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9019B1 - Method for providing auto-resizing and arranging facility service using drag and drop based on html5 - Google Patents

Method for providing auto-resizing and arranging facility service using drag and drop based on html5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9019B1
KR101829019B1 KR1020170158432A KR20170158432A KR101829019B1 KR 101829019 B1 KR101829019 B1 KR 101829019B1 KR 1020170158432 A KR1020170158432 A KR 1020170158432A KR 20170158432 A KR20170158432 A KR 20170158432A KR 101829019 B1 KR101829019 B1 KR 1018290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out
design
icon
html
dro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843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현호
Original Assignee
디비손해보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비손해보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디비손해보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584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901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90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901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F17/5004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A method for providing an auto-resizing and facility arranging service using drag and drop based on HTML is provided. The method includes a step of outputting the design of a target building where a facility is to be arranged by accessing a facility arranging service page provided by a server for providing a facility arranging service, to an HTML-based page, a step of selecting a facility icon from the facility selection layout of an HTML-based page to move to a design layout where the design is outputted, and a step of outputting the selected facility icon to the design. At this time, the movement of the facility icon between the facility selection layout and the design layout is carried out by drag and drop.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efficiency of function and space.

Description

HTML 기반 드래그 앤 드롭을 이용한 자동축척 기구 배치 서비스 제공 방법{METHOD FOR PROVIDING AUTO-RESIZING AND ARRANGING FACILITY SERVICE USING DRAG AND DROP BASED ON HTML5}[0001] METHOD FOR PROVIDING AUTO-RESIZING AND ARRANGING FACILITY SERVICE USING DRAG AND DROP BASED ON HTML5 [0002]

본 발명은 HTML 기반 드래그 앤 드롭을 이용한 자동축척 기구 배치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HTML 기반으로 도면 내에 비품을 실제사이즈에 기초한 비율로 배치하여 도면을 작성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providing an automatic scale-up arrangement service using an HTML-based drag-and-drop method, and provides a method of creating a drawing by arranging fixtures in a ratio based on an actual size based on HTML.

대부분의 기업들은 사무실 기능배치에 있어서 총무 및 시설 담당자의 경험에 의해 배치계획을 수립하고 경영자에 의해 배치의사를 결정한다. 최근에 와서 IBS(Inteligent Building System)의 개념이 도입되면서 컴퓨터 및 통신기기 등의 인프라를 통한 사무효율화의 노력이 공간이동의 최소화 등에 있어서 상당한 기여를 함으로써 배치문제가 그다지 영향을 미치지 않을 수도 있지만, 각 기업의 사무실 기능 배치의 문제는 간과하지 말아야 할 중요한 요소임에도 이를 개선하고자 하는 노력이나 논의가 아직까지 활발하게 일어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Most companies set up a deployment plan based on the experience of the secretary and the facility manager in office function arrangements and decide to deploy by the manager. Recently, with the introduction of the concept of IBS (Inteligent Building System), the efforts of office efficiency through infrastructure such as computer and communication equipment have made a considerable contribution to the minimization of space movement, Although the issue of office function allocation is an important factor that should not be overlooked, efforts and discussions to improve it have not been active yet.

이때, 공간을 효율적으로 배치하기 위한 방법은 가상의 공간에서 가구를 배치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선행기술인 한국공개특허 제2011-0087028호(2011년08월02일 공개)에는, 설계 공간을 선택 및 편집하고 소품을 배치하여 가상으로 최적의 3차원 설계 공간을 미리 연출할 수 있도록, 사용자 단말기가 인터넷망을 통해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인테리어 설계 홈페이지에 접속을 하고, 가상 인테리어 설계 DB에 저장된 가상 인테리어 설계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사용자 단말기가 아파트 DB 및 부동산 연계 DB에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설계하기를 원하는 인테리어 공간을 선택하고, 3D 도면 정보파일 DB에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가상의 3D 인테리어 공간을 설계하는 구성을 개시한다.At this time, a method for efficiently arranging the spaces is performed by arranging the furniture in a virtual space. In this regard, in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11-0087028 (published on Aug. 02, 2011), a design space is selected, edited, and a small article is placed, so that an optimal three- The user terminal accesses the interior design homepage provided from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through the Internet network, executes the virtual interior design program stored in the virtual interior design DB, and uses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apartment DB and the real estate association DB A construction for selecting a desired interior space by a user and designing a virtual 3D interior space using information stored in the 3D drawing information file DB is disclosed.

다만, 기업의 경우 비품을 재배치할 때마다 견적을 받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기존의 설계도를 이용하여 수작업으로 기구를 배치하는 경우가 많고, 잘못된 표기로 비품이 제대로 배치되지 못하거나 재작성 및 재배치의 무한 반복이 이루어지는 것이 대부분이다. 또한, 상술한 구성은 부서배치에 있어서 기업의 사무생산성과 연계한 효율을 제고하기 위해서 고려해야 할 요소인 쾌적성, 주변과의 조화, 미관과 기능성을 고려한 인프라의 구축 및 경영자의 취향 및 고객의 편의성을 자동으로 반영해주는 기능은 전혀 개시되어 있지 않다.However, since companies do not receive quotations every time they relocate fixtures, it is often the case that tools are manually arranged using existing designs, and the fixtures are not properly placed due to misrepresentation, Repeat is mostly done. In addition,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is effective in improving the efficiency associated with office productivity in a company, such as comfort, harmony with the surroundings, establishment of an infrastructure considering aesthetics and functionality, manager's tastes and customer convenience The function that automatically reflects is not disclosed at all.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주소 및 층별로 설계도를 출력하고, 보유하거나 보유할 비품의 실측 사이즈와 설계도에 대응하는 공간의 실측 사이즈의 비율을 고려하여 비품에 대응하는 기구 아이콘을 리사이징하여 설계도 내에 출력되도록 함으로써, 실제 공간에 비품을 배치해보는 것과 같은 직관성을 줄 수 있으며, 배치를 하고 컨펌이 되면 비품 재고량을 자동으로 증감시키며, 배치가 된 설계도에 따라 공사를 시작하거나 배치를 하고, 기업별로 설정된 규칙에 따라 배치될 직원의 직급 등이 결정되는 경우, 자동으로 배치를 실시함으로써 기능 및 공간의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HTML 기반 드래그 앤 드롭을 이용한 자동축척 기구 배치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chematic diagram is output for each address and a floor, and a device icon corresponding to a fixture is resized in consideration of the actual size of the fixture to be held or retained and the actual size of the space corresponding to the design, Output, it is possible to give the same intrinsic feeling as placing the fixtures in the actual space, and it is possible to automatically increase and decrease the inventory quantity of the fixtures when they are arranged and set up, to start or arrange the construction according to the layout of the fixtures, It is possible to provide a method of providing an automatic scale-up mechanism placement service using HTML-based drag and drop, which can maximize the efficiency of function and space by performing automatic placement when the position of the staff to be placed according to the rule is determined .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technical problems,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may exist.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기구 배치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제공하는 기구 배치 서비스 페이지에 접속하여 기구가 배치될 대상 건물의 설계도를 HTML 기반 페이지에 출력하는 단계, HTML 기반 페이지의 기구 선택 레이아웃으로부터 기구 아이콘이 선택되어 설계도가 출력된 설계도 레이아웃으로 이동하는 단계, 및 선택되어 이동된 기구 아이콘을 설계도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기구 선택 레이아웃 및 설계도 레이아웃 간의 기구 아이콘의 이동은 드래그 앤 드롭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s a technical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 technical object,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accessing a facility layout service page provided by a facility layout service providing server, Selecting the instrument icon from the instrument selection layout of the HTML-based page to move to the design layout from which the schematic is output, and outputting the selected instrument icon to the schematic. At this time, movement of the mechanism icon between the mechanism selection layout and the design layout is characterized by dragging and dropping.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실제 공간에 비품을 배치해보는 것과 같은 직관성을 줄 수 있으며, 배치를 하고 컨펌이 되면 비품 재고량을 자동으로 증감시키며, 배치가 된 설계도에 따라 공사를 시작하거나 배치를 하고, 기업별로 설정된 규칙에 따라 배치될 직원의 직급 등이 결정되는 경우, 자동으로 배치를 실시함으로써 기능 및 공간의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으며, 기존의 수작업으로 도면을 작성함으로써 발생했던 업무 불편, 비품의 오신청이나 오배치, 품질 저하나 재작성이나 재배치의 무한반복 가능성을 없앨 수 있고, 도면작성 프로그램을 다룰 줄 모르는 일반인이라 할지라도 설계도를 기반으로 도면을 제작할 수 있다.According to any one of the above-mentioned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intuitive operation such as arranging fixtures in a real space, automatically increase / decrease the stock quantity of fixtures upon placement, And when the positions of the employees to be placed according to the rules set for each company are determined,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efficiency of the function and the space by performing the automatic placement, and by generating the drawings by the existing manual operation It is possible to eliminate the possibility of work inconvenience, misapplication or misplacement of fixtures, possibility of endless repetition of quality reduction, re-creation or rearrangement, and even a general person who can not handle the drawing program can make a drawing based on the desig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HTML 기반 드래그 앤 드롭을 이용한 자동축척 기구 배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사용자 단말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HTML 기반 드래그 앤 드롭을 이용한 자동축척 기구 배치 서비스의 화면 중 초기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HTML 기반 드래그 앤 드롭을 이용한 자동축척 기구 배치 서비스의 화면 중 기구 선택 레이아웃에서 기구 아이콘이 출력된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HTML 기반 드래그 앤 드롭을 이용한 자동축척 기구 배치 서비스의 화면에서 드래그 앤 드롭으로 기구 아이콘이 설계도에 배치 및 출력된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HTML 기반 드래그 앤 드롭을 이용한 자동축척 기구 배치 서비스의 화면에서 단위유닛으로 크기비교 제공 서비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HTML 기반 드래그 앤 드롭을 이용한 자동축척 기구 배치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1 is a view for explaining a system for providing an automatic scale-up mechanism placement service using HTML-based drag-and-dro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user terminal included in the system of FIG.
FIG. 3 is a view for explaining an initial screen in a screen of an automatic scale-up mechanism placement service using HTML-based drag-and-dro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screen in which a mechanism icon is output from a mechanism selection layout in a screen of an automatic scale-up mechanism placement service using HTML-based drag-and-dro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screen in which a mechanism icon is dragged and dropped on a screen of an automatic scale-up mechanism placement service using HTML-based drag-and-dro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for explaining a size comparison and providing service as a unit in a screen of an automatic scale-up arrangement service using HTML-based drag-and-dro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automatic scrolling mechanism placement service providing method using HTML-based drag and dro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will be readily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In order to clearly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parts are denoted by like reference character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part, it includes not only "directly connected" but also "electrically connected" with another part in between . Also,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including" an element,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element may include other elements as well as other elements, And does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The terms "about "," substantially ", etc. used to the extent that they are used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are used in their numerical value or in close proximity to their numerical values when the manufacturing and material tolerances inherent in the stated meanings are presented, Accurate or absolute numbers are used to help prevent unauthorized exploitation by unauthorized intruders of the referenced disclosure. The word " step (or step) "or" step "does not mean" step for. &Quot;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개의 유닛이 2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개 이상의 유닛이 1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 " part " includes a unit realized by hardware, a unit realized by software, and a unit realized by using both. Further, one unit may be implemented using two or more hardware, or two or more units may be implemented by one hardware.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In this specification, some of the operations or functions described as being performed by a terminal, a device, or a device may be performed instead in a server connected to the terminal, device, or device. Likewise, some of the operations or functions described as being performed by the server may also be performed in a terminal, device or device connected to the server.

본 명세서에서 있어서, 단말과 매핑(Mapping) 또는 매칭(Matching)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단말의 식별 정보(Identifying Data)인 단말기의 고유번호나 개인의 식별정보를 매핑 또는 매칭한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In this specification, some of the operations or functions described in the mapping or matching with the terminal are used for mapping or matching the unique number of the terminal or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individual, which is the identification data of the terminal . ≪ / RTI >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HTML 기반 드래그 앤 드롭을 이용한 자동축척 기구 배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HTML 기반 드래그 앤 드롭을 이용한 자동축척 기구 배치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사용자 단말(100), 기구 배치 서비스 제공 서버(300), 관리자 단말(40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도 1의 HTML 기반 드래그 앤 드롭을 이용한 자동축척 기구 배치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 1을 통하여 본 발명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1 is a view for explaining a system for providing an automatic scale-up mechanism placement service using HTML-based drag-and-dro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 the system 1 for providing an automatic scale-up mechanism placement service using an HTML-based drag and drop may include a user terminal 100, a mechanism arrangement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and an administrator terminal 400 . However, the system 1 for providing the automatic scale-up arrangement service using the HTML-based drag-and-drop of FIG. 1 is only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u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FIG.

이때, 도 1의 각 구성요소들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network, 200)를 통해 연결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기구 배치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기구 배치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100), 관리자 단말(400)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관리자 단말(4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기구 배치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respective components of FIG. 1 are generally connected through a network 200.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 the user terminal 100 may be connected to the organization placement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through the network 200. The apparatus arrangement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can be connected to the user terminal 100 and the administrator terminal 400 via the network 200. [ In addition, the administrator terminal 400 can be connected to the organization placement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through the network 200.

여기서, 네트워크는, 복수의 단말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에는 RF,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5GPP(5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NFC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Here, the network means a connection structure in which information can be exchanged between each node such as a plurality of terminals and servers. Examples of such a network include RF,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GPP) network, Long Term A Wide Area Network (WAN),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a Wide Area Network (WAN), and a Wide Area Network (WAN) , A Personal Area Network (PAN), a Bluetooth network, an NFC network, a satellite broadcast network, an analog broadcast network, a DMB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network, and the like.

하기에서,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는 단수 및 복수를 포함하는 용어로 정의되고,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가 존재하지 않더라도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존재할 수 있고, 단수 또는 복수를 의미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구비되는 것은, 실시예에 따라 변경가능하다 할 것이다.In the following, the term at least one is defined as a term including the singular and plural, and even though the term " at least one " does not exist, it is to be understood that each constituent may exist singly or plurally, It will be self-evident. It is to be noted that the constituent elements may be provided singularly or plurally in various manners depending on the embodiment.

사용자 단말(100)은, HTML 기반 드래그 앤 드롭을 이용한 자동축척 기구 배치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설계도 상에 비품 등을 포함한 기구 아이콘을 배치 및 출력하는 단말일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100)은 기구 아이콘을 배치한 경우, 설계도의 축척 및 비품의 사이즈에 대응하도록 디스플레이하는 단말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00)은, 기구 배치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동하여, 배치 및 컨펌이 완료되면, 기구 배치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서 사용한 기구 아이콘에 대응하는 비품의 재고를 증감시켜 업데이트하도록 하는 단말일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100)은, 드래그 앤 드롭으로 기구 아이콘을 설계도에 배치하는 단말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00)은, 기 설정된 크기의 단위유닛을 출력하는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100)은, 기구를 배치한 전 및 후의 설계도를 비교하여 출력하는 단말일 수 있고, HTML5 기반으로 화면을 출력하는 단말일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100)은, 직원 명부에 기구 배치 서비스 제공 서버(300)를 통하여 지정하는 경우, 자동으로 직원을 기구에 위치 및 정보를 출력하는 단말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00)은, 직원이 선택되는 경우, 직급 등을 포함하는 기 설정된 규칙에 따라 자동으로 기구 아이콘을 배치하는 단말일 수 있다.The user terminal 100 may be a terminal that arranges and outputs a device icon including a fixture on a design diagram using a web page, an application page, a program, or an application related to an automatic scale-up mechanism placement service using an HTML-based drag-and-drop . When the apparatus icon is arranged, the user terminal 100 may be a terminal that displays the apparatus icon corresponding to the scale of the design and the size of the fixtures. In addition, the user terminal 100, in cooperation with the organization arrangement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updates and updates inventory of fixtures corresponding to the apparatus icons used in the apparatus arrangement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Or the like. The user terminal 100 may be a terminal that places a device icon in a schematic diagram by dragging and dropping. Also, the user terminal 100 may be a terminal outputting a unit unit of a predetermined size. Here, the user terminal 100 may be a terminal that compares before and after the arrangement of the apparatuses, and outputs the screen on the basis of HTML5. When designating the user terminal 100 through the apparatus arrangement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on the staff list, the user terminal 100 may be a terminal that automatically outputs the position and information to the mechanism by the employee. Also, the user terminal 100 may be a terminal that automatically disposes the apparatus icon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rule including a rank or the like when an employee is selected.

여기서,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user terminal 100 may be implemented as a computer capable of connecting to a remote server or terminal through a network. Here, the computer may include, for example, a navigation device, a notebook computer equipped with a web browser (WEB Browser), a desktop, a laptop, and the like. At this time, the user terminal 100 may be implemented as a terminal capable of connecting to a remote server or terminal through a network. The user terminal 100 may be, for example,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with guaranteed portability and mobility, such as a navigation system, a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PCS), a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GSM), a Personal Digital Cellular (PDC) Handyphone System),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 (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2000,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2000, 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Wibro (Wireless Broadband Internet) A handheld base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such as a smartphone, a smartpad, a tablet PC, and the like.

기구 배치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HTML 기반 드래그 앤 드롭을 이용한 자동축척 기구 배치 서비스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기구 배치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접근하는 경우, HTML 기반 드래그 앤 드롭을 이용한 자동축척 기구 배치 서비스 페이지를 사용자 단말(100)로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또한, 기구 배치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주소지 및 층을 입력하는 경우, 주소지 및 층에 대응하는 설계도를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하는 서버일 수 있다. 또한, 기구 배치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기구 아이콘에 대응하는 비품을 비품 재고량보다 많이 쓸 경우, 비품의 재고량이 부족하다는 알람을 사용자 단말(100)로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고, 사용자 단말(100)에서 기구 아이콘을 배치하고 설계도를 컨펌한 경우, 사용한 기구 아이콘에 대응하는 비품의 종류 및 수량을 증감시켜 비품 재고량을 업데이트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기구 배치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직원의 정보를 요청하는 경우, 직원의 직급, 이름 등의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또한, 기구 배치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주소별 및 층별 설계도를 저장 및 업데이트하는 서버일 수 있다.The apparatus arrangement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may be a server that provides an automatic scale-up arrangement service web page, an app page, a program, or an application using HTML-based drag-and-drop. When accessing from the user terminal 100, the apparatus arrangement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may be a server that provides the automatic scale setting service placement service page using the HTML-based drag-and-drop to the user terminal 100. The apparatus arrangement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may be a server for transmitting a design corresponding to the address and the floor to the user terminal 100 when the address and the floor are inputted from the user terminal 100. [ In addition, the apparatus arrangement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may be a server that provides an alarm to the user terminal 100 that the inventory of the fixtures is insufficient when the fixtures corresponding to the apparatus icons are written more than the fixtures inventory amount And may be a server that updates the fixture inventory amount by increasing or decreasing the type and quantity of the fixtures corresponding to the used apparatus icon when the apparatus icon is arranged in the user terminal 100 and the design is approved. The apparatus arrangement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may be a server for providing information such as the position and name of the employee when the user terminal 100 requests the information of the employee. In addition, the apparatus arrangement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may be a server for storing and updating the address and floor plans.

여기서, 기구 배치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apparatus arrangement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may be implemented as a computer capable of connecting to a remote server or terminal through a network. Here, the computer may include, for example, a navigation device, a notebook computer equipped with a web browser (WEB Browser), a desktop, a laptop, and the like.

관리자 단말(400)은, HTML 기반 드래그 앤 드롭을 이용한 자동축척 기구 배치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설계도를 업로드하거나 사용된 비품을 확인하는 단말일 수 있다. 이때, 관리자 단말(400)은 구비되지 않아도 무방하다.The administrator terminal 400 may be a terminal that uploads a design plan or confirms the used equipment through a web page, an app page, a program, or an application related to an automatic scale-up arrangement service using HTML-based drag and drop. At this time, the administrator terminal 400 may not be provided.

여기서, 관리자 단말(4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관리자 단말(4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관리자 단말(4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administrator terminal 400 may be implemented as a computer capable of connecting to a remote server or terminal through a network. Here, the computer may include, for example, a navigation device, a notebook computer equipped with a web browser (WEB Browser), a desktop, a laptop, and the like. At this time, the administrator terminal 400 may be implemented as a terminal capable of connecting to a remote server or terminal through a network. The administrator terminal 400 is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that is guaranteed to be portable and mobility, for example, as a navigation device, a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PCS), a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GSM), a personal digital cellular (PDC) Handyphone System),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 (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2000,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2000, 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Wibro (Wireless Broadband Internet) A handheld base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such as a smartphone, a smartpad, a tablet PC, and the like.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사용자 단말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고,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HTML 기반 드래그 앤 드롭을 이용한 자동축척 기구 배치 서비스의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2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 user terminal included in the system of FIG. 1, and FIGS. 3 to 6 illustrate screens of an automatic scale-up mechanism placement service using HTML-based drag and dro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00)은, 출력부(110), 이동부(120), 배치부(130), 자동화부(140) 및 배치도 출력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2, the user terminal 100 may include an output unit 110, a moving unit 120, a layout unit 130, an automation unit 140, and a layout diagram output unit 15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구 배치 서비스 제공 서버(300)나 연동되어 동작하는 다른 서버(미도시)가 사용자 단말(100), 및 관리자 단말(400)로 HTML 기반 드래그 앤 드롭을 이용한 자동축척 기구 배치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전송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100), 및 관리자 단말(400)은, HTML 기반 드래그 앤 드롭을 이용한 자동축척 기구 배치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설치하거나 열 수 있다. 또한, 웹 브라우저에서 실행되는 스크립트를 이용하여 서비스 프로그램이 사용자 단말(100), 및 관리자 단말(400)에서 구동될 수도 있다. 여기서, 웹 브라우저는 웹(WWW: world wide web)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으로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로 서술된 하이퍼 텍스트를 받아서 보여주는 프로그램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넷스케이프(Netscape), 익스플로러(Explorer), 크롬(chrome) 등을 포함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은 단말 상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앱(app)을 포함한다.The apparatus arrangement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r another server (not shown) operated in cooperation with the user terminal 100 and the administrator terminal 400 can perform automatic scale- The user terminal 100 and the administrator terminal 400 can be configured to automatically deploy and deploy an automatic scale mechanism deployment service application, a program, an application page , Web pages,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service program may be executed in the user terminal 100 and the administrator terminal 400 using a script executed in the web browser. Here, a web browser is a program that enables a WWW (World Wide Web) service, and is a program for receiving and displaying hypertext described in hypertext mark-up language (HTML), for example, Netscape (Netscape) An Explorer, chrome, and the like. Further, the application refers to an application on the terminal, for example, an app (app) running on a mobile terminal (smart phone).

도 2를 참조하면, 출력부(110)는, 기구 배치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서 제공하는 기구 배치 서비스 페이지에 접속하여 기구가 배치될 대상 건물의 설계도를 HTML 기반 페이지에 출력할 수 있다. 이때, 건물의 설계도는, 주소지 및 건물 층별로 기구 배치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 업로드 및 저장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설계도는 주소지 및 건물 층별 등을 구분할 수 있는 식별자가 부여되어 저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식별자를 이용하여 주소 및 층 등을 구분할 수 있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the output unit 110 may access a mechanism arrangement service page provided by the apparatus arrangement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and output a schematic of a target building to which the apparatus is to be arranged, to an HTML-based page. At this time, the design plan of the building can be uploaded and stored in the organization placement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according to the address and the building floor. At this time, each design diagram can be stored with an identifier that can distinguish the address and the building floor. Accordingly, the address and the layer can be distinguished by using the identifier.

이때, 사용자 단말(100)에서 주소지를 선택하는 경우, 화면의 좌측에 바 형태로 층별 설계도가 복수의 썸네일로 출력되고, 썸네일 중 어느 하나의 썸네일이 드래그 앤 드롭되어 설계도 레이아웃으로 이동되는 경우, 썸네일에 대응하는 설계도가 설계도 레이아웃 내에 출력되고, 층별 설계도 중 어느 설계도가 설계되었는지를 식별하도록 구분자를 출력할 수 있다. In this case, when a street address is selected in the user terminal 100, a floor plan is output as a plurality of thumbnails in the form of a bar on the left side of the screen, and when one of the thumbnails is dragged and dropped and moved to the design layout, Is output in the layout of the design, and a delimiter can be output so as to identify which design in the design of the floor is designed.

예를 들어, 복수의 층이나 하나의 층에 복수의 설계도가 존재하는 경우, 복수의 설계도를 번갈아가면서 봐야하는 경우에는, 하나하나를 파일을 찾아 여는 것은 직관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구축이 될 없으므로, 화면의 좌측, 상측, 우측, 하측 중 어느 한 부분에 층별 설계도 또는 복수의 사용자가 선택한 설계도가 썸네일로 출력되고, 각각의 썸네일을 구분할 수 있는 태그나 텍스트가 썸네일 이하에 출력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도면을 번갈아가면서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되, 사용자가 현재 사용하는 도면이 어떠한 도면인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예를 들어, 적색 박스로 테두리를 형성함으로써 다른 썸네일과는 다르게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a plurality of design plans exist in a plurality of layers or a single layer, when a plurality of designs are to be viewed alternately, it is not possible to construct an intuitive user interface by browsing each file, A design chart of a floor or a design selected by a plurality of users is output as a thumbnail to any one of left, upper, right, and lower sides of the screen, and a tag or text capable of distinguishing each thumbnail is output below a thumbnail, It is possible to display differently from other thumbnails, for example, by forming a border with a red box so that the user can check the current drawing using any one of the drawings.

이동부(120)는, HTML 기반 페이지의 기구 선택 레이아웃으로부터 기구 아이콘이 선택되어 설계도가 출력된 설계도 레이아웃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기구 아이콘은, 기구 선택 레이아웃 내에 출력되는 기구 아이콘의 크기는 설계도의 축척 및 기구의 크기에 따라 자동으로 리사이징되어 출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20mx20m의 사무실이 설계도로 옮겨질 때 20cmx20cm로 축소되었고, 설계도는 다시 사용자 단말(100)의 해상도 및 화면 크기에 따라 10cmx10cm로 축소되어 출력되었고, 비품 고유식별자 123456인 책상은 실제 크기가 3mx1m의 크기라고 가정한다.The moving unit 120 can move the design icon to the design layout in which the schematic is output by selecting the mechanism icon from the mechanism selection layout of the HTML based page. At this time, the size of the apparatus icon output in the apparatus selection layout can be automatically resized and output according to the scale of the design and the size of the apparatus. For example, when a 20-by-20-meter office was moved to a design, the layout was reduced to 20 cm by 20 cm, and the design was reduced to 10 cm by 10 cm according to the resolution and screen size of the user terminal 100. The desk with the fixture unique identifier 123456, Assume that the size is 3mx1m.

이때에는, 설계도가 출력되는 크기는 실제크기에 비해 1/200로 줄어들었으므로, 책상도 1/200로 리사이징하여 1.5cmx0.5cm로 출력을 해야한다. 이렇게 할 때, 사용자는 어떻게 공간에 책상 등의 집기, 비품 등의 기구를 배치할지 감이 잡히게 된다. 그렇지 않다면, 설계도와 책상의 크기가 감이 잡히지 않아 몇 개의 책상을 어디에, 어떻게 배치해야 할지를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없다. 따라서, 실제 공간의 사이즈, 설계도의 크기, 화면의 크기 및 기구의 실제 크기에 따라 기구 아이콘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기구 아이콘의 크기는 기구 선택 레이아웃 내에서도 리사이징된 채로 출력될 수 있다.At this time, since the size of the design is reduced to 1/200 compared to the actual size, the desk should be resized to 1/200 and output to 1.5cmx0.5cm. In doing so, the user will have a sense of how to dispose the equipment such as a desk or the like in the space. Otherwise, the design and size of the desk can not be grasped, so it is not possible to intuitively figure out how and where to place several desks. Therefore, the size of the apparatus icon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actual size of the space, the size of the design, the size of the screen, and the actual size of the apparatus. Then, the size of the apparatus icon can be outputted while being resized within the apparatus selection layout.

한편, 기구 배치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비품의 평면도 및 사이즈에 기반하여 기구 아이콘을 생성 및 조절할 수 있다. 즉, 기구 아이콘은 실물에 기반하여 생성될 수 있고, 사이즈가 조절될 수 있다. 기구 배치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실물 이미지와 사이즈에 따라서 외주연을 따라 라인을 생성하고, 생성된 라인을 기반으로 기구 아이콘을 생성할 수 있다. 이렇게 생성된 기구 아이콘은 사용자 단말(100)에서 사용가능하게 되고, 사용자 단말(100)에서 몇 개를 사용 및 컨펌(실제 사용할 것인지의 여부)을 하게 되면, 재고를 자동으로 증감시키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apparatus arrangement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can create and adjust the apparatus icon based on the plan and size of at least one fixture. That is, the instrument icon can be created based on the real and can be resized. The apparatus arrangement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may generate a line along the outer periphery depending on the real image and the size, and generate the apparatus icon based on the generated line. The apparatus icon thus generated becomes usable in the user terminal 100, and when several of the apparatus icons are used and confirmed (whether they are actually used), the stock is automatically increased or decreased.

즉, 기구 배치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기구 아이콘이 설계도 레이아웃에 배치되어 사용되고, 배치된 설계도가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컨펌된 경우, 설계도에 배치된 기구 아이콘에 대응하는 비품의 종류 및 수를 감소시켜 비품 데이터베이스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That is, when the apparatus icons are arranged and used in the layout of the design and the layout of the apparatuses is confirmed from the user terminal 100, the apparatus arrangement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determines the type and number of fixtures corresponding to the apparatus icons To update the fixtures database.

배치부(130)는, 선택되어 이동된 기구 아이콘을 설계도에 출력할 수 있다. 이때, 기구 선택 레이아웃 및 설계도 레이아웃 간의 기구 아이콘의 이동은 드래그 앤 드롭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선택하고자 하는 비품 등의 기구를 설계도에 직접 넣음으로써, 설계도에 해당 비품을 직접 배치해보는 것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어, 직접 배치해서 변경하는 번거로움을 없앨 수 있다.The arrangement unit 130 can output the selected apparatus icon to the schematic diagram. At this time, movement of the apparatus icon between the apparatus selection layout and the design layout can be performed by dragging and dropping. Thus, by directly putting the equipment such as the equipment to be selected by the user directly into the design plan, the same effect as that of arranging the fixtures directly in the design plan can be obtained, thereby eliminating the need to directly arrange and change the equipment.

그리고, 기구 선택 레이아웃은 좌측에 바 형태로 제공되고, 기구 아이콘을 종류별로 선택하도록 메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설계도 레이아웃은 우측에 제공되되, 우측 상단에는 설계도에 텍스트를 입력하거나 수정 및 편집하고, 이동된 기구 아이콘을 편집하는 편집툴바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우측 또는 좌측과 같은 배치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드래그 앤 드롭으로 역시 변경할 수 있고, 레이아웃의 사이즈나 배치를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좌측 및 우측으로 한정 및 고정되지 않고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The instrument selection layout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bar on the left side, and a menu can be provided to select the instrument icon by type. In addition, the design layout is provided on the right side, and the upper right hand can include an editing toolbar for entering text, editing and editing text in the design, and editing the moved mechanism icons. At this time, the arrangement such as the right side or the left side can be changed by dragging and dropping in the user terminal 100, and the size and arrangement of the layout can be adjusted, and various embodiments are possible without being limited and fixed to the left and right sides. Will be self-evident.

자동화부(140)는, 출력부(110)에서 선택되어 이동된 기구 아이콘을 설계도에 출력한 후, 기구 아이콘이 책상인 경우, 책상에 위치할 직원이 지정되는 경우, 기 설정된 규칙에 따라 지정된 직원을 배치할 수 있다. 이때, 기 설정된 규칙은, 부서 간 이동빈도, 이동시간, 업무 연관성, 공간 사용효율, 및 직급의 고하에 따른 창문과 입구 점유율을 포함하는 파라미터에 의해 설정된 규칙일 수 있다.The automation unit 140 outputs a mechanism icon selected and moved in the output unit 110 to the schematic diagram. When the apparatus icon is a desk, if an employee to be located on the desk is designated, Can be arranged. At this time, the predetermined rule may be a rule set by a parameter including a moving frequency between departments, a moving time, a business relation, a space utilization efficiency, and a window and an entrance occupancy according to the degree of a class.

즉 바람직한 사무실의 기능 배치는 쾌적한 환경 속에서 불필요한 이동을 최소화하고 공간을 최대한 활용하면서 적은 노력으로 빠른 시간 내에 목적하는 기업활동을 효율적으로 달성할 수 있도록 시설을 배치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시설배치의 본래 목적은 사무시스템의 효율을 높이도록 시설의 배열을 최적화 하는 것이다. 따라서 시설 배치를 행할 때에는 업무 생산성 효과를 직/간접적으로 추구하게 되고, 이러한 효과는 이동의 최소화, 높은 공간 활용성, 변화에 대한 융통성, 물리적 환경의 만족, 고객의 편리성, 고객의 편리성 및 미적 외관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회사의 분위기에 따라 직급별로 책상을 배치하는 경우에는, 직급별로 선호하는 좌석이나 규칙을 추가할 수 있다. In other words, the desirable function of the office is to minimize the unnecessary movement in a comfortable environment and to arrange the facilities to efficiently achieve the desired business activities in a short time with a little effort while maximizing the space. The original purpose of the facility layout is to optimize the arrangement of the facilities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the office system. Therefore, when the facility layout is carried out, the business productivity effect is pursued directly or indirectly, and the effect is minimized of movement, high space utilization, flexibility to change, satisfaction of physical environment, convenience of the customer, convenience of the customer Aesthetic appearance. At this time, when desks are arranged according to the atmosphere of the company, it is possible to add favorite seats or rules for each rank.

또한, 기 설정된 규칙은, 계량적인 기준에 의한 CRAFT와 질적인 기준에 의한 CORELAP, 및 ALDEP을 이용할 수 있다.In addition, predetermined rules can use CRAFT by metric criteria, CORELAP by quality criteria, and ALDEP.

첫 번째로, 전산화 상대적 시설 할당 기법(CRAFT)은, 시설을 배치할 때, 부서간 물자의 흐름 및 직원의 이동이 주된 고려 대상이 될 때, 건물의 구조나 부서별 필요면적을 감안하여 물량이동의 비용이 최소가 되도록 배치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부서를 어떻게 배치하였을 경우에 인원과 정보 등의 물류 이동비용이 최소가 될 것인가 하는 배치문제에 대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휴리스틱 접근법을 이용한다. 이때, 최초의 배치상태에서 이동의 총비용을 계산하고, 다음에는 서로 교환해 봄으로써 최초 배치와 비교하여 총비용이 감소하는지를 검토하는 식으로 반복하여 더 이상 감소하지 않을 경우를 최적으로 도출하는 방법이다.First, the Computerized Relative Facility Assignment Technique (CRAFT), when deploying facilities, is considered as the main consideration for the flow of goods and personnel among departments, So that the cost is minimized. Accordingly, we use a heuristic approach to solve the problem of placement, such as how to allocate departments and minimize the cost of moving the logistics such as personnel and information. In this case, the total cost of the movement is calculated in the initial placement state, and then, it is compared with the initial placement so as to examine whether the total cost is reduced.

두 번째로, 자동 배치 설계 프로그램(ALDEP)은, 부서간의 긴밀도를 나타낸 Relationship chart와 빌딩의 크기, 고정된 위치에 위치시켜야 할 부서, 계단 공간등을 제약조건으로 하고 임의로 한 부서를 골라 위치를 정한 다음, 높은 근접 등급을 가진 부서를 처음 선택한 부서에 인접시키는 방법을 반복해 나가는 방법으로 좋은 배치를 산출하는 방법이다.Secondly, the automatic layout design program (ALDEP) has a relationship chart that shows the degree of closeness between departments, the size of the building, the department to be located at a fixed position, and the staircase space. Then, it is a method of calculating a good layout by repeating the method of adjoining the department having the high proximity grade to the department selected for the first time.

세 번째로, 자동 배치 설계 프로그램(CORELAP)은, ALDEP와 비슷하게 부서간의 인접도와 부서의 크기, 빌딩의 폭과 길이의 비율, 고정된 부서의 위치 등이 제약 조건으로 입력된다. 이때, 부서마다 다른 모든 부서들과의 근접등급 점수를 합산하여 먼저 총근접 점수가 제일 높은 부서를 골라 배치하는 것을 반복해 나가는 방식이다. Third, the automatic layout design program (CORELAP), like ALDEP, is entered as a constraint, such as the adjacency between departments, the size of the department, the ratio of the width and length of the building, and the position of the fixed department. In this case, it is a method to repeat the arrangement of the departments having the highest total proximity score by firstly summing up the proximity scores with all other departments.

이때, 상술한 비용적인 측면을 제외하고도, 직급이 높을수록 입구에서 멀어지도록 배치하여 임원진의 심리적 안정감을 확보하도록 하고, 부서 간의 관계의 밀접도나 부서 내 직원 간의 관계 밀접도에 따라 배치하는 쳬계적 배치 기법(SLP : systematic layout planning)을 이용할 수도 있다. At this time, apart from the above-mentioned cost aspect, it is necessary to arrange such that the higher the position is, the farther away from the entrance, the psychological stability of the executives is secured, and the systematic arrangement of arranging according to the closeness of relations between departments, System (SLP: systematic layout planning).

배치도 출력부(150)는, 배치부(130)에서 기구 아이콘이 데스크인 경우, 데스크에 위치할 직원이 지정되는 경우, 기 설정된 규칙에 따라 지정된 직원을 배치한 후, 배치된 직원의 부서, 직급, 이름, 업무, 및 내선번호을 포함한 정보를 배치된 위치에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별도로 직원배치에 따른 배치도를 작성하는 과정이 반복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When the apparatus icon is set in the desk and the staff to be located at the desk is designated, the placement diagram output unit 150 arranges the employees designated in accordance with predetermined rules, , Name, task, and extension number can be output to the arranged positions.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rocess of creating a layout chart according to the staff placement from being repeated.

덧붙여서, 설계도 레이아웃 및 기구 선택 레이아웃은, 각각의 외주면을 따라 개당 기 설정된 크기를 나타내는 단위유닛이 출력될 수 있고, 단위유닛은 설계도의 축척에 따라 개수 및 크기가 증감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칸에 500mm, 즉 0.5m일 수 있고, 두 칸에는 1m 정도로 모눈종이 형상의 단위유닛을 배치함으로써, 사용자가 어느 정도의 크기인지를 직관적으로 알 수 있도록 한다. 물론, 단위유닛의 크기는 상술한 크기에 한정되지 않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In addition, the design layout and the instrument selection layout can be output unit units representing the predetermined size per unit along the respective outer peripheral surfaces, and the unit units can be increased in number and size in accordance with the scale of the design. For example, it can be 500 mm in one space, that is, 0.5 m, and unit cells in the form of a grid paper are arranged in a space of about 1 m in two spaces, so that the user can intuitively know the size of the unit. Of cours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size of the unit unit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size.

이하, 상술한 도 2의 기구 배치 서비스 제공 서버의 구성에 따른 동작 과정을 도 3 내지 도 6을 예로 들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실시예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어느 하나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Hereinafter, an operation process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apparatus arrangement service providing server of FIG. 2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3 to FIG. 6 as an example. It should be apparent, however, that the embodiments are only examples of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HTML 기반 드래그 앤 드롭을 이용한 자동축척 기구 배치 서비스의 화면 중 초기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집기를 이전하거나 배치, 내장 공사, 통신 공사 등의 도면 작성이 필요한 경우, 캐드 등의 도면 작성 프로그램을 이용하지 못하는 사용자일지라도 페이지에 엑세스하는 것만으로도 도면작성 메뉴 클릭 후 제작 도구 화면을 열 수 있다. 이때, HTML 기반 드래그 앤 드롭을 이용한 자동축척 기구 배치 서비스는 HTML5 기반일 수 있지만, 다른 체제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FIG. 3 is a view for explaining an initial screen in a screen of an automatic scale-up mechanism placement service using HTML-based drag-and-dro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3, when a user needs to create a drawing such as a portable device, a layout, a built-in work, or a communication work, even if a user can not use a drawing creating program such as CAD, Click to open the authoring tool screen. At this time, the automatic scale-up arrangement service using HTML-based drag-and-drop may be based on HTML5, but it is also possible to use another system.

여기서, 기구 선택 레이아웃(A)은 좌측에 바 메뉴 형태로 배치되고, 각각의 바 메뉴를 클릭하는 경우, 하위 메뉴로 기구 아이콘이 출력되고, 다시 클릭하는 경우 접히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설계도 레이아웃(B)은, 상단에는 편집을 위한 툴바가 출력되고, 그 하부면에는 설계도가 출력될 수 있다.Here, the instrument selection layout A is arranged in the form of a bar menu on the left side, and when the respective bar menu is clicked, the instrument icon is outputted to the lower menu and can be realized by folding when the button is clicked again. In the design layout B, a tool bar for editing is output at the top, and a schematic diagram is output at the bottom.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HTML 기반 드래그 앤 드롭을 이용한 자동축척 기구 배치 서비스의 화면 중 기구 선택 레이아웃에서 기구 아이콘이 출력된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기구 선택 레이아웃(A)에서 책상이나 의자를 확인할 수 있고, 내부 벽체 칸막이 등도 원하는 모양으로 레이아웃을 설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칸막이를 넣는 경우, 이후 공사 설비시 요청 사항으로 출력될 수 있다.FIG. 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screen in which a mechanism icon is output from a mechanism selection layout in a screen of an automatic scale-up mechanism placement service using HTML-based drag-and-dro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4, a desk or a chair can be identified in the instrument selection layout A, and an interior wall partition can be designed to design a layout in a desired shape. At this time, if a partition is installed, it can be output as a request for construction at a later time.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HTML 기반 드래그 앤 드롭을 이용한 자동축척 기구 배치 서비스의 화면에서 드래그 앤 드롭으로 기구 아이콘이 설계도에 배치 및 출력된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드래그 앤 드롭으로 기구 선택 레이아웃(A)으로부터 설계도 레이아웃(B)으로 기구 아이콘을 이동 및 배치시킬 수 있고, 배치된 기구 아이콘은 개별 또는 전체로 선택이 가능하며, 선택된 기구 아이콘은, 삭제, 회전, 되살리기, 되돌리기 등의 편집이 가능하며, 펜이나 텍스트를 이용하여 그림을 그려넣거나 텍스트를 기재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도 5에 도시된 편집툴에 한정되지 않고 가감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FIG. 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screen in which a mechanism icon is dragged and dropped on a screen of an automatic scale-up mechanism placement service using HTML-based drag-and-dro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tool icons can be moved and arranged from the tool selection layout A to the design layout B by drag and drop, and the tool icons placed can be selected individually or as a whole, You can edit, delete, rotate, revive, and revert. You can also draw pictures or write text using pen or text.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diting tool shown in FIG. 5, but may be added or subtracted.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HTML 기반 드래그 앤 드롭을 이용한 자동축척 기구 배치 서비스의 화면에서 단위유닛으로 크기비교 제공 서비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때, 단위유닛은 복수로 HTML 기반 드래그 앤 드롭을 이용한 자동축척 기구 배치 서비스 페이지의 외주면을 둘러싸면서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단위유닛의 크기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증감될 수 있으며, 크기의 증감에 따라, 설계도의 축척, 화면의 크기에 기초하여 리사이징되어 재출력 및 재배치될 수 있다. 이때, 외주면 뿐만 아니라, 다른 곳에 배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6 is a view for explaining a size comparison and providing service as a unit in a screen of an automatic scale-up arrangement service using HTML-based drag-and-dro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this time, the unit unit may be arranged a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utomatic scale mechanism placement service page using a plurality of HTML-based drag-and-drop. The size of the unit unit can be increased or decreased in the user terminal 100, and can be resized and re-output and rearranged based on the scale of the design and the size of the screen as the size increases or decreases. At this time, it is needless to say that it can be arranged not only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but also on another place.

이와 같은 도 2 내지 도 6의 HTML 기반 드래그 앤 드롭을 이용한 자동축척 기구 배치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을 통해 HTML 기반 드래그 앤 드롭을 이용한 자동축척 기구 배치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The method for providing the automatic scale-up unit placement service using the HTML-based drag-and-drop method as shown in FIGS. 2 to 6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The description will be omitted because it can be easily deduced from the same or described contents.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HTML 기반 드래그 앤 드롭을 이용한 자동축척 기구 배치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포함된 각 구성들 상호 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7을 통해 각 구성들 상호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의 일 예를 설명할 것이나, 이와 같은 실시예로 본원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며, 앞서 설명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도 7에 도시된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이 변경될 수 있음은 기술분야에 속하는 당업자에게 자명하다.FIG.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data is transmitted and received between the respective components included in the system for providing an automatic scale-up mechanism placement service using the HTML-based drag-and-drop of FIG.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an example of a process in which data is transmitted and received between the respective component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7.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such an embodiment, It is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oces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can be changed.

도 7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은, 기구 배치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제공하는 기구 배치 서비스 페이지에 접속하여 기구가 배치될 대상 건물의 설계도를 HTML 기반 페이지에 출력한다(S7100).Referring to FIG. 7, the user terminal accesses an apparatus layout service page provided by the apparatus layout service providing server and outputs the layout of the target layout in which the apparatus is to be arranged, to the HTML-based page (S7100).

또한, 사용자 단말은, HTML 기반 페이지의 기구 선택 레이아웃으로부터 기구 아이콘이 선택되어 설계도가 출력된 설계도 레이아웃으로 이동하고(S7200), 선택되어 이동된 기구 아이콘을 설계도에 출력한다(S7300). 이때, 기구 선택 레이아웃 및 설계도 레이아웃 간의 기구 아이콘의 이동은 드래그 앤 드롭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user terminal selects a mechanism icon from the mechanism selection layout of the HTML-based page, moves to the design layout in which the schematic is output (S7200), and outputs the selected mechanism icon to the schematic (S7300). At this time, movement of the mechanism icon between the mechanism selection layout and the design layout is characterized by dragging and dropping.

상술한 단계들(S7100~S7300)간의 순서는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술한 단계들(S7100~S7300)간의 순서는 상호 변동될 수 있으며, 이중 일부 단계들은 동시에 실행되거나 삭제될 수도 있다.The order between the above-described steps S7100 to S7300 is merely an example,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at is, the order between the above-described steps S7100 to S7300 may be mutually varied, and some of the steps may be executed or deleted at the same time.

이와 같은 도 7의 HTML 기반 드래그 앤 드롭을 이용한 자동축척 기구 배치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 내지 도 6을 통해 HTML 기반 드래그 앤 드롭을 이용한 자동축척 기구 배치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7, a method of providing an automatic scale-up mechanism placement service using HTML-based drag-and-drop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6 The description will be omitted because it can be easily deduced from the same or described contents.

도 7을 통해 설명된 일 실시예에 따른 HTML 기반 드래그 앤 드롭을 이용한 자동축척 기구 배치 서비스 제공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The method of providing an automatic scale-up mechanism placement service using HTML-based drag-and-drop according to the embodimen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7 is a method of providing an automatic scale-up tool placement service by using a recording medium including an instruction executed by a computer, But may also be implemented in other forms. Computer readable media can be any available media that can be accessed by a computer and includes both volatile and nonvolatile media, removable and non-removable media. In addition, the computer readable medium may include both computer storage media. Computer storage media includes both volatile and nonvolatile, removable and non-removable media implemented in any method or technology for storage of information such as computer readable instructions, data structures, program modules or other data.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HTML 기반 드래그 앤 드롭을 이용한 자동축척 기구 배치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는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탑재된 플랫폼이나 운영체제 등에 포함된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음)에 의해 실행될 수 있고,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 애플리케이션 또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웹 서버 등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를 통해 마스터 단말기에 직접 설치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HTML 기반 드래그 앤 드롭을 이용한 자동축척 기구 배치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직접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단말기에 등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The method of providing an automatic scale-up mechanism placement service using HTML-based drag-and-dro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n application installed basically in a terminal (including a program included in a platform, And may be executed by an application (i.e., a program) directly installed on a master terminal by a user via an application providing server such as an application store server, an application, or a web server associated with the service. In this sense, a method of providing an automatic scale-up arrangement service using HTML-based drag-and-dro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asically installed in a terminal or implemented as an application (i.e., a program) directly installed by a user, Or the like, i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forego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readily understand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entity may be distributed and implemented, and components described as being distributed may also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are to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Claims (10)

사용자 단말에서 실행되는 기구 배치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기구 배치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제공하는 기구 배치 서비스 페이지에 접속하여 기구가 배치될 대상 건물의 설계도를 HTML 기반 페이지에 출력하는 단계;
상기 HTML 기반 페이지의 기구 선택 레이아웃으로부터 기구 아이콘이 선택되어 상기 설계도가 출력된 설계도 레이아웃으로 이동하는 단계;
상기 선택되어 이동된 기구 아이콘을 상기 설계도에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기구 아이콘이 책상인 경우, 상기 책상에 위치할 직원이 지정되는 경우, 기 설정된 규칙에 따라 상기 지정된 직원을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기구 선택 레이아웃 및 상기 설계도 레이아웃 간의 상기 기구 아이콘의 이동은 드래그 앤 드롭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기 설정된 규칙은, 부서 간 이동빈도, 이동시간, 업무 연관성, 공간 사용효율, 및 직급의 고하에 따른 창문과 입구 점유율을 포함하는 파라미터에 의해 설정된 규칙인 HTML 기반 드래그 앤 드롭을 이용한 자동축척 기구 배치 서비스 제공 방법.
A method for providing a mechanism arrangement service to be executed in a user terminal,
Accessing an apparatus arrangement service page provided by the apparatus arrangement service providing server and outputting a design drawing of a target building to which the apparatus is arranged on an HTML-based page;
Selecting a feature icon from the feature selection layout of the HTML-based page to move the feature layout to the output layout;
Outputting the selected and moved mechanism icon to the schematic; And
Arranging the designated employee according to a preset rule when the apparatus icon is a desk, if an employee to be located on the desk is designated,
Wherein movement of the mechanism icon between the mechanism selection layout and the design layout is performed by drag and drop,
The predetermined rule includes an automatic scale mechanism using HTML-based drag and drop, which is a rule set by a parameter including an inter-department movement frequency, a movement time, a task relevance, a space use efficiency, How to provide a deployment ser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구 선택 레이아웃 내에 출력되는 상기 기구 아이콘의 크기는 상기 설계도의 축척 및 상기 기구의 크기에 따라 자동으로 리사이징되어 출력되는 것인, HTML 기반 드래그 앤 드롭을 이용한 자동축척 기구 배치 서비스 제공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ize of the mechanism icon output in the mechanism selection layout is automatically resized and output according to the scale of the design and the size of the mechanism.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구 선택 레이아웃은 좌측에 바 형태로 제공되고, 상기 기구 아이콘을 종류별로 선택하도록 메뉴를 제공하고,
상기 설계도 레이아웃은 우측에 제공되되, 상기 우측 상단에는 상기 설계도에 텍스트를 입력하거나 수정 및 편집하고, 상기 이동된 기구 아이콘을 편집하는 편집툴바를 포함하는 것인, HTML 기반 드래그 앤 드롭을 이용한 자동축척 기구 배치 서비스 제공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pparatus selection layout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bar on the left side, a menu is provided to select the apparatus icon by type,
Wherein the design layout is provided on the right side and the editing tool bar is used for inputting, modifying and editing text on the schematic, and editing the moved mechanism icon in the upper right hand side. A method of providing an apparatus deployment servic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구 아이콘이 데스크인 경우, 상기 데스크에 위치할 직원이 지정되는 경우, 기 설정된 규칙에 따라 상기 지정된 직원을 배치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배치된 직원의 부서, 직급, 이름, 업무, 및 내선번호을 포함한 정보를 상기 배치된 위치에 출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인, HTML 기반 드래그 앤 드롭을 이용한 자동축척 기구 배치 서비스 제공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n the apparatus icon is a desk, if an employee to be located at the desk is designated, after the step of arranging the designated employee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rule,
Outputting information including the department, position, name, task, and extension number of the deployed employee to the deployed location;
Based drag-and-drop method for providing an automatic scale-up mechanism placement service using HTML-based drag and drop.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구 배치 서비스 제공 서버는, 적어도 하나의 비품의 평면도 및 사이즈에 기반하여 기구 아이콘을 생성 및 조절하고,
상기 기구 아이콘이 상기 설계도 레이아웃에 배치되어 사용되고, 상기 배치된 설계도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컨펌된 경우, 상기 설계도에 배치된 기구 아이콘에 대응하는 비품의 종류 및 수를 감소시켜 비품 데이터베이스를 업데이트하는 것인, HTML 기반 드래그 앤 드롭을 이용한 자동축척 기구 배치 서비스 제공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appliance placement service providing server creates and adjusts a appliance icon based on a floor plan and size of at least one fixture,
Updating the fixture database by reducing the number and type of fixtures corresponding to the fixture icons disposed in the design when the fixture icons are placed and used in the design layout and the deployed design is validated from the user terminal , A method of providing an automatic scaling mechanism placement service using HTML-based drag and drop.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설계도 레이아웃 및 기구 선택 레이아웃은, 각각의 외주면을 따라 개당 기 설정된 크기를 나타내는 단위유닛이 출력되고,
상기 단위유닛은 상기 설계도의 축척에 따라 개수 및 크기가 증감되는 것인, HTML 기반 드래그 앤 드롭을 이용한 자동축척 기구 배치 서비스 제공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design layout and the mechanism selection layout are such that a unit unit indicating a predetermined size for each of the design layout and the mechanism selection layout is output along each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Wherein the unit unit is incremented and decremented in number and size according to the scale of the desig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건물의 설계도는, 주소지 및 건물 층별로 상기 기구 배치 서비스 제공 서버에 업로드 및 저장되는 것인, HTML 기반 드래그 앤 드롭을 이용한 자동축척 기구 배치 서비스 제공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ayout diagram of the building is uploaded and stored in the mechanism arrangement service providing server for each address and building floor, and the automatic scale arrangement arrangement service using HTML based drag and drop is provided.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주소지를 선택하는 경우, 화면의 좌측에 바 형태로 층별 설계도가 복수의 썸네일로 출력되고, 상기 썸네일 중 어느 하나의 썸네일이 드래그 앤 드롭되어 상기 설계도 레이아웃으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썸네일에 대응하는 설계도가 상기 설계도 레이아웃 내에 출력되고, 상기 층별 설계도 중 어느 설계도가 설계되었는지를 식별하도록 구분자를 출력하는 것인, HTML 기반 드래그 앤 드롭을 이용한 자동축척 기구 배치 서비스 제공 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When the address of the user terminal is selected, a floor plan is outputted as a plurality of thumbnails in the form of a bar on the left side of the screen, and when one of the thumbnails is dragged and dropped and moved to the design layout, Wherein a corresponding schematic is output in the schematic layout, and a delimiter is output to identify which one of the layered designs is designed.
KR1020170158432A 2017-11-24 2017-11-24 Method for providing auto-resizing and arranging facility service using drag and drop based on html5 KR10182901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8432A KR101829019B1 (en) 2017-11-24 2017-11-24 Method for providing auto-resizing and arranging facility service using drag and drop based on html5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8432A KR101829019B1 (en) 2017-11-24 2017-11-24 Method for providing auto-resizing and arranging facility service using drag and drop based on html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9019B1 true KR101829019B1 (en) 2018-02-13

Family

ID=612316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8432A KR101829019B1 (en) 2017-11-24 2017-11-24 Method for providing auto-resizing and arranging facility service using drag and drop based on html5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9019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9488A (en) 2020-08-10 2022-02-17 주식회사 아이티젠 Multi-Channel Integration Platform Authoring Device and Method Thereby
KR102442074B1 (en) * 2022-02-28 2022-09-08 한국가상현실 (주) Techniques for desinging three dimensional partition combination using database
KR20230000223A (en) * 2021-06-24 2023-01-02 백난휘 Office interior design system and design method using the sam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5738B1 (en) * 2014-07-02 2015-01-23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server,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providing furniture arrangement sevice and method for using furniture arrangement sevi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5738B1 (en) * 2014-07-02 2015-01-23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server,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providing furniture arrangement sevice and method for using furniture arrangement sevice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D 가구 배치 인테리어 어플", http://blog.naver.com/PostPrint.nhn?blogId=kiwisecom&logNo=221055012738, 2017.07.19*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9488A (en) 2020-08-10 2022-02-17 주식회사 아이티젠 Multi-Channel Integration Platform Authoring Device and Method Thereby
KR20230000223A (en) * 2021-06-24 2023-01-02 백난휘 Office interior design system and design method using the same
KR102606589B1 (en) * 2021-06-24 2023-11-29 백난휘 Office interior design system and design method using the same
KR102442074B1 (en) * 2022-02-28 2022-09-08 한국가상현실 (주) Techniques for desinging three dimensional partition combination using databas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41290B2 (en) Method for moving and aligning 3D objects in a plane within the 2D environment
US11460996B2 (en) Modifying style layer properties of a digital map
KR101829019B1 (en) Method for providing auto-resizing and arranging facility service using drag and drop based on html5
US20080183483A1 (en) Office management solution
KR102295699B1 (en) Method of providing user-customized interior design service based on virtual reality
WO202006879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information about building resources
KR20110087028A (en) Method for providing best virtual interior design and cost estimation service
US10636207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a three-dimensional map
Van der Zwart et al. Pre-occupancy evaluation of patient satisfaction in hospitals
KR101492375B1 (en) Method of dividing virtual location using partition wall
JP2019070999A (en) Price calculation device, price calculation method, price calculation program, and price calculation system
Wurzer In-process agent simulation for early stages of hospital planning
JP7485627B2 (en) program
JP6882707B2 (en) Price calculation device, price calculation method, price calculation program
US11593410B1 (en) User-defined groups of graphical objects
US11392727B2 (en) Generating space models and geometry models using a machine learning system with multi-platform interfaces
CN115758499A (en) Home model map display method, device,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dium
KR20120045150A (en) Mobile service system, mobile apparatus, mobile service apparatus and method providing mobile service in the system
CN116466853A (en) Viewing method, system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CN116401857A (en) Visual design system for teaching space construction
Campbell Magical models: testing design ideas with Libris Design's modeling program can save hours of labor and many building planning dollars
JP2011107846A (en) System, method, device and program for displaying flow chart
JP2002073471A (en) Home page prepar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