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0113B1 - 보강 판재 및 이를 포함하는 판재 구조물 - Google Patents

보강 판재 및 이를 포함하는 판재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0113B1
KR101830113B1 KR1020150155039A KR20150155039A KR101830113B1 KR 101830113 B1 KR101830113 B1 KR 101830113B1 KR 1020150155039 A KR1020150155039 A KR 1020150155039A KR 20150155039 A KR20150155039 A KR 20150155039A KR 101830113 B1 KR101830113 B1 KR 1018301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ing
plate
base plate
reinforcing portions
port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50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52918A (ko
Inventor
양동열
이동효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501550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0113B1/ko
Publication of KR201700529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29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01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01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1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discontinuous layer, i.e. formed of separate pieces of material
    • B32B3/1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discontinuous layer, i.e. formed of separate pieces of material characterised by a layer of regularly- arranged cells, e.g. a honeycomb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formed with recesses or projections, e.g. hollows, grooves, protuberances, ri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using adhes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605/00Vehicles
    • B32B2605/08C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605/00Vehicles
    • B32B2605/12Sh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605/00Vehicles
    • B32B2605/18Aircraft

Landscapes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보강 판재는 베이스 판재 및 복수개의 보강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강부들 각각은 상기 베이스 판재와 예각을 이루는 측면, 및 상기 측면의 상단에 의해 정의되는 보강면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보강부들을 갖는 보강 판재는 경량화, 고강도, 고강성, 고기능화 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공동을 갖는 보강부에 의해서 보강 판재는 기존의 벌집 구조와 피라미드 구조에 비해 우수한 전단강도를 가질 수 있다.

Description

보강 판재 및 이를 포함하는 판재 구조물{REINFORCING PLATE AND PLATE STRUCTURE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보강 판재 및 이를 포함하는 판재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2개의 판재들의 강성을 보강하기 위한 보강 판재, 및 이러한 보강 판재를 포함하는 판재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산업계에서는 친환경적인 제품에 대한 관심과 정부의 규제가 강화되면서 자동차, 항공기, 선박, 철도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연비를 높이기 위한 경량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샌드위치 구조는 강성이 강한 외판재와 비중이 낮은 내부 코어로 이루어져 있다. 샌드위치 구조의 판재는 외판재 사이의 거리를 벌려서 관성 모멘트를 증가시키기 때문에, 가벼우면서도 효율적으로 강성과 강도를 확보할 수 있게 한다.
기존의 샌드위치 구조체는 플라스틱 또는 금속, 비금속을 이용하여 내부 구조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샌드위치 구조체는 주름형 구조, 트러스 구조, 벌집 구조 등 다양한 형상을 갖고 있다. 이 중에서, 산업에서 쉽게 생산되고 가장 많이 사용되는 구조가 벌집 구조이다. 벌집 구조는 육각 기둥 모양의 판재가 서로 촘촘히 연결되어 있는 구조이다. 벌집 구조의 경우, 압축 하중에 대해서 가장 강도가 큰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샌드위치 구조가 관성모멘트를 증가시킨다는 개념에서부터 출발했기 때문에, 벌집 구조는 굽힘 하중에 대해서도 큰 효율을 나타내야 한다. 벌집 구조의 경우, 전단 하중에는 매우 취약한 성질을 갖고 있기 때문에, 판재의 굽힘과 내부 구조의 전단의 합으로 나타낼 수 있는 굽힘 하중에 약점이 있을 수 있다. 주름 형 구조의 경우에는 구조체 자체의 이방성 특징에 의해 폭 방향의 하중에 취약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굽힘 하중과 폭 방향 하중에 대한 강한 강성을 가지면서 가벼운 무게를 갖고, 아울러 제작성도 개선된 보강 판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된 보강 판재를 포함하는 판재 구조물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견지에 따른 보강 판재는 베이스 판재 및 복수개의 보강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강부들 각각은 상기 베이스 판재와 예각을 이루는 측면, 및 상기 측면의 상단에 의해 정의되는 보강면을 가질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측면은 상기 보강면의 중앙을 향해서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보강면은 정다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에 있어서, 상기 보강면은 정삼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정다각형 형상의 보강면은 라운드된 모서리들을 가질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측면들의 하단들은 라운드된 모서리들을 가질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보강면은 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보강 판재는 상기 측면과 상기 보강면에 의해 형성된 공동에 채워진 방음, 완충 및 방열을 위한 충진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공동의 저면은 개구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들은 좌우 동일한 간격을 두고 배열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들은 상기 베이스 판재의 측면 방향을 따라 지그재그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들은 상기 베이스 판재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판재와 상기 보강부들은 압축 성형 공정 또는 플라스틱 사출 공정을 통해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견지에 따른 보강 판재는 베이스 판재, 복수개의 보강부들 및 충진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강부들 각각은 상기 베이스 판재와 예각을 이루는 복수개의 측면들, 및 상기 측면들의 상단들에 의해 정의된 정삼각형의 보강면을 각각 가질 수 있다. 상기 보강부들은 좌우 동일한 간격을 두고 배열될 수 있다. 상기 충진재는 상기 측면들과 상기 보강면에 의해 형성된 공동에 채워져서 방음, 완충 및 방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측면들은 상기 보강면의 중앙을 향해서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정삼각형의 보강면은 라운드된 모서리들을 가질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측면들의 하단들은 라운드된 모서리들을 가질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들은 상기 베이스 판재의 측면 방향을 따라 지그재그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견지에 따른 판재 구조물은 제 1 판재, 제 2 판재 및 보강 판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판재는 상기 제 1 판재와 대향할 수 있다. 상기 보강 판재는 베이스 판재 및 복수개의 보강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판재는 상기 제 1 판재에 접합될 수 있다. 상기 보강부들 각각은 상기 베이스 판재와 예각을 이루는 측면, 및 상기 측면의 상단에 의해 정의되고 상기 제 2 판재에 접합된 보강면을 가질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판재 구조물은 상기 측면과 상기 보강면에 의해 형성된 공동에 채워진 방음, 완충 및 방열을 위한 충진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판재 구조물은 상기 보강 판재와 상기 제 2 판재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보강 판재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보강 판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보강 판재는 상기 제 1 판재와 상기 제 2 판재에 초음파 융착, 접착제 접합 또는 기계적 접합에 의해 접합될 수 있다.
상기된 본 발명에 따르면, 보강부들을 갖는 보강 판재는 경량화, 고강도, 고강성, 고기능화 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공동을 갖는 보강부에 의해서 보강 판재는 기존의 벌집 구조와 피라미드 구조에 비해 우수한 전단강도를 가질 수 있다.
아울러, 보강 판재를 복층 구조로 적층할 경우, 트러스 구조와 달리 중간 판재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적층 공정이 간단해지고 복층의 보강 판재의 무게도 줄일 수 있다.
또한, 보강 판재는 플라스틱 압축 성형 공정 또는 플라스틱 사출 공정을 통해서 제작될 수 있으므로, 제작 공정이 간단해지고 제작 시간도 단축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강 판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보강 판재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강 판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강 판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보강 판재를 제조하는 공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도 1에 도시된 보강 판재를 포함하는 판재 구조물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도 1에 도시된 보강 판재를 포함하는 판재 구조물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벌집 구조의 보강 판재를 포함하는 비교예 1의 판재 구조물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피라미드 구조의 보강 판재를 포함하는 비교예 2의 판재 구조물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6에 도시된 판재 구조물, 도 8에 도시된 비교예 1의 판재 구조물 및 도 9에 도시된 비교예 2의 판재 구조물의 하중-변위를 비교해서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보강 판재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강 판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보강 판재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보강 판재(100)는 베이스 판재(110), 복수개의 보강부(120)들 및 충진재(130)를 포함할 수 있다. 보강 판재(100)는 2개의 판재들 사이에 개재되어, 판재들의 강성을 보강시킬 수 있다.
베이스 판재(110)는 대략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베이스 판재(110)는 장측면과 단측면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베이스 판재(110)는 대략 정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보강부(120)들은 베이스 판재(110)의 상부면에 배치될 수 있다. 보강부(120)들은 베이스 판재(110)를 상부를 향해서 돌출시키는 공정을 통해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보강부(120)들은 베이스 판재(110)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보강부(120)들의 형성에 의해서 보강부(120)들 내부에는 공동들이 형성될 수 있다. 공동들 각각의 저면은 아래를 향해서 노출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보강부(120)들은 베이스 판재(110)의 상부면에 접합된 별도의 부품일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공동들 각각의 저면은 베이스 판재(110)로 막힐 수 있다.
보강부(120)들은 좌우 동일한 간격을 두고 배열될 수 있다. 또한, 보강부(120)들은 베이스 판재(110)의 장측면을 따라 지그재그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이러한 보강부(120)들의 배열에 따라 공동들도 좌우 동일한 간격을 두고 지그재그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공동들은 보강부(120)들 사이의 수직면을 기준으로 대칭을 이룰 수 있다.
보강부(120)들 각각은 3개의 측면(122)들 및 하나의 보강면(124)을 포함할 수 있다. 측면(122)들은 베이스 판재(110)의 상부면과 예각을 이룰 수 있다. 측면(122)들과 베이스 판재(110)의 상부면이 형성하는 예각들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즉, 측면(122)들은 베이스 판재(110)의 상부면과 직교하는 수직선에 대해서 경사질 수 있다. 특히, 측면(122)들은 보강면(124)의 중앙을 향해서 연장될 수 있다. 즉, 측면(122)들은 상부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좁아지는 폭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측면(122)들의 상단들이 형성하는 상부면은 측면(122)들의 하단들이 형성하는 하부면의 면적보다 좁은 면적을 가질 수 있다.
보강면(124)은 동일 높이에 위치한 3개의 측면(122)들의 상단들에 의해서 정의될 수 있다. 따라서, 보강면(124)은 베이스 판재(110)의 상부면과 실질적으로 평행할 수 있다. 측면(122)의 수가 3개이므로, 보강면(124)은 대략 삼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측면(122)들의 상단 폭들이 동일하면, 보강면(124)은 대략 정삼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정삼각형의 보강면(124)의 모서리가 날카로운 형상이면, 보강면(124)의 3개의 모서리들에 응력이 집중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보강면(124)은 라운드된 3개의 모서리(126)들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측면(122)들의 하단들 3개의 모서리들에 응력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측면(122)들의 하단들도 라운드된 3개의 모서리(128)들을 가질 수 있다. 라운드된 3개의 모서리(126, 128)들은 보강부(120)들을 형성하는 제작 용이성도 제공할 수 있다.
충진재(130)는 공동들 내부를 채울 수 있다. 충진재(130)는 방음, 완충 및/또는 방열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상기된 기능들을 갖는 충진재(130)는 특정 물질로 국한되지 않을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강 판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보강 판재(100a)는 보강부의 형상을 제외하고는 도 1에 도시된 보강 판재(100)의 구성요소들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동일한 참조부호들로 나타내고, 또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한 반복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보강부(120a)는 4개의 측면(122a)들 및 보강면(124a)을 포함할 수 있다. 보강면(124a)은 4개의 측면(122a)들의 상단들에 의해서 정의되므로, 보강면(124a)은 대략 정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보강면(124a)은 라운드된 4개의 모서리(126a)들을 가질 수 있다. 측면(122a)들의 하단들도 라운드된 4개의 모서리(128a)들을 가질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들에서는, 보강면의 형상이 정삼각형 또는 정사각형 형상으로 예시되었다. 그러나, 보강면의 형상은 상기된 형상들로 국한되지 않고 정다각형의 다른 형상들을 가질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강 판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보강 판재(100b)는 보강부의 형상을 제외하고는 도 1에 도시된 보강 판재(100)의 구성요소들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동일한 참조부호들로 나타내고, 또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한 반복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보강부(120b)는 실린더 형상의 측면(122b) 및 보강면(124b)을 포함할 수 있다. 보강면(124b)은 실린더 형상의 측면(122b)의 상단에 의해서 정의되므로, 보강면(124b)은 대략 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보강 판재를 제조하는 공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도 1에 도시된 보강 판재(100)는 하부 금형(170)과 상부 금형(180)을 이용해서 제작할 수 있다.
하부 금형(170)은 도 1에 도시된 보강 판재(100)의 보강부(120)들 형상과 대응하는 성형부(172)들을 가질 수 있다. 상부 금형(180)은 성형부(172)들 사이의 공간들로 진입하는 가압부(182)들을 가질 수 있다.
판재(160)를 하부 금형(170)의 성형부(172)들 상에 안치시킨 후, 상부 금형(180)의 가압부(182)들로 판재(160)를 가압할 수 있다. 가압부(182)들은 판재(160)를 누르면서 성형부(172)들 사이의 공간으로 진입하게 되어, 보강부(120)들을 갖는 보강 판재(100)가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보강 판재(100)는 플라스틱 사출 공정을 통해서 형성될 수도 있다.
판재 구조물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도 1에 도시된 보강 판재를 포함하는 판재 구조물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판재 구조물(200)은 제 1 판재(210), 제 2 판재(220) 및 보강 판재(1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판재(220)는 제 1 판재(21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보강 판재(100)는 도 1에 도시된 보강 판재(100)의 구성요소들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동일한 참조부호들로 나타내고, 또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한 반복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판재 구조물(200)은 도 3에 도시된 보강 판재(100a) 또는 도 4에 도시된 보강 판재(100b)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보강 판재(100)는 제 1 판재(210)와 제 2 판재(220)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보강 판재(100)의 베이스 판재(110)의 하부면이 제 1 판재(210)의 상부면에 접합될 수 있다. 보강 판재(100)의 보강면(124)들이 제 2 판재(220)의 하부면에 접합될 수 있다. 보강 판재(100)는 제 1 판재(210)와 제 2 판재(220)에 초음파 융착, 접착제 접합, 기계적 접합 등의 공정에 의해 접합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도 1에 도시된 보강 판재를 포함하는 판재 구조물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판재 구조물(200a)은 제 1 판재(210), 제 2 판재(220) 및 2층의 보강 판재(100)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 판재(220)는 제 1 판재(21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보강 판재(100)들 각각은 도 1에 도시된 보강 판재(100)의 구성요소들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동일한 참조부호들로 나타내고, 또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한 반복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판재 구조물(200a)은 도 3에 도시된 보강 판재(100a) 또는 도 4에 도시된 보강 판재(100b)를 포함할 수도 있다.
2층의 보강 판재(100)들은 제 1 판재(210)와 제 2 판재(220)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하부 보강 판재(100)의 베이스 판재(110)의 하부면이 제 1 판재(210)의 상부면에 접합될 수 있다. 상부 보강 판재(100)의 보강면(124)들이 제 2 판재(220)의 하부면에 접합될 수 있다. 보강 판재(100)들은 제 1 판재(210)와 제 2 판재(220)에 초음파 융착, 접착제 접합, 기계적 접합 등의 공정에 의해 접합될 수 있다.
또한, 보강 판재(100)들은 초음파 융착, 접착제 접합, 기계적 접합 등의 공정에 의해서 서로 접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부 보강 판재(100)의 보강면(124)들이 상부 보강 판재(100)의 베이스 판재(100)에 접합될 수 있다. 특히, 별도의 중간 판재를 사용하지 않고도, 보강 판재(100)들을 서로 접합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2개의 보강 판재(100)들이 적층된 구조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보강 판재(100)들의 적층 수는 2개로 국한되지 않고 판재 구조물의 사용 용도에 따라 3층 이상일 수도 있다.
판재 구조물들의 굽힘 강도 테스트
도 8은 벌집 구조의 보강 판재를 포함하는 비교예 1의 판재 구조물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비교예 1의 판재 구조물(300)은 제 1 판재(310)와 제 2 판재(320) 사이에 개재된 벌집형 보강 판재(3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9는 피라미드 구조의 보강 판재를 포함하는 비교예 2의 판재 구조물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비교예 2의 판재 구조물(400)은 제 1 판재(410)와 제 2 판재(420) 사이에 개재된 피라미드형 보강 판재(4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0은 도 6에 도시된 판재 구조물, 도 8에 도시된 비교예 1의 판재 구조물 및 도 9에 도시된 비교예 2의 판재 구조물의 하중-변위를 비교해서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0에 나타난 바와 같이, 동일 하중에 대해서 도 1의 판재 구조물(200)의 변위는 비교예 1 및 2의 판재 구조물(300, 400)들의 변위보다 상대적으로 짧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도 1의 판재 구조물(200)은 비교예 1 및 2의 판재 구조물(300, 400)들보다 상대적으로 강한 굽힘 강도를 가진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들에 따르면, 보강부들을 갖는 보강 판재는 경량화, 고강도, 고강성, 고기능화 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공동을 갖는 보강부에 의해서 보강 판재는 기존의 벌집 구조와 피라미드 구조에 비해 우수한 전단강도를 가질 수 있다.
아울러, 보강 판재를 복층 구조로 적층할 경우, 트러스 구조와 달리 중간 판재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적층 공정이 간단해지고 복층의 보강 판재의 무게도 줄일 수 있다.
또한, 보강 판재는 플라스틱 압축 성형 공정 또는 플라스틱 사출 공정을 통해서 제작될 수 있으므로, 제작 공정이 간단해지고 제작 시간도 단축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10 ; 베이스 판재 120 ; 보강부
122 ; 측면 124 ; 보강면
126, 128 ; 라운드된 모서리 130 ; 충진재
170 ; 하부 금형 172 ; 성형부
180 ; 상부 금형 182 ; 가압부
210 ; 제 1 판재 220 ; 제 2 판재

Claims (15)

  1. 베이스 판재; 및
    상기 베이스 판재와 예각을 이루는 사면체 형상을 가지면서 내부가 빈 복수개의 보강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사면체 형상의 보강부들은 상기 베이스 판재의 측면 방향을 따라 좌우 동일한 간격을 두고 지그재그 형태로 배열되어, 상기 사면체 형상의 보강부들 사이에 형성된 공간 내로 상기 사면체 형상의 보강부들과 동일한 형상을 갖는 다른 보강부들 각각이 위로부터 삽입될 수 있는 보강 판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면체 형상의 보강부들 각각은 상기 베이스 판재로부터 상기 보강부의 중앙을 향해서 경사지게 연장된 측면들을 갖는 보강 판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사면체 형상의 보강부들 각각은 상기 측면들의 상단에 형성된 삼각형 형상의 보강면을 갖는 보강 판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삼각형 형상의 보강면은 라운드된 모서리들을 갖는 보강 판재.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의 하단들은 라운드된 모서리들을 갖는 보강 판재.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면체 형상의 보강부들 각각의 내부에 형성된 공동에 채워진 방음, 완충 및 방열을 위한 충진재를 더 포함하는 보강 판재.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공동의 저면은 개구된 보강 판재.
  8. 삭제
  9. 삭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들은 상기 베이스 판재에 일체로 형성된 보강 판재.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판재와 상기 보강부들은 압축 성형 공정 또는 플라스틱 사출 공정을 통해서 형성된 보강 판재.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KR1020150155039A 2015-11-05 2015-11-05 보강 판재 및 이를 포함하는 판재 구조물 KR1018301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5039A KR101830113B1 (ko) 2015-11-05 2015-11-05 보강 판재 및 이를 포함하는 판재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5039A KR101830113B1 (ko) 2015-11-05 2015-11-05 보강 판재 및 이를 포함하는 판재 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2918A KR20170052918A (ko) 2017-05-15
KR101830113B1 true KR101830113B1 (ko) 2018-02-21

Family

ID=587398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5039A KR101830113B1 (ko) 2015-11-05 2015-11-05 보강 판재 및 이를 포함하는 판재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011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8587Y1 (ko) * 2003-10-21 2004-01-16 주식회사 피엠텍 복합패널
KR100741392B1 (ko) * 2006-09-07 2007-07-20 채수하 난연 및 불연성 샌드위치패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8587Y1 (ko) * 2003-10-21 2004-01-16 주식회사 피엠텍 복합패널
KR100741392B1 (ko) * 2006-09-07 2007-07-20 채수하 난연 및 불연성 샌드위치패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2918A (ko) 2017-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22847B2 (en) Pallet with support elements configured as one-piece skids and related methods
KR102154875B1 (ko) 주름 코어 패널
US20100115883A1 (en) Load-bearing space lattice structure, lightweight construction element and proces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JP5752749B2 (ja) パネル部材、プレス型、及びパネル部材の製造方法
JP2005001374A (ja) 充填材入りハニカムのエンドギャップ
KR101207472B1 (ko) 피라미드형 트러스 구조체를 이용한 샌드위치 판재 및 그 제작 방법
CN105539597B (zh) 用于机动车车身的罩盖
KR100969235B1 (ko) 층고 절감형 철골보 및 그 제조 방법
CN104947825A (zh) 一种粘弹性阻尼器及其制备方法
JP6331619B2 (ja) 繊維強化複合材
RU2641733C1 (ru) Конструкция из композитного материала
JP6326461B2 (ja) 厚紙を含む構造要素
KR101708212B1 (ko) 3차원 인쇄방법을 이용한 판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30113B1 (ko) 보강 판재 및 이를 포함하는 판재 구조물
JP2010138953A (ja) エネルギー吸収部材及びその製造方法
EP3098473A1 (en) Energy-absorbing composite tension-shear fitting
EP2965901B1 (en) Sandwich panel
JP6372141B2 (ja) 衝撃吸収構造およびこれを備えた車両用外板部材
JP6035654B2 (ja) 自動車の車体構造
JP6531971B2 (ja) パネル部材
JP6235254B2 (ja) 中空構造パネル
JP4732124B2 (ja) 緩衝材
JP6961984B2 (ja) 柱構造体
JP6024786B2 (ja) 積層構造体
CN112922993B (zh) 负泊松比结构与结合蜂窝型结构相结合的复合吸能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