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4743B1 - 수생식물 재배장치 - Google Patents

수생식물 재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4743B1
KR102134743B1 KR1020200052439A KR20200052439A KR102134743B1 KR 102134743 B1 KR102134743 B1 KR 102134743B1 KR 1020200052439 A KR1020200052439 A KR 1020200052439A KR 20200052439 A KR20200052439 A KR 20200052439A KR 102134743 B1 KR102134743 B1 KR 1021347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ltivation
water bottle
lid
jaw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24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성수
Original Assignee
이케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케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케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524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47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47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47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31/02Special apparatu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2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having a water reservoir, the main part thereof being located wholly around or directly beside the growth substra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20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in agriculture, e.g. CO2
    • Y02P60/21Dinitrogen oxide [N2O], e.g. using aquaponics, hydroponics or efficiency measures
    • Y02P60/216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생식물 재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콩나물 등 수중에 뿌리를 내려 생육되는 수생식물을 재배하기 위한 재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일측에 수통을 거꾸로 세워 결합할 수 있는 영역과 상기 영역으로 유입된 물을 공급받아 수생식물을 재배하는 영역을 포함하여 구성된, 수생식물 재배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수생식물 재배장치{APPARATUS CULTIVATION FOR AQUATIC PLANT}
본 발명은 수생식물 재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콩나물 등 수중에 뿌리를 내려 생육되는 수생식물을 재배하기 위한 재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일측에 수통을 거꾸로 세워 결합할 수 있는 영역과 상기 영역으로 유입된 물을 공급받아 수생식물을 재배하는 영역을 포함하여 구성된, 수생식물 재배장치에 관한 것이다.
콩나물은 단기간에 재배가 가능하고, 단백질, 지질, 탄수화물 및 무기질이 다량 함유되어 있고, 콩나물이 자라는 과정 중 체내대사가 이루어짐으로써 콩이 본래 포함하고 있는 지방이 현저하게 감소하는 반면 비타민의 함량이 증가하고, 비타민 C가 합성됨에 따라 주식인 쌀에서 부족하기 쉬운 영양분의 공급원으로서 그 영양학적 가치가 우수하고, 가격이 저렴할 뿐만 아니라 연중 이용할 수 있는 야채로서 국민 식생활에 매우 친근한 식품의 하나이다.
일반적으로 콩나물은 콩에 빛이 조사되지 않도록 한 상태에서 발아시키고, 성장시킨 것으로서, 콩을 물에 담가 불린 다음 시루에 볏짚을 깔고, 그 위에 콩을 담아 어두운 곳에서 고온 다습하게 하여 발아시키고, 계속해서 마르지 않도록 물을 주어 다 자라면 수확한다.
종래의 방법으로 콩나물을 재배할 때에는 물그릇 위에 시루를 올려놓고 시루 안에 베 보자기를 깔아 콩을 받쳐 놓은 다음 그 위에 주기적으로 물을 뿌리면서 재배하여 왔는데 이러한 종래의 재배방법은 시간을 맞추어서 물을 주어야 하는 번거로운 불편이 있고, 흘러내린 물을 다시 콩나물에 떠 붓는 등의 비위생적인 결점이 있었고, 물을 자주 주지 않으면 콩나물 자체에서 발생하는 부패열로 급속히 부패하는 폐단도 있었다.
또한, 콩나물은 광합성으로 성장하는 일반채소와는 달리 콩나물 자체에 있는 영양분을 소모하는 호흡작용에 의하여 암실에서 발아와 생육을 하여 콩이 가지고 있던 자체 양분은 거의 소모되어 각종 영양소의 함량이 콩에 함유된 함량보다 극히 낮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영양이 풍부한 콩나물을 재배하기 위한 기술로서, 등록특허공보 제10-1241796호에는 초록콩나물 재배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상기 기술은, 초록콩나물 재배장치에 관한 것으로, 초록콩나물 재배장치는 직육면체 형상의 본체는 덮개부와 재배부 및 베이스부로 구성되며, 상기 덮개부는 본체의 상측에 위치하며, 재배수를 살수하기 위한 살수기와, 선택버튼 및 상태표시기능의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제어부가 장착되며, 상기 본체의 하측에 위치하는 베이스부는, 내부에 히터와 온도센서 및 유면센서, 이산화탄소 유입구 및 재배수를 방출하기 위한 배수관과, 상기 살수기에 재배수를 회기시키기 위한 순환관에 연결되는 출수관이 형성된 재배수탱크와, 상기 순환관에 연결되어 재배수를 회기시기기 위한 순환펌프 및 상기 이산화탄소 유입구에 연결되어 이산화탄소를 공급하는 이산화탄소 공급기로 구성되며, 상기 덮개부와 베이스부 사이에 위치하는 재배부는 투명한 재질의 합성수지나 유리로 제작되며, 저면에 다수의 통수구가 형성되고 내부에 콩나물 재배용 콩을 수용 가능하도록 U자형으로 형성된 함체가 좌우로 연속되게 장착되고, 상기 재배부의 내측면에 형성된 고정턱에 장착 가능하도록 측단부에 날개부가 형성된 재배판이 다단으로 장착되며, 상기 재배부 후면에는 상기 재배판의 함체에 조사 가능하도록 적색발광다이오드(Red-light emitting diode) 광원과 청색발광다이오드(Blue-light emitting diode) 광원을 수직방향으로 장착하고, 상기 재배부의 일측면에는 상기 출수관 및 살수기에 연결되어 장착되는 순환관으로 구성된다.
또한, 등록특허공보 제10-0302906호에는 콩나물의 자동 재배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상기 기술은, 콩나물을 빨리 자랄 수 있도록 하는 자동재배상자와, 정확한 급배수량제어에 의한 수위조절기능과 수위자동평형기능을 가지며 또한 용수를 순환할 수 있는 절수식의 급배수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으로 집중적인 재배상자의 배치형태에 따라 공간의 낭비를 감소할 수 있고 콩나물의 성장높이 제어를 고려한 재배상자의 구조와 상기 급배수시스템의 조합에 의해 대폭으로 콩나물의 생장기를 단축하여 생산품질을 높이고, 콩나물의 기업화 관리생산 재배를 가능하게 하며 대량생산을 가능하게 하는 장치로 이루어진다.
또한, 공개특허공보 제10-2003-0080882호에는 콩나물 재배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상기 기술은, 콩나물재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콩나물몸통부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고 좁은 공간에서도 다량의 콩나물을 재배할 수 있는 콩나물재배장치에 관한 것이다.
마지막으로,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6-0001269호에는 무동력 자동급수 콩나물 재배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상기 기술은, 소량 재배를 목적으로 한 가정용 콩나물 재배기의 경우 과거에는 직접 사람의 손으로 물을 주는 수동식 재배장치를 이용하였으나, 이는 1~2시간 간격으로 급수해야하는 번거로움으로 불규칙적인 물공급을 야기하여 콩나물의 생육부진을 초래하게 되어 결국 콩나물 재배에 실패한 경우가 많아 이를 보완하고자 안출된 무동력 자동급수 콩나물 재배장치에 관한 것이다.
등록특허공보 제10-1241796호(2013.03.14. 공고) 등록특허공보 제10-0302906호(2001.09.22. 공고) 공개특허공보 제10-2003-0080882호(2003.10.17.)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6-0001269호(2016.04.18.)
본 발명의 목적은, 콩나물 등 수중에 뿌리를 내려 생육되는 수생식물을 재배하기 위한 재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일측에 수통을 거꾸로 세워 결합할 수 있는 영역과 상기 영역으로 유입된 물을 공급받아 수생식물을 재배하는 영역을 포함하여 구성된, 수생식물 재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수생식물 재배장치는,
상면 일측에 하방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수통삽입부(11)와,
상면 다른 일측에 하방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재배부(12)를 포함하는 재배장치(10)에 있어서,
상기 수통삽입부(11)와 재배부(12)는 상호 연통된 연통영역을 가지고,
상기 수통삽입부(11), 재배부(12) 및 연통영역은 바닥에 바닥판(10a)이 구비되며,
상기 수통삽입부(11)는 하면 일측에 돌출되도록 형성된 수통고정구(13)가 구비되어, 수통을 거꾸로 세워 결합시켜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재배부(12)는,
재배부(12)의 바닥판(10a)의 상면에서부터 통 형식으로 구성된 재배통(14)이 구비되되,
상기 재배통(14)의 외면과 재배부(12)의 내면은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이격공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재배통(14)은,
재배부(12)의 바닥판(10a)의 상면에서부터 통 형식으로 구성되고 상면이 개방된 통(14a)과, 상기 통(14a)의 상면을 마감하는 커버(14b)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통(14a)의 하단 일측에는 통(14a)의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형성되는 복수 개의 홀(14a')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통(14a)의 내면에는 통(14a)을 가로막는 재배판이 구비되되,
상기 재배판은, 다수의 천공을 포함하고, 상기 홀(14a')보다 높은 위치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통고정구(13)는,
수통삽입부(11)의 바닥판(10a)의 상면에 구비된 베이스(13a)와, 상기 베이스(13a)의 상방으로 돌출된 돌기(13b)와, 상기 베이스(13a)의 일측에서부터 돌기(13b)의 일측까지 연결된 제1 턱(13c) 및 제2 턱(13d)을 포함하되,
상기 제1 턱(13c) 및 제2 턱(13d)은,
각각 돌기(13b)의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복수 개 형성되고,
상호 다른 높이를 가지도록 구성되되, 턱진 영역의 폭이 제1 턱(13c) 및 제2 턱(13d) 간에 다르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생식물 재배장치에 의하면, 콩나물 등 수중에 뿌리를 내려 생육되는 수생식물을 재배하기 위한 재배장치를 제공할 수 있으며, 특히, 수생식물을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쉽게 생육시킬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생식물 재배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수생식물 재배장치를 일측면에서 바라본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도 1에 따른 수생식물 재배장치를 평면에서 바라본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생식물 재배장치의 수통고정구를 나타낸 것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사항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요지를 드러내기 위해서 필요하지 않은 사항 즉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가 자명하게 부가할 수 있는 공지 구성에 대해서는 도시하지 않거나, 구체적으로 기술하지 않았음을 밝혀둔다.
본 발명은 수생식물 재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콩나물 등 수중에 뿌리를 내려 생육되는 수생식물을 재배하기 위한 재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일측에 수통을 거꾸로 세워 결합할 수 있는 영역과 상기 영역으로 유입된 물을 공급받아 수생식물을 재배하는 영역을 포함하여 구성된, 수생식물 재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수생식물 재배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통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생식물 재배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그리고 도 2는 도 1에 따른 수생식물 재배장치를 일측면에서 바라본 것을 나타낸 것이고, 도 3은 도 1에 따른 수생식물 재배장치를 평면에서 바라본 것을 나타낸 것이다.
첨부된 도면에 따른 본 발명의 재배장치(10)는,
상면 일측에 하방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수통삽입부(11)와,
상면 다른 일측에 하방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재배부(12)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수통삽입부(11)와 재배부(12)는 상호 연통된 연통영역을 가진다. 이러한 수통삽입부(11)와 재배부(12) 및 이들을 연통하는 연통영역은 재배장치(10)의 상면에서부터 오목하게 형성되며, 모두 하나의 바닥판(10a)을 통해 연결된다.
상기 수통삽입부(11)는 하면 일측에 돌출되도록 형성된 수통고정구(13)가 구비되어, 수통을 거꾸로 세워 결합시켜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수통고정구(13)는 첨부된 도면의 도 4를 통해 후술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재배부(12)는 이의 바닥판(10a)의 상면에서부터 통 형식으로 구성된 재배통(14)이 구비되며, 이때 상기 재배통(14)의 외면과 재배부(12)의 내면은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이격공간을 포함하도록 한다.
상기 재배통(14)은, 재배부(12)의 바닥판(10a)의 상면에서부터 통 형식으로 구성되고 상면이 개방된 통(14a)과, 상기 통(14a)의 상면을 마감하는 커버(14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햇빛의 차단이 필요한 수생식물(콩나물 등)을 재배하는 경우에는 커버(14b)를 이용해 통(14a)을 폐쇄하고, 그 외 햇빛이 필요한 수색식물을 재배하는 경우에는 커버(14b)를 이용하지 않음으로써 통(14a)이 개방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통(14a)의 하단 일측에는 통(14a)의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형성되는 복수 개의 홀(14a')이 형성된다.
즉, 상술된 수통삽입부(11)에 삽입된 수통으로부터 배출된 물이 수통삽입부(11)와 재배부(12)를 연통하는 연통영역을 통해 유입되어 재배부(12)의 내면과 재배통(14)의 외면 사이로 유입된 물이 홀(14a')을 통해 통(14a) 내부로 유입되게 된다.
상기 통(14a)의 내면에는 통(14a)을 가로막는 재배판(도면부호 미도시)이 구비되며, 상기 재배판은 홀(14a')보다 높은 위치에 구비된다.
이러한 재배판은, 상/하 방향으로 관통된 천공이 복수 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재배판의 상측에 씨앗을 두면, 씨앗으로부터 자라난 뿌리가 천공을 통해 재배판의 하측으로 뿌리내리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술된 수통고정구(13)는, 첨부된 도면의 도 4를 통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생식물 재배장치의 수통고정구를 나타낸 것이다.
첨부된 도면의 도 4에 따른 수통고정구(13)는, 수통삽입부(11)의 바닥판(10a)의 상면에 구비된 베이스(13a)와, 상기 베이스(13a)의 상방으로 돌출된 돌기(13b)와, 상기 베이스(13a)의 일측에서부터 돌기(13b)의 일측까지 연결된 제1 턱(13c) 및 제2 턱(13d)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 턱(13c) 및 제2 턱(13d)은, 각각 돌기(13b)의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복수 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 턱(13c) 및 제2 턱(13d)은, 상호 다른 높이를 가지도록 구성되고, 턱진 영역의 폭이 제1 턱(13c) 및 제2 턱(13d) 간에 다르도록 한다.
구체적으로는, 상대적으로 하측에 위치된 제1 턱(13c)이 제2 턱(13d)보다 폭이 넓게 구성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수통을 거꾸로 세워 고정하는 경우, 수통의 입구에 돌기(13b)를 관통시키고, 수통의 입구를 입구 크기에 따라 제2 턱(13d) 또는 제1 턱(13c)에 걸침으로써 세워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기(13b)는 다양항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단부는 쐐기 형상으로 구성되도록 한다.
다른 한편, 수통삽입부(11)와 재배부(12)를 연통하는 연통영역에는 [표 1]의 배출단속장치가 구성될 수 있다.
배출단속장치의 기능은, 수통삽입부(11)와 재배부(12)의 연통된 구조를 차단하고, 재배부(12)에 고인 물을 재배장치(10) 외측으로 배출하는 기능을 한다.
예컨대, 수생식물을 생육하기 위한 물이 오래된 경우, 수통삽입부(11)로부터 유입되는 물을 차단하고, 재배부(12)에 고인물을 배출하며, 다시 연통시킴으로써 재배부(12)에 깨끗한 물이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는, [표 1]을 참조하도록 한다.
[표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생식물 재배장치에 구비된 배출단속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Figure 112020044584315-pat00001
[표 1]에 따르면, 수통삽입부(11)와 재배부(12)를 연통하는 연통영역의 바닥판(10a)에 재배장치(10)의 하부 외측으로 관통된 홀을 포함하되,
상기 홀에는 홀의 크기에 대응되는 크기를 가지는 누름부가 홀에 삽입되도록 한다.
상기 홀의 내면에는 2개가 1쌍으로 마주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며, 상기 누름부의 가이드홈에 대응되는 일면에는 돌기가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돌기는 가이드홈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되어, 상기 돌기가 가이드홈에 삽입된 후, 가이드홈을 따라 돌기가 가이드될 수 있도록 한다.
즉, 홀에 관통되도록 삽입된 누름부는, 돌기가 가이드홈을 따라 가이드되어 움직임으로써, 누름부가 상/하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홀의 상측은 뚜껑에 의해 폐쇄된다.
상기 뚜껑은 '┌┐'의 형상을 가지며, 측벽이 형성되지 않은 방향으로 경첩을 통해 뚜껑과 바닥판(10a)을 연결하여, 상기 뚜껑이 수직방향으로 개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뚜껑은 뚜껑의 측벽이 홀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즉, 뚜껑의 크기는 홀의 내경에 대응되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누름부가 상승하는 경우, 뚜껑의 하면을 누르면서 상승하여, 뚜껑이 개방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누름부는 상방으로 이동되지 않았을 때, 뚜껑을 폐쇄할 수 있는 정도의 길이를 가지도록 하며, 별도의 구조물을 대거나, 손으로 누르는 경우, 누름부가 상승하면서 뚜껑을 개방시키게 된다.
이때, 뚜껑의 힌지가 결합된 반대 방향에는 실링이 내면에 형성되도록 한다.
또한, 누름부는 수통삽입부(11)와 재배부(12)를 연통하는 연통영역의 측벽 사이 공간을 꽉 채울 수 있는 정도의 크기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누름부가 뚜껑을 최대로 개방하면, 뚜겅이 상기 연통영역을 차단함에 따라, 수통삽입부(11)로부터 재배부(12)로 유입되는 물을 차단하거나, 혹은 물의 양을 감소시키면서, 뚜껑이 개방됨에 따라 개방상태가 된 홀을 통해 재배부(12) 내의 물이 재배장치(1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에서 도면을 이용하여 서술한 것은, 본 발명의 주요 사항만을 서술한 것으로, 그 기술적 범위 내에서 다양한 설계가 가능한 만큼, 본 발명이 도면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자명하다.
10 : 재배장치
10a : 바닥판
11 : 수통삽입부
12 : 재배부
13 : 수통고정구
13a : 베이스
13b : 돌기
13c : 제1 턱
13d : 제2 턱
14 : 재배통
14a : 통
14a' : 홀
14b : 커버

Claims (5)

  1. 상면 일측에 하방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수통삽입부(11)와,
    상면 다른 일측에 하방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재배부(12)를 포함하는 재배장치(10)에 있어서,
    상기 수통삽입부(11)와 재배부(12)는 상호 연통된 연통영역을 가지고,
    상기 수통삽입부(11), 재배부(12) 및 연통영역은 바닥에 바닥판(10a)이 구비되며,
    상기 수통삽입부(11)는 하면 일측에 돌출되도록 형성된 수통고정구(13)가 구비되어, 수통을 거꾸로 세워 결합시켜 고정할 수 있도록 하되,
    (a) 상기 재배부(12)는,
    재배부(12)의 바닥판(10a)의 상면에서부터 통 형식으로 구성된 재배통(14)이 구비되되, 상기 재배통(14)의 외면과 재배부(12)의 내면은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이격공간을 포함하고,
    (b) 상기 재배통(14)은,
    재배부(12)의 바닥판(10a)의 상면에서부터 통 형식으로 구성되고 상면이 개방된 통(14a)과, 상기 통(14a)의 상면을 마감하는 커버(14b)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통(14a)의 하단 일측에는 통(14a)의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형성되는 복수 개의 홀(14a')이 형성되며,
    상기 통(14a)의 내면에는 통(14a)을 가로막는 재배판이 구비되되, 상기 재배판은, 다수의 천공을 포함하고, 상기 홀(14a')보다 높은 위치에 구비되며,
    (c) 상기 수통고정구(13)는,
    수통삽입부(11)의 바닥판(10a)의 상면에 구비된 베이스(13a)와, 상기 베이스(13a)의 상방으로 돌출된 돌기(13b)와, 상기 베이스(13a)의 일측에서부터 돌기(13b)의 일측까지 연결된 제1 턱(13c) 및 제2 턱(13d)을 포함하되,
    상기 제1 턱(13c) 및 제2 턱(13d)은,
    각각 돌기(13b)의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복수 개 형성되고,
    상호 다른 높이를 가지도록 구성되되, 턱진 영역의 폭이 제1 턱(13c) 및 제2 턱(13d) 간에 다르도록 구성하며,
    (d) 수통삽입부(11)와 재배부(12)를 연통하는 연통영역에는 수통삽입부(11)와 재배부(12)의 연통된 구조를 차단하고, 재배부(12)에 고인 물을 재배장치(10) 외측으로 배출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배출단속장치가 구성되되,
    상기 배출단속장치는,
    수통삽입부(11)와 재배부(12)를 연통하는 연통영역의 바닥판(10a)에 재배장치(10)의 하부 외측으로 관통된 홀을 포함하고,
    상기 홀에는 홀의 크기에 대응되는 크기를 가지는 누름부가 홀에 삽입되며, 상기 홀의 내면에는 2개가 1쌍으로 마주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누름부의 가이드홈에 대응되는 일면에는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돌기는 가이드홈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되어, 상기 돌기가 가이드홈에 삽입된 후, 가이드홈을 따라 돌기가 가이드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홀의 상측은 뚜껑에 의해 폐쇄되되, 상기 뚜껑은 뚜껑의 측벽이 홀의 내부에 삽입되며, '┌┐'의 형상을 가지고, 측벽이 형성되지 않은 방향으로 경첩을 통해 뚜껑과 바닥판(10a)을 연결하여, 상기 뚜껑이 수직방향으로 개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누름부가 상승하는 경우, 뚜껑의 하면을 누르면서 상승하여, 뚜껑이 개방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누름부는 상방으로 이동되지 않았을 때, 뚜껑을 폐쇄할 수 있는 정도의 길이를 가지도록 하며, 별도의 구조물을 대거나, 손으로 누르는 경우, 누름부가 상승하면서 뚜껑을 개방시키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생식물 재배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00052439A 2020-04-29 2020-04-29 수생식물 재배장치 KR1021347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2439A KR102134743B1 (ko) 2020-04-29 2020-04-29 수생식물 재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2439A KR102134743B1 (ko) 2020-04-29 2020-04-29 수생식물 재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4743B1 true KR102134743B1 (ko) 2020-07-16

Family

ID=718396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2439A KR102134743B1 (ko) 2020-04-29 2020-04-29 수생식물 재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4743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2906B1 (ko) 1998-06-03 2001-09-22 로 쿵센 콩나물의자동재배장치
KR20030080882A (ko) 2002-04-11 2003-10-17 정충현 콩나물 재배장치
KR200389644Y1 (ko) * 2005-04-28 2005-07-14 류경오 새싹재배용 수경재배기
JP2010172288A (ja) * 2009-01-30 2010-08-12 Yamazaki Kyoiku System Kk 養液栽培ユニット
KR101241796B1 (ko) 2011-01-21 2013-03-14 양승기 초록콩나물 재배장치
KR20160001269U (ko) 2014-10-08 2016-04-18 손현희 무동력 자동급수 콩나물재배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2906B1 (ko) 1998-06-03 2001-09-22 로 쿵센 콩나물의자동재배장치
KR20030080882A (ko) 2002-04-11 2003-10-17 정충현 콩나물 재배장치
KR200389644Y1 (ko) * 2005-04-28 2005-07-14 류경오 새싹재배용 수경재배기
JP2010172288A (ja) * 2009-01-30 2010-08-12 Yamazaki Kyoiku System Kk 養液栽培ユニット
KR101241796B1 (ko) 2011-01-21 2013-03-14 양승기 초록콩나물 재배장치
KR20160001269U (ko) 2014-10-08 2016-04-18 손현희 무동력 자동급수 콩나물재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2141B1 (ko) 가정용 채소재배를 위한 광원 분리식 엘이디 식물장고
US20180317400A1 (en) Device and method for cultivating plants, and sowing and planting mat therefor
US20060272210A1 (en) Smart garden devices and methods for growing plants
KR101212130B1 (ko) 새싹채소 재배 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새싹채소 자동재배 장치
CN206686837U (zh) 一种led灯和雾培联用的室内植物培育装置
KR101241796B1 (ko) 초록콩나물 재배장치
KR101941091B1 (ko) 모듈형 식물재배장치
CN208402679U (zh) 植物种植设备
CN208300590U (zh) 一种智能家用植物分层式水培种植装置
KR101354706B1 (ko) 가정용 채소류 재배장치
KR101362925B1 (ko) 채소재배 및 새싹재배 겸용 가정용 다기능 식물재배기
KR20130124756A (ko) 관수와 이식이 용이한 육묘용 포트
KR101582388B1 (ko) 식물 재배 장치
KR100332158B1 (ko) 적층식 자동 재배장치
CN108496650A (zh) 植物种植设备
KR102134743B1 (ko) 수생식물 재배장치
KR20200011730A (ko) 자체 양액 순환형 생육온도 조절 식물 재배기
CN206744131U (zh) 水耕袋
KR20190064058A (ko) 모듈형 식물재배장치
KR101561658B1 (ko) 녹색 두채류를 포함한 새싹 재배장치
KR200370417Y1 (ko) 가정용 식물 재배화분
WO2022026780A1 (en) Hydroponic system for bulb and sprout horticulture
AU68321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grated pre-cultivation and ultimate cultivation of plants
KR200365551Y1 (ko) 가정용 버섯 재배 용기
KR200195645Y1 (ko) 간이용 버섯재배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