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7877B1 - 조립식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조립식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7877B1
KR101827877B1 KR1020160077587A KR20160077587A KR101827877B1 KR 101827877 B1 KR101827877 B1 KR 101827877B1 KR 1020160077587 A KR1020160077587 A KR 1020160077587A KR 20160077587 A KR20160077587 A KR 20160077587A KR 101827877 B1 KR101827877 B1 KR 1018278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d unit
base frame
led
pane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75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43385A (ko
Inventor
김재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한전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한전광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한전광
Priority to KR10201600775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7877B1/ko
Publication of KR201701433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433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78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78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2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geometrical disposition of the individual elements
    • G09F9/3026Video wall, i.e. stackable semiconductor matrix display modul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6Combining plural substrates to produce large-area displays, e.g. tiled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06F3/1446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display composed of modules, e.g. video wal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형 전광판을 구성하는 각 엘이디 단위 패널의 정밀한 장착이 가능하여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고, 보수할 엘이디 단위 패널만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어 유지 보수가 뛰어나며, 스크린이 갖는 2차원적 표현의 한계를 벗어나 3차원의 입체적 표현을 구현할 수 있어 제품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조립식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엘이디(LED) 단위 패널; 상기 복수의 엘이디 단위 패널이 일면에 조립되는 베이스 프레임; 상기 복수의 엘이디 단위 패널 각각을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서 탈부착 가능하게 구비시키는 탈부착 수단;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대한 상기 엘이디 단위 패널의 장착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한 래칭 수단;을 포함하는 조립식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조립식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CASE STRUCTURE FOR HUGE SCREEN}
본 발명은 조립식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대형 전광판을 구성하는 각 엘이디 단위 패널의 정밀한 장착이 가능하여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고, 보수할 엘이디 단위 패널만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어 유지 보수가 뛰어나며, 스크린이 갖는 2차원적 표현의 한계를 벗어나 3차원의 입체적 표현을 구현할 수 있어 제품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조립식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소비자들에게 회사의 상호나 제품을 선전하기 위하여 다양한 광고수단들이 사용되고 있다. 그 중 엘이디(LED: Light Emitting Diode) 전광판은 다양한 색상 및 화면을 구현할 수 있고 문자가 움직이도록 하여 생동감 있게 광고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 최근 각광을 받고 있다.
엘이디란 빛을 발하는 반도체 소자인 발광 다이오드를 의미하며, 적색, 녹색, 청색 등의 다양한 색상으로 여러가지 문자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대형 엘이디 전광판을 사용하면 이미지 표시 등 영상표현도 가능하게 된다.
엘이디 전광판은 하나의 픽셀(Pixel)을 구성하는 엘이디 유닛의 개수 및 색상에 따라 풀 컬러(Full Color) 전광판과 3 컬러 전광판으로 구분할 수 있다.
풀 컬러 전광판은 빛의 삼원색인 적색 엘이디, 녹색 엘이디 및 청색 엘이디로 하나의 픽셀을 구성하기 때문에 모든 색상의 구현이 가능하다. 이에 비하여 3 컬러 엘이디 전광판은 통상 청색을 제외한 2개의 엘이디, 예컨대 녹색 엘이디 및 적색 엘이디가 하나의 픽셀을 구성하게 되므로 색상의 재현에 한계가 있다. 풀 컬러 전광판의 경우 전 색상을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3개의 엘이디를 사용하게 되므로 전력 소모가 크고 발열량도 많은 단점이 있다. 또한, 청색의 엘이디가 타 엘이디에 비해 비교적 고가이므로 가격이 비싸다는 단점도 있다.
따라서, 간단한 광고나 정보 안내를 위한 전광판으로는 3컬러 전광판이 널리 사용되고, 동영상과 같은 다양한 색 재현이 요구되는 곳에서는 풀 컬러 전광판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엘이디 전광판의 일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의 엘이디 전광판에서 엘이디 패널과 지지판이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일반적인 엘이디 전광판(1)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엘이디 유닛(11)이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엘이디 패널(10)이 다수 조립되어 이루어진다.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엘이디 패널(10)이 프레임(20)의 양쪽에 조립될 수도 있다.
이러한 엘이디 전광판은 건물의 옥상 등에 대형으로 설치될 수도 있고, 소형으로 제작되어 건물의 내부 또는 외부에서 각종 구조물에 부착되기도 한다. 상기한 엘이디 전광판은 다수의 엘이디 패널(10)이 조립되어 이루어지므로, 이 엘이디 패널(10)을 프레임(20)에 장착하기 위한 구조가 필요하다.
도 2는 상기한 엘이디 패널(10)을 프레임(20)에 장착하는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 종래의 엘이디 패널(20)의 장착구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20)의 내부에 설치된 지지판(30)에 각각의 엘이디 패널(20)이 장착되고 있다.
상기 지지판(20)은 프레임(20)의 강성을 유지하기 위해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며, 보통 프레임(30)의 내부에서 가로방향으로 장착된다. 상기 지지판(30)에는 엘이디 패널(10)에 구비된 체결부재(40)가 관통될 수 있도록 관통구(3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엘이디 패널(10)에 구비된 체결부재(40)를 상기 관통구(31)를 통과시킨 후, 결합너트(50)로 체결하면 엘이디 패널(10)의 장착이 완료된다. 엘이디 패널(10)이 가로방향 뿐만 아니라 세로방향으로도 다수 배열되는 대형 전광판의 경우에는, 각 엘이디 패널(10)을 고정시키기 위한 지지판(30)이 가로 방향으로 다수 구비된다.
그런데 상기 엘이디 패널(10)을 지지판(30)에 고정하기 위해서는, 상기 엘이디 패널(10)의 체결부재(40)를 일일이 관통구(31)를 통과시킨 후 결합너트(50)로 체결해야 하는 불편함이 따른다.
또한, 지지판(30)의 뒷쪽 공간이 협소하여 엘이디 패널(10)을 조립하기가 용이하지 않다. 특히, 지지판(30)이 다수 형성되어 있는 대형 전광판의 경우에는 조립작업의 어려움이 더욱 가중된다.
더욱이, 지지판(30)에 형성된 관통구(31)의 구멍이 엘이디 패널(10)의 체결부재(40)의 위치와 정확하게 일치하지 않으면, 지지판(30)에 새로이 관통구(31)를 형성해야 하는 등 엘이디 패널(10)의 조립에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실제로 엘이디 패널을 조립하다 보면, 엘이디 패널(10)의 체결부재(40)의 위치와 지지판(30)에 형성되어 있는 관통구(31)가 서로 정확하게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많이 발생한다. 이에 따라, 종래의 엘이디 패널의 조립방법에 의하면, 엘이디 패널(10)의 조립에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특히, 대형 전광판을 조립할 경우에는, 다수의 엘이디 패널(10)을 장착하는 데 많은 시간이 소요됨으로 인하여 생산성이 심각하게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엘이디 전광판은 엘이디 패널은 설치 및 보수 시 COB(Chip On Board) 타입과 같이 한 모듈(Module)의 엘이디 패널의 테두리에 장착된 LED 소자가 서로 맞닿아 LED에 손상이 발생되며, 엘이디 패널과 엘이디 패널의 조립 시 모듈의 간격이 틀어져 돗 피치(DOT Pitch)가 벌어지거나 붙어버리는 등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엘이디 전광판에 있어서, 다수의 모듈로 구성되는 전광판에 모듈 1개가 불량으로 교체하는 경우, 작업자는 2인 1조가 되어 1인은 전면에 대기하고 후면 수리자가 컨트롤러와 전원부 및 후면 케이스 등을 모두 분리하고, 보수할 모듈에 해당하는 볼트를 풀고, 전면으로 밀어내면 전면 보수자가 해당 모듈을 받는다. 이 경우 인접 모듈과 간격이 0.1mm 정도이므로 모듈의 탈착 각도가 조금이라도 기울어지는 경우 인접 픽셀이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고, LED 소자 교체도 수동기구 (납땜인두)로 어려움이 있으며, LED를 교체하더라도 이색 등 품질상의 문제가 있다.
(문헌 1) 대한민국 실용신안공보 제20-1995-0001891호(1994.02.21.) (문헌 2)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10-2014-0072272호(2014.06.13.) (문헌 3)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42753호(2011.06.13.)
따라서,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대형 전광판을 구성하는 각 엘이디 단위 패널의 정밀한 장착이 가능하여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고, 보수할 엘이디 단위 패널만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어 유지 보수가 뛰어나며, 스크린이 갖는 2차원적 표현의 한계를 벗어나 3차원의 입체적 표현을 구현할 수 있어 제품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조립식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들 및 다른 특징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복수의 엘이디(LED) 단위 패널; 상기 복수의 엘이디 단위 패널이 일면에 조립되는 베이스 프레임; 상기 복수의 엘이디 단위 패널 각각을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서 탈부착 가능하게 구비시키는 탈부착 수단;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대한 상기 엘이디 단위 패널의 장착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한 래칭 수단;을 포함하는 조립식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탈부착 수단은 상기 엘이디 단위 패널에 구비되는 샤프트 부재;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형성되는 장착 구멍; 상기 장착 구멍에 구비되어 상기 샤프트 부재의 선형이동을 안내하는 선형이동 가이드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선형이동 가이드 부재는 리니어 부싱(linear bushing)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래칭 수단은 상기 엘이디 단위 패널의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호 대향면 중 하나에 구성되는 자성체 및 상기 엘이디 단위 패널의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호 대향면 중 다른 하나에 구성되는 자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엘이디 단위 패널이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엘이디 단위 패널을 분리하기 위한 단위패널 분리 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단위패널 분리 수단은 상기 엘이디 단위 패널을 커버 보호하며,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보호 커버, 및 상기 보호 커버에 구성되는 인출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엘이디 단위 패널이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엘이디 단위 패널을 분리하기 위한 단위패널 분리 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단위패널 분리 수단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후방에 구비되되 상기 엘이디 단위 패널에 각각 상응하게 구비되는 구동 모터와, 상기 구동 모터의 회전축의 회전 운동을 선형 왕복 운동으로 변환시키는 운동 변환 수단과, 일단부는 상기 운동 변환 수단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베이스 프레임을 관통하여 상기 엘이디 단위 패널의 베이스 플레이트 또는 샤프트 부재에 탈착가능하게 연결되어 선형이동하는 연결 부재와, 상기 구동 모터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 신호를 원격에서 조정하는 리모트 컨트롤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립식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영상을 제어하는 영상 제어부와 연동되고, 상기 영상 제어부에 의해 표출되는 영상에 따라 상기 구동 모터를 제어하여 상기 엘이디 단위 패널을 음각 또는 양각으로 표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에 따르면, LED 전광판과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성하는 각 엘이디 단위 패널의 정밀한 장착이 가능하여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고, 보수할 엘이디 단위 패널만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어 작업 인원을 최소화하고, 유지 보수가 용이하며, 유지 관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크린이 갖는 2차원적 표현의 한계를 벗어나 3차원의 입체적 표현을 구현할 수 있어 새로운 개념의 전광판을 제공하며, 제품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엘이디 전광판의 일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엘이디 전광판에서 엘이디 패널과 지지판이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성하는 메인 구성요소들이 이동작업 베이스에 안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성하는 메인 구성요소들이 이동작업 베이스에 안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성하는 메인 구성요소들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성하는 메인 구성요소들의 결합 상태를 후면 측에서 바라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성하는 엘이디 단위 패널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성하는 엘이디 단위 패널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성하는 단위패널 분리 수단의 다른 실시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도면으로부터 보다 명료하게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도모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아래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예시들은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성하는 메인 구성요소들이 이동작업 베이스에 안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성하는 메인 구성요소들이 이동작업 베이스에 안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성하는 메인 구성요소들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성하는 메인 구성요소들의 결합 상태를 후면 측에서 바라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성하는 엘이디 단위 패널을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성하는 엘이디 단위 패널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도 3 내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엘이디 단위 패널이 조립되어 구성되는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다수의 엘이디 유닛이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복수의 엘이디(LED) 단위 패널(100); 상기 복수의 엘이디 단위 패널(100)이 일면에 조립되는 베이스 프레임(200); 상기 베이스 프레임(200)으로부터 상기 복수의 엘이디 단위 패널(100) 각각을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탈부착 수단; 및 상기 엘이디 단위 패널(100)을 베이스 프레임(200)에 안정적으로 장착시키기 위한 래칭 수단을 포함한다. 도면에서 도면부호 A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작하는데 이용되는 이동가능한 작업대이다.
상기 엘이디 단위 패널(100)은 베이스 플레이트(110)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일면(전면)에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 실장된 엘이디 유닛(120)과,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타면(후면)에 설치되는 전기전자 회로 유닛(130)을 포함한다. 이러한 엘이디 단위 패널은 조립식 대형전광판에 이용되는 공지의 것을 채용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200)은 형성되는 단일 프레임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는 한편, 엘이디 단위 패널(100)가 소정 갯수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서브 프레임이 메인 프레임에 고정되는 이중 프레임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베이스 프레임(200)은 엘이디 단위 패널(100)을 장착할 수 있는 크기와 구성이라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음으로, 상기 베이스 프레임(200)으로부터 복수의 엘이디 단위 패널(100) 각각을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탈부착 수단은, 상기 엘이디 단위 패널(100)에 형성되는 선형 샤프트 부재(310)와, 상기 베이스 프레임(200)에 형성되는 장착 구멍(320)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200)의 장착 구멍(320)에 구비되어 상기 선형 샤프트 부재(310)의 선형이동을 안내하는 선형이동 가이드 부재(330)를 포함한다.
상기 선형 샤프트 부재(310)는 엘이디 단위 패널(100)의 베이스 플레이트(110)에서 소정 길이 돌출되는, 바람직하게는 베이스 플레이트(110)이 네 모서리부에서 돌출되는 원형 로드 부재로 이루어진다.
상기 장착 구멍(320)은 상기 선형 샤프트 부재(310)가 형성되는 간격과 개수에 상응하여 베이스 프레임(200)에 천공 형성된다.
상기 선형이동 가이드 부재(330)는 상기 장착 구멍(320)에 설치되어 선형이동 가이드 부재(330)의 장착 상태를 유지하면서 선형이동을 안정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리니어 부싱(linear bushing)으로 이루어진다.
계속해서, 상기 엘이디 단위 패널(100)을 베이스 프레임(200)에 안정적으로 장착시키기 위한 래칭 수단은, 상기 엘이디 단위 패널(100)의 베이스 플레이트(110)와 상기 베이스 프레임(200)의 상호 대향면에 구비되는 자석으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상기 래칭 수단은 상기 엘이딩 단위 패널(100)의 베이스 플레이트(110)에 구비되는 제1 자성체,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200)에 구비되는 제2 자성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자성체 및 제2 자성체는 적어도 하나가 자석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 및 베이스 프레임(200) 중 하나가 철재와 같은 자성체로 이루어지는 경우, 제1 자성체 및 제2 자성체 중 하나는 생략되고 다른 하나의 자성체가 자석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래칭 수단에서 제1 자성체 및 제2 자성체 중 하나는 돌출 형태로 구성되고, 다른 하나는 홈에 소정 깊이를 갖고 구성되어 자력의 인력에 의해 두 자성체가 결합됨과 동시에 요철 결합됨으로써 결착 상태를 더욱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베이스 프레임(200)에 장착된 엘이디 단위 패널(100)을 분리하기 위한 단위패널 분리 수단을 더 포함한다.
상기 단위패널 분리 수단은 상기 엘이디 단위 패널(100)을 커버 보호하도록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보호 커버(미도시), 및 상기 보호 커버에 구성되는 인출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출 부재는 예를 들면 보호 커버의 일면에 구성되는 인출 노브나 인출 와이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출 부재와 함께 또는 인출 부재 대신에, 상기 보호 커버에 흡착되어 엘이디 단위 패널을 인출할 수 있는 진공흡착기로 대체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단위패널 분리 수단의 다른 실시 형태를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성하는 단위패널 분리 수단의 다른 실시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성하는 단위패널 분리 수단의 다른 실시 형태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이스 프레임(200) 후방에 구비되는 구동 모터(410)와, 상기 구동 모터(410)의 회전축의 회전 운동을 선형 왕복 운동으로 변환시키는 운동 변환 수단(420), 일단부는 상기 운동 변환 수단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베이스 프레임(200)을 관통하여 엘이디 단위 패널(100)의 베이스 플레이트(110)에 탈착가능하게 연결되어 선형이동하는 연결 부재(430), 상기 구동 모터(410)를 제어하는 제어부(440), 및 상기 제어부(440)의 제어 신호를 원격에서 조정하는 리모트 컨트롤부(450)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제어부(440)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영상 신호를 제어하는 영상제어부와 연동되게 구성되어 후술하는 영상의 양각 및 음각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상기 구동 모터(410)는 정역 회전가능한 서보모터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운동 변환 수단(420)은 크랭크와 캠 등을 포함하는 메커니즘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연결 부재(430)는 연결 로드나 관절 링크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에서, 상기 구동 모터(410)는 각 엘이디 단위 패널(100)에 상응하게, 다시 말해서 엘이디 단위 패널(100) 마다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연결 부재(430)는 베이스 플레이트 대신에 선형 샤프트 부재에 연결될 수도 있다.
이러한 다른 실시 형태의 단위패널 분리 수단은 리모트 컨트롤부(450)에서 베이스 프레임(100)으로부터 하고자 하는 엘이디 단위 패널(100)에 대한 해당 제어 신호를 전달하면, 제어부(440)는 해당 엘이디 단위 패널(100)의 구동 모터(410)를 정회전 구동시켜 엘이디 단위 패널(100)을 베이스 프레임(200)으로 어느 정도 밀어내고, 연결 부재(430)의 타단부의 연결 상태를 해제한 후 엘이디 단위 패널(100)을 베이스 프레임(200)으로부터 분리하게 된다.
한편, 이와 같은 다른 실시 형태의 단위패널 분리 수단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영상 운영에서 영상 제어와 함께 일부 엘이디 단위 패널을 선형 왕복 이동하도록 제어함으로써 해당 엘이디 단위 패널이 양각으로 또는 음각으로 표현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엘이디 단위 패널을 음각 또는 양각으로 표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인도가 우수하고 영상 일부를 강조하여 입체로 보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미디어 아트로 활용하여 컴퓨터 그래픽에 이러한 기능을 합성하여 음각과 양각으로 모든 엘이디 단위 패널을 영상과 연동되도록 함으로써 전광판 화면상에서 지진과 같은 상황에서 땅이 갈라지기도 하고 화면이 움직이는 미디어 아트 연출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조립식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에 따르면, 엘이디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성하는 각 엘이디 단위 패널의 정밀한 장착이 가능하여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고, 보수할 엘이디 단위 패널만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어 작업 인원을 최소화하고, 유지 보수가 용이하며, 유지 관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크린이 갖는 2차원적 표현의 한계를 벗어나 3차원의 입체적 표현을 구현할 수 있어 새로운 개념의 전광판을 제공하며, 제품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엘이디(LED) 단위 패널
110: 베이스 플레이트
120: 엘이디 유닛
130: 전기전자 회로유닛
200: 베이스 프레임
310: 선형 샤프트 부재
320: 장착 구멍
330: 선형이동 가이드 부재
410: 구동 모터
420: 운동 변환 수단
430: 연결 부재
440: 제어부
450: 리모트 컨트롤부

Claims (6)

  1. 복수의 엘이디(LED) 단위 패널;
    상기 복수의 엘이디 단위 패널이 일면에 조립되는 베이스 프레임;
    상기 복수의 엘이디 단위 패널 각각을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서 탈부착 가능하게 구비시키는 탈부착 수단;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대한 상기 엘이디 단위 패널의 장착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하여 상기 엘이디 단위 패널의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호 대향면 중 하나에 구성되는 자성체 및 상기 엘이디 단위 패널의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호 대향면 중 다른 하나에 구성되는 자석으로 이루어지는 래칭 수단; 및
    상기 엘이디 단위 패널이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엘이디 단위 패널을 분리하기 위한 단위패널 분리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탈부착 수단은, 상기 엘이디 단위 패널에 구비되는 샤프트 부재;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형성되는 장착 구멍; 및 상기 장착 구멍에 구비되어 상기 샤프트 부재의 선형이동을 안내하는 선형이동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선형이동 가이드 부재는 리니어 부싱(linear bushing)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단위패널 분리 수단은 상기 엘이디 단위 패널을 커버 보호하며,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보호 커버, 및 상기 보호 커버에 구성되는 인출 부재를 포함하는
    조립식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복수의 엘이디(LED) 단위 패널;
    상기 복수의 엘이디 단위 패널이 일면에 조립되는 베이스 프레임;
    상기 복수의 엘이디 단위 패널 각각을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서 탈부착 가능하게 구비시키는 탈부착 수단;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대한 상기 엘이디 단위 패널의 장착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하여 상기 엘이디 단위 패널의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호 대향면 중 하나에 구성되는 자성체 및 상기 엘이디 단위 패널의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호 대향면 중 다른 하나에 구성되는 자석으로 이루어지는 래칭 수단; 및
    상기 엘이디 단위 패널이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엘이디 단위 패널을 분리하기 위한 단위패널 분리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탈부착 수단은, 상기 엘이디 단위 패널에 구비되는 샤프트 부재;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형성되는 장착 구멍; 및 상기 장착 구멍에 구비되어 상기 샤프트 부재의 선형이동을 안내하는 선형이동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선형이동 가이드 부재는 리니어 부싱(linear bushing)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단위패널 분리 수단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후방에 구비되되 상기 엘이디 단위 패널에 각각 상응하게 구비되는 구동 모터와, 상기 구동 모터의 회전축의 회전 운동을 선형 왕복 운동으로 변환시키는 운동 변환 수단과, 일단부는 상기 운동 변환 수단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베이스 프레임을 관통하여 상기 엘이디 단위 패널의 베이스 플레이트 또는 샤프트 부재에 탈착가능하게 연결되어 선형이동하는 연결 부재와, 상기 구동 모터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 신호를 원격에서 조정하는 리모트 컨트롤부를 포함하는
    조립식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립식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영상을 제어하는 영상 제어부와 연동되고, 상기 영상 제어부에 의해 표출되는 영상에 따라 상기 구동 모터를 제어하여 상기 엘이디 단위 패널을 음각 또는 양각으로 표출하도록 구성되는
    조립식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60077587A 2016-06-21 2016-06-21 조립식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 KR1018278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7587A KR101827877B1 (ko) 2016-06-21 2016-06-21 조립식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7587A KR101827877B1 (ko) 2016-06-21 2016-06-21 조립식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43385A KR20170143385A (ko) 2017-12-29
KR101827877B1 true KR101827877B1 (ko) 2018-02-12

Family

ID=609390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7587A KR101827877B1 (ko) 2016-06-21 2016-06-21 조립식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787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499052B1 (en) 2017-12-15 2021-11-17 LG Display Co., Ltd. Tiled display device and tiling apparatus therefor
KR102009658B1 (ko) 2018-08-23 2019-08-1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분해 방법
KR102226365B1 (ko) * 2019-06-17 2021-03-12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소음 저감 기능을 갖는 발광장치
CN110322799B (zh) * 2019-08-22 2021-05-11 嘉视(山东)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组合式led显示屏模组
KR102146217B1 (ko) * 2020-01-10 2020-08-19 유현자 Led 전광판 설치방법
KR102558909B1 (ko) * 2021-08-23 2023-07-21 한국로봇융합연구원 키네틱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43385A (ko) 2017-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7877B1 (ko) 조립식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
CN111108542B (zh) 用于显示模块的磁调节工具
KR101149059B1 (ko) Led전광판
EP1798709B1 (en) Rolling light emitting diode screen device
CN109979335B (zh) 显示模块和显示装置
CN111344772A (zh) 显示装置及其拆卸方法
KR980007798A (ko) 입체 영상 표시 방법 및 장치
KR20160076765A (ko) 멀티 비젼 디스플레이 장치
JP3188328U (ja) Led球体ディスプレイ
US20200064677A1 (en) Display apparatus
CN111095388A (zh) 用于显示模块的磁闩锁
AU2014100664A4 (en) Small-spacing LED Screen
KR20200023151A (ko) 디스플레이 장치
CN113903271B (zh) 显示模组及拼接显示装置
CN109448562A (zh) 一种联动模块化led显示模组
KR200454111Y1 (ko) 엘이디 전광판의 엘이디 패널 장착구조
CN115223497B (zh) 一种微显示芯片的图像显示方法及显示装置
KR101724830B1 (ko) Led 전광판
KR20090035877A (ko) 모듈식 엘이디 디스플레이 블록
JP4636817B2 (ja) Ledディスプレイユニット及びled表示装置
CN211591848U (zh) 一种卷平喷画机
CN218735395U (zh) 一种便于拆装调节的led箱体
CN105652495A (zh) 显示器框架和显示器
JP2008281662A (ja) 大画面表示パネルおよびそれに用いるパネルユニット
KR20060132115A (ko) 스트립 형태의 엘이디 컬러 스크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