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9633B1 - 자동 음식물 조리기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자동 음식물 조리기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9633B1
KR101819633B1 KR1020150174012A KR20150174012A KR101819633B1 KR 101819633 B1 KR101819633 B1 KR 101819633B1 KR 1020150174012 A KR1020150174012 A KR 1020150174012A KR 20150174012 A KR20150174012 A KR 20150174012A KR 101819633 B1 KR101819633 B1 KR 1018196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king
food
unit
cooking vessel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40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67389A (ko
Inventor
황수하
Original Assignee
황수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수하 filed Critical 황수하
Priority to KR10201501740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9633B1/ko
Publication of KR201700673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73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96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96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4Cooking-vessels for use in hotels, restaurants, or cantee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727Mixing bow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 제어 장치를 통해 제어되는 자동 음식물 조리기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원통형의 저면을 갖는 조리용기와, 상기 조리용기의 내부에서 상기 조리용기의 저면에 인접하게 설치되며, 상기 조리용기의 길이 방향과 평행한 회전축을 갖고,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교반날을 갖는 음식물 믹싱부와, 상기 음식물 믹싱부를 상기 회전축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동력 발생부와, 상기 조리용기를 가열하는 발열체와, 상기 조리용기의 상면에는 재료 투입부가 형성되며, 상기 재료 투입부와 연통되는 재료 보관통과, 상기 재료 투입부에 설치되는 재료 밸브와, 상기 재료 밸브를 조리 시간에 따라 개폐하여 상기 재료 보관통 내의 재료를 상기 조리용기에 투입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자동 음식물 조리기 및 그 제어 방법 {A CONTROL METHOD OF AUTOMATIC COOKER}
본 발명은 사용자 제어 장치를 통해 제어되는 자동 음식물 조리기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는 음식점, 기업 등의 단체 급식소에서 짜장과 같은 소스 종류 및 국물류의 음식물을 조리하는 과정에 있어서 양념 및 재료를 구비하여 조리사가 임의로 설정한 양과 비율로 혼합하여 음식을 제조한다. 기존의 음식점에서 제조되어 판매되는 특정 음식물은 음식재료를 혼합하는 단계, 단계별 조리 시간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음식 맛이 결정된다. 조리사는 소비자의 기호에 맞는 음식을 만들기 위해 다양한 재료를 특정 비율로 섞고 온도를 조절하면서 적정한 시간 동안 조리를 하는데 이러한 과정이 많은 경험을 필요로 하며, 매번 일정하게 진행하는 것이 어렵다. 따라서 음식점에서는 경험 많은 조리사를 높은 인건비를 주고 채용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한편 조리 과정에서 적당한 온도가 전달되도록 음식 재료를 저어줄 필요가 있다. 따라서 조리자는 계속하여 조리에 집중할 필요가 있다. 이는 조리자의 많은 육체적 노동력을 요구한다.
한국공개특허 2013-0073477 (유도가열조리기 및 그 제어방법) 한국공개특허 2011-0096201 (자동온도조절이 가능한 조리기 및 그 제어방법)
따라서 본 발명은, 음식점, 기업 등의 급식소에서 많은 분량의 음식을 만들고자 할 때 사용하는 것으로서, 다양한 재료를 특정 비율로 배합하여 조리하는 과정을 자동으로 수행하여 조리 시간과 노동력을 덜어주고, 음식 맛을 일정하게 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또한, 음식 조리비용을 절감하며, 위생적 조리를 유지할 수 있게 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자동 음식물 조리기에 있어서, 원통형의 저면을 갖는 조리용기와, 상기 조리용기의 내부에서 상기 조리용기의 저면에 인접하게 설치되며, 상기 조리용기의 길이 방향과 평행한 회전축을 갖고,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교반날을 갖는 음식물 믹싱부와, 상기 음식물 믹싱부를 상기 회전축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동력 발생부와, 상기 조리용기를 가열하는 발열체와, 상기 조리용기의 상면에는 재료 투입부가 형성되며, 상기 재료 투입부와 연통되는 재료 보관통과, 상기 재료 투입부에 설치되는 재료 밸브와, 상기 재료 밸브를 조리 시간에 따라 개폐하여 상기 재료 보관통 내의 재료를 상기 조리용기에 투입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사용자로부터 명령을 입력 받는 사용자 명령 입력부를 더 구비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명령 입력부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혼합 명령을 수신한 후에 상기 조리용기에 투입된 재료를 상기 음식물 믹싱부를 통해 혼합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명령 입력부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조리할 음식의 종류를 입력 받고, 상기 입력된 음식의 종류에 따라 상기 재료 밸브를 개폐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로부터 조리할 음식의 양을 입력 받고, 상기 입력된 음식의 양에 따라 상기 재료 밸브를 개폐한다. 또한, 상기 자동 음식물 조리기의 조리 진행 상황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구비한다. 상기 제어부는 조리 시간에 따라 상기 음식물 믹싱부의 회전 속도를 조정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조리 시간에 따라 상기 발열체의 화력을 조정한다. 또한 상기 조리용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 센서의 측정값에 따라 상기 발열체의 화력을 조정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리용기의 일단과 타단의 높이를 조절하는 리프트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조리 진행 상황에 따라 상기 리프트부를 통해 상기 조리용기의 경사를 조정한다. 상기 제어부는 재료 투입 시점 또는 조리 종료 시점을 부저를 통해 사용자에게 알린다. 상기 조리용기에 투입된 액상 재료의 양을 측정하는 액상 유량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액상 유량 센서의 측정값에 따라 해당 재료 밸브의 개폐를 조절한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을 통해 음식점, 기업 등의 급식소에서 다양한 재료를 특정 비율로 배합하여 조리할 때 소비자의 기호에 맞는 음식을 자동으로 제조해주어, 조리자가 큰 규모의 재료들을 혼합하고 조리하는데 필요한 시간과 노동력을 덜어주고, 음식 맛을 일정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조리자가 직접 조리용품에 내장된 음식물을 저어줄 필요가 없으므로 육체적 노동력을 크게 줄여주고, 영리 목적의 음식점에서 노동력을 줄일 수 있으므로 음식 조리비용을 절감하며, 위생적 조리를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 음식물 조리기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자동 음식물 조리기의 본체를 제외하고 하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조리용기의 상세도이다.
도 4는 도 1의 열 가이드부의 상세도이다.
도 5는 도 1의 리프트부의 상세도이다.
도 6은 도 1의 야채 투입부의 상세도이다.
도 7은 도 1의 액상 재료 및 물 투입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2의 조리용기 커버부의 상세도이다.
도 9는 도 2의 음식물 믹싱부 및 동력 발생부의 상세도이다.
도 10은 도 2의 발열체의 상세도이다.
도 11은 도 1에 도시된 자동 음식물 조리기를 제어하는 사용자 제어장치의 일 례이다.
도 12는 사용자 제어장치에 의한 자동 음식물 조리기의 동작 순서도의 일 례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조리기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조리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자동 조리기의 조리용기를 제외하고 하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자동 조리기(100)는 원통 조리용기(102)와 발열체(110)와 열 가이드부(104)와 리프트부(130)와 재료 투입부(120)와 조리용기 커버(118)와 음식물 믹싱부(202)와 동력 발생부(200)를 포함한다. 재료 투입부(120)는 야채 투입부(114)와 액상 재료 투입부(116)와 물 투입구(117)를 포함한다.
원통 조리용기(102)는 일단에 개방부를 갖는 원통 형상이며, 중앙이 발열체(110)로부터 가열된다. 발열체(110)는 원통 조리용기(102)로부터 하단에서 일정 간격을 두고 원통 조리용기(102)를 가열시킨다. 열 가이드부(104)는 원통 조리용기(102)의 중앙 하단에 부착된다. 리프트부(130)는 원통 조리용기(102)의 일단과 타단에 구비되어 원통 조리용기(102)의 일단과 타단의 높이를 조절하며, 리프트부(130)의 하단에는 바퀴(112)가 설치된다. 원통 조리용기(102)의 상면에는 재료 투입부(120)가 형성되며, 조리용기 커버(118)는 원통 조리용기(102)의 일단에 형성된 원통 조리용기(102)의 개방부를 개폐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조리용기(102)가 원통 형상으로 구성되지만 원통형의 저면을 구비하면 다른 형상이어도 상관없다.
음식물 믹싱부(202)는 원통 조리용기(102)의 내부에서 원통 조리용기(102)의 저면에 인접하게 설치된다. 또한 음식물 믹싱부(202)는 원통 조리용기(102)의 길이 방향과 평행한 회전축을 갖고,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교반날을 갖는다. 동력 발생부(200)는 음식물 믹싱부(202)를 상기 회전축 중심으로 회전시킨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300)는, 음식을 수용할 수 있는 원통 조리용기(102)와 재료 투입부(도1에서의 120)로 구성된다. 재료 투입부(120)는 액상 재료 투입부(116)와, 물을 자동으로 투입 할 수 있는 물 투입구(117)와, 야채 투입부(114)로 구성된다. 액상 재료 투입부(116)는 재료 밸브(304)와 재료 투입구(306)를 포함한다. 물 개폐밸브(305)는 물 투입구(117)에 투입되는 물의 양을 조절한다. 원통 조리용기(102)의 상단에는 상단을 개폐할 수 있는 타원형의 덮개부(302)가 구비되어 재료 투입부(120)와 물 투입구(117)와 연결된다.
원통 조리용기(102)는 가마솥 재질인 무쇠를 주물로 만들어지며, 안쪽 면은 특수 코팅되어 음식물이 타지 않거나 눌러 붙지 않게 한다. 원통 조리용기(102)는 최고 200인분의 조리된 음식을 수용할 수 있고, 원통 조리용기(102)에는 온도센서(도시되지 않음), 압력센서(도시되지 않음), 물의 양을 조절 할 수 있는 자동 수량계(도시되지 않음) 등이 장착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 가이드부(104)는 타원형인 원통 조리용기(102)를 감싸는 곡률 형태이며 각각의 모서리 양 끝 단에 복수개의 고정 부재(400)를 구비한다. 고정 부재(400)는 홀을 구성하여 원통 조리용기(102)에 리프트부(도1의 130)를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열 가이드부(104)와 리프트부(130)를 연결하여 고정 부재(400)에 구비된 홀에 볼트를 조임으로써, 열 가이드부(104)를 리프트부(130)에 고정할 수 있다. 열 가이드부(104)는 원통 조리용기(102)의 외면 일측에 열 손실을 막고 외부로 불이 나가는 것을 막아 화재 위험을 막고 열을 집중해서 원통 조리용기(102)의 온도를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열 가이드부(104)는 하단에 발열체(110)를 부착한다. 발열체(110)는 자동 불 조절과 자동 가스 조절을 하는 센서(도시되지 않음)를 구비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프트부(130)는 프레임(106)과 리프트(108)로 구성되며 복수개가 구비된다. 상기 복수개의 프레임(106) 사이에는 프레임(106)과 수직을 이루는 복수개의 보강 지지대(500)가 구성되며, 상기 복수개의 리프트(108) 사이에는 리프트(108)와 수평을 이루는 복수개의 원통 기울기 지지대(502)가 구성된다. 원통 형상의 원통 조리용기(102) 안의 음식물을 사용자가 꺼내기 쉽도록 원통 조리용기(102)를 기울이기 위해 리프트(108)가 움직인다. 원통 기울기 지지대(502)는 기울어진 원통 조리용기(102)를 지지한다.
프레임(106)과 리프트(108)는 하단에 구비된 지지대(504)에 의해 고정되고, 각각 하부에 바퀴(112)를 장착한다. 리프트부(130)를 통해서 원통 조리용기(102)의 위치를 조절하여 음식물을 손쉽게 넣고 뺄 수 있으며, 리프트(108)는 전기 리프트를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리프트부(130)는 하부에 바퀴(112)를 구비하는 대신 고정판을 구비할 수 있으며, 따라서, 이동용 또는 고정용 2종류로 제작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야채 투입부(114)는 야채를 포함하는 복수개의 야채 보관통(600)과, 원통 조리용기(102)에 야채를 투입할 수 있도록, 원통 조리용기(102)와 야채 보관통(600)을 연결하는 역할을 하는 홈(604)과 레버(602)로 구성된다. 야채 투입부(114)는 야채 보관통(600)에 있는 조리를 위해 썰어 놓은 야채를 레버(602)를 이용하여 음식물을 원통 조리용기(102)에 투입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상 재료 투입부(116)는 액상 재료를 수용할 수 있는 액상 보관용기(700)와, 덮개부(302)에 원형으로 절개된 재료 투입구(306)와, 액상 보관용기(700)에서 재료 투입구(306)에 투입되는 재료의 양을 조절하는 재료 밸브(304)를 포함한다. 물 개폐밸브(305)에서 물 양을 조절하여 원통 조리용기(102)에 물을 자동으로 투입한다. 음식점 및 기업 등의 급식소의 주방에 설치된 수도꼭지에 호스를 연결하고, 상기 호스를 물 투입구(117) 안에 설치한다. 상기 재료 밸브(304)에 의하여 물 투입량이 조절되며, 원통 조리용기(102)에 물이 자동으로 투입된다.
액상 재료 및 투입부(116)는 조리를 위해 필요한 액상재료 및 물을 일정 양만큼 투입 되도록 하며, 음식을 조리 할 수 있도록 하는 센서(도시되지 않음)를 장착하여 액상재료 및 물의 투입 시점과 양을 조절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리용기 커버(118)는 조리용기(도 1의 102)의 개방부를 막고 음식물 믹싱부(도 2의 202)의 회전축 역할을 하도록 설계한다. 조리용기 커버(118)는 원통 조리용기(102)의 개방부를 개폐할 수 있게 하고 음식물 믹싱부(도 2의 202)의 회전축을 지지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 조리용기(102)의 내부에서 음식물을 교반시키는 음식물 믹싱부(202)와 동력 발생부(200)가 설치된다.
동력 발생부(200)는 승강모터(900)와 지지대(902)와 승강축(904)으로 구성된다. 승강모터(900)는 승강축(904)과 연결되어 승강축(904)이 지지대(902)에서 직선 운동을 하게 한다. 승강축(904)은 고정 프레임(912)과 연결되고, 고정 프레임(912)은 회전 구동부(910)와 연결된다. 동력 발생부(200)는 감속기(도시되지 않음)를 장착하여 충분한 힘을 전달하도록 설계된다.
음식물 믹싱부(202)는 중앙에 위치하는 회전 구동부(910), 음식물을 고르게 교반시키기 위한 교반날(124), 지지부(908)로 구성된다. 회전 구동부(910)에서 직선운동을 회전운동으로 바꾸어 동력 발생부(200)에서 음식물 믹싱부(202)에 동력을 전달하게 한다. 교반날(906)은 일정 곡률형상을 이루고, 지지부(908)는 교반날(906)의 양측에서 일체형 구조를 이루며 교반날(906)을 지지한다. 지지부(908)의 중앙에는 회전 구동부(910)가 위치하며, 회전 구동부(910)와 고정 프레임(912) 사이에 갈고리(도 11의 914)가 구성된다.
음식물 믹싱부(202)는 최고각도 240도로 반복적으로 회전한다. 그리고, 음식물 믹싱부(202)는 스테인레스로 제작된다. 또한, 음식물 믹싱부(202)의 중앙에 위치하는 고정 프레임(912)과 회전 구동부(910)은 중앙에서 음식물 믹싱부(202)에 동력을 전달하여 음식물 믹싱부(202)가 받는 힘을 분산시킨다. 회전 구동부(910)에서 직선운동을 회전운동으로 바꾸어 음식물 믹싱부(202)를 회전하게 하여, 혹시나 기계장치에서 발생될 수 있는 기름이나 이물질이 들어가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음식물 믹싱부(202)는 최고각도 240도로 상하로 반복적으로 회전하여, 음식 재료가 일정한 열을 고루 받을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음식이 바닥에 눌러 붙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1은 도 1에 도시된 자동 음식물 조리기를 제어하는 사용자 제어장치(1)의 일 례이다. 본 발명에 의한 사용자 제어장치(1)는 제어부(10), 디스플레이부(14), 모듈 선택부(11), 사용자 명령 입력부(12), 표시부(17), 가스밸브 제어모듈(20), 블레이드 속도제어모듈(22), 액상밸브 제어모듈(26), 물 공급 제어모듈(27), 리프트 위치제어모듈(30), 부저모듈(24)로 구성한다.
제어부(10)는 사용자 명령 입력부(12)의 신호를 받거나 기 프로그램 되어 있는 정보를 사용하여 자동 음식물 조리기의 각 부분에 필요한 제어신호를 보낸다. 상기 프로그램은 시간별 온도 테이블과 시간별 속도 테이블을 포함한다. 제어부(10)는 자동 음식물 조리기의 각 부분에 보내진 제어신호에 따른 일련의 동작 결과를 수신하여 사용자 제어장치(1)로 제어결과 및 측정 결과, 오류, 장치상태정보 등을 송신한다.
모듈 선택부(11)는 음식의 종류, 음식의 량, 조리 속도, 음식의 상태 등을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게 전체 모듈을 디스플레이부(14)에 나타낸다. 조리 속도는 급속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음식의 상태에는 보온 상태가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 명령 입력부(12)는 조리 시 사용자로부터의 명령을 입력 받고, 받은 명령을 제어부에 송신한다. 사용자 명령 입력부(12)에는 조리 시작 버튼, 조리 진행 버튼, 선택 버튼, 비상 정지 버튼, 리프트 이동 버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명령 입력부(12)는 키패드 또는 터치패드 형태가 될 수 있다.
표시부(17)는 디스플레이부(14)와 LED 점등부(16)로 구성된다. 디스플레이부(14)는 조리 진행 상황과, 사용자 명령 입력부(12)에서 수신된 명령을 표시한다. LED 점등부(16)는 제어부(10)의 명령에 따라 자동 음식물 조리기의 조리 진행 상황을 점등으로 나타낸다. LED 점등부(16)는 시작 표시, 정지 표시, 1차 재료 표시, 2차 재료 표시, 3차 재료 표시를 포함한다.
가스밸브 제어모듈(20)은 제어부(10)의 명령에 따라 발열체의 온도를 조절한다. 제어부(10)에서 이미 저장되어 있는 시간별 온도 테이블을 참조하여 가스밸브 제어모듈(20)에 정보를 송신하면 가스밸브 제어모듈(20)은 정보를 수신하여 발열체를 제어한다. 자동 음식물 조리기의 조리용기에 온도센서(18)를 장착한다. 제어부(10)는 온도센서(18)로부터 온도 정보를 수신하고 온도가 높으면 가스밸브 제어모듈(20)을 제어하여 밸브를 일정량 닫고 온도가 낮으면 가스밸브 제어모듈(20)을 통해 밸브를 일정량 여는 PID 제어 방식을 사용한다.
블레이드 속도제어모듈(22)은 제어부(10)의 명령에 따라 음식 믹싱부의 회전속도를 조절한다. 제어부(10)에서 이미 저장되어 있는 시간별 속도 테이블을 참조하여 블레이드 속도제어모듈(22)에 정보를 송신하면 블레이드 속도제어모듈(22)은 정보를 수신하여 동력 발생부의 모터를 제어한다.
액상밸브 제어모듈(26)은 제어부(10)의 명령에 따라 조리용기에 액상 및 물을 투입한다. 제어부(10)는 액상 재료 투입부에 장착된 액상유량센서(28)를 제어하여 투입된 총량을 계산한다. 정해진 양이 다 투입되었을 때 액상밸브 제어모듈(26)을 제어하여 액상 투입을 중단한다.
물 공급 제어모듈(27)은 제어부(10)의 명령에 따라 테이블에 정해진 만큼 물을 조리용기에 자동으로 투입한다. 정해진 양이 다 투입되었을 때 물 개폐밸브를 닫아 물 투입을 중단한다.
리프트 위치제어모듈(30)은 제어부(10)의 명령에 따라 리프트를 정해진 범위내에서 움직인다. 사용자 명령 입력부(12)에서 리프트이동(하) 버튼이 입력되면 제어부(10)는 리프트 위치제어모듈(30)에 하단으로 이동명령을 전송하고 리프트 위치제어모듈(30)은 리프트를 하단으로 이동시킨다. 사용자 명령 입력부(12)에서 리프트이동(상) 버튼이 입력되면 제어부(10)는 리프트 위치제어모듈(30)에 상단으로 이동명령을 전송하고 리프트 위치제어모듈(30)은 리프트를 상단으로 이동시킨다.
부저모듈(24)은 제어부(10)의 명령에 따라 조리자가 즉시 인지할 수 있도록 조리단계 종류를 일정시간 소리를 통해 사용자에게 알린다.
이러한 제어방법에 의해 조리구의 조리하는 온도와 속도를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요리 시 온도의 변화를 민감하게 대응할 수 있고 그렇지 못하여 낭패를 볼 수 있는 확률을 확실하게 줄여줄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2를 참조하여 사용자 제어장치(1)에서 자동 음식물 조리기를 제어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를 설명하도록 한다.
자동 음식물 조리기의 전원이 켜지면 제어부(10)는 자동 음식물 조리기의 작동상태 등 시스템을 체크하고, LED 점등부(16)는 시작 표시에 점등한다. 제어부(10)는 사전에 시간별 온도 테이블, 시간별 속도 테이블을 저장하여 기 프로그램화 한다.
모듈 선택부(11)는 음식의 종류, 음식의 상태, 음식의 량을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14)에 나타낸다. 사용자 명령 입력부(12)에서 조리 할 음식의 종류와 음식의 량을 입력 받는다(50). 사용자 명령 입력부(12)에서 리프트(도 1에서의 108)를 아래로 이동 시키라는 명령을 받을 경우 제어부(10)는 리프트 위치제어모듈(30)에 이동명령을 전송한다. 제어부(10)의 명령을 받은 리프트 위치제어모듈(30)은 리프트(도 1에서의 108)를 하단으로 움직여서 조리용기(도 1에서의 102)를 기울게 하여 사용자가 1차 재료를 쉽게 넣을 수 있도록 한다(52). 사용자가 조리용기(도 1에서의 102) 일측에 장착된 조리용기 커버(도 1에서의 118)를 열고 조리용기(도 1에서의 102)에 직접 1차 재료를 투입하고(54) 사용자 명령 입력부(12)에 리프트를 위로 이동하라는 명령을 입력할 경우, 제어부(10)는 리프트 위치제어모듈(30)에 이동명령을 전송하여 리프트(도 1에서의 108)를 상단으로 움직여 리프트(도 1에서의 108)를 프레임(도 1에서의 106)과 평행한 위치에 고정시킨다.
디스플레이부(14)에서 시작을 묻는 문구를 나타낸다. 사용자가 사용자 명령 입력부(12)에 시작하라는 명령을 입력할 경우(56에서의 '예') LED 점등부(16)는'1차 재료' 표시에 점등한다. 제어부(10)는 가스밸브 제어모듈(20)에 작동 명령을 전송하여 발열체(도 1에서의 110)를 작동하게 한다. 제어부(10)는 사전에 저장한 시간별 속도 테이블을 참조하여 블레이드 속도제어모듈(22)에 명령을 전송한다. 제어부(10)의 명령을 받은 블레이드 속도제어모듈(22)은 음식물 믹싱부(도 1에서의 202)에 장착된 모터의 속도를 제어한다(58). 블레이드 속도제어모듈(22)의 명령에 따라 음식물 믹싱부(도 1에서의 202)는 작동하여 조리용기 내부의 음식물을 저어준다.
제어부(10)는 상기 시간별 온도 테이블을 참조하여 가스밸브 제어모듈(20)에 명령을 전송한다. 제어부(10)는 조리용기에 장착된 온도센서(18)의 온도 정보를 입력받고 가스밸브 제어모듈(20)에 온도 상승 명령을 전송한다. 제어부(10)의 명령을 받은 가스밸브 제어모듈(20)은 발열체(도 1에서의 110)에 장착된 밸브를 일정량 열어 발열을 높인다(60). 제어부(10)에서 온도 하강 명령을 전송할 경우, 가스밸브 제어모듈(20)은 상기 조리용기의 하부에 부착된 발열체(도 1에서의 110)에 장착된 밸브를 일정량 닫아 발열을 낮출 수 있다. 제어부(10)와 가스밸브 제어모듈(20)은 PID 제어방식을 이용한다. 제어부(10)에서 조리가 진행되어 일정 시간에 도달하였다고 판단 할 경우(62에서의 '예'), 디스플레이부(14)와 LED 점등부(16)에 명령을 전달한다. 디스플레이부(14)는 2차 재료를 투입하라는 문구를 나타내고, LED 점등부(16)는 2차 재료 표시에 점등한다.
제어부(10)는 조리용기의 일측에 구비된 야채 보관통의 개폐 밸브를 열어 2차 재료를 조리용기(도 1에서의 102)에 투입한다. 사용자가 조리 시작 시 모듈 선택부(11)에서 선택한 음식의 양에 맞게 제어부(10)에서 재료의 양을 조절하여 재료를 조리용기(도 1에서의 102)에 투입한다(64). 제어부(10)는 액상밸브 제어모듈(26)을 제어하여 조리용기의 타측에 구비된 액상 보관통의 개폐 밸브를 열어 2차 액상을 조리용기에 투입한다. 액상유량센서(28)는 조리용기에 투입된 액상 총량을 계산하여 제어부(10)에 송신한다. 제어부(10)는 상기 테이블에서 정해진 양이 다 투입되었을 때 재료밸브를 닫아 액상 투입을 중단한다. 제어부(10)는 물 공급 제어모듈(27)을 제어하여 물을 조리용기에 자동으로 투입한다. 제어부(10)는 상기 테이블에서 정해진 양이 다 투입되었을 때 물 개폐밸브를 닫아 물 투입을 중단한다.
제어부(10)는 상기 시간별 속도 테이블을 참조하여 블레이드 속도제어모듈(22)에 명령을 전송한다. 제어부(10)의 명령을 받은 블레이드 속도제어모듈(22)은 음식물 믹싱부(도 1에서의 202)에 장착된 모터의 속도를 제어한다(66). 블레이드 속도제어모듈(22)의 명령에 따라 음식물 믹싱부(도 1에서의 202)는 작동하여 조리용기 내부의 음식물을 저어준다. 제어부(10)는 상기 시간별 온도 테이블을 참조하여 가스밸브 제어모듈(20)에 명령을 전송한다. 제어부(10)는 조리용기(도 1에서의 102)에 장착된 온도센서(18)에서 송신하는 온도 정보를 입력받고 가스밸브 제어모듈(20)에 명령을 전송한다. 제어부(10)의 명령을 받은 가스밸브 제어모듈(20)은 발열체(도 1에서의 110)에 장착된 밸브를 조절한다(68).
제어부(10)에서 조리가 진행되어 일정 시간에 도달하였다고 판단 할 경우(70에서의 '예'), 디스플레이부(14)와 LED 점등부(16)에 명령을 동시 전달한다. 디스플레이부(14)는 3차 재료 투입를 투입하라는 문구를 나타내고, LED 점등부(16)는 3차 재료 표시에 점등한다.
제어부(10)는 조리용기의 일측에 구비된 재료 보관통의 개폐 밸브를 열어 3차 재료를 조리용기(도 1에서의 102)에 투입한다. 사용자가 조리 시작 시 모듈 선택부(11)에서 선택한 음식의 양에 맞게 제어부(10)에서 재료의 양을 조절하여 재료를 조리용기(도 1에서의 102)에 투입한다(70). 제어부(10)는 액상밸브 제어모듈(26)을 제어하여 조리용기의 타측에 구비된 액상 보관통을 열어 3차 액상을 조리용기에 투입한다. 제어부(10)는 액상유량센서(28)는 전달 받은 조리용기에 투입된 액상 총량을 계산하여 제어부(10)에 송신한다. 제어부(10)는 정해진 양이 다 투입되었을 때 액상밸브 제어모듈(26)을 닫아 액상 투입을 중단한다. 제어부(10)는 물 공급 제어모듈(27)을 제어하여 물을 조리용기에 자동으로 투입한다. 제어부(10)는 상기 테이블에서 정해진 양이 다 투입되었을 때 물 개폐밸브를 닫아 물 투입을 중단한다.
제어부(10)는 상기 시간별 속도 테이블을 참조하여 블레이드 속도제어모듈(22)에 명령을 전송한다. 제어부(10)의 명령을 받은 블레이드 속도제어모듈(22)은 음식물 믹싱부(도 1에서의 202)에 장착된 모터의 속도를 제어한다. 블레이드 속도제어모듈(22)의 명령에 따라 음식물 믹싱부(도 1에서의 202)는 작동하여 조리용기(도 1에서의 102) 내부의 음식물을 저어준다(72). 제어부(10)는 상기 시간별 온도 테이블을 참조하여 가스밸브 제어모듈(20)에 명령을 전송한다. 제어부(10)는 조리용기에 장착된 온도센서(18)의 온도 정보를 입력받고 가스밸브 제어모듈(20)에 명령을 송신한다. 제어부(10)의 명령을 받은 가스밸브 제어모듈(20)은 발열체(도 1에서의 110)에 장착된 밸브를 조절한다(74).
제어부(10)에서 조리가 진행되어 일정 시간에 도달하여 조리가 완성 되었다고 판단 할 경우(76에서의 '예') 제어부(10)는 자동 음식물 조리기를 정지시키고 디스플레이부(14), LED 점등부(16), 부저모듈(24)에 명령을 동시 전달한다. 제어부(10)의 명령을 받은 디스플레이부(14)는 조리의 종료를 알리는 문구를 표시하고 LED 점등부(16)는 정지 표시에 점등한다. 부저모듈(24)은 조리가 종료되었음을 소리를 통해 사용자에게 알린다.
아래에서 본 발명의 조리기에 의하여 짜장이 조리되는 과정이 설명이 되지만 이와 같은 조리과정은 예시적인 것으로 조리되는 짜장의 종류 및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다양한 조리 과정이 설정될 수 있다.
짜장의 조리를 위하여 먼저 조리기가 조리 가능 상태로 설정이 되어야 한다. 조리기를 전원에 연결시키고 스위치를 켜면 디스플레이부(14)에 음식의 종류와 음식의 양을 선택할 수 있는 모듈 선택부(11)가 나타난다. 사용자는 음식의 종류로 짜장을 설정하고 음식의 양은 1인분을 선택한다. 사용자는 조리용기에 1차 재료인 기름, 고기, 감자, 파, 당근을, 액상 보관용기에 2차 재료인 춘장을, 야채 보관통에 3차 재료인 양파를 직접 투입한다. 가스밸브 제어모듈(20)은 발열체에 장착된 밸브를 일정량 열어 조리용기를 가열한다. 제어부(10)의 명령을 받은 블레이드 속도제어모듈(22)은 음식물 믹싱부를 제어하여 기름, 고기, 감자, 파, 당근을 볶는다. 조리가 시작된 지 일정 시간에 도달하면 액상밸브 제어모듈(26)은 재료밸브를 제어하여 액상 보관용기에 보관된 2차 재료인 춘장을 조리용기에 투입하고, 물 공급 모듈(27)은 물 개폐밸브를 제어하여 물 투입구에 물을 투입한다. 가스밸브 제어모듈(20)은 발열체에 장착된 밸브를 제어하여 화력을 조절한다. 블레이드 속도제어모듈(22)은 음식물 믹싱부를 작동시켜 1차 재료와 2차 재료인 춘장을 섞는다. 일정 시간에 도달하면 제어부(10)는 야채 보관통에 장착된 레버를 내려 조리용기에 3차 재료인 양파를 투입한다. 밸브 제어모듈(20)은 발열체에 장착된 밸브를 제어하여 화력을 조절한다. 블레이드 속도제어모듈(22)은 음식물 믹싱부를 작동시켜 1차 재료 및 2차 재료와 양파를 섞는다. 조리 종료를 알리는 부저모듈(24)이 작동하여 음향이 울리고, 짜장이 완성된다.
이와 같은 조리 과정 및 제어 과정은 모두 프로그램이 되어 제어부(10)의 마이크로프로세서에 내장이 된다. 필요에 따라 제어 과정은 프로그램의 수정에 의하여 적절하게 조절이 될 수 있다.
또한, 3차 재료 투입 이후에 4차 재료 및 5차 재료를 추가로 투입하는 것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는 1차, 2차 및 3차 재료를 투입하는 것만으로도 충분히 수행될 수 있으나 4차 재료 및 5차 재료를 더 포함하여 수행될 수 있으며 이를 한정하지는 않아야 할 것이다.
상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자동 조리기 102 : 조리용기
104 : 열 가이드부 106 : 프레임
108 : 리프트 110 : 발열체
112 : 바퀴 114 : 야채 투입부
116 : 액상 재료 투입부 117 : 물 투입구
118 : 조리용기 커버 120 : 재료 투입부
130 : 리프트부 200 : 동력 발생부
202 : 음식물 믹싱부 300 : 본체
302 : 덮개부 304 : 재료 밸브
305 : 물 계패밸브 306 : 재료 투입구
400 : 고정부재 500 : 보강 지지대
502 : 원통 기울기 지지대 504 : 지지대
600 : 야채 보관통 602 : 레버
604 : 홈 700 : 액상 보관용기
900 : 승강모터 902 : 지지대
904 : 승강축 906 : 교반날
908 : 지지부 910 : 회전 구동부
912 : 고정 프레임 914 : 갈고리
1 : 사용자 제어장치 10 : 제어부
11 : 모듈 선택부 12 : 사용자 명령 입력부
14 : 디스플레이부 16 : LED 점등부
17 : 표시부 18 : 온도센서
20 : 가스밸브 제어모듈 22 : 블레이드 속도제어모듈
24 : 부저모듈 26 : 액상밸브 제어모듈
27 : 물 공급 제어모듈 28 : 액상유량센서
30 : 리프트 위치제어모듈

Claims (12)

  1. 원통형의 저면을 갖는 조리용기와,
    상기 조리용기의 내부에서 상기 조리용기의 저면에 인접하게 설치되며, 상기 조리용기의 길이 방향과 평행한 지지부를 갖고, 상기 지지부에 부착되며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교반날을 갖는 음식물 믹싱부와,
    상기 음식물 믹싱부를 회전축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동력 발생부와,
    상기 조리용기를 가열하는 발열체와,
    상기 조리용기의 상면에는 재료 투입부가 형성되며, 상기 재료 투입부와 연통되는 재료 보관통과,
    상기 재료 투입부에 설치되는 재료 밸브와,
    상기 재료 밸브를 조리 시간에 따라 개폐하여 상기 재료 보관통 내의 재료를 상기 조리용기에 투입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동력 발생부는 상하 직선 운동을 하는 고정 프레임을 구비하며,
    상기 음식물 믹싱부는 상기 지지부의 중앙에 위치하며 상기 고정 프레임과 연결되어 상기 지지부를 미리 설정된 각도 안에서 반복적으로 회전 운동시키는 회전 구동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음식물 조리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명령을 입력 받는 사용자 명령 입력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음식물 조리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명령 입력부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혼합 명령을 수신한 후에 상기 조리용기에 투입된 재료를 상기 음식물 믹싱부를 통해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음식물 조리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명령 입력부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조리할 음식의 종류를 입력 받고, 상기 입력된 음식의 종류에 따라 상기 재료 밸브를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음식물 조리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로부터 조리할 음식의 양을 입력 받고, 상기 입력된 음식의 양에 따라 상기 재료 밸브를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음식물 조리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음식물 조리기의 조리 진행 상황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음식물 조리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조리 시간에 따라 상기 음식물 믹싱부의 회전 속도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음식물 조리기.
  8. 삭제
  9. 삭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용기의 일단과 타단의 높이를 조절하는 리프트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조리 진행 상황에 따라 상기 리프트부를 통해 상기 조리용기의 경사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음식물 조리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재료 투입 시점 또는 조리 종료 시점을 부저를 통해 사용자에게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음식물 조리기.
  12. 삭제
KR1020150174012A 2015-12-08 2015-12-08 자동 음식물 조리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8196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4012A KR101819633B1 (ko) 2015-12-08 2015-12-08 자동 음식물 조리기 및 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4012A KR101819633B1 (ko) 2015-12-08 2015-12-08 자동 음식물 조리기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7389A KR20170067389A (ko) 2017-06-16
KR101819633B1 true KR101819633B1 (ko) 2018-02-28

Family

ID=592783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4012A KR101819633B1 (ko) 2015-12-08 2015-12-08 자동 음식물 조리기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963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13622B (zh) * 2018-12-29 2021-07-13 珠海优特智厨科技有限公司 食材投放状态的检测方法及投放状态检测装置
KR102328370B1 (ko) 2020-02-25 2021-11-18 주식회사 체리센스 자동 조리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6990B1 (ko) * 2009-07-17 2010-01-15 황병욱 요리 도우미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6990B1 (ko) * 2009-07-17 2010-01-15 황병욱 요리 도우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7389A (ko) 2017-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54762B2 (en) Automated meal production system and apparatus
CN105120720B (zh) 意式浓缩咖啡牛奶发泡器
US8707862B1 (en) Cooking apparatus and method
CN107405017B (zh) 食物和饮料制备序列记录和回放
US11198222B2 (en) Robotic heating apparatus and method
AU2015229066A1 (en) Beverage appliance for use with a remote communication device
JP2002501394A (ja) コンピュータ制御の2段階上側プラテン位置決め機構を備える二面グリル
US5881632A (en) Automatic cooking apparatus
WO2014019018A1 (en) Sous vide device
KR101819633B1 (ko) 자동 음식물 조리기 및 그 제어 방법
US1172348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oaming a beverage
JP5493294B2 (ja) 電気炊飯器
TWI813755B (zh) 飲料發泡的裝置及方法
JP3227510U (ja) 炒め機の自動食用流体注入装置
AU2019101475A4 (en) Milk frothing device
AU2019101476A4 (en) Milk frothing device
GB2597072A (en) Frother
KR20200107598A (ko) 죽 및 이유식 제조 및 교반기
WO2022264019A1 (en) A cooking device
WO200813033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oaching whole carcass of fowl
WO2015198353A2 (en) Automatic cook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