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5795B1 - 물품을 위한 잠금 시스템을 갖는 유지 조립체 - Google Patents

물품을 위한 잠금 시스템을 갖는 유지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5795B1
KR101825795B1 KR1020157033395A KR20157033395A KR101825795B1 KR 101825795 B1 KR101825795 B1 KR 101825795B1 KR 1020157033395 A KR1020157033395 A KR 1020157033395A KR 20157033395 A KR20157033395 A KR 20157033395A KR 101825795 B1 KR101825795 B1 KR 1018257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ticle
heel
assembly
foot
footw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333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3044A (ko
Inventor
토드 더블유. 밀러
마이크 에이. 챔블린
엘리 알. 트로이케
Original Assignee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filed Critical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Publication of KR201600030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30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57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57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DMACHINES, TOOLS, EQUIPMENT OR METHODS FOR MANUFACTURING OR REPAIRING FOOTWEAR
    • A43D95/00Shoe-finishing machines
    • A43D95/14Shoe-finishing machines incorporating marking, printing, or embossing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0036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characterised by a special shape or design
    • A43B3/0078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characterised by a special shape or design provided with logos, letters, signatures or the like decoration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0036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characterised by a special shape or design
    • A43B3/0078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characterised by a special shape or design provided with logos, letters, signatures or the like decoration
    • A43B3/0084Arrangement of flocked decoration on sho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DMACHINES, TOOLS, EQUIPMENT OR METHODS FOR MANUFACTURING OR REPAIRING FOOTWEAR
    • A43D11/00Machines for preliminary treatment or assembling of upper-parts, counters, or insoles on their lasts preparatory to the pulling-over or lasting operations; Applying or removing protective coverings
    • A43D11/10Devices for holding the lacing portions in position during lasting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DMACHINES, TOOLS, EQUIPMENT OR METHODS FOR MANUFACTURING OR REPAIRING FOOTWEAR
    • A43D3/00Lasts
    • A43D3/02Lasts for making or repairing shoes
    • A43D3/022Lasts for making or repairing shoes comprising means, e.g. hooks, for holding, fixing or centering shoe parts on the last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DMACHINES, TOOLS, EQUIPMENT OR METHODS FOR MANUFACTURING OR REPAIRING FOOTWEAR
    • A43D3/00Lasts
    • A43D3/02Lasts for making or repairing shoes
    • A43D3/023Hinge constructions for articulated last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DMACHINES, TOOLS, EQUIPMENT OR METHODS FOR MANUFACTURING OR REPAIRING FOOTWEAR
    • A43D3/00Lasts
    • A43D3/02Lasts for making or repairing shoes
    • A43D3/025Longitudinally expansible last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DMACHINES, TOOLS, EQUIPMENT OR METHODS FOR MANUFACTURING OR REPAIRING FOOTWEAR
    • A43D3/00Lasts
    • A43D3/02Lasts for making or repairing shoes
    • A43D3/029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heel section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DMACHINES, TOOLS, EQUIPMENT OR METHODS FOR MANUFACTURING OR REPAIRING FOOTWEAR
    • A43D3/00Lasts
    • A43D3/04Pneumatic lasts; Elastic la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 B41J3/407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for marking on special material
    • B41J3/4073Printing on three-dimensional objects not being in sheet or web form, e.g. spherical or cubic obj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 B41J3/407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for marking on special material
    • B41J3/4073Printing on three-dimensional objects not being in sheet or web form, e.g. spherical or cubic objects
    • B41J3/40731Holders for objects, e. g. holders specially adapted to the shape of the object to be printed or adapted to hold several object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DMACHINES, TOOLS, EQUIPMENT OR METHODS FOR MANUFACTURING OR REPAIRING FOOTWEAR
    • A43D2200/00Machines or methods characterised by special features
    • A43D2200/60Computer aided manufacture of footwear, e.g. CAD or CA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인쇄를 위해 물품을 적소에 유지하기 위한 유지 조립체가 물품을 적소에 잠그기 위한 특징부를 포함한다. 유지 조립체는 조절가능한 뒤꿈치 조립체를 포함할 수 있다. 유지 조립체는 신발끈 잠금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조절가능한 뒤꿈치 조립체 및 신발끈 잠금 부재는 물품을 유지 조립체 상의 일시적으로 고정된 위치에 유지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물품을 위한 잠금 시스템을 갖는 유지 조립체{HOLDING ASSEMBLY WITH LOCKING SYSTEMS FOR ARTICLES}
관련 출원
본 출원은 이하의 공통으로 소유된 함께 계류중인 출원들: 모두 본 명세서에 참조로서 통합되는, 2013년 4월 23일 출원되고 "물품 상에 인쇄하는 방법(Method of Printing onto an Article)"으로 명칭이 부여된, 현재 미국 특허출원 제13/868,132호(대리인 문서 번호 51-3226) 및 2013년 4월 23일 출원되고 "물품을 위한 유지 조립체(Holding Assembly for Articles)"로 명칭이 부여된, 현재 미국 특허출원 제13/860,130호(대리인 문서 번호 51-2516)에 관련된다.
기술분야
본 실시예들은 일반적으로 신발류 물품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신발류 물품을 위한 유연한 제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신발류 물품은 일반적으로 2개의 주 요소: 즉, 갑피(upper) 및 밑창 구조체(sole structure)를 포함한다. 갑피는 흔히, 발을 확실하고 편안하게 수용하기 위한 공동(void)을 신발류의 내부에 형성하기 위해, 함께 봉제되거나 접착식으로 접합되는 복수의 재료 요소(예를 들어, 직물, 중합체 시트층, 발포체 층, 가죽, 합성 가죽)로 형성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갑피는, 발의 발등(instep) 및 발가락 영역 위로, 발의 안쪽(medial side) 및 바깥쪽(lateral side)을 따라, 그리고 발의 뒤꿈치 영역 둘레로 연장되는 구조체를 형성한다.
밑창 구조체는, 발과 지면 사이에 위치하게 되도록 갑피의 하부 부분에 고정된다. 운동화에서, 예를 들어, 밑창 구조체는 중창(midsole) 및 바닥창(outsole)을 포함할 수 있다. 중창은, 걷기(walking), 달리기(running) 및 다른 보행 활동(ambulatory activity) 도중에 지면 반력을 감쇠시키는(즉, 완충을 부여함) 중합체 발포체 재료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중창은 또한, 예를 들어 추가로 힘을 감쇠시키거나, 안정성을 향상시키거나, 또는 발의 운동에 영향을 미치는, 유체 충전 챔버들, 플레이트들, 완화체들(moderators), 또는 다른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바닥창은, 신발류의 지면-접촉 요소를 형성하며 그리고 통상, 정지 마찰력(traction)을 부여하기 위한 결(texturing)을 포함할 수 있는, 내구성 및 내마모성 고무 재료로 형성된다. 밑창 구조체는 또한, 신발의 편안함을 향상시키기 위해, 발의 하부 표면 근처의 갑피 내부에 위치하게 되는 깔창(sockliner)을 포함할 수 있다.
물품들은 다양한 디자인을 갖도록 제조될 수 있다. 다양한 종류의 그래픽 요소들이, 예를 들어 인쇄 기술을 사용하여, 물품에 적용될 수 있다.
다른 양태에서, 신발류 물품을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유지 조립체가, 적어도 2개의 다리 부분에 의해 지지되는 몸체 부분을 포함하는 베이스 부분을 포함하고, 베이스 부분은 몸체 부분으로부터 연장되는 전방 장착 부분을 더 포함한다. 유지 조립체는 또한, 전방 장착 부분에 연결되는 족형 부분(last portion) 및 전방 장착 부분에 연결되는 조절가능한 뒤꿈치 조립체를 포함하고, 조절가능한 뒤꿈치 조립체는 족형 부분의 후방 에지와 평행하게 연장되는 뒤꿈치 맞물림 부분을 더 포함한다. 조절가능한 뒤꿈치 조립체는 전방 장착 부분으로부터 신장되고 수축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족형 부분의 후방 에지와 뒤꿈치 맞물림 부분 사이의 거리를 조절한다.
다른 양태에서, 신발류 물품을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유지 조립체가, 베이스 부분 및 베이스 부분에 부착되는 족형 부분을 포함한다. 유지 조립체는 또한 베이스 부분에 부착되는 신발끈 잠금 부재를 포함하고, 신발끈 잠금 부재는 베이스 부분으로부터 연장되는 중앙 부분 뿐만 아니라 제1 파지 부분(first catching portion) 및 제2 파지 부분을 더 포함하고, 제1 파지 부분 및 제2 파지 부분은 베이스 부분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신발끈 잠금 부재는, 족형 부분 상에 배치될 수 있는 신발류 물품의 신발끈을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실시예의 다른 시스템, 방법, 특징 및 장점은 이하의 도면 및 상세한 설명의 검토시에 당 기술 분야의 숙련자에게 명백하거나 또는 명백해질 것이다. 모든 그러한 부가의 시스템, 방법, 특징 및 장점은 본 설명 및 본 개요에 포함되고, 실시예의 범주 내에 있으며, 그리고 이하의 청구범위에 의해 보호되는 것으로 의도된다.
실시예들은 이하의 도면 및 상세한 설명을 참조하여 더 양호하게 이해될 수 있다. 도면의 구성요소들은 반드시 실제 축적일 필요는 없으며, 대신에 강조가 실시예들의 원리를 예시할 때 존재할 수 있다. 더욱이, 도면에서, 유사한 도면 부호들은 상이한 도면들 전체에 걸쳐 대응하는 부분들을 지시한다.
도 1은 유연한 제조 시스템의 실시예의 다양한 구성요소의 개략도이고;
도 2는 유지 조립체의 실시예의 등각투상도이며;
도 3은 유지 조립체의 실시예의 아래에서 위로 바라본 등각투상도이고;
도 4는 유지 조립체의 실시예의 분해 등각투상도이며;
도 5는 유지 조립체의 부분들에 압력 및 진공을 인가하기 위한 수단을 지시하는 유지 조립체의 실시예의 개략적 측면도이고;
도 6은 족형 부분이 비팽창 배열 형태로 놓인, 유지 조립체의 실시예의 개략적 측면도이며;
도 7은 족형 부분이 팽창 배열 형태로 놓인, 유지 조립체의 실시예의 개략 적 측면도이고;
도 8은 족형 부분의 제1 측면 부분의 실시예의 개략적 측면도이며;
도 9는 외표면이 변형력에 응답하여 형상을 변경하는, 도 8의 제1 측면 부분의 개략적 측면도이고;
도 10은 외표면의 형상이 진공을 사용하여 일시적으로 고정되는, 도 9의 제1 측면 부분의 개략적 측면도이며;
도 11은 조절가능한 뒤꿈치 조립체가 수축 위치에 있는, 유지 조립체에 장착된 신발류 물품의 실시예의 평면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물품의 개략적 단면도이며;
도 13은 조절가능한 뒤꿈치 조립체가 물품의 뒤꿈치 부분에 접촉하도록 조정되어 있는, 도 11의 물품 및 유지 조립체의 실시예의 평면도이고;
도 14는 도 13의 물품의 개략적 단면도이며;
도 15는 조절가능한 뒤꿈치 조립체가 물품의 뒤꿈치 부분을 긴장시키도록 조절되어 있는, 도 11의 물품 및 유지 조립체의 실시예의 평면도이고;
도 16은 도 15의 물품의 개략적 단면도이며;
도 17은 신발끈 잠금 부재가 유지 조립체의 베이스 부분 상에 명백하게 보이는, 유지 조립체에 장착된 신발류 물품의 실시예의 개략적 등각투상도이고;
도 18은 신발류 물품의 신발끈이 신발끈 잠금 부재 주위에서 당겨지는, 도 17의 신발류 물품 및 유지 조립체의 개략적 등각투상도이며;
도 19는 유연한 제조 시스템의 플랫폼 상에 배치되는 신발류 물품 및 연계된 유지 조립체의 실시예의 개략도이고;
도 20은 평탄화 플레이트가 복수의 장착 아암에 장착되어 있는, 유연한 제조 시스템의 실시예의 개략도이며;
도 21은 평탄화 플레이트가 물품을 가압하는 상태로 유지 조립체의 족형 부분에 장착되는 신발류 물품의 실시예의 개략적 단면도이고;
도 22는 신발류 물품과 평탄화 플레이트 사이의 접촉 영역이 강조되어 있는, 평탄화 플레이트 아래에 배치된 신발류 물품의 실시예의 개략적 평면도이며;
도 23은 족형 부분이 팽창하고 신발류 물품의 위치를 조절하고 있는, 유지 조립체의 족형 부분에 장착된 신발류 물품의 실시예의 개략적 단면도이고;
도 24는 신발류 물품과 평탄화 플레이트 사이의 접촉 영역이 강조되어 있는, 평탄화 플레이트 아래에 배치된 신발류 물품의 실시예의 개략적 평면도이며;
도 25는 진공이 족형 부분의 외표면의 기하학적 형상을 일시적으로 고정하기 위해 인가되어 있는, 유지 조립체의 족형 부분에 장착된 신발류 물품의 실시예의 개략적 단면도이고;
도 26은 진공이 족형 부분의 외표면의 기하학적 형상을 일시적으로 고정하기 위해 인가되어 있는, 유지 조립체의 족형 부분에 장착된 신발류 물품의 실시예의 개략적 단면도이며;
도 27은 유연한 제조 시스템의 복수의 장착 아암으로부터 제거되는 평탄화 플레이트의 실시예의 개략도이고;
도 28은 유연한 제조 시스템의 복수의 장착 아암에 장착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실시예의 개략도이며;
도 29는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사용하는 인쇄를 위해 신발류 물품을 정렬하는 프로세스의 단계의 개략도이고;
도 30은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사용하는 인쇄를 위해 신발류 물품을 정렬하는 프로세스의 단계의 개략도이며;
도 31은 실시예에 따른 인쇄를 위해 물품을 준비하는 프로세스의 단계의 개략도이고;
도 32는 신발류 물품에 인쇄하는 인쇄 시스템의 실시예의 개략적 등각투상도이며;
도 33은 신발류 물품에 인쇄하는 인쇄 시스템의 실시예의 개략적 정면도이ㄱ고;
도 34는 그래픽 요소가 신발류 물품에 인쇄된 이후의 유연한 제조 시스템의 실시예의 다양한 구성요소의 개략도이며;
도 35는 신발류 물품의 대향하는 측면들과 함께하는 사용을 위해 구성되는 2개의 대응하는 유지 조립체의 실시예의 개략도이고;
도 36은 유지 조립체의 실시예와 함께 사용될 수 있는 복수의 상이한 신발 크기들에 대한 개략도이며;
도 37은 스트립 부재를 갖는 평탄화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유연한 제조 시스템의 실시예의 개략도이고;
도 38은 밑창 구조체를 내리누르는 스트립 부재를 갖는 평탄화 플레이트의 실시예의 개략적 단면도이며;
도 39는 자력을 사용하여 플랫폼 상에 일시적으로 고정될 수 있는 유지 조립체의 실시예의 개략도이고;
도 40은 진공 테이블을 사용하여 플랫폼 상에 일시적으로 고정될 수 있는 유지 조립체의 실시예의 개략도이다.
도 1은 유연한 제조 시스템(100)의 실시예의 개략도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유연한 제조 시스템(100)은, 신발류 및/또는 의류를 포함하는 다양한 종류의 물품과 함께하는 사용을 위해 의도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유연한 제조 시스템(100)은, 그래픽 요소들 또는 임의의 유형의 디자인 또는 이미지를 신발류 및/또는 의류에 적용하기 위한 다양한 종류의 수단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더욱이, 그래픽 요소를 적용하는 프로세스는, 물품의 제조 도중에 그리고/또는 물품이 제조된 이후에 실행될 수 있을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그래픽 요소는, 신발류 물품이 갑피 및 밑창 구조체를 포함하는 3차원 형태로 제조된 이후에, 신발류 물품에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유연한 제조 시스템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그래픽 요소를 신발류 물품 및/또는 의류 물품에 적용하기 위해, 소매점에서 사용될 수 있다.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 전체에 걸쳐 사용되는 것과 같은 용어 "그래픽 요소"는,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사진, 로고(logo), 텍스트, 삽화, 선, 형상, 패턴, 다양한 종류의 이미지 뿐만 아니라, 이러한 요소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하는, 임의의 시각적 디자인 요소들을 지칭한다. 더욱이, 용어 "그래픽 요소"는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는 것이 아니라, 임의의 수의 연속적인 또는 불연속적인 시각적 특징물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서, 그래픽 요소는, 신발류 물품의 작은 영역에 적용되는 로고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그래픽 요소는, 신발류 물품의 전체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영역 위에 적용되는 넓은 영역의 색채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명료화를 위해,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유연한 제조 시스템(100)이 신발류 물품(102)에 그래픽 요소를 적용하기 위해 사용되는 예시적인 실시예를 논의한다. 이 경우에, 신발류 물품(102), 또는 간단히 물품(102)은, 러닝화와 같은 운동화의 형태를 취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 유연한 제조 시스템(100)은,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하이킹 부츠, 축구화, 풋볼화, 스니커즈, 럭비화, 농구화, 야구화 뿐만 아니라, 다른 종류의 신발을 포함하는, 임의의 다른 종류의 신발류와 함께 사용될 수 있을 것이라는 것을 알아야 한다. 도 1은 단일의 물품을 도시하고 있지만, 유연한 제조 시스템(100)은 한 쌍의 신발을 구성하는 물품들을 포함하는, 2개 이상의 물품에 그래픽 요소를 적용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게 될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물품(102)은 갑피(104) 및 밑창 구조체(106)를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갑피(102)는 임의의 유형의 갑피일 수 있을 것이다. 특히, 갑피(104)는, 임의의 디자인, 형상, 크기 및/또는 색채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물품(102)이 농구화인 실시예에서, 갑피(104)는 발목에 높은 지지를 제공하도록 성형되는, 하이탑 갑피(high top upper)일 수 있다. 물품(102)이 러닝화인 실시예에서, 갑피(104)는 로우탑 갑피(low top upper)일 수 있다.
도 1에 보이는 바와 같이, 갑피(104)는 일반적으로, 발의 형상에 근사한, 윤곽 형성된 형상(contoured shape)을 갖는다. 예를 들어, 갑피(104)의 바깥쪽 부분(108)은, 실질적으로 편평하기보다는, 일반적으로 윤곽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더욱이, 바깥쪽 부분(108), 뿐만 아니라 갑피(104)의 임의의 다른 부분의 형상은, 일 실시예로부터 다른 실시예로 갈수록 임의의 방식으로 변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특히, 신발류 물품에 그래픽 요소를 적용하기 위해 본 명세서에 설명되는 원리들은, 임의의 사전 결정된 기하학적 형상 및/또는 형상을 갖는 물품들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부 실시예에서, 갑피(104)는 하나 이상의 디자인 요소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갑피(104)는, 바깥쪽 부분(108) 상에 배치되는 디자인 요소(110)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디자인 요소(110)는, 갑피(104) 상에 타원형 디자인의 형태를 취한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 디자인 요소(110)는, 임의의 종류의 표식(indicia), 그래픽 요소 또는 다른 디자인 특징부로서 구성될 수 있다. 갑피(104) 내에 합체될 수 있는 다양한 디자인 요소들의 예들은,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로고, 숫자, 문자, 다양한 종류의 그래픽 요소, 트림 요소(trim element) 뿐만 아니라, 다른 종류의 디자인 요소를 포함한다. 더욱이, 일부 실시예에서, 디자인 요소가, 잉크를 사용하여, 예를 들어 프린터를 사용하여 갑피(104)에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디자인 요소가, 갑피(104)의 베이스 층에 부착되는, 별개의 재료 층을 포함할 수 있다.
유연한 제조 시스템(100)은, 신발류 물품과 함께 사용하는 것에 국한될 필요가 없으며, 본 상세한 설명 전체에 걸쳐 교시되는 원리들의 부가적인 물품들에 마찬가지로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유연한 제조 시스템과 함께 사용될 수 있는 물품의 예들은,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신발, 장갑, 셔츠, 바지, 양말, 스카프, 모자, 자켓, 뿐만 아니라 다른 물품을 포함한다. 물품의 다른 예들은,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정강이 보호대, 무릎 패드, 팔꿈치 패드, 어깨 패드, 뿐만 아니라 임의의 다른 유형의 보호 장비, 및/또는 스포츠 장비를 포함한다. 부가적으로, 일부 실시예에서, 물품들은,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공, 가방, 지갑, 백팩, 뿐만 아니라 착용될 수 없는 다른 물품을 포함하는, 다른 유형의 물품일 수 있다.
유연한 제조 시스템(100)은, 물품에 직접 그래픽 요소를 적용하는 데 유용한 다양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유연한 제조 시스템(100)은 인쇄 시스템(120)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인쇄 시스템(120)은 하나 이상의 별개의 프린터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단일의 프린터가 도 1에 도시되어 있지만, 다른 실시예는, 함께 네트워크 연결될 수 있는 2개 이상의 프린터를 구비할 수 있다.
인쇄 시스템(120)은 다양한 유형의 인쇄 기술을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들은,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토너 기반 인쇄, 액체 잉크젯 인쇄, 고체 잉크젯 인쇄, 염료 승화 인쇄, 무잉크 인쇄(열 인쇄 및 UV 인쇄를 포함함), MEMS 제트 인쇄 기술, 뿐만 아니라 임의의 다른 인쇄 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인쇄 시스템(120)은 2개 이상의 상이한 인쇄 기술의 조합을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사용되는 인쇄 기술의 유형은,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표적 물품의 재료, 표적 물품의 크기 및/또는 기하학적 형상, 인쇄된 이미지의 요구되는 특성(내구성, 색채, 잉크 밀도 등과 같은) 뿐만 아니라, 인쇄 속도, 인쇄 비용 및 유지보수 요구를 포함하는 인자들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을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인쇄 시스템(120)은, 형성된 갑피의 안쪽 또는 바깥쪽 패널과 같은, 기재(substrate) 상에 잉크 액적이 분무될 수 있는 잉크젯 프린터를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잉크젯 프린터를 사용하는 것은, 색채 및 잉크 밀도의 용이한 변동을 허용한다. 이러한 배열은 또한, 어떠한 곡률 및/또는 표면 질감을 갖는 물체들에 직접적으로 인쇄하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프린터 헤드와 표적 물체 사이의 어떠한 분리를 허용한다.
유연한 제조 시스템(100)은, 물품(102) 상에서 인쇄된 그래픽 요소의 정렬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그래픽 요소가 물품의 요구되는 부분(즉, 위치)에 인쇄되는 것을 보장하도록 하기 위한, 물품을 인쇄 시스템과 정렬하는 방식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이 유용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일부 실시예에서, 유연한 제조 시스템(100)은, 다양한 유형, 형상 및 크기의 물품들을 수용하도록 하는 그러한 방식으로 프린터와 물품을 사전 정렬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유연한 제조 시스템(100)의 일부 실시예는, 물품 상에서 그래픽 요소의 정렬을 용이하게 하는 것을 돕는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그래픽 요소가 물품의 요구되는 부분(또는 위치) 상에 인쇄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정렬 시스템의 예들이, 양자 모두의 전체 내용이 본 명세서에 참조로서 합체되는, 밀러(Miller)의, "프로젝터 지원 정렬 및 인쇄(Projector Assisted Alignment and Printing)"로 명칭이 부여된, 현재 미국 특허출원공개 제2014/0026773호인, 2012년 7월 25일 출원된 미국 특허출원 제13/557,935호(이하, "정렬 및 인쇄 사례"로 지칭됨) 뿐만 아니라, 밀러의, "원격 디바이스를 사용하는 프로젝션 지원 프린터 정렬(Projection Assisted Printer Alignment Using Remote Device)"로 명칭이 부여된, 현재 미국 특허출원공개 제2014-0026769호인, 2012년 7월 25일 출원된 미국 특허출원 제13/557,963호(이하, "원격 디바이스를 사용하는 프린터 정렬 사례"라 지칭됨)에 개시된다.
일 실시예에서, 유연한 제조 시스템(100)은, 베이스 부분(130) 및 플랫폼(140)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베이스 부분(130)은, 유연한 제조 시스템(100)의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를 장착하기 위한 실질적으로 편평한 표면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베이스 부분(130)은, 테이블 상면(table-top)일 수 있을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플랫폼(140)은, 베이스 부분(130) 상에 배치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플랫폼(140)은, 인쇄 시스템(120)에 액세스 가능한 표면을 포함한다. 특히, 플랫폼(140) 상에 배치되는 물품들은, 인쇄 시스템(120)을 사용하여 인쇄될 수 있을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인쇄 시스템(120)은, 베이스 부분(130)의 트랙들(150)에 장착될 수 있을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인쇄 시스템(120)은 베이스 부분(130)에 이동 가능한 방식으로 장착되며, 따라서 인쇄 시스템(120)이 트랙(150)을 따라 미끄럼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이는, 인쇄 시스템(120)이 플랫폼(140)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는(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1 위치와, 인쇄 시스템(120)이 플랫폼(140) 위에 배치되는(도 32 참조) 제2 위치 사이에서, 인쇄 시스템(120)이 이동하는 것을 허용한다. 이러한 배열에 의해, 물품 상에서의 그래픽 요소의 정렬이, 인쇄 시스템(120)이 제1 또는 비활성 위치에 있는 가운데, 행해질 수 있을 것이다. 일단, 그래픽 요소 정렬이 완료되면, 인쇄 시스템(120)은 제2 또는 활성 위치로 이동하게 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활성 위치에서, 인쇄 시스템(120)은 플랫폼(140) 위에 직접 배치될 수도 있고, 플랫폼(140) 상에 배치되는 물품 상에 그래픽 요소를 인쇄하도록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실시예는, 플랫폼(140)이 고정적으로 유지되는 가운데, 인쇄 시스템(120)이 베이스 부분(130)에 관하여 이동하는 구성을 도시하고 있지만, 다른 실시예는, 인쇄 시스템(120) 및 플랫폼(140)을 서로에 대해 이동시키기 위한 임의의 다른 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 예로서, 다른 실시예는, 플랫폼이 인쇄 시스템(120) 아래의 위치를 포함하는 다양한 위치로 이동하게 될 수 있는 이송 시스템을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이송 시스템의 예가, 전술된 정렬 및 인쇄 사례에 개시되어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유연한 제조 시스템(100)은, 이하에 더욱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인쇄할 물품의 준비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장착 아암을 더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유연한 제조 시스템(100)은, 제1 장착 아암(161), 제2 장착 아암(162), 제3 장착 아암(163) 및 제4 장착 아암(164)을 포함하는 복수의 장착 아암(16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유연한 제조 시스템의 다양한 구성요소를 부착하고 지지하기 위한, 4개의 장착 아암을 도시하고 있지만, 다른 실시예는 임의의 다른 수의 장착 아암 뿐만 아니라 임의의 다른 종류의 장착 구조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래픽 요소가 물품의 요구되는 영역 상에 인쇄되는 것을 보장하도록 물품을 정렬하기 위한 수단이 또한 포함될 수 있다. 투명 LCD 스크린과 같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사용하는 하나의 정렬 방법이, 이하에서 논의되고 도 28 내지 도 30에 도시된다. 요구되는 영역에 그래픽 요소를 수용하도록 물품을 정렬하는 방법의 추가적인 예들이, 정렬 및 인쇄 사례에 개시되어 있다.
일부 실시예들은, 물품 상으로의 그래픽 요소의 정렬 및 인쇄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물품을 적소에 유지하는 것을 돕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유연한 제조 시스템이 유지 조립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유지 조립체는 물품을 사전 결정된 위치 및/또는 방향으로 유지할 수 있는 스탠드, 고정구, 또는 유사한 유형의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유연한 제조 시스템은, 인쇄 프로세스 중에 물품을 적소에 유지함으로써 신발류 물품을 위한 고정구로서 작용하는, 유지 조립체를 포함한다. 부가적으로, 이하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유지 조립체는 또한, 신발류 물품의 하나 이상의 부분을 평탄화하기 위한 수단과 같은, 인쇄할 물품의 부분을 준비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유연한 제조 시스템(100)은, 유지 조립체(200)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유지 조립체(200)는 베이스 부분(202) 및 족형 부분(220)을 더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베이스 부분(202)은 족형 부분(220)을 위한 지지를 제공할 수 있으며, 따라서 족형 부분(220)이 사전 결정된 위치 및/또는 방향으로 물품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유지 조립체(200)에 대한 세부사항은 이하에 더 상세히 설명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유연한 제조 시스템(100)은, 컴퓨팅 시스템(101)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용어 "컴퓨팅 시스템"은, 단일 컴퓨터의 컴퓨팅 리소스, 단일 컴퓨터의 컴퓨팅 리소스의 부분, 및/또는 서로 통신하는 2개 이상의 컴퓨터를 지칭한다. 이러한 리소스들 중 임의의 것은, 한 명 이상의 사용자에 의해 작동될 수 있을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컴퓨팅 시스템(101)은, 사용자가 컴퓨팅 시스템(101)과 상호작용하는 것을 허용하는,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105)를 포함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컴퓨팅 시스템(101)은 디스플레이(103)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컴퓨팅 시스템(101)은 데이터 저장 디바이스(도시 생략)와 같은, 부가의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저장 디바이스는,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자기, 광학, 자기 광학, 및/또는, 휘발성 메모리 및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하는, 메모리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다양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컴퓨팅 시스템(101)을 위한 이러한 수단 뿐만 아니라, 가능하게는 본 명세서에 도시되어 있지 않거나 설명되지 않은 다른 수단이, 컴퓨팅 시스템(101)이 유연한 제조 시스템(100)의 다양한 구성요소와 통신하는 것을 및/또는 제어하는 것을 허용한다. 예를 들어, 컴퓨팅 시스템(101)은, 그래픽 요소를 생성 및/또는 조작하기 위해, 인쇄 시스템(120)을 제어하기 위해, 정렬 시스템의 구성요소들(LCD 스크린과 같은)을 제어하기 위해, 뿐만 아니라 가능하게는 유지 조립체(200)와 연관된 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유연한 제조 시스템(100)의 다양한 구성요소들[컴퓨팅 시스템(101), 인쇄 시스템(120), 유지 조립체(220), 뿐만 아니라 가능하게는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함] 사이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구성요소들은 몇몇 종류의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연결될 수 있다. 네트워크의 예들은,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s: LANs), 블루투스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네트워크, 패킷 전환 네트워크(인터넷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유선 네트워크 뿐만 아니라, 임의의 다른 종류의 무선 네트워크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외부 네트워크를 이용하는 대신에,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즉, 인쇄 요소(120)]는, 예를 들어, 주변 하드웨어 디바이스로서, 컴퓨팅 시스템(101)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작동시에, 물품(102)은 유지 조립체(200)의 족형 부분(220) 상에 배치될 수 있을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물품(102)은 예를 들어, 컴퓨팅 시스템(101)과 통신하는 LCD 스크린을 사용하여 플랫폼(140) 상의 사전 결정된 위치에 정렬될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그래픽 요소는 인쇄 시스템(120)을 사용하여 물품(102)의 부분 상에 인쇄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작동의 세부 내용이 이하에 더 상세히 설명된다.
도 2 내지 도 4는 유지 조립체(200)의 실시예의 다양한 도면을 도시하고 있다. 특히, 도 2는 정면 등각투상도를 도시하고, 도 3은 아래에서 위로 바라본 등각투상도를 도시하며, 도 4는 유지 조립체(200)의 분해 등각투상도를 도시한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유지 조립체(200)의 베이스 부분(202)은, 몸체 부분(204), 제1 다리 부분(206) 및 제2 다리 부분(208)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몸체 부분(204)은, 대체로 직립형인 대략 직사각형 부분을 포함한다. 몸체 부분(204)은 제1 다리 부분(206) 및 제2 다리 부분(208)에 의해 지지될 수 있을 것이다. 부가적으로, 몸체 부분(204)은 족형 부분(220)을 몸체 부분(204)과 연결하는 전방 장착 부분(210)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도 4에 가장 명백하게 보이는 바와 같이, 몸체 부분(204) 및 전방 장착 부분은 실질적으로 수직일 수 있을 것이다. 특히, 몸체 부분(204)의 제1 종방향 축(217)이 전방 장착 부분(210)의 제2 종방향 축(219)과 실질적으로 수직일 수 있을 것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 종방향 축(217) 및 제2 종방향 축(219)은 임의의 다른 각도를 형성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족형 부분(220)은, 물품을 수용하며 그리고 갑피의 위치, 방향 및 기하학적 형상을 제어하는 것을 돕는, 여러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족형 부분(220)은, 1 측면 부분(222) 및 제2 측면 부분(224)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부가적으로, 족형 부분(220)은, 제1 측면 부분(222)과 제2 측면 부분(224) 사이에 배치될 수 있는, 주머니 부재(bladder member)(226)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측면 부분(222)은, 외부 측벽 부분(232) 및 분리 부분(234)을 포함하는, 프레임 부분(230)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일부 경우에, 분리 부분(234)은 프레임 부분(230)의 하부 리세스(238)(도 21 참조)로부터 프레임 부분(230)의 상부 리세스(236)를 분리한다. 상부 리세스(236)는, 내부 챔버(246)(도 21 참조)를 형성하기 위해 가요성 부재(240)를 사용하여 밀폐될 수 있을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가요성 부재(240)는 가스켓 부재(242)를 사용하여 외부 측벽 부분(232)의 상부 에지(233)에 장착될 수 있을 것이다. 가스켓 부재(242)는 나아가, 당 기술 분야에 공지된 임의의 유형의 체결구를 사용하여, 상부 에지(233)에서 프레임 부재(230)에 체결될 수 있을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프레임 부분(230)의 분리 부분(234)과 가요성 부재(240) 사이에 형성되는 내부 챔버(246)는, 하나 이상의 재료로 충전될 수 있을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내부 챔버(246)는 복수의 비드 부재(250)로 충전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 전체에 걸쳐 사용되는 바와 같은, 용어 "비드 부재"는, 대략 둥근 형상을 갖는 임의의 비드형 물체를 지칭한다. 특히, 일부 실시예는 구형 비드를 포함할 수 있는 가운데, 다른 실시예에서 비드 부재는 비구형일 수도 있고, 예를 들어 장방형의 둥근 형상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함께 조립될 때, 가요성 멤브레인(240) 및 복수의 비드 부재(250)는 족형 부분(220)의 제1 측면 부분(222)을 위한 실질적으로 가요성 및/또는 성형가능한 외표면을 제공한다. 특히, 제1 측면 부분(222)의 외표면(260)은, 가요성 멤브레인(240)이 다양한 위치에서 눌리게 되며 그리고 복수의 비드 부재(250)가 가요성 멤브레인(240)과 프레임 부분(230) 사이에 형성되는 생성 체적 내부에 재배열됨에 따라, 다양한 상이한 형상을 취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배열 형태는, 외표면(260)이 족형 부분(220) 상에 배치되는 물품에 의해 인가되는 힘에 응답하여 변형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측면 부분(224)은 베이스 플레이트(270)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베이스 플레이트(270)는 융기된 중앙 부분(272)을 더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더욱이, 일부 실시예에서, 윤곽 형성된 부재(274)가 베이스 플레이트(270)에 부착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윤곽 형성된 부재(274)는, 윤곽 형성된 부재(274)가 제2 측면 부분(224) 상에 외향으로 노출되도록, 베이스 플레이트(270)의 외측에 부착될 수 있을 것이다.
족형 부분(220) 상에 일반적으로 가요성 및 변형가능한 외표면을 갖는 제1 측면 부분(222)과 대조적으로, 제2 측면 부분(224)은 실질적으로 강성의 외표면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윤곽 형성된 부재(274)는, 족형 부분(220) 상에 배치되는 물품에 의해 작용하게 될 수 있는 힘에 응답하여 거의 편향 및/또는 변형되지 않는, 실질적으로 강성의 재료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측면 부분(222)과 제2 측면 부분(224) 사이의 부착은, 주머니 부재(226)에 의해 부분적으로 용이하게 될 수 있을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주머니 부재(226)는, 제1 측면 부분(222)의 프레임 부분(230)에 부착되는 제1 면(280)을 포함한다. 일부 경우에, 제1 면(280)은 하부 리세스(238)(도 21 참조) 내부에서 분리 부분(234)에 부착되며, 따라서 주머니 부재(226)의 부분이 제1 측면 부분(222) 내에 배치될 수 있도록 한다. 부가적으로, 주머니 부재(226)는, 베이스 플레이트(270)의 중앙 부분(272)에 부착되는 제2 면(282)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배열에 의해, 주머니 부재(226)가 팽창함에 따라, 이것이 제1 측면 부분(222) 및 제2 측면 부분(224)을 서로로부터 분리하도록 야기할 수 있을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측면 부분(222) 및 제2 측면 부분(224)은 추가로, 베이스 부분(204)의 전방 장착 부분(210)에 인접한 영역에서 서로 연결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측면 부분(222)은 장착 부분(210)과 관련하여 적소에 고정될 수 있으며, 제2 측면 부분(224)은 전방 장착 부분(210)에 대해 선회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일부 실시예에서, 제2 측면 부분(224)은 힌지형 연결부에서 전방 장착 부분(210)에 부착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 제1 측면 부분(222)은 전방 장착 부분(210)과 관련하여 적소에 고정될 수 있지만, 제2 측면 부분(224)은 전방 장착 부분(210)에 직접 부착되지 않을 수 있을 것이다. 대신에, 일부 실시예에서, 제2 측면 부분(224)은 단지 주머니 부재(226)를 경유하여 제1 측면 부분(222)에 부착될 수 있을 것이다.
족형 부분(220)의 다양한 구성요소들 및 요소들을 위해 사용되는 재료는, 제조 비용, 요구되는 재료 특성 뿐만 아니라, 가능하게는 다른 인자들을 포함하는 다양한 인자들에 따라, 변할 수 있을 것이다. 예로서, 상이한 실시예들에서, 가요성 멤브레인(240)을 위해 사용되는 재료는 다양할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가요성 재료의 예는,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가요성 직물, 천연 고무, 합성 고무, 실리콘, 엘라스토머, 실리콘 고무와 같은 다른 엘라스토머, 뿐만 아니라 당 기술 분야에 공지된 다른 재료를 포함한다. 다른 예로서, 복수의 비드 부재(250)를 위해 사용되는 재료는, 실시예들에 따라 변할 수 있을 것이다. 비드 부재를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재료의 예들은,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플라스틱 비드, 실리콘 비드, 금속 비드(예를 들어, 볼 베어링을 포함함) 뿐만 아니라, 당 기술 분야에 공지된 다른 종류의 재료를 포함한다. 더욱이, 족형 부분의 여러 플레이트들 및 프레임 부분들을 위해 사용되는 재료는 변할 수 있다. 프레임 부분 및/또는 플레이트들을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재료의 예들은,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 또는 금속 합금, 플라스틱, 뿐만 아니라 당 기술 분야에 공지된 임의의 다른 종류의 재료를 포함한다.
상이한 실시예들에서, 주머니 부재(226)를 위해 사용되는 재료는 변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주머니 부재(226)는 강성 내지 반강성 재료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주머니 부재(226)는 실질적으로 가요성 재료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주머니 부재(226)는, 유체 힘 하에서 변형하도록 구성되는 실질적으로 가요성 및 탄성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부 경우에, 주머니 부재(226)는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플라스틱 재료의 예들은, 고밀도 폴리염화비닐(PVC), 폴리에틸렌, 열가소성 재료, 엘라스토머 재료, 뿐만 아니라 다양한 재료의 조합을 포함하는, 임의의 다른 유형의 플라스틱 재료를 포함한다. 열가소성 중합체가, 주머니를 위해 사용되는 실시예에서, 폴리우레탄, 폴리에스터, 폴리에스터 폴리우레탄, 및 폴리에테르 폴리우레탄을 포함하는 광범위한 열가소성 중합체 재료가, 주머니를 위해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주머니를 위한 다른 적합한 재료들이, 본 명세서에 참조로서 합체되는, 미첼(Mitchell) 등에 허여된 미국 특허 제5,713,141호 및 제5,952,065호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및 에틸렌 비닐 알코올 공중합체의 교호반복되는 층들로 형성되는 필름이다. 주머니는 또한, 본 명세서에 참조로서 합체되는, 봉크(Bonk) 등에 허여된 미국 특허 제6,082,025호 및 제6,127,026호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가스 장벽 재료 및 엘라스토머 재료의 교호반복되는 층을 포함하는 가요성 마이크로층 멤브레인으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부가적으로, 모두 에스테르 또는 에스테르계인, 다우 케미컬 컴퍼니(Dow Chemical Company)의 제품인 PELLETHANE, 바스프 코포레이션(BASF Corporation)의 제품인 ELASTOLLAN, 및 비.에프. 굿리치 컴퍼니(B.F. Goodrich Company)의 제품인 ESTANE과 같은, 수많은 열가소성 우레탄이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테르, 폴리카프로락톤 및 폴리카보네이트 매크로겔에 기초하는 또 다른 열가소성 우레탄들이 이용될 수도 있으며, 그리고 다양한 질소 차단 재료들이 또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부가적인 적합한 재료들이, 본 명세서에 참조로서 합체되는, 루디(Rudy)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4,183,156호 및 제4,219,945호에 개시되어 있다. 다른 적합한 재료들이, 본 명세서에 참조로서 합체되는 루디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4,936,029호 및 제5,042,176호에 개시된 바와 같은, 결정질 재료, 및 본 명세서에 또한 참조로서 합체되는 봉크(Bonk)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6,013,340호, 제6,203,868호 및 제6,321,465호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폴리에스테르 폴리올을 포함하는 폴리우레탄을 함유하는 열가소성 필름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주머니 재료(226)는 열가소성 우레탄(TPU)의 하나 이상의 층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유지 조립체(200)는 족형 부분(220) 상의 적소에 물품을 유지하기 위한 부가적 특징부들을 또한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유지 조립체(200)는 조절가능한 뒤꿈치 조립체(290)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조절가능한 뒤꿈치 조립체(290)는 다양한 상이한 신발 크기들을 수용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조절가능한 뒤꿈치 조립체(290)는 몸체 부분(292)을 더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몸체 부분(292)은 로드들(rod)(294)을 경유하여 전방 장착 부분(210)에 조절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로드들(294)은 전방 장착 부분(210)으로부터 외향으로 신장될 수도 있고, 몸체 부분(292)에 의해 수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몸체 부분(292)은 로드들(294)에 관하여 적소에 영구적으로 고정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한 실시예에서, 전방 장착 부분(210)에 대한 몸체 부분(292)의 위치는, 전방 장착 부분(210)의 수용 캐비티들(211) 내의 다양한 위치들로 로드(294)들을 미끄럼 이동시킴으로써 조절될 수 있을 것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몸체 부분(292)은 로드들(294)에 대해 병진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전방 장착 부분(210)에 대한 몸체 부분(292)의 위치는, 로드(294)의 길이를 따라 몸체 부분(292)을 미끄럼 이동시킴으로써 조절될 수 있을 것이다.
조절가능한 뒤꿈치 조립체(290)는, 몸체 부분(292)으로부터 외향으로 연장되는 뒤꿈치 맞물림 부분(296)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뒤꿈치 맞물림 부분(296)은, 몸체 부분(292)이 전방 장착 부분(210)에 대해 병진이동하는 방향에 대해 대체로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을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뒤꿈치 맞물림 부분(296)의 위치 및 방향은, 몸체 부분(292)에 대해 실질적으로 고정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배열에 의해, 뒤꿈치 맞물림 부분(296)은 몸체 부분(292)과 함께 병진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더욱이, 이하에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이러한 배열은, 뒤꿈치 맞물림 부분(296)의 위치가 족형 부분(220)의 후방 에지에 대해 조정되는 것을 허용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뒤꿈치 맞물림 부분(296)은, 발의 뒤꿈치의 형상에 대체로 근사한 형상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이는, 뒤꿈치 맞물림 부분(296)이 갑피의 뒤꿈치 영역의 대응하는 기하학적 형상을 수용하는 것을 허용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 뒤꿈치 맞물림 부분(296)은 임의의 다른 기하학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손잡이(298)가 몸체 부분(292)을 병진이동시키기 위한 지렛대 기능(leverage)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조절가능한 뒤꿈치 조립체(290)가 요구되는 위치로 조절되었을 때, 손잡이(298)는 조절가능한 뒤꿈치 조립체(290)를 적소에 잠그도록 회전하게 될 수 있을 것이다. 손잡이(298)를 사용하여 조절가능한 뒤꿈치 조립체(290)의 위치를 적소에 잠그는 다양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손잡이(298)는, 손잡이(298)가 잠긴 위치에 있을 때 몸체 부분(292)이 로드들(294)에 대해 병진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마찰력을 생성하는, 캠형 특징부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 몸체 부분(292)의 위치를 잠그기 위한 임의의 다른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조절가능한 뒤꿈치 조립체(290)의 작동에 관한 추가의 세부 내용이 이하에 더 상세히 설명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유지 조립체(200)는, 물품을 적소에 고정하는 것을 돕고 물품이 족형 부분(220) 상에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유지 조립체(200)는, 신발끈 잠금 부재(275)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신발끈 잠금 부재(275)는, 베이스 부분(204)으로부터 외향으로 연장될 수 있을 것이다. 일부 경우에, 신발끈 잠금 부재(275)는 제1 파지 부분(277) 및 제2 파지 부분(279)을 포함한다. 더욱이, 일부 실시예에서, 신발끈 잠금 부재(275)는 족형 부분(220)의 발가락 영역과 연관되는 유지 조립체(200)의 측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따라서 물품의 신발끈이 물품과 신발끈 잠금 부재(275) 사이에서 용이하게 팽팽하게 잡아당겨질 수 있도록 한다. 이하에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신발끈 잠금 부재(275)는, 물품을 긴장 상태로 유지하는 것을 돕기 위해 신발끈 잠금 부재(275) 둘레에 감기게 될 수 있는, 물품의 신발끈을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일부 실시예는 유지 조립체(200)의 다양한 구성요소 내외로 유체의 유동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일부 실시예는, 주머니 부재(226)의 압력을 제어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일부 실시예는, 내부 챔버(246)[가요성 멤브레인(240)과 프레임 부재(230) 사이에서 밀봉됨] 내의 압력을 제어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수단들은, 주머니 부재(226)의 팽창(및 가능하게는 수축) 뿐만 아니라, 내부 챔버(246)의 수축을 가능하게 할 수 있을 것이다[예를 들어, 내부 챔버(246) 내부에 진공을 생성함으로써].
도 5는, 조절가능한 압력 시스템(500)의 몇몇 구성요소가 실선으로 도시되는 가운데, 유지 조립체(200)의 다른 구성요소들은 가상선으로 도시되는, 유지 조립체(200)의 실시예의 개략적 측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명료화를 위해, 유지 조립체(200)의 여러 구성요소들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조절가능한 압력 시스템(500)은, 주머니 부재(226) 뿐만 아니라, 가요성 멤브레인(240)과 프레임 부분(230)에 의해 경계가 한정되는 내부 챔버(246)[내부 챔버(246)의 위치는 도 5에 개략적으로 지시되어 있음]를 포함한다. 부가적으로, 조절가능한 압력 시스템(500)은, 주머니 부재(226)와 제1 외부 유체 펌프(520) 사이 뿐만 아니라, 내부 챔버(246)와 제2 외부 유체 펌프(522) 사이의 유체 소통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외부 유체 펌프(520)는 주머니 부재(226)를 유체로 충전하도록 구성되는 펌프이다. 달리 표현하면,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외부 유체 펌프(520)는 주머니 부재(226) 내의 유체 압력을 증가시키도록 작동하게 될 수 있으며, 이는 주머니 부재(226)가 팽창하도록 야기할 수 있을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외부 유체 펌프(520)는 또한, 주머니 부재(226)로부터 유체를 빼내어, 그로 인해 주머니 부재(226) 내의 내부 압력을 감소시키는 방식으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작동 모드는, 주머니 부재(226)가 자동으로 수축되는 것을 허용할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외부 유체 펌프(522)는 내부 챔버(246)로부터 유체를 흡인하도록 구성되는 진공 펌프이다. 특히, 제2 외부 유체 펌프(522)는, 내부 챔버(246) 내의 유체 압력을 상당히 감소시키도록 사용될 수 있으며, 이는 가요성 멤브레인(240)을 복수의 비드(250)에 대해 팽팽하게 잡아당길 수 있을 것이다(예를 들어, 도 2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는, 제1 측면 부분(222)의 외표면(260)을 위한 대체로 강성의 배열을 생성할 수 있을 것이다.
조절가능한 압력 시스템(250)은, 제1 외부 유체 펌프(520)와 주머니 부재(226) 사이 뿐만 아니라, 제2 외부 유체 펌프(522)와 내부 챔버(246) 사이에서, 유체를 전달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튜브(530)가, 내부 챔버(246)와 제2 외부 유체 펌프(520)를 연결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튜브(530)는 내부 챔버(246)의 유체 포트(540)에 연결될 수 있을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튜브(532)가, 주머니 부재(226)의 내부 챔버(550)와 제1 외부 유체 펌프(520)를 연결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튜브(532)는 내부 챔버(550)의 유체 포트(542)에 연결될 수 있을 것이다.
예시의 목적으로, 조절가능한 압력 시스템(500)의 몇몇 구성요소는 도면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상이한 실시예들에서, 다양한 구성의 유체 펌프들, 유체 배관들(즉, 튜브 또는 호스), 유체 포트들 뿐만 아니라, 다른 유체 전달 수단들이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튜브(530) 및 튜브(532)는 베이스 부분(202)의 후방측을 따라 연장될 수 있으며, 그리고 전방 장착 부분(210) 아래의 개구들을 통과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베이스 부분(202) 및/또는 족형 부분(220) 내부에서 튜브(530) 및/또는 튜브(532)의 임의의 다른 배열이 사용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유체 밸브가, 유체 펌프들과 유지 조립체(200)의 구성요소들 사이의 유체의 양 및/또는 방향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제1 외부 유체 펌프(520) 및 제2 외부 유체 펌프(522)의 작동은, 수동 또는 자동일 수 있을 것이다. 예로서,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각각의 펌프에서의 수동 제어부를 사용하여, 제1 외부 유체 펌프(520) 및/또는 제2 외부 유체 펌프(522)를 제어할 수 있을 것이다. 다른 예로서,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외부 유체 펌프(520) 및/또는 제2 외부 유체 펌프(522)는, 제1 외부 유체 펌프(520) 및/또는 제2 외부 유체 펌프(522)와 통신하는 컴퓨팅 시스템(101) 또는 임의의 다른 자동화 시스템을 사용하여 자동으로 제어될 수 있다.
따라서, 주머니 부재(226)의 압력이 능동적으로 증가하게 될 수 있으며 그리고 반면에 내부 챔버(246)의 압력이 능동적으로 감소하게 될 수 있다는 것이, 이러한 배열에 의해 확인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주머니 부재(226)의 압력은 족형 부분(220)을 팽창시키기 위해 증가하게 될 수 있고, 반면에 내부 챔버(246)의 압력은, 내부 챔버(246)의 유체를 배기하도록 하기 위해 그리고 제1 측면 부분(222)의 기하학적 형상을 일시적으로 고정하도록 하기 위해, 동시에 감소하게 된다(즉, 진공이 인가됨). 이러한 작동들에 대한 부가의 세부 내용이 이하에 상세히 설명된다.
예시의 목적으로, 조절가능한 압력 시스템(500)의 수단들 중 일부는 몇몇 도면에 도시되지 않을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하의 실시예들은 모두, 본 명세서에 설명되고 도 5에 개략적으로 지시되는, 조절가능한 압력 시스템(500)의 특징부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라는 점을 이해하게 될 것이다.
도 6 내지 도 7은, 주머니 부재(226)가 유체로 충전됨에 따른 족형 부분(220)의 작동에 대한 개략적 측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6에 도시되는 주머니 부재(226)의 저압 또는 수축된 배열 형태에서, 제2 측면 부분(224)은 제1 측면 부분(226)에 바로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을 것이다. 더욱이, 이러한 저압 배열 형태에서, 제2 측면 부분(224)은 제1 측면 부분(222)과 대략 평행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도 7에 도시되는 주머니 부재(226)의 가압된 또는 팽창된 배열 형태에서, 제2 측면 부분(224)은 제1 측면 부분(222)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을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일부 실시예에서, 제2 측면 부분(224)은 임의의 각도로 제1 측면 부분(222)으로부터 떨어지도록 기울어지게 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측면 부분(224)은 일반적으로, 족형 부분(220)이 장착 부분(210)에 연결되는 장소인, 전방 장착 부분(210)의 최전방 부분(209)에 대해 선회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배열은, 족형 부분(220)의 폭이 주머니 부재(226)의 압력에 따라 변동하는 것을 허용한다. 더욱이, 일단 물품이 족형 부분(220) 상에 배치되면, 팽창하는 주머니 부재(226)는, 족형 부분(220)이 물품의 내부를 충전하도록 팽창하는 것을 허용할 수 있으며, 이는 족형 부분(220) 상에 장착되는 물품을 유지하는 것을 도울 수 있을 것이다.
전술된 바와 같이, 제1 측면 부분(222)은, 작용하게 되는 압력 또는 힘에 응답하여 변형될 수 있는 성형가능한 또는 가요성 외표면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더욱이, 제1 측면 부분(222)의 강성은, 진공 압력의 사용을 통해 변화될 수 있을 것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분리 상태의 족형 부분(220)의 제1 측면 부분(222)의 실시예들에 대한 개략적 측면도들을 도시하고 있다. 도 8에 도시되는 배열 형태에서, 제1 측면 부분(222)은 가요성 멤브레인(240)에서 실질적으로 가요성 외표면을 제시한다. 도 9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힘(900)이 가요성 멤브레인(240)에 작용하게 됨에 따라, 가요성 멤브레인(240)은 만입부(902)를 생성하는 방식으로 변형한다. 다음에 도 10을 참조하면, 제1 측면 부분(222)의 내부 챔버(246) 내에 진공을 생성함으로써, 가요성 멤브레인(240)은 복수의 비드(250)(도 25 참조)에 대항하여 팽팽하게 잡아당겨진다. 이는, 제1 측면 부분(222)을 위한 실질적으로 강성의 외표면(930)을 생성한다. 이러한 배열을 사용하여, 제1 측면 부분(222)의 윤곽 또는 기하학적 형상은, 제1 측면 부분(222)을 다양한 압력 및/또는 힘에 종속시킴으로써 변화될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34는, 신발류 물품 상에 그래픽 요소를 인쇄하기 위한 방법의 실시예의 개략도를 도시하고 있다. 특히, 도 11 내지 도 18은, 유지 조립체 상에 신발류 물품을 고정하기 위한 예시적인 프로세스를 도시하고, 도 19 내지 도 31은 인쇄할 물품을 준비하기 위한 예시적인 프로세스를 도시하며, 그리고 도 32 내지 도 34는 물품 상에 인쇄하기 위한 예시적인 프로세스를 도시하고 있다.
도 11 내지 도 16은 유지 조립체(200) 상에 배치되는 물품(102)의 실시예의 개략적 평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특히, 도 11 내지 도 16은, 족형 부분(220)에 물품(102)을 고정하는 것을 돕기 위해 조절가능한 뒤꿈치 조립체(290)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예시적인 프로세스를 도시하고 있다.
도 11 내지 도 1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뒤꿈치 맞물림 부분(296)은 대체로, 족형 부분(220)의 후방 에지(291)와 대략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뒤꿈치 맞물림 부분(296)의 위치는, 다양한 상이한 사이즈의 신발을 수용하기 위해 조절될 수 있을 것이다. 달리 표현하면, 족형 부분(220)의 전방 부분(223)과 뒤꿈치 맞물림 부분(296) 사이의 거리는, 상이한 신발류 사이즈들을 수용하도록 변경될 수 있을 것이다.
초기에,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조절가능한 뒤꿈치 조립체(290)는, 조절가능한 뒤꿈치 조립체(290)가 전방 장착 부분(210)을 향해 완전히 수축되어 있는 제1 위치(1100)에 있을 수 있을 것이다. 조절가능한 뒤꿈치 조립체(290)가 제1 위치(1100)에 있는 상태에서, 족형 부분(220) 및 조절가능한 뒤꿈치 조립체(290)가 모두 갑피(104)의 개구(1102) 내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음에 따라, 갑피(104)는 족형 부분(220) 상에 용이하게 배치될 수 있다(또는 취출됨). 도 1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뒤꿈치 맞물림 부분(296)은 갑피(104)의 뒤꿈치 부분(1110)으로부터 내향으로 이격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3 및 도 14에서, 조절가능한 뒤꿈치 조립체(290)는 제2 위치(1300)로 조절되어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이는, 장착 부분(210)으로부터 멀어지게 조절가능한 뒤꿈치 조립체(290)를 미끄럼 이동시키기 위해 손잡이(298)[조절가능한 뒤꿈치 조립체(290)의 몸체 부분(292) 아래에 가상선으로 도시됨]를 잡아당기는 사용자에 의해 성취될 수 있을 것이다. 더욱이, 제2 위치(1300)에서, 뒤꿈치 맞물림 부분(296)은 갑피(104)의 뒤꿈치 부분(1110)에 대항하여 배치될 수 있을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조절가능한 뒤꿈치 조립체(290)를 사용하여 갑피(104)를 긴장 상태로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을 것이다. 이제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면, 조절가능한 뒤꿈치 조립체(290)는 제3 위치(1500)로 조절될 수 있을 것이다. 제3 위치(1500)에서, 뒤꿈치 맞물림 부분(296)은 뒤꿈치 부분(1110)을 외향으로 더 신장시킬 수 있으며, 따라서 갑피(104)가 족형 부분(220)의 발가락 부분(1112)과 뒤꿈치 맞물림 부분(296) 사이에서 실질적으로 긴장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조절가능한 뒤꿈치 조립체(290)의 위치는, 조절가능한 뒤꿈치 조립체(290)가 갑피(104)의 뒤꿈치 부분(1110)이 힘 하에서 수축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잠기게 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일부 실시예에서, 조절가능한 뒤꿈치 조립체(290)의 위치는 손잡이(298)를 조절함으로써 잠기게 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1 내지 도 14에 도시되어 있는 본 예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손잡이(298)는, 조절가능한 뒤꿈치 조립체(290)의 위치가 변경될 수 있도록 잠기지 않은 위치에[이러한 도면들에서 몸체 부분(292) 아래에] 배치될 수 있을 것이다. 더욱이, 요구되는 위치가 성취될 때, 사용자가,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되어 있는 위치로 손잡이(298)를 회전시킬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조절가능한 뒤꿈치 조립체(290)를 적소에 잠글 수 있을 것이다.
일단 조절가능한 뒤꿈치 조립체(290)가 갑피(104)를 맞추도록 조절되어 있으면, 사용자가 신발끈 잠금 부재(275)를 사용하여 물품(102)의 신발끈을 당길 수 있다.
도 17 및 도 18은 신발끈(1702)이 신발끈 잠금 부재(275)를 사용하여 당겨지기 이전 및 이후의 배열 형태들에서 물품(102)의 개략적 등각투상도를 도시하고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신발끈 잠금 부재(275)는 유지 조립체(200)의 베이스 부분(204)으로부터 외향으로 연장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중앙 부분(276)은 베이스 부분(204)으로부터 외향으로 연장될 수 있을 것이다. 제1 파지 부분(277) 및 제2 파지 부분(279)은, 제1 파지 부분(277) 및 제2 파지 부분(279)이 베이스 부분(204)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중앙 부분(276)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배열은, 신발끈이 제1 파지 부분(277)및 제2 파지 부분(279)과 베이스 부분(204) 사이에 배치되도록, 신발끈의 부분들이 중앙 부분(276) 주위에 감기게 되는 것을 허용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신발끈(1702)은 족형 부분(220)에 대한 물품(102)의 장착에 이어서 느슨해진 위치에 있을 수 있을 것이다. 다음에 도 18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갑피(104)에 장력을 작용시키기 위해, 제1 파지 부분(277)과 제2 파지 부분(279) 주위에 신발끈(1702)을 감을 수 있을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신발끈(1702)은 먼저 신발끈 잠금 부재(275) 상에 감기기 이전에 팽팽하게 당겨질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배열에 의해, 신발끈(1702)은, 유지 조립체(200)의 제1 측부(1802)를 따라 갑피(104)에 장력을 작용시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가운데, 조절가능한 뒤꿈치 조립체(290)는 유지 조립체(200)의 제2 측부(1804)를 따라 장력을 작용시킨다. 이러한 장력들은, 족형 부분(220) 상에 잠기게 되는 갑피(104)를 유지하는 것을 도울 수 있을 것이다.
이제, 도 19를 참조하면, 인쇄할 물품(102)을 준비하기 위해, 유지 조립체(200)가 플랫폼(140) 상에 배치될 수 있을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지 조립체(200)는 플랫폼(140)의 임의의 부분 상에 배치될 수도 있으며, 그리고 임의의 방향으로 지향하게 될 수 있을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유지 조립체(200)는, 인쇄 시스템(120)의 인쇄 헤드들이 갑피(104)의 요구되는 부분 위에 배치될 수 있는 것을 보장하도록 배치되고 지향될 수 있을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유연한 제조 시스템(100)은, 요구되는 위치 및/또는 요구되는 방향으로 플랫폼(140) 상에 유지 조립체(200)를 고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수단은 이하에 더 상세히 설명되며 그리고 도 39 내지 도 40에 도시된다.
실시예들은, 인쇄 품질을 개선하기 위해 물품의 부분들을 평탄화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유연한 제조 시스템은, 갑피의 부분들이 변형되며 그리고 일시적으로 평탄화되도록, 유지 조립체 상에 물품을 압착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평탄화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유연한 제조 시스템은, 평탄화 플레이트가 평탄화될 갑피의 요구되는 부분과 접촉할 수 있는 것을 보장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0은 물품(102)의 부분들을 가로질러 압력을 작용시키기 위해 평탄화 플레이트(2000)를 활용하는 유연한 제조 시스템(100)의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평탄화 플레이트(2000)는 복수의 장착 아암(160)에 장착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배열에서, 평탄화 플레이트(2000)는, 플랫폼(140) 상에 배치되는 유지 조립체(200) 및 물품(102) 위에 배치될 수 있을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평탄화 플레이트(2000)는 당 기술 분야에 공지된 임의의 종류의 체결구를 사용하여 복수의 장착 아암(160) 중 하나 이상에 체결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 평탄화 플레이트(2000)는 사용자에 의해 적소에 수동으로 유지될 수 있을 것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평탄화 플레이트(2000)의 중량은, 복수의 장착 아암(160) 상에 놓이는 평탄화 플레이트(2000)를 유지하기에 충분할 수 있을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평탄화 플레이트(2000)는 실질적으로 강성 재료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평탄화 플레이트(2000)는 플렉시 글래스(plexi-glass) 재료의 시트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평탄화 플레이트(2000)는,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실질적으로 변형, 굽힘, 좌굴 또는 그 밖의 다른 파손 없이, 유지 조립체(200) 및 물품(102)을 압착하기에 충분할 정도로 강성일 수 있는, 중합체 재료, 금속 재료, 목재, 복합 재료, 유리 재료 또는 임의의 다른 종류의 재료를 포함하는, 임의의 다른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평탄화 플레이트(2000)의 두께는 0.01 인치 내지 2 인치 사이의 범위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평탄화 플레이트(2000)의 두께는 1 인치 내지 5 인치 사이의 범위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평탄화 플레이트(2000)는 임의의 다른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도 21은, 유지 조립체(200), 물품(102) 및 평탄화 플레이트(2000)의 부분들에 대한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2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물품(102)의 측면 부분들이 제1 측면 부분(222) 및 제2 측면 부분(224)과 대체로 평행한 방향으로 지향되어 있는 가운데, 밑창 구조체(106)는 대체로 갑피(104)에 직접적으로 압력을 작용시키기 위한 평탄화 플레이트(2000)의 능력과 간섭할 수 있을 것이다. 대신에, 이러한 초기 배열 형태에서, 평탄화 플레이트(2000)와 물품(102) 사이의 1차적 접촉은 밑창 구조체(106)의 측벽(2102)을 따라 발생할 수 있을 것이다. 물품(102)과 평탄화 플레이트(2000) 사이의 이러한 접촉 영역은, 평탄화 플레이트(2000)(본 실시예에서 투명함)를 통한 물품(102)의 평면도를 도시하는 도 22에서 또한 보일 수 있을 것이다. 특히, 도 22에서, 접촉 영역(2202)은 강조되어 있다.
평탄화 플레이트(2000)와 갑피(104) 사이의 더 양호한 접촉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유지 조립체(200)는 족형 부분(220) 상에서 갑피(104)의 위치 및/또는 방향을 변경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주머니 부재(226)가 팽창함에 따라, 제2 측면 부분(224)은 갑피(104)를 밀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족형 부분(220) 상에서 물품(102)의 지향을 변경할 수 있을 것이다. 도 23을 참조하면, 주머니 부재(226)는 팽창되고 확장되어 있으며, 이는 제1 측면 부분(222)과 제2 측면 부분(224)을 이격시키도록 미는 경향이 있을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제2 측면 부분(224)은 제1 측면 부분(222)으로부터 멀어지게 회전하게 된다. 제2 측면 부분(224)이 회전함에 따라, 족형 부분(220)은 갑피(104)의 내부 캐비티(2320)를 충전하도록 팽창할 수 있을 것이다. 더욱이, 제2 측면 부분(224)은 갑피(104)의 안쪽 부분(2332)과 접촉할 수 있을 것이다. 제2 측면 부분(224)이 안쪽 부분(2332)에 대항하여 계속 압착함에 따라, 갑피(104)는 족형 부분(220) 상에서 약간 회전하는 경향이 있을 수 있을 것이다. 특히, 갑피(104)의 바깥쪽 부분(108)은 유지 조립체(200)의 베이스 부분(202)으로부터 더 미끄럼 이동할 수 있을 것이다.
도 2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밑창 구조체(106)의 위치 또한, 족형 부분(220)이 팽창함에 따라 조절될 수 있을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밑창 구조체(106)의 위치는 평탄화 플레이트(2000)로부터 하향으로 또는 그로부터 멀어지게 기울게 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기울어진 위치에서, 밑창 구조체(106)는 평탄화 플레이트(2000)로부터 이격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족형 부분(220)의 팽창은, 밑창 구조체(106)가 더 이상 평탄화 플레이트(2000)와 접촉하지 않도록 그리고 갑피(104)의 바깥쪽 부분(108)이 평탄화 플레이트(2000)와 직접 접촉하도록, 족형 부분(220) 상에서 물품(102)을 재배치하는 것을 돕는다. 이러한 배열은, 평탄화 플레이트(2000)와 접촉 상태에 놓이는 바깥쪽 부분(108)의 영역의 전체에 걸쳐 평탄화 플레이트(2000)가 실질적으로 균일한 압력을 제공하는 것을 허용하며, 이에 의해 요구되는 영역의 평탄화를 가능하게 한다.
물품(102)과 평탄화 플레이트(2000) 사이의 접촉 영역은 또한, 평탄화 플레이트(2000)(본 실시예에서, 투명함)를 통한 물품(102)의 평면도를 도시하는 도 24에서 확인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도 24에서, 접촉 영역(2402)은 강조되어 있다. 도 22와 도 24를 비교하면, 족형 부분(220) 상에서 물품(102)의 지향을 조정하는 것이, 갑피(104)의 바깥쪽 부분(108)과 평탄화 플레이트(2000) 사이에 실질적으로 더 큰 접촉 영역을 제공하도록 돕는다는 것이, 확인될 수 있다.
도 2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1 측면 부분(222)은, 평탄화 플레이트(2000)가 갑피(104)의 바깥쪽 벽(108)을 내리누름에 따라 실질적으로 편평한 표면을 형성하는, 가요성 외표면(2350)을 포함한다. 인쇄할 물품(102)을 준비하기 위한 프로세스에서의 이러한 단계에서, 진공이 제1 측면 부분(222)에 도입될 수 있으며, 따라서 평탄화 플레이트(2000)가 제거된 후에도 외표면(2350)의 평탄화된 형상이 유지될 수 있다.
이제, 도 25를 참조하면, 제1 측면 부분(222)의 내부 챔버(2502) 내의 유체(예를 들어, 공기)는, 진공 펌프와 같은 진공 소스와 유체 소통을 통해 제거되어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이는, 가요성 멤브레인(240)이 복수의 비드(250)에 대항하여 팽팽하게 당겨지는 것을 야기할 수 있으며, 따라서 복수의 비드(250)의 배열 형태 및 외표면(2350)의 대응하는 기하학적 형상이 고정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진공이, 평탄화 플레이트(2000)가 제거된 이후에 그의 형상을 유지하는 경향이 있는, 실질적으로 강성의 외표면(2350)을 생성하기 위해 사용된다. 도 2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평탄화 플레이트(2000)가 제거되면, 외표면(2350)은 실질적으로 편평한 형상을 유지한다.
유연한 제조 시스템은, 조정 요구를 최소화하는 방식으로 플랫폼 상에 물품을 정렬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유연한 제조 시스템은, 그래픽 요소가 요구되는 위치에 인쇄되는 것을 보장하도록, 프린터에 관하여 물품의 부분을 정밀하게 정렬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투명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도 27 및 도 28은, 투명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인쇄할 물품의 위치 및/또는 지향을 정렬하기 위해 사용되는, 유연한 제조 시스템(100)의 개략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27 및 도 28을 참조하면, 물품(102)의 요구되는 부분이 인쇄를 위한 준비시에 평탄화된 후에, 평탄화 플레이트(2000)는 복수의 장착 아암(160)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이 시점에,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720)가, 복수의 장착 아암(160) 상에 장착될 수 있을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720)는 유선 및/또는 무선 연결을 통해, 컴퓨팅 시스템(101)(도 1 참조)과 통신할 수 있을 것이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720)는, 스크린 부분(2624)을 수용하는 외부 프레임 부분(2622)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도 27 및 도 2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일부 실시예에서, 스크린 부분(2624)은 실질적으로 투명하다. 이는, 관찰자가 스크린 부분(2624)을 통해 보는 것을 허용한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720)는 또한 스크린 부분(2624) 상에 하나 이상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720)는, 컴퓨팅 시스템(101)(도 1 참조)으로부터 정보를 수신하며 그리고 스크린 부분(2624)의 중앙 부분에 그래픽 요소(2830)를 디스플레이한다. 이는, 물품(102)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720)를 통해 보일 때, 사용자가 물품(102) 위에 중첩되는 그래픽 요소(2830)를 보는 것을 허용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이러한 배열은, 인쇄할 물품을 정렬하기 위해, 물품의 부분 위에 그래픽 요소가 중첩되는 것 그리고 그에 따라 정렬되는 것을 허용한다. 이러한 방법의 세부 내용이 이하에 더 상세히 설명된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720)는 그래픽 요소 및/또는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이 가능한 임의의 종류의 디바이스일 수 있을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720)는, 투명 또는 반투명 스크린 상에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임의의 디스플레이 기술을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일부 실시예는 예를 들어, 형광 스크린 상의 CRT 이미지, 광학 도파관 기술, 투명 스크린 상에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레이저 주사 뿐만 아니라, LED와 같은 고체 상태 기술을 사용하여, 투명 스크린 상에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헤드업 디스플레이(heads-up-display: HUD) 기술을 사용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720)와 함께 사용될 수 있는 고체 상태 기술의 예들은,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s: LCDs), 액정 온 실리콘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on silicon displays: LCoS), 디지털 마이크로미러(digital micro-mirrors: DMD) 뿐만 아니라,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OLEDs)와 같은 다양한 종류의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light emitting diode displays: LEDs)를 포함한다. 사용되는 디스플레이 기술의 유형은, 디스플레이 크기, 중량, 비용, 제조 제약(공간 요구와 같은), 투명도 뿐만 아니라, 가능하게는 다른 인자들과 같은, 다양한 인자들에 따라 선택될 수 있을 것이다.
일부 실시예는 실질적으로 투명한 스크린을 사용할 수 있지만, 다른 실시예들은, 단지 부분적으로 투명하거나 반투명한 스크린을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요구되는 투명도는, 조명 조건, 제조 비용 및 정렬을 위한 정밀 공차와 같은 제조 고려사항에 따라 변할 수 있을 것이다.
도 29 및 도 30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720)를 사용하여 프린터와 물품을 정렬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을 도시하고 있다. 예시의 목적으로, 물품(102)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720) 아래에 분리되어 보이지만, 물품(102)은 일반적으로 유지 조립체(200)에 의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720) 아래의 적소에 유지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29 및 도 30에 도시되어 있는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720)는, 물품(102)의 디자인 요소(110)와 정렬되도록 의도되는 그래픽 요소(2803)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을 것이다. 전술된 바와 같이, 디자인 요소(110)는 갑피(104) 내에 통합되는 로고 또는 임의의 다른 종류의 디자인 요소일 수 있다. 디자인 요소(110) 위에 그래픽 요소(2830)를 정렬하는 것은, 물품(102), 특히 디자인 요소(110) 둘레의 영역이 인쇄 시스템(120)과 정확하게 정렬되는 것을 보장한다.
도 29 및 도 30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그래픽 요소(2830)는 컴퓨팅 시스템(101)에 의해 생성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그래픽 요소(2830)는 컴퓨팅 시스템(101)의 디스플레이(103) 상에 디스플레이된 그래픽 요소(2850)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을 것이다.
도 29 및 도 30은 정렬 이전에 그리고 정렬 이후에 각각의 그래픽 요소(2830) 및 디자인 요소(110)의 상대적인 위치를 도시하고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물품(102)의 요구되는 위치 위에 그래픽 요소(2830)를 정렬하기 위해,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720) 아래에서 유지 조립체(200) 및 물품(102)의 위치를 이동시켜 그래픽 요소(2830)와 디자인 요소(110) 사이에 요구되는 정렬을 성취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예를 들어, 사용자는 요구되는 정렬을 성취하기 위해, 도 30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요구되는 상대 위치로 유지 조립체(200) 및 물품(102)을 미끄럼 이동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그래픽 요소(2830)의 위치는 요구되는 정렬을 성취하기 위해 조절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720) 상의 그래픽 요소(2830)의 위치는 사용자에 의해 변경될 수 있을 것이다. 일반적으로, 그래픽 요소(2830)의 위치는, 예를 들어 터치스크린 기술을 포함하는 임의의 요구되는 기술을 사용하여 변경될 수 있을 것이다. 달리 말하면, 일부 경우에,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720) 상의 그래픽 요소(2830)를 터치하여 그래픽 요소(2830)를 디자인 요소(110)와의 정렬을 위한 요구되는 위치로 미끄럼 이동시킬 수 있을 것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컴퓨팅 디바이스(101), 원격 디바이스 또는 디스플레이 상의 그래픽 요소의 위치를 제어하기 위한, 공지된 임의의 다른 방법을 사용하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720) 상의 그래픽 요소(2830)의 상대적인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물품의 부분들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상의 이미지를 정렬하기 위한 다른 방법 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 및 인쇄 시스템을 조정하는 방법이, 정렬 및 인쇄 사례 뿐만 아니라 원격 디바이스를 사용하는 프린터 정렬 사례에 개시되어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일단 그래픽 요소(2830)가 디자인 요소(110) 위에 정렬되어 있으면, 사용자는 인쇄 시스템(120)을 사용하여 물품 상에 인쇄 프로세스를 개시할 수 있을 것이다. 도 3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사용자는 물품(102) 상에 인쇄될 요구되는 그래픽 요소(3102)를 선택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예에서, 그래픽 요소(3102)는 그래픽 요소(2830)와 중첩되는 번개(lightning bolt)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인쇄 시스템(120)이 디자인 요소(110) 상에 직접 그래픽 요소(3102)를 인쇄하는 것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도 32 및 도 3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현재의 배열은, 갑피(104)의 바깥쪽 부분(108) 상에 실질적으로 편평한 인쇄 표면(3202)을 제공함으로써 정확한 인쇄를 가능하게 한다. 구체적으로, 유지 조립체(200)를 사용하여 성취되는 바깥쪽 부분(108)의 평탄화된 기하학적 형상은, 가상 곡선(3240)에 의해 지시되어 있는 바깥쪽 부분(108)의 디폴트의 만곡된 기하학적 형상보다 요구되는 평면형 인쇄 영역에 더욱 양호하게 가까워진다. 따라서, 도 32 및 도 33에 명백히 보이는 바와 같이, 전술된 수단을 사용하여 성취되는 바깥쪽 부분(108)의 평탄화는, 일반적으로 2차원으로 인쇄하도록 구성되는 프린터가, 3차원 기하학적 형상을 갖는 물품에 그래픽 요소를 적용하는 것을 허용한다.
여기에 설명된 방법은 도 3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물품(102)의 바깥쪽 부분(108) 상에 인쇄된 그래픽 요소(3402)를 생성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실시예는 물품(102)의 바깥쪽 부분(108)에 인쇄하는 것을 예시하고 있지만, 유사한 프로세스가 물품(102)의 안쪽 부분 상에 하나 이상의 그래픽 요소를 인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더욱이, 이 방법은, 물품(102)의 발가락 부분, 중간발 부분 및/또는 뒤꿈치 부분을 포함하는, 물품(102)의 임의의 부분 위에 그래픽 요소를 인쇄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족형 부분(220)의 제1 측면 부분(222)은 실질적으로 변형가능할 수 있는 가운데, 제2 측면 부분(224)은 실질적으로 강성일 수 있을 것이다. 이는, 제1 측면 부분(222) 위에 배치되는 물품의 바깥쪽의 평탄화를 가능하게 할 수 있을 것이다. 일부 실시예는, 물품의 안쪽을 평탄화하는데 사용하기 위해 구성되는 상응하는 유지 조립체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도 35는 한 쌍의 상응하는 유지 조립체(3500) 및 상응하는 물품(3510)을 이용하는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유지 조립체(3502)는 물품(3510)의 바깥쪽(3512) 상에 인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마찬가지로, 제2 유지 조립체(3504)는 물품(3510)의 안쪽(3514) 상에 인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제1 유지 조립체(3502)는, 물품(3510)이 족형 부분(3505) 상에 배치될 때, 물품(3510)의 바깥쪽(3512)이 인쇄 시스템을 향해 상향으로 지향할 수 있는 방식으로 지향하게 되는 족형 부분(3505)을 포함한다. 유사하게, 제2 유지 조립체(3504)는, 물품(3510)이 족형 부분(3503) 상에 배치될 때, 물품(3510)의 안쪽(3514)이 인쇄 시스템을 향해 상향으로 지향할 수 있는 방식으로 지향하게 되는 족형 부분(3503)을 포함한다.
여기에서의 배열은, 한 쌍의 대응 유지 조립체를 이용함으로써 물품의 양 측부 상에 인쇄를 허용한다. 2개의 유지 조립체는 왼쪽 및 오른쪽 신발류 물품 모두의 대향하는 측부들에 인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또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된 바와 같이, 유지 조립체는, 다수의 상이한 신발류 사이즈와 함께하는 사용을 위해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상이한 길이의 신발을 수용하기 위한 조절가능한 뒤꿈치 조립체 뿐만 아니라, 변형가능한 외표면을 갖는 족형 부분을 사용하는 것은, 유지 조립체가 광범위한 상이한 신발류 크기들에 맞춰지는 것을 허용한다.
도 36은 광범위한 상이한 신발류 사이즈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유지 조립체(3600)의 개략도를 도시하고 있다. 이 경우에, 복수의 신발류 물품 사이즈(3610) 중 임의의 것은, 인쇄할 물품을 유지하고 준비하기 위해 유지 조립체(3600)에 의해 수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예에서, 10개의 상이한 신발류 사이즈가 도시되어 있지만, 부가의 신발류 사이즈가 또한 유지 조립체(3600)로 수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유지 조립체(3600)는 여성용 사이즈 5 내지 여성용 사이즈 11 사이의 모든 절반 단계의 사이즈, 뿐만 아니라 남성용 사이즈 6 내지 남성용 사이즈 15 사이의 모든 절반 단계의 사이즈를 포함하는 신발류 사이즈의 범위와 함께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유지 조립체는, 미국 남성용 사이즈, 미국 여성용 사이즈, 다양한 상이한 국제용 신발 사이즈, 뿐만 아니라 아동용 사이즈를 포함하는 임의의 다른 범위의 신발류 사이즈와 함께하는 사용을 위해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제1 유지 조립체는, 모든 미국의 남성용 및 여성용 신발 사이즈와 함께하는 사용을 위해 구성될 수 있는 가운데, 제2 유지 조립체는 모든 아동용 사이즈와 함께하는 사용을 위해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는, 족형 부분 상에서의 물품의 위치 및/또는 지향을 조절하기 위한 부가의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7 및 도 38에 도시되어 있는 다른 실시예에서, 평탄화 플레이트(3700)는 물품(3722)의 밑창 구조체(3720)에 접촉하도록 구성되는 스트립 부재(3702)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도 3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탄화 플레이트(3700)가 물품(3722) 위에 적소에 있는 가운데, 스트립 부재(3702)는 밑창 구조체(3720)에 접촉할 수 있을 것이다. 더욱이, 스트립 부재(3702)는 평탄화 플레이트(3700)의 하부 표면(3704) 아래로 연장된다. 이러한 배열에 의해, 스트립 부재(3702)는 밑창 구조체(3720)를 하향으로 그리고 하부면(3704)으로부터 멀어지게 밀도록 작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물품(3702)의 갑피(3724)와 평탄화 플레이트(3700) 사이의 접촉 영역을 증가시키는 것을 도울 수 있을 것이다. 일부 경우에, 접촉 영역은, 갑피(3724) 내부에서 족형 부분(3730)을 팽창시킴으로써 더 증가하게 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된 바와 같이, 유연한 제조 시스템은, 유지 조립체가 인쇄를 위한 준비시에 플랫폼 상에 배치된 이후에, 유지 조립체를 적소에 잠그거나 또는 그렇지 않으면 일시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도 39 및 도 40은 플랫폼 상의 적소에 유지 조립체의 위치를 잠그기 위한 다양한 방법의 개략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39를 먼저 참조하면, 일부 실시예는 플랫폼(3940) 상의 적소에 유지 조립체(3900)의 위치를 잠그는 것을 돕는 자기적 수단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도 39의 실시예에서, 유지 조립체(3900)는 베이스 부분(3908)의 바닥 표면(3906) 상에 제1 자기 스트립(3902) 및 제2 자기 스트립(3904)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플랫폼(3940)이 자력에 민감한 실시예에서, 제1 자기 스트립(3902) 및 제2 자기 스트립(3904)이, 플랫폼(3940) 상의 특정 위치에 잠기도록 유지 조립체(3900)를 유지하는 것을 도울 수 있을 것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유지 조립체 또는 대응하는 플랫폼 중 하나는, 자기 페인트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40은 유지 조립체(4000)가 흡인(즉, 진공)을 사용하여 적소에 유지되는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 플랫폼(4040)은 진공을 유도하는 복수의 진공 구멍(4042)을 갖도록 구성된다. 진공은 유지 조립체(4000)를 플랫폼(4040)을 향해 당기며 그리고 플랫폼(4040)을 따르는 유지 조립체(4000)의 수평 이동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다양한 실시예들이 설명되어 있지만, 설명은 제한하는 것이라기보다는 예시인 것으로 의도되고, 실시예들의 범주 내에 있는 다수의 더 많은 실시예 및 구현예들이 가능하다는 것이 당 기술 분야의 숙련자들에게 명백할 것이다. 이에 따라, 실시예들은 첨부된 청구범위 및 이들의 균등물의 관점에서를 제외하고는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주 내에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Claims (20)

  1. 신발류 물품을 유지하도록 구성된 유지 조립체로서,
    적어도 2개의 다리 부분에 의해 지지된 몸체 부분을 포함하는 베이스 부분으로서, 상기 몸체 부분으로부터 연장되는 전방 장착 부분을 더 포함하는 것인, 베이스 부분;
    상기 전방 장착 부분에 연결되는 족형 부분;
    상기 전방 장착 부분에 연결되는 조절가능한 뒤꿈치 조립체로서, 상기 족형 부분의 후방 에지와 평행하게 연장되는 뒤꿈치 맞물림 부분을 더 포함하는 것인, 조절가능한 뒤꿈치 조립체
    를 포함하고,
    상기 조절가능한 뒤꿈치 조립체는, 상기 전방 장착 부분으로부터 신장되고 수축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상기 족형 부분의 후방 에지와 상기 뒤꿈치 맞물림 부분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인, 유지 조립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 부분은 제1 종방향 축과 연관되며 그리고 상기 전방 장착 부분은 제2 종방향 축과 연관되고, 상기 제1 종방향 축은 상기 제2 종방향 축과 수직인 것인, 유지 조립체.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가능한 뒤꿈치 조립체는 제1 방향을 따라 병진이동하게 될 수 있고, 상기 뒤꿈치 맞물림 부분은 상기 제1 방향에 수직인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인, 유지 조립체.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족형 부분은, 제1 측면 부분, 제2 측면 부분 및 상기 제1 측면 부분과 상기 제2 측면 부분 사이에 배치되는 주머니 부재를 포함하는 것인, 유지 조립체.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주머니 부재는, 상기 제2 측면 부분으로부터 상기 제1 측면 부분을 분리하기 위해 팽창할 수 있는 것인, 유지 조립체.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면 부분은 성형가능한 외표면을 갖는 것인, 유지 조립체.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가능한 외표면의 강성은 변화될 수 있는 것인, 유지 조립체.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장착 부분에 대한 상기 조절가능한 뒤꿈치 조립체의 위치는 일시적으로 잠기게 될 수 있는 것인, 유지 조립체.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는, 상기 조절가능한 뒤꿈치 조립체의 몸체 부분의 병진이동을 방지하는 마찰력을 생성하는 캠형 손잡이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일시적으로 잠기게 될 수 있는 것인, 유지 조립체.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캠형 손잡이는 상기 조절가능한 뒤꿈치 조립체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해 파지될 수 있는 것인, 유지 조립체.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뒤꿈치 맞물림 부분의 위치는, 상이한 신발류 사이즈들을 수용하기 위해 조절될 수 있는 것인, 유지 조립체.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뒤꿈치 맞물림 부분은 상기 조절가능한 뒤꿈치 조립체의 몸체 부분으로부터 외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몸체 부분은 상기 유지 조립체의 상기 전방 장착 부분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인, 유지 조립체.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뒤꿈치 맞물림 부분은, 상기 신발류 물품의 뒤꿈치 부분에 장력을 작용시키고, 상기 유지 조립체는 신발끈 잠금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신발류 물품의 신발끈이, 상기 뒤꿈치 맞물림 부분의 전방에 있는 상기 신발류 물품의 부분에 장력을 작용시키기 위해, 상기 신발끈 잠금 부재 둘레에 감기게 될 수 있는 것인, 유지 조립체.
  14. 신발류 물품을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유지 조립체로서,
    베이스 부분 및 상기 베이스 부분에 부착되는 족형 부분;
    상기 베이스 부분에 부착되는 신발끈 잠금 부재로서, 상기 베이스 부분으로부터 연장되는 중앙 부분 뿐만 아니라 제1 파지 부분 및 제2 파지 부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파지 부분 및 상기 제2 파지 부분은 상기 베이스 부분으로부터 이격되는 것인, 신발끈 잠금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신발끈 잠금 부재는, 상기 족형 부분 상에 배치될 수 있는 신발류 물품의 신발끈을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유지 조립체.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신발끈 잠금 부재는 상기 베이스 부분 상에 신발끈을 고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것인, 유지 조립체.
  16.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조립체는, 상기 신발류 물품의 뒤꿈치 영역에 장력을 작용시키도록 구성되는 뒤꿈치 맞물림 부분을 포함하는, 조절가능한 뒤꿈치 조립체를 더 포함하는 것인, 유지 조립체.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신발끈 잠금 부재는, 상기 조절가능한 뒤꿈치 조립체가 상기 신발류 물품의 제2 측부에 장력을 작용하는 동안, 상기 신발류 물품의 제1 측부에 장력을 작용하는 것인, 유지 조립체.
  18.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족형 부분은 조절가능한 것인, 유지 조립체.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족형 부분은 팽창할 수 있는 것인, 유지 조립체.
  20.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족형 부분의 외표면은 변형가능한 것인, 유지 조립체.
KR1020157033395A 2013-04-23 2014-04-22 물품을 위한 잠금 시스템을 갖는 유지 조립체 KR1018257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868,136 2013-04-23
US13/868,136 US9456651B2 (en) 2013-04-23 2013-04-23 Holding assembly with locking systems for articles
PCT/US2014/034965 WO2014176244A1 (en) 2013-04-23 2014-04-22 Holding assembly with locking systems for articl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3044A KR20160003044A (ko) 2016-01-08
KR101825795B1 true KR101825795B1 (ko) 2018-02-05

Family

ID=509423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33395A KR101825795B1 (ko) 2013-04-23 2014-04-22 물품을 위한 잠금 시스템을 갖는 유지 조립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456651B2 (ko)
EP (2) EP2958452B1 (ko)
JP (1) JP6403126B2 (ko)
KR (1) KR101825795B1 (ko)
CN (1) CN105120701B (ko)
WO (1) WO201417624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02445B2 (en) 2013-04-23 2016-08-02 Nike, Inc. Holding assembly for articles
TWI556757B (zh) * 2015-01-16 2016-11-11 耐基創新公司 形狀記憶聚合物鞋類鞋楦系統、自形狀記憶聚合物鞋類鞋楦預成形體形成鞋類鞋楦的方法、使用單一形狀記憶聚合物鞋類鞋楦預成形體製作各種不同形狀及大小的鞋類的方法
US20170112238A1 (en) * 2015-10-26 2017-04-27 Converse Inc. Jig for Article of Footwear
KR101954206B1 (ko) * 2017-05-16 2019-03-05 송문섭 스타킹의 스크린 인쇄방법
US10093112B1 (en) * 2017-06-13 2018-10-09 Xerox Corporation Object holder for a direct-to-object printer
CN111295668A (zh) 2017-10-31 2020-06-16 耐克创新有限合伙公司 用于打印的图像配准
US10457071B2 (en) * 2018-01-18 2019-10-29 Xerox Corporation Object holder with pneumatic clamping frame for a direct-to-object printer
WO2019226989A1 (en) * 2018-05-25 2019-11-28 Nike Innovate C.V. Manufacturing systems and processes for constructing articles of footwear using sacrificial straps
CN108851361B (zh) * 2018-06-22 2021-05-04 浙江凯邦鞋业有限公司 一种用于鞋生产的鞋帮固定装置
DE102018212228A1 (de) * 2018-07-23 2020-01-23 Adidas Ag Verfahren und System zum Herstellen eines Schuhs
CN110269318A (zh) * 2019-07-29 2019-09-24 浙江澳饰实业有限公司 皮鞋扩张用的装置
CN111657630A (zh) * 2020-07-08 2020-09-15 中国皮革制鞋研究院有限公司 一种鞋内腔快速取型方法和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119950A1 (en) 2007-11-13 2009-05-14 Kohatsu Shane S Self Assembled Article of Footwear with Customized Designs
US20110277250A1 (en) 2009-06-24 2011-11-17 Nike International Ltd. Inflatable Member
JP2012531261A (ja) 2009-06-24 2012-12-10 ナイキ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リミテッド 物品を注文製作する方法及び膨張可能部材を含む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14612E (fr) 1910-05-09 1912-01-22 August Hermann Max Grune Embauchoir pneumatique à lisser et à repasser
US1048826A (en) * 1911-09-20 1912-12-31 August Hermann Max Grune Pneumatic boot-tree.
US1496020A (en) * 1920-11-19 1924-06-03 United Shoe Machinery Corp Upper-tightening device
US1498400A (en) 1922-02-09 1924-06-17 Candee & Company L Last-holding device
US1710162A (en) * 1928-03-07 1929-04-23 Guido Marco Shoe press
US2034314A (en) 1934-12-03 1936-03-17 Samuel Samuel Shoe last holder
US2264416A (en) 1939-02-01 1941-12-02 United Shoe Machinery Corp Last positioning and holding means
US2306036A (en) * 1942-03-21 1942-12-22 Robert F Campbell Last
US3032792A (en) * 1960-07-13 1962-05-08 Frank Peter Shoe last construction
US3964534A (en) 1974-03-04 1976-06-22 Ford Motor Company Casting method with a vacuum bonded dry sand core
US3973285A (en) 1975-01-06 1976-08-10 Usm Corporation Method for stiffening workpieces such as shoe components
AU1409876A (en) * 1975-06-20 1977-11-24 British United Shoe Machinery Foot form
US4183156A (en) 1977-01-14 1980-01-15 Robert C. Bogert Insole construction for articles of footwear
US4219945B1 (en) 1978-06-26 1993-10-19 Robert C. Bogert Footwear
US4255876A (en) * 1979-05-31 1981-03-17 Brs, Inc. Athletic shoe having an upper toe section of stretchable material, external reinforcing strips and improved lacing
US4661198A (en) 1982-12-29 1987-04-28 Usm Corporation Linear deposition apparatus
DE3331020A1 (de) 1983-08-27 1985-03-14 Schön & Cie GmbH, 6780 Pirmasens Einrichtung zum abstuetzen des leistens an einer spitzenzwickmaschine
FR2555038B1 (fr) 1983-11-22 1987-06-05 Martinez Raphael Procede et dispositif pour le lavage de chaussures
CN86200220U (zh) * 1986-01-20 1986-11-26 哈尔滨搪瓷厂五分厂 折叠可调式整鞋器
JPS62259854A (ja) 1986-05-07 1987-11-12 Mitsuo Nakai 間欠、回転式タンポ、スクリ−ン兼用印刷装置
CN2039919U (zh) * 1988-03-19 1989-06-28 曾瑞林 皮鞋整形器
CN2051826U (zh) * 1989-01-18 1990-01-31 赵景贤 万用皮鞋撑子
US4936029A (en) 1989-01-19 1990-06-26 R. C. Bogert Load carrying cushioning device with improved barrier material for control of diffusion pumping
US5042176A (en) 1989-01-19 1991-08-27 Robert C. Bogert Load carrying cushioning device with improved barrier material for control of diffusion pumping
US5090320A (en) 1990-03-26 1992-02-25 Nave Bart I Shoe printing process and apparatus
FR2674731B1 (fr) 1991-04-05 1997-06-13 Centre Tech Cuir Chaussure Procede et dispositif de mesure du volume interne d'un article chaussant.
US5136746A (en) * 1991-07-17 1992-08-11 Willard Jones Adjustable shoe holder and support
US5341532A (en) 1992-03-27 1994-08-30 Edward Markowitz Inflatable stuffing for footwear
CN2137455Y (zh) * 1992-12-01 1993-07-07 赵克明 可调张力鞋撑
US5952065A (en) 1994-08-31 1999-09-14 Nike, Inc. Cushioning device with improved flexible barrier membrane
CA2222097C (en) 1995-06-07 2009-03-24 Nike International Ltd. Membranes of polyurethane based materials including polyester polyols
US6013340A (en) 1995-06-07 2000-01-11 Nike, Inc. Membranes of polyurethane based materials including polyester polyols
IT1299999B1 (it) 1998-04-30 2000-04-04 Mario Ciucani Macchina per la stiratura di tomaie per calzature e loro successivo attacco a corrispondenti fondi.
US6127026A (en) 1998-09-11 2000-10-03 Nike, Inc. Flexible membranes
US6082025A (en) 1998-09-11 2000-07-04 Nike, Inc. Flexible membranes
US6182382B1 (en) * 1999-07-15 2001-02-06 Lee M. Skinner Boot leg opening cover attachment
IT1310846B1 (it) * 1999-10-07 2002-02-22 Edk Res Ag Macchina per la pulizia di scarpe
US20020023306A1 (en) 1999-12-21 2002-02-28 Sajedi Mohammad Hassan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forming a reconfigurable cavity and an expandable shoe last and for constructing a shoe
US6266837B1 (en) * 2000-06-08 2001-07-31 Robert E. Nord Combined two-shoe tree and organizer
JP4371289B2 (ja) 2000-10-02 2009-11-2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真空成形型の製造方法
US6782640B2 (en) 2001-09-12 2004-08-31 Craig D. Westin Custom conformable device
DE102008030713A1 (de) 2007-09-18 2009-04-23 HÜBNER, Michael Frei formbares Objekt mit Formfixierung
US8162022B2 (en) 2008-10-03 2012-04-24 Nike, Inc. Method of customizing an article and apparatus
US8348371B2 (en) 2009-11-10 2013-01-08 Converse Inc. Utilizing a printer to customize apparel in a retail facility
US8978551B2 (en) 2012-07-25 2015-03-17 Nike, Inc. Projection assisted printer alignment using remote device
US9254640B2 (en) 2012-07-25 2016-02-09 Nike, Inc. Projector assisted alignment and printing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119950A1 (en) 2007-11-13 2009-05-14 Kohatsu Shane S Self Assembled Article of Footwear with Customized Designs
US20110277250A1 (en) 2009-06-24 2011-11-17 Nike International Ltd. Inflatable Member
JP2012531261A (ja) 2009-06-24 2012-12-10 ナイキ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リミテッド 物品を注文製作する方法及び膨張可能部材を含む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958452A1 (en) 2015-12-30
JP6403126B2 (ja) 2018-10-10
EP3434134B1 (en) 2021-04-14
US9456651B2 (en) 2016-10-04
CN105120701A (zh) 2015-12-02
JP2016520373A (ja) 2016-07-14
CN105120701B (zh) 2017-09-26
EP3434134A1 (en) 2019-01-30
EP2958452B1 (en) 2018-10-31
US20140310890A1 (en) 2014-10-23
WO2014176244A1 (en) 2014-10-30
KR20160003044A (ko) 2016-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5795B1 (ko) 물품을 위한 잠금 시스템을 갖는 유지 조립체
KR101712307B1 (ko) 물품 상의 프린팅 방법
KR101825796B1 (ko) 신발류 물품을 위한 유지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