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5109B1 - 시험판 자동 연마기 - Google Patents

시험판 자동 연마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5109B1
KR101825109B1 KR1020150163756A KR20150163756A KR101825109B1 KR 101825109 B1 KR101825109 B1 KR 101825109B1 KR 1020150163756 A KR1020150163756 A KR 1020150163756A KR 20150163756 A KR20150163756 A KR 20150163756A KR 101825109 B1 KR101825109 B1 KR 1018251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ishing
unit
plate
test plate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37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59612A (ko
Inventor
지헌철
Original Assignee
수광티티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수광티티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수광티티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637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5109B1/ko
Publication of KR201700596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96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51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51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7/00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plane surfaces on work, including polishing plane glass surfaces; Accessories therefor
    • B24B7/02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plane surfaces on work, including polishing plane glass surfaces; Accessories therefor involving a reciprocatingly-moved work-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41/00Component parts such as frames, beds, carriages, headstocks
    • B24B41/06Work supports, e.g. adjustable stea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47/00Drives or gearings; Equipment therefor
    • B24B47/02Drives or gearings; Equipment therefor for performing a reciprocating movement of carriages or work- t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7/00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plane surfaces on work, including polishing plane glass surfaces; Accessories therefor
    • B24B7/10Single-purpose machines or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nish Polishing, Edge Sharpening, And Grinding By Specific Grinding Devices (AREA)

Abstract

시험판 자동 연마기가 제공된다. 상기 시험판 자동 연마기는 시험판이 고정되는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와 연결되고, 상기 플레이트를 제1 방향으로 왕복시키는 구동부, 전기적인 신호를 통해서 상기 구동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시험판과 밀착되어 상기 플레이트의 왕복에 따라 상기 시험판의 상면을 연마하는 연마부 및 상기 연마부와 결합되어 상기 연마부의 이동을 제한하는 홀더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시험판 자동 연마기{Automatic polish apparatus for a test panel}
본 발명은 시험판 자동 연마기에 관한 것이다.
테이프의 접착력을 테스트하기 위해서는 평평한 시험판이 필요하다. 즉, 평평한 시험판에 테이프를 접착하고, 다시 분리시킴에 따라서, 그 테이프의 접착 강도를 측정할 수 있다.
이러한 시험판은 매번 동일한 정도의 평평도가 요구되므로, 시험판의 평평도를 유지하기 위해서, 시험판의 표면을 연마할 필요가 있다. 특히, 시험판이 금속으로 되어 있는 경우 연마지(sand paper)를 이용하여 시험판의 표면을 고르게 연마하여야 한다.
그러나, 시험판의 표면을 사람의 힘으로 연마할 경우에는 힘의 분산이 고르게되지 못하므로, 시험판의 표면의 위치에 따라 연마 정도가 서로 달라지게되어 평평도를 유지하지 못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시험판에 대해서 매번 동일한 연마 정도를 보장할 수 없으므로 테이프의 접착력 테스트의 정확도 역시 보장할 수 없다.
따라서, 평평한 시험판의 표면 전체에 고르게 연마를 하고, 매번 동일한 정도의 연마를 가능하게 하는 시험판 자동 연마 장치가 필요하다.
대한민국공개특허 제 2014-0076187 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시험판의 표면을 고르게 연마할 수 있는 시험판 자동 연마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시험판 자동 연마기는 시험판이 고정되는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와 연결되고, 상기 플레이트를 제1 방향으로 왕복시키는 구동부, 전기적인 신호를 통해서 상기 구동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시험판과 밀착되어 상기 플레이트의 왕복에 따라 상기 시험판의 상면을 연마하는 연마부 및 상기 연마부와 결합되어 상기 연마부의 이동을 제한하는 홀더를 포함한다.
상기 연마부는, 상기 시험판의 일부와 오버랩되고, 상기 홀더와 결합되는 바디와, 상기 바디의 표면에 고정되어, 상기 시험판과 밀착되어 상기 시험판의 상면을 연마하는 연마 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디는 원기둥 형상이고,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연마 패드는 상기 바디로부터 탈착 가능할 수 있다.
상기 홀더는 상기 연마부와 결합되어 상기 연마부의 수평 이동을 제한하는 클립과, 상기 연마부에 상기 시험판과 밀착되는 방향으로 압력을 가하는 가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홀더는 상기 압력을 조절하는 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왕복 횟수를 입력받아, 상기 구동부를 상기 왕복 횟수만큼 왕복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왕복 횟수를 외부로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마부와 결합되고, 상기 연마부의 회전을 제어하는 회전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 제어부는, 상기 연마부와 결합되는 커플러와, 상기 커플러와 결합되고, 상기 커플러를 회전시키는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회전 각도를 입력받아, 상기 회전 제어부가 상기 연마부를 상기 회전 각도만큼 회전시키게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플레이트, 상기 구동부 및 상기 홀더가 고정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시험판 자동 연마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시험판 자동 연마기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시험판 자동 연마기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시험판 자동 연마기의 연마부의 조립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시험판 자동 연마기의 연마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시험판 자동 연마기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시험판 자동 연마기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시험판 자동 연마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하나의 소자(elements)가 다른 소자와 "접속된(connected to)" 또는 "커플링된(coupled to)" 이라고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와 직접 연결 또는 커플링된 경우 또는 중간에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면, 하나의 소자가 다른 소자와 "직접 접속된(directly connected to)" 또는 "직접 커플링된(directly coupled to)"으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소자를 개재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을 다른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과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소자, 제1 구성요소 또는 제1 섹션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소자, 제2 구성요소 또는 제2 섹션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시험판 자동 연마기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시험판 자동 연마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시험판 자동 연마기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시험판 자동 연마기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편의상 도 3은 제어부를 제외하고 도시한 그림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시험판 자동 연마기는 하우징(10), 플레이트(20), 구동부(30), 제어부(40), 연마부(50) 및 홀더(60)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0)은 플레이트(20), 구동부(30) 및 홀더(60)가 설치되는 부분일 수 있다. 하우징(10)에 구동부(30) 및 홀더(60)는 고정되게 설치될 수 있다. 하우징(10)은 도시된 것과 같이 상면을 가지는 판의 형태일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하우징(10)은 구동부(30) 및 홀더(60) 등의 구성요소를 고정시킬 수 있으면, 그 형상에 제한이 없다. 예를 들어, 하우징(10)은 플레이트(20), 구동부(30) 및 홀더(60) 등의 구성요소를 감싸는 외벽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외벽은 일부분이 제거되어 시험판(P)이 삽입되기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하우징(10)에는 연결 다리(22, 23)가 고정될 수 있다. 연결 다리(22, 23)는 하우징(10)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게 결합될 수 있다. 연결 다리(22, 23)는 플레이트(20)를 지지하여 플레이트(20)를 하우징(10)으로부터 일정 간격으로 이격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서, 하우징(10)과 고정된 구동부(30)의 움직임에 따른 진동이 플레이트(20)에 전달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다.
플레이트(20)는 하우징(1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플레이트(20)는 하우징(10)에 고정된 연결 다리(22, 23)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구동부(30)에 의해 발생된 진동의 플레이트(20)로의 전달이 최소화될 수 있다.
플레이트(20)는 상면에 시험판(P)이 안착될 수 있다. 플레이트(20)는 평평한 시험판(P)이 안착될 수 있도록 평평한 상면을 가질 수 있다. 플레이트(20)는 시험판(P)이 고정될 수 있다. 플레이트(20)는 시험판(P)이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 수단은 예를 들어, 테이핑이 될 수 있도록 플레이트(20)의 상면의 일부에 형성되는 금속면일 수도 있다. 또는, 시험판(P)의 규격과 동일한 단차를 가지는 홈일 수도 있다. 또는, 상기 고정 수단은 볼트와 너트를 이용한 고정수단, 자석을 이용한 고정수단 또는 진공 흡착기를 이용한 고정 수단일 수도 있다. 단,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구동부(30)는 하우징(10) 상에 고정될 수 있다. 구동부(30)는 플레이트(20)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구동부(30)가 움직임에 따라서 플레이트(20)도 움직일 수 있다. 구동부(30)는 제1 구동부(30a)와 제2 구동부(3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구동부(30a)는 하우징(10)과 연결되어 하우징(10)에 고정될 수 있다. 제1 구동부(30a)는 제2 구동부(30b)와 연결될 수 있다. 제1 구동부(30a)는 움직이지 않고 고정되는 부분일 수 있다. 제1 구동부(30a)는 제2 구동부(30b)가 삽입되는 홀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구동부(30b)의 일 단부는 제1 구동부(30a)와 연결되고, 제2 구동부(30b)의 타 단부는 플레이트(20)와 연결될 수 있다. 제2 구동부(30b)는 실제로 움직이는 부분일 수 있다. 즉, 제2 구동부(30b)의 폭의 제1 구동부(30a)의 폭보다 작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구동부(30b)는 제1 구동부(30a)의 홀에 삽입될 수 있다. 즉, 제2 구동부(30b)가 제1 구동부(30a)의 홀에 삽입되면서 플레이트(20)가 제1 방향(X)으로 구동부(30)와 가까워질 수 있다. 이어서, 제2 구동부(30b)가 제1 구동부(30a)의 홀에서 빠져나오면서 플레이트(20)가 제1 방향(X)으로 구동부(30)와 멀어질 수 있다. 즉, 제2 구동부(30b)가 제1 구동부(30a)의 홀에 삽입되고 빠져 나옴에 따라, 플레이트(20)는 구동부(30)에 제1 방향(X)으로 가까워지고 멀어지는 왕복운동을 하게 될 수 있다.
외벽(31)은 구동부(30)를 둘러쌀 수 있다. 외벽(31)은 제1 구동부(30a) 및 제2 구동부(30b)를 둘러싸지만, 제2 구동부(30b)의 일부 즉, 플레이트(20)와 연결되는 부분은 노출시킬 수 있다. 즉, 외벽(31)은 제2 구동부(30b)가 움직일 수 있는 외벽 홀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구동부(30b)는 상기 외벽홀을 통해서 플레이트(20)가 움직이게 할 수 있다.
외벽(31)은 구동부(30)의 진동이나 소음이 외부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외벽을 통해서, 구동부(30)의 움직임에 대한 소음이 줄어들고, 구동부(30)의 진동이 다른 구성 요소, 즉, 플레이트(20)의 시험판(P) 등에 전달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외벽(31)은, 구동부(30)의 위에서 제어부(40)를 지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40)와 구동부(30)가 차지하는 수평 면적이 줄어들 수 있다. 단, 이는 하나의 예시에 불과하고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즉, 제어부(40)가 외벽(31) 상에 형성되지 않고, 다른 부분에 형성될 수도 있다.
제어부(40)는 구동부(30)의 움직임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40)는 전기 신호를 통해서, 구동부(30)의 움직임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40)는 전원 버튼(41) 및 카운터(43)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40)는 구동부(3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즉, 제어부(40)의 전원 버튼(41)에 의해서, 사용자가 구동부(30)의 전원 공급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즉, 전원 버튼(41)이 온(ON)되면 구동부(30)에 전원이 공급되고, 전원 버튼(41)이 오프(OFF)되면 구동부(30)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을 수 있다.
제어부(40)는 구동부(30)의 왕복 횟수 즉, 제2 구동부(30b)가 제1 구동부(30a)에 삽입되었다가 빠져나가는 횟수를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40)의 카운터(43)는 상기 왕복 횟수를 표시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40)의 카운터(43)는 왕복 횟수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왕복 횟수를 지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40)는 사용자가 지정한 왕복 횟수만큼 구동부(30)를 동작시킬 수 있다. 카운터(43)에 표시된 왕복 횟수는 이미 수행된 왕복 횟수일 수도 있고, 또는 지정된 왕복 횟수 중 이미 수행된 왕복 횟수를 제외한 남은 왕복 횟수일 수도 있다.
제어부(40)는 카운터(43)의 왕복 횟수를 재설정할 수 있다. 즉, 제어부(40)의 리셋 버튼(42)에 의해서, 카운터(43)의 왕복 횟수를 처음의 설정으로 돌릴 수 있다. 상기 처음의 설정은 사용자의 초기 지정에 의해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왕복 횟수의 처음의 설정은 0회일 수도 있고, 20회일 수도 있다.
제어부(40)는 구동부(30)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제어부(40)는 구체적으로, 외벽(31)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제어부(40)가 외벽(31)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단,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제어부(40)의 위치는 구동부(30)의 측면이 될 수도 있다.
연마부(50)는 플레이트(20)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연마부(50)는 플레이트(20) 상의 시험판(P)과 직접적으로 밀착될 수 있다. 연마부(50)는 홀더(60)에 의해서 고정될 수 있고, 플레이트(20)가 구동부(30)에 의해서 움직임에 따라서, 플레이트(20) 상의 시험판(P)의 표면이 연마부(50)와 마찰되어 연마될 수 있다.
연마부(50)는 플레이트(20)가 왕복운동을 하는 제1 방향(X)과 교차하는 제2 방향(Y)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방향(Y)은 예를 들어, 제1 방향(X)과 직교하는 방향일 수 있다.
홀더(60)는 연마부(50)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홀더(60)는 연마부(50)가 끼워질 수 있도록 클립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단,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홀더(60)는 연마부(50)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으면, 어떠한 형상이라도 제한되지 않는다. 홀더(60)는 하우징(10)과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홀더(60)는 하우징(10)으로부터 돌출되어 연마부(50)의 위치가 플레이트(20) 상의 시험판(P)과 밀착되도록 할 수 있다. 홀더(60)는 연마부(50)의 장착 위치가 고정되도록 형성되어 실질적으로 연마부(50)를 지지할 수 있다. 즉, 플레이트(20)가 없는 경우에도 연마부(50)는 홀더(60)에 의해서 하우징(10)과 이격되게 위치할 수 있다.
홀더(60)의 위 부분은 연마부(50)가 탈착될 수 있게 개방된 형태일 수 있다. 즉, 연마부(50)는 시험판(P)이 새로이 장착되기 위해서 제거되어야 하므로 홀더(60)의 개방된 위 부분을 통해서 들어올려져 제거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시험판 자동 연마기의 연마부의 조립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시험판 자동 연마기의 연마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4를 참고하면, 연마부(50)는 홀더(60)에서 위로 들어올려져, 제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시험판(P)이 플레이트(20)에 안착될 수 있다. 시험판(P)이 플레이트(20)에 안착되면 다시 홀더(60)에 연마부(50)가 끼워져 장착될 수 있다. 시험판(P)의 표면이 연마가 끝나면 다시 연마부(50)가 제거되고, 새로운 시험판(P)이 플레이트(20)에 안착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연마부(50)가 홀더(60)에서 위아래로 제거되는 것만 도시되었지만, 이는 하나의 예시에 불과할 뿐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연마부(50)는 홀더(60)와 의 결합에서 다른 방향으로 분리될 수도 있다.
도 5를 참고하면, 연마부(50)는 바디(51) 및 연마 패드(52)를 포함한다. 바디(51)는 연마부(50)의 몸체를 이루는 부분일 수 있다. 바디(51)는 도시되었듯이, 원기둥 형상일 수 있다. 단,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바디(51)가 원기둥 형상인 경우에는 시험판(P)과 연마부(50)의 접촉 면적이 곡면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연마부(50)가 회전되어 이미 연마를 수행한 부분이 아닌 다른 부분으로 시험판(P)을 연마할 수도 있다.
연마 패드(52)는 바디(51)의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연마 패드(52)는 바디(51)의 중앙 부분에 감싸져 시험판(P)과 접할 수 있다. 연마 패드(52)는 예를 들어, 연마지(sand paper)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즉, 연마 패드(52)는 시험판(P)을 연마할 수 있는 재질이면 다른 제한은 없다. 연마 패드(52)는 바디(51)의 둘레를 적어도 일부 감쌀 수 있다. 이에 따라, 시험판(P)을 이미 연마한 부분이 마모되었을 경우 바디를 일부 돌려서 다시 홀더에 장착하면 아직 마찰되지 않은 부분으로 새로이 시험판(P)을 연마할 수 있다.
연마 패드(52)는 바디(51)의 표면에 부착될 수 있다. 연마 패드(52)의 두께(W1)는 매우 얇을 수 있다. 즉, 연마 패드(52)에 의해서 연마부(50)가 홀더(60)에 고정되지 못하거나 시험판(P) 상에서 고정되지 못하지는 않을 수 있다.
연마 패드(52)는 바디(51)에서 탈착될 수 있다. 연마 패드(52)는 여러 번 사용될 수 있지만, 많이 사용되면 표면이 마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교체가 용이하도록 연마 패드(52)가 바디(51)에서 탈착될 수 있다.
이하, 도 6 내지 도 8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시험판 자동 연마기를 설명한다. 상술한 실시예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거나 간략히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시험판 자동 연마기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시험판 자동 연마기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시험판 자동 연마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7은 편의상 제어부를 제외하고 도시하였다.
도 6 내지 도 8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시험판 자동 연마기는 압력 모듈(70) 및 회전 제어부(80)를 더 포함한다.
압력 모듈(70)은 연마부(50)의 누르는 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즉, 연마부(50)를 누르는 압력에 따라, 연마부(50)의 연마 패드(52)와 시험판(P)의 밀착 정도가 달라질 수 있으므로 압력 모듈(70)은 이를 조절할 수 있다.
압력 모듈(70)은 마운트(71), 가압부(72), 조절부(73) 및 접촉부(74)를 포함할 수 있다.
마운트(71)는 하우징(10)에 고정될 수 있다. 마운트(71)는 기역자 형상일 수 있다. 마운트(71)는 플레이트(20)의 측면에 하단이 고정되고, 플레이트(20) 및 연마부(50) 위로 연장될 수 있다. 마운트(71)는 가압부(72)가 설치될 수 있고, 가압부(72) 및 접촉부(74)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가압부(72)는 마운트(71)에 결합될 수 있다. 가압부(72)는 플레이트(20) 상에 위치할 수 있다. 가압부(72)는 플레이트(20) 상에 위치한 연마부(50)의 연마 패드(52) 부분과 수직적으로 오버랩 될 수 있다. 가압부(72)는 연마부(50)와 직접 접촉하는 접촉부(74)를 특정한 압력으로 누를 수 있다.
가압부(72)는 에어 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즉, 가압부(72)는 공기를 이용하여 압력을 가할 수 있다. 단,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가압부(72)는 접촉부(74)를 누를 수 있다면, 구성의 제한은 없다.
조절부(73)는 가압부(72)가 접촉부(74)에 가하는 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조절부(73)는 가압부(72)의 압력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조절부(73)는 가압부(72)의 압력을 조절하기 위한 입력 수단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입력 수단은 버튼 또는 다이얼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조절부(73)는 제어부(40)와 결합되어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분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조절부(73)는 하우징(10) 및 마운트(71)를 통해서 가압부(72)에 전기적인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단,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전기적인 신호는 얼마든지 다른 루트를 통해서 전달될 수도 있다.
조절부(73)는 반드시 하우징(10)에 고정될 필요도 없다. 즉, 조절부(73)는 가압부(72)에 전기적인 신호를 전달할 수만 있으면 하우징(10)과 분리되어 위치할 수도 있다.
접촉부(74)는 연마부(50)에 직접 접촉할 수 있다. 접촉부(74)는 연마부(50)가 손상되지 않도록 쿠션을 가지는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접촉부(74)는 도면에서와 같이 원형의 연마부(50)의 바디(51)를 균일하게 누르기 위해서 2개의 롤러 형상일 수 있다. 단,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접촉부(74)는 가압부(72)에 의해서 연마부(50)에 압력을 가할 수 있다. 접촉부(74)는 상면에 가압부(72)가 연결될 수 있다. 접촉부(74)는 가압부(72)와 같이 마운트(71)에 연결되어 마운트(71)에 의해서 지지될 수 있다.
연마부(50)는 홀더(60)의 클립에 의해서 수평 방향의 이동이 제한되고, 접촉부(74) 및 가압부(72)에 의해서 수직 방향의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회전 제어부(80)는 연마부(50)를 홀더(60)에 고정한 채로 연마부(5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연마부(50)의 연마 패드(52)는 연마 동작에 의해서 마모될 수 있으므로 일정한 연마 동작 후에는 마모되지 않은 부분이 시험판(P)과 접하도록 회전할 필요가 있다.
회전 제어부(80)는 커플러(81), 감속기(83) 및 모터(82)를 포함할 수 있다.
커플러(81)는 연마부(50)의 바디(51)의 일 단 부에 결합될 수 있다. 커플러(81)는 연마부(50)의 바디(51)와 모터(82)를 연결할 수 있다. 커플러(81)는 연마부(50)의 일 단 부가 맞물리도록 오목한 홈을 포함할 수 있다. 단,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즉, 커플러(81)는 예를 들어, 연마부(50)의 일 단 부와 고정되는 조임쇠 형태일 수 도 있다.
모터(82)는 커플러(81)를 통해서 연마부(50)를 회전시킬 수 있다. 모터(82)는 예를 들어, 스텝 모터 또는 서보 모터일 수 있다. 모터(82)는 제어부(40)의 신호에 따라 연마부(50)를 지정된 회전 각도만큼 회전시킬 수 있다.
감속기(83)는 모터(82)와 커플러(81)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즉, 감속기(83)의 일 단은 커플러(81)와 결합되고, 타 단은 모터(82)와 결합될 수 있다. 감속기(83)는 모터의 회전이 연마부(50)의 회전에 적합하도록 각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40)는 회전 제어부(80)에 전기적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40)는 연마부(50)의 회전 각도를 입력 받아 이를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40)의 자동/수동 전환 버튼(44)은 연마부(50)의 회전을 회전 제어부(80)에서 자동으로 수행할지 사용자가 직접 회전시킬지를 설정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즉, 제어부(40)의 자동/수동 전환 버튼(44)이 자동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미리 설정된 회전 각도만큼 회전 제어부(80)가 연마부(50)를 회전시킬 수 있다. 반대로, 제어부(40)의 자동/수동 전환 버튼(44)이 수동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직접 연마부(5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제어부(40)의 각도 다이얼(45)은 제어부(40)의 자동/수동 전환 버튼(44)이 자동에 위치하는 경우에 회전 제어부(80)가 얼마나 연마부(50)를 회전시킬지 즉, 회전 각도를 입력할 수 있다.
즉, 도 8을 참조하면, 제어부(40)는 구동부(30)에는 왕복 횟수를 전송하여 구동부(30)가 연마부(50)를 제1 방향(X)으로 수평 왕복 운동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0)는 회전 제어부(80)에 회전 각도를 전송하여 회전 제어부(80)가 연마부(50)를 회전 이동하게 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시험판 자동 연마기는 사람의 손에 의해서 균일하지 못하게 시험판의 평면을 연마하는 작업을 기계로 일정하게 할 수 있어 시험판(P)의 평평도의 균일성을 확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균일성은 하나의 시험판(P)에서의 전체 표면의 평평도의 균일성과, 복수의 시험판(P)의 각각의 평평도의 균일성을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즉, 하나의 시험에서도 균일하게 평평한 시험판(P)을 제공할 수 있고, 복수의 시험에서의 결과의 신뢰성을 제고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하우징 20: 플레이트
22, 23: 연결 다리 P: 시험판
30: 구동부 30a: 제1 구동부
30b: 제2 구동부 40: 제어부
50: 연마부 60: 홀더
70: 압력 모듈 80: 회전 제어부

Claims (12)

  1. 돌출된 연결 다리를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연결 다리에 의해서 지지되고, 시험판이 고정되는 플레이트;
    상기 하우징에 의해서 고정되고, 상기 플레이트와 연결되고, 상기 플레이트를 제1 방향으로 왕복시키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를 둘러싸되, 상기 플레이트와 상기 구동부를 연결하기 위해 노출된 외벽 홀을 포함하는 외벽;
    전기적인 신호를 통해서 상기 구동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로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동부의 왕복 횟수 정보를 표현하는 카운터와, 상기 카운터를 초기화하는 리셋 버튼을 포함하는 제어부;
    상기 시험판과 밀착되어 상기 플레이트의 왕복에 따라 상기 시험판의 상면을 연마하는 연마부; 및
    상기 연마부와 결합되어 상기 연마부의 이동을 제한하는 홀더를 포함하되,
    상기 연마부와 결합되고, 상기 연마부의 회전을 제어하는 회전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회전 각도를 입력받아, 상기 회전 제어부가 상기 연마부를 상기 회전 각도만큼 회전시키게 하고,
    상기 회전 제어부는 상기 연마부의 연마 동작 후에 상기 연마부를 회전시키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연마부의 회전을 자동으로 수행할지 사용자가 직접 회전시킬지를 설정하기 위한 자동/수동 전환 버튼과, 상기 자동/수동 전환 버튼이 자동에 위치하는 경우에 상기 연마부의 회전 각도를 입력하는 각도 다이얼을 포함하는 시험판 자동 연마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연마부는,
    상기 시험판의 일부와 오버랩되고, 상기 홀더와 결합되는 바디와,
    상기 바디의 표면에 고정되어, 상기 시험판과 밀착되어 상기 시험판의 상면을 연마하는 연마 패드를 포함하는 시험판 자동 연마기.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원기둥 형상이고,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시험판 자동 연마기.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연마 패드는 상기 바디로부터 탈착 가능한 시험판 자동 연마기.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연마부와 결합되어 상기 연마부의 수평 이동을 제한하는 클립과,
    상기 연마부에 상기 시험판과 밀착되는 방향으로 압력을 가하는 가압부를 포함하는 시험판 자동 연마기.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압력을 조절하는 조절부를 포함하는 시험판 자동 연마기.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왕복 횟수를 입력받아, 상기 구동부를 상기 왕복 횟수만큼 왕복시키는 시험판 자동 연마기.
  8. 삭제
  9. 삭제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제어부는,
    상기 연마부와 결합되는 커플러와,
    상기 커플러와 결합되고, 상기 커플러를 회전시키는 모터를 포함하는 시험판 자동 연마기.
  11. 삭제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 상기 구동부 및 상기 홀더가 고정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는 시험판 자동 연마기.
KR1020150163756A 2015-11-23 2015-11-23 시험판 자동 연마기 KR1018251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3756A KR101825109B1 (ko) 2015-11-23 2015-11-23 시험판 자동 연마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3756A KR101825109B1 (ko) 2015-11-23 2015-11-23 시험판 자동 연마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9612A KR20170059612A (ko) 2017-05-31
KR101825109B1 true KR101825109B1 (ko) 2018-02-06

Family

ID=590525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3756A KR101825109B1 (ko) 2015-11-23 2015-11-23 시험판 자동 연마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510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139053A (zh) * 2017-07-14 2017-09-08 罗厚镇 一种木材加工表面打磨抛光装置
CN112518459B (zh) * 2020-12-15 2021-12-14 保定市航影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用于金属板的打磨装置及其使用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05559A (ja) * 2004-04-16 2005-11-04 Mitsui High Tec Inc 研削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05559A (ja) * 2004-04-16 2005-11-04 Mitsui High Tec Inc 研削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9612A (ko) 2017-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4157B1 (ko) 공압튜브식 연마장치
KR101825109B1 (ko) 시험판 자동 연마기
TWI645936B (zh) Polishing pad for grinding a workpiece, 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device and method for polishing the same using the 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device
KR101860438B1 (ko) 금형 사상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금형 가공방법
CN103100951A (zh) 带式抛光机
EP0945218B1 (en) Fining/polishing machine
KR20140105636A (ko) 휴대폰 케이스에 대한 자동 버핑장치
JPH11291165A (ja) 研磨装置及び研磨方法
KR20170073887A (ko) 위치 정렬성이 향상되도록 구성되는 회전형 압착장치
US20130115860A1 (en) Linear, automated apparatus and method for clean, high purity, simultaneous lapping and polishing of optics, semiconductors and optoelectronic materials
CN109227372B (zh) 一种手机边框的磨削设备
KR20150031589A (ko) 디스플레이패널용 유리판, 그의 연삭을 위한 연마지석 및 연삭장치
KR101831517B1 (ko) 폴리싱 장치용 보조장치
KR101938131B1 (ko) 연마석 클램핑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금형 가공방법
KR20170024352A (ko) 공압 방식을 이용한 회전 칼날 연마장치
JP3139372U (ja) 研磨装置
KR101273938B1 (ko) 하향 패드 방식의 연마장치
CN210638975U (zh) 一种分层处理器
JP2009004579A (ja) 半導体ウェーハノッチ端面の研磨装置及びこれに使用する研磨ヘッド
JP2004082241A (ja) 面取り研磨装置におけるワーク支持具
JP2003220546A (ja) ベルト式研磨装置
KR20190063995A (ko) 곡면 연마장치
JP2010066094A (ja) レンズの耐擦傷性評価試験装置
JPH1158206A (ja) 研磨装置、及び研磨方法
CN210818940U (zh) 一种柔性砂带打磨机教学实训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