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3972B1 - 드릴쉽 육상건조 해상탑재 기준점 설정 표준화 방법 - Google Patents

드릴쉽 육상건조 해상탑재 기준점 설정 표준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3972B1
KR101823972B1 KR1020110129046A KR20110129046A KR101823972B1 KR 101823972 B1 KR101823972 B1 KR 101823972B1 KR 1020110129046 A KR1020110129046 A KR 1020110129046A KR 20110129046 A KR20110129046 A KR 20110129046A KR 101823972 B1 KR101823972 B1 KR 1018239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ll ship
land
reference point
equipment
s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90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62656A (ko
Inventor
김종배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290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3972B1/ko
Publication of KR201300626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26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39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39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63B35/4413Floating drilling platform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15/00Supports for the drilling machine, e.g. derricks or masts
    • E21B15/02Supports for the drilling machine, e.g. derricks or masts specially adapted for underwater drill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5/00Surveying instrumen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3/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41/00Design characteristics
    • B63B2241/20Designs or arrangements for particular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c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arth Drill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uid Mechanics (AREA)
  • Architecture (AREA)
  • Remote Sens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드릴쉽 육상건조 해상탑재 기준점 표준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특히 드릴쉽이 부유 상태에서도 육상에서의 데이터를 기준으로 육상과 동일하게 탑재를 할 수 있으며, 추가 보조점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상부구조물(Topside) 모든 블록 및 장비를 같은 기준으로 이용하여 탑재할 수 있으며, 정도 불량 문제가 발생하지 않고 또한 계측자에 무관하게 항상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는 드릴쉽 육상건조 해상탑재 기준점 설정 표준화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은 육상에서 드릴쉽의 본체가 완성된 상태에서 정도 검사로 계측기기와 같은 기기를 통하여 데이터를 확보하고, 기존 기준점 또는 현재 상태의 웰 센터(Well center)를 기준으로 '0'(zero) 기준점을 설정하며, 표준 탑재 프로세스에 따라 보조점 좌표를 설정하고, 상기 보조점 좌표를 기준으로 설정하며, 해상 부유상태에서 발라스팅(Ballasting)으로 이븐 킬(Even Keel)을 유지하고, 해상에서 이루어지는 모든 블록 및 장비, 기타 의장품들을 계측장비를 사용하여 작업하고 탑재장비를 이용하여 탑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쉽 육상건조 해상 탑재 기준점 설정 표준화 방법을 제시한다.

Description

드릴쉽 육상건조 해상탑재 기준점 설정 표준화 방법{Standardization Method for Setting Reference Point for Loading on the Sea after Constructing Drillship at Heavy Zone}
본 발명은 드릴쉽 육상건조 해상탑재 기준점 표준화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드릴쉽이 부유 상태에서도 육상에서의 데이터를 기준으로 육상과 동일하게 탑재를 할 수 있으며, 추가 보조점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상부구조물(Topside) 모든 블록 및 장비를 같은 기준을 이용하여 탑재할 수 있으며, 정도 불량 문제가 발생하지 않고 또한 계측자에 무관하게 항상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는 드릴쉽 육상건조 해상탑재 기준점 설정 표준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시추선은 해양에서 원유나 가스 등을 발굴하는 장비로서, 해상 플랫폼의 설치가 불가능한 심해 지역이나 파도가 심한 해상에서 원유나 가스 등의 채취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고, 구조에 따라 반 잠수 식 시추장비(Semisubmersible Drilling Rig)와 드릴쉽(Drill Ship)이 있으며, 해상에서의 작업을 수행하기 위하여 고도의 제작 기술이 요구된다.
이러한 시추선 중에서 드릴쉽은 선박 형태의 시추설비로서, 작업의 특성상 일정 위치에서 오랜 작업을 수행하기 때문에 조류, 풍향, 풍속 및 파고 등에 의해 흔들림이나 위치 변화가 적을수록 보다 안정된 시추작업을 실시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동적 위치 제어장치(Dynamic Positioning System)에 의해 조류, 풍향, 풍속 및 파고 등에 의하여 선체가 흔들려서 위치가 변화되는 것을 해소하도록 하며, 이때, 자신의 위치를 지키기 위해 추진모터(Propulsion Motor)나 스러스터(Thruster) 등을 갖고 있다.
그런데 해상에서 배를 건조하면서 블록탑재나 각종 의장장비 설치 시에 많은 문제들이 발생하게 되는데 그 중 가장 심각한 문제는 배가 해상에 떠 있으므로 떠 있는 상태에서 절대기준을 잡는 문제이다. 예컨대 A라는 회사와 B라는 회사가 하나의 장비 또는 블록을 해상에서 설치나 탑재했을 경우에 문제가 발생했을 시 A회사와 B회사는 서로 자기의 설치기준이 맞다 고 하여 분쟁이 발생하는 사례가 있다. 배가 떠있는 상태에서는 2차원 측정이 불가능하므로 설치기준을 증명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실제로, 드릴쉽이나 리그 선에서는 회사 내의 선/후 공정 조직이나 드릴링 장비공급 업체 간의 정도 불량 문제로 수정 재 작업이나 공기지연 사례가 다수 발생되고 있다.
도 1은 정도 불량 사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에서 사례 1은 육상상태의 데크 레벨 데이터를 고려하지 않고 해상에서 Derrick Foundation을 계측 기준면으로 정하여 Derrick을 수직도 0으로 설치한 경우 계측 값은 0으로 맞춰지게 되나 실제 데크 레벨을 고려해 봤을 때는 기울기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사례 2는 해상에서 육상상태에서 계측된 데크 레벨 데이터를 기준으로 삼아 계측하면 수직도 1:6 길이 적용 시 90mm 기울어진 것으로 나타나지만 실제로는 기울기로 0으로 맞춰진 상태에 있다.
선행기술 문헌 없음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배경하에서 안출된 것으로서, 드릴쉽이 부유 상태에서도 육상에서의 데이터를 기준으로 육상과 동일하게 탑재를 할 수 있으며, 추가 보조점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상부구조물(Topside) 모든 블록 및 장비를 같은 기준을 이용하여 탑재할 수 있으며, 정도 불량 문제가 발생하지 않고 또한 계측자에 무관하게 항상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는 드릴쉽 육상건조 해상탑재 기준점 설정 표준화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릴쉽 육상건조 해상탑재 기준점 설정 표준화 방법은, 드릴쉽이 부유 상태에서도 육상에서의 데이터를 기준으로 육상과 동일하게 탑재를 할 수 있으며 상부구조물(Topside) 모든 블록 및 장비를 같은 기준을 이용하여 탑재할 수 있는 드릴쉽 육상건조 해상탑재 기준점 설정 표준화 방법으로서,
육상에서 드릴쉽의 본체가 완성된 상태에서 정도 검사로 계측기기와 같은 기기를 통하여 데이터를 확보하고, 기존 기준점 또는 현재 상태의 웰 센터(Well center)를 기준으로 '0'(zero) 기준점을 설정하며, 표준 탑재 프로세스에 따라 보조점 좌표를 설정하고 상기 보조점 좌표를 기준으로 설정하며, 해상 부유상태에서 발라스팅(Ballasting)으로 이븐 킬(Even Keel)을 유지하고, 해상에서 이루어지는 모든 블록 및 장비, 기타 의장품들을 계측장비를 사용하여 작업하고 탑재장비를 이용하여 탑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쉽 육상건조 해상 탑재 기준점 설정 표준화 방법을 제시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드릴쉽이 부유 상태에서도 육상에서의 데이터를 기준으로 육상과 동일하게 탑재를 할 수 있으며, 추가 보조점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상부구조물(Topside) 모든 블록 및 장비를 같은 기준으로 이용하여 탑재할 수 있다. 또한 계측자에 무관하게 항상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정도 불량 사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드릴쉽 육상건조 및 해상탑재 기준점 설정을 표준화하기 위한 방안을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방법을 이용하여 실제로 적용한 사례를 도시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릴쉽 육상건조 해상탑재 기준점 설정 표준화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드릴쉽 육상건조 및 해상탑재 기준점 설정을 표준화하기 위한 방안을 도시한다.
도 2에서 위쪽 그림은 드릴쉽 메인 데크 평면도를 도시하는데, 섹션 "A"에서는 웰 센터(Well Center) 기준 보조점의 타켓을 현장 조정 설치하고 진수 전/후의 변화상태를 점검한다. 상기 웰 센터는 드릴링 장비가 내려오는 센터를 말한다. 상기 기준점은 육상(H/V; Heavy/Zone)에서 설치한다. 상기 기준점을 기초로 해상에서 퍼넬/케이싱(Funnel/Casing)이 탑재된다.
섹션 "B"에서는 웰 센터 기준 보조점의 타켓을 현장 조정설치하고 라이저 크레인 세팅을 확인한다. 이 기준점 또한 육상에서 설치한다. 상기 기준점을 기초로 해상에서 ROV(Remotely-Operated Vehicle) 플랫폼이 탑재된다.
섹션 "C"에서는 라이저 겐트리 크레인 세팅 기준선 즉, 선미에서 A/B(Above/Baseline)로부터 24500mm 지점에 마킹한다.
섹션 "D"에서는 BOP(Blowout Preventer)/X-MAS 오버헤드(Overhead) 크레인 세팅 타켓 및 기준선을 마킹한다. 이 기준선 또한 육상에서 설치한다. 육상 건조 시부터 관리하고 육상건조 최종단계에서 레벨 데이터를 확보하고 이 데이터를 기준으로 해상상태에서 나머지 블록 모두를 탑재한다. 오른쪽에 도시한 베이스 패드(Base Pad) 즉 서포트 플레이트 지점에 해상에서 #61M/41M 블록을 탑재한다.
섹션 "E"에서는 웰 센터 기준 보조점의 타켓을 현장 조정설치하고 즉, L(Launch)-Barge(진수 바지)에서 설치하고 진수전/후 변화상태를 점검한다. 상기 기준점을 기초로 해상에서 데크 하우스를 탑재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먼저, 육상에서 드릴쉽의 본체가 완성된 상태에서 정도 검사로 계측기기 등을 통하여 데이터를 확보한다(S20). 기존 기준점 또는 현재 상태의 웰 센터(Well center)를 기준으로 '0'(zero) 기준점을 설정한다(S40). 이어 표준 탑재 프로세스에 따라 보조점의 타켓 좌표를 설정하고, 상기 보조점의 타켓 좌표를 기준으로 설정한다(S60, S80). 이어 해상 부유상태에서 발라스팅(Ballasting)으로 이븐 킬(Even Keel; 등 흘수)을 유지한다(S100). 등 흘수는 배의 선수 흘수와 선미 흘수가 같은 상태, 즉 선체가 수평으로 부상하고 있는 상태를 말한다. 그리고 해상에서 이루어지는 모든 블록 및 장비, 기타 의장품들을 계측장비를 사용하여 작업하고 탑재장비를 이용하여 탑재한다(S120).
도 4는 본 발명의 방법을 이용하여 실제로 적용한 사례를 도시한다.
메인 데크에서 "A", "B", "C", "D", "E", "F", "G", "H", "I", "J", "K", "L". "M", "N"과 같은 기준점을 이용하여 해상에서 의장품들을 탑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서는 "A" 좌표는 X, Y, Z 축의 공간 좌표에서 x축으로 25621mm, y축으로 16116mm 그리고 z축으로 31948mm에 위치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드릴쉽이 부유 상태에서도 육상에서의 데이터를 기준으로 육상과 동일하게 탑재를 할 수 있으며, 추가 보조점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상부구조물(Topside) 모든 블록 및 장비를 같은 기준으로 이용하여 탑재할 수 있다. 또한 계측자에 무관하게 항상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릴쉽 육상건조 해상탑재 기준점 설정 표준화 방법을 첨부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것은 예시 목적이지 이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고자 함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이하의 부속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지며,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 형태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

  1. 드릴쉽이 부유 상태에서도 육상에서의 데이터를 기준으로 육상과 동일하게 탑재를 할 수 있으며 상부구조물(Topside) 모든 블록 및 장비를 같은 기준을 이용하여 탑재할 수 있도록 하되,
    육상에서 드릴쉽의 본체가 완성된 상태에서 정도 검사로 계측기기와 같은 기기를 통하여 데이터를 확보하고, 기존 기준점 또는 현재 상태의 웰 센터(Well center)를 기준으로 '0'(zero) 기준점을 설정하며,
    해상 부유상태에서 발라스팅(Ballasting)으로 이븐 킬(Even Keel)을 유지하고,
    해상에서 이루어지는 모든 블록 및 장비, 기타 의장품들을 계측장비를 사용하여 작업하고 탑재장비를 이용하여 탑재하는 드릴쉽 육상건조 해상탑재 기준점 설정 표준화 방법에 있어서,
    표준 탑재 프로세스에 따라 섹션 “A”, “B”, “E”에서 웰 센터(Well Center) 기준 보조점의 타켓 좌표를 설정하고, 상기 보조점의 타켓 좌표를 기준으로 설정하며,
    상기 보조점의 타켓 좌표를 기준으로 설정 함에 따라 추가 보조점을 필요로 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쉽 육상건조 해상 탑재 기준점 설정 표준화 방법.
KR1020110129046A 2011-12-05 2011-12-05 드릴쉽 육상건조 해상탑재 기준점 설정 표준화 방법 KR1018239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9046A KR101823972B1 (ko) 2011-12-05 2011-12-05 드릴쉽 육상건조 해상탑재 기준점 설정 표준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9046A KR101823972B1 (ko) 2011-12-05 2011-12-05 드릴쉽 육상건조 해상탑재 기준점 설정 표준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2656A KR20130062656A (ko) 2013-06-13
KR101823972B1 true KR101823972B1 (ko) 2018-02-01

Family

ID=488603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9046A KR101823972B1 (ko) 2011-12-05 2011-12-05 드릴쉽 육상건조 해상탑재 기준점 설정 표준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397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264724A (zh) * 2017-05-15 2017-10-20 沪东中华造船(集团)有限公司 机舱曲面反态分段中用于舾装管系安装的基准线设计方法
CN114044106A (zh) * 2021-09-02 2022-02-15 沪东中华造船(集团)有限公司 一种利用单边基准的造船精度控制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7812B1 (ko) 2005-11-16 2007-03-0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해상과 육상을 겸한 선박 건조 공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7812B1 (ko) 2005-11-16 2007-03-0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해상과 육상을 겸한 선박 건조 공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2656A (ko) 2013-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1619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ling mooring lines
US9254894B2 (en) Flotable subsea platform (FSP)
CN103963919B (zh) 可伸缩全回转辅助推进器的安装方法
KR101823972B1 (ko) 드릴쉽 육상건조 해상탑재 기준점 설정 표준화 방법
CN205469732U (zh) 一种水下设备安装回收系统
KR101498246B1 (ko) 문풀 구역의 장비이동을 위한 머티어리얼 핸들링 구조 및 그 머티어리얼 핸들링 구조를 갖는 시추선
US10294729B2 (en) Riser and subsea equipment guidance
US20160003011A1 (en) Equipment transport assembly for drilling operations and method of transporting equipment
Myhre et al. Successful real time instrumentation of the conductor and surface casing of an exploration subsea well in the North Sea to measure the actual loads experienced during drilling operations
KR101823973B1 (ko) 드릴링 리그 육상건조 해상탑재 기준점 설정 표준화 방법
CN106300147B (zh) 带有敷设张力监控功能的海缆下水桥
KR20150097964A (ko) 시추 장비 테스트 장치 및 방법
Jin et al. Floatover installation technology with a DP2 class dynamic-positioning semisubmersible vessel
KR20150089285A (ko) 쇄파 기능을 겸비한 트롤리 레일 서포트의 리세스 지지구조 및 그 지지구조를 갖는 트롤리 레일 서포트
KR101005897B1 (ko) Bop 트랜스포터를 이용한 경사테스트 방법
de Oliveira et al. Offshore Inclining Test
Craig et al. Unique Riser Interface Structural Design and Analysis
KR101695892B1 (ko) 문풀 내부 유동억제 장치 및 그 장치를 구비하는 시추 해양구조물
Pereira et al. Deepwater conductor pre-installation for first TLWP in Brazil
KR20170139846A (ko) 해양 플랜트
KR101686231B1 (ko) 시추선의 하부 구조물 탑재방법
KR101571249B1 (ko) 극지용 해양구조물의 설계 방법
US9759350B2 (en) Riser deflection mitigation
KR20160035259A (ko) 하이드로해머를 이용한 컨덕터 파이프의 매설방법
KR20160001796U (ko) 데릭 유지보수 시스템 및 그 데릭 유지보수 시스템을 구비하는 해양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