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1680A - 디스플레이 상에 표현되는 화면을 조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상에 표현되는 화면을 조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1680A
KR20200121680A KR1020190044544A KR20190044544A KR20200121680A KR 20200121680 A KR20200121680 A KR 20200121680A KR 1020190044544 A KR1020190044544 A KR 1020190044544A KR 20190044544 A KR20190044544 A KR 20190044544A KR 20200121680 A KR20200121680 A KR 202001216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display
unit
lighting
col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45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82803B1 (ko
Inventor
강문수
박정규
김원태
임대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445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2803B1/ko
Publication of KR202001216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16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28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28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406Control of illumination source
    • G09G3/3413Details of control of colour illumination sour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1/0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 G01J1/02Detai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3/00Spectrometry; Spectrophotometry; Monochromators; Measuring colours
    • G01J3/46Measurement of colour; Colour measuring devices, e.g. colorimet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06Details
    • G02F1/1309Repairing; Tes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0002Inspection of images, e.g. flaw detec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021/1765Method using an image detector and processing of image signal
    • G01N2021/177Detector of the video camera typ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1/00Features of devices classified in G01N21/00
    • G01N2201/06Illumination; Optic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33Improving the luminance or brightness uniformity across the scree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13The adjustment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information to be displayed
    • G09G2320/062Adjustment of illumination source paramet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60/00Aspects of the architecture of display systems
    • G09G2360/14Detecting light within display terminals, e.g. using a single or a plurality of photosensors
    • G09G2360/145Detecting light within display terminals, e.g. using a single or a plurality of photosensors the light originating from the display scree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상에 표현되는 화면을 조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면 조정 장치는, 디스플레이 상에 표현되는 화면의 시각 정보를 수집하는 시각 센서부,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일부분을 조명하는 조명부, 시각 센서부에 의해 수집된 화면의 시각 정보를 수신하여 사전에 기계학습이 수행된 인공지능 모델을 이용하여 화면의 균일성 및 색감 중 적어도 하나를 분석하는 화면 분석부, 및 화면 분석부의 분석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상에 표현되는 화면의 균일성 및 색감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하도록 조명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상에 표현되는 화면을 조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SCREEN IMAGE EXPRESSED ON DISPLAY}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상에 표현되는 화면을 조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시각 센서부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상에 표현되는 화면을 감지하여 균일성 및 색감을 분석하고, 이러한 분석에 기초하여 균일성 및 색감을 향상시키도록, 디스플레이에 광학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조명들을 이용하는 화면 조정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는 입력되는 영상 데이터를 외부에서 볼 수 있는 영상으로 출력하는 장치로서, 시각적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디스플레이 기술이 발전하면서 여러 용도로 디스플레이가 사용될 수 있게 되었고,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는 다양한 환경 조건에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디스플레이가 동일한 영상을 출력하더라도 디스플레이가 사용되는 환경에 따라 사람의 시각에 의해 감지되는 영상은 주변광의 영향을 받아 달라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동일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의해 출력된 화면이라도 설치 위치나 설치된 환경에 따라 색감이나 색 온도 등이 달라지면서, 화면 균일성이나 정확한 색표현이 보장되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특히 동일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을 확장하여 만든 대형 디스플레이에서는 경계면들에 있어서 이러한 문제점들이 더욱 크게 나타나고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자체의 성능 열화나 설정 오류 등으로 인하여 디스플레이의 화면 균일성이나 색감 표현에 있어서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상의 영상 표현을 카메라로 촬영하고 촬영 결과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부분에 직접 보정 신호를 보냄으로써 디스플레이의 화면을 조정하는 방식이 시도되어 왔다.
예를 들어,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110)가 디스플레이(100)를 촬영하고 촬영된 이미지 정보를 기초로 보정 제어부(120)에서 보정되어야할 부분들을 분석하여 보정 신호를 생성한 후, 제어값 전달부(140)를 통해 디스플레이 드라이버를 직접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제어부(160)로 보정 신호를 송신하는 방식이 사용되어 왔다.
일 예로서, 미국등록특허 제6,549,183호에서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갖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상에 재생되는 이미지 신호를 획득하여 이미지 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전환하고 이를 기초로 보정 데이터를 획득한 후 보정 데이터를 디스플레이에 연결된 비휘발성 메모리에 기록하여 디스플레이 디펙트(defect)를 보정하는 발명을 개시하고 있다.
또한, 한국공개특허 제2017-0035382호에서는 복수의 LED를 구동하는 LED 드라이버를 갖는 LED 조명의 검사 장치에 있어서, LED 조명이 출력하는 빛이 입사되는 수광면을 촬영하여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영상 데이터로부터 산출한 LED 조명의 출력이 일정 조건을 벗어나면 LED 드라이버를 제어하여 밝기를 조절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은 방식은 디스플레이를 구성하는 LED 자체의 드라이버 또는 디스플레이의 메모리에 직접적인 보정 신호 또는 제어 신호를 전송하여, LED 자체 또는 디스플레이 자체의 출력을 변화시키는 방식이나, 다양한 디스플레이의 드라이버와 연동시키기 위해서는 별도의 인터페이스 개발이 필요하고 측정과 대응에 높은 비용이 들며 전문적인 설치 인력이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의 디스플레이 드라이버를 제어하는 방식에서는 디스플레이 컨트롤러의 동작 방법이 디바이스의 종류, 칩 벤더, 제조사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각각의 모델마다 적절한 인터페이스 구현이 이루어져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많은 비용과 시간 그리고 전문 인력이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의 드라이버와 직접적으로 연동되지 않으면서 디스플레이 상에서 표현되는 화면의 균일성 및 색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새로운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의 균일성과 색감을 주변 환경에 최적화시키기 위해서 다양한 디스플레이의 드라이버를 직접 제어하도록 하는 방식을 취할 경우 높은 비용이 발생하고 전문적인 설치 인력이 필요하게 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설치된 장소의 환경에 맞추어 적절한 화면 균일성과 색감을 출력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드라이버를 직접 제어하지 않고 적은 비용으로 제조사가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화면 조정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의 화면 균일성과 색감을 실시간으로 감지하고 최적의 화면 균일성과 색감을 구현하기 위한 추가 조명 방식 및 디스플레이 화면 조정 방식을 판단하여, 디스플레이의 드라이버를 직접 제어하지 않으면서 주변 조명 및 디스플레이의 기존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화면 옵션 선택으로 최적의 화면 균일성과 색감을 구현하기 위한 화면 조정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상에 표현되는 화면 균일성과 색감을 주변 환경에 최적화시키기 위해 인공지능을 이용하여 최적화를 위한 보상 정도를 분석하고 보상 조명을 사용하여 화면 균일성 및 색감을 개선할 수 있는 효율적인 화면 조정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LED 전광판을 제외한 대부분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 한 화면 내의 균일성 조정을 지원하지 않고 있다는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직접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기존의 방식과는 달리 설치 비용 및 설치 난이도가 낮으면서도 한 화면 내의 균일성이나 색감을 효과적으로 조정할 수 있게 하는 화면 조정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직접적인 디스플레이 드라이버를 제어하는 방식을 대신하여 설치된 환경 내의 조명을 사전에 학습된 인공지능 모델로 분석하고, 적절하게 설치된 보상조명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상에 표현되는 화면 균일성이나 색감을 조정해 줌으로써, 설치 및 관리 비용을 줄이면서도 소비자의 디스플레이에 대한 감성을 만족시킬 수 있는 화면 조정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드라이버를 직접 제어하는 방식 대신 디스플레이에 조사되는 조명을 제어함으로써 디스플레이의 화면 균일성과 색감을 조정하여, 사용자에게 매끄럽고 자연스러운 화면을 제공할 수 있는 화면 조정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환경에 따라 자동으로 조정하는 자동 모드(auto mode)와 사용자가 직접 조정하는 수동 모드(custom mode)를 모두 제공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화면을 인공지능이 분석 제안하면 개인별 사용자의 니즈에 따라 사용자가 화면 조정 방식을 선택할 수 있는 화면 조정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드라이버를 직접 제어하는 기존의 방식에서 칩 벤더 제조사에 맞는 제어 인터페이스가 준비되어야 하고 이를 위해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드라이버의 제어와는 독립적인 수단을 사용함으로써 제어를 위한 복잡도와 비용을 줄일 수 있는 화면 조정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발명가들은 종래의 디스플레이의 드라이버를 직접 제어하는 방식이 아닌 디스플레이의 화면에 광학적 영향을 줄 수 있는 공간에 설치된 보상 조명을 통해 디스플레이의 화면 균일성 및 색감을 조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창안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디스플레이가 배치된 환경 내의 조명을 인공지능으로 분석하고 적절하게 설치된 보상 조명을 이용함으로써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의 화면 균일성 및 색감을 조정할 수 있는 화면 조정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시각 센서부를 통해 디스플레이 상에서 표현되는 화면의 시각 정보를 수집하여 디스플레이된 화면의 균일성 및 색감을 인식하고 인공지능 분석을 통해 분석하며, 이러한 분석을 기초로 각각의 조명 디바이스를 제어하여 디스플레이 상에 빛을 조사시켜 디스플레이의 화면 균일성 및 색감을 조정하는 화면 조정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상에 표현되는 화면을 조정하기 위한 장치는, 디스플레이 상에 표현되는 화면의 시각 정보를 수집하는 시각 센서부,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일부분을 조명하는 조명부, 시각 센서부에 의해 수집된 화면의 시각 정보를 수신하여 화면의 균일성 및 색감 중 적어도 하나를 분석하는 화면 분석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시각 센서부는 복수의 이미지 센서들을 포함하고, 조명부는 복수의 조명 디바이스들을 포함하며, 복수의 이미지 센서들 각각은 복수의 조명 디바이스들 각각에 대응되어 배치되고, 각각의 이미지 센서와 각각의 이미지 센서에 대응되는 각각의 조명 디바이스는 같은 방향을 향하도록 얼라인(align)될 수 있다.
또한, 화면 분석부는 디스플레이의 화면 설정 정보를 수신하고, 화면 설정 정보 및 상기 시각 센서부에 의해 수집된 화면의 시각 정보에 기초하여 화면의 균일성 및 색감을 분석할 수 있다.
또한, 화면 분석부는 인공지능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를 비추는 조명부의 조도, 조명의 색, 색 온도 등에 따른 디스플레이 화면의 광학적 변화를 예측하여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의 균일성 및 색감을 조정하기 위한 보정 신호를 생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면 조정 장치는 화면 분석부의 분석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상에 표현되는 화면의 균일성 및 색감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하도록 조명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는 조명부의 조명 방향, 조명부의 밝기, 조명부의 조명 색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시각 센서부는 디스플레이의 주변 환경의 밝기를 측정하는 조도 센서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는 조도 센서로부터 수집된 정보에 기초하여 조명부의 밝기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와 통신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제어부는 화면 분석부의 분석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의 화면 설정 값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상에 표현되는 화면을 조정하기 위한 방법은, 시각 센서부에 의해, 디스플레이 상에 표현되는 화면의 시각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화면 분석부에 의해, 수집된 화면의 시각 정보에 기초하여 화면의 균일성 및 색감 중 적어도 하나를 분석하는 단계, 제어부에 의해, 분석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상에 표현되는 화면의 균일성 및 색감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하도록 디스플레이의 화면에 광학적 영향을 미치는 조명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시각 센서부는 복수의 이미지 센서들을 포함하고, 조명부는 복수의 조명 디바이스들을 포함하며, 복수의 이미지 센서들 각각은 복수의 조명 디바이스들 각각에 대응되어 배치되고, 복수의 이미지 센서들 중 제 1 이미지 센서는 복수의 조명 디바이스들 중 제 1 조명 디바이스와 같은 방향을 향하도록 얼라인(align)될 수 있다.
또한, 조명부를 제어하는 단계는, 제 1 이미지 센서로부터 수집된 화면의 정보에 대한 분석에 기초하여 제 1 조명 디바이스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하는 단계는, 조명부의 조명 방향, 조명부의 밝기, 조명부의 조명 색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시각 센서부는 디스플레이의 주변 환경의 밝기를 측정하는 조도 센서를 더 포함하고, 제어하는 단계는 조도 센서로부터 수집된 정보에 기초하여 조명부의 밝기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어부는 디스플레이와 통신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제어부는 제어하는 단계는 분석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의 화면 설정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분석하는 단계는 디스플레이의 화면 설정 정보를 수신하고, 화면 설정 정보 및 시각 센서부에 의해 수집된 화면의 시각 정보에 기초하여 화면의 균일성 및 색감을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화면 조정 장치 및 방법은 다양한 디스플레이의 드라이버를 직접 제어하도록 구성하는 노력 없이 낮은 설치 및 관리 비용으로 일반인도 디스플레이의 화면 균일성과 색감을 주변 환경 조건에 따라 최적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설치된 장소의 환경에 맞춘 적절한 화면 균일성과 색감을 출력하기 위한 화면 조정 장치를 제조사가 적은 비용으로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의 화면 균일성과 색감을 실시간으로 감지하면서 주변 조명 및 디스플레이의 기존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최적의 화면 균일성과 색감을 구현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상에 표현되는 화면 균일성과 색감을 주변 환경에 최적화시키기 위해 인공지능을 이용하여 최적화를 위한 보상 정도를 분석하고 보상 조명을 사용하여 화면 균일성 및 색감을 개선하는 화면 조정이 가능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인공지능을 통해 환경을 분석하고, 이를 기초로 보상 조명을 제어하여 빛의 특수성을 활용하여 디스플레이의 화면 균일성 및 색감을 조정하도록 함으로써, 디스플레이의 제어 방식의 자유도는 올리고 제어의 복잡도는 줄이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의 화면 균일성과 색감을 조정하여, 사용자에게 매끄럽고 자연스러운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환경에 따라 자동으로 조정하는 자동 모드(auto mode)와 사용자가 직접 조정하는 수동 모드(custom mode)를 모두 제공하여 개인별 사용자의 니즈에 따라 사용자가 화면 조정 방식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대형 전문 디스플레이가 아니라면 사용자 카메라의 측정 조정 없이도 충분히 디스플레이 화면의 균일성을 맞출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주변 환경에 따라 조명을 변경하게 하는 기술로 디스플레이 화면의 균일성 및 색감 조정 뿐만이 아니라 인테리어나 실내환경의 심미적인 변경 용도로도 사용이 가능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서 카메라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의 화면을 보정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상에 표현되는 화면을 조정하기 위한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상에 표현되는 화면을 조정하기 위한 장치에서 시각 센서부, 조명부 및 정보 전달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상에 표현되는 화면을 조정하기 위한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상에 표현되는 화면을 조정하기 위한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상에 표현되는 화면을 조정하기 위한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상에 표현되는 화면을 조정하기 위한 방법이 적용된 결과를 도시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직접적인 관계가 없는 부분을 생략하지만, 본 발명의 사상이 적용된 장치 또는 시스템을 구현함에 있어서, 이와 같이 생략된 구성이 불필요함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아울러,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되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상에 표현되는 화면을 조정하기 위한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디스플레이 상에 표현되는 화면을 조정하기 위한 장치는 디스플레이(200), 디스플레이(200)의 적어도 일부분을 조명하기 위한 조명부(210), 수신되는 시각 정보를 전달하는 정보 전달부(220), 수신되는 디스플레이 화면의 시각 정보를 분석하는 디스플레이 정보 분석부(230), 및 디스플레이 제어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200)는 입력되는 영상 데이터를 외부에서 볼 수 있는 영상으로 출력하는 장치이다. 다만, 동일한 영상을 동일한 디스플레이가 출력하더라도 주변 환경의 조건에 따라 디스플레이 상에 표현되어 실제 사용자의 눈에 보이는 영상의 균일성 및 색감 등은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200)가 균일한 밝기로 단색을 표현하고 있다고 하더라도 디스플레이(200)의 일부는 햇빛을 받고 일부는 그림자에 의해 가려진다면 사용자가 관측하게 되는 디스플레이(200) 상에 표현되는 화면은 햇빛을 받은 부분은 밝게 보이고, 그림자에 의해 가려진 부분은 어둡게 보이게 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200) 자체는 화면 균일성이 유지되고 있고 의도된 색감을 표현하고 있다고 하더라도 사용자에게 실제로 관측되는 화면은 균일하지 않으며 색감도 의도된대로 전달되지 못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주변 환경에 의한 색 왜곡 또는 화면의 불균일성이나, 디스플레이 자체의 오류에 의한 색 왜곡 또는 화면의 불균일성 문제를 제어가 복잡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200) 자체의 변경은 최소화하면서 주변의 보상 조명을 이용해 해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면 조정 장치 및 방법이 실시되는 경우에는 디스플레이(200)가 화면 조정 모드에 진입하여 동일한 화면 균일성을 가지고 단일한 색을 디스플레이하고 있는 상태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200)에 균일한 단일 색이 표현되고 있는 것이 디스플레이 상에 표현되는 화면의 균일성 및 색감의 문제점을 파악하기 용이하기 때문이다. 디스플레이(200)는 화면 조정 모드에서 순차적으로 다른 색을 표현할 수도 있고, 각각의 색에 대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면 조정이 적용될 수 있다.
조명부(210)는 디스플레이(200) 상에 광학적 영향을 줄 수 있도록 하는 장치로서 밝기나 색 조절이 가능한 조명 수단이며, 주로 LED 조명과, 조도 센서 및 칼라 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조명부(210)는 제 1 조명 디바이스(210-1), 제 2 조명 디바이스(210-2), 제 3 조명 디바이스(210-3)를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조명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200)의 적어도 일부분에 빛을 조사한다.
도 2에서는 제 1 조명 디바이스(210-1)가 디스플레이(200)의 3번 영역을 비추고, 제 2 조명 디바이스(210-2)는 디스플레이(200)의 5번 영역을 비추고, 제 3 조명 디바이스(210-3)는 디스플레이(200)의 7번 영역을 비추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이러한 조명 방향 및 조명 범위는 임의로 조절될 수 있다. 아울러, 조명 디바이스의 수도 실시형태에 따라 자유롭게 선택될 수 있다.
각각의 조명 디바이스의 중심에 돌출된 부분에는 디스플레이(200) 상에 표현되는 화면의 시각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이미지 센서부(213)가 배치될 수 있다.
이미지 센서부(213)는 예를 들어, CCD 카메라, 칼라 센서 및 조도 센서들의 조합일 수 있으며, 시각 센서부라고 지칭될 수도 있다. 시각 센서부(213)는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조명 디바이스(210-1), 제 2 조명 디바이스(210-2), 제 3 조명 디바이스(210-3)에 각각 대응하여 배치되는 제 1 이미지 센서(213-1), 제 2 이미지 센서(213-2), 및 제 3 이미지 센서(213-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213)는 디스플레이(200) 상에 표현되는 화면의 균일성 및 색감을 수집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상에 표현되는 화면이란 디스플레이 자체가 실제로 출력하고 있는 화면에 주변 환경의 영향까지 합산되어 사용자에게 보이는 최종 화면을 의미한다.
아울러, "색감"이란 디스플레이 상에서 표현되는 시각적 효과에 관련된 다양한 파라미터(parameter)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예를 들어, 색감은 빛의 색, 조도, 색 온도(Color Temperature) 등 시각적 효과를 제공함에 있어서 사용되는 다양한 파라미터들이 포함될 수 있다.
이미지 센서(213)는 화면의 휘도, 채도, 명도 및 설치 환경의 조명 조건 등의 시각 정보를 수집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색 온도는 입력되는 이미지 신호를 분석하여 색 온도를 검출하는 것으로, 색 온도 추정은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으며, 대표적인 것으로는 미국등록특허 제4,685,071호, 미국등록특허 제5,495,428호, International Journal on Computer[Volume 4 number 1 pp7 ~ 38, 1990년] 등을 참고할 수 있다. 이들 특허들 또는 문헌들은 이미지에서 하이라이트 혹은 유사 정보를 이용하여 이미지의 색 온도를 추출하는 방법으로써, 결과로 나온 색 온도는 CIE, XYZ 색공간 혹은 조명의 스펙트럼 곡선 등으로 표현되어 분석될 수 있다.
수집된 시각 정보는 정보 전달부(220)로 전달된다. 정보 전달부(220)는 상술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상에 표현되는 화면의 시각 정보를 수집하여 디스플레이 정보 분석부(230)로 전달할 수 있다. 아울러, 정보 전달부(220)는 정보 분석부(230)로부터 분석된 결과를 바탕으로 생성된 보정 신호를 수신하여 조명부(210)에 보정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정보 전달부(220)의 보정 신호는 조명 디바이스들의 조명 방향, 조명 디바이스들의 밝기, 조명 디바이스의 조명 색, 조명 각도, 조명폭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일 수 있다.
즉, 보정 신호는 제 1 조명 디바이스(210-1)가 디스플레이(200)의 3번 영역을 비추고 있는데 보정 신호에 따라 제 1 조명 디바이스(210-1)가 6번 영역을 비추어야 한다면 제 1 조명 디바이스(210-1)의 조명 방향이 변경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제 1 조명 디바이스(210-1)의 조명폭을 조정해 디스플레이(200)의 3번, 6번, 9번 영역 모두를 조명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정보 분석부(230)는 정보 전달부(220)로부터 수신된 화면의 시각 정보를 종합하여 분석한다. 예를 들어, 도 7의 왼쪽 화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 디스플레이(200) 상에 표현되는 화면이 부분별로 다른 밝기 값을 보인다고 하자. 디스플레이 정보 분석부(230)는 이미지 센서들에 의해 수집된 시각 정보를 종합하여 디스플레이 상에서 영역별로 다른 밝기 값이 표현된다는 것을 인지한다.
디스플레이 정보 분석부(230)는 영역별로 균일하지 못한 밝기 값을 인지하고 이러한 불균일성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을 사전에 학습된 인공지능 모델을 이용하여 도출한다. 예를 들어, 도 7과 같이 가장 왼쪽은 20cd의 밝기를 보이고, 가운데는 40cd, 가장 오른쪽은 60cd의 밝기를 보이는 경우, 디스플레이 정보 분석부(230)는 가장 왼쪽을 비추는 제 3 조명 디바이스(210-3)의 밝기를 더 증가시키고, 가장 오른쪽을 비추는 제 1 조명 디바이스(210-1)의 밝기는 감소시키라는 보정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보정 신호에 의해 변경되는 조명 디바이스들(210) 조명 밝기 정도는 사전에 학습된 인공지능 모델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보정 신호는 정보 전달부(220)로 전달되고 정보 전달부(220)는 보정 신호에 따라 제 1 조명 디바이스(210-1)의 밝기는 감소되도록 하고, 제 3 조명 디바이스(210-3)의 밝기는 증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조명 디바이스들의 밝기를 조정하는 제어는 사전에 학습된 인공지능 모델에 의해 예측된 밝기 조정량에 따라 특정 밝기 목적값이 정해진 후 조명 디바이스들이 밝기 목적값에 도달하도록 수행될 수 있다.
다른 방식으로는, 제 1 조명 디바이스는 더 어두워져야 하고 제 3 조명 디바이스는 더 밝아져야한다는 보정 신호만 전달된 후, 이미지 센서들이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 상에 표현되는 화면을 감지하여 화면의 균일성이 맞춰지는 경우 보정 신호가 중단되도록 화면 조정 장치가 제어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정보 분석부(230)는 상기 예시와 같은 화면의 밝기 이외에도 디스플레이 상에 표현된 화면의 채도, 명도, 색 온도 등의 색감에 대해서도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정보 분석부(230)는 디스플레이(200) 상에서 표현되는 화면이 디스플레이(200)의 영역에 따라 색감이 달라진다면, 이러한 색감을 맞추도록 하는 보정 신호를 생성하여 정보 전달부(220)에 전달하고, 정보 전달부(220)는 수신된 보정 신호에 따라 조명 디바이스들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화면 조정 모드에서 조명 설정을 시작하기 위해서는 디스플레이(200)에 균일한 단일 색을 표시한다. 화면 조정 장치의 정보 분석부(230)는 수신된 화면에 대한 시각 정보가 균일한 단일 색의 화면에 대한 것이라는 전제 하에 시각 정보의 영역별 비교를 통해 화면의 일부 영역에서의 균일성 및 색감이 다른 영역과 차이가 생기는지 분석할 수 있다.
정보 분석부(230)의 분석 및 사전에 학습된 인공지능에 따라 화면의 균일성 및 색감을 향상시키기 위해 어떤 보정이 이루어져야하는지가 판단되어 보정 신호가 생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보정 신호는 각각의 조명 디바이스의 조명 방향, 조명 디바이스들의 밝기, 조명 디바이스의 조명 색, 조명 각도, 조명폭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여 화면의 균일성 및 색감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하기 위한 신호일 수 있다.
보정 신호는 미리 저장된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선호하는 색감 정보에 맞추어 색감을 조정할 수 있도록 결정될 수도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정보 분석부(230)는 미리 저장된 사용자 정보 이외에도 화면 조정 당시 디스플레이(200)의 화면의 설정 정보(예를 들어, 따뜻한 색감, 차가운 색감 등)를 리모컨 또는 디스플레이(200)로부터 수신하고, 이러한 화면 설정 정보 및 이미지 센서부(213)에 의해 수집된 화면의 시각 정보에 기초하여 화면의 균일성 및 색감을 분석하고 보정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보정 신호는 정보 전달부(220)를 통해 조명부(210)에 전달되고, 조명부(210)는 보정 신호에 따라 조명 방향 및 조명 밝기, 조명 색, 조명 각도, 조명폭 등이 변경되게 된다.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이미지 센서들(213-1, 213-2, 213-3) 각각은 복수의 조명 디바이스들(210-1, 210-2, 210-3) 각각에 대응되어 배치되고, 각각의 이미지 센서와 각각의 이미지 센서에 대응되는 각각의 조명 디바이스는 같은 방향을 향하도록 얼라인(align)될 수 있다.
이미지 센서(213)와 조명 디바이스(210)의 방향이 얼라인되면 해당 조명 디바이스(210)가 광학적 영향을 주는 그 영역을 해당 조명 디바이스(210)와 결합된 이미지 센서(213)가 감지할 수 있어 보다 정확한 영역별 화면 조정이 가능해질 수 있다.
이하의 도 3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이미지 센서(213)는 조명 디바이스(210)의 중앙에 위치될 수 있으며, 조명의 직접적인 영향을 덜 받도록 돌출되어 배치될 수 있다.
시각 센서부(213)는 이미지 센서 이외에 디스플레이(200)의 주변 환경의 밝기를 측정하는 조도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정보 전달부(220)는 조도 센서로부터 수집된 정보를 디스플레이 정보 분석부(230)로 전달하고 디스플레이 정보 분석부(230)에서는 주변 환경의 밝기가 밝은 경우에는 디스플레이(200)의 밝기를 보다 강하게, 주변 환경이 어두운 경우에는 디스플레이(200)의 밝기를 보다 약하게 하는 보정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보정 신호는 정보 전달부(220)를 통해 조명부(210)로 전달되고 각각의 조명 디바이스들은 보정 신호에 따라 조명의 밝기를 주변 환경에 적합하게 조정할 수 있다.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면 조정 장치에는 별도의 디스플레이 제어부(240)가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제어부(240)는 디스플레이(200)에 이미 설치되어 있는 인터페이스를 통해 디스플레이(200)와 통신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제어부(200)는 디스플레이 정보 분석부(230)의 분석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200)의 화면 설정을 직접적으로 제어할 수도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제어부(240)와 디스플레이(200)가 연결되는 인터페이스는 디스플레이의 드라이버를 직접 제어하기 위한 것이 아닌, UART, RS232, I2C와 같이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는 인터페이스로 디스플레이(200)의 일반적인 화면 설정을 제어하는 범용적인 인터페이스를 의미한다.
이러한 범용적 인터페이스를 통한 디스플레이의 제어는 디스플레이에서 사용되고 있는 제어 방식, 예를 들어, 영상의 모드 조정, 사용자 고급설정, 감마값 설정, 컬러값 조정 등과 같은 화면 설정 방식일 수 있다. 여기서 다양한 화면 설정 방식들은 리모컨 등을 통해 사용자가 수동으로 조절할 수도 있는 화면 설정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제어부(240)에 따른 디스플레이(200)의 화면 설정 조정(예를 들어, 따뜻한 화면, 차가운 화면, 선명한 화면 등의 화면 옵션 선택)을 통해, 디스플레이의 화질에 관한 전체적인 조정을 하여 보상 조명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화면 조정을 보다 보완할 수 있도록 하며, 이러한 방식은 야외에서도 사용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면 조정 장치는 미리 펌웨어(firmware)나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등 소프트웨어(software)에 따라 다양한 모드(mode)의 색감 정보를 미리 구비하여 기준으로 제공할 수도 있고, 외부 즉, 사용자가 디지털 카메라, 모바일 디바이스(mobile device), PC 등에 저장된 이미지를 화면 조정 장치로 제공하면, 제공된 이미지에 기초하여 기준이 되는 다양한 색감을 제공할 수도 있다.
상술된 디스플레이 제어부(240)에 의한 디스플레이(200)의 화면 설정 조정은 선택적일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조명 디바이스들(210) 위주로 디스플레이 상에 표현되는 화면의 화면 균일성 및 색감이 조정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상에 표현되는 화면을 조정하기 위한 장치에서 시각 센서부, 조명부 및 정보 전달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조명부(210)는 빛을 조사하기 위한 광원(211), 조명의 방향을 제어하기 위한 방향조절부(217), 송수신부(215), 및 이들을 제어하는 제어부(219)를 포함할 수 있다. 조명부(210)에는 이미지 센서(213)가 외부로 돌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광원(211)에 의한 조명 방향과 이미지 센서(213)의 센싱 방향은 서로 얼라인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성에 따라 보다 정확하게 조명부(210)에 의한 디스플레이(200)에의 광학적 영향을 감지할 수 있게 된다.
이미지 센서(213)는 디스플레이 상에 표현되는 화면의 시각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송수신부(215)를 통해 정보 전달부(220)로 전달한다. 송수신부(215)는 외부의 지시에 따라 이미지 센서(213)의 동작, 예를 들어, 이미지 센서(213)가 카메라라면 조리개의 크기 조정, 초점 조절 등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 신호를 이미지 센서(213)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송수신부(215)는 정보 전달부(220)를 통해 조명에 대한 보상 신호를 수신하고, 제어부(219)는 수신된 보상 신호에 기초하여 방향조절부(217)를 통해 조명 방향을 변경하거나, 광원(211)의 제어를 통해 밝기 또는 조명 색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도 3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광원(211)에서 나오는 빛의 방향을 제어할 수 있는 조명 가이드부가 광원(211) 근처에 배치된다면, 제어부(219)는 조명 가이드부를 제어하여 조명 각도, 조명 폭 등을 조정할 수도 있다.
한편, 도 3에서는 조명 디바이스(210)를 제어하는 제어부(219)가 조명 디바이스(210) 내에 있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러한 제어부는 조명 디바이스 밖에 별도로 배치될 수 있다.
아울러, 도 2에서는 디스플레이 제어부(240)가 별도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화면 조정 장치에 하나의 제어부가 있고, 이러한 제어부가 조명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조명 제어부,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제어부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질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상에 표현되는 화면을 조정하기 위한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의 화면 조정 장치는 다른 구성에 있어서는 도 3의 화면 조정 장치와 동일하나, 이미지 센서부 기능을 수행하는 카메라(250)가 각각의 조명부(210)에 배치되지 않고 별도로 설치된다는 차이점을 가진다.
여기서, 카메라(250)는 디스플레이(200) 전체의 시각 정보를 한 번에 촬영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전체 화면 정보를 정보 전달부(220)로 전달하여 디스플레이 정보 분석부(230)로 하여금 화면의 균일성 및 색감을 분석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카메라(250)의 위치를 실제 사용자가 디스플레이(200)를 관측하는 위치에 배치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가 실제로 보는 화면을 기준으로 화면 조정이 일어나도록 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상에 표현되는 화면을 조정하기 위한 방법의 순서도이다.
먼저, 디스플레이(200)가 화면 조정 모드에 진입하면, 화면 조정 장치는 조명 설정을 시작할 수 있다(S300). 화면 조정 장치는 도 2 및 3과 같이 설치된 조명부(210)에 배치되는 이미지 센서부(213)에 의해 디스플레이 상에 표현되는 화면의 휘도, 채도 등의 시각 정보를 측정하여 수집할 수 있다(S310).
수집된 시각 정보는 정보 전달부(220)를 통해 디스플레이 정보 분석부(230)로 전달되고, 디스플레이 정보 분석부(230)에서는 디스플레이 상에 표현된 화면의 균일성과 색감이 본래 디스플레이의 설정에 맞게 맞춰져 있는지 분석한다(S320).
화면의 균일성과 색감이 맞춰져 있다면 현재 조명부(210)의 설정값을 저장하고(S350), 화면 조정 프로세스를 종료한다(S390).
그러나, 화면의 균일성과 색감이 맞춰져 있지 않다면 사전에 미리 학습된 인공지능을 통해 각 포지션의 조명 디바이스에 화면의 균일성과 색감을 달성하기 위한 조명의 설정 값을 계산하여 보정 신호로 조명부(210)로 전달한다(S330).
각각의 조명 디바이스는 이러한 보정 신호를 수신하여 각각의 조명의 밝기 및 색상을 변화시켜(S340) 디스플레이 상에 표현되는 화면, 즉 사용자에 의해 관측되는 화면의 균일성과 색감을 조정한다.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S310 내지 S340까지 단계는 화면의 균일성과 색감이 목표된는 정도까지 맞춰지도록 계속해서 반복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상에 표현되는 화면을 조정하기 위한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5에서는 디스플레이 정보 분석부(230)에 의해 생성되는 보정 신호가 정보 전달부(220)를 통해 조명 디바이스(210)로 전달되어 자동으로 제어되도록 하는 자동 모드를 택하고 있으나, 도 6에서는 수동으로 조명 디바이스가 제어되는 방식을 보여준다.
먼저, 디스플레이(200)가 화면 조정 모드로 진입하면, 화면 조정 장치는 조명 설정을 시작한다(S400). 화면 조정 장치와 연결된 별도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또는 화면 조정 장치와 연결된 디스플레이(200)를 통해 사용자에게 자동 모드 실행 여부를 묻는다(S410).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자동 모드 실행 신호를 수신하면 도 5와 같은 자동 모드가 실행되고(S420), 자동 모드가 이후 중단되거나 S410 단계에서 자동 모드 실행 거부 또는 수동 모드 실행 신호를 수신하면 설치된 이미지 센서부(213)에 의해 디스플레이 상에 표현되는 화면의 휘도, 채도 등 시각 정보를 측정하고 수집한다(S430).
디스플레이 정보 분석부(230)에서 수집된 시각 정보를 분석하여 화면의 균일성 및 색감이 목표한 바에 맞춰졌는지 분석하고(S440), 균일성과 색감이 맞춰졌으며, 현재 조명 설정을 그대로 두고 프로세스를 종료한다(S490).
그러나, 화면의 균일성과 색감이 목표치와 일정 범위를 벗어나 상이하다면 사용자에게 현재 화면의 휘도, 채도, 밝기, 조명의 설정값을 표시하여 전달한다(S450). 사용자에게의 정보 전달은 화면 조정 장치의 별도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사용되거나 화면 조정 장치와 연결된 디스플레이(200)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사용자는 표시된 값들을 기초로 직접 조명 디바이스들(210)의 조명 방향, 밝기, 조명 색, 조명 각도, 조명폭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정하여 화면의 균일성 및 색감을 조정할 수 있으며(S460), 이러한 조정에 따라 조명 디바이스의 다양한 파라미터들이 변화하게 된다(S470).
이러한 사용자의 제어 중에 설치된 이미지 센서(213 또는 250)는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 상에 표현되는 화면의 휘도, 채도 등 시각 정보를 측정하여 수집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표시되는 시각 정보 값을 보면서 화면의 균일성과 색감이 목표치에 도달할 때까지 조명 디바이스를 제어를 반복할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은 화면 조정 장치의 자동 제어 또는 수동 제어에 따라 도 7의 왼쪽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의 밝기가 불균일한 상태에서 도 7의 오른쪽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의 밝기가 균일한 상태에 도달할 수 있다.
도 7의 왼쪽 화면은 화면의 밝기가 왼쪽은 20cd, 가운데는 40cd, 오른쪽은 60cd였으나, 화면의 왼쪽을 비추는 조명의 밝기는 강화하고, 화면의 오른쪽을 비추는 조명의 밝기는 약화시킴으로써, 화면 전체의 밝기가 균일하게 40cd가 되는 도 7의 오른쪽 화면과 같은 상태가 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화면 조정 장치 및 방법은 디스플레이의 드라이버를 직접 제어하지 않으면서도 디스플레이에 광학적 영향을 미치는 주변 조명 디바이스들을 조정하여 달성될 수 있는 해결책으로서 설치 및 관리 비용이 저렴하고, 일반인도 용이하게 활용할 수 있다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화면 조정 장치 및 방법은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200: 디스플레이 210: 조명부
211: 광원 213: 이미지 센서
215: 송수신부 217: 방향 조절부
219: 제어부 220: 정보 전달부
230: 디스플레이 정보 분석부 240: 디스플레이 제어부
250: 카메라

Claims (12)

  1. 디스플레이 상에 표현되는 화면을 조정하기 위한 장치로서,
    디스플레이 상에 표현되는 화면의 시각 정보를 수집하는 시각 센서부;
    상기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일부분을 조명하는 조명부;
    상기 시각 센서부에 의해 수집된 화면의 시각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화면의 균일성 및 색감 중 적어도 하나를 분석하는 화면 분석부; 및
    상기 화면 분석부의 분석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표현되는 화면의 균일성 및 색감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하도록 상기 조명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화면 조정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각 센서부는 복수의 이미지 센서들을 포함하고,
    상기 조명부는 복수의 조명 디바이스들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이미지 센서들 각각은 상기 복수의 조명 디바이스들 각각에 대응되어 배치되고, 각각의 이미지 센서와 각각의 이미지 센서에 대응되는 각각의 조명 디바이스는 같은 방향을 향하도록 얼라인(align)되는,
    디스플레이 화면 조정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명부의 조명 방향, 상기 조명부의 밝기, 상기 조명부의 조명 색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화면 조정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각 센서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주변 환경의 밝기를 측정하는 조도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도 센서로부터 수집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조명부의 밝기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화면 조정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와 통신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면 분석부의 분석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의 화면 설정을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화면 조정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 분석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화면 설정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화면 설정 정보 및 상기 시각 센서부에 의해 수집된 화면의 시각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화면의 균일성 및 색감을 분석하는,
    디스플레이 화면 조정 장치.
  7. 디스플레이 상에 표현되는 화면을 조정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시각 센서부에 의해, 디스플레이 상에 표현되는 화면의 시각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화면 분석부에 의해, 상기 수집된 화면의 시각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화면의 균일성 및 색감 중 적어도 하나를 분석하는 단계;
    제어부에 의해, 상기 분석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표현되는 화면의 균일성 및 색감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의 화면에 광학적 영향을 미치는 조명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화면 조정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시각 센서부는 복수의 이미지 센서들을 포함하고,
    상기 조명부는 복수의 조명 디바이스들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이미지 센서들 각각은 상기 복수의 조명 디바이스들 각각에 대응되어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이미지 센서들 중 제 1 이미지 센서는 상기 복수의 조명 디바이스들 중 제 1 조명 디바이스와 같은 방향을 향하도록 얼라인(align)되며,
    상기 조명부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이미지 센서로부터 수집된 화면의 정보에 대한 분석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조명 디바이스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화면 조정 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조명부의 조명 방향, 상기 조명부의 밝기, 상기 조명부의 조명 색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화면 조정 방법.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시각 센서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주변 환경의 밝기를 측정하는 조도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조도 센서로부터 수집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조명부의 밝기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화면 조정 방법.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와 통신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분석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의 화면 설정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화면 조정 방법.
  12.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화면 설정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화면 설정 정보 및 상기 시각 센서부에 의해 수집된 화면의 시각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화면의 균일성 및 색감을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화면 조정 방법.
KR1020190044544A 2019-04-16 2019-04-16 디스플레이 상에 표현되는 화면을 조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21828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4544A KR102182803B1 (ko) 2019-04-16 2019-04-16 디스플레이 상에 표현되는 화면을 조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4544A KR102182803B1 (ko) 2019-04-16 2019-04-16 디스플레이 상에 표현되는 화면을 조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1680A true KR20200121680A (ko) 2020-10-26
KR102182803B1 KR102182803B1 (ko) 2020-11-25

Family

ID=730060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4544A KR102182803B1 (ko) 2019-04-16 2019-04-16 디스플레이 상에 표현되는 화면을 조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280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34693A1 (ko) * 2022-08-08 2024-0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외부 디스플레이가 연결될 수 있는 사용자 단말기 및 이를 위한 제어 방법
WO2024034692A1 (ko) * 2022-08-08 2024-0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외부 디스플레이가 연결될 수 있는 사용자 단말기 및 이를 위한 제어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0754B1 (ko) * 2004-11-30 2012-09-10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디스플레이 시스템
KR20140091709A (ko) * 2011-10-21 2014-07-22 퀄컴 엠이엠에스 테크놀로지스, 인크. 주변 조명 조건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의 조명을 제어하는 디바이스 및 방법
KR101620465B1 (ko) * 2009-08-14 2016-05-12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전자기기 및 그 조명 제어 방법
KR101656601B1 (ko) * 2015-01-15 2016-09-09 (주)키웍스 촬상 장치
KR101827632B1 (ko) * 2016-05-27 2018-02-08 한국광기술원 주변 반사 적응형 디스플레이 제어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0754B1 (ko) * 2004-11-30 2012-09-10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디스플레이 시스템
KR101620465B1 (ko) * 2009-08-14 2016-05-12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전자기기 및 그 조명 제어 방법
KR20140091709A (ko) * 2011-10-21 2014-07-22 퀄컴 엠이엠에스 테크놀로지스, 인크. 주변 조명 조건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의 조명을 제어하는 디바이스 및 방법
KR101656601B1 (ko) * 2015-01-15 2016-09-09 (주)키웍스 촬상 장치
KR101827632B1 (ko) * 2016-05-27 2018-02-08 한국광기술원 주변 반사 적응형 디스플레이 제어장치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34693A1 (ko) * 2022-08-08 2024-0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외부 디스플레이가 연결될 수 있는 사용자 단말기 및 이를 위한 제어 방법
WO2024034692A1 (ko) * 2022-08-08 2024-0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외부 디스플레이가 연결될 수 있는 사용자 단말기 및 이를 위한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2803B1 (ko) 2020-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210313A1 (en)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a digital image
CN101375587B (zh) 自动调节经历变化的照明条件的显示器的设备和方法
US20190124246A1 (en) Illumin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Computer Imagers
US8860819B2 (en) Automated lighting system characterization device and system
US9432612B2 (en) Environmental adjustments to perceive true content
CN102823259B (zh) 使用由摄像设备确定的反馈校准三维显示器的方法和系统
CN110731080B (zh) 闪光灯色彩校准
US20140071310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method, and program
CN100409299C (zh) 移动通信终端的lcd显示屏亮度自动调节装置及其方法
US9239233B2 (en) Projection control apparatus and projection control method
KR102182803B1 (ko) 디스플레이 상에 표현되는 화면을 조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20150229819A1 (en)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a digital image
KR20140070120A (ko) 디스플레이 장치의 색 보정 장치 및 그 보정 방법
TWI506615B (zh) 利用手提裝置均衡電腦監視器
CN105096815A (zh) Led显示屏亮色度校正方法以及led显示屏系统
CN101887700A (zh) 计算机系统、显示装置及背光控制方法
CN103841726A (zh) 极片表面缺陷检测中光源亮度实时调整装置及其调整方法
CN108172156A (zh) 一种投影仪智能投影控制系统及方法
CN102043541A (zh) 一种通用光学触摸屏
EP2232475B1 (en) Method and apparatus using performance prediction for optimization of color fidelity of a display
CN103077687A (zh) 液晶显示装置
CN104780320A (zh) 环境光检测方法和电子设备
CN104349098B (zh) 投影装置及其投影画面的亮度控制方法
CN101682964A (zh) 照明控制系统和方法
CN106094198A (zh) 一种智能色选机光学系统自适应校正方法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