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6520B1 - 차량용 수동식 시트 회전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수동식 시트 회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6520B1
KR101826520B1 KR1020160097102A KR20160097102A KR101826520B1 KR 101826520 B1 KR101826520 B1 KR 101826520B1 KR 1020160097102 A KR1020160097102 A KR 1020160097102A KR 20160097102 A KR20160097102 A KR 20160097102A KR 101826520 B1 KR101826520 B1 KR 1018265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bearing
bent
support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71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팽현성
남궁준
지평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연이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to KR10201600971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6520B1/ko
Priority to CN201710629132.4A priority patent/CN107662525B/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65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65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rotatable, e.g. to permit easy acc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rotatable, e.g. to permit easy access
    • B60N2/14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rotatable, e.g. to permit easy access characterised by the locking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02/0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characterised by the seat or seat part turning about or moving along a non-standard, particular axis, i.e. an axis different from the axis characterising the conventional movement
    • B60N2002/021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characterised by the seat or seat part turning about or moving along a non-standard, particular axis, i.e. an axis different from the axis characterising the conventional movement the seat or seat part turning about or moving along a longitudinal ax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수동식 시트 회전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수동식 시트 회전장치는 차량 실내의 바닥 또는 시트의 전후 이동 레일에 고정되는 지지판; 상기 지지판 상에 고정되며, 테두리를 따라 제 1 절곡부가 형성된 환형의 하부고정판; 상기 하부고정판 및 시트와 고정 결합되고, 상기 제 1 절곡부 내에 위치되는 제 2 절곡부가 형성된 환형의 상부고정판; 상기 하부고정판과 상부고정판 사이에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 1 절곡부와 상기 제 2 절곡부 사이에 위치되는 제 3 절곡부가 형성된 회전판; 상기 제 1 절곡부와 제 3 절곡부사이, 상기 제 2 절곡부와 상기 제 3절곡부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회전판의 회전 시 발생되는 마찰을 저감시키는 베어링부; 및 상기 상부고정판에 180°의 각도를 두고 대칭되게 형성되는 적어도 한 쌍의 스토퍼 브라켓 및 상기 회전판에 형성되는 고정장치로 구성되어 상기 회전판이 일 방향으로 회전 시, 스토퍼브라켓과 고정장치의 결속여부에 따라 회전판의 회전을 구속 또는 구속해제하는 회전구속부;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수동식 시트 회전장치{MANUAL SEAT SWIVEL FOR VEHICLE}
본 발명은 시트 회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에 설치되는 시트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180°회전하여 승객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는 차량용 수동식 시트 회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시트는 주로 전방을 향하도록 배치되며, 전후 방향으로의 이동만이 가능한 구조를 채택하고 있다.
다만, 일부 스포츠형 다목적차량(SUV)이나 레져용 차량(RV)의 시트들은 시계 방향 혹은 반시계방향으로 원하는 각도만큼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시트 회전장치가 구비되어 있어, 원하는 시트배치가 가능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시트 회전장치는 다목적차량(SUV)이나 레져용 차량(RV)중에서도 극히 일부분에만 적용되었으며, 그 중에서도 차량의 뒷좌석에만 적용되었고 운전석 및 보조석 시트의 경우에는 적용되지 못하였기 때문에 시트 회전장치의 관련시장은 활성화되지 못하였다.
그러나 최근에 들어서서 운전자가 직접적으로 운전하지 않아도 되는 자율주행 자동차의 개발 및 실증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에 자동차가 단순한 교통수단을 뛰어넘어 움직이는 생활공간 (mobile living space)으로 이용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자동차의 실내 공간 활용을 위한 시트 회전장치는 필수 적용 기술로 부상되고 있다.
특히, 자율주행 자동차에 적용되는 시트 회전장치는 뒷좌석은 물론 운전석 및 보조석까지 적용되며, 특히 운전석 및 보조석은 전후 이동레일과, 전후 이동레일을 따라 시트를 전동식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모터 등 다양한 구성들이 설치됨에 따라 컴팩트한 구조 및 내구성을 확보해야 할 필요성이 존재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 알려진 시트 회전장치는 상/하부고정판과, 상/하부고정판 사이에 회전판을 구비하고, 상부고정판과 회전판 사이, 회전판과 하부고정판 사이에 각각 베어링을 구성하여 상/하부고정판 상에 회전판이 회전함에 따라 시트가 회전되도록 하는 구성을 취하고 있으나, 시트 회전 시 상/하부 고정판과 회전판 사이에 베어링이 수용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기 위해 상/하부고정판 및 회전판의 테두리를 비교적 복잡하게 절곡해야 했으며, 베어링이 수용되는 공간 또한 외부로부터 개방되어 이물질의 투입이 빈번히 이루어져 회전판의 원활한 작동이 어려웠었다.
또한, 베어링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에 불필요한 잉여공간이 많아 회전장치의 부피가 불필요하게 증가되고, 베어링부 주변에 유격이 형성되는 경우 작동과정에서 회전판이 유동하게 되므로 승차감이 좋지 않을 뿐더러 충추돌시 발생하는 충격력에 대응할 수 없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으며, 심지어는 회전판이 상/하부고정판 내에서 이탈하는 등의 여러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시트 회전장치가 구비되는 시트는 시트의 자체 중량 및 탑승자의 몸무게에 의한 하중이 회전장치에 전가되는데, 회전장치에 과도한 하중이 가해지는 경우, 베어링부에 하중이 집중되어 시트회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더욱이 탑승자가 시트를 회전시키기 위해서는 탑승자가 상체를 숙여 회전판의 구속을 해제하는 레버를 조작한 후 시트가 회전되어 다시 구속되기까지 상체를 숙인 상태로 레버 조작 상태를 유지해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시트 장치를 구성하는 구성을 개선하여 회전 작동시 회전판의 안정적인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함과 동시에 회전장치의 동적/정적 강도를 증가시킴으로써 회전장치의 작동 신뢰성을 확보하고, 탑승자의 간단한 조작에 의해 회전판의 구속 및 해제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들의 편익향상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수동식 시트 회전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 실내의 바닥 또는 시트의 전후 이동 레일에 고정되는 지지판; 상기 지지판 상에 고정되며, 테두리를 따라 제 1 절곡부가 형성된 환형의 하부고정판; 상기 하부고정판 및 시트와 고정 결합되고, 상기 제 1 절곡부 내에 위치되는 제 2 절곡부가 형성된 환형의 상부고정판; 상기 하부고정판과 상부고정판 사이에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 1 절곡부와 상기 제 2 절곡부 사이에 위치되는 제 3 절곡부가 형성된 회전판; 상기 제 1 절곡부와 제 3 절곡부사이, 상기 제 2 절곡부와 상기 제 3절곡부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회전판의 회전 시 발생되는 마찰을 저감시키는 베어링부; 및 상기 상부고정판에 180°의 각도를 두고 대칭되게 형성되는 적어도 한 쌍의 스토퍼 브라켓 및 상기 회전판에 형성되는 고정장치로 구성되어 상기 회전판이 일 방향으로 회전 시, 스토퍼브라켓과 고정장치의 결속여부에 따라 회전판의 회전을 구속 또는 구속해제하는 회전구속부; 를 포함하는 차량용 수동식 시트 회전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볼베어링과 롤러베어링이 조합된 구조의 베어링부에 의해 상부고정판과 회전판 및 하부 고정판이 베어링부 의해 마찰을 감소시켜 소음과 마모가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베어링부가 볼베어링과 롤러베어링이 하나의 사출물에 형성됨에 따라 베어링부의 일괄적인 제조 및 회전장치 내 설치가 일괄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하부고정판과 회전판 및 상부고정판의 절곡부들에 의해 시트의 흔들림 및 충격에 의한 회전판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음과 동시에 하부고정판과 회전판 사이에 위치하는 베어링부의 롤러베어링에 의해 하부고정판에 대한 허용 하중이 증대되어 시트 사용자의 중량에 따른 시트의 회전작동 허용하중 범위가 확대될 수 있다.
아울러, 회전구속부의 상부고정판 및 회전판에 구성 시, 상부고정판 및 회전판의 특별한 가공 또는 성형이 요구되지 않음으로써 시트 회전장치의 제작이 용이하고, 이에 따른 제작 비용 또한 절감될 수 있음과 동시에 탑승자가 시트 회전시, 레버를 지속적으로 조작할 필요없이 한 번의 간편한 조작만으로 시트의 구속 해제와, 회전 후 회전판의 구속이 용이하게 이루어짐에 따라 탑승자의 편의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수동식 시트 회전장치가 구성된 회전시트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수동식 시트 회전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베어링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베어링부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상부고정판에 스토퍼 브라켓이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요부 확대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고정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고정장치에 의해 회전판의 구속이 해제되는 것을 보여주는 동작 상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동식 시트 회전장치의 동작 상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제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수동식 시트 회전장치(10)가 구성된 회전시트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수동식 시트 회전장치(10)의 단면도이다.
도 1 및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시트 회전장치(10)는 지지판(100), 하부고정판(200), 상부고정판(300), 회전판(400), 베어링부(500), 회전구속부(600) 및 회전구동부(7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지지판(100)은 차량 내부 실내의 바닥이나, 전후 이동레일(20)에 고정되는 것으로, 한 쌍의 사각 평판형 구조로 형성되며, 외각 측에는 실내 바닥 또는 전후 이동레일(20)에 고정되기 위하여 각 지지부의 양단측에 다수의 체결홀이 형성된 지지부(110)가 절곡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지지판(100)은 한 쌍의 사각평 판형 구조 이외에도 하나의 평판형 구조로 형성되는 등의 통상적으로 바닥 또는 전후 이동레일(20)의 고정과 지지판(100) 상측에 결합되는 결합구성들의 지지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범위에서 다양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지지판의 구조에 따라 지지부(110)의 개수 및 형태 또한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판(100)의 지지부(110)에는 시트(30)의 등받이 측 양측면 프레임에 형성되어 시트(30)의 회전과 함께 회전되는 제 1 후크부(31)와 결합 가능한 제 2 후크부(120)가 각 지지부(110) 상에 형성되어 있다. 이때, 제 1 후크부(31)와 제 2 후크부(120)는 시트(10)의 회전에 의해 결합 또는 결합 해제가 용이하도록 소정의 곡률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제 1 후크부(31)와 제 2 후크부(120)의 결합은 시트(30) 회전 후, 시트가 안정적으로 고정(구속)될 수 있도록 하며, 차량의 이동에 의한 발생진동 또는 차량의 충돌 등에 의한 외부 충격으로부터 시트 회전장치(10) 및 시트(30)의 동적/정력 강도를 보강시켜 흔들림이나 시트의 이탈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하부고정판(200) 및 상부고정판(300)은 회전판(400)을 지지판(100)에 고정하기 위한 구성으로 환형의 판으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부고정판(200)에는 지지판(100)과의 결합 및 상부고정판(300)과의 결합을 위한 다수의 체결홀이 형성되며, 외경측 테두리를 따라 상방향으로 절곡된 제 1 절곡부(210)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부고정판(200)에는 제 1 절곡부(210)를 따라 베어링부(500)가 안착되는 베어링 안착부(220)가 형성된다.
상기 상부고정판(300)은 하부고정판(200)과 결합되기 위한 다수의 체결홀이 형성되며, 3부분의 절곡지점에 의해 상방향 외측으로 말려져 '┏┓'구조로 절곡된 제 2 절곡부(310)가 형성된다.
이러한 제 2 절곡부(310)를 포함한 상부고정판(300)의 외경은 제 1 절곡부(210)를 포함한 하부고정판(200)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되며, 하부고정판(200)과 상부고정판(300)의 결합 고정 시, 제 2 절곡부(210)가 제 1 절곡부(210) 내측에 위치하게 되며, 측면에서 볼 때 제 1 절곡부(210) 및 제 2 절곡부(310)의 일부(끝단)가 상호 중첩되게 된다.
상기 회전판(400)은 중앙이 원형으로 개구된 사각의 평판형으로 형성되어 하부고정판(200)과 상부고정판(300)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양측 테두리 측면에는 시트(30)와 고정되기 위한 다수의 체결홀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회전판(400) 하면 각 모서리 측에는 시트(30)와의 결합에 의해 회전판(400)에 가해지는 하중(=시트 및 탑승자의 하중) 의한 회전판(400)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보강판(420)이 구성된다.
이러한 회전판(400)에는 하부고정판(200)과 상부고정판(300) 사이에 위치 시, 상기 제 1 절곡부(210)와 제 2 절곡부(310) 사이에 위치되는 제 3 절곡부(410)가 형성된다.
상기 제 3 절곡부(410)는 회전판(400)의 원형으로 개구된 중앙(내경)측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며, 3부분의 절곡지점에 의해 하방향 외측으로 말아올려져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 3 절곡부(410)는 제 1 절곡부(210)와 제 2 절곡부(30) 사이에 위치 시, 제 1, 2 절곡부(210, 310) 끝단과, 제 3 절곡부(410)의 끝단 일부는 도 2에서와 같이 상호 중첩되게 된다.
이러한 제 1 내지 제 3 절곡부(210, 310, 410)들은 비교적 단순한 형상으로 절곡부들(210, 310, 410) 내에 베어링부(500)가 위치(배치)될 수 있는 공간을 불필요한 빈영역이 최소화 되도록 매우 컴팩트하게 형성됨으로써 베어링부(500)가 안정적으로 구성됨과 동시에 베어링부(500)를 통한 하중의 지지 및 전달이 용이하게 이루질 수 있다.
또한, 제 1 및 2 절곡부(210, 310) 내에 제 3 절곡부(410)가 위치됨에 따라 회전판(400)이 흔들림 또는 외부의 충격에 의해 상/하부고정판(300, 20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즉, 제 1 내지 제3 절곡부(210, 310, 410)들의 형상 및 배치에 의해 제 1 후크부(31) 및 제 2 후크부(120)와 함께 이중으로 시트 회전장치(10)의 동적/정적 강도를 보강시켜 진동에 의한 시트(10)의 흔들림이나 충격에 의한 이탈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베어링부(500)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베어링부(500)의 측면도이다.
도 3 및 4를 참고하면, 상기 베어링부(500)는 상/하부고정판(300, 200)과 회전판(400) 사이에 배치되어 회전판(400)이 회전 시, 상/하부고정판(300, 200)과의 마찰 및 유격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베어링부(500)는 제 1 그룹베어링(510) 및 제 2 그룹베어링(520) 및 베어링 수용판(530)으로 형성된다.
제 1 그룹베어링(510)은 롤러 베어링으로 이루어지며, 하부고정판(200)의 베어링 안착부(220)에 위치되어 제 1 절곡부(210)의 상면과 제 3 절곡부(410)의 하면에 선접촉으로 접하게 된다. 이러한 제 1 그룹베어링(510)은 시트(30)의 롤링에 의한 회전판(400)의 좌우 흔들림 시, 제 3 절곡부(410)의 하면에 선접촉으로 접하여 볼베어링 구조 대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수직방향으로 전가되는 하중의 (분산)지지력이 향상될 수 있다.
제 2 그룹베어링(520)은 볼베어링으로 이루어지며, 회전판(400)의 제 3 절곡부(410)와 상부고정판(300)의 제 2 절곡부(310) 사이에 위치되게 된다. 이때, 제 2 그룹베어링(520)은 제 2 및 제 3 절곡부(310, 410)의 각각 2개의 절곡면과 접촉하여 총 4개의 접점을 형성하게 된다. 이에 제 2 및 제 3 절곡부(310, 410) 내부가 제 2 그룹베어링(520)과의 유격이 최소화(거의 없음)됨으로써 시트 회전장치(10)의 흔들림이 최소화될 수 있으며, 유격 존재시 회전판(400)이 회전되는 동작에서 마찰 또는 흔들림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소음이 최소화될 수 있다.
상기 베어링 수용판(530)은 환형 구조로 형성되며, 수평으로 평평한 구조의 수평판(531)과, 상기 수평판(531)의 내경측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절곡 연장된 수직판(532)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러한 베어링 수용판(530)은 플라스틱(수지) 재질로 사출성형됨으로써 수평판(531)과 수직판(532)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베어링 수용판(530)을 구성하는 플라스틱으로는 내식성, 내구성 및 강성 등의 기준 물성치가 부합되는 것이면 특정한 것에 국한되지 않는다.
그리고, 베어링 수용판(530)에는 제 1 그룹베어링(510)이 수용되는 제 1 베어링 수용부(540)와, 제 2 그룹베어링(520)이 수용되는 제 2 베어링 수용부(550)가 형성된다.
제 1 베어링 수용부(540)는 베어링 수용판(530)의 수평판(531)에 형성되는 것으로 환형의 수평판(531)에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개가 형성되며, 제 1 그룹베어링(510)이 삽입될 있도록 제 1 그룹의 베어링 단면과 대응되는 사각홀 형태로 형성된다.
제 2 베어링 수용부(550)는 베어링 수용판(530)의 수직판(532)에 형성되는 것으로, 볼 베어링의 양측을 홀딩할 수 있도록 한 쌍의 홀딩부재가 수직판(532)의 끝단측으로부터 수평판(531)의 테두리 외측(수평판의 중심과 반대)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수직판(532)의 테두리를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어 다수개가 형성된다.
이때, 제 2 베어링 수용부(550)의 형성 위치에 있어서, 제 2 베어링 수용부(550)는 제 1 베어링 수용부(540)와 수직방향으로 동일선상에 위치되며, 이에 따라 베어링부(500)를 상측에서 바라볼 때 제 1 베어링 수용부(540)와 제 2 베어링 수용부(550)는 중첩되는(겹쳐지는) 구조를 취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베어링부(500)는 회전판이 상/하부고정판(300, 200) 사이에서 회전 시 발생되는 마찰력을 저감시켜 주는 역할을 기본적으로 수행함과 동시에, 제 1 그룹베어링(510)과 제 2 그룹베어링(520)이 수직방향으로 동일선상에 위치됨에 따라 제 2 그룹베어링(520)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전달되는 하중을 제 1 그룹베어링(510)이 지지(분산)함으로써 시트 회전장치(10)의 최대 허용하중 범위를 확장시킬 수 있다.
또한, 제 2 그룹베어링(520)과 회전판(400)의 제 3 절곡부(410)와의 유격이 거의 없어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의 이동을 억제(회전판의 제 3 절곡부의 상하좌우 방향 이동을 억제)함으로써, 회전판(400)이 흔들리거나 상/하부고정판(300, 200)에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됨과 동시에 마찰 소음이 크게 저감될 수 있다. 또한, 제 1 그룹베어링(510)과 제 2 그룹베어링(520)이 하나의 베어링 수용판(530)에 형성되는 구조를 취함에 따라 베어링부(500)의 제작 및 시트 회전장치(10) 내의 설치(설치공정)가 단순화될 수 있다. 아울러, 베어링부(500)의 베어링 수용판(530)이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됨에 따라 시트 회전장치(10)의 중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회전구속부(600)는 회전판(400)을 일정 각도 회전된 위치에서 회전판(400)이 더이상 회전되지 않도록 구속하는 것으로, 수동식 및 전동식으로 작동 가능한 구성이다. 이러한 회전구속부(600)는 스토퍼 브라켓(610) 및 고정장치(620)로 형성된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상부고정판에 스토퍼 브라켓이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요부 확대도이다.
도 5를 참고하면, 스토퍼 브라켓(610)은 고정장치(620)와 결합되는 걸림편에 해당하는 구성으로, 적어도 한 쌍이 상부고정판(300) 상측에 상호 대응되도록 180°의 각도를 두고 형성된다. 이러한 스토퍼 브라켓(610)은 상부고정판(300)과 테루비측과 대응되는 소정의 곡률을 갖도록 형성되며, 소정위치에 걸림홀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스토퍼 브라켓(610)은 상부고정판(300)의 테두리측의 절곡된 형상과 대응되도록 절곡된 구조로 형성되어 하부 수평면(611), 수직면(612), 상부 수평면(613), 걸림홀(614) 및 상기 수평면(613)의 일측에 형성되는 가이드면(615)이 형성된다.
하부 수평면(611)은 상부고정판(300)이 절곡되어 형성되는 수평한 하면에 밀착 고정되는 면으로 상부고정판(300)과 결합되기 위한 다수의 체결홀이 형성된다.
수직면(612)은 상부고정판(300)이 절곡되어 형성되는 수직한 면과 대응되도록 하부 수평면(611)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절곡 연장되는 면으로, 스토퍼 브라켓(600)이 상부고정판(300)에 고정 시, 상부고정판(300)의 수직한 면과 소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됨으로써 공간(616)이 형성된다.
상부 수평면(613)은 수직면(612)으로부터 외측(상부고정판의 중심방향과 반대) 수평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며, 상부고정판(300)이 절곡되어 형성되는 최외각측 수평한 상면에 밀착 고정된다.
상기 걸림홀(614)은 스토퍼 브라켓(600)의 수직면(612)과 상부고정판(300)의 수직한 면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616)이 개방되도록 상부 수평면(613)에 사각형 모양에 가까운 홀 형태로 형성된다. 이에 걸림홀(614)은 가이드면(615)을 따라 이동되는 고정장치(620)의 걸림부가 인입(삽입)됨으로써 고정장치(620)가 결합된 회전판(400)의 회전을 구속하게 된다. 또한, 상기 걸림홀(614)의 일 측에는 가이드면(615)을 따라 이동된 걸림부가 걸림홀(614)을 지나치지 않도록 하는 스토퍼(617)가 형성된다.
상기 스토퍼(617)는 상기 걸림홀(614)의 일 측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 절곡되어 형성되어 회전판(400)의 회전속도가 빨라 고정장치(620)의 걸림부가 걸림홀(614)을 지나치게 되는 만약의 경우를 방지하기 위한 일종의 안전장치이다.
이러한 스토퍼(617)는 회전판(400)의 빠른 회전 시, 걸림홀(614)을 지나치는 걸림부와 충돌에 의해 걸림부의 이동을 저지하게 되며, 이러한 스토퍼(617)에는 걸림부와 스토퍼(617)의 충돌 시 발생되는 충격 및 충돌 소음을 완화하기 위한 댐퍼(618)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댐퍼(618)는 상기 스토퍼의 끝단에 충격흡수 부재가 삽입되는 구조로 형성되거나, 고정장치(620)가 접촉하는 일 측면에 충격흡수 부재가 부착되는 구조 등 다양한 형태 및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가이드면(615)은 고정장치(620)의 걸림부의 스토퍼 브라켓(610)의 걸림홀(614)로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것으로, 고정장치(620)의 걸림부가 이동되어 오는 방향의 수평면(613) 일측이 부분 절개되어 형성되는 잔존부분이 하부 수평면(611)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구조를 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는 절개되어 형성되는 잔존부분의 일측이 상부고정부(300)를 따라 이동하는 고정장치(620)의 걸림부의 끝단 위치보다 아래에 위치되도록 경사지도록 하여 가이드면(615)을 형성한다. 따라서, 회전판(400)의 회전 시, 고정장치(620)의 걸림부가 상부고정판(300)을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서 가이드면(615)을 따라 걸림홀(614)이 형성된 상방향 측으로 안내되고 안내된 걸림부는 걸림홀(614)에 삽입되게 된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고정장치(62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고정장치(620)에 의해 회전판(400)의 구속이 해제되는 것을 보여주는 동작 상태도이다.
도 6 및 7을 참고하면, 상기 고정장치(620)는 회전판(400) 상부 일측에 형성되어 스토퍼 브라켓(610)과의 결합 또는 결합 해제를 통해 회전판(400)의 회전 동작을 구속 또는 구속 해제하는 장치로, 제 1 래치부(630)와, 제 2 래치부(640), 레버(650) 및 액추에이터(6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 1 래치부(630)는 시소운동에 의해 걸림부가 스토퍼 브라켓(610)의 걸림홀(614)에 인입 및 인출되는 동작을 하는 구성으로, 제 1 지지브라켓(631), 제 1 링크(632), 지지핀(633), 스프링(634)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 1 지지브라켓(631)은 제 1 링크(632)를 지지하는 것으로, 사각 형판형의 지지면(631a)과, 상기 지지면(631a)의 양측면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연장 절곡된 제 1 고정면(631b)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고정면(631b)의 상단측에는 지지핀(633)이 결합될 수 있는 체결홀이 형성되어 있다.
제 1 링크(632)는 제 1 지지브라켓(631)과 함께 결합된 지지핀(633)을 회전 중심으로 상하 시소운동에 의해 스토퍼 브라켓(610)과 선택적으로 결합 또는 결합 해제되는 구성으로, 4각형 평판으로 형성되되, 일단은 스토퍼 브라켓(610)의 걸림홀(614)에 인입될 수 있도록 하방향으로 절곡된 걸림부(632a)가 형성되고, 타단은 제 2 래치부(640)와 연동될 수 있도록 상방향으로 절곡된 제 1 연동부(632b)가 형성된다.
또한, 제 1 링크(632)의 양측면 소정부(중간지점)에는 일부분이 상방향으로 연장 절곡된 제 2 고정면(632c)이 형성되며, 제 2 고정면(632c)의 상단측에는 지지핀(633)이 삽입 가능한 체결홀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제 1 고정면(631b)과 제 2 고정면(632c)의 형성된 체결홀에 'T'형 와셔(635)가 삽입된다.
'T'형 와셔(635)는 제 1 고정면(631b)의 체결홀에 지지핀(633)의 견고한 결합이 용이하도록 함과 동시에 제 1 링크(632)가 지지핀(633)을 중심으로 회전 시, 지지핀(633)과의 마찰을 최소화 위한 구성이다. 이때, 'T'형 와셔(635)는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나, 마찰 계수가 낮고, 제조비용절감 및 소음저감이 상대적으로 용이한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스프링(634)은 상기 걸림부(632a)가 항상 하방향으로 이동(또는 위치)되도록 힘을 가하는 구성으로, 제 2 고정면(632c) 사이에 위치되어 지지핀(633)에 결합된다. 이와 같은 스프링(634)은 걸림부(632a)가 스토퍼 브라켓(610)으로부터 인출 후, 제 1 연동부(632b)에 힘의 전달이 이루어지지 않는 즉시 걸림부(632a)가 원위치로 복귀될 수 있도록 한다.
제 2 래치부(640)는 제 1 래치부(630)와 연동되어 제 1 링크(632)의 제 1 연동부(632b)에 하방향으로 힘을 가함으로써 걸림부(632a)와 스토퍼 브라켓(640)의 걸림홀(614)의 결합상태를 해제하는 것으로, 회전판(400) 상에 제 1 래치부(630)와 동일 선상에 위치되어 작동이 상호 연동된다.
이러한, 제 2 래치부(640)는 제 2 지지브라켓(641), 제 2 링크(642), 지지핀(643), 스프링(644)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제 2 래치부(640)는 제 2 링크(642) 양단측의 절곡된 형태를 제외한 부분에서 제 1 래치부(630)와 유사한 구성요소 및 결합구조를 갖으며, 이에 제 2 래치부(640)의 제 2 지지브라켓(641), 지지핀(643), 스프링(644)의 구성은 제 1 래치(630)의 제 1 지지브라켓(631), 지지핀(633), 스프링(634)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형성됨에 따라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제 2 래치(640)에 있어서, 제 1 래치(630)와 비교하여 제 2 링크를 제외한 다른 구성요소는 실질적으로 동일하나, 발명의 이해를 위해 도면부호는 구분되도록 도시하였다.
제 2 래치부(640)의 제 2 링크(642)는 제 1 링크(632)와 유사하게 사각형 평판으로 형성되고, 양측면 소정위치에는 제 1 링크(632)와 동일하게 제 2 고정면(642c)이 형성되어 제 2 지지브라켓(641)과 함께 결합되는 지지핀(643)을 회전 중심으로 상하 시소운동이 가능한 점에서는 유사할 수 있다.
다만, 제 2 링크(642)의 일단은 시소운동에 의해 제 1 링크(632)의 제 1 연동부(632b)와 연동되는 제 2 연동(642a)부가 형성되고, 타단은 레버연결부(642b)가 형성되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제 2 연동부(642a)는 제 1 링크(632)의 제 1 연동부(632b)측에 근접한 제 2 링크(642)의 일단에 형성되는 것으로, 제 1 연동부(632b)와 상호 대칭되는 형태로 끝단측이 제 1 연동부(632b)의 끝단측보다 상부에 위치되도록 상방향으로 절곡 형성되어 제 1 연동부(632a)와 일부분이 중첩배치 된다. 아울러, 제 2 연동부(642a)가 제 1 연동부(632a) 상측에 위치시 양측 연동부(632a, 642a) 사이에는 소정거리의 유격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유격은 제 2 래치부(640)에 의한 제 1 래치부(630)의 동작 응답성이 민감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즉, 사용작의 조작에 의해 제 1 래치부(630)의 동작이 즉각적으로 반응하지 않도록 일종의 시간적, 기구학적 갭을 형성한 것이다.
그리고, 제 2 래치부(640)에 구성되는 스프링(644)은 제 2 연동부(642a)와 제 1 연동부(632a)가 평상시에는 상호 접촉하지 않게 소정거리 유격이 유지되도록 제 2 연동부(642a)가 항상 상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힘을 가하며, 이에 따라, 탑승자의 조작에 의해서만 제 1 및 2 연동부(632a 642a)가 접촉하게 된다.
레버 결합부(642b)는 제 2 연동부(642a)가 형성된 일단과 반대측인 타단에 형성되는 것으로, 절곡이 이루어지지 않은 평평한 형태로 형성된다. 이러한 레버 결합부(642b)에는 탑승자가 파지하여 조작할 수 있는 레버(650)가 결합된다.
레버(650)는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레버 결합부(642b)에 결합되어 탑승자가 파지하여 힘을 가할 수 있는 일종의 손잡이이다. 이러한 상기 레버(650)에는 탑승자가 파지 가능한 손잡이부(651)와, 레버 결합부(642b)가 내측으로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하기 위한 레버 연결부(652)가 손잡이부(651)의 일 측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동식 시트 회전장치(10)의 동작 상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수동식 시트 회전장치(10)의 작동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회전판(400)에 형성된 고정장치(620)의 제 1 래치부(630)가 상부고정판(300)에 형성된 스토퍼 브라켓(610)과 결합되어 있음에 따라 시트(30)는 회전이 구속된 상태에서 탑승자가 시트(30)를 회전시키고자 레버(650)를 상방향으로 당기게 되면, 제 2 래치부(640)의 제 2 연동부(642a)가 시소동작에 의해 하방향으로 이동되어 제 1 래치부(630)의 제 1 연동부(632b)를 하방향으로 누르게 된다.
제 2 연동부(642a)에 의해 하방향으로 이동되는 제 1 연동부(632b)에 의해 제 1 링크(632)는 시소 운동되고 이에 걸림부(632a)는 상방향으로 들어 올려지게 되어 스토퍼 브라켓(610)의 걸림홀(614)로부터 인출되게 된다.
걸림부(632a)가 걸림홀(614)로부터 인출됨과 동시에 탑승자는 시트(30)를 회전시키게 되고, 탑승자는 시트(30)를 회전시킴과 동시에 레버(650)를 놓게 된다.
탑승자가 레버(650)를 놓는 순간, 제 1 링크(632)의 걸림부(632a)는 스프링(634)에 의해 하방향으로 이동되고, 반대측인 제 1 연동부(632b)는 상방으로 이동되어 원래 위치로 복귀된다. 아울러, 제 2 링크(642)의 제 2 연동부(642a)는 제 1 연동부(632b)의 접촉에 의해서가 아닌 제 2 래치부(640)에 형성된 스프링(644)에 의해 원래 위치인 상방향으로 이동되고, 이에 레버(650)가 원래 자리로 복귀한다.
이와 같은 탑승자에 의한 레버(650)의 상방향의 이동에서부터 회전판(400)의 구속해제 후, 다시 원래 위치로 복귀되는 과정은 상당히 짧은 시간에 이루어진다.
또한, 스토퍼 브라켓(640)으로부터 인출되어 다시 원래 위치로 복귀되는 제 1 링크(630)의 걸림부(632a)는 상부고정판(300)이 절곡되어 형성되는 수직한 면과 소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회전판(400)과 함께 상부고정판(300)을 따라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전되게 된다.
시계방향으로 이동하는 걸림부(632a)는 다시 최초 위치에 형성된 스토퍼 브라켓과 180°대응된 위치에 형성된 스토퍼 브라켓(610)의 경사진 가이드면(615)을 따라 이동되고, 가이드면(615)을 따라 가이드되는 걸림부(632a)가 걸림홀(614)에 위치 시, 제 1 래치부(630)의 스프링(634)에 의해 하방향으로 이동(복귀)됨으로써 걸림홀(614)에 걸림부(632a)가 인입됨으로써 회전판(400)의 이동을 구속하게 된다.
아울러, 다시 시트(30)를 원래 위치로 회전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설명한 순서를 반복 실행함으로써 시트(30)를 원래 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 회전장치(10)는 상/하부고정판(300, 200) 내에서 회전판(400)이 180°회전하는 장치로써 상/하부고정판(300, 200)과 회전판(400) 사이에 제 1 그룹베어링(510)과 제 2 그룹베어링(520)의 이형의 베어링을 플라스틱 소재로 사출 성형되는 하나의 베어링 수용판(530)에 구성됨으로써 회전장치의 구조를 단순화하고, 제작 비용 중량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상/하부고정판(300, 200) 및 회전판(400)의 각 절곡부(210, 310, 410)의 구조가 비교적 단순하게 형성되고 이들의 배치에 의해 베어링부(500)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이 컴팩트하게 형성됨과 동시에, 제 1 그룹베어링(510)과 제 2 그룹베어링(520)이 수직방향으로 동일선상에 위치되는 구조를 취함으로써, 마찰 저감효과는 물론 회전판(400)에 인가되는 하중 분산을 통한 안정적인 지지, 흔들림(이동) 및 이탈 방지 및 마찰소음 저감 등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시트(30)에 형성된 제 1 후크부(31)와 회전에 따라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지지판(100)에 형성된 제 2 후크부(120)에 의해 시트(30)의 흔들림을 방지함으로써, 시트(30) 및 회전장치(10)의 동적/정적 강도를 더욱더 강화시킬 수 있다.
아울러, 회전구속부(600)의 상부고정판(300) 및 회전판(400)에 구성 시, 상부고정판(300) 및 회전판(400)의 특별한 가공 또는 복잡한 성형이 요구되지 않음으로써 시트 회전장치(10)의 제작이 용이하고, 이에 따른 제작 비용 또한 절감될 수 있음과 동시에, 시트(30) 회전시, 탑승자가 레버를 지속적으로 조작(홀딩: holding)할 필요없이 한 번의 간편한 조작만으로 회전판(400)의 구속 해제와, 회전 후 회전판(400)의 구속이 자동적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탑승자의 편의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 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10: 전동식 시트 회전장치
100: 지지판 110: 지지부
120: 제 2 후크부 200: 하부고정판
210: 제 1 절곡부 300: 상부고정판
310: 제 2 절곡부 400: 회전판
410: 제 3 절곡부 420: 보강판
500: 베어링부 510: 제 1 그룹베어링
520: 제 2 그룹베어링 530: 베어링 수용판
600: 회전구속부 610: 스토퍼 브라켓
620: 고정장치 630: 제 1 래치부
640: 제 2 래치부 650: 레버
20: 전후방 이동레일 30: 시트

Claims (13)

  1. 차량 실내의 바닥 또는 시트의 전후 이동 레일에 고정되는 지지판;
    상기 지지판 상에 고정되며, 테두리를 따라 제 1 절곡부가 형성된 환형의 하부고정판;
    상기 하부고정판 및 시트와 고정 결합되고, 상기 제 1 절곡부 내에 위치되는 제 2 절곡부가 형성된 환형의 상부고정판;
    상기 하부고정판과 상부고정판 사이에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 1 절곡부와 상기 제 2 절곡부 사이에 위치되는 제 3 절곡부가 형성된 회전판;
    상기 제 1 절곡부와 제 3 절곡부 사이, 상기 제 2 절곡부와 상기 제 3절곡부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회전판의 회전 시 발생되는 마찰을 저감시키는 베어링부; 및
    상기 회전판에 형성되어 회전판과 함께 회전되는 고정장치와, 상기 상부고정판에 180°의 각도를 두고 대칭되게 형성되고 상기 고정장치가 결속 가능한 걸림홀과 상기 걸림홀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고정장치가 상기 걸림홀을 지나쳐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가 형성된 한 쌍의 스토퍼 브라켓으로 구성되어 고정장치와 스토퍼브라켓의 결속 여부에 따라 회전판의 회전을 구속 또는 구속해제 하는 회전구속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수동식 시트 회전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부는,
    상기 제 1 절곡부와 제 3 절곡부 사이에 배치되는 제 1 그룹베어링;
    상기 제 2 절곡부와 제 3 절곡부 사이에 배치되는 제 2 그룹베어링;
    상기 제 1 그룹베어링과 제 2 그룹베어링이 개별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는 베어링 수용부가 형성된 환형의 베어링 수용판;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수동식 시트 회전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 1 그룹베어링은 롤러베어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2 그룹베어링은은 볼베어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수동식 시트 회전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수용판은,
    환형의 수평판과 수평판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절곡 연장된 수직판으로 형성되며, 상기 수평판에는 상기 제 1 그룹베어링이 수용되는 제 1 베어링 수용부가 소정간격 이격되어 다수개가 형성되고, 상기 수직판에는 상기 제 2 그룹베어링이 수용되는 제 2 베어링 수용부가 상기 제 1 베어링 수용부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수직판의 끝단으로부터 수평판의 테두리 외측 방향으로 다수개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수동식 시트 회전장치.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수용판은 플라스틱 소재로 사출성형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수동식 시트 회전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에는 상기 시트에 형성된 제 1 후크부와 결합되어 동적/정적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제 2 후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수동식 시트 회전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 브라켓은,
    상기 상부고정판이 절곡되어 형성되는 수평한 하면에 밀착 고정되며 상부고정판의 수평한 하면에 고정되기 위한 다수의 체결홀이 형성되는 하부수평면;
    상기 상부고정판이 절곡되어 형성되는 수직한 면과 대응되도록 상기 하부수평면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절곡 연장되며 상부고정판의 수직한 면과 평행하도록 소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수직면;
    상기 수직면으로부터 상부고정판의 중심방향과 반대측 수평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며, 상부고정판이 절곡되어 형성되는 최외각측 수평한 상면에 밀착 고정되는 상부수평면;
    상기 상부수평면의 일부분이 하부수평면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걸림홀로 상기 고정장치의 걸림부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면;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수동식 시트 회전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걸림홀은 상기 수직면과 상부고정판의 수직한 면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이 개방되도록 상기 상부수평면에 관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수동식 시트 회전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에는 고정장치와 스토퍼의 충돌에 따른 충격과 소음을 저감시키기 위한 댐퍼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수동식 시트 회전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장치는,
    상기 스토퍼 브라켓과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제 1 래치부;
    상기 제 1 래치부와 동일선상으로 배치되어 상기 제 1 래치부가 상기 스토퍼 브라켓과 결합 또는 결합 해제될 수 있도록 동작할 수 있는 힘을 전달하는 제 2 래치부; 및
    상기 제 2 래치부에 결합되어 탑승자가 파지하여 조작할 수 있는 레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수동식 시트 회전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 1 래치부는,
    사각 평판형의 지지면과, 상기 지지면의 양측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수직 방향으로 절곡된 제 1 고정면이 형성되는 제 1 지지브라켓;
    사각 평판형으로, 일단에는 스토퍼 브라켓의 걸림홀에 인입될 수 있도록 하방향으로 절곡된 걸림부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제 2 래치부와 연동될 수 있도록 상방향으로 절곡된 제 1 연동부가 형성되며, 양측면측 일부분이 상방향으로 연장 절곡된 제 2 고정면이 형성되어 상기 제 1 지지브라켓의 내측에 배치되는 제 1 링크;
    상기 제 1 지지브라켓의 제 1 고정면과 상기 제 1 링크의 제 2 고정면에 관통 결합되어 제 1 링크가 제 1 지지브라켓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지지핀; 및
    상기 지지핀에 결합되어 상기 제 1 링크의 걸림부가 항상 하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힘을 가하는 스프링;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수동식 시트 회전장치.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 2 래치부는,
    사각 평판형의 지지면과, 상기 지지면의 양측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수직 방향으로 절곡된 제 1 고정면이 형성되는 제 2 지지브라켓;
    사각 평판형으로, 일단에는 제 1 링크의 제 1 연동부를 하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힘을 전달하며 상방향으로 절곡된 제 2 연동부가 형성되고, 타단은 상기 레버가 연결되는 레버연결부가 형성되며, 양측면측 일부분이 상방향으로 연장 절곡된 제 2 고정면이 형성되어 상기 제 2 지지브라켓의 내측에 배치되되는 제 2 링크;
    상기 제 2 지지브라켓의 제 1 고정면과 상기 제 2 링크의 제 2 고정면에 관통 결합되어 제 2 링크가 제 2 지지브라켓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지지핀; 및
    상기 지지핀에 결합되어 상기 제 2 링크의 제 2 연동부가 항상 상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힘을 가하는 스프링;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수동식 시트 회전장치.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제 2 래치부의 제 2 연동부는 상기 제 1 래치부의 제 1 연동부의 상측에 소정거리의 유격을 두고 일부분이 상호 중첩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동식 시트 회전장치.
KR1020160097102A 2016-07-29 2016-07-29 차량용 수동식 시트 회전장치 KR1018265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7102A KR101826520B1 (ko) 2016-07-29 2016-07-29 차량용 수동식 시트 회전장치
CN201710629132.4A CN107662525B (zh) 2016-07-29 2017-07-28 用于车辆的座椅旋转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7102A KR101826520B1 (ko) 2016-07-29 2016-07-29 차량용 수동식 시트 회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6520B1 true KR101826520B1 (ko) 2018-02-07

Family

ID=612037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7102A KR101826520B1 (ko) 2016-07-29 2016-07-29 차량용 수동식 시트 회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6520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662525B (zh) 用于车辆的座椅旋转装置
KR101826513B1 (ko) 차량용 전동식 시트 회전장치
US9193284B2 (en) Articulating cushion bolster for ingress/egress
CN102126449B (zh) 具有位置记忆的交通工具座椅容易进入组件
US10377286B2 (en) Folding head restraint mechanism
US7261373B2 (en) Structure of a reclining seat
US9764660B2 (en) Slide rail
US20120301212A1 (en) Latch Mechanism for Releasably Securing a Seat to a Floor
JP2010173491A (ja) 車両用回転シート装置
CN103670052A (zh) 用于双门总成的双棘爪闩锁机构
US9279275B2 (en) Outside handle for vehicle
JP2006008028A (ja) 車両用シート装置
US20120153696A1 (en) Set of Slides for Vehicle Seats and Vehicle Seat Including Such a Set of Slides
US20170305310A1 (en) Headrest
JP7108176B2 (ja) 乗物用シート
US20130147250A1 (en) Walk-in apparatus for vehicle seat
KR101826520B1 (ko) 차량용 수동식 시트 회전장치
US9914369B2 (en) Vehicle seat with hook and cam latching mechanism
JP5386085B2 (ja) 座席、特に自動車座席の、特に背もたれを係止および係止解除する装置
KR101819453B1 (ko) 차량용 시트 회전장치
JP2013095272A (ja) 跳ね上げシートロック機構付き車両用シート
JP4356112B2 (ja) 車両用荷受装置
US10988053B2 (en) Swivel assembly for a vehicle seating assembly
JP2018114836A (ja) 乗物用スライドレール装置
US10556533B2 (en) Vehicle seatback support element to resist pivoting movement of seatback when force is applied to the seatbac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