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6357B1 - 입체영상 표시장치의 크로스토크 평가방법 및 그 시스템 - Google Patents

입체영상 표시장치의 크로스토크 평가방법 및 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6357B1
KR101826357B1 KR1020110091861A KR20110091861A KR101826357B1 KR 101826357 B1 KR101826357 B1 KR 101826357B1 KR 1020110091861 A KR1020110091861 A KR 1020110091861A KR 20110091861 A KR20110091861 A KR 20110091861A KR 101826357 B1 KR101826357 B1 KR 1018263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uminance
crosstalk
stereoscopic image
image display
dist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18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28363A (ko
Inventor
이경진
이승철
정성민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918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6357B1/ko
Publication of KR201300283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83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63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63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06Processing imag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06Processing image signals
    • H04N13/144Processing image signals for flicker redu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7/00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단안별로 테스트 영상신호를 표시하는 입체영상 표시 장치와, 상기 입체영상 표시장치 앞에 배치되어, 상기 단안별 테스트 영상 신호에 맞춰 정시 및 역시의 휘도를 각각 측정하는 광계측기와, 상기 광계측기의 휘도 측정 결과를 아래의 수학식을 이용해서 거리별 양안 크로스토크 값들로 산출하는 크로스토크 분석부를 포함하는 무안경 입체영상 표시장치의 크로스토크 평가 시스템을 개시한다.
[수학식]
Figure 112011070794711-pat00011

(L1: 좌시의 정시 휘도, L2: 좌시의 역시 휘도, R1:우시의 역시 휘도, R2: 우시의 정시 휘도, B: 블랙 휘도)

Description

입체영상 표시장치의 크로스토크 평가방법 및 그 시스템{METHOD FOR EVALUATING 3D CROSSTALK ON STEREOSCOPIC IMAGE DISPLA AND SYSTEM THEREOF}
본 발명은 입체영상 표시장치에서 크로스토크(cross-talk)를 평가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입체영상 표시장치의 화질 평가 항목은 명암비(contrast), 플리커(flicker), 크로스토크(crosstalk) 등이 있다. 여기서, 크로스토크는 좌안 영상이 우안 영상과 섞여 우안에 보이거나, 이와 반대로 우안 영상이 좌안 영상에 섞여 좌안에 보이는 현상을 말한다. 이러한 크로스토크는 신체의 시신경에 영향을 줘서 구토나 어지러움 등을 유발하기 때문에, 크로스토크를 정량적으로 평가해 이를 개선하고자 하는 시도가 이뤄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크로스토크는 평가하고자 하는 단안 영상(정시)의 휘도가 다른 단안 영상의 휘도(역시)에 의해 영향을 받는 정도(휘도의 비)로 측정된다. 여기서, 단안 영상은 좌안 영상 또는 우안 영상 중 어느 하나를 말한다.
기존의 크로스토크 평가방법은 크게, ISO 방식과 IEC 방식으로 나눌 수 있다. 도 1은 이 중 ISO 평가방법을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도 1에서, 종전 ISO 방식의 크로스토크는 무안경 3D 디스플레이의 특정 지점, 도 1을 기준으로 해서는 원점(O) 한 곳에 광계측기를 위치시켜 측정한 휘도를 근거로 계산된다. 예를 들어서, 좌안 크로스토크(IL(θ))를 측정하는 경우에는 디스플레이에 좌안 영상 만을 디스플레이 시켜놓은 상태로, 원점(O)에서 광계측기로 좌안 영상의 휘도를 측정하게 된다. 이때, 광계측기는 도 1에서처럼 원점(O)에 대해 일정 각도(θ)를 이루며 각 지점(+P1, +P2, -P1, -P2)으로 나아가는 빛의 휘도 분포를 측정한다. 이에 따라, 각 지점에서의 정시 휘도인 IL(θ)가 구해진다. 그런 다음, 이번에는 디스플레이에 우안 영상 만을 디스플레이 시켜놓은 상태로, 원점(O)에서 광계측기로 우안 영상의 휘도 분포를 측정한다. 이에 따라, 각 지점(-P2, -P1, O, +P1, +P2)에서의 역시 휘도인 IR(θ)가 구해진다. 이처럼, 정시 휘도 및 역시 휘도를 구하고, 이를 아래의 수학식 1에 대입하면, 각 지점(-P2, -P1,O, +P1, +P2)에서의 좌안 크로스토크를 정의할 수가 있다. 아래의 그래프 1은 수학식 1의 결과에 따른 좌안 및 우안별 크로스토크를 보여준다. 이 그래프 1을 통해서 알 수 있듯이, 종전 ISO 방식은 원점(O)을 기준으로 소정 각도(θ) 떨어진 지점에서의 크로스토크를 좌안(청색) 및 우안(붉은색)으로 나눠 각각 그 결과값을 보여주는 방식이다.
[수학식 1]
위 수학식 1에서, R(θ)는 우안 영상의 휘도, L(θ)는 좌안 영상의 휘도, B(θ)는 블랙 휘도(표시 패널이 아무런 영상을 표시하지 않고 있을 때의 휘도)를 나타낸다.
[그래프 1]
Figure 112011070794711-pat00002
위 수학식 1 및 그래프 1을 통해서 알 수 있듯이, 종전 ISO 방식은 좌안과 우안을 각각 분리하는 단안 형태의 크로스토크를 측정할 뿐이다. 이처럼 종전 ISO 방식은 좌안 및 우안을 구분하고 있기 때문에, 양안에 의한 크로스토크는 알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또한, 위 수학식 1 또는 그래프 1을 통해서 알 수 있듯이, 종전 ISO 방식은 원점에서 소정각도를 이루고 있는 지점에서의 크로스토크를 알 수가 있다. 즉 종전 ISO 방식은 각도를 변수로 하고 있고 있기 때문에, 크로스토크를 평가하고자 하는 위치를 거리에 따라 특정하기가 쉽지 않은 문제가 있다.
아래의 수학식 2는 IEC 방식을 정의한다. 위의 ISO 방식은 단안별 블랙휘도(B(θ))를 고려해서 크로스토크를 정의하지만, IEC 방식은 블랙휘도를 고려치 않고서 크로스토크를 측정한다는 점에서만 차이가 있을 뿐이므로, 상술한 문제와 동일한 문제를 IEC 방식 역시 안고 있다.
[수학식 2]
Figure 112011070794711-pat00003
본 발명은 이 같은 기술적 배경에서 창안된 것으로, 종전과 같은 단안별 크로스토크를 평가하는 것이 아니라, 양안에 의한 크로스 토크를 평가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원점으로부터 거리를 쉽게 알 수 있도록 한 크로스토크 평가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단안별로 테스트 영상신호를 표시하는 입체영상 표시 장치와, 상기 입체영상 표시장치 앞에 배치되어, 상기 단안별 테스트 영상 신호에 맞춰 정시 및 역시의 휘도를 각각 측정하는 광계측기와, 상기 광계측기의 휘도 측정 결과를 아래의 수학식을 이용해서 거리별 양안 크로스토크 값들로 산출하는 크로스토크 분석부를 포함하는 무안경 입체영상 표시장치의 크로스토크 평가 시스템을 개시한다.
[수학식]
Figure 112011070794711-pat00004
(L1: 좌시의 정시 휘도, L2: 좌시의 역시 휘도, R1:우시의 역시 휘도, R2: 우시의 정시 휘도, B: 블랙 휘도)
상기 크로스토크 분석부는, 상기 광계측기가 측정한 각도에 따른 휘도를 삼각함수법을 이용해서 거리에 따른 휘도로 변환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단안별로 테스트 영상신호를 입체영상 표시장치에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입체영상 표시장치의 앞에 배치된 광계측기를 이용하여 상기 단안별 테스트 영상 신호에 맞춰 정시 및 역시의 휘도를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 광계측기의 휘도 측정 결과를 위의 수학식을 이용해서 거리별 양안 크로스토크 값들로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안경 입체영상 표시장치의 크로스토크 평가 방법을 개시한다.
기존의 크로스토크 평가방법에서는 좌시 및 우시를 나눠서 원점에 대해 소정 각도 떨어진 위치의 크로스토크를 평가하였기 때문에, 양안에 의한 크로스토크를 직관적으로 알 수가 없었다. 또한, 종래 평가방법은 원점에 대해서 소정 각도로 떨어진 위치를 특정하고 있기 때문에, 원점으로부터 얼마나 떨어져 있는지를 직관적으로 알기가 힘들었으나, 본 실시예에 따르면 양안에 의한 크로스토크를 거리별로 직관적으로 알 수가 있다.
도 1은 종래 ISO 평가방법을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도 2및 도 3은 본 실시예의 크로스토크 평가 방법이 적용되는 무안경 방식의 입체영상 표시장치를 보여준다.
도 4는 렌티큘러 시트를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도 5는 입체영상 표시장치의 크로스토크 평가시스템을 보여 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체영상 표시장치의 크로스토크 평가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의미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 명칭은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을 고려하여 선택된 것으로, 실제 제품의 명칭과는 상이할 수 있다.
도 2및 도 3은 본 실시예의 크로스토크 평가 방법이 적용되는 무안경 방식의 입체영상 표시장치를 보여준다.
도 2 및 도 3를 참조하면, 무안경 방식의 입체영상 표시장치는 표시패널(100), 표시패널(100) 상에 부착된 렌티큘러 시트(120), 표시패널 구동회로(14), 표시패널 제어부(12) 등을 포함한다.
표시패널(100)은 액정표시소자(LCD), 전계 방출 표시소자(FE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DP), 및 유기발광다이오드소자(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와 같은 전계발광소자(EL), 전기영동 표시소자(Electrophoresis, EPD) 등의 표시패널로 구현될 수 있다. 표시패널(100)은 데이터전압(또는 데이터전류)이 공급되는 데이터라인들, 데이터라인들과 교차되고 게이트펄스(또는 스캔펄스)가 순차적으로 공급되는 게이트라인들(또는 스캔라인들), 및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된 픽셀 어레이(102)를 포함한다. 픽셀 어레이(102)의 픽셀들 각각은 데이터라인들과 게이트라인들의 교차부마다 형성되고, 게이트라인으로부터의 게이트펄스에 응답하여 데이터라인으로부터의 데이터전압을 픽셀의 화소전극에 공급하는 TFT(Thin Film Transistor)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패널(100)과 패턴 리타더(120) 사이에는 편광판(101)이 배치될 수 있다.
표시패널(100)은 좌안 영상 데이터와 우안 영상 데이터를 공간 분할해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과 같이 좌안 영상 데이터는 표시패널(100)의 홀수 세로줄 픽셀들(L)에 표시되고, 우안 영상 데이터는 표시패널(100)의 짝수 세로줄 픽셀들(R)에 표시될 수 있다.
표시패널(100)이 액정표시소자(LCD)로 구현되면, 입체영상 표시장치는 백라이트 유닛(110)과, 백라이트 구동회로(16)를 더 포함한다. 백라이트 유닛(110)은 표시패널(100)의 배면과 대향하도록 표시패널(100)의 뒤에 배치된다. 백라이트 유닛(110)은 직하형(direct type) 백라이트 유닛 또는, 에지형(edge type) 백라이트 유닛으로 구현될 수 있다. 백라이트 유닛(110)의 광원은 HCFL(Hot Cathode Fluorescent Lamp), CCFL(Cold Cathode Fluorescent Lamp), EEFL(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 LED(Light Emitting Diode) 중 어느 하나 또는 두 종류 이상의 광원을 포함할 수 있다. 백라이트 구동회로(16)는 표시패널 제어부(12)의 제어 하에 백라이트 유닛(110)의 광원을 점등시키기 위한 구동전력을 발생한다.
표시패널 구동회로(14)는 데이터 구동회로와 게이트 구동회로를 포함한다. 데이터 구동회로는 표시패널 제어부(12)로부터 입력되는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를 감마보상전압으로 변환하고, 그 감마보상전압을 데이터전압으로서 표시패널(100)의 데이터라인들에 공급한다. 게이트 구동회로는 표시패널 제어부(12)의 제어 하에 데이터라인들에 공급되는 데이터전압에 동기되는 게이트펄스를 표시패널(100)의 게이트라인들에 순차적으로 공급한다. 표시패널 구동회로(14)는 2D 모드에서 표시패널 제어부(12)로부터 입력되는 2D 영상 데이터를 표시패널(100)의 픽셀 어레이(102)에 기입하는 반면, 3D 모드에서는 도 3에서 예시하는 바처럼 표시패널 제어부(12)로부터 입력되는 좌안 영상 데이터를 픽셀 어레이(102)의 홀수 세로줄 픽셀들에 기입하고 우안 영상 데이터를 픽셀 어레이(102)의 짝수 세로줄 픽셀들에 기입한다.
렌티큘러 시트(120)는 편광판(101)에 접착될 수 있다. 이 렌티큘러 시트(120)는 도 4에서 예시하는 바처럼, 그 표면에 렌즈(LE)가 형성되어 있으며, 렌즈(LE)에서는 굴절각의 차에 의해 좌안용 영상과 우안용 영상의 색 분리가 이뤄진다. 이러한 렌즈(LE)는 2VIEW 방식에서는 1열마다 2열의 픽셀들이 위치한다. 즉, 하나의 렌즈(LE)에 대해, 좌안 영상을 표시하는 하나의 좌안픽셀(L)과 우안 영상을 표시하는 하나의 우안픽셀(R)이 세트로 배치된다. 좌안펙셀(L)에서 나온 빛은 렌즈(LE)에서 굴절해 좌안 위치(LP)로 수렴되고, 우안 픽셀(R)에서 나오는 빛은 렌즈에서 좌안 빛과는 다른 각도로 굴절해 우안 위치(RP)로 수렴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렌티큘러 시트(120)는 표시패널(100)에 2view 방식으로 결합된 형태를 설명한다.
표시패널 제어부(12)는 호스트 시스템(10)으로부터 입력되는 2D/3D 영상의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RGB)를 표시패널 구동회로(14)의 데이터 구동회로에 공급한다. 표시패널 제어부(12)는 호스트 시스템(10)으로부터 입력된 수직 동기신호(Vsync), 수평 동기신호(Hsync),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DE), 메인 클럭(CLK) 등의 타이밍신호를 입력받아 표시패널 구동회로(14)의 데이터 구동회로와 게이트 구동회로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들(CDIS)을 발생한다. 표시패널 제어부(12)는 백라이트 유닛(110)의 점등 및 소등 타이밍을 제어하고 백라이트 휘도를 조정하기 위한 부스트/디밍 제어신호(CBL)를 발생할 수 있다.
호스트 시스템(10)은 외부 비디오 소스 기기 예를 들면, 네비게이션 시스템, 셋톱박스, DVD 플레이어, 블루레이 플레이어, 개인용 컴퓨터(PC), 홈 시어터 시스템, 방송 수신기, 폰 시스템(Phone system) 등에 접속되어 그 외부 비디오 소스 기기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입력받을 수 있다. 호스트 시스템(10)은 스케일러(scaler)를 포함하여 외부 비디오 소스 기기로부터의 영상 데이터를 표시패널(100)에 표시하기에 적합한 포맷으로 변환한다. 호스트 시스템(10)은 사용자 입력장치(18)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데이터에 응답하여 모드 신호(MODE)를 발생하고, 이 모드 신호(MODE)에 따라 표시패널 제어부(12), 표시패널 구동회로(14), 백라이트 구동회로(16)의 동작을 2D 모드와 3D 모드로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장치(18)는 네비게이션의 키패드, 키보드, 마우스,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On Screen Display, OSD), 리모트 콘트롤러(Remote controller), 터치 스크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이 같은 입체영상 표시장치의 크로스토크 평가시스템을 보여 주는 도면이다.
도 5에서, 이 평가시스템은 3D 테스트 영상 공급부(410), 입체영상 표시장치(420), 광계측기(430), 크로스토크 분석부(440)를 포함한다.
3D 테스트 영상 공급부(410)는 단안별 테스트 패턴을 입체영상 표시장치(420)에 인가해서 좌안 테스트 패턴을 홀수 세로줄 픽셀들에 표시하고, 우안 테스트 패턴을 짝수 세로줄 픽셀들에 표시한다.
입체영상 표시장치(420)는 3D 테스트 영상 공급부(410)로부터 입력되는 테스트 패턴을 단안별로 표시한다. 입체영상 표시장치(420)에 표시되는 테스트 영상신호는 광계측기(430)와 대향하여 일정한 계조값을 가진다.
광계측기(430)는 입체영상 표시장치(420)의 표시면 바로 앞에 배치된다. 광계측기(430)는 좌안 테스트 패턴이 입체영상 표시장치(420)에서 표시되는 동안에, 원점에서 좌안의 휘도를 측정하고, 또한 우안 테스트 패턴이 표시되는 동안에도 원점에서 역시인 우안의 휘도를 측정한다. 이 광계측기(430)는 이처럼 원점에서 좌안 휘도 및 우안 휘도를 원점을 기준으로 한 각도별 휘도 분포로 측정해서 크로스토크 분석부(440)에 공급한다.
크로스토크 분석부(440)는 광계측기(430)에서 측정된 단안별 휘도를 아래의 수학식 3 및 수학식 4를 이용하여 양안에 의한 크로스토크로 변환하고, 또한 광계측기(430)를 통해 수집된 원점에 대한 각도 변수를 거리 변수로 변환시킨다.
[수학식 3]
Figure 112011070794711-pat00005
위의 수학식 3은 광계측기(430)를 통해 수집된 원점에 대한 각도 변수를 삼각 함수법을 이용해 거리 변수로 변환하는 것을 설명한다. 도 1과 같은 ISO 방식을 이용해서 단안별 크로스토크를 측정했다고 가정하면, 광계측기(430)를 통해서 상술한 그래프 1과 같이 각도별 휘도 프로파일(profile)이 단안별로 얻어진다. 여기서, 삼각함수법에 따르면 "θ"는 디스플레이로부터 시청 위치까지의 거리(y)와, 원점(O)에서 각 지점(-P2, -P1, +P1, +P2)까지의 거리(x)의 비로 정의되는 탄젠트(tan) 값이므로, 위의 수학식 3을 통해서 각 지점()의 위치를 거리로 변환할 수가 있다.
아래의 그래프 2는 위의 그래프1의 결과를 위의 수학식 3에 대입해서, 각도 변수를 거리 변수로 변환한 결과를 보여준다. 여기서, 디스플레이와 시청 위치) 사이의 거리는 58cm로 가정하였다.
[그래프 2]
Figure 112011070794711-pat00006
위의 그래프2는 단안별로 거리에 따른 휘도 분포를 보여준다. 위 그래프 2에서, 원점(O)으로부터 5cm 떨어진 지점에서는 우안 휘도(R)가 80nit로 측정된 반면에, 좌안 휘도는 거의 0nit의 분포를 보인다. 따라서, 원점에서 5cm 떨어진 지점은 우안 영상이 수렴되는 위치로, 우시가 정시이고, 좌시는 역시라는 것을 알 수가 있다. 이처럼, 수학식 3을 이용하는 경우, 종전 각도별 휘도 분포를 거리별 휘도 분포로 변환해, 거리에 따른 크로스토크의 분포를 직관적으로 알 수가 있다.
아래의 수학식 4는 양안에 의한 크로스토크를 정의하는데, 양안 크로스토크는 좌안 및 우안의 정시(stereoscopy)에 대한 좌안 및 우안의 역시(pseudo)의 비율로 정의할 수 있다.
[수학식 4]
Figure 112011070794711-pat00007
위, 수학식 4에서, 도 1에서 예시하는 바처럼 L1은 좌시(L)의 정시이고, R1은 좌시(L)의 역시이고, R2는 우시(R)의 정시이고, L2는 우시(R)의 역시이고, B(x)는 블랙 휘도이다.
한편, 인간은 65mm의 양안 시차를 가지고 있는데, 위 수학식 4는 이러한 점을 고려해서 좌안 및 우안의 가운데 지점, 즉 코를 중심으로 한 양안 크로스토크를 알 수 있도록 좌시(L) 및 우시(R) 각각에서 32.5mm를 가감한다.
아래의 그래프 3은 위의 그래프2를 위의 수학식 4에 대입해 변환한 결과를 보여준다.
[그래프 3]
Figure 112011070794711-pat00008
위의 그래프3을 그래프 1과 비교해 보면, 그래프 1은 좌안 및 우안을 분리해서 각도별 크로스토크를 보여주는데 반해, 위 그래프 3은 좌안 및 우안을 분리하지 않고, 거리별 크로스토크를 보여준다. 즉, 제시된 평가 방법에 따르면 원점(O)을 기준으로 약 4cm의 폭에서는 크로스토크 10% 이하로 시청자가 3D 영상을 볼 수 있다는 것을 직관적으로 알 수 있으나, 종전과 같은 ISO 방식이나 IEC 방식에서는 이러한 점을 전혀 시사하지 못하고 있다.
도 5로 돌아가서, 크로스토크 분석부(440)는 수학식 3을 통해 얻어진 단안의 거리별 휘도를 수학식 4에 대입하여 위의 그래프 3과 같은 양안의 거리별 크로스토크 값으로 변환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체영상 표시장치의 크로스토크 평가방법을 보여준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크로스토크 평가방법은 일정한 계조값을 가지는 단안별 테스트 패턴에 따른 3D 테스트 영상신호를 입체영상 표시장치에 표시한다(S11).
S12 단계에서, 입체영상 표시장치의 표시면 앞에 배치된 광계측기를 이용하여 좌안 및 우안 각각에 대해 테스트 영상신호의 휘도를 측정한다. 예로, 도 1에서 예시한 바처럼, 좌안 테스트 패턴을 입체영상 표시 장치에 표시한 채로, 광계측기를 원점(O)에 위치시켜 각도별 좌안 휘도를 측정한다. 좌안 테스트 패턴의 휘도 측정이 끝난 후에는 좌안 테스트 패턴을 끄고, 우안 테스트 패턴을 킨 상태로 원점에 광계측기를 위치시켜 각도별 우안 휘도를 측정한다. 광계측기(430)를 통해서 측정된 단안별 휘도 데이터는 크로스토크 분석부(440)로 전송된다.
S13 단계에서, 크로스토크 분석부(440)는 S12 단계를 통해서 얻어진 좌안 및 우안 각각의 각도별 휘도를 삼각 함수법을 이용해서 거리별 휘도로 변환한다. 만일, S12 단계를 통해서 각도별 휘도 대신 거리별 휘도를 측정한 경우에, S13 단계는 생략될 수 있다.
S14 단계에서, 크로스토크 분석부(440)는 구해진 거리별 휘도를 수학식 4에 대입해서 양안의 거리별 크로스토크 값으로 변환한다.
기존의 크로스토크 평가방법에서는 좌시 및 우시를 나눠서 원점에 대해 소정 각도 떨어진 위치의 크로스토크를 평가하였기 때문에, 양안에 의한 크로스토크를 직관적으로 알 수가 없었다. 또한, 종래 평가방법은 원점에 대해서 소정 각도로 떨어진 위치를 특정하고 있기 때문에, 원점으로부터 얼마나 떨어져 있는지를 직관적으로 알기가 힘들었으나, 본 실시예에 따르면 양안에 의한 크로스토크를 거리별로 직관적으로 알 수가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Claims (4)

  1. 단안별로 테스트 영상신호를 표시하는 입체영상 표시 장치와,
    상기 입체영상 표시장치 앞에 배치되어, 상기 단안별 테스트 영상 신호에 맞춰 정시 및 역시의 휘도를 각각 측정하는 광계측기와,
    상기 광계측기의 휘도 측정 결과를 아래의 수학식을 이용해서 거리별 양안 크로스토크 값들로 산출하는 크로스토크 분석부,
    를 포함하는 무안경 입체영상 표시장치의 크로스토크 평가시스템.
    [수학식]
    Figure 112011070794711-pat00009

    (L1: 좌시의 정시 휘도, L2: 좌시의 역시 휘도, R1:우시의 역시 휘도, R2: 우시의 정시 휘도, B: 블랙 휘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토크 분석부는, 상기 광계측기가 측정한 각도에 따른 휘도를 삼각함수법을 이용해서 거리에 따른 휘도로 변환하는 입체영상 표시장치의 크로스토크 평가시스템.
  3. 단안별로 테스트 영상신호를 입체영상 표시장치에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입체영상 표시장치의 앞에 배치된 광계측기를 이용하여 상기 단안별 테스트 영상 신호에 맞춰 정시 및 역시의 휘도를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 광계측기의 휘도 측정 결과를 아래의 수학식을 이용해서 거리별 양안 크로스토크 값들로 산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무안경 입체영상 표시장치의 크로스토크 평가 방법.
    [수학식]
    Figure 112011070794711-pat00010

    (L1: 좌시의 정시 휘도, L2: 좌시의 역시 휘도, R1:우시의 역시 휘도, R2: 우시의 정시 휘도, B: 블랙 휘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거리별 양안 크로스토크 값들로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광계측기가 측정한 각도에 따른 휘도를 삼각함수법을 이용해서 거리에 따른 휘도로 변환하고, 변환된 값들을 상기 수학식에 따라 거리별 양안 크로스토크 값들로 산출하는 무안경 입체영상 표시장치의 크로스토크 평가 방법.
KR1020110091861A 2011-09-09 2011-09-09 입체영상 표시장치의 크로스토크 평가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8263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1861A KR101826357B1 (ko) 2011-09-09 2011-09-09 입체영상 표시장치의 크로스토크 평가방법 및 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1861A KR101826357B1 (ko) 2011-09-09 2011-09-09 입체영상 표시장치의 크로스토크 평가방법 및 그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8363A KR20130028363A (ko) 2013-03-19
KR101826357B1 true KR101826357B1 (ko) 2018-02-07

Family

ID=481789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1861A KR101826357B1 (ko) 2011-09-09 2011-09-09 입체영상 표시장치의 크로스토크 평가방법 및 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635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12787A (zh) * 2016-03-15 2016-07-27 重庆卓美华视光电有限公司 一种裸眼3d显示设备的测试方法及装置
CN110708540B (zh) * 2019-12-05 2021-04-30 深圳市新致维科技有限公司 一种动态串扰测试系统及动态串扰测试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10266A (ja) * 2009-06-24 2011-01-13 Chunghwa Picture Tubes Ltd 立体映像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評価方法および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10266A (ja) * 2009-06-24 2011-01-13 Chunghwa Picture Tubes Ltd 立体映像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評価方法および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8363A (ko) 2013-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87863B2 (en) Stereoscopic image display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US9118909B2 (en) Stereoscopic image display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1681779B1 (ko) 입체 영상 표시장치와 그 백라이트 제어 방법
KR101831652B1 (ko) 입체영상 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
KR101705368B1 (ko) 입체영상 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
KR101279659B1 (ko) 입체 영상 표시장치와 그 구동 방법
KR101869872B1 (ko) 멀티뷰 영상 생성방법과 이를 이용한 입체영상 표시장치
US20110273440A1 (en) Stereoscopic image display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US20120032949A1 (en) Stereoscopic image display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US9236002B2 (en) Stereoscopic image display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1793283B1 (ko) 재깅 개선방법과 이를 이용한 입체영상 표시장치
KR101826357B1 (ko) 입체영상 표시장치의 크로스토크 평가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773616B1 (ko) 영상처리방법과 이를 이용한 입체영상 표시장치
KR101895014B1 (ko) 입체영상 표시장치의 3d 크로스토크 평가방법 및 그의 3d 크로스토크 평가시스템
KR101763935B1 (ko) 입체 영상 표시장치와 그 구동 방법
KR101846372B1 (ko) 3차원 영상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20130020296A (ko) 입체영상 표시장치의 컬러 크로스토크 평가 방법
KR101763941B1 (ko) 입체영상 표시장치
KR101671518B1 (ko) 입체영상표시장치와 이의 구동방법
KR101843198B1 (ko) 멀티뷰 영상 생성방법과 이를 이용한 입체영상 표시장치
KR20130017890A (ko) 입체영상 표시장치와 그 크로스토크 보상 방법
KR101829466B1 (ko) 입체영상 표시장치
KR20120015006A (ko) 입체영상표시장치와 이의 구동방법
KR101838754B1 (ko) 입체영상 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
KR101800886B1 (ko) 입체영상 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