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6901B1 - vehicle for toy - Google Patents

vehicle for to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6901B1
KR101826901B1 KR1020160096042A KR20160096042A KR101826901B1 KR 101826901 B1 KR101826901 B1 KR 101826901B1 KR 1020160096042 A KR1020160096042 A KR 1020160096042A KR 20160096042 A KR20160096042 A KR 20160096042A KR 101826901 B1 KR101826901 B1 KR 1018269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body
rotation
flywheel
wheel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604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장원봉
Original Assignee
장원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원봉 filed Critical 장원봉
Priority to KR10201600960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6901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69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690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7/00Toy vehicles, e.g. with self-drive; ; Cranes, winches or the like; Accessories therefor
    • A63H17/02Toy vehicles, e.g. with self-drive; ; Cranes, winches or the like; Accessories therefor convertible into other forms under the action of impact or shock, e.g. arrangements for imitating acciden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7/00Toy vehicles, e.g. with self-drive; ; Cranes, winches or the like; Accessories therefor
    • A63H17/26Details; Accessories
    • A63H17/262Chassis; Wheel mountings; Wheels; Axles; Suspensions; Fitting body portions to chassi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1/00Gearing for toys
    • A63H31/08Gear-control mechanisms; Gears for imparting a reciprocating motion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for a toy in which a vehicle body is stood by a standing means and the vehicle body is rotated in a standing state. The vehicle for a toy comprises: the vehicle body including a wheel; a flywheel linked and rotated by the wheel, and having a rotation axis protruding the outside of the vehicle body; the standing means standing the vehicle body; and a protrusion part forwardly protruding the vehicle body.

Description

완구용 차량{ vehicle for toy }Vehicle for toy {vehicle for toy}

본 발명은 차량본체가 회전되는 완구용 차량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y vehicle in which a vehicle body is rotated.

종래의 완구용 차량으로는 일본공개특허 평9-215871호에 기재된 것이 있다.A conventional toy vehicle is disclosed in Japanese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9-215871.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완구용 차량은, 차체(1)가 상부 프레임과 하부프레임으로 구성되고, 차체(1)를 주행시키기 위한 차륜(2)은 2개의 전륜과 구동륜인 2개의 후륜으로 구성되어 있고, 이들은 상기 차체(1)의 하부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그 중 후륜은 그 외주면에 대해서 주행 시의 구동력이 발휘되기 쉽도록 고무 등을 접착하는 등의 미끄럼 방지 처리가 실시되어 있어, 후술할 회전 전달 기구부(미도시)를 통해 플라이 휠(3)의 회전이 전해져 구동되게 되어 있다. The conventional toy vehicle shown in Fig. 1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vehicle body 1 is constituted by an upper frame and a lower frame and the wheel 2 for driving the vehicle body 1 is constituted by two front wheels and two rear wheels And these are rotatably installed in the lower frame of the vehicle body 1. [ The rear wheel is provided with a non-slip treatment such as rubber to adhere the rubber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ear wheel so that the driving force during running can be exerted. The rotation of the flywheel 3 is transmitted to the rear wheel through the rotation transmitting mechanism (not shown) To be driven and driven.

플라이 휠(3)은 회전축(4)에 소정의 지름으로 구성되는 원반(30)을 설치한 것이며, 그 회전축(4)이 차체(1)의 상부 프레임에 설치된 베어링과 하부 프레임에 설치된 베어링에 각각 슬라이드 가능하게 축지됨으로써, 차체(1)의 상하방향(화살표 A,B방향)에 대해서 소정의 범위 내에서 변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특히 플라이 휠(3)이 최하점으로 변위했을 때에는 그 회전축 하단(4a)이 수레바퀴밑부분(2a)보다 하방으로 돌출되게 되어 있어, 차체(1)이 떠오르는 상태가 되어 팽이와 같이 회전할 수 있다.The flywheel 3 is provided with a disc 30 having a predetermined diameter on the rotary shaft 4. The rotary wheel 4 is mounted on a bearing provided on the upper frame of the vehicle body 1 and a bearing provided on the lower frame (In the directions of arrows A and B) of the vehicle body 1 by being slidably and axially displaceable in a predetermined range. Particularly, when the flywheel 3 is displaced to the lowermost point, the lower end 4a of the rotary shaft is projected downward from the lower portion 2a of the wheelbarrow, so that the vehicle body 1 is floated and can rotate like a top .

돌출 부재(6)는 양단 측이 뒷측에 만곡한 범퍼 형상으로 구성되는 접촉 부재 (60)와 그 접촉 부재(60)를 지지하기 위한 암 부재(61)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접촉 부재(60)는 차체(1)의 주행 방향(화살표 C방향)을 향해서 차체 선단부에서 돌출된 위치로 배치되어 있고, 화살표 C,D방향으로 슬라이드해 변위하게 되어 있다.The projecting member 6 is composed of a contact member 60 having bumper shapes whose both ends are curved on the rear side and an arm member 61 for supporting the contact member 60. The contact member 60 is disposed at a position protruding from the vehicle body front end toward the running direction (direction of arrow C) of the vehicle body 1 and is slid in the directions of arrows C and D to be displaced.

또한, 변위 기구부(7)는 크게 나누면, 플라이 휠(3)의 회전축(4)을 상하방향으로 변위시키기 위한 승하강용 부재와, 플라이 휠(3)이 최상점(윗방향의 변위 한계점) 또는 최하점(아래방향의 변위 한계점)으로 변위했을 때 정지시키는 정지용 부재로 구성된다. 승하강용 부재는 돌출 부재(6)의 암 부재(61)가 화살표 C,D방향으로 변위하는 동작과 연동되어 동작된다.The displacement mechanism portion 7 is roughly divided into a vertical lift member for vertically displacing the rotary shaft 4 of the flywheel 3 and a vertical lift member for lifting the flywheel 3 in the vertical direction (Displacement limit point in downward direction). The ascending / descending member is operated in conjunction with the movement of the arm member 61 of the projecting member 6 in the directions of the arrows C and D.

또한 구동륜인 후륜과 플라이 휠(3)이 서로의 회전을 서로 전달하기 위한 회전 전달 기구부(미도시)가 설치된다. 상기의 회전 전달 기구부는 복수의 기어를 이용해 구성되어 있다. 즉 기어로서는 구동륜인 후륜의 차축에 동심상에 설치된 관상 기어와 차체(1)의 상부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축지된, 서로 다른 직경의 대소 기어로 일체화된 2개의 감속용 중간 기어와, 플라이 휠(3)의 회전축(4)에 설치된 피니언이 사용된다. 이 회전 전달 기구부(5)에 의하면 후륜의 회전은 속도가 증가되어 플라이 휠(3)에 전해지고, 플라이 휠(3)의 회전은 감속되어 후륜에 전해진다. 그래서 후륜을 수동 등에 의해 회전시킨 경우에, 회전 전달 기구부를 통해 플라이 휠(3)을 고속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Further, a rotation transmission mechanism (not shown) for transmitting the rotation of the rear wheel, which is a drive wheel, and the flywheel 3 to each other is provided. The rotation transmitting mechanism portion is configured using a plurality of gears. That is, as gears, there are two gears for speed reduction integrated with gears of different diameters, which are integrally formed with a tubular gear mounted on the axle of the rear wheel, which is a drive wheel, and the upper frame of the vehicle body 1, 3 is used as the pinion. According to this rotation transmitting mechanism portion 5, the rotation of the rear wheel is increased in speed and transmitted to the flywheel 3, and the rotation of the flywheel 3 is decelerated and transmitted to the rear wheel. Therefore, when the rear wheel is rotated by a manual operation or the like, the flywheel 3 can be rotated at a high speed through the rotation transmitting mechanism portion.

이상과 같은 종래의 완구용 차량은, 주행중 장애물(8)에 돌출 부재(6)가 충돌하면, 그때의 충격에 의해 돌출 부재(6)가 화살표 D방향으로 변위하여 승하강 부재가 동작하고, 결과적으로 차체(1)는 하방으로 돌출되는 회전축(4)에 의해 들어 올려지고, 플라이 휠(3)의 회전력에 의해 완구용 차량 전체가 팽이처럼 회전하게 된다.In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toy vehicle, when the protruding member 6 collides with the obstacle 8 while the vehicle is running, the protruding member 6 is displaced in the direction of arrow D by the impact at that time, The vehicle body 1 is lifted up by the rotating shaft 4 protruding downward and the entire toy vehicle is rotated like a top by the rotational force of the flywheel 3. [

그러나, 돌출 부재가 장애물에 충돌한 후 이어서 단순히 회전하기만 하므로, 동작이 단조로워 완구용(놀이용)으로 재미가 떨어진다.However, since the protruding member collides with the obstacle and then simply rotates, the operation becomes monotonous and becomes less fun for toys (for play).

일본공개특허 평9-215871호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9-215871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차량본체가 기립수단에 의해 기립되고, 기립된 상태로 차량본체가 회전되는 완구용 차량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oy vehicle in which a vehicle body is erected by standing means and the vehicle body is rotated in a standing state.

전술한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완구용 차량은, 차륜을 포함하는 차량본체; 상기 차륜에 연동되어 회전되고, 회전축이 상기 차량본체의 외부로 돌출된 플라이휠; 상기 차량본체를 기립시키는 기립수단; 을 포함하되, 상기 차량본체는 기립된 상태로 상기 플라이휠의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object, the toy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vehicle body including wheels; A flywheel rotated in association with the wheel and having a rotation shaft protruding outside the vehicle body; Standing means for standing the vehicle body; Wherein the vehicle body is rotated about the rotation axis of the flywheel in an upright state.

또한, 상기 차량본체는 기립된 상태에서 상기 플라이휠의 회전 관성력에 의해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vehicle body is rotated about the rotation axis by the rotation inertia force of the flywheel in an upright state.

또한, 상기 차륜은 한 쌍의 전륜 및 후륜을 포함하되, 상기 전륜이 상기 플라이휠과 연동되고, 상기 플라이휠의 상기 회전축은 일단이 상기 차량본체의 후방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wheel includes a pair of front wheels and rear wheels, wherein the front wheel is interlocked with the flywheel, and the rotary shaft of the flywheel has one end protruding rearward of the vehicle body.

또한, 상기 차륜이 결합된 구동축과 상기 플라이휠의 상기 회전축을 연결하여 연동시키는 제1회전전달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제1회전전달부재는 상기 구동축으로부터 입력된 회전력을 증속시켜 상기 회전축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rst rotation transmitting member may increase the rotational force input from the driving shaft by connecting the driving shaft coupled with the wheel and the rotation shaft of the flywheel, To the rotary shaft.

또한, 상기 차량본체의 전방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돌출부의 후방 방향 이동에 의해 상기 차륜과 상기 기립수단이 연동되도록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vehicle further includes a protrusion protruding forward from the vehicle body, wherein the wheel and the standing-up means are linked to each other by the rearward movement of the protrusion.

또한, 상기 기립수단은 일측이 상기 차량본체의 하부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차륜의 전진 방향 회전에 연동되어 상기 차량본체가 상기 기립수단에 대해 상대 회전하며 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tanding means is hinged on one side of the lower portion of the vehicle body, and is interlocked with the forward rotation of the wheel so that the vehicle body stands up relative to the standing means.

또한, 상기 차륜이 결합된 구동축과 상기 기립수단을 연결하여 연동시키는 제2회전전달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제2회전전달부재는 상기 구동축으로부터 입력된 회전력을 감속시켜 상기 기립수단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econd rotation transmitting member decelerates the rotational force input from the driving shaft and transmits the decelerating force to the standing up means. The second rotation transmitting member includes a second rotation transmitting member for connecting the driving shaft coupled with the wheel and the standing- .

또한, 상기 제2회전전달부재는 상기 구동축에 결합된 웜과,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웜에 대해 맞물리거나 또는 맞물림이 해제되는 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의 후방 이동시, 상기 기어는 상기 웜에 맞물려 연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econd rotation transmitting member includes a worm coupled to the drive shaft and a gear mounted vertically movably to engage or disengage the worm, and when the wrist is moved backward, So as to be interlocked with each other.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차량본체가 기립된 후, 기립된 상태로 회전할 수 있어 재미요소가 향상되고, 완구용(놀이용)으로 좋다.After the vehicle body stands up, it can be rotated in an upright position, so that the fun factor is improved and it is good for toys (for play).

또한, 플라이휠의 회전 관성력에 의해, 기립된 상태에서 회전 상태가 용이하게 지속될 수 있다.Further, the rotating state of the flywheel can be easily maintained by the rotational inertia force of the flywheel.

또한, 플라이휠은 전륜과 연동되고, 회전축은 차량본체의 후방으로 돌출되어, 차량본체가 기립되는 동안 전륜이 들리므로 플라이휠의 회전이 지속되는 상태에서 차량본체가 전후진 없이 기립가능하다.Further, the flywheel is interlocked with the front wheel, and the rotation shaft is projected to the rear of the vehicle body, so that the front body is lifted while the vehicle body is standing, so that the vehicle body can stand up without back and forth while the rotation of the flywheel is continued.

또한, 증속된 회전이 플라이휠에 전달되어 차량본체를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increased rotation can be transmitted to the flywheel to easily rotate the vehicle body.

또한, 주행 도중, 장애물(또 다른 완구용 차량)에 부딪힌 충격에 의해, 차량본체가 자동으로 기립 가능하다.Further, during the running, the vehicle body is automatically able to stand up due to the impact of an obstacle (another toy vehicle).

또한, 감속된 회전이 기립수단에 전달되어 기립수단에 의해 차량본체가 서서히 기립될 수 있어, 무게중심이 서서히 올라가므로 안정성이 좋고, 사용자의 기대감을 유발하는 재미요소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decelerated rotation is transmitted to the standing means and the vehicle body can be gradually raised by the standing means, the center of gravity is gradually raised, so that the stability is good and there is a fun factor that causes the expectation of the user.

도 1은 종래 완구용 차량의 장애물 충돌 후의 (회전)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의 완구용 차량의 사시도.
도 3은 도 2에서 상부몸체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하부몸체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도 4에서 돌출부가 후방 이동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6은 제2회전전달부재와 구동축의 웜이 연결해제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돌출부의 전방 이동 상태).
도 7은 제2회전전달부재와 구동축의 웜이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돌출부의 후방 이동 상태).
도 8은 제2회전전달부재가 웜에 연결된 후, 전륜의 전진 방향 회전에 연동되어 기립수단의 회전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9 내지 도 12는 두 개의 완구용 차량이 충돌한 후, 기립하여 회전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FIG. 1 is a state diagram showing a state of a conventional toy vehicle after an obstacle collision (rota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toy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upper body is separated in FIG. 2; FIG.
4 is a plan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lower body.
Fig. 5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rojections are moved backward in Fig. 4; Fig.
6 is a state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worm is disengaged from the second rotation transmitting member and the drive shaft (forward movement state of the protruding portion).
7 is a state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worm is connected to the drive shaft via the second rotation transmitting member (the rearward movement state of the protruding portion).
8 is a state diagram showing the rotation state of the standing means in conjunction with the forward rotation of the front wheel after the second rotation transmitting member is connected to the worm.
Figs. 9 to 12 are flowcharts showing a process of standing up and rotating after two toy vehicles collide. Fig.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완구용 차량(100)은, 도 2 내지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륜(111,112)을 포함하는 차량본체(101);와, 차륜(111)에 연동되어 회전되고, 회전축(121)이 차량본체(101)의 외부로 돌출된 플라이휠(120);과, 차량본체(101)를 기립시키는 기립수단(210); 을 포함하되, 차량본체(101)는 기립된 상태로 플라이휠(120)의 회전축(121)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2 to 12, a toy vehicle 100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vehicle body 101 including wheels 111 and 112; A flywheel 120 in which the rotary shaft 121 protrudes to the outside of the vehicle body 101; standing means 210 for standing the vehicle body 101; , Wherein the vehicle body (101) is rotated about the rotation axis (121) of the flywheel (120) in an upright state.

본 설명에서 방향은 도 2의 좌표를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In this description, directions are described based on the coordinates in Fig.

차량본체(101)는, 도 2 및 도 3과 같이, 상부몸체(104)와 하부몸체(110)가 결합되어 대략 직육면체 형상의 상자 형상을 갖는다.2 and 3, the vehicle body 101 has an approximately rectangular parallelepiped box shape in which an upper body 104 and a lower body 110 are coupled to each other.

상부몸체(104)는 하부가 개방되고, 전후 양측이 하부몸체(110)에 볼트 결합된다.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상부몸체(104) 후방 양측의 제1볼트결합부(108)가 하부몸체(110) 후방 양측의 제2볼트결합부(117)에 볼트결합되고, 상부몸체(104) 전방 양측에 형성된 원통 형상의 제3볼트결합부(미도시)가 하부몸체(110) 전방 양측에 형성된 제4볼트결합부(118)에 볼트결합된다.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body 104 is opened, and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upper body 104 are bolted to the lower body 110. The first bolt coupling portion 108 on the rear both sides of the upper body 104 is bolted to the second bolt coupling portion 117 on both sides of the rear side of the lower body 110, (Not shown) formed on the lower body 110 are bolted to a fourth bolt coupling portion 118 form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body 110. The third bolt coupling portion (not shown)

또한, 상부몸체(104)의 상부의 원통부(109)에는 커버(106)가 볼트 결합된다. The cover 106 is bolted to the cylindrical portion 109 on the upper portion of the upper body 104.

또한, 상부몸체(104)의 상부 중앙에는 제1관통구(105)가 상하로 관통 형성되고, 커버(106)의 상부에는 제2관통구(106a)가 상하로 관통 형성된다. 슬라이딩바(190)의 상부가 제1관통구(105) 및 제2관통구(106a)를 관통하여 커버(106)의 상측으로 돌출된다. 슬라이딩바(190)의 상단에는 캡(192)이 결합된다. 슬라이딩바(190)의 하부에는 후술할 2단기어C(172)가 결합되어 있다.A first through hole 105 is vertically formed at an upper center of the upper body 104 and a second through hole 106a is form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cover 106 vertically. The upper portion of the sliding bar 190 protrudes above the cover 106 through the first through hole 105 and the second through hole 106a. A cap 192 is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sliding bar 190. A second-stage gear C 172 (to be described later) is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sliding bar 190.

또한, 상부몸체(104)의 후방 상부에는 사각 형상으로 상측으로 돌출된 플라이휠수용부(107)가 형성된다. 플라이휠수용부(107)의 내부에는 플라이휠(120)의 상부가 수용된다.A flywheel receiving portion 107 protruding upward in a rectangular shape is formed at a rear upper portion of the upper body 104. The upper portion of the flywheel 120 is accommodated in the flywheel receiving portion 107.

이하에는 하부몸체(110)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lower body 110 will be described.

도 3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몸체(110)의 전후 양측에는 차륜(111,112)이 결합된다.3 to 7, the wheels 111 and 112 are coupled to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lower body 110, respectively.

차륜(111,112)은 한 쌍의 전륜(111) 및 후륜(112)을 포함하되, 전륜(111)은 전륜회전축인 구동축(113)의 양단에 결합되고, 후륜(112)은 후륜회전축(115)의 양단에 결합된다. 구동축(113)과 후륜회전축(115)은 하부몸체(110)를 좌우로 가로질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전륜(111)은 구동륜으로서, 주행시의 구동력이 발휘되기 쉽도록 외주면에 고무(114,도 2에 도시)를 결합하는 등의 미끄럼 방지 처리가 되어 있다.The wheels 111 and 112 include a pair of front wheels 111 and rear wheels 112. The front wheels 111 are coupled to both ends of a driving shaft 113 which is a front wheel rotational shaft and the rear wheel 112 is coupled to both ends of the rear wheel rotational shaft 115 Lt; / RTI > The driving shaft 113 and the rear wheel rotating shaft 115 are rotatably installed across the lower body 110. The front wheel 111 is a drive wheel, and is provided with a non-slip treatment such as a rubber 114 (shown in Fig. 2) bond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so that driving force during driving can be exerted.

또한, 하부몸체(110)는, 차륜(111), 보다 자세하게는 전륜(111)과 연동되어 회전되고 회전축(121)이 차량본체(101), 다시 말해 하부몸체(110)의 외부로 돌출된 플라이휠(120)과, 플라이휠(120)의 회전축(121)과 전륜(111)이 결합된 구동축(113)을 연결하여 연동시키는 제1회전전달부재(150)와, 일측이 차량본체(101), 다시 말해 하부몸체(110)의 하부에 힌지 결합되어 차량본체(101)를 기립시키는 기립수단(210)과, 전륜(111)이 결합된 구동축(113)과 기립수단(210)을 연결하여 연동시키는 제2회전전달부재(170)와, 차량본체(101), 다시 말해 하부몸체(110)의 전방으로 돌출되어 전후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돌출부(200)를 포함한다.The lower body 110 is connected to the wheel 111 and more specifically to the flywheel 110 that is rotated in association with the front wheel 111 and the rotation shaft 121 is projected to the outside of the vehicle body 101, A first rotation transmitting member 150 connecting and connecting the rotation shaft 121 of the flywheel 120 and the drive shaft 113 to which the front wheel 111 is coupled, A lifting means 210 hinged to a lower portion of the lower body 110 to raise the vehicle body 101 and a drive shaft 113 coupled to the front wheel 111 and an upstanding means 210, Two rotation transmitting members 170 and a protrusion 200 protruding forward from the vehicle body 101, that is, the lower body 110 and movable in the front-rear direction.

제1회전전달부재(150)는, 하부몸체(110)의 내부에서 일측으로 편심되어 위치되되, 복수 개의 기어가 연결되어 구성된다.The first rotation transmitting member 150 is disposed eccentrically to one side in the lower body 110, and a plurality of gears are connected to the first rotation transmitting member 150.

제1회전전달부재(150)의 구성을 설명하면, 하부몸체(110)의 내부 전방에 배치되어 구동축(113)이 중심을 관통한 제1평기어(151)가 구동축(113)의 일측에 결합된다.A first spur gear 151 is disposed in the inner front of the lower body 110 and passes through the center of the drive shaft 113 and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drive shaft 113. [ do.

또한, 제1평기어(151)는 구동축(113)의 일측 후방에 좌우 방향으로 설치된 축(153)에 결합된 2단기어A(152)에 맞물린다. 2단기어A(152)는 제1평기어(151)의 후방에 위치하여 제1평기어(151)와 맞물리는 제1피니언(152a)과, 제1피니언(152a)에서 하부몸체(110)의 내측방향으로 일체로 형성된 제2평기어(152b)를 포함한다. 제1피니언(152a)은 제2평기어(152b)보다 외주 둘레가 작아 단차지게 형성된다.The first spur gear 151 is engaged with the second gear A 152 coupled to the shaft 153 provided laterally to the rear of the drive shaft 113. The second gear A 152 includes a first pinion 152a located at the rear of the first spur gear 151 and meshed with the first spur gear 151 and a second pinion 152b meshing with the first pinion 152a, And a second spur gear 152b integrally formed in an inner direction of the spur gear 152b. The first pinion 152a is formed to have a stepped outer periphery smaller than the second spur gear 152b.

또한, 제2평기어(152b)는, 제2평기어(152b)의 후방에 좌우 방향으로 설치된 축(155)에 결합된 2단기어B(154)에 맞물린다. 2단기어B(154)는 제2평기어(152b)의 후방에 위치하여 제2평기어(152b)와 맞물리는 제2피니언(154a)과, 제2피니언(154a)의 일측에 형성된 제1크라운기어(154b)를 포함한다. 제1크라운기어(154b)는 제2피니언(154a)에서 하부몸체(110)의 내측방향에 일체로 형성된다. 제2피니언(154a)은 제1크라운기어(154b)보다 외주 둘레가 작아 단차지게 형성된다. 제1크라운기어(154b)의 기어치는 하부몸체(110)의 내측 방향을 향해 형성된다.The second spur gear 152b meshes with the second gear B 154 coupled to the shaft 155 provided laterally to the rear of the second spur gear 152b. The second gear B 154 includes a second pinion 154a located at the rear of the second spur gear 152b and meshing with the second spur gear 152b and a second pinion 154b meshing with the first pinion 154a formed on one side of the second pinion 154a. And a crown gear 154b. The first crown gear 154b is integrally formed in the inner direction of the lower body 110 from the second pinion 154a. The second pinion 154a is formed so as to have a stepped outer periphery smaller than the first crown gear 154b. The gear teeth of the first crown gear 154b are formed toward the inner side of the lower body 110.

또한, 제1크라운기어(154b)는 플라이휠(120)의 회전축(121) 단부에 결합된 제3피니언(156)에 맞물린다. 도 5와 같이, 평면상에서 볼 때, 제1크라운기어(154b)가 결합된 축(155)과, 제3피니언(156)이 결합된 회전축(121)은 서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치된다.The first crown gear 154b is engaged with the third pinion 156 coupled to the end of the rotary shaft 121 of the flywheel 120. [ 5, the shaft 155 to which the first crown gear 154b is coupled and the rotation shaft 121 to which the third pinion 156 is coupled are installed in directions perpendicular to each other.

이상과 같은 제1회전전달부재(150)를 통해, 구동축(113)에 결합된 전륜(111)과, 플라이휠(120)이 서로 연동된다. 다시 말해, 구동축(113)의 회전력이 플라이휠(120)의 회전축(121)에 전달되어, 플라이휠(120)이 회전된다. 또한 플라이휠(120)의 회전력(회전 관성력)이 제1회전전달부재(150)를 통해 구동축(113) 및 전륜(111)에 전달된다. 제1회전전달부재(150)는 구동축(113)으로부터 입력된 회전력을 증속시켜 회전축(121)에 전달한다. 그래서 증속된 회전이 회전축(121) 및 플라이휠(120)에 전달되어 고속으로 회전되며, 차량본체(101)를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The front wheel 111 coupled to the drive shaft 113 and the flywheel 120 interlock with each other through the first rotation transmitting member 150 as described above. In other words, the rotating force of the driving shaft 113 is transmitted to the rotating shaft 121 of the flywheel 120, and the flywheel 120 is rotated. The rotational force (rotational inertia) of the flywheel 120 is transmitted to the drive shaft 113 and the front wheel 111 via the first rotation transmitting member 150. The first rotation transmitting member 150 increases the rotational force input from the driving shaft 113 and transmits the increased rotational force to the rotating shaft 121. Thus, the increased rotation is transmitted to the rotary shaft 121 and the flywheel 120 and is rotated at a high speed, so that the vehicle body 101 can be easily rotated.

이하에는, 회전축(121)과 플라이휠(120)의 결합을 설명하도록 한다. 플라이휠(120)은 하부몸체(110)의 후방의 후방벽(140)과, 하부몸체(110)의 내부에 형성되어 후방벽(140)에 대해 전방으로 이격된 구획벽(142) 사이에 위치된다. 그리고 회전축(121)은 하부몸체(110)의 내부 후방부에 배치되어 구획벽(142)과 후방벽(140)을 전후로 관통하고, 일단이 차량본체(101)의 후방으로 돌출된다. 다시 말해, 회전축(121)의 후단부가 후방벽(140)의 후방으로 돌출된다.Hereinafter, the combination of the rotary shaft 121 and the flywheel 120 will be described. The flywheel 120 is positioned between a rear wall 140 at the rear of the lower body 110 and a partition wall 142 formed at the interior of the lower body 110 and spaced forwardly from the rear wall 140 . The rotary shaft 121 is disposed at an inner rear portion of the lower body 110 and penetrates the partition wall 142 and the rear wall 140 forward and rearward. One end of the rotary shaft 121 protrudes rearward of the vehicle body 101. In other words, the rear end of the rotation shaft 121 protrudes rearward of the rear wall 140.

회전축(121)에서 제3피니언(156)의 후방에는 제1지지부(122)가 결합된다. 제1지지부(122)는 전방부가 후방부보다 직경이 작도록 단차지게 형성되고, 전방부가 구획벽(142)의 상부에 오목하게 형성된 홈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제1지지부(122)는 회전축(121)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The first support portion 122 is coupled to the rear of the third pinion 156 on the rotary shaft 121. The front portion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122 is formed to be stepped so that the front portion thereof is smaller in diameter than the rear portion thereof, and the front portion thereof is inserted and fixed in a recess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partition wall 142. The first support portion 122 rotatably supports the rotation shaft 121.

회전축(121)에서 제1지지부(122)의 후방에는 제1체결부(125)가 결합되고, 제1체결부(125)의 중앙부 및 후방부는 플라이휠(120)의 중심을 관통하여 삽입된다. 제1체결부(125)는 중앙부는 전방부에 비해 직경이 작아지도록 단차져 형성되고, 후방부는 중앙부에 비해 직경이 작아지도록 단차져 형성된다. 다시 말해, 제1체결부(125)는 2단으로 단차져 형성된다.A first coupling part 125 is coupled to the rear of the first support part 122 on the rotary shaft 121 and a center part and a rear part of the first coupling part 125 are inserted through the center of the flywheel 120. The first fastening part 125 is formed in a stepped shape so that the diameter of the central part is smaller than that of the front part, and the diameter of the rear part is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center part. In other words, the first fastening portions 125 are formed in two stages.

또한, 제1체결부(125)의 후방에는 제2체결부(126)가 결합된다. 제2체결부(126)의 전방부는 플라이휠(120)에 삽입되고, 제1체결부(125)의 후방부는 제2체결부(126)의 전방부 중심에 삽입된다.The second fastening portion 126 is coupled to the rear of the first fastening portion 125. The front portion of the second fastening portion 126 is inserted into the flywheel 120 and the rear portion of the first fastening portion 125 is inserted into the center of the front portion of the second fastening portion 126.

제1체결부(125) 및 제2체결부(126)는 회전축(121)과 플라이휠(120)이 연동되어 회전되도록 결합시킨다. 그래서 회전축(121)의 회전력이 플라이휠(120)에 전달된다.The first fastening part 125 and the second fastening part 126 are coupled so that the rotation shaft 121 and the flywheel 120 interlock with each other and rotate. Thus, the rotational force of the rotating shaft 121 is transmitted to the flywheel 120.

또한, 회전축(121)에서 제2체결부(126)의 후방에는 제2지지부(123)가 결합된다. 제2지지부(123)는 후방부가 전방부보다 직경이 작도록 단차지게 형성되고, 후방부가 후방벽(140)의 상부에 오목하게 형성된 홈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제2지지부(123)는 회전축(121)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제2지지부(123)의 후방부는 후방벽(140)의 후방으로 일부 돌출될 수 있다. 제1지지부(122)와 제2지지부(123)를 통해 회전축(121)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The second support portion 123 is coupled to the rear of the second coupling portion 126 on the rotary shaft 121. The rear portion of the second support portion 123 is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recess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rear wall 140. The rear portion of the second support portion 123 is formed to have a smaller diameter than the front portion. The second support portion 123 rotatably supports the rotation shaft 121. The rear portion of the second support portion 123 may partially protrude rearward of the rear wall 140. The rotation shaft 121 is rotatably supported through the first support portion 122 and the second support portion 123.

또한, 회전축(121)에서 제2지지부(123)의 후방에는 축심(128)이 결합된다. 다시 말해, 회전축(121)의 후단부에는 축심(128)이 결합된다. 축심(128)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되, 축심(128)의 후방부는 반구형으로 형성되어 후방부 중심에 변곡점이 형성된다. 차량본체(101)가 기립하면 축심(128)이 완구용 차량(100)이 주행하는 바닥에 닿아 회전축(121)을 중심으로 회전된다.The shaft 128 is coupled to the rear of the second support 123 on the rotary shaft 121. In other words, the shaft center 128 is coupled to the rear end of the rotary shaft 121. The axis 128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the rear portion of the axis 128 is hemispherical, and an inflection point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rear portion. When the vehicle body 101 stands up, the axis 128 contacts the floor on which the toy vehicle 100 travels, and is rotated about the rotation axis 121. [

한편, 플라이휠(120)은, 회전축(121)이 중심을 관통하여 결합되되, 소정의 지름을 가지는 원반 형상이다. 플라이휠(120)은 다른 부품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무거운 중량을 가지고, 금속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flywheel 120 has a disc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diameter, which is coupled through the center of the rotating shaft 121. The flywheel 120 has a relatively heavy weight relative to other components and may be formed of a metal material.

사용자가 구동륜인 전륜(111)을 전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이것에 의해 전륜(111)의 회전이 제1회전전달부재(150)를 통해 플라이휠(120)의 회전축(121)에 전해져, 플라이휠(120)이 회전 상태가 된다. 또한 플라이휠(120)이 회전 상태에 있는 동안에 플라이휠(120)의 회전력(회전 관성력)이 제1회전전달부재(150)를 통해 전륜(111)측에 전해져, 전륜(111)이 구동되는 상태가 된다. 차량본체(101)는 기립된 상태에서 플라이휠(120)의 회전 관성력에 의해 회전이 지속되며 회전축(121)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플라이휠(120)의 회전 관성력에 의해, 차량본체(101)가 기립된 상태에서 회전 상태가 용이하게 지속될 수 있다.The rotation of the front wheel 111 is transmitted to the rotation shaft 121 of the flywheel 120 through the first rotation transmitting member 150 and the flywheel 120 is rotated by the rotation of the front wheel 111, This state is in the rotated state. While the flywheel 120 is rotating, the rotational force (rotational inertia) of the flywheel 120 is transmitted to the front wheel 111 via the first rotation transmitting member 150, and the front wheel 111 is driven . The vehicle body 101 continues to rotate by the rotational inertia force of the flywheel 120 in the standing state and is rotated about the rotational axis 121. [ The rotating state of the vehicle body 101 can be easily maintained in the standing state by the rotational inertia force of the flywheel 120. [

이하에는 제2회전전달부재(170)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제2회전전달부재(170)는 차륜(111), 보다 자세하게는 전륜(111)이 결합된 구동축(113)과 기립수단(210)을 연결하여 연동시키는 것으로서, 차량본체(101)의 전방으로 돌출된 돌출부(200)의 후방 방향 이동에 의해 차륜(111), 보다 자세하게는 전륜(111)과 기립수단(210)이 연동되도록 연결된다. 구동축(113)과 제2회전전달부재(170)를 연결시키는 돌출부(200)에 대해서는 뒤에서 상술하도록 하고, 이하에는 먼저 도 5 및 도 7을 참고하여 제2회전전달부재(170)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second rotation transmitting member 170 will be described. The second rotation transmitting member 170 is connected to the wheel 111 and more specifically to the driving shaft 113 to which the front wheel 111 is coupled and the standing unit 210. The second rotation transmitting member 170 is configured to project toward the front of the vehicle body 101 The front wheel 111 and the standing means 210 are linked to each other by the rearward movement of the protruding portion 200. [ The protrusion 200 connecting the drive shaft 113 and the second rotation transmitting member 17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First, the second rotation transmitting member 17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 and 7 do.

제2회전전달부재(170)는, 하부몸체(110)의 내부에서 타측으로 편심되어 위치되되, 복수 개의 기어가 연결되어 구성된다.The second rotation transmitting member 170 is disposed eccentrically to the other side in the lower body 110, and is constructed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gears.

제2회전전달부재(170)의 구성을 설명하면, 하부몸체(110)의 내부 전방에 배치되어 구동축(113)이 중심을 관통한 웜(171)이 구동축(113)의 타측에 결합된다. 또한, 웜(171)은 후방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슬라이딩바(190)의 하부에 결합된 2단기어C(172)와 맞물린다. 2단기어C(172)는 하부에 형성되어 웜(171)과 맞물리는 제3평기어(172a)와, 제3평기어(172a)의 상부 중심에 일체로 형성된 제4피니언(172b)을 포함한다. 제4피니언(172b)은 제3평기어(172a)보다 외주 둘레가 작아 단차지게 형성된다. 또한, 제4피니언(172b)의 상부에는 외주 둘레가 작아지도록 단차져 상측으로 연장 형성된 원통부(172c)를 더 포함한다. 2단기어C(172)는 슬라이딩바(190)를 중심으로 슬라이딩바(190)와 함께 회전된다.A worm 171 disposed on the inner front of the lower body 110 and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drive shaft 113 is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drive shaft 113. [ The worm 171 is engaged with the second gear C 172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liding bar 190 installed to be movable up and down in the rear direction. The second gear C 172 includes a third spur gear 172a formed at the lower portion thereof to mesh with the worm 171 and a fourth pinion 172b integrally formed at the upper center of the third spur gear 172a do. The fourth pinion 172b has a smaller outer circumference than the third spur gear 172a, so that the fourth pinion 172b is stepped. In addition, the upper portion of the fourth pinion 172b further includes a cylindrical portion 172c that extends stepwise upward to have a smaller outer circumference. The second gear C 172 is rotated together with the sliding bar 190 about the sliding bar 190.

2단기어C(172)의 제3평기어(172a)는 돌출부(200)의 후방 이동에 따라, 슬라이딩바(190)가 탄성부재(194)의 탄성력에 의해 상측으로 이동하게 되어 웜(171)에 맞물린다. 2단기어C(172)의 제3평기어(172a)와 웜(171)의 맞물림에 대해서는 뒤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The third spur gear 172a of the second gear C 172 moves upward due to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194 due to the rearward movement of the protrusion 200, Lt; / RTI > The engagement of the third spur gear 172a of the second gear C 172 with the worm 171 will be described later in more detail.

또한, 제4피니언(172b)은 상부에 배치된 제2크라운기어(174)의 하부에 맞물린다. 제2크라운기어(174)의 회전중심축은 슬라이딩바(190)와 서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된다.Further, the fourth pinion 172b is engaged with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crown gear 174 disposed at the upper portion. The rotation center axis of the second crown gear 174 is dispos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liding bar 190.

또한, 제2크라운기어(174)에서 제4피니언(172b)과 맞물리는 면의 반대면에는 제4평기어(175)가 일체로 형성된다. 제4평기어(175)는 제2크라운기어(174)에서 하부몸체(110)의 외측방향으로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제4평기어(175)는 제4평기어(175)의 후방에 좌우 방향으로 설치된 축(176a)에 결합된 제5피니언(176)에 맞물린다. 또한, 제5피니언(176)은 제5피니언(176)의 하부에 좌우 방향으로 설치된 힌지축(178)에 결합된 제5평기어(177)에 맞물린다. 힌지축(178)의 일측에는 제5평기어(177)가 결합되고, 타측에는 기립수단(210)의 연결부(211)가 결합된다.A fourth spur gear 175 is integrally formed on the opposite surface of the second crown gear 174 which is engaged with the fourth pinion 172b. The fourth spur gear 175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second crown gear 174 in the outer direction of the lower body 110 . The fourth spur gear 175 is engaged with a fifth pinion 176 coupled to a shaft 176a provided laterally to the rear of the fourth spur gear 175. [ The fifth pinion 176 meshes with a fifth spur gear 177 coupled to a hinge shaft 178 provided laterally to the lower portion of the fifth pinion 176. A fifth spur gear 177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hinge shaft 178 and a connecting portion 211 of the rising means 210 is coupled to the other side.

제5평기어(177)로 전달된 회전력은 힌지축(178)을 통해 기립수단(210)으로 전달된다.The rotational force transmitted to the fifth spur gear 177 is transmitted to the standing means 210 via the hinge shaft 178.

기립수단(210)은 도 5 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측, 보다 자세하게는 후방부가 차량본체(101)의 하부에 힌지 결합된다. 기립수단(210)은 하부몸체(110)의 내부 하부에 결합된다. 기립수단(210)은 힌지축(178)이 관통되어 삽입되는 연결부(211)와, 하부몸체(110)의 외측 하부에 배치되어 후단부가 연결부(211)의 하부에 연결된 기립바(215)를 포함한다. 연결부(211)는 하부몸체(110)의 하면에 형성된 관통구(미도시)를 관통하여 하부몸체(110)의 하측으로 돌출되고, 연결부(211)와 기립바(215)는 서로 직교한다. 기립바(215)의 전단부는 하부몸체(110)의 전방으로 일부 돌출되도록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5 to 8, the standing portion 210 is hinged to one side, more specifically, the rear portion of the vehicle body 101 at the lower portion thereof. The standing means 210 is coupled to the inner lower portion of the lower body 110. The standing means 210 includes a connecting portion 211 to which the hinge shaft 178 is inserted and inserted and a standing bar 215 disposed at the lower outer side of the lower body 110 and having a rear end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of the connecting portion 211 do. The connection part 211 protrudes downward from the lower body 110 through a through hole formed in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body 110 and the connection part 211 and the upright bar 215 ar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The front end of the standing bar 215 may be formed so as to partially protrude forward of the lower body 110.

제2회전전달부재(170)는 구동축(113)으로부터 입력된 회전력을 감속시켜 기립수단(210)에 전달한다. 그래서 감속된 회전이 기립수단(210)에 전달되어 도 8과 같이, 기립수단(210)이 힌지축(178)을 중심으로 하부몸체(110), 다시 말해 차량본체(101)에 대해 저속으로 상대 회전된다. 기립수단(210)의 회전은 기립바(215)가 하부몸체(110)의 하면에 형성된 상기 관통구(미도시)의 내부 후단부에 접하여 멈춘다. 따라서 완구용 차량(100)이 주행하는 바닥 위에서, 도 11 및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본체(101)가 기립수단(210)에 대해 상대 회전하며 기립될 수 있다. 기립수단(210)은 전륜(111)의 전진 방향 회전에 연동되어 서서히 회전되며 차량본체(101)를 서서히 기립시킨다. The second rotation transmitting member 170 decelerates the rotational force input from the driving shaft 113 and transmits the decelerated rotational force to the standing up unit 210. The decelerated rotation is transmitted to the standing means 210 to cause the standing means 210 to rotate about the hinge axis 178 with respect to the lower body 110, . The rotation of the standing means 210 stops when the standing bar 215 comes into contact with the inner rear end of the through hole (not shown) formed in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body 110. Therefore, on the floor where the toy vehicle 100 travels, as shown in Figs. 11 and 12, the vehicle body 101 can stand upright relative to the standing means 210. Fig. The standing means 210 is gradually rotated in conjunction with the forward rotation of the front wheel 111 to gradually raise the vehicle body 101.

감속된 회전이 기립수단(210)에 전달되어 기립수단(210)에 의해 차량본체(101)가 서서히 기립될 수 있어, 무게중심이 서서히 올라가므로 안정성이 좋고, 사용자의 기대감을 유발하는 재미요소가 있다.The decelerated rotation is transmitted to the standing means 210 so that the vehicle body 101 can be gradually raised by the standing means 210 and the center of gravity is gradually raised so that the stability is good and a fun factor have.

이하에는 도 4 내지 도 7을 참고하여, 돌출부(200) 및, 돌출부(200)에 연동된 웜(171)과 2단기어C(172)의 연결상태를 설명하도록 한다.The connection state of the protrusion 200 and the worm 171 and the second gear C 172 interlocked with the protrusion 200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Figs.

돌출부(200)는 사각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하부몸체(110)의 전방으로 돌출된 전방판(201)과, 전방판(201)의 후면에 연결되어 전후 방향으로 형성된 바(202)와, 바(202)의 전방부에 상하로 관통 형성된 장공(203)과, 바(202)의 후단부에 형성되어 하측으로 돌출된 돌출편(205)을 포함한다.The protrusion 200 is formed in a rectangular plate shape and includes a front plate 201 protruding forward of the lower body 110, a bar 202 connect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plate 201 and formed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202 and a projecting piece 205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bar 202 and protruding downward.

전방판(201)은 장애물에 부딪히게 되는 부분이다. 그리고 바(202)에 형성된 장공(203)에는 하부몸체(110)의 내부 저면에 형성된 수직기둥부(220)가 삽입된다. 수직기둥부(220)는 복수개가 전후 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되고, 돌출부(200)가 전후 이동함에 따라 장공(203)이 수직기둥부(220)를 따라 전후 이동된다. 수직기둥부(220)는 장공(203)의 내부 전면 및 후면에 접하며 돌출부(200)의 전후 이동 범위를 제한한다.The front plate (201) is a portion which is faced with an obstacle. The vertical pillar 220 formed on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lower body 110 is inserted into the slot 203 formed in the bar 202. A plurality of vertical columns 220 are form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s the projections 200 move back and forth, the long holes 203 are moved back and forth along the vertical columns 220. The vertical post 220 contacts the inner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slot 203 and restricts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range of the protrusion 200.

또한, 바(202)의 후단부에 형성된 돌출편(205)의 좌우 폭은, 바(202)의 좌우 폭보다 좁게 형성된다. 그리고 돌출편(205)의 상하 폭은 바(202)의 상하 폭보다 크게 형성된다. 그래서 돌출편(205)의 하부는 바(202)의 하면보다 하측으로 더 돌출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돌출편(205)의 전방면은 경사면(207)으로 형성된다. The left-right width of the protruding piece 205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bar 202 is formed to be narrower than the right-left width of the bar 202. The upper and lower widths of the projecting pieces 205 are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upper and lower widths of the bars 202. Thus, the lower portion of the protruded piece 205 is formed so as to protrude further downward than the lower surface of the bar 202. And the front surface of the protruded piece 205 is formed of the inclined surface 207. [

또한, 슬라이딩바(190)는 하부에 2단기어C(172)가 결합되고 상단부에 캡(192)이 결합된다. 슬라이딩바(190)는 차량본체(101)를 상하로 관통한다. 슬라이딩바(190)의 상부는 상부몸체(104)를 관통, 다시 말해 제1관통구(105) 및 제2관통구(106a)를 관통하여 차량본체(101)의 상측으로 돌출된다. 또한, 슬라이딩바(190)의 하부는 하부몸체(110)를 관통하여 하부몸체(110)의 하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딩바(190)의 하부 외주에는 탄성부재(194)가 설치된다. 탄성부재(194)는 일례로 압축코일스프링일 수 있다. 탄성부재(194)의 상부는 2단기어C(172)의 하부중심에 형성된 구멍(미도시)에 삽입되고, 탄성부재(194)의 상단은 상기 구멍 내부의 상면에 접한다. 상기 구멍은 제3평기어(172a) 및 제4피니언(172b)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탄성부재(194)는 2단기어C(172)와 하부몸체(110)의 내부 저면 사이에 배치되어 2단기어C(172)를 상측으로 밀어올리는 힘을 가한다. 즉, 슬라이딩바(190)를 상측으로 밀어올리는 힘을 가한다. 슬라이딩바(190)는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In addition, the sliding bar 190 has the second gear C 172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thereof and the cap 192 coupled to the upper end thereof. The sliding bar 190 penetrates the vehicle body 101 up and down. The upper portion of the sliding bar 190 protrudes upward from the vehicle body 101 through the upper body 104, that is, through the first through hole 105 and the second through hole 106a. The lower portion of the sliding bar 190 may protrude downward of the lower body 110 through the lower body 110. An elastic member 194 is provid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lower portion of the sliding bar 190. The elastic member 194 may be, for example, a compression coil spring. The upper portion of the elastic member 194 is inserted into a hole (not shown) formed in the lower center of the second gear C 172, and the upper end of the elastic member 194 abuts the upper surface of the hole. The hole may be formed inside the third spur gear 172a and the fourth pinion 172b. The elastic member 194 is disposed between the second gear C 172 and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lower body 110 to apply a force to push the second gear C 172 upward. That is, a force is applied to push the sliding bar 190 upward. The sliding bar 190 is vertically movable.

제2회전전달부재(170)에서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웜(171)에 대해 맞물리거나 또는 맞물림이 해제되는 기어는 2단기어C(172)의 제3평기어(172a)이다. 도 5 및 도 7과 같이, 돌출부(200)의 후방 이동시, 2단기어C(172)의 제3평기어(172a)는 웜(171)에 맞물려 연동된다.The gear that is vertically movable in the second rotation transmitting member 170 to be engaged with or disengaged from the worm 171 is a third spur gear 172a of the second gear C 172. 5 and 7, the third spur gear 172a of the second-stage gear C 172 is engaged with the worm 171 and interlocked with the worm 171 when the protruding portion 200 is moved backward.

도 4와 같이, 돌출부(200)가 전방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돌출편(205)의 하면은 도 6과 같이, 제4피니언(172b)의 상부에 형성된 원통부(172c)의 상면에 접한다. 그래서 2단기어C(172)가 결합된 슬라이딩바(190)가 상측으로 올라가지 못하도록 차단하여, 구동축(113)에 결합된 웜(171)과 제3평기어(172a)가 서로 어긋난, 맞물림 해제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4, the lower surface of the projecting piece 205 abuts against the upper surface of the cylindrical portion 172c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ourth pinion 172b as shown in Fig. 6, with the projecting portion 200 being moved forward. Thus, the sliding bar 190 coupled with the second gear C 172 is prevented from rising upward, and the worm 171 and the third spur gear 172a coupled to the driving shaft 113 are disengaged from each other, .

또한, 도 5와 같이, 돌출부(200)가 후방으로 이동되면, 도 7과 같이, 돌출편(205)도 후방으로 이동되어, 2단기어C(172)가 결합된 슬라이딩바(190)가 탄성부재(194)(일례로 압축코일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측으로 이동된다. 그래서 2단기어C(172)의 제3평기어(172a)가 웜(171)과 맞물리게 되어 웜(171)이 결합된 구동축(113)과, 기립수단(210)이 제2회전전달부재(170)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연동되고, 도 8과 같이, 전륜(111)의 전진 방향 회전, 즉 구동축(113)의 전진 방향 회전에 연동되어 기립수단(210)이 회전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완구용 차량(100)이 바닥 위에서 전진 주행시, 도 11 및 도 12와 같이, 전륜(111)의 전진 방향 회전에 연동되어 차량본체(101)가 기립수단(210)에 대해 상대 회전하며 기립될 수 있다. 기립수단(210)은 제2회전전달부재(170)를 통해 감속된 회전력을 전달받아 서서히 회전되며 차량본체(101)를 서서히 기립시킨다.7, the protruded piece 205 is also moved rearward so that the sliding bar 190 to which the second-stage gear C 172 is engaged is elastically deformed, as shown in Fig. 5, when the protruding portion 200 is moved backward, And is moved upwar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member 194 (for example, a compression coil spring). The third spur gear 172a of the second gear C 172 is engaged with the worm 171 so that the driving shaft 113 to which the worm 171 is coupled and the lifting means 210 are connected to the second rotation transmitting member 170 And the rising means 210 can be rotated in conjunction with the forward rotation of the front wheel 111, that is, the forward rotation of the driving shaft 113, as shown in FIG. 11 and 12, when the toy vehicle 100 advances on the floor, the vehicle body 101 rotates relative to the standing means 210 in association with rotation of the front wheel 111 in the forward direction, . The standing unit 210 receives the decelerated rotational force through the second rotation transmitting member 170 and is slowly rotated to gradually raise the vehicle body 101.

이하에는 도 9 내지 도 12를 참고하여 완구용 차량(100)의 동작상태를 설명하도록 한다. 아래의 설명에서는 완구용 차량(100)이 부딪히는 장애물로서 또 다른 완구용 차량(100)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즉, 두 개의 완구용 차량(100)이 마주보며 전진 주행하여 부딪혔을 때의 동작상태를 일례로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state of the toy vehicle 1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9 to 12. FIG.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nother toy vehicle 100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of an obstacle that the toy vehicle 100 hits. That is, an operation state when the two toy vehicles 100 are facing each other while advancing and running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슬라이딩바(190)의 캡(192)을 누른 상태에서 돌출부(200)를 전방 이동시켜, 도 4 및 도 6과 같이, 웜(171)과 2단기어C(172)의 제3평기어(172a)의 맞물림이 해제되어 구동축(113)의 회전력이 기립수단(210)에 전달되지 않도록 한 상태에서, 차량본체(101)를 사용자가 손에 잡고, 평평한 바닥(혹은 손바닥)의 위에서 구동륜인 전륜(111)을 전진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움직이면, 이것에 의해 전륜(111)의 회전이 제1회전전달부재(150)를 통해 플라이휠(120)의 회전축(121)에 전해져, 플라이휠(120)이 회전 상태가 된다. 또한 플라이휠(120)이 회전 상태를 지속하고 있는 동안에 그 회전 관성력이 제1회전전달부재(150)를 통해 전륜(111)측에 전해져, 전륜(111)이 구동되는 상태가 된다. 이상의 조작에 의해 완구용 차량(100)의 주행 준비가 완료된다.4 and 6, the worm 171 and the third spur gear 172a of the second gear C 172 are moved forward by pushing the protruding portion 200 forward while the cap 192 of the sliding bar 190 is pressed, And the driving force of the drive shaft 113 is not transmitted to the standing means 210. The vehicle body 101 is held by the user in the hand and is lifted from above the flat bottom (or palm) The rotation of the front wheel 111 is transmitted to the rotation shaft 121 of the flywheel 120 through the first rotation transmitting member 150 so that the flywheel 120 is rotated in the forward direction do. While the flywheel 120 continues to rotate, the rotational inertia force is transmitted to the front wheel 111 through the first rotation transmitting member 150, and the front wheel 111 is driven. By the above operation, preparation for traveling of the toy vehicle 100 is completed.

그 후, 도 9와 같이 두 개의 완구용 차량(100)을 마주보도록 해서 바닥 위에서 주행시킨다.Thereafter, as shown in Fig. 9, the two toy vehicles 100 are caused to face each other and run on the floor.

그러면, 도 10과 같이 두 개의 완구용 차량(100)의 돌출부(200)가 서로 부딪혀 돌출부(200)가 후방 이동되고, 슬라이딩바(190)는 상측으로 이동되며 전륜(111)이 결합된 구동축(113)과 기립수단(210)이 연결되어 연동된다. 이때, 플라이휠(120)은 계속 회전 상태를 유지하여 제1회전전달부재(150)를 통해 구동축(113) 및 전륜(111)에 회전력을 전달한다.10, the protrusions 200 of the two toy vehicles 100 collide with each other and the protrusions 200 are moved backward, the sliding bar 190 is moved upward, and the driving axles 113 and standing means 210 are connected and interlocked. At this time, the flywheel 120 keeps rotating to transmit the rotational force to the drive shaft 113 and the front wheel 111 through the first rotation transmitting member 150.

또한, 구동축(113)으로부터 감속된 회전력을 전달받는 기립수단(210)은, 도 11과 같이, 차량본체(101)를 서서히 기립시킨다. In addition, the rising means 210, which receives the decelerated rotational force from the drive shaft 113, gradually raises the vehicle body 101 as shown in Fig.

그리고 도 12와 같이, 차량본체(101)가 기립되면, 플라이휠(120)의 회전축(121) 단부에 결합된 축심(128)이 바닥에 닿아 회전축(121)을 중심으로 차량본체(101)가 회전된다.12, when the vehicle body 101 stands up, the axis 128 coupled to the end of the rotation shaft 121 of the flywheel 120 touches the floor, and the vehicle body 101 rotates about the rotation axis 121 do.

두 개의 완구용 차량(100)은 회전하며 부딪혀 서로 배틀(전투)가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차량본체(101)로부터 돌출된 기립수단(210)은 회전하는 또 다른 완구용 차량(100)을 가격하는 수단일 수 있다. 완구용 차량(100)은 플라이휠(120)의 회전 관성력에 의해 회전이 한동안 지속되다가 쓰러지거나, 또 다른 완구용 차량(100)에 부딪혀 쓰러질 수도 있다. 회전하는 두 개의 완구용 차량(100)이 서로 부딪히는 전투(배틀)는 높이가 낮은 울타리를 갖는 경기장 내부에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울타리는 폐곡선이고, 높이가 낮게 형성되어 회전하는 완구용 차량(100)의 축심(128)이 부딪힐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two toy vehicles 100 may rotate and collide with each other to battle each other. And the standing means 210 protruding from the vehicle body 101 may be means for pricing another toy vehicle 100 that is rotating. The toy vehicle 100 may continue to rotate for a while due to the rotational inertia of the flywheel 120 and may collapse or collide against another toy vehicle 100. [ The battle (battle) in which the two rotating toy vehicles 100 collide with each other can be performed inside a stadium having a low-height fence. The fence is a closed curve and may be formed to be lower in height so that the axis 128 of the rotating toy vehicle 100 can be struck.

이상과 같이, 완구용 차량(100)의 주행 도중, 장애물(또 다른 완구용 차량(100))에 부딪힌 충격에 의해 차량본체(101)가 자동으로 기립 가능하다. 그래서 차량본체(101)가 기립된 후, 기립된 상태로 회전할 수 있어 재미요소가 향상되고, 완구용(놀이용)으로 좋다. 그리고 플라이휠(120)은 전륜(111)과 연동되고, 플라이휠(120)의 회전축(121)은 차량본체(101)의 후방으로 돌출되어, 차량본체(101)가 기립수단(210)에 의해 기립되기 시작하면 도 11과 같이 전륜(111)이 들리므로, 전륜(111)을 회전시키는 플라이휠(120)의 회전이 지속되는 상태에서 차량본체(101)가 전후진 없이 기립가능하다. 다시 말해, 차량본체(101)가 기립하는 동안 차량본체(101)의 전후진 없이 플라이휠(120)의 회전이 지속되며 기립가능하여 안정적으로 기립가능하고, 기립 후에는 회전이 지속되고 있는 플라이휠(120)의 회전 관성력에 의해 차량본체(101)가 팽이처럼 회전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during running of the toy vehicle 100, the vehicle body 101 can automatically stand up due to the impact of the obstacle (another toy vehicle 100). Therefore, after the vehicle body 101 stands up, the vehicle body 101 can be rotated in an upright state, so that the fun factor is improved and it is good for a toy (for play). The flywheel 120 is interlocked with the front wheel 111 and the rotary shaft 121 of the flywheel 120 is projected to the rear of the vehicle body 101 so that the vehicle body 101 is lifted by the standing means 210 The front body 111 is lifted as shown in FIG. 11, so that the vehicle body 101 can stand up without back and forth rotation in a state in which the rotation of the flywheel 120 for rotating the front wheel 111 is continued. In other words, the flywheel 120 can be raised and stably stood up without the front and rear of the vehicle body 101 while the vehicle body 101 stands up, and the flywheel 120 The vehicle body 101 can be rotated like a top.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의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

100: 완구용 차량 101: 차량본체
104: 상부몸체 105: 제1관통구
106: 커버 106a: 제2관통구
107: 플라이휠수용부 108: 제1볼트결합부
109: 원통부 110: 하부몸체
111: 전륜,차륜 112: 후륜
113: 구동축(전륜회전축) 114: 고무
115: 후륜회전축
117: 제2볼트결합부 118: 제4볼트결합부
120: 플라이휠 121: 회전축
122: 제1지지부 123: 제2지지부
125: 제1체결부 126: 제2체결부
128: 축심 140: 후방벽
142: 구획벽 150: 제1회전전달부재
151: 제1평기어 152: 2단기어A
152a: 제1피니언 152b: 제2평기어
153: 축 154: 2단기어B
154a: 제2피니언 154b: 제1크라운기어
155: 축 156: 제3피니언
170: 제2회전전달부재 171: 웜
172: 2단기어C 172a: 제3평기어
172b: 제4피니언 172c: 원통부
174: 제2크라운기어 175: 제4평기어
176: 제5피니언 176a: 축
177: 제5평기어 178: 힌지축
190: 슬라이딩바 192: 캡
200: 돌출부 201: 전방판
202: 바 203: 장공
205: 돌출편 207: 경사면
210: 기립수단 211: 연결부
215: 기립바 220: 수직기둥부
100: toy vehicle 101: vehicle body
104: upper body 105: first through hole
106: cover 106a: second through hole
107: flywheel receiving portion 108: first bolt connecting portion
109: cylindrical portion 110: lower body
111: front wheel, wheel 112: rear wheel
113: drive shaft (front wheel rotation shaft) 114: rubber
115: rear wheel rotation shaft
117: second bolt coupling part 118: fourth bolt coupling part
120: flywheel 121: rotary shaft
122: first support portion 123: second support portion
125: first fastening part 126: second fastening part
128: axial center 140: rear barrier
142: partition wall 150: first rotation transmitting member
151: first spur gear 152: second gear A
152a: first pinion 152b: second spur gear
153: shaft 154: second gear B
154a: second pinion 154b: first crown gear
155: Axis 156: Third pinion
170: second rotation transmitting member 171: worm
172: second gear C 172a: third spur gear
172b: fourth pinion 172c: cylindrical portion
174: second crown gear 175: fourth spur gear
176: fifth pinion 176a: shaft
177: fifth spur gear 178: hinge shaft
190: sliding bar 192: cap
200: protrusion 201: front plate
202: Bar 203: Slot
205: protruding piece 207: inclined surface
210: standing means 211:
215: standing bar 220: vertical post

Claims (8)

차륜을 포함하는 차량본체;
상기 차륜에 연동되어 회전되고, 회전축이 상기 차량본체의 외부로 돌출된 플라이휠;
상기 차량본체를 기립시키는 기립수단;
상기 차량본체의 전방으로 돌출된 돌출부; 를 포함하되,
상기 돌출부의 후방 방향 이동에 의해 상기 차륜과 상기 기립수단이 연동되도록 연결되고,
상기 기립수단은 일측이 상기 차량본체의 하부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차륜의 전진 방향 회전에 연동되어 상기 차량본체가 상기 기립수단에 대해 상대 회전하며 기립되고,
상기 차량본체는 기립된 상태로 상기 플라이휠의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구용 차량.
A vehicle body including a wheel;
A flywheel rotated in association with the wheel and having a rotation shaft protruding outside the vehicle body;
Standing means for standing the vehicle body;
A projection projecting forwardly of the vehicle body; , ≪ / RTI &
The wheel and the standing-up means are linked so as to be interlocked by the rearward movement of the projection,
Wherein the standing means is hinged on one side of the lower portion of the vehicle body,
The vehicle body is erected relative to the standing means relative to the forward rotation of the wheel,
And the vehicle body is rotated about the rotation axis of the flywheel in an upright sta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차량본체는 기립된 상태에서 상기 플라이휠의 회전 관성력에 의해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구용 차량.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vehicle body is rotated about the rotation axis by a rotation inertia force of the flywheel in an upright state.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차륜은 한 쌍의 전륜 및 후륜을 포함하되,
상기 전륜이 상기 플라이휠과 연동되고,
상기 플라이휠의 상기 회전축은 일단이 상기 차량본체의 후방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구용 차량.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wheel includes a pair of front and rear wheels,
The front wheel is interlocked with the flywheel,
Wherein the rotary shaft of the flywheel has one end protruding rearward of the vehicle body.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차륜이 결합된 구동축과 상기 플라이휠의 상기 회전축을 연결하여 연동시키는 제1회전전달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제1회전전달부재는 상기 구동축으로부터 입력된 회전을 증속시켜 상기 회전축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구용 차량.
The method of claim 2,
And a first rotation transmitting member that connects the driving shaft to which the wheel is coupled and the rotation shaft of the flywheel,
Wherein the first rotation transmitting member accelerates the rotation inputted from the drive shaft And transmits the driving force to the rotating shaft.
삭제delet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차륜이 결합된 구동축과 상기 기립수단을 연결하여 연동시키는 제2회전전달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제2회전전달부재는 상기 구동축으로부터 입력된 회전을 감속시켜 상기 기립수단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구용 차량.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second rotation transmitting member for connecting the driving shaft to which the wheel is coupled and the standing means,
Wherein the second rotation transmitting member decelerates the rotation inputted from the drive shaft and transmits the decelerated rotation to the standing-up means.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2회전전달부재는 상기 구동축에 결합된 웜과,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웜에 대해 맞물리거나 또는 맞물림이 해제되는 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의 후방 이동시, 상기 기어는 상기 웜에 맞물려 연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구용 차량.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second rotation transmitting member includes a worm coupled to the drive shaft and a gear mounted vertically movably and engaged with or disengaged from the worm,
And the gear is interlocked with the worm when the protruding portion is moved backward.
KR1020160096042A 2016-07-28 2016-07-28 vehicle for toy KR10182690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6042A KR101826901B1 (en) 2016-07-28 2016-07-28 vehicle for to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6042A KR101826901B1 (en) 2016-07-28 2016-07-28 vehicle for to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6901B1 true KR101826901B1 (en) 2018-02-07

Family

ID=612037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6042A KR101826901B1 (en) 2016-07-28 2016-07-28 vehicle for to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6901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2295A (en) * 2018-04-20 2019-10-30 주식회사 초이락컨텐츠팩토리 Action toy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00908A (en) * 1981-10-02 1983-08-30 Yoshiro Nomura Miniature vehicle action toy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00908A (en) * 1981-10-02 1983-08-30 Yoshiro Nomura Miniature vehicle action toy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2295A (en) * 2018-04-20 2019-10-30 주식회사 초이락컨텐츠팩토리 Action toy
KR102091321B1 (en) 2018-04-20 2020-03-19 주식회사 초이락컨텐츠팩토리 Action to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19009A (en) Toy car chassis intermittent tilt and steering structure
US3886682A (en) Toy vehicle and launcher
US4536168A (en) Toy vehicle playset
CN110485781B (en) Automatic three-dimensional parking garage
US4443967A (en) Flywheel driven toy car
US4309841A (en) Two-wheel toy vehicle with inertia flywheel
US3589064A (en) Toy track system
KR101826901B1 (en) vehicle for toy
KR900001289Y1 (en) Toy car
US3919804A (en) Traveling toy
JP6529547B2 (en) Orbital toy
US4547174A (en) Inertia motors for toy vehicles
JPS6330478Y2 (en)
JP4979316B2 (en) Traveling toy
CN109703667B (en) Anti-collision battery-reversing trolley structure
CN213262276U (en) Novel anti-collision beam assembly
JPS60956Y2 (en) traveling toy
US3883987A (en) Toy vehicle turntable
JP5411797B2 (en) Figure 8 swivel connected running toy
KR20220157061A (en) Driving toy
CN214763293U (en) Toy overload protection assembly
CN113581310A (en) Spherical robot with multi-mode motion function
CN211158578U (en) Toy car capable of lateral acceleration
CN111450545A (en) Double-triggering type toy
CN218248492U (en) Stunt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