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1299B1 - 콘크리트 외벽의 크랙 보수를 위한 물차단판 및 이를 이용한 크랙 보수방법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외벽의 크랙 보수를 위한 물차단판 및 이를 이용한 크랙 보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1299B1
KR101831299B1 KR1020160042193A KR20160042193A KR101831299B1 KR 101831299 B1 KR101831299 B1 KR 101831299B1 KR 1020160042193 A KR1020160042193 A KR 1020160042193A KR 20160042193 A KR20160042193 A KR 20160042193A KR 101831299 B1 KR101831299 B1 KR 1018312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water blocking
water
blocking plate
concr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21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14730A (ko
Inventor
이필선
Original Assignee
석민건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석민건설(주) filed Critical 석민건설(주)
Priority to KR10201600421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1299B1/ko
Publication of KR201701147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47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12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12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2Repairing, e.g. filling cracks; Restoring; Altering; Enlarg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4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for making damp-proof; Protection against corrosion
    • E04B1/644Damp-proof courses
    • E04B1/646Damp-proof courses obtained by removal and replacement of a horizontal layer of an existing wal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2Repairing, e.g. filling cracks; Restoring; Altering; Enlarging
    • E04G23/0203Arrangements for filling cracks or cavities in building constru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크랙 보수가 완료된 콘크리트 외벽에서 빗물 등이 실내로 흘러들어가는 것을 차단하고, 노출된 철근을 실링하는 콘크리트 외벽의 크랙 보수를 위한 물차단판 및 이를 이용한 크랙 보수방법을 제시한다. 그 차단판 및 방법은 충진제에 의해 충진된 크랙을 포함하는 콘크리트 외벽에 부착되며 실내로 물이 유입되는 물길을 차단하는 물차단판에 있어서, 물차단판은 외벽의 측면에 부착되는 측면부 및 측면부와 연결되고 외벽의 저면에 부착되며 물길을 차단하기 위한 홈이 있는 물차단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콘크리트 외벽의 크랙 보수를 위한 물차단판 및 이를 이용한 크랙 보수방법{Water blocking plate for repairing crack of external wall of concrete and method of repairing of crack using the plate}
본 발명은 콘크리트 외벽의 보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콘크리트 외벽에 발생한 크랙의 보수에 적용되는 물차단판 및 이를 이용한 크랙 보수방법에 관한 것이다.
외벽은 건물의 바깥벽을 말하는 것으로, 주로 콘크리트로 이루어졌다. 외벽은 노후화, 열화현상, 풍화작용 등으로 인한 손상으로 점점 내구성이 약해진다. 내구성이 약해지면, 미세한 크랙이 발생한다. 처음에 발생한 미세한 크랙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그 폭이 점차 커진다. 확장된 크랙 부위는 물이 흘러들어가, 콘크리트 외벽을 구성하는 철근 등을 부식시킨다. 실제로 크랙이 일어난 외벽의 사례를 도 1 및 도 2에 나타내었다. 이와 같이, 콘크리트 외벽의 크랙은 건물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콘크리트 외벽의 크랙을 보수하기 위하여, 국내공개특허 제2006-0086901호는 수용성 에폭시 수지로 크랙 부위를 메우고, 국내등록특허 제10-1472524호는 부틸고무테이프로 크랙 부위를 보강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이와 같이, 크랙 부위를 메운 다음, 국내등록특허 제10-0508729호 등과 같이, 코트재, 부직포, 방수재를 이용하여, 외벽 보수 공사를 진행한다.
도 3은 종래의 크랙 보수방법을 간략하게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3에 의하면, 크랙(103)이 발생한 건물의 외벽(100)은 콘크리트로 이루어지고, 철근(101)을 포함한다. 보수방법은 먼저 외벽(100)에 형성된 크랙(103)을 에폭시 수지와 같은 충진제(104)로 매우고, 보수층(110)을 덮는다. 보수층(110)은 다양한 방식이 있으나, 도면에서는 프라이머층(111), 부직포(112), 코트재(113) 및 방수재(114)로 이루어진 사례를 제시하였다. 보수층(110)은 국내등록특허 제10-0508729호 등에서 상세하게 설명되어 있다. 외벽(100)을 중심으로 일측은 실외(E)이고, 타측은 실내(I)이다.
외벽(100)의 보수가 마무리되어도, 실외(E)에서 빗물 등과 같은 물이 보수층(110)을 따라, 실내(I)로의 침투가 일어난다. 구체적으로, 빗물 등이 보수층(110)에 부착되면 물길(a)을 이루게 되고, 물길(a)은 외벽(100)의 하부면을 따라 실내(I)로 들어간다. 특히, 크랙(103)에 의해 외벽(100)의 외부로 노출된 일부의 철근(101)은 표면장력을 부여하여 물길(a)을 실내 방향으로 유도한다. 또한, 노출된 철근(101)은 부가적으로 자체적으로 부식이 일어난다. 이에 따라, 외벽(100)의 보수에 있어서, 빗물 등이 실내(I)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철근(101)을 실링(sealing)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크랙 보수가 완료된 콘크리트 외벽에서 빗물 등이 실내로 흘러들어가는 것을 차단하고, 노출된 철근을 실링하는 콘크리트 외벽의 크랙 보수를 위한 물차단판 및 이를 이용한 크랙 보수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콘크리트 외벽의 크랙 보수를 위한 물차단판은 충진제에 의해 충진된 크랙을 포함하는 콘크리트 외벽에 부착되며, 실내로 물이 유입되는 물길을 차단하는 물차단판에 있어서, 상기 물차단판은 상기 외벽의 측면에 부착되는 측면부 및 상기 측면부와 연결되고 상기 외벽의 저면에 부착되며 상기 물길을 차단하기 위한 홈이 있는 물차단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물차단판에 있어서, 상기 측면부 및 상기 저면부는 경사각(θ)을 이루는 연결부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경사각(θ)은 예각 또는 둔각 중에 선택된 어느 하나를 이룬다. 상기 물차단판은 적어도 코트재 및 방수재로 덮인다. 상기 물차단판은 플라스틱 또는 금속 중의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플라스틱 및 상기 금속으로 이루어진 층들이 적층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물차단판은 함석, 무색강판, 칼라강판 중의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물차단판에 있어서, 상기 물차단판의 단부는 상기 외벽의 상면 및 측면에 걸치는 덮개에 의해 중첩될 수 있다. 상기 덮개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며, 필름 또는 시트 형태이다. 상기 덮개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콘크리트 외벽의 크랙 보수를 위한 물차단판을 이용한 크랙 보수방법은 먼저 콘크리트 외벽에 형성된 크랙을 충진제에 의해 충진한다. 그후, 상기 외벽의 측면에 부착되는 측면부 및 상기 측면부와 연결되고 상기 물길을 차단하기 위한 홈이 있는 물차단홈을 포함하는 물차단판을 상기 콘크리트 외벽의 측면 및 저면에 부착한다. 상기 물차단판이 부착된 상기 콘크리트 외벽을 적어도 코트재 및 방수재로 도포한다.
본 발명의 방법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외벽은 부직포로 덮이며, 상기 부직포는 간격을 두어 이격될 수 있다. 물차단판을 부착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물차단판의 단부를 상기 외벽의 상면 및 측면에 걸치는 덮개에 의해 중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콘크리트 외벽의 크랙 보수를 위한 물차단판 및 이를 이용한 크랙 보수방법에 의하면, 실내 방향으로 유입되는 물길을 차단하는 홈이 형성된 물차단판을 활용함으로써, 크랙 보수가 완료된 콘크리트 외벽에서 빗물 등이 실내로 흘러들어가는 것을 차단한다. 또한, 물차단판은 노출된 철근을 실링하여, 철근에 의한 물길 유도를 방지하고 철근의 부식을 막을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콘크리트 외벽에 크랙이 형성된 사례를 나타내는 사진들이다.
도 3은 종래의 크랙 보수방법을 간략하게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의한 콘크리트 외벽의 크랙 보수를 위한 물차단판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물차단판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콘크리트 외벽의 크랙 보수를 위한 물차단판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막(층, 패턴) 및 영역들의 두께는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과장될 수 있다. 또한, 막(층, 패턴)이 다른 막(층, 패턴)의 '상', '상부', '하부', '일면'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막(층, 패턴)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다른 막(층, 패턴)이 개재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실내 방향으로 유입되는 물길을 차단하는 홈이 형성된 물차단판을 활용함으로써, 크랙 보수가 완료된 콘크리트 외벽에서 빗물 등이 실내로 흘러들어가는 것을 차단하고, 노출된 철근을 실링하는 물차단판 및 크랙 보수방법을 제시한다. 이를 위해, 물차단판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알아보고, 상기 물차단판을 활용하여 콘크리트 외벽의 크랙을 보수하는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물차단이란 실외에서 유입된 물(예, 빗물)이 실내 방향으로 흐르게 하는 물길을 차단한다는 의미를 가진다.
도 4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의한 콘크리트 외벽의 크랙 보수를 위한 물차단판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물차단판(30)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에 의하면, 크랙(12)이 발생한 건물의 외벽(10)은 콘크리트로 이루어지고, 철근(11)을 포함한다. 건물의 외벽(10)은 지면에서 보아 측면(10b)을 중심으로 상면(10a) 및 저면(10c)을 이룬다. 크랙(12)은 노후화, 열화현상, 풍화작용 등으로 인한 손상으로 내구성이 약해지면서 생긴 미세한 크랙이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그 폭이 점차 커져서 형성된다. 확장된 크랙 부위는 물이 흘러들어가, 콘크리트 외벽(10)을 구성하는 철근(11)을 부식시킬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철근(11)의 일부는 저면(10c)으로 노출되기도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철근(11)이 노출된 상태를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외벽(10)을 중심으로 일측은 실외(E)이고, 타측은 실내(I)이다.
외벽(10)에 형성된 크랙(12)은 에폭시 수지, 코트재, 모르타르가 포함된 코트재 등과 같은 충진제(13)로 충진된다. 물차단판(30)은 외벽(10)의 측면(10b) 및 저면(10c)을 덮는다. 물차단판(30)은 제1 접착제(40), 예컨대 석재 접착제로 외벽(10)에 접착된다. 물차단판(30)은 빗물 등이 보수층(20)에 흡착되면 물길(b)을 이루게 되고, 물길(b)은 외벽(10)의 저면(10c)을 따라 물차단홈(33)로 들어간다. 특히, 크랙(12)에 의해 외벽(10)의 외부로 노출된 일부의 철근(11)은 물차단판(30)에 의해 덮이므로 물길(b)을 실내 방향으로 유도하지 못한다. 또한, 물차단판(30)이 철근(11)의 노출을 막으므로, 철근(11)의 부식은 일어나지 않는다. 물차단판(30)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물차단판(30)과 외벽(10) 사이에 별도의 보강판을 삽입하고, 물차단판(30)을 나사와 같은 결합수단으로 외벽(10)에 고정할 수 있다. 상기 결합수단은 물차단판(30)이 외벽(10)과 충분하게 결합력을 유지하는 정도의 크기를 가지고, 상기 결합수단의 간격이 조절된다.
보수층(20)은 물차단판(30)이 덮인 외벽(10)의 상면(10a), 측면(10b) 및 저면(10c)을 덮어서 감싼다. 보수층(20)은 다양한 방식이 있으나, 도면에서는 프라이머층(21), 부직포(22), 코트재(23) 및 방수재(24)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사례를 제시하였다. 프라이머층(21)은 이미 알려진 조성물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 100중량%에 대하여, 초산비닐(EVA), 아크릴 에멀젼, 비닐아세테이트, 폴리비닐아세테이트, 안료가 포함된 아크릴 에멀젼 등을 적절하게 혼합한 수지일 수 있다. 이때, 프라이머층(21)은 각각의 조성물의 함량을 변화시켜 점도를 달리하여, 점도가 다른 층을 적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성물이외에도, 부틸아크릴레이트, 프탈산 에스테르 에멀젼, 에폭시 에멀젼, 페놀 에멀젼 및 폴리옥시에틸렌 옥티페닐 에테르 에멀젼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를 부가할 수 있다.
부직포(22)는 외벽(10)에 가해지는 외부 충격을 완화시키고, 코트재(23)가 외벽(10) 및 물차단판(30)에 용이하게 접착되도록 한다. 부직포(22) 대신에 공지의 방수시트를 사용할 수 있다. 코트재(23)는 통상적인 조성물을 그대로 적용할 수 있다. 예컨대, 프라이머층(21)을 이루는 조성물에 세라믹 분말을 혼합하거나, 모르타르를 적절하게 분산시킬 수 있다. 방수재(24) 역시 공지의 조성물을 활용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코트재(23) 및 방수재(24) 사이에는 별도의 프라이머층을 더 부가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표현되지는 않았지만, 물차단판(30) 상에는 부직포(22)를 부착하지 않을 수 있다. 즉, 부직포(22)가 없이, 코트재 및 방수재로만 커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보수층(20)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또한, 부직포(22)는 서로 소정의 간격을 이루면서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소정의 간격을 주면, 빗물 등이 흐르는 유로를 별도로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빗물 등은 부직포(22) 사이의 간격을 따라 유동하여서, 실내(I) 방향으로 흐르지 않는다.
도 5에 의하면, 물차단판(30)은 측면부(31), 연결부(32), 물차단홈(33) 및 저면부(3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측면부(31)의 폭(W1) 및 저면부(34)의 폭(W3)은 크랙 보수가 되는 외벽(10) 측면(10b) 및 저면(10c)의 크기, 외벽(10)의 훼손 상태 등을 고려하여 정해진다. 연결부(32)는 경사각(θ)을 이루면서 측면(10b) 및 저면(10c)을 연결한다. 경사각(θ)은 예각 또는 둔각 중에서 외벽(10)의 형태, 외벽(10)의 훼손된 상태 등을 고려하여 설정된다. 도면에서는 경사각(θ)이 예각인 경우를 예로 들었다. 경사각(θ)은 빗물 등이 저면(10c)을 용이하게 흐르도록 유도한다. 즉, 연결부(32)는 보수하고자 하는 외벽의 형태에 부합되며, 빗물 등을 물차단홈(33)으로 용이하게 흘러가게 한다.
물차단홈(33)은 홈측면(33a) 및 홈저면(33b)로 이루어진다. 물차단홈(33)은 연결부(32)로부터 간격(D)을 이룬다. 간격(D)는 가능하면 작은 것이 좋으나, 외벽(10)의 형태 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홈측면(33a)은 물의 유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경사진 것이 바람직하다. 저면(10c)으로부터 홈저면(33b)까지의 높이(H)는 노출된 철근(11)의 상태, 저면(10c)의 형태 등이 고려될 수 있다. 물차단홈(33)에서 수용하는 빗물 등의 양은 홈저면(33b)의 폭 및 높이(H) 또는 그들의 복합된 것에 의존한다. 만일, 외벽(10)의 크기가 커서, 차단이 필요한 빗물 등의 양이 많아지면, 홈저면(33b)의 폭 및 높이(H) 또는 그들의 복합을 크게 하여 대응할 수 있다.
물차단판(30)은 플라스틱 또는 금속이 바람직하며, 경우에 따라 플라스틱 또는 금속으로 이루어진 층들이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외벽(10)의 형상, 크랙의 형상 등에 따라 자유롭게 성형할 수 있는 금속 재질이 좋다. 금속 재질은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함석, 무색 강판, 칼라 강판 등이 적용될 수 있다. 금속 재질의 판을 사용하면, 크랙 보수를 하는 과정에서, 외벽(10)의 형태 등을 고려하여 물차단판(30)의 형상을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6은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콘크리트 외벽의 크랙 보수를 위한 물차단판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여기서는, 덮개(50)가 더 부가된 것을 제외하고, 도 4 및 도 5와 동일하다. 이에 따라, 동일한 참조부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6에 의하면, 덮개(50)는 외벽의 상면(10a) 및 측면(10b)에 걸치며, 물차단판(30)의 단부에 중첩된다. 덮개(50)는 물차단판(30)와 마찬가지로 제2 접착제(51)에 의해 외벽 측면(10b)에 고정된다. 이와 같이, 물차단판(30)의 단부에 중첩되는 덮개(50)를 부착하면, 외벽의 측면(10b)은 물차단판(30) 및 덮개(50)로 실링된다. 이렇게 되면, 크랙 보수가 완료된 후, 외벽(10)이 훼손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다. 도면에서는 표현되지는 않았지만, 덮개(50) 상에는 물차단판(30)과 마찬가지로 부직포(22)를 부착하지 않을 수 있다. 즉, 부직포(22)가 없이, 코트재 및 방수재로만 커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보수층(20)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덮개(50)은 플라스틱 또는 금속이 바람직하며, 경우에 따라 플라스틱 또는 금속으로 이루어진 층들이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다. 플라스틱의 경우, 시트 또는 필름 형태가 모두 적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외벽(10)의 형상, 크랙의 형상 등에 따라 자유롭게 변형될 수 있는 고무 재질이 좋다. 상기 고무 재질은 유연하고 자기 점착성이 있어서, 물차단판(30)에 단단하게 밀착된다. 물론, 덮개(50)는 물차단판(30)와 마찬가지로 자유롭게 성형할 수 있는 금속 재질이 좋다. 금속 재질은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함석, 무색 강판, 칼라 강판 등이 적용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10, 10a, 10b, 10c; 외벽, 상면, 측면, 저면
11; 철근 12; 크랙
13; 충진제 20; 보수층
21; 프라이머층 22; 부직포
23; 코트재 24; 방수재
30; 물차단판 31; 측면부
32; 연결부 33; 물차단홈
34; 저면부
40, 51; 제1 및 제2 접착제
50; 덮개

Claims (12)

  1. 충진제에 의해 충진된 크랙을 포함하는 콘크리트 외벽에 부착되며, 실내로 물이 유입되는 물길을 차단하는 물차단판에 있어서,
    상기 물차단판은,
    상기 외벽의 측면에 부착되는 측면부; 및
    상기 측면부와 연결되고, 상기 외벽의 저면에 부착되며, 상기 물길을 차단하기 위한 홈 형태인 물차단홈을 포함하고,
    상기 물차단판의 단부는 상기 외벽의 상면 및 측면에 걸치는 덮개에 의해 중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외벽의 크랙 보수를 위한 물차단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부 및 상기 저면부는 경사각(θ)을 이루는 연결부에 의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외벽의 크랙 보수를 위한 물차단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각(θ)은 예각 또는 둔각 중에 선택된 어느 하나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외벽의 크랙 보수를 위한 물차단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차단판은 코트재 및 방수재로 덮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외벽의 크랙 보수를 위한 물차단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차단판은 플라스틱 또는 금속 중의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플라스틱 및 상기 금속으로 이루어진 층들이 적층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외벽의 크랙 보수를 위한 물차단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차단판은 함석, 무색강판, 칼라강판 중의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외벽의 크랙 보수를 위한 물차단판.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며, 필름 또는 시트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외벽의 크랙 보수를 위한 물차단판.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외벽의 크랙 보수를 위한 물차단판.
  10. 콘크리트 외벽에 형성된 크랙을 충진제에 의해 충진하는 단계;
    상기 외벽의 측면에 부착되는 측면부 및 상기 측면부와 연결되고 상기 물길을 차단하기 위한 홈 형태인 물차단홈을 포함하는 물차단판을 상기 콘크리트 외벽의 측면 및 저면에 부착하는 단계; 및
    상기 물차단판이 부착된 상기 콘크리트 외벽을 적어도 코트재 및 방수재로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콘크리트 외벽은 부직포로 덮이며, 상기 부직포는 간격을 두어 이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외벽의 크랙 보수를 위한 물차단판을 이용한 크랙 보수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외벽은 부직포로 덮이며, 상기 부직포는 간격을 두어 이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외벽의 크랙 보수를 위한 물차단판을 이용한 크랙 보수방법.
  12. 콘크리트 외벽에 형성된 크랙을 충진제에 의해 충진하는 단계;
    상기 외벽의 측면에 부착되는 측면부 및 상기 측면부와 연결되고 상기 물길을 차단하기 위한 홈 형태인 물차단홈을 포함하는 물차단판을 상기 콘크리트 외벽의 측면 및 저면에 부착하는 단계;
    상기 물차단판의 단부를 상기 외벽의 상면 및 측면에 걸치는 덮개에 의해 중첩시키는 단계; 및
    상기 물차단판이 부착된 상기 콘크리트 외벽을 적어도 코트재 및 방수재로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외벽의 크랙 보수를 위한 물차단판을 이용한 크랙 보수방법.
KR1020160042193A 2016-04-06 2016-04-06 콘크리트 외벽의 크랙 보수를 위한 물차단판 및 이를 이용한 크랙 보수방법 KR1018312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2193A KR101831299B1 (ko) 2016-04-06 2016-04-06 콘크리트 외벽의 크랙 보수를 위한 물차단판 및 이를 이용한 크랙 보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2193A KR101831299B1 (ko) 2016-04-06 2016-04-06 콘크리트 외벽의 크랙 보수를 위한 물차단판 및 이를 이용한 크랙 보수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4730A KR20170114730A (ko) 2017-10-16
KR101831299B1 true KR101831299B1 (ko) 2018-02-22

Family

ID=602957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2193A KR101831299B1 (ko) 2016-04-06 2016-04-06 콘크리트 외벽의 크랙 보수를 위한 물차단판 및 이를 이용한 크랙 보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129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7605Y1 (ko) * 1999-05-18 2002-12-18 주식회사 에이치엔씨 일체식 면따기성형구
KR101472524B1 (ko) * 2014-04-25 2014-12-16 (주)통영산업건설 부틸고무테이프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크랙보수 및 외벽방수공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7605Y1 (ko) * 1999-05-18 2002-12-18 주식회사 에이치엔씨 일체식 면따기성형구
KR101472524B1 (ko) * 2014-04-25 2014-12-16 (주)통영산업건설 부틸고무테이프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크랙보수 및 외벽방수공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4730A (ko) 2017-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03239B2 (en) Self-adhered roofing components, roofing system, and method
CN106120873B (zh) 一种桩筏基础预铺反粘复合高分子防水卷材的施工方法
JP6145608B2 (ja) 防水シートの端部処理構造
CN104912119A (zh) 一种预铺高分子自粘胶膜防水卷材的封闭接缝方法
JP2005194871A (ja) 組立式防水構造及び組立式防水工法
JP2024010152A (ja) 構造物の補修方法
RU2685513C2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гидрогерметизированных поверхностей из материалов на основе цемента
KR101966832B1 (ko) 재활용이 가능한 방수 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 공법
KR101831299B1 (ko) 콘크리트 외벽의 크랙 보수를 위한 물차단판 및 이를 이용한 크랙 보수방법
KR101902836B1 (ko) 콘크리트 일체형 유무기 하이브리드 방수재 적층 자착형 점착씰 보강방수시트를 이용한 콘크리트 단면보수시공공법
KR101133026B1 (ko) 노출방수를 위한 고무 아스팔트 도막 및 방수시트의 3중 적층공법
JP2008069269A (ja) 接着剤含浸基材を用いた部材接合工法と、それに使用される接合用部材と、部材接合構造
KR101866333B1 (ko) 노출형 아크릴기반 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시공방법
KR20180129229A (ko) 건축물 옥상 복합 방수 구조 및 그의 시공방법
CN115216232B (zh) 具有粘合剂和中等反射率粒状颗粒层的地下无窗侧防水片膜,及其制造和使用方法
US11427983B2 (en) Below grade, blind side, improved dual waterproofing membrane assembly incorporating a sheet membrane with adhesive to fully bond to concrete/shotcrete, and a method of making, and using same
JP2011157694A (ja) 床被覆材の継目構造及び継目施工法
KR101558458B1 (ko) 방수테이프를 이용한 옥상방수공법
KR102632096B1 (ko) 방수용 복합시트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
JP2023153127A (ja) 屋根の補修方法及び屋根の補修構造
CN216844730U (zh) 一种用于烟道反坎的密封防渗漏结构
CN212827206U (zh) 一种可湿铺pvc预铺反粘防水卷材
EP1704262B1 (en) Self-adhered roofing components, roofing system, and method
CN108868137B (zh) 一种pvc防水卷材一体化铺设立面以及阴角的方法
US11692326B2 (en) Below grade, blind side, waterproofing sheet membrane with adhesive and having improved low reflectivity granular particle layer to fully bond to concrete/shotcrete, and a method of making, and using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