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3673B1 - 다단형 구조를 가지는 식물 재배기 - Google Patents

다단형 구조를 가지는 식물 재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3673B1
KR101743673B1 KR1020150060290A KR20150060290A KR101743673B1 KR 101743673 B1 KR101743673 B1 KR 101743673B1 KR 1020150060290 A KR1020150060290 A KR 1020150060290A KR 20150060290 A KR20150060290 A KR 20150060290A KR 101743673 B1 KR101743673 B1 KR 1017436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ge frame
plant
water
cas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02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28619A (ko
Inventor
신영섭
정현석
Original Assignee
신영섭
정현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영섭, 정현석 filed Critical 신영섭
Priority to KR10201500602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3673B1/ko
Publication of KR201601286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86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36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36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47Water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5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living organisms, articles or materials sensitive to changes of environment or atmospheric conditions, e.g. land animals, birds, fish, water plants, non-aquatic plants, flower bulbs, cut flowers or foliage
    • B65D85/5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living organisms, articles or materials sensitive to changes of environment or atmospheric conditions, e.g. land animals, birds, fish, water plants, non-aquatic plants, flower bulbs, cut flowers or foliage for living plants; for growing bulb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Toxicology (AREA)
  • Zo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단형 구조를 가지는 식물 재배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망 조직의 치밀도 및 엠보싱의 크기에 따라 식물성장 케이스에 떨어지는 수분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고, 다단 형식으로 구비되어 관리가 용이한 다단형 구조를 가지는 식물 재배기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단형 구조를 가지는 식물 재배기에 의하면, 서랍 방식으로 취출할 수 있는 식물성장 케이스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단형 구조를 가지는 식물 재배기에 의하면, 상기 식물성장 케이스의 상부에 형성되어 식물성장 케이스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관수부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단형 구조를 가지는 식물 재배기에 의하면, 망 조직의 치밀도와 엠보싱의 크기에 따라 상기 식물성장케이스로 떨어지는 물의 공급량을 조절하기 위한 섬유재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다단형 구조를 가지는 식물 재배기{A Plant cultivation apparatus having Multistage}
본 발명은 다단형 구조를 가지는 식물 재배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망 조직의 치밀도 및 엠보싱의 크기에 따라 식물성장 케이스에 떨어지는 수분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고, 다단 형식으로 구비되어 관리가 용이한 다단형 구조를 가지는 식물 재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사무실에서는 자연적인 분위기의 실내 환경을 조성하기 위하여 장식장 또는 선반 등에 화분 및 재배용기를 올려놓고 각종 관상용 화훼류를 재배하고 있다.
한국 공개특허 제 10-2010-0039790호(식물의 식재가 가능한 거실장)은 거실용 가구인 거실장에 꽃이나 키가 작은 나무 등 관상용 식물을 식재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자연친화적인 실내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구로서의 고유기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실용성과 심미성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는 거실장에 관한 것이지만, 공급되는 수분량을 조절하기 위한 장치가 별도로 구비되어 있지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대부분의 화분 또는 재배용기 등은 단일 층의 재배공간을 가지는 구조로서, 물을 공급하기 위한 장치가 구비되어 있지 않아 인간의 주기적인 관리가 필요하거나 물을 공급하기 위한 장치가 구비된 경우에는 전기료가 발생하거나 식물에 따른 수분을 달리하여 공급하기 위한 시스템이 구축되어 있지 않았다.
한국 공개특허 제 10-2010-0039790호(식물의 식재가 가능한 거실장)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서랍 방식으로 취출할 수 있는 식물성장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식물성장 케이스의 상부에 형성되어 식물성장 케이스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관수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관수부에 구비되어 망 조직의 치밀도와 엠보싱의 크기에 따라 상기 식물성장케이스로 떨어지는 물의 공급량을 조절하기 위한 섬유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단형 구조를 가지는 식물 재배기는 베이스판이 되는 제 1단 프레임과 상기 제 1단 프레임의 상측으로 전면에서 소정깊이만큼 인입된 둘레의 모서리를 따라 소정의 높이로 형성되어 전면과 상면이 개방되는 제 2단 프레임과 상기 제 2단 프레임의 내측에 삽입되며, 상기 제 1프레임의 상면을 따라 슬라이드하여 꺼낼 수 있는 상면이 개방된 식물성장 케이스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 2단 프레임의 상측에 소정의 높이로 복수 개 형성되는 기둥부;와 상기 식물성장 케이스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관수부를; 포함하는 제 3단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관수부는 상면이 개방된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케이스로 물이 빠지도록 상기 관수부의 하면에 소정의 둘레를 가지는 복수 개로 형성되는 홀과 상기 관수부의 하면의 상부 표면을 덮는 섬유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단 프레임은 전면에 소정의 높이로 구비되어 상기 식물성장 케이스가 이탈하지 않도록 하는 단차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섬유재는 망 조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망 조직의 치밀도에 따라 상기 식물성장 케이스로 떨어지는 물의 공급량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섬유재는 엠보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엠보싱의 크기에 따라 상기 식물성장 케이스로 떨어지는 물의 공급량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둥부는 착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단형 구조를 가지는 식물 재배기에 의하면, 서랍 방식으로 취출할 수 있는 식물성장 케이스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단형 구조를 가지는 식물 재배기에 의하면, 상기 식물성장 케이스의 상부에 형성되어 식물성장 케이스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관수부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단형 구조를 가지는 식물 재배기에 의하면, 망 조직의 치밀도와 엠보싱의 크기에 따라 상기 식물성장케이스로 떨어지는 물의 공급량을 조절하기 위한 섬유재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단형 구조를 가지는 식물 재배기의 구성도(A)와 슬라이드의 움직임을 보여주는 측면도(B).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 1단 프레임과 제 2단 프레임의 형상을 측면도(a)와 단면도(b).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 1단 프레임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판을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물이 빠지는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와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 1단 프레임의 실시예.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식물성장 케이스의 하측에 물 저장부를 구비한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관수부의 상측에서 바라본 평면도(A)와 전면에서 바라본 단면도(B).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섬유재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기둥부를 보여주는 측면도.
본 발명의 구체적 특징 및 이점들은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발명에 관련된 기능 및 그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다단형 구조를 가지는 식물 재배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망 조직의 치밀도 및 엠보싱의 크기에 따라 식물성장 케이스에 떨어지는 수분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고, 다단 형식으로 구비되어 관리가 용이한 다단형 구조를 가지는 식물 재배기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단형 구조를 가지는 식물 재배기의 (A)구성도와 (B)슬라이드의 움직임을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다단형 구조를 가지는 식물 재배기는 베이스판이 되는 제 1단 프레임(10)과 상기 제 1단 프레임의 상측으로 전면에서 소정깊이만큼 인입된 둘레의 모서리를 따라 소정의 높이로 형성되어 전면과 상면이 개방되는 제 2단 프레임(20)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 2단 프레임의 내측에 삽입되며, 상기 제 1프레임의 상면을 따라 슬라이드하여 꺼낼 수 있는 상면이 개방된 식물성장 케이스(40)를 포함하는데 이때 상기 식물성장 케이스(40)는 물이 빠지기 위한 물 배출 홀(미도시)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식물성장 케이스의 전면부에 손잡이(미도시)를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 2단 프레임의 상측에 소정의 높이로 복수 개 형성되는 기둥부(31)와 상기 식물성장 케이스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관수부(32)를 포함하는 제 3단 프레임(30)을 포함한다.
상기 제 1단 프레임(10)은 본 발명에 따른 다단형 구조를 가지는 식물 재배기의 가장 하측에 위치하여 상기 제 2단 프레임(20)과 상기 제 3단 프레임(30)을 지지하는 베이스판이 되며, 이때 상기 제 1단 프레임의 형상은 판상이거나, 사각통형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 1단 프레임과 제 2단 프레임의 형상을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a)는 사시도이고, (b)는 상부에서 내려다 본 단면도이다.
상기 제 2단 프레임(20)은 상기 제 1단 프레임(10)의 상측으로 전면에서 소정깊이만큼 인입된 둘레의 모서리를 따라 소정의 높이로 형성되어 전면과 상면이 개방되어 형성되며, 상기 식물성장 케이스(40)가 제 2단 프레임 내측에 삽입되며, 상기 제 1프레임의 상면을 따라 슬라이드하여 꺼낼 수 있게 된다.
제 2단 프레임(20) 내측에 삽입된 식물성장 케이스(40)를 꺼내기 위하여, 상기 2단 프레임의 소정의 위치에 돌출부나 홈을 구비하고, 상기 제 식물성장 케이스에는 그와 대응되는 홈 또는 돌출부를 구비하여 식물 성장 케이스를 고정하거나 이동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식물성장 케이스(40)를 별도로 분리하여 햇볕이 있는 곳에 옮겨놓을 수 있고, 그 동안 다른 식물성장 케이스(40')를 끼워 물을 주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 1단 프레임(10)은 전면에 소정의 높이로 구비되어 상기 식물성장 케이스(40)가 이탈하지 않도록 하는 단차(11)를 포함하는데, 상기 단차는 수확 및 이동 등을 위하여 식물성장 케이스를 빼내는 과정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하며, 또한 디스플레이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판(13) 등을 걸어 사용자의 취향에 맞게 식물의 이름 및 사진 등을 걸어 표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 1단 프레임(10)을 판상이 아닌 서랍형식으로 구비하여 수납공간으로 사용하거나 물이 빠지는 공간으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물이 빠지는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와 측단면도이다.
식물성장 케이스(40)의 하면에는 소정의 크기의 물 배출 홀(41)이 형성되고, 서랍형태를 가지는 제 1단 프레임(10)에는 식물성장 케이스(40)의 하면이 맞닿는 부분에 물 배출부(12)를 형성한다.
즉, 제 1단 프레임(10)이 식물성장 케이스로부터 빠지는 물을 저장하는 물 저장부가 되어, 식물성장 케이스(40)의 식물이 미처 흡수하지 못한 물이 물 배출 홀(41)과 물 배출부(12)를 통하여 빠지고, 서랍을 빼서 물을 버릴 수 있다.
이때 물 배출부(12)의 크기는 식물성장 케이스(40)를 지지할 수 있도록 식물 성장 케이스 밑면의 면적보다 작게 형성하며, 식물 성장 케이스 밑면의 물 배출 홀(41)의 물이 물 저장부(50)로 떨어질 수 있도록 대응되게 배출구의 크기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 1단 프레임의 실시예를 보여주는 것으로서, 제 1단 프레임을 둘 이상의 분리된 공간으로 형성하여, 다용도로 이용할 수 있다.
물 배출부가 맞닿아 있는 부분의 하측을 물 저장부(50)로 사용하고, 나머지 돌출된 부분은 수납 및 저장공간이 되는 수납부(14)로 사용할 수 있다.
이때 물 저장부(50)는 식물 재배기의 측면으로 취출이 가능하고, 수납부(14)는 전면으로 서랍방식이나 리드를 형성하여 사용되어 질 수 있다.
(a)의 경우, 수납부(14)를 식물 재배기의 전면 방향으로 서랍방식으로 취출가능하게 한 것이고, (b)의 경우, 수납부(14)를 서랍방식이 아닌 리드(lid)가 구비되어 리드를 상부로 열고 닫을 수 있는 구조로도 형성 가능하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식물성장 케이스의 하측에 물 저장부를 구비한 측면도로서, 제 1단 프레임(10)을 수납공간으로 사용하고, 제 1상기 식물성장 케이스(40) 식물 성장 케이스의 하측에 취출이 가능하도록 물 저장부(50)를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관수부를 보여주는 것으로서 (A)는 상측에서 바라본 평면도이고, (B)는 전면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관수부(32)는 상면이 개방된 형상으로, 상기 케이스로 물이 빠지도록 상기 관수부의 하면에 소정의 둘레를 가지는 복수 개로 형성되는 홀(321)과 상기 관수부의 하면의 상부 표면을 덮는 섬유재(322, 도 8에 도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홀의 형상은 원형, 사각형, 삼각형 등 어느 것이든 상관없으며, 홀의 형성 위치는 제한되지 않지만, 물이 균일하게 식물성장 케이스로 공급될 수 있도록 균일한 간격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홀의 개수를 조절함으로써 물의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는데, 홀의 수가 많으면 공급되는 물의 양이 증가되고, 홀의 수가 적으면 공급되는 물의 양이 감소한다.
삭제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섬유재를 보여주는 것으로서 (a)는 망 조직을 달리한 섬유재를 (b)는 엠보싱 구조를 가지는 섬유재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상기 섬유재(322)는 물을 흡수하여 물이 공기 중으로 쉽게 증발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섬유재(322)는 망 조직(322a)과 엠보싱(322b)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망 조직의 치밀도와 엠보싱의 크기에 따라 상기 식물성장 케이스로 떨어지는 물의 공급량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때 섬유재의 종류는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다단형 구조를 가지는 식물 재배기는 식물에 공급되는 물의 양을 전기의 공급없이 상기 섬유재로 조절이 가능하여 경제적인 효과를 가진다.
(a) 섬유재의 망 조직(322a)의 메쉬(mesh) 크기를 달리함으로써 상기 식물성장 케이스로 떨어지는 물의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는데, 메쉬 홀이 작으면 물방울로 수분 공급을 하거나 물이 조금씩 공급될 수 있으며, 메쉬 홀이 크면 물줄기로 수분 공급을 하게 된다.
메쉬 홀의 크기는 0.5mm ~ 5mm가 바람직한데, 0.5mm 미만이면 물이 섬유재를 통과하기 힘들고, 5mm를 초과하면 식물성장 케이스로 떨어지는 물의 양을 제어하기 힘들어진다.
(b) 또한 섬유재의 엠보싱(322b)의 크기를 달리함으로써 상기 식물성장 케이스로 떨어지는 물의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는데, 엠보싱의 크기가 작으면 엠보싱의 오목한 부분에 고이는 물의 양이 적어 식물성장 케이스로 떨어지는 물의 양이 적어지고, 엠보싱의 크기가 크면 엠보싱의 오목한 부분에 고이는 물의 양이 많아져 식물성장 케이스로 떨어지는 물의 양이 많아진다.
(c) 이때 섬유재는 단일층 또는 망 조직의 밀도가 다른 섬유재를 적층하여 사용하거나 망 조직과 엠보싱 구조를 함께 적층하여 사용하거나, 망 조직을 가지는 엠보싱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다단형 구조를 가지는 식물 재배기는 상기 관수부에 형성되는 홀의 크기와 개수, 상기 섬유재의 망 조직의 밀도, 엠보싱의 크기로 상기 식물성장 케이스로 떨어지는 물의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다단형 구조를 가지는 식물 재배기의 기둥부를 보여주는 것으로서, 상기 기둥부(31)는 착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A)상기 다단형 구조의 식물 재배기를 이동시 관수부(32)에 저장된 물이 쏟기는 것을 방지하고, 관수부의 청소시 기둥부를 착탈하여 편리함을 도모할 수 있다. 착탈 방식은 어느 것이든 상관없지만 관수부(32), 제 2프레임(20), 기둥부(31)에 돌출부와 그에 대응되는 홈을 구비하여 끼움방식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B)또한, 상기 기둥부(31)는 기둥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다단형의 형태로 구성할 수 있는데 기둥의 높이를 높이고 싶을 때는 기둥부를 복수 개로 형성하여 높일 수 있다.
이 때 기둥부(31)는 판상이나 스틱(Stick) 형상일 수 있으며, 관수부(32)의 무게를 지탱하기 위하여 쉽게 부서지지 않는 내구성이 좋은 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의 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제 1단 프레임
11 : 단차
12 : 물 배출부
13 : 디스플레이 판
14 : 수납부
20 : 제 2단 프레임
30 : 제 3단 프레임
31 : 기둥부
32 : 관수부
321 : 홀
322 : 섬유재
322a : 망조직
322b : 엠보싱
40 : 식물성장 케이스
41 : 물 배출 홀
50 : 물 저장부

Claims (6)

  1. 베이스판이 되는 제 1단 프레임과;
    상기 제 1단 프레임의 상측으로 전면에서 소정깊이만큼 인입된 둘레의 모서리를 따라 소정의 높이로 형성되어 전면과 상면이 개방되는 제 2단 프레임과;
    상기 제 2단 프레임의 내측에 삽입되며, 상기 제 1단 프레임의 상면을 따라 슬라이드하여 꺼낼 수 있는 상면이 개방된 식물성장 케이스와;
    상기 제 2단 프레임의 상측에 소정의 높이로 복수 개 형성되는 기둥부와, 상기 식물성장 케이스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관수부를 포함하는 제 3단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관수부는
    상면이 개방된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케이스로 물이 빠지도록 상기 관수부의 하면에 소정의 둘레를 가지는 복수 개로 형성되는 홀과;
    상기 관수부의 하면의 상부 표면을 덮는 섬유재를; 포함하며,
    상기 섬유재는
    망 조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망 조직의 치밀도에 따라 상기 식물성장 케이스로 떨어지는 물의 공급량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형 구조를 가지는 식물 재배기.
  2. 베이스판이 되는 제 1단 프레임과;
    상기 제 1단 프레임의 상측으로 전면에서 소정깊이만큼 인입된 둘레의 모서리를 따라 소정의 높이로 형성되어 전면과 상면이 개방되는 제 2단 프레임과;
    상기 제 2단 프레임의 내측에 삽입되며, 상기 제 1단 프레임의 상면을 따라 슬라이드하여 꺼낼 수 있는 상면이 개방된 식물성장 케이스와;
    상기 제 2단 프레임의 상측에 소정의 높이로 복수 개 형성되는 기둥부와, 상기 식물성장 케이스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관수부를 포함하는 제 3단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관수부는
    상면이 개방된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케이스로 물이 빠지도록 상기 관수부의 하면에 소정의 둘레를 가지는 복수 개로 형성되는 홀과;
    상기 관수부의 하면의 상부 표면을 덮는 섬유재를; 포함하며,
    상기 섬유재는
    엠보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엠보싱의 크기에 따라 상기 식물성장 케이스로 떨어지는 물의 공급량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형 구조를 가지는 식물 재배기.
  3. 제 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단 프레임은
    전면에 소정의 높이로 구비되어 상기 식물성장 케이스가 이탈하지 않도록 하는 단차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형 구조를 가지는 식물 재배기.
  4. 삭제
  5. 삭제
  6. 제 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부는
    착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형 구조를 가지는 식물 재배기.
KR1020150060290A 2015-04-29 2015-04-29 다단형 구조를 가지는 식물 재배기 KR1017436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0290A KR101743673B1 (ko) 2015-04-29 2015-04-29 다단형 구조를 가지는 식물 재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0290A KR101743673B1 (ko) 2015-04-29 2015-04-29 다단형 구조를 가지는 식물 재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8619A KR20160128619A (ko) 2016-11-08
KR101743673B1 true KR101743673B1 (ko) 2017-06-05

Family

ID=575283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0290A KR101743673B1 (ko) 2015-04-29 2015-04-29 다단형 구조를 가지는 식물 재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367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72207B (zh) * 2020-06-08 2022-04-12 井冈山农业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生态农场农作物滴灌栽培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0331B1 (ko) 2008-10-08 2011-10-05 박준상 식물의 식재가 가능한 거실장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8619A (ko) 2016-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6148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liquid delivery and distribution to plants
AU2008337673B2 (en) Live plant box
US10334791B2 (en) Container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plant growth
KR102080750B1 (ko) 인삼재배용 수경재배 화분
KR101127310B1 (ko) 회전가능한 다단식 화분
KR101652488B1 (ko) 실내 조경용 수경 재배기의 바디
KR101419119B1 (ko) 수직형 녹화구조물
JP3173159U (ja) 簡易栽培用具
KR101743673B1 (ko) 다단형 구조를 가지는 식물 재배기
KR100997306B1 (ko) 물공급실을 갖는 화분 받침대
JP2021023244A (ja) パーテーション
KR200461726Y1 (ko) 원예용 용기
KR101798946B1 (ko) 화분용 발효 유닛 및 상기 화분용 발효 유닛을 포함하는 발효 장수 화분
KR101811871B1 (ko) 인삼을 재배하기 위한 화분 및 화분 받침대
WO2022026780A1 (en) Hydroponic system for bulb and sprout horticulture
KR20220057992A (ko) 테라리움용 전용 용기
KR200259874Y1 (ko) 장식용 화분
JP3049382U (ja) 立体的花壇
KR20100097370A (ko) 육묘판, 육묘판을 이용한 식물재배방법 및 화분
JP7101914B1 (ja) 段付容器型パーテーション
JP2003134937A (ja) 植木鉢ケース
KR20160002513U (ko) 여닫이문 벽걸이 정원
JPH05276835A (ja) 植物育成システム
KR20230042931A (ko) 장식장치
KR20220170623A (ko) 식물에 수직으로 급수가 가능한 수직화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