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7632B1 - 주변 반사 적응형 디스플레이 제어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주변 반사 적응형 디스플레이 제어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7632B1
KR101827632B1 KR1020160065339A KR20160065339A KR101827632B1 KR 101827632 B1 KR101827632 B1 KR 101827632B1 KR 1020160065339 A KR1020160065339 A KR 1020160065339A KR 20160065339 A KR20160065339 A KR 20160065339A KR 101827632 B1 KR101827632 B1 KR 1018276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unit
characteristic information
display unit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53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33921A (ko
Inventor
김회민
정광현
김상유
Original Assignee
한국광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광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광기술원
Priority to KR10201600653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7632B1/ko
Publication of KR201701339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39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76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76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007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 G09G3/2044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using dither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33Improving the luminance or brightness uniformity across the scree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60/00Aspects of the architecture of display systems
    • G09G2360/14Detecting light within display terminals, e.g. using a single or a plurality of photosensors
    • G09G2360/144Detecting light within display terminals, e.g. using a single or a plurality of photosensors the light being ambient ligh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장치가 위치한 주변의 조명, 벽면, 바닥 및 천장면 등의 재질에 따른 반사특성에 적응하여 디스플레이장치의 화면 가장자리를 변화시켜 디스플레이장치의 주변과 조화로운 화면을 제공할 수 있는 주변 반사 적응형 디스플레이 제어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부의 화면 특성 정보와,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설치된 주변부의 환경 특성 정보를 검출하는 센서부; 임의의 화면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센서부에서 검출한 디스플레이부의 화면 특성 정보와 주변부의 반사정보를 포함한 환경 특성 정보를 비교하며,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 특성 정보를 변경하고, 상기 변경된 화면 특성 정보를 화면 신호에 반영하여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디스플레이부의 화면 특성 정보에 따라 화면 신호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장치가 위치한 주변의 조명, 벽면, 바닥 및 천장면 등의 재질에 따른 반사특성에 적응하여 디스플레이장치의 화면 가장자리를 변화시켜 디스플레이장치의 주변과 조화로운 화면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주변 반사 적응형 디스플레이 제어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FOR ADAPTION OF SURROUNDING REFLECTIVE}
본 발명은 주변 반사 적응형 디스플레이 제어장치 및 방법에 관한 발명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장치가 위치한 주변의 조명, 벽면, 바닥 및 천장면 등의 재질에 따른 반사특성에 적응하여 디스플레이장치의 화면 가장자리를 변화시켜 디스플레이장치의 주변과 조화로운 화면을 제공할 수 있는 주변 반사 적응형 디스플레이 제어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디스플레이장치에 관심이 고조되고, 이에 대한 수요가 높아지면서 경량 박막형 평판 표시 장치에 대한 연구와 상업화가 널리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평판 표시 장치 중 특히, 액정 표시 장치 (Liquid Crystal Display; LCD) 와 유기 발광 표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OLED)에 대한 연구가 널리 이루어지고 있다.
LCD 및 OLED 평판 표시 장치는 각각 장치마다 고유한 광학 특성을 갖고 있으며, 특히 상이한 휘도(Luminance), 명암비(Contrast ratio), 색온도(Color temperature) 및 색재현 영역(Color Gamut)을 가진다.
LCD 및 OLED 평판 표시 장치는 각각의 휘도, 명암비 및 색재현 영역 내에서 사용자의 취향에 맞추어 원하는 화면을 선택할 수 있도록 다양한 화면 모드를 제공하고 있다.
화면 모드는 예컨대 감마 2.2 기준을 만족하는 표준 모드, 명암비가 향상된 다이나믹 모드, 색 재현력을 강화한 내츄럴 모드, 영화관 느낌을 구현하는 시네마 모드 등이 있으며, 화면 모드 각각은 입력 영상을 목표하는 영상 특성을 갖도록 변환한다.
그러나 기존의 표시 장치에서 모드가 목표하는 영상 특성 (화질 특성) 은 예를 들어, 휘도 및 감마 특성이 있고, 이러한 영상 특성은 표시 장치의 제조 시 미리 결정되고,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다.
한편,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64324호(발명의 명칭: 주변광 적응적인 색 보정 장치)에는 주변광의 영향으로 프로젝터 스크린상에 디스플레이된 적어도 흑색 및 백색이 포함된 참조 영상의 색 정보를 측정하는 색 정보 센서와, 상기 측정된 색 정보 및 프로젝터 프로파일을 참조하여 색채 현시 매칭 및 색역 매핑을 위한 색 보정 정보를 산출하는 색 보정 정보 산출부 및 상기 색 보정 정보를 참조하여 입력 영상을 처리하고 색 보정된 영상을 상기 프로젝터로 출력하는 영상 데이터 보정부를 포함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주변광 적응형 색 보정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로서, 유채색의 빛을 발산하는 프로젝터(11)와, 유채색의 영상이 투사되는 프로젝터 스크린(1)과, 외부 빛에 대한 색 정보를 측정하는 색 정보 센서(12), 입력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고 색 정보 센서(12)에 의하여 감지된 색 정보에 근거하여 보정된 영상 데이터를 프로젝터(11)로 출력하는 색 보정 장치(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은 주변광의 밝기만을 고려하여 디스플레이장치 전체의 밝기를 조절함으로써, 디스플레이장치 주변과 자연스럽게 조화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64324호(발명의 명칭: 주변광 적응적인 색 보정 장치)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장치가 위치한 주변의 조명, 벽면, 바닥 및 천장면 등의 재질에 따른 반사특성에 적응하여 디스플레이장치의 화면 가장자리를 변화시켜 디스플레이장치의 주변과 조화로운 화면을 제공할 수 있는 주변 반사 적응형 디스플레이 제어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부의 화면 특성 정보와,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설치된 주변부의 환경 특성 정보를 검출하는 센서부; 임의의 화면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센서부에서 검출한 디스플레이부의 화면 특성 정보와 주변부의 반사정보를 포함한 환경 특성 정보를 비교하며,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 특성 정보를 변경하고, 상기 변경된 화면 특성 정보를 화면 신호에 반영하여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디스플레이부의 화면 특성 정보에 따라 화면 신호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센서부는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의 밝기 및 색상과, 주변부의 밝기 및 색상을 검출하는 카메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센서부는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의 휘도 정보와 주변부의 휘도 정보를 검출하는 휘도 센서와, 주변부의 조명의 밝기와 벽면에서 반사되는 밝기 정보를 검출하는 조도센서와, 사용자의 유무 및 상기 사용자의 이동방향 정보를 검출하는 동작 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어부는 디스플레이부의 휘도와 주변부의 휘도 차이가 감소되도록 화면 특성 정보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에서 검출한 디스플레이부의 화면 밝기와 주변부의 밝기를 비교하여 일치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을 디더링(Dithering)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변부의 밝기 특성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전체 화면 및 가장자리 화면 중 적어도 하나의 화면 영역을 선택적으로 디더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유무에 따라 화면의 온/오프 제어 또는 벽면과 조화되도록 숨겨진 화면이 점차적으로 노출되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LCD 패널, LED 패널, OLED 패널, 사이니지 및 프로젝터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a) 제어부가 임의의 화면을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출력하고,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의 설정 변경 요청을 검출하는 단계; b) 상기 a)단계에서 화면의 설정 변경이 요청되면, 상기 제어부가 센서부에서 주변부의 환경 특성 정보와, 디스플레이부의 화면 특성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 c) 상기 제어부가 검출된 주변부의 환경 특성 정보와 디스플레이부의 화면 특성 정보를 비교하여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d) 상기 c)단계의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제어부가 현재 설정된 화면 특성 정보를 유지하여 디스플레이 화면을 출력하거나 화면 특성 정보를 변경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d)단계의 화면 특성 정보를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센서부에서 검출한 디스플레이부의 화면 밝기와 주변부의 밝기를 비교하여 일치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을 디더링(Dithering)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디더링은 주변부의 밝기 특성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전체 화면 및 가장자리 화면 중 적어도 하나의 화면 영역을 선택적으로 디더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장치가 위치한 주변의 조명, 벽면, 바닥 및 천장면 등의 재질에 따른 반사특성에 적응하여 디스플레이장치의 화면 가장자리를 변화시켜 디스플레이장치의 주변과 조화로운 화면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조명, 시선,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의 주변부 재질 등의 다양한 환경조건을 고려함으로써, 디스플레이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 은 종래 기술에 따른 주변광 적응형 색 보정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주변 반사 적응형 디스플레이 제어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주변 반사 적응형 디스플레이 제어장치를 나타낸 블록도.
도 4 는 도 3에 따른 주변 반사 적응형 디스플레이 제어장치의 센서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5 는 도 3에 따른 주변 반사 적응형 디스플레이 제어장치의 제어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주변 반사 적응형 디스플레이 제어장치를 이용한 화면 제어를 나타낸 예시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주변 반사 적응형 디스플레이 제어장치를 이용한 화면 제어를 나타낸 다른 예시도.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주변 반사 적응형 디스플레이 제어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주변 반사 적응형 디스플레이 제어장치 및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주변 반사 적응형 디스플레이 제어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주변 반사 적응형 디스플레이 제어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며, 도 4는 도 3에 따른 주변 반사 적응형 디스플레이 제어장치의 센서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5는 도 3에 따른 주변 반사 적응형 디스플레이 제어장치의 제어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 내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주변 반사 적응형 디스플레이 제어장치는 센서부(100)와, 제어부(200)와, 디스플레이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센서부(100)는 디스플레이부(300)를 통해 출력되는 화면의 특성 정보와, 임의의 위치에 설치된 디스플레이부(300) 주변부(400)의 환경 특성 정보를 검출하는 구성으로서, 카메라(110)와, 휘도 센서(120)와, 조도 센서(130)와 동작 감지센서(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화면 특성 정보는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의 밝기, 색상, 휘도 등을 포함한 정보이고, 상기 환경 특성 정보는 디스플레이부(300)가 설치된 주변부(400)의 조명(410)의 밝기, 조명(410)의 방향, 벽면(420)의 재질에 따른 밝기 및 색상 등을 포함한 반사 정보이다.
카메라(110)는 디스플레이부(300)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의 밝기 및 색상과, 상기 디스플레이부(300)가 설치된 주변부(400)의 밝기와 벽면(420)의 색상을 검출한다.
상기 휘도 센서(120)는 디스플레이부(300)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의 휘도 정보와 상기 디스플레이부(300)의 주변부(400) 휘도 정보를 검출한다.
상기 조도 센서(130)는 디스플레이부(300)가 설치된 주변부(400)의 조명(410)에 의한 밝기와, 상기 조명(410)에서 출력된 빛이 벽면(420)에서 반사되는 밝기 정보를 검출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벽면(420)에 반사되는 정보로 한정하여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바닥면, 천장면 등에서 반사되는 정보를 검출하여 반영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동작 감지센서(140)는 디스플레이부(300)가 설치된 주변부(400)에 사용자가 있는지 여부와, 상기 사용자의 이동방향 정보를 검출한다.
상기 제어부(200)는 디스플레이부(300)로 미리 설정된 임의의 화면 신호가 출력되도록 하고, 센서부(100)에서 검출한 디스플레이부(300)의 화면 특성 정보와 주변부(400)의 반사 정보를 포함한 환경 특성 정보를 비교하며,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300)의 화면 특성 정보를 변경하고, 상기 변경된 화면 특성 정보를 화면 신호에 반영하여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구성으로서, 디스플레이 제어부(210)와, 디더링부(2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어부(200)의 디스플레이 제어부(210)는 미리 설정된 임의의 디스플레이 화면이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200)의 디스플레이 제어부(210)는 센서부(100)에서 검출된 주변부(400)의 조명, 벽면, 바닥면, 천장면 등의 재질에 따른 반사정보를 포함한 환경 특성 정보가 반영된 디스플레이 화면이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200)의 디스플레이 제어부(210)는 센서부(100)의 동작 감지센서(140)에서 검출한 사용자의 유/무에 따라 디스플레이부(300)로 출력되는 화면이 온/오프되도록 제어한다.
즉 상기 제어부(200)의 디스플레이 제어부(210)는 디스플레이부(300) 주변에 사용자가 검출된 경우 디스플레이부(300)의 오프된 화면을 온시켜 출력되도록 하거나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300) 주변에 사용자가 검출되지 않은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300)의 화면이 오프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200)의 디스플레이 제어부(210)는 센서부(100)의 동작 감지센서(140)에서 사용자가 검출되지 않는 경우 벽면(420)과 조화된 숨겨진 화면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도 6(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가 검출된 경우 디스플레이부(300)를 통해 미리 설정된 디스플레이 화면이 출력되도록 하고, 사용자가 검출되지 않거나 또는 사용자가 검출되지 않은 상태에서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도 6(b) 및 도 6(c)와 같이 디스플레이부(300a, 300b)는 점차적으로 주변부(400)의 벽면(420) 색상 및 재질 등이 디스플레이부(300)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함으로써, 벽면(420)과 조화된 숨겨진 화면으로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벽면(420)과 조화된 숨겨진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는 상태에서 센서부(100)의 동작 감지센서(140)에서 사용자가 검출되면 상기 벽면(420)과 조화되도록 숨겨진 화면이 점차적으로 노출되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00)의 디더링부(220)는 센서부(100)에서 검출한 디스플레이부(300)의 화면 특성 정보와 주변부(400)의 환경 특성 정보를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300)의 화면 특성 정보와 주변부(400)의 환경 특성 정보 일치되도록 제어하는 구성으로서, 상기 센서부(100)의 카메라(110)가 촬영한 색상정보, 휘도 센서(120)가 측정한 휘도정보, 조도 센서(130)가 측정한 조도정보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300)의 화면 특성 정보를 변경한다.
즉 상기 디더링부(220)는 센서부(100)의 카메라(110)가 촬영한 디스플레이부(300)의 화면 색상과, 주변부(400)의 벽면 색상을 비교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300)의 화면과 상기 디스플레이부(300)가 설치된 주변부(400)의 색상이 유사해지도록 디더링(Dithering) 기법을 통해 디스플레이 되는 이미지의 색 공간의 차이에서 오는 결점을 보완하여 색오차를 최대한 최소화시킴으로써, 사실감을 높이고 매끄럽지 못한 울퉁불퉁한 윤곽선이나 대각선을 눈에 띄지 않게 보정하여 조화롭게 보여지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200)의 디더링부(220)는 디스플레이부(300)의 전체 화면(310) 또는 가장자리 화면(320)을 조명(410)과 벽면(420)의 재질에 따른 반사 특성에 따라 선택적으로 변경하여 주변부(400)와 조화로운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도록 변경된 디더링 설정값을 산출하여 디스플레이 제어부(210)로 출력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200)의 디더링부(220)는 디스플레이부(300) 주변의 벽면(420) 재질에 적응하여 디스플레이부(300)의 화면을 변경함에 있어서, 도 7과 같이, 디스플레이부 모서리(330) 부근에 위치한 벽면(420)의 재질과 그에 따른 밝기와 색상 정보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을 그라데이션되도록 디더링 설정값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200)의 디더링부(220)는 센서부(100)의 휘도 센서(120)가 검출한 디스플레이부(300)의 휘도와 주변부(400)의 휘도 차이를 검출하여 휘도의 차이를 분석하고, 상기 분석 결과에 따라 휘도의 차이가 감소되도록 디스플레이부(300)의 색상 및 밝기 제어값을 포함한 화면 특성 정보를 변경하는 디더링 설정값을 산출하여 디스플레이 제어부(210)로 출력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200)의 디더링부(220)는 센서부(100)의 조도 센서(130)에서 검출한 디스플레이부(300)의 화면 밝기와 조명(410) 및 벽면(420)의 반사에 따른 주변부(400)의 밝기를 비교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300)의 밝기와 주변부(400)의 밝기가 일치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300)의 화면을 디더링하는 설정값을 산출하여 디스플레이 제어부(210)로 출력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300)는 제어부(200)에서 출력되는 디스플레이부(300)의 색상, 밝기, 휘도 등을 포함한 화면 특성 정보에 따라 디더링된 화면 신호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300)는 LCD 패널, LED 패널, OLED 패널, 사이니지 및 프로젝터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며, 상기한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색상 밝기, 휘도 등을 포함한 화면 특성 정보를 변경할 수 있는 화상표시수단이면 모두 포함될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에 따른 주변 반사 적응형 디스플레이 제어과정을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주변 반사 적응형 디스플레이 제어과정을 나타낸 흐름도로서, 도 3 및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어부(200)가 임의의 화면을 디스플레이부(300)를 통해 출력(S100)하고, 센서부(100)를 통해 입력되는 정보들을 분석하여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의 설정 변경 요청이 발생되는지 판단(S110)한다.
상기 S110단계의 판단 결과, 화면의 설정 변경이 요청되면, 상기 제어부(200)는 센서부(100)에서 검출한 디스플레이부(300)가 설치된 주변부(400)의 밝기, 색상, 휘도 등이 반영된 반사정보를 포함한 환경 특성 정보와, 디스플레이부(300)에서 출력되는 화면의 밝기, 색상, 휘도 등을 포함한 화면 특성 정보를 검출(S120, S130)한다.
상기 제어부(200)는 S120 단계 및 S130 단계에서 검출된 주변부(400)의 환경 특성 정보와 디스플레이부(300)의 화면 특성 정보를 비교(S140)하여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S150)한다.
상기 S150 단계의 판단 결과, 검출된 주변부(400)의 환경 특성 정보와 디스플레이부(300)의 화면 특성 정보가 일치하거나 또는 미리 설정된 오차 범위내에서 유사하면, 상기 제어부(200)는 현재 설정된 디스플레이되는 화면 특성 정보를 유지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300)를 통해 디스플레이 화면을 출력(S160)한다.
또한, 상기 S150 단계의 판단 결과, 검출된 주변부(400)의 환경 특성 정보와 디스플레이부(300)의 화면 특성 정보가 일치하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200)는 디스플레이 화면의 화면 특성 정보를 변경하는 디더링을 수행하고, 상기 디더링을 통해 산출된 설정값을 반영한 디스플레이 화면이 상기 디스플레이부(300)를 통해 출력(S161)되도록 한다.
상기 화면 특성 정보를 변경하는 디더링 단계는 제어부(200)가 디스플레이부(300)의 전체 화면(310) 또는 가장자리 화면(320)을 조명(410)과 벽면(420)의 재질에 따른 반사 특성에 따라 선택적으로 변경하여 주변부(400)와 조화로운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도록 변경된 디더링 설정값을 산출하여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에 반영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화면 특성 정보를 변경하는 디더링 단계는 제어부(200)가 디스플레이부(300) 주변의 벽면(420) 재질에 적응하여 디스플레이부(300)의 화면을 디스플레이부 모서리(330) 부근에 위치한 벽면(420)의 재질과 그에 따른 밝기와 색상 정보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을 그라데이션되도록 디더링 설정값을 산출하여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에 반영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화면 특성 정보를 변경하는 디더링 단계는 제어부(200)가 센서부(100)의 휘도 센서(120)에서 검출한 디스플레이부(300)의 휘도와 주변부(400)의 휘도 차이를 검출하여 휘도의 차이를 분석하고, 상기 분석 결과에 따라 휘도의 차이가 감소되도록 디스플레이부(300)의 색상 및 밝기 제어값을 포함한 화면 특성 정보를 변경하는 디더링 설정값을 산출하여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에 반영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화면 특성 정보를 변경하는 디더링 단계는 제어부(200)가 센서부(100)의 조도 센서(130)에서 검출한 디스플레이부(300)의 화면 밝기와 조명(410) 및 벽면(420)의 반사에 따른 주변부(400)의 밝기를 비교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300)의 밝기와 주변부(400)의 밝기가 일치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300)의 화면을 디더링하는 설정값을 산출하여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에 반영되도록 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장치가 위치한 주변의 조명 및 재질의 반사특성에 적응하여 디스플레이장치의 화면을 변화시켜 디스플레이장치의 주변과 조화로운 화면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으며, 상술된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해석은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100 : 센서부
110 : 카메라
120 : 휘도센서
130 : 조도센서
140 : 동작 감지센서
200 : 제어부
210 : 디스플레이부 제어부
220 : 디더링부
300, 300a, 300b : 디스플레이부
310 : 전체 화면
320 : 가장자리 화면
330 : 디스플레이 모서리
400 : 주변부
410 : 조명
420 : 벽면

Claims (11)

  1. 디스플레이부(300)의 화면 특성 정보와, 상기 디스플레이부(300)가 설치된 주변부(400)의 환경 특성 정보를 검출하는 센서부(100);
    임의의 화면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센서부(100)에서 검출한 디스플레이부(300)의 화면 특성 정보와 주변부(400)의 반사 정보를 포함한 환경 특성 정보를 비교하며,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300)의 화면 특성 정보와 주변부(400)의 환경 특성 정보가 일치되도록 하거나 또는 유사해지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300)의 화면을 디더링(Dithering)한 화면 특성 정보를 출력하는 제어부(200); 및
    상기 제어부(200)에서 출력되는 디스플레이부(300)의 화면 특성 정보에 따라 화면 신호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디스플레이부(300)를 포함하는 주변 반사 적응형 디스플레이 제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100)는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의 밝기 및 색상과, 주변부(400)의 밝기 및 색상을 검출하는 카메라(1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변 반사 적응형 디스플레이 제어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100)는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의 휘도 정보와 주변부(400)의 휘도 정보를 검출하는 휘도 센서(120)와, 주변부(400)의 조명(410)의 밝기와 벽면(420)에서 반사되는 밝기 정보를 검출하는 조도센서(130)와, 사용자의 유무 및 상기 사용자의 이동방향 정보를 검출하는 동작 감지센서(1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변 반사 적응형 디스플레이 제어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200)는 디스플레이부(300)의 휘도와 주변부(400)의 휘도 차이가 감소되도록 화면 특성 정보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변 반사 적응형 디스플레이 제어장치.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주변부(400)의 밝기 특성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300)의 전체 화면(310) 및 가장자리 화면(320) 중 적어도 하나의 화면 영역을 선택적으로 디더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변 반사 적응형 디스플레이 제어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200)는 사용자의 유무에 따라 화면의 온/오프 제어 또는 벽면(420)과 조화되도록 숨겨진 화면이 점차적으로 노출되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변 반사 적응형 디스플레이 제어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300)는 LCD 패널, LED 패널, OLED 패널, 사이니지 및 프로젝터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변 반사 적응형 디스플레이 제어장치.
  9. a) 제어부(200)가 임의의 화면을 디스플레이부(300)를 통해 출력하고,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의 설정 변경 요청을 검출하는 단계;
    b) 상기 a)단계에서 화면의 설정 변경이 요청되면, 상기 제어부(200)가 센서부(100)에서 주변부(400)의 환경 특성 정보와, 디스플레이부(300)의 화면 특성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
    c) 상기 제어부(200)가 검출된 주변부(400)의 환경 특성 정보와 디스플레이부(300)의 화면 특성 정보를 비교하여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d) 상기 c)단계의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제어부(200)가 현재 설정된 화면 특성 정보를 유지하여 디스플레이 화면을 출력하거나 화면 특성 정보를 변경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주변 반사 적응형 디스플레이 제어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d)단계의 화면 특성 정보를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센서부(100)에서 검출한 디스플레이부(300)의 화면 밝기와 주변부(400)의 밝기를 비교하여 일치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300)의 화면을 디더링(Dithering)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변 반사 적응형 디스플레이 제어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디더링은 주변부(400)의 밝기 특성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300)의 전체 화면(310) 및 가장자리 화면(320) 중 적어도 하나의 화면 영역을 선택적으로 디더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변 반사 적응형 디스플레이 제어방법.
KR1020160065339A 2016-05-27 2016-05-27 주변 반사 적응형 디스플레이 제어장치 및 방법 KR1018276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5339A KR101827632B1 (ko) 2016-05-27 2016-05-27 주변 반사 적응형 디스플레이 제어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5339A KR101827632B1 (ko) 2016-05-27 2016-05-27 주변 반사 적응형 디스플레이 제어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3921A KR20170133921A (ko) 2017-12-06
KR101827632B1 true KR101827632B1 (ko) 2018-02-08

Family

ID=609221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5339A KR101827632B1 (ko) 2016-05-27 2016-05-27 주변 반사 적응형 디스플레이 제어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763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1680A (ko) * 2019-04-16 2020-10-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상에 표현되는 화면을 조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2664954B1 (ko) * 2021-10-05 2024-05-14 (주)에스지엠 조도 감지 기능을 갖는 가상 스포츠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4120B1 (ko) * 2018-07-11 2023-09-0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376687B1 (ko) * 2020-06-16 2022-03-21 (주)지트론시스템 산업장비의 원격 감시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1680A (ko) * 2019-04-16 2020-10-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상에 표현되는 화면을 조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2182803B1 (ko) * 2019-04-16 2020-11-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상에 표현되는 화면을 조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2664954B1 (ko) * 2021-10-05 2024-05-14 (주)에스지엠 조도 감지 기능을 갖는 가상 스포츠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3921A (ko) 2017-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232956B (en) Illuminator, projectio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KR101827632B1 (ko) 주변 반사 적응형 디스플레이 제어장치 및 방법
US7595811B2 (en) Environment-complaint image display system, projector, and program
US8866709B2 (en) Projection display apparatus and projection display method
US7164428B2 (en) Image display system, projector, image processing method, program and information storage medium
US6847374B2 (en) Environment-compliant image display system and program
KR102501676B1 (ko) 눈부심 현상이 개선된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6331340B2 (ja) 表示装置、及び、表示装置の制御方法
JP2002311503A (ja) 画質補正システム
JP2001320725A (ja) 環境適応型の画像表示システム、プレゼンテーションシステム、画像処理方法および情報記憶媒体
US20050264762A1 (en) Method and apparatus to enhance contrast ratio in projection system
EP2290442B1 (en) Method for compensating light reflection of projection frame and projection apparatus
JP2002125125A (ja) 環境適応型の画像表示システム、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記憶媒体
JP4811003B2 (ja) プロジェクタ、映像出力方法および映像出力プログラム
KR101766119B1 (ko) 빙판 디스플레이 제어방법
JP2009058656A (ja) 画像表示装置
KR101008650B1 (ko) 투사형 표시 장치 및 화이트밸런스 조정 방법
JP2004279580A (ja) プロジェクタ
JP2015154163A (ja) 投射型表示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KR100686147B1 (ko) 투사 표시 장치의 화면 밝기 제어 장치 및 방법
JP6186686B2 (ja) 表示装置、投影装置、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0547972B1 (ko) 프로젝터
KR100686070B1 (ko) 영상표시기기의 밝기조정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