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1581B1 - 주방싱크대 일체형 음식물 쓰레기 진공배출장치 - Google Patents

주방싱크대 일체형 음식물 쓰레기 진공배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1581B1
KR101821581B1 KR1020170098019A KR20170098019A KR101821581B1 KR 101821581 B1 KR101821581 B1 KR 101821581B1 KR 1020170098019 A KR1020170098019 A KR 1020170098019A KR 20170098019 A KR20170098019 A KR 20170098019A KR 101821581 B1 KR101821581 B1 KR 1018215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waste
pipe
discharge pipe
vacuum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80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채수
Original Assignee
임채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채수 filed Critical 임채수
Priority to KR10201700980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15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15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15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5/00Gathering or removal of refuse otherwise than by receptacles or vehicles
    • B65F5/005Gathering or removal of refuse otherwise than by receptacles or vehicles by pneumatic means, e.g. by su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6Object-catching inserts or similar devices for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4Separate sieves or similar object-catching inse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88Vacuum draw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방에 설치되어 설거지 등을 하게 되는 주방싱크대에 구비되어 있고 메인 투입구(10)가 형성되어 있는 개수대(1); 거름망(20)이 구비되어 있는 투입함(2); 수분을 배출하는 메인 배수관(6); 진공배출관(3); 및 투입함 개폐밸브(4)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고 있어서, 사용자가 음식물 쓰레기를 메인 투입구(10)로 투입하게 되면, 음식물 쓰레기는 거름망(20)에 걸러져서 액체는 메인 배수관(6)으로 배출되고 음식물 쓰레기는 투입함 개폐밸브(4)가 개방됨에 따라 진공배출관(3)의 저압 상태에 의해 빨아들여져서 집하장으로 이송 및 집하되도록 함으로써, 가정에서 발생되어 주방싱크대로 버리는 음식물 쓰레기를 위생적이고 친환경적으로 편리하게 처리할 수 있게 하는 "주방싱크대 일체형 음식물 쓰레기 진공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주방싱크대 일체형 음식물 쓰레기 진공배출장치{Vacuum Discharging Apparatus for Food Waste}
본 발명은 가정에서 발생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진공에 의해 배출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주방에 설치되어 설거지 등을 하게 되는 주방싱크대에 구비되어 주방에서 발생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투입구로 투입하게 되면, 음식물 쓰레기는 거름망에 걸러지고, 음식물 쓰레기에 포함되어 있던 물 또는 음식물 쓰레기와 함께 투입된 물은 배수관을 통해서 배출되며, 거름망에 걸러진 음식물 쓰레기는 진공에 의해 집하장으로 배출 및 집하되도록 함으로써, 가정에서 발생되어 주방싱크대로 버리는 음식물 쓰레기를 위생적이고 친환경적으로 편리하게 처리할 수 있게 하는 "주방싱크대 일체형 음식물 쓰레기 진공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음식물 쓰레기를 배출하여 처리하는 종래 방법으로는 각 가정에서 별도로 음식물 쓰레기를 모아두었다가 필요할 때 집 밖으로 가져가서 공동 집하장에 투기하는 것이 가장 일반적이다. 이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1-0002603호 등에 개시된 것처럼, 주방싱크대에 분쇄기를 별도로 설치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한 후,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를 주방에서 버려지는 물과 함께 배수관으로 배출하는 방안이 제시되어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경우, 비록 음식물 쓰레기가 잘게 분쇄되었지만, 설거지 물 등과 같은 주방하수와 함께 배출되어 하수관으로 유입되기 때문에, 생활하수에 대한 유기물 오염도를 높이게 되어 생활하수 처리 부하를 증가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분쇄기를 이용한 상기 종래 기술의 경우, 주방싱크대에는 주방하수를 버리는 투입구와, 음식물 쓰레기를 투입하는 투입구가 서로 구분되어서 각각 별도로 구비되어야 하기 때문에, 주방싱크대의 공간 활용이 복잡하고 비효율적이라는 단점도 가지고 있다.
더 나아가, 음식물 쓰레기와, 설거지 물 등과 같은 주방하수를, 사용자가 직접 분리하여야 하므로, 결국 주방에서 거름망을 이용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걸러내어 주방하수를 제거한 후, 걸러내진 음식물 쓰레기를 거름망으로부터 회수하여 분쇄기의 투입구에 투입해야 하는 번거롭고 비위생적인 작업을 수행하여야 하는 단점도 가지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1-0002603호(2011. 03. 16. 공개).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 기술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설거지 물 등의 주방하수와 음식물 쓰레기가 자동적으로 분리되어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음식물 쓰레기가 하수로 유입됨으로 인한 하수정화 부하 증가 등의 문제를 해결하고, 주방하수로부터 분리된 음식물 쓰레기는 사용자의 손을 거치지 않고 진공에 의해 자동적으로 배출되어 집하장으로 모이도록 함으로써, 위생적으로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할 수 있도록 하며, 더 나아가 주방싱크대에서 하나의 투입구에 주방하수와 음식물 쓰레기를 투입하더라도 위와 같은 주방하수와 음식물 쓰레기의 분리 및 음식물 쓰레기의 배출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어, 투입구 간소화를 통한 주방싱크대 공간활용 극대화를 도모할 수 있게 하는 음식물 쓰레기 배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오목한 공간을 가지고 있고 음식물 쓰레기와 주방하수가 투입되는 메인 투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개수대; 상기 메인 투입구의 아래에 구비되어 있으며 거름망이 구비되어 있고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어 거름망에 걸러져서 임시로 담겨져 있게 되는 투입함; 상기 투입함에 연결되어 거름망을 통과한 수분을 배출하는 메인 배수관; 상기 투입함의 하부에 연결되어 있으며 투입함에 담겨져 있던 음식물 쓰레기를 내부의 저압(低壓)상태에 의해 빨아들여서 집하장으로 이송하게 되는 진공배출관; 및 상기 투입함과 상기 진공배출관이 연결되는 부분에 구비되어 진공배출관을 개폐시켜서 투입함으로부터 진공배출관으로의 음식물 쓰레기 흡입여부를 제어하는 투입함 개폐밸브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고 있어서, 사용자가 음식물 쓰레기를 메인 투입구로 투입하게 되면, 거름망에 의해 걸러져서 음식물 쓰레기와 함께 투입된 수분은 메인 배수관으로 배출되고, 거름망에 담겨져서 투입함에 존재하던 음식물 쓰레기는 투입함 개폐밸브가 개방됨에 따라 진공배출관의 저압 상태에 의해 빨아들여져서 집하장으로 이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진공배출장치가 제공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음식물 쓰레기 진공배출장치에는, 외부 공기가 투입함으로 유입되도록 하는 공기유입관이 투입함에 연결되어 있어서, 투입함 개폐밸브가 개방되어 거름망 내부에 있던 음식물 쓰레기가 진공배출관으로 흡입될 때, 공기유입관을 통해서 외부 공기가 투입함으로 유입되어 진공배출관으로의 자연스러운 공기 흐름이 만들어지게 되어 투입함 내부에 부(否)압력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본 발명의 음식물 쓰레기 진공배출장치에는, 진공배출관이 음식물 쓰레기에 의해 막힐 경우에 진공배출관을 막고 있던 음식물 쓰레기가 진공배출관을 통해서 흘러가게 만들기 위하여, 가정용 상수도관과 연통되어 가정용 상수도를 공급받아 진공배출관으로 물을 분사하게 되는 물 분사관이, 상기 진공배출관에 연결되어 있는 구성이 더 구비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필요에 다라서는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압축공기 공급관을 상기 물 분사관과 합류하도록 설치하여 물 분사관으로부터의 물이 압축공기 공급관으로부터의 압축공기와 함께 혼합되어 진공배출관의 내부로 분사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주방하수와 음식물 쓰레기를 한꺼번에 메인 투입구로 버릴 수 있고, 수분이 많이 포함되어 있는 상태의 음식물 쓰레기일지라도 그냥 메인 투입구로 버릴 수 있으므로, 음식물 쓰레기로부터 수분을 제거하는 작업을 별도로 수행하거나 또는 거름망으로 걸러낸 음식물 쓰레기를 회수하여 분쇄기의 투입구에 투입해야 하는 종래 기술의 번거롭고 비위생적인 작업이 필요하지 않게 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주방하수와 음식물 쓰레기가 모두 하나의 투입구로 버려지게 되므로, 종래 기술처럼 주방싱크대에 주방하수를 버리는 투입구와, 음식물 쓰레기를 투입하는 투입구가 서로 구분되어서 각각 별도로 구비될 필요가 없으며, 그에 따라 주방싱크대의 공간 활용이 매우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게 되는 장점을 가진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서는 음식물 쓰레기가 사용자의 손을 거치지 않고 진공에 의해 자동적으로 배출되어 집하장으로 모이게 되며, 따라서 매우 용이하게 그리고 매우 위생적으로 음식물 쓰레기를 배출 처리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을 가지며, 특히, 본 발명에서는 음식물 쓰레기가 거름망에 의해 걸러져서 주방하수 등의 액체만이 별도의 메인 배수관을 통해서 배출되므로, 분쇄기를 이용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잘게 분쇄한 후 주방하수와 함께 배출하는 종래 기술과는 달리, 음식물 쓰레기 유입으로 인한 하수의 유기물 오염도 상승 및 그로 인한 생활하수 처리 부하 증가의 문제점을 발생시키지 않게 되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진공배출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원 A부분에 대한 개략적인 확대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 않는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진공배출장치(100)의 구성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음식물 쓰레기 진공배출장치(100)는, 오목한 공간을 가지고 있고 메인(main) 투입구(10)가 형성되어 있는 주방싱크대의 개수대(1)와, 상기 메인 투입구(10)의 아래에 구비되어 있으며 거름망(20)이 구비되어 있고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어 거름망(20)에 걸러져서 임시로 담겨져 있게 되는 투입함(2)과, 상기 투입함(2)의 하부에 연결되어 있으며 투입함(2)에 담겨져 있던 음식물 쓰레기를 빨아들여서 집하장으로 이송하게 되는 진공배출관(3)과, 상기 투입함(2)과 상기 진공배출관(3)이 연결되는 부분에 구비되어 투입함(2)으로부터 진공배출관(3)으로의 음식물 쓰레기 흡입여부를 제어하는 투입함 개폐밸브(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개수대(1)는 오목한 공간을 가지고 있는 부재로서 주방에서 사용자가 설거지 등을 하게 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부재이다. 개수대(1)의 오목한 공간 바닥에는 설거지 물 등의 주방하수와 음식물 쓰레기가 배출되는 메인 투입구(10)가 형성되어 있는데, 메인 투입구(10)에는 덮개(12)가 덮여 있다. 도 2에는 도 1의 원 A부분에 대한 개략적인 확대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덮개(12)에는 진공패킹(120)이 구비되어 있어서, 덮개(12)가 메인 투입구(10)를 덮은 상태에서 진공패킹(120)은 메인 투입구(10)의 테두리에 밀착하여 공기나 물이 메인 투입구(10)를 통해서 투입함(2)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며, 더 나아가 투입함(2)으로부터 메인 투입구(10)를 통해서 냄새가 나오는 것을 막게 된다.
한편, 개수대(1)에서 오목한 공간의 연직 측면에는 물넘침 방지를 위한 오버플로우(overflow) 배출구(11)가 형성되어 있으며, 오버플로우 배출구(11)에는 보조 배수관(60)이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개수대(1)의 오목한 공간에 채워진 물의 수위가 높아지게 되면 오버플로우 배출구(11)와 보조 배수관(60)을 통해서 물이 배출되므로 물이 개수대(1) 밖으로 넘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개수대(1)의 메인 투입구(10)의 아래에는 투입함(2)이 구비되어 있다. 투입함(2)의 내부 공간에는 거름망(20)이 구비되어 있고 거름망(20)은 메인 투입구(10)와 연통되어 있으므로, 덮개(12)가 개방되고 메인 투입구(10)로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면, 음식물 쓰레기는 거름망(20)으로 낙하되어 거름망(20) 내부에 임시로 머무르게 된다. 거름망(20)에는 물이 배출될 수 있는 망눈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음식물 쓰레기가 거름망(20) 내부에 머무르는 동안에 음식물 쓰레기에 포함되어 있던 액체는 자연스럽게 거름망(20)을 통과하게 된다. 물론 메인 투입구(10)를 통해서 주방하수만 투입되거나 또는 음식물 쓰레기와 함께 주방하수가 투입되면, 주방하수는 거름망(20)의 망눈을 통과하게 된다. 투입함(2)에는 메인 배수관(6)이 연결되어 있어서, 주방하수 및 음식물 쓰레기로부터 걸러진 액체는 거름망(20)을 통과한 후 메인 배수관(6)을 통해서 배수된다. 앞서 설명한 보조 배수관(60)은 메인 배수관(6)과 합류할 수 있으며, 메인 배수관(6)과 보조 배수관(60) 각각 또는 메인 배수관(6)과 보조 배수관(60)이 합류한 이후의 구간에서 배수관에는 필요에 따라 배수관을 폐쇄하여 냄새의 역류를 방지하게 되는 냄새역류방지 체크밸브(61)가 구비될 수 있다.
투입함(2)에는 진공배출관(3)이 연결되어 있으며, 투입함(2)에서 진공배출관(3)이 연결되는 부분(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투입함(2)의 하부)에는 투입함(2)과 진공배출관(3) 사이의 연통을 개폐하는 투입함 개폐밸브(4)가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메인 투입구(10)을 통하여 투입함(2)의 내부 공간으로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는 거름망(20)에 의해 걸러져서 주방하수와 분리된 상태로 투입함 개폐밸브(4)가 개방될 때까지 거름망(20) 내부에 머무르게 된다.
투입함(2)에 연결된 진공배출관(3)은 거름망(20) 내부에 있던 음식물 쓰레기를 집하장으로 배출하는 통로에 해당하는데, 투입함 개폐밸브(4)가 폐쇄되어 있는 평상시에는 진공배출관(3)의 내부가 매우 낮은 압력 상태 즉, 일종의 진공상태에 있다. 따라서 덮개(12)가 메인 투입구(10)를 덮고 있는 상태에서 투입함 개폐밸브(4)가 개방되면, 진공배출관(3)의 저압력 상태로 인하여 거름망(20) 내부에 있던 음식물 쓰레기는 자연스럽게 진공배출관(3)으로 빨려 들어가서 집하장으로 이송, 배출된다.
특히, 이러한 음식물 쓰레기의 흡입 및 이송이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서는, 덮개(12)의 개폐와 투입함 개폐밸브(4)의 개폐가 연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덮개(12)가 메인 투입구(10)를 덮고 있을 때에만 투입함 개폐밸브(4)의 개방이 이루어질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이를 위해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덮개(12)의 개폐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개폐감지센서를 구비하여, 상기 개폐감지센서로부터 덮개(12)가 메인 투입구(10)를 덮어서 메인 투입구(10)가 폐쇄되어 있다는 신호가 수신되어야만 투입함 개폐밸브(4)가 개방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는 진공배출관(3)의 저압력(低壓力)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진공배출관(3)의 내부에는 진공배출관(3)의 내부압력을 측정하기 위한 압력측정센서(30)가 구비될 수 있는데, 이러한 압력측정센서(30)는 복수개의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특히, 압력측정센서(30)가 복수개의 위치에 구비되는 경우, 각 압력측정센서(30)에서 측정된 진공배출관(3)의 내부압력 측정값을 비교하여, 진공배출관(3)이 음식물 쓰레기에 의해 막혀 있는지의 여부, 그리고 어느 구간에서 진공배출관(3)이 막혀 있는지에 대한 정보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한편, 거름망(20) 내부에 있던 음식물 쓰레기가 원활하게 진공배출관(3)으로 빨려 들어가서 집하장으로 배출되기 위해서는, 음식물 쓰레기가 진공배출관(3)으로 빨려들어갈 때 투입함(2)의 내부로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서 투입함(2)에는, 외부 공기가 투입함(2)으로 유입되도록 하는 공기유입관(7)이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투입함 개폐밸브(4)가 개방되어 거름망(20) 내부에 있던 음식물 쓰레기가 진공배출관(3)으로 흡입될 때, 비록 덮개(12)가 메인 투입구(10)를 덮고 있을 지라도, 공기유입관(7)을 통해서 외부 공기가 투입함(2)으로 유입되며, 그에 따라 투입함(2) 내부에 부(否)압력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고, 진공배출관(3)으로의 자연스러운 공기 흐름이 만들어지게 되어 음식물 쓰레기가 원활하게 진공배출관(3)으로 빨려 들어가서 집하장으로 이송된다. 투입함(2)에 담겨 있던 음식물 쓰레기로부터의 악취가 공기유입관(7)을 통해서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공기유입관(7)에도 개폐를 제어하는 체크밸브(70)를 설치하여 투입함 개폐밸브(4)가 개방되었을 때만 공기유입관(7)도 개방되어 외부 공기가 투입함(2)으로 유입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음식물 쓰레기 진공배출장치(100)에서 필요에 따라서는 진공배출관(3)이 막혔을 때 이를 자체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구성 즉, 막힌 진공배출관(3)을 뚫어주는 구성이 더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진공배출관(3)에는 물 분사관(9)이 연결될 수 있다. 물 분사관(9)은 가정용 상수도관과 연통되어 가정용 상수도를 공급받을 수 있다. 따라서 진공배출관(3)이 음식물 쓰레기에 의해 막힐 경우, 물 분사관(9)을 통해서 진공배출관(3)으로 물을 분사하여 진공배출관(3)을 막고 있던 음식물 쓰레기가 진공배출관(3) 내부로 용이하게 흘러가게 만들게 되고, 그에 따라 막혀 있던 진공배출관(3)이 뚫리게 된다. 물 분사관(9)을 통해서 물을 분사함에 있어서, 단순히 가정용 상수도의 공급압력으로 물을 분사할 수도 있지만, 압축공기를 상수도의 물과 함께 진공배출관(3)의 내부로 가압분사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컴프레셔(compressor)(도시되지 않음)과 연결되어 있어 압축공기를 진공배출관(3)으로 분사하게 되는 압축공기 공급관(8)이 구비될 수 있으며, 특히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처럼 압축공기 공급관(8)이 물 분사관(9)과 합류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구성에서는 물 분사관(9)으로부터의 물은 압축공기 공급관(8)으로부터의 압축공기와 함께 혼합되어 매우 높은 압력으로 진공배출관(3)의 내부로 분사되며, 그에 따라 진공배출관(3)을 막고 있던 음식물 쓰레기는 매우 용이하게 움직이게 되고, 막혀 있던 진공배출관(3)은 쉽게 뚫려서 음식물 쓰레기의 진공흡입 및 집하장으로의 이송기능을 원활하게 발휘할 수 있게 된다. 도면에서 부재번호 91은 물 분사관(9)에 구비되어 상수도로부터로부터의 물 공급을 제어하는 물공급 제어밸브(91)이며, 부재번호 81은 압축공기 공급관(8)으로부터의 압축공기 분사를 제어하는 압축공기 제어밸브(81)이고, 부재번호 82는 압축공기 공급관(8) 자체의 흐름을 제어하는 압축공기 공급관 개폐밸브(82)이다.
부재번호 101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진공배출장치(100)의 작동을 개시시키는 배출스위치(101)이고, 부재번호 102는 배출스위치(101)의 신호에 따라 덮개(12)의 개폐 및 진공배출관(3)의 개폐를 제어하는 컨트롤러(102)이다. 도면에 도시를 생략하였지만, 본 발명의 음식물 쓰레기 진공배출장치(100)에 구비된 상기한 각종 밸브 및 센서의 작동을 제어하고 측정신호를 수신하는 추가적인 별도의 컨트롤러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물론 상기한 덮개(12) 및 진공배출관(3)의 개폐제어를 위한 컨트롤러(102)가 밸브 및 센서의 제어 기능을 가질 수도 있다.
다음에서는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음식물 쓰레기 진공배출장치(100)를 이용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배출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사용자가 배출스위치(101)를 작동시키게 되면 컨트롤러(102)의 제어신호에 의해, 닫혀 있었던 덮개(12)가 열려서 메인 투입구(10)가 개방된다. 사용자는 개방되어 있는 메인 투입구(10)를 통해서 음식물 쓰레기를 버리게 된다. 이 때, 음식물 쓰레기를 설거지 후의 주방하수와 함께 메인 투입구(10)로 버려도 무방하다. 즉, 본 발명의 음식물 쓰레기 진공배출장치(100)에서는, 음식물 쓰레기를 주방하수와 분리하는 작업을 별도로 할 필요 없이, 설거지 과정에서 또는 설거지 완료 후 주방하수와 함께 음식물 쓰레기를 메인 투입구(10)로 버리면 된다. 또한 수분이 많은 음식물 쓰레기일지라도, 종래의 방법처럼 음식물 쓰레기를 별도의 거름망으로 옮겨서 음식물 쓰레기에서 수분을 제거하는 작업을 수행할 필요 없이, 수분이 많이 포함되어 있는 상태의 음식물 쓰레기를 그대로 메인 투입구(10)로 버리면 된다. 이렇게 주방하수와 함께 또는 수분이 많은 상태로 메인 투입구(10)로 버려진 음식물 쓰레기는 투입함(2)으로 낙하되어 거름망(20)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는 걸러지고 음식물 쓰레기로부터 나온 액체 및 주방하수는 거름망(20)을 통과하여, 투입함(2)에 연통되어 있는 메인 배수관(6)을 통해서 외부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주방하수와 음식물 쓰레기를 한꺼번에 메인 투입구(10)로 버릴 수 있고, 수분이 많이 포함되어 있는 상태의 음식물 쓰레기일지라도 그냥 메인 투입구(10)로 버릴 수 있으므로, 종래 기술의 단점 즉, 주방에서 거름망을 이용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걸러내어 주방하수를 제거한 후, 걸러내진 음식물 쓰레기를 거름망으로부터 회수하여 분쇄기의 투입구에 투입해야 하는 번거롭고 비위생적인 작업을 수행하여야만 했던 종래 기술의 단점을 모두 해소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의 음식물 쓰레기 진공배출장치(100)에서는 주방하수와 음식물 쓰레기가 모두 하나의 투입구 즉, 메인 투입구(10)로 버려지게 되므로, 종래 기술처럼 주방싱크대에 주방하수를 버리는 투입구와, 음식물 쓰레기를 투입하는 투입구가 서로 구분되어서 각각 별도로 구비될 필요가 없으며, 그에 따라 주방싱크대의 공간 활용이 매우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게 되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투입함 개폐밸브(4)의 개방신호가 발하여 지기 전까지는 투입함 개폐밸브(4)는 폐쇄상태에 있으므로, 거름망(20)에 의해 걸러진 음식물 쓰레기는 거름망(20) 내에 잔류하게 된다. 거름망(20)에 잔류한 음식물 쓰레기의 량이 적을 경우, 사용자는 아직 음식물 쓰레기를 진공배출관(3)으로 배출시키지 않고, 배출스위치(101)를 작동시켜 덮개(12)가 메인 투입구(10)를 덮도록 만들 수 있다. 따라서 음식물 쓰레기가 아직 진공배출관(3)으로 배출되지 않고 투입함(2)에 존재하더라도, 메인 투입구(10)를 통해서 악취가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거름망(20)에 잔류한 음식물 쓰레기의 량이 적정량 이상이 되거나, 또는 거름망(20)에 잔류한 음식물 쓰레기의 량이 적더라도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거름망(20)에 의해 걸러져서 거름망(20) 내에 잔류하고 있던 음식물 쓰레기를 진공배출관(3)을 통해서 배출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것처럼 투입함 개폐밸브(4)가 폐쇄된 상태에서 투입함(2)에 연결된 진공배출관(3)은 그 내부가 매우 낮은 압력 상태 즉, 일종의 진공상태에 있으므로, 덮개(12)에 의해 메인 투입구(10)가 닫혀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의 배출스위치(101) 작동에 의해 투입함 개폐밸브(4)가 개방되면, 진공배출관(3)의 저압력 상태로 인하여 투입함(1)의 거름망(20) 내부에 잔류하고 있던 음식물 쓰레기는 자연스럽게 진공배출관(3)으로 빨려 들어가게 된다. 진공배출관(3)으로 빨려 들어가서 배출된 음식물 쓰레기는 진공배출관(3)을 통해서 집하장으로 이송되어 모아진다. 집하장에 모인 음식물 쓰레기는 다른 곳으로의 운반 등의 방법에 의해 폐기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분리된 음식물 쓰레기는 사용자의 손을 거치지 않고 진공에 의해 자동적으로 배출되어 집하장으로 모이게 되며, 따라서 매우 용이하게 그리고 매우 위생적으로 음식물 쓰레기를 배출 처리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위에서 살펴본 것처럼 본 발명에서는 음식물 쓰레기를 거름망(20)으로 걸러서 주방하수와 분리되며, 그에 따라 주방하수만이 별도의 메인 배수관(6)을 통해서 배출되므로, 분쇄기를 이용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잘게 분쇄한 후 주방하수와 함께 배출하는 종래 기술과는 달리, 음식물 쓰레기가 하수로 유입됨으로 인한 하수의 유기물 오염도 상승 및 그로 인한 생활하수 처리 부하 증가의 문제점을 발생시키지 않게 되는 장점이 있다.
1: 개수대
2: 투입함
3: 진공배출관
4: 투입함 개폐밸브
10: 메인 투입구
11: 오버플로우 배출구
12: 덮개
20: 거름망

Claims (4)

  1. 오목한 공간을 가지고 있고 음식물 쓰레기와 주방하수가 투입되는 메인 투입구(10)가 형성되어 있는 개수대(1);
    상기 메인 투입구(10)의 아래에 구비되어 있으며 거름망(20)이 구비되어 있고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어 거름망(20)에 걸러져서 임시로 담겨져 있게 되는 투입함(2);
    상기 투입함(2)에 연결되어 거름망(20)을 통과한 수분을 배출하는 메인 배수관(6);
    상기 투입함(2)의 하부에 연결되어 있으며 투입함(2)에 담겨져 있던 음식물 쓰레기를 내부의 저압(低壓)상태에 의해 빨아들여서 집하장으로 이송하게 되는 진공배출관(3); 및
    상기 투입함(2)과 상기 진공배출관(3)이 연결되는 부분에 구비되어 진공배출관(3)을 개폐시켜서 투입함(2)으로부터 진공배출관(3)으로의 음식물 쓰레기 흡입여부를 제어하는 투입함 개폐밸브(4)를 포함하며;
    메인 투입구(10)에는 덮개(12)가 덮여 있는데, 덮개(12)에는 진공패킹(120)이 구비되어 있어서, 덮개(12)가 메인 투입구(10)를 덮은 상태에서 진공패킹(120)은 메인 투입구(10)의 테두리에 밀착하여 공기나 물이 메인 투입구(10)를 통해서 투입함(2)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며, 투입함(2)으로부터 메인 투입구(10)를 통해서 냄새가 나오는 것을 막게 되고;
    덮개(12)의 개폐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개폐감지센서가 구비되어 있어서, 상기 개폐감지센서로부터 덮개(12)가 메인 투입구(10)를 덮어서 메인 투입구(10)가 폐쇄되어 있다는 신호가 수신되어야만 투입함 개폐밸브(4)의 개방이 이루어지며;
    사용자가 음식물 쓰레기를 메인 투입구(10)로 투입하게 되면, 음식물 쓰레기는 거름망(20)에 걸러져서, 액체는 메인 배수관(6)으로 배수되고, 덮개(12)가 메인 투입구(10)를 덮고 있는 상태에서, 거름망(20)에 담겨져서 투입함(2)에 존재하던 음식물 쓰레기는 투입함 개폐밸브(4)가 개방됨에 따라 진공배출관(3)의 저압 상태에 의해 빨아들여져서 집하장으로 이송되며;
    개수대(1)에서 오목한 공간의 연직 측면에는 물넘침 방지를 위한 오버플로우 배출구(11)가 형성되어 있으며, 오버플로우 배출구(11)에는 보조 배수관(60)이 연결되어 있고, 보조 배수관(60)은 메인 배수관(6)과 합류되어 있어서, 개수대(1)의 오목한 공간에 채워진 물의 수위가 높아지게 되면 물이 개수대(1) 밖으로 넘치는 것을 방지하도록 오버플로우 배출구(11)와 보조 배수관(60) 및 메인 배수관(6)을 통해서 물이 배출되고;
    메인 배수관(6)과 보조 배수관(60) 각각 또는 메인 배수관(6)과 보조 배수관(60)이 합류한 이후의 구간에서 배수관에는, 배수관을 폐쇄하여 냄새의 역류를 방지하게 되는 냄새역류방지 체크밸브(61)가 구비되어 있으며;
    외부 공기가 투입함(2)으로 유입되도록 하는 공기유입관(7)이 투입함(2)에 연결되어 있어서, 투입함 개폐밸브(4)가 개방되어 거름망(20) 내부에 있던 음식물 쓰레기가 진공배출관(3)으로 흡입될 때, 공기유입관(7)을 통해서 외부 공기가 투입함(2)으로 유입되어 진공배출관(3)으로의 자연스러운 공기 흐름이 만들어지게 되어 투입함(2) 내부에 부(否)압력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되는데;
    공기유입관(7)에는, 개폐를 제어하는 체크밸브(70)가 설치되어 투입함 개폐밸브(4)가 개방되었을 때만 공기유입관(7)이 개방되어 외부 공기가 투입함(2)으로 유입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진공배출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진공배출관(3)이 음식물 쓰레기에 의해 막힐 경우에 진공배출관(3)을 막고 있던 음식물 쓰레기가 진공배출관(3)을 통해서 흘러가게 만들기 위하여, 가정용 상수도관과 연통되어 가정용 상수도를 공급받아 진공배출관(3)으로 물을 분사하게 되는 물 분사관(9)이, 상기 진공배출관(3)에 연결되어 있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진공배출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압축공기 공급관(8)이 상기 물 분사관(9)과 합류하도록 설치되어 있어서, 물 분사관(9)으로부터의 물이 압축공기 공급관(8)으로부터의 압축공기와 함께 혼합되어 진공배출관(3)의 내부로 분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진공배출장치.
KR1020170098019A 2017-08-02 2017-08-02 주방싱크대 일체형 음식물 쓰레기 진공배출장치 KR1018215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8019A KR101821581B1 (ko) 2017-08-02 2017-08-02 주방싱크대 일체형 음식물 쓰레기 진공배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8019A KR101821581B1 (ko) 2017-08-02 2017-08-02 주방싱크대 일체형 음식물 쓰레기 진공배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1581B1 true KR101821581B1 (ko) 2018-01-25

Family

ID=610940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8019A KR101821581B1 (ko) 2017-08-02 2017-08-02 주방싱크대 일체형 음식물 쓰레기 진공배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158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06985A (zh) * 2018-11-30 2019-04-12 西安交通工程学院 一种船用食物垃圾储存柜
CN113615995A (zh) * 2021-08-27 2021-11-09 方静 一种多功能木制防潮橱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5952Y1 (ko) 2001-11-27 2002-02-25 박재현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200401857Y1 (ko) * 2005-07-21 2005-11-22 오에이치시스템 주식회사 공기 이송방식 세대별 음식물 쓰레기 자동 처리장치
KR100959179B1 (ko) 2009-12-30 2010-05-24 미래엔진 주식회사 싱크대용 음식물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089807B1 (ko) 2008-04-04 2011-12-12 오에이치시스템 주식회사 세대별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583764B1 (ko) 2014-04-25 2016-01-11 베솜 주식회사 진공 흡입식 가정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5952Y1 (ko) 2001-11-27 2002-02-25 박재현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200401857Y1 (ko) * 2005-07-21 2005-11-22 오에이치시스템 주식회사 공기 이송방식 세대별 음식물 쓰레기 자동 처리장치
KR101089807B1 (ko) 2008-04-04 2011-12-12 오에이치시스템 주식회사 세대별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0959179B1 (ko) 2009-12-30 2010-05-24 미래엔진 주식회사 싱크대용 음식물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583764B1 (ko) 2014-04-25 2016-01-11 베솜 주식회사 진공 흡입식 가정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06985A (zh) * 2018-11-30 2019-04-12 西安交通工程学院 一种船用食物垃圾储存柜
CN113615995A (zh) * 2021-08-27 2021-11-09 方静 一种多功能木制防潮橱柜
CN113615995B (zh) * 2021-08-27 2023-08-22 江西御顺家居有限公司 一种多功能木制防潮橱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1581B1 (ko) 주방싱크대 일체형 음식물 쓰레기 진공배출장치
CN105905480A (zh) 一种倾倒便捷的分类垃圾桶
CN206220191U (zh) 一种垃圾处理系统
CN206174059U (zh) 一种自冲洗式垃圾处理装置
JP2004519328A (ja) 生ゴミ、特に大調理場の廃物に用いられるゴミ処理機
ES2383355T3 (es) Dispositivo y procedimiento para recoger agua sucia en lavavajillas
JP3468263B2 (ja) 真空式汚水排水方法
JPH09217405A (ja) 台所生ゴミ処理装置
KR100716499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CN204401723U (zh) 多功能节水式集成水槽
CN212769982U (zh) 一种湿垃圾负压收集处理系统
CN104775487A (zh) 一种多功能水槽
CN220928077U (zh) 洗菜、洗碗及厨余垃圾收集一体化组合结构
CN204456331U (zh) 一种多功能水槽
CN111498946A (zh) 一种湿垃圾负压收集处理系统
KR200388684Y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20090003805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2210740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
CN219357356U (zh) 一种住宅小区公用的厨余垃圾处理装置
CN212050818U (zh) 一种餐厨油水分离器
KR100766014B1 (ko) 음식물 처리기
CN205975901U (zh) 一种污水排放隔绝装置
CN104563228B (zh) 多功能节水式集成水槽
JPH02152801A (ja) 生ごみ回収装置
CN205602494U (zh) 一种蒸汽消毒去味环保垃圾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