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4226B1 - 날 연마용 지그 - Google Patents

날 연마용 지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4226B1
KR101824226B1 KR1020150067128A KR20150067128A KR101824226B1 KR 101824226 B1 KR101824226 B1 KR 101824226B1 KR 1020150067128 A KR1020150067128 A KR 1020150067128A KR 20150067128 A KR20150067128 A KR 20150067128A KR 101824226 B1 KR101824226 B1 KR 1018242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support bar
bar
support
support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71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33928A (ko
Inventor
장성진
조혁상
Original Assignee
장성진
조혁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성진, 조혁상 filed Critical 장성진
Priority to KR10201500671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4226B1/ko
Publication of KR201601339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39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42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42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41/00Component parts such as frames, beds, carriages, headstocks
    • B24B41/06Work supports, e.g. adjustable stea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3/00Sharpening cutting edges, e.g. of tools; Accessories therefor, e.g. for holding the tools
    • B24B3/36Sharpening cutting edges, e.g. of tools; Accessories therefor, e.g. for holding the tools of cutting bla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nish Polishing, Edge Sharpening, And Grinding By Specific Grin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날붙이의 날을 연마기 상에 정확한 연마 각도로 지지하는 날 연마용 지그에 관한 것으로, 지지블록과, 지지블록을 관통하여 축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일측 단부에 눈금부재가 구비되고 타측 단부에 날이 장착되는 지지바와, 지지바의 외주면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지지블록 방향으로 기준바가 돌출 형성되는 기준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날 연마용 지그{Jig device for grinding blade}
본 발명은 칼이나 가위 등 날붙이의 날을 연마할 때 사용되는 지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날붙이의 날을 연마기 상에 정확한 연마 각도로 지지하는 날 연마용 지그에 관한 것이다.
칼, 가위, 낫, 도끼 등과 같이 날이 있는 연장(날붙이)은 장시간 사용시 날 부분이 마모되며, 재사용을 위해서는 날을 다시 날카롭게 연마할 필요가 있다.
그런데, 칼과 가위 등의 날붙이는 가정에서 사용하는 일반적인 것에서부터, 공작 또는 이·미용과 같은 전문분야까지 그 용도가 다양하다. 또한, 공작이나 이·미용과 같이 전문적인 분야에서 사용되는 칼과 가위는 고가이며 제품의 높은 정밀도가 요구된다.
특히, 가정에서 사용하는 일반적인 가위는 마모시 가위날을 연마하여 재사용하는 경우가 별로 없지만, 전문분야에서 사용하는 고가의 가위는 날이 무뎌지게 되면 연마하여 다시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이처럼 전문가가 사용하는 가위의 날을 재생하기 위해서는 날의 각도와 면의 평활도가 중요하다.
그런데, 통상적으로 이러한 연마작업은 고속으로 회전하는 연마기의 표면에 작업자가 가위날을 접면시켜 수작업으로 연마하는 방식이며, 따라서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연마의 정밀성이 크게 좌우된다.
그러나, 요즘은 숙련된 작업자를 확보하기가 어려울 뿐더러, 그 비용과 시간이 상당히 소요되는 문제가 있으며, 비숙련자에 의해 가위날이 크게 손상되는 경우도 많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구조가 간단하고 조작이 간편하여 비숙련자라도 손쉽게 날붙이의 날을 정밀하게 연마할 수 있도록 하는 날 연마용 지그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지지블록; 상기 지지블록을 관통하여 축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일측 단부에 눈금부재가 구비되고 타측 단부에 날이 장착되는 지지바; 및 상기 지지바의 외주면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지지블록 방향으로 기준바가 돌출 형성되는 기준부재를 포함하는 날 연마용 지그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지지블록은, 상기 기준부재의 회전 각도 제한을 위해 일측에 단차 형성되는 걸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지지바의 타측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날을 가압 지지하는 클램프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클램프부재는, 일단이 상기 지지바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지지바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의 끝단에 구비되며 상기 날의 장착을 위한 삽입홈을 갖는 장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장착부는, 상기 연장부의 끝단에 폭이 확장 형성되는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의 폭 방향 양측에 수직하게 형성되는 한 쌍의 측벽부와, 상기 측벽부를 관통하여 상기 날을 가압 지지하도록 체결되는 조임나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눈금부재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일정 각도 범위로 복수 개의 눈금이 형성되고, 상기 기준부재의 외주면 일측에는 상기 기준바와 평행한 기준눈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지지바의 외주면에 나사 결합되며, 상기 기준부재를 상기 눈금부재 방향으로 가압 지지하는 가압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베이스블록과, 일단이 상기 베이스블록의 일측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지지블록의 일측에 힌지 결합되는 링크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날 연마용 지그에 의하면, 칼이나 가위 등 날붙이의 날을 원하는 각도로 정밀하게 연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날 연마용 지그에 의하면, 비숙련자도 용이하게 날붙이의 날을 연마할 수 있으므로 마모된 날의 재생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날 연마용 지그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날 연마용 지그의 클램프부재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날 연마용 지그의 눈금부재와 기준부재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날 연마용 지그의 사용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바의 회전 모습을 도시한 사용 상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그리고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한 기술적 특징을 갖는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한편, 이하의 실시예는 날붙이의 일 예로서 가위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칼이나 낫, 도끼 등 날을 가진 모든 날붙이의 날 연마에 적용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날 연마용 지그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날 연마용 지그(이하, '지그')(100)는, 지지블록(200)을 관통하여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바(300)와, 지지바(300)의 외주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기준부재(500)를 포함한다.
연마하고자 하는 가위날(10, 도 4 참조)은 지지바(300)의 끝단에 장착되며, 사용자는 지지바(300)의 위치를 이동시키거나 축회전시킴으로써, 연마기 상의 적절한 지점에 가위날(10)을 위치시키거나 연마되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지지블록(200)의 일측에는 복수 개의 단위부재(710)가 힌지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링크부재(700)의 일단이 힌지 결합되며, 링크부재(700)의 타단은 베이스블록(800)의 일측에 힌지 결합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베이스블록(800)을 바닥면에 안착시킨 상태로 링크부재(700)를 펼치거나 접어서 연마기에 대하여 지지바(300)의 위치를 적절히 이동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블록(800)의 상측에 결합홈(811)이 전방에 형성된 회전블록(810)을 볼트(812)로 체결하고, 링크부재(700)의 타단을 결합홈(811)에 힌지 결합한다. 이 경우, 회전블록(810)과 링크부재(700)를 원하는 각도로 수평 회전시킨 후 볼트(812)로 고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지지블록(200)은 직육면체 형태의 블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지지블록(200)의 중앙부에는 관통홀(210)이 형성되며, 후술하는 지지바(300)가 지지블록(200)을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이 관통홀(210)에 삽입된다. 이때, 지지블록(200)의 관통홀(210)에는 지지바(30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베어링(220)이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블록(200)의 하단부에는 요홈(230)이 형성되며, 이 요홈(230)에 링크부재(700)의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된다. 지지블록(200)의 상단부에는 걸림부(240)가 단차 형성되는데, 이 걸림부(240)는 후술하는 기준부재(500)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기 위한 것으로, 기준부재(500)의 일 방향 회전시 기준부재(500)의 기준바(510)가 이 걸림부(240)에 걸림으로써 더 이상의 회전이 제한된다.
예컨대, 걸림부(240)는 지지블록(200)의 상측면에서 낮게 단차 형성되는 수평부(241)와, 수평부(241)의 일측에 수직하게 형성되는 수직부(242)와, 수평부(241)의 타측에 낮게 경사지는 경사부(243)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수직부(242)는 지지바(300)의 축선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기준부재(500)의 일 방향 회전시 기준바(510)는 경사부(243)를 따라 회전하며 일측이 수직부(242)에 걸려서 더 이상의 회전이 제한된다. 이때, 수평부(241)와 경사부(243)가 기준바(510)의 회전 경로와 대응되는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지지바(300)는 지지블록(200)의 관통홀(2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지지블록(200)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다. 지지바(300)의 후단에는 손잡이(310)가 구비되며, 따라서 사용자는 손잡이(310)를 잡은 상태로 지지바(300)를 위치 이동시키거나 축회전시킬 수 있다.
지지바(300)의 전단에는 가위날(10)을 장착하기 위한 클램프부재(400)가 구비되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날 연마용 지그의 클램프부재 확대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램프부재(400)는, 일단이 지지바(300)의 전단에 결합되고 타단이 지지바(300)의 외측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는 연장부(410)와, 연장부(410)의 끝단에 구비되는 장착부(420)를 포함하며, 장착부(420)의 저면에는 가위날(10) 장착을 위한 삽입홈(424)이 마련된다.
일 예로서 장착부(420)는, 연장부(410)의 끝단에서 폭이 확장 형성되는 플레이트 형상의 안착부(421)와, 안착부(421)의 폭 방향 양측에 나란히 수직하게 형성되는 한 쌍의 측벽부(422)와, 측벽부(422)를 관통하여 체결되는 조임나사(423)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한 쌍의 측벽부(422)에는 체결홀이 각각 관통 형성되어, 필요에 따라 조임나사(423)를 한 쌍의 측벽부(422) 중 어느 하나에 선택하여 체결할 수 있다.
가위날(10)은 한 쌍의 측벽부(422) 사이에 형성되는 삽입홈(424)으로 삽입되어 안착부(421)에 안착되며, 조임나사(423)에 의해 일측이 반대쪽 측벽부(422) 방향으로 가압 지지되어 이탈이 방지된다.
삽입홈(424)이 지지바(300)의 길이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됨에 따라, 가위날(10)은 지지바(300)의 길이 방향과 평행하게 클램프부재(400)에 장착된다. 이에 따라, 클램프부재(400)에 가위날(10)이 장착된 상태에서 지지바(300)를 축회전시키면, 지지바(300)의 축선을 중심으로 가위날(10)이 회전하게 된다. 즉, 사용자는 지지바(300)를 소정 각도 축회전시킴으로써, 연마기 상에 원하는 연마 각도로 가위날(10)을 눕힐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날 연마용 지그의 눈금부재와 기준부재 확대도이다.
가위날(10)의 날 각도는 가위의 사용 분야에 따라 다양하며, 통상적으로는 가위날(10)의 일면에 대하여 날 각도가 30°~ 45°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특히 전문 분야에 사용되는 칼과 가위의 경우 연마시 날 각도가 정밀하게 형성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그(100)는, 지지바(300)의 축회전 각도를 정밀하게 조절함으로써, 클램프부재(400)에 장착된 가위날(10)을 연마기의 표면(20, 도 5 참조)에 대하여 일정 각도로 눕힐 수 있으며, 따라서 가위날(10)의 연마시 원하는 날 각도가 형성되게끔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바(300)의 손잡이(310) 전방에 눈금부재(320)가 구비된다. 이 눈금부재(320)는 소정의 두께를 가진 원판 형태이며, 지지바(300)의 외주면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도의 부재가 일체로 결합되어 지지바(300)와 함께 회전한다. 또한, 눈금부재(320)의 외주면에는 둘레를 따라 일정 각도 범위로 복수 개의 눈금(321)이 형성된다.
눈금부재(320)의 전방에는 기준부재(500)가 구비된다. 기준부재(500)는 눈금부재(320)와 동일한 원판 형태이며, 지지바(300)의 외주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사용자는 지지바(300) 회전시, 기준부재(500)를 고정시킨 상태로 지지바(300)를 회전시키고, 기준부재(500)에 대한 눈금부재(320)의 회전 각도를 확인함으로써 지지바(300)의 회전 각도를 알 수 있다. 이를 위해, 기준부재(500)의 전면 일측에 기준바(510)가 지지블록(200)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기준부재(500)의 외주면 일측에는 기준바(510)와 평행하게 기준눈금(520)이 형성된다.
기준부재(500)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킬 때, 기준바(510)가 지지블록(200)의 걸림부(240) 일측 즉, 수직부(242)에 걸려서 더 이상의 회전이 제한됨은 전술한 바와 같으며, 이때 지지바(300)의 축선과 기준바(510)의 축선 및 기준눈금(520)이 소정 간격 상하로 이격하여 동일 방향을 향하게끔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위날(10)의 연마 각도를 맞출 때에는, 기준바(510)를 걸림부(240)에 밀착시킨 상태로 기준부재(500)를 고정하고, 지지바(300)를 회전시킨다. 이때, 기준부재(500)의 기준눈금(520)에 대하여 눈금부재(320)의 눈금(321)을 돌려서 맞춤으로써 지지바(300)와 가위날(10)의 회전 각도를 원하는 각도로 맞출 수 있다.
지지바(300)를 원하는 회전 각도로 회전시킨 후에는, 연마 작업이 진행되는 동안 지지바(300)와 가위날(10)이 회전된 각도를 계속 유지하고 있게끔 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기준부재(500)와 지지블록(200) 사이의 지지바(300) 외주면에 가압부재(600)가 나사 결합된다.
가압부재(600)는 기준부재(500)를 눈금부재(320) 방향으로 가압하여 기준부재(500)가 눈금부재(320) 및 지지바(300)와 일체로 회전하게끔 하며, 이때 일 방향으로 회전된 눈금부재(320) 및 지지바(300)는 기준부재(500)의 기준바(510)가 걸림부(240)에 걸려 있음에 따라, 연마 작업 중 원래의 위치로 돌아오지 못하고 회전된 상태를 계속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물론, 반대 방향으로의 회전은 가능하나, 이 경우 가위날(10)은 연마기의 표면(20)으로부터 이탈하여 연마 작업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이하, 도 4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그의 사용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그(100)의 사용 상태도로서, 도 4는 클램프부재(400)에 가위날(10)이 장착된 모습을 도시하고 있고, 도 5는 기준부재(500)와 지지바(300)의 회전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마기의 일측에 베이스블록(800)이 안착되고, 클램프부재(400)에는 연마하고자 하는 가위날(10)이 장착된다. 이때, 가위를 2개의 가위날(10)로 분해한 후, 연마하고자 하는 하나의 가위날(10)을 클램프부재(400)에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가위의 분해가 어려운 경우에는 가위 전체를 클램프부재(400)에 장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후, 지지바(300)를 회전시켜 클램프부재(400)에 장착된 가위날(10)을 원하는 연마 각도로 눕힌다. 먼저,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준부재(500)를 회전시켜 기준바(510)가 지지블록(200)의 걸림부(240) 일측에 지지되게끔 한다. 이때, 기준바(510)와 기준눈금(520) 및 지지바(300)는 동일한 방향을 향하도록 정렬된다.
다음,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준부재(500)를 고정시킨 상태로 지지바(300)를 회전시켜 가위날(10)을 원하는 연마 각도로 눕힌다. 지지바(300) 회전시 기준부재(500)의 기준눈금(520)에 대하여 눈금부재(320)의 눈금(321)을 맞춤으로써 지지바(300)와 가위날(10)을 원하는 각도로 회전시킬 수 있다. 예컨대, 눈금부재(320)의 눈금(321)이 외주면 둘레를 따라 1° 간격으로 일정하게 형성된 경우, 사용자는 지지바(300)를 원하는 각도가 될 때까지 1° 단위로 회전시킬 수 있다.
지지바(300)와 가위날(10)을 원하는 각도로 회전시킨 후에는 가압부재(600)를 기준부재(500) 방향으로 체결하여, 기준부재(500)가 눈금부재(320)를 가압 지지하게끔 한다. 이때, 기준부재(500)와 눈금부재(320)는 서로 밀착되며 일체로 회전하게 된다.
이후, 연마기와 베이스블록(800) 사이의 간격에 따라 링크부재(700)를 적절히 펼치거나 접어서 연마기의 표면(20)에 가위날의 날 부분을 접촉시킨다. 연마기는 회전 또는 직선 이동하면서 가위날(10)의 날 부분을 연마하며, 이때 가위날(10)은 일정한 날 각도로 연마가 이루어진다.
즉,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준부재(500)가 눈금부재(320)에 가압 지지된 상태에서 기준바(510)가 걸림부(240)에 걸려 있으므로, 지지바(300)와 가위날(10)은 일 방향(도면상 시계방향)으로의 회전이 제한된다. 또한,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바(300)와 가위날(10)이 반대 방향(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가위날(10)이 연마기로부터 이탈하므로 더 이상 연마작업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그(100)에 장착된 가위날(10)은 연마 작업이 이루어지는 동안 항상 일정한 연마 각도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며, 가위날(10)을 원하는 날 각도로 연마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특정 분야의 칼이나 가위는 날이 선 모서리 부분이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곡률의 곡선 형태를 이루기도 하는데, 이 경우 사용자는 링크부재(700)를 접거나 펼치면서 지지바(300)를 곡선 형태로 전후 왕복 이동시켜 칼날 혹은 가위날(10)을 연마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날 부분을 원하는 날 각도로 일정하게 연마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하게 변형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100 : 날 연마용 지그
200 : 지지블록
240 : 걸림부
300 : 지지바
320 : 눈금부재
400 : 클램프부재
500 : 기준부재
510 : 기준바
600 : 가압부재
700 : 링크부재
800 : 베이스블록

Claims (8)

  1. 상단부 일측에 걸림부가 단차 형성되는 지지블록;
    상기 지지블록을 관통하여 축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일측 단부에 눈금부재가 구비되고 타측 단부에 날이 장착되는 지지바;
    상기 지지바의 외주면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지지블록 방향으로 기준바가 돌출 형성되는 기준부재; 및
    상기 지지바의 외주면에 나사 결합되며, 상기 기준부재가 상기 지지바와 일체로 회전하도록 상기 기준부재를 상기 눈금부재 방향으로 가압 지지하는 가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눈금부재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일정 각도 범위로 복수 개의 눈금이 형성되고, 상기 기준부재의 외주면 일측에는 상기 기준바와 평행한 기준눈금이 형성되며, 상기 기준부재에 대한 상기 눈금부재의 회전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날 연마 각도를 조절하되, 상기 기준부재는 상기 기준바가 상기 걸림부에 걸려서 회전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 연마용 지그.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바의 타측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날을 가압 지지하는 클램프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 연마용 지그.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부재는, 일단이 상기 지지바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지지바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의 끝단에 구비되며 상기 날의 장착을 위한 삽입홈을 갖는 장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 연마용 지그.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상기 연장부의 끝단에 폭이 확장 형성되는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의 폭 방향 양측에 수직하게 형성되는 한 쌍의 측벽부와, 상기 측벽부를 관통하여 상기 날을 가압 지지하도록 체결되는 조임나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 연마용 지그.
  6. 삭제
  7. 삭제
  8. 청구항 1에 있어서,
    베이스블록과, 상기 베이스블록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볼트로 체결되는 회전블록과, 일단이 상기 회전블록의 일측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지지블록의 일측에 힌지 결합되는 링크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 연마용 지그.
KR1020150067128A 2015-05-14 2015-05-14 날 연마용 지그 KR1018242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7128A KR101824226B1 (ko) 2015-05-14 2015-05-14 날 연마용 지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7128A KR101824226B1 (ko) 2015-05-14 2015-05-14 날 연마용 지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3928A KR20160133928A (ko) 2016-11-23
KR101824226B1 true KR101824226B1 (ko) 2018-01-31

Family

ID=575416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7128A KR101824226B1 (ko) 2015-05-14 2015-05-14 날 연마용 지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422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10246A (ja) * 2000-04-26 2001-11-06 Arrow Denshi Kogyo Kk 鋏研ぎ機の鋏保持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10246A (ja) * 2000-04-26 2001-11-06 Arrow Denshi Kogyo Kk 鋏研ぎ機の鋏保持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3928A (ko) 2016-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81969B2 (en) Tool sharpening and compound honing jig
US7686678B2 (en) Tool setter for a grinding machine
SE537247C2 (sv) Knivjiggaggregat
US3733751A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sharpening small hand tools
KR101786194B1 (ko) 소도구 날 연마장치
KR101824226B1 (ko) 날 연마용 지그
US4912881A (en) Multiple angle dressing device for tools and stock
US8439727B1 (en) Drill bit sharpening tool
US2549147A (en) Portable knife grinder for woodworking machines
KR200478673Y1 (ko) 칼갈이 지그 장치
JP2011143485A (ja) 目立て・研磨装置
KR200436195Y1 (ko) 각도기가 구비된 그라인더용 지그
AU2014287504B2 (en) Tool rest with angle indicator for use with bench grinder
KR102032693B1 (ko) 연마기용 칼날 지지대
KR101845156B1 (ko) 왕복식 날 연마장치
US845487A (en) Scissors-sharpener.
KR20170024272A (ko) 왕복식 날 연마장치
US5575711A (en) Wood jointer and planer blade sharpening and honing holder
US2944376A (en) Grinder attachment for woodworking machines
JP6294549B1 (ja) 刃物の刃研ぎ器
US2730846A (en) Cutting tool grinding fixture
US968180A (en) Sharpening and setting device for scraper-blades.
US279785A (en) Horizontal knife grinder and sharpener
US1430625A (en) Work-holding device
US1214241A (en) Universal knife-holding ba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