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4876B1 - 지하 수직구 구조물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지하 수직구 구조물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4876B1
KR101824876B1 KR1020170083055A KR20170083055A KR101824876B1 KR 101824876 B1 KR101824876 B1 KR 101824876B1 KR 1020170083055 A KR1020170083055 A KR 1020170083055A KR 20170083055 A KR20170083055 A KR 20170083055A KR 101824876 B1 KR101824876 B1 KR 1018248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nd
unit structure
installing
press
upper 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30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경범
노우현
노실근
노옥근
박치웅
Original Assignee
우경기술주식회사
노실근
노옥근
박치웅
노경범
노우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경기술주식회사, 노실근, 노옥근, 박치웅, 노경범, 노우현 filed Critical 우경기술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830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48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48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48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4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 E02D29/0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at least part of the cross-section being constructed in an open excavation or from the ground surface, e.g. assembled in a trench
    • E02D29/05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at least part of the cross-section being constructed in an open excavation or from the ground surface, e.g. assembled in a trench further excavation of the cross-section proceeding underneath an already installed part of the structure, e.g. the roof of a tunne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74Means for anchoring structural elements or bulkheads
    • E02D5/80Ground ancho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공할 수직구 구조물의 벽체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복수의 지반앵커를 지반에 시공하는 1단계; 상기 수직구 구조물 단면모양의 압입선단슈를 상기 지반에 설치하는 2단계; 상기 압입선단슈 상측에 상기 수직구 구조물의 일부인 단위구조물을 설치하는 3단계; 복수의 다단그립롯드를 상기 단위구조물의 벽체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설치한 후 상기 복수의 지반앵커와 각각 연결하는 4단계; 상기 단위구조물의 상측에 가압빔을 설치하거나, 지압판을 설치하거나, 또는 가압빔과 지압판을 함께 설치하고, 상기 복수의 다단그립롯드 각각의 상측에 복동식유압잭을 설치하는 5단계; 상기 단위구조물의 내측 지반을 굴착하는 것과, 상기 복동식유압잭을 이용하여 상기 단위구조물을 상기 굴착 심도까지 압입하는 것을 번갈아 반복하여 상기 단위구조물을 지반에 완전 압입하는 6단계;를 포함하는 지하 수직구 구조물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토류벽 등의 가설공사 없이 지반앵커와 다단그립롯드 및 복동식 유압잭을 이용한 자동화 압입장치로 안전하고 신속하게 수직구를 압입하여 시공할 수 있고, 불균질한 지반상태에서 지하구조물이 급격하게 침하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으며, 압입공사 완료 후에는 지반앵커를 수직구 구조물에 정착시킴으로써, 기초의 부력, 인발, 편심하중 등에 효과적으로 저항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지하 수직구 구조물 시공방법{Construction method for underground vertical shaft structures}
본 발명은 토류벽 등의 가설공사 없이 지반앵커와 다단그립롯드 및 복동식 유압잭을 이용하여 안전하고 신속하게 수직구 구조물을 압입 시공할 수 있는 지하 수직구 구조물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직구, 지하주차장, 건물지하실, 우수저류조, 지하저장탱크 등 지하에 구조물을 구축하는 경우 지반 상에 시트파일이나 H빔 등의 강재로 흙막이 가시설을 먼저 시공하여 토류벽를 형성한 다음, 일정깊이까지 굴착한 후 굴착한 벽면에 콘크리트 구조물을 하부에서부터 상부로 시공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흙막이 가시설에 의한 시공방법은 가설 토류벽의 시공에 비용과 시간이 많이 투입되고, 굴착면이 넓어질수록 토압 등에 따르는 가시설의 규모가 커져야 하므로 공사비가 증가하며, 또한 가시설의 안전을 확인하기 위해 시공 기간 중 계측 등의 안전관리가 필요하고 구조물 시공도 바닥면에서부터 상향으로 시공해야 해야 하므로 시공이 복잡하고 안전사고의 위험도 높아진다.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25367호 "지하 수직구 구조물 시공 방법"(도 3a, 3b, 3c 참조)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종래기술은 지하에서의 단계적 지반 굴착 공정(S111)과, 굴착된 지반의 법면 보호 및 정리 공정(S112)과, 그리고 지상에서의 단계적 벽체 구조체의 성형 공정(S121) 및 증기 양생 공정(S122)이 동시에 수행되도록 하는 단계(S100)와, 그리고 상기 증기 양생 공정(S122)으로 조기 강도가 발현된 상기 벽체 구조체를 포함하는 지하 수직구 구조물(30)의 저면을 지반에 사전에 매입시킨 어스 앵커(100)에 일단이 고정 연결된 당김 유닛(320)의 타단부에 연결하고 당김유닛(320)을 작동시킴으로써 지하 수직구 구조물(30)을 지하의 설정 심도까지 단계적으로 추진 하강시키는 단계(S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그리고 상기 지하 수직구 구조물(30)이 다층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벽체 구조체의 높이가 층간 높이에 다다르는 경우에는 내측면으로 슬래브 지지단을 구비한 형태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수직구 구조물 시공방법(청구항 1 참조)에 관한 것으로서, 지하의 선행 굴착부에 대한 별도의 가시설에 대한 필요성이 없이 지하에서의 단계적 지반 굴착 공정과 지상에서의 단계적 벽체 구조물의 성형 공정 및 양생 공정이 동시에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지하 수직구 구조물을 연속적으로 신속하게 시공하는 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 시공 방법은 복수개의 앵커와 추진장치에 의해 구조물을 하강시키기 때문에 추진장치 상호간에 균등한 침하량을 확보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또한, 단계별 하강에 있어서도 바닥판 내부에 천공된 복수개의 구멍으로 복수개의 앵커 개별강선을 하나씩 정착시켜야 하며 정착시키는 작업도 수직구 내부에서 인력으로 작업해야하만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상기 종래기술의 공법에 사용되는 어스앵커는 구조물을 하강시키는 기능만을 수행할 뿐, 수직구 시공완료 시에는 아무런 구조적 역할을 수행하지 못하여, 수직구 시공완료 후 주변지반의 지하수위가 상승할 경우 수직구 구조물에 과다한 부력이 발생하여 구조물이 기울어지거나 손상될 수 있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특허 1 :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25367호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토류벽 등의 가설공사 없이 지반앵커와 다단그립롯드 및 복동식 유압잭을 이용한 자동화 압입장치로 안전하고 신속하게 수직구 구조물을 압입하여 시공할 수 있고, 불균질한 지반상태에서 지하구조물이 급격하게 침하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으며, 압입공사 완료 후에는 지반앵커를 수직구 구조물에 정착시킴으로써, 기초의 부력, 인발, 편심하중 등에 효과적으로 저항할 수 있는 지하 수직구 구조물 시공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지하 수직구 구조물 시공방법은, 시공할 수직구 구조물의 벽체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복수의 지반앵커를 지반에 시공하는 1단계; 상기 수직구 구조물 단면모양의 압입선단슈를 상기 지반에 설치하는 2단계; 상기 압입선단슈 상측에 상기 수직구 구조물의 일부인 단위구조물을 설치하는 3단계; 복수의 다단그립롯드를 상기 단위구조물의 벽체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설치한 후 상기 복수의 지반앵커와 각각 연결하는 4단계; 상기 단위구조물의 상측에 가압빔을 설치하거나, 지압판을 설치하거나, 또는 가압빔과 지압판을 함께 설치하고, 상기 복수의 다단그립롯드 각각의 상측에 복동식유압잭을 설치하는 5단계; 상기 단위구조물의 내측 지반을 굴착하는 것과, 상기 복동식유압잭을 이용하여 상기 단위구조물을 상기 굴착 심도까지 압입하는 것을 번갈아 반복하여 상기 단위구조물을 지반에 완전 압입하는 6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완전 압입된 단위구조물의 상측에 상기 3단계, 5단계, 6단계를 반복하여 상기 수직구 구조물의 계획 심도까지 진행하는 7단계; 상기 수직구 구조물의 하부에 하부슬래브를 시공하고 상기 지반앵커를 상기 수직구 구조물의 상측에 긴장하여 정착하는 8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반앵커는 상기 압입선단슈와 상기 단위구조물을 관통하는 관통구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반앵커는 상기 압입선단슈와 상기 단위구조물의 외측에 설치되고 상기 수직구 구조물의 상측에는 플랜지가 구비되고, 상기 지반앵커는 상기 플랜지에 긴장하여 정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반앵커는 상기 압입선단슈와 상기 단위구조물의 내측에 접하여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직구 구조물의 내측에는 상기 지반앵커를 감싸는
Figure 112017062808703-pat00001
형상의 보호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단그립롯드는,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직경이 증가된 복수의 마디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마디 각각은 하측은 수평면으로 형성되고 상측은 상부로 갈수록 직경이 감소하는 원추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다단그립롯드의 하측 수평면은 상기 복동식유압잭의 걸림부로 작용하고, 상측은 상기 복동식유압잭이 슬라이딩하면서 하측으로 미끄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복동식유압잭은 전자제어유압컨트롤러에 의해 함께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4단계의 다단그립롯드와 지반앵커의 연결은, 상기 다단그립롯드가 삽입되는 것으로 중심에 형성된 중심관통공과 상기 지반앵커가 삽입되는 것으로 상기 중심관통공의 둘레에 형성된 복수개의 둘레관통공이 구비된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의 중심관통공에 하측으로 삽입된 상기 다단그립롯드의 하측에 나사 결합되는 너트와, 상기 실린더의 둘레관통공에 상측으로 삽입된 상기 지반앵커에 결합되는 쇄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단그립롯드가 삽입되는 것으로 중심에 형성된 중심관통공과 상기 지반앵커가 삽입되는 것으로 상기 중심관통공의 둘레에 형성된 복수개의 둘레관통공이 구비되고 상기 실린더의 상측에 설치되는 압박링과, 상기 다단그립롯드에 나사 결합되고 상기 압박링을 하측으로 압박하는 너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압박링은 상기 쇄기를 하측으로 압박하여 빠짐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을 통해 토류벽 등의 가설공사 없이 지반앵커와 다단그립롯드 및 복동식 유압잭을 이용한 자동화 압입장치로 안전하고 신속하게 수직구 구조물을 압입하여 시공할 수 있고, 불균질한 지반상태에서 지하구조물이 급격하게 침하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으며, 압입공사 완료 후에는 지반앵커를 수직구 구조물에 정착시킴으로써, 기초의 부력, 인발, 편심하중 등에 효과적으로 저항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지하 수직구 구조물 시공방법에서 지반앵커가 수직구 구조물의 벽체 속에 설치되는 경우의 각 단계를 도시하는 도면들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지반앵커를 수직구 구조물 시공방법에서 지반앵커가 수직구 구조물의 벽체 외측에 설치되는 경우의 각 단계를 도시하는 도면들이다.
도 3은 종래기술의 도면들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
이하 도면 1 내지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지하 수직구 구조물 제조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지하 수직구 구조물 시공방법은, 시공할 수직구 구조물의 벽체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복수의 지반앵커(10)를 지반에 시공하는 1단계; 상기 수직구 구조물 단면모양의 압입선단슈(20)를 상기 지반에 설치하는 2단계; 상기 압입선단슈(20) 상측에 상기 수직구 구조물의 일부인 단위구조물(30)을 설치하는 3단계; 복수의 다단그립롯드(40)를 상기 단위구조물(30)의 벽체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설치한 후 상기 복수의 지반앵커(10)와 각각 연결하는 4단계; 상기 단위구조물(30)의 상측에 가압빔(50)을 설치하거나, 지압판(52)을 설치하거나, 또는 가압빔(50)과 지압판(52)을 함께 설치하고, 상기 복수의 다단그립롯드(40) 각각의 상측에 복동식유압잭(42)을 설치하는 5단계; 상기 단위구조물(30)의 내측 지반을 굴착하는 것과, 상기 복동식유압잭(42)을 이용하여 상기 단위구조물(30)을 상기 굴착 심도까지 압입하는 것을 번갈아 반복하여 상기 단위구조물(30)을 지반에 완전 압입하는 6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완전 압입된 단위구조물(30)의 상측에 상기 3단계, 5단계, 6단계를 반복하여 상기 수직구 구조물의 계획 심도까지 진행하는 7단계; 상기 수직구 구조물의 하부에 하부슬래브(60)를 시공하고 상기 지반앵커(10)를 상기 수직구 구조물의 상측에 긴장하여 정착하는 8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1단계는 시공할 수직구 구조물의 벽체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복수의 지반앵커(10)를 지반에 시공하는 단계이다. 즉, 지반앵커(10)를 시공할 위치를 측량하여 마킹을 하고, 수직구 구조물의 심도보다 깊게 천공을 하고, 지반앵커(10)를 삽입한 후 하단부를 그라우팅하여 고정한다.
지반앵커(10)는 삽입 개수는 지반의 종류, 시공하고자 하는 수직구 구조물의 규모 등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2단계는 시공할 수직구 구조물 단면모양의 압입선단슈(20)를 지반에 설치하는 단계이다. 압입선단슈(20)의 형상은 시공하고자 하는 수직구 구조물의 단면모양 즉, 원형, 사각형 등으로 제작된다.
압입선단슈(20)는 압입시공에서 하부지반과의 마찰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단부를 외측으로 경사진 쐐기 모양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압입 과정에 하부지반과의 마찰을 잘 견딜 수 있도록, 강재나 고강도 콘크리트를 사용하여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압입선단슈(20)는 현장에서 거푸집을 조립하고 철근을 배근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제작하거나, 미리 제작하여 현장에서 설치할 수 있다.
3단계는 상기 압입선단슈(20) 상측에 수직구 구조물의 일부인 단위구조물(30)을 설치하는 단계이다. 즉, 전체 수직구 구조물의 경우 높이가 높기 때문에 이를 복수개로 분할하고 분할된 각 단위구조물(30) 중 첫 번째 단위구조물(30)을 설치하는 단계이다.
상기 단위구조물(30)은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구조물로 형성되며, 현장에서 압입선단슈(20)의 상측에 거푸집을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제작하거나, 또는 근처 현장 또는 공장에서 미리 프리캐스트로 제작한 것을 압입선단슈(20)의 상측에 설치할 수 있다.
4단계는 복수의 다단그립롯드(40)를 상기 단위구조물(30)의 벽체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설치한 후 상기 복수의 지반앵커(10)와 각각 연결하는 단계이다.
즉, 지반앵커(10)의 숫자에 해당하는 다단그립롯드(40)를 단위구조물(30)의 벽체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설치하고 지반앵커(10)와 각각 연결할 수 있다.
다단그립롯드(40)는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직경이 증가된 복수의 마디를 형성하고, 상기 복수의 마디 각각의 하측은 수평면으로 형성되고, 상측은 상부로 갈수록 직경이 감소하는 원추형으로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다단그립롯드(40)의 하측 수평면은 후술하는 복동식유압잭(42)의 걸림부로 작용하고, 상측은 복동식유압잭(42)이 슬라이딩하면서 하측으로 미끄러질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다단그립롯드(40)의 전체 길이는 상기 단위구조물(30)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고, 각 마디의 길이는 복동식유압잭(42)을 고려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단그립롯드(40)와 지반앵커(10)의 연결은 실린더(70)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즉, 중심에 형성된 중심관통공과 상기 중심관통공의 둘레에 형성된 복수개의 둘레관통공이 구비된 실린더(70)를 구비하고, 다단그립롯드(40)를 중심관통공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삽입한 후 하측에 너트를 체결하고, 지반앵커(10)인 복수의 강연선을 둘레관통공의 하측에서 상측으로 각각 삽입한 후 상측에 쇄기를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단그립롯드(40)가 삽입되는 것으로 중심에 형성된 중심관통공과 상기 지반앵커(10)가 삽입되는 것으로 상기 중심관통공의 둘레에 형성된 복수개의 둘레관통공이 구비되고 상기 실린더(70)의 상측에 설치되는 압박링(80)과, 상기 다단그립롯드(40)에 나사 결합되고 상기 압박링(80)을 하측으로 압박하는 너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도 1d, 도 2d 참조).
즉, 압박링(80)은 상기 실린더(70)와 그 형상이 유사하고, 다만, 둘레관통공은 지반앵커(10)만 노출되게 하고, 쇄기를 상측에서 누름으로서 쇄기의 빠짐을 방지할 수 있다. 이는 단위구조물(30)의 압입 중 단위구조물(30)이 기울어지는 등과 같이 일부 지반앵커(10)가 느슨하게 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쇄기가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다단그립롯드(40)와 지반앵커(10)의 연결은 커플러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즉, 지반앵커(10)가 강봉인 경우 다단그립롯드(40)의 하측과 강봉의 상측에 반대방향의 나사를 형성하고, 양측에 반대방향으로 나사가 형성된 커플러를 다단그립롯드(40)와 강봉의 사이에 체결함으로써 연결할 수 있다.
5단계는 단위구조물(30)의 상측에 가압빔(50)을 설치하거나, 지압판(52)을 설치하거나, 또는 가압빔(50)과 지압판(52)을 함께 설치하고, 상기 복수의 다단그립롯드(40) 각각의 상측에 복동식유압잭(42)을 설치하는 단계이다. 즉, 상기 단위구조물(30)의 상측 둘레를 따라 H형강의 가압빔(50)을 설치하고 복동식유압잭(42)을 설치하거나, 지압판(52)만을 설치하고 복동식유압잭(42)을 설치하거나, 또는 가압빔(50)을 설치하고 그 상측에 지압판(52)을 설치한 후 복동식유압잭(42)을 설치할 수 있다. 또한 가압빔(50)의 하측에 받침목을 설치함으로써 단위구조물(30)에 압력을 균등하게 전달할 수 있다.
상기 가압빔(50)은 단위구조물(30)의 상부에서 하향으로 작용하는 압입력을 균등하게 단위구조물(30)에 전달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서, H형강을 사용하여 지반앵커(10)가 설치된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구조물의 단면 형상을 고려하여 복수개로 나누어서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4단계와 5단계는 함께 시행될 수 있다. 즉, 복수의 다단그립롯드(40)를 설치하여 지반앵커(10)와 연결하면서, 가압빔(50), 지압판(52) 등을 설치하고, 복동식유압잭(42)을 설치할 수 있다.
6단계는 단위구조물(30)의 내측 지반을 굴착하는 것과, 상기 복동식유압잭(42)을 이용하여 상기 단위구조물(30)을 상기 굴착 심도까지 압입하는 것을 번갈아 반복하여 상기 단위구조물(30)을 지반에 완전 압입하는 단계이다. 즉, 설치된 상기 단위구조물(30)의 내측 지반을 일부 굴착하고, 복동식유압잭(42)으로 단위구조물(30)을 굴착 심도까지 압입한 후, 다시 단위구조물(30)의 내측 지반을 일부 굴착하고, 복동식유압잭(42)으로 단위구조물(30)을 굴착 심도까지 압입하는 과정을 반복하여 단위구조물(30)을 지반에 완전 압입한다.
상기 단위구조물(30)의 내측에 지반을 굴착할 때 1차 굴착 심도는 시공현장의 안전 및 시공의 효율성을 고려하나, 약1m~2m 정도로 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복동식유압잭(42)은 전자제어유압컨트롤러(44)에 연결되어 함께 제어됨으로써 지하 수직구 구조물이 기울어지지 않고 안정되게 압입될 수 있다. 즉 지하 수직구 구조물에 설치된 복수의 복동식유압잭(42)들의 압력을 고려하여 지하 수직구 구조물이 수평으로 압입되게 할 수 있다.
7단계는 6단계에서 완전 압입된 단위구조물(30)의 상측에 상기 3단계, 5단계, 6단계를 반복하여 상기 수직구 구조물의 계획 심도까지 진행하는 단계이다.
즉, 첫 번째 단위구조물(30)의 압입이 완료된 후, 첫 번째 단위구조물(30)의 상측에 두 번째 단위구조물(30)을 설치하고, 가압빔(50), 지압판(52), 복동식유압잭(42) 등을 두 번째 단위구조물(30)의 상측에 옮겨 설치한 후, 두 번째 단위구조물(30)을 동일한 방법으로 압입하는 것을 반복하여 수직구 구조물의 계획 심도까지 진행할 수 있다.
8단계는 수직구 구조물의 하부에 하부슬래브(60)를 시공하고 상기 지반앵커(10)를 상기 수직구 구조물의 상측에 긴장하여 정착하는 단계이다.
즉, 단위구조물(30) 상측에 구비되어 있는 가압빔(50), 복동식유압잭(42), 다단그립롯드(40) 등을 해체하고, 단위구조물(30)의 하부에 철근을 배근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하부슬래브(60)를 시공하며, 지반앵커(10)를 긴장 정착시킴으로써 수직구 구조물의 안정성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지반앵커(10)는 수직구 구조물의 벽체 속에 설치될 수 있다(도 1 참조). 즉, 압입선단슈(20)와 단위구조물(30)을 관통하는 관통구(32)를 형성하고 지반앵커(10)를 관통구(32) 속에 설치할 수 있다. 이 경우 단위구조물(30)의 관통구(32)에는 보호관(36)을 설치할 수 있다. 보호관(36)은 관통구(32)의 형성에 유리하고, 또한 지반앵커(10)의 지나친 마찰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지반앵커(10)를 상기 압입선단슈(20)와 상기 단위구조물(30)의 외측에 설치할 수 있다(도 2 참조). 즉, 지반앵커(10)를 압입선단슈(20)와 단위구조물(30)의 외측에 설치하는 경우 순차로 설치하는 단위구조물(30)의 설치가 편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지반앵커(10)를 압입선단슈(20)와 단위구조물(30)의 외측에 설치하는 경우 최상측의 단위구조물(30)의 상측에 외측으로 돌출되는 플랜지(34)를 구비하고 이 플랜지(34)에 지반앵커(10)를 정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반앵커(10)는 상기 압입선단슈(20)와 단위구조물(30)의 내측에 접하여 설치될 수 있다(도 1L 참조). 이때, 상기 수직구 구조물의 내측에는 상기 지반앵커(10)를 감쌀 수 있는
Figure 112017062808703-pat00002
형상의 보호구(38)가 구비됨으로써, 지반앵커(1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구성되거나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지반앵커
20: 압입선단슈
30: 단위구조물
32: 관통구
34: 플랜지
36: 보호관
38: 보호구
40: 다단그립롯드
42: 복동식유압잭
44: 전자제어유압컨트롤러
50: 가압빔
52; 지압판
60:하부슬래브
70: 실린더
80: 압박링

Claims (10)

  1. 시공할 수직구 구조물의 벽체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복수의 지반앵커를 지반에 시공하는 1단계;
    상기 수직구 구조물 단면모양의 압입선단슈를 상기 지반에 설치하는 2단계;
    상기 압입선단슈 상측에 상기 수직구 구조물의 일부인 단위구조물을 설치하는 3단계;
    복수의 다단그립롯드를 상기 단위구조물의 벽체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설치한 후 상기 복수의 지반앵커와 각각 연결하는 4단계;
    상기 단위구조물의 상측에 가압빔을 설치하거나, 지압판을 설치하거나, 또는 가압빔과 지압판을 함께 설치하고, 상기 복수의 다단그립롯드 각각의 상측에 복동식유압잭을 설치하는 5단계;
    상기 단위구조물의 내측 지반을 굴착하는 것과, 상기 복동식유압잭을 이용하여 상기 단위구조물을 상기 굴착 심도까지 압입하는 것을 번갈아 반복하여 상기 단위구조물을 지반에 완전 압입하는 6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다단그립롯드는,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직경이 증가된 복수의 마디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마디 각각은 하측은 수평면으로 형성되고 상측은 상부로 갈수록 직경이 감소하는 원추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다단그립롯드의 하측 수평면은 상기 복동식유압잭의 걸림부로 작용하고, 상측은 상기 복동식유압잭이 슬라이딩하면서 하측으로 미끄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수직구 구조물 시공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완전 압입된 단위구조물의 상측에 상기 3단계, 5단계, 6단계를 반복하여 상기 수직구 구조물의 계획 심도까지 진행하는 7단계;
    상기 수직구 구조물의 하부에 하부슬래브를 시공하고 상기 지반앵커를 상기 수직구 구조물의 상측에 긴장하여 정착하는 8단계;를 포함하는 지하 수직구 구조물 시공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지반앵커는 상기 압입선단슈와 상기 단위구조물을 관통하는 관통구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수직구 구조물 시공방법.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지반앵커는 상기 압입선단슈와 상기 단위구조물의 외측에 설치되고 상기 수직구 구조물의 상측에는 플랜지가 구비되고, 상기 지반앵커는 상기 플랜지에 긴장하여 정착되는 지하 수직구 구조물 시공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반앵커는 상기 압입선단슈와 상기 단위구조물의 내측에 접하여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수직구 구조물 시공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수직구 구조물의 내측에는 상기 지반앵커를 감싸는
    Figure 112017062808703-pat00003
    형상의 보호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수직구 구조물 시공방법.
  7. 삭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복동식유압잭은 전자제어유압컨트롤러에 의해 함께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수직구 구조물 시공방법.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4단계의 다단그립롯드와 지반앵커의 연결은,
    상기 다단그립롯드가 삽입되는 것으로 중심에 형성된 중심관통공과 상기 지반앵커가 삽입되는 것으로 상기 중심관통공의 둘레에 형성된 복수개의 둘레관통공이 구비된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의 중심관통공에 하측으로 삽입된 상기 다단그립롯드의 하측에 나사 결합되는 너트와,
    상기 실린더의 둘레관통공에 상측으로 삽입된 상기 지반앵커에 결합되는 쇄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수직구 구조물 시공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다단그립롯드가 삽입되는 것으로 중심에 형성된 중심관통공과 상기 지반앵커가 삽입되는 것으로 상기 중심관통공의 둘레에 형성된 복수개의 둘레관통공이 구비되고 상기 실린더의 상측에 설치되는 압박링과, 상기 다단그립롯드에 나사 결합되고 상기 압박링을 하측으로 압박하는 너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압박링은 상기 쇄기를 하측으로 압박하여 빠짐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수직구 구조물 시공방법.
KR1020170083055A 2017-06-30 2017-06-30 지하 수직구 구조물 시공방법 KR1018248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3055A KR101824876B1 (ko) 2017-06-30 2017-06-30 지하 수직구 구조물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3055A KR101824876B1 (ko) 2017-06-30 2017-06-30 지하 수직구 구조물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4876B1 true KR101824876B1 (ko) 2018-02-02

Family

ID=612231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3055A KR101824876B1 (ko) 2017-06-30 2017-06-30 지하 수직구 구조물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487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6571B1 (ko) 2018-08-16 2019-11-04 고엄식 수직구용 매입형 슬라브 브라켓 및 시공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20294A (ja) * 1999-07-06 2001-01-23 Kato Kensetsu:Kk 沈設体の沈設工法及びその工法に使用される沈設体
JP2004332202A (ja) * 2003-04-30 2004-11-25 Kato Construction Co Ltd ライナープレートを使用した立坑の構築方法
KR101496291B1 (ko) * 2014-04-10 2015-03-02 윤정흠 옹벽구조용 패널 간격 조절장치, 이를 이용한 옹벽구조 및 옹벽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20294A (ja) * 1999-07-06 2001-01-23 Kato Kensetsu:Kk 沈設体の沈設工法及びその工法に使用される沈設体
JP2004332202A (ja) * 2003-04-30 2004-11-25 Kato Construction Co Ltd ライナープレートを使用した立坑の構築方法
KR101496291B1 (ko) * 2014-04-10 2015-03-02 윤정흠 옹벽구조용 패널 간격 조절장치, 이를 이용한 옹벽구조 및 옹벽 시공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6571B1 (ko) 2018-08-16 2019-11-04 고엄식 수직구용 매입형 슬라브 브라켓 및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842791B (zh) 一种可卸荷桩锚多级支护结构及施工方法
KR101410471B1 (ko) 기존건물 흙막이용 h파일을 이용한 상향식 지하옹벽 제거공법
KR101103530B1 (ko) 구조물의 부등 침하 복원 또는 말뚝 선행하중 도입을 위한 장치
KR102218604B1 (ko) 말뚝 본체와 경사 그라운드 앵커를 이용한 흙막이 벽체 시공 방법
EP3318677B1 (en) Method for forming a reinforced pile and use of an accessory therein
KR101519111B1 (ko) 기성파일의 재하시험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기성파일의 보강방법
KR20160015099A (ko) 마이크로파일 보강구조체와 이를 이용한 기초콘크리트 보강공법
KR101377019B1 (ko) 가이드레일을 이용한 반력체 및 이를 이용한 기초 보강방법
KR101824876B1 (ko) 지하 수직구 구조물 시공방법
KR101427340B1 (ko) 강관말뚝 압입장치 및 압입 강관말뚝 공법
CN113417300A (zh) 边坡支护系统及其施工方法
JP6068774B1 (ja) アジャスタブル腹起しを用いた土留め先行工法
KR200455432Y1 (ko) 옹벽시공용 연결장치
KR100862387B1 (ko) 지압형 영구 앵커의 탑다운 시공을 위한 긴장용 키트와이를 이용한 지압형 영구 앵커의 탑다운 시공 방법
RU2352722C1 (ru) Способ усиления фундамента здания
KR20040000672A (ko) 지반굴착장치의 신축케이싱로드
CN114575354B (zh) 一种可卸荷装配式桩锚多级支护结构及施工方法
KR100765375B1 (ko) 토류벽 시공시 사용된 에이취 빔 인출장치
KR101146252B1 (ko) 인장 하중이 분산되는 앙카
KR100999880B1 (ko) 강관 압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우물통 기초 시공 공법
KR102190480B1 (ko) 건축기초시스템에 있어 임플란트식 파일압입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임플란트식 파일링공법
KR102123666B1 (ko) 건축기초시스템에 있어 임플란트식 파일 설치구 및 이를 이용한 임플란트식 파일공법
KR101517169B1 (ko) 지중 압입장치가 구비된 지하구조물
KR101951684B1 (ko) 확장형 현장타설말뚝 시공방법
CN106836223B (zh) 一种拔桩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