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1793B1 - 패키징 앱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패키징 앱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1793B1
KR101821793B1 KR1020110122492A KR20110122492A KR101821793B1 KR 101821793 B1 KR101821793 B1 KR 101821793B1 KR 1020110122492 A KR1020110122492 A KR 1020110122492A KR 20110122492 A KR20110122492 A KR 20110122492A KR 101821793 B1 KR101821793 B1 KR 1018217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p
information
application
packaging
us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24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56744A (ko
Inventor
이상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101224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1793B1/ko
Publication of KR201300567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67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17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17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3Lists, e.g. purchase orders, compilation or proces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2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shopping systems
    • G06Q20/123Shopping for digital cont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tored Programme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패키징 앱 제공 시스템이 제1 사용자 단말, 제2 사용자 단말 및 개발자 단말과 연동하여, 상기 제2 사용자 단말로 패키징 앱을 제공하기 위하여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단일 앱에 대한 선택 앱 정보 및 제2 사용자 단말의 식별 정보를 수신하면, 수신한 선택 앱 정보를 토대로 패키징 앱을 생성한다. 생성한 패키징 앱에 대한 패키징 앱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제2 사용자 단말의 식별 정보를 토대로 제2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여, 제2 사용자 단말이 패키징 앱에 포함되어 있는 단일 앱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패키징 앱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service of packaging app}
본 발명은 패키징 앱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자는 자신이 애플리케이션(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앱'이라 지칭함) 판매 시스템에서 구매한 앱을 사용하면서 다른 사용자에게 선물할 수도 있다. 사용자 자신이 기존에 구매했던 앱을 다른 사용자에게 제공할 경우, 사용자의 단말과 선물 받는 사용자의 단말 간 1:1 제공을 통해 앱을 제공하기 때문에 여러 앱을 한꺼번에 선물할 수 없다는 불편함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다수의 앱을 하나의 앱에 포함하여 다른 사용자에게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패키징 앱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하나의 특징인 사용자 단말 및 개발자 단말과 연동하여 앱을 제공하는 시스템은,
상기 개발자 단말로부터 복수의 단일 앱을 전달받아 저장하고, 상기 단일 앱 및 상기 단일 앱에 대응되는 메타 정보를 제공하는 마켓 서버; 상기 마켓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복수의 단일 앱 및 상기 단일 앱에 대응되는 메타 정보를 전달받아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되는 패키징 앱 생성 요청에 따라 상기 단일 앱 중 하나 이상의 앱을 포함하여 하나의 패키징 앱을 생성하는 패키징 앱 제작 서버; 및 상기 패키징 앱 제작 서버에서 생성된 패키징 앱을 저장, 관리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패키징 앱 제공을 요청받으면 저장되어 있는 패키징 앱을 제공하는 관리 서버를 포함한다.
상기 마켓 서버는, 상기 개발자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하나 이상의 단일 앱 및 상기 단일 앱에 대응하는 메타 정보를 수신하여 등록하고, 상기 단일 앱을 상기 관리 서버로 전달하는 단일 앱 등록부; 상기 단일 앱 등록부가 수신한 상기 메타 정보를 전달받아 저장하고, 상기 메타 정보를 상기 관리 서버로 전달하는 메타 정보 등록부; 상기 메타 정보 등록부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메타 정보로부터 앱 목록을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고, 상기 패키징 앱 제작 서버로부터 임의의 앱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임의의 앱 정보에 대응하는 앱 목록을 전달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앱 제공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앱 목록 제공부; 및 상기 앱 목록 제공부로부터 상기 앱 제공 요청 메시지를 전달받아, 상기 앱 제공 요청 메시지에 대응하는 단일 앱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앱 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켓 서버는 상기 앱 제공 요청 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앱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단일 앱의 결제를 수행하는 결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패키징 앱 제작 서버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단일 앱에 대한 앱 정보를 수신하는 선택 앱 정보 수신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선택된 하나 이상의 단일 앱으로 구성되는 패키징 앱의 인터페이스 화면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고,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에 따른 인터페이스 정보를 생성하는 인터페이스 구성부; 상기 인터페이스 구성부에서 생성된 인터페이스 정보와 상기 선택 앱 정보 수신부가 수신한 상기 앱 정보를 토대로 패키징 앱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한 패키징 앱에 대한 패키징 앱 정보를 생성하는 생성부; 및 상기 생성부에서 생성된 패키징 앱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패키징 앱 제작 서버는 상기 패키징 앱을 제공받는 사용자 단말이 상기 패키징 앱에 포함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단일 앱을 수행할 때, 상기 단일 앱에 대한 결제를 실행하는 결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마켓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하나 이상의 단일 앱을 전달받아 저장하는 단일 앱 저장부; 상기 마켓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하나 이상의 단일 앱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메타 정보를 저장하는 메타 정보 저장부; 상기 메타 정보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메타 정보에 대한 앱 목록을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앱 목록 제공부; 및 상기 패키징 앱 제작 서버에서 전송된 패키징 앱을 수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패키징 앱에 대한 URL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패키징 앱에 대응되도록 저장, 관리하는 패키징 앱 저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관리 서버는 임의의 URL 정보를 이용하여 접속한 사용자 단말로, 상기 임의의 URL 정보에 대응되어 저장되어 있는 패키징 앱을 제공하는 패키징 앱 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인 패키징 앱 제공 시스템이 제1 사용자 단말, 제2 사용자 단말 및 개발자 단말과 연동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패키징 앱을 제공하는 방법은,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단일 앱에 대한 선택 앱 정보 및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의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선택 앱 정보를 토대로 패키징 앱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한 패키징 앱에 대한 패키징 앱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의 식별 정보를 토대로 상기 제2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제2 사용자로부터 상기 패키징 앱에 포함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단일 앱 중 어느 하나의 단일 앱의 제공을 요청받으면, 상기 제2 사용자 단말로 요청받은 단일 앱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패키징 앱에 포함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단일 앱은 아이콘 형태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개발자 단말로부터 하나 이상의 단일 앱 및 단일 앱에 대응되는 메타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메타 정보를 토대로 앱 목록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한 앱 목록을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타 정보는 단일 앱에 대한 식별 정보, 단일 앱 생성일, 단일 앱 개발자 정보, 실행 사양, 단일 앱 아이콘, 이미지, 앱의 분류 카테고리, 앱이 저장되어 있는 URL 정보 및 앱 코드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앱 목록은 단일 앱 식별 정보, 앱 개발처, 앱 구매 비용 및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패키징 앱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한 선택 앱 정보를 토대로 배치된 인터페이스 화면을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에 대한 인터페이스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한 패키징 앱이 저장되는 URL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한 패키징 앱 및 상기 URL 정보를 대응되도록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여러 앱을 한번에 모아서 하나의 앱에 포함시켜 전달할 수 있기 때문에 새로운 앱 유통 방식이 창출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경우 추천할 만한 앱만을 따로 모아 다른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패키징 앱을 통해 선물 받은 앱 사용자들의 앱 구매 확률이 높아지기 때문에, 앱 유통 사업자의 경우 많은 이익을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키징 앱을 제공하는 시스템 환경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켓 서버의 구조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리 서버의 구조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키징 앱 제작 서버의 구조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구조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키징 앱 제공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키징 앱 제작 방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단말(terminal)은, 이동국(Mobile Station, MS), 이동 단말(Mobile Terminal, MT), 가입자국(Subscriber Station, SS), 휴대 가입자국(Portable Subscriber Station, PSS), 사용자 장치(User Equipment, UE), 접근 단말(Access Terminal, AT) 등을 지칭할 수도 있고, 이동 단말, 가입자국, 휴대 가입자 국, 사용자 장치 등의 전부 또는 일부의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기지국(Base Station, BS)은 접근점(Access Point, AP), 무선 접근국(Radio Access Station, RAS), 노드B(Node B), 송수신 기지국(Base Transceiver Station, BTS), MMR(Mobile Multihop Relay)-BS 등을 지칭할 수도 있고, 접근점, 무선 접근국, 노드B, 송수신 기지국, MMR-BS 등의 전부 또는 일부의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로 하여 패키징 앱을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키징 앱을 제공하는 시스템 환경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에게 패키징 앱을 제공하는 환경은 패키징 앱을 저장, 관리하고 사용자 단말(200, 200')로부터 요청받으면 제공하는 관리 서버(120), 개발자 단말로부터 단일 앱 및 앱에 대한 메타 정보를 저장하고 앱 정보를 관리 서버(120) 및 패키징 앱 제작 서버(130)로 제공하는 마켓 서버(110) 및 패키징 앱을 생성하는 패키징 앱 제작 서버(130)를 포함하는 패키징 앱 제공 시스템이 복수의 사용자 단말(200, 200')들과 연동하여 있다.
여기서 관리 서버(120), 마켓 서버(110) 및 패키징 앱 제작 서버(130)는 하나의 패키징 앱 제공 시스템(100) 내에 포함되어 구현될 수도 있고, 각각 서로 다른 시스템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패키징 앱 제공 시스템(100)에 포함되어 구현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200, 200')은 패키징 앱의 생성을 의뢰하는 단말을 제1 사용자 단말(200)로 정의하고, 제1 사용자 단말(200)에 의해 생성된 패키징 앱을 제공받아 사용하는 단말을 제2 사용자 단말(200')이라 정의한다. 그러나, 반드시 이와 같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관리 서버(120), 마켓 서버(110) 및 패키징 앱 제작 서버(130)의 구조에 대하여 도 2 내지 도 4를 참조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켓 서버의 구조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리 서버의 구조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키징 앱 제작 서버의 구조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켓 서버(110)는 단일 앱 등록부(111), 메타 정보 등록부(112), 앱 목록 제공부(113), 앱 제공부(114) 및 결제부(115)를 포함한다.
단일 앱 등록부(111)는 개발자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앱을 메타 정보와 함께 저장한다. 그리고 저장한 앱을 마켓 서버(110)와 연결되어 있는 관리 서버(120)로 전달한다. 여기서 메타 정보는 앱의 식별 정보, 생성일, 개발자 정보, 실행 사양, 앱 아이콘, 이미지, 앱의 분류 카테고리, 앱이 저장되어 있는 URL 정보, 앱 코드 등이 포함되어 있다. 또한, 단일 앱 등록부(111)는 앱 제공부(114)로부터 앱 식별 정보를 수신하면, 앱 식별 정보에 해당하는 앱의 실행 파일을 앱 제공부(114)로 전달한다.
메타 정보 등록부(112)는 단일 앱 등록부(111)로부터 즉 메타 정보를 전달받아 저장하거나, 개발자 단말로부터 직접 메타 정보를 수신하여 등록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저장한 메타 정보를 마켓 서버(110)와 연결되어 있는 관리 서버(120)로 전달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단일 앱 등록부(111)로부터 메타 정보를 전달받아 저장, 등록하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하나 반드시 이와 같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앱 목록 제공부(113)는 메타 정보 등록부(112)에 저장되어 있는 메타 정보로부터 앱 목록을 생성하여 제1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한다. 여기서 앱 목록을 메타 정보에 있는 정보 중 앱 이름, 앱 식별 정보, 앱 개발처, 앱 구매 비용, 앱을 나타내는 이미지만을 포함한다. 그리고 앱 목록 제공부(113)는 패키징 앱 제작 서버(130)로부터 앱 정보를 수신하면, 해당 앱 정보에 대응되는 앱 목록을 전달한다. 이때 앱 정보는 앱의 식별 정보를 의미한다.
그리고 앱 목록 제공부(113)는 제1 또는 제2 사용자 단말(200, 200')로부터 요청되는 앱 제공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여 앱 제공부(114)로 전달한다. 앱 제공 요청 메시지는 앱 식별 정보 및 단말 고유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앱 제공부(114)는 앱 목록 제공부(113)로부터 앱 제공 요청 메시지를 전달받아, 앱 식별 정보에 해당하는 앱의 제공을 단일 앱 등록부(111)로 요청한다. 그리고 단일 앱 등록부(111)부로부터 앱을 전달받아 단말 고유 정보에 해당하는 사용자 단말(200, 200')로 전송한다.
결제부(115)는 일반적으로 마켓 서버(110)에서 유료의 단일 앱을 구매하는 사용자에 대한 결제를 수행한다. 뿐만 아니라, 패키징 앱에 포함되어 제2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될 유료의 단일 앱에 대하여 패키징 앱을 만드는 사용자가 미리 결제하고자 할 경우, 제1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결제를 요청받으면 해당 유료의 단일 앱에 대한 결제를 수행한다. 그리고 결제 완료 메시지를 제1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한다.
한편, 마켓 서버(110)와 연결되어 있는 관리 서버(1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일 앱 저장부(121), 메타 정보 저장부(122), 앱 목록 제공부(123), 패키징 앱 저장부(124) 및 패키징 앱 제공부(125)를 포함한다.
단일 앱 저장부(121)는 마켓 서버(110)의 단일 앱 등록부(111)로부터 전송되는 복수의 단일 앱들을 전달받아 저장하고 관리한다.
메타 정보 저장부(122)는 마켓 서버(110)의 메타 정보 등록부(112)로부터 전송되는 메타 정보를 단말 앱 저장부(121)에 저장되어 있는 앱과 함께 저장하고 관리한다.
앱 목록 제공부(123)는 메타 정보 저장부(122)에서 저장하는 메타 정보에 대한 앱의 앱 목록을 생성하여 저장하고 이후 제1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한다. 이는 이미 생성된 패키징 앱에 대하여 사용자가 패키징 앱 내부의 단일 앱에 대한 앱 목록을 갱신하여 패키징 앱을 수정하고자 할 때, 마켓 서버(110)에서 관리하는 앱 목록을 제공받지 않고 관리 서버(120)에서 저장, 관리하는 앱 목록을 이용하게 하기 위함이다. 그러나, 반드시 이와 같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패키징 앱 저장부(124)는 패키징 앱 제작 서버(130)에서 생성되어 전송된 패키징 앱을 앱 목록 제공부(123)에 대응되도록 저장하고 관리한다. 그리고 패키징 앱을 저장하면 미리 설정해 놓은 방법으로 패키징 앱에 대한 URL 정보를 생성하여 패키징 앱과 함께 저장한다.
이때, 패키징 앱에 포함되어 있는 복수의 단일 앱은 다운로드 가능한 앱의 형태가 아니라, 단일 앱을 마켓 서버(110) 또는 단일 앱 서버로 요청하여 다운로드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아이콘 형태이다. 여기서 단일 앱을 요청하여 다운로드 받는 것은 앱 개발자에 의해 설정된 형태에 따라 마켓 서버(110) 또는 별도의 단일 앱을 관리하는 서버로 연결하여 제공받을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어느 하나의 형태로 한정하지 않는다.
패키징 앱 제공부(125)는 패키징 앱이 저장되어 있는 URL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수신한 제2 사용자 단말(200')이 해당 URL로 접속하여 패키징 앱 제공부(125)로 연결되면, 해당 URL에 대응되어 저장되어 있는 패키징 앱을 패키징 앱 저장부(124)로부터 전달받아 제2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한다.
다음은 관리 서버(120) 및 마켓 서버(110)와 연결되어 있으며 제2 사용자 단말(200')로 패키징 앱을 제공하는 패키징 앱 제작 서버(130)의 구조에 대해 도 4를 참조로 설명하면, 패키징 앱 제작 서버(130)는 선택 앱 정보 수신부(131), UI 구성부(132), 생성부(133), 결제부(134) 및 전송부(135)를 포함한다.
선택 앱 정보 수신부(131)는 사용자가 제1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패키징 앱 제작 서버(130)에 접속하며, 해당 사용자가 구매하였거나 무료로 사용중인 단일 앱에 대한 앱 목록을 제공한다. 이때,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앱 목록은 사전에 마켓 서버(110)로부터 수신하여 저장하고 있거나, 사용자가 접속하면 사용자 식별 정보를 획득하여 마켓 서버(110)로 전송할 수도 있다.
그리고 사용자에 의해 패키징 앱을 생성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단일 앱을 선택되면, 선택된 하나 이상의 단일 앱에 대한 앱 정보를 수신한다. 이때, 마켓 서버(110)의 앱 목록 제공부(113)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단일 앱에 대한 앱 정보를 전송하고, 앱 정보에 대응하는 단일 앱의 앱 목록을 수신한다.
UI 구성부(132)는 제1 사용자 단말(200)로 패키징 앱용 UI 화면을 제공하고, 선택 앱 정보 수신부(131)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단일 앱들을 포함하는 패키징 앱을 생성하기 위한 UI를 구성한다. 즉, UI 구성부(132)가 제1 사용자 단말(200)로 패키징 앱을 구성하기 위한 빈 UI 화면을 제공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제1 사용자 단말(200)을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단일 앱을 선택하여 빈 UI 화면에 배치하면, 배치되는 형태나 위치에 따른 UI 정보를 생성한다.
생성부(133)는 UI 구성부(132)에서 생성된 UI 정보와 선택 앱 정보 수신부(131)에서 수신한 하나 이상의 단일 앱 정보를 토대로 패키징 앱 및 패키징 앱에 대응하는 패키징 앱 정보를 생성한다. 여기서 패키징 앱 정보는 패키징 앱에 포함되어 있는 단일 앱의 아이콘 정보, 패키징 앱 식별 정보, 패키징 앱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URL 정보 및 패키징 앱을 생성한 사용자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이렇게 생성된 패키징 앱과 패키징 앱 정보는 관리 서버(120)의 패키징 앱 저장부(124)로 전달하여 저장, 관리되도록 한다. 이때, 패키징 앱이 저장되어 있는 URL 정보는 미리 설정된 방법에 의해 생성된다. 즉, 관리 서버(120)와 패키징 앱 제작 서버(130)는 사전에 패키징 앱이 저장되는 위치인 URL을 어떻게 생성할 지에 대한 동일한 정보를 모두 알고 있기 때문에, 관리 서버(120)로부터 패키징 앱이 저장되어 있는 URL 정보를 수신하지 않더라도, 생성부(133)에서 패키징 앱을 생성함과 동시에 URL 정보를 생성하도록 한다. 그러나 반드시 이와 같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결제부(134)는 패키징 앱을 선물 받은 사용자가 제2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패키징 앱 내에 포함되어 있는 복수의 단일 앱 중 유료 앱 중 어느 하나의 앱을 구매할 경우, 해당 앱에 대한 결제를 수행한다.
전송부(135)는 생성부(133)에서 생성된 패키징 앱 정보를 사용자가 지정한 제2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한다. 이때, 패키징 앱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SMS(Short Message Service)를 이용하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하나, 반드시 이와 같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음은 패키징 앱 제공 시스템(100)을 통해 생성된 패키징 앱을 제공받은 사용자 단말의 구조에 대해 도 5를 참조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2 사용자 단말(200')의 구조를 언급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구조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200')은 메시지 수신부(210), 패키징 앱 수신부(220), 패키징 앱 설치부(230), 단일 앱 저장부(240) 및 단일 앱 실행부(250)를 포함한다.
메시지 수신부(210)는 패키징 앱 제작 서버(130)의 전송부(135)로부터 전송되는 패키징 앱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메시지를 수신한다.
패키징 앱 수신부(220)는 메시지 수신부(210)가 수신한 메시지로부터 패키징 앱이 저장되어 있는 URL 정보를 추출하고, 해당 URL로 접속하여 패키징 앱을 제공할 것을 요청한다. 그리고 관리 서버(120)의 패키징 앱 제공부(125)로부터 패키징 앱을 수신한다.
패키징 앱 설치부(230)는 패키징 앱 수신부(220)가 수신한 패키징 앱을 설치한다. 이때, 패키징 앱 안에는 하나 이상의 단일 앱을 다운로드받을 수 있도록 하는 단일 앱 아이콘이 포함되어 있다.
단일 앱 저장부(240)는 사용자에 의해 단일 앱 아이콘의 상태가 변경되면, 아이콘 상태 변경에 따라 해당 단일 앱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서버로 접속하여 단일 앱의 제공을 요청한다. 그리고 서버로부터 단일 앱을 제공받는다. 이때, 단일 앱을 생성한 개발자의 설정에 의해 단일 앱을 마켓 서버(110)로부터 다운로드 받을 수 있거나, 별도로 단일 앱을 관리하는 서버로 접속하여 다운로드 받을 수도 있다.
단일 앱 실행부(250)는 단일 앱 저장부(240)가 수신한 단일 앱을 실행하여, 앱 실행 화면을 제2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이때, 사용자에 의해 실행된 단일 앱이 유료 앱이고 결제가 완료되지 않은 앱인 경우에는, 패키징 앱 제작 서버(130)의 결제부(134)로 접속하여 해당 앱에 대한 결제가 수행되도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패키징 앱 제공 시스템(100)을 이용하여 패키징 앱을 생성하고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방법에 대하여 도 6을 참조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키징 앱 제공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사용자 단말(200)이 패키징 앱 제작을 위해 패키징 앱 제공 시스템(100)의 패키징 앱 제작 서버(130)로 접속하면, 선택 앱 정보 수신부(131)는 제1 사용자 단말(200)의 사용자가 구매하였거나 사용하고 있는 복수의 단일 앱 정보를 제공한다(S100, S110). 사용자가 S100 단계를 통해 제공되는 복수의 단일 앱 정보를 토대로 패키징 앱에 포함하고자 하는 앱을 선택하면, 선택 앱 정보 수신부(131)는 선택된 앱에 대한 앱 정보를 마켓 서버(110)로 전송한다(S120).
마켓 서버(110)의 앱 목록 제공부(123)는 S120 단계에서 패키징 앱 제작 서버(130)로부터 수신한 선택 앱 정보를 토대로 앱 목록을 패키징 앱 제작 서버(130)로 전달한다(S130). 패키징 앱 제작 서버(130)는 S130 단계에서 수신한 앱 목록과, 제1 사용자 단말(200)이 UI 구성부(132)를 통해 설정한 UI 화면을 토대로 생성된 UI 정보를 토대로 패키징 앱을 생성한다(S140). 이때, 패키징 앱이 생성됨과 동시에 패키징 앱에 대한 정보와 패키징 앱이 저장될 URL도 함께 생성된다.
생성부(133)는 S140 단계에서 생성한 패키징 앱과 패키징 앱 정보를 관리 서버(120)의 패키징 앱 저장부(124)로 전달하고(S150), 패키징 앱 저장부(124)는 수신한 패키징 앱과 패키징 앱 정보를 저장한다(S160). 그리고 전송부(135)는 S150 단계에서 생성된 URL을 포함하는 패키징 앱 정보 메시지를 제1 사용자 단말(200)에 의해 선택된 제2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한다(S170).
제2 사용자 단말(200')은 S170 단계를 통해 전송된 메시지로부터 URL을 추출한 후 해당 URL로 접속하고(S180), 패키징 앱 제공부(125)로부터 패키징 앱을 다운로드 받는다(S190). 제2 사용자 단말(200')의 사용자는 다운로드 받은 패키징 앱을 설치하고 실행한다(S200).
패키징 앱을 설치할 경우, 패키징 앱에 포함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단일 앱 아이콘이 나타나는데, 사용자는 제2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단일 앱 아이콘을 실행하여 단일 앱을 요청한다(S210).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단일 앱을 마켓 서버(110)에서 다운로드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하나, 별도로 단일 앱만을 관리하는 서버로 접속하여 제공받을 수도 있다. 그리고 단일 앱 아이콘을 실행할 경우, 앱 정보가 발생된다. 따라서, 마켓 서버(110)의 앱 제공부(114)는 S210 단계에서 요청받은 단일 앱에 대한 앱 정보를 토대로 단일 앱을 제2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하여, 제2 사용자 단말(200')에서 실행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방법을 통해 패키징 앱을 제작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방법에 대하여 도 7을 참조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키징 앱 제작 방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제1 사용자가 패키징 앱 제작 서버(130)로 접속하면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신이 구매했거나 무료로 다운로드받아 사용중인 단일 앱에 대한 목록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목록은 아이콘 형태로 나타나며, 아이콘에는 앱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이 중 제2 사용자에게 몇 가지 단일 앱을 전달할 경우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는 전송할 단일 앱에 대한 아이콘을 선택한다.
그리고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패키징 앱에 반영할 템플릿을 선택하면, (d)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빈 패키징 앱과 사용자가 선택한 단일 앱 아이콘들이 화면상에 나타난다. 그러면 제1 사용자는 (e)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택한 단일 앱 아이콘들을 빈 패키징 앱에 배치하여 패키징 앱의 형태를 제작한다. 이렇게 패키징 앱의 형태를 제작하면 UI 구성부(132)는 UI 정보를 생성하게 되고, 생성부(133)는 UI 정보와 단일 앱 아이콘을 포함하는 패키징 앱을 생성한다.
생성부(133)가 패키징 앱을 생성할 때 패키징 앱이 저장될 위치의 URL도 함께 생성되는데, 전송부(135)는 URL을 포함하는 패키징 앱 정보 메시지를 (f)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패키징 앱을 선물 받을 제2 사용자의 단말로 전송한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SMS에 URL을 포함하여 전송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13)

  1. 사용자 단말 및 개발자 단말과 연동하여 앱을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개발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복수의 단일 앱과 단일 앱 각각에 대한 메타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복수의 단일 앱 및 메타 정보를 관리 서버로 제공하며,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로 단일 앱에 대한 실행 파일을 제공하는 마켓 서버;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하나 이상의 선택된 단일 앱과 사용자 인터페이스 정보를 포함하는 패키징 앱 생성 요청에 따라 상기 선택된 하나 이상의 단일 앱과 패키징 앱이 저장되어 있는 관리 서버의 URL을 포함하여 패키징 앱을 생성하며, 생성한 패키징 앱에 대한 패키징 앱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패키징 앱 제작 서버
    를 포함하고,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패키징 앱 제작 서버에서 생성된 패키징 앱을 저장, 관리하고, 상기 패키징 앱 정보에 포함된 URL을 토대로 접속한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패키징 앱 제공을 요청받으면 저장되어 있는 패키징 앱을 제공하는 패키징 앱 제공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켓 서버는,
    상기 개발자 단말로부터 복수의 단일 앱과 단일 앱 각각에 대응하는 메타 정보를 수신하여 등록하고, 상기 단일 앱과 메타 정보를 상기 관리 서버로 전달하는 단일 앱 등록부;
    상기 단일 앱 등록부가 수신한 상기 메타 정보를 전달받아 저장하고, 상기 메타 정보를 상기 관리 서버로 전달하는 메타 정보 등록부;
    상기 메타 정보 등록부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메타 정보로부터 앱 목록을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고, 상기 패키징 앱 제작 서버로부터 임의의 앱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임의의 앱 정보에 대응하는 앱 목록을 전달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앱 제공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앱 목록 제공부; 및
    상기 앱 목록 제공부로부터 상기 앱 제공 요청 메시지를 전달받아, 상기 앱 제공 요청 메시지에 대응하는 단일 앱에 대응하는 실행 파일을 상기 단일 앱 등록부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앱 제공부
    를 포함하는 패키징 앱 제공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앱 제공 요청 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앱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단일 앱의 결제를 수행하는 결제부
    를 포함하는 패키징 앱 제공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키징 앱 제작 서버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선택된 상기 하나 이상의 선택된 단일 앱에 대한 앱 정보를 수신하는 선택 앱 정보 수신부;
    상기 선택된 하나 이상의 단일 앱으로 구성되는 패키징 앱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에 따른 인터페이스 정보를 생성하는 인터페이스 구성부;
    상기 인터페이스 구성부에서 생성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정보와 상기 선택 앱 정보 수신부가 수신한 상기 앱 정보를 토대로 패키징 앱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한 패키징 앱에 대한 상기 패키징 앱 정보를 생성하는 생성부; 및
    상기 생성부에서 생성된 패키징 앱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전송부
    를 포함하는 패키징 앱 제공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패키징 앱을 제공받는 사용자 단말이 상기 패키징 앱에 포함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단일 앱을 수행할 때, 상기 단일 앱에 대한 결제를 실행하는 결제부
    를 포함하는 패키징 앱 제공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마켓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하나 이상의 단일 앱을 전달받아 저장하는 단일 앱 저장부;
    상기 마켓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하나 이상의 단일 앱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메타 정보를 저장하는 메타 정보 저장부;
    상기 메타 정보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메타 정보에 대한 앱 목록을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앱 목록 제공부; 및
    상기 패키징 앱 제작 서버에서 전송된 패키징 앱을 수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패키징 앱에 대한 URL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패키징 앱에 대응되도록 저장, 관리하는 패키징 앱 저장부
    를 포함하는 패키징 앱 제공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임의의 URL 정보를 이용하여 접속한 사용자 단말로, 상기 임의의 URL 정보에 대응되어 저장되어 있는 패키징 앱을 제공하는 패키징 앱 제공부
    를 포함하는 패키징 앱 제공 시스템.
  8. 패키징 앱 제공 시스템이 제1 사용자 단말, 제2 사용자 단말 및 개발자 단말과 연동하여, 상기 제2 사용자 단말로 패키징 앱을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단일 앱에 대한 선택 앱 정보 및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의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선택 앱 정보를 토대로 배치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에 대한 인터페이스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한 패키징 앱이 저장되는 URL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이 상기 URL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패키징 앱을 다운로드받도록, 상기 생성한 패키징 앱에 대한 패키징 앱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상기 제2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패키징 앱 제공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URL 정보를 토대로 접속한 상기 제2 사용자로부터 상기 패키징 앱에 포함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단일 앱 중 어느 하나의 단일 앱의 제공을 요청받으면, 상기 제2 사용자 단말로 요청받은 단일 앱을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패키징 앱 제공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패키징 앱에 포함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단일 앱은 아이콘 형태로 포함되어 있는 패키징 앱 제공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개발자 단말로부터 하나 이상의 단일 앱 및 단일 앱에 대응되는 메타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메타 정보를 토대로 앱 목록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한 앱 목록을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패키징 앱 제공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 정보는 단일 앱에 대한 식별 정보, 단일 앱 생성일, 단일 앱 개발자 정보, 실행 사양, 단일 앱 아이콘, 이미지, 앱의 분류 카테고리, 앱이 저장되어 있는 URL 정보 및 앱 코드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앱 목록은 단일 앱 식별 정보, 앱 개발처, 앱 구매 비용 및 이미지를 포함하는 패키징 앱 제공 방법.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URL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생성한 패키징 앱 및 상기 URL 정보를 대응되도록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패키징 앱 제공 방법.
KR1020110122492A 2011-11-22 2011-11-22 패키징 앱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8217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2492A KR101821793B1 (ko) 2011-11-22 2011-11-22 패키징 앱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2492A KR101821793B1 (ko) 2011-11-22 2011-11-22 패키징 앱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6744A KR20130056744A (ko) 2013-05-30
KR101821793B1 true KR101821793B1 (ko) 2018-01-24

Family

ID=486646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2492A KR101821793B1 (ko) 2011-11-22 2011-11-22 패키징 앱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179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6980A (ko) 2019-08-06 2021-02-17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누락된 데이터의 사용량을 추정하는 ami 시스템의 서버 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6744A (ko) 2013-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67343B2 (en) Method for providing internet of things service
US9250882B2 (en) Method and system for implementing in-app software development kits
US9928048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pplication programs to devices
US20130132235A1 (en) Enabling third-party e-store with carrier billing for a mobile device
JP2015007983A (ja) アプリケーションの携帯端末機間移動及びインストール方法
CN105308907B (zh) 一种安装包授权方法及装置
JP5838218B2 (ja) アプリストアシステム及び当該アプリストアシステムを用いたアプリケーションの開発方法
CN106131822B (zh) 虚拟接入模块分配装置和方法
US1056754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haring data quota
US20150301815A1 (en) Viral distribution of mobile application software
KR101821793B1 (ko) 패키징 앱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N103688266B (zh) 用于分层许可的装置和方法
KR20150120608A (ko) 스마트 단말수단의 응용프로그램 추천 시스템과 추천 방법
KR101437430B1 (ko) IoT POS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US20130054409A1 (en) In-application purchasing method and method for processing in-application purchase
KR20190093761A (ko) 사물인터넷 통합 어플리케이션 및 그 운용 방법
JP2016110563A (ja) 発注システム
WO2014092689A1 (en)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application management
JP2015125512A (ja) 管理システム、管理システムによる管理方法、管理装置、管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30062065A (ko) 모바일 앱 개발 시스템 및 방법
KR20130005835A (ko) 어플리케이션을 제작하는 방법 및 시스템
WO2022107659A1 (ja) 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端末
JP2017182389A (ja) 携帯端末用情報通知サーバー装置
KR101410356B1 (ko) 부가기능의 설정을 위한 템플릿 제공 시스템
KR101625586B1 (ko) 온라인 상점 관리용 응용 프로그램 제작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관리 서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