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9360B1 - 유리창 청소장치 - Google Patents

유리창 청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9360B1
KR101829360B1 KR1020170053761A KR20170053761A KR101829360B1 KR 101829360 B1 KR101829360 B1 KR 101829360B1 KR 1020170053761 A KR1020170053761 A KR 1020170053761A KR 20170053761 A KR20170053761 A KR 20170053761A KR 101829360 B1 KR101829360 B1 KR 1018293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contamination
rotating shaft
windows
window
gl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37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범수
Original Assignee
김범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범수 filed Critical 김범수
Priority to KR10201700537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93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93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93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00Cleaning windows
    • A47L1/06Hand implements
    • A47L1/15Cloths, sponges, pads, or the like, e.g. containing cleaning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00Cleaning windows
    • A47L1/06Hand implements
    • A47L1/08Hand implements with provision for supplying liquids, e.g. cleaning agents

Landscapes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리창 청소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최우로 슬라이드 되어 개폐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유리창의 외측면을 청소하는 유리창 청소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복수의 유리창(20, 30)들 및 방충망이 각각 슬라이드되어 개폐 가능하도록 복수의 가이드레일(11, 12, 13)들이 형성된 프레임(10)에 탈착가능하게 설치되는 유리창 청소장치로서, 상기 가이드레일(11, 12, 13)들 중 적어도 하나에 탈착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지지부재(100)와; 상기 지지부재(100)와 결합되며 상기 지지부재(100) 및 상기 복수의 유리창(20,30) 중 적어도 하나의 이동에 의하여 상기 유리창의 외측면을 청소하는 오염제거부(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창 청소장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유리창 청소장치{Device for cleaning glass window}
본 발명은, 유리창 청소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최우로 슬라이드 되어 개폐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유리창의 외측면을 청소하는 유리창 청소장치에 관한 것이다.
공동주택, 빌딩 및 아파트와 같이 고층 건물의 유리창의 청소에 있어서, 실내측면은 손쉽게 청소할 수 있으나 실외측면은 허공이므로 청소시에는 사람이 직접 사다리나 로프 등을 이용하여 오르내리던지 아니면 크레인과 같은 특수한 차량을 동원하여 청소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리고 이렇게 실외측면을 청소하기 위하여 허공에서 오르내리며 청소를 하는 것은 청소하는 사람에게 위험부담이나 수고를 끼칠 뿐 아니라 청소하고자 하는 사람에게 과다한 비용의 부담을 지우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종래에는 고층 빌딩 또는 아파트의 창문의 실외측 유리를 손쉽게 닦을 수 있도록 양면자석을 이용하여 유리창을 닦는 장치들이 개발되었으나, 이를 사용하더라도 유리창 방향으로 가압 가능한 힘의 한계가 있어 실내측면에 비하여 청소 효율이 매우 떨어질 뿐 아니라, 난간이 유리창이 설치되는 가이드프레임과 난간의 사이가 좁을 경우 유리창 외측면의 청소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복수의 유리창들 및 방충망이 각각 슬라이드되어 개폐 가능하도록 복수의 가이드레일들이 형성된 프레임에 탈착가능하게 설치되어 유리창을 청소하는 유리창 청소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복수의 유리창(20, 30)들 및 방충망이 각각 슬라이드되어 개폐 가능하도록 복수의 가이드레일(11, 12, 13)들이 형성된 프레임(10)에 탈착가능하게 설치되는 유리창 청소장치로서, 상기 가이드레일(11, 12, 13)들 중 적어도 하나에 탈착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지지부재(100)와; 상기 지지부재(100)와 결합되며 상기 지지부재(100) 및 상기 복수의 유리창(20,30) 중 적어도 하나의 이동에 의하여 상기 유리창의 외측면을 청소하는 오염제거부(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창 청소장치를 개시한다.
상기 지지부재(100)는, 상기 가이드레일(11, 12, 13)들 중 어느 하나와 결합되는 결합위치에 상기 지지부재(100)를 상기 프레임(10)의 미리 설정된 특정위치에서 고정시키는 체결수단이 설치되어 상기 유리창(20, 30)의 이동에 의하여 상기 유리창(20, 30)의 외측면을 청소할 수 있다.
상기 오염제거부(200)는, 상기 지지부재(100)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회전축부재(220)와; 상기 회전축부재(220)에 결합되며 상기 유리창(20,30)에 밀착되어 상기 지지부재(100) 및 상기 복수의 유리창(20,30) 중 적어도 하나의 이동에 의하여 상기 유리창의 외측면의 오염을 제거하는 하나 이상의 오염제거부재(2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염제거부(200)는, 상기 지지부재(100)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축부재(220)와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부재(220)를 통하여 상기 오염제거부재(210)에 물을 공급하는 유체공급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축부재(220) 및 상기 오염제거부재(210)는, 상기 유리창(20, 30)의 가이드레일(11, 12, 13)를 따라 간격을 두어 한 쌍으로 설치되며, 상기 오염제거부(200)는, 상기 유리창(20, 30)에 밀착되어 상기 복수의 유리창(20,30)의 이동에 의하여 상기 유리창(20, 30)의 외측면의 오염을 제거하는 하나 이상의 보조오염제거부재(250)와; 상기 지지부재(100)에 설치되어 상기 보조오염제거부재(250)를 상기 유리창 방향으로 밀착시키는 하나 이상의 탄성부재(24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리창 청소장치는, 복수의 유리창들 및 방충망이 각각 슬라이드되어 개폐 가능하도록 복수의 가이드레일들이 형성된 프레임에 탈착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유리창 청소를 위한 장치의 설치가 용이하고 유리창 청소가 간단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리창 청소장치는, 지지부재 및 복수의 유리창 중 적어도 하나의 이동에 의하여 유리창의 외측면을 청소하는 오염제거부를 포함함으로써 별도의 동력 없이 간편하게 사용 가능한 이점이 있다.
뿐만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유리창 청소장치는, 지지부재의 상측에 오염제거부에 유체를 공급하는 유체공급부를 설치하여 오염제거부의 청소능력을 극대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리창 청소장치를 유리창을 외부에서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유리창 청소장치가 가이드프레임에 설치되는 설치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를 Ⅲ-Ⅲ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유리창 청소장치를 A-A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유리창 청소장치를 B-B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따른 유리창 청소장치가 가이드프레임에 설치되는 다른설치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오염제거부재와 지지부재의 결합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8는, 도 6의 유리창 청소장치를 A-A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유리창 청소장치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유리창 청소장치는,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유리창(20, 30)들 및 방충망이 각각 슬라이드되어 개폐 가능하도록 복수의 가이드레일(11, 12, 13)들이 형성된 프레임(10)에 탈착가능하게 설치되는 유리창 청소장치로서, 가이드레일(11, 12, 13)들 중 적어도 하나에 탈착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지지부재(100)와; 지지부재(100)와 결합되며 지지부재(100) 및 복수의 유리창(20,30) 중 적어도 하나의 이동에 의하여 상기 유리창의 외측면을 청소하는 오염제거부(2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유리창(20, 30)들은, 외측면의 청소가 어려운 위치에 설치되는 유리창으로서, 공동주택, 빌딩 및 아파트와 같이 고층 건물 등의 건축 구조물에 설치되는 유리창이면 어떠한 유리창이든 가능하다.
이때, 상기 복수의 유리창(20, 30)들은, 건축 구조물에 설치된 프레임(10)에 각각 슬라이드되어 개폐 가능하 개폐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예로서, 상기 복수의 유리창(20, 30)들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유리플레이트(22, 32)들과, 복수의 유리플레이트(22, 32) 각각의 외주면을 따라 설치되어 후술하는 가이드레일(11, 12, 13)에 탈착가능하게 설치되는 유리창프레임(21, 31)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유리창프레임(21, 31)은, 상단 및 하단에 가이드레일(11, 12, 13)과 결합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며, 내측에는 유리플레이트(22, 32)의 가장자리 일부가 삽입되는 유리창삽입홈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유리플레이트(22, 32)는, 유리창프레임(21, 31)에 실리콘(23)과 같은 부재에 의하여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10)은, 건축 구조물에 설치되어 복수의 유리창(20, 30)들이 개폐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로서, 상기 프레임(10)은, 복수의 유리창(20, 30)들을 지지하기 위하여 건축 구조물에 설치되는 직사각형의 메인프레임이 설치되고, 직사각형의 메인프레임 내에는 복수의 유리창(20, 30)들 및 방충망이 각각 슬라이드되어 개폐 가능하도록 복수의 가이드레일(11, 12, 13)들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가이드레일(11, 12, 13)들은, 복수의 유리창(20, 30)들 및 방충망이 각각 슬라이드되어 개폐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구성으로서 외측에 위치되는 유리창(20)의 가이드를 위한 외부유리창가이드레일(11)과, 내측에 위치되는 유리창(30)의 가이드를 위한 내부유리창가이드레일(12) 및 방충망을 가이드 하기 위한 방충망가이드레일(13)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방충망가이드레일(13)은, 기존의 방충망 프레임(미도시)과 결합하여, 상기 방충망프레임을 유리창(20, 30)의 개폐방향으로 가이드 하기 위하여 형성되는 구조로서, 후술하는 지지부재(100)와 결합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구조이면 다양한 구조가 가능하다.
예로서, 상기 방충망가이드레일(13)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유리창가이드레일(11)을 기준으로 실외 쪽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방충망가이드레일(13)과 외부유리창가이드레일(11)의 사이에는, 후술하는 결합부재(300)의 설치를 위한 간격(15)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프레임(10)은, 내부유리창가이드레일(12)의 내측에 형성되는 내측가이드레일부(14)가 추가로 형성될 수 있으며, 후술하는 결합부재(300)는, 내측가이드레일부(14)에도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유리창 청소장치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프레임(10)에 형성된 가이드레일(11, 12, 13)들 중 적어도 하나에 탈착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지지부재(100)와; 지지부재(100)와 결합되며 지지부재(100) 및 복수의 유리창(20,30) 중 적어도 하나의 이동에 의하여 상기 유리창의 외측면을 청소하는 오염제거부(200)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부재(100)는, 프레임(10)에 형성된 가이드레일(11, 12, 13)들 중 적어도 하나에 탈착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구성으로서, 오염제거부(200)의 형태 및 구성에 따라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로서, 상기 지지부재(100)는, 유리창(20, 30)과 지지부재(100) 사이에 오염제거부(200)가 설치될 수 있도록 유리창(20, 30)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는 후면지지부재(110)와; 후면지지부재(110)의 길이방향 양측단에 형성되어 오염제거부(200)의 이탈을 방지하는 복수의 측면부재(120)들과; 후면지지부재(110) 및 측면부재(120)들의 상측 및 하측 각각에 결합되며 프레임(10)의 가이드레일(11, 12, 13)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상측결합부재(310) 및 하측결합부재(3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면지지부재(110)는, 유리창(20, 30)과 일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상기 측면지지부재(120)들은, 오염제거부(20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구조로서, 오염제거부(20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으면 다양한 구조가 가능하다.
특히 상기 복수의 측면부재(120)들은, 후면지지부재(110)를 기준으로 양측단에 유리창(20, 30)을 향하여 돌출되는 측벽부(121)와, 후술하는 오염제거부재를 구획할 수 있도록 내측에 후면지지부재(110)로부터 유리창(20, 30)을 향하여 돌출되는 하나 이상의 격벽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측면지지부재(120)들은, 오염제거부(200)가 설치되는 내부 방향으로 돌출되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123, 12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123, 124)들은, 오염제거부(20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형성되는 구조로서, 오염제거부(20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형성되는 구조이면 다양한 구조 및 형태가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돌출부(123, 124)는, 복수개 설치되는 오염제거부재(210) 및 후술하는 보조오염제거부재(250) 각각에 걸림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측결합부재(310) 및 하측결합부재(320)는, 후면지지부재(110) 및 측면부재(120)들의 상측 및 하측 각각에 결합되며 프레임(10)의 가이드레일(11, 12, 13)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상기 상측결합부재(310)는, 후면지지부재(110) 및 측면부재(120)들의 상측에 결합되어 지지부재(100)의 상측을 형성함과 아울러 프레임(10)의 가이드레일(11, 12, 13)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상측결합부재(3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프레임(10)의 가이드레일(11, 12, 13), 예를 들면 방충망가이드레일(13)이 삽입되는 상측걸림부(31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측걸림부(311)는, 프레임(10)의 가이드레일(11, 12, 13), 예를 들면 방충망가이드레일(13)프레임(10)의 가이드레일(11, 12, 13), 예를 들면 방충망가이드레일(13)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구조이면 다양한 구조가 가능하다.
한편, 상기 상측결합부재(310)는, 후술하는 유체공급부(400)가 설치된 경우, 유체공급부(400)의 지지를 위한 지지부(312)가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312)는, 유체공급부(400)가 상측결합부재(31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로서, 상기 지지부(312)는, 유체공급부(400)와 접하는 면에 걸림턱이 형성되고 유체공급부(400)의 외주면에는 걸림턱에 대응되어 걸림되는 턱부가 돌출형성되는 등 유체공급부(40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구성이면 어떠한 구성도 가능하다.
상기 하측결합부재(320)는, 후면지지부재(110) 및 측면부재(120)들의 하측에 결합되어 지지부재(100)의 하측을 형성함과 아울러 프레임(10)의 가이드레일(11, 12, 13)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측결합부재(3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프레임(10)의 가이드레일(11, 12, 13), 예를 들면 방충망가이드레일(13)이 삽입되는 하측걸림부(32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측걸림부(321)는, 지지부재(100)의 하측에 결합되어 지지부재(100)를 지지하며, 프레임(10)의 가이드레일(11, 12, 13), 예를 들면 방충망가이드레일(13)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 가능하도록 하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유리창 청소장치(300)는, 지지부재(100) 및 복수의 유리창(20,30) 중 적어도 하나의 이동에 의하여 유리창의 외측면이 청소될 수 있는바, 이동에 의하여 후술하는 오염제거부(200)가 유리창(20, 30)의 외측면을 청소할 수 있도록 프레임(10)의 가이드레일(11, 12, 13), 예를 들면 방충망가이드레일(13)에 이동 가능하도록 하는 이동수단(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수단은, 적어도 일부가 방충망가이드레일(13)에 삽입되어, 지지부재(100)를 복수의 유리창(20, 30)의 개폐방향으로 유리창 청소장치(300)를 이동가능시키기 위한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로서, 상기 이동수단은, 외주면을 따라 프레임(10)의 가이드레일(11, 12, 13), 예를 들면 방충망가이드레일(13)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바퀴와, 바퀴를 회전시켜 유리창 청소장치(300)를 이동가능시키는 회전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유리창 청소장치(300)는, 보다 바람직한 예로서, 프레임(10)의 가이드레일(11, 12, 13), 예를 들면 방충망가이드레일(13)에 대하여 이동되는 대신 특정 지점에 고정된 상태에서 유리창(20, 30)이 이동됨으로써 유리창(20, 30)을 청소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엥 따른 유리창 청소장치(300)는, 가이드레일(11, 12, 13)들 중 어느 하나와 결합되는 결합위치에 지지부재(100)를 프레임(10)의 미리 설정된 특정위치에서 고정시키는 체결수단이 설치되어 유리창(20, 30)의 이동에 의하여 유리창(20, 30)의 외측면을 청소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수단은, 복수의 유리창(20, 30)의 이동에 의하여 유리창(20, 30)의 외측면이 청소될 수 있도록 지지부재(100)를 프레임(10)의 미리 설정된 특정위치에서 고정시키기 위하여 설치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로서, 상기 체결수단은, 지지부재(100)에 설치되어 회전에 의하여 프레임(10)의 가이드레일(11, 12, 13), 예를 들면 방충망가이드레일(13)을 향하여 돌출되어 지지부재(100)를 프레임(10)의 미리 설정된 특정위치에서 고정시키는 하나 이상의 고정나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나사는, 지지부재(100)의 외측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회전시킴으로써 프레임(10)의 가이드레일(11, 12, 13), 예를 들면 방충망가이드레일(13)을 향하여 돌출되어 지지부재(100)를 프레임(10)의 미리 설정된 특정위치에서 고정시키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상기 오염제거부(200)는, 지지부재(100)와 결합되며 지지부재(100) 및 복수의 유리창(20,30) 중 적어도 하나의 이동에 의하여 유리창의 외측면을 청소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상기 오염제거부(200)는, 유리창(20, 30)의 상하“‡향을 회전축으로 하여 유리창(20,30)에 밀착된 상태로 회전에 의하여 유리창(20,30)의 표면에서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하나 이상의 오염제거부재(2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염제거부재(210)는, 회전가능하도록 실린더 형상을 가지며 오염제거방식에 따라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로서, 상기 오염제거부재(210)는, 복수의 섬유들이 반경방향으로 돌출된 블러쉬 구조, 원통형의 스펀지 구조, 외주면에 표면에 이물질이 부착되는 접착면이 형성된 롤구조, 접착시트가 롤구조로 감긴 접착시트 롤구조, 정전기에 의하여 이물질이 표면에 부착되도록 직류전원의 인가에 의하여 정전기가 표면에 형성되는 정전구조 등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상기 오염제거부(200)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재(100)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회전축부재(220)와; 회전축부재(220)에 결합되며 유리창(20,30)에 밀착되어 지지부재(100) 및 복수의 유리창(20,30) 중 적어도 하나의 이동에 의하여 유리창의 외측면의 오염을 제거하는 하나 이상의 오염제거부재(2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축부재(220)는, 지지부재(100)와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상기 오염제거부재(210)는, 회전축부재(220)에 결합되며 유리창(20,30)에 밀착되어 지지부재(100) 및 복수의 유리창(20,30) 중 적어도 하나의 이동에 의하여 유리창의 외측면의 오염을 제거하는 구성으로서 오염제거방식에 따라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로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오염제거부재(210)는, 복수의 섬유들이 반경방향으로 돌출된 블러쉬 구조, 원통형의 스펀지 구조, 외주면에 표면에 이물질이 부착되는 접착면이 형성된 롤구조, 접착시트가 롤구조로 감긴 접착시트 롤구조, 정전기에 의하여 이물질이 표면에 부착되도록 직류전원의 인가에 의하여 정전기가 표면에 형성되는 정전구조 등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오염제거부(200)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와 같은 회전축부재(220) 및 오염제거부재(210)의 구성은, 유리창(20, 30)의 이동방향을 따라서 복수개로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유리창(20, 30)의 이동방향에 따라서 각 오염제거부재(210)의 오염제거방식은, 앞서 설명한 다양한 조합에 의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오염제거부(200)의 구성의 예로서,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축부재(220) 및 오염제거부재(210)는, 유리창(20, 30)의 가이드레일(11, 12, 13)를 따라 간격을 두어 한 쌍으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상기 회전축부재(220) 및 오염제거부재(210)가 한 쌍으로 설치된 경우 유리창(20, 30)이 좌우로 움직일 때 유리창(20, 30)의 이물질 제거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오염제거부재(210)는, 유리창 청소의 극대화를 위하여 유리창 방향으로 밀착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상기 오염제거부재(210)는, 지지부재(100)에 설치되어 오염제거부재(210)를 하나 이상의 탄성부재(240)에 의하여 유리창 방향으로 밀착될 수 있다.
예로서, 상기 탄성부재(240)는, 회전축부재(220)의 상단 및 하단에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고, 회전축부재(220)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지지블록(230)을 유리창(20, 30) 쪽으로 가압함으로써 보조오염제거부재(250)를 유리창 방향으로 밀착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지지부재(100)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블록(230)의 유리창 방향으로의 이동이 가능하면서 지지블록(230)이 지지부재(100)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걸림턱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예로서, 상기 지지부재(100), 특히 상측결합부재(310) 및 하측결합부재(320)의 내측면에 지지블록(230)의 유리창 방향으로의 이동이 가능하면서 지지블록(230)이 지지부재(100)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가이드홈(31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홈(313)은, 지지블록(230)의 유리창 방향으로의 이동이 가능하면서 지지블록(230)이 지지부재(100)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상측결합부재(310) 및 하측결합부재(320)의 내측면에 홈으로써 지지블록(230)의 상단 또는 하단의 구조에 따라서 다양한 구조가 가능하다.
한편 상기 회전축부재(220) 및 오염제거부재(210)는, 유리창(20, 30)의 가이드레일(11, 12, 13)를 따라 간격을 두어 한 쌍으로 설치된 경우, 효율적인 유리창 청소를 위하여,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염제거부(200)는, 유리창(20, 30)에 밀착되어 복수의 유리창(20,30)의 이동에 의하여 유리창(20, 30)의 외측면의 오염을 제거하는 하나 이상의 보조오염제거부재(25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보조오염제거부재(250)는, 유리창(20, 30)에 밀착되어 복수의 유리창(20,30)의 이동에 의하여 유리창(20, 30)의 외측면의 오염을 제거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로서, 상기 보조오염제거부재(250)는, 하나로 설치되며 유리창(20, 30)에 대한 마찰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하여 직육면체의 형상을 가짐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보조오염제거부재(250)는, 스펀지, 부직포 등 유리창(20, 30)에 밀착되어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재질이면 어떠한 재질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보조오염제거부재(250)는, 스펀지, 부직포 등의 재질을 가지는 와이퍼부(252)와, 와이퍼부(252)의 형상유지를 위하여 와이퍼부(252)의 배면에 형상 유지를 위한 강성을 가지는 보강부재(251)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보조오염제거부재(250)는, 유리창(20, 30)에 최대한 밀착됨이 바람직한바, 지지부재(100)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탄성부재(240)에 의하여 유리창 방향으로 밀착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240)는, 보조오염제거부재(250)를 상기 유리창 방향으로 밀착시키는 구성으로서 코일스프링, 판스프링 등 다양한 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다.
예로서, 상기 코일스프링이 탄성부재(240)로 사용되는 경우, 코일스프링에 삽입되어 코일스프링을 안정적으로 고정하는 돌출부(241)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오염제거부(200)는, 유리창(20, 30)의 표면에 존재하는 이물질의 효율적인 제거를 위하여 오염제거부재(210) 등에 물이 공급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유리창 청소장치(300)는, 오염제거부재(210)에 물을 공급하는 유체공급부(40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오염제거부(200)는, 오염제거부재(210) 및 보조오염제거부재(250) 중 적어도 하나에 물을 공급하는 유체공급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체공급부(400)는, 오염제거부재(210) 및 보조오염제거부재(250) 중 적어도 하나에 물을 공급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특히 상기 오염제거부재(210)는, 복수의 섬유들이 반경방향으로 돌출된 블러쉬 구조, 원통형의 스펀지 구조를 이루는 경우 이물질의 효과적인 제거를 위하여 물이 공급됨이 효율적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유체공급부(400)는, 오염제거부재(210)에 대한 물의 공급방식 및 구조에 따라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오염제거부재(210)에 대한 물의 공급방식으로서, 회전축부재(220)를 통하여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회전축부재(220)는, 길이방향을 따라 내부공간을 형성하며, 내부공간을 중심으로 반경방향으로 복수의 관통공(221)들이 형성되는 원통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내부공간은, 후술하는 유체공급부(400)로부터 유체를 공급받아 오염제거부재(210)에 공급하기 위하여 형성되는 구성으로서, 유체공급부(400)로부터 공급받은 물을 오염제거부재(210)에 공급할 수 있으면 다양한 형태 및 구성이 가능하다.
다른 예로서, 상기 회전축부재(220)는 다공성 재질로 형성되어 유체공급부(400)로부터 공급받은 물을 오염제거부재(210)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유체공급부(400)는, 지지부재(100)의 상측에 설치되어 물이 담기는 유체용기(410)와, 회전축부재(220)와 연결되어 유체용기(410)에 담긴 물을 회전축부재(220)에 전달하는 배관부재(4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관부재(420)는, 회전축부재(220)와 연결되어 유체용기(410)에 담긴 물을 회전축부재(220)에 전달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특히 상기 배관부재(420)는, 끝단 일부가 회전축부재(220)의 관통공에 삽입되는 등 회전축부재(220)가 회전이 가능한 상태로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유체공급부(400)는, 앞서 설명한 유사한 구조로서 회전축부재(220)에 결합된 오염제거부재(210)와 함께 또는 오염제거부재(210) 대신에 앞서 설명한 보조오염제거부재(250)에 물을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회전축부재(220) 및 오염제거부재(210)에 의하여 구성되는 오염제거부(200)의 구성에 있어서, 오염제거부재(210)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회전축부재(220)를 회전중심으로 회전하며, 외주면에 오염물질이 점성, 정전기 등에 의하여 부착되는 접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착부는, 유리창(20,30)의 외부면에 부착되는 오염물질이 오염제거부재(210)의 외주면에 점성, 정전기 등에 의하여 부착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재질로 형성 가능하다.
한편, 상기 오염제거부재(210)가 정전기에 의하여 표면에 이물질(먼지 등)이 부착되도록 하는 경우 유리창(20, 30)의 표면에 밀착되어 회전시 축부분에서 회전마찰을 가하여 유리창(20, 30)의 표면마찰이 있도록 하여 정전기를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염제거부재(210)가 정전기에 의하여 표면에 이물질(먼지 등)이 부착되도록 하는 경우, 지지부재(100)의 상측에 설치되어 오염제거부재(210)의 표면에 정전기를 형성하도록 오염제거부재(210)에 DC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26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원부(260)는, 회전축부재(220)과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부재(220)에 DC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전원부(260)는, 회전축부재(220)를 따라 DC전원을 공급하여 오염제거부재(210)와 같은 정전기발생부재들에 정전기를 발생시키기 위하여 설치되는 구성으로서, 정전기발생부재들에 정전기를 발생시킬 수 있으면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로서, 상기 전원부(260)는, 상기 회전축부재(220)에 DC전원을 인가하는 DC전원공급부, 충전지 등 하나 이상의 건전지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원부(26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부(260)와 상기 회전축부재(22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도선부재(261)에 의하여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도전부재(261)는, 상기 전원부(260)와 회전축부재(220)의 전기적 연결을 위하여 설치되는 구성으로서, 상기 전원부(260)와 회전축부재(220)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면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회전축부재(220)는, 전원부(260)로부터 전원이 인가되기 용이하도록 도체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도선부재(261)는, 전원부(260)와 회전축부재(220)가 상기 상측결합부재(310)를 중심으로 상측 및 하측에 각각 설치되는 바, 상기 전원부(260)와 상측결합부재(310)의 사이에 상기 도선부재(261)의 설치를 위한 설치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상측결합부재(310)는, 상기 전원부(260)와 상기 상측결합부재(310)의 사이에 도선부재(261)의 설치를 위한 공간형성부재(262)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공간형성부재(262)는, 청소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하여 상기 전원부(260)와 상기 상측결합부재(310)의 사이에 설치되어 도선부재(261)의 설치를 위한 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전원부(260)는, 오염제거부재(210)의 표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상기 오염제거부(210)에 인가되는 정전기를 제거하기 위한 정전기 제거부(미도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전기제거부는, 오염제거부재(210)의 표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오염제거부재(210)에 인가되는 정전기를 제거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로서, 상기 정전기제거부는, 회전축부재(220) 및 오염제거부재(210)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연결되어 정전기의 제거시 외부 방향으로 축전된 전기를 흘려보내기 위한 금속부재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오염제거부재(210)의 표면에는 이물질이 부착되는바 유리창 청소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하여 오염제거부재(210)의 표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 제거부(140)가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이물질 제거부(140)는, 오염제거부재(210)의 표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로서, 상기 이물질 제거부(14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염제거부재(210) 중 유리창(20, 30)을 향하는 측에 대향되는 측에서 오염제거부재(210)의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밀착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밀착부재는, 오염제거부재(210) 중 유리창(20, 30)을 향하는 측에 대향되는 측에서 오염제거부재(210)의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설치되는 부재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특히 상기 밀착부재는, 오염제거부재(210)의 회전방향이 바뀔 수 있음을 고려하여 오염제거부재(210)의 회전을 방해하지 않도록 휨이 쉬운 탄성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밀착부재에 의하여 오염제거부재(210)에서 이물질이 제거된 경우 이를 제거할 필요가 있는바, 지지부재(100)는, 외부 방향으로 배출시키기 위한 오염물질방출홀(11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오염물질방지홀(111)은, 상기 지지부재(100)의 형성되어 밀착부재에 의하여 오염제거부재(210)에서 제거된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다양한 형태가 가능하다.
예로서, 상기 오염물질방출홀(111)은, 오염제거부재(210)에서 제거된 이물질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부재(100)의 하단에 하나 이상의 홀로 형성될 수 있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 가이드프레임 20: 유리창
100: 지지부재 200: 오염제거부
300: 결합부재

Claims (5)

  1. 복수의 유리창(20, 30)들 및 방충망이 각각 슬라이드되어 개폐 가능하도록 복수의 가이드레일(11, 12, 13)들이 형성된 프레임(10)에 탈착가능하게 설치되는 유리창 청소장치로서,
    상기 가이드레일(11, 12, 13)들 중 적어도 하나에 탈착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지지부재(100)와;
    상기 지지부재(100)와 결합되며 상기 지지부재(100) 및 상기 복수의 유리창(20,30) 중 적어도 하나의 이동에 의하여 상기 유리창의 외측면을 청소하는 오염제거부(200)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재(100)는, 상기 가이드레일(11, 12, 13)들 중 어느 하나와 결합되는 결합위치에 상기 지지부재(100)를 상기 프레임(10)의 미리 설정된 특정위치에서 고정시키는 체결수단이 설치되어, 상기 유리창(20, 30)의 이동에 의하여 상기 오염제거부(200)가 상기 유리창(20, 30)의 외측면을 청소하며,
    상기 오염제거부(200)는,
    상기 지지부재(100)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회전축부재(220)와;
    상기 회전축부재(220)에 결합되며 상기 유리창(20,30)에 밀착되어 상기 지지부재(100) 및 상기 복수의 유리창(20,30) 중 적어도 하나의 이동에 의하여 상기 유리창의 외측면의 오염을 제거하는 하나 이상의 오염제거부재(210)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축부재(220) 및 상기 오염제거부재(210)는, 상기 유리창(20, 30)의 가이드레일(11, 12, 13)를 따라 간격을 두어 한 쌍으로 설치되며,
    상기 오염제거부(200)는, 상기 유리창(20, 30)에 밀착되어 상기 복수의 유리창(20,30)의 이동에 의하여 상기 유리창(20, 30)의 외측면의 오염을 제거하는 하나 이상의 보조오염제거부재(250)와; 상기 지지부재(100)에 설치되어 상기 보조오염제거부재(250)를 상기 유리창 방향으로 밀착시키는 하나 이상의 탄성부재(240)를 포함하며,
    상기 오염제거부(200)는, 상기 지지부재(100)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축부재(220)와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부재(220)를 통하여 상기 오염제거부재(210)에 물을 공급하는 유체공급부(400)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축부재(220)는, 길이방향을 따라 내부공간(222)을 형성하며, 상기 내부공간(222)을 중심으로 반경방향으로 복수의 관통공(221)들이 형성되는 원통형상을 가지며;
    상기 내부공간(222)은, 상기 유체공급부(400)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상기 오염제거부재(210)에 공급하며,
    상기 유체공급부(400)는, 상기 지지부재(100)의 상측에 설치된 유체용기(410)와, 상기 회전축부재(220)와 연결되어 상기 유체용기(410)에 담긴 물을 상기 회전축부재(220)에 전달하는 배관부재(420)를 포함하며,
    상기 배관부재(420)는, 끝단 일부가 상기 회전축부재(220)의 관통공에 삽입되어 상기 회전축부재(220)가 회전이 가능한 상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창 청소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70053761A 2017-04-26 2017-04-26 유리창 청소장치 KR1018293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3761A KR101829360B1 (ko) 2017-04-26 2017-04-26 유리창 청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3761A KR101829360B1 (ko) 2017-04-26 2017-04-26 유리창 청소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9360B1 true KR101829360B1 (ko) 2018-02-14

Family

ID=612295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3761A KR101829360B1 (ko) 2017-04-26 2017-04-26 유리창 청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936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82454A (ja) * 1999-12-27 2001-07-06 Tadashi Kashiwagi 窓拭き機能付き窓枠並びに窓拭き具
KR100949182B1 (ko) * 2008-01-24 2010-03-23 울산과학대학 산학협력단 무동력 셀프 클리닝 창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82454A (ja) * 1999-12-27 2001-07-06 Tadashi Kashiwagi 窓拭き機能付き窓枠並びに窓拭き具
KR100949182B1 (ko) * 2008-01-24 2010-03-23 울산과학대학 산학협력단 무동력 셀프 클리닝 창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23242B2 (en) Remote controlled apparatus for cleaning of outer window surfaces of high rise buildings and building facades
KR101108011B1 (ko) 유리창 청소장치
KR20090128110A (ko) 창문닦기로봇
KR101829361B1 (ko) 유리창 청소장치
KR20080007942A (ko) 유리창 청소기구
KR20100098357A (ko) 창문닦기로봇
KR101829360B1 (ko) 유리창 청소장치
JP2001182454A (ja) 窓拭き機能付き窓枠並びに窓拭き具
CN108178036A (zh) 用于电梯内的监控装置
CN108301756A (zh) 一种多功能清洁卷帘系统
CN109464061A (zh) 一种带电动滚动毛刷清洗装置窗户
KR102184997B1 (ko) 공동주택용 방충망 자동청소장치
JP4860371B2 (ja) 開閉装置用清掃装置及び該開閉装置用清掃装置を備えた開閉装置
CN210672616U (zh) 一种无尘室出入口的专用鞋架
JP2002097860A (ja) 掃除具付窓
KR101959833B1 (ko) 미닫이 창문의 유리창 및 방충망 세척장치
CN216240361U (zh) 一种便于清理的内置百叶窗
CN214532721U (zh) 一种便于清洁的电动窗帘
JP3052988U (ja) ガラス清掃装置
CN108019142A (zh) 一种清洁型卷帘结构
CN215077978U (zh) 一种室内环保除尘装置
KR200198379Y1 (ko) 유리창 청소 장치
CN218407195U (zh) 一种门窗保温防水结构
CN113280436B (zh) 一种室内通风与空气净化系统
JP3052987U (ja) ガラス清掃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