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4205B1 -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이의 용도 - Google Patents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이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4205B1
KR101824205B1 KR1020170053828A KR20170053828A KR101824205B1 KR 101824205 B1 KR101824205 B1 KR 101824205B1 KR 1020170053828 A KR1020170053828 A KR 1020170053828A KR 20170053828 A KR20170053828 A KR 20170053828A KR 101824205 B1 KR101824205 B1 KR 1018242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lls
cancer
composition
present
pharmaceutical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38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창훈
민용기
조성윤
황종연
배수정
김미옥
이경원
Original Assignee
한국화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화학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화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1700538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42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42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42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353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ortho- or peri-condensed with heterocyclic ring systems
    • A61K31/437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ortho- or peri-condensed with heterocyclic ring systems the heterocyclic ring system containing a five-membered ring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indolizine, beta-carbol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0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sulpiride, succinimide, tolmetin, buflomedil
    • A61K31/401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sulpiride, succinimide, tolmetin, buflomedil having oxo groups directly attached to the heterocyclic ring, e.g. piracetam, ethosuximid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0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sulpiride, succinimide, tolmetin, buflomedil
    • A61K31/403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sulpiride, succinimide, tolmetin, buflomedil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e.g. carbazole
    • A61K31/404Indoles, e.g. pindol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12Materials from mamma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specified tissues or cel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embryonic stem cells; Genetically modified cells
    • A61K35/14Blood; Artificial blood
    • A61K35/17Lymphocytes; B-cells; T-cells; Natural killer cells; Interferon-activated or cytokine-activated lymphocy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ll Biology (AREA)
  • Immu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Zoology (AREA)
  • Virolog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티반티닙(Tivatinib) 및 분리된 NK(Natural killer) 세포를 포함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티반티닙이 암세포의 NK 세포에 대한 감수성을 증가시켜, NK 세포의 암세포에 대한 세포독성이 증가하는바, 본 발명의 조성물은 티반티닙과 NK 세포의 병용 처리에 의해 항암 효과가 크게 증가하는 시너지 효과가 나타난다.

Description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이의 용도{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on or treatment of cancer and use thereof}
본 발명은 티반티닙(Tivatinib) 및 분리된 NK(Natural killer) 세포를 포함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암은 현재 전세계적으로 가장 많은 사망자를 내는 질병 중 하나로서, 암 발생 연령은 점차 낮아지고 있는 반면 평균 수명은 점차 연장되어가고 있어 암 발생률은 더욱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대표적인 암 치료 방법으로는 항암화학요법이 있으나, 이는 암세포뿐만 아니라 정상세포 중 빠르게 분열증식하는 세포에도 손상을 가할 수 있어 암세포에 대한 표적성이 낮고, 항암화학요법 후 빈혈, 백혈구 및 혈소판 수의 감소, 구토, 오심, 및 설사 등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보다 적은 양으로도 항암 효과가 뛰어난 화학치료제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한국 공개 특허 제10-2015-0135796호).
한편, NK(Natural killer) 세포는 비특이적으로 암세포를 살상할 수 있는 능력이 밝혀지면서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으나, 고형암에 대한 치료 효과가 미비한 상황이다
이러한 배경하에, 본 발명자들은 보다 항암 효과가 뛰어난 치료제를 개발하고자 예의 연구 노력한 결과, 티반티닙 및 분리된 NK 세포의 병용 처리시 항암 효과가 시너지적으로 크게 증가하고, 티반티닙이 암세포에서 NK 세포의 항암활성에 중요한 활성화 수용체인 NKG2D에 대한 리간드의 발현을 증가시켜, 암세포의 NK 세포에 대한 감수성을 증가시킴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티반티닙(Tivatinib) 및 분리된 NK(Natural killer) 세포를 포함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티반티닙을 포함하는, 암세포의 NK 세포에 대한 민감성 증진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티반티닙을 포함하는, 암세포 및 NK 세포의 결합 증진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티반티닙을 포함하는, NK 세포의 살상능력 증진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약학적 조성물을 포함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약학적 조성물을 개체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하나의 양태는 티반티닙(Tivatinib) 및 분리된 NK(Natural killer) 세포를 포함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티반티닙(Tivatinib)"은 도 1에 나타낸 화학식을 가지는 화합물로서, 항암제로서 사용된다. 그러나, 본 발명자들은 티반티닙이 암세포에서 NK 세포의 항암활성에 중요한 활성화 수용체인 NKG2D에 대한 리간드의 발현을 증가시켜, 암세포의 NK 세포에 대한 감수성을 증가시킴을 처음으로 규명하였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티반티닙(Tivatinib) 및 분리된 NK(Natural killer) 세포의 병용 처리시 항암 효과가 시너지적으로 크게 증감함을 처음으로 규명하였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티반티닙 및 분리된 NK 세포의 병용 처리시 항암 효과가 시너지적으로 크게 증가함을 처음으로 규명하였다. 특히,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티반티닙의 암세포 살상능력과 NK 세포의 암세포 살상능력이 병합되어 항암 효과가 나타나는 것뿐만 아니라, 티반티닙이 암세포의 NK 세포에 대한 민감성을 증진시켜 NK 세포의 살상능력을 현저히 증가시킴으로써 항암 효과가 시너지적으로 크게 증가함을 처음으로 규명하였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티반티닙 대신 또는 티반티닙과 함께 티반티닙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용어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이란 상기 조성물에 노출되는 세포나 인간에게 독성이 없는 특성을 나타내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용어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이란 양이온과 음이온이 정전기적 인력에 의해 결합하고 있는 물질인 염 중에서도 약제학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형태의 염을 의미하는데, 통상적으로 금속염, 유기 염기와의 염, 무기산과의 염, 유기산과의 염, 염기성 또는 산성 아미노산과의 염 등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금속염으로는 알칼리 금속염(나트륨염, 칼륨염 등), 알칼리 토금속염(칼슘염, 마그네슘염, 바륨염 등), 알루미늄염 등이 될 수 있고; 유기 염기와의 염으로는 트리에틸아민, 피리딘, 피콜린, 2,6-루티딘, 에탄올아민, 디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시클로헥실아민, 디시클로헥실아민, N,N-디벤질에틸렌디아민 등과의 염이 될 수 있으며; 무기산과의 염으로는 염산, 브롬화수소산, 질산, 황산, 인산 등과의 염이 될 수 있고; 유기산과의 염으로는 포름산, 아세트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프탈산, 푸마르산, 옥살산, 타르타르산, 말레인산, 시트르산, 숙신산, 메탄술폰산, 벤젠술폰산, p-톨루엔술폰산 등과의 염이 될 수 있으며; 염기성 아미노산과의 염으로는 아르기닌, 라이신, 오르니틴 등과의 염이 될 수 있고; 산성 아미노산과의 염으로는 아스파르트산, 글루탐산 등과의 염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티반티닙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뿐만 아니라 이로부터 제조될 수 있는 가능한 용매화물 및 수화물을 모두 포함하고, 가능한 모든 입체이성체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티반티닙의 용매화물, 수화물 및 입체이성체는 통상적인 방법들을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NK(Natural killer) 세포"는 체내 면역 시스템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세포독성 림프구(cytotoxic lymphocyte)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목적상 NK 세포는 개체의 내재적인 NK 세포 및/또는 외래의 NK 세포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개체 외부에서 투여되는 분리된 NK 세포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NK 세포는 상업적으로 판매되는 것을 구입하거나, 개체로부터 분리하거나, 배양하는 등의 통상적적인 방법에 따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암세포에서 NK 세포의 활성화 수용체에 대한 리간드의 발현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활성화 수용체는 NK 세포의 활성화 및 세포독성과 관련된 수용체로서, 구체적으로 NKG2D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리간드는 NK 세포의 활성화 수용체와 결합할 수 있는 한 제한되지 않으나, 구체적으로 ULBP(UL16 binding protein)1,ULBP2 또는 ULBP3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상 티반티닙 및 분리된 NK 세포는 동시, 순차적, 또는 역순으로 병용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예방"은, 상기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로 암 질환을 억제 또는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치료"는, 상기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로 암 질환의 증세가 호전되거나 완치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상기 암은 고형암과 혈액암을 모두 포함하며, 구체적으로 간암, 폐암, 췌장암, 비소세포성 폐암, 결장암, 골암, 피부암, 두부 또는 경부 암, 피부 또는 안구내 흑색종, 자궁암, 난소암, 직장암, 위암, 항문부근암, 결장암, 유방암, 나팔관암종, 자궁내막암종, 자궁경부암종, 질암종, 음문암종, 호지킨병(Hodgkin's disease), 식도암, 소장암, 내분비선암, 갑상선암, 부갑상선암, 부신암, 연조직 육종, 요도암, 음경암, 전립선암, 만성 또는 급성 백혈병, 림프구 림프종, 방광암, 신장 또는 수뇨관암, 신장세포 암종, 신장골반 암종, 중추신경계(CNS; central nervous system) 종양, 1차 중추신경계 림프종, 척수 종양, 뇌간 신경교종, 뇌하수체 선종 등일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암 중 고형암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약학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담체는 비자연적 담체(non-naturally occuring carrier)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약학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약학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티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 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양태는 티반티닙을 포함하는, 암세포의 NK 세포에 대한 민감성 증진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티반티닙, NK 세포, 암은 전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NK 세포에 대한 민감성 증진"이란 암세포의 민감성을 증진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NK 세포에 대한 민감성 증진"이란 암세포에 대한 NK 세포의 세포독성을 활성화시킬 수 있도록, NK 세포의 항암활성에 중요한 활성화 수용체(예들 들어, NKG2D)에 대한 리간드의 발현을 암세포에서 증가시키는 것을 의미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리간드는 NK 세포의 활성화 수용체와 결합할 수 있는 한 제한되지 않으나, 구체적으로 ULBP(UL16 binding protein)1,ULBP2 또는 ULBP3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민감성"은 "감수성"과 혼용된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양태는 티반티닙을 포함하는, 암세포 및 NK 세포의 결합 증진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티반티닙, NK 세포 및 암은 전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암세포 및 NK 세포의 결합 증진"이란 암세포에 대해 NK 세포가 세포독성을 나타낼 수 있도록, 암세포와 NK 세포의 결합을 증진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티반티닙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암세포에서 NK 세포의 NKG2D 수용체에 대한 리간드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바, 상기 리간드가 발현된 암세포와 NKG2D 수용체를 가진 NK 세포의 결합을 증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양태는 티반티닙을 포함하는, NK 세포의 암세포 살상능력 증진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티반티닙, NK 세포 및 암은 전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티반티닙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티반티닙에 의해 살상되지 않은 암세포에서도 NK 세포의 활성화 수용체와 결합할 수 있는 리간드의 발현을 증가시켜, NK 세포의 살상능력을 증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양태는 상기 약학적 조성물을 포함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키트를 제공한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 암, 예방 및 치료는 전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키트는 그 종류가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형태의 키트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키트는 티반티닙 및 분리된 NK 세포이 각각 개별 용기에 담긴 형태, 또는 하나 이상의 구획으로 나누어진 한 개의 용기 내에 담긴 형태로 포장되어 있을 수 있으며, 상기 티반티닙 및 분리된 NK 세포는 각각 1회 투여 용량의 단위 용량 형태로 포장되어 있을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키트 내의 티반티닙 및 분리된 NK 세포는 투여 대상 개체의 건강 상태 등에 따라 적절한 시기에 개별적으로 병용 투여될 수 있다. 또한, 티반티닙 및 분리된 NK 세포는 동시, 순차적, 또는 역순으로 개체에게 병용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양태는 상기 약학적 조성물을 개체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 암, 예방 및 치료는 전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용어, "개체"란, 암이 발병하였거나 발병할 수 있는 인간을 포함한 쥐, 생쥐, 가축 등의 모든 동물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인간을 포함한 포유동물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서 개체는 인간이 제외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용어, "투여"란, 적절한 방법으로 개체에게 소정의 물질을 도입하는 것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을 이용하여 티반티닙 및 분리된 NK 세포가 동시, 순차적, 또는 역순으로 개체에게 병용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한다.
본 발명의 용어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이란 의학적 치료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하기에 충분하며 부작용을 일으키지 않을 정도의 양을 의미하며, 유효 용량 수준은 환자의 성별, 연령, 체중, 건강상태, 질병의 종류, 중증도, 약물의 활성, 약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방법,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 비율, 치료 기간, 배합 또는 동시에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개별 치료제로 투여하거나 다른 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고, 종래의 치료제와 순차적으로 또는 동시에 투여될 수 있으며, 단일 또는 다중 투여될 수 있다. 상기한 요소들을 모두 고려하여 부작용 없이 최소한의 양으로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양을 투여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는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투여하는 투여 경로 및 투여 방식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목적하는 해당 부위에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이 도달할 수 있는 한 임의의 투여 경로 및 투여 방식에 따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의 다양한 경로를 통하여 투여될 수 있으며, 그 투여 경로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구강, 직장, 국소, 정맥내, 복강내, 근육내, 동맥내, 경피, 비측내 또는 흡입 등을 통하여 투여되는 것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암 예방 또는 치료 방법은 수술, 방사선 치료, 호르몬 치료, 화학 치료 및 생물학적 반응조절제를 사용하는 방법들과 병용될 수 있다.
티반티닙이 암세포의 NK 세포에 대한 감수성을 증가시켜, NK 세포의 암세포에 대한 세포독성이 증가하는바, 본 발명의 조성물은 티반티닙과 NK 세포의 병용 처리에 의해 항암 효과가 크게 증가하는 시너지 효과가 나타난다.
도 1은 티반티닙(Tivatinib)의 구조를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NK 세포와 티반티닙을 병용 처리한 경우 간암세포(HepG2)에 대한 세포독성이 매우 크게 증가하는 것을 보여주는 도이다.
도 3은 NK 세포와 티반티닙을 병용 처리한 경우 폐암세포(A549) 및 췌장암세포(PC1)에 대한 세포독성이 매우 크게 증가하는 것을 보여주는 도이다.
도 4는 티반티닙에 의해 간암세포(HepG2)에서 NK 세포의 활성화 및 세포독성에 있어 중요한 인자들인 ULBP1, ULBP2, ULBP3의 발현량이 증가하는 것을 보여주는 도이다.
도 5는 티반티닙과 NK 세포의 병용 처리에 의해 항암 활성이 증가하는 기작을 보여주는 도이다.
도 6은 티반티닙의 단독 처리만으로도 농도에 따라 다양한 간암세포주 (상단: HepG2, 하단: HepG2, Hep3B, PLC/PRF/5, Huh7, SNU449)에 대해 세포독성이 증가하는 것을 보여주는 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 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하기 예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NK 세포와 티반티닙의 병용 처리에 의한 항암 효과 분석
NK 세포와 티반티닙(Tivatinib)의 병용 처리에 의한 항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NK 세포와 티반티닙의 병용 처리에 따른 암세포에 대한 세포독성을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5 μM 티반티닙을 96 well plate의 well당 5x104개의 HepG2 간암세포에 처리하여 2일 동안 배양한 후 세포수를 계수하여, 살아 남은 HepG2 간암세포에 인간 혈액에서 분리한 NK 세포를 0.5:1과 1:1 (NK 세포수: HepG2 세포수)로 처리한 다음 4시간 동안 추가 배양하였다. 또한, 대조군으로써, 상기에서 NK 세포를 처리한, 살아남은 HepG2 간암세포와 동일한 수의 HepG2 간암세포(티반티닙을 처리하지 않은 세포)에 NK 세포를 처리하였다. 그 후 간암세포에 대해 MTT 분석법을 수행하여 세포독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티반티닙이 처리된 간암세포의 경우 티반티닙이 처리되지 않은 간암세포보다 NK 세포에 의한 세포독성이 약 300% 가량으로 매우 크게 증가함을 확인하였다(도 2). 또한, 티반티닙과 병용 처리되는 NK 세포의 양이 증가할수록 간암세포에 대한 세포독성이 증가함을 확인하였다(도 2).
이를 통해, NK 세포와 티반티닙을 병용 처리하는 경우 NK 세포가 단독으로 처리되는 경우보다 NK 세포의 암세포 사멸 능력이 증가됨을 확인하였는바, NK 세포 및 티반티닙을 병용 처리하는 경우 NK 세포 또는 티반티닙을 단독 처리하는 경우보다 매우 우수한 항암 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2. 다양한 암에 대한 NK 세포와 티반티닙의 병용 처리 효과 분석
다양한 암에 대한 NK 세포와 티반티닙의 병용 처리에 따른 항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다양한 암에 대한 NK 세포와 티반티닙의 병용 처리에 따른 세포독성을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5 μM 티반티닙을 96 well plate의 well당 5x104개의 폐암세포주(A549) 혹은 96 well plate의 well당 5x104개의 췌장암세포주(PC1)에 처리하여 2일 동안 배양한 후 세포수를 계수하여, 살아 남은 암세포에 인간 혈액에서 분리한 NK 세포를 암세포와 1:1로 처리한 다음 추가 배양하였다. 또한, 대조군으로써, 상기에서 NK 세포를 처리한, 살아남은 암세포와 동일한 수의 암세포(티반티닙을 처리하지 않은 세포)에 NK 세포를 처리하였다. 그 후 각 암세포에 대해 MTT 분석법을 수행하여 세포독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티반티닙이 처리된 폐암세포 및 췌장암세포의 경우 티반티닙이 처리되지 않은 폐암세포 및 췌장암세포보다 NK 세포에 의한 세포독성이 매우 크게 증가함을 확인하였다(도 3).
이를 통해, NK 세포와 티반티닙을 병용 처리하는 경우 NK 세포가 단독으로 처리되는 경우보다 NK 세포의 암세포 사멸 능력이 증가됨을 확인하였는바, NK 세포 및 티반티닙을 병용 처리하는 경우 NK 세포 또는 티반티닙을 단독 처리하는 경우보다 매우 우수한 항암 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3. 티반티닙과 NK 세포의 병용 처리에 의해 항암 활성 증가 기작 확인
티반티닙을 HepG2 간암세포에 처리한 후 간암세포에서 NK 세포의 활성화 및 세포독성에 있어 중요한 인자들인 ULBP1, ULBP2, ULBP3의 발현량을 real time PCR방법을 활용하여 측정하였다. 측정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HepG2 세포에 다양한 농도의 티반티닙을 처리한 후 1일간 혹은 2일간 배양한다. 그 후 total RNA를 Trizol을 사용하여 추출한 후 cDNA를 합성한 다음 ULPB1,2,3에 각각 특이적인 PCR probe를 이용한 정량적인 분석인 real time PCR을 수행하여 ULBP1, ULBP2, ULBP3의 양을 측정하였다. 측정된 각각의 발현량을 티반티닙을 처리하지 않은 경우를 기준으로 상대적으로 나타내었다.
그 결과, 티반티닙의 농도에 따라 간암세포에서 ULBP1, ULBP2, ULBP3의 발현이 매우 크게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4).
이를 통해, 암세포에서 티반티닙이 NK 세포의 항암활성에 중요한 활성화 수용체인 NKG2D에 대한 리간드(ULBP1, ULBP2, ULBP3)의 발현을 증가시킨 결과, 암세포는 증가된 리간드로 인해 NK 세포에 대한 감수성이 증가됨을 알 수 있었다(도 5). 즉, 티반티닙이 암세포의 NK 세포에 대한 감수성을 증가시킨 결과, NK 세포의 암세포에 대한 세포독성이 증가하는바, 티반티닙과 NK 세포의 병용 처리에 의해 항암 효과가 시너지적으로 크게 증감함을 알 수 있었다.
비교예 1. 티반티닙 단독 처리에 의한 항암 효과 분석
티반티닙(Tivatinib)의 단독 처리에 의한 항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티반티닙의 암 세포에 대한 세포독성을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티반티닙을 간암세포주(HepG2)에 농도별로 처리한 후 간암세포주를 2일 동안 배양하였다. 그 후 간암세포주에 대해 MTT 분석법을 수행하여 세포독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티반티닙의 단독 처리만으로도 농도에 따라 간암세포에 대해 세포독성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6).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0)

  1. 티반티닙(Tivantinib) 및 분리된 NK(Natural killer) 세포를 포함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암세포에서 NK 세포의 NKG2D 수용체에 대한 리간드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것인,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티반티닙 및 분리된 NK 세포가 동시, 순차적, 또는 역순으로 병용 투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암세포의 NK 세포에 대한 민감성을 증진시키는 것인, 조성물.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암세포 및 NK 세포의 결합을 증진시키는 것인,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NK 세포의 살상능력을 증진시키는 것인, 조성물.
  8. 제1항 내지 제4항, 제6항 및 제7항 중 어느 하나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키트.
  9. 제1항 내지 제4항, 제6항 및 제7항 중 어느 하나의 조성물을 개체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간을 제외한 동물의 암 예방 또는 치료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투여하는 단계는 티반티닙 및 분리된 NK 세포를 동시, 순차적, 또는 역순으로 병용 투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170053828A 2017-04-26 2017-04-26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1018242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3828A KR101824205B1 (ko) 2017-04-26 2017-04-26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이의 용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3828A KR101824205B1 (ko) 2017-04-26 2017-04-26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이의 용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4205B1 true KR101824205B1 (ko) 2018-02-01

Family

ID=612320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3828A KR101824205B1 (ko) 2017-04-26 2017-04-26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이의 용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420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90071A1 (ko) * 2019-03-21 2020-09-24 한국화학연구원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및 이의 용도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Nature Reviews, 14, 487-498쪽(2015.05.22.)*
Neoplasia, 17(3), 289-300쪽(2015.03.)*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90071A1 (ko) * 2019-03-21 2020-09-24 한국화학연구원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20220109370A (ko) * 2019-03-21 2022-08-04 한국화학연구원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102572547B1 (ko) 2019-03-21 2023-08-30 한국화학연구원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및 이의 용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100813A1 (en) Combination therapy for cancer using bromodomain and extra-terminal (bet) protein inhibitors
CN108464981B (zh) 抑制tie2激酶的组合物在制备治疗癌症的药物中的用途
KR101825637B1 (ko)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이의 용도
US20150246033A1 (en) Methods for inhibiting tie-2 kinase useful in the treatment of cancer
US10183035B2 (en) Etoposide and prodrugs thereof for use in targeting cancer stem cells
EA016817B1 (ru) Специфическая терапия, использующая интегриновые лиганды для лечения рака
RU2396952C2 (ru) Комбинация, включающая комбретастатин и противораковые средства
US10543254B2 (en) Composition containing neuropeptide Y for inhibiting side effects of anticancer agents
TW201609094A (zh) 治療癌症之新穎方法
CN112022871A (zh) 金诺芬在制备用于治疗去势抵抗性前列腺癌药物中的应用
KR101824205B1 (ko)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101828997B1 (ko)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101824197B1 (ko)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20200094110A (ko) 스트렙토니그린 및 항암제를 포함하는 뇌종양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US20230112450A1 (en) Combined use of ctb006 and ponatinib
KR102235218B1 (ko) 감마-테르피넨을 포함하는 자궁경부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572547B1 (ko)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102276343B1 (ko) 혈관차단제로 유용한 벤조페논 티아졸 유도체 및 토포이소머라제 억제제를 포함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합물
US20210128683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s and use thereof for relieving resistance due to cancer chemotherapy and enhancing effect of cancer chemotherapy
US7932228B2 (en) Method of treating bone or prostate cancer with selective bradykinin B1 receptor antagonists
KR101514145B1 (ko) 마카에리움 쿠스피다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암 조성물
AU2021200121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s and use thereof for relieving resistance due to cancer chemotherapy and enhancing effect of cancer chemotherapy
KR101523434B1 (ko) 줄베르나디아 글로비플로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암 조성물
JP2022023033A (ja) ガンの処置に有用なtie2キナーゼの阻害方法
KR101558050B1 (ko) 엔드리케리아 아노말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암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