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0408B1 - 버섯재배장치 - Google Patents

버섯재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0408B1
KR101820408B1 KR1020150067046A KR20150067046A KR101820408B1 KR 101820408 B1 KR101820408 B1 KR 101820408B1 KR 1020150067046 A KR1020150067046 A KR 1020150067046A KR 20150067046 A KR20150067046 A KR 20150067046A KR 101820408 B1 KR101820408 B1 KR 1018204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mushroom
water
water storage
cultivation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70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33901A (ko
Inventor
최호성
Original Assignee
최호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호성 filed Critical 최호성
Priority to KR10201500670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0408B1/ko
Publication of KR201601339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39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04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04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01G1/042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HNEW PLANTS OR NON-TRANSGENIC PROCESSES FOR OBTAINING THEM; PLANT REPRODUCTION BY TISSUE CULTURE TECHNIQUES
    • A01H15/00Fungi; Liche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1/00Edible extracts or preparations of fungi;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14Fungi; Culture media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Zo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otan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ir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Mushroom Cultiv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정집이나 사무실 등의 실내 생활공간에 설치되어 버섯을 재배하는 장치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외형을 형성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는 버섯 배지와 물을 공급받아 기화시켜 생성된 수증기를 상기 하우징 내부에 공급하여 상기 하우징 내부의 습도를 조절하는 가습부를 포함하여, 에너지 사용량을 줄일 수 있고, 다양한 종류의 버섯을 재배할 수 있으며, 학습용 및 관상용으로 활용할 수 있고, 버섯 생육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내부에 형성되어 버섯 배지를 수용하는 버섯배지수용부와, 가습부에 공급되는 물을 저장하는 물저장부와, 버섯배지수용부와 물저장부 사이에 하우하우징의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칸막이를 포함하여, 가습부에 의하여 발생한 수증기가 칸막이 벽면을 타고 상승되도록 함으로써 수증기가 버섯배지수용부의 바닥으로 바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하우징 내부에 골고루 퍼질 수 있도록 하는 버섯재배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버섯재배장치{Mushroom Growing Apparatus}
본 발명은 가정집이나 사무실 등의 실내 생활공간에 설치되어 버섯을 재배하는 장치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외형을 형성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는 버섯 배지와 물을 공급받아 기화시켜 생성된 수증기를 상기 하우징 내부에 공급하여 상기 하우징 내부의 습도를 조절하는 가습부를 포함하여, 에너지 사용량을 줄일 수 있고, 다양한 종류의 버섯을 재배할 수 있으며, 학습용 및 관상용으로 활용할 수 있고, 버섯 생육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내부에 형성되어 버섯 배지를 수용하는 버섯배지수용부와, 가습부에 공급되는 물을 저장하는 물저장부와, 버섯배지수용부와 물저장부 사이에 하우하우징의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칸막이를 포함하여, 가습부에 의하여 발생한 수증기가 칸막이 벽면을 타고 상승되도록 함으로써 수증기가 버섯배지수용부의 바닥으로 바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하우징 내부에 골고루 퍼질 수 있도록 하는 버섯재배장치에 관한 것이다.
버섯은 균류 중에서 눈으로 식별할 수 있는 크기의 자실체를 형성하는 무리의 총칭으로, 총 2만여 종이 있으며 이중 1800여 종이 식용가능하다. 상기 버섯은 독특한 맛과 향을 가지고, 아미노산, 식이섬유, 비타민, 철, 아연 등의 영양분이 풍부하여 장내의 유해물, 노폐물, 발암 물질을 배설하고 혈액을 깨끗하게 하며 칼슘의 흡수를 돕고 면역 기능을 높여 감염이나 암을 예방하는 특성이 있어, 식품·약용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아래 표시된 특허문헌을 참조하면, 현재 판매되는 버섯의 대부분은 농가에 의해서 재배된 것으로, 농가에서는 습도와 온도가 조절되는 하우스 등의 대규모의 시설에서 버섯재배장치를 이용하여 버섯을 대량으로 재배하고 있다.
(특허문헌)
공개실용신안공보 실1998-055620(1998, 10. 07. 공개) "버섯재배장치"
하지만, 상기 버섯재배장치는 버섯 재배 농가의 재배시설에서 버섯을 대량으로 재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 상기 버섯재배장치를 이용하여 버섯재배시 인위적으로 재배시설의 온도를 버섯이 생육하기에 적합한 온도로 맞추어야 하므로, 다량의 에너지가 소비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농가가 재배한 버섯은 중간상인, 도매상인, 소매상인 등의 여러 유통 경로를 거쳐 소비자에 최종적으로 공급되므로, 버섯의 구매가격이 상승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농가는 상업성을 최우선으로 하여 버섯 재배를 수행하므로, 즉 소품종 대량 생산방식을 취할 수밖에 없어 소비자는 다양한 종류의 버섯을 구매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또한, 농가에서 재배된 버섯이 최종 소비자에게 도달할 때까지 긴 시간과 거리가 소요되어, 버섯 본연의 맛과 향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위와 같은 문제와 더불어 건강을 추구하는 경향이 증대되어 가정에서 버섯의 직접 재배를 시도하고 있으나, 재배 환경의 제약과 재배 기술 및 장비의 미비로 실현되지 않고 있다. 따라서, 가정에서 적은 에너지를 사용하여 용이하게 버섯을 재배할 수 있는 장치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가정집이나 사무실 등의 실내 생활공간에 설치되어 버섯을 재배할 수 있는 버섯재배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버섯 배지를 장치 내부에 설치하고 가습부를 통해 장치 내부의 습도를 버섯의 생육에 적합하도록 조절하므로, 버섯을 용이하게 재배할 수 있는 버섯재배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장치 내부에 설치되는 버섯 배지를 교환함으로써 다양한 종류의 버섯을 재배할 수 있는 버섯재배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버섯의 재배과정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어 학습용 및 관상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버섯재배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하우징의 개방하여 바로 버섯의 재취가 가능하여 신선도가 뛰어난 버섯의 섭취가 가능한 버섯재배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내부에 형성되어 버섯 배지를 수용하는 버섯배지수용부와, 가습부에 공급되는 물을 저장하는 물저장부와, 버섯배지수용부와 물저장부 사이에 하우하우징의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칸막이를 포함하여, 가습부에 의하여 발생한 수증기가 칸막이 벽면을 타고 상승되도록 함으로써 수증기가 버섯배지수용부의 바닥으로 바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하우징 내부에 골고루 퍼질 수 있도록 하는 버섯재배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물저장부의 상부의 일부를 덮는 덮개부를 포함하여, 물저장부로부터 하우징 내부로 연결되는 통로를 좁게 형성함으로써 물저장부로부터 확산되는 수증기가 더욱 빠른 속도로 하우징 내부에 퍼져나갈 수 있도록 하는 버섯재배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버섯배지수용부와 물저장부가 분리 가능하도록 착탈식으로 형성되어 버섯배지의 교환 및 물저장부의 세척 등이 용이하도록 하는 버섯재배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물저장부의 일 측면에 관통형성되어 물저장부를 향하여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흡입구와, 하우징에 관통형성되어 하우징 내부의 공기와 습기가 유출되도록 하는 흡배기구를 포함하여, 흡입구와 흡배기구를 통해 공기가 자연적으로 유입, 배출되도록 할 뿐만 아니라 공기와 함께 소정의 습기가 외부로 유출되도록 함으로써 과습을 방지하여 버섯의 생육을 촉진할 수 있도록 하는 버섯재배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흡입구의 개방되는 영역을 조절할 수 있는 조절창을 포함하여, 흡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습기의 적절한 공급과 과습 방지의 목적을 균형있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버섯재배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흡입구의 상,하측에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조절창이 삽입되어 슬라이딩될 수 있는 슬라이딩홈을 포함하여, 슬라이딩 방식으로 조절창을 이동시킴으로써 흡입구를 통한 공기 유입량의 조절이 용이하도록 하는 버섯재배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하우징의 내벽에서 결로된 물을 상기 물저장부로 가이드하는 물유도로를 포함하여, 버섯 배지에 물이 고이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버섯 생육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버섯재배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수증기를 생성하는 가습부와 버섯 배지에 물을 공급하는 관수부를 포함하여, 버섯 생육에 필요한 물의 공급과 습도의 조절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버섯재배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앞서 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 실시예에 의해 구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버섯배지장치는 외형을 형성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는 버섯 배지와; 물을 공급받아 기화시켜 생성된 수증기를 상기 하우징 내부에 공급하여 상기 하우징 내부의 습도를 조절하는 가습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하측을 형성하는 하부하우징과, 상측을 형성하며 상기 하부하우징과 탈착식으로 결합하는 상부하우징과,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버섯 배지를 수용하는 버섯배지수용부와, 상기 가습부에 공급되는 물을 저장하는 물저장부와, 상기 버섯배지수용부와 물저장부 사이에 상기 하부하우징의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칸막이를 포함하여, 상기 가습부에 의하여 발생한 수증기가 하우징 내부에 골고루 퍼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버섯배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물저장부의 상부의 일부를 덮는 덮개부를 포함하여, 상기 가습부에 의하여 발생한 수증기가 더욱 빠른 속도로 상기 하우징 내부에 퍼져나갈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버섯배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버섯배지수용부와 물저장부는 분리가 가능하도록 착탈식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버섯배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물저장부의 일 측면에 관통형성되어 상기 물저장부를 향하여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흡입구와, 상기 하우징에 관통형성되어 하우징 내부의 공기와 습기가 유출되도록 하는 흡배기구를 포함하여, 상기 흡입구와 흡배기구를 통해 공기가 자연적으로 유입, 배출되도록 할 뿐만 아니라 공기와 함께 소정의 습기가 외부로 유출되도록 함으로써 과습을 방지하여 버섯의 생육을 촉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버섯배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는 상기 흡입구의 개방되는 영역을 조절할 수 있는 조절창을 포함하여, 상기 흡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버섯배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흡입구의 상,하측에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조절창이 삽입되어 슬라이딩될 수 있는 슬라이딩홈을 포함하여, 상기 흡입구를 통한 공기 유입량의 조절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버섯배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의 내벽에서 결로된 물을 상기 물저장부로 가이드하는 물유도로를 추가로 포함하여, 상기 하우징의 내벽에서 결로된 물이 상기 버섯 배지에 고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버섯배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가습부에 의해 생성된 수증기가 흡입구를 통해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류방지부재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버섯배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부하우징의 하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하부하우징의 하면을 상기 버섯재배장치가 위치하는 실내공간의 바닥면에서 이격되도록 하는 하우징다리와, 상기 배지수용부를 에워싸는 상기 하우징의 하면이 상측으로 볼록한 산부와 하측으로 볼록한 골부가 연이어 반복되어 형성되는 굴곡부와, 상기 하우징의 하면 외측에 설치되어 상기 배지수용부와 연통되어 외부공기를 상기 배지수용부에 공급하는 공기이동로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골부에는 복수 개의 환기공이 관통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버섯배지장치는 물저장부에 저장된 물을 상기 버섯 배지에 공급하는 관수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버섯배지장치는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 위치하는 물저장탱크와, 상기 물저장탱크에 저장된 물을 물저장부에 공급하는 물공급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앞서 본 실시예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가정집이나 사무실 등의 실내 생활공간에 설치되어 버섯을 재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버섯 배지를 장치 내부에 설치하고 가습부를 통해 장치 내부의 습도를 버섯의 생육에 적합하도록 조절하므로, 버섯을 용이하게 재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장치 내부에 설치되는 버섯 배지를 교환함으로써 다양한 종류의 버섯을 재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버섯의 재배과정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어 학습용 및 관상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하우징의 개방하여 바로 버섯의 재취가 가능하여 신선도가 뛰어난 버섯의 섭취가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내부에 형성되어 버섯 배지를 수용하는 버섯배지수용부와, 가습부에 공급되는 물을 저장하는 물저장부와, 버섯배지수용부와 물저장부 사이에 하우하우징의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칸막이를 포함하여, 가습부에 의하여 발생한 수증기가 칸막이 벽면을 타고 상승되도록 함으로써 수증기가 버섯배지수용부의 바닥으로 바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하우징 내부에 골고루 퍼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물저장부의 상부의 일부를 덮는 덮개부를 포함하여, 물저장부로부터 하우징 내부로 연결되는 통로를 좁게 형성함으로써 물저장부로부터 확산되는 수증기가 더욱 빠른 속도로 하우징 내부에 퍼져나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버섯배지수용부와 물저장부가 분리 가능하도록 착탈식으로 형성되어 버섯배지의 교환 및 물저장부의 세척 등이 용이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물저장부의 일 측면에 관통형성되어 물저장부를 향하여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흡입구와, 하우징에 관통형성되어 하우징 내부의 공기와 습기가 유출되도록 하는 흡배기구를 포함하여, 흡입구와 흡배기구를 통해 공기가 자연적으로 유입, 배출되도록 할 뿐만 아니라 공기와 함께 소정의 습기가 외부로 유출되도록 함으로써 과습을 방지하여 버섯의 생육을 촉진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흡입구의 개방되는 영역을 조절할 수 있는 조절창을 포함하여, 흡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습기의 적절한 공급과 과습 방지의 목적을 균형있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흡입구의 상,하측에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조절창이 삽입되어 슬라이딩될 수 있는 슬라이딩홈을 포함하여, 슬라이딩 방식으로 조절창을 이동시킴으로써 흡입구를 통한 공기 유입량의 조절이 용이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하우징의 내벽에서 결로된 물을 상기 물저장부로 가이드하는 물유도로를 포함하여, 버섯 배지에 물이 고이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버섯 생육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수증기를 생성하는 가습부와 버섯 배지에 물을 공급하는 관수부를 포함하여, 버섯 생육에 필요한 물의 공급과 습도의 조절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섯재배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섯재배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섯재배장치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버섯재배장치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버섯재배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버섯재배장치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버섯재배장치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버섯재배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버섯재배장치의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버섯재배장치의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버섯재배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버섯재배장치의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버섯재배장치에 사용되는 배지트레이의 분해사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버섯재배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의 모든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가 이해하는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의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 사용된 정의에 따른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해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버섯재배장치는 가정집이나 사무실 등의 실내 생활공간에 설치되어 사용되는데 상기 실내 생활공간은 사람이 생활하기에 적합한 일정 범위의 온도로 유지되므로, 버섯의 생육 온도를 맞추기 위해 별도로 장치를 가열하거나 냉각할 필요가 없어 에너지 사용량을 줄일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섯재배장치를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버섯재배장치는 외형을 형성하는 하우징(1)과, 상기 하우징(1)의 내부에 위치하며 버섯 배지(21)를 수용하는 배지트레이(2)와, 물을 공급받아 기화시켜 상기 하우징(1)의 내부에 수증기를 공급하는 가습부(3)와, 상기 가습부(3)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4)를 포함하여, 상기 하우징(1)의 내부가 버섯 생육에 적합한 습도로 유지되도록 한다.
상기 하우징(1)은 상기 버섯재배장치의 외형을 형성하는 구성으로 상기 하우징(1)의 내부에는 버섯 배지(21)를 수용하는 배지트레이(2)가 위치하게 되며, 상부하우징(11), 하부하우징(12) 등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1)은 일정 형상과 소재로 이루어지나 바람직하게는 전체적으로 직육면체의 형상을 가지고, 가볍고 강도 및 가공성이 뛰어난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투명한 아크릴, 폴리카보네이트 소재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하우징(11)은 상기 하우징(1)의 상부를 형성하는 구성으로, 상기 하부하우징(12)에 탈착식으로 결합한다. 상기 상부하우징(11)은 일정 형상을 가지나 바람직하게는 하면이 개방된 직육면체통의 형상을 가지며, 상기 상부하우징(11)의 하단이 후술할 상기 하부하우징(12)의 물유도로(124)에 안착되어 상기 상부하우징(11)은 상기 하부하우징(12)의 상측에 탈착식으로 결합되게 된다. 상기 상부하우징(11)은 흡배기구(111), 급수구(112) 등을 포함한다.
상기 흡배기구(111)는 상기 상부하우징(11)의 상면에 관통형성되는 구성으로, 상기 흡배기구(111)를 통해 외부의 공기가 상기 하우징(1)의 내부에 유입되고, 상기 하우징(1) 내부의 수증기가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따라서, 후술하는 물저장부(123)의 일측에 형성되는 흡입구(128)를 통하여 공기가 유입되고, 상기 흡배기구(111)를 통하여 공기가 배출될 수 있는 자연스러운 공기의 흐름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1) 내의 수증기가 정체되어 과습되거나 버섯을 물로 코팅하여 물버섯이되거나 또는 버섯의 정상적인 호흡을 어렵게 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상기 흡배기구(111)에는 방충망(111a)이 설치되어 상기 흡배기구(111)를 통해 벌레가 상기 하우징(1)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방충망(111a)은 예컨대 합성수지로 제조된 메쉬망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급수구(112)는 후술할 물저장부(123)의 상측에 위치하며 상기 상부하우징(11)의 상면에 관통형성되는 구성으로, 힌지 등에 의해 결합된 도어(112a)에 의해 개폐된다. 상기 상부하우징(11)을 상기 하부하우징(12)에서 탈착시키지 않고, 상기 도어(112a)를 개방하여 상기 급수구(112)를 통해 물을 상기 물저장부(123)에 공급할 수 있다.
상기 하부하우징(12)은 상기 하우징(1)의 하부를 형성하는 구성으로, 상기 상부하우징(11)과 탈착식으로 결합한다. 상기 하부하우징(12)은 일정 형상을 가지나 바람직하게는 상면이 개방된 직육면체통의 형상을 가지며, 상기 하부하우징(12)은 구획부(121), 배지수용부(122), 물저장부(123), 물유도로(124), 하우징다리(125), 굴곡부(126), 공기이동로(127), 흡입구(128), 역류방지부재(129) 등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하우징(12)은 상기 배지수용부(122)와 물저장부(123)가 분리되어 착탈식으로 결합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획부(121)는 상기 하부하우징(12)의 내면에 위치하여 상기 하부하우징(12)의 내부 공간을 구획하는 구성으로, 상기 구획부(121)에 의해 상기 하부하우징(12)의 내부 공간은 배지수용부(122)와 물저장부(123)로 구획된다. 상기 구획부(121)는 일정 형상을 가지나 바람직하게는 장방형의 판의 형태를 가진다. 다만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배지수용부(122)와 물저장부(123)가 분리되어 착탈식으로 결합하는 경우에는 상기 구획부(121)는 상기 배지수용부(122)와 물저장부(123) 각각의 측벽을 형성하며, 상기 배지수용부(122)와 물저장부(123)가 끼워져 결합할 수 있는 결합부(121a)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획부(121)의 상측으로는 상기 칸막이(121b)가 돌출형성되어 수증기가 상기 버섯배지(2)로 바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결합부(121a)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지수용부(122), 물저장부(123) 중 어느 측에 형성되는 지에 상관없이 일측에는 하측으로 돌출, 절곡되어 "┓" 또는 "┏" 자 형상이 되도록 하고, 타측의 측벽에 밀착되어 끼워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배지수용부(122)와 물저장부(123)의 결합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또한 탈착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결합부(121a)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안정적인 결합과 용이한 탈착을 가능하게 하는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칸막이(121b)는 상기 구획부(121)의 상측으로 일정 높이 돌출되어 형성되는 판 형상의 부재로, 상기 가습부(3)에 의하여 발생하는 수증기가 상기 칸막이(121b)를 타고 상승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하우징(1) 내부의 전체로 퍼져나갈 수 있도록 한다. 만약 상기 칸막이(121b)가 없는 경우에는 상기 가습부(3)에서 발생한 수증기는 상기 물저장부(123)로부터 상승하다가 상기 배지수용부(122)로 넘어와 그대로 버섯배지(21)에 떨어지게 되며, 이에 따라 버섯의 윗 부분에는 수증기가 충분히 공급되지 못하고, 버섯의 아랫 부분에만 수증기가 집중적으로 공급되어 과습될 우려가 있다. 또한, 상기 칸막이(121b)를 통하여 수증기가 상승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흡배기구(111)와 흡입구(128)를 통하여 형성되는 자연적인 공기의 대류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배지수용부(122)는 상기 하우징(1)의 내면과 상기 구획부(121)의 일측에 의해 에워싸여진 공간으로 후술할 배지트레이(2)가 위치하게 되며, 상기 물저장부(123)와 분리될 수 있다.
상기 물저장부(123)는 상기 하우징(1)의 내면과 상기 구획부(121)의 타측에 의해 에워싸여진 공간으로 상기 배지수용부(122)의 측면에 위치하며 물을 저장한다. 상기 물저장부(123)에 저장된 물은 상기 가습부(3)에 의해 기화되어 수증기가 되며 상기 수증기는 배지수용부(122)로 이동하여 상기 배지수용부(122)는 버섯이 생육하기에 적합한 습도로 유지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가습부(3)에 의하여 기화된 수증기는 상기 칸막이(121b)를 타고 상승하여 퍼져나가며, 이 때 상기 물저장부(123)의 상측에는 물저장부(123)의 일부를 덮는 덮개부(123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덮개부(123a)는 상기 물저장부(123) 상부의 일부를 덮으며, 상기 물유도로(124)의 상측에 걸쳐져 착탈식으로 형성된다. 상기 덮개부(123a)는 상기 가습부(3)에 의하여 발생한 수증기가 상기 칸막이(121b)을 타고 상승할 때, 상기 물저장부(123)로부터 수증기가 빠져나가는 부분의 면적을 좁게 함으로써 수증기가 더욱 빠르게 퍼져나갈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수증기에 의한 가습속도를 높일 수 있으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흡배기구(111)와 흡입구(128)를 통한 공기의 자연적인 대류가 더욱 효과적으로 발생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물유도로(124)는 상기 하부하우징(12)의 상측 내면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1)의 내벽에서 결로된 물을 상기 물저장부(123)로 가이드한다. 상기 물유도로(124)는 일정 형상을 가지나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부하우징(12)의 내측면에서 돌출절곡되어 단면의 모습이 "┛"자 형태를 가지며, 상기 물저장부(123)의 상측에 위치하는 물유도로(124)에는 상기 물저장부(123)와 연통된 연통공(124a)이 관통형성된다. 상기 가습부(3)에 의해서 생성된 수증기의 일부는 상기 하우징(1)의 내벽에서 결로되어 물이 되는데, 상기 물은 물유도로(124)를 따라 흘러 상기 연통공(124a)을 통해 상기 물저장부(123)에 유입되므로 상기 버섯 배지(21)에 물이 고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다리(125)는 상기 하부하우징(12)의 하면에서 일정 간격을 두고 한 쌍이 돌출되어 상기 하부하우징(12)의 하면을 상기 버섯재배장치가 위치하는 실내공간의 바닥면에서 이격되도록 한다.
상기 굴곡부(126)는 상기 배지수용부(122)를 에워싸는 상기 하부하우징(12)의 하면이 상측으로 볼록한 산부(126a)와, 하측으로 볼록한 골부(126b)가 연이어 반복되어 형성되는 구성으로, 상기 골부(126b)에는 복수 개의 환기공(126c)이 관통형성된다. 상기 가습부(3)에 의해 가습된 수증기가 결로되어 형성된 물이 상기 하부하우징(12)의 하면에 도달한 경우 산부(126a)를 따라 흘러내려 골부(126b)에 위치하게 되고 상기 골부(126b)에 형성된 환기공(126c)으로 배출되므로 상기 하부하우징(12)의 하면에 물이 고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환기공(126c)을 통해서 공기가 상기 하우징(1) 내부로 유입된다.
상기 공기이동로(127)는 상기 하부하우징(12)의 하면 외측에 설치되어 상기 배지수용부(122)와 연통되어 외부 공기를 상기 배지수용부(122)에 공급하는 구성으로, 상기 공기이동로(127)의 전단에는 도어(127a)가 설치되어 상기 공기이동로(127)를 통해 상기 배지수용부(122)에 공급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흡입구(128)는 상기 하부하우징(12)의 일 측면, 즉 물저장부(123)를 에워싸는 상기 하부하우징(12)의 일 측면 상측에 관통형성되어 상기 물저장부(123)를 향해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상기 흡입구(128)에는 방충망(128a)이 설치되어 공기를 통과시키나 벌레의 이동을 방지한다. 상기 흡입구(128)를 통해 공기가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가습부(3)에 의하여 발생한 수증기가 상기 하우징(1) 내부로 퍼져나갈 수 있도록 하고,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흡배기구(111)를 통하여 공기의 흐름이 만들어지도록 함으로써 상기 하우징(1) 내부의 과습을 방지하고, 자연스러운 공기의 흐름 속에서 수증기가 버섯에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흡입구(128)는 공기의 유입량을 조절하는 조절창(128b)과, 상기 조절창(128b)이 슬라이딩 될 수 있는 슬라이딩홈(128c)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절창(128b)은 상기 흡입구(128)를 개폐하여 상기 흡입구(128)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상기 흡입구(128)의 상하에 형성되는 슬라이딩홈(128c)에 삽입되어 좌우로 슬라이딩 될 수 있도록 한다. 가습부(3)에 의한 수증기의 공급시, 초기에는 상기 흡입구(128)의 개방된 면적을 넓게 하여 수증기가 빠르게 퍼져나갈 수 있도록 하고, 경우에 따라 버섯에 대한 수증기의 공급이 부족할 때에는 상기 흡입구(128)의 개방된 면적을 좁게하여 공기의 유입을 줄임으로써 수증기가 하우징(1) 내부에 머무는 시간을 늘이도록 할 수 있으며, 다시 수증기의 양이 과도해지는 경우에는 상기 흡입구(128)의 개방된 면적을 넓혀 공기의 유입을 늘림으로써 상기 흡배기구(111)를 통해 수증기가 효과적으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조절창(128b)은 복수개가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홈(128c)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되도록 하여 상기 흡입구(128)의 개폐가 용이하도록 한다.
상기 슬라이딩홈(128c)은 상기 흡입구(128)의 상하측에 양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하부하우징(12)으로부터 돌출되어 상하에 각각 "┓", "┛"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조절창(128b)이 끼워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역류방지부재(129)는 상기 물저장부(123)에 위치하는 가습부(3)에 의해서 형성된 수증기가 상기 흡입구(128)를 통해 상기 하우징(1)의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으로, 상기 하부하우징(12)의 내측면에 형성된다. 상기 역류방지부재(129)는 일정 형상을 가지나 바람직하는 'ㄷ'자형강의 형태를 가져, 각각 상기 흡입구(128) 상측 및 하측의 상기 하부하우징(12)의 내측면에서 평행하게 돌출되는 돌출부(129a)와, 상기 돌출부(129a)를 연결하며 상기 흡입구(128)와 일정 간격 이격되어 마주하는 연결부(129b)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1)의 내부에서 형성된 수증기는 상기 흡입구(128)의 전측에 위치하는 연결부(129b)와 부딪혀서 압력이 감소하여 결로되어 다시 물저장부(123)로 유입되므로, 상기 흡입구(128)를 통해 배출되는 수증기의 양을 줄일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상기 배지트레이(2)는 상기 버섯 배지(21)를 수용하며 상기 배지수용부(122)에 위치하는 구성으로, 일정 형상을 가지나 바람직하게는 상면이 개방된 직육면체통의 형상을 가진다. 상기 배지트레이(2)의 하면에는 일정 간격을 두고 돌출된 한 쌍의 트레이다리(22)가 형성되어 상기 하부하우징(12)의 하면에서 상기 배지트레이(2)가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한다. 상기 배지트레이(2)에 삽입되는 상기 버섯 배지(21)는 볏짚, 깻묵, 폐면 및 방울솜 등으로 이루어진 배지에 버섯 종균을 접종한 것으로, 상기 버섯 배지(21)에는 느타리, 아가리쿠스, 양송이, 동충하조, 포토벨라, 새송이, 팽이, 표고, 잎새, 노루궁뎅이, 만가닥, 버들송이, 구름 등의 버섯 종균이 접종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의 내부에 위치하는 상기 버섯 배지(21)를 교환함으로써 다양한 종류의 버섯을 손쉽게 재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지수용부(122)는 상기 물저장부(123)와 분리가 가능하므로, 상기 버섯 배지(21)의 교환이 더욱 용이해진다.
상기 가습부(3)는 상기 물저장부(123) 내에 위치하여 상기 물저장부(123)에 저장된 물을 기화시켜 수증기를 생성시키는 구성으로, 상기 컨트롤러(4)에 의해 제어된다. 상기 가습부(3)는 예컨대 초음판 진동자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가습부(3)에서 생성되는 수증기는 상기 하우징(1)의 내부가 버섯 생육에 적합한 습도를 가지도록 하며, 일부는 상기 흡배기구(11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상기 버섯재배장치가 설치된 실내 생활공간을 가습한다.
상기 컨트롤러(4)는 상기 가습부(3)의 작동을 제어하는 구성으로, 상기 가습부(3)의 작동을 지시하는 조작부(41)와, 상기 조작부(41)의 작동신호에 따라 상기 가습부(3)를 작동시키는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조작부(41)는 상기 하우징(1)의 전면에 형성되어 상기 가습부(3)의 작동을 지시하는 작동신호를 출력하는 구성으로, 예컨대 상기 가습부(3)의 자동 또는 수동 작동을 지시하는 동작버튼, 상기 가습부(3)의 온 또는 오프를 지시하는 온오프버튼, 상기 가습부(3)의 작동시간을 지시하는 타이머버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포함하는 버섯재배장치를 이용하여 가정 등의 실내 생활공간에서 버섯을 재배하는 방법을 살펴보면, 상기 버섯재배장치를 실내 생활공간에 위치시키고, 상기 상부하우징(11)을 들어올려 상기 하부하우징(12)에서 탈착시킨 다음, 배지수용부(122)와 물저장부(123)를 분리하여 특정의 버섯 종균이 접종된 버섯 배지(21)를 수용하는 배지트레이(2)를 상기 배지수용부(122)에 놓고 상기 물저장부(123)에 물을 적정수위로 채운 다음 상기 배지수용부(122)와 물저장부(123)를 다시 결합한 후 상부하우징(11)을 상기 하부하우징(12)에 결합시킨다. 이후, 상기 조작부(41)를 조작하여 상기 가습부(3)를 작동시켜 상기 하우징(1) 내부의 습도를 조절하면, 상기 버섯 배지(21)에서는 버섯이 생육하게 된다.
상기 버섯재배장치는 외형을 이루는 하우징을 투명한 재질로 형성하는 경우 버섯의 생육과정을 외부에서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여, 학습용 및 관상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버섯재배장치는 상기 상부하우징(11)을 개방하여 바로 버섯의 채취가 가능하여 신선도가 뛰어난 버섯의 섭취가 가능한 특징이 있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버섯재배장치를 설명하면, 상기 버섯재배장치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버섯재배장치와 상기 상부하우징(11)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구성을 가지므로, 상기 상부하우징(11)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상기 상부하우징(11)은 상기 하부하우징(12)에 탈착식으로 결합하며, 바람직하게는 하면이 개방된 직육면체통의 형상을 가지고, 상기 상부하우징(11)의 하단이 후술할 상기 하부하우징(12)의 물유도로(124)에 안착되어 상기 상부하우징(11)은 상기 하부하우징(12)의 상측에 탈착식으로 결합되게 된다. 다만, 상기 상부하우징(11)은 상기 하부하우징(12)의 전체를 덮지 않고, 상기 덮개부(123a)와 밀착되어 상기 덮개부(123a)를 제외한 부분만을 덮으며, 이 때 상기 덮개부(12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급수구(112)의 도어(112a) 기능을 갖게 된다. 상기 상부하우징(11)은 흡배기구(111)를 포함하며, 이는 앞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고, 보조유입구(114)를 추가로 포함한다.
상기 보조유입구(114)는 상기 물저장부(123)의 일측에 형성되는 흡입구(128)와 같이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상기 상부하우징(11)의 물저장부(123) 측 측면에 관통되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가습부(3)에 의하여 발생한 수증기는 상기 흡배기구(111)와 흡입구(128)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기의 흐름으로 인해 자연적으로 외부로 배출되나, 일정 원인에 의해 공기의 흐름이 원활치 못하여 수증기가 배출되지 못하고 하우징(1) 내부가 과습되는 경우에는 버섯이 죽거나 물버섯이 될 수 있으며, 버섯이 물로 코팅되어 정상적인 호흡을 할 수 없게 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상부하우징(11)의 물저장부(123)측 측면에 상기 보조유입구(114)를 형성하여 공기가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흡배기구(111)와 보조유입구(114)를 통한 공기의 흐름을 형성하여 수증기가 외부로 빠르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보조유입구(1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같이 조절창(114a)과 슬라이딩홈(114b)을 포함한다.
상기 조절창(114a)은 상기 보조유입구(114)를 개폐하여 상기 보조유입구(114)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상기 보조유입구(114)의 상하에 형성되는 슬라이딩홈(114b)에 삽입되어 좌우로 슬라이딩 될 수 있도록 한다. 평소에는 상기 보조유입구(114)를 폐쇄하여 상기 흡배기구(111)와 흡입구(128)를 통해 공기의 자연대류, 수증기의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 내부가 과습되는 경우에는 상기 조절창(114a)을 조절하여 상기 보조유입구(114)의 개방되는 면적을 넓혀 공기가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흡배기구(111)와의 공기유동을 발생시켜 수증기가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조절창(114a)은 복수개가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홈(114b)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되도록 하여 상기 보조유입구(114)의 개폐가 용이하도록 한다.
상기 슬라이딩홈(114b)은 상기 흡입구(114)의 상하측에 양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상부하우징(11)으로부터 돌출되어 상하에 각각 "┓", "┛"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조절창(114a)이 끼워질 수 있도록 한다.
도 7 내지 9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버섯재배장치를 설명하면, 상기 버섯재배장치는 도 1 내지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버섯재배장치에 대하여 관수부(5)와 물공급부(6)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4)가 상기 관수부(5)와 물공급부(6)를 추가로 제어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구성을 가지므로, 이하에서는 상기 컨트롤러(4), 관수부(5), 물공급부(6)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컨트롤러(4)는 상기 가습부(3), 관수부(5), 물공급부(6)의 작동을 제어하는 구성으로, 상기 가습부(3), 관수부(5), 물공급부(6)의 작동을 지시하는 조작부(41)와, 상기 조작부(41)의 작동신호 또는 센서의 출력신호에 따라 상기 가습부(3), 관수부(5), 물공급부(6)를 작동시키는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조작부(41)는 상기 하우징(1)의 전면에 형성되어 상기 가습부(3), 관수부(5), 물공급부(6)의 작동을 지시하는 작동신호를 출력하는 구성으로, 예컨대 상기 가습부(3)의 자동 또는 수동 작동을 지시하는 동작버튼, 상기 가습부(3), 관수부(5), 물공급부(6)의 온 또는 오프를 지시하는 온오프버튼, 상기 가습부(3), 관수부(5)의 작동시간을 지시하는 타이머버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관수부(5)는 상기 하우징(1)의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물저장부(123)에 저장된 물을 상기 버섯 배지(21)에 공급하는 구성으로, 펌프(51), 물이동관(52), 분사부(53) 등을 포함한다.
상기 펌프(51)는 상기 물저장부(123)에 저장된 물을 분사부(53)에 공급하는 구성으로, 상기 컨트롤러(4)의 제어하에 상기 펌프(51)가 작동하여 상기 물저장부(123)에 저장된 물은 상기 물이동관(52)을 통해 분사부(53)에 공급된다. 상기 펌프(51)는 예컨대 미니펌프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분사부(53)는 상기 버섯 배지(21)의 상측에 위치하며 상기 물이동관(52)에 연결되어 상기 펌프(51)에서 공급된 물을 상기 버섯 배지(21)로 분사하는 구성으로, 예컨대 상기 분사부(53)는 분사노즐, 미니 스프링쿨러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조작부(41)를 조작하여 상기 펌프(51)를 작동시키면, 상기 물저장부(123)에 저장된 물은 상기 물이동관(52)을 통해 상기 분사부(53)에 공급되어 분사되며, 상기 분사부(53)에서 분사된 물은 상기 버섯 배지(21)에 공급된다. 상기 버섯재배장치는 상기 가습부(3)와 관수부(5)를 포함하므로, 버섯 생육에 필요한 물의 공급과 습도의 조절을 효율적으로 할 수 특징이 있다.
상기 물공급부(6)는 상기 물저장부(123)에 물을 공급하는 구성으로, 물저장탱크(61), 물공급수단(62) 등의 구성을 포함한다.
상기 물저장탱크(61)는 상기 하우징(1)의 외부에 위치하여 물을 저장하는 구성으로, 예컨대, 물저장탱크(61)는 원통형, 장방형 등과 같은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부식이 일어나지 않도록 플라스틱 수지 등과 같은 다양한 재질과 다양한 크기와 용량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물저장탱크(61)는 받침대(63) 등에 의해 상기 물저장부(123)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물공급수단(62)은 상기 물저장탱크(61)에 저장된 물을 상기 물저장부(123)에 공급하는 구성으로 상기 컨트롤러(4)에 의해 제어되며, 수위센서(621), 물공급관(622), 밸브(623) 등을 포함한다.
상기 수위센서(621)는 상기 물저장부(123)에 위치하여 상기 물저장부(123)의 수위를 측정하여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물공급관(622)은 상기 물저장탱크(61)와 물저장부(123)를 연결하여 상기 물저장탱크(61)에 저장된 물을 상기 물저장부(123)에 공급하는 구성으로, 상기 물공급관(622)의 일 측에는 밸브(623)가 설치되어 상기 물저장부(123)에 공급되는 물의 양이 조절된다. 상기 수위센서(621)에서 출력된 신호에 따라 상기 컨트롤러(4)가 상기 밸브(623)를 제어하여 상기 물저장부(123)에 공급되는 물의 양을 조절하여 상기 물저장부(123)가 적정 수위를 유지되도록 한다. 상기 밸브(623)를 사용자가 수동으로 조절하여 상기 물저장탱크(61)에 저장된 물을 상기 물저장부(123)에 공급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0 내지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버섯재배장치를 설명하면, 상기 버섯재배장치는 배지트레이(7), 상부하우징(11)을 제외하고는 도 7 내지 9를 참조하여 설명한 버섯재배장치와 동일한 구성으로 가지므로, 이하에서는 상기 배지트레이(7), 상부하우징(11)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배지트레이(7)는 상기 버섯 배지(21)를 수용하며 상기 배지수용부(122)에 위치하는 구성으로, 하부트레이(71), 상부트레이(72), 체결수단(73)을 포함한다.
상기 하부트레이(71)는 상기 버섯 배지(21)를 수용하는 구성으로, 트레이다리(711), 걸림턱(712) 등을 포함한다. 상기 하부트레이(71)는 일정 형상을 가지나 바람직하게는 상면이 개방된 직육면체통의 형상을 가진다.
상기 트레이다리(711)는 상기 하부트레이(71)의 하면에서 일정 간격을 두고 한 쌍이 돌출형성되는 구성으로, 상기 배지트레이(7)가 하부하우징(12)의 하면에 놓이는 경우 상기 하부하우징(12)의 하면에서 상기 배지트레이(7)가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한다.
상기 걸림턱(712)은 상기 하부트레이(71)의 외측면에 돌출되는 구성으로, 상기 배지트레이(7)를 후술할 상부하우징(11)의 삽입홈(113)에 삽입시 상기 배지트레이(7)의 삽입 깊이를 제한하여 상기 배지트레이(7)가 상기 삽입홈(113)에 끼워져 상기 배지트레이(7)의 상단이 상기 배지수용부(122)에 위치하도록 한다.
상기 상부트레이(72)는 상기 하부트레이(71)에 탈착식으로 결합하여 상기 하부트레이(71)에 수용된 버섯 배지(21)를 가압하는 구성으로, 일정 형상을 가지나 바람직하게는 상면이 개방된 직육면체통의 형상을 가진다. 상기 상부트레이(72)는 하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격자 형태로 관통형성된 생육공(721)을 포함한다. 상기 체결수단(73)을 이용하여 상기 하부트레이(71)와 상부트레이(72)를 결합시키면 상기 상부트레이(72)는 상기 버섯 배지(21)를 가압하게 되고, 상기 상부트레이(72)의 하면에 접한 버섯 배지(21) 부분은 공기와 빛이 유입되지 않으므로, 상기 버섯 배지(21)에서는 상기 생육공(721)을 통해서만 버섯이 자라게 된다.
상기 체결수단(73)은 상기 하부트레이(71)와 상부트레이(72)를 탈착식으로 결합시키는 구성으로, 날개부재(731), 결합돌기(732) 등을 포함한다.
상기 날개부재(731)는 상기 상부트레이(72)의 일 측에 연결되며 관통형성된 결합공(731a)을 포함하여 상기 결합돌기(732)와 결합한다. 상기 날개부재(731)는 신축성을 가지는 소재로 형성되어 상기 결합공(731a) 사이의 상하 간격(h1)이 후술할 결합돌기(732)의 볼록돌기(732a)에 의해 벌어진 후 상기 볼록돌기(732a)가 상기 결합공(731a)을 완전히 통과하면 상기 결합공(731a) 사이의 상하 간격(h1)이 원상태로 회복되어 상기 상부트레이(72)와 하부트레이(71)는 견고하게 결합한다.
상기 결합돌기(732)는 상기 하부트레이(71)의 일 측에 돌출되어 상기 날개부재(731)의 결합공(731a)에 삽입되는 구성으로, 상기 결합돌기(732)의 상하측에는 각각 볼록돌기(732a)가 형성되어 상기 결합공(731a)에 삽입된 결합돌기(732)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1 내지 9를 참조하여 설명한 배지트레이(2)를 사용하여 일부 버섯, 예컨대 느타리 버섯을 생육하는 경우, 상기 느타리 버섯은 다른 버섯에 비하여 성장이 빨라 버섯 생육 초기에 버섯 배지(21) 전 부분에 걸쳐 버섯 자라게 되어 즉, 많은 버섯이 자라게 되어 영양이 분산되어 다 성체가 되지 못하고 죽는 문제가 있어, 상기와 같은 상부트레이(72)를 통해 생육공(721)을 통해서만 버섯이 자라게 하여 느타리 버섯과 같은 일부 버섯을 효과적으로 생육시킬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또한, 일부 버섯의 경우 예컨대 표고 버섯이 자라 딴 후에 다시 표고 버섯을 생육하기 위해서는 버섯 배지(21)를 물에 적셔 충분한 물을 공급하여야 하는데, 도 1 내지 9를 참조하여 설명한 배지트레이(2)를 사용하여 버섯 배지(21)에 물을 공급하는 경우, 버섯 배지(21)는 톱밥 등으로 이루어져 물 공급시 부풀어 올라 버섯 배지(21) 전체에 걸쳐 물을 함유하고 있지 않아 표고 버섯의 다시 생육되지 않는 문제가 있어, 상기와 같은 상부트레이(72)를 통해 버섯 배지(21)를 가압하여 상기 버섯 배지(21)가 부풀어 오르는 것을 방지하여 배지트레이(7)에 공급된 물이 버섯 배지(21) 전체에 걸쳐 충분히 분산되어 표고 버섯과 같은 일부 버섯을 효과적으로 생육시킬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상기 버섯 배지(21)는 서로 엉켜 일체를 이루며 상기 상부트레이(72)가 상기 버섯 배지(21)를 가압하므로, 상기 배지트레이(7)를 후술할 삽입홈(113)에 삽입하여 상단이 하측을 향하도록 하여도 상기 배지트레이(7)에서 버섯 배지(21)가 이탈되지 않는 특징이 있다.
상기 상부하우징(11)은 삽입홈(113)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7 내지 9를 참조하여 설명한 버섯재배장치와 동일한 구성으로 가지므로, 이하에서는 상기 삽입홈(113)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삽입홈(113)은 상기 배지수용부(122)의 상측의 상부하우징(11) 상면에서 관통형성되어 상기 배지트레이(7)가 끼워지는 구성으로, 힌지 등에 의해 결합된 도어(113a)에 의해 개폐된다. 상기 도어(113a)를 개방한 다음 상단이 하측을 향하도록 상기 배지트레이(7)를 상기 삽입홈(113)에 삽입하면, 상기 걸림턱(712)이 상기 삽입홈(113)을 에워싸는 상부하우징(11)의 상면에 의해 걸림되어, 상기 배지트레이(7)는 상기 삽입홈(113)에 끼워진 채로 상기 상부하우징(11)과 결합한다. 이때 상기 배지트레이(7)의 버섯 배지(21)는 상기 하우징(1)의 내부에 위치하게 되어 습도가 조절된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삽입홈을 상부하우징(11)의 측면에 형성하여 상기 배지트레이(7)의 상단이 하우징 내부를 향하도록 상기 삽입홈에 상기 배지트레이(7)를 끼우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버섯재배장치를 이용하여 버섯을 재배하는 원리를 살펴보면, 상기 하부트레이(71)에 버섯 배지(21)를 삽입하고 상면을 상부트레이(72)를 덮은 다음 상기 체결수단(73)을 이용하여 상기 하부트레이(71)와 상부트레이(72)를 결합시켜 형성된 배지트레이(7)를 두 개 준비한 다음, 하나는 배지수용부(122)에 상단이 상측을 향하도록 놓고, 나머지 하나는 상기 상부하우징(11)의 삽입홈(113)에 삽입하여 상단이 하측을 향하도록 위치시킨다. 이때, 상기 배지트레이(7)의 버섯 배지(21)는 배지수용부(122)에 유입된 수증기에 의해 습도가 조절되므로, 생육공(721)을 통해 버섯이 자라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버섯재배장치는 배지수용부(122)의 하측과 상측에서 버섯을 생육하므로 버섯의 생산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상에서, 출원인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이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일 실시예일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한 어떠한 변경예 또는 수정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하우징 11: 상부하우징 12: 하부하우징
2: 배지 트레이 21: 버섯 배지 22: 트레이다리
3: 가습부 4: 컨트롤러 41: 조작부
5: 관수부 51: 펌프 52: 물이동관
53: 분사부 6: 물공급부 61: 물저장탱크
62: 물공급수단 63: 받침대 7: 배지트레이
71: 하부트레이 72: 상부트레이 73: 체결수단

Claims (11)

  1. 외형을 형성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는 버섯 배지와, 물을 공급받아 기화시켜 생성된 수증기를 상기 하우징 내부에 공급하여 상기 하우징 내부의 습도를 조절하는 가습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하측을 형성하며 상기 버섯 배지를 수용하는 버섯배지수용부와 상기 가습부에 공급되는 물을 저장하는 물저장부와 상기 버섯배지수용부와 상기 물저장부를 구획하는 구획부를 포함하는 하부하우징과, 상측을 형성하며 상기 하부하우징과 결합하는 상부하우징과, 상기 물저장부의 일 측면에 관통형성되어 상기 물저장부를 향하여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흡입구와, 상기 하우징에 관통형성되어 하우징 내부의 공기와 습기가 유출되도록 하는 흡배기구를 포함하며,
    상기 구획부의 상측에는, 물저장부로부터 발생한 수증기가 그대로 상기 버섯배지수용부의 버섯배지에 떨어지는 것을 막고 버섯의 윗 부분으로도 수증기가 공급될 수 있도록 버섯배지수용부의 상측으로 돌출형성된 칸막이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흡입구로 유입된 공기가 자연적으로 수증기와 함께 상기 칸막이 벽면을 타고 상승하여 일부는 상기 버섯배지수용부의 버섯의 윗 부분을 거쳐 버섯배지로 공급되도록 하며 나머지는 흡배기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과습을 방지하여 버섯의 생육을 촉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섯재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물저장부의 상부의 일부를 덮는 덮개부를 포함하여, 상기 가습부에 의하여 발생한 수증기가 더욱 빠른 속도로 상기 하우징 내부에 퍼져나갈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섯재배장치.
  3. 제1항 내지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버섯배지수용부와 물저장부는 분리가 가능하도록 착탈식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섯재배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는 상기 흡입구의 개방되는 영역을 조절할 수 있는 조절창을 포함하여, 상기 흡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섯재배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흡입구의 상,하측에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조절창이 삽입되어 슬라이딩될 수 있는 슬라이딩홈을 포함하여, 상기 흡입구를 통한 공기 유입량의 조절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섯재배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의 내벽에서 결로된 물을 상기 물저장부로 가이드하는 물유도로를 추가로 포함하여, 상기 하우징의 내벽에서 결로된 물이 상기 버섯 배지에 고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섯재배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가습부에 의해 생성된 수증기가 흡입구를 통해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류방지부재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섯재배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부하우징의 하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하부하우징의 하면을 상기 버섯재배장치가 위치하는 실내공간의 바닥면에서 이격되도록 하는 하우징다리와, 상기 배지수용부를 에워싸는 상기 하우징의 하면이 상측으로 볼록한 산부와 하측으로 볼록한 골부가 연이어 반복되어 형성되는 굴곡부와, 상기 하우징의 하면 외측에 설치되어 상기 배지수용부와 연통되어 외부공기를 상기 배지수용부에 공급하는 공기이동로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골부에는 복수 개의 환기공이 관통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섯재배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섯재배장치는 물저장부에 저장된 물을 상기 버섯 배지에 공급하는 관수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섯재배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섯재배장치는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 위치하는 물저장탱크와, 상기 물저장탱크에 저장된 물을 물저장부에 공급하는 물공급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섯재배장치.
KR1020150067046A 2015-05-14 2015-05-14 버섯재배장치 KR1018204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7046A KR101820408B1 (ko) 2015-05-14 2015-05-14 버섯재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7046A KR101820408B1 (ko) 2015-05-14 2015-05-14 버섯재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3901A KR20160133901A (ko) 2016-11-23
KR101820408B1 true KR101820408B1 (ko) 2018-01-19

Family

ID=575418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7046A KR101820408B1 (ko) 2015-05-14 2015-05-14 버섯재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040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90328B2 (en) 2021-11-05 2023-07-04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Climate control system for a mushroom growing appliance
US11856897B2 (en) 2022-01-10 2024-01-02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Climate control system for a mushroom growing applian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0096A (ko) 2016-12-16 2018-06-26 (주)헤리트 버섯재배사 및 그 제어방법
KR102059831B1 (ko) 2017-11-14 2019-12-27 최호성 자연가습이 가능한 버섯재배장치
KR102480421B1 (ko) * 2020-09-11 2022-12-23 최호성 버섯재배장치
KR102480408B1 (ko) * 2020-09-11 2022-12-23 최호성 버섯재배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68978B2 (ja) * 1988-09-10 1997-10-27 日新電機株式会社 家庭用きのこ栽培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68978B2 (ja) * 1988-09-10 1997-10-27 日新電機株式会社 家庭用きのこ栽培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90328B2 (en) 2021-11-05 2023-07-04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Climate control system for a mushroom growing appliance
US11856897B2 (en) 2022-01-10 2024-01-02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Climate control system for a mushroom growing applian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3901A (ko) 2016-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0408B1 (ko) 버섯재배장치
US20200375127A1 (en) Soilless plant growing systems
KR101486945B1 (ko) 버섯재배장치
KR101486949B1 (ko) 버섯재배장치
EP2177103A1 (en) Mobile greenhouse
KR101248985B1 (ko) 농작물 재배용 부스
KR101820415B1 (ko) 버섯재배장치
CN107969262B (zh) 一种工业化的半成品蔬菜种植方法及人工光照植物种植箱
CN206423231U (zh) 智能育苗箱
KR101486950B1 (ko) 버섯 배지 트레이 및 이를 이용하는 버섯재배장치
RU188785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ультивирования растений
CN215188549U (zh) 一种观赏、食用双功能菌类盆景培养盒
WO2019203695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ультивирования растений
KR20200086550A (ko) 화분걸이
CN206118607U (zh) 一种用于植物的种植装置
KR102480408B1 (ko) 버섯재배장치
CN213214710U (zh) 一种微型香草人工光种植装置
KR102480421B1 (ko) 버섯재배장치
KR102318569B1 (ko) 모듈형 버섯 재배 장치
KR101666194B1 (ko) 피톤치드 향을 발하는 향가습기와 연동되어 적용되는 식물재배기
CN110118406A (zh) 一种桌面小型生态加湿器
KR102156722B1 (ko) 복수의 재배모듈을 포함하는 작물 재배 장치
CN211861156U (zh) 一种饲草用种茎冬季储存机
KR102134743B1 (ko) 수생식물 재배장치
KR200331855Y1 (ko) 가정용 상황버섯 재배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