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1295B1 - 모바일 기기의 터치 인식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모바일 기기의 터치 인식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31295B1 KR101831295B1 KR1020160092806A KR20160092806A KR101831295B1 KR 101831295 B1 KR101831295 B1 KR 101831295B1 KR 1020160092806 A KR1020160092806 A KR 1020160092806A KR 20160092806 A KR20160092806 A KR 20160092806A KR 101831295 B1 KR101831295 B1 KR 10183129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ngular velocity
- touch
- acceleration
- processor
- rear touch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3
- 230000001133 acceler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9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8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10000003811 finger Anatomy 0.000 description 6
- 244000240602 cacao Speci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088 sim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10000003813 thumb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247 hand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60 trigger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46—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the device orientation or free movement in a 3D space, e.g. 3D mice, 6-DOF [six degrees of freedom] pointers using gyroscopes, accelerometers or tilt-sensor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 H04M1/72519—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이로스코프 센서를 이용하여 모바일 기기의 후면 터치를 인식하는 절차를 도시한 것이다.
도 3a 내지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모바일 기기의 후면에 가해진 물리적인 힘에 대응하여 후면 터치를 인식하는 예시를 도시한 것이다.
도 4a 내지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후면 터치에 따라 모바일 기기의 변경되는 출력 화면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후면 터치에 따라 음악 게임을 실행하는 모바일 기기의 화면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후면 터치 인식을 구현한 시뮬레이션 화면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110: 바디부
120: 표시부
130: 터치 입력부
140: 자이로스코프 센서
150: 프로세서
160: 가속도 센서
Claims (18)
- 바디부에 내장된 자이로스코프 센서로부터 단위 시간 동안 변화된 각속도를 획득하는 단계;
획득한 상기 각속도를 기초로 후면 터치 발생에 대한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후면 터치 발생이 결정된 경우, 결정된 상기 후면 터치 발생에 대응하여 미리 결정된 동작을 트리거하는 단계;
상기 바디부에 내장된 가속도 센서로부터 가속도를 획득하는 단계;
획득한 상기 가속도를 기초로 상기 바디부의 기울기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가속도 센서로부터 획득할 상기 가속도의 최소값 및 최대값에 대한 설정을 입력받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기울기를 결정하는 단계는,
획득한 상기 가속도가 상기 최소값 및 상기 최대값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경우의 상기 기울기를 결정하는 단계인, 모바일 기기의 터치 인식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획득한 상기 각속도를 기초로 순간 변화각을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순간 변화각을 기초로 상기 후면 터치 발생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모바일 기기의 터치 인식 방법.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순간 변화각의 최소값 및 최대값에 대한 설정을 입력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후면 터치 발생에 대한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순간 변화각이 상기 최소값 및 상기 최대값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후면 터치 발생을 결정하는 단계인, 모바일 기기의 터치 인식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 터치 발생에 대한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각속도가 미리 결정된 범위 내인 경우, 상기 후면 터치 발생을 결정하는 단계인, 모바일 기기의 터치 인식 방법.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각속도의 최소값 및 최대값에 대한 설정을 입력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후면 터치 발생에 대한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각속도가 상기 최소값 및 상기 최대값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후면 터치 발생을 결정하는 단계인, 모바일 기기의 터치 인식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 터치 발생의 결정 직후, 상기 자이로스코프 센서로부터 후속 각속도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각속도 및 상기 후속 각속도의 차이값을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차이값을 기초로 연속하는 상기 후면 터치 발생에 대한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모바일 기기의 터치 인식 방법. - 삭제
- 삭제
- 바디부에 내장된 자이로스코프 센서로부터 단위 시간 동안 변화된 각속도를 획득하는 단계;
획득한 상기 각속도를 기초로 후면 터치 발생에 대한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후면 터치 발생이 결정된 경우, 결정된 상기 후면 터치 발생에 대응하여 미리 결정된 동작을 트리거하는 단계;
상기 바디부에 내장된 가속도 센서로부터 가속도를 획득하는 단계;
획득한 상기 가속도를 기초로 상기 바디부의 기울기를 결정하는 단계;
결정된 상기 기울기에 따라 상기 바디부의 기준축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각속도를 계산하는 단계는,
결정된 상기 기준축에서의 상기 각속도를 계산하는 단계인, 모바일 기기의 터치 인식 방법. - 표시부가 배치되는 전면과 상기 전면의 반대편에 후면을 갖는 바디부;
각속도를 측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바디부에 내장된 자이로스코프 센서; 및
상기 바디부 내에 배치되고 상기 자이로스코프 센서와 연결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자이로스코프 센서로부터 단위 시간동안 변화된 상기 각속도를 획득하고,
획득한 상기 각속도를 기초로 후면 터치 발생에 대한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후면 터치 발생이 결정된 경우, 결정된 상기 후면 터치 발생에 대응하여 미리 결정된 동작을 트리거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후면에는 물리적인 힘이 가해지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바디부에 내장된 가속도 센서로부터 가속도를 획득하고,
획득한 상기 가속도를 기초로 상기 바디부의 기울기를 결정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가속도 센서로부터 획득할 상기 가속도가 최소값 및 최대값에 대한 설정을 입력받는 터치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획득한 상기 가속도가 상기 최소값 및 상기 최대값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경우의 상기 기울기를 결정하는, 모바일 기기의 터치 인식 장치.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획득한 상기 각속도를 기초로 순간 변화각을 계산하고, 상기 순간 변화각을 기초로 상기 후면 터치 발생 여부를 결정하는, 모바일 기기의 터치 인식 장치.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순간 변화각의 최소값 및 최대값에 대한 설정을 입력받는 터치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순간 변화각이 상기 최소값 및 상기 최대값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후면 터치 발생을 결정하는, 모바일 기기의 터치 인식 장치.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각속도가 미리 결정된 범위 내인 경우, 상기 후면 터치 발생을 결정하는, 모바일 기기의 터치 인식 장치.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입력부는,
상기 각속도의 최소값 및 최대값에 대한 설정을 입력받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각속도가 상기 최소값 및 상기 최대값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후면 터치 발생을 결정하는, 모바일 기기의 터치 인식 장치.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후면 터치 발생의 결정 직후, 상기 자이로스코프 센서로부터 후속 각속도를 획득하고,
상기 각속도 및 상기 후속 각속도의 차이값을 계산하고,
상기 차이값을 기초로 연속하는 상기 후면 터치 발생에 대한 여부를 결정하는, 모바일 기기의 터치 인식 장치. - 삭제
- 삭제
- 표시부가 배치되는 전면과 상기 전면의 반대편에 후면을 갖는 바디부;
각속도를 측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바디부에 내장된 자이로스코프 센서; 및
상기 바디부 내에 배치되고 상기 자이로스코프 센서와 연결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자이로스코프 센서로부터 단위 시간동안 변화된 상기 각속도를 획득하고,
획득한 상기 각속도를 기초로 후면 터치 발생에 대한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후면 터치 발생이 결정된 경우, 결정된 상기 후면 터치 발생에 대응하여 미리 결정된 동작을 트리거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후면에는 물리적인 힘이 가해지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바디부에 내장된 가속도 센서로부터 가속도를 획득하고,
획득한 상기 가속도를 기초로 상기 바디부의 기울기를 결정하고,
결정된 상기 기울기에 따라 상기 바디부의 기준축을 결정하고,
결정된 상기 기준축에서의 상기 각속도를 계산하는, 모바일 기기의 터치 인식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92806A KR101831295B1 (ko) | 2016-07-21 | 2016-07-21 | 모바일 기기의 터치 인식 방법 및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92806A KR101831295B1 (ko) | 2016-07-21 | 2016-07-21 | 모바일 기기의 터치 인식 방법 및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10543A KR20180010543A (ko) | 2018-01-31 |
KR101831295B1 true KR101831295B1 (ko) | 2018-02-22 |
Family
ID=610835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92806A Active KR101831295B1 (ko) | 2016-07-21 | 2016-07-21 | 모바일 기기의 터치 인식 방법 및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31295B1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6079828A1 (ja) * | 2014-11-19 | 2016-05-26 | ニャフーン・ゲームス・ピーティーイー・エルティーディー | 打撃操作のためのユーザーインターフェースシステムと操作信号解析方法及びプログラム |
-
2016
- 2016-07-21 KR KR1020160092806A patent/KR101831295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6079828A1 (ja) * | 2014-11-19 | 2016-05-26 | ニャフーン・ゲームス・ピーティーイー・エルティーディー | 打撃操作のためのユーザーインターフェースシステムと操作信号解析方法及びプログラム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10543A (ko) | 2018-01-3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3114556B1 (en) | Proximity sensor-based interactions | |
US10384129B2 (en) |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moment of impact and/or strength of a swing based on accelerometer data | |
US8207970B2 (en) | Storage medium storing object control program an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 |
US9211475B2 (en) | Game device and storage medium storing game program for performing a game process based on data from sensor | |
US20080024435A1 (en) |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storage medium storing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 |
JP6761225B2 (ja) | 手持ち型情報処理装置 | |
JP4990580B2 (ja) | ゲームプログラムおよびゲーム装置 | |
EP3369466B1 (en) | Game system, game apparatus, game program, and game processing method | |
JP7232223B2 (ja) | ゲームプログラム、ゲーム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 | |
CN110832546B (zh) | 用于设备追踪的系统和方法 | |
US10695679B2 (en) | Interactive video game method and system | |
KR100708411B1 (ko) | 휴대용 제품의 동작 분석 장치 및 방법 | |
KR101831295B1 (ko) | 모바일 기기의 터치 인식 방법 및 장치 | |
JP6299036B2 (ja) | ゲーム装置及びプログラム | |
WO2018119571A1 (en) | Device with pressure-sensitive display and method of using such device | |
JP2017012619A (ja) | タッチ操作によりゲームを進行する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 |
JP6296524B1 (ja) | ゲーム装置及びプログラム | |
JP5987666B2 (ja) | 操作制御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装置 | |
CN114159773A (zh) | 一种游戏中的信息处理方法及装置 | |
JP2014168623A (ja) | 選択結果表示プログラムおよび選択結果表示装置 | |
JP7513370B2 (ja) | 情報処理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システム | |
JP6459066B2 (ja) | ゲームシステム、ゲーム装置、及びゲームプログラム | |
JP6450297B2 (ja) | ゲームプログラムおよびゲーム装置 | |
JP2013077309A (ja) | 入力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入力処理装置 | |
JP2009093666A (ja) | 入力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入力処理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72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70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112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2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802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12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121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20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20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