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0695B1 - 스프링클러 헤드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스프링클러 헤드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0695B1
KR101830695B1 KR1020170126764A KR20170126764A KR101830695B1 KR 101830695 B1 KR101830695 B1 KR 101830695B1 KR 1020170126764 A KR1020170126764 A KR 1020170126764A KR 20170126764 A KR20170126764 A KR 20170126764A KR 101830695 B1 KR101830695 B1 KR 1018306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square
square ring
handle
sprinkler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67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윤상
Original Assignee
(주)예다종합설계감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예다종합설계감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예다종합설계감리사무소
Priority to KR10201701267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06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06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06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28Accessories for delivery devices, e.g. 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5/00Details of spraying plant or spray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ccessories
    • B05B15/60Arrangements for mounting, supporting or holding spraying apparatus
    • B05B15/62Arrangements for supporting spraying apparatus, e.g. suction cup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장프레임과 사각파이프의 교차부를 신속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한 스프링클러 헤드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천장프레임(20)(2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상부사각링(30); 사각파이프(22)를 따라 이동되는 하부사각링(40); 상부사각링(30)과 하부사각링(40)의 사이에 위치되는 핸들(50); 상부사각링(30)과 하부사각링(40)에 각각 형성되는 관통구멍(32)(42); 핸들(50)의 상하부 중심에 형성되어 관통구멍(32)(42)으로 삽입되고, 중심에 왼나사산(51t)과 오른나사산(52t)이 형성된 슬리브너트(51)(52); 슬리브너트(51)(52)의 외주면에 각각 끼워지는 평와셔(60)(62); 슬리브너트(51)(52)의 외주면에 끼워지는 멈춤링(64)(66); 슬리브너트(51)(52)에 각각 나사 결합되는 승강볼트(70)(72); 승강볼트(70)(72)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키홈(70g)(72g); 슬리브너트(51)(52)의 외주면에 각각 끼워지고, 상부사각링(30)과 하부사각링(40)에 각각 용접되는 위치조정링(80)(82); 위치조정링(80)(82)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키홈(70g)(72g)에 걸리는 회전방지키(80k)(82k); 상부사각링(30)과 하부사각링(40)에 각각 한 쌍씩 설치되고, 서로 엇갈리게 직교되는 상부축(90)(91)과 하부축(92)(93); 상부축(90)(91)과 하부축(92)(93)에 각각 설치되는 상부롤러(94a)(94b)(95a)(95b)와 하부롤러(96a)(96b)(97a)(97b)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스프링클러 헤드 고정장치{Sprinkler Head Fixing Device}
본 발명은 소방설비의 종단에 해당하는 스프링클러 헤드를 건축물의 천장에 설치하는데 이용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천장프레임과 사각파이프의 교차부를 신속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한 스프링클러 헤드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프링클러는 화재시 자동으로 물을 분무해서 진화하는 소화설비의 일종으로, 특정온도(예, 70℃ 전후) 이상에서 녹는 납과 같은 가용성 금속을 스프링클러 헤드에 설치해서 화재가 났을 때 가용성 금속이 용해되고 이로 인해 스프링클러 헤드가 개방되면서 물이 개방된 스프링클러 헤드를 통해 자동으로 분무됨으로써 진화하는 설비이다.
스프링클러 설비의 종단에 해당하는 스프링클러 헤드는 천장에 설치된 급수관으로부터 가지 형태로 분기된 플렉시블관의 끝에 이경소켓을 설치하고, 이경소켓의 끝에는 다시 스프링클러 헤드를 직결한 다음 스프링클러 헤드를 천장면에 필요한 수만큼 종횡으로 배치하도록 되어 있다.
이경소켓을 천장프레임에 설치된 사각파이프에 고정하고, 사각파이프를 스프링클러 헤드 고정장치에 의해 천장프레임에 설치함으로써, 스프링클러 헤드의 종횡위치와 상하 높낮이를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 스프링클러 헤드 고정장치가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304747호로 제안된 바 있으며, 이러한 종래기술은 스프링클러 헤드가 설치되는 사각파이프를 내외측 클램프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나사가 구비되어 있고, 내외측 클램프를 천장프레임에 고정하기 위한 캠록 형태의 손잡이가 구비되어 있었다.
그러나, 이와 같인 종래기술은 고정나사를 돌려서 조인 다음 다시 손잡이를 밑으로 내려서 잠그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작업속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304747호 (2013.09.05.)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스프링클러 헤드의 설치를 신속하게 함으로써 작업을 용이하게 하고 공사기간을 단축할 수 있는 스프링클러 헤드 고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스프링클러 헤드 고정장치는, 천장프레임의 외측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상부사각링; 사각파이프의 외측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하부사각링; 상부사각링과 하부사각링의 사이에 위치되는 핸들; 상부사각링과 하부사각링에 각각 형성되고, 핸들과 중심이 일치되는 관통구멍; 핸들의 상하부 중심에 일직선으로 형성되어 관통구멍으로 삽입되고, 중심에 왼나사산과 오른나사산이 형성된 원통형의 슬리브너트; 슬리브너트의 외주면에 각각 끼워지고, 핸들과 상부사각링의 사이 및 핸들과 하부사각링의 사이에 위치되는 평와셔; 슬리브너트의 외주면에 끼워져서 상부사각링과 하부사각링의 축방향 이동을 각각 정지시키는 멈춤링; 슬리브너트에 각각 나사 결합되고, 서로 상반된 방향으로 형성된 수나사산을 갖는 승강볼트; 승강볼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각각 형성되는 키홈; 슬리브너트의 외주면에 각각 끼워지고, 상부사각링과 하부사각링에 각각 용접되는 위치조정링; 위치조정링의 내주면으로부터 중심을 향해 각각 돌출되어 키홈에 각각 걸리는 회전방지키; 상부사각링과 하부사각링에 각각 한 쌍씩 설치되고, 서로 엇갈리게 직교되는 상부축과 하부축; 상부축과 하부축에 각각 설치되는 상부롤러와 하부롤러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핸들(50)을 회전시켜서 승강볼트(70)(72)를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송시키게 되면, 상부사각링(30)과 하부사각링(40)을 사각파이프(22)와 천장프레임(20)(21)에 동시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설치작업을 신속하고 편리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공사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부롤러(94a)(94b)(95a)(95b)에 의해 사각파이프(22)를 부드럽게 이송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고, 하부롤러(96a)(96b)(97a)(97b)에 의해 하부사각링(40)도 부드럽게 움직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위치조정링(80)(82)을 상부사각링(30)과 하부사각링(40)에 용접하기 전에 핸들(50)을 돌려서 승강볼트(70)(72)를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끝까지 이송시킨 다음 핸들(50)이 회전되지 못하도록 한 상태에서 위치조정링(80)(82)을 번갈아 회전시켜서 승강볼트(70)(72)를 이송시키게 되면, 두 승강볼트(70)(72)를 각각 개별적으로 움직일 수 있기 때문에 두 승강볼트(70)(72)의 단부를 사각파이프(22)와 천장프레임(20)(21)에 동시에 접촉시키는 위치조정작업이 가능하게 되어 어느 한쪽이 먼저 접촉되는 불량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위치조정링(80)(82)에 의한 승강볼트(70)(72)의 위치조정 작업을 마친 다음 위치조정링(80)(82)을 상부사각링(30)과 하부사각링(40)에 각각 용접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조정된 위치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위치조정링(80)(82)이 슬리브너트(51)(52)의 외주면에 끼워지도록 되어 있으므로, 위치조정링(80)(82)을 조립할 때 중심을 간편하게 맞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요부 확대사시도
도 4는 도 2의 A-A'선 단면도로서, 사각파이프와 하부사각링이 이동 가능한 상태로 해제된 상태를 보인 도면
도 5는 도 4의 상태로부터 사각파이프와 하부사각링이 승강볼트에 의해 고정된 것을 보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분해사시도
도 7은 도 6을 배면과 저면측에서 바라 본 분해사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천장프레임(20)(21)의 외측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상부사각링(30); 사각파이프(22)의 외측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하부사각링(40)을 포함한다.
상부사각링(30)과 하부사각링(40)은, 예를 들면 장방형의 단면을 갖는 각관을 절단해서 형성할 수 있으며, 상부사각링(30)과 하부사각링(40)의 내폭은 각각 사각파이프(22)와 천장프레임(20)(21)의 폭에 대응해서 헐거운 크기로 형성한다.
본 발명은 상부사각링(30)과 하부사각링(40)의 사이에 위치되는 핸들(50); 상부사각링(30)과 하부사각링(40)에 각각 형성되고, 핸들(50)과 중심이 일치되는 관통구멍(32)(42); 핸들(50)의 상하부 중심에 일직선으로 형성되어 관통구멍(32)(42)으로 삽입되고, 중심에 왼나사산(51t)과 오른나사산(52t)이 형성된 원통형의 슬리브너트(51)(52)를 포함한다.
핸들(50)은 일정한 두께를 갖는 원기둥의 형태로 형성할 수 있으며, 핸들(50)을 손으로 잡고 돌릴 때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해 반원홈(부호생략)을 핸들(50)의 외주면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할 수 있고, 핸들(50)의 직경을 사각파이프(22)와 천장프레임(20)(21)의 폭보다 크게 형성해서 핸들(50)을 손으로 잡고 돌릴 때 사각파이프(22)와 천장프레임(20)(21)으로 인한 간섭을 줄이도록 한다.
핸들(50)과 슬리브너트(51)(52)는 일체로 형성되며, 슬리브너트(51)(52)를 핸들(50)의 상하부 중심에서 각각 상측과 하측으로 돌출되게 형성하고, 슬리브너트(51)(52)의 중심에 형성되는 왼나사산(51t)과 오른나사산(52t)의 중심이 일직선을 이루도록 형성한다.
상부사각링(30)과 하부사각링(40)에 형성된 관통구멍(32)(42)은 원형구멍으로 형성해서 슬리브너트(51)(52)가 관통구멍(32)(42)에 삽입된 상태에서 자유롭게 회전되도록 한다.
본 발명은 슬리브너트(51)(52)의 외주면에 각각 끼워지고, 핸들(50)과 상부사각링(30)의 사이 및 핸들(50)과 하부사각링(40)의 사이에 위치되는 평와셔(60)(62); 슬리브너트(51)(52)의 외주면에 끼워져서 상부사각링(30)과 하부사각링(40)의 축방향 이동을 각각 정지시키는 멈춤링(64)(66)을 포함한다.
멈춤링(64)(66)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리브너트(51)(52)의 외주면에 형성된 환형의 멈춤홈(51g)(52g)에 끼워서 설치하며, 멈춤링(64)(66)은 슬리브너트(51)(52)가 상부사각링(30)과 하부사각링(4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은 슬리브너트(51)(52)에 각각 나사 결합되고, 서로 상반된 방향으로 형성된 수나사산을 갖는 승강볼트(70)(72); 승강볼트(70)(72)의 길이방향을 따라 각각 형성되는 키홈(70g)(72g); 슬리브너트(51)(52)의 외주면에 각각 끼워지고, 상부사각링(30)과 하부사각링(40)에 각각 용접되는 위치조정링(80)(82); 위치조정링(80)(82)의 내주면으로부터 중심을 향해 각각 돌출되어 키홈(70g)(72g)에 각각 걸리는 회전방지키(80k)(82k)를 포함한다.
승강볼트(70)(72)는, 슬리브너트(51)(52)에 각각 형성된 왼나사산(51t)과 오른나사산(52t)에 나사 결합되도록 각각 왼나사와 오른나사의 형태로 형성해서 핸들(50)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킬 때 승강볼트(70)(72)가 서로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동시에 움직이도록 한다.
승강볼트(70)(72)에 형성된 키홈(70g)(72g)과 위치조정링(80)(82)에 형성된 회전방지키(80k)(82k)는, 핸들(50)에 의해 슬리브너트(51)(52)가 회전될 때 승강볼트(70)(72)가 같이 따라 돌아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위치조정링(80)(82)이 상부사각링(30)과 하부사각링(40)에 각각 용접되어 있기 때문에 핸들(50)을 회전시킬 때 승강볼트(70)(72)는 축방향으로 직선운동 된다.
위치조정링(80)(82)의 중심에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볼트(70)(72)를 통과시키기 위한 구멍(80h)(82h)이 형성되어 있으며, 회전방지키(80k)(82k)가 구멍(80h)(82h)의 내주면에서 중심을 향해 형성된다.
또, 핸들(50)을 회전시킬 때 두 승강볼트(70)(72)가 동시에 움직이는데, 만일 두 승강볼트(70)(72) 중에 어느 하나가 먼저 사각파이프(22) 또는 천장프레임(20)(21)에 접촉되면, 나머지 승강볼트(70)(72)는 중간에서 헐겁게 정지되는데, 이를 해소하기 위해 위치조정링(80)(82)을 상부사각링(30)과 하부사각링(40)에 용접하기 전에 핸들(50)이 회전되지 못하도록 잡고 있는 상태에서 위치조정링(80)(82)을 번갈아 회전시키게 되면, 두 승강볼트(70)(72)를 개별적으로 움직여서 단부를 사각파이프(22)와 천장프레임(20)(21)에 모두 접촉시킬 수 있게 되며, 이후 위치조정링(80)(82)을 상부사각링(30)과 하부사각링(40)에 용접하면 해결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부사각링(30)과 하부사각링(40)에 각각 한 쌍씩 설치되고, 서로 엇갈리게 직교되는 상부축(90)(91)과 하부축(92)(93); 상부축(90)(91)과 하부축(92)(93)에 각각 설치되는 상부롤러(94a)(94b)(95a)(95b)와 하부롤러(96a)(96b)(97a)(97b)를 포함한다.
상부축(90)(91)과 하부축(92)(93)은,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짝끼리 각각 평행하게 설치되며, 양단을 상부사각링(30)과 하부사각링(40)의 외부로 돌출시킨 다음 상부축(90)(91)과 하부축(92)(93)의 외주면에 형성된 환형홈(부호생략)에 스냅링(99a)(99b)을 끼워서 상부축(90)(91)과 하부축(92)(93)이 상부사각링(30)과 하부사각링(4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또, 상부축(90)(91)과 하부축(92)(93)에 설치되는 상부롤러(94a)(94b)(95a)(95b)와 하부롤러(96a)(96b)(97a)(97b)의 사이에는 상부축(90)(91)과 하부축(92)(93)으로 끼워지는 스페이서관(92s)(93s)을 설치해서 상부롤러(94a)(94b)(95a)(95b)의 간격과 하부롤러(96a)(96b)(97a)(97b)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한다.
상부롤러(94a)(94b)(95a)(95b)와 상부사각링(30)의 내측벽면 사이와, 하부롤러(96a)(96b)(97a)(97b)와 하부사각링(40)의 내측벽면 사이에는 상부축(90)(91)과 하부축(92)(93)에 각각 끼워지는 칼라(98a)(98b)를 설치해서 상부롤러(94a)(94b)(95a)(95b)와 하부롤러(96a)(96b)(97a)(97b)가 상부사각링(30)과 하부사각링(40)의 내측면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파이프(22)가 상부롤러(94a)(94b)(95a)(95b)에 지지되어 있을 때 사각파이프(22)의 상면과 상부사각링(30)의 사이에 갭(G1)이 형성되도록 해서 사각파이프(22)를 길이방향으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하며, 하부사각링(40)에 설치된 하부롤러(96a)(96b)(97a)(97b)가 천장프레임(20)(21)의 상면에 지지되어 있을 때 천장프레임(20)(21)의 저면과 하부사각링(40)의 사이에 갭(G2)이 형성되도록 해서 하부사각링(40)을 천장프레임(20)(21)의 길이방향을 따라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한다.
도면 중 부호 23은 스프링클러 헤드를 나타낸 것이고, 24는 스프링클러 헤드(23)를 사각파이프(22)에 고정하기 위한 클램프를 나타낸 것이며, 25는 스프링클러 헤드(23)에 접속된 급수관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파이프(22)가 상부롤러(94a)(94b)(95a)(95b)에 지지된 상태에서 사각파이프(22)를 도 4의 화살표 방향인 사각파이프(22)의 길이방향으로 움직이게 되면, 상부롤러(94a)(94b)(95a)(95b)가 회전되면서 사각파이프(22)가 부드럽게 이송된다.
또, 하부롤러(96a)(96b)(97a)(97b)가 천장프레임(20)(21)의 상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사각파이프(22)를 천장프레임(20)(21)의 길이방향으로 밀거나 잡아당기게 되면, 하부롤러(96a)(96b)(97a)(97b)가 천장프레임(20)(21)의 상면을 따라 구르기 때문에 사각파이프(22)와 상부사각링(30) 및 하부사각링(40) 그리고 이에 연결된 기타 구성품들이 부드럽게 움직인다.
이와 같이 사각파이프(22)를 전후좌우로 움직이게 되면, 사각파이프(22)에 설치되는 스프링클러 헤드(23)의 전후좌우 위치를 임의로 조정할 수 있게 되며, 스프링클러 헤드(23)의 위치를 결정한 상태에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50)을 회전시켜서 승강볼트(70)(72)를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송시키게 되면, 사각파이프(22)는 상승 후 상부사각링(30)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고정되고, 하부사각링(40)과 핸들(50), 상부사각링(30), 사각파이프(22) 및 이에 연결된 기타 구성품들이 상승되면서 천장프레임(20)(21)이 하부사각링(40)의 내측 바닥면에 밀착되면서 고정된다.
이때 핸들(50)에 형성된 슬리브너트(51)(52)의 중심에는 왼나사산(51t)과 오른나사산(52t)이 각각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핸들(50)의 회전방향에 따라 승강볼트(70)(72)를 서로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송시킬 수 있게 되며, 위와 같은 경우에는 승강볼트(70)(72)를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송시켜서 사각파이프(22)와 천장프레임(20)(21)에 상부사각링(30)과 하부사각링(40)을 고정하게 된다.
승강볼트(70)(72)에 형성된 키홈(70g)(72g)과 위치조정링(80)(82)에 형성된 회전방지키(80k)(82k)는 핸들(50)과 슬리브너트(51)(52)를 회전시킬 때 승강볼트(70)(72)가 따라 돌아가는 것을 방지하는 작용을 하게 되며, 동시에 승강볼트(70)(72)가 축방향으로 움직이는 직선안내 작용을 하게 된다.
20,21 : 천장프레임 22 : 사각파이프
23 : 스프링클러 헤드 24 : 클램프
25 : 급수관 30 : 상부사각링
40 : 하부사각링 32,42 : 관통구멍
50 : 핸들 51,52 : 슬리브너트
51g,52g : 멈춤홈 51t : 왼나사산
52t : 오른나사산 60,62 : 평와셔
64,66 : 멈춤링 70,72 : 승강볼트
70g,72g : 키홈 80,82 : 위치조정링
80h,82h : 구멍 80k,82k : 회전방지키
90,91 : 상부축 92,93 : 하부축
92s,93s : 스페이서관 94a,94b,95a,95b : 상부롤러
96a,96b,97a,97b : 하부롤러 98a,98b : 칼라
99a,99b : 스냅링 G1,G2 : 갭

Claims (1)

  1. 천장프레임(20)(21)의 외측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상부사각링(30);
    사각파이프(22)의 외측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하부사각링(40);
    상기 상부사각링(30)과 상기 하부사각링(40)의 사이에 위치되는 핸들(50);
    상기 상부사각링(30)과 상기 하부사각링(40)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핸들(50)과 중심이 일치되는 관통구멍(32)(42);
    상기 핸들(50)의 상하부 중심에 일직선으로 형성되어 상기 관통구멍(32)(42)으로 삽입되고, 중심에 왼나사산(51t)과 오른나사산(52t)이 형성된 원통형의 슬리브너트(51)(52);
    상기 슬리브너트(51)(52)의 외주면에 각각 끼워지고, 상기 핸들(50)과 상기 상부사각링(30)의 사이 및 상기 핸들(50)과 상기 하부사각링(40)의 사이에 위치되는 평와셔(60)(62);
    상기 슬리브너트(51)(52)의 외주면에 끼워져서 상기 상부사각링(30)과 상기 하부사각링(40)의 축방향 이동을 각각 정지시키는 멈춤링(64)(66);
    상기 슬리브너트(51)(52)에 각각 나사 결합되고, 서로 상반된 방향으로 형성된 수나사산을 갖는 승강볼트(70)(72);
    상기 승강볼트(70)(72)의 길이방향을 따라 각각 형성되는 키홈(70g)(72g);
    상기 슬리브너트(51)(52)의 외주면에 각각 끼워지고, 상기 상부사각링(30)과 상기 하부사각링(40)에 각각 용접되는 위치조정링(80)(82);
    상기 위치조정링(80)(82)의 내주면으로부터 중심을 향해 각각 돌출되어 상기 키홈(70g)(72g)에 각각 걸리는 회전방지키(80k)(82k);
    상기 상부사각링(30)과 상기 하부사각링(40)에 각각 한 쌍씩 설치되고, 서로 엇갈리게 직교되는 상부축(90)(91)과 하부축(92)(93);
    상기 상부축(90)(91)과 상기 하부축(92)(93)에 각각 설치되는 상부롤러(94a)(94b)(95a)(95b)와 하부롤러(96a)(96b)(97a)(97b);
    를 포함하는 스프링클러 헤드 고정장치.
KR1020170126764A 2017-09-29 2017-09-29 스프링클러 헤드 고정장치 KR1018306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6764A KR101830695B1 (ko) 2017-09-29 2017-09-29 스프링클러 헤드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6764A KR101830695B1 (ko) 2017-09-29 2017-09-29 스프링클러 헤드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0695B1 true KR101830695B1 (ko) 2018-02-21

Family

ID=615253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6764A KR101830695B1 (ko) 2017-09-29 2017-09-29 스프링클러 헤드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069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6631B1 (ko) 2009-03-20 2011-08-16 주식회사 코뿔소 스프링쿨러용 연결부재의 장착구조
US20130220649A1 (en) 2010-10-26 2013-08-29 Flexhead Industries, Inc. Clamp for sprinkler support assembly
KR101304747B1 (ko) 2012-04-16 2013-09-05 임영순 소방용 앤드 브라켓
KR101724022B1 (ko) 2016-06-09 2017-04-07 (주)파워레인 유체 공급배관 고정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6631B1 (ko) 2009-03-20 2011-08-16 주식회사 코뿔소 스프링쿨러용 연결부재의 장착구조
US20130220649A1 (en) 2010-10-26 2013-08-29 Flexhead Industries, Inc. Clamp for sprinkler support assembly
KR101304747B1 (ko) 2012-04-16 2013-09-05 임영순 소방용 앤드 브라켓
KR101724022B1 (ko) 2016-06-09 2017-04-07 (주)파워레인 유체 공급배관 고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5046B1 (ko) 스프링클러 연결장치
WO2014171536A1 (ja) 自在手摺り
KR101457472B1 (ko) 파이프 교정기용 교정롤러의 상,하 조정장치
KR101830695B1 (ko) 스프링클러 헤드 고정장치
JP2009203648A (ja) 回転防止具
KR20120057543A (ko) 레벨링 장치
CN209304476U (zh) 一种内套涨取机构
JP2021156163A (ja) 床板支持具
KR20150047808A (ko) 척 롤 타입의 파이프 코스타
CA2242681A1 (en) Apparatus for adjusting a distance between two opposed form panels
KR20140099378A (ko) 파이프 간격 유지 장치
KR100435300B1 (ko) 스프링클러의 고정구조
JP2008296339A (ja) パイプ切断装置
KR102154625B1 (ko) 길이조절형 강구조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내진보강공법
KR200470466Y1 (ko) 스프링쿨러 헤드용 연결관 승강장치
KR20190051494A (ko) 레이스웨이 착탈성이 개선된 감시카메라용 브라켓
CN104089094A (zh) 一种用于铺设户外管道的支架
CN205371302U (zh) 一种用于导轨的可调角度固定座
KR101875129B1 (ko) 스프링클러 헤드 장치
KR20130071974A (ko) 가스 검출기의 위치조절장치
KR101727981B1 (ko) 후렉시블 덕트호스의 제조장치용 권취 롤러
KR102496209B1 (ko) 실린더 설치장치
KR101097356B1 (ko) 산업용 모니터 설치 장치
CN219282605U (zh) 一种消防管道安装装置
JP3203719U (ja) 保安灯スタン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