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1787B1 - 흄 배기장치 - Google Patents

흄 배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1787B1
KR101821787B1 KR1020170113220A KR20170113220A KR101821787B1 KR 101821787 B1 KR101821787 B1 KR 101821787B1 KR 1020170113220 A KR1020170113220 A KR 1020170113220A KR 20170113220 A KR20170113220 A KR 20170113220A KR 101821787 B1 KR101821787 B1 KR 1018217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fume
casting mold
exhaust
exhaust f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32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우형
Original Assignee
이우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우형 filed Critical 이우형
Priority to KR10201701132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17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17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17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5/00Equipment for ca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2D45/005Evacuation of fumes, dust or waste gases during manipulations in the found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sting Support Devices, Ladles, And Melt Control Thereb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물제품을 주조할 때 발생되는 흄을 효과적으로 배기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흄 배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흄 배기장치는 전면이 개방된 박스형태로 구성되며 상면에는 배기구(11)가 형성된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상측 전방으로 연장되도록 후측이 상기 본체(10)의 상면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둘레면에는 하측으로 연장된 커튼부재(21)가 구비된 보조덮개(20)와, 상기 본체(10)의 배기구(11)에 연결된 배기팬(30)과, 상기 보조덮개(20)에 연결되어 보조덮개(20)를 전방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도록 회동시키는 회동구동수단(40)으로 구성되어, 상기 보조덮개(20)를 상측으로 회동시킴으로써, 크레인 등을 이용하여 주물형틀(3)을 본체(10)의 전방으로 이동할 때, 크레인과 보조덮개(20)가 간섭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주물형틀(3)을 본체(10)의 전방에 배치 후 상기 보조덮개(20)를 하측으로 회동시킴 상태에서 상기 배기팬(30)을 구동시킴으로써, 주물형틀(3)에서 발생되는 흄을 효과적으로 배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흄 배기장치{fume exhaust apparatus}
본 발명은 주물제품을 주조할 때 발생되는 흄을 효과적으로 배기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흄 배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물제품은, 금속재료를 고온으로 가열되어 용융시킨 용탕을 주물형틀의 내부에 주입 및 냉각시킨 후, 주물형틀을 해체하는 단계를 거쳐 제조된다.
이때, 상기 주물형틀은 주물사를 이용하여 제작된다.
한편, 이와 같이 주물형틀의 내부에 고온의 용탕을 주입하여 냉각시키는 과정에서, 다량의 흄이 발생되는데, 이와 같이 주물제품을 제작할 때 발생되는 흄에는 재료가 되는 금속이 증발하여 발생되는 다량의 미립자가 포함되어 있음으로, 작업자가 이를 흡입할 경우, 건강상에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이 주물제품을 제작할 때는 배기장치를 이용하여 주물형틀에서 발생되는 흄을 외부로 배출하고 있는데, 지금까지 사용되고 있는 배기장치는 주물형틀에서 발생되는 다량의 흄을 효과적으로 배출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공개특허 10-2012-0009074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주물제품을 주조할 때 발생되는 흄을 효과적으로 배기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흄 배기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주물형틀(3)에서 발생된 흄을 배출하는 흄 배기장치로서, 전면이 개방된 박스형태로 구성되며 상면에는 배기구(11)가 형성된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상측 전방으로 연장되도록 후측이 상기 본체(10)의 상면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둘레면에는 하측으로 연장된 커튼부재(21)가 구비된 보조덮개(20)와, 상기 본체(10)의 배기구(11)에 연결된 배기팬(30)과, 상기 보조덮개(20)에 연결되어 보조덮개(20)를 전방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도록 회동시키는 회동구동수단(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흄 배기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본체(10)의 내측에 구비되어 본체(10) 내부의 온도를 내부온도센서(50)와, 상기 본체(10)의 외측에 구비되어 본체(10) 외측의 온도를 측정하는 외부온도센서(60)와, 상기 내부온도센서(50)와 외부온도센서(60)의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배기팬(30)과 회동구동수단(4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8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수단(80)에는 작업자가 조작하여 작업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수단(81)이 구비되며, 상기 보조덮개(20)가 전방으로 연장되도록 회동되고 상기 배기팬(30)이 구동되어 흄을 배출하는 상태에서, 상기 제어수단(80)은 상기 내부온도센서(50)와 외부온도센서(60)에 의해 측정된 본체(10) 내부의 온도와 본체(10) 외부의 온도의 차이를 계산하고, 계산된 온도차이에 비례하여 상기 배기팬(30)의 구동속도를 증가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흄 배기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바닥면(1)에 놓여진 주물형틀(3)의 둘레부를 감싸도록 배치되어 상측으로 공기를 불어냄으로써 상기 주물형틀(3)의 둘레부에 에어커튼을 형성하는 에어커튼발생수단(7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에어커튼발생수단(70)은 상기 주물형틀(3)의 둘레부를 감싸도록 바닥면(1)에 매립되며 상면에는 다수개의 분사공(71c)이 형성된 분사관(71)과, 상기 분사관(71)에 연결되어 분사관(71)에 고압의 공기를 공급하는 급기수단(7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흄 배기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바닥면(1)에 구비되어 상면에 올려진 주물형틀(3)의 무게를 측정하고 측정된 주물형틀(3)의 무게값을 상기 제어수단(80)으로 전송하는 무게측정수단(9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수단(80)에는 상기 용탕이 주입되기 전의 주물형틀(3)의 무게값이 입력되어, 상기 무게측정수단(90)에 의해 측정된 무게값이 입력된 주물형틀(3)의 무게값에 비해 무거워질 경우, 상기 주물형틀(3)에 용탕이 주입되는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배기팬(30)을 구동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흄 배기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흄 배기장치는 전면이 개방된 박스형태로 구성되며 상면에는 배기구(11)가 형성된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상측 전방으로 연장되도록 후측이 상기 본체(10)의 상면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둘레면에는 하측으로 연장된 커튼부재(21)가 구비된 보조덮개(20)와, 상기 본체(10)의 배기구(11)에 연결된 배기팬(30)과, 상기 보조덮개(20)에 연결되어 보조덮개(20)를 전방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도록 회동시키는 회동구동수단(40)으로 구성되어, 상기 보조덮개(20)를 상측으로 회동시킴으로써, 크레인 등을 이용하여 주물형틀(3)을 본체(10)의 전방으로 이동할 때, 크레인과 보조덮개(20)가 간섭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주물형틀(3)을 본체(10)의 전방에 배치 후 상기 보조덮개(20)를 하측으로 회동시킴 상태에서 상기 배기팬(30)을 구동시킴으로써, 주물형틀(3)에서 발생되는 흄을 효과적으로 배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흄 배기장치를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흄 배기장치를 도시한 측단면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흄 배기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흄 배기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측단면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흄 배기장치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측단면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흄 배기장치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평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흄 배기장치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회로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흄 배기장치의 제2 실시예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측단면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흄 배기장치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측단면 구성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흄 배기장치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회로구성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흄 배기장치의 제3 실시예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회로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흄 배기장치를 도시한 것으로, 상면에는 배기구(11)가 형성된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상측 전방으로 연장되도록 후측이 상기 본체(10)의 상면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둘레면에는 하측으로 연장된 커튼부재(21)가 구비된 보조덮개(20)와, 상기 본체(10)의 배기구(11)에 연결된 배기팬(30)과, 상기 보조덮개(20)에 연결되어 보조덮개(20)를 전방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도록 회동시키는 회동구동수단(40)으로 구성되어, 바닥면(1)에 놓여진 주물형틀(3)에서 발생되는 흄을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본체(10)는 전면이 개방된 박스형태로 구성되어, 바닥면(1)에 고정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상면이 전방으로 상향경사지도록 구성된다.
상기 배기구(11)는 후방으로 돌출된 호퍼형태로 구성된다.
상기 보조덮개(20)는 사각 패널형태로 구성되어 후단부가 상기 본체(10)의 전방 상면에 구비된 지지브라켓(13)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커튼부재(21)는 플랙시블하면서 고온의 열에 강한 합성수지 또는 고무재질로 구성되어, 보조덮개(20)가 전방으로 연장되도록 하측으로 회동되면, 하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본체(10)의 전방 상측을 가리도록 구성된다.
상기 배기팬(30)은 배기관(31)을 통해 상기 배기구(11)에 연결되어, 작동시 상기 본체(10) 전방의 공기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배기관(31)의 중간부에 구비된 필터부재(32)로 구성된다.
상기 회동구동수단(40)은 상기 전후방향으로 연장되어 전후단이 상기 본체(10)의 상면에 구비된 지지대(12)와 상기 보조덮개(20)의 상면에 구비된 브라켓(22)에 힌지결합된 에어실린더를 이용한다.
따라서, 평상시에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회동구동수단(40)을 이용하여 상기 보조덮개(20)를 상측으로 회동시킨 상태에서, 크레인을 이용하여 상기 본체(10)의 전방 바닥에 주물형틀(3)을 내려놓은 후, 상기 주물형틀(3)에 용탕을 주입할 수 있다.
그리고, 용탕이 주입된 후,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회동구동수단(40)을 이용하여 상기 보조덮개(20)를 전방으로 연장되도록 하측으로 회동시킨 후, 상기 배기팬(30)을 구동시키면, 상기 주물형틀(3)에서 발생되는 흄이 상기 배기구(11)와 배기관(31)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며, 이때, 흄에 포함된 오염성분은 상기 필터부재(32)에 의해 제거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흄 배기장치는 전면이 개방된 박스형태로 구성되며 상면에는 배기구(11)가 형성된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상측 전방으로 연장되도록 후측이 상기 본체(10)의 상면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둘레면에는 하측으로 연장된 커튼부재(21)가 구비된 보조덮개(20)와, 상기 본체(10)의 배기구(11)에 연결된 배기팬(30)과, 상기 보조덮개(20)에 연결되어 보조덮개(20)를 전방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도록 회동시키는 회동구동수단(40)으로 구성되어, 상기 보조덮개(20)를 상측으로 회동시킴으로써, 크레인 등을 이용하여 주물형틀(3)을 본체(10)의 전방으로 이동할 때, 크레인과 보조덮개(20)가 간섭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주물형틀(3)을 본체(10)의 전방에 배치 후 상기 보조덮개(20)를 하측으로 회동시킴 상태에서 상기 배기팬(30)을 구동시킴으로써, 주물형틀(3)에서 발생되는 흄을 효과적으로 배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본체(10)의 내측에 구비되어 본체(10) 내부의 온도를 내부온도센서(50)와, 상기 본체(10)의 외측에 구비되어 본체(10) 외측의 온도를 측정하는 외부온도센서(60)와, 바닥면(1)에 상기 주물형틀(3)의 둘레부를 감싸도록 배치되어 상측으로 공기를 불어냄으로써 상기 주물형틀(3)의 둘레부에 에어커튼을 형성하는 에어커튼발생수단(70)과, 상기 내부온도센서(50)와 외부온도센서(60)의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배기팬(30)과 회동구동수단(40) 및 에어커튼발생수단(7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80)이 더 구비된다.
상기 내부온도센서(50)는 상기 본체(10)의 내측면 중에서 상기 배기구(11)에 근접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배기구(11)로 배출되는 공기의 온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온도값을 상기 제어수단(80)으로 전송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외부온도센서(60)는 상기 본체(10)의 외측면에 구비되어, 본체(10) 외측의 기온을 측정하고, 측정된 온도값을 상기 제어수단(80)으로 전송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에어커튼발생수단(70)은 상기 에어커튼발생수단(70)은 상기 주물형틀(3)의 둘레부를 감싸도록 바닥면(1)에 매립되며 상면에는 다수개의 분사공(71c)이 형성된 분사관(71)과, 급기관(73)을 통해 상기 분사관(71)에 연결되어 분사관(71)에 고압의 공기를 공급하는 급기수단(72)으로 구성된다.
상기 분사관(71)은 상기 바닥면(1)에 하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오목홈(2)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분사공(71c)은 다수개가 상호 측방향으로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분사관(71)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의 양측 전방에서 전방으로 연장된 연장부(71a)와, 상기 연장부(71a)의 전단부를 연결하는 연결부(71b)를 갖는 디귿자 형태로 구성된다.
상기 급기수단(72)은 급기관을 통해 상기 분사관(71)에 연결된 에어컴프레서를 이용한다.
따라서, 상기 분사관(71)이 이루는 디귿자의 내측에 상기 주물형틀(3)이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에어컴프레서를 구동시켜 분사관(71)으로 고압의 공기를 공급하면,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압의 공기가 분사관(71)의 분사공(71c)을 통해 상측으로 배출되어 주물형틀(3)의 둘레부를 감싸는 에어커튼을 형성하여, 상기 주물형틀(3)에서 배출되는 흄이 본체(10)의 전방으로 유출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제어수단(80)은 작업자가 조작하여 작업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수단(81)이 구비된 것으로, 작업자가 상기 입력수단(81)을 조작하여 작업신호를 입력하면,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회동제어수단(80)을 제어하여 상기 보조덮개(20)가 전방으로 연장되도록 회동시킴과 동시, 상기 배기팬(30)과 에어커튼발생수단(70)을 구동시켜, 상기 주물형틀(3)에서 배출되는 흄이 상기 배기관(31)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수단(80)은 상기 내부온도센서(50)와 외부온도센서(60)에 의해 측정된 본체(10) 내부의 온도와 본체(10) 외부의 온도의 차이를 계산하고, 계산된 온도차이에 비례하여 상기 배기팬(30)의 구동속도를 증가시키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주물형틀(3)에서 발생되는 흄의 양은 주물형틀(3)에 용탕을 주입한 직후 가장 많이 발생되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주물형틀(3)에서 발생되는 흄의 양이 점차 줄어들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배기팬(30)을 구동시키면, 상기 본체(10) 전방의 공기와, 상기 주물형틀(3)에서 발생되는 흄이 함께 배기구(11)를 통해 흡입되어 외부로 배출되는데, 상기 흄은 매우 고온이어서, 흄과 함께 배기구(11)로 흡입되는 공기의 온도는 본체(10) 외측의 온도에 비해 상승되며, 상기 내부온도센서(50)에 의해 온도가 측정되는 공기의 온도가 상기 외부온도센서(60)에 의해 측정되는 본체(10) 외측의 온도에 비해 높을 경우, 흄의 배출량이 많은 것을 의미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어수단(80)은 상기 내부온도센서(50)와 외부온도센서(60)에 의해 측정된 본체(10) 내부의 온도와 본체(10) 외부의 온도의 차이를 계산하고, 계산된 온도차이가 클수록 상기 배기팬(30)의 구동속도를 빠르게 함으로써, 흄이 많이 발생될 때는 상기 배기팬(30)의 회전속도를 빨리 함으로써 흄을 빠르게 배기하고, 흄의 발생량이 줄어들면 상기 배기팬(30)의 회전속도를 줄임으로써 상기 배기팬(30)에 의해 공기가 배출되면서 발생되는 소음을 줄이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흄 배기장치는 내부온도센서(50)와 외부온도센서(60)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주물형틀(3)에서 배출되는 흄의 양을 간접적으로 측정하고, 흄이 많이 발생될 때는 배기팬(30)의 회전속도를 상승시켜 흄이 신속하게 배출되도록 하고, 흄이 조금만 발생될 때는 배기팬(30)의 회전속도를 줄여서 배기팬(30)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을 줄임으로써, 작업환경을 개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바닥면(1)에 놓여진 주물형틀(3)의 둘레부를 감싸도록 배치되는 에어커튼발생수단(70)이 더 구비되며, 상기 에어커튼발생수단(70)은 상기 주물형틀(3)의 둘레부를 감싸도록 바닥면(1)에 매립되며 상면에는 다수개의 분사공(71c)이 형성된 분사관(71)과, 상기 분사관(71)에 연결되어 분사관(71)에 고압의 공기를 공급하는 급기수단(72)으로 구성되어, 바닥면(1)에서 상측으로 고압의 공기를 불어내어 에어커튼을 형성함으로써, 분사관(71)의 내측에 위치된 주물형틀(3)에서 발생되는 흄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상기 본체(10)와 보조커버는 하측 전방이 개방되어 있음으로, 상기 배기팬(30)을 이용하여 본체(10) 전방의 공기와 함께 흄을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할 때, 흄의 일부가 개방된 본체(10)와 보조커버의 전방으로 유출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경우, 에어커튼발생수단(70)을 이용하여, 상기 주물형틀(3)의 둘레부에 에어커튼을 형성함으로써, 주물형틀(3)에서 발생된 흄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에어커튼발생수단(70)은 상측으로 하측으로 공기를 배출하여 에어커튼을 형성하는 일반적인 에어커튼발생수단과 달리, 바닥면(1)에서 상측으로 공기를 배출하여 에어커튼을 형성함으로, 에어커튼에 의해 바닥면(1)에 있는 먼지가 비산되어 주변의 공기를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주물형틀(3)을 이용하여 주조제품을 제작하는 공장의 경우, 주물형틀(3)에서 이탈된 주물사나 기타 이물질이 바닥에 떨어져 지저분해지게 되는데, 이때, 하측으로 바람을 불어내는 일반적인 에어커튼발생장치를 이용할 경우 바닥에 있는 주물사나 기타 이물질이 비산되어 주변의 공기를 오염시키게 되는데, 본 발명에 따른 에어커튼발생수단(70)은 바닥면(1)에서 상측으로 공기를 배출하여 에어커튼을 형성함으로, 이러한 문제점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바닥면(1)에는 상면에 올려진 주물형틀(3)의 무게를 측정하고 측정된 주물형틀(3)의 무게값을 상기 제어수단(80)으로 전송하는 무게측정수단(90)이 구비된다.
상기 무게측정수단(90)은 상기 바닥면(1)에 구비되며 상면에 주물형틀(3)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된 사각형의 지지판(91)과, 상기 지지판(91)의 각 모퉁이 부분에 위치되도록 지지판(91)과 바닥면(1)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판(91)에 올려진 주물형틀(3)의 무게를 측정하는 하중센서(92)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수단(80)에는 상기 용탕이 주입되기 전의 주물형틀(3)의 무게값이 입력되어, 상기 무게측정수단(90)에 의해 측정된 무게값이 입력된 주물형틀(3)의 무게값에 비해 무거워질 경우, 상기 주물형틀(3)에 용탕이 주입되는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배기팬(30)을 구동시키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흄 배기장치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보조덮개(20)가 상측으로 회동되고, 상기 배기팬(30)이 정지된 상태에서, 작업자가 크레인을 이용하여 주물형틀(3)을 상기 무게측정의 상면에 올려놓으면, 상기 제어수단(80)은 상기 무게측정수단(90)을 통해 주물형틀(3)에 용탕이 공급되는지를 판단한다.
그리고, 상기 주물형틀(3)에 용탕이 공급되어 상기 주물형틀(3)의 무게가 미리 입력된 주물형틀(3)의 무게값에 비해 무거워질 경우, 상기 제어수단(80)은 주물형틀(3)에 용탕을 주입하는 작업이 시작된 것으로 판단하여,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배기팬(30)을 구동킴으로써, 용탕이 공급된 주물형틀(3)에서 발생된 흄을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한다.
따라서, 주물형틀(3)에 용탕을 주입하는 작업을 할 때, 작업자가 별도로 상기 배기팬(30)을 구동시키지 않더라도, 자동으로 배기팬(30)이 작동되어 주물형틀(3)에서 발생되는 흄을 배출함으로, 작업자가 흄을 흡입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흄은 주물형틀(3)에 용탕을 주입하는 순간부터 발생되는데, 전술한 실시예의 경우, 상기 보조덮개(20)가 전방으로 회동된 상태에서 배기팬(30)이 구동되도록 구성됨으로, 상기 보조덮개(20)가 상측으로 회동된 상태에서 행해지는 용탕공급작업시에는 흄을 배출하지 못하게 되어, 작업자가 흄을 흡입할 수 있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주물형틀(3)에 흄을 공급할 때 작업자가 수동으로 배기팬(30)을 구동시켜 흄이 배출되도록 할 수 있으나, 이러한 경우, 주물형틀(3)에 흄을 공급하는 작업자 이외의 별도의 작업자가 배기팬(30)을 조작하여야 함으로, 불필요한 인력이 필요하게 된다.
그러나, 본 실시예의 경우, 주물형틀(3)에 용탕을 주입하면 자동으로 배기팬(30)이 작동되어 흄을 배출함으로, 별도의 인력이 필요하지 않으면서도, 주물형틀(3)에 용탕을 주입하는 작업자가 흄을 흡입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0. 본체 20. 보조덮개
30. 배기팬 40. 회동구동수단
50. 내부온도센서 60. 외부온도센서
70. 에어커튼발생수단 80. 제어수단
90. 무게측정수단

Claims (4)

  1. 삭제
  2. 주물형틀(3)에서 발생된 흄을 배출하는 흄 배기장치로서,
    전면이 개방된 박스형태로 구성되며 상면에는 배기구(11)가 형성된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상측 전방으로 연장되도록 후측이 상기 본체(10)의 상면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둘레면에는 하측으로 연장된 커튼부재(21)가 구비된 보조덮개(20)와,
    상기 본체(10)의 배기구(11)에 연결된 배기팬(30)과, 상기 보조덮개(20)에 연결되어 보조덮개(20)를 전방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도록 회동시키는 회동구동수단(40)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10)의 내측에 구비되어 본체(10)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내부온도센서(50)와,
    상기 본체(10)의 외측에 구비되어 본체(10) 외측의 온도를 측정하는 외부온도센서(60)와,
    상기 내부온도센서(50)와 외부온도센서(60)의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배기팬(30)과 회동구동수단(4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8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수단(80)에는 작업자가 조작하여 작업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수단(81)이 구비되며,
    상기 보조덮개(20)가 전방으로 연장되도록 회동되고 상기 배기팬(30)이 구동되어 흄을 배출하는 상태에서, 상기 제어수단(80)은 상기 내부온도센서(50)와 외부온도센서(60)에 의해 측정된 본체(10) 내부의 온도와 본체(10) 외부의 온도의 차이를 계산하고, 계산된 온도차이에 비례하여 상기 배기팬(30)의 구동속도를 증가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흄 배기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바닥면(1)에 놓여진 주물형틀(3)의 둘레부를 감싸도록 배치되어 상측으로 공기를 불어냄으로써 상기 주물형틀(3)의 둘레부에 에어커튼을 형성하는 에어커튼발생수단(7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에어커튼발생수단(70)은
    상기 주물형틀(3)의 둘레부를 감싸도록 바닥면(1)에 매립되며 상면에는 다수개의 분사공(71c)이 형성된 분사관(71)과,
    상기 분사관(71)에 연결되어 분사관(71)에 고압의 공기를 공급하는 급기수단(7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흄 배기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바닥면(1)에 구비되어 상면에 올려진 주물형틀(3)의 무게를 측정하고 측정된 주물형틀(3)의 무게값을 상기 제어수단(80)으로 전송하는 무게측정수단(9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수단(80)에는 용탕이 주입되기 전의 주물형틀(3)의 무게값이 입력되어, 상기 무게측정수단(90)에 의해 측정된 무게값이 입력된 주물형틀(3)의 무게값에 비해 무거워질 경우, 상기 주물형틀(3)에 용탕이 주입되는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배기팬(30)을 구동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흄 배기장치.
KR1020170113220A 2017-09-05 2017-09-05 흄 배기장치 KR1018217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3220A KR101821787B1 (ko) 2017-09-05 2017-09-05 흄 배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3220A KR101821787B1 (ko) 2017-09-05 2017-09-05 흄 배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1787B1 true KR101821787B1 (ko) 2018-01-24

Family

ID=610293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3220A KR101821787B1 (ko) 2017-09-05 2017-09-05 흄 배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178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7406B1 (ko) * 2010-07-07 2010-11-30 이옥자 용해로 배출물질 포집장치
KR101148971B1 (ko) 2011-12-30 2012-05-22 삼형금속(주) 용탕 주입용 이동식 집진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7406B1 (ko) * 2010-07-07 2010-11-30 이옥자 용해로 배출물질 포집장치
KR101148971B1 (ko) 2011-12-30 2012-05-22 삼형금속(주) 용탕 주입용 이동식 집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689249B (zh) 铸造装置用的注射装置及铸造方法
JP2007253234A (ja) 竪型鋳造装置及び竪型鋳造方法
KR19980080092A (ko) 주물사의 재생장치 및 재생방법
KR101821787B1 (ko) 흄 배기장치
JPS62168654A (ja) ダイカスト装置
JP2007253168A (ja) 竪型鋳造装置及び竪型鋳造方法
KR20090030581A (ko) 레이저 용접기용 스패터 포집장치
US20170122665A1 (en) Station and Method for Transferring a Metal Melt from a Melting Furnace to a Transport Crucible, and Arrangement Having Such a Station
CN110607733B (zh) 冷铣刨机切削室通风
KR101425572B1 (ko) 알루미늄 압축칩 덩어리를 침적 용해할 수 있는 용해로
KR101709692B1 (ko) 도금욕조의 도금액 자동배출장치 및 자동배출방법
KR101821788B1 (ko) 주물사 재생장치
JP5170353B1 (ja) 溶鋼の供給開始方法
KR102269253B1 (ko) 다이캐스팅용 보조장치
CN207736778U (zh) 一种基于图像采集的自动注料装置
JP2001105127A (ja) 注湯流に対する接種剤の投入装置
CN204770611U (zh) 砂型铸造产品振动落砂机
JP2007078243A (ja) 工業用集塵装置
JP3097975B2 (ja) 湯口清掃装置
JP2007111743A (ja) ダイカスト鋳造装置及びダイカスト鋳造方法
JP2009192200A (ja) 集塵用ノズル及びこれを用いた工業用集塵装置
JPH09206911A (ja) 密閉式給湯装置および給湯方法
JPH0584564A (ja) 金属溶湯ポンプ
JPS591060A (ja) 減圧吸引鋳造制御方法及び装置
KR101777653B1 (ko) 순수 마그네슘 추출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