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7884B1 - 사용자 단말, 도전 방지 장치, 도전 모니터링 서버, 도전 방지 시스템 및 도전 방지 방법 - Google Patents

사용자 단말, 도전 방지 장치, 도전 모니터링 서버, 도전 방지 시스템 및 도전 방지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7884B1
KR101827884B1 KR1020160099310A KR20160099310A KR101827884B1 KR 101827884 B1 KR101827884 B1 KR 101827884B1 KR 1020160099310 A KR1020160099310 A KR 1020160099310A KR 20160099310 A KR20160099310 A KR 20160099310A KR 101827884 B1 KR101827884 B1 KR 1018278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pattern
outlet
usage pattern
char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93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진철
김성환
김유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10201600993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78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78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78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2/00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 G01R22/06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by electronic methods
    • G01R22/061Details of electronic electricity meters
    • G01R22/066Arrangements for avoiding or indicating fraudulent us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1/00Electromechanical 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of consumption
    • G01R11/02Constructional details
    • G01R11/24Arrangements for avoiding or indicating fraudulent us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1/00Arrangements for measuring electric power or power factor
    • G01R21/06Arrangements for measuring electric power or power factor by measuring current and voltag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2/00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 G01R22/06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by electronic methods
    • G01R22/061Details of electronic electricity meters
    • G01R22/063Details of electronic electricity meters related to remote communic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전 방지 장치는, 배전반과 콘센트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배전반으로부터 상기 콘센트로 공급되는 전력을 감지하는 부하 모니터링부; 및 상기 감지된 전력에 따른 전력 사용 패턴이 정당 사용 패턴인지 여부에 따라 상기 배전반으로부터 상기 콘센트로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 또는 허용하는 전력 차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사용자 단말, 도전 방지 장치, 도전 모니터링 서버, 도전 방지 시스템 및 도전 방지 방법{User Terminal, Apparatus, Monitoring Server, System, and Method for Preventing Electricity Theft}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 도전 방지 장치, 도전 모니터링 서버, 도전 방지 시스템 및 도전 방지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무단 전력 사용을 방지하고 허가 또는 인증된 전력 사용자에게만 전력 이용을 승인할 수 있는 사용자 단말, 도전 방지 장치, 도전 모니터링 서버, 도전 방지 시스템 및 도전 방지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기차는 배터리에 축적된 전기로 모터를 회전시켜서 자동차를 구동하는 이동수단으로서 내연기관 자동차보다도 먼저 개발되었으나, 배터리의 무거운 중량, 충전에 걸리는 많은 시간 등의 실용적 문제로 인해 상용화되지 못하다가 내연기관 자동차의 연소에 따른 지구온난화와 기후변화의 심각성이 더욱 대두되고 배터리 등의 전기차의 전반적인 기술발전이 이루어지면서 최근 다시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전기차는 엔진이 전기 모터로 대체된 것 외에 내연기관 자동차와 유사하지만, 기존의 내연기관 자동차가 제도적 체계하에서 형성된 주유 공급 시설 등을 통해 자동차의 구동 에너지원을 공급받을 수 있는 점과 달리 전기차는 전기차 충전소나 충전 스테이션 등의 전기차를 충전하기 위한 시설 이외에도 가정이나 주차장 등에 설치된 전기 콘센트를 통해 자동차의 구동 에너지원을 손쉽게 공급받을 수 있다는 차이점이 있다.
이와 같은 전기차의 기능적 특징으로 인해 전기차는 전기 공급이 가능한 콘센트를 통해 장소와 시간의 제한없이 전기차의 배터리 충전이 가능하다는 큰 장점이 있으나, 다른 관점에서 도전을 통해 전기차의 충전이 가능하다는 하나의 커다란 사회적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즉, 일반적인 콘센트에 연결 가능한 충전 케이블을 구비하면 언제 어디서나 무단으로 가정이나 건물 등의 외부에 설치된 타인의 콘센트를 통한 도전으로 전기차의 충전이 가능하다는 커다란 문제점이 있다.
나아가서 이와 같은 도전을 통한 전기차의 충전에 따른 전기 요금이 전기차의 충전을 수행한 전기차 소유자나 이용자에게 부과되지 않고 외부 콘센트를 통해 도전을 당한 가정이나 건물에 부과됨으로써 도전을 통한 전기차 충전에 대한 부당 이득으로 인해 제3자에게 경제적 손해가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은 전기차의 광범위한 보급에 큰 걸림돌로 작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기차 등의 대용량 전력을 이용하는 사용자에 의한 도전을 근복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사용자 단말, 도전 방지 장치, 도전 모니터링 서버, 도전 방지 시스템 및 도전 방지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전 방지 장치는, 배전반과 콘센트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배전반으로부터 상기 콘센트로 공급되는 전력을 감지하는 부하 모니터링부; 및 상기 감지된 전력에 따른 전력 사용 패턴이 정당 사용 패턴인지 여부에 따라 상기 배전반으로부터 상기 콘센트로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 또는 허용하는 전력 차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전 방지 방법은, 배전반과 콘센트 사이에서 상기 배전반으로부터 상기 콘센트로 공급되는 전력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감지된 전력에 따른 전력 사용 패턴을 분석하는 단계; 상기 전력 사용 패턴이 정당 사용 패턴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판단 결과에 따라 건물 관리자 단말로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은, 콘센트의 콘센트 ID를 획득하는 콘센트 ID 판독부; 상기 콘센트 ID에 대응하는 콘센트 위치 정보와 단말 위치 정보가 서로 일치하는지 판단하여, 상기 콘센트 위치 정보와 상기 단말 위치 정보가 서로 일치할 경우, 전력 수신기의 일시적인 전력 사용이 허용되도록 하는 인증 정당 사용 패턴의 기초가 되는 충전 용도 정보를 생성하는 위치 비교부; 및 상기 콘센트 위치 정보와 상기 단말 위치 정보가 서로 일치함을 나타내는 위치 부합 메시지와 상기 충전 용도 정보를 전송하는 서버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전 방지 시스템은, 배전반과 콘센트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배전반으로부터 상기 콘센트로 공급되는 전력을 감지하는 도전 방지 장치; 및 상기 감지된 전력에 대한 전력 데이터를 수신하여 전력 사용 패턴을 분석하고, 상기 전력 사용 패턴이 정당 사용 패턴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도전 모니터링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도전 모니터링 서버는, 판단 결과에 따라 건물 관리자 단말로 전송되는 알림 메시지의 기초가 되는 분석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전 모니터링 서버는, 배전반으로부터 콘센트로 공급되는 감지된 전력에 대한 전력 데이터를 도전 방지 장치로부터 수신하여 전력 사용 패턴을 분석하고, 상기 전력 사용 패턴이 정당 사용 패턴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건물 관리자 단말로 전송되는 알림 메시지의 기초가 되는 분석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전 방지 시스템은, 배전반과 콘센트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배전반으로부터 상기 콘센트로 공급되는 전력을 감지하는 도전 방지 장치; 상기 감지된 전력에 대한 전력 데이터를 수신하여 전력 사용 패턴을 분석하고, 상기 전력 사용 패턴이 정당 사용 패턴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른 분석 데이터를 생성하는 도전 모니터링 서버; 및 상기 분석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전력 사용 패턴이 상기 정당 사용 패턴인지에 대한 알림 메시지를 관리자 단말로 전송하는 인증 및 관리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도전 방지 장치, 도전 모니터링 서버, 도전 방지 시스템 및 도전 방지 방법에 의하면, 배전반과 콘센트 사이에서 무단 사용 전력을 원천적으로 차단함으로써 도전을 보다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건물 관리자의 개입없이 현재 사용되는 전력의 전력 사용 패턴을 분석하여 도전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콘센트로 전달되는 전력을 차단함으로써 건물 관리자의 편의를 제고할 수 있다.
아울러, 미리 등록되지 않은 정당 사용 패턴에 해당하는 전력 사용이라 하더라도 일정한 인증 과정을 거쳐 전력 사용이 가능할 수 있으므로, 전기차의 인프라 구축에 기여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전 방지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도전 방지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전 방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는 인증 정당 사용 패턴의 생성 및 저장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은 건물 관리자 단말에 표시되는 알림 메시지를 표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실시 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전 방지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도전 방지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전 방지 시스템(10)은 일반 건물의 가정, 회사, 주차장 등에서 공급되는 전력이 무단으로 도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시스템이다.
도전 방지 시스템(10)은 배전반(70), 도전 방지 장치(100), 콘센트(130), 도전 모니터링 서버(200), 인증 및 관리 서버(300), 건물 관리자 단말(400), 전력 수신기(500), 충전용 플러그(600) 및 사용자 단말(70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배전반(70), 도전 방지 장치(100) 및 콘센트(130)는 동일한 건물(50) 내에 설치된 장치일 수 있다.
배전반(70)은 전력 공급 회사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건물 내의 여러 콘센트(130)로 계통별 또는 용도별(가정용/공용)로 상용 전원인 A.C 220V의 전력을 분배하는 장치이다.
도전 방지 장치(100)는 배전반(70)과 콘센트(130) 사이에서 도전 모니터링 서버(200)와의 통신을 통해 콘센트(130)로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할 수 있다. 도전 방지 장치(100)는 콘센트(130)마다 설치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복수의 콘센트들에 대응하여 설치될 수도 있다.
도전 방지 장치(100)가 설치되는 위치는 배전반(70)과 콘센트(130) 사이의 분전반 내에 설치될 수도 있고, 다른 실시예에 따라 상기 분전반의 전단 또는 후단에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분전반은 배전반(70)으로부터 분배된 전력을 콘센트(130) 별로 분기하여 공급해주는 장치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도전 방지 장치(100)는 부하 모니터링부(110), 서버 통신부(120) 및 전력 차단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부하 모니터링부(110)는 배전반(70)으로부터 콘센트(130)로 공급되는 전력을 모니터링(또는 감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부하 모니터링부(110)는 상기 전력을 측정하여 콘센트(130)에 대응하는 전력 데이터를 생성하여 도전 모니터링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전력 데이터의 생성 및 전송은 전력 사용이 감지된 이후, 주기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전력 데이터는 도전 방지 장치(100) 또는 콘센트(130)의 식별 정보, 전력량, 전력량이 측정된 시각 및 전력 사용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전력 사용 패턴은 전력이 사용되는 유형을 식별할 수 있는 정보로서, 전력 사용 시간, 초기 사용 전력, 시간의 흐름에 따른 사용 전력의 변화량, 평균 사용 전력, 완충에 소요되는 시간, 완충 사용 전력, 충전 시작 시에 나타나는 전력의 변화량, 충전 진행 시에 나타나는 전력의 변화량, 충전 시작 시점 및 충전 진행 시점에 나타나는 전압과 전류간의 위상(phase) 차 변화량, 충전 진행시에 나타나는 전압 및 전압의 변동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전력 데이터는 전력량 만을 포함하고, 도전 모니터링 서버(200)가 전력량이 측정된 시각 및 전력 사용 패턴을 생성할 수도 있다.
서버 통신부(120)는 도전 모니터링 서버(2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장치이며, 예컨대, M2M(Machine to Machine), LTE(Long Term Evolution), Wi-Fi 등의 통신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서버 통신부(120)는 도전 모니터링 서버(200)와 통신이 가능한 다른 단말기와의 근거리 무선 통신(예컨대,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블루투스(Bluetooth))을 통해 간접적으로 도전 모니터링 서버(200)와 통신할 수 있다.
전력 차단부(130)는 도전 모니터링 서버(200)로부터 수신되는 허가 데이터에 기초하여 배전반(70)으로부터 콘센트(130)로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 또는 허용할 수 있다.
콘센트(130)는 도전 방지 장치(100)로부터 전달되는 전력을 콘센트(130)에 삽입된 플러그(600)를 통해 전력 수신기(500)로 공급하는 장치이며, 220V 상용 전원용 콘센트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콘센트(130)는 콘센트 ID 제공부(15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콘센트 ID 제공부(150)는 콘센트(130)의 식별을 위한 콘센트 ID를 보유하고 있으며 사용자 단말(700)에 콘센트 ID를 제공할 수 있다.
콘센트 ID 제공부(150)가 콘센트 ID를 제공하는 방식은 NFC, RFID 태그, QR 코드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전 모니터링 서버(200)는 도전 방지 장치(100)로부터 전송된 전력 데이터를 이용해 전력 사용 패턴을 분석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력 사용 패턴이 전력 데이터에 포함된 경우에는 전력 사용 패턴의 동작은 생략될 수 있다.
도전 모니터링 서버(200)는 전력 사용 패턴이 정당 사용 패턴의 범위 내인지 판단할 수 있다. 정당 사용 패턴은 정당한 전력 사용 범위로 설정된 정보를 의미하며, 전력 사용 시간, 초기 사용 전력, 시간의 흐름에 따른 사용 전력의 변화량, 평균 사용 전력, 완충에 소요되는 시간, 완충 사용 전력, 충전 시작 시에 나타나는 전력의 변화량, 충전 진행 시에 나타나는 전력의 변화량, 충전 시작 시점 및 충전 진행 시점에 나타나는 전압과 전류간의 위상(phase) 차 변화량, 충전 진행시에 나타나는 전압 및 전압의 변동성 중 적어도 하나의 항목(전력 사용 패턴에 대응하는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당 사용 패턴이 오전 10시부터 오후 2시까지의 전력 사용 시간 및 10W에서 100W의 초기 사용 전력을 정당한 사용 범위로 설정된 정보라 가정하면, 상기 시간 범위 이외의 시간에서의 전력 사용 또는 상기 전력 범위 이외의 초기 사용 전력의 전력 사용에 해당하는 전력 사용 패턴은 정당 사용 패턴이 아니라고 판단될 수 있다.
즉, 정당 사용 패턴은 미리 허용된 전력 사용 패턴을 의미하며, 정당 사용 패턴은 도전 방지 장치(100)의 관리자에 의해 설정되어 도전 모니터링 서버(20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때, 관리자는 건물 관리자 단말(400)을 통해 도전 모니터링 서버(200)에 정당 사용 패턴을 등록할 수 있다. 또한, 콘센트(130)에 대응하는 정당 사용 패턴은 복수 개가 존재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정당 사용 패턴은 도전 모니터링 서버(200)가 전력 데이터를 분석 및 통계화하여 정당 사용 패턴으로 저장할 수 있다.
도전 모니터링 서버(200)는 인증 및 관리 서버(300)로부터 사용예정 알림 메시지를 수신하여 사용예정 알림 메시지에 대응하는 정당 사용 패턴을 생성하고, 해당 콘센트(130)에 대응하는 정당 사용 패턴에 추가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도전 모니터링 서버(200) 및 인증 및 관리 서버(300)의 동작은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여기서, 미리 관리자에 의해 저장된 정당 사용 패턴은 허가 정당 사용 패턴으로 정의되고, 사용예정 알림 메시지에 따라 생성된 정당 사용 패턴은 인증 정당 사용 패턴으로 정의될 수 있다.
도전 모니터링 서버(200)는 전력 사용 패턴이 정당 사용 패턴인지 판단한 결과인 분석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고, 생성된 분석 데이터를 인증 및 관리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인증 및 관리 서버(300)는 도전 모니터링 서버(200)로부터 분석 데이터를 수신하여, 분석 데이터에 대응하는 알림 메시지를 건물 관리자 단말(4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인증 및 관리 서버(300)는 분석 데이터에는 콘센트 ID가 포함될 수 있으며, 콘센트 ID와 건물 관리자 단말(400)의 식별 정보(전화번호)를 맵핑한 테이블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인증 및 관리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700)로부터 콘센트 ID를 수신하여, 콘센트 ID에 대응하는 콘센트 위치 정보를 추출하여 사용자 단말(7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인증 및 관리 서버(300)는 콘센트 ID와 콘센트(130)가 설치된 위치에 대한 콘센트 위치 정보를 맵핑한 테이블을 저장 및 이용할 수 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인증 및 관리 서버(300)는 사용예정 알림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는데,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건물 관리자 단말(400)은 서버들(200, 300)과 유무선 통신이 가능한 단말기로서, 건물(50)의 관리자가 보유한 단말기일 수 있다. 건물 관리자 단말(400)은 도전 모니터링 서버(200)에 정당 사용 패턴을 등록할 수 있고, 인증 및 관리 서버(300)로부터 수신된 알림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전력 수신기(500)는 상용 전력을 공급받아 충전 또는 사용이 가능한 장치로서, 전기를 동력으로 하는 운송 수단(예컨대, 전기차, 전기 스쿠터 등), 운송 수단이 아니더라도 고전력을 요구하는 전자 장치(예컨대, 청소기, 건설 장비 등), 기타 상용 전력을 충전 또는 사용에 이용할 수 있는 모든 전자 장치일 수 있다.
플러그(600)는 콘센트(130)에 삽입되어 상용 전력을 전력 수신기(500)로 전달할 수 있는 장치이다.
사용자 단말(700)은 전력 수신기(500)의 전력 사용의 인증을 위해 인증 및 관리 서버(300)와 통신할 수 있는 장치이다. 비록 도 1에서는 전력 수신기(500)와 플러그(600) 사이에 위치하는 것(예컨대, 이동형 충전 장치)으로 도시되었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전력 수신기(500)와 플러그(600)가 직접적으로 연결되고 사용자 단말(700)은 이들과 독립적인 단말(예컨대, 스마트폰) 수도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700)은 콘센트 ID 판독부(710), 위치 측정부(720), ICCB(incable control box, 730), 서버 통신부(740), 알림 출력부(750) 및 위치 비교부(760)를 포함할 수 있다.
콘센트 ID 판독부(710)는 콘센트 ID 제공부(150)가 제공하는 콘센트 ID를 NFC, RFID 태그, QR 코드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을 통해 콘센트 ID를 획득할 수 있다.
위치 측정부(720)는 현재 사용자 단말(700)의 단말 위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위치 측정부(720)는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위성에서 보내는 신호를 이용해 현재의 위치를 계산하는 GPS 장치로 구현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ICCB(730)는 전력 수신기(500)로 전달되는 전력을 모니터링하고 전력 수신기(500)에 과전압, 과전류가 전달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보호 장치이다.
서버 통신부(740)는 인증 및 관리 서버(3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장치이며, 예컨대, M2M(Machine to Machine), LTE(Long Term Evolution), Wi-Fi 등의 통신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알림 출력부(750)는 사용자 단말(700)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특히 인증 및 관리 서버(300)로부터 수신된 사용 승인 메시지를 수신하여 사용 승인이 완료되었으며 콘센트(130)에 플러그(600)가 삽입되었음을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알림 출력부(750)는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또는 유기 EL(Electro Luminescence)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위치 비교부(760)는 인증 및 관리 서버(300)로부터 수신된 콘센트 위치 정보와 사용자 단말(700)의 단말 위치 정보를 비교하고, 서로 일치하는 경우 위치 부합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GPS의 오차 범위가 고려되어 콘센트 위치 정보와 단말 위치 정보의 차이가 일정 범위 이내일 경우, 서로 일치한다고 판단될 수 있다.
만일 콘센트 위치 정보와 단말 위치 정보가 서로 일치하지 않을 경우에는 위치 부합 메시지가 생성되지 않을 수 있다.
위치 비교부(760)는 생성된 위치 부합 메시지를 충전 용도 정보와 함께 인증 및 관리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충전 용도 정보는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전 방지 시스템(10)에 의하면, 배전반(70)과 콘센트(130) 사이에서 전력을 원천적으로 차단함으로써 도전을 보다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건물 관리자의 개입없이 현재 사용되는 전력의 전력 사용 패턴을 분석하여 도전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콘센트(130)로 전달되는 전력을 차단함으로써 건물 관리자의 편의를 제고할 수 있다.
아울러, 미리 등록되지 않은 정당 사용 패턴에 해당하는 전력 사용이라 하더라도 일정한 인증 과정을 거쳐 전력 사용이 가능할 수 있으므로, 전기차의 인프라 구축에 기여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전 방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는 인증 정당 사용 패턴의 생성 및 저장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은 건물 관리자 단말에 표시되는 알림 메시지를 표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에 의해 플러그(600)가 콘센트(130)에 삽입되면, 콘센트(130)로부터 전력이 전력 수신기(500)로 전달됨으로써 전력 사용이 시작될 수 있다(S10).
도전 방지 장치(100)는 배전반(70)으로부터 콘센트(130)로 공급되는 전력을 모니터링 하며, 전력 수신기(500)의 전력 사용으로 인해 배전반(70)으로부터 콘센트(130)로 공급되는 전력이 일정 임계치(예컨대, 전기차와 같이 대용량의 전력을 사용하는 기기에 의한 사용을 방지하기 위해 전기차의 사용전력이 고려되어 결정될 수 있음) 이상으로 상승하게 되면 전력이 사용되고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S20).
도전 방지 장치(100)는 전력 사용 중이라 판단하게 되면, 전력 데이터를 생성하여 도전 모니터링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S30). 도 2에 대한 설명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전력 데이터에는 전력량 만이 포함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 도전 방지 장치(100)에는 전력량을 산출하기 위한 구성만이 포함될 수 있어 도전 방지 장치(100)의 보급이 활성화될 수 있다.
도전 모니터링 서버(200)는 도전 방지 장치(100)의 전력 데이터를 수신하여 전력 사용 패턴을 분석할 수 있다(S40).
도전 모니터링 서버(200)는 전력 사용 패턴이 정당 사용 패턴의 범위 내인지 판단할 수 있다(S50). 정당 사용 패턴은 전력 사용 시간, 초기 사용 전력, 시간의 흐름에 따른 사용 전력의 변화량, 평균 사용 전력, 완충에 소요되는 시간, 완충 사용 전력, 충전 시작 시에 나타나는 전력의 변화량, 충전 진행 시에 나타나는 전력의 변화량, 충전 시작 시점 및 충전 진행 시점에 나타나는 전압과 전류간의 위상(phase) 차 변화량, 충전 진행시에 나타나는 전압 및 전압의 변동성 중 적어도 하나의 항목에 대해 정해진 정당한 사용 범위를 포함하며, 도전 방지 장치(100)는 분석된 전력 사용 패턴의 각 항목이 정당 사용 패턴의 각 항목의 범위 내에 전부 포함되는지 판단함으로써 전력 사용 패턴이 정당 사용 패턴의 범위 내인지 판단하게 된다.
실시예에 따라 도전 방지 장치(100)는 분석된 전력 사용 패턴의 각 항목이 정당 사용 패턴의 각 항목의 범위 내에 일정 비율(예컨대, 80% 이상)만큼 포함되는지 판단함으로써 전력 사용 패턴이 정당 사용 패턴의 범위 내인지 판단할 수도 있다. 이는 정당한 사용자에 의한 전력 사용임에도 불구하고, 평소와 다소 다른 전력 사용 패턴에 따라 전력 사용이 이루어질 경우(예를 들어, 정당 사용 패턴이 오전 10시부터 오후 2시까지의 전력 사용 시간을 포함하는데, 부득이하게 정당 사용자가 오후 3시에 전력을 사용하여야 할 경우) 부당하게 전력 사용이 차단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도전 모니터링 서버(200)는 전력 사용 패턴이 정당 사용 패턴인지 판단한 결과인 분석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고, 생성된 분석 데이터를 인증 및 관리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S60). 이때, 정당 사용 패턴에는 허가 정당 사용 패턴 및/또는 인증 정당 사용 패턴이 포함되는데, 분석 데이터에는 현재의 전력 사용 패턴이 허가 정당 사용 패턴과 인증 정당 사용 패턴 중 어느 정당 사용 패턴과 일치하는지에 대한 정보도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분석 데이터에는 전력 사용 패턴이 어느 정당 사용 패턴이라는 정보 또는 전력 사용 패턴이 정당 사용 패턴이 아니라는 정보가 포함될 수 있으며, 인증 및 관리 서버(300)는 분석 데이터에 대응하는 알림 메시지를 해당 건물 관리자 단말(400)에 전송할 수 있다(S70).
만일, 분석 데이터에 전력 사용 패턴이 정당 사용 패턴(허가 정당 사용 패턴)이라는 정보가 포함되어 있을 경우, 인증 및 관리 서버(300)는 특정 콘센트 ID에 대해 허가 정당 사용 패턴이 감지되었음을 알려주는 알림 메시지를 해당 건물 관리자 단말(400)에 전송하게 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 관리자 단말(400)은 상기 알림 메시지(410)를 관리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분석 데이터에 전력 사용 패턴이 정당 사용 패턴이 아니라는 정보가 포함되어 있을 경우, 인증 및 관리 서버(300)는 특정 콘센트 ID에 대해 허가되지 않은 전력 사용 패턴이 감지되었음을 알려주는 알림 메시지를 해당 건물 관리자 단말(400)에 전송하게 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 관리자 단말(400)은 상기 알림 메시지(420)를 관리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알림 메시지에는 현재의 사용 전력량의 정보도 포함될 수 있다.
아울러, 분석 데이터에 전력 사용 패턴이 정당 사용 패턴(인증 정당 사용 패턴)이라는 정보가 포함되어 있을 경우, 인증 및 관리 서버(300)는 특정 콘센트 ID에 대해 인증 정당 사용 패턴이 감지되었음을 알려주는 알림 메시지를 해당 건물 관리자 단말(400)에 전송하게 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 관리자 단말(400)은 상기 알림 메시지(430)를 관리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할 수 있다.
도전 모니터링 서버(200)는 전력 사용 패턴이 정당 사용 패턴인지 판단한 결과에 따라 허가 데이터를 생성하여 도전 방지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S80). 즉, 허가 데이터에는 배전반(70)으로부터 콘센트(130)로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 또는 허용하도록 제어하는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전력 차단부(130)는 도전 모니터링 서버(200)로부터 수신되는 허가 데이터에 기초하여 배전반(70)으로부터 콘센트(130)로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 또는 허용할 수 있다(S90).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일시적으로 콘센트(130)를 통해 전력 수신기(500)의 충전 또는 사용을 원할 경우, 사용자 단말(700)은 콘센트 ID 제공부(150)가 제공하는 콘센트 ID를 NFC, RFID 태그, QR 코드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을 통해 콘센트 ID를 획득하고 획득된 콘센트 ID를 인증 및 관리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S100, S110). 이때, S100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700)은 도 5에 도시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최소한의 전력을 콘센트(130)에 플러그(600)를 삽입하여 공급받을 수 있다.
인증 및 관리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700)로부터 콘센트 ID를 수신하여, 콘센트 ID에 대응하는 콘센트 위치 정보를 추출하여 사용자 단말(700)로 전송할 수 있다(S120, S130).
사용자 단말(700)은 인증 및 관리 서버(300)로부터 수신된 콘센트 위치 정보와 사용자 단말(700)의 단말 위치 정보를 비교하고, 서로 일치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S140).
콘센트 위치 정보와 단말 위치 정보가 일치할 경우, 사용자 단말(700)은 콘센트 위치 정보와 단말 위치 정보가 일치함을 나타내는 위치 부합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700)은 충전 용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는데, 충전 용도 정보는 인증 정당 사용 패턴의 생성에 기초가 되는 정보로서, 사용 예정 시간, 전력 수신기(500)의 종류, 기종, 정격 전압, 정격 전류, 충전 용량, 현재 잔여 충전량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700)은 위치 부합 메시지와 충전 용도 정보를 인증 및 관리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S150).
인증 및 관리 서버(300)는 위치 부합 메시지와 충전 용도 정보를 해석하여, 전력 수신기(500)의 전력 사용을 인증할 수 있으며, 콘센트 ID에 대응하는 콘센트(130)를 관리하는 도전 모니터링 서버(200)로 사용예정 알림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S160). 사용예정 알림 메시지는 전력 수신기(500)의 전력 사용이 인증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로서, 콘센트 ID 및 충전 용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전 모니터링 서버(200)는 사용예정 알림 메시지를 수신하여, 이를 기초로 인증 정당 사용 패턴을 생성 및 저장할 수 있다(S170). 즉, 인증 된 정당 사용 패턴은 인증 절차를 마친 전력 수신기(500)의 전력 사용을 임시적으로 허용하기 위한 것이다.
즉, 충전 용도 정보에는 사용 예정 시간, 전력 수신기(500)의 각종 정보가 포함되므로, 도전 모니터링 서버(200)는 충전 용도 정보에 대응하는 전력 사용 패턴을 알 수 있으며 이를 기초로 인증 정당 사용 패턴을 생성 및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인증 정당 사용 패턴을 생성 및 저장한다는 의미는 충전 용도 정보를 기초로 새로운 인증 정당 사용 패턴을 생성 및 저장하는 경우를 의미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충전 용도 정보에 포함된 전력 수신기(500)의 각종 정보와 인증 정당 사용 패턴이 맵핑되어 있는 테이블을 이용하여, 수시노딘 충전 용도 정보에 대응하는 인증 정당 사용 패턴을 추출하는 동작을 의미할 수도 있다.
인증 및 관리 서버(300)는 전력 수신기(500)의 전력 사용을 인증한 뒤, 사용 승인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700)에 전달할 수 있다(S180).
사용자 단말(700)은 사용 승인 메시지에 따라 충전이 승인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알림 출력부(750)를 통해 출력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플러그(600)를 콘센트(130)에 삽입하여 전력 사용이 감지되면 콘센트에 삽입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S190).
S190 단계에 이어 전력 사용이 시작되어(전력 사용은 S100 단계에서 시작될 수 있음) 도 4의 S10 단계부터 진행될 수 있다. 이때, 이미 정당 사용 패턴에 인증 정당 사용 패턴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전력 수신기(500)에 의한 전력 사용이 허용될 수 있다.
인증 및 관리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700)의 전력 사용에 관한 정보(예컨대, 전력 데이터)를 도전 모니터링 서버(200)로부터 제공받아 콘센트 ID 및 사용자 단말(700)의 식별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 단말(700)의 사용자에게 인증된 전력 사용에 대한 과금이 이루어지도록 전력회사에 해당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전력회사는 해당 정보를 통해, 인증된 전력 사용에 대해 건물 관리자에게 과금되지 않도록 하거나, 사용자 단말(700)로부터 과금한 요금을 건물 관리자에게 전달하는 방식으로 정산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700)의 사용자에게는 전력 사용에 비례하는 소정의 수수료를 부과하여 건물 관리자가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이로 인해, 미리 관리자에게 허락받지 않은 사용자라도 인증 과정을 정상적으로 마친 경우, 긴급하게 콘센트(130)를 통해 전력을 사용할 수 있고 해당 사용자에게 과금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일반 사용자 입장에서는 언제 어디서라도 충전을 수행할 수 있는 편의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건물 관리자 입장에서는 도전의 피해 없이 오히려 수수료와 관련된 금전적 이익도 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과 도 4에서는 도전 방지 장치(100)와 도전 모니터링 서버(200)가 독립된 구성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도전 방지 장치(100)와 도전 모니터링 서버(200)가 하나의 구성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즉, 도전 모니터링 서버(200)의 기능이 도전 방지 장치(100)에 의해 모두 수행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방법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해독될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된 모든 종류의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통신망으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25)

  1. 배전반과 콘센트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배전반으로부터 상기 콘센트로 공급되는 전력을 감지하는 부하 모니터링부; 및
    상기 감지된 전력에 따른 전력 사용 패턴이 정당 사용 패턴인지 여부에 따라 상기 배전반으로부터 상기 콘센트로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 또는 허용하는 전력 차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정당 사용 패턴은, 미리 건물 관리자에 의해 등록된 허가 정당 사용 패턴 및 일시적으로 전력 사용을 원하는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기초로 인증된 인증 정당 사용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인증 정당 사용 패턴은 위치 인증이 완료된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생성한 충전 용도 정보를 기초로 생성되는 도전 방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사용 패턴은 전력이 사용되는 유형을 식별할 수 있는 정보이고,
    상기 전력 사용 패턴은 전력 사용 시간, 초기 사용 전력, 시간의 흐름에 따른 사용 전력의 변화량, 평균 사용 전력, 완충에 소요되는 시간, 완충 사용 전력, 충전 시작 시에 나타나는 전력의 변화량, 충전 진행 시에 나타나는 전력의 변화량, 충전 시작 시점 및 충전 진행 시점에 나타나는 전압과 전류간의 위상(phase) 차 변화량, 충전 진행시에 나타나는 전압 및 전압의 변동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도전 방지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당 사용 패턴은 정당한 전력 사용 범위로 설정된 정보이고,
    상기 정당 사용 패턴은 전력 사용 시간, 초기 사용 전력, 시간의 흐름에 따른 사용 전력의 변화량, 평균 사용 전력, 완충에 소요되는 시간, 완충 사용 전력, 충전 시작 시에 나타나는 전력의 변화량, 충전 진행 시에 나타나는 전력의 변화량, 충전 시작 시점 및 충전 진행 시점에 나타나는 전압과 전류간의 위상(phase) 차 변화량, 충전 진행시에 나타나는 전압 및 전압의 변동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도전 방지 장치.
  4. 삭제
  5. 배전반과 콘센트 사이에서 상기 배전반으로부터 상기 콘센트로 공급되는 전력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감지된 전력에 따른 전력 사용 패턴을 분석하는 단계;
    상기 전력 사용 패턴이 정당 사용 패턴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판단 결과에 따라 건물 관리자 단말로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정당 사용 패턴은, 미리 건물 관리자에 의해 등록된 허가 정당 사용 패턴 및 일시적으로 전력 사용을 원하는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기초로 인증된 인증 정당 사용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콘센트의 콘센트 ID에 대응하는 콘센트 위치 정보와 상기 사용자 단말의 단말 위치 정보가 서로 일치하여 전력 사용이 인증된 경우, 도전 모니터링 서버로 상기 콘센트 ID와 인증 정당 사용 패턴의 기초가 되는 충전 용도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예정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도전 방지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사용 패턴은 전력이 사용되는 유형을 식별할 수 있는 정보이고,
    상기 전력 사용 패턴은 전력 사용 시간, 초기 사용 전력, 시간의 흐름에 따른 사용 전력의 변화량, 평균 사용 전력, 완충에 소요되는 시간, 완충 사용 전력, 충전 시작 시에 나타나는 전력의 변화량, 충전 진행 시에 나타나는 전력의 변화량, 충전 시작 시점 및 충전 진행 시점에 나타나는 전압과 전류간의 위상(phase) 차 변화량, 충전 진행시에 나타나는 전압 및 전압의 변동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도전 방지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정당 사용 패턴은 정당한 전력 사용 범위로 설정된 정보이고,
    상기 정당 사용 패턴은 전력 사용 시간, 초기 사용 전력, 시간의 흐름에 따른 사용 전력의 변화량, 평균 사용 전력, 완충에 소요되는 시간, 완충 사용 전력, 충전 시작 시에 나타나는 전력의 변화량, 충전 진행 시에 나타나는 전력의 변화량, 충전 시작 시점 및 충전 진행 시점에 나타나는 전압과 전류간의 위상(phase) 차 변화량, 충전 진행시에 나타나는 전압 및 전압의 변동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도전 방지 방법.
  8. 삭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사용 패턴이 상기 허가 정당 사용 패턴과 상기 인증 정당 사용 패턴 중 어느 정당 사용 패턴과 일치하는지에 대한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도전 방지 방법.
  10. 삭제
  11. 제5항에 있어서,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배전반으로부터 상기 콘센트로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 또는 허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도전 방지 방법.
  12. 콘센트의 콘센트 ID를 획득하는 콘센트 ID 판독부;
    상기 콘센트 ID에 대응하는 콘센트 위치 정보와 단말 위치 정보가 서로 일치하는지 판단하여, 상기 콘센트 위치 정보와 상기 단말 위치 정보가 서로 일치할 경우, 전력 수신기의 일시적인 전력 사용이 허용되도록 하는 인증 정당 사용 패턴의 기초가 되는 충전 용도 정보를 생성하는 위치 비교부; 및
    상기 콘센트 위치 정보와 상기 단말 위치 정보가 서로 일치함을 나타내는 위치 부합 메시지와 상기 충전 용도 정보를 전송하는 서버 통신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용도 정보는,
    사용 예정 시간, 상기 전력 수신기의 종류, 기종, 정격 전압, 정격 전류, 충전 용량, 현재 잔여 충전량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정당 사용 패턴은,
    전력 사용 시간, 초기 사용 전력, 시간의 흐름에 따른 사용 전력의 변화량, 평균 사용 전력, 완충에 소요되는 시간, 완충 사용 전력, 충전 시작 시에 나타나는 전력의 변화량, 충전 진행 시에 나타나는 전력의 변화량, 충전 시작 시점 및 충전 진행 시점에 나타나는 전압과 전류간의 위상(phase) 차 변화량, 충전 진행시에 나타나는 전압 및 전압의 변동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부합 메시지와 상기 충전 용도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전력 수신기의 전력 사용을 승인하는 사용 승인 메시지를 표시하는 알림 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16. 배전반과 콘센트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배전반으로부터 상기 콘센트로 공급되는 전력을 감지하는 도전 방지 장치; 및
    상기 감지된 전력에 대한 전력 데이터를 수신하여 전력 사용 패턴을 분석하고, 상기 전력 사용 패턴이 정당 사용 패턴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도전 모니터링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도전 모니터링 서버는, 판단 결과에 따라 건물 관리자 단말로 전송되는 알림 메시지의 기초가 되는 분석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정당 사용 패턴은, 미리 건물 관리자에 의해 등록된 허가 정당 사용 패턴 및 일시적으로 전력 사용을 원하는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기초로 인증된 인증 정당 사용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콘센트의 콘센트 ID에 대응하는 콘센트 위치 정보와 단말 위치 정보가 서로 일치하는지 판단하여, 상기 콘센트 위치 정보와 상기 단말 위치 정보가 서로 일치할 경우, 전력 수신기의 일시적인 전력 사용이 허용되도록 하는 인증 정당 사용 패턴의 기초가 되는 충전 용도 정보를 생성하는 사용자 단말을 더 포함하고,
    상기 도전 방지 장치는, 판단 결과에 따른 허가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배전반으로부터 상기 콘센트로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 또는 허용하는 도전 방지 시스템.
  17. 삭제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사용 패턴이 상기 허가 정당 사용 패턴과 상기 인증 정당 사용 패턴 중 어느 정당 사용 패턴과 일치하는지에 대한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는 인증 및 관리 서버를 더 포함하는 도전 방지 시스템.
  19. 삭제
  20. 삭제
  21. 배전반으로부터 콘센트로 공급되는 감지된 전력에 대한 전력 데이터를 도전 방지 장치로부터 수신하여 전력 사용 패턴을 분석하고, 상기 전력 사용 패턴이 정당 사용 패턴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건물 관리자 단말로 전송되는 알림 메시지의 기초가 되는 분석 데이터를 생성하며,
    상기 정당 사용 패턴은, 미리 건물 관리자에 의해 등록된 허가 정당 사용 패턴 및 일시적으로 전력 사용을 원하는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기초로 인증된 인증 정당 사용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인증 정당 사용 패턴은 위치 인증이 완료된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생성한 충전 용도 정보를 기초로 생성되는 도전 모니터링 서버.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 방지 장치가 상기 배전반으로부터 상기 콘센트로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 또는 허용하도록 제어하는 허가 데이터를 생성하는 도전 모니터링 서버.
  23. 배전반과 콘센트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배전반으로부터 상기 콘센트로 공급되는 전력을 감지하는 도전 방지 장치;
    상기 감지된 전력에 대한 전력 데이터를 수신하여 전력 사용 패턴을 분석하고, 상기 전력 사용 패턴이 정당 사용 패턴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른 분석 데이터를 생성하는 도전 모니터링 서버; 및
    상기 분석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전력 사용 패턴이 상기 정당 사용 패턴인지에 대한 알림 메시지를 관리자 단말로 전송하는 인증 및 관리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콘센트의 콘센트 ID에 대응하는 콘센트 위치 정보와 단말 위치 정보가 서로 일치하는지 판단하여, 상기 콘센트 위치 정보와 상기 단말 위치 정보가 서로 일치할 경우, 전력 수신기의 일시적인 전력 사용이 허용되도록 하는 인증 정당 사용 패턴의 기초가 되는 충전 용도 정보를 생성하는 사용자 단말을 더 포함하고,
    상기 도전 방지 장치는, 판단 결과에 따른 허가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배전반으로부터 상기 콘센트로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 또는 허용하는 도전 방지 시스템.
  24. 삭제
  25. 삭제
KR1020160099310A 2016-08-04 2016-08-04 사용자 단말, 도전 방지 장치, 도전 모니터링 서버, 도전 방지 시스템 및 도전 방지 방법 KR1018278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9310A KR101827884B1 (ko) 2016-08-04 2016-08-04 사용자 단말, 도전 방지 장치, 도전 모니터링 서버, 도전 방지 시스템 및 도전 방지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9310A KR101827884B1 (ko) 2016-08-04 2016-08-04 사용자 단말, 도전 방지 장치, 도전 모니터링 서버, 도전 방지 시스템 및 도전 방지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7884B1 true KR101827884B1 (ko) 2018-02-09

Family

ID=611989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9310A KR101827884B1 (ko) 2016-08-04 2016-08-04 사용자 단말, 도전 방지 장치, 도전 모니터링 서버, 도전 방지 시스템 및 도전 방지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788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76985A (ja) * 2010-02-25 2011-09-08 Nec System Technologies Ltd 電力供給システム、電力供給方法、ならびに、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76985A (ja) * 2010-02-25 2011-09-08 Nec System Technologies Ltd 電力供給システム、電力供給方法、ならびに、プログラ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46045B2 (ja) 車両イベントデータを提供するための装置、方法及び物品
US9688155B2 (en) Authentication and pairing of a mobile device to an external power source
US20140285318A1 (en) Smart power supply device and corresponding method for using a power supply device
KR101625472B1 (ko) 전기 에너지/전력을 측정하고 계량하는 계량 및 측정 포인트 시스템 및 방법
US20180026404A1 (en) User authenticating electrical outlet or connector, power mediating module, and power consuming device
CA2909028A1 (en) Location-based electric power mediation module, electric vehicle, mediation server, and user certification socket or connector
KR101654714B1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전기자동차 양방향 충전 관리시스템 및 방법
US20180278091A1 (en)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the communication apparatus, and program
CN104518529A (zh) 一种车载充电设备的认证方法及相应设备
CN104518533A (zh) 一种无线充电方法及无线充电系统
JP2014529983A5 (ko)
JP6139564B2 (ja) 充放電制御装置、充放電制御システム、充放電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5966354A (zh) 一种基于网络的电动车安全智能控制系统及其方法
US10026068B2 (en) Charging fee payment system and target apparatus used in the same
KR101828593B1 (ko) 사용자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전기자동차용 모바일충전기의 충전시스템
JP2013051780A (ja) 車両用充電システムおよび車両用充電ケーブル
US20190351782A1 (en) Management server,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KR101827884B1 (ko) 사용자 단말, 도전 방지 장치, 도전 모니터링 서버, 도전 방지 시스템 및 도전 방지 방법
CN111277558B (zh) 保护电动车辆电力传输系统中的机密信息的方法和装置
KR102193383B1 (ko) 전기운송장치를 위한 이동형 충전기
KR101680102B1 (ko) 사용자인증 콘센트 또는 커넥터
KR20110068562A (ko) 사용자 인증을 통한 전력 충전 시스템 및 방법
KR20150080126A (ko)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전 방법
CN111094057A (zh) 供电装置、供电系统及其使用方法
JP5165713B2 (ja) 電気自動車の給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