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0408B1 - 버섯재배장치 - Google Patents

버섯재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0408B1
KR102480408B1 KR1020200116599A KR20200116599A KR102480408B1 KR 102480408 B1 KR102480408 B1 KR 102480408B1 KR 1020200116599 A KR1020200116599 A KR 1020200116599A KR 20200116599 A KR20200116599 A KR 20200116599A KR 102480408 B1 KR102480408 B1 KR 1024804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medium
unit
water storage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65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34348A (ko
Inventor
최호성
Original Assignee
최호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호성 filed Critical 최호성
Priority to KR10202001165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0408B1/ko
Publication of KR202200343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43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04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04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8/00Cultivation of mushrooms
    • A01G18/60Cultivation rooms; Equipment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8/00Cultivation of mushrooms
    • A01G18/20Culture media, e.g. compos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8/00Cultivation of mushrooms
    • A01G18/60Cultivation rooms; Equipment therefor
    • A01G18/69Arrangements for managing the environment, e.g. sprinkl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ushroom Cultiv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버섯재배장치는, 외형을 형성하고 내부공간을 구획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버섯 배지를 수용하도록 형성된 배지수용부와, 상기 하우징의 일측면에 관통형성되어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보조흡입부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 중 상기 보조흡입부와 상기 배지수용부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보조흡입부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상기 배지수용부에 도달하는 시간을 지연시켜주는 버퍼링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버섯재배장치{Mushroom Growing Apparatus}
본 발명은 가정집이나 사무실 등의 실내 생활공간에 설치되어 버섯을 재배하는 버섯재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외형을 형성하고 내부공간을 구획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버섯 배지를 수용하도록 형성된 배지수용부와, 상기 하우징의 일측면에 관통형성되어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보조흡입부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 중 상기 보조흡입부와 상기 배지수용부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보조흡입부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상기 배지수용부에 도달하는 시간을 지연시켜주는 버퍼링부를 포함하여 외부에서 상기 하우징 내부로 유입된 건조한 공기나 차가운 공기가 상기 배지수용부에 수용된 버섯 배지에 곧바로 닿지 않도록 하여 버섯의 고사를 방지하는 버섯재배장치에 관한 것이다.
버섯은 균류 중에서 눈으로 식별할 수 있는 크기의 자실체를 형성하는 무리의 총칭으로, 총 2만여 종이 있으며 이중 1800여 종이 식용가능하다. 상기 버섯은 독특한 맛과 향을 가지고, 아미노산, 식이섬유, 비타민, 철, 아연 등의 영양분이 풍부하여 장내의 유해물, 노폐물, 발암 물질을 배설하고 혈액을 깨끗하게 하며 칼슘의 흡수를 돕고 면역 기능을 높여 감염이나 암을 예방하는 특성이 있어, 식품·약용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아래 표시된 특허문헌을 참조하면, 현재 판매되는 버섯의 대부분은 농가에 의해서 재배된 것으로, 농가에서는 습도와 온도가 조절되는 하우스 등의 대규모의 시설에서 버섯재배장치를 이용하여 버섯을 대량으로 재배하고 있다.
(특허문헌)
공개실용신안공보 실1998-055620(1998, 10. 07. 공개) "버섯재배장치"
하지만, 상기 버섯재배장치는 버섯 재배 농가의 재배시설에서 버섯을 대량으로 재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 상기 버섯재배장치를 이용하여 버섯재배시 인위적으로 재배시설의 온도를 버섯이 생육하기에 적합한 온도로 맞추어야 하므로, 다량의 에너지가 소비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농가가 재배한 버섯은 중간상인, 도매상인, 소매상인 등의 여러 유통 경로를 거쳐 소비자에 최종적으로 공급되므로, 버섯의 구매가격이 상승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농가는 상업성을 최우선으로 하여 버섯 재배를 수행하므로, 즉 소품종 대량 생산방식을 취할 수밖에 없어 소비자는 다양한 종류의 버섯을 구매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또한, 농가에서 재배된 버섯이 최종 소비자에게 도달할 때까지 긴 시간과 거리가 소요되어, 버섯 본연의 맛과 향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위와 같은 문제와 더불어 건강을 추구하는 경향이 증대되어 가정에서 버섯의 직접 재배를 시도하고 있으나, 재배 환경의 제약과 재배 기술 및 장비의 미비로 실현되지 않고 있다. 따라서, 가정에서 적은 에너지를 사용하여 용이하게 버섯을 재배할 수 있는 장치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한편, 이와 같은 상황에서 가정집이나 사무실 등의 실내 생활공간에 설치되어 버섯을 재배할 수 있게 해주는 버섯재배장치들이 몇몇 선보이고 있다. 산소는 버섯의 생장에 매우 중요하며, 특히 느타리, 양송이, 아기리쿠스, 포토밸라와 같은 버섯은 산소에 매우 민감하다. 따라서 종래 선보인 버섯재배장치들은 모두 상기 버섯재배장치의 내부에 위치한 버섯 배지에 산소공급을 위한 보조흡입부를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 버섯재배장치들의 보조흡입부는 상기 버섯 배지가 위치한 공간과 직접 맞닿아 있어, 건조한 공기나 차가운 공기가 유입될 경우 버섯이 고사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 한편, 통상적으로 버섯의 재배는 배지상자에 채워진 배지를 통해 이루어지는데, 배지상자에 채워진 배지를 이용하여 버섯을 8~12회 정도 수확한다. 이 과정에서 버섯의 재배횟수가 증가할수록 배지의 수분 및 영양분이 줄어들면서 배지상자 내의 배지가 수축하게 되는데, 이로 인하여 상기 배지와 배지상자의 측벽 사이에 틈이 형성된다. 그 결과 상기 배지의 측면에서 버섯의 발이가 일어나는 이른바 측면발이가 발생하게 된다.
측면발이가 발생할 경우, 상기 배지와 상기 측벽 사이의 틈 사이로 버섯이 성장하므로 버섯의 품질이 떨어지고, 수확작업의 효율성이 떨어지고 번거롭게 된다. 또한, 수확 후 찌거기가 남아 푸른 곰팡이가 필 수도 있으며, 재배횟수가 늘어남에 따라 발이 포인트가 점점 상기 배지 밑으로 내려가서 환기나 습도조절이 어려워져 버섯의 생장이 어려워지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가정집이나 사무실 등의 실내 생활공간에 설치되어 버섯을 재배할 수 있는 버섯재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장치 내부에 설치되는 버섯 배지를 교환함으로써 다양한 종류의 버섯을 재배할 수 있게 해주는 버섯재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버섯의 재배과정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어 학습용 및 관상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버섯재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외형을 형성하고 내부공간을 구획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하우징의 일측면에 관통형성되어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보조흡입부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 중 상기 보조흡입부와 상기 배지수용부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보조흡입부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한 배지수용부에 도달하는 시간을 지연시켜주는 버퍼링부를 포함하여 차갑거나 건조한 공기에 의한 버섯의 고사를 방지할 수 있는 버섯재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버퍼링부가 상기 버섯 배지에 수분과 산소의 공급이 함께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게 해주는 위치에 형성된 버섯재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하우징 내면에 배치된 상하구획부와 상기 하우징의 내면에 의해 상기 버퍼링부가 효과적으로 형성되는 버섯재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보조흡입부가 상기 버퍼링부의 일측면에 관통형성되어 외부 공기의 유입 및 버퍼링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는 버섯재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상하구획부가 물을 저장하는 내부물탱크를 포함하여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물의 저장용량이 증대된 버섯재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가습을 위한 물을 저장하는 물저장부에 상기 내부물탱크에 저장된 물을 공급하되 상기 물저장부가 일정 수위를 유지하도록 공급하여주는 내부물공급부를 포함하여 습도 조절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고, 물공급주기도 늘릴 수 있는 버섯재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물저장부로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주흡입부와, 상기 하우징 내부의 공기와 습기가 배출되도록 하는 배기부를 포함하여 내부의 습도 및 공기의 조절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는 버섯재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하우징은, 하측을 형성하는 하부하우징과, 상측을 형성하며 상기 하부하우징과 착탈식으로 결합하는 상부하우징을 포함하여, 공간 효율성이 우수하고, 상부하우징을 개방하면 바로 버섯의 재취가 가능하여 신선도가 뛰어난 버섯의 섭취를 가능하게 해주는 버섯재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하부하우징은 상기 배지수용부와 상기 물저장부를 구획하는 구획부를 포함하되, 상기 구획부는 상기 배지수용부에 수용되는 버섯 배지에 수분과 공기가 고르게 공급될 수 있게 해주는 높이로 형성된 버섯재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버섯의 재배를 위한 배지를 수용하는 배지상자로서, 하부에 일정 높이로 형성된 하부수용부와, 상기 하부수용부와 연통되되 그 폭이 상기 하부수용부의 상단에서 외측으로 확장되어 형성된 상부수용부를 포함하여, 상기 배지가 상기 하부수용부와 상기 상부수용부의 단차를 통해 측면발이를 억제하여주는 배지상자를 포함하는 버섯재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배지가 상기 하부수용부와 상기 상부수용부를 모두 채운 상태에서 버섯의 재배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상기 배지의 수축이 일어나더라도 상기 하부수용부에서 발생한 상기 배지상자와 상기 배지 사이의 간극으로는 빛과 산소가 공급되지 않아 측면발이가 발생하지 않는 배지상자를 포함하는 버섯재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배지가 상기 하부수용부와 상기 상부수용부를 모두 채운 상태에서 버섯의 재배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상기 배지의 수축이 일어나더라도 상기 상부수용부는 측면발이된 버섯의 수확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된 배지상자를 포함하는 버섯재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앞서 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 실시예에 의해서 구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버섯재배장치는, 외형을 형성하고 내부공간을 구획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버섯 배지를 수용하도록 형성된 배지수용부와, 상기 하우징의 일측면에 관통형성되어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보조흡입부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 중 상기 보조흡입부와 상기 배지수용부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보조흡입부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상기 배지수용부에 도달하는 시간을 지연시켜주는 버퍼링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버섯재배장치는, 상기 하우징은 가습을 위한 물을 저장하는 물저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버퍼링부는 상기 물저장부의 상부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버섯재배장치는, 상기 하우징은 상기 물저장부와 상기 버퍼링부의 사이에 상기 물저장부의 상부 일부를 커버하며 배치된 상하구획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버퍼링부는 상기 상하구획부의 상면 및 상기 하우징의 내면에 의해 규정되며 상기 물저장부의 상부 일측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버섯재배장치는, 상기 보조흡입부는 상기 버퍼링부의 일측면에 관통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버섯재배장치는, 상기 상하구획부는 상기 물저장부에 공급될 물을 저장하는 내부물탱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버섯재배장치는, 상기 내부물탱크에 저장된 물을 상기 물저장부가 일정 수위를 유지하도록 공급하여주는 내부물공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버섯재배장치는,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의 일측면 중 상기 물저장부의 일측면에 관통형성되어 상기 물저장부로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주흡입부와, 상기 하우징에 관통형성되어 상기 하우징 내부의 공기와 습기가 배출되도록 하는 배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버섯재배장치는, 상기 하우징은, 하측을 형성하는 하부하우징과, 상측을 형성하며 상기 하부하우징과 착탈식으로 결합하는 상부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하우징은 상기 배지수용부와, 상기 보조흡입부와, 상기 물저장부, 상기 버퍼링부 및 상기 버퍼링부의 상부를 덮는 덮개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하우징은 상기 하부하우징 중 상기 덮개에 의해 덮히지 않는 부분을 덮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버섯재배장치는, 상기 하부하우징은 상기 배지수용부와 상기 물저장부를 구획하는 구획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획부의 높이는 상기 배지수용부에 수용되는 버섯 배지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버섯재배장치는, 상기 하부하우징은 상기 배지수용부와 상기 물저장부를 구획하는 구획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획부의 높이는 상기 버퍼링부의 하단 높이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버섯재배장치는, 버섯의 재배를 위한 버섯 배지를 수용하며 상기 배지수용부에 수용되는 배지상자를 더 포함하되, 상기 배지상자는, 하부에 일정 높이로 형성된 하부수용부와, 상기 하부수용부와 연통되되 그 폭이 상기 하부수용부의 상단에서 외측으로 확장되어 형성된 상부수용부를 포함하여, 상기 배지가 상기 하부수용부와 상기 상부수용부를 모두 채우며 수용된 후 상기 버섯의 재배횟수 증가에 따라 수축되어도 측면발이를 억제하여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버섯재배장치는, 상기 하부수용부는, 바닥과, 상기 바닥의 테두리에서 일정 높이 상방향으로 형성된 하부측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버섯재배장치는, 상기 상부수용부는, 상기 하부측벽의 상단 내측에서 외측으로 형성된 확장단과, 상기 확장단의 외측 테두리에서 상방향으로 형성된 상부측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구성을 통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가정집이나 사무실 등의 실내 생활공간에 설치되어 버섯을 재배할 수 있는 버섯재배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장치 내부에 설치되는 버섯 배지를 교환함으로써 다양한 종류의 버섯을 재배할 수 있게 해주는 버섯재배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버섯의 재배과정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어 학습용 및 관상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버섯재배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를 보여준다.
본 발명은 외형을 형성하고 내부공간을 구획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하우징의 일측면에 관통형성되어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보조흡입부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 중 상기 보조흡입부와 상기 배지수용부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보조흡입부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한 배지수용부에 도달하는 시간을 지연시켜주는 버퍼링부를 포함하여 차갑거나 건조한 공기에 의한 버섯의 고사를 방지할 수 있는 버섯재배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상기 버퍼링부가 상기 버섯 배지에 수분과 산소의 공급이 함께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게 해주는 위치에 형성된 버섯재배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본 발명은 상기 하우징 내면에 배치된 상하구획부와 상기 하우징의 내면에 의해 상기 버퍼링부가 효과적으로 형성되는 버섯재배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를 발현한다.
본 발명은 상기 보조흡입부가 상기 버퍼링부의 일측면에 관통형성되어 외부 공기의 유입 및 버퍼링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는 버섯재배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를 준다.
본 발명은 상기 상하구획부가 물을 저장하는 내부물탱크를 포함하여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물의 저장용량이 증대된 버섯재배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를 보유한다.
본 발명은 가습을 위한 물을 저장하는 물저장부에 상기 내부물탱크에 저장된 물을 공급하되 상기 물저장부가 일정 수위를 유지하도록 공급하여주는 내부물공급부를 포함하여 습도 조절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고, 물공급주기도 늘릴 수 있는 버섯재배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물저장부로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주흡입부와, 상기 하우징 내부의 공기와 습기가 배출되도록 하는 배기부를 포함하여 내부의 습도 및 공기의 조절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는 버섯재배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하우징은, 하측을 형성하는 하부하우징과, 상측을 형성하며 상기 하부하우징과 착탈식으로 결합하는 상부하우징을 포함하여, 공간 효율성이 우수하고, 상부하우징을 개방하면 바로 버섯의 재취가 가능하여 신선도가 뛰어난 버섯의 섭취를 가능하게 해주는 버섯재배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상기 하부하우징은 상기 배지수용부와 상기 물저장부를 구획하는 구획부를 포함하되, 상기 구획부는 상기 배지수용부에 수용되는 버섯 배지에 수분과 공기가 고르게 공급될 수 있게 해주는 높이로 형성된 버섯재배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를 보여준다.
본 발명은 버섯의 재배를 위한 배지를 수용하는 배지상자로서, 하부에 일정 높이로 형성된 하부수용부와, 상기 하부수용부와 연통되되 그 폭이 상기 하부수용부의 상단에서 외측으로 확장되어 형성된 상부수용부를 포함하여, 상기 배지가 상기 하부수용부와 상기 상부수용부의 단차를 통해 측면발이를 억제하여주는 배지상자를 포함하는 버섯재배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상기 배지가 상기 하부수용부와 상기 상부수용부를 모두 채운 상태에서 버섯의 재배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상기 배지의 수축이 일어나더라도 상기 하부수용부에서 발생한 상기 배지상자와 상기 배지 사이의 간극으로는 빛과 산소가 공급되지 않아 측면발이가 발생하지 않는 배지상자를 포함하는 버섯재배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본 발명은 상기 배지가 상기 하부수용부와 상기 상부수용부를 모두 채운 상태에서 버섯의 재배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상기 배지의 수축이 일어나더라도 상기 상부수용부는 측면발이된 버섯의 수확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된 배지상자를 포함하는 버섯재배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를 발현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섯재배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섯재배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a-a'부분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섯재배장치에 포함된 배지상자의 사시도
도 5는 도 8의 b-b' 부분의 단면도
도 6은 도 4의 배지상자에서 버섯의 재배가 이루어지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도 6에서 버섯의 재배횟수 증가에 따른 배지의 변화를 c-c' 부분의 단면으로 나타낸 도면
도 8은 도 3의 A부분의 확대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버섯재배장치의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버섯재배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11은 도 9의 d-d'부분의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버섯재배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13은 도 12의 단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버섯재배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의 모든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가 이해하는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의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 사용된 정의에 따른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해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섯재배장치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섯재배장치의 분해 사시도가 나타나 있으며, 도 3에는 도 1의 a-a'부분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섯재배장치는 외형을 형성하고 내부공간을 구획하는 하우징(1)과, 상기 하우징(1)의 내부에 위치하며 버섯 배지(21)를 수용하는 배지상자(2)와, 물을 공급받아 기화시켜 상기 하우징(1)의 내부에 수증기를 공급하는 가습부(3)와, 상기 가습부(3)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4)를 포함하여, 상기 하우징(1)의 내부가 버섯 생육에 적합한 습도로 유지되도록 한다.
상기 하우징(1)은 상기 버섯재배장치의 외형을 형성하는 구성으로 상기 하우징(1)의 내부에는 버섯 배지(21)를 수용하는 배지상자(2)가 위치하게 되며, 하부하우징(11), 상부하우징(13) 등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1)은 일정 형상과 소재로 이루어지나 바람직하게는 전체적으로 직육면체의 형상을 가지고, 가볍고 강도 및 가공성이 뛰어난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투명한 아크릴, 폴리카보네이트 소재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부하우징(11)은 상기 하우징(1)의 하부를 형성하는 구성으로, 상기 상부하우징(11)과 탈착식으로 결합한다. 상기 하부하우징(12)은 일정 형상을 가지나 바람직하게는 상면이 개방된 직육면체통의 형상을 가지며, 상기 하부하우징(11)은 구획부(111), 배지수용부(112), 물저장부(113), 상하구획부(114), 보조흡입부(115), 버퍼링부(116), 주흡입부(117), 물유도로(118), 하우징다리(119), 굴곡부(120), 공기이동로(121) 등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하우징(12)은 상기 배지수용부(112)와 물저장부(113)가 분리되어 착탈식으로 결합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획부(111)는 상기 하부하우징(11)의 내면에 위치하여 상기 하부하우징(11)의 내부 공간을 구획하는 구성으로, 상기 구획부(111)에 의해 상기 하부하우징(11)의 내부 공간은 배지수용부(112)와 물저장부(113)로 구획된다. 상기 구획부(111)는 일정 형상을 가지나 바람직하게는 장방형의 판의 형태를 가진다.
상기 배지수용부(112)와 물저장부(113)가 분리되어 착탈식으로 결합하는 경우에는 상기 구획부(111)는 결합 시 서로 맞닿게 되어 있는 배지수용부(112)의 측벽(111a)과 물저장부(113)의 측벽(111b)을 포함하게 되며, 양 측벽(111a, 111b)이 접한 상태에서 그 상부에 끼움결합되어 양 측벽(111a, 111b)이 밀착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해주는 체결부(111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 및 3에서 상기 체결부(111c)는 횡단면이 "┏┓"자 형상으로 나타나는 끼움결합부재로 형성되어 있는데,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안정적인 결합과 용이한 탈착을 가능하게 하는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구획부(111)의 높이는 상기 배지수용부(111)에 수용되는 버섯 배지의 높이 즉, 배지상자(2)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물저장부(113)에 저장된 물이 상기 가습부(3)에 의해 기화되어 상기 배지수용부(112)로 넘어갈 때 수증기가 상기 배지상자(2)에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공급될 수 있게 되기 때문이다. 이를 통해 버섯의 윗 부분에도 수증기가 충분히 공급되게 되고, 버섯의 아랫 부분에만 수증기가 집중적으로 공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배지수용부(112)는 상기 하우징(1)의 내면과 상기 구획부(111)의 일측에 의해 에워싸여진 공간으로 후술할 배지상자(2)가 위치하게 되는 부분이다.
상기 물저장부(113)는 상기 하우징(1)의 내면과 상기 구획부(111)의 타측에 의해 에워싸여진 공간 중 하부의 일정 높이까지 형성된 부분이다. 상기 물저장부(113)에 저장된 물은 상기 가습부(3)에 의해 기화되어 수증기가 되며 상기 수증기는 배지수용부(112)로 이동하여 상기 배지수용부(112)는 버섯이 생육하기에 적합한 습도로 유지된다. 상기 물저장부(113)에 저장된 물은 상기 가습부(3)에 의하여 기화되어 상기 구획부(111)를 타고 상승하여 퍼져나가게 된다.
상기 상하구획부(114)는 상기 물저장부(113)의 상부 일부를 커버하며 상기 하부하우징(11)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물저장부(113)와 상기 하부하우징(11)의 상단에 형성되는 버퍼링부(116) 사이를 구획하여 주는 부분이다. 상기 상하구획부(114)에 의하여 상기 물저장부(113)와 상기 버퍼링부(116)의 구획이 이루어지게 된다. 즉, 상기 하우징(1)의 내면과 상기 구획부(111)의 타측에 의해 에워싸여진 공간 중 상기 상하구획부(114) 아래의 공간은 상기 물저장부(113)가 되고, 상기 상하구획부(114) 위의 공간에는 상기 버퍼링부(116)가 위치하게 된다.
상기 상하구획부(114)는 상기 하부하우징(11)의 내면 중 상기 물저장부(113)의 상부에 형성된 안착턱에 안착되는 형태로 배치되며, 상기 물저장부(113)의 상부 중 상기 구획부(111)와 상기 상하구획부(114) 사이의 공간으로 상기 가습부(3)에 의해 기화된 물의 상승을 유도하는 형태로 상기 물저장부(113)의 상부 일측을 커버한다. 상기 상하구획부(114)는 바람직하게는 직육면체 형상을 가진다.
상기 상하구획부(114)는 상기 가습부(3)에 의하여 발생한 수증기가 상기 구획부(111)를 타고 상승할 때, 상기 물저장부(113)로부터 수증기가 빠져나가는 부분의 면적을 좁게 함으로써 수증기가 더욱 빠르게 퍼져나갈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수증기에 의한 가습속도를 높일 수 있다.
상기 상하구획부(114)는 그 내부에 상기 물저장부(113)에 공급될 물을 저장하는 내부물탱크를 포함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상하구획부(114)가 내부물탱크를 포함할 경우 상기 내부물탱크에 저장된 물은 후술하는 내부물공급부(5)에 의하여 상기 물저장부(113)가 일정 수위를 유지하도록 공급될 수 있다.
상기 보조흡입부(115)는 상기 하우징(1)의 일측면에 관통형성되어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부분이다. 구체적으로 도 1 내지 3에 나타난 실시예에서 상기 보조흡입부(115)는 상기 하부하우징(11)의 측면들 중 상기 물저장부(113)의 내면이 되는 상기 구획부(111)의 타측과 마주보는 일측면에 형성되어 있는데, 그 중에서도 상기 상하구획부(114)의 상부에 위치한 부분에 관통형성되어 있다. 상기 보조흡입부(115)를 통해서는 버섯의 생장에 필수적인 산소를 포함하는 외부 공기가 유입된다.
상기 보조흡입부(115)는 수평방향의 슬릿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공기의 유입량을 조절하는 조절창(115a)과, 상기 조절창(115a)이 슬라이딩 될 수 있는 슬라이딩홈(115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절창(115a)은 상기 보조흡입부(115)를 개폐하여 상기 보조흡입부(115)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상기 보조흡입부(115)의 상하에 형성되는 슬라이딩홈(115b)에 삽입되어 좌우로 슬라이딩 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하우징(1) 내에 산소가 부족할 때에는 상기 보조흡입부(115)의 개방된 면적을 넓게 하여 외부 공기가 다량 유입될 수 있도록 하고, 외부 공기가 건조하거나 차가운 경우에는 상기 보조흡입부(115)의 개방된 면적을 좁게 하여 공기의 유입을 줄일 수 있다. 상기 조절창(115a)은 복수개가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홈(115b)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되도록 하여 상기 보조흡입부(115)의 개폐가 용이하도록 한다.
상기 슬라이딩홈(115b)은 상기 보조흡입부(115)의 상하측에 양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하부하우징(11)으로부터 돌출되어 상하에 각각 "┓", "┛"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조절창(115a)이 끼워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보조흡입부(115)나 상기 조절창(115a)에는 해충의 진입을 방지하기 위한 방충망이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버퍼링부(116)는 상기 하우징(1)의 내부 중 상기 보조흡입부(115)와 상기 배지수용부(112)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보조흡입부(115)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상기 배지수용부(112)에 도달하는 시간을 지연시켜주는 부분이다.
도 1 내지 3에 나타난 실시예에서 상기 버퍼링부(116)는 상기 상하구획부(114)의 상면 및 상기 하우징(1)의 내면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부하우징(11)은 상부가 개방된 형태인데, 상기 버퍼링부(116)를 덮어주는 덮개(116a)를 포함하여 상기 버퍼링부(116)가 효과적으로 형성되게 한다.
즉, 상기 버퍼링부(116)는 상기 물저장부(113)의 일측 상부에 형성되는데, 상기 물저장부(113) 및 상기 하부하우징(11)의 상부를 상하로 구획하며 배치되되 상기 하부하우징(11)의 측면들 중 상기 물저장부(113)의 내면이 되는 상기 구획부(111)의 타측과 마주보는 일측면에 접하도록 배치된 상하구획부(114)의 상면과, 상기 보조흡입부(115)와, 이들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의 상부를 덮어주는 덮개(116a)에 의해 규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버퍼링부(116)의 하단의 높이 즉, 상기 상하구획부(114)의 상단의 높이는 상기 구획부(111)의 높이와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수증기와 외부 공기의 효율적인 이동을 위해서 바람직하다.
상기 덮개(116a)는 상기 하부하우징(11) 중 상기 버퍼링부(116)의 상부를 덮어주는 부분으로, 상기 하부하우징(11)에 착탈식으로 결합하며, 상기 하부하우징(11)의 상부 중 상기 덮개(116a)에 의해 덮히지 않는 부분은 후술할 상부하우징(13)에 의하여 덮히게 된다.
상기 버퍼링부(116)로 진입한 외부의 공기는 상기 버퍼링부(116)를 통과하며 승온될 수 있으며, 건조한 공기의 경우도 상기 버퍼링부(116)를 통과하면 상기 가습부(3)에 의해 가습되어 상기 물저장부(113)로부터 상기 구획부(111)와 상기 상하구획부(114) 사이로 상승하는 수증기를 만나게 되므로 일정한 습도를 확보한 상태에서 상기 버섯배지수용부(112)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물저장부(113) 상부의 공간 중 상기 버퍼링부(116)와 상기 배지수용부(2) 사이에는 상기 버퍼링부(116)를 통과한 공기와 상기 구획부(111)와 상기 상하구획부(114) 사이로 상승한 수증기 및 공기가 혼합되는 공간이 형성된다. 따라서 차갑거나 건조한 공기가 상기 배지수용부(112)의 버섯 배지로 직접 공급되어 버섯이 고사하는 문제를 방지하여 준다.
상기 주흡입부(117)는 상기 물저장부(113)의 일측면에 관통형성되어 상기 물저장부(113)를 향해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부분이다. 도 1 내지 3의 실시예에서 상기 주흡입부(117)는 상기 물저장부(113)를 형성하는 상기 하부하우징(11)의 측면들 중 상기 물저장부(113)의 내면이 되는 상기 구획부(111)의 타측과 마주보는 측면에 관통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주흡입부(117)는 상기 보조흡입구(115)와 상기 하부하우징(11)의 측면들 중 동일한 측면 즉, 상기 하부하우징(11)의 측면들 중 상기 물저장부(113)의 내면이 되는 상기 구획부(111)의 타측과 마주보는 일측면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주흡입부(117)는 상기 일측면의 하부에서 일정 높이에 형성되고, 상기 주흡입부(117)의 상부에 상기 보조흡입부(115)가 형성되는데, 상기 일측면의 내면 중 상기 주흡입부(117)와 상기 보조흡입부(115) 사이의 부분에는 상기 상하구획부(114)가 접하여 배치된다.
상기 주흡입부(117)를 통해 공기가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가습부(3)에 의하여 발생한 수증기가 상기 하우징(1) 내부로 퍼져나갈 수 있도록 하고, 후술할 배기부(131)와 함께 공기의 흐름이 만들어지도록 함으로써 상기 하우징(1) 내부의 과습을 방지하고, 자연스러운 공기의 흐름 속에서 수증기가 버섯에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주흡입부(117)는 수평방향의 슬릿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공기의 유입량을 조절하는 조절창(117a)과, 상기 조절창(117a)이 슬라이딩 될 수 있는 슬라이딩홈(117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절창(117a)은 상기 주흡입부(117)를 개폐하여 상기 주흡입부(117)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상기 주흡입부(117)의 상하에 형성되는 슬라이딩홈(117b)에 삽입되어 좌우로 슬라이딩 될 수 있도록 한다. 가습부(3)에 의한 수증기의 공급시, 초기에는 상기 주흡입부(117)의 개방된 면적을 넓게 하여 수증기가 빠르게 퍼져나갈 수 있도록 하고, 경우에 따라 버섯에 대한 수증기의 공급이 부족할 때에는 상기 주흡입부(117)의 개방된 면적을 좁게 하여 공기의 유입을 줄임으로써 수증기가 하우징(1) 내부에 머무는 시간을 늘이도록 할 수 있으며, 다시 수증기의 양이 과도해지는 경우에는 상기 주흡입부(117)의 개방된 면적을 넓혀 공기의 유입을 늘림으로써 후술할 배기부(131)를 통해 수증기가 효과적으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조절창(117a)은 복수개가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홈(117b)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되도록 하여 상기 주흡입부(117)의 개폐가 용이하도록 한다.
상기 슬라이딩홈(117b)은 상기 주흡입부(117)의 상하측에 양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하부하우징(11)으로부터 돌출되어 상하에 각각 "┓", "┛"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조절창(117a)이 끼워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주흡입부(117)나 상기 조절창(117a)에는 해충의 진입을 방지하기 위한 방충망이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물유도로(118)는 상기 하부하우징(11)의 상측 내면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1)의 내벽에서 결로된 물을 상기 물저장부(113)로 가이드한다. 상기 물유도로(118)는 일정 형상을 가지나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부하우징(11)의 내측면에서 돌출절곡되어 단면의 모습이 "┛"자 형태를 가지며, 상기 물저장부(113)의 상측에 위치하는 물유도로(124)에는 상기 물저장부(113)와 연통된 연통공(118a)이 관통형성된다. 상기 가습부(3)에 의해서 생성된 수증기의 일부는 상기 하우징(1)의 내벽에서 결로되어 물이 되는데, 이러한 물은 상기 물유도로(118)를 따라 흘러 상기 연통공(118a)을 통해 상기 물저장부(113)에 유입되므로 상기 버섯 배지에 물이 고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다리(119)는 상기 하부하우징(11)의 하면을 상기 버섯재배장치가 위치하는 공간의 바닥면에서 이격되도록 하는 부분이다. 상기 하우징다리(119)는 상기 하부하우징(11)의 하면에서 일정 간격을 두고 한 쌍이 돌출되어 있다.
상기 굴곡부(120)는 상기 배지수용부(112)를 에워싸는 상기 하부하우징(11)의 하면이 상측으로 볼록한 산부(120a)와, 하측으로 볼록한 골부(120b)가 연이어 반복되어 형성되는 구성으로, 상기 골부(120b)에는 복수 개의 환기공(120c)이 관통형성된다. 상기 가습부(3)에 의해 가습된 수증기가 결로되어 형성된 물이 상기 하부하우징(11)의 하면에 도달한 경우 산부(120a)를 따라 흘러내려 골부(120b)에 위치하게 되고 상기 골부(120b)에 형성된 환기공(120c)으로 배출되므로 상기 하부하우징(11)의 하면에 물이 고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환기공(120c)을 통해서 공기가 추가적으로 상기 하우징(1) 내부로 유입될 수도 있다.
상기 공기이동로(121)는 상기 하부하우징(11)의 하면 외측에 설치되어 상기 배지수용부(112)와 연통되어 외부 공기를 상기 배지수용부(112)에 공급하는 구성으로, 상기 공기이동로(121)의 전단에는 도어(121a)가 설치되어 상기 공기이동로(121)를 통해 상기 배지수용부(112)에 공급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상부하우징(13)은 상기 하우징(1)의 상측을 형성하며 상기 하부하우징(11)과 착탈식으로 결합하는 부분이다. 상기 상부하우징(13)은 바람직하게는 하면이 개방된 직육면체통의 형상을 가지고, 상기 상부하우징(13)의 하단이 상기 하부하우징(11)의 물유도로(118)에 안착된다.
상기 상부하우징(13)은 버섯재배과정의 관찰과 빛의 투과 등을 위해 투명한 아크릴, 폴리카보네이트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부하우징(13)은 상기 하부하우징(11) 중 상기 덮개(116a)에 의해 덮히지 않는 부분을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상부하우징(13)과 상기 버퍼링부(116)를 덮는 덮개(116a)에 의하여 상기 하우하우징(11)의 상면 전체가 덮히게 된다.
도 2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상부하우징(13)은 상하가 관통되어 상기 상부하우징(13)의 측면을 형성하는 상부측면하우징(131), 상기 상부측면하우징(131)의 개방된 상부를 덮는 상부상면하우징(132)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상기 상부하우징(13)이 상기 하부하우징(11)에 결합된 상태에서도 상기 상부하우징(13) 전체를 개방하지 않고도 상기 배지수용부(112)에 접근할 수 있어 관리상의 편의성을 제공한다. 상기 상부하우징(13)은 상기 하우징(1) 내부의 공기 및 수증기의 배출을 위한 배기부(1321)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기부(1321)는 상기 하우징(1) 내부의 공기와 습기가 배출되도록 하는 상기 상부하우징(13)에 관통형성된 부분이다. 도 1 내지 3에 나타난 실시예에서 상기 배기부(1321)는 상기 상부하우징(13) 중 상기 상부상면하우징(132)에 관통형성되어 있다.
상기 배기부(1321)를 통하여 상기 하우징(1) 내부의 습기나 공기가 배출될 수 있는 자연스러운 공기의 흐름이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1) 내의 수증기가 정체되어 과습되거나 버섯을 물로 코팅하여 물버섯이을 만들거나 또는 버섯의 정상적인 호흡을 어렵게 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상기 배기부(1321)는 슬릿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조절창(1321a)과 슬라이딩홈(1321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절창(1321a)은 상기 배기부(1321)를 개폐하여 상기 배기부(1321)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 및 수증기의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상기 배기부(1321)의 양측에 형성되는 슬라이딩홈(1321b)에 삽입되어 좌우로 슬라이딩 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하우징(1) 내부의 공기가 탁하거나 과습상태인 경우에는 상기 조절창(1321a)의 개방된 면적을 넓게 하여 수증기가 빠르게 퍼져나갈 수 있도록 하고, 상기 하우징(1) 내부의 온도의 하강이나 습도의 저하가 우려될 때에는 상기 조절창(1321a)의 개방된 면적을 좁게 하여 공기 및 수증기의 배출을 줄일 수 있다. 상기 조절창(1321a)은 복수개가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홈(1321b)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되도록 하여 상기 조절창(1321a)의 개폐가 용이하도록 한다.
상기 슬라이딩홈(1321b)은 상기 조절창(1321a)의 양측에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상부하우징(13)으로부터 돌출되어 각각 단면이 "┓", "┛"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조절창(1321a)이 끼워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배기부(1321)나 상기 조절창(1321a)에는 해충의 진입을 방지하기 위한 방충망이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배지상자(2)는 버섯의 배지를 수용하며 상기 배지수용부(112)에 위치하는 구성이다. 도 4에는 상기 버섯재배장치에 사용될 수 있는 배지상자(2)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5에는 도 4의 b-b' 부분의 단면도가 나타나 있는데, 이들을 참조하면, 상기 배지상자(2)는 하부수용부(21), 상부수용부(23) 및 다리부(25)를 포함한다. 상기 하부수용부(21)는 하부에 일정 높이로 형성되고, 상기 상부수용부(23)는 상기 하부수용부(21)와 연통되되 그 폭이 상기 하부수용부(21)의 상단에서 외측으로 확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부수용부(21)는 상기 배지상자(2)의 하부에 하부에 일정 높이로 형성된 배지 수용공간이다. 상기 하부수용부(21)는 바닥(211), 하부측벽(21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닥(211)은 상기 하부수용부(21)의 수용공간의 하부를 이루는 부분으로 평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측벽(213)은 상기 바닥(211)의 테두리에서 일정 높이 상방향으로 형성된 부분이다. 상기 하부측벽(213)은 상기 바닥(211)의 테두리에서 수직 상방향으로 형성하는 것이 공간의 효율측면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하부측벽(213)은 상기 바닥(211)을 둘러쌈으로써 상부가 개방된 형태의 하부수용부(21)를 규정하여 준다.
상기 상부수용부(23)는 상기 하부수용부(21)와 연통되되 그 폭이 상기 하부수용부(21)의 상단에서 외측으로 확장되어 형성된 배지 수용공간이다. 상기 상부수용부(23)는 확장단(231)과 상부측벽(23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확장단(131)은 상기 하부측벽(213)의 상단 내측에서 외측으로 형성된 부분이다. 상기 확장단(231)은 상기 하부측벽(213)의 두께에 따라 상기 하부측벽(213)의 상부면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상기 하부측벽(213)의 상부면에서 추가적으로 외측으로 연장형성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확장단(231)은 일정한 폭으로 수평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확장단(231)은 상기 하부측벽(213)의 상단 테두리를 따라 일정한 형태와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측벽(233)은 상기 확장단(231)의 외측 테두리에서 상방향으로 형성된 부분이다. 상기 상부측벽(233)은 상기 확장단(231)의 외측 테두리에서 수직 상방향으로 형성하는 것이 공간의 효율측면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상부측벽(233)은 상기 배지가 상기 하부수용부(21)와 상기 상부수용부(23)를 모두 채우며 수용된 후 상기 버섯의 재배횟수 증가에 따라 수축되어 상기 상부측벽(233)과 상기 배지 사이의 간극이 발생하여도 측면발이로 인한 수확의 어려움이 발생하지 않는 높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그 높이는 3~5㎝가 바람직하다.
상기 다리부(25)는 상기 하부수용부(21)의 하면을 상기 배지상자(2)가 위치한 바닥면에서 이격되도록 하는 부분이다. 상기 다리부(25)는 상기 하부수용부(21)의 하면에서 일정 간격을 두고 한 쌍이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6에는 상기 배지상자(2)에서 버섯의 재배가 이루어지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7에는 도 6에서 버섯의 재배횟수 증가에 따른 배지의 변화를 c-c' 부분의 단면으로 나타낸 도면이 나타나 있다. 도 6 및 7을 참조하면, 상기 배지상자(2)에 버섯(M)의 재배를 위한 배지(C)를 채우고 상기 버섯(M)의 재배를 실시할 때 측면발이로 인한 문제를 방지하여 주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측면발이를 방지하는 배지상자에 상기 배지(C)를 상기 하부수용부(21)와 상기 상부수용부(23)를 모두 채우도록 수용할 경우, 버섯(M)의 재배횟수가 누적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도 6 및 도 7의 a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배지(C)와 상기 하부수용부(21)의 하부측벽(213) 또는 상기 배지(C)와 상기 상부수용부(23)의 상부측벽(233) 사이에 간극이 발생하지 않는다.
위와 같은 상태에서 버섯(M)의 재배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도 7의 b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배지(C)의 수축이 일어나게 된다. 그러나 아래와 같은 이유로 인해 종래 배지상자와 달리 측면발이가 억제되게 된다.
우선, 상기 하부수용부(21)에서 발생한 상기 배지상자와 상기 배지(C) 사이의 간극 즉, 상기 하부측벽(213)과 상기 배지(C) 사이의 간극은 상기 상부수용부(23)의 확장단(231)에 채워진 배지(C)에 의하여 외부와 차단된다. 그 결과 상기 하부측벽(213)과 상기 배지(C) 사이의 간극으로는 빛과 산소가 공급되지 않아 상기 하부측벽(213)과 인접한 상기 배지(C)의 측면에서는 측면발이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상부수용부(23)의 상부측벽(233)의 높이는 상기 배지(C)가 버섯(M)의 재배횟수 증가에 따라 수축되어 상기 상부측벽(233)과 상기 배지(C) 사이의 간극이 발생하여도 측면발이로 인한 수확의 어려움이 발생하지 않는 높이로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그 높이는 3~5㎝일 수 있다. 따라서 버섯(M)의 재배횟수 증가에 따라 상기 상부수용부(23)의 상부측벽(233)과 상기 배지(C) 사이에 간극이 발생하고, 상기 상부수용부(13)에 수용된 상기 배지(C)의 측면에서 측면발이된 버섯이 재배되더라도 그 수확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측면발이로 인한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한편, 버섯(M)의 재배횟수가 더욱 누적되어 상기 하부측벽(213)과 상기 배지(C) 사이의 간극이 상기 상부수용부(23)의 확장단(231)에 채워진 배지(C)에 의해서도 외부와 차단되지 않을 정도가 된 경우 이는 상기 배지(C)의 수명이 다한 정도에 이른 것이므로 상기 배지(C)의 교체가 필요한 상황이므로 측면발이와 관련된 문제가 고려될 필요가 없다.
상기 가습부(3)는 상기 물저장부(113) 내에 위치하여 상기 물저장부(113)에 저장된 물을 기화시켜 수증기를 생성시키는 구성으로, 상기 제어부(4)에 의해 제어된다. 상기 가습부(3)는 예컨대 초음판 진동자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가습부(3)에서 생성되는 수증기는 상기 하우징(1)의 내부가 버섯 생육에 적합한 습도를 가지도록 하며, 일부는 상기 배기부(13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상기 버섯재배장치가 설치된 실내 생활공간을 가습한다.
상기 제어부(4)는 상기 가습부(3)의 작동을 제어하는 구성으로, 상기 가습부(3)의 작동을 지시하는 조작부(41)와, 상기 조작부(41)의 작동신호에 따라 상기 가습부(3)를 작동시키는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조작부(41)는 상기 하우징(1)의 전면에 형성되어 상기 가습부(3)의 작동을 지시하는 작동신호를 출력하는 구성으로, 예컨대 상기 가습부(3)의 자동 또는 수동 작동을 지시하는 동작버튼, 상기 가습부(3)의 온 또는 오프를 지시하는 온오프버튼, 상기 가습부(3)의 작동시간을 지시하는 타이머버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버섯재배장치는 내부물공급부(5)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내부물공급부(5)는 상기 상하구획부(114)가 내부물탱크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경우 상기 내부물탱크에 저장된 물을 상기 물저장부(113)가 일정 수위를 유지하도록 공급하여주는 역할을 수행하는 부분이다.
상기 내부물공급부(5)는 내부물공급관(51), 내부물공급관 개폐수단(53) 및 누름수단(5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부물공급관(51)은 상기 상하구획부(114)에 포함된 내부물탱크와 연통되어 상기 상하구획부(114)에 포함된 내부물탱크 내부에 저장된 물을 상기 물저장부(113)로 유도하는 부분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상하구획부(114)에 포함된 내부물탱크의 하면에서 상기 물저장부(113)를 향하여 하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부물공급관 개폐수단(53)은 상기 내부물공급관(51)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내부물공급관(51)의 개폐를 수행하는 부분으로, 링형인서트(531), 개폐부재(533) 및 탄성부재(53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링형인서트(531)는 상기 내부물공급관(51) 내부에 상기 내부물공급관(51)의 직경을 축소하는 형태로 삽입배치된 링형상의 부재이다.
상기 개폐부재(533)는 상기 내부물공급관(51) 내부에서 상기 링형인서트(531)의 중앙 통공(531a)을 관통하며 배치되되 상하측 양단부가 확장되는 형태로 형성된 부재로서, 일단이 상기 링형인서트(531)의 중앙 통공(531a)과 밀착된 상태에서 물의 흐름을 차단할 수 있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탄성부재(535)는 상기 링형인서트(531)와 상기 개폐부재(533) 사이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부재로서 스프링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535)에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경우 상기 탄성부재(535)는 상기 개폐부재(533)의 일단이 상기 링형인서트(531)의 중앙 통공(531a)과 밀착된 상태에서 물의 흐름을 차단할 수 있게 해준다.
상기 누름수단(55)은 상기 상하구획부(114)에 포함된 내부물탱크가 상기 하부하우징(11)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개폐부재(533)에 누르는 힘을 작용하여 상기 탄성부재(535)를 수축시킴으로써 상기 중앙 통공(531a)과 상기 개폐부재(533)의 일단의 밀착상태를 해제하여주는 구성이다. 상기 누름수단(55)은 상기 물저장부(113) 바닥면에 상기 개폐부재(533)에 지속적으로 누르는 힘을 작용할 수 있는 형태로 배치되어, 도 3 및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물저장부(113)가 일정한 수위를 유지할 수 있는 평형상태를 만들어준다.
이와 같이 상기 내부물공급부(5)는 가습부에 공급되는 물을 저장하는 물저장부(113)에 상기 상하구획부(114)에 포함된 내부물탱크에 저장된 물을 공급하되 상기 물저장부(113)가 일정 수위를 유지하도록 공급하여주므로 상기 하우징(1) 내부의 습도 조절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되며, 물공급주기도 늘릴 수 있게 된다.
도 9에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버섯재배장치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0에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버섯재배장치의 분해 사시도가 나타나 있으며, 도 11에는 도 9의 d-d'부분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9 내지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버섯재배장치를 설명하면, 도 1 내지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버섯재배장치에 대하여 관수부(6)와 외부물공급부(7)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4)가 상기 관수부(6)와 외부물공급부(7)를 추가로 제어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구성을 가지므로, 이하에서는 상기 제어부(4), 관수부(6), 외부물공급부(7)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어부(4)는 상기 가습부(3), 관수부(6), 외부물공급부(7)의 작동을 제어하는 구성으로, 상기 가습부(3), 관수부(6), 외부물공급부(7)의 작동을 지시하는 조작부(41)와, 상기 조작부(41)의 작동신호 또는 센서의 출력신호에 따라 상기 가습부(3), 관수부(6), 외부물공급부(7)를 작동시키는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조작부(41)는 상기 하우징(1)의 전면에 형성되어 상기 가습부(3), 관수부(6), 외부물공급부(7)의 작동을 지시하는 작동신호를 출력하는 구성으로, 예컨대 상기 가습부(3)의 자동 또는 수동 작동을 지시하는 동작버튼, 상기 가습부(3), 관수부(6), 외부물공급부(7)의 온 또는 오프를 지시하는 온오프버튼, 상기 가습부(3), 관수부(6)의 작동시간을 지시하는 타이머버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관수부(6)는 상기 하우징(1)의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물저장부(113)에 저장된 물을 상기 배지수용부(112)에 공급하는 구성으로, 펌프(61), 물이동관(62), 분사부(63) 등을 포함한다.
상기 펌프(61)는 상기 물저장부(112)에 저장된 물을 분사부(63)에 공급하는 구성으로, 상기 제어부(4)의 제어하에 상기 펌프(61)가 작동하여 상기 물저장부(113)에 저장된 물은 상기 물이동관(62)을 통해 분사부(63)에 공급된다. 상기 펌프(61)는 예컨대 미니펌프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분사부(63)는 상기 배지수용부(112)의 상측에 위치하며 상기 물이동관(62)에 연결되어 상기 펌프(61)에서 공급된 물을 상기 배지수용부(112)에 위치한 배지상자(2)로 분사하는 구성으로, 예컨대 상기 분사부(63)는 분사노즐, 미니 스프링쿨러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조작부(41)를 조작하여 상기 펌프(61)를 작동시키면, 상기 물저장부(113)에 저장된 물은 상기 물이동관(62)을 통해 상기 분사부(63)에 공급되어 분사되며, 상기 분사부(63)에서 분사된 물은 상기 배지상자(2)에 채워진 버섯의 배지(C)에 공급된다. 상기 버섯재배장치는 상기 가습부(3)와 관수부(6)를 포함하므로, 버섯 생육에 필요한 물의 공급과 습도의 조절을 효율적으로 할 수 특징이 있다.
상기 외부물공급부(7)는 상기 물저장부(113)에 물을 공급하는 구성으로, 물저장탱크(71), 물공급수단(72) 등의 구성을 포함한다.
상기 물저장탱크(71)는 상기 하우징(1)의 외부에 위치하여 물을 저장하는 구성으로, 예컨대, 물저장탱크(71)는 원통형, 장방형 등과 같은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부식이 일어나지 않도록 플라스틱 수지 등과 같은 다양한 재질과 다양한 크기와 용량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물저장탱크(71)는 받침대(73) 등에 의해 상기 물저장부(113)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물공급수단(72)은 상기 물저장탱크(71)에 저장된 물을 상기 물저장부(113)에 공급하는 구성으로 상기 제어부(4)에 의해 제어되며, 수위센서(721), 물공급관(722), 밸브(723) 등을 포함한다.
상기 수위센서(721)는 상기 물저장부(113)에 위치하여 상기 물저장부(113)의 수위를 측정하여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물공급관(722)은 상기 물저장탱크(71)와 물저장부(113)를 연결하여 상기 물저장탱크(71)에 저장된 물을 상기 물저장부(113)에 공급하는 구성으로, 상기 물공급관(722)의 일 측에는 밸브(723)가 설치되어 상기 물저장부(113)에 공급되는 물의 양이 조절된다. 상기 수위센서(721)에서 출력된 신호에 따라 상기 제어부(4)가 상기 밸브(723)를 제어하여 상기 물저장부(113)에 공급되는 물의 양을 조절하여 상기 물저장부(113)가 적정 수위를 유지되도록 한다. 상기 밸브(723)를 사용자가 수동으로 조절하여 상기 물저장탱크(71)에 저장된 물을 상기 물저장부(113)에 공급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버섯재배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단면도로, 본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가습부(3)를 대신해 자연가습수단(8)이 형성된 차이가 있다. 중복된 서술을 방지하고자, 이하에서는 상기 자연가습수단(8)에 대해서만 논하도록 하겠다.
상기 자연가습수단(8)은 물을 흡수해 흡수된 물이 자연적인 공기흐름에 의해 증발되도록 하는 구성을 말한다. 버섯은 그 종류에 따라 많은 가습량을 요구하는 버섯이 있는가 반면에, 적은 가습량만으로도 재배가 가능한 버섯이 있다. 따라서 적은 가습량만으로도 재배가 가능한 버섯의 경우에는 상기 가습부(3)에 의한 강제 가습을 시키는 것이 아니라, 상기 자연가습수단(8)을 배치해 상기 자연가습수단(8)이 머금은 수분이 자연 증발되도록 유도함으로써, 버섯재배장치 내의 버섯에 수분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자연가습수단(8)을 어느 특정 형상으로만 제한하는 것은 아니지만, 바람직하게는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 판상형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자연가습수단(8)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자연가습수단(8) 사이 사이로 공기가 원활히 흐를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복수 개의 자연가습수단(8)을 구성할 때에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이격 배치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간격을 어느 특정 수치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바람직하게는 판 사이의 간격은 4cm가 될 수 있다.
상기 자연가습수단(8)은 물을 흡수하고, 흡수된 물이 잘 증발될 수 있도록 하는 재료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부직포가 될 수 있다. 이러한 부직포는 사각 프레임의 일측면과 타측면에 부착되거나, 소정의 두께로 사각 프레임 내측에 끼워지는 등 얼마든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자연가습수단(8)은 일정 높이까지 물이 저장된 상기 물저장부(113) 내에 위치하여 하측 부분이 저장된 물에 어느 정도 잠긴 상태로 물을 흡수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 13에 도시된 바와는 달리 물저장부(113)에 저장된 물에 침지시키지 않고도, 자연가습수단(8)이 충분한 물을 머금게 한 상태로 배치시켜 함유하고 있는 물을 자연 증발시키도록 구성할 수 있는바, 상기 물저장부(113)에 물을 저장해 놓지 않더라도 버섯에 충분한 수분을 공급할 수도 있다.
상기 자연가습수단(8)은 자연 가습을 통해 버섯에 수분을 공급하는 것이므로, 자연스러운 공기 흐름이 유도되어 원활한 자연 증발이 일어나도록, 복수 개의 자연가습수단(8)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부가 형성된 면에 수직하게, 즉, 주흡입부(117)를 통해 들어오는 공기의 방향에 나란하게 상기 자연가습수단(8)을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자연가습수단(8)에 의해서는 상기 가습부(3)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는바, 상기 가습부(3)를 동작시키기 위해 필요한 전기의 사용이 필요치 않게 됨으로써, 전기 공급이 어려운 장소에서도 용이하게 버섯을 재배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출원인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이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일 실시예일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한 어떠한 변경예 또는 수정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하우징
11: 하부하우징
111: 구획부 112: 배지수용부
113: 물저장부 114: 상하구획부
115: 보조흡입부 116: 버퍼링부
117: 주흡입부 118: 물유도로
119: 하우징다리 120: 굴곡부
121: 공기이동로
13: 상부하우징
131: 상부측면하우징 132: 상부상면하우징
1321: 배기부
2: 배지상자
21: 하부수용부
211: 바닥 213: 하부측벽
23: 상부수용부
231: 확장단 233: 상부측벽
25: 다리부
3: 가습부 4: 제어부
5: 내부물공급부
51: 내부물공급관 53: 내부물공급관 개폐수단
55: 누름수단
6: 관수부
61: 펌프 62: 물이동관
63: 분사부
7: 외부물공급부
71: 물저장탱크 72: 물공급수단
8: 자연가습수단

Claims (13)

  1. 외형을 형성하고 내부공간을 구획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버섯 배지를 수용하도록 형성된 배지수용부와, 상기 하우징의 일측면에 관통형성되어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보조흡입부와, 가습을 위한 물을 저장하는 물저장부와, 상기 물저장부의 상부에 형성되되 상기 하우징의 내부 중 상기 보조흡입부와 상기 배지수용부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보조흡입부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상기 배지수용부에 도달하는 시간을 지연시켜주는 버퍼링부와, 상기 물저장부와 상기 버퍼링부의 사이에 상기 물저장부의 상부 일부를 커버하며 배치된 상하구획부를 포함하며,
    상기 상하구획부는, 상기 물저장부에 공급될 물을 저장하는 내부물탱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섯재배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링부는 상기 상하구획부의 상면 및 상기 하우징의 내면에 의해 규정되며 상기 물저장부의 상부 일측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섯재배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흡입부는 상기 버퍼링부의 일측면에 관통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섯재배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섯재배장치는 상기 내부물탱크에 저장된 물을 상기 물저장부가 일정 수위를 유지하도록 공급하여주는 내부물공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섯재배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의 일측면 중 상기 물저장부의 일측면에 관통형성되어 상기 물저장부로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주흡입부와,
    상기 하우징에 관통형성되어 상기 하우징 내부의 공기와 습기가 배출되도록 하는 배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섯재배장치.
  8. 외형을 형성하고 내부공간을 구획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버섯 배지를 수용하도록 형성된 배지수용부와, 상기 하우징의 일측면에 관통형성되어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보조흡입부와, 가습을 위한 물을 저장하는 물저장부와, 상기 물저장부의 상부에 형성되되 상기 하우징의 내부 중 상기 보조흡입부와 상기 배지수용부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보조흡입부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상기 배지수용부에 도달하는 시간을 지연시켜주는 버퍼링부와, 하측을 형성하는 하부하우징과, 상측을 형성하며 상기 하부하우징과 착탈식으로 결합하는 상부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하부하우징은, 상기 배지수용부와, 상기 보조흡입부와, 상기 물저장부, 상기 버퍼링부 및 상기 버퍼링부의 상부를 덮는 덮개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하우징은, 상기 하부하우징 중 상기 덮개에 의해 덮히지 않는 부분을 덮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섯재배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하우징은 상기 배지수용부와 상기 물저장부를 구획하는 구획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획부의 높이는 상기 배지수용부에 수용되는 버섯 배지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섯재배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하우징은 상기 배지수용부와 상기 물저장부를 구획하는 구획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획부의 높이는 상기 버퍼링부의 하단 높이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섯재배장치.
  11. 제1항, 제3항, 제4항 및 제6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버섯재배장치는 버섯의 재배를 위한 버섯 배지를 수용하며 상기 배지수용부에 수용되는 배지상자를 더 포함하되,
    상기 배지상자는,
    하부에 일정 높이로 형성된 하부수용부와,
    상기 하부수용부와 연통되되 그 폭이 상기 하부수용부의 상단에서 외측으로 확장되어 형성된 상부수용부를 포함하여, 상기 배지가 상기 하부수용부와 상기 상부수용부를 모두 채우며 수용된 후 상기 버섯의 재배횟수 증가에 따라 수축되어도 측면발이를 억제하여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섯재배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수용부는,
    바닥과,
    상기 바닥의 테두리에서 일정 높이 상방향으로 형성된 하부측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섯재배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수용부는,
    상기 하부측벽의 상단 내측에서 외측으로 형성된 확장단과,
    상기 확장단의 외측 테두리에서 상방향으로 형성된 상부측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섯재배장치.
KR1020200116599A 2020-09-11 2020-09-11 버섯재배장치 KR1024804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6599A KR102480408B1 (ko) 2020-09-11 2020-09-11 버섯재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6599A KR102480408B1 (ko) 2020-09-11 2020-09-11 버섯재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4348A KR20220034348A (ko) 2022-03-18
KR102480408B1 true KR102480408B1 (ko) 2022-12-23

Family

ID=809364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6599A KR102480408B1 (ko) 2020-09-11 2020-09-11 버섯재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040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83674A (ja) * 2012-03-07 2013-09-19 Mineron Kasei Co Ltd 茸類栽培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0408B1 (ko) * 2015-05-14 2018-01-19 최호성 버섯재배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83674A (ja) * 2012-03-07 2013-09-19 Mineron Kasei Co Ltd 茸類栽培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4348A (ko) 2022-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0408B1 (ko) 버섯재배장치
KR100682982B1 (ko) 뒤영벌 사육 및 화분매개용 벌통
KR101158002B1 (ko) 다용도 식물재배기
KR102480408B1 (ko) 버섯재배장치
KR102480421B1 (ko) 버섯재배장치
KR101486945B1 (ko) 버섯재배장치
KR101486949B1 (ko) 버섯재배장치
KR101638289B1 (ko) 습기 자동 조절형 식물활성화가 가능한 다용도 화분
KR100944662B1 (ko) 뒤영벌의 사육 및 방사용 통
KR101820415B1 (ko) 버섯재배장치
KR102330902B1 (ko) 삼투압에 의한 자연순환식 가습 화분
KR102059831B1 (ko) 자연가습이 가능한 버섯재배장치
KR101486950B1 (ko) 버섯 배지 트레이 및 이를 이용하는 버섯재배장치
KR200331855Y1 (ko) 가정용 상황버섯 재배용기
KR102310167B1 (ko) 버섯 자가 재배용기
US20240215497A1 (en) Modular piping-typ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KR101743673B1 (ko) 다단형 구조를 가지는 식물 재배기
KR102318569B1 (ko) 모듈형 버섯 재배 장치
KR20190120613A (ko) 식물 재배장치
CN221082193U (zh) 一种桃树绿枝扦插培育箱
KR20240065696A (ko) 가습 겸용 식물 재배 장치
KR102156722B1 (ko) 복수의 재배모듈을 포함하는 작물 재배 장치
KR101894368B1 (ko) 향 발생 기능이 있는 화분
KR20110128414A (ko) 가습기능을 갖는 화분
KR200210823Y1 (ko) 농작물 재배상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