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1102B1 - 수액세트 재사용 방지를 위한 도입침 유닛 - Google Patents

수액세트 재사용 방지를 위한 도입침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1102B1
KR101831102B1 KR1020170007833A KR20170007833A KR101831102B1 KR 101831102 B1 KR101831102 B1 KR 101831102B1 KR 1020170007833 A KR1020170007833 A KR 1020170007833A KR 20170007833 A KR20170007833 A KR 20170007833A KR 101831102 B1 KR101831102 B1 KR 1018311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formation
portions
conduit
pair
b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78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승
Original Assignee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0078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11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11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11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5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having means for preventing re-use, or for indicating if defective, used, tampered with or unsteri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10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10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 A61M39/16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having provision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13Modular systems comprising interconnecting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2Needle sets, i.e. connections by puncture between reservoir and tube ; Connections between reservoir and tub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27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preventing use
    • A61M2205/273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preventing use preventing reuse, e.g. of disposab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Pulmo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액세트 재사용 방지를 위한 도입침 유닛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수액세트 재사용 방지를 위한 도입침 유닛은, 수액백 측에 접속되는 접속구에, 탄성변형에 의해 상호 접근 및 이격되는 한 쌍의 변형부들이 마련되게 하고, 한 쌍의 변형부들을 변형시키기 위한 변형조절링을, 별도의 조작 없이 접속구를 수액백에 접속하는 과정에서 작동되게 하고, 접속구의 수액백에 대한 접속이 완료된 상태에서 변형조절링의 위치가 고정되게 함으로써, 결국, 접속구의 구조 변경만으로도 수액세트 재사용을 방지할 수 있어서 구성의 간소화 및 다른 구성품과의 호환성을 높일 수 있게 함은 물론, 종래와 같이 접속구를 고무마개 측으로 접근시키는 동작만으로도 재사용 방지를 가능하게 하여 사용자 편리성을 저해하지 않으면서 기능의 향상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한다.

Description

수액세트 재사용 방지를 위한 도입침 유닛{Spike unit for infusion set reuse prevention}
본 발명은 수액세트의 일부를 형성시키는 도입침 유닛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액세트의 재사용을 방지함으로써 재사용으로 인한 오염이나 감염의 위험을 줄일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수액세트 재사용 방지를 위한 도입침 유닛에 관한 것이다.
수액세트(100)는, 수액백(200)에 수용된 수액을 환자에게 주입시켜 주기 위한 이동경로를 제공하여 주는 것으로, 도 1 및 도 2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도입침(101)과 점적통(102)과 도관(103)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도입침(101)은, 수액세트(100)를 수액백(200)에 접속시켜 주기 위한 것으로, 상기 수액세트(100)의 고무마개(210)를 뚫을 수 있도록 끝 부분이 뾰족한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도입침(101)은 상기 점적통(102)을 통해 상기 도관(103)에 연결됨으로써 수액백(200)과 도관(103)을 서로 연결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점적통(102)은, 상기 도입침(101)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 흘러 나오는 수액이 일시적으로 수용되는 부분으로, 수액의 유출속도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종래기술에 의한 수액세트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 수액세트(100)는 1회용으로 한 번 사용 후 폐기해야 하나, 뾰족한 도입침(101)을 이용하여 다른 수액백(200)에 쉽게 접속시킬 수 있게 됨에 따라 재사용이 용이하고, 특히 수액을 이어 맞는 경우 한 번 사용한 수액세트(100)에 연달아 다른 수액백(200)을 연결함으로써 오염이나 감염의 위험을 높이게 되는 결과를 초래하여 왔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수액세트를 이루는 다른 구성요소들과의 호환성을 높일 수 있고, 간소한 구성에 의해서도 수액세트의 재사용을 방지시킬 수 있는 수액세트 재사용 방지를 위한 도입침 유닛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액세트 재사용 방지를 위한 도입침 유닛은, 수액이 수용되는 수액백에 접속됨으로써 그 수액백과 도관을 연결시켜 주기 위한 것으로, 탄성 변형에 의해 상호 맞대이게 되는 경우에, 상기 수액백의 고무마개를 뚫을 수 있도록 그 고무마개의 중심축선과 동축인 위치에 뾰족한 형상의 하나의 펀칭팁을 형성시키고, 탄성 복원에 의해 상호 갈라지게 되는 경우에, 상기 고무마개의 중심축선과 편심인 위치에 각각 선단팁을 형성시키는 한 쌍의 변형부들을 포함하는 접속구; 상기 한 쌍의 변형부들을 감싸는 형태로 그 변형부들에 결합됨으로써 한 쌍의 변형부들을 탄성 가압시켜 상호 접근된 위치에 마련되게 하고, 상기 변형부들과의 결합이 해제됨으로써 변형부들을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시키는 변형조절링; 및 상기 변형부들을 서로 맞대이게 하는 제1위치와 갈라져 있게 하는 제2위치 사이에서 이동되는 상기 변형조절링을, 상기 제2위치에 고정되게 하는 위치고정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접속구는, 상기 변형부들과 도관 사이에 형성되는 부분으로, 그 변형부들과 일체로 연결 형성되고 상기 도관에 연결되며 상기 한 쌍의 변형부들이 상호 갈라져 있는 경우에 그 변형부들의 최대 외경보다 작은 외경을 가지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속구는, 상기 변형부들과 도관 사이에 형성되는 부분으로, 그 변형부들과 일체로 연결 형성되고 상기 도관에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위치고정수단은, 상기 연결부의 상기 변형조절링의 이동경로 상에 마련되고, 상기 변형조절링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안내면과 그 변형조절링의 안내면에 대한 이동 후에 역방향 이동을 방지되게 하는 걸림면을 구비하는 위치고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수액백의 고무마개를 뚫을 수 있도록 그 고무마개의 중심축선과 동축인 위치에 마련되는 뾰족한 형상의 첨단부와, 상기 첨단부와 도관 사이에 형성되는 부분으로, 그 첨단부와 일체로 연결 형성되고 상기 도관에 연결되는 연결부와, 상기 일측은 상기 연결부의 외주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은 탄성력에 의하여 외주면에 대해 이격 및 접근되는 적어도 두 개의 변형부들을 포함하는 접속구; 상기 변형부들을 감싸는 형태로 그 변형부들에 결합됨으로써 한 쌍의 변형부들을 탄성 가압시켜 상호 접근된 위치에 마련되게 하고, 상기 변형부들과의 결합이 해제됨으로써 변형부들을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시켜 고무마개 측으로의 재진입을 불가능하게 하는 변형조절링; 및 상기 변형부들을 서로 붙어 있게 하는 제1위치와 갈라져 있게 하는 제2위치 사이에서 이동되는 상기 변형조절링을, 상기 제2위치에 고정되게 하는 위치고정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수액세트 재사용 방지를 위한 도입침 유닛은, 수액백 측에 접속되는 접속구에, 탄성변형에 의해 상호 접근 및 이격되는 한 쌍의 변형부들이 마련되게 하고, 한 쌍의 변형부들을 변형시키기 위한 변형조절링을, 별도의 조작 없이 접속구를 수액백에 접속하는 과정에서 작동되게 하고, 접속구의 수액백에 대한 접속이 완료된 상태에서 변형조절링의 위치가 고정되게 함으로써, 결국, 접속구의 구조 변경만으로도 수액세트 재사용을 방지할 수 있어서 구성의 간소화 및 다른 구성품과의 호환성을 높일 수 있게 함은 물론, 종래와 같이 접속구를 고무마개 측으로 접근시키는 동작만으로도 재사용 방지를 가능하게 하여 사용자 편리성을 저해하지 않으면서 기능의 향상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수액세트의 기존 구조를 보인 도면.
도 2은 종래기술에 의한 수액세트를 수액백에 접속시키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 일실시예에 따른 수액세트 재사용 방지를 위한 도입침 유닛의 분리된 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 일실시예의 결합된 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 일실시예와 수액백 간의 접속된 상태를 보인 도면.
도 6은 본 발명 일실시예의 수액백에 대한 접속이 해제된 상태를 보인 도면.
도 7은 본 발명 일실시예의 재사용이 불가능한 이유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 일실시예의 재사용이 불가능한 또 다른 이유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액세트 재사용 방지를 위한 도입침 유닛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 일실시예에 따른 수액세트 재사용 방지를 위한 도입침 유닛의 분리된 상태를 보인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 일실시예의 결합된 상태를 보인 측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 일실시예와 수액백 간의 접속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 일실시예의 수액백에 대한 접속이 해제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 일실시예의 재사용이 불가능한 이유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액세트 재사용 방지를 위한 도입침 유닛은, 수액이 수용되는 수액백(50)에 접속됨으로써 그 수액백(50)과 환자의 혈관에 접속되는 도관(도 1 참조; 103)을 상호 연결시켜 주기 위한 것으로, 접속구(10)와 변형조절링(20)과 위치고정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접속구(10)는, 일측은 점적통을 통해 도관에 연결되고 타측은 수액백(50)에 접속됨으로써 수액백(50)과 도관을 연결시켜 주기 위한 것으로, 한 쌍의 변형부(12)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한 쌍의 변형부(12)들은, 변형 및 복원이 가능한 수지 재질로 형성되어서 도 3와 같이 상호 갈라진 상태로 제작되고, 상기 변형조절링(20)에 의해 탄성변형 됨으로써 도 4와 같이 상호 맞대인 상태에 놓일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한 쌍의 변형부(12)들은, 도 4와 같이 탄성 변형에 의해 상호 맞대이게 되는 경우에, 상기 수액백(50)의 고무마개(52)를 뚫을 수 있도록 그 고무마개(52)의 중심축선과 동축인 위치에 뾰족한 형상의 하나의 펀칭팁(12a)을 형성시키고, 도 3와 같이 탄성 복원에 의해 상호 갈라지게 되는 경우에, 상기 고무마개(52)의 중심축선과 편심인 위치에 각각 선단팁(12b)을 형성시킨다.
이러한 각 변형부(12)에는 구멍(12c)이 형성되어 있어서, 도 5와 같이 상기 접속구(10)가 고무마개(52)를 뚫고 수액백(50) 내부에 위치되는 경우에는 수액이 접속구(10)의 구멍(12c)을 통해 도관 측으로 유입될 수 있게 된다.
상기 변형조절링(20)은, 도 4와 같이, 상기 한 쌍의 변형부(12)들을 감싸는 형태로 그 변형부(12)들에 결합됨으로써 한 쌍의 변형부(12)들을 탄성 가압시켜 상호 맞대이는 위치에 마련되게 한다.
그리고, 상기 변형조절링(20)은, 도 5의 (a)와 같이 상기 접속구(10)가 고무마개(52)를 뚫고 수액백(50)의 내부로 진입하는 과정에서 고무마개(52)의 플랜지 부분에 걸리게 되고, 이러한 걸림 상태에서 도 5의 (b)와 같이 상기 접속구(10)가 추가적으로 진입하는 동안 반대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변형부(12)들과의 결합이 해제됨으로써 변형부(12)들을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시킨다.
상기 위치고정수단은, 상기 변형부(12)들을 서로 맞대이게 하는 제1위치(도 5의 a)와 갈라져 있게 하는 제2위치(도 5의 b) 사이에서 이동되는 상기 변형조절링(20)을, 상기 제2위치에 고정되게 한다.
이러한 위치고정수단은, 도 6과 같이 상기 접속구(10)의 수액백(50)에 대한 접속상태가 해제된 경우에 상기 변형조절링(20)의 제2위치에서의 고정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게 한다.
결국, 상기 접속구(10)의 변형부(12)들은, 상기 변형조절링(20)과 위치고정수단에 의해 도 7와 같이 서로 맞대일 수 없는 상태에 놓이게 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접속구(10)가 수액백(50)에 재차 유입되는 경우에 상기 변형부(12)들이 서로 맞대이지 않은 상태로 수액백(50)에 접속됨으로써, 수액이 접속구(10)와 고무마개(52) 사이로 누수될 수 밖에 없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누수 문제 때문에 그 변형된 접속구(10)를 구비하는 수액세트의 재사용이 원천적으로 불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변형부(12)들이 서로 갈라지게 되는 것에 의하여 재사용시 누수 문제 때문에 재사용이 간접적으로 방지되게 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고, 예컨대 도 8에서와 같이, 상기 변형부(12)들의 서로 큰 각도로 갈라지게 됨으로써 고무마개(52) 내측에 재차 진입하는 것 자체가 원천적으로 불가능하게 하여 재사용이 직접적으로 방지되게 구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액세트 재사용 방지를 위한 도입침 유닛은, 수액백(50) 측에 접속되는 접속구(10)에, 탄성변형에 의해 상호 접근 및 이격되는 한 쌍의 변형부(12)들이 마련되게 하고, 한 쌍의 변형부(12)들을 변형시키기 위한 변형조절링(20)을, 별도의 조작 없이 접속구(10)를 수액백(50)에 접속하는 과정에서 작동되게 하고, 접속구(10)의 수액백(50)에 대한 접속이 완료된 상태에서 변형조절링(20)의 위치가 고정되게 한다.
결국, 본 실시예는, 접속구(10)의 구조 변경만으로도 수액세트 재사용을 방지할 수 있어서 구성의 간소화 및 다른 구성품과의 호환성을 높일 수 있게 함은 물론, 종래와 같이 접속구(10)를 고무마개(52) 측으로 접근시키는 동작만으로도 재사용 방지를 가능하게 하여 사용자 편리성을 저해하지 않으면서 기능의 향상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한다.
본 실시예에 채용된 접속구(10)는, 상기 변형부(12)들과 도관 사이에 형성되는 부분으로, 그 변형부(12)들과 일체로 연결 형성되고 상기 도관에 연결되는 연결부(1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연결부(14)는, 도 6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변형부(12)들이 상호 갈라져 있는 경우에 그 변형부(12)들의 최대 외경보다 작은 외경을 가지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실시예는, 도 7와 같이 상기 접속구(10)를 재차 수액백(50)에 접속시키는 경우에 고무마개(52)를 연결부(14)보다 더 큰 외경의 변형부(12)들에 의해 뚫게 됨으로써, 결국, 고무마개(52)와 연결부(14) 사이의 틈새로 수액이 누수되는 문제점을 초래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 때문에 수액세트를 재사용할 수 없게 되는 것이다.
상기 위치고정수단은 다양한 구조로 구현할 수 있음은 물론이나,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연결부(14)의 변형조절링(20)의 이동경로 상에 마련되는 위치고정부(30)가 채용되었다.
상기 위치고정부(30)는, 상기 변형조절링(2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안내면(32)과 그 변형조절링(20)의 안내면(32)에 대한 이동 후에 역방향 이동을 방지되게 하는 걸림면(3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실시예는, 상기 접속구(10)가 수액백(50)에 접근되는 과정에서 변형조절링(20)이 안내면(32)에 의해 안내되어 상기 변형부(12)들이 서로 갈라져 있게 하는 위치로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게 하고, 상기 접속구(10)의 수액백(50)에 대한 접속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상기 변형조절링(20)이 걸림면(34)에 걸리도록 하여 상기 변형부(12)들을 서로 맞대이게 하는 위치로 이동될 수 없게 함에 따라, 간소한 구성에 의해서도 수액세트가 재사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한편,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는, 앞에서 설명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접속구(60)와 변형조절링(70)과 위치고정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나, 접속구(60)의 구조에 있어서 앞에서 설명한 실시예와는 차이점이 있다.
즉, 본 실시예에 채용된 접속구(60)는, 첨단부(62)와 연결부(64)와 적어도 두 개의 변형부(66)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첨단부(62)는, 종래기술과 마찬가지로, 상기 수액백의 고무마개를 뚫을 수 있도록 그 고무마개의 중심축선과 동축인 위치에 마련되고 뾰족한 형상을 가진다. 상기 연결부(64)는, 상기 첨단부(62)와 도관 사이에 형성되는 부분으로, 그 첨단부(62)와 일체로 연결 형성되고 점적통을 통해 상기 도관에 연결된다.
상기 변형부(66)들은, 일측이 상기 연결부(64)의 외주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이 탄성력에 의하여 외주면에 대해 이격 및 접근됨으로써, 도 9의 (a)와 같이, 상기 변형조절링(70)에 의해 가압되는 경우 상기 연결부(64)의 외주면에 밀착되고, 도 9의 (b)와 같이 변형조절링(70)에 의한 가압이 해제되는 경우에는 탄성력에 의해 상기 연결부(64)의 외주면으로부터 벌어지게 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실시예는, 상기 접속구(60)가 수액백에 진입하는 과정에서 변형조절링(70)이 그 진입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변형부(66)들의 타측이 외주면에 대해 벌어지게 됨으로써, 한 번 사용된 접속구(60)의 재사용을 불가능하게 한다.
이상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실시예 및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명확하게 나타내고 있는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이 자명하다고 할 것이다.
10:접속구 12:변형부
12a:펀칭팁 12b:선단팁
12c:구멍 14:연결부
20:변형조절링 30:위치고정부
32:안내면 34:걸림면
40:정적통 50:수액백
52:고무마개

Claims (4)

  1. 수액이 수용되는 수액백에 접속됨으로써 그 수액백과 도관을 연결시켜 주기 위한 것으로,
    탄성 변형에 의해 상호 맞대이게 되는 경우에, 상기 수액백의 고무마개를 뚫을 수 있도록 그 고무마개의 중심축선과 동축인 위치에 뾰족한 형상의 하나의 펀칭팁을 형성시키고, 탄성 복원에 의해 상호 갈라지게 되는 경우에, 상기 고무마개의 중심축선과 편심인 위치에 각각 선단팁을 형성시키는 한 쌍의 변형부들을 포함하는 접속구;
    상기 한 쌍의 변형부들을 감싸는 형태로 그 변형부들에 결합됨으로써 한 쌍의 변형부들을 탄성 가압시켜 상호 접근된 위치에 마련되게 하고, 상기 변형부들과의 결합이 해제됨으로써 변형부들을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시키는 변형조절링; 및
    상기 변형부들을 서로 맞대이게 하는 제1위치와 갈라져 있게 하는 제2위치 사이에서 이동되는 상기 변형조절링을, 상기 제2위치에 고정되게 하는 위치고정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세트 재사용 방지를 위한 도입침 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구는, 상기 변형부들과 도관 사이에 형성되는 부분으로, 그 변형부들과 일체로 연결 형성되고 상기 도관에 연결되며 상기 한 쌍의 변형부들이 상호 갈라져 있는 경우에 그 변형부들의 최대 외경보다 작은 외경을 가지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세트 재사용 방지를 위한 도입침 유닛.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구는, 상기 변형부들과 도관 사이에 형성되는 부분으로, 그 변형부들과 일체로 연결 형성되고 상기 도관에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위치고정수단은,
    상기 연결부의 상기 변형조절링의 이동경로 상에 마련되고, 상기 변형조절링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안내면과 그 변형조절링의 안내면에 대한 이동 후에 역방향 이동을 방지되게 하는 걸림면을 구비하는 위치고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세트 재사용 방지를 위한 도입침 유닛.
  4. 수액이 수용되는 수액백에 접속됨으로써 그 수액백과 도관을 연결시켜 주기 위한 것으로,
    상기 수액백의 고무마개를 뚫을 수 있도록 그 고무마개의 중심축선과 동축인 위치에 마련되는 뾰족한 형상의 첨단부와, 상기 첨단부와 도관 사이에 형성되는 부분으로, 그 첨단부와 일체로 연결 형성되고 상기 도관에 연결되는 연결부와, 상기 일측은 상기 연결부의 외주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은 탄성력에 의하여 외주면에 대해 이격 및 접근되는 적어도 두 개의 변형부들을 포함하는 접속구;
    상기 변형부들을 감싸는 형태로 그 변형부들에 결합됨으로써 한 쌍의 변형부들을 탄성 가압시켜 상호 접근된 위치에 마련되게 하고, 상기 변형부들과의 결합이 해제됨으로써 변형부들을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시켜 고무마개 측으로의 재진입을 불가능하게 하는 변형조절링; 및
    상기 변형부들을 서로 붙어 있게 하는 제1위치와 갈라져 있게 하는 제2위치 사이에서 이동되는 상기 변형조절링을, 상기 제2위치에 고정되게 하는 위치고정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세트 재사용 방지를 위한 도입침 유닛.
KR1020170007833A 2017-01-17 2017-01-17 수액세트 재사용 방지를 위한 도입침 유닛 KR1018311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7833A KR101831102B1 (ko) 2017-01-17 2017-01-17 수액세트 재사용 방지를 위한 도입침 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7833A KR101831102B1 (ko) 2017-01-17 2017-01-17 수액세트 재사용 방지를 위한 도입침 유닛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1102B1 true KR101831102B1 (ko) 2018-02-22

Family

ID=613871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7833A KR101831102B1 (ko) 2017-01-17 2017-01-17 수액세트 재사용 방지를 위한 도입침 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110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3930B1 (ko) * 2018-04-05 2018-07-31 (주)메디라인액티브코리아 수술용 세척 항생제 결합구조
CN113226415A (zh) * 2018-12-20 2021-08-06 拜耳医药保健有限责任公司 用于防止意图单次使用的连接器的重新连接的机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47663A (ja) 2001-05-31 2003-02-18 Takeda Chem Ind Ltd 点滴用器具及び輸液容器
JP2005296142A (ja) 2004-04-07 2005-10-27 Jms Co Ltd 医療用送液ライン
JP2006271584A (ja) 2005-03-29 2006-10-12 Ichikawa Kosan Kk 輸液容器と輸液チューブとの接続構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47663A (ja) 2001-05-31 2003-02-18 Takeda Chem Ind Ltd 点滴用器具及び輸液容器
JP2005296142A (ja) 2004-04-07 2005-10-27 Jms Co Ltd 医療用送液ライン
JP2006271584A (ja) 2005-03-29 2006-10-12 Ichikawa Kosan Kk 輸液容器と輸液チューブとの接続構造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3930B1 (ko) * 2018-04-05 2018-07-31 (주)메디라인액티브코리아 수술용 세척 항생제 결합구조
CN113226415A (zh) * 2018-12-20 2021-08-06 拜耳医药保健有限责任公司 用于防止意图单次使用的连接器的重新连接的机构
CN113226415B (zh) * 2018-12-20 2023-12-19 拜耳医药保健有限责任公司 用于防止意图单次使用的连接器的重新连接的机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171842B2 (ja) 無針弁システムの流体制御
US10434298B2 (en) Piston for a needleless valve system
JP5507700B2 (ja) シール構成を有する流体移送デバイス
US5509433A (en) Control of fluid flow
EP0734227B1 (de) Haltevorrichtung für ein blutprobenentnahmeröhrchen einer blutabnahmevorrichtung
EP2301622B1 (de) Konnektor für medizinische Flüssigkeiten enthaltende Verpackungen und Verpackung für medizinische Flüssigkeiten
USRE37357E1 (en) Luer-receiving medical valve and fluid transfer method
US20180243514A1 (en) Syringe-coupled safety assembly and safety syringe including same
KR101831102B1 (ko) 수액세트 재사용 방지를 위한 도입침 유닛
KR20180088387A (ko) 주사기 및 연결기 시스템
JP2008513156A (ja) 雄型コネクタ弁を有する針なし採血装置
CN109562253B (zh) 带有阀的针组件以及留置针组件
CA2143605A1 (en) Needleless injection site
US11278674B2 (en) Sealed medication dispensing and administering device
IE904126A1 (en) Needle Assembly
USRE39334E1 (en) Luer-receiving medical valve and fluid transfer method
KR20060090677A (ko) 의료용 시린지
EP3448259B1 (de) Entnahmeport zum entnehmen einer flüssigkeit, system und verwendung eines entnahmeports
CN101460210A (zh) 用于注射装置的附属装置
JP2009112863A (ja) 流路連通用ロックコネクタ装置
KR102164601B1 (ko) 의료용 니들리스 커넥터
WO2019187838A1 (ja) 医療器具
KR20200112136A (ko) 니들 프리 타입의 의료용 인젝션 커넥터
JP2005143579A (ja) 医療用スライド式開閉弁
JP4056746B2 (ja) 注射器接続ポ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