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0753B1 - Apparatus for operating ladle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operating lad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0753B1
KR101820753B1 KR1020160177601A KR20160177601A KR101820753B1 KR 101820753 B1 KR101820753 B1 KR 101820753B1 KR 1020160177601 A KR1020160177601 A KR 1020160177601A KR 20160177601 A KR20160177601 A KR 20160177601A KR 101820753 B1 KR101820753 B1 KR 1018207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dle
repair
heating
tim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760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유철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601776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075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07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075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CPROCESSING OF PIG-IRON, e.g. REFINING, MANUFACTURE OF WROUGHT-IRON OR STEEL; TREATMENT IN MOLTEN STATE OF FERROUS ALLOYS
    • C21C7/00Treating molten ferrous alloys, e.g. steel, not covered by groups C21C1/00 - C21C5/00
    • C21C7/0075Treating in a ladle furnace, e.g. up-/reheating of molten steel within the lad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21/00Arrangements of monitoring devices; Arrangements of safety devices
    • F27D21/0021Devices for monitoring linings for wea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5/00Supports, screens, or the like for the charge within the furnace
    • F27D5/0068Contai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5/00Supports, screens, or the like for the charge within the furnace
    • F27D5/0068Containers
    • F27D2005/0075Pots, e.g. slag pots, la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asting Support Devices, Ladles, And Melt Control Thereby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operating a ladle, comprising: a ladle heating unit; a repair expectation determination unit for detecting ladles which are expected to be repaired among the used ladles based on the number of use of the used ladles;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the ladle heating unit based on repairing time of the detected ladles which are expected to be repair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number of operated ladle heating units can be properly maintained so that a loss of fuel consumed by heating can be greatly reduced.

Description

래들 운영 장치{Apparatus for operating ladle}Apparatus for operating ladle

실시예는 래들 운영 장치에 관한 것이다.An embodiment relates to a ladle operating device.

래들(ladle)은 철강 또는 비철금속을 생산하는 공정에서 용강(쇳물)을 담는 용기이다. 정련된 용강은 전로에 래들로 이송된다. 이러한 래들의 내부에는 연와가 축조된다. 이때, 래들에 용강이 담기면, 연와의 특성상 스폴링(spalling)이 발생하고, 용강의 온도가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래들 가열부를 통해 목표 온도까지 래들을 가열한다.A ladle is a container for containing molten steel in the process of producing steel or non-ferrous metals. The refined molten steel is transferred to the ladle on the converter. Inside these ladders there is a kite. At this time, if molten steel is contained in the ladle, spalling occurs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molten steel, and the temperature of the molten steel is lowered. Thus heating the ladle to the target temperature via the ladle heating section.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7-0066248호(2007.06.27. 공개, 이하, 본 문헌이라 한다)에서는 버너를 통해 래들을 가열하는 래들 가열부을 기재하고 있다.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07-0066248 (published Jun. 27, 2007,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present document") discloses a ladle heating section for heating ladle through a burner.

한편, 래들은 사용횟수가 일정 기준을 넘게 되면, 소수리 작업을 한다. 그리고 래들은 사용횟수가 또 다른 일정을 넘게 되면, 중수리 작업을 한다. 소수리 작업은 내화물을 적게 사용하기 때문에 가열시간이 24시간 전후로 소요된다. 그리고 중수리 작업은 상대적으로 내화물을 많이 사용하기 때문에 가열시간이 72시간 전후로 소요된다.On the other hand, ladders are used for small repair when the number of use exceeds a certain standard. Then, when the number of use exceeds the other schedule, it performs the heavy water re-work. Because the refinishing works use less refractory, the heating time is about 24 hours. Since the heavy refining work uses a relatively large amount of refractory, the heating time is about 72 hours.

이러한 래들은 복수 개가 사용한다. 따라서 래들 가열부가 복수개가 마련된다. 사용중인 래들이 소수리 작업이나 중수리 작업이 필요한 경우, 래들이 교체되어야 한다. 때문에 교체에 투입되는 래들은 미리 가열되어 있어야 한다. 때문에 래들 가열부는 래들 교체를 대비하여 대기래들의 온도를 유지되어야 하고, 이를 위하여 래들을 교체할 때까지 래들에 대한 가열이 지속되어야 한다. 때문에 가열에 필요한 연료의 낭비가 심한 문제가 있다.These ladders are used by a plurality of ladders. Accordingly, a plurality of ladle heating units are provided. If the luggages in use are in need of minor repair work, the ladders must be replaced. Therefore, the ladle to be replaced must be pre-heated. For this reason, the ladle heating section must maintain the temperature of the waiting ladle in preparation for the ladle replacement, so that the heating of the ladle must be continued until the ladle is replaced. Therefore, there is a serious problem of waste of fuel required for heating.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7-0066248호(2007.06.27. 공개)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7-0066248 (published on June 27, 2007)

이에, 실시예는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가열에 필요한 연료의 낭비를 줄일 수 있는 래들 운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삼는다.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ladle operating apparatus capable of reducing waste of fuel required for heating.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에 국한되지 않으며 여기서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here can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실시예는, 래들 가열부와, 사용래들의 사용횟수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래들 중 수리예상래들을 검출하는 수리예상판단부와, 검출된 상기 수리예상래들의 수리시점에 기초하여 상기 래들 가열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래들 운영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An embodiment includes a ladle heating unit, a repair predictor for detecting repair predictions of the ladle based on the number of times the ladle is used,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ladle operating device.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리예상판단부는 상기 사용횟수에 기초하여 상기 수리시점을 예상할 수 있다.Preferably, the repair prediction unit may predict the repair time based on the use frequency.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리시점에 기초하여 수리래들 및 대기래들 중 어느 하나를 상기 래들 가열부로 투입되는 래들로 선택할 수 있다.Preferably, the control unit may select either the maintenance ladle or the standby ladle as the ladle to be introduced into the ladle heating unit based on the repair point.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리래들의 가열완료시점이 상기 수리시점보다 늦은 경우, 상기 대기래들을 상기 래들 가열부로 투입되는 래들로 선택할 수 있다.Preferably, the control unit may select the waiting ladle as a ladle to be introduced into the ladle heating unit when the heating completion time of the maintenance ladder is later than the repair time point.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리래들의 가열완료시점이 상기 수리시점보다 빠른 경우, 상기 수리래들을 상기 래들 가열부로 투입되는 래들로 선택할 수 있다.Preferably, the control unit may select the repair ladle as a ladle to be introduced into the ladle heating unit when the heating completion time of the repair ladder is faster than the repair time.

바람직하게는, 대기래들의 소수리 정보 및 중수리 정보를 포함하는 수리정보가 저장된 사용래들정보저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Preferably, the ladle information storage unit may store the repair information including the repair information of the waiting ladle and the repair information.

바람직하게는, 수리래들의 소수리 정보 및 중수리 정보를 포함하는 수리정보가 저장된 수리래들정보저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Preferably, the repair information storing unit may include repair information storing repair information including repair information and repair information of the repairers.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리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래들 가열부의 가열시간을 조절할 수 있다.Preferably, the control unit may adjust the heating time of the ladle heating unit based on the repair information.

다른 실시예는, a) 수리예상판단부는 사용래들의 사용횟수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래들 중 수리예상래들을 검출하는 단계 및 b) 제어부는 상기 수리예상래들이 검출되면 래들 가열부를 작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래들 운영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Another embodiment provides a method of controlling a ladle heating system, comprising the steps of: a) detecting a repair forecast of the ladle based on the number of times of use of the ladle, and b) operating the ladle heater when the repair forecast is detected And may provide a ladle operating method including.

바람직하게는, 상기 b)단계에서, b-1)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횟수에 기초하여 수리시점을 판단하고, 판단된 수리시점에 기초하여 수리래들 및 대기래들 중 어느 하나를 래들 가열부로 투입되는 래들로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Preferably, in the step b), the controller determines a repair time point based on the number of times of use, and based on the determined repair time point, either the maintenance ladle or the standby ladle is moved to the ladle heating unit And selecting the ladle to be charged.

바람직하게는, 상기 b-1)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리래들의 가열완료시점이 상기 수리시점보다 늦은 경우, 상기 수리래들의 예열완료시점이 상기 수리시점보다 늦은 경우, 상기 대기래들을 상기 래들 가열부로 투입되는 래들로 선택하고, 상기 수리래들의 예열완료시점이 상기 수리시점보다 빠른 경우, 상기 수리래들을 상기 래들 가열부로 투입되는 래들로 선택할 수 있다.Preferably, in the step b-1), when the heating completion time of the repair ladder is later than the repair time, when the warm-up completion time of the repair ladder is later than the repair time, The ladle heating unit may be selected as a ladle to be introduced into the ladle heating unit. When the completion time of the ladle heating is earlier than the repair time point, the ladle heating unit may select the ladle as the ladle.

실시예에 따르면, 가동되는 래들 가열부의 개수를 적절하게 유지함으로써, 가열에 소모되는 연료의 손실을 크게 줄일 수 있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by appropriately keeping the number of the ladle heating units operating, it is possible to significantly reduce the loss of fuel consumed in heating.

도 1은 실시예예 따른 래들 운영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제어부의 제어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래들 운영 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래들의 선택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1 shows a ladle opera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2 is a view showing a control screen of the control unit,
Figure 3 illustrates a ladle operat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4 is a view showing a selection process of ladders.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서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objectives, specific advantages, and nove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which: FIG. The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to be limited to ordinary or dictionary terms and the inventor should properly define the concept of the term in order to describe its own invention in the best way.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in accordance with the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detail since they would obscure the invention in unnecessary detail.

제2, 제1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The terms including ordinal, such as second, first,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are not limited to thes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and similarly, the first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 or < / RTI > includes any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or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도 1은 실시예예 따른 래들 운영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ladle opera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1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래들 운영 장치는 래들 가열부(100)와, 수리예상판단부(200)와, 제어부(300)와, 대기래들정보저장부(400)와 수리래들정보저장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1, the ladle opera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ncludes a ladle heating unit 100, a repair prediction unit 200, a control unit 300, a standby ladle information storage unit 400, And an information storage unit 500.

래들 가열부(100)는 래들을 가열하는 장치이다. 래들 가열부(100)는 화염을 분가하는 버너와 버너를 고정하는 덮개 등이 마련될 수 있다. 래들(1)이 복수 개가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복수 개의 래들 가열부(100)를 포함할 수 있다.The ladle heating section 100 is a device for heating the ladle. The ladle heating unit 100 may be provided with a burner for burning a flame and a lid for fixing the burner. A plurality of ladders 1 may be provided. And may include a plurality of ladle heating units 100 corresponding thereto.

도 2는 제어부의 제어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2 is a view showing a control screen of the control unit.

수리예상판단부(200)는 래들(1)의 사용횟수에 기초하여 수리시점을 예상한다. 수리예상판단부(200)는 현재 사용 중인 래들(1)의 사용횟수가 저장될 수 있다. 사용횟수가 일정횟수 이상이 되면. 소수리 작업이나 중수리 작업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도 2의 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하루에 래들 회전 기준수가 “8”회라 하고, 도 2의 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래들(1)의 수리에 기준이 되는 사용횟수가 70회로 설정되면, 사용 래들 중 사용 횟수가 70에 근접한 래들을 대상으로 수리시점을 예상할 수 있다. 도 2의 C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수리예상판단부(200)는 3일이내에 수리가 발생할 수 있는 22번 래들과 33번 래들을 분류하여 관리할 수 있다.The repair prediction unit 200 predicts a repair point based on the number of times the ladle 1 is used. The repair prediction unit 200 may store the number of times of use of the ladle 1 currently in use. When the number of use is more than a certain number of times. Requiring minor repairs or repairs. For example, as shown in FIG. 2A, when the number of times of ladle rotation reference is "8" per day and the number of times of use as a reference for repairing ladle 1 is 70 Once the circuit is set, the repair time can be estimated for lanes whose usage frequency is close to 70 among the usage ladders. As shown in FIG. 2C, the repair prediction unit 200 can classify and manage the ladies 22 and 33 that can be repaired within three days.

제어부(300)는 수리예상판단부(200)에서 수리가 예상되는 래들(22번 래들, 33번 래들)의 정보에 기초하여, 래들 가열부(100)의 작동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300)는 3일 후에 33번 래들이 사용횟수가 70회가 되어 소수리 작업에 들어가기 때문에 33번 래들을 대체할 새로운 래들을 미리 가열하도록 래들 가열부(100)를 제어하여야 한다. The control unit 30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ladle heating unit 100 based on the information of the ladle (ladle 22 and ladle 33) expected to be repaired by the repair prediction unit 200.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300 controls the ladle heating unit 100 so as to preheat the new ladle replacing the ladle 33 because the ladle 33 of the ladle 33 reaches the number of use times 70 after three days, do.

제어부(300)는 수리가 예상되는 래들을 대체할 새로운 래들을 도 2의 D에서 도시한 대기래들이나 도 3의 E에서 도시한 수리래들에서 선택하여 래들 가열부(100)에 공급하도록 지시할 수 있다. 여기서, 대기래들이란, 건조작업이 완료되어 보열작업만 필요한 래들을 의미하고, 수리래들이란. 수리를 통해 연와가 축조되어 건조작업과 보열작업이 모두 필요한 래들을 의미한다. 수리래들은 소수리 작업인 진행된 래들과 중수리 작업이 진행된 래들로 분류될 수 있다.The control unit 300 instructs the ladle heating unit 100 to select the new ladle to replace the ladle expected to be repaired in the waiting ladle shown in Fig. 2D or the repair ladder shown in Fig. 3E . Here, the waiting ladle means ladle which is completed only by the drying operation and needs only the heat holding operation. By means of repairs, it means a ladle that is both constructed and needs both drying and boiling heat. Repair workers can be classified into progressive ladle, which is a minor repair work, and ladle, where heavy repair work has been carried out.

소수리 작업은 내화물을 적게 사용하기 때문에 가열시간이 24시간 전후로 소요된다. 그리고 중수리 작업은 상대적으로 내화물을 많이 사용하기 때문에 가열시간이 72시간 전후로 소요된다.Because the refinishing works use less refractory, the heating time is about 24 hours. Since the heavy refining work uses a relatively large amount of refractory, the heating time is about 72 hours.

따라서, 먼저, 제어부(400)는 수리가 예상되는 래들의 수리시점과 래들 가열부(100)에서 가열되는 수리래들의 가열완료시점을 비교한다. 예를 들어, 33번 래들처럼 수리예상시점이 3일후이면, 29번 수리래들처럼 중수리 작업이 완료된 수리래들을 래들 가열부(100)에 투입할 수 있다. 중수리 작업이 완료된 래들의 가열시간은 72시간 전후가 소요되는데, 33번 래들의 수리예상기점이 3일후이기 때문에, 29번 래들에 대한 가열을 완료한 후, 바로 33번 래들과 교체가 가능하다.Accordingly, first, the control unit 400 compares the repair point of the ladle expected to be repaired with the repair completion point of the ladle heating unit 100 heated. For example, if the expected time of repair is three days later, as in the case of the ladle 33, the maintenance ladle can be charged into the ladle heating unit 100 as in the case of the maintenance ladle 29. The heating time of the ladle which has completed the heavy water reworking is about 72 hours. Since the expected lane of repair of the 33rd ladder is 3 days later, it is possible to replace it with the ladle 33 immediately after finishing heating for the ladle 29 .

반면에, 수리가 예상되는 래들의 수리시점이 1일이면, 래들 가열부(100)에서 가열시간이 72시간 전후로 소요되는 29번 수리래들은 투입될 수 없다. 따라서, 제어부(100)는 대기래들을 래들 가열부(100)에 투입하도록 지시할 수 있다. 대기래들은 건조 작업이 완료된 상태이기 때문에 래들 가열부(100)에서 4시간 전후로 소요되는 보열을 통해 사용 현장에 투입할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수리가 예상되는 래들의 수리시점이 1일이면, 제어부(300)는 32번 대기래들을 래들 가열부(100)에 투입하여 보열 작업을 진행시킬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f the repair time of the ladle expected to be repaired is one day, the repair ladle can not be put into the ladle heating unit 100, which requires a heating time of about 72 hours. Therefore, the control unit 100 can instruct the ladle heating unit 100 to put the ladle. This is because the waiting ladle can be put into the use site through the heat of the ladle heating unit 100 for about 4 hours since the drying operation is completed. For example, when the repair time point of the ladle expected to be repaired is one day, the control unit 300 may push the ladle ladle 32 to the ladle heating unit 100 to advance the heat holding operation.

대기래들정보부(400)는 대기래들의 현황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다. 구체적으로, 대기래들정보부(400)는 대기래들의 소수리 정보와 중수리 정보가 저장된다. 대기래들은 건조작업이 완료된 래들이기 때문에 래들 가열부(100)에서 4시간 전후의 보열작업을 통해 현장에 투입이 가능한 래들이다. 이러한 대기래들정보부(400)는 제어부(400)에 대기래들의 정보를 제공한다.The ladle information unit 400 stores information on the status of the ladle ladle. Specifically, the security log information unit 400 stores the security log information and the security log information. The ladle is a ladle that can be put into the field through a heat-up operation of about 4 hours in the ladle heating unit 100 since the drying ladle is completed. The wait queue information unit 400 provides the control unit 400 with wait queue information.

수리래들정보부(500)는 수리래들의 현황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다 구체적으로, 수리래들정보부(500)는 수리래들의 소수리 정보와 중수리 정보 이외에 현재 수리 상태가 소수리가 완료된 상태인지 중수리가 완료된 상태인지가 저장된다. 이러한 수리래들정보부(500)는 제어부(400)에 수리래들의 정보를 제공한다. 제어부(400)는 수리래들정보부(500)에서 전달받은 수리래들의 정보에 기초하여, 래들 가열부(100)에 투입될 래들을 대기래들에서 선택할 지 수리래들에서 선택할 지를 결정하게 된다. 그리고, 제어부(400)는 래들 가열부(100)에 투입될 래들을 수리래들에서 선택한 경우, 수리 상태가 소수리가 완료된 상태인지 중수리가 완료된 상태인지에 따라 래들 가열부(100)의 가열시간을 제어한다.The maintenance information unit 500 stores information on the maintenance status of the repairers. Specifically, the maintenance information unit 500 stores information on repair statuses of the repairers 500, Whether the status has been completed is stored. The maintenance lane information unit 500 provides the maintenance information to the control unit 400. The control unit 400 determines whether to select the ladle to be put into the ladle heating unit 100 in the ladle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of the ladle received from the ladle information unit 500. When the ladle to be charged into the ladle heating unit 100 is selected by the maintenance ladder, the controller 400 controls the heating time of the ladle heating unit 100 according to whether the repair state is completed or not .

제어부(300)는 복수 개의 래들 가열부(100)와 각각 연결되어, 도 2 의 F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의 래들 가열부(100)의 작동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어느 래들 가열부(100)가 비어 있는지 판단하여, 래들을 투입할 수 있는 래들 가열부(100)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00)는 가열중인 래들의 내부 온도를 측정하여 현재 래들의 온도를 모니터링하고, 래들의 가열시간 및 가열완료시점을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300 is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ladle heating units 100 to determine whether each ladle heating unit 100 is operating as shown in FIG. Then, it is possible to judge which ladle heating section 100 is empty, and to select the ladle heating section 100 which can inject ladle. In addition, the controller 400 may measure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ladle under heating to monitor the current ladle temperature, and provide the ladle heating time and the heating completion time in real time.

이와 같이, 제어부(400)는 수리가 예상되는 래들의 수리시점에 기초하여, 래들 가열부(100)에 가열되는 래들이 바로 사용 현장에 투입될 수 있도록 구성하고, 가동되는 래들 가열부(100)의 개수를 적절하게 유지함으로써, 가열에 소모되는 연료의 손실을 크게 줄일 수 있다. The control unit 400 controls the ladle heating unit 100 so that ladles heated by the ladle heating unit 100 can be directly put into the use site based on the repair time of the ladle expected to be repaired. The loss of fuel consumed in heating can be greatly reduced.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래들 운영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3 is a view illustrating a ladle operat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수리래들정보부(500)는 사용 중인 래들 중 수리예상래들을 검출한다.(S100) 수리래들정보부(500)는 사용 래들의 사용횟수에 기초하여 수리시점이 근접한 수리예상래들을 검출한다.3, the repair ladder information unit 500 detects the repair ladle among the ladle in use (S100). The repair ladder information unit 500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repair point is close to the repair point To detect repair lanes.

다음으로, 제어부(400)는 검출된 수리예상래들의 수리시점을 고려하여, 래들 가열부(100)을 작동을 제어한다.(S200)Next, the control unit 40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ladle heating unit 100 in consideration of the repair time of the detected repair projectiles (S200)

도 4는 래들의 선택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4 is a view showing a selection process of ladders.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제어부(400)는 수리가 예상되는 래들의 수리시점과 래들 가열부(100)에서 가열되는 수리래들의 가열완료시점을 비교한다.(S210) 3 and 4, the controller 400 compares the repair time of the ladle expected to be repaired and the completion time of the repair laden heated by the ladle heating unit 100 (S210)

제어부(400)는 수리래들의 가열완료시점이 수리가 예상되는 래들의 수리시점보다 빠른 경우, 래들 가열부(100)에 투입되는 래들로서, 수리래들을 선택한다.(S220A) The control unit 400 selects the repair ladle as a ladle to be supplied to the ladle heating unit 100 when the completion time of the repair work is higher than the repair time of the ladle expected to be repaired (S220A).

반면에, 제어부(400)는 수리래들의 가열완료시점이 수리가 예상되는 래들의 수리시점보다 늦은 경우, 래들 가열부(100)에 투입되는 래들로서, 대기래들을 선택한다.(S220B) On the other hand, if the heating completion time of the repair workers is later than the repair time of the ladle expected to be repaired, the control unit 400 selects the ladle as the ladle to be introduced into the ladle heating unit 100 (S220B)

제어부(400)는 미 가동중인 래들 가열부(100)를 확인하고, 확인된 래들 가열부(100)에 선택된 래들이 위치하도록 지시한다. 그리고, 래들 가열부(100)를 가동시켜 해당 래들을 가열한다.The control unit 400 identifies the ladle heating unit 100 that is not in operation, and instructs the identified ladle heating unit 100 to position the selected ladle. Then, the ladle heating unit 100 is operated to heat the ladle.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래들 운영 장치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As described above, the ladle operating apparatus according to on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specifically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전술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내어질 것이다. 그리고 이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는 물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 가능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on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to be considered in all respects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invention being indicat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by the foregoing description. It is intended that all changes and modifications that come within the meaning and range of equivalency of the claims are to be embraced within their scope.

100: 래들 가열부
200: 수리예상판단부
300: 제어부
400: 대기래들정보저장부
500: 수리래들정보저장부
100: Ladle heating part
200: Expected judgment unit
300:
400: standby ladle information storage unit
500: repairer information storage unit

Claims (11)

래들 가열부;
사용래들의 사용횟수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래들 중 수리예상래들을 검출하는 수리예상판단부;
검출된 상기 수리예상래들의 수리시점에 기초하여 상기 래들 가열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리예상판단부는 상기 사용횟수에 기초하여 상기 수리시점을 예상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리시점에 기초하여 수리래들 및 대기래들 중 어느 하나를 상기 래들 가열부로 투입되는 래들로 선택하되, 상기 수리래들의 가열완료시점이 상기 수리시점보다 늦은 경우, 상기 대기래들을 상기 래들 가열부로 투입되는 래들로 선택하는 래들 운영 장치.
A ladle heating section;
A repair predictor for detecting repair predictions among the use cases based on the use frequency of the use cases;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the ladle heating unit based on a repair time point of the detected repair ladle,
Wherein the repair prediction unit estimates the repair point based on the use frequency,
Wherein the control unit selects one of the maintenance ladle and the standby ladle as the ladle to be introduced into the ladle heating unit based on the repair time, and when the heating completion time of the repair ladder is later than the repair time, Wherein the ladle heating unit selects ladle to be introduced into the ladle heating unit.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리래들의 가열완료시점이 상기 수리시점보다 빠른 경우, 상기 수리래들을 상기 래들 가열부로 투입되는 래들로 선택하는 래들 운영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And selects the repair ladle as the ladle to be introduced into the ladle heating section when the heating completion time of the repair ladder is faster than the repair time.
제1 항에 있어서,
대기래들의 소수리 정보 및 중수리 정보를 포함하는 수리정보가 저장된 사용래들정보저장부를 포함하는 래들 운영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ladle information storage unit for storing repair information including the repair information and the repair information of the ladle ladle.
제1 항에 있어서,
수리래들의 소수리 정보 및 중수리 정보를 포함하는 수리정보가 저장된 수리래들정보저장부를 포함하는 래들 운영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repair ladle information storage unit for storing repair information including repair repair information and repair repair information of the repair ladle.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리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래들 가열부의 가열시간을 조절하는 래들 운영 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And the control unit adjusts the heating time of the ladle heating unit based on the repair information.
a) 수리예상판단부는 사용래들의 사용횟수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래들 중 수리예상래들을 검출하는 단계;및
b) 제어부는 상기 수리예상래들이 검출되면 래들 가열부를 작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b)단계에서, b-1)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횟수에 기초하여 수리시점을 판단하고, 판단된 수리시점에 기초하여 수리래들 및 대기래들 중 어느 하나를 래들 가열부로 투입되는 래들로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b-1)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리래들의 가열완료시점이 상기 수리시점보다 늦은 경우, 상기 수리래들의 예열완료시점이 상기 수리시점보다 늦은 경우, 상기 대기래들을 상기 래들 가열부로 투입되는 래들로 선택하고, 상기 수리래들의 예열완료시점이 상기 수리시점보다 빠른 경우, 상기 수리래들을 상기 래들 가열부로 투입되는 래들로 선택하는 래들 운영 방법.
a) the repair prediction unit determines the repair forecasts among the usage bins based on the usage frequency of the usage bins;
b) the control unit comprises a step of operating the ladle heating unit when the repair forecast ladle is detected,
In the step b),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e repair time point based on the number of times of use, and, based on the determined repair time point, transfers either the maintenance ladle or the standby ladle to the ladle heating unit Comprising:
In the step b-1), if the heating completion time of the maintenance ladder is later than the repair time, the control unit switches the waiting ladle to the ladle heating unit when the warm- And selects the repair ladle as the ladle to be introduced into the ladle heating section when the warm-up completion time of the maintenance ladder is earlier than the repair time.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에서,
b-1)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횟수에 기초하여 수리시점을 판단하고, 판단된 수리시점에 기초하여 수리래들 및 대기래들 중 어느 하나를 래들 가열부로 투입되는 래들로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래들 운영 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In the step b)
b-1) The control unit judges a repair time point based on the number of times of use, and selects either the repair ladle or the standby ladle as a ladle to be supplied to the ladle heating unit based on the determined repair time Ladle operation method.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b-1)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리래들의 가열완료시점이 상기 수리시점보다 늦은 경우, 상기 수리래들의 예열완료시점이 상기 수리시점보다 늦은 경우, 상기 대기래들을 상기 래들 가열부로 투입되는 래들로 선택하고,
상기 수리래들의 예열완료시점이 상기 수리시점보다 빠른 경우, 상기 수리래들을 상기 래들 가열부로 투입되는 래들로 선택하는 래들 운영 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In the step b-1)
The control unit
Wherein when the heating completion time of the repair ladder is later than the repair time point and the completion time of the warm-up of the maintenance ladder is later than the repair time point, the waiting ladle is selected as the ladle to be introduced into the ladle heating section,
And selecting the repair ladle as a ladle to be introduced into the ladle heating section when the warm-up completion time of the maintenance ladder is faster than the repair time.
KR1020160177601A 2016-12-23 2016-12-23 Apparatus for operating ladle KR10182075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7601A KR101820753B1 (en) 2016-12-23 2016-12-23 Apparatus for operating lad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7601A KR101820753B1 (en) 2016-12-23 2016-12-23 Apparatus for operating lad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0753B1 true KR101820753B1 (en) 2018-01-22

Family

ID=610948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7601A KR101820753B1 (en) 2016-12-23 2016-12-23 Apparatus for operating lad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0753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823974A (en) * 2019-11-21 2021-05-21 上海梅山钢铁股份有限公司 Intelligent ladle matching management method for steel ladle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62559A (en) * 1999-08-27 2001-03-13 Kawasaki Steel Corp Heating method of ladle
JP2010156471A (en) * 2008-12-26 2010-07-15 Kobe Steel Ltd Method of managing refractory body of molten iron contain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62559A (en) * 1999-08-27 2001-03-13 Kawasaki Steel Corp Heating method of ladle
JP2010156471A (en) * 2008-12-26 2010-07-15 Kobe Steel Ltd Method of managing refractory body of molten iron contain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823974A (en) * 2019-11-21 2021-05-21 上海梅山钢铁股份有限公司 Intelligent ladle matching management method for steel ladl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07724C2 (en) Control method of melting process in electric-arc furnace, and signal processing device, programme code and data carrier for implementation of that method
RU2417346C2 (en) Device for measurement and control of loading charge or metal scrap into electric arc furnace and corresponding procedure
US20080198894A1 (en) Method For Regulating the Melting Process in an Electric-Arc Furnace
ES2150406T1 (en) MANAGEMENT DEVICE FOR MELTING AND / OR GLASS REFINING FURNACES.
EP3572538B1 (en) System and method of operating a batch melting furnace
KR101820753B1 (en) Apparatus for operating ladle
CN113088615B (en) Converter tapping control method and system based on video identification technology
KR101201660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inflowing of argon bubble into laddle
JP5419554B2 (en) Refractory management method for molten iron containers
JP2002081992A (en) Plasma ash melting furnac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Shukla et al. Lean operations strategy to combat uncertainties in temperture at bof end point, tapping, deoxidation, alloy addition and thermal history
JP6553532B2 (en) Electric furnace operation control system, electric furnace and electric furnace operation control method
KR102135756B1 (en) Calculating method of the amount of molten steel
JP2000213728A (en) Temperature rise controller and control method for electric resistance type ash melting furnace
EP3754259A1 (en) Method for operating a furnace
JPH083621A (en) Method for adjusting molten steel temperature in steelmaking process
KR101008179B1 (en) Tap hole opening device of electric furnace
WO201605890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ynamic selection of electric arc-furnace control set-points
JP4853094B2 (en) Melting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during startup of electric resistance ash melting furnace
JP474792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elting control of electric resistance ash melting furnace
Janzen et al. Integrated furnace controls: Implementation on a covered-arc (shielded arc) furnace at cerro matoso
Johansen et al. Pragmatism in industrial modelling, applied to" ladle lifetime in the steel industry"
JP2007232362A (en) Cogeneration system
Dicker Monitoring of slag foaming and other performance indicators in an electric arc furnace
Snell Improved modeling and optimal control of an electric arc furna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