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4575B1 - 캐스터용 휠 - Google Patents

캐스터용 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4575B1
KR101824575B1 KR1020160072068A KR20160072068A KR101824575B1 KR 101824575 B1 KR101824575 B1 KR 101824575B1 KR 1020160072068 A KR1020160072068 A KR 1020160072068A KR 20160072068 A KR20160072068 A KR 20160072068A KR 101824575 B1 KR101824575 B1 KR 1018245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atural rubber
rubber layer
layer
coupling
co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20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39748A (ko
Inventor
염두선
Original Assignee
경창정공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창정공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경창정공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720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4575B1/ko
Publication of KR201701397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97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45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45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33/00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33/00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 B60B33/0028Construction of wheels; methods of assembling on ax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5/00Wheels, spokes, disc bodies, rims, hubs, wholly or predominantly made of non-metallic material
    • B60B5/02Wheels, spokes, disc bodies, rims, hubs, wholly or predominantly made of non-metallic material made of synthetic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310/00Manufacturing methods
    • B60B2310/20Shaping
    • B60B2310/241Shaping by weaving or knitting of fi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360/00Materials; Physical forms thereof
    • B60B2360/30Synthetic materials
    • B60B2360/34Reinforced plastics
    • B60B2360/341Reinforced plastics with fibres
    • B60B2360/3412Glass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360/00Materials; Physical forms thereof
    • B60B2360/50Rub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캐스터용 휠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캐스터용 휠은, 코어와 외층 사이에 게재되며 천연고무로 형성된 중간층 자체가 수축하면서 완충 작용을 하므로, 종래의 휠에 비하여 완충 성능이 우수하다. 그러므로, 캐스터에 별도의 완충유닛을 설치하지 않아도 되거나, 상대적으로 작은 용량의 완충유닛을 설치할 수 있으므로, 원가가 절감될 뿐만 아니라, 캐스터의 부피가 감소되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

Description

캐스터용 휠 {WHEEL FOR CASTER}
본 발명은 완충 성능을 향상시킨 캐스터용 휠(Caster)에 관한 것이다.
캐스터(Caster)란 하물을 운반하기 위한 운반장치에 결합되어 방향을 자유로이 변경할 수 있는 바퀴를 말하며, 하물이 적재되는 운반장치의 적재부의 하면에 결합되어 사용된다.
캐스터는 운반장치의 적재부에 결합되는 탑플레이트, 탑플레이트의 하면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레그 및 지지레그의 하측 부위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작업장의 바닥 등과 접촉하는 휠을 가진다.
일반적으로, 캐스터용 휠은 코어로만 형성된 단일 구조, 코어와 상기 코어의 외주면에 형성된 외층을 가지는 2중 구조 또는 코어와 상기 코어의 외주면에 형성된 중간층 및 상기 중간층의 외주면에 형성된 외층을 가지는 3중 구조를 이룬다. 이때, 상기 코어는 금속, 폴리머 또는 고무 등과 같은 합성수지로 형성되고, 상기 중간층은 탄성체 또는 완충체로 형성되며, 상기 외층은 소정의 경도를 가지는 금속 또는 합성수지로 형성된다.
캐스터는 하물을 운반하는 운반장치에 결합되어 사용되므로, 바닥에서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키기 위한 완충 성능이 우수하여야 한다. 그러면, 바닥에서 가해지는 충격이 캐스터에서 완화된 후, 운반장치의 적재부에 적재된 하물에 전달되므로, 하물이 손상되는 것이 방지된다.
그런데, 종래의 캐스터용 휠은 휠 자체의 완충 성능이 우수하지 않으므로, 별도의 완충유닛을 설치하여야 한다. 이로 인해, 원가가 상승하고, 완충유닛을 설치하기 위한 공간이 필요하므로 캐스터의 부피가 커지는 단점이 있다.
캐스터용 휠과 관련한 선행기술은 본 출원인이 출원하여 등록받은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498964호(2015년 03월 04일) 등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모든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는 캐스터용 휠을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코어와 외층 사이에 완충 성능이 우수한 중간층을 게재하여 휠 자체의 완충 성능을 향상시킴으로써, 원가를 절감할 수 있음과 동시에 캐스터의 부피를 감소시킬 수 있는 캐스터용 휠을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코어와 중간층 및 중간층과 외층을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상호 결합함으로써, 간편하게 제조할 수 있는 캐스터용 휠을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캐스터용 휠은, 하물이 적재되는 운반장치의 하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캐스터용 휠에 있어서, 상기 휠은, 폴리아미드(Polyamide)계 합성섬유(Synthetic Fiber)와 유리섬유(Glass Fiber)의 혼합물로 형성된 링형상의 코어(Core); 상기 코어의 외주면에 형성되며 천연고무로 형성된 링형상의 중간층; 상기 중간층의 외주면에 형성되며 폴리아미드계 합성섬유와 유리섬유의 혼합물로 형성된 링형상의 외층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캐스터용 휠은, 코어와 외층 사이에 게재되며 천연고무로 형성된 중간층 자체가 수축하면서 완충 작용을 하므로, 종래의 휠에 비하여 완충 성능이 우수하다. 그러므로, 캐스터에 별도의 완충유닛을 설치하지 않아도 되거나, 상대적으로 작은 용량의 완충유닛을 설치할 수 있으므로, 원가가 절감될 뿐만 아니라, 캐스터의 부피가 감소되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중간층은 동일 재질의 제1천연고무층 내지 제3천연고무층을 가류 성형하여 하나의 몸체로 형성한 것이고, 중간층의 내주면 및 외주면에 코어 및 외층이 각각 사출에 의하여 형성된다. 그런데, 코어의 제1지지테, 코어의 제1결합레일과 제1천연고무층의 제1결합로 및 코어의 결합돌기와 제1천연고무층의 결합홈으로 인하여 코어와 중간층은 상호 견고하게 결합되고, 외층의 제2지지테, 외층의 제2결합레일과 제2천연고무층의 제2결합로 및 외층의 결합테와 제2천연고무층의 제3결합로로 인하여 외층과 중간층은 상호 견고하게 결합된다. 그러므로, 코어와 중간층을 접착제로 접착하기 위한 공정이 필요 없고, 외층과 중간층을 접착제로 접착하기 위한 공정이 필요 없으므로, 간편하게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이 설치된 캐스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의 확대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5는 도 2의 "B-B"선 단면도.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중간층의 단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의 완충 성능을 보인 표.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휠의 단면도.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정의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적어도 하나"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 항목으로부터 제시 가능한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항목, 제2항목 및 제3항목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의미는 제1항목, 제2항목 또는 제3항목 각각 뿐만 아니라 제1항목, 제2항목 및 제3항목 중에서 2개 이상으로부터 제시될 수 있는 모든 항목의 조합을 의미한다.
"및/또는"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 항목으로부터 제시 가능한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항목, 제2항목 및/또는 제3항목"의 의미는 제1항목, 제2항목 또는 제3항목뿐만 아니라 제1항목, 제2항목 또는 제3항목들 중 2개 이상으로부터 제시될 수 있는 모든 항목의 조합을 의미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된다 또는 설치된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또는 설치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된다 또는 설치된다"라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캐스터용 휠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이 설치된 캐스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의 확대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캐스터는 운반장치의 대차 또는 이동테이블 등과 같이 하물이 적재되는 적재부의 하면에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으며, 탑플레이트(110), 탑핀(120), 지지레그(130) 및 휠(200)을 포함할 수 있다.
탑플레이트(110)는 원형, 타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면이 상기 운반장치의 적재부의 하면에 결합될 수 있다. 탑핀(120)은 탑플레이트(110)의 중앙부측에 관통 설치되고, 탑플레이트(110)를 관통한 탑핀(120)의 하측 부위에 볼레이스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지지레그(130)는 수직 지지레그(131)와 수평 지지레그(135)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볼레이스와 함께 운동할 수 있다.
수직 지지레그(131)는 상호 대향함과 동시에 상호 연결된 한쌍으로 마련되어 탑플레이트(110)와 대략 수직을 이루며, 상기 볼레이스에 상단부가 결합될 수 있다. 수평 지지레그(135)는 상호 대향함과 동시에 상호 연결된 한쌍으로 마련되어 수직 지지레그(131)와 대략 수직을 이루며, 수직 지지레그(131)의 하측 부위에 중앙부측이 지지 설치될 수 있다. 그리하여, 수평 지지레그(135)는 수직 지지레그(131)에 지지된 부위를 기준으로 대략 시소형태로 운동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수평 지지레그(135)의 일단부측에는 작업장의 바닥 등과 접촉하는 휠(200)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수평 지지레그(135)는 한쌍으로 마련되므로, 휠(200)은 쌍을 이루는 수평 지지레그(135) 사이에 삽입 지지되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휠(200) 자체의 완충 성능이 우수하면, 완충유닛을 설치하지 않아도 되거나, 상대적으로 작은 용량의 완충유닛을 설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휠(200)은 완충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휠(200)에 대하여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도 2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2의 "B-B"선 단면도이며,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중간층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예 따른 휠(200)은 링형상의 코어(Core)(210), 링형상의 중간층(230) 및 링형상의 외층(250)을 포함하는 3중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코어(210)는 나이론(Nylon)으로 명명되는 폴리아미드(Polyamide)계 합성섬유(Synthetic Fiber)와 유리섬유(Glass Fiber)의 혼합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중앙부에는 지지축(140)(도 1 참조)이 관통 설치될 수 있다. 지지축(140)의 양단부측은 수평 지지레그(135)(도 1 참조)에 지지 고정되며, 코어(210)는 지지축(140)을 기준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중간층(230)은 코어(210)의 외주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휠(200)이 우수한 완충 성능을 가질 수 있도록 천연고무로 형성될 수 있다.
외층(250)은, 코어(210)와 동일하게, 폴리아미드계 합성섬유와 유리섬유의 혼합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중간층(230)의 외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코어(210)와 외층(250) 사이에 게재된 중간층(230)은 각각 천연고무로 형성된 제1천연고무층(231)과 제2천연고무층(234) 및 제3천연고무층(237)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천연고무층(231)은 쇼어경도(Shore Hardness) 80∼90 HS로 형성될 수 있으며, 내주면이 코어(210)의 외주면에 결합될 수 있다. 제2천연고무층(234)은 쇼어경도 80∼90 HS로 형성될 수 있으며, 외주면이 외층(250)의 내주면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제3천연고무층(237)은 신축되면서 완충 작용을 충분히 할 수 있도록 쇼어경도 60∼65 HS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천연고무층(231)과 제2천연고무층(234) 사이에 게재될 수 있다. 즉, 제3천연고무층(237)의 내주면 및 외주면은 제1천연고무층(231)의 외주면 및 제2천연고무층(234)의 내주면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중간층(230)은 제1천연고무층(231) 내지 제3천연고무층(237)을 가류 성형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제1천연고무층(231) 및 제2천연고무층(234)을 각각 별도로 가류 성형하고, 제3천연고무층(237)을 별도로 가류 성형한 다음, 제1천연고무층(231) 내지 제3천연고무층(237)을 함께 가류 성형하여 중간층(230)을 형성할 수 있다. 제1천연고무층(231) 및 제2천연고무층(234)을 각각 별도로 성형할 때, 제1천연고무층(231) 및 제2천연고무층(234)의 쇼어경도는 최종적으로 원하는 쇼어경도 80∼90 HS의 50%∼70%로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후, 제1천연고무층(231) 내지 제3천연고무층(237)을 함께 성형하여 중간층(230)을 성형할 때, 제1천연고무층(231) 및 제2천연고무층(234)의 쇼어정도가 80∼90 HS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천연고무층(231)과 제2천연고무층(234)의 쇼어경도는 동일하나, 제1천연고무층(231)과 제2천연고무층(234) 사이에 게재되는 제3천연고무층(237)의 쇼어경도는 제1천연고무층(231) 및 제2천연고무층(234)의 쇼어경도와 각각 상이하다. 그러므로, 제1천연고무층(231) 및 제2천연고무층(234)의 쇼어경도를 80∼90 HS로 한 상태에서 제1천연고무층(231)과 제2천연고무층(234) 사이에 제3천연고무층(237)를 게재하여 중간층(230)을 성형하면, 쇼어경도가 상호 상이하므로 제1천연고무층(231)과 제3천연고무층(237)은 그 경계면에서 상호 혼입될 수 있고, 쇼어경도가 상호 상이하므로 제2천연고무층(234)과 제3천연고무층(237)은 그 경계면에서 상호 혼입될 수 있다. 그러면, 휠(200)이 회전할 때, 흔들림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이유로, 제1천연고무층(231) 및 제2천연고무층(234)을 최종적으로 원하는 쇼어경도 80∼90 HS의 50%∼70%로 성형한 후, 제1천연고무층(231) 내지 제3천연고무층(237)을 함께 성형하여 중간층(230)을 성형하는 것이다.
그 후, 사출 성형으로 중간층(230)의 내주면에 코어(210)를 형성하고, 사출 성형으로 코어(210)가 형성된 중간층(230)의 외주면에 외층(250)을 형성할 수 있다.
중간층(230)은 동일한 재질의 제1천연고무층(231) 내지 제3천연고무층(237)을 가류 성형하므로, 제1천연고무층(231) 내지 제3천연고무층(237)은 하나의 몸체를 이루면서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그러나, 중간층(230)의 내주면 및 외주면에 각각 형성된 코어(210) 및 외층(250)은 중간층(230)과 각각 상이한 재질이므로, 중간층(230)의 내주면 및 외주면에 사출로 코어(210) 및 외층(250)을 형성하여도, 코어(210) 및 외층(250)이 중간층(230)에 견고하게 결합되지 못하여, 중간층(230) 상에서 유동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휠(200)은 코어(210)와 중간층(230)이 상호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코어(210)의 일단면(一端面) 및 타단면(他端面)에는 중간층(230)측으로 각각 연장 형성되어 상호 대향하는 제1지지테(211)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지지테(211)는, 코어(210)의 중심을 기준으로, 코어(210)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호 대향하는 어느 하나의 제1지지테(211)와 다른 하나의 제1지지테(211) 사이에 제1천연고무층(231)이 위치될 수 있으며, 제1천연고무층(231)의 일단면 및 타단면은 어느 하나의 제1지지테(211) 및 다른 하나의 제1지지테(211)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그러면, 제1지지테(211)로 인하여 제1천연고무층(231)은, 코어(210)의 중심을 기준으로, 코어(210)의 축방향으로 유동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코어(210)와 중간층(230)이 상호 축방향으로 유동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코어(210)의 외주면에는 코어(210)의 축방향을 향하는 제1결합레일(213)이 형성될 수 있고, 제1천연고무층(231)의 내주면에는 제1천연고무층(231)의 축방향을 향하며 제1결합레일(213)이 삽입 결합되는 제1결합로(231a)가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결합레일(213)은 코어(210)의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 간격을 가지면서 복수개 형성될 수 있고, 제1결합로(231a)는 제1천연고무층(231)의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 간격을 가지면서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면, 상호 삽입 결합되는 제1결합레일(213)과 제1결합로(231a)로 인하여 제1천연고무층(231)은, 코어(210)의 중심을 기준으로, 코어(210)의 원주방향으로 유동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코어(210)와 중간층(230)이 상호 원주방향으로 유동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코어(210)와 중간층(230)을 더욱 견고하게 결합하기 위하여, 상호 대향하는 어느 하나의 제1지지테(211) 및 다른 하나의 제1지지테(211)의 대향면에는 복수의 결합돌기(211a)가 각각 형성될 수 있고, 제1천연고무층(231)의 일단면 및 타단면에는 결합돌기(211a)가 삽입 결합되는 결합홈(231b)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그러면, 결합돌기(211a)와 결합홈(231b)으로 인하여, 코어(210)와 중간층(230)은 상호 더욱 견고하게 결합될 뿐만 아니라. 상호 원주방향으로 유동하는 것이 더욱 방지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휠(200)은 중간층(230)과 외층(250)이 상호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외층(250)의 일단면 및 타단면에는 중간층(230)측으로 연장되어 상호 대향하는 제2지지테(251)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지지테(251)는, 외층(250)의 중심을 기준으로, 외층(210)의 반경방향 중심측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호 대향하는 어느 하나의 제2지지테(251)와 다른 하나의 제2지지테(251) 사이에 제2천연고무층(234)이 위치될 수 있으며, 제2천연고무층(234)의 일단면 및 타단면은 어느 하나의 제2지지테(251) 및 다른 하나의 제2지지테(251)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그러면, 제2지지테(251)로 인하여 제2천연고무층(234)은, 외층(250)의 중심을 기준으로, 외층(250)의 축방향으로 유동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외층(250)과 중간층(230)이 상호 축방향으로 유동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외층(250)의 내주면에는 외층(250)의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 간격을 가지는 복수의 제2결합레일(253)이 형성될 수 있고, 제2천연고무층(234)의 외주면에는 제2결합레일(253)이 삽입 결합되는 제2결합로(234a)가 제2천연고무층(234)의 원주방향을 복수개가 상호 간격을 가지면서 함몰 형성될 수 있다. 그러면, 상호 삽입 결합되는 제2결합레일(253)과 제2결합로(234a)로 인하여 제2천연고무층(234)은, 외층(250)의 중심을 기준으로, 외층(250)의 원주방향으로 유동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외층(250)와 중간층(230)이 상호 원주방향으로 유동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그리고, 외층(250)의 내주면에는 폐루프를 이루는 결합테(255)가 외층(250)의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고, 제2천연고무층(234)의 외주면에는 결합테(255)가 삽입 결합되는 폐루프를 이루는 제3결합로(234b)가 제2천연고무층(234)의 원주방향을 따라 함몰 형성될 수 있다. 그러면, 상호 삽입 결합되는 결합테(255)와 제3결합로(234b)로 인하여 제2천연고무층(234)은, 외층(250)의 중심을 기준으로, 외층(250)의 축방향으로 유동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외층(250)와 중간층(230)이 상호 축방향으로 유동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결합테(255) 및 제3결합로(234b)는 각각 1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결합레일(253)은 결합테(255)를 기준으로 일측 및 타측에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제2결합로(234a)는 제3결합로(234b)를 기준으로 일측 및 타측에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중간층(230)의 제1천연고무층(231)의 양단면은 코어(210)의 제1지지테(211)에 의하여 감싸이고, 중간층(230)의 제2천연고무층(234)은 외층(250)의 제2지지테(251)에 의하여 감싸이며, 중간층(230)의 제3천연고무층(237)의 양단면은 외부로 노출된다. 이때, 외부로 노출된 제3천연고무층(237)의 양단면은 제3천연고무층(237)의 양단면 내측을 향하여 오목하게 함몰된 함몰부(237a)로 형성될 수 있다.
제3천연고무층(237)은 상대적으로 쇼어경도가 낮으므로 중간층(230)의 부위 중 가장 많이 신축되면서 완충 작용을 한다. 그런데, 제3천연고무층(237)의 양단면은 외부로 노출되어 함몰된 함몰부(237a)로 형성되므로, 제3천연고무층(237)은 함몰부(237a)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측 부위와 하측 부위가 상호 가까워지면서 용이하게 수축될 수 있다. 즉, 함몰부(237a)는 제3천연고무층(237)이 용이하게 수축될 수 있도록 안내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의 완충 성능을 보인 표로서, 이를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휠(200)과 종래의 휠에 하중을 작용하여 그 수축량을 실험해 본 결과, 본 실시예에 따른 휠(200)은 약 200㎏에 하중에서 약 1.5㎜ 수축되었고, 약 600㎏의 하중에서 약 4.4㎜ 수축되었으며, 약 1,050㎏의 하중에서 약 7.2㎜ 수축되었다. 반면, 폴리우레탄으로 제조한 종래의 휠은 약 200㎏에 하중에서 약 1.1㎜ 수축되었고, 약 600㎏의 하중에서 약 2.1㎜ 수축되었으며, 약 1,050㎏에 하중에서 약 2.4㎜ 수축되었다.
상기와 결과를 통하여 알 수 있듯이, 본 실시예에 따른 휠(200)은 종래의 휠에 비하여, 동일한 하중이 작용하였을 때 훨씬 많이 수축되므로, 완충 성능이 훨씬 우수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휠(200)은 코어(210)와 외층(250) 사이에 게재되며 천연고무로 형성된 중간층(230) 자체가 수축하면서 완충 작용을 하므로, 종래의 휠에 비하여 완충 성능이 우수하다. 그러므로, 캐스터에 별도의 완충유닛을 설치하지 않아도 되거나, 상대적으로 작은 용량의 완충유닛을 설치할 수 있으므로, 원가가 절감될 뿐만 아니라, 캐스터의 부피가 감소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휠(200)은 동일 재질의 제1천연고무층(231) 내지 제3천연고무층(237)이 가류 성형에 의하여 하나의 몸체로 형성된 것이 중간층(230)이다. 그리고, 중간층(230)의 내주면 및 외주면에 코어(210) 및 외층(250)이 각각 사출에 의하여 형성된다.
이때, 코어(210)의 제1지지테(211), 코어(210)의 제1결합레일(213)과 제1천연고무층(231)의 제1결합로(231a) 및 코어(210)의 결합돌기(211a)와 제1천연고무층(231)의 결합홈(231b)으로 인하여 코어(210)와 중간층(230)은 상호 견고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외층(250)의 제2지지테(251), 외층(250)의 제2결합레일(253)과 제2천연고무층(234)의 제2결합로(234a) 및 외층(250)의 결합테(255)와 제2천연고무층(234)의 제3결합로(234b)로 인하여 외층(250)과 중간층(230)은 상호 견고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코어(210)와 중간층(230)을 접착제로 접착하기 위한 공정이 필요 없고, 외층(250)과 중간층(230)을 접착제로 접착하기 위한 공정이 필요 없으므로, 간편하게 제조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휠의 단면도로서, 도 4와의 차이점만을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로 노출된 제3천연고무층(237)의 양단면은 제3천연고무층(237)의 양단면 외측을 향하여 볼록하게 돌출된 돌출부(237b)로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237b)는 전술한 함몰부(237a)와 동일한 기능을 함은 당연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200: 휠
210: 코어
230: 중간층
231, 234, 237: 제1, 제2, 제3천연고무층
250: 외층

Claims (8)

  1. 하물이 적재되는 운반장치의 하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캐스터용 휠에 있어서,
    상기 휠은,
    폴리아미드(Polyamide)계 합성섬유(Synthetic Fiber)와 유리섬유(Glass Fiber)의 혼합물로 형성된 링형상의 코어(Core);
    상기 코어의 외주면에 형성되며 천연고무로 형성된 링형상의 중간층;
    상기 중간층의 외주면에 형성되며 폴리아미드계 합성섬유와 유리섬유의 혼합물로 형성된 링형상의 외층을 포함하며,
    상기 중간층은,
    상기 코어의 외주면에 내주면이 결합되며 쇼어경도(Shore Hardness) 80∼90 HS인 제1천연고무층;
    상기 외층의 내주면에 외주면이 결합되며 쇼어경도(Shore Hardness) 80∼90 HS인 제2천연고무층;
    상기 제1천연고무층과 상기 제2천연고무층 사이에 게재되며 쇼어경도(Shore Hardness) 60∼65 HS인 제3천연고무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스터용 휠.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의 일단면(一端面) 및 타단면(他端面)에는 상기 중간층측으로 각각 연장 형성되어 상호 대향하는 제1지지테가 형성되고,
    상기 제1천연고무층의 일단면 및 타단면은 어느 하나의 상기 제1지지테 및 다른 하나의 상기 제1지지테에 각각 결합되며,
    상기 코어의 외주면에는 상기 코어의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상호 간격을 가지는 복수의 제1결합레일이 형성되고,
    상기 제1천연고무층의 내주면에는 상기 제1결합레일이 삽입 결합되는 제1결합로가 함몰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스터용 휠.
  4. 제3항에 있어서,
    어느 하나의 상기 제1지지테 및 다른 하나의 상기 제1지지테에는 복수의 결합돌기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1천연고무층의 일단면 및 타단면에는 상기 결합돌기가 삽입 결합되는 결합홈이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스터용 휠.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층의 양단면에는 상기 중간층측으로 연장되어 상호 대향하는 제2지지테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2천연고무층의 일단면(一端面) 및 타단면(他端面)은 어느 하나의 상기 제2지지테 및 다른 하나의 상기 제2지지테에 각각 결합되며,
    상기 외층의 내주면에는 상기 외층의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간격을가지는 복수의 제2결합레일이 형성되고,
    상기 제2천연고무층의 외주면에는 상기 제2결합레일이 삽입 결합되는 제2결합로가 함몰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스터용 휠.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외층의 내주면에는 결합테가 형성되고,
    상기 제2천연고무층의 외주면에는 상기 결합테가 삽입 결합되는 제3결합로가 함몰 형성되며,
    상기 결합테 및 상기 제3결합로는 각각 1개 형성되고,
    상기 제2결합레일 및 상기 제2결합로는 상기 결합테 및 제3결합로를 기준으로 각각 일측 및 타측에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스터용 휠.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천연고무층의 양단면은 상기 코어에 감싸이고, 상기 제2천연고무층의 양단면은 상기 외층에 감싸이며,
    상기 제3천연고무층의 양단면은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제3천연고무층의 양단면은 상기 제3천연고무층의 내측으로 오목하게 함몰된 함몰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스터용 휠.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천연고무층의 양단면은 상기 코어에 감싸이고, 상기 제2천연고무층의 양단면은 상기 외층에 감싸이며,
    상기 제3천연고무층의 양단면은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제3천연고무층의 양단면은 상기 제3천연고무층의 외측으로 볼록하게 돌출된 돌출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스터용 휠.
KR1020160072068A 2016-06-10 2016-06-10 캐스터용 휠 KR1018245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2068A KR101824575B1 (ko) 2016-06-10 2016-06-10 캐스터용 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2068A KR101824575B1 (ko) 2016-06-10 2016-06-10 캐스터용 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9748A KR20170139748A (ko) 2017-12-20
KR101824575B1 true KR101824575B1 (ko) 2018-02-01

Family

ID=609311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2068A KR101824575B1 (ko) 2016-06-10 2016-06-10 캐스터용 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457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5006B1 (ko) * 2019-03-11 2020-12-24 이종영 캐스터 및 그 제조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91602A (ja) * 2002-04-05 2003-10-15 Katsuhiko Watanabe キャスター用車輪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91602A (ja) * 2002-04-05 2003-10-15 Katsuhiko Watanabe キャスター用車輪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9748A (ko) 2017-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220703A1 (en) Protective end for furniture leg
US6227622B1 (en) Multilayer skate wheel
US7478803B2 (en) Compact shock absorption, vibration, isolation, and suspension device
KR101824575B1 (ko) 캐스터용 휠
US20100029443A1 (en) Air Step Board For Health
KR101584340B1 (ko) 비공기압 바퀴 및 그 제조방법
US8850658B2 (en) Shock-absorbing castor
KR20200108900A (ko) 롤러, 및 롤러를 위한 부착 완충 부품
KR200456524Y1 (ko) 다용도 체육기구
CN107810116A (zh) 用于运输装置,尤其是用于购物车的脚轮
US9162527B1 (en) Mechanically interlocked wheel
CA2480723A1 (en) Compact shock absorption, vibration, isolation, and suspension device
KR200426246Y1 (ko) 충격흡수 기능을 갖는 바퀴
JP2008254565A (ja) キャスター
CN113924215A (zh) 无气轮胎
KR101876038B1 (ko) 플렉서블 플라스틱 케이지 및 그 제조방법
US6752471B2 (en) Stroller wheel structure
US6896576B1 (en) Yo-yo with shock suppression system
JP4971188B2 (ja) シューズ、特にスポーツシューズ
JP6428051B2 (ja) 玉軸受用合成樹脂製保持器の製造方法
KR102590020B1 (ko) 조립형 매트의 마감부재
CN105365515B (zh) 车辆用空气弹簧的盖子及其制造方法
CN102294111A (zh) 具有预压中间层的高尔夫球
KR101971469B1 (ko) 일체형 서스펜션 스트럿 베어링용 3차 사출금형장치
KR101332777B1 (ko) 캐스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