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5208B1 - 부품 적재 박스 제조방법 및 부품 적재 박스 - Google Patents

부품 적재 박스 제조방법 및 부품 적재 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5208B1
KR101825208B1 KR1020150063117A KR20150063117A KR101825208B1 KR 101825208 B1 KR101825208 B1 KR 101825208B1 KR 1020150063117 A KR1020150063117 A KR 1020150063117A KR 20150063117 A KR20150063117 A KR 20150063117A KR 101825208 B1 KR101825208 B1 KR 1018252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t plate
plate member
mounting
leg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31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31230A (ko
Inventor
장익수
Original Assignee
(주)광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광동 filed Critical (주)광동
Priority to KR10201500631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5208B1/ko
Publication of KR201601312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12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52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52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60Uniting opposed surfaces or edges; Taping
    • B31B50/64Uniting opposed surfaces or edges; Taping by applying heat or pressure, e.g. by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50Internal supporting or protecting elements for contents
    • B65D5/5028Elements formed separately from the container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 B65D81/0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 B65D81/1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using blocks of shock-absorbing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80Packaging reuse or recycling, e.g. of multilayer packa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king Paper Articles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관통된 한 쌍의 끼움홀이 배열형성된 평판부재를 제작하고, 재단 및 양측을 하향 절곡하여 상측에는 부품이 적재되는 오목한 안착홈이 형성된 거치부와, 상기 거치부 하측에는 상기 끼움홀에 각각 삽입되게 다리부가 연장형성되게 구성된 거치부재를 제작하는 단계; 상기 평판부재 및 거치부재 제작단계에 이후에 상기 평판부재의 끼움홀에 상기 거치부재의 다리부를 끼워맞춰 결합하는 단계; 상기 평판부재와 거치부재를 결합단계 이후에 상기 거치부재가 결합된 평판부재를 열융착기기로 인입하여 상기 다리부를 양측으로 절곡하고, 상기 다리부를 상기 평판부재에 밀착되게 가압한 후 상기 평판부재에 밀착된 다리부를 열융착하여 일체화하는 열융착접합단계;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적재 박스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부품 적재 박스 제조방법 및 부품 적재 박스{Method of making part load box and the part load box}
본 발명은 부품 적재 박스 제조방법 및 부품 적재 박스에 관한 것으로, 부품을 적재할 수 있는 부품 적재 박스를 열융착에 의해 쉽게 접합하여 제조하는 방법과 그 박스에 대한 기술을 제공하는 부품 적재 박스 제조방법 및 부품 적재 박스에 관한 것이다.
부품 적재 박스는 부품을 거치하여 보관하거나 수송용으로 사용되는 박스이다.
이러한 박스는 부품의 종류와 사용용도에 따라 그 형상이 다양하게 제작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적용되는 부품 적재 박스는 길이가 긴 샤프트와 같은 자동차 부품을 안착하여 보관 또는 이송하기 위한 것으로 평판부재에 결합되어 부품을 거치할 수 있는 거치부재가 다수 개 형성된 형태로 제작된다.
종래에는 평판부재에 부품이 안착되는 홈이 상부에 있는 거치부재의 하부인 다리부가 관통 결합되고, 거치부재의 관통된 다리부 양측을 상호 대향된 방향으로 절곡한 후, 스템플러를 이용하여 거치부재의 다리부 측을 평판부재에 철심으로 고정시키는 방법을 사용해왔다. (참고문헌, 대한민국 등록디자인 30-0643908 '드라이브 샤프트 운반용 팔레트' 의 평면도 및 저면도)
그러나, 부품 적재 박스는 경량이면서도 강도가 좋은 합성수지재, 특히 단프라시트로 제작되게 되는데, 종래의 스템플러에 의해 고정하는 방법은 철심이 부품 적재 박스에 박히게 되므로 철심 사용량이 많으며, 추후 부품 적재 박스가 필요 없을 시 재활용을 할 경우 철심을 일일이 다 분리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어왔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평판부재에 거치부재 결합시 철심을 박는 스템플러를 사용하지 않고 열융착으로 일체화하여 재활용을 쉽게 할 수 있도록 하는 부품 적재 박스 제조방법 및 부품 적재 박스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인 부품 적재 박스 제조방법은 관통된 한 쌍의 끼움홀이 배열형성된 평판부재를 제작하고, 재단 및 양측을 하향 절곡하여 상측에는 부품이 적재되는 오목한 안착홈이 형성된 거치부와, 상기 거치부 하측에는 상기 끼움홀에 각각 삽입되게 다리부로 연장형성되게 구성된 거치부재를 제작하는 단계; 상기 평판부재 및 거치부재 제작단계에 이후에 상기 평판부재의 끼움홀에 상기 거치부재의 다리부를 끼워맞춰 결합하는 단계; 상기 평판부재와 거치부재를 결합단계 이후에 상기 거치부재가 결합된 평판부재를 열융착기기로 인입하여 상기 다리부를 양측으로 절곡하고, 상기 다리부를 상기 평판부재에 밀착되게 가압한 후 상기 평판부재에 밀착된 다리부를 열융착하여 일체화하는 열융착접합단계;가 포함되되, 상기 열융착접합단계에서 상기 열융착기기는, 하부프레임과, 상기 하부프레임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프레임으로 구성된 본체; 상기 하부프레임 상측에 전,후진 왕복 이동되게 설치되는 이동부; 상기 이동부에 설치되어 연동되되, 상기 평판부재에 결합된 한 쌍의 다리부가 상향되게 고정하는 박스안착부; 상기 상부프레임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이동부에 의해 이동된 상기 거치부재의 다리부 사이로 하강되어 상기 다리부를 양측으로 절곡하는 푸싱펀치, 상기 상부프레임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푸싱펀치에 의해 절곡된 상기 다리부를 상기 평판부재에 밀착되게 가압하는 가압판넬, 상기 상부프레임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가압판넬에 의해 밀착된 다리부를 받침부재에 열융착하여 접합하는 융착기로 구성된 접합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상기 이동부는, 상기 하부프레임 상에 구비되는 가이드바와, 상기 가이드바를 따라 이동되게 외측에 결합된 슬라이드몸체로 구성된 LM 가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박스안착부는, 상기 슬라이드몸체에 결합되는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 상에 결합되되, 상기 받침부재에 결합된 받침부재가 삽입되도록 상호 이격된 한 쌍이 상기 받침부재의 수에 대응되게 설치되는 블록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평판부재와 상기 거치부재는, 재질이 단프라시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먼저, 본 발명은 부품을 거치할 수 있는 거치부재에 평판부재를 열융착기에 의해 접합할 수 있는 제조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일체화된 부품 적재 박스 제조공정이 쉽다.
또한, 기존에 거치부재와 평판부재를 일체로 하기 위해 철심을 박는 스템플러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어 재활용 시 박스에 철심을 분리 작업이 필요없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품 적재 박스 제조방법의 제작 순서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품 적재 박스 제작용 열융착기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품 적재 박스 제작용 열융착기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품 적재 박스 제작용 열융착기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품 적재 박스 제작용 열융착기에 의한 부품 적재 박스의 접합 순서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품 적재 박스의 융착전(a), 융착후(b)의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품 적재 박스 제조방법의 제작 순서 예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인 부품 적재 박스는 평판부재 및 거치부재 제작단계(S1), 평판부재와 거치부재 결합단계(S2) 및 열융착접합단계(S3)를 순차적으로 거쳐 제작되게 된다.
상기 평판부재 및 거치부재 제작단계(S1)는 평판부재(10)와 거치부재(20)의 모양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평판부재(10)는 일정 폭과 길이방향을 가진 판재에 상,하로 관통된 한 쌍의 끼움홀(12)이 배열형성한다.
그리고, 거치부재(20)는 판재를 재단 및 양측을 하향 절곡하여 상측에는 부품이 적재되는 오목한 안착홈(21)이 형성된 거치부(24)와, 상기 거치부(24) 하측에는 상기 끼움홀(12)에 각각 삽입되게 다리부(22)가 연장형성한다.
여기서, 거치부재(20)는 상기 평판부재(10)와 같은 재질을 사용하며, 본 발명에서는 단프라시트로 제작하였다.
그리고, 거치부재(20)는 판재의 중앙부에 홀을 형성하고, 홀을 중심으로 양측을 하향 절곡하여 최상단에 안착홈(21)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다리부(22)는 거치부재(20)의 단부에 상기 끼움홀(12)에 맞게 재단한다.
상기 평판부재와 거치부재 결합단계(S2)는 평판부재에 거치부재를 결합하는 단계이다.
상기 평판부재 및 거치부재 제작단계에 이후에 상기 평판부재(10)의 끼움홀(12)에 상기 거치부재(20)의 다리부(22)를 끼워맞춰 결합한다. 그렇게 하여, 상기 평판부재(10)의 상측에는 거치부(24)가 위치하게 되고, 평판부재(10)의 하측에는 다리부(22)가 위치하게 된다.
상기 열융착접합단계(S3)는 평판부재에 끼워진 거치부재를 열융착에 의해 일체화하는 단계이다.
상기 평판부재와 거치부재를 결합단계 이후에 상기 거치부재(20)가 결합된 평판부재(10)를 설치된 열융착기기로 인입하게 하여 상기 열융착기기에 설치된 푸싱펀치(420)에 의해 상기 다리부(22)를 양측으로 절곡하고, 열융착기기에 설치된 가압판넬(440)에 의해 상기 다리부(22)를 상기 평판부재(10)에 밀착되게 가압한 후 열융착기기에 설치된 융착기(460)에 의해 상기 평판부재에 밀착된 다리부(22)를 열융착하여 일체화하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품 적재 박스 제작용 열융착기의 정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품 적재 박스 제작용 열융착기의 측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품 적재 박스 제작용 열융착기의 평면도이다.
위의 도 2,3,4를 참조로 하여 설명하면, 평판부재와, 부품을 받칠 수 있도록 상측에 부품안착홈이 형성되고 양측이 하향절곡된 한 쌍의 다리부가 상기 평판부재에 끼워맞춤되는 거치부재로 구성된 수송용 부품 박스를 일체로 접합하기 위한 부품 적재 박스 제작용 열융착기에 있어서, 부품 적재 박스 제작용 열융착기는 그 구성이 본체(100), 이동부(200), 박스안착부(300), 접합부(400)가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먼저, 평판부재는 평평한 판재로 일정한 폭과 길이를 가진 것이고, 거치부재는 단면이 '∩'형으로 형성되어 평판부재에 복수 개의 거치부재가 결합된다. 이때, 거치부재의 양 다리부가 상기 평판부재에 관통되어 하측으로 일부노출되어 있어야 한다
상기 본체(100)는 크게 하부프레임(120)과, 상기 하부프레임(120)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프레임(140)으로 구성된다.
하부프레임(120)은 지면에 밀착되는 구조물로, 상부에 상기 이동부(200)와 상기 박스안착부(300)가 설치되어 부품 적재 박스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부에 위치하는 사각박스 형태의 구조물이다.
상부프레임(140)은 상기 접합부(400)가 설치되기 위한 구조물이다. 여기서, 상부프레임(140)은 상기 하부프레임(120)의 상부에 폭 방향으로 가로질러 설치되게 되는데, 상기 하부프레임(120)의 양측에 기둥이 설치되고, 기둥 사이로 상기 상부프레임(140)이 설치되어 상기 하부프레임(120) 상에 이격되게 된다.
상기 이동부(200)는 상기 하부프레임(120) 상측에서 전,후진 왕복 이동되어 부품 적재 박스를 이동시킬 수 있는 이동어셈블리이다.
여기서, 상기 이동부(200)는 상기 하부프레임 상에 구비되는 가이드바(220)와, 상기 가이드바(220)를 따라 이동되게 외측에 결합된 슬라이드몸체(240)로 구성된 LM 가이드로 실시하였다.
가이드바(220)는 상기 하부프레임(120)의 상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설치되고, 양측이 베어링과 연결되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봉 형상으로 외주면에 나선형의 홈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가이드바(220)가 회전이 가능하도록 모터와 동력연결되게 된다.
슬라이드몸체(240)는 상기 가이드바(220)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바(220)가 정회전 또는 역회전에 이루어지면 전,후진할 수 있는 이동체이다. 이러한 이동체에 박스안착부(300)가 설치되어 결국 부품 안착용 박스를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박스안착부(300)는 상기 이동부(200)에 설치되어 연동되되, 상기 평판부재의 한 쌍의 다리부가 상향되게 안착되어 고정할 수 있다.
상기 박스안착부(300)는 상기 슬라이드몸체에 결합되는 플레이트(320)와, 상기 플레이트 상에 결합되되, 상기 받침부재에 결합된 받침부재가 삽입되도록 상호 이격된 한 쌍이 상기 받침부재의 수에 대응되게 설치되는 블록(34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접합부(400)는 평판부재에 결합된 거치부재를 일체화하되도록 접합하여 부품 적재 박스를 완성할 수 있는 구성이다.
여기서, 그 구성은 푸싱펀치(420) 및 가압판넬(440) 및 융착기(460)의 구성으로 이루어져 상기 상부프레임(140)에 설치되고, 유압 또는 공압에 의해 상,하부의 이동이 개별적으로 작동할 수 있다.
푸싱펀치(420)는 단면이 삼각형 자세하게 '▽'인 모양으로 이루어져 상기 상부프레임(140)에서 상,하 이동된다. 그래서 상기 이동부(200)에 의해 이동된 상기 거치부재의 다리부 사이로 하강되어 상기 다리부를 양측으로 벌어지도록 하여 절곡하게 된다.
가압판넬(440)은 상기 상부프레임(140)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푸싱펀치에 의해 절곡된 상기 다리부를 상기 평판부재에 밀착되게 가압하게 되어 절곡이 완벽히 이루어지게 된다.
여기서, 가압판넬(440)은 상기 상부프레임(140)의 하측에 길게 설치되는 평판으로, 상기 푸싱펀치(420)와 융착기(460)가 지나갈 수 있는 통로공이 형성되게 된다.
융착기(460)는 상기 상부프레임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가압판넬에 의해 밀착된 다리부를 받침부재에 열융착하여 접합하게 된다.
한편, 상기 평판부재와 상기 거치부재는 재질이 단프라시트인 것으로 하였다. 물론 다른 합성수지재도 적용하여 본 발명인 박스 제작용 열융착기를 사용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각 구성에 대해 상술하였고, 하기에서는 본 발명의 작동과정을 설명하기로 하겠다.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품 적재 박스 제작용 열융착기에 의한 부품 적재 박스의 접합 순서를 나타낸 것이다.
먼저,도 5(a)에 부품 적재 박스 제작용 열융착기를 작동하기 전에 평판부재(10)에 단면이 '∩'형인 거치부재(20)를 결합한다. 이때, 거치부재(20)의 양 다리부(22)가 상기 평판부재에 관통되어 하측으로 일부노출되어 있어야 한다. 그리고, 거치부재가 결합된 평판부재를 뒤집어 상기 박스안착부에 고정시켜 다리부(22)가 상향노출되게 하여 기기를 작동할 준비를 한다.
상기 이동부가 작동되어 부품 적재 박스가 상기 상부프레임측으로 이동되어 정지하게 되고, 도 5(b)에서 상기 상부프레임에 설치된 푸싱펀치(420)는 상기 거치부재(20)의 다리부(22) 사이로 하강하여 양측으로 벌리게 되며, 양 다리부(22)가 벌어진 상태에서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압판넬(440)이 하강하여 양 다리부(22)가 90°로 완전히 절곡되어 평판부재(20)에 밀착되게 된다. 이때 도 4(d)에서 상기 융착기(460)가 하강하여 다리부(22)에 열융착하여 평판부재(10)와 접합하여 일체화된 부품 적재 박스를 제작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이동부의 가이드판넬의 회전(모터의 작동)과 상기 접합부의 푸싱펀치, 가압판넬, 융착기의 상,하 이동 및 융착기의 고주파발생은 제어부에 의해 연결되어 설계된 프로그램에 의해 순차적으로 작동되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품 적재 박스의 융착전(a), 융착후(b)의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6(a)에서는 융착전이므로 평판부재(10)에 단면이 '∩'형인 거치부재(20)를 결합되고, 거치부재(20)의 양 다리부(22)가 상기 평판부재에 관통되어 하측으로 일부노출되어 있어야 한다.
그리고, 도 6(b)에서는 융착후이므로 평판부재(10)에 거치부재의 다리부(22)가 절곡되어 열융착되어 일체화된 상태를 나타내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부품 적재 박스 제조방법 및 부품 적재 박스를 제공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인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사상의 범주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평판부재 20: 거치부재
22: 다리부
100: 본체 120: 하부프레임
140: 상부프레임 200: 이동부
220: 가이드바 240: 슬라이드몸체
300: 박스안착부 320: 플레이트
340: 블록 400: 접합부
420: 푸싱펀치 440: 가압판넬
460: 융착기

Claims (6)

  1. 관통된 한 쌍의 끼움홀이 배열형성된 평판부재를 제작하고, 재단 및 양측을 하향 절곡하여 상측에는 부품이 적재되는 오목한 안착홈이 형성된 거치부와, 상기 거치부 하측에는 상기 끼움홀에 각각 삽입되게 다리부가 연장형성되게 구성된 거치부재를 제작하는 단계;
    상기 평판부재 및 거치부재 제작단계에 이후에 상기 평판부재의 끼움홀에 상기 거치부재의 다리부를 끼워맞춰 결합하는 단계;
    상기 평판부재와 거치부재를 결합단계 이후에 상기 거치부재가 결합된 평판부재를 열융착기기로 인입하여 상기 다리부를 양측으로 절곡하고, 상기 다리부를 상기 평판부재에 밀착되게 가압한 후 상기 평판부재에 밀착된 다리부를 열융착하여 일체화하는 열융착접합단계;가 포함되되,
    상기 열융착접합단계에서 상기 열융착기기는,
    하부프레임과, 상기 하부프레임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프레임으로 구성된 본체;
    상기 하부프레임 상측에 전,후진 왕복 이동되게 설치되는 이동부;
    상기 이동부에 설치되어 연동되되, 상기 평판부재에 결합된 한 쌍의 다리부가 상향되게 고정하는 박스안착부;
    상기 상부프레임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이동부에 의해 이동된 상기 거치부재의 다리부 사이로 하강되어 상기 다리부를 양측으로 절곡하는 푸싱펀치, 상기 상부프레임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푸싱펀치에 의해 절곡된 상기 다리부를 상기 평판부재에 밀착되게 가압하는 가압판넬, 상기 상부프레임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가압판넬에 의해 밀착된 다리부를 받침부재에 열융착하여 접합하는 융착기로 구성된 접합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적재 박스 제조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상기 하부프레임 상에 구비되는 가이드바와, 상기 가이드바를 따라 이동되게 외측에 결합된 슬라이드몸체로 구성된 LM 가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적재 박스 제조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안착부는,
    상기 슬라이드몸체에 결합되는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 상에 결합되되, 상기 받침부재에 결합된 받침부재가 삽입되도록 상호 이격된 한 쌍이 상기 받침부재의 수에 대응되게 설치되는 블록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적재 박스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평판부재와 상기 거치부재는,
    재질이 단프라시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적재 박스 제조방법.
  6. 제1항, 제3항, 제4항, 제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부품 적재 박스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부품 적재 박스.
KR1020150063117A 2015-05-06 2015-05-06 부품 적재 박스 제조방법 및 부품 적재 박스 KR1018252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3117A KR101825208B1 (ko) 2015-05-06 2015-05-06 부품 적재 박스 제조방법 및 부품 적재 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3117A KR101825208B1 (ko) 2015-05-06 2015-05-06 부품 적재 박스 제조방법 및 부품 적재 박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1230A KR20160131230A (ko) 2016-11-16
KR101825208B1 true KR101825208B1 (ko) 2018-03-14

Family

ID=575406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3117A KR101825208B1 (ko) 2015-05-06 2015-05-06 부품 적재 박스 제조방법 및 부품 적재 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520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32299A (ja) * 2008-12-03 2010-06-17 Daiichi Ohmiya Co Ltd 仕切部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32299A (ja) * 2008-12-03 2010-06-17 Daiichi Ohmiya Co Ltd 仕切部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1230A (ko) 2016-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27364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custom sized plastic tote having intermediate sleeve
JP7469528B2 (ja) 膨張可能製品を製造するための自動化方法及びシステム
US20080210360A1 (en) Ultrasonic Assembly Method
WO2008136493A1 (en) Method for producing joined belt
US20160157626A1 (en) Method for producing a pocket spring core
KR101825208B1 (ko) 부품 적재 박스 제조방법 및 부품 적재 박스
KR101673942B1 (ko) 부품 적재 박스 제작용 열융착기
KR101459747B1 (ko) 레이저 커팅과 융착 기반의 연료필터 제조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KR101794197B1 (ko) 융착모재의 측면부 열융착 장치 및 열융착 방법
JP6045431B2 (ja) 繊維強化樹脂積層体の接合方法及び接合装置並びに繊維強化樹脂材
US11203164B2 (en) Integrated weld stop
CA3215739A1 (en) Multi-layered pocket spring strand assembly
KR20150013430A (ko) 바인딩 장치 및 용지의 바인딩 방법
JP5959200B2 (ja) レーザー溶接器具および二つの溶接物を溶接するための構成および当該構成を作動させるための方法
KR102253813B1 (ko) 시트 백커버용 멀티융착 제조장치
KR20160073618A (ko) 원지를 이용한 포장용 충격완충재의 제조장치 및 그 방법
JPH0511749B2 (ko)
KR101805248B1 (ko) 우산살과 우산천의 접합 장치 및 접합 방법
WO2022044254A1 (ja) 融着方法および融着装置
KR20130006743U (ko) 테스트 지그를 갖는 용접장치
US20240051216A1 (en) Closed profile made of a thermoplastic composite material
JP2017094730A (ja) 中空板材の成形方法
KR101862108B1 (ko) 프리프레그 성형물 제조 어셈블리 및 제조방법
KR101474830B1 (ko) 덕트 자동 융착장치
JP6451010B2 (ja) 超音波加工装置、及び繊維加工製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