일체로 연결된 채 수평 방향으로 절곡되어 사이딩(1)의 저부를 지지하는 하부수평부(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해, 상부수평부와 하부수평부 사이에 목재 사이딩 일측면 전체를 지지하는 수직부를 형성함으로써 목재 사이딩이 구조부재에 직접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여 목재 사이딩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더불어, 클립 수직부의 하부에는 2단 절곡되어 삽입홈이 형성되고, 클립 수직부 상부에는 이 삽입홈에 삽입 가능한 홈삽입부가 형성되어 클립들이 상하로 연속되어 설치되어 전체 사이딩을 권취한 채 설치될 수 있게 하여 사이딩의 변형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목재 사이딩 권취식 고정 클립{Pocket type fixing clip for wood siding}
본 발명은 목재 사이딩 고정 클립에 관한 것으로, 특히 목재 사이딩을 권취식으로 감싸 목재 사이딩과 클립 고정시 피스 사용을 최소화하여 목재의 갈라짐, 변색, 뒤틀림 같은 부작용을 최소화하도록 한, 목재 사이딩 권취식 고정 클립에 관한 것이다.
목재 사이딩은 실내외 벽면 등의 마감재로 주로 사용되어 왔으며, 최근에는 다양한 범위로 사용처가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목재 사이딩은 다른 재료에 비해 충격 및 진동을 효율적으로 흡수하여 조용한 환경을 조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각적으로도 부드럽고 편안한 느낌을 제공한다.
목재 사이딩은 설치하고자 하는 장소의 벽면에 금속재질의 각 파이프나 목재 재질의 지지 프레임(장선)을 일정 간격으로 벌려서 설치하고, 그 위에 목재 사이딩을 지지 프레임(장선)과 직각방향으로 배열한 후, 못이나 나사 등의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지지 프레임(장선)과 목재 데크를 체결하는 단계를 거쳐 설치된다.
최근 들어 목재 사이딩을 보다 간편하게 시공할 수 있도록 클립을 사용한 기술이 제안되고 있다.
일예로, "건물 외벽의 사이딩 패널 조립구조"(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65304호, 특허문헌 1)에는 목재 사이딩의 단부에 형성된 홈에 끼움 결합되도록 양측에 수직 방향으로 돌출된 부분이 형성되고, 수직면 일측은 목재 사이딩을 지지하도록 한 클립이 공개되어 있다.
이 경우 목재 사이딩의 중간 내측면은 목재 사이딩을 지지하기 위한 구조부재인 장선과 이격되어 있게 된다.
그런데, 목재는 다른 구조 부재와 달리 통상적으로 자체 함수량이 높은 편이며, 수분의 침투 및 건조가 반복됨에 따라 수축 팽창하면서 뒤틀리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에 따라 목재 사이딩의 양 단부만을 고정한 특허문헌 1과 같은 기술은 조립은 간편하게 이루어지고 상,하단은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으나, 수분 침투와 건조의 반복이나 주변 환경의 온도 변화에 따른 변형이 발생하는 현상을 방지하지 못하게 되는 바, 양측의 홈 사이 부분이 휘어지는 현상이 쉽게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한 기술로, "벽체 외장용 합성목재 사이딩 고정클립""(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50471호, 특허문헌 2)에는 목재의 상하단과 내측면을 감싸는 ㄷ자형으로 형성되어 사이딩이 잘 변형되지 않도록 한 기술이 공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2는 클립의 단부가 인접한 사이딩의 일측면 일부까지 지지하게 되어 있어 결과적으로 클립이 연속으로 사이딩에 연결되어 설치되지 못하고 하나씩 건너 뛴 형태로 설치되게 된다.
결국 특허문헌 2의 경우에도 전체 사이딩이 클립에 의해 감싸지지 못하게 되므로 일부 사이딩에는 변형 요인이 그대로 적용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KR 20-0465304 (2013.02.05) KR 10-2013-0050471 (2013.05.16)
본 발명의 목재 사이딩 권취식 고정 클립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상부수평부와 하부수평부 사이에 목재 사이딩 일측면 전체를 지지하는 수직부를 형성함으로써 목재 사이딩이 구조부재에 직접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여 목재 사이딩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더불어, 클립 수직부의 하부에는 2단 절곡되어 삽입홈이 형성되고, 클립 수직부 상부에는 이 삽입홈에 삽입 가능한 홈삽입부가 형성되어 클립들이 상하로 연속되어 설치되어 전체 사이딩을 권취한 채 설치될 수 있게 하여 사이딩의 변형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또, 수직부와 목재 사이딩 사이에 신축성을 갖는 충격흡수부재를 설치함으로써 외측에서 사이딩에 충격을 가할 때 충격을 흡수하여 구조부재나 구조부재가 연결된 외벽을 보호하여 손상이 발생하지 않게 하려는 것이다.
또한, 클립의 상하단에는 사이딩과의 사이로 패킹을 설치하여 클립 내부로의 수분 침투를 저감시키려는 것이다.
특히, 수직부로부터 충격흡수부재를 천공하여 관통된 변형유동방지부를 형성하여 천공에 따라 중공벽체부가 형성되면서 인접한 중공벽체부 사이의 충격흡수부재에 압축력이 발생되도록 하고, 신축성을 갖는 재질 특성에 따라 측면은 물론 상하 방향으로도 목재 사이딩의 변형 발생에 대해 저항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변형 발생을 저감시키려는 것이다.
아울러, 충격흡수부재의 타측 선단이 두께가 달라지도록 라운드진 형상으로 형성되고, 패킹의 단부에 라운드진 부분이 삽입되는 가이드공간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목재 사이딩에 변형이 발생하여 사이딩과 하부수평부나 상부수평부 사이에 공간이 발생하는 경우 이미 작용되어 있는 인장력에 의해 라운드진 부분이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변형 발생시 유격을 방지할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또한, 변형유동방지부를 구성하는 중공벽체부 선단에는 테이퍼진 형상으로 형성되어 조립 과정에서 압력을 가해 테이퍼진 부분이 목재 사이딩에 부분적으로 박혀 고정되도록 하여 목재 사이딩의 변형 발생을 저감시키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재 사이딩 권취식 고정 클립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벽체 외장용 목재 사이딩(1)을 구조부재(2)에 고정시키기 위한, 목재 사이딩 고정 클립에 있어서, 상기 사이딩(1)의 일측면을 지지하는 수직부(10)와; 상기 수직부(10)의 상단에 일체로 연결된 채 수평 상방향으로 절곡되어 사이딩(1)의 상면을 지지하는 상부수평부(20)와; 상기 상부수평부(20) 선단에 일체로 연결된 채 수직 하방으로 절곡되어 사이딩(1)의 일측면을 감싸는 하향절곡부(30)와; 상기 수직부(10)의 하단에 일체로 연결된 채 연속으로 수평 및 수직으로 2단 절곡되어 구조부재(2)와의 사이로 삽입홈(41)을 형성하는 홈형성부(40)와; 상기 홈형성부(40) 단부에 일체로 연결된 채 수평 방향으로 절곡되어 사이딩(1)의 저부를 지지하는 하부수평부(50)와; 상기 상부수평부(20) 및 수직부(10)의 연결 지점으로부터 상부수평부(20)와 일직선을 이룬 채 상방향으로 돌출되어 인접한 클립의 삽입홈(41)에 끼워지도록 이루어진 홈삽입부(11)와; 상기 수직부(10)로부터 홈형성부(40)의 일측면에 사이딩(1)과의 사이로 끼워져 설치되어 있고, 신축성 재질로 이루어져 있되, 상부수평부(20) 및 하부수평부(50)와 접하는 양측 단부는 일측면이 수직부(10)와 이격되도록 곡선 형상의 수직라운드부(61)가 형성되어 있는 충격흡수부재(60)와; 상기 상부수평부(20) 저부와 사이딩(1) 상부 사이 및 하부수평부(50) 상부와 사이딩(1) 저부 사이에 끼워지고, 방수성 및 신축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충격흡수부재(60)와 인접한 단부는 각각 상부수평부(20) 및 하부수평부(50)와 이격되는 가이드공간(72)이 형성되도록 곡선 형상의 수평라운드부(71)가 형성되어 있는 패킹(70)과; 상기 수직부(10) 및 상기 충격흡수부재(60)가 저부로부터 천공부재에 의해 상방향으로 천공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천공에 의해 중앙에는 중공부(81)가 형성되어 있고, 중공부(81)를 둘러싼 중공벽체부(82)가 형성되어 있으며, 천공에 따른 중공벽체부(82)의 형성에 의해 충격흡수부재(60)의 수직라운드부(61)에 가이드공간(72)으로 삽입되도록 압력을 받도록 이루어져 있고, 상기 중공벽체부(82)에는 천공 방향을 따라 절개된 절개부(83)가 형성되어 상기 중공부(81)는 상광하협의 형상을 취하고, 상기 중공벽체부(82) 단부는 사이딩(1)을 향해 테이퍼진 형상으로 형성된 테이퍼부(84)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테이퍼부(84)는 사이딩(1) 일측면에 가압되어 끼워져 고정되도록 이루어진 변형유동방지부(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는, 벽체 외장용 목재 사이딩(1)을 구조부재(2)에 고정시키기 위한, 목재 사이딩 고정 클립에 있어서, 상기 사이딩(1)의 일측면을 지지하는 수직부(10)와; 상기 수직부(10)의 상단에 일체로 연결된 채 수평 상방향으로 절곡되어 사이딩(1)의 상면을 지지하는 상부수평부(20)와; 상기 상부수평부(20) 선단에 일체로 연결된 채 수직 하방으로 절곡되어 사이딩(1)의 일측면을 감싸는 하향절곡부(30)와; 상기 수직부(10)의 하단에 일체로 연결된 채 연속으로 수평 및 수직으로 2단 절곡되어 구조부재(2)와의 사이로 삽입홈(41)을 형성하는 홈형성부(40)와; 상기 홈형성부(40) 단부에 일체로 연결된 채 수평 방향으로 절곡되어 사이딩(1)의 저부를 지지하는 하부수평부(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해, 상부수평부와 하부수평부 사이에 목재 사이딩 일측면 전체를 지지하는 수직부를 형성함으로써 목재 사이딩이 구조부재에 직접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여 목재 사이딩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더불어, 클립 수직부의 하부에는 2단 절곡되어 삽입홈이 형성되고, 클립 수직부 상부에는 이 삽입홈에 삽입 가능한 홈삽입부가 형성되어 클립들이 상하로 연속되어 설치되어 전체 사이딩을 권취한 채 설치될 수 있게 하여 사이딩의 변형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 수직부와 목재 사이딩 사이에 신축성을 갖는 충격흡수부재를 설치함으로써 외측에서 사이딩에 충격을 가할 때 충격을 흡수하여 구조부재나 구조부재가 연결된 외벽을 보호하여 손상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또한, 클립의 상하단에는 사이딩과의 사이로 패킹을 설치하여 클립 내부로의 수분 침투를 저감시킬 수 있다.
특히, 수직부로부터 충격흡수부재를 천공하여 관통된 변형유동방지부를 형성하여 천공에 따라 중공벽체부가 형성되면서 인접한 중공벽체부 사이의 충격흡수부재에 압축력이 발생되도록 하고, 신축성을 갖는 재질 특성에 따라 측면은 물론 상하 방향으로도 목재 사이딩의 변형 발생에 대해 저항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변형 발생을 저감시킬 수 있다.
아울러, 충격흡수부재의 타측 선단이 두께가 달라지도록 라운드진 형상으로 형성되고, 패킹의 단부에 라운드진 부분이 삽입되는 가이드공간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목재 사이딩에 변형이 발생하여 사이딩과 하부수평부나 상부수평부 사이에 공간이 발생하는 경우 이미 작용되어 있는 인장력에 의해 라운드진 부분이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변형 발생시 유격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변형유동방지부를 구성하는 중공벽체부 선단에는 테이퍼진 형상으로 형성되어 조립 과정에서 압력을 가해 테이퍼진 부분이 목재 사이딩에 부분적으로 박혀 고정되도록 하여 목재 사이딩의 변형 발생을 저감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목재 사이딩 권취식 고정 클립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서 변형유동방지부의 형성에 따른 작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천공부재에 의한 천공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목재 사이딩 권취식 고정 클립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목재 사이딩용 고정 클립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목재 사이딩용 고정 클립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본 발명의 목재 사이딩용 고정 클립은 도 1과 같이 상부 일측은 돌출되어 있고, 저부 일측은 돌출된 형상에 대응되어 홈이 형성되어 있는 사이딩(1)에 적용된다 할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고정 클립에 대응되어 사이딩(1)의 하부 홈의 상측에는 후술하는 삽입홈(41)의 형상에 대응되어 홈이 형성된 것을 이용한다.
도면에서 사이딩(1)의 내주면에는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평평한 면으로 될 수도 있다 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통해 본 발명의 목재 사이딩 권취식 고정 클립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목재 사이딩 권취식 고정 클립은 크게 수직부(10), 상부수평부(20), 하향절곡부(30), 홈형성부(40), 하부수평부(50), 충격흡수부재(60), 패킹(70) 및 변형유동방지부(80)로 구성되어 있다.
수직부(10)는 첨부된 도면들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사이딩(1)의 일측면, 구체적으로는 구조부재(2)와 인접한 측벽면을 지지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상부수평부(20)는 상기 수직부(10)의 상단에 일체로 연결된 채 수평 상방향으로 절곡되어 사이딩(1)의 상면을 지지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하향절곡부(30)는 상기 상부수평부(20) 선단에 일체로 연결된 채 수직 하방으로 절곡되어 사이딩(1)의 상측면을 감싸도록 이루어져 있다.
홈형성부(40)는 상기 수직부(10)의 하단에 일체로 연결된 채 연속으로 수평 및 수직으로 2단 절곡되어 구조부재(2)와의 사이로 삽입홈(41)을 형성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하부수평부(50)는 상기 홈형성부(40) 단부에 일체로 연결된 채 수평 방향으로 절곡되어 사이딩(1)의 저부를 지지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하부수평부(50)에는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저부가 안착된 사이딩(1)을 피스(100)로 관통시켜 고정할 수 있도록 피스설치홀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하부수평부(50)가 수직부(10)와 이루는 각도는 본 발명의 고정클립에 목재 사이딩(1)를 슬라이딩 방식으로 끼우는 경우에는 90도의 각도로 형성될 수 있다.
또, 하부수평부(50)를 아래쪽 방향으로 당겨 사이딩(1)을 강제로 끼워지도록 하는 방식으로 조립할 때에는 90도가 안되는 각도로 형성하여 강재와 같은 부재 자체의 탄성에 의해 강제로 당겨 목재 사이딩(1)를 끼운 후 하부수평부(50)가 상방으로 향하는 탄성복원력에 의해 되돌아가면서 하부수평부(50)가 사이딩(1)의 저부에 밀착되어 밀착된 상태에서 90도의 각도가 이루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홈삽입부(11)는 상기 상부수평부(20) 및 수직부(10)의 연결 지점으로부터 상부수평부(20)와 일직선을 이룬 채 상방향으로 돌출되어 인접한 클립의 삽입홈(41)에 끼워지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고정클립을 구조부재(2)에 고정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피스(100)가 홈삽입부(11)를 관통하여 구조부재(2)에 고정되도록 홈삽입부(11)에는 피스(100) 몸체가 관통하는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피스머리(100)가 홈삽입부(11) 외주면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홀 주변에 홈이 형성되거나, 삽입홈(41)의 깊이가 홈삽입부(11)의 두께보다 크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충격흡수부재(60)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수직부(10)로부터 홈형성부(40)의 일측면에 사이딩(1)과의 사이로 끼워져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충격흡수부재(60)는 폴리스틸렌, 스폰지, 합성고무 등과 같이 상하 방향 및 길이 방향에 작용하는 압축력에 대응하여 쿠션을 갖는 신축성 재질로 이루어져 있다.
또, 충격흡수부재(60)는 상부수평부(20) 및 하부수평부(50)와 접하는 양측 단부는 일측면이 수직부(10)와 이격되도록 곡선 형상의 수직라운드부(61)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패킹(70)은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상부수평부(20) 저부와 사이딩(1) 상부 사이 및 하부수평부(50) 상부와 사이딩(1) 저부 사이에 끼워져 설치되어 있다.
더불어, 패킹(70)은 실리콘 고무 등과 같이 방수성 및 신축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패킹(70)은 충격흡수부재(60)와 인접한 단부에 각각 상부수평부(20) 및 하부수평부(50)와 이격되는 가이드공간(72)이 형성되도록 곡선 형상의 수평라운드부(71)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형상은 충격흡수부재(60)의 수직라운드부(61)가 가이드공간(72)을 통해 삽입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변형유동방지부(80)는 본 발명에서 매우 중요한 구성 요소의 하나로, 상기 수직부(10) 및 홈형성부(40)에 충격흡수부재(60)가 설치되어 있는 상태에서 저부로부터 미도시된 천공부재에 의해 상방향으로 천공되어 형성되어 있다.
도 1을 기준으로는 구조부재(2)로부터 사이딩(1)을 향한 방향으로 천공된다.
도면의 천공부재(90)는 단부에 뾰족한 선단부(91)가 형성된 각뿔 형상을 갖는 각뿔형성부(92)와, 상기 각뿔형성부(92)의 일측에 각뿔형성부(92)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되 점차 직경이 감소하도록 이루어진 축경부(93)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형상은 천공부재(90) 선단부(91)가 수직부(10) 및 홈형성부(40)를 관통하면서 구멍이 형성되고, 계속 천공되면서 각뿔형성부(92)가 구멍을 통과하면서 구멍이 각뿔 형상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여러 개의 갈래로 나뉘어 절개되며, 천공부재(90)가 계속 상승함에 따라 축경부(93)에 의해 상광하협의 형상으로 벌어져 형성될 수 있다.
더불어, 도 3의 분해사시도에서 충격흡수부재(60)에 형성된 홀은 기 형성된 미리 천공되어 형성된 것이 아닌 충격흡수부재(60)가 수직부(10) 및 홈형성부(40)에 안착되어 있는 상태에서 천공된 후의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변형유동방지부(80)는 상기와 같은 천공부재(90)의 천공에 의해 중앙에는 중공부(81)가 형성되어 있고, 중공부(81)를 둘러싼 중공벽체부(82)가 형성되어 있는 구조를 취하게 된다.
이때, 충격흡수부재(60)가 수직부(10) 및 홈형성부(40)에 도 2의 상측 도면과 같이 설치된 상태에서 천공부재(90)의 선단부(91)가 수직부(10)와 충격흡수부재(60) 또는 홈형성부(40)와 충격흡수부재(60)를 관통하게 되면, 충격흡수부재(60)는 도 2의 하측 도면과 같이 수직라운드부(61)에 가이드공간(72)으로 삽입되도록 압력을 받게 된다.
이때, 가이드공간(72)의 크기는 천공 과정에서 수직라운드부(61)가 충분히 삽입될 정도의 크기가 아닌, 단순히 수직라운드부(61)의 선단 일부가 살짝 삽입될 정도의 크기가 바람직하다.
이는 천공에 의해 충격흡수부재(60)에 가해진 압축력이 초기 설치 상태에서 완전히 해소되지 못한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는 것에 목적을 둔 것으로, 사용 중 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목재 사이딩(1)에 변형이 발생하게 되어 패킹(70)과 목재 사이딩(1) 사이가 벌어져 수분 침투 등이 발생할 우려가 있을 때, 기 가해져 있던 압축력에 의해 그 틈으로 수직라운드부(61)가 파고들어 틈을 메우고, 이격된 공간을 메꿔 유격의 발생을 방지하여 소음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해주기 위한 것이다.
이는 충격흡수부재(60)가 상하 방향은 물론 길이 방향에 대해서도 신축성을 갖는 합성고무나 스폰지 등과 같은 재질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가능해진다.
더불어, 천공부재(90)가 둘레가 뾰족한 펀칭과 같은 구조가 아니라 각뿔 형상을 갖기 때문에 최초 구멍이 뚤리면 뚤린 지점을 기준으로 각뿔형성부(92)가 유입되면서 충격흡수부재(60)는 외곽 방향으로 밀리는 힘을 받게 되어 결국 중공벽체부(82)와 하부수평부(50) 사이에서 압축력을 받고 있는 상태가 되는 것이다.
더불어, 이처럼 충격흡수부재(60)가 수직부(10)나 홈형성부(40)에 설치된 상태에서 천공이 이루어짐에 따라 인접한 중공부(81) 사이 부분은 모두 압축력을 받는 상태가 되고 이러한 압축력에 따라 신축성을 갖는 재질 특성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압력을 전달하게 된다.
이처럼 상하 방향으로 압력을 전달하게 됨에 따라 목재 사이딩(1)의 상하 방향(도면상에서 좌우 방향) 변형력에 대해 저항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와 같은 천공부재(90)의 천공에 의해 도 1,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중공벽체부(82)에는 상하 방향으로 절개된 절개부(83)가 형성되고,
천공부재(90)의 각뿔형성부(92) 및 축경부(93) 형상에 의해 상기 중공부(81)는 상광하협의 형상을 취하게 된다.
더불어, 상기 중공벽체부(82) 상단은 상측을 향해 테이퍼진 형상으로 형성된 테이퍼부(84)가 형성되어 있게 된다.
아울러, 이렇게 형성된 테이퍼부(84)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사이딩(1) 일측면에 가압되어 끼워져 고정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사이딩(1) 일측면을 파고들어 고정되는 것은 본 발명의 고정 클립에 사이딩(1)를 끼운 후 서로 밀착 가압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파고들어가는 깊이는 0.1 ~ 1mm 정도의 미세한 깊이로, 목재 사이딩(1) 표면에 크랙을 발생시키지 않을 정도면 충분하다.
이는 테이퍼부(84)의 목적이 사이딩(1)의 변형에 저항하고자 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목재 사이딩 권취식 고정 클립은 수직부(10)와 목재 사이딩(1) 사이에 신축성을 갖는 충격흡수부재(60)가 설치되어 기본적으로 외부 충격으로부터 구조부재(2)나 그 내측의 외벽을 보호할 수 있게 된다.
또, 상부수평부(20) 및 하부수평부(50)의 내주면에는 패킹(70)이 설치되어 상부수평부(20)나 하부수평부(50)에서의 수분 침투를 저감시킬 수 있게 된다.
특히, 수직부(10)로부터 충격흡수부재(60)를 천공하여 관통된 변형유동방지부(80)를 형성하여 천공에 따라 중공벽체부(82)가 형성되면서 인접한 중공벽체부(82) 사이의 충격흡수부재(60)에 압축력이 발생되도록 하고, 충격흡수부재(60)의 재질 특성에 따라 사이딩(1)의 변형에 저항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충격흡수부재(60)의 타측 선단이 두께가 달라지도록 라운드진 형상으로 형성되고, 패킹(70)의 하단에 라운드진 부분이 삽입되는 가이드공간(72)이 형성되어 있어 목재 사이딩(1)에 변형이 발생하여 사이딩(1)과 상부수평부(20) 및 하부수평부(50) 사이에 공간이 발생하는 경우 이미 작용되어 있는 압축력에 의해 라운드진 부분이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변형 발생시 유격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변형유동방지부(80)를 구성하는 중공벽체부(82) 선단의 테이퍼부(84)는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이나 조립시 발생하는 압력에 의해 테이퍼진 부분이 목재 사이딩에 부분적으로 박혀 고정되도록 하여 목재 사이딩의 변형 발생을 저감시킬 수 있게 된다.
이처럼 변형유동방지부(80)는 간편한 천공 작업을 통해 구성되면서도 사이딩(1)의 변형을 방지하고, 유격을 방지하며, 방수 성능을 보완하는 여러 작용을 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수직부(10), 상부수평부(20), 하향절곡부(30), 홈형성부(40), 하부수평부(50), 홈삽입부(11)만으로 이루어진 도 4 내지 6의 구성은 상부수평부(20)와 하부수평부(40) 사이에 목재 사이딩(1) 일측면 전체를 지지하는 수직부(10)를 형성함으로써 목재 사이딩(1)이 구조부재(2)에 직접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여 목재 사이딩(1)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더불어, 클립 수직부(10)의 하부에는 2단 절곡되어 삽입홈(41)이 형성되고, 클립 수직부(10) 상부에는 이 삽입홈(41)에 삽입 가능한 홈삽입부(11)가 형성되어 클립들이 상하로 연속되어 설치되어 전체 사이딩(1)을 권취한 채 설치될 수 있게 하여 사이딩(1)의 변형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1 : 사이딩 2 : 구조부재
10 : 수직부 11 : 홈삽입부
20 : 상부수평부 30 : 하향절곡부
40 : 홈형성부 41 : 삽입홈
50 : 하부수평부 60 : 충격흡수부재
61 : 하부라운드부 70 : 패킹
71 : 측면라운드부 72 : 가이드공간
80 : 변형유동방지부 81 : 중공부
82 : 중공벽체부 83 : 절개부
84 : 테이퍼부 90 : 천공부재
91 : 선단 92 : 각뿔형성부
93 : 축경부 100 : 피스

Claims (2)

  1. 벽체 외장용 목재 사이딩(1)을 구조부재(2)에 고정시키기 위한, 목재 사이딩 고정 클립에 있어서,
    상기 사이딩(1)의 일측면을 지지하는 수직부(10)와;
    상기 수직부(10)의 상단에 일체로 연결된 채 수평 상방향으로 절곡되어 사이딩(1)의 상면을 지지하는 상부수평부(20)와;
    상기 상부수평부(20) 선단에 일체로 연결된 채 수직 하방으로 절곡되어 사이딩(1)의 일측면을 감싸는 하향절곡부(30)와;
    상기 수직부(10)의 하단에 일체로 연결된 채 연속으로 수평 및 수직으로 2단 절곡되어 구조부재(2)와의 사이로 삽입홈(41)을 형성하는 홈형성부(40)와;
    상기 홈형성부(40) 단부에 일체로 연결된 채 수평 방향으로 절곡되어 사이딩(1)의 저부를 지지하는 하부수평부(50)와;
    상기 상부수평부(20) 및 수직부(10)의 연결 지점으로부터 상부수평부(20)와 일직선을 이룬 채 상방향으로 돌출되어 인접한 클립의 삽입홈(41)에 끼워지도록 이루어진 홈삽입부(11)와;
    상기 수직부(10)로부터 홈형성부(40)의 일측면에 사이딩(1)과의 사이로 끼워져 설치되어 있고, 신축성 재질로 이루어져 있되, 상부수평부(20) 및 하부수평부(50)와 접하는 양측 단부는 일측면이 수직부(10)와 이격되도록 곡선 형상의 수직라운드부(61)가 형성되어 있는 충격흡수부재(60)와;
    상기 상부수평부(20) 저부와 사이딩(1) 상부 사이 및 하부수평부(50) 상부와 사이딩(1) 저부 사이에 끼워지고, 방수성 및 신축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충격흡수부재(60)와 인접한 단부는 각각 상부수평부(20) 및 하부수평부(50)와 이격되는 가이드공간(72)이 형성되도록 곡선 형상의 수평라운드부(71)가 형성되어 있는 패킹(70)과;
    상기 수직부(10) 및 홈형성부(40)에 상기 충격흡수부재(60)가 설치되어 있는 상태에서 저부로부터 천공부재에 의해 상방향으로 천공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천공에 의해 중앙에는 중공부(81)가 형성되어 있고, 중공부(81)를 둘러싼 중공벽체부(82)가 형성되어 있으며, 천공에 따른 중공벽체부(82)의 형성에 의해 충격흡수부재(60)의 수직라운드부(61)에 가이드공간(72)으로 삽입되도록 압력을 받도록 이루어져 있고, 상기 중공벽체부(82)에는 천공 방향을 따라 절개된 절개부(83)가 형성되어 상기 중공부(81)는 상광하협의 형상을 취하고, 상기 중공벽체부(82) 단부는 사이딩(1)을 향해 테이퍼진 형상으로 형성된 테이퍼부(84)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테이퍼부(84)는 사이딩(1) 일측면에 가압되어 끼워져 고정되도록 이루어진 변형유동방지부(80);를 포함하여 구성된,
    목재 사이딩 권취식 고정 클립.
  2. 삭제
KR1020150094798A 2015-07-02 2015-07-02 목재 사이딩 권취식 고정 클립 KR1018313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4798A KR101831326B1 (ko) 2015-07-02 2015-07-02 목재 사이딩 권취식 고정 클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4798A KR101831326B1 (ko) 2015-07-02 2015-07-02 목재 사이딩 권취식 고정 클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4445A KR20170004445A (ko) 2017-01-11
KR101831326B1 true KR101831326B1 (ko) 2018-04-04

Family

ID=578330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4798A KR101831326B1 (ko) 2015-07-02 2015-07-02 목재 사이딩 권취식 고정 클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132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36996A (ja) 2004-04-28 2005-12-08 Yoshino Gypsum Co Ltd ボード建材、ボード建材製造方法及びボード建材施工方法
JP2010001605A (ja) 2008-06-18 2010-01-07 Ig Kogyo Kk 外装材
JP2015001104A (ja) * 2013-06-15 2015-01-05 株式会社竹中工務店 建物外壁におけるタイル支持方法及び建物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5304Y1 (ko) 2010-11-12 2013-02-12 (주)휴그린하이테크 건물 외벽의 사이딩 패널 조립구조
KR20130050471A (ko) 2011-11-08 2013-05-16 이은식 벽체 외장용 합성목재 사이딩 고정클립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36996A (ja) 2004-04-28 2005-12-08 Yoshino Gypsum Co Ltd ボード建材、ボード建材製造方法及びボード建材施工方法
JP2010001605A (ja) 2008-06-18 2010-01-07 Ig Kogyo Kk 外装材
JP2015001104A (ja) * 2013-06-15 2015-01-05 株式会社竹中工務店 建物外壁におけるタイル支持方法及び建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4445A (ko) 2017-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45237B1 (ko) 내진단열 구조를 갖는 외장 판넬 구조체
KR101731313B1 (ko) 목재 데크용 ㄷ자형 고정 클립
KR101826795B1 (ko) 목재 사이딩 고정 클립
KR20170003454U (ko) 고정철물을 이용한 일체형 마감재 시공구조
KR200467732Y1 (ko) 타카고정식 방범창 프레임
KR101831326B1 (ko) 목재 사이딩 권취식 고정 클립
JP5451549B2 (ja) 連結金具
KR101947077B1 (ko) 기능성 데크 시스템
KR101831327B1 (ko) 목재 사이딩 끼움식 고정 클립
KR101743242B1 (ko) 날개형 고정 클립과 목재 데크의 설치 구조
KR20110000268A (ko) 건축용 패널의 시공구조
KR101789777B1 (ko) 외단열 시공용 단열보드 고정부재
KR20100006725U (ko) 도어용 패킹
KR101662783B1 (ko) 결합구조가 개선된 커튼월
KR100981307B1 (ko) 창틀 받침용 브래킷
KR20140005485U (ko) 천정판 고정구조
KR20060102812A (ko) 조립식 패널 코너핀
KR200382025Y1 (ko) 도어의 안전부재
KR102461959B1 (ko) 외장 마감패널
KR102268137B1 (ko) 클립을 이용한 건축용 외장재의 내진 결합구조
KR101742213B1 (ko) 목재 데크용 연결클립
KR102666084B1 (ko) 내진용 외장패널 조립체
KR200466580Y1 (ko) 메탈 패널 고정용 브라켓
JP5026996B2 (ja) 床支持具、床構造、及び、床設置方法
JP2019078037A (ja) 終端保持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