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8715B1 - 단축코드를 이용한 양방향 데이터서비스 확장시스템 - Google Patents

단축코드를 이용한 양방향 데이터서비스 확장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8715B1
KR101828715B1 KR1020160157337A KR20160157337A KR101828715B1 KR 101828715 B1 KR101828715 B1 KR 101828715B1 KR 1020160157337 A KR1020160157337 A KR 1020160157337A KR 20160157337 A KR20160157337 A KR 20160157337A KR 101828715 B1 KR101828715 B1 KR 1018287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rt code
code
registration
smart device
sh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73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열
서희정
Original Assignee
한국교육방송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교육방송공사 filed Critical 한국교육방송공사
Priority to KR10201601573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87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87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87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requesting additional data associated with the content
    • H04N21/4725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requesting additional data associated with the content using interactive regions of the image, e.g. hot spo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5Assembly of content; Generation of multimedia applications
    • H04N21/858Linking data to content, e.g. by linking an URL to a video object, by creating a hotspot
    • H04N21/8586Linking data to content, e.g. by linking an URL to a video object, by creating a hotspot by using a UR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방향의 방송 특성을 갖는 기존의 텔레비젼 또는 라디오 방송을 양방향 서비스가 가능한 형태로 확장할 수 있도록 단축코드를 이용한 양방향 데이터서비스 확장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텔레비젼 또는 라디오, 스마트폰/태블릿/스마트워치 등과 같이 인터넷 연결이 가능한 스마트 디바이스가 단축코드 등록/관리서버를 매개로 네트워킹 연동하고, 이를 통한 양방향 데이터 전송 시스템 및 방법을 구성함으로 통상적인 방송의 단방향성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양방향 데이터서비스 확장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단축코드 데이터베이스(DB)의 단축코드 등록/관리서버를 데이터 네트워킹하는 관리자컴퓨터, 구형 텔레비젼과 스마트 텔레비젼의 텔레비젼, 라디오, 스마트 디바이스가 각각 연결되어 있으며, 스마트 디바이스는 해석결과에 따른 동작수행이 인터넷사이트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단축코드 등록/관리 서버에 단축코드 등록은 관리자컴퓨터를 이용하여 단축코드 형태, 실행명령/URL, 노출일자/시간, 그 밖에 필요한 정보를 등록하고; 단축코드 등록/관리 서버의 단축코드 DB에서 예정된 노출일자/시간에 맞춰 단축코드 변환 및 송출하기 위해 텔레비젼 및 라디오에 적합한 형태로 변환하여 송출하며; 단축코드 등록/관리 서버에서 전파를 통해 텔레비젼이나 라디오에 단축코드 송출은 텍스트 코드, 이미지 또는 QR 코드, 사운드코드를 각각 또는 일부 또는 전부를 조합하여 송출하고; 스마트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단축코드 형태로 입력하며, 스마트 디바이스 내에서 입력된 단축코드 해석/복원하여 단축코드 등록/관리 서버로 전달하며; 스마트 디바이스로부터 단축코드 등록/관리 서버는 단축코드 복원내역을 수신한 다음 단축코드 DB에서 조회하고; 단축코드 등록/관리 서버에서는 단축코드 DB 조회 및 결과 값에 해당하는 실행명령/URL 추출하여 스마트 디바이스로 전달하며; 스마트 디바이스에서는 단축코드 등록/관리 서버로부터 수신된 실행명령 또는 URL 해석하고, 스마트 디바이스에서의 해석결과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고 있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단축코드를 이용한 양방향 데이터서비스 확장시스템{BIDIRECTIONAL DATE SERVICE EXPANSION SYSTEM USING SHORTENING CORD}
본 발명은 단방향의 방송 특성을 갖는 기존의 텔레비젼 또는 라디오 방송을 양방향 서비스가 가능한 형태로 확장할 수 있도록 단축코드를 이용한 양방향 데이터서비스 확장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텔레비젼 또는 라디오, 스마트폰/태블릿/스마트워치 등과 같이 인터넷 연결이 가능한 스마트 디바이스가 단축코드 등록/관리서버를 매개로 네트워킹 연동하고, 이를 통한 양방향 데이터 전송 시스템 및 방법을 구성함으로 통상적인 방송의 단방향성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단축코드를 이용한 양방향 데이터서비스 확장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인 방송(Broadcasting)은 영상과 음성을 결합하거나 또는 음성만을 방송국에서 무선주파수(RF)신호 등을 통해 송출하고 있는 바, 이는 안테나를 이용하여 송출된 무선주파수(RF)신호를 수신후 이를 텔레비젼(TV) 또는 라디오를 통해 시청하거나 청취하게 되는 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있다.
예컨데, 단방향 방송의 정보 서비스는 정보의 오류, 정확성, 관련 자료의 검색 등을 즉각적으로 확인하기가 어렵게 되어 있다. 따라서, 시청자는 미디어에서 쏟아져 나오는 방대한 방송 자료들의 일방적인 제공으로 인하여 무분별하고 무차별적으로 정보를 수용하고, 또한 이러한 방대한 방송자료중에서 검증되지 않은 비과학적인 정보나 왜곡된 정보를 접하여도 그것을 규명할 수 있는 방법이 어려웠다.
특히, 순간적으로 방송 정보를 제공하는 텔레비젼 방송의 경우에는 방송프로그램 시청중에 관련 정보를 검색하는 것 역시 어렵고, 더 나아가 이러한 비과학적이고 왜곡된 정보의 실생활에 잘못 적용함으로 인해 올바른 정보로 알고 사용하거나 적용하는 사람들에게 불이익을 초래할 수 있다.
스마트디바이스는 휴대용 전화기에 컴퓨터 지원기능을 추가한 지능형 휴대폰이고 휴대폰 기능에 충실하면서도 개인휴대정보단말기(PDA) 기능, 인터넷 기능, 리모콘 기능 등이 포함되고 있으며, 수기 방식의 입력장치와 터치스크린 등, 보다 사용에 편리한 인터페이스를 갖추고 있다.
또한, 무선인터넷 기능의 지원으로 인터넷 컴퓨터에 접속되어 이메일, 웹브라우징, 팩스, 뱅킹, 게임 등 단말기로서의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고 있으며, 다양한 기능의 수용을 위하여 표준화된, 또는 전용 운영체제(OS)를 갖추기도 한다.
인쇄물뿐만 아니라 텔레비젼의 방송프로그램상에 QR 코드를 CG(Computer Graphics)을 이용하여 화면에 출력 표시하거나, 디지털 텔레비젼의 데이터 방송 기술을 이용하여 QR 코드를 노출하고 있다. 이러한 QR 코드는 광고물이나 간판 등에 표시되어 정보를 전달하는 용도로 활용되고 있다.
종래 기술로써 대한민국 등록특허 공보 10 - 1243991 은 방송연계 큐알코드를 이용한 식품정보 제공시스템 및 제공방법으로, 시청자가 식품관련 TV 방송프로그램의 화면에 노출표시되는 큐알코드를 스마트폰의 카메라로 스캔하여 큐알코드 인식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인터넷상의 식품정보제공 서버에 접속하여 상세하고 정확한 식품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여 시청자가 편리하고 손쉽게 전문적인 식품정보를 습득하여 더욱 윤택한 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방송 연계간 QR 코드를 이용하는 방식의 단점으로써 일정 크기 이상의 QR 코드만 인식, 구형/저화질 텔레비젼에서의 인식률 저하, 화면 근접시에만 QR 코드 인식 가능인 것이다.
따라서, 방송의 특성상 방송국에서 시청자 또는 청취자에게 단방향으로 데이터를 전달할 수 밖에 없는 방송시스템인데, 본 발명자는 이를 양방향으로 데이터를 오가게 하는 방송형태로 개선할 수 있도록 발명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사정을 감안하여 발명한 것으로, 양방향 방송으로 데이터를 오가게 하는 형태로 개선하고 다양한 기능 및 서비스로써 방송 프로그램 홈페이지, 양방향 광고, 이벤트 참여, 동영상 재생 및 SNS 연계 등을 제공하는 형태로 확장 가능할 뿐만 아니라, 이를 통해 기존 텔레비젼 또는 라디오가 가진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단축코드를 양방향 데이터서비스 확장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단축코드 데이터베이스(DB)의 단축코드 등록/관리서버를 데이터 네트워킹하는 관리자컴퓨터, 구형 텔레비젼과 스마트 텔레비젼의 텔레비젼, 라디오, 스마트 디바이스가 각각 연결되어 있으며, 스마트 디바이스는 해석결과에 따른 동작수행이 인터넷사이트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단축코드 등록/관리 서버에 단축코드 등록은 관리자컴퓨터를 이용하여 단축코드 형태, 실행명령/URL, 노출일자/시간, 그 밖에 필요한 정보를 등록하고; 단축코드 등록/관리 서버의 단축코드 DB에서 예정된 노출일자/시간에 맞춰 단축코드 변환 및 송출하기 위해 텔레비젼 및 라디오에 적합한 형태로 변환하여 송출하며; 단축코드 등록/관리 서버에서 전파를 통해 텔레비젼이나 라디오에 단축코드 송출은 텍스트 코드, 이미지 또는 QR 코드, 사운드코드를 각각 또는 일부 또는 전부를 조합하여 송출하고; 스마트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단축코드 형태로 입력하며, 스마트 디바이스 내에서 입력된 단축코드 해석/복원하여 단축코드 등록/관리 서버로 전달하며; 스마트 디바이스로부터 단축코드 등록/관리 서버는 단축코드 복원내역을 수신한 다음 단축코드 DB에서 조회하고; 단축코드 등록/관리 서버에서는 단축코드 DB 조회 및 결과 값에 해당하는 실행명령/URL 추출하여 스마트 디바이스로 전달하며; 스마트 디바이스에서는 단축코드 등록/관리 서버로부터 수신된 실행명령 또는 URL 해석하고, 스마트 디바이스에서의 해석결과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고 있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적인 특징은, 단축코드 데이터베이스(DB)의 단축코드 등록/관리서버를 데이터 네트워킹하는 관리자컴퓨터, 구형 텔레비젼과 스마트 텔레비젼의 텔레비젼, 라디오, 스마트 디바이스가 각각 연결되어 있으며, 스마트 디바이스는 해석결과에 따른 동작수행이 인터넷사이트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단축코드 등록/관리서버에서는 단축코드 등록시작이 관리자 컴퓨터와 접속하고 단축코드 생성부에 접근하고; 단축코드 생성부에서는 코드형식으로 텍스트, 이미지/QR형식, 사운드, 모션을 선택하며; 등록 다음에 단축코드 생성/관리DB를 조회하여 등록 가능여부를 판단하게 되며, 등록불가인 경우에는 단축코드 생성부 접근 전으로 돌아가게 되고, 등록허용인 경우에는 실행 명령/URL을 지정하고; 이어 그 밖에 필요한 부가정보를 지정/입력하게 되고, 단축코드 세부정보 DB에 저장하며; 노출일자/시간 지정후 단축코드 송출 스케쥴 관리DB로 저장하게 되므로 단축코드 등록종료가 되게 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구체적인 특징은, 단축코드 데이터베이스(DB)의 단축코드 등록/관리서버를 데이터 네트워킹하는 관리자컴퓨터, 구형 텔레비젼과 스마트 텔레비젼의 텔레비젼, 라디오, 스마트 디바이스가 각각 연결되어 있으며, 스마트 디바이스는 해석결과에 따른 동작수행이 인터넷사이트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스마트 디바이스와 단축코드 등록/관리서버 사이에서 단축코드 수신 및 실행시작은 텔레비젼(TV) 또는 라디오를 통해 전파 또는 패킷데이터 형태의 단축코드 수신하고; 스마트 디바이스에서는 단축코드 입력/수신부에 접근하고, 수신된 단축코드가 텍스트, 이미지/QR, 사운드, 모션 형태인가를 체크하며; 단축코드 해석/복원부를 통해 입력된 단축코드를 해석하여 특정 문자열로 복원하고; 키보드 활성화로써 텍스트 코드 입력과 더불어 단축코드 해석/복원부를 통해 입력된 단축코드를 해석하여 특정 문자열로 복원한 다음에는 복원된 문자열을 단축코드 조회 요청부를 통해 단축코드 등록/관리서버의 단축코드 수신부로 전달하며; 단축코드 등록/관리서버에서 단축코드 수신부는 스마트 디바이스에서 복원된 문자열을 수신하고; 이어 단축코드 조회부에서 단축코드 DB의 단축코드생성/관리 DB, 단축코드 세부정보 DB를 조회하고, 단축코드 조회결과 해석부에서 조회결과 해석(실행명령 또는 인터넷 접속 URL 추출)하며; 단축코드 사용통계 수집DB에 수신/조회 통계 데이터를 기록하고, 해석된 실행명령 또는 인터넷 URL을 스마트 디바이스로 회신하며; 스마트 디바이스에서는 서버에서 온 결과(해석된 실행명령 / 인터넷URL)를 단축코드 해석결과 수신부에서 수신하고, 수신된 결과를 바탕으로 실행명령 변환부는 스마트 디바이스에서 실행 가능한 형태로 변환하고; 실행명령 수행부를 통해 특정 실행명령 수행하고, 이어 단축코드 수신 및 실행완료한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방송 연계간 QR 코드를 이용하는 방식의 단점으로 일정 크기 이상의 QR 코드만 인식, 구형/저화질 텔레비젼에서의 인식률 저하, 화면 근접시에만 QR 코드 인식가능을 보완함과 동시에, 별도의 장비없이 기존 방송 신호와 함께 단축코드 신호의 송출이 가능하므로, 스마트 모듈이 탑재되지 않은 구형 텔레비젼 및 라디오를 통해서도 양방향 서비스를 원활히 이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축코드를 이용한 양방향 데이터서비스 확장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
도 2 는 도 1 에 도시된 단축코드 등록/관리서버를 도시해 놓은 상세 블록도,
도 3 은 도 1 에 도시된 스마트디바이스를 도시해 놓은 상세 블록도,
도 4 는 본 발명의 단축코드를 이용한 양방향 데이터서비스 확장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단축코드 등록절차흐름도,
도 5 는 본 발명의 단축코드를 이용한 양방향 데이터서비스 확장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단축코드 송출절차흐름도,
도 6 은 본 발명의 단축코드를 이용한 양방향 데이터서비스 확장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단축코드 수신 및 실행절차흐름도,
도 7 은 본 발명의 단축코드를 이용한 양방향 데이터서비스 확장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단축코드 수신 및 실행절차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데이터서비스의 확장방송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로서, 본 발명은 단방향의 특징을 갖는 기존의 텔레비젼(TV : 30) 또는 라디오(35) 방송을 양방향 서비스가 가능한 형태로 확장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인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텔레비젼(30) 또는 라디오(35), 스마트폰/태블릿/스마트워치 등과 같이 인터넷 연결이 가능한 스마트디바이스(40)가 단축코드 등록/관리서버(20)를 매개로 네트워킹 연동하고, 이를 통한 양방향 데이터 전송 시스템 및 방법을 구성함으로써 통상적인 방송의 단방향성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단축코드를 이용한 양방향 데이터서비스 확장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단방향 특징을 갖는 방송은 화면 및 스피커를 가진 TV 수상기 또는 스피커만 가진 라디오를 통해 송출되고 있으며, 이를 본 발명의 주요 내용을 통해 스마트폰, 일반 휴대폰, 태블릿, 스마트워치, 스마트안경, PC, 스마트 TV, IP TV등 어플리케이션 설치/실행 및 인터넷(60)의 연결이 가능한 모든 스마트 디바이스(40)와 연계함으로써 양방향 서비스를 손쉽게 이용할 수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양방향 데이터서비스 확장시스템을 이용하게 되면 스마트 모듈이 탑재되지 않은 기존의 텔레비젼(30) 및 음성만을 청취할 수 있는 라디오 (35)를 통해서도 양방향 서비스를 충분히 이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 본 발명은 단축코드 데이터베이스(DB : 25)의 단축코드 등록/관리서버(20)를 데이터 네트워킹하는 관리자컴퓨터(10), 구형 텔레비젼과 스마트 텔레비젼의 텔레비젼(30), 라디오(35), 스마트 디바이스(40)가 구성되어 있다. 스마트 디바이스(40)는 후술할 해석결과에 따른 동작수행이 인터넷사이트 (60)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단축코드 DB(25)의 단축코드 등록/관리 서버(20)에 단축코드를 등록하기 위해서는 관리자컴퓨터(10)를 이용하여 단축코드 형태, 실행명령/URL, 노출일자/시간, 그 밖에 필요한 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
단축코드 등록/관리 서버(20)의 단독코드 DB(25)에서 예정된 노출일자/시간에 맞춰 단축코드 변환 및 송출하기 위해서는 텔레비젼(30) 및 라디오(35)에 적합한 형태로 변환하여 송출할 수 있다.
단축코드 등록/관리 서버(20)에서 전파를 통해 텔레비젼(30)이나 라디오 (35)에 단축코드 송출은 텍스트 코드, 이미지 또는 QR 코드, 사운드코드를 각각 또는 일부 또는 전부를 조합하여 송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예컨데, 스마트폰/태블릿/스마트워치 등 스마트 디바이스(40)를 통해 단축코드 입력할 수 있는 데, 먼저 텍스트코드는 텔레비젼(30)에서 보여지는 문자/기호로 구성된 코드를 스마트 디바이스(40)의 키보드 통해 입력하고 있다.
이미지/QR 코드는 텔레비젼(30)에서 보여지는 이미지 또는 QR 코드를 스마트 디바이스(40)의 카메라를 통해 입력하며, 사운드코드는 텔레비젼(TV)/라디오 음성신호 내 포함된 사운드코드를 스마트 디바이스(40)의 마이크 통해 입력하며, 모션 (motion)코드는 텔레비젼(TV ; 30)/라디오(35)에서 지시하는 동작(모션)을 스마트 디바이스(40)의 동작감지 센서를 통해 입력한다.
또한, 텍스트 코드, 이미지/QR 코드, 모션코드, 사운드코드 중에서 어느 하나를 입력하거나, 2개 이상을 조합하여 입력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스마트 디바이스(40)를 이용하여 단축코드를 다양한 형태로 입력할 수 있으며,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40) 내에서 입력된 단축코드 해석/복원하여 단축코드 등록/관리 서버(20)로 전달할 수 있다. 이는 이미지/QR, 사운드코드, 모션코드를 해석하여 특정 문자열로 복원하고 있는 반면에, 텍스트는 별도로 해석이 불필요하다.
스마트 디바이스(40)로부터 단축코드 등록/관리 서버(20)는 단축코드 복원내역을 수신한 다음 단축코드 DB(25)에서 조회한다. 단축코드 등록/관리 서버(20)에서는 단축코드 DB 조회 및 결과 값에 해당하는 실행명령/URL 추출하여 스마트 디바이스(40)로 전달한다.
따라서, 스마트 디바이스(40)에서는 단축코드 등록/관리 서버(20)로부터 수신된 실행명령 또는 URL 해석한다. 스마트 디바이스(40)에서의 해석결과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고 있는 바, 해당하는 실행명령의 수행은 동영상 재생, 사진/동영상 촬영, 녹화, VR콘텐츠 수행 등… 인 것이다.
URL에 해당하는 인터넷사이트(60)의 이동은 스마트 디바이스(40) 내 인터넷 브라우져 등을 통해 지정된 인터넷 사이트(60)로 이동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양방향 데이터서비스 확장시스템은 각 동작 수행 간, 수집된 개인정보/위치정보/명령수행정보를 대용량 데이터 형태로 수집/보관하여 분석이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스마트 디바이스(40)에 단축코드에 의해 실행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먼저 깔아놓은 상태에서, TV자막에서 단축코드가 문자로 나오거나, QR 코드로 나오거나, 라디오등에서 소리(가청주파수를 넘어서는 소리)로 나오거나, 모션을 가해줄 때에 스마트 디바이스(40)의 어플리케이션에서는 단축코드 인식기능을 통해 단축코드를 해석하고, 해석된 단축코드에 의한 명령이 실행됨에 따라 스마트 디바이스(40)에서 해당 홈페이지로 이동하게 되거나, 동영상 또는 사진 등이 표시되어지므로, 방송국에서 제공하는 각종 홈페이지로 연결되거나, 이벤트, 광고화면을 제공함으로써 상업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것은 텔레비젼(30)과 스마트 디바이스(40)간에 정보 교환하는 구성이지만, 이에 한정되는 게 아니고 스마트 디바이스(40) 대신에 텔레비젼 내부의 스마트 확장모듈, 셋탑박스, 스마트워치, 스마트글라스, 스마트스피커, 또는 인터넷 연결이 가능한 각종 디바이스들과 연결될 수도 있는 것으로 사물인터넷을 활용한 기술이라고 볼 수 있다.
본 발명의 단축코드 등록/관리서버(20)와 스마트 디바이스(40)의 내부 상세구성을 도 2 및 도 3 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2 는 도 1 에 도시된 단축코드 등록/관리서버를 도시해 놓은 상세 블록도이다.
단축코드 등록/관리서버(20)에서는 단축코드 DB(25)로써 단축코드 등록/관리용 데이터베이스(DB)가 있는 바, 이 단축코드 DB는 단축코드 생성/관리 DB(25a), 단축코드 형태, 실행명령, URL 등 세부 정보가 보관된 DB(25b), 단축코드 송출 일정(스케쥴) 관리 DB(25c) 및 단축코드 이용에 따른 접속/사용통계 수집 DB(25d)로 구성되어 있다.
관리자 권한제어부(21)은 단축코드 등록/관리서버에 접근하는 관리자 인증 및 권한제어/통제하고 있다. 총괄제어부(22)는 단축코드 등록/관리 전반의 기능제어 및 데이터 베이스 접근을 제어할 수 있다.
단축코드 생성부(23)는 코드형태, 실행명령/URL, 송출일정 등 정보 입력시 해당하는 모듈에 명령을 내려 단축코드를 생성한다. 텍스트 형태 단축코드 생성 모듈로써 텍스트 형태의 코드를 관리자가 입력하고, 이미지 형태 단축코드 생성 모듈로써, 코드화하려는 이미지를 등록하고 있다.
또한, QR코드 형태 단축코드 생성 모듈로써 코드화하려는 실행명령 등을 QR코드로 생성하고, 사운드코드 형태 단축코드 생성 모듈로써 코드화하려는 사운드를 녹음/업로드시 음성신호 형태의 사운드코드로 생성 (사운드코드는 가청주파수 또는 비가청주파수를 사용하는 형태로 생성됨)하고 있다.
모션코드 형태의 단축코드 생성 모듈로써 모션값을 추출할 수 있는 자이로센서 등이 탑재된 디바이스를 사용하고, 특정 모션 수행시 얻어지는 모션 값(자이로센서에서 얻어지는 X,Y,Z축의 변화 값)을 수치화 하여 모션코드로 생성한다. 생성된 단축코드를 송출하기 위한 스케쥴 입력 (송출 시작일 ~ 종료일을 년/월/일/시/분/초 형태로 입력)할 수 있다.
단축코드 변환부(24)에서는 단축코드를 전파(공중파, RF신호)를 통해 송출하고자 하는 경우 전파형태로 변환하거나, 단축코드를 인터넷/IP망과 같은 데이터 네트워크를 통해 송출하고자 하는 경우 패킷데이터 형태로 변환할 수 있다.
단축코드 송출부(26)는 단축코드 송출 스케쥴 조회 및 송출 시점 스케쥴에 맞춰 송출 실행하고 있다. 단축코드 변환부(24)를 통해 전파 형태로 변환된 단축코드를 송출하고, 단축코드 변환부(24)를 통해 패킷데이터 형태로 변환된 단축코드를 송출하고 있다.
복원내역 문자열수신의 단축코드 수신부(27)는 스마트 디바이스의 단축코드 조회요청부에서 송신된 단축코드 복원내역 문자열을 수신하여 단축코드 조회부(28)로 전달하고 있다. 복원내역 문자열조회의 단축코드 조회부(28)는 수신된 내역을 단축코드 등록/관리서버 내 데이터베이스(25a, 25b)를 통해 조회한다.
단축코드 조회결과 해석부(31)는 조회 결과를 해석하여 실행명령/URL 추출하고, 단축코드 해석결과 회신부(29)는 해석된 실행명령/URL을 스마트 디바이스의 단축코드 조회결과 수신부로 회신한다.
단축코드 사용통계부(32)는 단축코드 송출 및 조회 송/수신 등 단축코드 사용 전반에 대한 통계 수집하고 있다.
도 3 은 도 1 에 도시된 스마트디바이스를 도시해 놓은 상세 블록도이다. 여기서 스마트 디바이스(40)는 인터넷 연결 가능한 디바이스를 사용하고 있다.
총괄제어부(41)는 스마트 디바이스(40)내 단축코드 관련부/모듈을 총괄하여 제어하고 있다. 유무선통신부(42)는 스마트 디바이스(40)와 단축코드 등록/관리서버(20)간 유/무선 통신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메모리(43)에서는 단축코드 입력~명령수행까지 일련의 과정 중 입/출력되는 값을 임시 또는 영구 저장하고 있다.
단축코드 입력/수신부(44)는 텔레비젼(TV)/라디오를 통해 보여지는 단축코드를 입력 또는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키보드를 통해 숫자/문자로 구성된 텍스트 형태의 단축코드 입력하고, 카메라를 통해 이미지 또는 QR 코드와 같은 이미지 패턴 형태의 단축코드 입력하며, 마이크를 통해 음성신호 형태로 구성된 단축코드 입력하고, 동작감지 센서를 통해 모션 형태로 구성된 단축코드 입력하고 있다.
단축코드 해석/복원부(45)는 단축코드 입력/수신부(44)를 통해 입력된 단축코드를 해석하여 특정 문자열로 복원 (QR, 이미지, 모션코드 등을 해석하며, 텍스트 코드는 별도 해석 불필요)하고 있다.
단축코드 조회요청부(46)은 단축코드 해석/복원부(45)를 통해 복원된 문자열을 단축코드 등록/관리서버(20)의 단축코드 수신부로 전달한다. 단축코드 해석결과 수신부(47)는 단축코드 등록/관리서버(20)의 단축코드 해석결과 회신부로부터 보내온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실행명령 변환부(48)는 수신된 결과를 실행명령 형태로 변환하고, 실행명령 수행부(49)는 변환된 값에 따라 단축코드가 지칭하는 특정 실행명령 수행 또는 URL에 해당하는 인터넷 사이트로 이동하고 있다.
명령 수행 및 출력장치(50)는 실행명령 수행부(49)를 통해 내려진 명령 수행 결과를 사용자가 인지토록 스마트 디바이스(40) 내 장치 및 모듈을 실행하고 있다. 화면은 수행 결과를 시각화하여 출력하고, 스피커는 수행 결과를 청각화하여 출력한다.
진동모터는 수행 결과를 촉각화하여 출력하고, 광출력장치는 수행 결과를 빛(光) 또는 광신호 형태로 출력 (예컨데, 스마트폰 내장 플래시 라이트)하며, 인터넷 브라우져의 인터넷 접속모듈은 수행 결과 중 URL을 바탕으로 인터넷 사이트를 접속하고 있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단축코드 등록/관리서버(20)와 스마트 디바이스(40)를 이용하여, 도 1 에 도시된 텔레비젼(TV : 30), 라디오(35)와 연계하는 스마트 디바이스(40)의 형태는 인터넷 연결이 가능한 디바이스로써 다음과 같은 형태 중 하나를 가질 수 있으며, 향후 기술발전에 따라 그 종류는 확장될 수 있다.
즉, TV, 라디오 - 휴대폰/태블릿과 같은 모바일 PC와 연결할 수 있고, TV, 라디오 - TV/라디오 내부의 스마트 확장 모듈과 연결할 수 있으며, TV, 라디오 - IPTV 셋탑 또는 스마트 스틱 등의 디바이스와 연결할 수 있다.
TV, 라디오 - 스마트워치와 연결할 수 있으며, TV, 라디오 - 스마트글라스와 연결할 수 있고, TV, 라디오 - 스마트스피커(음성인식 스피커)와 연결할 수 있으며, TV, 라디오 - 인터넷 연결이 가능한 그 밖의 디바이스와 연결할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은 연결 방법 중 하나를 통해 텔레비젼(30)와 연결된 디바이스와 통신을 하게 되며, 이렇게 연결된 디바이스는 인터넷 연결을 통해 추가적인 콘텐츠 및 양방향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텔레비젼(30)을 통해 시청중인 영상에 노출되는 10자리 이하의 숫자 또는 영문 텍스트 입력하고, TV를 통해 시청중인 영상에 노출되는 이미지 또는 QR코드 촬영하며, TV를 통해 시청중인 영상과 함께 송출되는 음성의 저주파 또는 고주파(가청 주파수를 벗어나는) 음역대에 암호화된 코드를 삽입하고, 이를 스마트 디바이스의 마이크를 통해 입력한다.
텔레비젼/라디오에서 지시하는 동작(모션 : Motion)을 스마트 디바이스의 동작감지 센서를 통해 입력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입력된 값을 일련의 과정에 의해 복호화하여 추출된 인터넷 URL 등을 통해 서비스 또는 콘텐츠에 접근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방송연계 간 QR코드를 이용하는 방식의 단점으로 일정 크기 이상의 QR 코드만 인식, 구형/저화질 텔레비젼에서의 인식률 저하, 화면 근접 시에만 QR 코드 인식가능을 보완함과 동시에, 별도의 장비없이 기존 방송 신호와 함께 단축코드 신호의 송출이 가능하므로, 스마트 모듈이 탑재되지 않은 구형 텔레비젼 및 라디오를 통해서도 양방향 서비스를 원활히 이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단축코드를 이용한 양방향 데이터서비스 확장시스템의 동작을 도 4 내지 도 7 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 는 본 발명의 단축코드를 이용한 양방향 데이터서비스 확장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단축코드 등록절차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양방향 방송으로 데이터를 오가게 하는 형태로 개선하고 다양한 기능 및 서비스로써 방송 프로그램 홈페이지, 양방향 광고, 이벤트 참여, 동영상 재생 및 SNS 연계 등을 제공하는 형태로 확장 가능할 뿐만 아니라, 이를 통해 기존 텔레비젼 또는 라디오가 가진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단축코드를 양방향 데이터서비스 확장시스템인 것이다.
단축코드 등록/관리서버에서의 단축코드 등록시작은 관리자 컴퓨터와 접속하고 단축코드 생성부에 접근하고 있다.
단축코드 생성부에서는 코드형식으로 텍스트, 이미지/QR형식, 사운드, 모션을 선택하게 되는 바, 텍스트는 단축코드로 설정할 텍스트(문자, 숫자, 특수 기호) 등록이고, 이미지/QR형식은 단축코드로 설정할 이미지 등록(이미지 또는 QR코드)이며, 사운드는 단축코드로 설정할 사운드 등록이고, 모션은 단축코드로 설정할 모션 등록(모션센서의 X,Y,Z축의 값)인 것이다.
상기와 같이 등록한 다음에는 단축코드 생성/관리DB를 조회하여 등록가능여부를 판단하게 되는 바, 등록불가인 경우에는 단축코드 생성부의 접근 전으로 돌아가게 되고, 등록허용인 경우에는 실행 명령/URL 을 지정하게 된다.
이어서 그 밖에 필요한 부가정보를 지정/입력하게 되고, 단축코드 세부정보 DB 에 저장하게 된다. 노출일자/시간 지정후 단축코드 송출 스케쥴 관리DB 로 저장하게 되므로 단축코드 등록종료가 된다.
도 5 는 본 발명의 단축코드를 이용한 양방향 데이터서비스 확장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단축코드 송출절차흐름도이다.
단축코드 등록/관리서버에서의 단축코드 송출시작은 단축코드 송출스케쥴 관리DB 조회하고 난 다음 송출이 필요한 단축코드가 있는가를 체크한다.
단축코드가 없으면 단축코드 송출스케쥴 관리DB의 조회전으로 돌아가고, 단축코드가 있으면 송출할 단축코드를 선택한다.
단축코드 생성/관리DB 및 단축코드 세부정보 DB 를 조회한 다음 송출할 단축코드의 세부 정보를 선택/추출한다.
이어 단축코드 송출형태를 결정하게 되는 바, 전파인 경우에는 단축코드 변환부를 통해 전파 형태로 변환한 다음 전파형태로 송출한다. 패킷데이터인 경우에는 단축코드 변환부를 통해 패킷데이터 형태로 변환한 다음 패킷데이터 형태로 송출한다.
따라서, 단축코드 사용통계부를 통해 단축코드 사용통계 수집DB에 단축코드 송출통계 데이터를 기록함으로써 단축코드 송출완료가 되고 있다.
도 6 은 본 발명의 단축코드를 이용한 양방향 데이터서비스 확장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단축코드 수신 및 실행절차흐름도이다.
스마트 디바이스와 단축코드 등록/관리서버 사이에서 단축코드 수신 및 실행시작은 텔레비젼(TV) 또는 라디오를 통해 전파 또는 패킷데이터 형태의 단축코드 수신한다.
스마트 디바이스에서는 단축코드 입력/수신부에 접근하고, 수신된 단축코드가 어떠한 형태인가를 체크한다. 즉, 텍스트, 이미지/QR, 사운드, 모션인 바, 텍스트는 키보드 활성화로써 텍스트 코드 입력이고, 이미지/QR은 카메라 활성화로서 이미지 또는 QR코드 촬영/입력이며, 사운드는 마이크 활성화로써 사운드코드 입력이고, 모션은 동작감지센서 활성화로써 모션 코드 입력인 것이다.
따라서, 단축코드 해석/복원부를 통해 입력된 단축코드를 해석하여 특정 문자열로 복원한다.
키보드 활성화로써 텍스트 코드 입력과 더불어 단축코드 해석/복원부를 통해 입력된 단축코드를 해석하여 특정 문자열로 복원한 다음에는 복원된 문자열을 단축코드 조회 요청부를 통해 단축코드 등록/관리서버의 단축코드 수신부로 전달한다.
단축코드 등록/관리서버에서는 단축코드 수신부는 스마트 디바이스에서 복원된 문자열을 수신한다.
이어 단축코드 조회부에서 단축코드 DB의 단축코드생성/관리 DB, 단축코드 세부정보 DB를 조회하고, 단축코드 조회결과 해석부에서 조회결과 해석(실행명령 또는 인터넷 접속 URL 추출)한다.
단축코드 사용통계 수집DB에 수신/조회 통계 데이터 기록하고, 해석된 실행명령 또는 인터넷 URL을 스마트 디바이스로 회신한다.
그러므로, 스마트 디바이스에서는 서버에서 온 결과(해석된 실행명령 / 인터넷URL)를 단축코드 해석결과 수신부에서 수신한다. 수신된 결과를 바탕으로 실행명령 변환부는 스마트 디바이스에서 실행 가능한 형태로 변환한다.
실행명령 수행부를 통해 특정 실행명령 수행하게 되는 바, 이때 화면(LCD 등)은 수행결과 시각화하고, 스피커는 수행결과 청각화하며, 진동모터는 수행결과촉각화하고, 광(光)출력장치는 광신호 출력하며, 인터넷접속모듈은 사이트(SITE)이동한다. 그러므로 단축코드 수신 및 실행완료하게 된다.
단축코드 입력 어플리케이션은 스마트 디바이스 내에서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형태인 바, 단독 실행 또는 다른 어플리케이션내 기능 모듈 형태로 실행하거나, 단말에 따라 상주(Resident)형태로 back-ground 에서 실행될 수 있다.
여기서, back-ground 실행은 사용자가 명시적으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지 않아도, 보이지 않는 형태로 back-ground에서 상시 수행되는 형태를 지칭한다.
도 7 은 본 발명의 단축코드를 이용한 양방향 데이터서비스 확장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단축코드 수신 및 실행절차도이다. 여기서, 스마트 디바이스는 스마트폰, 일반 휴대폰, 태블릿, 스마트워치, 스마트안경, PC, 스마트TV, IP TV등 어플리케이션 설치/실행 및 인터넷이 가능한 모든 단말을 통칭한다.
본 발명의 양방향 데이터서비스 확장시스템에서는 스마트 디바이스, 단축코드 등록/관리서버, 방송프로그램 홈페이지, 광고/이벤트페이지, 동영상 바로 재생 및 특정 URL을 가진 홈페이지로 이동을 활용하고 있다.
스마트 디바이스에서 단축코드입력으로 텍스트, 사운드, 이미지 및 모션을 단축코드 등록/관리서버로 전송하게 되면, 상기 단축코드 등록/관리서버에서는 단축코드 해석결과 전달을 스마트 디바이스에 단축코드에 해당하는 동작 및 홈페이지 URL 정보 전달한다.
스마트 디바이스에서 방송프로그램 홈페이지로는 단축코드 해석결과에 따라 해당 페이지로 이동하고 있는 바, 본 예시는 방송 프로그램 홈페이지로 이동하는 예시인 것이다.
스마트 디바이스에서 광고/이벤트페이지로는 단축코드 해석결과에 따라 해당 페이지로 이동하고 있는 바, 본 예시는 광고/이벤트페이지로 이동하는 예시인 것이다.
스마트 디바이스에서 동영상 바로재생으로는 단축코드 해석결과에 따라 해당 페이지로 이동하고 있는 바, 본 예시는 특정 동영상을 곧바로 재생하는 예시인 것이다.
스마트 디바이스에서 특정 URL을 가진 홈페이지로 이동으로는 단축코드 해석결과에 따라 해당 페이지로 이동하고 있는 바, 본 예시는 특정 URL을 가진 인터넷홈페이지로 이동하는 예시인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양방향 방송으로 데이터를 오가게 하는 형태로 개선하고 다양한 기능 및 서비스로써 방송 프로그램 홈페이지, 양방향 광고, 이벤트 참여, 동영상 재생 및 SNS 연계 등을 제공하는 형태로 확장 가능할 뿐만 아니라, 이를 통해 기존 텔레비젼 또는 라디오가 가진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단축코드를 양방향 데이터서비스 확장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단축코드를 이용한 양방향 데이터서비스 확장시스템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을 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0 : 관리자 컴퓨터
20 : 단축코드 등록/관리서버
30 : 텔레비젼
35 : 라디오
40 : 스마트 디바이스
60 : 인터넷사이트

Claims (12)

  1. 단축코드 데이터베이스(DB)의 단축코드 등록/관리서버와 관리자 컴퓨터가 데이터 네트워킹하도록 연결되고, 텔레비젼 또는 라디오는 스마트 디바이스와 상기 단축코드 등록/관리서버를 매개로 네트워킹 연동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는 해석결과에 따른 동작수행이 인터넷사이트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단축코드 등록/관리서버에 단축코드 등록은 관리자컴퓨터를 이용하여 단축코드 형태, 실행명령/URL, 노출일자/시간, 그 밖에 필요한 정보를 등록하고;
    단축코드 등록/관리서버의 단축코드 DB에서 예정된 노출일자/시간에 맞춰 단축코드 변환 및 송출하기 위해 텔레비젼 및 라디오에 적합한 형태로 변환하여 송출하며;
    단축코드 등록/관리 서버에서 전파를 통해 텔레비젼이나 라디오에 단축코드 송출은 텍스트 코드, 이미지 또는 QR 코드, 사운드코드를 각각 또는 일부 또는 전부를 조합하여 송출하고;
    스마트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단축코드 형태로 입력하며, 스마트 디바이스 내에서 입력된 단축코드 해석/복원하여 단축코드 등록/관리 서버로 전달하며;
    스마트 디바이스로부터 단축코드 등록/관리 서버는 단축코드 복원내역을 수신한 다음 단축코드 DB에서 조회하고;
    단축코드 등록/관리 서버에서는 단축코드 DB 조회 및 결과 값에 해당하는 실행명령/URL 추출하여 스마트 디바이스로 전달하며;
    스마트 디바이스에서는 단축코드 등록/관리 서버로부터 수신된 실행명령 또는 URL 해석하고, 스마트 디바이스에서의 해석결과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며;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의 단축코드 입력으로 텍스트코드는 텔레비젼에서 보여지는 문자/기호로 구성된 코드를 스마트 디바이스의 키보드 통해 입력하고,
    이미지/QR 코드는 텔레비젼에서 보여지는 이미지 또는 QR 코드를 스마트 디바이스의 카메라를 통해 입력하며,
    사운드코드는 텔레비젼(TV)/라디오 음성신호 내 포함된 사운드코드를 스마트 디바이스의 마이크를 통해 입력하며,
    모션 코드는 텔레비젼/라디오에서 지시하는 동작을 스마트 디바이스의 동작감지 센서를 통해 입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축코드를 이용한 양방향 데이터서비스 확장시스템.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텍스트 코드, 이미지/QR 코드, 모션코드, 사운드코드 중에서 어느 하나를 입력하거나, 2개 이상을 조합하여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축코드를 이용한 양방향 데이터서비스 확장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QR, 사운드코드, 모션코드를 해석하여 특정 문자열로 복원하고, 텍스트는 별도로 해석이 불필요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축코드를 이용한 양방향 데이터서비스 확장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해당하는 실행명령의 수행은 동영상 재생, 사진/동영상 촬영, 녹화, VR콘텐츠 수행이고,
    URL에 해당하는 인터넷사이트의 이동은 스마트 디바이스내 인터넷 브라우져를 통해 지정된 인터넷 사이트로 이동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축코드를 이용한 양방향 데이터서비스 확장시스템.
  6. 단축코드 데이터베이스(DB)의 단축코드 등록/관리서버와 관리자 컴퓨터가 데이터 네트워킹하도록 연결되고, 텔레비젼 또는 라디오는 스마트 디바이스와 상기 단축코드 등록/관리서버를 매개로 네트워킹 연동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는 해석결과에 따른 동작수행이 인터넷사이트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단축코드 등록/관리서버에서는 단축코드 등록시작이 관리자 컴퓨터와 접속하고 단축코드 생성부에 접근하고;
    단축코드 생성부에서는 코드형식으로 텍스트, 이미지/QR형식, 사운드, 모션을 선택하며;
    등록 다음에 단축코드 생성/관리DB를 조회하여 등록 가능여부를 판단하게 되며, 등록불가인 경우에는 단축코드 생성부의 접근 전으로 돌아가게 되고, 등록허용인 경우에는 실행 명령/URL 을 지정하고;
    이어 그 밖에 필요한 부가정보를 지정/입력하게 되고, 단축코드 세부정보 DB 에 저장하며;
    노출일자/시간 지정후 단축코드 송출 스케쥴 관리DB 로 저장하게 되므로 단축코드 등록종료가 되어지며;
    상기 텍스트는 단축코드로 설정할 텍스트(문자, 숫자, 특수 기호) 등록이고, 이미지/QR형식은 단축코드로 설정할 이미지 등록(이미지 또는 QR코드)이며, 사운드는 단축코드로 설정할 사운드 등록이고, 모션은 단축코드로 설정할 모션 등록(모션센서의 X,Y,Z축의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축코드를 이용한 양방향 데이터서비스 확장시스템.
  7. 삭제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단축코드 등록/관리서버에서는 단축코드 송출시작이 단축코드 송출스케쥴 관리DB를 조회하고 난 다음 송출이 필요한 단축코드가 있는가를 체크하고;
    단축코드가 없으면 단축코드 송출스케쥴 관리DB 의 조회전으로 돌아가고, 단축코드가 있으면 송출할 단축코드를 선택하며;
    단축코드 생성/관리DB 및 단축코드 세부정보 DB 를 조회한 다음 송출할 단축코드의 세부 정보를 선택/추출하고;
    이어 단축코드 송출형태를 결정하게 되고, 단축코드 사용통계부를 통해 단축코드 사용통계 수집DB에 단축코드 송출통계 데이터를 기록함으로써 단축코드 송출완료가 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축코드를 이용한 양방향 데이터서비스 확장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전파인 경우에는 단축코드 변환부를 통해 전파 형태로 변환한 다음 전파형태로 송출하고,
    패킷데이터인 경우에는 단축코드 변환부를 통해 패킷데이터 형태로 변환한 다음 패킷데이터 형태로 송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축코드를 이용한 양방향 데이터서비스 확장시스템.
  10. 단축코드 데이터베이스(DB)의 단축코드 등록/관리서버와 관리자 컴퓨터가 데이터 네트워킹하도록 연결되고, 텔레비젼 또는 라디오는 스마트 디바이스와 상기 단축코드 등록/관리서버를 매개로 네트워킹 연동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는 해석결과에 따른 동작수행이 인터넷사이트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스마트 디바이스와 단축코드 등록/관리서버 사이에서 단축코드 수신 및 실행시작은 텔레비젼(TV) 또는 라디오를 통해 전파 또는 패킷데이터 형태의 단축코드 수신하고;
    스마트 디바이스에서는 단축코드 입력/수신부에 접근하고, 수신된 단축코드가 텍스트, 이미지/QR, 사운드, 모션 형태인가를 체크하며;
    단축코드 해석/복원부를 통해 입력된 단축코드를 해석하여 특정 문자열로 복원하고;
    키보드 활성화로써 텍스트 코드 입력과 더불어 단축코드 해석/복원부를 통해 입력된 단축코드를 해석하여 특정 문자열로 복원한 다음에는 복원된 문자열을 단축코드 조회 요청부를 통해 단축코드 등록/관리서버의 단축코드 수신부로 전달하며;
    단축코드 등록/관리서버에서 단축코드 수신부는 스마트 디바이스에서 복원된 문자열을 수신하고;
    이어 단축코드 조회부에서 단축코드 DB의 단축코드생성/관리 DB, 단축코드 세부정보 DB를 조회하고, 단축코드 조회결과 해석부에서 조회결과 해석(실행명령 또는 인터넷 접속 URL 추출)하며;
    단축코드 사용통계 수집DB에 수신/조회 통계 데이터 기록하고, 해석된 실행명령 또는 인터넷 URL을 스마트 디바이스로 회신하며;
    스마트 디바이스에서는 단축코드 등록/관리서버에서 온 결과(해석된 실행명령/인터넷URL)를 단축코드 해석결과 수신부에서 수신하고, 수신된 결과를 바탕으로 실행명령 변환부는 스마트 디바이스에서 실행 가능한 형태로 변환하고;
    실행명령 수행부를 통해 특정 실행명령 수행하고, 이어 단축코드 수신 및 실행완료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축코드를 이용한 양방향 데이터서비스 확장시스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텍스트는 키보드 활성화로써 텍스트 코드 입력이고, 이미지/QR은 카메라 활성화로서 이미지 또는 QR코드 촬영/입력이며, 사운드는 마이크 활성화로써 사운드코드 입력이고, 모션은 동작감지센서 활성화로써 모션코드 입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축코드를 이용한 양방향 데이터서비스 확장시스템.
  12. 제 10 항에 있어서,
    화면은 수행결과 시각화하고, 스피커는 수행결과 청각화하며, 진동모터는 수행결과 촉각화하고, 광출력장치는 광신호 출력하며, 인터넷접속모듈은 사이트이동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축코드를 이용한 양방향 데이터서비스 확장시스템.
KR1020160157337A 2016-11-24 2016-11-24 단축코드를 이용한 양방향 데이터서비스 확장시스템 KR1018287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7337A KR101828715B1 (ko) 2016-11-24 2016-11-24 단축코드를 이용한 양방향 데이터서비스 확장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7337A KR101828715B1 (ko) 2016-11-24 2016-11-24 단축코드를 이용한 양방향 데이터서비스 확장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8715B1 true KR101828715B1 (ko) 2018-02-12

Family

ID=612249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7337A KR101828715B1 (ko) 2016-11-24 2016-11-24 단축코드를 이용한 양방향 데이터서비스 확장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871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5233A (ko) * 2018-07-06 2020-01-15 한국전력공사 양방향 데이터 전송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07564A (ko) * 2018-07-13 2020-01-22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Sound QR을 활용한 셋톱박스와 이동단말기의 페어링 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5233A (ko) * 2018-07-06 2020-01-15 한국전력공사 양방향 데이터 전송 시스템 및 방법
KR102454327B1 (ko) 2018-07-06 2022-10-14 한국전력공사 양방향 데이터 전송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07564A (ko) * 2018-07-13 2020-01-22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Sound QR을 활용한 셋톱박스와 이동단말기의 페어링 방법 및 시스템
KR102123484B1 (ko) * 2018-07-13 2020-06-16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Sound QR을 활용한 셋톱박스와 이동단말기의 페어링 방법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35025B2 (en) Various systems and methods for expressing an opinion
US11409817B2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CN101322408B (zh) 无触发信号的交互式电视
US20100138655A1 (en) Terminal apparatus and operation information collecting system
CN108156480A (zh) 一种视频字幕生成的方法、相关装置及系统
US20080148316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information which relates in broadcasting
KR101358807B1 (ko) 디지털 워터마크를 이용한 멀티 디바이스간 프로그램 동기화 방법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
CN103428538A (zh) 交互式广播电视的互动方法、装置及系统
US2012033151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mage-associated information
CN104038774B (zh) 生成铃声文件的方法及装置
EP3652896A1 (en) Automatic determination of display device functionality
CN103108229A (zh) 一种通过音频跨屏识别视频内容的方法
CN110536175A (zh) 一种码率切换方法和装置
CN103747277A (zh) 一种多媒体节目识别方法和装置
CN106572241A (zh) 一种信息展示方法和装置
CN105635795A (zh) 电视用户行为信息采集方法及装置
KR101828715B1 (ko) 단축코드를 이용한 양방향 데이터서비스 확장시스템
CN102833595A (zh) 一种信息传送的方法及装置
JP5479223B2 (ja) 音響通信方法を用いたホームページ誘導方法およびシステム
JP6212719B2 (ja) 映像受信装置、情報表示方法および映像受信システム
KR20090073944A (ko) 방송 컨텐츠 출력장치와 방송 컨텐츠 관련 검색어(또는질문) 순위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기록매체
KR100425668B1 (ko) 데이터방송의 데이터컨텐츠 전송장치 및 그 방법
JP2005159743A (ja) 映像表示装置、映像表示プログラム、情報配信装置および情報通信システム
KR101805618B1 (ko) 컨텐트에 대한 코멘트 공유 방법 및 그 장치
KR20150064613A (ko) 영상 표시 기기 및 그의 동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