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6703B1 - 평면 변압기 - Google Patents

평면 변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6703B1
KR101826703B1 KR1020110036455A KR20110036455A KR101826703B1 KR 101826703 B1 KR101826703 B1 KR 101826703B1 KR 1020110036455 A KR1020110036455 A KR 1020110036455A KR 20110036455 A KR20110036455 A KR 20110036455A KR 101826703 B1 KR101826703 B1 KR 1018267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bbin
planar transformer
disposed
winding portion
co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64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18835A (ko
Inventor
박민수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364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6703B1/ko
Publication of KR201201188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88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67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67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804Printed wind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5/00Coils
    • H01F5/02Coils wound on non-magnetic supports, e.g. form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c-Dc Converters (AREA)
  • Coils Or Transformers For Communication (AREA)

Abstract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는 자계 형성을 유도하도록 제공된 코어와; 상기 코어의 사이에 체결되는 보빈과; 상기 코어와 상기 보빈의 사이에 제공되고, 제 1 실리콘층을 포함하여 절연하면서 전원 신호를 공급하는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 상기 제 1 실리콘층에 의해 절연되고, 제 2 실리콘층을 포함하여 절연하면서 상기 전원 신호를 변압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 상기 보빈의 일측에 체결되고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 신호를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로 공급하는 전원 신호 공급부; 및 상기 보빈의 타측에 체결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에 의해 변압된 전원 신호를 출력하는 전원 신호 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 신호 출력부는 단면이 노치(notch)를 포함하도록 형성된다.

Description

평면 변압기{Planar Transformer}
실시예는 평면 변압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스위칭 모드 파워 서플라이(Switching Mode Power Supply; SMPS)를 채용한 전원 공급 장치가 주목받고 있으며, 이러한 스위칭 모드 파워 서플라이는 모스 트랜지스터(MOS FET; Metal Oxide Semiconductor Field Effect Transistor)나 바이폴라 정션 트랜지스터(BJT; Bipolar Junction Transistor)와 같은 스위칭 소자와 변압기를 사용하여 안정적으로 전원을 제공하고 있다.
한편, 가전 제품 등이 경박단소의 경향으로 개발됨에 따라, 스위칭 모드 파워 서플라이도 슬림화하게 구현되도록 요구받고 있으며, 스위칭 모드 파워 서플라이를 구성하는 회로 부품 중 큰 부피를 차지하는 변압기의 부피를 줄이기 위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행해지고 있다.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는 전원 신호 공급부에 오버플로우 작업시 디핑(dipping)온도에 의해 보빈이 손상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 작업성이 개선될 수 있다.
그리고, 전원 신호 출력부가 보빈과 분리되거나 높이가 변화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보빈의 상,하면의 일부 및 측면을 덮도록 형성되는 구조물에 의해 단자간에 의한 쇼트 및 전원 신호 출력부가 보빈으로부터 분리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는 자계 형성을 유도하도록 제공된 코어와; 상기 코어의 사이에 체결되는 보빈과; 상기 코어와 상기 보빈의 사이에 제공되고, 제 1 실리콘층을 포함하여 절연하면서 전원 신호를 공급하는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 상기 제 1 실리콘층에 의해 절연되고, 제 2 실리콘층을 포함하여 절연하면서 상기 전원 신호를 변압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 상기 보빈의 일측에 체결되고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 신호를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로 공급하는 전원 신호 공급부; 및 상기 보빈의 타측에 체결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에 의해 변압된 전원 신호를 출력하는 전원 신호 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 신호 출력부는 단면이 노치(notch)를 포함하도록 형성된다.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는 전원 신호 공급부에 오버플로우 작업시 디핑(dipping) 온도에 의해 보빈이 손상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 작업성이 개선될 수 있다.
그리고, 전원 신호 출력부가 보빈과 분리되거나 높이가 변화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보빈의 상,하면의 일부 및 측면을 덮도록 형성되는 구조물에 의해 단자간에 의한 쇼트 및 전원 신호 출력부가 보빈으로부터 분리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를 나타낸 결합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 중 보빈과 전원 신호 출력부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 각 층, 막 등이 각 층, 막 등의 "상(on)"에 또는 "아래(under)"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상(on)"과 "아래(under)"는 "직접(directly)" 또는 "다른 구성요소를 개재하여(indirectly)"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상 또는 아래에 대한 기준은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도면에서의 각 구성요소들의 크기는 설명을 위하여 과장될 수 있으며, 실제로 적용되는 크기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를 더욱 자세하게 살펴보면 도 1 및 도 2와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100)는 코어(102), 보빈(104),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106), 제 1 절연부(108),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110), 제 2 절연부(112), 제 1 전원 신호 공급부(121), 제 1 전원 신호 출력부(123)등을 포함한다.
코어(102)는 제 1 체결부(102a1, 102a2)를 포함하고 자계 형성을 유도하도록 제공되며, 보빈(104)은 제 1 체결부(102a1, 102a2)에 의해 코어(102)와 체결되도록 제공된다. 보빈(104)은 하부 보빈(104c)과 상부 보빈(104d)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상부 보빈과 하부 보빈 사이에는 1차 와이어(10b)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코어(102)는 하부 코어(102b)와 상부 코어(102c)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 1 체결부(102a1, 102a2)는 제 1 체결 돌기(102a1)와 제 1 체결 홈(102a2)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보빈(104)은 제 1 체결부(102a1, 102a2)와 이격된 제 2 체결부(104a)를 포함할 수 있고, 코어(102)는 제 2 체결부(104a)와 체결되도록 제 3 체결부(102d)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106)는 코어(102)와 보빈(104)의 사이에 제공되고, 보빈(104)의 상부에 제공되며 제 1 체결부(102a1, 102a2)와 체결된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106)는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은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형성된다.
이때,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1)은 포토 마스크(Photo Mask)와 에칭액을 이용한 포토 리소그래피(photo lithography) 공법 또는 압축 프레스(press)를 이용한 사출 공법중 적어도 하나의 공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106)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 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제 1 절연부(108)는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106)의 상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102a1, 102a2)와 체결되어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106)를 절연시키도록 제공된다.
이때, 제 1 절연부(108)는 절연 시트로 제공될 수 있고, 제 1 절연부(108)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 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110)는 제 1 절연부(108)의 상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102a1, 102a2)와 체결되며 제 1 절연부(108)에 의해 절연되고 전원 신호를 변압시키도록 제공된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110)는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2)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2)은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110)를 통해 변압된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출력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2)은 포토 마스크(Photo Mask)와 에칭액을 이용한 포토 리소그래피(photo lithography) 공법 또는 압축 프레스(press)를 이용한 사출 공법 중 적어도 하나의 공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110)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 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제 2 절연부(112)는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110)의 상부에 제공되고, 제 1 체결부(102a1, 102a2)와 체결되어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110)를 절연시키도록 제공된다.
이때, 제 2 절연부(112)는 절연 시트로 제공될 수 있고, 제 2 절연부(112)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113)는 코어(102)와 보빈(104)의 사이에 제공될 수 있고, 보빈(104)의 하부에 제공될 수 있으며 제 1 체결부(102a1, 102a2)와 체결되어 전원 신호를 변압시키도록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113)는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3)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3)은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113)를 통해 변압된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출력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3)은 포토 마스크(Photo Mask)와 에칭액을 이용한 포토 리소그래피(photo lithography) 공법 또는 압축 프레스(press)를 이용한 사출 공법 중 적어도 하나의 공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113)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제 3 절연부(115)는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113)의 하부에 제공될 수 있고, 제 1 체결부(102a1, 102a2)와 체결되어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113)를 절연시키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제 3 절연부(115)는 절연 시트로 제공될 수 있고, 제 3 절연부(115)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 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117)는 제 3 절연부(115)의 하부에 제공될 수 있고, 제 1 체결부(102a1, 102a2)와 체결될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117)는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4)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4)은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이후에 진술할 제 2 전원 신호 공급부(127)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 신호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LP4)은 포토 마스크(Photo Mask)와 에칭액을 이용한 포토 리소그래피(photo lithography) 공법 또는 압축 프레스(press)를 이용한 사출 공법 중 적어도 하나의 공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117)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 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제 4 절연부(119)는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117)의 하부에 제공될 수 있고, 제 1 체결부(102a1, 102a2)와 체결되어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117)를 절연시키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제 4 절연부(119)는 절연 시트로 제공될 수 있고, 제 4 절연부(119)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제 1 전원 신호 공급부(121)는 보빈(104)의 일측에 체결되고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106)의 끝단 부분을 가압하면서 고정되며,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106)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 신호를 적어도 하나의 1차측 권선부(106)로 공급하도록 제공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를 나타낸 결합 사시도이다. 제 1 전원 신호 공급부(121)는 보빈(104)의 측면 방향에서 돌출되어 하부를 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 1 전원 신호 공급부(121)는 하부 보빈(104c)의 측면을 향해 제1 선분이 돌출된 후, 상기 제1 선분과 평행하지 않은 제2 선분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 선분과 평행하지 않은 제3 선분이 연결되며, 하부코어(102b)의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4 선분과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내지 제4 선분은 순차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4 선분 사이에는 인접하는 선분과 평행하지 않은 적어도 하나의 선분이 더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 제1 선분 및 제3 선분은 평행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선분에 의해 상기 제3 선분이 상기 제1 선분보다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해 제 1 전원 신호 공급부(121)에 권선막을 제거하기 위한 오버플로우(overflow) 작업시 디핑(dipping)온도에 의해 보빈(104)이 손상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 작업성이 개선될 수 있다.
이때, 제 1 전원 신호 공급부(121)는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을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고, 제 1 전원 신호 공급부(121)는 터미널 단자로 제공될 수 있다.
제 1 전원 신호 출력부(123)는 보빈(104)의 타측에 체결되고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110)의 끝단 부분을 가압하면서 고정되며,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1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적어도 하나의 2차측 권선부(110)에 의해 변압된 전원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공된다.
이때, 제 1 전원 신호 출력부(123)는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을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고, 제 1 전원 신호 출력부(123)는 터미널 단자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제 2 전원 신호 출력부(125)는 보빈(104)의 다른 타측에 체결될 수 있고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113)의 끝단 부분을 가압하면서 고정될 수 있으며,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11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113)에 의해 변압된 전원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제 2 전원 신호 출력부(125)는 적어도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부(113)의 끝단 부분 중 적어도 두 부분을 가압하여 고정하도록 제공될 수도 있다.
이때, 제 2 전원 신호 출력부(125)는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을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고, 제 2 전원 신호 출력부(125)는 터미널 단자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제 2 전원 신호 공급부(127)는 보빈(104)의 다른 일측에 체결될 수 있고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117)의 끝단 부분을 가압하면서 고정될 수 있으며,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117)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 신호를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117)로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제 2 전원 신호 공급부(127)는 적어도 다른 하나의 1차측 권선부(117)의 끝단 부분 중 적어도 두 부분을 가압하여 고정하도록 제공될 수도 있다.
이때, 제 2 전원 신호 공급부(127)는 도전율이 높은 금속 재질을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고, 제 2 전원 신호 공급부(127)는 터미널 단자로 제공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 중 보빈과 전원 신호 출력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제1 전원 신호 출력부(123) 및 제 2 전원 신호 출력부(125)는 권선 작업 공정에서 높이가 변화할 수 있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부 보빈(104d) 및 하부 보빈(104c) 사이에 지그(jig)(139)를 삽입하여 상, 하부 보빈을 고정한 후, 제 2 전원 신호 출력부(125)를 압입하여 단면의 일부가 변화하도록 노치(notch)를 형성한다.
상기 지그에 의해 제 2 전원 신호 출력부(125)가 보빈(104)과 분리되거나 높이가 변화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이다. 상기 상부 보빈(104d)의 상,하면의 일부 및 측면을 덮도록 구조물(16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조물(160)은 플라스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상부 보빈(104d)의 상,하면의 일부 및 측면을 덮도록 형성되며, 상기 하부 보빈(104c)의 상면과 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조물에 의해 단자간에 쇼트 및 전원 신호 출력부가 보빈(104)으로부터 분리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실시예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해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4)

  1. 상호 대향되어 배치되는 상부 코어 및 하부 코어;
    상기 상부 코어 및 상기 하부 코어 사이에 배치되는 보빈;
    상기 상부 코어와 상기 보빈 사이 또는 상기 하부 코어와 상기 보빈 사이에 배치되는 1차측 권선부;
    상기 상부 코어와 상기 보빈 사이 또는 상기 하부 코어와 상기 보빈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1차측 권선부와 절연된 2차측 권선부;
    상기 보빈의 일측단에 배치되고, 상기 1차측 권선부와 연결된 제 1 단자; 및
    상기 보빈의 타측단에 배치되어 상기 2차측 권선부와 연결되며, 단면이 노치를 포함하는 제 2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보빈은,
    상기 상부 코어 및 상기 하부 코어 사이에 배치되는 상부 보빈 및 하부 보빈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단자는,
    상기 상부 보빈 및 상기 하부 보빈을 관통하며 배치되는
    평면 변압기.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노치는,
    상기 상부 보빈과 상기 하부 보빈의 사이 영역에 배치되는
    평면 변압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자 중 상기 노치가 형성된 영역은,
    상기 제 2 단자의 측면으로부터 외부 방향으로 돌출되는 지그를 포함하는
    평면 변압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보빈과 상기 하부 보빈은,
    상기 지그에 의해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는
    평면 변압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1차측 권선부는,
    상기 상부 코어와 상기 보빈 사이에 배치된 제 1 1차측 권선부와,
    상기 하부 코어와 상기 보빈 사이에 배치된 제 2 1차측 권선부를 포함하며,
    상기 2차측 권선부는,,
    상기 상부 코어와 상기 보빈 사이에 배치된 제 1 2차측 권선부와,
    상기 하부 코어와 상기 보빈 사이에 배치된 제 2 2차측 권선부를 포함하는
    평면 변압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1차측 권선부와 상기 제 1 2차측 권선부 사이에 배치되는 제 1 절연부;
    상기 제 2 1차측 권선부와 상기 제 2 2차측 권선부 사이에 배치되는 제 2 절연부;
    상기 제 1 2차측 권선부와 상기 상부 코어 사이에 배치되는 제 3 절연부; 및
    상기 제 2 1차측 권선부와 상기 하부 코어 사이에 배치되는 제 4 절연부를 더 포함하는
    평면 변압기.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2 1차측 권선부 중 적어도 하나는,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을 포함하는
    평면 변압기.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2 1차측 권선부 중 적어도 하나는,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과,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의 사이에 제공되어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인덕턴스 성분을 갖는 금속 박막 패턴층을 절연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실리콘층을 포함하는
    평면 변압기.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자는,
    상기 보빈의 측면으로부터 외부 방향으로 돌출된 제 1 선분과,
    상기 제 1 선분으로부터 상기 제 1 선분과 평행하지 않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선분과,
    상기 제 2 선분으로부터 상기 제 2 선분과 평행하지 않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3 선분을 포함하는
    평면 변압기.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선분은
    상기 제1 선분에 비해 상부에 위치하는
    평면 변압기.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보빈의 측면을 둘러싸는 구조물을 더 포함하는
    평면 변압기.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은,
    상기 상부 보빈의 상면에 배치되는 제 1 영역과,
    상기 상부 보빈의 측면에 배치되는 제 2 영역과,
    상기 상부 보빈의 하면에 배치되는 제 3 영역을 포함하는
    평면 변압기.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의 제 3 영역은,
    상기 상부 보빈과 상기 하부 보빈 사이에 배치되어, 상면이 상기 상부 보빈의 하면과 직접 접촉하고, 하면이 상기 하부 보빈의 상면과 직접 접촉하는
    평면 변압기.
KR1020110036455A 2011-04-19 2011-04-19 평면 변압기 KR1018267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6455A KR101826703B1 (ko) 2011-04-19 2011-04-19 평면 변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6455A KR101826703B1 (ko) 2011-04-19 2011-04-19 평면 변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8835A KR20120118835A (ko) 2012-10-29
KR101826703B1 true KR101826703B1 (ko) 2018-03-05

Family

ID=472861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6455A KR101826703B1 (ko) 2011-04-19 2011-04-19 평면 변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670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10410B (zh) * 2016-04-17 2017-11-14 合肥博雷电气有限公司 一种大功率平面变压器
CN106449047B (zh) * 2016-11-17 2018-07-17 康舒电子(东莞)有限公司 大电流平面变压器及其制作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72933A (ja) 2002-03-19 2003-09-26 Tdk Corp トランス
JP2006005037A (ja) * 2004-06-16 2006-01-05 Sumida Corporation リーケージトランス
JP2008103371A (ja) * 2006-10-17 2008-05-01 Nichicon Corp トランス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72933A (ja) 2002-03-19 2003-09-26 Tdk Corp トランス
JP2006005037A (ja) * 2004-06-16 2006-01-05 Sumida Corporation リーケージトランス
JP2008103371A (ja) * 2006-10-17 2008-05-01 Nichicon Corp トラン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8835A (ko) 2012-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840765B (zh) 线圈部件、变压器以及开关电源装置
US9401243B2 (en) Planar transformer
US7889043B2 (en) Assembly structure of transformer, system circuit board and auxiliary circuit board
US7218199B1 (en) Structure of transformer
US9345176B2 (en) Power supply device having heat conductive member
JP2015089333A (ja) 回路基板に取り付けられた電力段を収容する出力インダクタを有するdc−dcコンバータアセンブリ
JP5273192B2 (ja) コイル用ボビン、コイル部品、及び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JP6672724B2 (ja) 電源装置
KR101826703B1 (ko) 평면 변압기
KR101360707B1 (ko) 평면 변압기
US8988179B2 (en) Transformer
JP6237516B2 (ja) 電源装置
KR101328286B1 (ko) 트랜스포머
JP2017079545A (ja) 絶縁型電力変換装置
JP6064790B2 (ja) Dc−dcコンバータ
KR20120118838A (ko) 평면 변압기
JP6187806B2 (ja) トランス
KR101103604B1 (ko) 평면 변압기
KR20110131142A (ko) 평면 변압기 및 그 제조방법
KR101360532B1 (ko) 일체형 pfc 변압기
KR20090005070U (ko) 초크 코일
JP2005012005A (ja) トランス
KR101987228B1 (ko) 일체형 pfc 변압기
WO2017221800A1 (ja) インダクタ
KR101511681B1 (ko) 고전압 트랜스포머 보빈 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