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2487B1 - 미세공극 내 약물저장형 생분해성 스텐트 - Google Patents

미세공극 내 약물저장형 생분해성 스텐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2487B1
KR101822487B1 KR1020160107552A KR20160107552A KR101822487B1 KR 101822487 B1 KR101822487 B1 KR 101822487B1 KR 1020160107552 A KR1020160107552 A KR 1020160107552A KR 20160107552 A KR20160107552 A KR 20160107552A KR 101822487 B1 KR101822487 B1 KR 1018224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nt
drug
stent structure
storage
biodegrad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75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33388A (ko
Inventor
한종현
박헌국
문종필
장봉석
윤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아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아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아이텍
Priority to KR10201601075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2487B1/ko
Priority to PCT/KR2016/012467 priority patent/WO2018038319A1/ko
Publication of KR201601333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33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24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24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6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61F2/90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31/00Materials for other surgical articles, e.g. stents, stent-grafts, shunts, surgical drapes, guide wires, materials for adhesion prevention, occluding devices, surgical gloves, tissue fixation devices
    • A61L31/08Materials for coat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31/00Materials for other surgical articles, e.g. stents, stent-grafts, shunts, surgical drapes, guide wires, materials for adhesion prevention, occluding devices, surgical gloves, tissue fixation devices
    • A61L31/14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e.g. injectable or lubricating compositions, shape-memory materials, surface modified materials
    • A61L31/16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e.g. therapeutic substan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7/00Shaping techniques not covered by groups B29C39/00 - B29C65/00, B29C70/00 or B29C73/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70/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additive manufactu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10/00Particular material properti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10/0004Particular material properti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bioabsorb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10/00Particular material properti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10/0014Particular material properti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using shape memory or superelastic materials, e.g. nitin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995/00Properties of moulding materials, reinforcements, fillers, preformed parts or moulds
    • B29K2995/0037Other properties
    • B29K2995/0059Degradable
    • B29K2995/006Bio-degradable, e.g. bioabsorbable, bioresorbable or bioerodible

Abstract

본 발명은 미세공극 내 약물저장형 생분해성 스텐트에 관한 것으로, 형상기억합금 소재의 금속와이어가 지그 상에 특정 패턴으로 엮임으로써, 엮임 구조상의 와이어 교차 형태에 의해 다수의 셀(Cell)을 구비하며 중공의 통 형상으로 마련되는 제1스텐트 구조체; 및 생분해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인쇄재료를 이용해 3D 프린팅을 수행하여 프린팅 구조상의 와이어 교차 형태에 의해 다수의 셀(Cell)을 구비하며, 표면 전반에 걸쳐 다수의 약물저장용 미세공극이 형성되며, 중공의 통 형상을 갖추도록 마련되는 3D 인쇄물로서, 상기 제1스텐트 구조체의 외주면을 덮거나 상기 제1스텐트 구조체에 의해 외주면이 덮이도록 설치되는 제2스텐트 구조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2스텐트 구조체는 3D 프린팅 후 표면상에 약물 코팅 처리공정을 거쳐 상기 다수의 약물저장용 미세공극 내에 약물이 저장된다.

Description

미세공극 내 약물저장형 생분해성 스텐트 {DRUG STORAGE IN MICROPORE TYPE BIODEGRADABLE STENT}
본 발명은 미세공극 내 약물저장형 생분해성 스텐트에 관한 것이다.
스텐트(Stent)는 일반적으로 협착이 발생한 병변부위와 같은 내강에 위치하도록 설치된 후, 설치 위치에서 구조적 확장을 금속와이어의 형상기억 특성 또는 별도의 확장부재의 보조를 통해 이룸으로써, 내강 내에 일정한 형태를 장기간 유지하며 협착에 의해 좁아진 내강의 직경을 회복시키고 확장된 내강으로의 물질 이동이 원활히 진행되도록 이동통로를 확보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와 같이 스텐트는 기본적으로 내강의 직경 회복을 목적으로 하게 되지만, 최근에는 이로부터 더 나아가 스텐트 외주면에 별도의 코팅막을 설치하거나, 스텐트 골격을 이루는 와이어 표면상에 코팅층을 형성시켜 내강에 설치된 스텐트가 코팅막 혹은 코팅층에 포함된 약물을 방출시킬 수 있는 스텐트가 개발되고 있다.
스텐트가 내강의 직경 회복과 동시에 약물을 방출시킴으로써, 스텐트가 설치된 내강의 병변 발생부위에 일정 기간 지속적인 약물 치료가 진행되어, 항암 혹은 항균과 같은 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스텐트 와이어 구조상에 약물을 저장하고, 스텐트 설치 후 일정 시간이 경과되면 약물이 방출되도록 하기 위해 마련된 종래기술에 대한 선행문헌에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67102호의 "약물저장용 다층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한 약물방출형 스텐트"(이하, '종래기술'이라고 함)이 있다.
하지만 종래기술을 비롯한 기존의 약물저장형 스텐트의 경우, 금속와이어를 기반으로 마련된 스텐트 구조체에 코팅 처리 작업을 하여 별도의 약물을 함유한 코팅막을 추가 적용시키는 방식을 채택함에 따라 약물 방출을 통해 병변에 약물을 작용시키기 위해 마련될 실질적 코팅영역의 설계가 정밀하게 수행되기 힘들었고, 방출되는 약물의 양, 속도 그리고 방출시간 등이 병변에 작용하여 충분한 효과를 제공함에는 다소 부족한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기존의 생분해성 고분자가 주요 와이어 골격을 이루는 약물저장형 스텐트의 경우, 병변 부위에 작용함에 적절한 약물 저장양을 제공하는 반면 금속와이어 기반의 스텐트 구조가 제공하는 내강의 직경 회복 효과 수준을 충분히 제공하지 못하고, 쉽게 설치 위치로부터 충분한 이동방지성이 제공되지 못하고 이탈되어지는 문제점들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충분한 스텐트 설치 위치로부터의 내강 확장성 및 이동방지성의 수준을 기본적으로 갖추되, 더 나아가 약물 방출을 통한 병변부위의 치료 효과를 제공함에 있어서 약물 방출 영역을 정밀하게 설계하여 설정 가능하고, 방출되는 약물의 양, 속도 그리고 방출시간 등의 미세공극 내 약물저장형태가 스텐트 구조에 기인하여 효과적인 치료효과의 제공이 가능하도록 하는 스텐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미세공극 내 약물저장형 생분해성 스텐트는, 형상기억합금 소재의 금속와이어가 지그 상에 특정 패턴으로 엮임으로써, 엮임 구조상의 와이어 교차 형태에 의해 다수의 셀(Cell)을 구비하며 중공의 통 형상으로 마련되는 제1스텐트 구조체; 및 생분해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인쇄재료를 이용해 3D 프린팅을 수행하여 프린팅 구조상의 와이어 교차 형태에 의해 다수의 셀(Cell)을 구비하며, 표면 전반에 걸쳐 다수의 약물저장용 미세공극이 형성되며, 중공의 통 형상을 갖추도록 마련되는 3D 인쇄물로서, 상기 제1스텐트 구조체의 외주면을 덮거나 상기 제1스텐트 구조체에 의해 외주면이 덮이도록 설치되는 제2스텐트 구조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2스텐트 구조체는 3D 프린팅 후 표면상에 약물 코팅 처리공정을 거쳐 상기 다수의 약물저장용 미세공극 내에 약물이 저장된다.
여기서, 상기 제2스텐트 구조체는 3D 프링팅 및 약물저장을 위한 약물코팅 수행 후 생분해성 고분자 및 약물이 혼합된 코팅 혼합물을 이용한 표면상의 추가 코팅 처리공정을 통해 표면에 약물을 함유하는 코팅층이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2스텐트 구조체를 3D 프린팅을 통해 마련하기 위해 이용되는 인쇄재료 내 생분해성 고분자는 상기 제2스텐트 구조체 표면에 적층 코팅되는 상기 코팅층을 마련하기 위해 이용되는 코팅 혼합물 내 생분해성 고분자에 비해 생분해 주기가 길도록 상호 생분해성 고분자의 종류 및 조성 비율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상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스텐트 구조체의 다수의 약물저장용 미세공극 내에 저장된 약물과 상기 제2스텐트 구조체 표면에 적층 코팅되는 상기 코팅층을 마련하기 위해 이용되는 코팅 혼합물 내 약물은 동일한 종류의 약물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스텐트 구조체는, 중공의 통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몸체부; 상기 제1몸체부의 일단에 상기 제1몸체부에 비해 확장된 직경으로 형성되는 제1확관부; 및 상기 제1몸체부의 타단에 상기 제1몸체부에 비해 확장된 직경으로 형성되는 제2확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스텐트 구조체는 상기 제1몸체부에 비해 같거나 짧은 길이를 갖추도록 마련되며, 상기 제1몸체부의 외주면을 덮거나 상기 몸체부에 의해 외주면이 덮이도록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미세공극 내 약물저장형 생분해성 스텐트는, 체내 설치된 스텐트의 가시성 확보를 위해 상기 제1스텐트 구조체 상 다수의 영역에 설치되는 다수의 방사선 비투과성 표시자;를 더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방사선 비투과성 표시자 중 상기 몸체부의 양 단부 측에 설치되는 적어도 둘 이상의 방사선 비투과성 표시자는 상기 제2스텐트 구조체의 양 단부를 상기 몸체부에 고정 연결시키는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미세공극 내 약물저장형 생분해성 스텐트는, 형상기억합금 소재의 금속와이어가 지그 상에 특정 패턴으로 엮임으로써, 엮임 구조상의 와이어 교차 형태에 의해 다수의 셀(Cell)을 구비하며 중공의 통 형상으로 마련되는 제1스텐트 구조체; 생분해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인쇄재료를 이용해 3D 프린팅을 수행하여 프린팅 구조상의 와이어 교차 형태에 의해 다수의 셀(Cell)을 구비하며, 표면 전반에 걸쳐 다수의 약물저장용 미세공극이 형성되며, 중공의 통 형상을 갖추도록 마련되는 3D 인쇄물에 해당하는 제2스텐트 구조체; 및 형상기억합금 소재의 금속와이어가 지그 상에 특정 패턴으로 엮임으로써, 엮임 구조상의 와이어 교차 형태에 의해 다수의 셀(Cell)을 구비하며 중공의 통 형상으로 마련되어, 상기 제1스텐트 구조체의 외주면을 덮거나 상기 제1스텐트 구조체에 의해 외주면이 덮이도록 설치되는 제3스텐트 구조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2스텐트 구조체는 상기 제1스텐트 구조체 및 제3스텐트 구조체 사이 공간에 삽입 설치되며, 상기 제2스텐트 구조체는 3D 프린팅 후 표면상에 약물 코팅 처리공정을 거쳐 상기 다수의 약물저장용 미세공극 내에 약물이 저장된다.
여기서, 상기 제2스텐트 구조체는 3D 프링팅 및 약물저장을 위한 약물코팅 수행 후 생분해성 고분자 및 약물이 혼합된 코팅 혼합물을 이용한 표면상의 추가 코팅 처리공정을 통해 표면에 약물을 함유하는 코팅층이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2스텐트 구조체를 3D 프린팅을 통해 마련하기 위해 이용되는 인쇄재료 내 생분해성 고분자는 상기 제2스텐트 구조체 표면에 적층 코팅되는 상기 코팅층을 마련하기 위해 이용되는 코팅 혼합물 내 생분해성 고분자에 비해 생분해 주기가 길도록 상호 생분해성 고분자의 종류 및 조성 비율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상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스텐트 구조체의 다수의 약물저장용 미세공극 내에 저장된 약물과 상기 제2스텐트 구조체 표면에 적층 코팅되는 상기 코팅층을 마련하기 위해 이용되는 코팅 혼합물 내 약물은 동일한 종류의 약물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스텐트 구조체는, 중공의 통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몸체부; 상기 제1몸체부의 일단에 상기 제1몸체부에 비해 확장된 직경으로 형성되는 제1확관부; 및 상기 제1몸체부의 타단에 상기 제1몸체부에 비해 확장된 직경으로 형성되는 제2확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3스텐트 구조체는, 중공의 통형상으로 형성되는 제2몸체부; 상기 제2몸체부의 일단에 상기 제2몸체부에 비해 확장된 직경으로 형성되는 제3확관부; 및 상기 제2몸체부의 타단에 상기 제2몸체부에 비해 확장된 직경으로 형성되는 제4확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스텐트 구조체는 상기 제1몸체부 및 제2몸체부에 비해 같거나 짧은 길이를 갖추도록 마련되며, 상기 제1몸체부와 제2몸체부의 사이에 삽입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스텐트 구조체가 사이에 삽입 설치된 제1스텐트 구조체 및 제3스텐트 구조체의 일측에는 상기 제1확관부와 제3확관부 및 상기 제2확관부와 제4확관부를 각각 일체로 형성하는 결합부분이 각 영역별로 적어도 하나 이상씩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첫째, 금속와이어 기반의 제1스텐트 구조체와 3D 프린팅을 통해 마련되는 생분해성 고분자 기반의 제2스텐트 구조체가 합쳐져 하나의 스텐트 전체를 이룸으로써, 제1스텐트 구조체의 확장에 의한 병변발생부위의 내강 직경 수준 회복 기능과 제2스텐트 구조체의 약물방출에 의한 병변발생부위의 병변 치료기능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다.
둘째, 약물방출을 위한 제2스텐트 구조체가 생분해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인쇄재료를 이용해 표면상에 다수의 약물저장용 미세공극이 형성되도록 3D 프린팅을 수행하여 마련된 후 표면상에 약물 코팅공정을 거치게 됨으로써, 3D 인쇄물에 해당하는 제2스텐트 구조체의 다수의 약물저장용 미세공극 내에 저장된 약물이 스텐트의 설치까지의 이동과정에서 벗겨지거나 훼손되지 않고 온전히 안정적으로 방출되어질 수 있다.
셋째, 추가적으로 3D 프린팅을 수행하여 마련된 제2스텐트 구조체에 코팅처리 공정을 수행하여 구조체 외측으로 미세공극 내 약물저장형 코팅막을 형성함으로써, 더욱 많은 양의 약물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2스텐트 구조체를 이루는 생분해성 고분자와 코팅막을 이루는 생분해성 고분자가 간의 생분해 주기를 차별화시켜 약물의 시간차를 둔 순차 방출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넷째, 가장 바람직하게는 제2스텐트 구조체의 길이 수준이 금속와이어 기반의 제1스텐트 구조체 혹은 제3스텐트 구조체의 실질적 내강 직경 수준 회복 기능을 수행하는 가운데 몸체의 길이 수준과 대응되거나 더 작게 마련되어 스텐트의 이동방지성 제공을 위해 마련된 확관부 측에서 약물방출이 수행되어 병변에 제대로 작용되지 못하는 불필요한 영역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미세공극 내 약물저장형 생분해성 스텐트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미세공극 내 약물저장형 생분해성 스텐트의 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미세공극 내 약물저장형 생분해성 스텐트의 스텐트 구조체 간의 상호 연결 형태에 따른 단면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미세공극 내 약물저장형 생분해성 스텐트의 제2스텐트 구조체가 코팅처리 공정을 거친 상태에서의 스텐트 구조체 간의 상호 연결 형태에 따른 단면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미세공극 내 약물저장형 생분해성 스텐트의 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미세공극 내 약물저장형 생분해성 스텐트의 스텐트 구조체 간의 상호 연결 형태에 따른 단면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7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미세공극 내 약물저장형 생분해성 스텐트의 제2스텐트 구조체가 코팅처리 공정을 거친 상태에서의 스텐트 구조체 간의 상호 연결 형태에 따른 단면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미세공극 내 약물저장형 생분해성 스텐트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되, 이미 주지된 기술적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생략하거나 압축하기로 한다.
<제1실시예에 따른 미세공극 내 약물저장형 생분해성 스텐트의 구성요소 및 구조에 관한 설명>
도1 내지 도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미세공극 내 약물저장형 생분해성 스텐트(100)는 제1스텐트 구조체(110); 제2스텐트 구조체(120); 및 방사선 비투과성 표시자(130);을 포함한다.
제1스텐트 구조체(110)는 형상기억합금으로 마련되는 금속와이어(110W)의 상하 절곡을 통해 지그 상에 특정 패턴으로 엮임으로써, 엮임 구조상의 와이어 교차 형태에 의해 다수의 셀(110C, Cell)을 구비하는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마련되는 내강 직경 회복용 스텐트 제1부재에 해당된다.
이와 같은 제1스텐트 구조체(11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금속와이어(110W)에 의해 마련될 수 있으며, 두 개 이상의 금속와이어(110W)를 이용해 엮임 구조를 형성할 경우. 각각의 와이어가 마련하는 몸체 구조의 일부분을 구분하여 제1부분과 제2부분으로 나눠지되, 이들을 상호 엮기 구조를 통해 연결되어짐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제1스텐트 구조체(110)는 전체 구조상의 위치 및 직경 수준에 따라 제1몸체부(111), 제1확관부(112) 및 제2확관부(113)로 마련된다.
우선, 제1몸체부(111)는 제1스텐트 구조체(110)의 확장을 통한 스텐트 설치 위치 상의 내강 직경 수준을 회복시키는 기능을 실질적으로 수행하는 스텐트 중앙 몸체부분으로서, 중공의 통형상으로 형성된다.
다음으로, 제1확관부(112)는 제1몸체부(111)의 일단으로부터 제1몸체부(111)에 비해 확장된 직경으로 연장 형성되어 스텐트 설치 시 이탈 및 이동방지성을 제공하는 스텐트 일단 날개부분이다.
마지막으로, 제2확관부(113)는 제1몸체부(111)의 타단으로부터 제1몸체부(111)에 비해 확장된 직경으로 연장 형성되어 스텐트 설치 시 이탈 및 이동방지성을 제공하는 스텐트 타단 날개부분이다.
제2스텐트 구조체(120)는 생분해성 고분자(M1)를 포함하는 인쇄재료를 이용해 3D 프린팅을 수행하여 프린팅 구조상의 와이어(120W) 교차 형태에 의해 다수의 셀(120C, Cell)을 구비하며, 표면 전반에 걸쳐 다수의 약물저장용 미세공극(120P)이 형성되며, 중공의 원통 형상을 갖추도록 마련되는 3D 인쇄물로서, 약물방출을 통한 병변으로의 치료효과 제공용 스텐트 제2부재이다.
여기서, 표면 전반에 걸친 다수의 약물저장용 미세공극(120P) 형성은 3D 프린팅을 위한 프린팅 설계 CAD파일 상에 반영되어진 부분으로 3D프린팅을 수행하는 것 만으로도 형성될 수 있도록 마련됨이 바람직하나, 실시에 따라 프린팅 구조상의 와이어(120W) 교차 형태에 의해 다수의 셀(120C, Cell)을 구비하며, 중공의 원통 형상을 갖추도록 마련되는 3D 인쇄물을 마련한 뒤 별도의 후처리 공정을 통해 표면 전반에 걸쳐 다수의 약물저장용 미세공극(120P)이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침출되어질 수 있는 염 성분을 인쇄재료에 포함시켜 3D 프린팅을 수행한 뒤, 인쇄물을 별도의 염-용매간 반응을 거쳐 제2스텐트 구조체(120)로부터 떨어져 나오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스텐트 구조체(120)의 프린팅 구조상의 와이어(120W) 표면 전반에 걸쳐 도2의 확대부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성된 다수의 약물저장용 미세공극(120P)에는 3D 프린팅 후 진행되는 약물 코팅 과정을 통해 특정 약물(D1)이 담지 저장되어진다.
이를 통해 3D 프린팅 및 약물 코팅의 결과물로서 제2스텐트 구조체(120)는 전체 골격 구조가 생분해성 고분자를 기반으로 이루어져 있고, 표면 상의 다수의 약물저장용 미세공극(120P) 내에는 약물(D1)이 저장되어, 스텐트 설치를 위한 이동과정에서의 약물의 안정적 보호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스텐트 설치를 위한 이동과정에서 종래와 같이 표면에 약물 코팅부분이 노출되어 쉽게 벗겨지거나 훼손되어 온전히 약물 전체가 병변에 제공되지 못하고 결과적으로 충분한 약물을 통한 치료효과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미비한 수준에 그치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특징으로, 제2스텐트 구조체(120)의 표면 상의 다수의 약물저장용 미세공극(120P) 내에 저장된 약물(D1)은 안정적으로 온전히 스텐트 설치위치까지 최초 저장 시 상태 그래돌 전달되어 설계자가 원하는 수준의 약물을 통한 병변 치료효과가 제공되어질 수 있다.
먼저, 인쇄재료 내 포함될 수 있는 생분해성 고분자(M1)는 폴리에틸렌, 폴리에스터, 폴리프로필렌, 폴리비닐 염화물, 팽창된 폴리사불화 에틸렌 (ePTFE),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뷰틸렌 나프탈레이트, 폴리트리메틸렌 나프탈레이트, 트리메틸렌디올 나프탈레이트,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폴리우레탄, 폴리우레아, 실리콘, 폴리아미드, 폴리이미드, 다중 탄산염, 폴리알데히드, 폴리에테르 에테르 케톤, 천연 고무, 폴리에테르와 같은 플루오르화 에틸렌 프로필렌, 플루오르화 에틸렌 프로필렌, 폴리아세트산 비닐, 폴리스티렌, 폴리 ( 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 나프탈렌, 디카복실레이트 유도체와 같이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할로겐화된 폴리에테르, 폴리비닐알코올,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락타이드, 폴리글리콜라이드, 폴리에틸렌옥사이드, 폴리디옥사논, 폴리카프로락톤, 폴리포스파젠, 폴리안하이드라이드, 폴리아미노산,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부틸레이트, 셀룰로오스 트리아세테이트,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아크릴아미드, 폴리실록산, 폴리비닐피롤리돈, 데이크론 및 이들의 공중합체 중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생분해성 고분자(M1)는 폴리에스터계 공중합체, 스틸렌-부타디에 공중합체, 실리콘우레탄공중합체 등이 해당될 수도 있다.
아울러, 실시에 따라 생분해성 고분자(M1)는 폴리(L-락타이드) (PLLA), 폴리(D,L-lactide) (PLA), 폴리(글리콜리드) (PGA), 폴리(L-lactide-co-D,L-lactide) (PLLA/PLA), 폴리(l-락타이드-코-글리콜라이드) (PLLA/PGA), 폴리(D,L-lactide-co-glycolide) (PLA/PGA), 폴리 ( 글라이콜라이드 코 트라이메틸렌 카보네이트 ) (PGA/PTMC), 폴리디옥사논 (PDS), Polycaprolactone (PCL), 폴리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 (PHBT), 폴리(포스파젠)폴리(D,L-lactide-co-caprolactone) PLA/PCL ), 폴리(glycolide-co-caprolactone) (PGA/PCL), 폴리 ( 포스페이트 에스테르 ) 및 이들의 공중합체 중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마련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2스텐트 구조체(120)의 표면 상의 다수의 약물저장용 미세공극(120P) 내에 저장될 수 있는 약물(D1)은 항암제 (paclitaxel, doxorubicin, gemcitabin, 5-FU, abraxane, vinblastin, sorafenib, 세툭시맙, 이매티닙, 게피티닙, 에르로티닙, 수니티닙, 트라스투주맙, 카페시타빈 등), 항생제 (cefotaxime, 반코마이신, 테트라사이클린, 베타 락탐계 항생제, 폴리믹신, 설파계, 피리메타민, 리팜핀, 퀴놀론, 아미노글리코사이드 등), 면역억제제 (sirolimus, zotarolimus, everolimus 등과 같은 모든 limus 계열), 항혈소판제 (cilostazol) 중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마련될 수 있다.
아울러, 약물(D)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으며, 예를들어 아드레날린 작용제, 부신피질 스테로이드, 부신 피질 반응 억제제, 알코올 방해물, 알도스테론길항제, 아미노산류와 프로테인, 암모니아 detoxicants, 단백 동화제, 체력을 회복시키는 에이전트, 진통제, 안드로젠성제, 마취 에이전트, 식욕이 없는 화합물, 신경성 무식욕증 환자 에이전트, 길항제, 뇌하수체 전엽 활성체와 반응 억제제, 구충제, 항아드레날린 작용 에이전트, 항-알레르기제, 항아메바 에이전트, 항안드로겐제 에이전트, 항빈혈 에이전트, 항협심증제, 항불안증 에이전트, 항관절 에이전트, 항천식 에이전트, 항아테롬성 동맥 경화제, 항균성제, anticholelithic 에이전트, 항담석형성 에이전트, 항 콜린 작용제, 항응고제, anticoccidal 에이전트, 경련 방지제, 항우울제, 항당뇨제, 제뇨제, 해독제, 항디스키네틱스 에이전트, 항구토제, 항간질 약물, 항에스트로겐제, 안티피브리놀리틱 작용제, 항진균 제제, 항녹내장제, 항혈우병 에이전트, 항 응고 인자, 항출혈제, 항히스타민제, 항고지질혈증제, 항과리포단백혈증 치료제, 안티하이퍼텐시브, 항저혈압제, 항각화성 에이전트, 항균성 에이전트, 항 편두통제, 세포 분열 저지제, 항진균류제, 항신생물제제, anti-cancer 보충적 potentiating 에이전트, 항호중구 감소성 에이전트, 항강박관념 에이전트, 항기생충제, 항파킨슨병 약제, 항폐낭포성의 에이전트, 항증식제, 항전립선 비후 드러그, 항원생동물제, 항소양증제, 건선 치료제, 항정신병 약물, 항류마티스제, 항주혈흡충 에이전트, 항지루 에이전트, 경련 진정제, 안티트롬보틱 에이전트, 기침 억제제, 항궤양성 에이전트, 항요석 에이전트, 항바이러스제, 골 흡수 억제제, 기관지 확장제, 탄산 탈수 효소 저해 물질, 심기능 억제약, 심장 보호제, 강심제제, 심장 혈관성 에이전트, 쓸개즙 분비 촉진제 에이전트, 콜린성 에이전트, 콜린성 촉진제, 코린에스테라제 비활성제, 항콕시듐증 제제 에이전트, 진정제, 진단 보조 프로그램, 이뇨제, 도파민 에이전트, 엑토파라시티사이드, 구토 유발제, 효소 저해제류, 발정 호르몬, 섬유성의 에이전트, 자유 산소 래디칼 스캐빈저, 위장 운동제, 글루코코티코이드, 생식선 자극 원리, 지혈성 제제, 히스타민 H2 수용 기관 반대자, 호르몬, 저콜레스테롤혈증 약제, 혈당 저하제, 저지혈 약제, 혈압 강하제, hmgcoa 환원 효소 억제제, 면역량 에이전트, 면역 조절제, 면역 조절 물질, 케라톨리트제, LHRH 길항근, 루테올리신 에이전트, 무코 다당류 가수분해성의, 점막의 방어제, 산동 에이전트, 코충혈 제거제, 신경 이완제, 신경근육 차단제, 신경 보호제, 엔엠디에이 길항제, 비호르몬성 스테롤 유도체, 자궁수축성 에이전트, 플라스미노겐 활성제 중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마련될 수 있다.
앞 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다양한 조합으로 마련 가능한 인쇄재료 및 약물코팅 재료는 제2스텐트 구조체(120)를 통해 병변에 약물에 의한 치료효과를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에 따라 약물의 조성 함량비율, 약물 방출주기를 결정하기 위한 생분해성 고분자의 종류 및 조성 함량비율 등을 다양하게 설계 변형하여 실시가능하다.
이와 같이 마련된 인쇄재료는, 생분해성 고분자 및 약물만을 포함하도록 마련되어 FDM(Fused Deposition Modeling) 방식의 3D 프린터에 적용하고, 빌드 플레이트를 원통형으로 마련한 뒤 3D 프린팅 수행 시 축을 기준으로 회전운동시켜 열이 가해져 용융된 인쇄재료가 노즐로 분사되어 빌드 플레이트에서 고화되는 과정에서 빌드 플레이트의 회전에 따라 분사 위치가 지속 변형되어 결과적으로 중공의 원통형 제2스텐트 구조체(120)가 마련됨이 가장 바람직하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생분해성 고분자 및 약물 외의 열 혹은 UV 중합용 단량체 및 열 혹은 UV 중합개시제 등의 같이 포함된 인쇄재료를 이용해 DLP(Digital Light Processing), SLA(Stereolithography Apparatus), SLS(Selective Laser Sintering) 혹은 Poly-Jet 등의 방식이 적용된 3D 프린터를 통해 3D 프린팅을 수행해 중공의 원통형 제2스텐트 구조체(120)를 인쇄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3D 프린팅 기반의 제2스텐트 구조체(120)는 구조 전체에 걸쳐 고르게 약물(D1)이 내부에 적정 수준 분포되어 있으며, 인쇄재료의 조성 함량 수준 및 종류의 설계를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어 스텐트 설치 부위 및 목적에 따라 대응되는 약물방출용 스텐트 구조체를 용이하게 마련할 수 있다.
즉, 생분해성 및 약물방출성을 갖춘 제2스텐트 구조체(120)를 3D 프린팅을 통해 마련함은, 설계자가 스텐트 설치 부위 및 목적에 따라 필요한 방출용 약물 및 약물 방출 형태와 더불어 직경 및 길이와 같은 규격 수준까지도 쉽게 맞추어 마련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더 나아가 약물의 스텐트 전체 구조에 걸친 균형적 분포가 가능하도록 한다.
아울러, 미세공극 내 약물저장형 생분해성 스텐트(100) 전체 구조 상 제2스텐트 구조체(120)를 통해 제1스텐트 구조체(110)와 같은 금속와이어의 분포 정도가 최소화되어 더욱 신체 내 설치되는 스텐트로서의 생체적합성 수준을 더욱 높이고 있다.
이러한 제1스텐트 구조체(110)와 제2스텐트 구조체(120)간의 연결 형태는 제1연결형태에 따라 도3(a) 및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스텐트 구조체(110)에 의해 제2스텐트 구조체(120)의 외주면이 덮이도록 설치되어, 제1스텐트 구조체(110)의 내측으로부터 제2스텐트 구조체(120)의 와이어(120W)를 이루는 생분해성 고분자(M1)의 생분해에 의해 다수의 약물저장용 미세공극(120P) 내에 저장되어 있던 약물(D1)이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제1스텐트 구조체(110')와 제2스텐트 구조체(120')간의 제2연결형태에 따라 도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스텐트 구조체(120)에 의해 제1스텐트 구조체(110)의 외주면이 덮이도록 설치되어, 제1스텐트 구조체(110)의 외측으로부터 제2스텐트 구조체(120)의 와이어(120W)를 이루는 생분해성 고분자(M1)의 생분해에 의해 다수의 약물저장용 미세공극(120P) 내에 저장되어 있던 약물(D1)이 배출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제2스텐트 구조체(120)는 제1몸체부(111)에 비해 같거나 짧은 길이(120D)를 갖추도록 마련되어 제1몸체부(111)의 외주면을 덮거나 제1몸체부(111)에 의해 외주면이 덮이도록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 제2스텐트 구조체(120)의 길이 수준(120D)은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몸체부(111)의 길이 수준(111D)과 비교하여 같거나 비슷한 수준에서 약간 더 작은 수준으로 마련된다.
이는 병변발생에 의해 좁아진 내강 직경 수준을 회복시키는 기능을 실질적으로 수행하는 제1몸체부(111)가 병변부위가 직접적으로 접하기 마련이고, 이를 고려하여 병변에 약물이 효과적으로 불필요한 부분 없이 작용되기 위해서이다.
다시 말해, 제2스텐트 구조체(120)의 길이 수준(120D)를 제1몸체부(111)의 길이에 비해 같거나 비슷한 수준에서 약간 더 작은 수준으로 마련되어 제1몸체부(111)에 대응되도록 설치되어 병변 주변부위에 스텐트 설치시 위치하게 된다.
한편으로, 3D 프린팅을 통해 마련된 제2스텐트 구조체(420, 420')는 추가적으로 별도의 코팅 처리공정을 거칠 수 있다.
제2스텐트 구조체(420, 420')는 3D 프링팅 및 약물코팅 수행 후 생분해성 고분자(M2) 및 약물(D2)이 혼합된 코팅 혼합물을 이용한 추가적인 표면상의 코팅 처리공정을 통해 표면에 약물을 함유하는 코팅층(425, 425')을 형성시킬 수 있다.
여기서, 코팅층의 형성 형태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가지 형태로 구분되어 지는데, 우선 제1코팅형태를 갖춘 미세공극 내 약물저장형 생분해성 스텐트(400)의 단면 구조는 도4(a)에 도시된 바와 같다.
제1코팅형태를 갖춘 미세공극 내 약물저장형 생분해성 스텐트(400)의 제2스텐트 구조체(420)는 3D 프린팅 후 스프레이 식 코팅 혼합물 분사 혹은 코팅 혼합물 내 담지 공정을 통해 도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스텐트 구조체(420) 전체에 걸친 막 형태의 코팅층(425)을 형성한다.
그리고 결과적으로 제2스텐트 구조체(420)의 셀 구조는 막을 형성하는 코팅층(425)에 의해 막히게 되어 전체적으로 튜브형태를 갖추게 되고, 제2스텐트 구조체(420)의 막 형태의 코팅층(425) 내측 또는 외측으로 제1스텐트 구조체(410)가 설치되게 된다.
제2코팅형태를 갖춘 미세공극 내 약물저장형 생분해성 스텐트(400')의 제2스텐트 구조체(420')는 3D 프린팅 후 스프레이 식 코팅 혼합물 분사 혹은 코팅 혼합물 내 담지 공정을 통해 도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스텐트 구조체(420') 골격을 형성하는 와이어 구조(420W')상의 표면 외측으로 적층 코팅되는 형태의 코팅층(425')을 형성한다.
그리고 결과적으로 제2스텐트 구조체(420')의 셀 구조는 좁아질 뿐 코팅층(425')에 의해 막히지 않으며, 와이어 구조 상 코팅층(425')이 형성된 제2스텐트 구조체(420')의 내측 또는 외측으로 제1스텐트 구조체(410')가 설치되게 된다.
이와 같은 다양한 형태로 마련 가능한 코팅층(425, 425')은 생분해성 고분자(M2) 및 약물(D2)이 혼합된 코팅 혼합물을 이용해 마련되는데, 이러한 코팅 혼합물에 사용되는 생분해성 고분자(M2) 및 약물(D2)의 실시예는 앞 서 설명한 인쇄재료에 사용되는 생분해성 고분자(M1) 및 다수의 약물저장용 미세공극(420P, 420P') 내에 저장될 수 있는 약물(D1)의 실시예와 동일하다.
제2스텐트 구조체(420, 420')에 추가 형성되는 코팅층(425, 425')은 제2스텐트 구조체(420, 420')의 생분해성 고분자(M1) 생분해에 따른 다수의 약물저장용 미세공극(420P, 420P') 내에 저장되어 있던 약물(D1) 방출 이전에 우선적으로 코팅층(425, 425')의 생분해성 고분자(M2) 생분해에 따른 약물(D2) 방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제2스텐트 구조체(420, 420')를 3D 프린팅을 통해 마련하기 위해 이용되는 인쇄재료 내 생분해성 고분자(M1)는 제2스텐트 구조체(420, 420') 표면에 적층 코팅되는 코팅층(425, 425')을 마련하기 위해 이용되는 코팅 혼합물 내 생분해성 고분자(M2)에 비해 생분해 주기가 길도록 상호 생분해성 고분자의 종류 및 조성 비율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상이하게 설계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다수의 약물저장용 미세공극(420P, 420P') 내에 저장되어 있던 약물(D1)과 제2스텐트 구조체(420, 420') 표면에 적층 코팅되는 코팅층(425, 425')을 마련하기 위해 이용되는 코팅 혼합물 내 약물은 동일한 종류의 약물로 마련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결과적으로, 1차적으로 코팅층(425, 425')의 생분해성 고분자(M2) 생분해에 따른 약물(D2) 방출을 통해 병변에 약물이 우선 작용하도록 한 뒤, 소정의 시간이 경과된 후 2차적으로 제2스텐트 구조체(420, 420')의 생분해성 고분자(M1) 생분해에 따른 다수의 약물저장용 미세공극(420P, 420P') 내에 저장되어 있던 약물(D1) 방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실시에 따라, 제2스텐트 구조체(420, 420')에 코팅층(425')이 다층을 이루며 적층 형성되어 약물 방출이 다수 번에 걸쳐 시간차를 두고 수행될 수 있도록 추가 설계 가능하다.
또한, 실시에 따라 다수의 약물저장용 미세공극(420P, 420P') 내에 저장되어 있던 약물(D1)과 제2스텐트 구조체(420, 420') 표면에 적층 코팅되는 코팅층(425, 425')을 마련하기 위해 이용되는 코팅 혼합물 내 약물을 상이한 종류로 마련하여 1차적으로 제1약물이 방출된 후, 2차적으로 이와 상이한 제2약물이 방출되어 병변에 2종 이상의 약물이 제공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도 있다.
방사선 비투과성 표시자(130)는 체내 설치된 미세공극 내 약물저장형 생분해성 스텐트(100)의 가시성 확보를 위해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와이어 구조체(110) 상 다수의 영역에 설치된다.
여기서, 다수의 방사선 비투과성 표시자(130)는 X선 등의 방사선을 이용한 검사를 통해 미세공극 내 약물저장형 생분해성 스텐트(100)의 체내 위치를 외부에서 확인하기 위한 마커의 일종으로 위치 표시자로서의 기능을 주요 기능으로 수행하나. 이중 일부는 도1의 확대부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겸용 방사선 비투과성 표시자(130')로서 기능한다.
다시 말해, 다수의 방사선 비투과성 표시자(130) 중 제1스텐트 구조체(110)의 제1몸체부(111) 양 단부 측에 설치되는 적어도 둘 이상의 방사선 비투과성 표시자(130')는 도1의 확대부분에 표시된 바와 같이 제2스텐트 구조체(120)의 양 단부를 제1몸체부(111) 양 단부 측 외주면 상에 고정 연결시키는 형태로 설치되어 위치 표시자로서의 기능 및 제2스텐트 구조체(120)와 제1스텐트 구조체(110)간의 연결을 통한 위치 고정의 기능을 겸하여 동시에 제공한다.
아울러, 미세공극 내 약물저장형 생분해성 스텐트(100)는 실시 형태에 따라 제1스텐트 구조체(110) 내측 또는 외측에 덮여지는 별도의 피막(미도시)을 추가적으로 갖출 수 있다.
여기서, 피막은 테프론 (Teflon), 실리콘, PTFE (Polytetrafluoroethylene), 폴리우레탄,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올레핀, HDPE (High Density Polyethylene), 및 ePTFE (expanded-Polytetrafluoroethylene) 중에서 선택될 수 있지만, 특별한 제한 없이 피막에 사용되는 공지된 재료의 범위 내에서 선택될 수 있다.
<제2실시예에 따른 미세공극 내 약물저장형 생분해성 스텐트의 구성요소 및 구조에 관한 설명>
도5 내지 도8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미세공극 내 약물저장형 생분해성 스텐트(500)는 제1스텐트 구조체(510); 제2스텐트 구조체(520); 제3스텐트 구조체(530); 및 방사선 비투과성 표시자(54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대해서는 앞서 언급한 제1실시예와의 차이점 위주로 설명하며, 중복되는 설명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기로 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미세공극 내 약물저장형 생분해성 스텐트(500)의 제1스텐트 구조체(510), 제2스텐트 구조체(520) 및 방사선 비투과성 표시자(540)의 구성적 특징은 상기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미세공극 내 약물저장형 생분해성 스텐트(500)의 제1스텐트 구조체(510), 제2스텐트 구조체(520) 및 방사선 비투과성 표시자(540)의 구성적 특징에 대한 상기 기재와 동일하게 대응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우선, 제2실시예에 따른 미세공극 내 약물저장형 생분해성 스텐트(500)는 제1스텐트 구조체(510)와 같이 금속와이어를 기반으로 하는 스텐트 구조체를 하나 더 포함하며, 이에 해당하는 제3스텐트 구조체(530)는 엮임 구조 및 규격은 제1스텐트 구조체(510)와 동일할 수 도 있고, 상이할 수 도 있다.
구체적으로, 제3스텐트 구조체(530)는 형상기억합금 소재의 금속와이어(530W)가 지그 상에 특정 패턴으로 엮임으로써, 엮임 구조상의 와이어 교차 형태에 의해 다수의 셀(Cell)을 구비하며 중공의 통 형상으로 마련된다.
이에 따라, 제1스텐트 구조체(510)는 형상기억합금으로 마련되는 금속와이어(510W)의 상하 절곡을 통해 지그 상에 특정 패턴으로 엮임으로써, 엮임 구조상의 와이어 교차 형태에 의해 다수의 셀(510C, Cell)을 구비하는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마련되는 내강 직경 회복용 스텐트 제1부재에 해당되고, 제3스텐트 구조체(530)는 형상기억합금으로 마련되는 금속와이어(530W)의 상하 절곡을 통해 지그 상에 특정 패턴으로 엮임으로써, 엮임 구조상의 와이어 교차 형태에 의해 다수의 셀(530C, Cell)을 구비하는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마련되는 내강 직경 회복용 스텐트 제2부재에 해당된다.
또한, 제2스텐트 구조체(520)는 생분해성 고분자(M1)를 포함하는 인쇄재료를 이용해 3D 프린팅을 수행하여 프린팅 구조상의 와이어(520W) 교차 형태에 의해 다수의 셀(520C, Cell)을 구비하며, 표면 전반에 걸쳐 다수의 약물저장용 미세공극(520P)이 형성되며, 중공의 원통 형상을 갖추도록 마련되는 3D 인쇄물로서, 약물방출을 통한 병변으로의 치료효과 제공용 스텐트 제3부재이다.
이와 같이 제2스텐트 구조체(520)의 프린팅 구조상의 와이어(520W) 표면 전반에 걸쳐 도5의 확대부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성된 다수의 약물저장용 미세공극(520P)에는 3D 프린팅 후 진행되는 약물 코팅 과정을 통해 특정 약물(D1)이 담지 저장되어진다.
이를 통해 3D 프린팅 및 약물 코팅의 결과물로서 제2스텐트 구조체(520)는 전체 골격 구조가 생분해성 고분자를 기반으로 이루어져 있고, 표면 상의 다수의 약물저장용 미세공극(520P) 내에는 약물(D1)이 저장되어, 스텐트 설치를 위한 이동과정에서의 약물의 안정적 보호가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제2스텐트 구조체(520', 520'')는 앞 서 설명된 제1실시예와 같이 3D 프링팅 및 약물코팅 후 생분해성 고분자(M2) 및 약물(D2)이 혼합된 코팅 혼합물을 이용한 표면상의 코팅 처리공정을 통해 표면에 약물을 함유하는 코팅층(525', 525'')을 형성시킬 수 있다.
여기서, 코팅층의 형성 형태는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가지 형태로 구분되어 지는데, 우선 제1코팅형태를 갖춘 미세공극 내 약물저장형 생분해성 스텐트(500')의 단면 구조는 도4(a)에 도시된 바와 같다.
제1코팅형태를 갖춘 미세공극 내 약물저장형 생분해성 스텐트(500')의 제2스텐트 구조체(520')는 3D 프린팅 후 스프레이 식 코팅 혼합물 분사 혹은 코팅 혼합물 내 담지 공정을 통해 도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스텐트 구조체(520') 전체에 걸친 막 형태의 코팅층(525')을 형성한다.
그리고 결과적으로 제2스텐트 구조체(520)의 셀 구조는 막을 형성하는 코팅층(525)에 의해 막히게 되어 전체적으로 튜브형태를 갖추게 되고, 제2스텐트 구조체(520)의 막 형태의 코팅층(525)을 기준으로 내, 외측에 각각 제1스텐트 구조체(510) 및 제3스텐트 구조체(530)가 위치하게 된다.
제2코팅형태를 갖춘 미세공극 내 약물저장형 생분해성 스텐트(500'')의 제2스텐트 구조체(520'')는 3D 프린팅 후 스프레이 식 코팅 혼합물 분사 혹은 코팅 혼합물 내 담지 공정을 통해 도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스텐트 구조체(520'') 골격을 형성하는 와이어 구조(520W'')상의 표면 외측으로 적층 코팅되는 형태의 코팅층(525'')을 형성한다.
그리고 결과적으로 제2스텐트 구조체(520'')의 셀 구조는 좁아질 뿐 코팅층(525'')에 의해 막히지 않으며, 와이어 구조 상 코팅층(525'')이 형성된 제2스텐트 구조체(520'')를 기준으로 내, 외측에 각각 제1스텐트 구조체(510) 및 제3스텐트 구조체(530)가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은 다양한 형태로 마련 가능한 코팅층(525', 525'')은 생분해성 고분자(M2) 및 약물(D2)이 혼합된 코팅 혼합물을 이용해 마련되는데, 이러한 코팅 혼합물에 사용되는 생분해성 고분자(M2) 및 다수의 약물저장용 미세공극(520P', 520P'')에 저장된 약물(D2)과 앞 서 설명한 인쇄재료에 사용되는 생분해성 고분자(M1) 및 약물(D1)의 실시형태에 대한 설명은 제1실시예에 관한 설명에서 기재한 바와 동일함에 따라 생략한다.
이와 같이 미세공극 내 약물저장형 생분해성 스텐트(500) 전체를 구성하는 스텐트 구조체의 수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실시예와 달라짐에 따라 상호 연결형태 역시 제1실시예와는 상이하게 마련된다.
이와 관련하여 도 6 및 도8을 참조하면, 제3스텐트 구조체(530)가 제1스텐트 구조체(510)의 외주면을 덮거나 제1스텐트 구조체에 의해 제3스텐트 구조체(530)의 외주면이 덮이도록 설치되며, 이와 같이 층을 이룬 제1스텐트 구조체(510)와 제3스텐트 구조체(530) 사이 공간에는 제2스텐트 구조체(520)가 삽입 설치된다.
여기서, 제1스텐트 구조체(510)가 제1실시예와 같이 제1몸체부(511), 제1확관부(512) 및 제2확관부(513)로 마련되는 것과 같이, 제3스텐트 구조체(530)는 전체 구조상의 위치 및 직경 수준에 따라 제2몸체부(531), 제3확관부(532) 및 제4확관부(533)로 마련된다.
우선, 제2몸체부(531)는 제3스텐트 구조체(530)의 확장을 통한 스텐트 설치 위치 상의 내강 직경 수준을 회복시키는 기능을 실질적으로 수행하는 스텐트 중앙 몸체부분으로서, 중공의 통형상으로 형성된다.
다음으로, 제3확관부(532)는 제2몸체부(531)의 일단으로부터 제2몸체부(531)에 비해 확장된 직경으로 연장 형성되어 스텐트 설치 시 이탈 및 이동방지성을 제공하는 스텐트 일단 날개부분이다.
마지막으로, 제4확관부(533)는 제2몸체부(531)의 타단으로부터 제2몸체부(531)에 비해 확장된 직경으로 연장 형성되어 스텐트 설치 시 이탈 및 이동방지성을 제공하는 스텐트 타단 날개부분이다.
그리고 제2스텐트 구조체(520)는 제1몸체부(511) 및 제2몸체부(531)에 비해 같거나 짧은 길이(520D)를 갖추도록 마련되며, 제1몸체부(511) 및 제2몸체부(531)의 사이에 삽입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 제2스텐트 구조체(520)의 길이 수준(520D)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몸체부(511) 및 제2몸체부(531)의 길이 수준(511D, 513D)과 비교하여 같거나 비슷한 수준에서 약간 더 작은 수준으로 마련된다.
이는 병변발생에 의해 좁아진 내강 직경 수준을 회복시키는 기능을 실질적으로 수행하는 제1몸체부(511) 및 제2몸체부(531)가 병변부위가 직접적으로 접하기 마련이고, 이를 고려하여 병변에 약물이 효과적으로 불필요한 부분 없이 작용되기 위해서이다.
다시 말해, 제2스텐트 구조체(520)의 길이 수준(520D)을 제1몸체부(511) 및 제2몸체부(531)의 길이에 비해 같거나 비슷한 수준에서 약간 더 작은 수준으로 마련되어 제1몸체부(511) 및 제2몸체부(531)사이에 삽입 설치되어 병변 주변부위에 스텐트 설치 시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은 제2스텐트 구조체(520)가 사이에 삽입 설치된 제1몸체부(511) 및 제2몸체부(531)의 일측에는 제1확관부(512)와 제3확관부(532) 및 제2확관부(513)와 제4확관부(533)를 각각 일체로 형성하는 결합부분(C)이 각 영역별로 적어도 하나 이상씩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제1스텐트 구조체(510)의 제1확관부(512)와 제3스텐트 구조체(530)의 제3확관부(532) 일측에서는 각각의 금속와이어(510W, 530W)를 서로 꼬이도록 연결하거나, 별도의 납땜처리 혹은 별도의 부재 설치를 통해 상호 일체로 형성시키는 결합부분(C)이 적어도 하나 이상 마련되며, 이는 제1스텐트 구조체(510)의 제2확관부(513)와 제3스텐트 구조체(530)의 제4확관부(533) 일측에도 마찬가지이다.
여기서, 제1스텐트 구조체(510) 및 제3스텐트 구조체(530)의 양단측에 각각 마련된 결합부분(C)은 제1스텐트 구조체(510) 및 제3스텐트 구조체(530) 사이에 삽입 설치된 제2스텐트 구조체(520)가 해당 설치 공간 내에서 이탈되지는 않지만 소정의 유동성을 갖추도록 합니다.
이는 제2실시예에 따른 미세공극 내 약물저장형 생분해성 스텐트(500)가 설치되는 내강 구조에 대응되어 휨 성질을 나타내는 경우, 제2스텐트 구조체(520)가 고정 설치되어 이에 따라 찢어지거나 훼손되어 휨 정도에 대한 구조적 변형의 대응성을 갖추지 못하는 문제점을 사전에 해소하기 위함이다.
또한, 제1스텐트 구조체(510)의 제1확관부(512)와 제3스텐트 구조체(530)의 제3확관부(532) 일측의 결합부분(C)과 제1스텐트 구조체(510)의 제2확관부(513)와 제3스텐트 구조체(530)의 제4확관부(533) 일측의 결합부분(C) 중 한쪽의 결합부분(C)은 제2스텐트 구조체(520)의 삽입 설치 시 풀리거나 해체되어 제2스텐트 구조체(520)의 삽입 설치를 위한 공간을 개방시키고, 추후 제2스텐트 구조체(520)의 삽입 설치되고 나면 다시 풀리거나 해체되어진 한쪽의 결합부분(C)을 다시 일체 연결을 위한 이전 상태로 회복시킨다.
따라서 제2실시예에 따른 미세공극 내 약물저장형 생분해성 스텐트(500)는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X선 등의 방사선을 이용한 검사를 통해 미세공극 내 약물저장형 생분해성 스텐트(500)의 체내 위치를 외부에서 확인하기 위한 마커의 일종으로 위치 표시자로서의 기능을 수행하는 방사선 비투과성 표시자(540)가 여러 부분에 걸쳐 다수개 설치되나,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연결 겸용 방사선 비투과성 표시자는 설치되지 아니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해서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호범위는 아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400, 500 : 미세공극 내 약물저장형 생분해성 스텐트
110, 410, 510 : 제1스텐트 구조체
111, 511 : 제1몸체부
112, 512 : 제1확관부
113, 513 : 제2확관부
120, 420, 520 : 제2스텐트 구조체
120P, 420P, 520P : 약물저장용 미세공극
M1 : 인쇄재료 내 생분해성 고분자
D1 : 공극 내 저장용 약물
425, 525 : 코팅층
M2 : 코팅혼합물 내 생분해성 고분자
D2 : 코팅혼합물 내 약물
130, 540 : 방사선 비투과성 표시자
530 : 제3스텐트 구조체
531 : 제2몸체부
532 : 제3확관부
533 : 제4확관부

Claims (9)

  1. 형상기억합금 소재의 금속와이어가 지그 상에 특정 패턴으로 엮임으로써, 엮임 구조상의 와이어 교차 형태에 의해 다수의 셀(Cell)을 구비하며 중공의 통 형상으로 형성된 제1몸체부를 갖는 제1스텐트 구조체;
    생분해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인쇄재료를 이용해 3D 프린팅을 수행하여 프린팅 구조상의 와이어 교차 형태에 의해 다수의 셀(Cell)을 구비하며, 표면 전반에 걸쳐 다수의 약물저장용 미세공극이 형성되며, 중공의 통 형상을 갖추도록 마련되는 3D 인쇄물로서, 상기 제1스텐트 구조체의 외주면을 덮거나 상기 제1스텐트 구조체에 의해 외주면이 덮이도록 설치되는 제2스텐트 구조체; 및
    체내 설치된 스텐트의 가시성 확보를 위해 상기 제1스텐트 구조체 상 다수의 영역에 설치되는 다수의 방사선 비투과성 표시자;를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방사선 비투과성 표시자 중 상기 제1몸체부의 양 단부 측에 설치되는 적어도 둘 이상의 방사선 비투과성 표시자는 상기 제2스텐트 구조체의 양 단부를 상기 제1몸체부에 고정 연결시키는 형태로 설치되고,
    상기 제2스텐트 구조체는 3D 프린팅 후 표면상에 약물 코팅 처리공정을 거쳐 상기 다수의 약물저장용 미세공극 내에 약물이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공극 내 약물저장형 생분해성 스텐트.
  2. 형상기억합금 소재의 금속와이어가 지그 상에 특정 패턴으로 엮임으로써, 엮임 구조상의 와이어 교차 형태에 의해 다수의 셀(Cell)을 구비하며 중공의 통 형상으로 마련되는 제1스텐트 구조체;
    생분해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인쇄재료를 이용해 3D 프린팅을 수행하여 프린팅 구조상의 와이어 교차 형태에 의해 다수의 셀(Cell)을 구비하며, 표면 전반에 걸쳐 다수의 약물저장용 미세공극이 형성되며, 중공의 통 형상을 갖추도록 마련되는 3D 인쇄물에 해당하는 제2스텐트 구조체; 및
    형상기억합금 소재의 금속와이어가 지그 상에 특정 패턴으로 엮임으로써, 엮임 구조상의 와이어 교차 형태에 의해 다수의 셀(Cell)을 구비하며 중공의 통 형상으로 마련되어, 상기 제1스텐트 구조체의 외주면을 덮거나 상기 제1스텐트 구조체에 의해 외주면이 덮이도록 설치되는 제3스텐트 구조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2스텐트 구조체는 상기 제1스텐트 구조체 및 제3스텐트 구조체 사이 공간에 삽입 설치되며,
    상기 제2스텐트 구조체는 3D 프린팅 후 표면상에 약물 코팅 처리공정을 거쳐 상기 다수의 약물저장용 미세공극 내에 약물이 저장되고,
    상기 제1스텐트 구조체는,
    중공의 통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몸체부;
    상기 제1몸체부의 일단에 상기 제1몸체부에 비해 확장된 직경으로 형성되는 제1확관부; 및
    상기 제1몸체부의 타단에 상기 제1몸체부에 비해 확장된 직경으로 형성되는 제2확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3스텐트 구조체는,
    중공의 통형상으로 형성되는 제2몸체부;
    상기 제2몸체부의 일단에 상기 제2몸체부에 비해 확장된 직경으로 형성되는 제3확관부; 및
    상기 제2몸체부의 타단에 상기 제2몸체부에 비해 확장된 직경으로 형성되는 제4확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스텐트 구조체가 사이에 삽입 설치된 제1스텐트 구조체 및 제3스텐트 구조체의 일측에는 상기 제1확관부와 제3확관부 및 상기 제2확관부와 제4확관부를 각각 일체로 형성하는 결합부분이 각 영역별로 적어도 하나 이상씩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공극 내 약물저장형 생분해성 스텐트.
  3. 제1항 또는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스텐트 구조체는 3D 프링팅 및 약물저장을 위한 약물코팅 수행 후 생분해성 고분자 및 약물이 혼합된 코팅 혼합물을 이용한 표면상의 추가 코팅 처리공정을 통해 표면에 약물을 함유하는 코팅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공극 내 약물저장형 생분해성 스텐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스텐트 구조체를 3D 프린팅을 통해 마련하기 위해 이용되는 인쇄재료 내 생분해성 고분자는 상기 제2스텐트 구조체 표면에 적층 코팅되는 상기 코팅층을 마련하기 위해 이용되는 코팅 혼합물 내 생분해성 고분자에 비해 생분해 주기가 길도록 상호 생분해성 고분자의 종류 및 조성 비율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공극 내 약물저장형 생분해성 스텐트.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스텐트 구조체의 다수의 약물저장용 미세공극 내에 저장된 약물과 상기 제2스텐트 구조체 표면에 적층 코팅되는 상기 코팅층을 마련하기 위해 이용되는 코팅 혼합물 내 약물은 동일한 종류의 약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공극 내 약물저장형 생분해성 스텐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텐트 구조체는,
    상기 제1몸체부의 일단에 상기 제1몸체부에 비해 확장된 직경으로 형성되는 제1확관부; 및
    상기 제1몸체부의 타단에 상기 제1몸체부에 비해 확장된 직경으로 형성되는 제2확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스텐트 구조체는 상기 제1몸체부에 비해 같거나 짧은 길이를 갖추도록 마련되며, 상기 제1몸체부의 외주면을 덮거나 상기 제1몸체부에 의해 외주면이 덮이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공극 내 약물저장형 생분해성 스텐트.
  7. 삭제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스텐트 구조체는 상기 제1몸체부 및 제2몸체부에 비해 같거나 짧은 길이를 갖추도록 마련되며, 상기 제1몸체부와 제2몸체부의 사이에 삽입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공극 내 약물저장형 생분해성 스텐트.
  9. 삭제
KR1020160107552A 2016-08-24 2016-08-24 미세공극 내 약물저장형 생분해성 스텐트 KR1018224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7552A KR101822487B1 (ko) 2016-08-24 2016-08-24 미세공극 내 약물저장형 생분해성 스텐트
PCT/KR2016/012467 WO2018038319A1 (ko) 2016-08-24 2016-11-01 미세공극 내 약물저장형 생분해성 스텐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7552A KR101822487B1 (ko) 2016-08-24 2016-08-24 미세공극 내 약물저장형 생분해성 스텐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3388A KR20160133388A (ko) 2016-11-22
KR101822487B1 true KR101822487B1 (ko) 2018-01-26

Family

ID=575400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7552A KR101822487B1 (ko) 2016-08-24 2016-08-24 미세공극 내 약물저장형 생분해성 스텐트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22487B1 (ko)
WO (1) WO201803831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5687B1 (ko) * 2017-01-17 2018-10-11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복수의 레이어 구조를 포함하는 스텐트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78853B1 (ko) * 2017-02-16 2018-07-16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선택적 세포 제어형 생체적합성 임플란트
CN114712035A (zh) * 2017-02-21 2022-07-08 丝路医疗公司 血管植入物
CA3054264A1 (en) * 2017-03-06 2018-09-13 Cardiovascular Lab S.P.A. O Brevemente Cv Lab S.P.A. Multilayer luminal endoprosthesis and manufacturing method
CN114983627A (zh) * 2022-06-20 2022-09-02 柏为(武汉)医疗科技股份有限公司 鼻腔嵌套支架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2931B1 (ko) 2011-01-13 2013-05-09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약물 방출 조절용 다중 코팅 스텐트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1519922B1 (ko) * 2014-07-21 2015-05-14 한국기계연구원 약물방출 스텐트 및 그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21418B2 (en) * 2003-06-19 2011-09-20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Sandwiched radiopaque marker on covered stent
JP2006055418A (ja) * 2004-08-20 2006-03-02 Homuzu Giken:Kk ステント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006984B1 (ko) * 2008-10-23 2011-01-12 신경민 체내 분해성 2중 구조 스텐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2931B1 (ko) 2011-01-13 2013-05-09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약물 방출 조절용 다중 코팅 스텐트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1519922B1 (ko) * 2014-07-21 2015-05-14 한국기계연구원 약물방출 스텐트 및 그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3388A (ko) 2016-11-22
WO2018038319A1 (ko) 2018-03-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2487B1 (ko) 미세공극 내 약물저장형 생분해성 스텐트
KR101821746B1 (ko) 약물방출형 생분해성 스텐트
CA2501016C (en) Intraluminal prostheses and carbon dioxide-assisted methods of impregnating same with pharmacological agents
JP4651280B2 (ja) 血管内人工器具用eptfe被覆材
DE60029925T2 (de) Stent mit vorrübergehenden haltebändern
US10064745B2 (en) Tapered scaffolds
EP1773250B1 (en) Bioabsorbable self-expanding endolumenal devices
US7794495B2 (en) Controlled degradation of stents
EP1827308B1 (en) Abluminal, multilayer coating constructs for drug-delivery stents
EP2710983B1 (en) Polymeric stent
DK2456480T3 (en) Biodegradable stent WITH ADJUSTABLE RATE DECOMPOSITION
US20070299504A1 (en) Polymer composite stent with polymer particles
JP2012016593A (ja) 自己解離可能な医療デバイス
PT724428E (pt) Preparacao de dispositivos medicos por metodos de fabrico de formas solidas sem forma
US9592141B2 (en) Bioresorbable scaffold for treatment of bifurcation lesion
KR101822486B1 (ko) 약물 방출형 융합성 스텐트
Begum et al. 3D PRINTING IN PHARMACY SECTOR: A REVIEW ON RECENT ADVANCE TECHNOLOGY
MX2008007850A (en) Laser cut intraluminal medical devi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15R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