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0917B1 - 콘크리트 블리딩 시험장치 및 이를 이용한 블리딩 시험방법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블리딩 시험장치 및 이를 이용한 블리딩 시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0917B1
KR101830917B1 KR1020160143732A KR20160143732A KR101830917B1 KR 101830917 B1 KR101830917 B1 KR 101830917B1 KR 1020160143732 A KR1020160143732 A KR 1020160143732A KR 20160143732 A KR20160143732 A KR 20160143732A KR 101830917 B1 KR101830917 B1 KR 1018309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eeding
concrete
rack gear
pinion
gear ba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37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철
Original Assignee
(주)제이스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제이스코리아 filed Critical (주)제이스코리아
Priority to KR10201601437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09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09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0917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1/00Investigating flow properties of materials, e.g. viscosity, plasticity;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flow properties
    • G01N11/02Investigating flow properties of materials, e.g. viscosity, plasticity;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flow properties by measuring flow of the materia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38Concrete; Lime; Mortar; Gypsum; Bricks; Ceramics; Glass
    • G01N33/383Concrete or ceme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Investigating Strength Of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굳지 않은 콘크리트에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분리되는 블리딩수를 측정하는 콘크리트 블리딩 시험장치 및 이를 이용한 블리딩 시험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블리딩 시험장치는 굳지 않은 콘크리트가 수용되는 용기, 상기 용기에 수용된 콘크리트의 표면에 안착되고 자중에 의해 상기 콘크리트 표면의 변화되는 높낮이에 따라 함께 이동하며 상기 콘크리트의 표면으로 배출되는 블리딩수가 상부로 배출되도록 관통되는 블리딩공을 포함하는 표면안착판, 상기 표면안착판의 측단에 수직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표면안착판과 함께 이동하는 제1 랙기어바, 상기 표면안착판의 상면에 겹쳐지도록 위치되고 상기 블리딩공으로 배출되는 블리딩수에 의해 부양되는 블리딩부양판, 상기 블리딩부양판의 측단에 수직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블리딩부양판과 함께 이동하는 제2 랙기어바, 상기 제1 랙기어바와 상기 제2 랙기어바가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용기의 상부 테두리에 설치되는 측정본체, 상기 측정본체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1 랙기어바와 맞물려 상기 제1 랙기어바의 상하 이동 시 회전하는 제1 피니언, 상기 측정본체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2 랙기어바와 맞물려 상기 제2 랙기어바의 상하 이동 시 회전하는 제2 피니언, 및 상기 제1 피니언과 상기 제2 피니언의 회전량에 따라 상기 콘크리트의 표면 높이와 상기 블리딩수의 상대적인 높이를 계산하여 상기 블리딩수의 양을 측정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따라서, 휴대가 용이하고, 콘크리트의 블리딩수의 발생량을 정확하고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다.

Description

콘크리트 블리딩 시험장치 및 이를 이용한 블리딩 시험방법{a Test apparatus and a Test Method for Bleeding of concrete}
본 발명은 굳지 않은 콘크리트에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분리되는 블리딩수를 측정하는 콘크리트 블리딩 시험장치 및 이를 이용한 블리딩 시험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는 타설 후 골재 입자 등의 침하에 따라 물리 분리 상승되어 콘크리트 표면으로 떠오르는 블리딩 현상이 발생한다.
이 블리딩 현상에서 블리딩수의 발생량이 클 경우, 콘크리트의 건조시 수축균열이 발생하고, 철근과의 부착강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종래에는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360290호의 "콘크리트 블리딩 측정 장치"가 개시된 바가 있다.
종래의 콘크리트 블리딩 측정 장치는 콘크리트 타설 후 발생되는 블리딩수량을 측정하기 위한 콘크리트 블리딩 측정 장치에 있어서, 콘크리트와 같은 다공성 재질이 저장되는 용기; 상기 콘크리트의 표면에 배치되고, 상기 콘크리트의 표면으로부터 스며 나온 블리딩수에 떠 있기 위한 플로팅 프로브(floating probe); 상기 콘크리트의 표면에 배치되고, 상기 콘크리트의 표면으로부터 블리딩수가 스며 나올 때, 상기 블리딩수 속으로 자중에 의하여 가라앉으면서 상기 콘크리트의 표면에 정착되기 위한 앵커 프로브(anchored probe); 상기 플로팅 프로부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플로팅 프로브의 수직 이동 변위를 감지하여 상기 플로팅 프로브까지의 거리를 측정하기 위한 제1 변위 측정 센서; 및 상기 앵커 프로부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앵커 프로브의 수직 이동 변위를 감지하여 상기 콘크리트의 표면까지의 거리를 측정하기 위한 제2 변위 측정 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되었다.
이러한 종래의 콘크리트 블리딩 측정 장치는 플로팅 프로브와 앵커 프로브의 사이 거리를 제1 변위 측정 센서와 제2 변위 측정센서에 의해 거리 차를 구해 블리딩수의 발생량을 측정할 수 있었다.
하지만, 종래의 콘크리트 블리딩 측정 장치는 플로팅프로브가 지지되는 부분이 없이 블리딩수에 떠있기 때문에 플로팅프로브가 바람 또는 진동에 의해 이동 시 변위를 측정하기 난해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플로팅 프로브와 변위 프로브가 서로 분리된 형태이고 각각을 제1 변위센서와 제2 변위센서에 일치되도록 위치시켜야 하기 때문에 설치가 복잡하고, 각 구성요소들이 분리되어 분실의 위험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휴대가 어려운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콘크리트 블리딩 시험은 다소 오랜 시간이 소요되는 데, 종료시간을 정확히 파악하지 못해 시험결과의 오류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설치가 간단하여 용이하게 시험을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 구성요소가 하나에 결합되어 분실을 방지할 수 있으며, 기계적인 동작에 의해 정확한 측정이 가능한 콘크리트 블리딩 시험장치 및 이를 이용한 블리딩 시험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휴대가 용이하며, 시험을 수행할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시험을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험의 종료를 외부에 알릴 수 있는 콘크리트 블리딩 시험장치 및 이를 이용한 블리딩 시험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블리딩 시험장치는 굳지 않은 콘크리트가 수용되는 용기, 상기 용기에 수용된 콘크리트의 표면에 안착되고 자중에 의해 상기 콘크리트 표면의 변화되는 높낮이에 따라 함께 이동하며 상기 콘크리트의 표면으로 배출되는 블리딩수가 상부로 배출되도록 관통되는 블리딩공을 포함하는 표면안착판, 상기 표면안착판의 측단에 수직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표면안착판과 함께 이동하는 제1 랙기어바, 상기 표면안착판의 상면에 겹쳐지도록 위치되고 상기 블리딩공으로 배출되는 블리딩수에 의해 부양되는 블리딩부양판, 상기 블리딩부양판의 측단에 수직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블리딩부양판과 함께 이동하는 제2 랙기어바, 상기 제1 랙기어바와 상기 제2 랙기어바가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용기의 상부 테두리에 설치되는 측정본체, 상기 측정본체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1 랙기어바와 맞물려 상기 제1 랙기어바의 상하 이동 시 회전하는 제1 피니언, 상기 측정본체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2 랙기어바와 맞물려 상기 제2 랙기어바의 상하 이동 시 회전하는 제2 피니언, 및 상기 제1 피니언과 상기 제2 피니언의 회전량에 따라 상기 콘크리트의 표면 높이와 상기 블리딩수의 상대적인 높이를 계산하여 상기 블리딩수의 양을 측정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1 피니언 또는 상기 제2 피니언의 회전속도를 측정하기 위해 시간을 측정하는 타이머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타이머부의 미리 설정된 시간이 지나면 외부에 알람을 수행하는 알람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정본체는 상기 측정본체를 상기 용기의 상부 테두리에 걸쳐 고정시키는 클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정본체는 상기 용기에 수용된 콘크리트를 안정화시키기 위해 상기 용기에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블리딩 시험방법은 상기한 실시예에의 콘크리트 블리딩 시험장치를 이용한 블리딩 시험방법으로서, 상기 용기에 콘크리트를 미리 설정된 양만큼 충전하는 단계, 상기 표면안착판이 콘크리트의 표면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측정본체를 상기 용기의 테두리에 설치하는 단계, 상기 측정본체가 상기 용기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컨트롤러를 초기화시키는 단계, 상기 표면안착판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이동하는 거리를 측정하기 위해 제1 피니언의 회전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표면안착판의 블리딩공을 배출되는 블리딩수에 의해 부양되는 상기 블리딩부양판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이동하는 거리를 측정하기 위해 제2 피니언의 회전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제1 피니언과 상기 제2 피니언의 회전을 기초로 상기 블리딩수의 발생량을 도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측정본체를 용기의 상단 테두리부분에 끼우는 형태로 설치하여 설치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측정본체에 블리딩부양판이 설치되어 블리딩부양판이 블리딩수의 표면에서 자유롭게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여 정확한 블리딩수의 발생량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모든 구성이 측정본체에 연결되어 각 구성요소들의 분실을 방지할 수있으며, 제1 피니언과 제2 피니언의 회전에 따라 블리딩속도와 블리딩수의 발생량을 도출함으로써, 블리딩에 관한 정확한 시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가 내장되어 휴대가 간편할 뿐만 아니라, 진동기가 제1 피니언의 구동에 따라 작동하여 전원의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알람부가 구비되어 시험의 종료를 외부에서도 쉽게 알아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블리딩 시험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블리딩 시험장치를 도시한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블리딩 시험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블리딩 시험장치를 구성하는 측정본체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블리딩 시험장치를 이용한 콘크리트 블리딩 시험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블리딩 시험장치(100)는 용기(1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용기(110)는 시험을 수행할 콘크리트가 굳지 않은 상태에서 미리 설정된 양만큼 수용될 수 있다.
이때, 콘크리트는 시멘트 분말, 물, 굵은골재, 잔골재 등이 타설하고자 하는 비율 또는 시험을 수행하고자 하는 비율로 혼합된 상태일 수 있다.
한편, 용기(110)는 상부가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블리딩 시험장치(100)는 표면안착판(120)을 포함할 수 있다.
이 표면안착판(120)은 용기(110)의 수용된 콘크리트의 상부 표면에 안착되어 콘크리트에서 분리되는 블리딩수에 의해 콘크리트 표면이 하부로 이동할 때, 함께 이동할 수 있다.
한편, 표면안착판(120)은 용기(110)에 수용된 콘크리트의 표면 위치를 측정할 수 있는 기초가 될 수 있으며, 표면안착판(120)에는 콘크리트에서 분리되어 상부로 배출되는 블리딩수가 표면안착판(120)의 상부로 누출되는 블리딩공(121)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표면안착판(120)은 콘크리트의 상부 표면에 표면장력에 의해 밀착되도록 용기(110)의 내경에 삽입될 수 있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블리딩 시험장치(100)는 제1 랙기어바(125)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제1 랙기어바(125)는 막대(183)형상으로 형성되고, 제1 랙기어바(125)의 측면에는 랙기어가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랙기어바(125)는 표면안착판(120)의 둘레 끝단에 수직으로 세워져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랙기어바(125)는 표면안착판(120)이 블리딩수에 의해 콘크리트의 표면을 따라 하부로 이동할 때, 표면안착판(120)과 함께 이동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블리딩 시험장치(100)는 블리딩부양판(130)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블리딩부양판(130)은 표면안착판(120)의 상부에 겹쳐지도록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콘크리트에서 발생하는 블리딩수의 수면으로 부양될 수 있다.
한편, 블리딩부양판(130)은 블리딩수의 수면으로 부양될 수 있도록 블리딩수의 밀도보다는 더 작은 밀도를 가지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블리딩부양판(130)은 표면적을 넓혀 부양력이 향상되도록 용기(110)와 대응되는 넓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블리딩부양판(130)은 블리딩수에서 부양되기 때문에 용기(110)에서 블리딩수의 높이의 기준이 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블리딩 시험장치(100)는 제2 랙기어바(135)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제2 랙기어바(135)는 막대(183)형상으로 형성되고, 제2 랙기어바(135)의 측면에는 랙기어가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랙기어바(135)는 표면안착판(120)의 둘레 끝단에 수직으로 세워져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랙기어바(135)는 블리딩부양판(130)이 블리딩수의 수면을 따라 블리딩부양판(130)과 함께 용기(110)에서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블리딩 시험장치(100)는 측정본체(16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측정본체(160)는 용기(110)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으며, 표면안착판(120)에 결합된 제1 랙기어바(125)와 블리딩부양판(130)에 결합된 제2 랙기어바(135)가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측정본체(160)는 클립(167)을 포함할 수 있다.
이 클립(167)은 용기(110)에 측정본체(160)를 탈착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으며, 클립(167)은 하부가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어 용기(110)의 상단 테두리부분에 걸쳐지는 형태로 측정본체(160)를 용기(110)에 결합할 수 있다.
그리고, 클립(167)은 하부가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고 탄성력을 가져 탄성력에 의해 용기(110)의 테두리 상단 둘레에 끼워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측정본체(160)는 수평유지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수평유지부(170)는 클립(167)과 측정본체(160)의 사이에 설치되어 측정본체(160)가 클립(167)에서 자중에 의해 항상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고정할 수 있다.
즉, 수평유지부(170)는 용기(110)가 기울어진 상태에서도 측정본체(160)가 항상 수평을 유지더 구체적으로는 측정본체(160)에 제1 랙기어바(125)에 연결되는 표면안착판(120)이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클립(167)에서 측정본체(160)의 수평을 유지시킬 수 있다.
한편, 수평유지부(170)는 클립(167)과 측정본체(160) 중 어느 하나에는 구형상의 볼부(171)가 설치되고, 다른 하나에는 볼부(171)가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도록 끼워지는 컵부(173)를 포함하여, 클립(167)에 측정본체(160)가 결합 시 수평을 클립에서 측정본체(160)에 결합되는 표면안착판(120)이 수평을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측정본체(160)에는 무게추(미도시)가 설치되어 측정본체(160)의 하부로 중량을 집중시킴과 동시에, 측정본체(160)에 결합되는 표면안착판(120)의 균형을 맞춰 수평을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측정본체(160)는 진동기(18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진동기(180)는 용기(110)에 수용된 콘크리트에서 블리딩수가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용기(110)에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한편, 진동기(180)는 실시예에서와 같이 하기에 설명될 제1 피니언(140)과 제2 피니언(150) 중 어느 하나에는 편심된 캠(181)이 설치되고, 캠(181)에서부터 용기(110)까지 연장되어 측정본체(160)에 상하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막대(183)에 용기(110)를 충격하는 진동추(185)가 설치되어 제1 랙기어바(125) 또는 제2 랙기어바(135)의 이동에 따라 회전하는 제1 피니언(140)과 제2 피니언(150)이 캠(181)에 의해 막대(183)의 끝을 가압과 가압의 해제를 반복하면서, 진동추(185)가 용기(110)를 충격하여 진동이 발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진동기(180)의 막대(183)를 가압하는 캠(181)은 콘크리트의 표면에 따라 이동하는 표면안착판(120)과 연결된 제1 피니언(140)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진동기(180)는 제1 피니언(140) 또는 제2 피니언(150)의 회전에 따라 진동을 발생시킴으로써, 전기의 소모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블리딩 시험장치(100)는 제1 피니언(140)과 제2 피니언(150)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제1 피니언(140)은 측정본체(160)의 내부에서 제1 랙기어바(125)의 랙기어와 맞물려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제2 피니언(150)도 측정본체(160)의 내부에서 제2 랙기어바(135)의 랙기어와 맞물려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제1 랙기어바(125)와 제2 랙기어바(135)의 상하 이동력을 변환시켜 제1 피니언(140) 또는 제2 피니언(150)을 회전시키도록 제1 랙기어바(125)와 제1 피니언(140)의 사이 및 제2 랙기어바(135)와 제2 피니언(150)의 사이에 감속 기어들이 더 설치될 수도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블리딩 시험장치(100)는 컨트롤러(161)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컨트롤러(161)는 제1 피니언(140)과 제2 피니언(150)의 회전량과 회전방향을 측정하여 회전량을 거리로 환산하고, 환산된 거리에 따라 표면안착판(120)과 블리딩부양판(130)의 사이 거리를 도출하여 블리딩수의 발생량을 계산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피니언(140)과 제2 피니언(150)의 지름이 10mm라고 할 때, 표면안착판(120)의 하향 이동에 의해 제1 랙기어바(125)에 맞물린 제1 피니언(140)이 한 바퀴 회전한 경우, 10*2π 만큼 이동하고, 블리딩부양판(130)이 블리딩수에 의해 이동하여 제2 랙기어바(135)에 맞물린 제2 피니언(150)이 반 바퀴 회전한 경우, 10/2*2π 만큼 이동하였기 때문에 표면안착판(120)과 블리딩부양판(130)의 사이 거리는 (10*2π)+(10/2*2π)거리가 되고, 여기에 용기(110)의 바닥면적을 곱하면 블리딩수의 체적을 구하는 형태로 블리딩수의 발생량을 계산할 수 있다.
여기서, 용기(110)에 수용된 콘크리트는 블리딩수가 발생하여도 체적은 거의 동일하기 때문에 블리딩부양판(130)은 블리딩수에 의해 부양되어 거의 이동하지 않고, 콘크리트의 표면을 따라 이동하는 표면안착판(120)만 이동한다.
또한, 컨트롤러(161)는 제1 피니언(140)과 제2 피니언(150)의 정방향과 역방향 회전에 따라 그 거리를 (+),(-)로 설정하여 표면안착판(120)과 블리딩부양판(130)의 사이 거리를 계산할수 있다.
한편, 컨트롤러(161)는 타이머부(162)를 포함하고 제1 피니언(140)의 회전속도를 검출하여 블리딩수의 발생속도와 동시에 블리딩수가 배출되어 콘크리트의 수축되는 속도 및 크기를 측정할 수 있다.
이때, 컨트롤러(161)는 제1 피니언(140)과 제2 피니언(150)의 회전을 감지하는 회전감지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161)는 알람부(163)를 포함하고, 타이머부(162)에서 미리 설정된 시간이 도래되면, 알람부(163)가 작동하여 외부에 알릴 수 있다.
예컨대, 타이머부(162)에 시험이 종료되는 시간을 미리 설정하고, 시험이 종료되면 알람부(163)에서 표시하여 시험이 종료되었음을 외부에 알릴 수 있다.
여기서, 알람부(163)는 시각적으로 알리는 LED램프 또는 청각적으로 알리는 스피커일 수 있다.
한편, 컨트롤러(161)는 조작부(164)를 포함하여 최초 시험 시 콘크리트의 표면에 표면안착판(120)이 안착된 상태에서의 제1 피니언(140)과 블링딩수가 발생하지 않은 상태에서 블리딩부양판(130)의 제2 피니언(150)의 상태를 초기 상태로 인식하도록 리셋시킬 수 있으며, 타이머부(162)의 알람시간 등을 조작하여 입력할 수 있다.
그리고, 컨트롤러(161)는 영상을 표시하는 LCD(165)를 포함하여 LCD(165)에 측정된 정보, 예컨대, 블리딩수 발생속도, 콘크리트의 수축속도, 블리딩수의 발생량 등을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컨트롤러(161)은 배터리(166)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배터리(166)는 컨트롤러(161)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으며, 배터리(166)는 측정본체(160)의 내부에 수용되어 콘크리트 블리딩 시험장치(100)를 휴대할 수 있으며, 배터리(166)는 충전이 가능한 2차 전지일 수 있다.
이하, 상기한 각 구성 간의 작용과 효과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블리딩 시험장치(100)를 이용한 블리딩 시험방법과 함께 설명하도록 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블리딩 시험장치(100)를 이용한 블리딩 시험방법은 용기(110)에 시험할 콘크리트를 미리 설정된 용량으로 채운다.
이때, 용기(110)의 내면에는 채워지는 콘크리트 양을 가늠할 수 있는 눈금(111)이 형성될 수 있고, 눈금(111)을 토대로 콘크리트를 용기(110)에 채울 수 있다.
그리고, 표면안착판(120)이 콘크리트의 표면에 안착된 상태에서 측정본체(160)에 클립을 용기(110)의 상단 테두리에 끼우는 형태로 측정본체(160)를 용기(110)에 결합한다.
한편, 측정본체(160)가 용기(110)에 결합되면, 표면안착판(120)은 자중에 의해 콘크리트의 상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측정본체(160)의 조작부(165)의 리셋버튼을 눌러 현재의 상태를 초기상태로 컨트롤러(161)에 인식시킨다.
이때, 컨트롤러(161)에는 조작부(164)을 통해 시험을 수행할 시간이 미리 입력된 상태일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콘크리트에서 블리딩수가 발생되고, 발생되는 블리딩수는 표면안착판(120)의 블리딩공(121)을 통해 표면안착판(120)의 상부로 배출된다.
한편, 표면안착판(120)의 상부로 배출되는 블리딩수는 표면안착판(120)에 겹쳐진 블리딩부양판(130)이 블리딩수에 의해 부양된다.
여기서, 콘크리트에서 블리딩수가 발생하면, 콘크리트의 체적이 그만큼 축소되기 때문에 콘크리트의 표면이 최초 높이보다 낮아져 표면안착판(120)이 용기(110)의 하부로 이동하고, 표면안착판(120)이 하부로 이동하면, 제1 랙기어바(125)도 함께 하향 이동되어 제1 랙기어바(125)와 맞물린 제1 피니언(140)이 회전한다.
이때, 블리딩부양판(130)은 발생되는 블리딩수에 의해 부양되어 표면안착판(120)을 따라 움직이지 않고 블리딩수의 수면에 부양된다.
한편, 블리딩수에 의해 블리딩부양판(130)이 부양되는 표면안착판(120)에 의해 제2 랙기어바(135)도 함께 상향 이동되고, 제2 랙기어바(135)에 맞물린 제2 피니언(150)이 회전한다.
이와 같이 제1 피니언(140)과 제2 피니언(150)이 회전하면, 컨트롤러(161)는 제1 피니언(140)과 제2 피니언(150)의 회전량을 거리로 변환하고, 이동하는 거리를 더해 블리딩수의 높이를 도출하고, 도출된 블리딩수의 높이에 용기(110)의 면적을 곱해 최종적으로 블리딩수의 발생량을 구한다.
물론, 블리딩부양판(130)은 블리딩수에 의해 부양되어 최초 위치에 거의 변화가 없으며, 컨트롤러(161)는 타이머부(162)에 의해 제1 피니언(140)의 회전속도를 측정하여 블리딩수가 발생하는 속도 및 블리딩수에 의한 콘크리트가 수축하는 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한편, 타이머부(162)에 미리 설정된 시간이 지나면, 알람부(163)가 외부에 시험이 종료되었음을 알림으로써, 시험이 종료되었음을 외부에서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콘크리트의 수축에 의해 제1 피니언(140)이 회전하면, 제1 피니언(140)의 회전축에 연결된 캠(181)이 함께 회전하고, 회전하는 캠(181)은 측정본체(160)에 막대(183)를 반복적으로 가압하여 진동추(185)가 용기(110)를 충격하여 콘크리트에서 블리딩수가 용이하게 배출하도록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 클립과 측정본체(160)의 사이는 수평유지부(170)에 의해 결합되기 때문에 용기(110)가 정확히 수평을 이루지 않은 상태에서도 측정본체(160)가 수평을 유지하여 블리딩수의 발생량을 측정할 수 있기 때문에 콘크리트 타설현장에서도 용이하게 블리딩수를 측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블리딩 시험장치(100)는 표면안착판(120)과 블리딩부양판(130)에 의해 직접적으로 이동하는 제1 랙기어바(125)와 제2 랙기어바(135)에 의해 회전하는 제1 피니언(140)과 제2 피니언(150)의 회전량으로 블리딩수의 발생량을 정확하고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블리딩부양판(130)이 제2 랙기어바에 의해 측정본체(160)에 결합됨으로써, 블리딩수에서 부양에 따른 이동을 방지함으로써, 정확한 측정이 가능하며, 모든 구성이 측정본체에 결합되어 구성요소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피니언(140)과 제2 피니언(150)의 회전속도에 따라 블리딩수의 발생속도 및 콘크리트의 수축속도를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다.
또한, 타이머부(162)와 알람부(163)가 설치되어 시험의 종료를 외부에서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166)가 내장되어 휴대가 가능하고 수평유지부(170)에 의해 측정본체(160)의 수평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콘크리트 타설현장에서도 블리딩수의 발생을 용이하게 시험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한 것으로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 및 수정을 포함한다.
100: 콘크리트 블리딩 시험장치 110: 용기
111: 눈금 120: 표면안착판
121: 블리딩공 125: 제1 랙기어바
130: 블리딩부양판 135: 제2 랙기어바
140: 제1 피니언 150: 제2 피니언
160: 측정본체 161: 컨트롤러
162: 타이머부 163: 알람부
164: 조작부 165: LCD
166: 배터리 167: 클립
170: 수평유지부 171: 볼부
173: 컵부 180: 진동기
181: 캠 183: 막대
185: 진동추

Claims (6)

  1. 굳지 않은 콘크리트가 수용되는 용기,
    상기 용기에 수용된 콘크리트의 표면에 안착되고 자중에 의해 상기 콘크리트 표면의 변화되는 높낮이에 따라 함께 이동하며 상기 콘크리트의 표면으로 배출되는 블리딩수가 상부로 배출되도록 관통되는 블리딩공을 포함하는 표면안착판,
    상기 표면안착판의 측단에 수직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표면안착판과 함께 이동하는 제1 랙기어바,
    상기 표면안착판의 상면에 겹쳐지도록 위치되고 상기 블리딩공으로 배출되는 블리딩수에 의해 부양되는 블리딩부양판,
    상기 블리딩부양판의 측단에 수직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블리딩부양판과 함께 이동하는 제2 랙기어바,
    상기 제1 랙기어바와 상기 제2 랙기어바가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용기의 상부 테두리에 설치되는 측정본체,
    상기 측정본체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1 랙기어바와 맞물려 상기 제1 랙기어바의 상하 이동 시 회전하는 제1 피니언,
    상기 측정본체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2 랙기어바와 맞물려 상기 제2 랙기어바의 상하 이동 시 회전하는 제2 피니언, 및
    상기 제1 피니언과 상기 제2 피니언의 회전량에 따라 상기 콘크리트의 표면 높이와 상기 블리딩수의 상대적인 높이를 계산하여 상기 블리딩수의 양을 측정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블리딩 시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1 피니언 또는 상기 제2 피니언의 회전속도를 측정하기 위해 시간을 측정하는 타이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블리딩 시험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타이머부의 미리 설정된 시간이 지나면 외부에 알람을 수행하는 알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블리딩 시험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본체는
    상기 측정본체를 상기 용기의 상부 테두리에 걸쳐 고정시키는 클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블리딩 시험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본체는
    상기 용기에 수용된 콘크리트를 안정화시키기 위해 상기 용기에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블리딩 시험장치.
  6. 제1 항에 기재된 콘크리트 블리딩 시험장치를 이용한 블리딩 시험방법으로서,
    상기 용기에 콘크리트를 미리 설정된 양만큼 충전하는 단계,
    상기 표면안착판이 콘크리트의 표면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측정본체를 상기 용기의 테두리에 설치하는 단계,
    상기 측정본체가 상기 용기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컨트롤러를 초기화시키는 단계,
    상기 표면안착판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이동하는 거리를 측정하기 위해 제1 피니언의 회전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표면안착판의 블리딩공을 배출되는 블리딩수에 의해 부양되는 상기 블리딩부양판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이동하는 거리를 측정하기 위해 제2 피니언의 회전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제1 피니언과 상기 제2 피니언의 회전을 기초로 상기 블리딩수의 발생량을 도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블리딩 시험장치를 이용한 블리딩 시험방법.
KR1020160143732A 2016-10-31 2016-10-31 콘크리트 블리딩 시험장치 및 이를 이용한 블리딩 시험방법 Active KR1018309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3732A KR101830917B1 (ko) 2016-10-31 2016-10-31 콘크리트 블리딩 시험장치 및 이를 이용한 블리딩 시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3732A KR101830917B1 (ko) 2016-10-31 2016-10-31 콘크리트 블리딩 시험장치 및 이를 이용한 블리딩 시험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0917B1 true KR101830917B1 (ko) 2018-02-21

Family

ID=615244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3732A Active KR101830917B1 (ko) 2016-10-31 2016-10-31 콘크리트 블리딩 시험장치 및 이를 이용한 블리딩 시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091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840128A (zh) * 2023-08-30 2023-10-03 寿光市房泰建筑安装有限公司 一种混凝土抗渗性试验装置及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68740A (ja) * 1994-08-30 1996-03-12 Pub Works Res Inst Ministry Of Constr コンクリートのコンシステンシー試験法及びその装置
KR101360290B1 (ko) * 2013-01-04 2014-02-12 국립대학법인 울산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콘크리트 블리딩 측정 장치
US20140130620A1 (en) * 2011-12-30 2014-05-15 Jiangsu Sobute New Materials Co., Ltd. Method for testing setting time of cement-based material
KR101513248B1 (ko) * 2013-11-06 2015-04-21 국립대학법인 울산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공압식 블리딩 측정 장치
JP2015212637A (ja) * 2014-05-01 2015-11-26 株式会社ティ・エス・プランニング コンクリート強度の推定方法及びコンクリート強度の推定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68740A (ja) * 1994-08-30 1996-03-12 Pub Works Res Inst Ministry Of Constr コンクリートのコンシステンシー試験法及びその装置
US20140130620A1 (en) * 2011-12-30 2014-05-15 Jiangsu Sobute New Materials Co., Ltd. Method for testing setting time of cement-based material
KR101360290B1 (ko) * 2013-01-04 2014-02-12 국립대학법인 울산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콘크리트 블리딩 측정 장치
KR101513248B1 (ko) * 2013-11-06 2015-04-21 국립대학법인 울산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공압식 블리딩 측정 장치
JP2015212637A (ja) * 2014-05-01 2015-11-26 株式会社ティ・エス・プランニング コンクリート強度の推定方法及びコンクリート強度の推定システ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840128A (zh) * 2023-08-30 2023-10-03 寿光市房泰建筑安装有限公司 一种混凝土抗渗性试验装置及方法
CN116840128B (zh) * 2023-08-30 2023-11-28 寿光市房泰建筑安装有限公司 一种混凝土抗渗性试验装置及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25714B2 (en) Process to balance a rotatable plate of a centrifuge and centrifuge using the process
CN108883337B (zh) 用于轻击高尔夫的方向指示装置
KR101830917B1 (ko) 콘크리트 블리딩 시험장치 및 이를 이용한 블리딩 시험방법
KR20180028082A (ko)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컨시스턴시 경량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컨시스턴시 측정 방법
CA2694032A1 (en) Device and method for determination regarding the liquid level in containers
CN101509819A (zh) 单轴气浮台平衡调整方法
CN108303347A (zh) 一种用于检测混凝土塌落度的装置及其检测方法
CN209821199U (zh) 一种混凝土坍落度检测装置
JP2011047536A (ja) 加湿器
KR20160046015A (ko)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컨시스턴시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컨시스턴시 측정 방법
CN102778412B (zh) 粉体测定装置用敲击装置
CN208844409U (zh) 便携整体式测定路面构造深度的装置
CN107702767B (zh) 基于静态液位的液位报警开关检测方法及其报警线的标定方法
CN215492972U (zh) 一种自动调平及自动测量的流动度测定装置
CN201697625U (zh) 多功能斜面测量调整仪
CN209441557U (zh) 一种重力加速度和微机械陀螺测量的小型波浪观测浮标
KR101360290B1 (ko) 콘크리트 블리딩 측정 장치
CN103063810B (zh) 自动化插入度试验仪及试验方法
CN113465474B (zh) 一种地基基础工程施工沉渣厚度的检测装置
KR101806493B1 (ko) 굳지 않은 콘크리트 공기량 시험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공기량 시험방법
CN211147526U (zh) 一种混凝土浇筑厚度测量仪
CN222143981U (zh) 一种桥梁桩基水下混凝土灌注高度测量装置
JP2000009520A (ja) 深さ測定器
CN107607235B (zh) 一种永磁电机齿槽转矩测量装置
CN202256723U (zh) 一种简易通用型的翻斗式雨量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103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20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21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02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1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1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12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21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