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5209B1 - 입력 텍스트의 증폭된 감정 표현을 제공하는 시스템, 방법, 그리고 어플리케이션 - Google Patents

입력 텍스트의 증폭된 감정 표현을 제공하는 시스템, 방법, 그리고 어플리케이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5209B1
KR101825209B1 KR1020160127671A KR20160127671A KR101825209B1 KR 101825209 B1 KR101825209 B1 KR 101825209B1 KR 1020160127671 A KR1020160127671 A KR 1020160127671A KR 20160127671 A KR20160127671 A KR 20160127671A KR 101825209 B1 KR101825209 B1 KR 1018252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otion
expression
emotional
amplified
wo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76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카카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카카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카카오
Priority to KR10201601276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52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52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52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06F3/0237Character input methods using prediction or retrieval techniqu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06F3/0236Character input methods using selection techniques to select from displayed i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4Real-time or near real-time messaging, e.g. instant messaging [I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7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characterised by the inclusion of specific contents
    • H04L51/18Commands or executable c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동작하는 서버의 감정 표현 제공 방법으로서, 어플리케이션의 텍스트 입력창에 입력된 텍스트에서, 사용자 감정에 관련된 감정 단어를 추출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검색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감정 단어보다 증폭된 감정을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증폭된 감정 표현을 추출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증폭된 감정 표현을 포함하는 추천 정보를 상기 어플리케이션으로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증폭된 감정 표현은 상기 감정 단어보다 감정 강도가 센 표현이거나 상기 감정 단어에 수식어가 결합된 표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텍스트 입력창에서 상기 감정 단어 대신 표시된다.

Description

입력 텍스트의 증폭된 감정 표현을 제공하는 시스템, 방법, 그리고 어플리케이션{SYSTEM, METHOD, AND APPLICATION FOR PROVIDING EMOTIONAL EXPRESSIONS}
본 발명은 감정 표현 기술에 관한 것이다.
카카오톡, 트위터,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등 다양한 소셜 미디어 서비스가 존재한다. 사용자는 소셜 미디어 서비스를 통해 상대방과 대화할 수 있고, 자신의 생각을 표현할 수 있다.
사용자는 카카오톡 등의 메시지 입력창에 텍스트를 하나하나 입력하는 것이 번거롭기 때문에, 가능하면 짧은 텍스트를 입력하거나, 줄임말을 사용하거나, 텍스트 대신 이모티콘을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의 텍스트 입력의 수고를 덜기 위해,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텍스트나, 입력된 텍스트 뒤에 사용자가 입력할 것으로 예상되는 텍스트를 화면에서 추천하는 프로그램도 있다. 하지만, 이는 입력된 텍스트를 변경하는 것이 아니라, 입력된 텍스트 뒤에 따라올 것으로 기대되는 텍스트를 추천하는 것이다. 한편, iMessage와 같은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는 텍스트의 특정 단어를 이모티콘으로 변경하는 서비스를 소개하고 있으나, 사용자는 여하튼 모든 텍스트를 입력한 후, 특정 단어를 이모티콘으로 일대일 대체할 수 있는 것에 불과하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입력 텍스트보다 증폭된 감정을 포함하는 표현을 추출하여, 적어도 하나의 증폭된 감정 표현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동작하는 서버의 감정 표현 제공 방법으로서, 사용자 단말의 텍스트 입력창에 입력된 텍스트에서, 사용자 감정에 관련된 감정 단어를 추출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검색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감정 단어보다 증폭된 감정을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증폭된 감정 표현을 추출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증폭된 감정 표현을 포함하는 추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증폭된 감정 표현은 상기 감정 단어보다 감정 강도가 센 표현이거나 상기 감정 단어에 수식어가 결합된 표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텍스트 입력창에서 상기 감정 단어 대신 표시된다.
상기 감정 표현 제공 방법은 각 증폭된 감정 표현에 포함된 감정 강도나 각 증폭된 감정 표현에서 상기 감정 단어를 수식하는 정도를 기초로 각 증폭된 감정 표현의 감정 증폭 레벨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정 표현 제공 방법은 상기 추천 정보는 각 증폭된 감정 표현의 감정 증폭 레벨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감정 증폭 레벨은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증폭된 감정 표현을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검색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감정 단어에 포함된 감정보다 증폭된 감정을 나타내는 복수의 후보 감정 표현을 추출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복수의 후보 감정 표현 중에서 추천 조건을 만족하는 적어도 하나의 최종 감정 표현을 선별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추천 조건은 다수 사용자들 사이에서 최근 사용 빈도가 제1기준 이상인 표현, 다수 사용자들 사이에서 사용 빈도가 제2기준 이상인 인기 표현, 상기 추천 정보를 수신할 사용자가 이전에 사용한 표현, 그리고 증폭된 감정 표현이 표시될 대화 상황에 적합한 표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추천 정보를 상기 어플리케이션으로 전달하는 단계는 각 증폭된 감정 표현에 포함된 감정 강도나 각 증폭된 감정 표현에서 상기 감정 단어를 수식하는 정도를 기초로 각 증폭된 감정 표현의 감정 증폭 레벨을 결정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상기 텍스트 입력창에 표시된 현재 감정 표현보다 증폭된 감정 표현을 요청받으면, 현재 감정 표현보다 상위 감정 증폭 레벨의 감정 표현을 상기 어플리케이션으로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매체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으로서, 텍스트 입력창에 입력된 텍스트 중에서 감정 증폭이 가능한 감정 단어를 표시하는 단계, 그리고 사용자의 변경 요청을 입력받아 상기 텍스트 입력창에 표시된 상기 감정 단어를 상기 감정 단어보다 증폭된 감정을 나타내는 증폭된 감정 표현으로 변경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실행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하고, 상기 증폭된 감정 표현은 상기 감정 단어보다 감정 강도가 센 표현이거나 상기 감정 단어에 수식어가 결합된 표현이다.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에, 상기 감정 단어보다 감정이 증폭된 감정 표현이 있음을 나타내는 감정 증폭 지시자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실행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정 증폭 지시자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텍스트 입력창에 현재 표시된 감정 단어보다 상위 레벨의 감정 표현이 있음을 상기 감정 증폭 지시자에 표시하고, 상기 상위 레벨의 감정 표현은 상기 텍스트 입력창에 현재 표시된 감정 단어보다 감정 강도가 센 표현이거나 결합된 수식어가 긴 표현일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텍스트 입력창에서 현재 표시된 감정 단어보다 상위 레벨의 감정 표현이 없는 경우, 현재보다 상위 레벨의 감정 표현이 없음을 상기 감정 증폭 지시자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실행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정 단어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텍스트 입력창에 입력된 텍스트를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입력된 텍스트에 포함된 상기 감정 단어를 수신하면, 상기 텍스트 입력창에서 상기 감정 단어에 해당하는 텍스트와 상기 감정 단어에 해당하지 않는 텍스트를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증폭된 감정 표현으로 변경하여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감정 단어보다 증폭된 감정을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증폭된 감정 표현을 포함하는 추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그리고 사용자 변경 요청 시, 상기 텍스트 입력창에 표시된 상기 감정 단어를 상기 추천 정보에 포함된 증폭된 감정 표현으로 대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증폭된 감정 표현으로 대체하는 단계는 상기 추천 정보에 복수의 증폭된 감정 표현과 각 증폭된 감정 표현에 부여된 감정 증폭 레벨이 포함된 경우, 사용자 변경 요청마다 감정 증폭 레벨 순서에 따라 증폭된 감정 표현을 순차적으로 추출하여 상기 텍스트 입력창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적어도 하나의 검색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상기 감정 단어보다 감정 강도가 센 표현 또는 상기 감정 단어에 수식어가 결합된 표현을 상기 증폭된 감정 표현으로 추출하는 단계를 더 실행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력 텍스트에 대한 증폭된 감정 표현을 제공하는 서버로서, 사용자 단말의 텍스트 입력창에 입력된 텍스트를 수신하는 텍스트 수신부, 그리고 상기 텍스트에서 사용자 감정에 관련된 감정 단어를 추출하며, 적어도 하나의 검색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감정 단어보다 증폭된 감정을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증폭된 감정 표현을 추출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달하는 감정 표현 제공부를 포함한다.
상기 감정 표현 제공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검색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감정 단어보다 감정 강도가 센 표현 그리고 상기 감정 단어에 수식어가 결합된 표현 중 적어도 하나를 추출할 수 있다.
상기 감정 표현 제공부는 상기 증폭된 감정 표현에 포함된 감정 강도나 상기 증폭된 감정 표현이 상기 감정 단어를 수식하는 정도를 기초로 각 증폭된 감정 표현의 감정 증폭 레벨을 결정하고, 각 증폭된 감정 표현에 감정 증폭 레벨을 대응시켜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동작하는 단말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으로서, 텍스트 입력창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텍스트 입력창에 표시된 감정 단어 주변에, 상기 감정 단어보다 감정이 증폭된 감정 표현이 있음을 나타내는 감정 증폭 지시자를 표시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에서 특정 영역이 선택되면, 상기 텍스트 입력창에 표시된 감정 단어를 현재보다 상위 레벨의 증폭된 감정 표현으로 변경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특정 영역은 상기 감정 증폭 지시자 또는 감정 단어일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은 상기 텍스트 입력창에 표시된 제1 감정 단어가 상기 제1 감정 단어보다 상위 레벨의 증폭된 감정 표현인 제2 감정 단어로 변경되는 경우, 상기 제2 감정 단어의 레벨보다 상위 레벨의 증폭된 감정 표현이 있으면, 상기 감정 증폭 지시자에 상위 레벨의 증폭된 감정 표현이 있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제2 감정 단어의 레벨보다 상위 레벨의 증폭된 감정 표현이 없으면, 상기 감정 증폭 지시자에 상위 레벨의 증폭된 감정 표현이 없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은 상기 감정 증폭 지시자에 상기 제2 감정 단어의 레벨보다 상위 레벨의 증폭된 감정 표현이 없음을 나타내는 정보가 표시된 경우, 상기 특정 영역이 선택되면, 상기 텍스트 입력창에 표시된 상기 제2 단어를 상기 텍스트 입력창에 입력된 최초 감정 단어로 변경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텍스트를 간단히 입력하더라도, 입력 텍스트보다 풍부한 감정이나 깊은 감정을 포함하는 텍스트들을 추천받아 감정 표현을 풍성하게 확장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상대방에게 어느 정도의 감정을 표현할지, 어떤 어휘로 자신의 감정을 표현할지 고민할 필요 없이, 입력 텍스트와 의미가 유사하되 좀 더 증폭된 감정 표현을 추천받아서 자신이 원하는 정도의 감정 표현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최신의 언어 표현에 익숙하지 않더라도, 추천된 감정 표현을 기초로 유행하는 감정 표현을 자유롭게 입력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감정 표현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감정 표현을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예시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감정 표현 제공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증폭된 감정 표현 추출 방법의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다음에서, 현재 텍스트보다 증폭된 감정 표현을 추출하고 제공하는 것으로 설명하나, 현재 텍스트보다 완화된 감정 표현을 추출하고 제공하는 것도 동일한 방법으로 가능하다.
다음에서, 감정 표현(emotional expressions)은 사용자의 감정을 나타내는 "텍스트 표현"으로 설명하나, 사용자의 감정을 나타내는 이미지 표현(예를 들면, 화난 감정을 표현하는 캐릭터)으로도 확장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감정 표현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감정 표현 제공 시스템(10)은 어플리케이션(100)을 구동하는 사용자 단말(20), 그리고 사용자 단말(20)의 인터페이스 화면에서 입력된 텍스트보다 증폭된 감정 표현을 사용자 단말(20)에 제공하는 서버(30)를 포함할 수 있다. 앞으로, 사용자 단말(20)에서의 부하 및 처리 성능을 고려하여, 사용자 단말(20)이 서버(30)로부터 현재 텍스트보다 감정 표현이 증폭된 텍스트를 수신한다고 주로 설명하나, 사용자 단말(20)은 서버(30)로부터 일부 도움을 받아 입력 텍스트보다 감정 표현이 증폭된 텍스트를 직접 추출하거나, 서버(30)와의 통신 없이 독자적으로 입력 텍스트보다 감정 표현이 증폭된 텍스트를 추출할 수 있다. 이 경우, 어플리케이션(100)은 서버(30)의 일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명령어들을 포함하거나, 어플리케이션(100)이 서버(30)의 모든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명령어들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텍스트를 입력하는 대표적인 어플리케이션이 소셜 미디어 어플리케이션이므로, 앞으로 어플리케이션(100)은 소셜 미디어 어플리케이션이라고 가정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소셜 미디어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에서 텍스트를 입력하면, 입력된 텍스트보다 증폭된 감정 표현이 해당 인터페이스 화면에 표시된다고 설명하나, 본 발명은 소셜 미디어 어플리케이션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텍스트를 입력할 수 있는 다양한 텍스트 입력 프로그램에 적용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은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저장되는 소셜 미디어 어플리케이션(100), 그리고 프로세서, 메모리, 디스플레이, 통신 모듈 등의 하드웨어를 포함한다. 메모리는 소셜 미디어 어플리케이션(100)의 명령어들을 저장하고 있거나, 저장 장치로부터 소셜 미디어 어플리케이션(100)의 명령어들을 로드하여 일시 저장한다. 프로세서는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거나 로드된 명령어들을 실행하여 본 발명의 소셜 미디어 어플리케이션(100)을 구동한다. 디스플레이는 소셜 미디어 어플리케이션(100)에서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표시하고,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고, 예를 들면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통신 모듈은 통신망을 통해 서버(30)와 통신한다.
사용자 단말(20)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예를 들면,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단말, 스마트패드와 같은 패드형 단말, 랩탑 컴퓨터 등 각종 형태의 컴퓨터, 웨어러블 디바이스, TV 단말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소셜 미디어 어플리케이션(100)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에 입력된 텍스트보다 증폭된 감정 표현을 제공하는 감정 표현 제공 프로그램을 포함한다. 감정 표현 제공 프로그램은 단독 어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설명을 위해 소셜 미디어 어플리케이션(100)에 통합된 것으로 가정한다. 여기서, 증폭된 감정 표현은 현재 텍스트보다 강도가 센 감정 표현(강한 표현)이거나, 현재 텍스트보다 어휘가 풍성하게 늘어난 감정 표현(화려한 표현)이라고 가정한다. 예를 들어, "슬프다"보다 증폭된 감정 표현은 "슬프다"보다 감정의 강도가 센 "서럽다" 등의 단어일 수 있고, 또는 "진짜 슬프다", "가슴 아프게 슬프다"와 같이 "슬프다"를 수식하는 어휘가 늘어난 표현일 수 있다. 증폭된 감정 표현은 강도나 화려함의 정도에 따라 감정 증폭 레벨이 설정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은 소셜 미디어 어플리케이션(100)을 구동하여 디스플레이에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표시한다. 사용자 단말(20)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에 입력된 텍스트 중에서, 감정 증폭 대상에 해당하는 단어를 표시한다. 설명을 위해, 감정 증폭 대상에 해당하는 단어를 감정 단어라고 부른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20)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특정 위치에 감정 단어에 대해 감정 표현을 증폭할 수 있다는 지시자(앞으로, "감정 증폭 지시자"라고 부른다)를 표시한다. 사용자가 감정 증폭 지시자/감정 단어를 터치(탭)하는 등의 방식으로 감정 단어에 대한 증폭된 감정 표현을 요청하면, 사용자 단말(20)은 현재 감정 단어 대신, 감정 표현이 증폭된 감정 단어를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에 표시한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20)이 감정 단어를 추출하고, 감정 단어에 대해 감정 표현을 증폭할 수 있는지 판단하며, 또한 증폭된 감정 표현을 추출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 단말(20)이 감정 단어를 추출하고, 서버(30)로 감정 단어를 전송한 후, 서버(30)로부터 감정 단어에 대한 증폭된 감정 표현을 제공받을 수 있다. 더 간단하게는 사용자 단말(20)이 입력된 텍스트를 서버(30)로 전송하고, 서버(30)로부터 입력 텍스트에 포함된 감정 단어, 그리고 감정 단어에 대한 증폭된 감정 표현을 제공받을 수 있다. 이 중에서 사용자 단말(20)이 입력된 텍스트를 서버(30)로 전송하고, 서버(30)로부터 입력 텍스트에 포함된 감정 단어, 그리고 감정 단어에 대한 증폭된 감정 표현을 제공받는 방법을 위주로 설명하나, 다음에서 설명하는 서버(30)의 구성 중 적어도 일부를 사용자 단말(20)이 수행할 수 있도록 구현할 수 있다.
서버(3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동작하고, 텍스트 수신부(120), 감정 표현 제공부(140), 그리고 감정 표현 데이터베이스(160)를 포함한다.
텍스트 수신부(120)는 사용자 단말(20)로부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에서 입력된 텍스트를 수신한다. 설명을 위해, 텍스트 수신부(120)가 사용자 단말(20)로부터 감정 단어를 포함하는 감정 표현 요청을 직접 수신하는 것으로 가정하나, 사용자 단말(20)과 연동하는 별도 장치로부터 감정 단어를 포함하는 감정 표현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감정 표현 제공부(140)는 텍스트 수신부(120)에서 수신한 입력 텍스트에서 감정 단어를 추출하고, 감정 단어를 대체할 감정 표현들을 추출한다. 감정 표현 제공부(140)는 입력 텍스트에 포함된 감정 단어, 감정 단어를 대체할 감정 표현들, 그리고 각 감정 표현의 감정 증폭 레벨을 포함하는 추천 정보를 사용자 단말(20)로 전달한다. 한편, 감정 표현 제공부(140)는 감정 단어를 대체할 감정 표현들과 각 감정 표현의 감정 증폭 레벨을 사용자 단말(20)로 한꺼번에 전달할 수 있다. 또는, 감정 표현 제공부(140)는 사용자가 현재 텍스트보다 증폭된 감정을 요청할 때마다 현재 텍스트보다 다음 레벨의 감정 표현을 전달할 수도 있다.
감정 표현 제공부(140)는 자연어 처리 기술의 감정 분석 기술을 이용하여 입력 텍스트에서 감정에 관련된 감정 단어를 추출할 수 있다.
감정 단어보다 증폭된 감정 표현을 찾는 방법은 다양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감정 표현 제공부(140)는 감정들을 대표 감정(예를 들면, 기쁨, 놀람, 슬픔, 분노 등)으로 분류하고, 각 대표 감정에 포함된 감정 표현 단어들을 강도에 따라 계층화하여 저장해 둘 수 있다. 그리고 감정 표현 제공부(140)는 자연어 처리 기술의 감정 분석 기술을 이용하여 감정 단어의 대표 감정 및 강도를 확인하고, 대표 감정의 카테고리 안에서 감정 단어의 강도보다 강한 감정을 단계적으로 추출할 수 있다. 각 대표 감정에 포함된 감정 표현 단어들이 강도에 따라 계층화된 정보는 감정 표현 데이터베이스(160)에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자연어 처리 기술의 감정 분석 기술을 이용하여 감정 단어의 대표 감정을 확인한 결과, 감정 단어가 해당 대표 감정의 카테고리 안에 포함되어 있지 않을 수 있다. 그러면, 감정 표현 제공부(140)는 감정 단어의 강도를 분석하여 해당 대표 감정에 감정 단어를 추가할 수 있다. 만약, 자연어 처리 기술의 감정 분석 기술을 이용하여 감정 단어의 대표 감정을 확인한 결과, 감정 단어의 대표 감정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지 않을 수 있다. 그러면, 감정 표현 제공부(140)는 감정 단어의 대표 감정을 생성하고, 감정 단어의 강도를 분석하여 생성한 대표 감정에 감정 단어를 추가할 수 있다.
표 1을 참고하면, 사용자가 텍스트 입력창에 "영화 슬프다"를 입력한 경우, 감정 표현 제공부(140)는 자연어 처리 기술의 감정 분석 기술을 이용하여 "슬프다"를 감정 단어라고 탐지하고, "슬프다"가 "슬픔"이라는 카테고리에서 강도 1에 해당하는 단어라고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감정 표현 제공부(140)는 "슬프다"와 공통의 감정을 가지는 단어들 중에서, "슬프다"보다 감정의 강도가 센 "서럽다", "애통하다" 등의 단어들을 증폭된 감정 표현으로 추출할 수 있다. 한편, 감정 표현 제공부(140)는 "슬프다"와 공통의 감정을 가지는 단어들 중에서, "슬프다"보다 감정의 강도가 약한 "아쉽다"도 완화된 감정 표현으로 추출할 수 있다. 표 1에서, 감정 증폭 레벨은 사용자가 입력한 단어인 "슬프다"를 기준으로 증폭된 감정 표현을 단계적으로 구분하기 위한 정보로서, "슬프다"보다 2배/4배의 감정 증폭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감정 증폭 레벨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에서 감정 증폭 지시자에 표시되어 증폭된 감정의 정도를 나타낼 수 있다.
대표 감정 감정 단어 강도 감정 증폭 레벨
슬픔 아쉽다 0 -
슬프다 1 x0
서럽다 2 x2
애통하다 3 x4
--- 4 x6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감정 표현 제공부(140)는 감정 단어를 수식하는 표현을 검색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할 수 있다. 검색 데이터베이스는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고, 예를 들면, 웹문서를 검색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나 문학 서적/뉴스를 검색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일 수 있다. 사용자가 텍스트 입력창에 "영화 슬프다"를 입력한 경우, 감정 표현 제공부(140)는 자연어 처리 기술을 통해 "슬프다"를 감정 단어라고 탐지하고, "슬프다"와 그 앞의 단어인 "영화" 사이에 들어갈 수 있는 수식 표현들을 찾는다. 이때, 감정 표현 제공부(140)는 "슬프다"를 앞에서 수식하는 표현들을 검색할 수 있고, 또는 "영화"와 "슬프다" 사이에 삽입되어 "슬프다"를 수식하는 표현들을 검색할 수 있다. 감정 표현 제공부(140)는 검색 시 "영화"와 "슬프다" 사이에 검색 와일드카드("*")를 넣어("영화*슬프다") "영화"와 "슬프다" 사이에 삽입되어 "슬프다"를 수식하는 표현을 검색할 수 있다. 감정 표현 제공부(140)는 "영화"와 "슬프다" 사이에 삽입되어 "슬프다"를 수식하는 표현들 중에서 검색 빈도가 높은 감정 표현을 우선적으로 추출할 수 있다.
감정 표현 제공부(140)는 검색 결과 중에서 감정 단어를 수식하는 글자 수나 어휘 수에 비례하여 감정 단어를 수식하는 감정 표현의 강도/화려함을 결정할 수 있다. 즉, 감정 표현 제공부(140)는 감정 단어를 수식하는 글자 수나 어휘 수가 많을수록 감정 표현이 증폭된다고 가정한다. 표 2에서, 감정 증폭 레벨은 표 1과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입력한 단어인 "영화 슬프다"를 기준으로 증폭된 감정 표현을 단계적으로 나타낸다. 증폭된 감정 표현은 동일한 감정 증폭 레벨에서 하나만 추출될 수 있으나, 감정 표현 제공부(140)는 사용자에게 추천하는 증폭된 감정 표현들의 단계를 늘려 많은 감정 표현들을 추천할 수도 있다.
감정 단어의
앞 어절
증폭된 감정 표현
(감정 수식 단어)
감정 증폭 레벨 감정 단어
영화 - x0 슬프다
정말, 너무, 진짜 x2
정말정말, 너무너무, 진짜찐짜, 눈물나게 x4
정말너무너무, 가슴아프게, 가슴시리게 x6
감정 표현 제공부(140)는 표 1과 같이 감정 단어보다 강도가 센 표현이 추출되고, 표 2와 같이 감정 단어를 수식하는 표현도 추출되는 경우, 두 결과를 종합하여 감정 단어의 증폭된 감정 표현들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감정 표현 제공부(140)는 "슬프다"보다 강도가 센 "서럽다"와 "슬프다" 를 수식하는 "정말정말"을 결합하여 "정말정말 서럽다"를 임의의 감정 증폭 레벨(예를 들면, X8)로 추출할 수 있다.
한편, 감정 표현 제공부(140)는 "영화 슬프다"보다 증폭된 감정 표현들을 사용자들이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표현인지 검토한다. 감정 표현 제공부(140)는 검색 데이터베이스(예를 들면, 웹문서를 검색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나 문학 서적/뉴스를 검색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 등)에서의 검색 빈도를 기초로 자연스러운 표현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만약, 검색 빈도가 높은 "영화 눈물나게 슬프다"처럼 사용자들이 사용하는 자연스러운 감정 표현이라면, 사용자에게 추천할 증폭된 감정 표현으로 유지하고, 검색 빈도가 낮은 "영화 서럽다" 또는 "영화 애통하다"처럼 사용자들이 사용하는 자연스러운 표현이 아니라면, 이를 증폭된 감정 표현에서 제외할 수 있다.
또한, 감정 표현 제공부(140)는 최신 표현, 인기 표현 등의 추천 조건을 기초로 검색한 감정 표현들 중에서 사용자에게 추천할 감정 표현들을 선별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감정 표현을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예시이다.
도 2를 참고하면, 사용자 단말(20)이 구동된 소셜 미디어 어플리케이션(1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200)에서 텍스트를 입력받고, 입력된 텍스트보다 증폭된 감정 표현을 제공한다고 가정한다.
도 2의 (a)를 참고하면,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200)의 메시지 입력창(210)에 "좋은 자료 감사"라는 텍스트를 입력한다. 서버(3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200)에서 입력된 "좋은 자료 감사"라는 텍스트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200)은 사용자가 증폭된 감정 표현을 명시적으로 요청할 수 있는 버튼을 제공하고, 버튼이 선택되면 서버(30)에게 "좋은 자료 감사"에 대한 증폭된 감정 표현이 요청될 수 있다. 사용자는 메시지 입력창(210)의 스티커(211)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200)의 특수기호 버튼 등과 같이 지정된 버튼을 선택하여 입력 텍스트보다 증폭된 감정 표현을 요청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단말(20)은 입력 텍스트에 대한 감정 표현 증폭이 가능한 상태인지 판단하고, 감정 표현 증폭이 가능한 상태라면, 감정 표현 증폭이 가능한 상태임을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 단말(20)은 입력 텍스트에 대한 감정 표현 증폭이 가능한 상태라면, 메시지 입력창(210)의 스티커(211)를 활성화함으로써, 사용자가 스티커(211)를 눌러 증폭된 감정 표현을 요청하도록 할 수 있다. 감정 표현 증폭이 가능한 상태인지 판단하는 방법은 사용자 단말(20)이 자연어 처리 기술로 입력 텍스트를 분석하여 입력 텍스트에 감정 단어가 있는지 판단하고, 입력 텍스트에 감정 단어가 있으면, 감정 표현 증폭이 가능한 상태라고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 단말(20)이 서버(30)로 입력 텍스트를 전송하고, 서버(30)가 입력 텍스트를 분석하여 감정 표현 증폭이 가능한 상태인지 사용자 단말(20)에게 알려줄 수 있다.
도 2의 (b)를 참고하면, 사용자 단말(20)은 서버(30)로부터 "좋은 자료 감사"에 포함된 감정 단어, 감정 단어를 대체할 감정 표현들, 그리고 각 감정 표현의 감정 증폭 레벨을 포함하는 추천 정보를 수신한다. 예를 들면, 표 3과 같은 추천 정보를 수신한다고 가정한다.
감정 단어 감정 증폭 레벨
감사 x0
생유베리감사 x2
이한몸다바쳐감사 x4
사용자 단말(20)은 메시지 입력창(210)에 입력된 "좋은 자료 감사"에서 감정 단어가 "감사"라는 것을 표시한다. 표시 방법은 다양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감정 단어에 밑줄을 그어 "감사"가 감정 단어임을 표시하거나, 감정 단어의 색깔을 다른 단어와 다르게 표시하거나, 또는 감정 단어 근처에 감정 단어임을 알리는 감정 증폭 지시자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200)에 감정 증폭 지시자를 표시할 수 있고, 감정 증폭 지시자에 증폭 가능한 감정 증폭 레벨을 표시할 수 있다. 감정 증폭 지시자는 다양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감정 단어 근처에 말풍선(220)을 표시하고, 말풍선에 감정 증폭 레벨(x2)을 넣을 수 있다. 말풍선(220)은 "감사"보다 증폭된 감정 표현, 즉, 상위의 감정 증폭 레벨(x2)의 감정 표현이 있음을 알려준다.
사용자는 지정된 방식으로 현재 텍스트보다 증폭된 감정 표현을 요청한다. 사용자는 감정 단어를 탭하거나, 감정 증폭 지시자인 말풍선(220)을 탭하거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200)의 특정 영역을 탭하여 증폭된 감정 표현을 요청할 수 있다.
도 2의 (c)를 참고하면, 사용자가 현재 텍스트보다 증폭된 감정 표현을 요청하면, 사용자 단말(20)은 서버(30)로부터 수신한 추천 정보 중에서 메시지 입력창(210)의 현재 텍스트인 "감사"보다 높은 감정 증폭 레벨(x2)의 "생유베리감사"를 추출하고, “감사”를 “생유베리감사”로 변경하여 표시한다. 이때, 사용자 단말(20)은 "생유베리감사"보다 감정 증폭 레벨이 높은 "이한몸다바쳐감사"가 남아 있는지 확인한 후, 말풍선(220)에 다음의 감정 증폭 레벨이 있음을 표시(x4)할 수 있다.
도 2의 (d)를 참고하면, 사용자가 현재 텍스트보다 증폭된 감정 표현을 요청하면, 사용자 단말(20)은 메시지 입력창(210)의 "생유베리감사"를 감정 증폭 레벨이 높은 "이한몸다바쳐감사"로 변경하여 표시한다. 이때, "이한몸다바쳐감사"보다 감정 증폭 레벨이 높은 표현이 남아 있지 않으므로, 사용자 단말(20)은 말풍선(220)에 다음의 감정 증폭 레벨이 없고 최초 입력 텍스트로 되돌아감을 표시(x0)할 수 있다.
사용자가 "이한몸다바쳐감사"를 더이상 변경하지 않는 경우, "이한몸다바쳐감사"가 메시지 입력창(210)에 남는다. 사용자가 "전송"을 누르면, "좋은 자료 이한몸다바쳐감사"가 상대방에게 전송된다. 띄어쓰기는 자동으로 처리될 수 있다.
만약, "이한몸다바쳐감사"보다 감정 증폭 레벨이 높은 표현이 남아 있지 않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현재 텍스트보다 증폭된 감정 표현을 요청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200)은 도 2의 (b)와 같이, 메시지 입력창(210)의 "이한몸다바쳐감사"를 감정 증폭 레벨이 가장 낮은 텍스트, 즉 최초 입력 텍스트인 "감사"로 되돌려 표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감정 표현 제공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서버(30)는 사용자 단말(20)로부터 텍스트 입력창에 입력된 텍스트를 수신한다(S110).
서버(30)는 자연어 처리 기술의 감정 분석 기술을 입력 텍스트에서 사용자 감정에 관련된 감정 단어를 추출한다(S120). 이때, 감정 단어는 미리 지정될 수도 있다.
서버(30)는 감정 단어보다 감정 강도가 센 적어도 하나의 감정 표현 또는 감정 단어에 수식어가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감정 표현을 추출한다(S130). 서버(30)는 감정 단어와 대표 감정(예를 들면, 기쁨, 놀람, 슬픔, 분노 등)이 같은 감정 표현 단어들 중에서, 감정 단어보다 감정 표현 강도가 센 감정 표현 단어를 추출할 수 있다. 추출된 감정 표현 단어는 감정 강도에 따라 감정 표현 레벨이 부여된다. 또는 서버(30)는 감정 단어를 수식하는 감정 표현을 검색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고, 감정 단어를 수식하는 글자 수나 어휘 수를 기초로 각 감정 표현에 감정 표현 레벨을 부여할 수 있다.
서버(30)는 사용자 단말(20)로, 입력 텍스트에 포함된 감정 단어, 감정 단어를 대체할 감정 표현들, 그리고 각 감정 표현의 감정 증폭 레벨을 포함하는 추천 정보를 전달한다(S140).
사용자 단말(20)은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200)에 증폭된 감정 표현 가능 상태를 표시한다(S150). 사용자 단말(20)은 감정 단어에 밑줄을 긋거나, 말풍선과 같은 감정 증폭 지시자를 표시하거나, 기타 지정된 방식으로 증폭된 감정 표현 가능 상태임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은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로부터 현재 텍스트보다 증폭된 감정 표현 요청을 입력받으면, 서버(30)로부터 수신한 추천 정보를 기초로 현재 텍스트를 보다 증폭된 감정 표현으로 변경하여 텍스트 입력창에 표시한다(S160). 증폭된 감정 표현 요청은 감정 증폭 지시자나 감정 단어를 탭하는 동작에 의해 입력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은 사용자에 의해 최종적으로 확정된 감정 표현을 포함하는 텍스트를 전송한다(S170). 이렇게 입력 텍스트(예를 들면, "자료 감사") 대신, 증폭된 감정 표현으로 변경된 최종 텍스트(예를 들면, "자료 정말 감사")가 대화창에 표시되거나, 상대방에게 전송되거나, 게시창에 게시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증폭된 감정 표현 추출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를 참고하면, 서버(30)는 사용자 단말(20)로부터 어플리케이션의 텍스트 입력창에 입력된 입력 텍스트를 수신한다(S210).
서버(30)는 자연어 처리 기술의 감정 분석 기술을 이용하여 입력 텍스트에서 사용자의 감정을 나타내는 감정 단어를 추출한다(S220).
서버(30)는 데이터베이스에서 감정 단어보다 감정 강도가 센 감정 표현 또는 감정 단어를 수식하여 감정을 풍부하게 표현하는 감정 표현을 검색한다(S230). 데이터베이스는 내부적으로 구축된 데이터베이스이거나, 웹문서와 같은 공개된 데이터베이스일 수 있다.
서버(30)는 "최신 표현(예를 들면, 신조어)", "인기 표현(예를 들면, 유행어 또는 다빈도어)", "사용자가 이전에 선택한 표현" 등의 추천 조건을 기초로, 검색한 감정 표현들 중에서 사용자에게 추천할 감정 표현들을 선별한다(S240). 예를 들어, 추천 조건이 "최신 표현"인 경우, 검색한 감정 표현들 중에서 다수 사용자들에 의해 최근 사용 빈도가 높은 표현(최근 작성된 문서에서 자주 등장하는 표현)에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 추천 조건이 "인기 표현"인 경우, 검색한 감정 표현들 중에서 일정 기간 동안 작성된 문서에서 자주 등장하는 표현이나 다수 사용자들에게 추천된 후 선택된 빈도가 높은 감정 표현 등에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 추천 조건이 "사용자가 이전에 선택한 표현"인 경우, 이전에 사용자에게 추천된 후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감정 표현에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 또는 추천 조건은 텍스트가 입력되는 상황 정보(친구 사이의 편한 대화, 회사 동료/거래처와의 업무 대화, 어르신/윗사람과의 대화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상황 정보는 사용자가 설정하거나, 서버(30)가 대화자들 사이에서 교환되는 텍스트 내용이나 어투를 분석하여 파악할 수 있다. 친구 사이의 편한 대화라면, 서버(30)는 비격식 감정 표현을 우선적으로 추출할 수 있고, 회사 동료/거래처와의 업무 대화라면, 서버(30)는 격식에 맞는 감정 표현을 우선적으로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서버(30)는 검색한 감정 표현들 중에서 사용 빈도가 기준값 이하인 감정 표현은 자연스러운 언어 표현이 아닐 가능성이 높으므로, 추천할 감정 표현에서 제외할 수 있다.
서버(30)는 선별한 감정 표현들 각각에 포함된 감정 강도(강한 표현), 수식하는 어휘 수(화려한 수식 표현) 등을 기초로 각 감정 표현에 감정 증폭 레벨을 설정한다(S250).
서버(30)는 감정 단어, 감정 단어를 대체할 감정 표현들, 그리고 각 감정 표현의 감정 증폭 레벨을 포함하는 추천 정보를 사용자 단말(20)로 전송한다(S260).
한편 도 4에서는, 서버(30)가 감정 단어, 감정 단어를 대체할 감정 표현들, 그리고 각 감정 표현의 감정 증폭 레벨을 한꺼번에 전송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서버(30)는 감정 단어를 1차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20)로부터 증폭된 감정 표현을 요청받을 때마다 현재 텍스트를 대체할 감정 표현을 감정 증폭 레벨 순서대로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텍스트를 간단히 입력하더라도, 입력 텍스트보다 풍부한 감정이나 깊은 감정을 포함하는 텍스트들을 추천받아 감정 표현을 풍성하게 확장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상대방에게 어느 정도의 감정을 표현할지, 어떤 어휘로 자신의 감정을 표현할지 고민할 필요 없이, 입력 텍스트와 의미가 유사하되 좀 더 증폭된 감정 표현을 추천받아서 자신이 원하는 정도의 감정 표현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최신의 언어 표현에 익숙하지 않더라도, 추천된 감정 표현을 기초로 유행하는 감정 표현을 자유롭게 입력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20)

  1.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동작하는 서버의 감정 표현 제공 방법으로서,
    사용자 단말의 텍스트 입력창에 입력된 텍스트에서, 사용자 감정에 관련된 감정 단어를 추출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검색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감정 단어보다 증폭된 감정을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증폭된 감정 표현을 추출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증폭된 감정 표현을 포함하는 추천 텍스트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증폭된 감정 표현은 상기 감정 단어보다 감정 강도가 센 표현이거나 상기 감정 단어에 수식어가 결합된 표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추천 텍스트 중에서 선택된 텍스트가 상기 텍스트 입력창에서 상기 감정 단어 대신 변경되어 표시되는, 감정 표현 제공 방법.
  2. 제1항에서,
    각 증폭된 감정 표현에 포함된 감정 강도나 각 증폭된 감정 표현에서 상기 감정 단어를 수식하는 정도를 기초로 각 증폭된 감정 표현의 감정 증폭 레벨을 결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감정 표현 제공 방법.
  3. 제2항에서,
    상기 추천 텍스트는 각 증폭된 감정 표현의 감정 증폭 레벨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감정 증폭 레벨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에 표시되는 감정 표현 제공 방법.
  4. 제1항에서,
    상기 증폭된 감정 표현을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검색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감정 단어에 포함된 감정보다 증폭된 감정을 나타내는 복수의 후보 감정 표현을 추출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복수의 후보 감정 표현 중에서 추천 조건을 만족하는 적어도 하나의 최종 감정 표현을 선별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추천 조건은 다수 사용자들 사이에서 최근 사용 빈도가 제1기준 이상인 표현, 다수 사용자들 사이에서 사용 빈도가 제2기준 이상인 인기 표현, 상기 추천 텍스트를 수신할 사용자가 이전에 사용한 표현, 그리고 증폭된 감정 표현이 표시될 대화 상황에 적합한 표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감정 표현 제공 방법.
  5. 제1항에서,
    상기 추천 텍스트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달하는 단계는
    각 증폭된 감정 표현에 포함된 감정 강도나 각 증폭된 감정 표현에서 상기 감정 단어를 수식하는 정도를 기초로 각 증폭된 감정 표현의 감정 증폭 레벨을 결정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텍스트 입력창에 표시된 현재 감정 표현보다 증폭된 감정 표현을 요청받으면, 현재 감정 표현보다 상위 감정 증폭 레벨의 감정 표현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감정 표현 제공 방법.
  6.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매체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으로서,
    텍스트 입력창에 입력된 텍스트 중에서 감정 증폭이 가능한 감정 단어를 표시하는 단계, 그리고
    사용자의 변경 요청을 입력받아 상기 텍스트 입력창에 표시된 상기 감정 단어를 상기 감정 단어보다 증폭된 감정을 나타내는 증폭된 감정 표현을 포함하는 텍스트로 변경하여 표시하는 단계
    를 실행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하고,
    상기 증폭된 감정 표현은 상기 감정 단어보다 감정 강도가 센 표현이거나 상기 감정 단어에 수식어가 결합된 표현인, 어플리케이션.
  7. 제6항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에, 상기 감정 단어보다 감정이 증폭된 감정 표현이 있음을 나타내는 감정 증폭 지시자를 표시하는 단계
    를 더 실행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8. 제7항에서,
    상기 감정 증폭 지시자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텍스트 입력창에 현재 표시된 감정 단어보다 상위 레벨의 감정 표현이 있음을 상기 감정 증폭 지시자에 표시하고,
    상기 상위 레벨의 감정 표현은 상기 텍스트 입력창에 현재 표시된 감정 단어보다 감정 강도가 센 표현이거나 결합된 수식어가 긴 표현인 어플리케이션.
  9. 제8항에서,
    상기 텍스트 입력창에서 현재 표시된 감정 단어보다 상위 레벨의 감정 표현이 없는 경우, 현재보다 상위 레벨의 감정 표현이 없음을 상기 감정 증폭 지시자에 표시하는 단계
    를 더 실행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10. 제6항에서,
    상기 감정 단어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텍스트 입력창에 입력된 텍스트를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입력된 텍스트에 포함된 상기 감정 단어를 수신하면, 상기 텍스트 입력창에서 상기 감정 단어에 해당하는 텍스트와 상기 감정 단어에 해당하지 않는 텍스트를 구분하여 표시하는 어플리케이션.
  11. 제10항에서,
    상기 증폭된 감정 표현으로 변경하여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감정 단어보다 증폭된 감정을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증폭된 감정 표현을 포함하는 추천 텍스트를 수신하는 단계, 그리고
    사용자 변경 요청 시, 상기 텍스트 입력창에 표시된 상기 감정 단어를 상기 추천 텍스트에 포함된 증폭된 감정 표현으로 대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12. 제11항에서,
    상기 증폭된 감정 표현으로 대체하는 단계는
    상기 추천 텍스트에 복수의 증폭된 감정 표현과 각 증폭된 감정 표현에 부여된 감정 증폭 레벨이 포함된 경우, 사용자 변경 요청마다 감정 증폭 레벨 순서에 따라 증폭된 감정 표현을 순차적으로 추출하여 상기 텍스트 입력창에 표시하는, 어플리케이션.
  13. 제6항에서,
    적어도 하나의 검색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상기 감정 단어보다 감정 강도가 센 표현 또는 상기 감정 단어에 수식어가 결합된 표현을 상기 증폭된 감정 표현으로 추출하는 단계
    를 더 실행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14. 입력 텍스트에 대한 증폭된 감정 표현을 제공하는 서버로서,
    사용자 단말의 텍스트 입력창에 입력된 텍스트를 수신하는 텍스트 수신부, 그리고
    상기 입력된 텍스트에서 사용자 감정에 관련된 감정 단어를 추출하며, 적어도 하나의 검색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감정 단어보다 감정 강도가 센 표현 그리고 상기 감정 단어에 수식어가 결합된 표현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감정 단어보다 증폭된 감정을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증폭된 감정 표현으로 추출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증폭된 감정 표현을 포함하는 추천 텍스트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달하는 감정 표현 제공부를 포함하며,
    상기 추천 텍스트 중에서 선택된 텍스트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상기 텍스트 입력창에서 상기 감정 단어 대신 변경되어 표시되는 서버.
  15. 삭제
  16. 제14항에서,
    상기 감정 표현 제공부는
    상기 증폭된 감정 표현에 포함된 감정 강도나 상기 증폭된 감정 표현이 상기 감정 단어를 수식하는 정도를 기초로 각 증폭된 감정 표현의 감정 증폭 레벨을 결정하고, 각 증폭된 감정 표현에 감정 증폭 레벨을 대응시켜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달하는 서버.
  17.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동작하는 단말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으로서,
    텍스트 입력창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텍스트 입력창에 표시된 감정 단어 주변에, 상기 감정 단어보다 감정이 증폭된 감정 표현이 있음을 나타내는 감정 증폭 지시자를 표시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에서 특정 영역이 선택되면, 상기 텍스트 입력창에 표시된 감정 단어를 현재보다 상위 레벨의 증폭된 감정 표현을 나타내는 텍스트로 변경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감정 증폭 지시자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텍스트 입력창에 표시된 제1 감정 단어가 상기 제1 감정 단어보다 상위 레벨의 증폭된 감정 표현인 제2 감정 단어로 변경되는 경우, 상기 제2 감정 단어의 레벨보다 상위 레벨의 증폭된 감정 표현이 있으면, 상기 감정 증폭 지시자에 상위 레벨의 증폭된 감정 표현이 있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18. 제17항에서,
    상기 특정 영역은 상기 감정 증폭 지시자 또는 감정 단어인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19. 제17항에서,
    상기 제2 감정 단어의 레벨보다 상위 레벨의 증폭된 감정 표현이 없으면, 상기 감정 증폭 지시자에 상위 레벨의 증폭된 감정 표현이 없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20. 제19항에서,
    상기 감정 증폭 지시자에 상기 제2 감정 단어의 레벨보다 상위 레벨의 증폭된 감정 표현이 없음을 나타내는 정보가 표시된 경우, 상기 특정 영역이 선택되면, 상기 텍스트 입력창에 표시된 상기 제2 감정 단어를 상기 텍스트 입력창에 입력된 최초 감정 단어로 변경하여 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KR1020160127671A 2016-10-04 2016-10-04 입력 텍스트의 증폭된 감정 표현을 제공하는 시스템, 방법, 그리고 어플리케이션 KR1018252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7671A KR101825209B1 (ko) 2016-10-04 2016-10-04 입력 텍스트의 증폭된 감정 표현을 제공하는 시스템, 방법, 그리고 어플리케이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7671A KR101825209B1 (ko) 2016-10-04 2016-10-04 입력 텍스트의 증폭된 감정 표현을 제공하는 시스템, 방법, 그리고 어플리케이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5209B1 true KR101825209B1 (ko) 2018-02-02

Family

ID=612233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7671A KR101825209B1 (ko) 2016-10-04 2016-10-04 입력 텍스트의 증폭된 감정 표현을 제공하는 시스템, 방법, 그리고 어플리케이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5209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25725A (zh) * 2018-11-21 2019-03-26 三星电子(中国)研发中心 一种基于情绪状态的信息处理方法和装置
KR20190132015A (ko) 2018-05-18 2019-11-27 주식회사 세노스 의료정보 공유 방법, 의료정보 공유 시스템, 의료정보 공유 애플리케이션 및 이를 기록한 컴퓨터 또는 스마트폰으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20200064959A (ko) 2020-03-30 2020-06-08 주식회사 세노스 의료정보 공유 방법, 의료정보 공유 시스템, 의료정보 공유 애플리케이션 및 이를 기록한 컴퓨터 또는 스마트폰으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20200114230A (ko) * 2019-03-28 2020-10-07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사용자 감정 파악에 따른 응답을 생성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20210078927A (ko) * 2019-12-19 2021-06-29 주식회사 카카오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에서 이모티콘을 제공하는 방법, 이를 구현한 서버, 사용자 단말 및 어플리케이션
KR20240023326A (ko) 2022-08-12 2024-02-21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심층 그래프 순환 모델을 이용한 대화 감정 인식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58842A (ja) * 2008-04-14 2009-11-05 Kyocera Corp 電子機器
JP2012221039A (ja) * 2011-04-05 2012-11-12 Panasonic Corp 文字入力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携帯端末、文字入力方法、並びに文字入力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58842A (ja) * 2008-04-14 2009-11-05 Kyocera Corp 電子機器
JP2012221039A (ja) * 2011-04-05 2012-11-12 Panasonic Corp 文字入力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携帯端末、文字入力方法、並びに文字入力プログラム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2015A (ko) 2018-05-18 2019-11-27 주식회사 세노스 의료정보 공유 방법, 의료정보 공유 시스템, 의료정보 공유 애플리케이션 및 이를 기록한 컴퓨터 또는 스마트폰으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CN109525725A (zh) * 2018-11-21 2019-03-26 三星电子(中国)研发中心 一种基于情绪状态的信息处理方法和装置
KR20200114230A (ko) * 2019-03-28 2020-10-07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사용자 감정 파악에 따른 응답을 생성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2385899B1 (ko) 2019-03-28 2022-04-12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사용자 감정 파악에 따른 응답을 생성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20210078927A (ko) * 2019-12-19 2021-06-29 주식회사 카카오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에서 이모티콘을 제공하는 방법, 이를 구현한 서버, 사용자 단말 및 어플리케이션
KR102324200B1 (ko) * 2019-12-19 2021-11-08 주식회사 카카오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에서 이모티콘을 제공하는 방법, 이를 구현한 서버, 사용자 단말 및 어플리케이션
KR20200064959A (ko) 2020-03-30 2020-06-08 주식회사 세노스 의료정보 공유 방법, 의료정보 공유 시스템, 의료정보 공유 애플리케이션 및 이를 기록한 컴퓨터 또는 스마트폰으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20240023326A (ko) 2022-08-12 2024-02-21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심층 그래프 순환 모델을 이용한 대화 감정 인식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5209B1 (ko) 입력 텍스트의 증폭된 감정 표현을 제공하는 시스템, 방법, 그리고 어플리케이션
JP6604836B2 (ja) 対話テキスト要約装置及び方法
CN110023926A (zh) 使用文本输入和用户状态信息生成要呈现的回复内容以响应文本输入
US10824656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daptive keyboard interface, and method for inputting reply using adaptive keyboard based on content of conversation
US1175837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ersonalizing messages based on a recipient relationship
EP3279809A1 (en) Control device, control method, computer and program
KR102314645B1 (ko) 미디어 리소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US887444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output format of information
JP2012113589A (ja) 行動促進装置、行動促進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60012965A (ko) 텍스트를 편집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장치
US20110258017A1 (en) Interpretation of a trending term to develop a media content channel
US20160247522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ccess to auxiliary information
JP6373243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JP2009193133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220413625A1 (en) Method and user terminal for displaying emoticons using custom keyword
US10560498B2 (en) Contextual based communication method and user interface
US10950235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recording medium
US2021037419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ubjectively modifying social media posts
US2021037419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ubjectively modifying social media posts
JP4970330B2 (ja) 会話支援装置及び方法
JP2021128393A (ja) 情報処理システム、サーバ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N110837307A (zh) 一种输入法及其系统
CN110931014A (zh) 基于正则匹配规则的语音识别方法及装置
KR102238973B1 (ko) 대화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대화문장 추천 방법 및 그것이 적용된 음성대화장치
KR102407110B1 (ko)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에서 이모티콘을 제공하는 방법, 이를 구현한 서버, 사용자 단말 및 어플리케이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