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2571B1 - 신체 사이즈 측정 장치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신체 사이즈 측정 장치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2571B1
KR101822571B1 KR1020170046618A KR20170046618A KR101822571B1 KR 101822571 B1 KR101822571 B1 KR 101822571B1 KR 1020170046618 A KR1020170046618 A KR 1020170046618A KR 20170046618 A KR20170046618 A KR 20170046618A KR 101822571 B1 KR101822571 B1 KR 1018225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ze
subject
pattern
photographing
body siz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66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희원
Original Assignee
(주)미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미즈 filed Critical (주)미즈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25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25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07Measuring physical dimensions, e.g. size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1079Measuring physical dimensions, e.g. size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using optical or photographic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61B5/0077Devices for viewing the surface of the body, e.g. camera, magnifying le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5Cordless telephon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mage Analysis (AREA)
  • Image Processing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체 사이즈 측정을 위한 촬영용 의복을 착용한 대상자를 각도별로 촬영한 대상자 영상들을 출력하는 카메라 촬영부, 상기 대상자 영상들을 기반으로, 상기 대상자의 평면 신체 사이즈 및 입체 신체 사이즈를 측정하는 신체 사이즈 측정부 및 상기 평면 신체 사이즈 및 상기 입체 신체 사이즈를 기반으로, 상기 대상자가 선택 입력한 의복의 사이즈를 결정하고, 상기 대상자 영상들을 기반으로 상기 대상자가 상기 의복을 가상 착용한 피팅 결과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신체 사이즈 측정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신체 사이즈 측정 장치 및 시스템{APPARATUS FOR MEASURING SIZE OF PART OF BODY AND SYSTEM THEREFOR}
본 발명은 신체 사이즈 측정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대상자의 신체 사이즈를 측정하기 용이한 신체 사이즈 측정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의류를 인터넷 쇼핑몰, 홈쇼핑등 온라인으로 구매하는 경우가 많으며, 스마트폰과 네트웍의 발전으로 그 규모 또한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소비자는 자신의 신체 사이즈를 정확히 모르고 있다. 대략적인 자신의 호칭사이즈(95,100,105,55,66,77등)는 알고 있으나, 정확한 가슴둘레, 허리둘레, 엉덩이둘레, 팔길이 등은 모르고있는 경우가 많다.
정확한 자신의 부위별 신체 사이즈를 알아야 원하는 핏(fit)의 의류, 또는 자신에게 맞는 품과 길이를 선택할 수 있고, 또한 반품 및 교환 등으로 인한 시간, 감정등의 손실을 줄일 수 있다.
의류 구매에 있어서 사이즈에대한 선택은 가장 중요한것이며, 상당한 고민을 갖게하는 요소이다. 더욱이 실제 물건을 보지않고 구매하는 온라인상의 구매에서는 그 중요성과 고민이 더욱 커진다. 그렇다고 직접 줄자등을 이용하여 자신의 신체를 측정하는 사람은 거의 없으며, 있다고 하더라도 측정하는 위치 및 방법이 틀려서 원하는 정확한 값이 도출되기 힘들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위해 개발된 기술중 상용화된 기술은 3D스캐너를 이용하거나 다수의 디지털 카메라를 세팅하여 신체사이즈를 측정하는 것 들이 있다.
이러한 기술들은 특정장소가 필요, 고가의 장비 필요, 소비자의 접근성이 떨어지는 등의 이유로 소비자 이용이 많지 않고, 활용도가 떨어진다.
현실적이고, 소비자의 접근성이 용이하고, 언제, 어디서든, 쉽게 신체 사이즈를 측정을 하기위해, 아직 상용화는 되지 않았으나 스마트폰 카메라로 간편히 측정하기 위한 기술들이 몇 개 출원되어있다. 이 기술들에서는 스마트폰 카메라를 고정하고 촬영대상자를 임의의 편한 각도로 회전하도록 하여 촬영하거나, 촬영대상자를 고정하고 스마트폰 카메라를 임의의 편한 각도로 회전하도록 하여 촬영한후, 촬영한 여러 사진을 이용하여 영상처리를 통해 촬영대상자의 입체적인 신체 사이즈를 측정하거나 촬영대상자의 신체와 유사한 신체 형상을 만들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스마트폰 카메라 촬영 신체 사이즈 측정기술은 촬영대상자의 맨몸을 촬영하는 것으로서, 촬영대상자가 맨몸으로 찍는것에 대한 거부감이 있으며, 촬영대상자의 다양한 피부상태, 균일하지 못한 피부, 체모, 흉터 등에 의해 사이즈 측정의 강인성이 저하된다. 또한 다양한 각도의 사진을 매칭하여 입체화 시키는 데 있어서 여러 사진의 대응 위치를 매칭하는 대응위치 매칭 기준의 없어 입체적인 신체 사이즈를 정확하게 측정하기 어렵다.
이에, 대상자의 신체 사이즈를 측정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 중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한 사진으로 평면적인 신체 사이즈 및 입체적인 신체 사이즈를 측정하는 신체 사이즈 측정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촬영대상자의 다양한 피부상태, 균일하지 못한 피부, 체모, 흉터 등의 변화에 강인한 사이즈 측정이 가능하도록 하는 신체 사이즈 측정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각도의 사진을 매칭하여 입체화시키는 데 있어서 여러 사진의 대응 위치를 매칭하는 대응위치 매칭 기준을 제공하여 입체적인 신체 사이즈를 정확하게 측정하는 신체 사이즈 측정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촬영대상자별 다양한 신체특성을 반영하도록 촬영대상자 신체의 부분적인 형체를 파악하는 신체 사이즈 측정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신체 사이즈 측정 장치는, 신체 사이즈 측정을 위한 촬영용 의복을 착용한 대상자를 각도별로 촬영한 대상자 영상들을 출력하는 카메라 촬영부, 상기 대상자 영상들을 기반으로, 상기 대상자의 평면 신체 사이즈 및 입체 신체 사이즈를 측정하는 신체 사이즈 측정부 및 상기 평면 신체 사이즈 및 상기 입체 신체 사이즈를 기반으로, 상기 대상자가 선택 입력한 의복의 사이즈를 결정하고, 상기 대상자 영상들을 기반으로 상기 대상자가 상기 의복을 가상 착용한 피팅 결과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촬영용 의복에는, 상기 평면 신체 사이즈 및 상기 입체 신체 사이즈를 측정하기 위한 대응위치 매칭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대응위치 매칭부는, 상기 대상자의 몸통 영역 및 팔 영역을 구별하기 위한 몸통 무늬 및 팔 무늬를 포함하고, 상기 몸통 무늬 및 상기 팔 무늬 각각은, 색상(컬러), 형태 및 무늬간 거리 중 적어도 하나가 다를 수 있다.
상기 몸통 무늬는, 상기 대상자의 전면 몸통 및 후면 몸통 각각이 서로 다르게 형성되고, 상기 팔 무늬는, 상기 대상장의 좌, 우 팔 각각에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대응위치 매칭부는, 스트라이프 무늬 또는 도트 무늬일 수 있다.
상기 신체 사이즈 측정부는, 상기 대상자 영상들을 기반으로 상기 평면 신체 사이즈를 측정하는 신체 평면 사이즈 측정부 및 상기 대상자 영상들을 기반으로 상기 입체 신체 사이즈를 측정하는 신체 입체 사이즈 측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신체 평면 사이즈 측정부는, 상기 대상자 영상들 각각의 촬영각도를 산출하는 촬영각도 산출부, 상기 촬영각도를 기반으로 상기 몸통 무늬 및 상기 팔 무늬 중 평면에 해당되는 무늬 사이의 이미지 픽셀값들을 기반으로 실제 픽셀값을 산출하는 이미지 픽셀값 대응 실치수 산출부 및 상기 실제 픽셀값을 기반으로, 상기 신체 평면 사이즈를 측정하는 평면 사이즈 보정 산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신체 입체 사이즈 측정부는, 상기 대상자 영상들 각각에 포함된 상기 대응위치 매칭부를 서로 매칭하여, 상기 대상자의 신체 입체 형상을 산출하는 신체 입체 형상 산출부, 상기 대응위치 매칭부의 변형에 따른 상기 대상자의 신체 부분 형상의 변화를 비교하여 상기 신체 부분 형상을 보상하는 신체 부분 형상 보상부, 상기 신체 부분 형상이 보상된 상기 신체 입체 형상과 설정된 기준 신체 입체 영상을 비교하여, 상기 신체 입체 형상을 보정하는 신체 형상 데이터 베이스 반영 보상부 및 상기 보정된 신체 입체 형상을 기반으로 상기 신체 입체 사이즈를 측정하는 입체 사이즈 보정 산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평면 신체 사이즈 및 상기 입체 신체 사이즈를 서로 결합한 대상자 신체 사이즈를 산출하고, 상기 대상자 신체 사이즈에 따라 상기 의복의 사이즈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신체 사이즈 측정 시스템은, 신체 사이즈 측정을 위한 촬영용 의복을 착용한 대상자를 각도별로 촬영한 대상자 영상들을 출력하는 카메라 촬영부, 상기 대상자 영상들을 기반으로, 상기 대상자의 평면 신체 사이즈 및 입체 신체 사이즈를 측정하는 신체 사이즈 측정부를 포함하는 신체 사이즈 측정 장치 및 상기 신체 사이즈 측정 장치로부터 측정된 상기 평면 신체 사이즈 및 상기 입체 신체 사이즈를 결합한 대상자 신체 사이즈를 결정하고, 상기 대상자로부터 착용할 의복 입력시, 상기 대상자 신체 사이즈에 대응하는 상기 의복의 사이즈를 결정하고, 상기 의복을 가상 착용한 피팅 결과를 출력하는 피팅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신체 사이즈 측정 시스템은, 상기 피팅 장치가 상기 의복의 사이즈를 결정하기 위하여, 복수의 의복에 대한 사이즈별 데이터를 제공하는 의복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대상자 신체 사이즈에 매칭되는 신체 형상별 데이터를 제공하는 신체형상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피팅 서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피팅 장치는, 상기 의복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제공된 상기 사이즈별 데이터에서 상기 의복의 사이즈를 결정하고, 상기 신체형상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제공된 상기 신체 형상별 데이터에서 상기 대상자 신체 사이즈를 결정하며, 상기 대상자 신체 사이즈 및 상기 의복의 사이즈를 기반으로 상기 의복을 가상 착용한 상기 대상자의 피팅 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신체 사이즈 측정 장치 및 시스템은, 신체 사이즈를 측정하기 위한 촬영용 의복을 착용한 대상자를 촬영한 대상자 영상들을 기반으로, 신체 사이즈를 측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신체 사이즈 측정 장치 및 시스템은, 대상자가 선택한 의복의 사이즈를 측정된 신체 사이즈에 따라 결정하고, 대상자 영상에 의복을 가상 착용하도록 함으로써, 실제 착용하기 전에 피팅 결과를 확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신체 사이즈 측정 장치의 제어 구성을 나타낸 제어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신체 사이즈 측정 시스템의 제어 구성을 나타낸 제어 블록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신체 사이즈 측정 장치 및 시스템에서 신체 사이즈를 측정하기 위한 다양한 찰영용 의복을 나타낸 도이다.
도 6은 대상자의 여러 자세에서 촬영한 사진 예를 나타낸 도이다.
도 7은 대상자 의복에 부착하는 보정타겟을 나타낸 도이다.
도 8은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신체 사이즈 측정부에서 대상자 영상들에서 대상자 및 배성을 분리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9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신체 사이즈 측정부에서 대상자 영상들에서 대응위치 매칭 기준무늬에 따른 대상자 및 배경을 분리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신체 사이즈 측정 장치의 제어 구성을 나타낸 제어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신체 사이즈 측정 장치(100)는 카메라 촬영부(110), 신체 사이즈 측정부(130) 및 제어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신체 사이즈 측정 장치(100)는 휴대폰, 스마트폰, 노트북 컴퓨터, 패드, 랩탑 등 다양한 단말기일 수 있다.
카메라 촬영부(110)는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할 수 있다. 카메라 촬영부(110)는 신체 사이즈 측정을 위한 촬영용 의복을 착용한 대상자를 각도별로 촬영한 대상자 영상들(f1 ~fn)을 출력할 수 있다.
즉, 카메라 촬영부(110)는 대상자의 신체 사이즈를 측정하기 위해 여러 각도별로 대상자를 촬영할 수 있다. 카메라 촬영부(110)는 촬영한 대상자 영상들(f1 ~fn)을 신체 사이즈 측정부(130)로 출력할 수 있다.
촬영용 의복은 사용자(촬영 대상자)가 착용하는 옷이다. 촬영용 의복은 대응위치 매칭부를 구비할 수 있다. 대응위치 매칭부는 대상자의 신체 사이즈 측정을 위한 것이다.
대응위치 매칭부는 무늬(모양 및 색채)를 구비하며, 추가로 형상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대응위치 매칭부는 촬영용 의복의 외관에 나타나는 선도, 색흐림, 및 색구분 중 어느 하나의 무늬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대응위치 매칭부는 촬영용 의복에 부착되는 특별한 무늬를 지닌 부착물(타겟)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대응위치 매칭부는 촬영용 의복에 형성된 무늬와 별도 부착물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의복에 형성된 무늬(이하, '의복 무늬', 또는 '의상 무늬') 또는 별도 부착물에 형성된 무늬(이하, '타겟 무늬')는 기설정된 모양과 색상을 가질 수 있다. 무늬를 이루는 구성요소로서의 모양, 모양의 크기, 모양과 모양 사이의 거리 등은 설정된 값을 가진다. 각각의 설정값은 여러 값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점 무늬인 경우, 점의 크기, 점과 점 사이의 거리, 등은 기설정 값을 가질 수 있다. 이 때 점의 색상 및/또는 모양(원형, 삼각, 사각 등)을 달리 할 수 있다. 점의 크기, 및/또는 점들 사이의 거리를 달리 할 수 있다. 점 크기 및/또는 점들 사이 간격은 점의 색상 및/또는 모양에 종속적일 수 있다.
의복 무늬 및/또는 타겟 무늬, 즉 대응위치 매칭부의 무늬의 속성(모양의 크기, 모양 사이의 거리, 모양의 색채 등)을 기초로, 2차원인 영상으로부터 대상자의 신체 사이즈를 이끌어 낼 수 있다. 대응위치 매칭부 무늬의 모양은 띠 모양, 원형, 다각형 등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대응위치 매칭부는 대상자의 몸통 영역 및 팔 영역을 구별하기 위한 몸통 무늬 및 팔 무늬를 포함하고, 몸통 무늬 및 팔 무늬 각각은 색상(컬러), 형태 및 무늬간 거리 중 적어도 하나가 다를 수 있다.
또한, 몸통 무늬는 대상자의 전면 몸통 및 후면 몸통 각각이 서로 다르게 형성되고, 팔 무늬는 대상자의 좌, 우 팔 각각에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의복 무늬는 대상자의 착용 상태에 따라 변형이 생길 수 있으나, 타겟 무늬는 변형이 없는 면에서, 서로 차이가 있다. 예를 들어, 타켓 무늬는 몸통 및 팔에 각각 부착될 수 있으며, 각각은 촬영 각도에 따라 크기, 무늬간 거리 등이 변형되지 않을 수 있다. 변형되지 않은 타겟 무늬는 신체 사이즈를 측정할때 신체 사이즈의 보정에 사용될 수 있다.
신체 사이즈 측정부(130)는 대상자 영상들을 기반으로, 대상자의 평면 신체 사이즈 및/또는 입체 신체 사이즈를 측정할 수 있다. 이에, 신체 사이즈 측정부(130)는 신체 평면 사이즈 측정부(132) 및/또는 신체 입체 사이즈 측정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신체 평면 사이즈 측정부(132)는 촬영각도 산출부(134), 이미지 픽셀값 대응 실치수 산출부(136) 및 평면 사이즈 보정 산출부(138)를 포함할 수 있다.
촬영각도 산출부(134)는 대상자 영상들(f1 ~fn) 각각의 촬영각도를 산출할 수 있다. 촬영각도 산출부(134)는 대상자 영상들(f1 ~fn) 각각의 대응위치 매칭부의 각도 변화 및/또는 크기, 무늬가 거리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대상자 영상들(f1 ~fn) 각각의 촬영각도를 산출할 수 있다.
이미지 픽셀값 대응 실치수 산출부(136)는 대상자 영상들(f1 ~fn) 각각의 촬영각도를 기반으로 대상자 영상들(f1 ~fn) 각각의 이미지 픽셀값에 따른 실제 픽셀값을 산출할 수 있다. 이미지 픽셀값 대응 실치수 산출부(136)는 상기 몸통 무늬 및 상기 팔 무늬 중 평면에 해당되는 무늬 사이의 이미지 픽셀값들을 기반으로 대상자의 실제 픽셀값을 산출할 수 있다.
상기 실제 픽셀값은 상기 이미지 픽셀값들 각각에 대하여 실제 대상자의 사이즈를 측정할 수 있는 픽셀값으로, 대상자에 해당되는 폭, 가슴 두께 및 신장에 대한 값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평면 사이즈 보정 산출부(138)는 상기 실제 픽셀값을 기반으로, 상기 신체 평면 사이즈를 측정하여 제어부(150)로 출력할 수 있다. 즉, 평면 사이즈 보정 산출부(138)는 대상자의 평면 사이즈, 즉, 대상자 영상들(f1 ~ fn)에서 가슴 및 팔 등의 평면적인 폭(거리)을 산출한 평면 사이즈를 설정된 상기 실제 픽셀값들 사이의 거리를 기반으로 보정하여, 상기 신체 평면 사이즈를 측정할 수 있다.
신체 입체 사이즈 측정부(140)는 신체 입체 형상 산출부(142), 신체 부분 형상 보상부(144), 신체 형상 데이터 베이스 반영 보상부(146) 및 입체 사이즈 보정 산출부(148)를 포함할 수 있다.
신체 입체 형상 산출부(142)는 대상자 영상들(f1 ~fn) 각각에 포함된 대응위치 매칭부를 서로 매칭하여, 대상자의 신체 입체 형상을 산출할 수 있다. 즉, 신체 입체 형상 산출부(142)는 대상자 영상들(f1 ~ fn) 각각의 대칭위치 매칭부를 서로 동일한 선상, 또는 동일한 위치로 매칭하여, 측정 각도가 동일하거나 또는 다른 대상자 영상들(f1 ~ fn) 각각을 혼합하여, 대상자의 신체 입체 형상을 산출할 수 있다.
신체 부분 형상 보상부(144)는 상기 대응위치 매칭부의 변형에 따른 상기 대상자의 신체 부분 형상의 변화를 비교하여 상기 신체 부분 형상을 보상할 수 있다. 즉, 신체 부분 형상 보상부(144)는 예를 들면, 대상자 영상들(f1 ~ fn) 중 하나의 대상자 영상에서 촬영 각도에 따라 대상자의 신체 형상이 변화할 수 있으므로, 다른 대상자 영상들을 이용하여 동일한 대상자의 신체 형상으로 보정할 수 있다.
신체 형상 데이터 베이스 반영 보상부(146)는 상기 신체 부분 형상이 보상된 상기 신체 입체 형상과 설정된 기준 신체 입체 형상을 비교하여, 상기 신체 입체 형상을 보정할 수 있다. 즉, 신체 형상 데이터 베이스 반영 보상부(146)는 대상자의 신체 부분 형상이 보정된 상기 신체 입체 형상과 상기 대상자의 기 설정된 기준 신체 입체 형상을 서로 매칭시켜, 신체 입체 형상을 전체적으로 보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준 신체 입체 형상은 설정된 복수 개의 기준 신체 입체 형상 중 상기 신체 입체 형상과 유사한 크기(사이즈)를 갖는 형상이며, 신체 형상 데이터 베이스 반영 보상부(146)에 설정된 것으로 설명한다.
입체 사이즈 보정 산출부(148)는 신체 형상 데이터 베이스 반영 보상부(146)에서 보정된 신체 입체 형상을 기반으로 대상자의 신체 입체 사이즈를 측정하여 제어부(150)로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입력된 신체 평면 사이즈 및 신체 입체 사이즈를 융합하여, 대상자의 신체 사이즈를 산출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대상자로부터 선택 입력된 의복의 사이즈 중 신체 사이즈에 매칭되는 사이즈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사이즈를 가상 착용한 대상자에 대한 피팅 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상자의 신체 평면 사이즈에 해당되는 가슴 폭 및 대상자의 신체 입체 사이즈에 해당되는 가슴 두께를 이용하는 경우, 제어부(150)는 가슴 폭 및 상기 가슴 두께를 서로 대상자의 융합함으로써, 대상자의 가슴 둘레에 대한 신체 사이즈를 산출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신체 사이즈 측정 시스템의 제어 구성을 나타낸 제어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신체 사이즈 측정 시스템(200)은 신체 사이즈 측정 장치(210) 및 피팅 장치(250)를 포함할 수 있다.
신체 사이즈 측정 장치(210)는 카메라 촬영부(220) 및 신체 사이즈 측정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신체 사이즈 측정 장치(210)는 별도의 단말기(이동 단말기, 개인 PC 등)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신체 사이즈 측정 장치(210)는 2 이상의 장치로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 촬영부(220)는 통신이 가능한 카메라, 또는 스마트폰일 수 있다. 신체 사이즈 측정부(230)는 개인 컴퓨터이거나, 별도의 서버일 수 있다.
카메라 촬영부(220)는 도 1의 카메라 촬영부(110)에 대응될 수 있다. 이하, 도 2의 각 구성요소는 도 1의 도면 부호는 상이하지만 동일한 명칭 구성요소에 각각 대응될 수 있다. 대응하는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카메라 촬영부(220)는 촬영한 대상자 영상들(f1 ~fn)을 신체 사이즈 측정부(230)로 출력할 수 있다.
신체 사이즈 측정부(230)는 신체 평면 사이즈 측정부(232) 및 신체 입체 사이즈 측정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신체 평면 사이즈 측정부(232)는 촬영각도 산출부(234), 이미지 픽셀값 대응 실치수 산출부(236) 및 평면 사이즈 보정 산출부(238)를 포함할 수 있다.
촬영각도 산출부(234)는 대상자 영상들(f1 ~fn) 각각의 촬영각도를 산출할 수 있다.
이미지 픽셀값 대응 실치수 산출부(236)는 대상자 영상들(f1 ~fn) 각각의 촬영각도를 기반으로 대상자 영상들(f1 ~fn) 각각의 이미지 픽셀값에 따른 실제 픽셀값을 산출할 수 있다.
평면 사이즈 보정 산출부(238)는 상기 실제 픽셀값을 기반으로, 상기 신체 평면 사이즈를 측정하여 피팅장치(250)로 출력할 수 있다.
신체 입체 사이즈 측정부(240)는 신체 입체 형상 산출부(242), 신체 부분 형상 보상부(244), 신체 형상 데이터 베이스 반영 보상부(246) 및 입체 사이즈 보정 산출부(248)를 포함할 수 있다.
신체 입체 형상 산출부(242)는 대상자 영상들(f1 ~fn) 각각에 포함된 대응위치 매칭부의 무늬를 서로 매칭하여, 대상자의 신체 입체 형상을 산출할 수 있다.
신체 부분 형상 보상부(244)는 상기 대응위치 매칭부의 무늬의 변형에 따른 상기 대상자의 신체 부분 형상의 변화를 비교하여 상기 신체 부분 형상을 보상할 수 있다.
신체 형상 데이터 베이스 반영 보상부(246)는 상기 신체 부분 형상이 보상된 상기 신체 입체 형상과 설정된 기준 신체 입체 형상을 비교하여, 상기 신체 입체 형상을 보정할 수 있다.
상기 기준 신체 입체 형상은 설정된 복수 개의 기준 신체 입체 형상 중 상기 신체 입체 형상과 유사한 크기(사이즈)를 갖는 형상이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는 신체 형상 데이터 베이스 반영 보상부(246)에 설명을 참조한다.
입체 사이즈 보정 산출부(248)는 신체 형상 데이터 베이스 반영 보상부(246)에서 보정된 신체 입체 형상을 기반으로 대상자의 신체 입체 사이즈를 측정하여 피팅장치(250)로 출력할 수 있다.
피팅장치(250)는 상기 의복의 사이즈를 결정하기 위하여, 복수의 의복에 대한 사이즈별 데이터를 제공하는 의복 데이터베이스(252) 및 상기 대상자의 신체 사이즈에 매칭되는 신체 형상별 데이터를 제공하는 신체형상 데이터베이스(254)를 포함할 수 있다.
피팅장치(250)는 의복 데이터베이스(252)로부터 제공된 상기 사이즈별 데이터에서 상기 의복의 사이즈를 결정하고, 신체형상 데이터베이스(254)로부터 제공된 상기 신체 형상별 데이터에서 상기 신체 사이즈를 결정하며, 상기 신체 사이즈 및 상기 의복의 사이즈를 기반으로 상기 의복을 가상 착용한 상기 대상자의 피팅 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
신체형상 데이터베이스(254)는 다양한 사이즈의 대표 신체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대표 신체형상은 여러 실제 측정과 데이터 수집을 통해 많은 신체형상 및 신체 사이즈 데이터를 확보하고, 많은 신체형상 및 사이즈를 분류하여 각각의 분류 영역마다 형상과 사이즈를 대표하는 신체형상 데이터를 구축한다.
예를들어, 신장, 가슴둘레, 허리둘레, 엉덩이둘레, 어깨넓이, 허리길이, 팔길이, 다리두께, 팔두께 등을 요소로 신체 형상을 분류하여 대표 신체형상을 만들수 있다.
실시 예에서, 피팅장치(250)는 의복 데이터베이스(252) 및 신체형상 데이터베이스(254)를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의복 데이터베이스(252) 및 신체형상 데이터베이스(254)가 별도의 피팅 서버에 포함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신체 사이즈 측정 장치 및 시스템에서 신체 사이즈를 측정하기 위한 다양한 찰영용 의복을 나타낸 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촬영용 의복은 하나 이상의 대응위치 매칭부를 마련할 수 있다. 본 대응위치 매칭부는 의복 무늬로서, 의복에 형성된 줄(띠, stripe) 모양의 무늬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 및/또는 도 2의 신체 입체 형상 산출부(142, 242)는 이 대응위치 매칭부를 이용하여 입체 사이즈 측정을 위한 대응위치를 매칭할 수 있다. 다양한 각도에서 촬영한 사진을 매칭하여 입체화시키는 데 있어서 여러 사진의 대응 위치를 매칭하는 대응위치 매칭 기준으로서 도 3과 같은 대응위치 매칭부를 제공하여 입체적인 신체 사이즈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면에서 촬영한 사진과 정면과 45도 각도로 촬영한 사진이 있을 때, 도 3과 같은 대응위치 매칭부는 두 사진 모두에 존재하기 때문에, 대응위치 매칭부가 바르게 정렬되도록 두 사진의 대응 위치를 매칭하면 둘레 치수와 같은 입체적인 신체 사이즈 산출하며,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촬영용 의복은 분산된 다수의 대응위치 매칭부를 구비할 수 있다. 대응위치 매칭부는 의상에 형성된 의상 무늬 및 부착물에 형성된 타겟 무늬를 구비할 수 있다.
타겟 무늬는 정면 보정 타켓 및 측면 보정 타켓에 형성될 수 있다. 타켓 무늬는 대상자의 착용에 따른 무늬의 변형이 생기지 않아 보정시 기준이 될 수 있다.
의상 무늬는 몸통 및 팔 부분이 구분되는 원형 모양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도면에서 의상무늬의 하체는 몸통의 무늬와 동일하게 표시되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몸통과 구별되는 모양을 가질 수 있다. 신체의 부분별로 구분되는 것은 본 도면과 같이 색상에 의해 구별(검정색 바탕에 파랑색 원형 모양의 몸통 무늬; 검정색 바탕에 빨갱색 원형 모양의 팔 무늬)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무늬의 모양이나 크기를 달리하여 구별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구별 속성의 상술한 바와 같이, 무늬를 구성하는 요소의 모양, 모양의 크기, 모양 간의 거리, 모양의 색상 등이 있다. 좌우 다리를 구별하기 쉽도록 좌우 다리의 무늬를 다르게 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의 신체 입체 형상 산출부(142, 242)는 이 대응위치 매칭부를 이용하여 입체 사이즈 측정을 위한 대응위치를 매칭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촬영용 의복은 분산된 다수의 대응위치 매칭부를 사용하여, 도 1 및 도 2의 신체 부분 형상 보상부(144, 244)는 신체 부분 형체보상을 할 수 있다.
촬영용 의복은 신축성이 큰 소재이며, 대상자의 신체 부분 형체에 따라 무늬가 변형된다. 그러므로 신체 부분 형상 보상부(144, 244)는 촬영용 의복에 형성된 의복 무늬 중 원형 모양 자체의 변형 및 원형 모양 사이의 간격 변형을 영상처리 시 변형 계산을 통해 인식하고 산출하면 신체 부분 형체의 변화를 측정할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정면보정타겟, 측면보정타겟 등을 촬영용 의복에 부착하거나 촬영대상자 근처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정면보정타겟, 측면보정타겟 등은 촬영대상자의 신체에 따라 변형되지않으며, 표시된 무늬 또는 형상이 미리 설정한 사이즈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면보정타겟, 측면보정타겟 등을 이용하여 도 1 및 도 2의 나타낸 촬영각도 산출부(134, 234)은 촬영각도를 산출할 수 있다. 미리 설정한 사이즈, 즉 사이즈를 아는 보정타겟의 여러 사이즈를 측정하면 카메라 이미지면과 보정타겟면의 각도가 구해질 수 있다.
이미지 픽셀값 대응 실치수 산출부(136, 236)는 사이즈를 아는 보정타겟의 사이즈로부터 실제 픽셀값을 산출할 수 있다.
산출된 실제 픽셀값로부터 평면 사이즈 보정부(138, 238)는 촬영대상자의 평면 사이즈를 측정할 수 있다. 추가로 카메라 초점거리와 같은 파라미터를 알면 기하광학적 관계에 의해 촬영 거리를 알 수 있으며, 산출된 촬영 거리는 대상자의 평면 사이즈 산출에 보조적인 역할을 할 수 있다.
복수의 보정 타겟은 각도 계산을 더 정확하게 하기 위해 카메라 촬영부(110, 220)가 비교적 먼 거리에서 촬영대상자를 촬영하여도, 평면 사이즈를 측정하는데 타겟 거리나 크기가 동일하게 변경되므로서, 타겟 거리나 크기가 서로 비례하므로, 평면 사이즈를 보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의 보정 타겟은 복수 개의 닷트가 서로 동일한 거리 및 크기로 형성되며, 복수 개의 닷트는 카메라 촬영부(110, 220)의 촬영 각도 및 촬영 거리에 따라 거리 및 크기가 동일하게 변화함으로써, 촬영 거리가 멀어질수록 닷트의 크기가 감소할 수 있다.
촬영용 의복은 보정타겟을 부착하지 않고, 촬영용 의복은 무늬간 간격을 알고 있으므로 이 무늬간 간격이 보정타겟 역할을 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5에 나타낸 촬영용 의복은 도 4에 나타낸 촬영용 의복과 유사하지만, 도 5에 나타낸 촬영요 의복은 몸통과 팔에 각각 세가지 컬러를 가진 원형무늬가 번갈아 반복되며, 몸통 무늬는 검정색 바탕에 빨강, 주황, 분홍색 무늬이고, 팔 무늬는 검정색 바탕에 파랑, 하늘, 군청색 무늬일 수 있다. 동일 영역에 속한 의상 무늬의 모양 색상을 달리하여, 도 3에 나타난 띠 모양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에서 설명한 대로 촬영용 의복에는 다양한 대응위치 매칭부를 마련할 수 있다. 무늬 각 요소의 모양, 컬러, 크기, 각 무늬 요소 사이의 간격, 무늬의 분포에 따라 다양한 대응위치 매칭부를 만들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도 6은 대상자의 여러 자세에서 촬영한 사진 예를 나타낸 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촬영대상자가 자세를 회전하거나 이동 단말기, 예를들면, 스마트폰 카메라, 디지털 카메라 등으로 촬영자가 대상자의 주위 둘레를 회전하면서 대상자의 여러 자세에서 촬영한 사진 예를 나타낸다.
도 7은 대상자 의복에 부착하는 보정타겟을 나타낸 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신체 사이즈와 촬영각도를 산출하기 위한 대상자의 의복에 부착하는 보정 타겟을 나타내며, 의복에 부착하지 않고 대상자 근처에 위치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도 8은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신체 사이즈 측정부에서 대상자 영상들에서 대상자 및 배경을 분리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신체 사이즈 측정부(130, 230)는 대상자 영상들(f1 ~fn)에서 대상자(이하, '오브젝트'로 칭함) 및 배경을 분리하기 위한 속성을 선택할 수 있다(S310).
신체 사이즈 측정부(130, 140)는 오브젝트의 색상(컬러), 오브젝트의 경계선 및 움직임 중 적어도 하나의 속성을 선택할 수 있다.
오브젝트의 색상(컬러)는 대상자 영상들(f1 ~ fn)에서 대상자가 착용한 촬영용 의복의 색상에 따라 배경에서 오브젝트를 분리할 수 있다.
오브젝트의 경계선은 대상자 영상들(f1 ~ fn)에서 대상자가 착용한 촬영용 의복을 구현하는 경계선을 구획한 후 그에 따라 배경에서 오브젝트를 분리할 수 있다.
오브젝트의 움직임은 대상자 영상들(f1 ~ fn)에서 대상자가 착용한 촬영용 의복이 촬영각도에 따라 가변되는 경계선 중 중첩되는 경계선을 이용하여 배경에서 오브젝트를 분리할 수 있다.
신체 사이즈 측정부(130, 230)는 선택된 속성으로 오브젝트와 배경을 설정된 임계값에 따라 구분할 수 있다(S320). 임계값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색상에 대한 임계값, 경계선에 대한 임계값 및 움직임에 따른 경계선의 중첩 임계값으로 볼 수 있다.
신체 사이즈 측정부(130, 230)는 구분된 오브젝트를 노이즈제거 필터링, 모폴로지 연산, 바이너리 필터링 등을 이용하여, 신체 사이즈를 측정하기 위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S330). 신체 사이즈 측정부(130, 230)는 노이즈제거 필터링, 모폴로지 연산, 바이너리 필터링 등을 이용하여, 배경과 분리된 오브젝트의 형상에서 노이즈를 제거하여, 오브젝트의 형상이 명확하게 나타나도록 할 수 있다.
도 9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신체 사이즈 측정부에서 대상자 영상들에서 대응위치 매칭 기준무늬에 따른 대상자 및 배경을 분리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9는 도 8과 다르게, 대상자가 착용한 촬영용 의복에 대응위치 매칭부가 있을 때, 대상자, 즉 오브젝트와 배경을 분리하는 방법이다. 이하, 대응위치 매칭부를 구비한 오브젝트를 무늬 오브젝트라 칭하기로 한다.
도 9를 참조하면, 신체 사이즈 측정부(130, 230)는 촬영용 의복을 착용한 대상자, 즉 무늬 오브젝트와 배경을 구분할 수 있다. 이는, 도 8에서 상술한 촬영용 의복의 컬러, 오브젝트의 경계선, 움직임 등의 속성을 하나 이상 이용하여 구분할 수 있다. 또는 신체 사이즈 측정부(130, 230)는 대응위치 매칭부의 무늬의 속성을 추가로 이용하여 구분할 수 있다. 신체 사이즈 측정부(130, 230)는 오브젝트의 속성 또는 무늬 오브젝트(대응위치 매칭부의 무늬 속성)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거나, 모두를 이용하여 배경을 구분할 수 있다.
신체 사이즈 측정부(130, 230)는 무늬 오브젝트와 배경을 구분하는 속성 선택을 선택하고(S410), 선택된 속성으로 무늬 오브젝트와 배경을 구분할 수 있다(S420).
대응위치 매칭부의 무늬 속성이 선택된 경우, 신체 사이즈 측정부(130, 230)는 대응위치 매칭부의 무늬만을 구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트라이프 무늬 또는 도트 무늬인 것과 아닌 것(배경)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 때, 무늬 오브젝트가 스트라이프 무늬인 경우, 신체 사이즈 측정부(130, 230)는 몸통 영역에 나타낸 몸통 무늬 및 팔 영역에 나타낸 팔 무늬를 서로 연경함으로써, 무늬 오브젝트와 배경을 구분할 수 있다.
또한, 무늬 오브젝트가 도트 무늬인 경우, 신체 사이즈 측정부(130, 230)는 몸통 영역에 나타낸 몸통 무늬 및 팔 영역에 나타낸 팔 무늬, 즉 도트 무늬의 분포를 이용하여 무늬 오브젝트와 배경을 구분할 수 있다.
신체 사이즈 측정부(130, 230)는 스트라이브 무늬 또는 도트 무늬의 컬러를 기반으로 배경을 구분할 수 있다.
신체 사이즈 측정부(130, 230)는 구분된 오브젝트를 신체 사이즈를 측정하기 위해, 노이즈제거 필터링, 모폴로지 연산, 바이너리 필터링 등을 이용해 수행할 수 있다(S430). 신체 사이즈 측정부(130, 230)는 노이즈제거 필터링, 모폴로지 연산, 바이너리 필터링 등을 이용하여, 배경과 분리된 오브젝트의 형상에서 노이즈를 제거하여, 오브젝트의 형상이 명확하게 나타나도록 할 수 있다.
신체 사이즈 측정부(130, 230)는 무늬 오브젝트(대응위치 매칭부)의 속성 값을 산출할 수 있다(S440). 신체 사이즈 측정부(130, 230)는 몸통 무늬 및 팔 무늬에 형성된 스트라이프 무늬 또는 도트 무늬의 길이, 두께 또는 크기, 도트간 거리를 이용하여, 종합적으로 영상 좌표값을 나타내는 특징값을 산출할 수 있다.
신체 사이즈 측정부(130, 230)는 신체 사이즈 측정을 위해 사용할 수 있도록 대응위치 매칭을 위해 구분된 무늬 오브젝트를 분류한다(S450). 신체 사이즈 측정부(130, 230)는 무늬 오브젝트의 특징값을 토대로 무늬 오브젝트를 분류한다. 일 예로 무늬 오브젝트의 특징값 크기에 따라 이미지 좌표 좌상에서 우하 방향으로 넘버링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또는 무늬 오브젝트의 특징값 크기에 따라 그룹핑하여 이미지 좌표 좌상에서 우하 방향으로 넘버링 등으로 분류할수 있다.
신체 사이즈 측정부(130, 230)는 상기 그룹화 후에 무늬 오브젝트 그룹을 분류한다(S460). 일 예로 무늬 오브젝트 그룹의 특징값 크기에 따라 이미지 좌표 좌상에서 우하 방향으로 넘버링 등으로 분류할수 있다. 또는 무늬 오브젝트 그룹의 특징값 크기에 따라 그룹핑하여 이미지 좌표 좌상에서 우하 방향으로 넘버링 등으로 분류할수 있다.
도 10은 도 9에 나타낸 무늬 오브젝트가 스트라이프 무늬인 경우, 특징값에 따라 넘버링하여 분류하는 예를 나타낸 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신체 사이즈 측정부(130, 230)는 구분된 무늬 오브젝트를 무늬 오브젝트의 특징값에 따라 M0_1 ~ M0_7으로 넘버링하여 분류할 수 있다.
신체 사이즈 측정부(130, 230)는 정면을 0도로 보고 M0_k식으로 표현하고 왼쪽측면을 90도로 보고 M90_1~M90_7식으로 넘버링하여 분류하는 등 촬영 각도에 따른 영상마다 무늬 오브젝트를 분류할 수 있다.
신체 사이즈 측정부(130, 230)는 분류한 무늬 오브젝트 각각을 대응위치 매칭하여 사이즈 측정에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M0_1, M20_1, M45_1, M73_1, M90_1, M120_1는 여러 각도의 사진중 동일한 대응위치로 분류한 것으로, 해당위치의 각 사진의 좌표값들과 사이즈들을 여러 위치의 좌표값들과 사이즈들을 통합하여 신체 사이즈를 산출할 수 있다.
신체 사이즈 측정부(130, 230)는 무늬 오브젝트가 스트파이브 무늬인 경우, 몸통 영역에 해당되는 특징값들의 길이, 특징값들의 세로 두께에 따라 몸통 사이즈를 산출할 수 있다.
신체 사이즈 측정부(130, 230)는 팔 영역에 해당되는 특징값들, 또는 하체 영역에 해당되는 특징값들을 상술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사이즈를 산출할 수 있다.
도 11은 도 9에 나타낸 무늬 오브젝트가 도트 무늬인 경우, 특징값에 따라 넘버링하여 분류하는 예를 나타낸 도이다.
도 11은 분산된 다수의 대응위치 매칭부를 사용할 때, 구분된 무늬 오브젝트를 무늬 오브젝트의 특징값을 이용하여 몇 개의 그룹으로 나누는 것을 보여준다.
여기서, 도 11에서는 상기 그룹화 특징값을 수직좌표값 차이가 가장 적은 값들로 하여, 즉, 수평으로 무늬를 하나의 그룹으로 만들 수 있다.
도 11은 각 무늬 오브젝트 그룹의 특징값에 따라 M0_k , M90_k 방식으로 넘버링하여 분류한 예이다. 정면을 0도로 보고 M0_k식으로 표현하고 왼쪽측면을 90도로 보고 M90_k 식으로 넘버링하여 분류하는 등 여러 각도의 사진마다 무늬 오브젝트를 분류할 수 있다.
분류한 무늬 오브젝트 각각을 대응위치 매칭하여 사이즈 측정에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M0_1, M20_1, M45_1, M73_1, M90_1, M120_1는 여러 각도의 사진중 동일한 대응위치로 분류한 것으로, 해당위치의 각 사진의 좌표값들과 사이즈들을 여러 위치의 좌표값들과 사이즈들을 통합하여 사이즈를 산출할 수 있다.
도 12 내지 도 14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신체 사이즈 측정부에서 대상자 영상들에서 대상자를 분리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및 분리 방법을 예시하는 도이다.
도 12는 보정용 타겟(타겟 무늬)이 없는 경우의 촬영각도 산출, 이미지 픽셀값 대응 실치수 산출 및 평면 사이즈 보정산출 방법을 나타낸다.
신체 사이즈 측정부(130, 230)는 하나 이상의 대상자 영상들에서 촬영용 의복의 여러 무늬점간 거리를 픽셀값으로 측정할 수 있다(S610).
도 13에 나타낸 정면 대상자 영상에 대해, 상부에서 측정한 무늬간 수직거리와 하부에서 측정한 무늬간 수직거리의 차이는 촬영각도 정보, 촬영거리 정보, 촬영용 의복의 변형정보, 촬영용 의복내 무늬점간 거리 측정면의 기울기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신체 사이즈 측정부(130, 230)는 도 13에 나타낸 정면 대상자 영상을 기반으로, 카메라 촬영부(110, 220)의 촬영각도 정보, 촬영거리 정보, 촬용용 의복의 변형정보 및 촬영용 의복내 무늬간 거리 측정면의 기울기 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 즉, 신체 사이즈 측정부(130, 230)는 도 13에 나타낸 정면 대상자 영상의 상부에서 측정한 무늬간 수직거리 및 하부에서 측정한 무늬간 수직거리 사이의 차이 및 설정된 촬영용 의복의 상부 및 하부에 형성된 무늬간 실치수 거리를 비교함으로써, 카메라 촬영부(110, 220)의 촬영각도 정보, 촬영거리 정보, 촬용용 의복의 변형정보 및 촬영용 의복내 무늬간 거리 측정면의 기울기 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
신체 사이즈 측정부(130, 230)는 측정한 무늬점간 거리를 하나 이상의 다른 촬영각도의 대상자 영상을 이용하여 보상한다(S620). 예를 들어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면 사진의 무늬점간 거리에 대하여, 측면의 사진을 이용하면 도 14와 같이 측면신체축에 대한 정면 무늬점간 거리 측정면의 기울기를 알 수 있다.
신체 사이즈 측정부(130, 230)는 산출된 무늬점간 거리 측정면의 기울기를 이용하여 무늬점간 거리를 보상할 수 있다. 신체 사이즈 측정부(130, 230)는 다수의 무늬점간 거리를 이용하여 통계적인 거리를 산출하면 촬영각도 산출시에 촬영용 의복의 변형에 의한 기여부분을 많이 제거할 수 있다.
신체 사이즈 측정부(130, 230)는 설정된 신체 모델을 활용하여 무늬점간 거리를 보정할 수 있으며, 무늬점간 수직거리 외에 다른 거리를 이용할 수도 있다.
신체 사이즈 측정부(130, 230)는 픽셀값을 갖는 보상한 무늬점간 거리와 카메라 파라미터 등을 이용하여 기하광학적 관계에 의해 촬영각도를 산출할 수 있다 (S630).
신체 사이즈 측정부(130, 230)는 픽셀값을 갖는 보상한 무늬점간 거리와 촬영용 의복의 무늬간 거리 실치수를 비교하여 이미지 픽셀값 대응 실치수를 산출한다(S640). 예를 들어 “이미지 수직위치 y=1030 픽셀에서는 수직방향 1픽셀당 1.25mm”같은 방식으로 산출할 수 있다.
신체 사이즈 측정부(130, 230)는 이미지 픽셀값 대응 실치수를 이용하여 촬영용 의복을 입은 신체의 특정한 관심 지점간의 신체 평면 사이즈를 산출한다(S650).
도 15 내지 도 17은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신체 사이즈 측정부에서 대상자 영상들에서 대상자를 분리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및 분리 방법을 예시하는 도이다.
도 15는 보정타겟을 이용한 촬영각도 산출, 이미지 픽셀값 대응 실치수 산출 및 평면 사이즈 보정산출 방법이다.
신체 사이즈 측정부(130, 230)는 사진 이미지에서 촬영용 의복의 보정타겟 내 하나 이상의 무늬점간 거리를 픽셀값으로 측정할 수 있다(S710).
도 16의 정면 대상자 영상을 예로 들면, 상부에서 측정한 무늬간 수직거리와 하부에서 측정한 무늬간 수직거리의 차이는 촬영각도 정보, 촬영거리 정보, 보정타겟내 무늬점간 거리 측정면의 기울기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신체 사이즈 측정부(130, 230)는 도 16에 나타낸 정명 대상자 영상을 기반으로 카메라 촬영부(110, 220)의 촬영각도 정보, 촬영거리 정보, 보정타켓내 무늬점감 거리 측정면의 기울기 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 즉, 신체 사이즈 측정부(130, 230)는 도 16에 나타낸 정면 대상자 영상의 상부에서 측정한 보정타겟내 무늬간 수직거리 및 하부에서 측정한 보정타겟내 무늬간 수직거리 사이의 차이 및 설정된 촬영용 의복의 상부 및 하부에 형성된 보정타겟내 무늬간 실치수 거리를 비교함으로써, 카메라 촬영부(110, 220)의 촬영각도 정보, 촬영거리 정보, 보정타켓내 무늬점감 거리 측정면의 기울기 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
도 16에서 상부 보정타겟 하나에 무늬가 9개 있기 때문에 보정타겟 하나만으로도 보정이 가능하며, 보정타겟이 복수 개인 경우, 보정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신체 사이즈 측정부(130, 230)는 측정한 무늬점간 거리를 하나 이상의 다른 촬영각도의 대상자 영상을 이용하여 보상할 수 있다(S720). 예를 들어 도 16에 나타낸 정면 대상자 영상의 무늬점간 거리에 대하여, 도 17에 나타낸 측면의 대상자 영상을 이용하면 측면신체축에 대한 정면 무늬점간 거리 측정면의 기울기를 알 수 있다.
신체 사이즈 측정부(130, 230)는 픽셀값을 갖는 보상한 무늬점간 거리와 카메라 파라미터 등을 이용하여 기하광학적 관계에 의해 촬영각도를 산출할 수 있다 (S730).
신체 사이즈 측정부(130, 230)는 픽셀값을 갖는 보상한 무늬점간 거리와 촬영용 의복의 무늬간 거리 실치수를 비교하여 실제 픽셀값을 산출할 수 있다(S740).
신체 사이즈 측정부(130, 230)는 이미지 픽셀값 대응 실치수를 이용하여 촬영용 의복을 입은 신체의 특정한 관심 지점간의 신체 평면 사이즈를 산출할 수 있다(S750).
이상으로 보정타겟을 촬영용 의복에 부착하는 실시예를 기술하였으나, 보정타겟을 의복에 부착하지 않고 촬영대상자 근처의 배경에 부착하거나 바닥에 세워놓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보정타겟을 사각면체 형태로 만들어 바닥에 세워 놓을 수 있다.
도 18은 대상자 영상에서 신체 횡단면의 관계를 나타낸 도이다. 도 18는 신체 횡단면 중 일례로, 배(복부) 부위 횡단면을 표시한다.
이때, 횡단면의 바깥 곡선은 해당 횡단면의 둘레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횡단면 둘레는 형상이나 사이즈를 측정하고 신체 각 부위 횡단면의 형상, 사이즈 측정값을 모으면 전체 신체 입체 사이즈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횡단면 둘레는 형상이나 사이즈를 측정하기 위해, 다수의 촬영각도로 촬영한 대상자 영상들을 이용할 수 있다.
도 18에서, V1~V4로 표시한 선분들은 소정 촬영각도로 촬영한 대상자들 영상에서 투영 이미징된 신체, 즉 신체의 종단면 중에 상기 횡단면과 교점을 갖는 선분일 수 있다.
상기 신체 횡단면은 대상자 영상들의 V1~V4를 조합하여 근사화할 수 있다. 즉, 다수의 촬영각도로 촬영된 대상자 영상들이 많을수록 근사한 신체 횡단면이 실제 신체와 가까와딜 수 있다.
도 18은 4가지 수평방향 촬영각도의 사진을 조합한 예이다. 신체 횡단면의 형상이 단순한 형태라면 4가지 촬영각도의 사진만으로도 충분히 정확한 사이즈 측정이 가능하다.
도 19은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신체 사이즈 측정부에서 신체 입체 사이즈 측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9은 도 10 및 도 16에 나타낸 동작 방법에서 분류된 무늬 오브젝트 또는 분류된 무늬 오브젝트 그룹을 이용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신체 사이즈 측정부(130, 230)는 분류된 무늬 오브젝트 또는 분류된 무늬 오브젝트 그룹으로 여러각도 이미지의 대응위치를 매칭할 수 있다(S810).
신체 사이즈 측정부(130, 230)는 무늬 오브젝트들을 대응위치 매칭한 후, 신체 입체 형상 및 사이즈를 1차적으로 산출할 수 있다(S820).
신체 사이즈 측정부(130, 230)는 신체 입체 형상 및 사이즈를 보상 산출할 수 있다(S830).
신체 사이즈 측정부(130, 230)는 입체 사이즈 측정을 위해 “2D 사이즈의 횡단면 구성법” 또는 “둘레 부분측정 통합법”을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으며, “2D 사이즈의 횡단면 구성법”과 “둘레 부분측정 통합법”을 함께 적용하여 측정할 수도 있다.
상기 본 발명은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에서 구현될 수 있다. 구현은 상기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매체를 포함한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및 기타 데이터 등 정보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서 구현된 모든 저장 가능한 매체를 포함하는 것으로, 휘발성/비휘발성/하이브리드형 메모리 여부, 분리형/비분리형 여부 등에 한정되지 않는다. 통신 저장 매체 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 또는 전송 메커니즘,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 등을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 될 것이다.

Claims (7)

  1. 신체 사이즈 측정을 위한 촬영용 의복을 착용한 대상자를 촬영한 복수의 대상자 영상을 출력하는 카메라 촬영부; 및
    상기 복수의 대상자 영상을 기반으로, 상기 대상자의 평면 신체 사이즈 및 입체 신체 사이즈 중 적어도 하나의 신체 사이즈를 측정하는 신체 사이즈 측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촬영용 의복은 무늬를 구비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신체 사이즈를 측정하기 위한 대응위치 매칭부를 포함하고,
    상기 대응위치 매칭부는 상기 촬영용 의복에 형성된 의상 무늬 및 상기 촬영용 의복에 부착되는 부착물에 형성된 타겟 무늬 중 적어도 하나이고,
    상기 평면 신체 사이즈 및 상기 입체 신체 사이즈를 서로 결합한 대상자 신체 사이즈를 산출하고, 상기 대상자 신체 사이즈에 따라 상기 의복의 사이즈를 결정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신체 사이즈 측정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대응위치 매칭부는 상기 대상자의 신체 일부 영역을 다른 영역과 구별되도록 각 영역별로 상이한 무늬 속성을 구비하고,
    상기 무늬 속성은 상기 무늬를 구성하는 요소의 모양, 색상, 및 요소간 거리 중 적어도 하나인, 신체 사이즈 측정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대응위치 매칭부의 무늬의 모양은 스트라이프 또는 도트인, 신체 사이즈 측정 장치.
  4. [청구항 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신체 사이즈 측정을 위한 촬영용 의복을 착용한 대상자를 촬영한 복수의 대상자 영상을 출력하는 카메라 촬영부; 및
    상기 복수의 대상자 영상을 기반으로, 상기 대상자의 평면 신체 사이즈 및 입체 신체 사이즈 중 적어도 하나의 신체 사이즈를 측정하는 신체 사이즈 측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촬영용 의복은 무늬를 구비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신체 사이즈를 측정하기 위한 대응위치 매칭부를 포함하고,
    상기 대응위치 매칭부는 상기 촬영용 의복에 형성된 의상 무늬 및 상기 촬영용 의복에 부착되는 부착물에 형성된 타겟 무늬 중 적어도 하나이고,
    상기 대응위치 매칭부는 상기 대상자의 신체 일부 영역을 다른 영역과 구별되도록 각 영역별로 상이한 무늬 속성을 구비하고,
    상기 무늬 속성은 상기 무늬를 구성하는 요소의 모양, 색상, 및 요소간 거리 중 적어도 하나이고,
    상기 신체 사이즈 측정부는 상기 대상자 영상들을 기반으로 상기 평면 신체 사이즈를 측정하는 신체 평면 사이즈 측정부를 포함하고,
    대응위치 매칭부는 대상자의 몸통 영역 및 팔 영역을 구별하기 위한 몸통 무늬 및 팔 무늬를 포함하고,
    상기 신체 평면 사이즈 측정부는,
    상기 대상자 영상들 각각의 촬영각도를 산출하는 촬영각도 산출부;
    상기 촬영각도를 기반으로 상기 몸통 무늬 및 상기 팔 무늬 중 평면에 해당되는 무늬 사이의 이미지 픽셀값들을 기반으로 실제 픽셀값을 산출하는 이미지 픽셀값 대응 실치수 산출부; 및
    상기 실제 픽셀값을 기반으로, 상기 신체 평면 사이즈를 측정하는 평면 사이즈 보정 산출부를 포함하는 신체 사이즈 측정 장치.
  5. [청구항 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신체 사이즈 측정을 위한 촬영용 의복을 착용한 대상자를 촬영한 복수의 대상자 영상을 출력하는 카메라 촬영부; 및
    상기 복수의 대상자 영상을 기반으로, 상기 대상자의 평면 신체 사이즈 및 입체 신체 사이즈 중 적어도 하나의 신체 사이즈를 측정하는 신체 사이즈 측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촬영용 의복은 무늬를 구비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신체 사이즈를 측정하기 위한 대응위치 매칭부를 포함하고,
    상기 대응위치 매칭부는 상기 촬영용 의복에 형성된 의상 무늬 및 상기 촬영용 의복에 부착되는 부착물에 형성된 타겟 무늬 중 적어도 하나이고,
    상기 대응위치 매칭부는 상기 대상자의 신체 일부 영역을 다른 영역과 구별되도록 각 영역별로 상이한 무늬 속성을 구비하고,
    상기 무늬 속성은 상기 무늬를 구성하는 요소의 모양, 색상, 및 요소간 거리 중 적어도 하나이고,
    상기 신체 사이즈 측정부는 상기 대상자 영상들을 기반으로 상기 입체 신체 사이즈를 측정하는 신체 입체 사이즈 측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신체 입체 사이즈 측정부는,
    상기 대상자 영상들 각각에 포함된 상기 대응위치 매칭 기준 무늬를 서로 매칭하여, 상기 대상자의 신체 입체 형상을 산출하는 신체 입체 형상 산출부;
    상기 대응위치 매칭 기준 무늬의 변형에 따른 상기 대상자의 신체 부분 형상의 변화를 비교하여 상기 신체 부분 형상을 보상하는 신체 부분 형상 보상부;
    상기 신체 부분 형상이 보상된 상기 신체 입체 형상과 설정된 기준 신체 입체 영상을 비교하여, 상기 신체 입체 형상을 보정하는 신체 형상 데이터 베이스 반영 보상부; 및
    상기 보정된 신체 입체 형상을 기반으로 상기 신체 입체 사이즈를 측정하는 입체 사이즈 보정 산출부를 포함하는 신체 사이즈 측정 장치.
  6. 삭제
  7. 신체 사이즈 측정을 위한 촬영용 의복을 착용한 대상자를 각도별로 촬영한 대상자 영상들을 출력하는 카메라 촬영부, 상기 복수의 대상자 영상들을 기반으로, 상기 대상자의 평면 신체 사이즈 및 입체 신체 사이즈를 측정하는 신체 사이즈 측정부를 포함하는 신체 사이즈 측정 장치;
    상기 신체 사이즈 측정 장치로부터 측정된 상기 평면 신체 사이즈 및 상기 입체 신체 사이즈를 결합한 대상자 신체 사이즈를 결정하고, 상기 대상자로부터 착용할 의복 입력시, 상기 대상자 신체 사이즈에 대응하는 상기 의복의 사이즈를 결정하고, 상기 의복을 가상 착용한 피팅 결과를 출력하는 피팅 장치; 및
    상기 피팅 장치가 상기 의복의 사이즈를 결정하기 위하여, 복수의 의복에 대한 사이즈별 데이터를 제공하는 의복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대상자 신체 사이즈에 매칭되는 신체 형상별 데이터를 제공하는 신체형상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피팅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촬영용 의복은 무늬를 구비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신체 사이즈를 측정하기 위한 대응위치 매칭부를 포함하고,
    상기 대응위치 매칭부는 상기 촬영용 의복에 형성된 의상 무늬 및 상기 촬영용 의복에 부착되는 부착물에 형성된 타겟 무늬 중 적어도 하나이고,
    상기 신체 사이즈 측정 장치는, 상기 평면 신체 사이즈 및 상기 입체 신체 사이즈를 서로 결합한 대상자 신체 사이즈를 산출하고, 상기 대상자 신체 사이즈에 따라 상기 의복의 사이즈를 결정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신체 사이즈 측정 시스템.
KR1020170046618A 2017-01-05 2017-04-11 신체 사이즈 측정 장치 및 시스템 KR1018225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70001746 2017-01-05
KR1020170001746 2017-01-05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7724A Division KR102147189B1 (ko) 2018-01-22 2018-01-22 신체 사이즈 측정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2571B1 true KR101822571B1 (ko) 2018-01-26

Family

ID=610256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6618A KR101822571B1 (ko) 2017-01-05 2017-04-11 신체 사이즈 측정 장치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2571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40131A (ko) * 2018-06-08 2019-12-19 주식회사 블랙야크 신체 치수 계측 장치
KR20200038777A (ko) * 2018-10-04 2020-04-14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가상 의류 및 의류 착용 예측 시스템
WO2020085560A1 (ko) * 2018-10-22 2020-04-30 테그 주식회사 수렵대회를 위한 온라인 운영시스템
WO2020049358A3 (en) * 2018-09-06 2020-04-30 Prohibition X Pte Ltd Clothing having one or more printed areas disguising a shape or a size of a biological feature
KR20200049288A (ko) * 2018-10-31 2020-05-08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미러 디스플레이 및 증강현실을 이용한 피팅 이미지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피팅 부스
KR20200049745A (ko) * 2020-04-29 2020-05-08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미러 디스플레이 및 증강현실을 이용한 피팅 이미지 제공방법
KR20200049746A (ko) * 2020-04-29 2020-05-08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디지털 트윈 및 증강현실을 이용한 피팅 이미지 제공방법
CN113272852A (zh) * 2019-01-03 2021-08-17 株式会社艾迪讯 身体尺寸测量用照片获取方法及利用此的身体尺寸测量方法、服务器及程序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7933B1 (ko) * 2011-01-06 2011-12-23 주식회사 플립 포터블 신체 측정 시스템
JP2016004564A (ja) * 2014-06-19 2016-01-12 大日本印刷株式会社 拡張現実を利用した試着支援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7933B1 (ko) * 2011-01-06 2011-12-23 주식회사 플립 포터블 신체 측정 시스템
JP2016004564A (ja) * 2014-06-19 2016-01-12 大日本印刷株式会社 拡張現実を利用した試着支援システム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6227B1 (ko) * 2018-06-08 2020-03-09 주식회사 비와이엔블랙야크 신체 치수 계측 장치
KR20190140131A (ko) * 2018-06-08 2019-12-19 주식회사 블랙야크 신체 치수 계측 장치
WO2020049358A3 (en) * 2018-09-06 2020-04-30 Prohibition X Pte Ltd Clothing having one or more printed areas disguising a shape or a size of a biological feature
US11301656B2 (en) 2018-09-06 2022-04-12 Prohibition X Pte Ltd Clothing having one or more printed areas disguising a shape or a size of a biological feature
KR20200038777A (ko) * 2018-10-04 2020-04-14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가상 의류 및 의류 착용 예측 시스템
KR102129820B1 (ko) * 2018-10-04 2020-07-03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가상 의류 및 의류 착용 예측 시스템
WO2020085560A1 (ko) * 2018-10-22 2020-04-30 테그 주식회사 수렵대회를 위한 온라인 운영시스템
KR20200045136A (ko) * 2018-10-22 2020-05-04 테그 주식회사 수렵대회를 위한 온라인 운영시스템
KR102119569B1 (ko) * 2018-10-22 2020-06-05 테그 주식회사 수렵대회를 위한 온라인 운영시스템
KR20200049288A (ko) * 2018-10-31 2020-05-08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미러 디스플레이 및 증강현실을 이용한 피팅 이미지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피팅 부스
KR102140674B1 (ko) * 2018-10-31 2020-08-04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미러 디스플레이 및 증강현실을 이용한 피팅 이미지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피팅 부스
CN113272852A (zh) * 2019-01-03 2021-08-17 株式会社艾迪讯 身体尺寸测量用照片获取方法及利用此的身体尺寸测量方法、服务器及程序
KR20200049746A (ko) * 2020-04-29 2020-05-08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디지털 트윈 및 증강현실을 이용한 피팅 이미지 제공방법
KR102163378B1 (ko) * 2020-04-29 2020-10-08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디지털 트윈 및 증강현실을 이용한 피팅 이미지 제공방법
KR102163372B1 (ko) * 2020-04-29 2020-10-08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미러 디스플레이 및 증강현실을 이용한 피팅 이미지 제공방법
KR20200049745A (ko) * 2020-04-29 2020-05-08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미러 디스플레이 및 증강현실을 이용한 피팅 이미지 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2571B1 (ko) 신체 사이즈 측정 장치 및 시스템
CN107025635B (zh) 基于景深的图像饱和度的处理方法、处理装置和电子装置
CN103003845B (zh) 姿势估计装置、姿势估计系统、及姿势估计方法
CN107273846B (zh) 一种人体体型参数确定方法及装置
US10147192B2 (en) Coordinate-conversion-parameter determination apparatus, coordinate-conversion-parameter determination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therein program for coordinate-conversion-parameter determination
JP6295645B2 (ja) 物体検出方法及び物体検出装置
US9791267B2 (en) Determining three-dimensional information from projections or placement of two-dimensional patterns
JP6250819B2 (ja) 画像キャプチャフィードバック
KR20210099507A (ko) 신체 측정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Takahashi et al. Human pose as calibration pattern; 3D human pose estimation with multiple unsynchronized and uncalibrated cameras
CN106643699A (zh) 一种虚拟现实系统中的空间定位装置和定位方法
JP2024056955A (ja) 光学式捕捉によるパーソナライズされたhrtf
KR20150120066A (ko) 패턴 프로젝션을 이용한 왜곡 보정 및 정렬 시스템, 이를 이용한 방법
JP6985897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JP7224832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7509043B (zh) 图像处理方法、装置、电子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20140376780A1 (en) Method for Estimating Direction of Person Standing Still
KR20180000696A (ko) 적어도 하나의 라이트필드 카메라를 사용하여 입체 이미지 쌍을 생성하는 방법 및 장치
WO2020072148A1 (en) Mobile 3d body scanning methods and apparatus
KR20180114823A (ko) 신체 사이즈 측정 장치
KR20190088791A (ko) 신체 사이즈 측정 장치 및 시스템
CN206300653U (zh) 一种虚拟现实系统中的空间定位装置
JP7173341B2 (ja) 人物状態検出装置、人物状態検出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7197011B2 (ja) 身長推定装置、身長推定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16115536A2 (en) Determining three-dimensional information from projections or placement of two-dimensional patter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