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8543B1 - 수중 슬러지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수중 슬러지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8543B1
KR101818543B1 KR1020170065823A KR20170065823A KR101818543B1 KR 101818543 B1 KR101818543 B1 KR 101818543B1 KR 1020170065823 A KR1020170065823 A KR 1020170065823A KR 20170065823 A KR20170065823 A KR 20170065823A KR 101818543 B1 KR101818543 B1 KR 1018185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udge
pump
funnel
fluid
storage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58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주호산업
이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주호산업, 이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주호산업
Priority to KR10201700658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85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85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85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4Feed or discharge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45Discharge mechanisms for the sedi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중 슬러지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펌프 및 깔때기를 포함하는 슬러지 제거장치가 와이어를 통해 크레인과 연결되어 수중에 부유하는 형태로 형성됨과 동시에, 수직, 수평 및 회전이동이 가능하여 저류조 수면 전체 면적의 슬러지를 제거하는 것이 가능한 수중 슬러지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수중 슬러지 제거장치{Underwater sludge removing device}
본 발명은 수중 슬러지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펌프 및 깔때기를 포함하는 슬러지 제거장치가 와이어를 통해 크레인과 연결되어 수중에 부유하는 형태로 형성됨과 동시에, 수직, 수평 및 회전이동이 가능하여 저류조 수면 전체 면적의 슬러지를 제거하는 것이 가능한 수중 슬러지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우수 등의 저장을 위한 저류조의 내부에는 토사, 오물 등이나 미생물에 의해서 생성된 슬러지가 침전되게 된다.
슬러지가 과다하게 침전될 경우 저류조의 저장 용량이 줄어들 뿐만 아니라 저장된 우수 등의 배출 과정에서 배수관이 막히게 되는 문제도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저류조 내부에 침전된 슬러지의 주기적인 제거가 필요한데, 종래에는 저류조를 비워 놓은 상태에서 사람이 직접 들어가거나 별도의 장비를 투입하여 슬러지 제거 작업을 수행하였다. 이와 같은 종래의 방식에 의하면 슬러지 처리 비용이 상당히 들어갈 뿐만 아니라 저류조의 유지 관리에 번거로움이 발생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저류조에는 바닥에 레일을 설치하고, 레일상에 골판이 부착된 주행브릿지를 왕복 주행시키면서 슬러지를 침전조 끝단에 설치된 피트로 수집하는 장치가 저류조의 바닥에 설치되어 있어, 슬러지 제거 장치가 벽체에 고정하여 설치됨으로써, 슬러지 제거 장치가 벽체쪽에 치우친 형태로 설치되어 저류조 전체 면적에 대한 슬러지의 제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수중 슬러지 제거장치에 관한 종래기술로는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087672호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펌프 및 깔때기를 포함하는 슬러지 제거장치가 와이어를 통해 크레인과 연결되어 수중에 부유하는 형태로 형성됨과 동시에, 수직, 수평 및 회전이동이 가능하여 저류조 수면 전체 면적의 슬러지를 제거하는 것이 가능한 수중 슬러지 제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전술한 과제로 제한되지 아니하며, 언급되지 아니한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후술할 내용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수중 슬러지 제거장치는 흡입배관 및 토출배관이 연결된 펌프; 하부가 상기 흡입배관과 연결되며, 슬러지를 포함하는 유체가 흡입되는 깔때기; 수평이동롤러부가 형성된 수평프레임; 및 수직이동롤러부 및 기어드 모터가 형성된 수직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펌프 및 상기 깔때기는 와이어를 통해 연결되어 수중에 부양하는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수평이동롤러부, 상기 수직이동롤러부 및 상기 기어드 모터를 통해 상기 깔때기 및 상기 펌프를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평프레임은 선명도 측정 카메라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선명도 측정 카메라는 저류조 수면을 촬영하여 슬러지의 위치를 파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더하여, 상기 선명도 측정 카메라는 내부에 발광부를 포함하고, 상기 발광부에서 광을 조사한 후, 광 조사점을 촬영하여 광의 선명도를 측정함으로써, 유체의 투명도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중 슬러지 제거장치는 펌프 및 깔때기를 포함하는 슬러지 제거장치가 와이어를 통해 크레인과 연결되어 수중에 부유하는 형태로 형성됨과 동시에, 수직, 수평 및 회전이동이 가능하여 저류조 수면 전체 면적의 슬러지를 제거하는 것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선명도 측정 카메라를 통해 저류조를 촬영하여 슬러지의 위치를 파악한 후, 펌프 및 깔때기를 포함하는 슬러지 제거장치를 슬러지가 위치하는 곳으로 이동시킨 후 슬러지 제거 작업을 수행하기 때문에 효과적으로 저류조 내의 슬러지를 제거하는 것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선명도 측정 카메라의 발광부에서 조사된 광의 조사점을 촬영하여 광 조사점의 선명도를 측정함으로써, 유체의 투명도를 측정하여, 저류조 내의 슬러지 제거작업의 진행상황을 파악한 뒤 작업이 완료된 경우 자동으로 펌프의 작동을 중지시키기 때문에 전력소비를 줄이고, 슬러지 제거장치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더하여, 슬러지 제거 장치가 수중에 부유하는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펌프에서 발생하는 열이 물에 의해 자동으로 냉각될 수 있으며, 펌프가 대기 중에 형성되는 것에 비해 유로관이 짧게 형성됨으로써, 유체의 이동에 따른 저항손실이 적어 흡입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중 슬러지 제거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중 슬러지 제거장치에서 깔때기의 위치가 변화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중 슬러지 제거장치에서 저류조 수면 위의 다수의 지점에 슬러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중 슬러지 제거장치에서 광 조사점의 선명도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되, 이미 주지되어진 기술적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생략하거나 압축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중 슬러지 제거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중 슬러지 제거장치에서 깔때기의 위치가 변화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중 슬러지 제거장치에서 저류조 수면 위의 다수의 지점에 슬러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중 슬러지 제거장치에서 광 조사점의 선명도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수중 슬러지 제거장치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 하도록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중 슬러지 제거장치는 펌프(13), 깔때기(26), 레일 스크레이퍼(12), 수직프레임(25), 수평프레임(18), 기어드 모터(24), 선명도 측정 카메라(2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펌프(13)는 펌프(13)의 상단에 형성된 연결고리(16)에 와이어(17)가 연결된 상태로 갈퀴(19)에 연결되어 저류조(11) 내부의 수중에 부유하는 형태로 형성되며, 펌프(13)에는 흡입배관(14) 및 토출배관(15)이 연결되어 있다.
토출배관(15) 내부에는 유량계(15a)가 설치되어 있어, 토출배관(15)을 통해 토출되는 유체의 토출량을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펌프(13)는 내부에 모터회전축(미도시)과 연결된 임펠러(미도시)가 형성되어 있으며, 모터(미도시)의 구동력에 의해 임펠러(미도시)가 회전함으로써, 유체를 흡입배관(14)을 통해 흡입한 후, 토출배관(15)을 통해 토출시킨다.
상기와 같은 펌프(13)의 내부 구성은 공지된 기술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공지의 다양한 펌프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깔때기(26)도 펌프(13)와 마찬가지로 와이어(17)를 통해 갈퀴(19)에 연결되어 저류조(11) 내부의 수중에 부유하는 형태로 형성되며, 하부에 흡입배관(14)이 연결되어 있다. 깔때기(26) 및 흡입배관(14)은 금속재질로 형성되어 있어, 깔때기(26)의 수평을 효과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깔때기(26)는 펌프(13)에 의해 흡입되는 유체를 하부에 연결된 흡입배관을 통해 펌프(13)로 이송시키며, 깔때기(26)는 공지된 기술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공지의 다양한 깔때기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에 기술한 바와 같이, 펌프(13) 및 깔때기(26)는 각각 2개의 와이어(17)로 1차 연결되고, 각각의 와이어(17)가 서로 연결된 후, 갈퀴(19)와 연결되어 저류조(11) 내의 수중에 부양하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저류조(11) 내부의 바닥에는 레일 스크레이퍼(12)가 형성되어 있다. 레일 스크레이퍼(12)는 체인으로 구동되는 무한순환 벨트 형태로 형성되며, 레일면에 스크레이퍼가 형성되어 있어, 저류조(11) 바닥의 슬러지를 긁어내는 역할을 한다.
상기와 같이 저류조(11) 내부의 바닥에 레일 스크레이퍼(12)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펌프(13) 및 깔때기(26)가 수중에 부유하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저류조(11)의 외부에는 펌프(13) 및 깔때기(26)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수평프레임(18) 및 수직프레임(25)이 형성되어 있다.
수평프레임(18)에는 수평이동롤러부(20)가 형성되어 있다.
수평이동롤러부(20)는 수평프레임(18)을 따라 좌우방향으로 수평이동이 가능하여, 하단에 형성된 갈퀴(19)에 와이어(17)로 연결된 펌프(13) 및 깔때기(26)를 좌우방향으로 수평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수직프레임(25)에는 수직이동롤러부(21), 기어드 모터(24) 및 고정수단(27)이 형성되어 있다.
고정수단(27)은 수직프레임(25)을 벽체와 연결 및 고정하여 하중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수직이동롤러부(21)에는 수평프레임(18)이 연결되어 있으며, 수직프레임(25)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수직이동이 가능하여, 슬러지 제거작업이 진행되는 도중 토출배관(15)의 내부에 설치된 유량계(15a)에서 측정한 유체의 토출량이 일정 기준량을 지나칠때마다, 저류조(11)내부의 유체의 수면의 높이가 낮아지기 때문에, 제어부(미도시)가 수직이동롤러부(21)를 하강시켜 펌프(13) 및 깔때기(26)를 하강시키게 되며, 저류조(11)에 다시 유체를 채워 작업을 새로 시작할 경우 수직이동롤러부(21)를 상승시켜 펌프(13) 및 깔때기(26)를 상승시킬 수 있다.
기어드 모터(24)는 수직프레임(25)을 회전시키는 역할을 하며, 수직프레임(25)이 회전하게 되면, 수평프레임(18)도 함께 회전하게 되기 때문에 펌프(13) 및 깔때기(26)를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에 기술한 바와 같이, 수평이동롤러부(20), 수직이동롤러부(21) 및 기어드 모터(24)에 의해 펌프(13) 및 깔때기(26)를 좌우방향 이동, 상하방향 이동 및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하여 저류조(11)의 전체 면적에 걸쳐 슬러지를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중 슬러지 제거장치에서 깔때기의 위치가 변화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깔때기(26)는 슬러지가 위치하는 곳으로 이동하여 슬러지 제거작업을 수행하게 되는데, 수평이동롤러부(20)에 의해 직선방향(①, ②, ③)으로 이동이 가능하며, 기어드 모터(24)에 의해 원주방향(①, ①', ①'')으로도 이동이 가능하다. 따라서, 저류조(11) 수면 위의 전체 면적에 걸쳐 슬러지를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수평프레임(18)의 상단에는 선명도 측정 카메라(23)가 형성되어 있다.
선명도 측정 카메라(23)는 내부에 발광부(23a)를 포함하여 형성되며, 저류조(11)의 수면을 촬영하여 촬영된 이미지를 제어부(미도시)로 전송하고, 제어부(미도시)에서 촬영된 이미지의 분석을 통해 슬러지의 위치를 파악한 후, 슬러지가 위치하는 곳으로 깔때기(26) 및 펌프(13)를 이동시킬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중 슬러지 제거장치에서 저류조 수면 위의 다수의 지점에 슬러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류조(11)의 수면에 각기 다른 크기의 슬러지 영역이 위치하고 있을 경우, 선명도 측정 카메라(23)에서 저류조(11)의 수면을 촬영하여 제어부(미도시)에 전송하면, 제어부(미도시)는 촬영된 이미지로부터 슬러지 영역의 위치 및 크기를 파악 한 후, 슬러지 제거작업을 수행할 순서를 판단하게 된다. 이때, 기본적으로 제어부(미도시)는 슬러지 영역의 크기에 따라 ⓐ -> ⓑ -> ⓒ 순으로 슬러지 제거 작업을 수행하도록 하지만, 도 3의 ⓒ 슬러지 영역과 같이 가장 먼저 슬러지 제거작업이 수행될 ⓐ 슬러지 영역으로부터 이동거리가 가깝고, 같은 원주방향에 있을 경우에는 제어부(미도시)에서 ⓐ -> ⓒ -> ⓑ 순으로 슬러지 제거 작업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제어부(미도시)에서는 선명도 측정 카메라(23)로부터 전송받은 촬영 이미지를 분석하여 각각의 슬러지 영역의 크기에 따라 각각의 슬러지 영역의 슬러지 제거작업 진행시간을 자동으로 설정한다. 예를 들면, 도 3의 ⓐ 슬러지 영역의 경우 슬러지 영역의 크기가 크기 때문에 긴 시간이 설정되고, 도 3의 ⓒ 슬러지 영역의 경우 슬러지 영역의 크기가 작기 때문에 보다 짧은 시간이 설정된다.
또한, 선명도 측정 카메라(23)는 발광부(23a)에서 저류조(11) 내부의 유체로 광을 조사한 후, 광 조사점을 촬영하여 광의 선명도를 측정함으로써, 유체의 투명도를 측정할 수 있다. 이때, 발광부(23a)의 형상 및 조사되는 광의 형상에는 제한이 없으며, 다양한 형상으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선명도 측정 카메라(23)의 하단에는 이송수단(22)이 형성되어 있어, 이송수단(22)에 의해 선명도 측정 카메라(23)가 작업이 진행되고 있는 깔때기(26)의 위치로 수평프레임(18)의 상단을 따라 좌우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중 슬러지 제거장치에서 광 조사점의 선명도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명도 측정 카메라(23)에서 광 조사점(+)을 촬영한 결과 도 4의 (a)와 같이 광 조사점(+)의 선명도가 낮으면 현재 제거작업을 하고 있는 슬러지 영역에 슬러지가 많아 유체의 투명도가 낮은 것이기 때문에, 미리 설정된 슬러지 제거작업 진행시간이 도달했다고 하더라도, 제어부(미도시)를 통해 펌프(13)를 계속해서 작동시키고, 선명도 측정 카메라(23)에서 광 조사점(+)을 촬영한 결과 도 4의 (b)와 같이 광 조사점(+)의 선명도가 높으면, 즉, 투사한 광 조사점을 촬영한 이미지에서 촬영된 광 조사점의 모양이 원래 정해진 광 조사점의 모양에 가깝게 형성되면, 현재 제거작업을 하고 있는 슬러지 영역에서 슬러지가 제거된 상태로 유체의 투명도가 높은 것이기 때문에, 미리 설정된 슬러지 제거작업 진행시간이 도달하기 전이라고 하더라도, 제어부(미도시)를 통해 펌프(13)의 작동을 중단시키고, 다음으로 제거작업을 할 슬러지 영역으로 깔때기(26)를 이동시켜 슬러지 제거작업을 진행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수중 슬러지 제거장치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선명도 측정 카메라(23)에서 저류조(11)의 수면을 촬영하여 제어부(미도시)에 전송하면, 제어부(미도시)는 촬영된 이미지로부터 슬러지 영역의 위치 및 크기를 파악 한 후, 슬러지 제거작업을 수행할 순서를 판단하고, 동시에 각각의 슬러지 영역의 크기에 따라 각각의 슬러지 영역의 슬러지 제거작업 진행시간을 자동으로 설정한다.
이후, 첫 번째 슬러지 제거작업이 진행될 슬러지 영역으로 깔때기(26)를 이동시킨 후, 펌프(13)가 작동하면 모터(미도시)의 구동력에 의해 임펠러(미도시)가 회전을 하게 되면서 깔때기(26)를 통해 유체가 유입된다.
깔때기(26)를 통해 유입된 슬러지를 포함하는 유체는 깔때기(26)의 하부에 연결된 흡입배관을 통해 펌프(13)의 하단으로 들어간 후, 토출배관을 통해 저류조(11)의 외부로 토출된 후, 외부에서 후속처리를 통해 슬러지를 제거하게 된다.
슬러지 제거 작업이 진행되는 동안, 토출배관(15) 내부에 설치된 유량계(15a)에서 측정한 유체의 토출량이 일정 기준량을 지나칠때마다, 저류조(11) 내부의 유체의 수면의 높이가 낮아지기 때문에, 제어부(미도시)가 수직이동롤러부(21)를 하강시켜 깔때기(26)를 하강시킨다.
펌프(13)를 통한 슬러지 제거 작업이 계속 되는 동안, 선명도 측정 카메라(23)는 이송수단(22)를 통해 깔때기(26)의 위치로 이동하여 발광부(23a)에서 조사된 광의 조사점을 촬영하여 광 조사점의 선명도를 측정함으로써, 현재 슬러지 제거작업이 진행되고 있는 슬러지 영역의 투명도를 측정하여 측정값을 제어부(미도시)로 전송한다.
측정 결과, 슬러지 영역의 투명도가 낮으면 측정값을 전송받은 제어부(미도시)는 계속해서 펌프(13)를 가동시키며, 측정 결과, 슬러지 영역의 투명도가 높으면 현재 슬러지 영역의 슬러지 제거가 완료된 것이기 때문에 측정값을 전송받은 제어부(미도시)는 펌프(13)의 작동을 중단시키고 설정된 다음 슬러지 영역으로 깔때기(26)를 이동시켜 슬러지 제거작업을 진행하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중 슬러지 제거장치(10)는 펌프(13) 및 깔때기(26)를 포함하는 수중 슬러지 제거장치(10)가 와이어(17)를 통해 연결되어 수중에 부유하는 형태로 형성됨과 동시에, 수직, 수평 및 회전이동이 가능하여 저류조(11) 수면 전체 면적의 슬러지를 제거하는 것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선명도 측정 카메라(23)를 통해 저류조(11)를 촬영하여 슬러지의 위치를 파악한 후, 펌프(13) 및 깔때기(26)를 포함하는 수중 슬러지 제거장치(10)를 슬러지가 위치하는 곳으로 이동시킨 후 슬러지 제거 작업을 수행하기 때문에 효과적으로 저류조(11) 내의 슬러지를 제거하는 것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선명도 측정 카메라(23)의 발광부(23a)에서 조사된 광의 조사점을 촬영하여 광 조사점의 선명도를 측정함으로써, 유체의 투명도를 측정하여, 저류조 내의 슬러지 제거작업의 진행상황을 파악한 뒤 작업이 완료된 경우 자동으로 펌프의 작동을 중지시키기 때문에 전력소비를 줄이고, 슬러지 제거장치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더하여, 수중 슬러지 제거 장치(10)가 수중에 부유하는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펌프(13)에서 발생하는 열이 물에 의해 자동으로 냉각될 수 있으며, 펌프(13)가 대기 중에 형성되는 것에 비해 유로관이 짧게 형성됨으로써, 유체의 이동에 따른 저항손실이 적어 흡입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등가개념으로 이해되어져야 할 것이다.
10 : 수중 슬러지 제거장치
11 : 저류조
12 : 레일 스크레이퍼
13 : 펌프
14 : 흡입배관
15 : 토출배관
15a : 유량계
16 : 연결고리
17 : 와이어
18 : 수평프레임
19 : 갈퀴
20 : 수평이동롤러부
21 : 수직이동롤러부
22 : 이송수단
23 : 선명도 측정 카메라
23a : 발광부
24 : 기어드 모터
25 : 수직 프레임
26 : 깔때기
27 : 고정수단

Claims (5)

  1. 상단에 연결고리가 형성되고, 흡입배관 및 토출배관이 연결된 펌프;
    하부가 상기 흡입배관과 연결되며, 슬러지를 포함하는 유체가 흡입되는 깔때기;
    수평이동롤러부가 형성된 수평프레임; 및
    수직이동롤러부 및 기어드 모터가 형성된 수직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펌프 및 상기 깔때기는 와이어를 통해 연결되어 수중에 부양하는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수평이동롤러부, 상기 수직이동롤러부 및 상기 기어드 모터를 통해 상기 깔때기 및 상기 펌프를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수평프레임은 내부에 발광부를 포함하는 선명도 측정 카메라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선명도 측정 카메라에서 저류조 수면을 촬영하여 제어부에 전송하면, 상기 제어부는 촬영된 이미지로부터 슬러지 영역의 위치 및 크기를 파악한 후, 슬러지 제거작업을 수행할 순서를 판단하며, 각각의 슬러지 영역의 크기에 따라 슬러지 제거작업 진행시간을 자동으로 설정하고, 슬러지 제거작업 중, 각각의 슬러지 영역 간의 이동거리를 파악하여, 슬러지 제거작업 수행 순서를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 발광부에서 광을 조사한 후, 광 조사점을 촬영하여 광의 선명도를 측정함으로써, 유체의 투명도를 측정하여, 현재 제거작업을 하고 있는 슬러지 영역의 유체의 투명도가 낮으면, 미리 설정된 슬러지 제거작업 진행시간이 도달했다고 하더라도, 상기 제어부를 통해 상기 펌프를 계속해서 작동시키고, 현재 제거작업을 하고 있는 슬러지 영역의 유체의 투명도가 높으면, 미리 설정된 슬러지 제거작업 진행시간이 도달하기 전이라고 하더라도, 상기 제어부를 통해 상기 펌프의 작동을 중단시키고, 다음으로 제거작업을 할 슬러지 영역으로 상기 깔때기를 이동시켜 슬러지 제거작업을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슬러지 제거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70065823A 2017-05-29 2017-05-29 수중 슬러지 제거장치 KR1018185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5823A KR101818543B1 (ko) 2017-05-29 2017-05-29 수중 슬러지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5823A KR101818543B1 (ko) 2017-05-29 2017-05-29 수중 슬러지 제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8543B1 true KR101818543B1 (ko) 2018-01-15

Family

ID=610013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5823A KR101818543B1 (ko) 2017-05-29 2017-05-29 수중 슬러지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854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7596Y1 (ko) * 2006-12-27 2007-12-11 한국수자원공사 침전지의 상등수 부유물 제거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7596Y1 (ko) * 2006-12-27 2007-12-11 한국수자원공사 침전지의 상등수 부유물 제거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6762343U (zh) 适用于工业集水池的浮动式排污装置
FI67489C (fi) Reglersystem vid en anlaeggning med roerlig suganordning foer sugning av suspenderbart material
FI59496B (fi) Saett att styra en roerlig suganordning foer sugning av suspenderbart material fraon botten av en vaetskesamling och anordning foer utoevning av saettet
KR100540219B1 (ko) 링크식 제진기의 협잡물 제진 방법 및 그 링크식 제진기
CN212200241U (zh) 一种水利工程用引水结构
CN207356718U (zh) 一种淀粉加工用沉淀卸料一体设备
KR101348988B1 (ko) 보조 부유물 수거장치가 구비된 제진기
FI64516C (fi) Slamsugareaggregat foer sedimenteringsbassaenger
KR101818543B1 (ko) 수중 슬러지 제거장치
CN107217723A (zh) 一种基于光感技术的径流雨水分质截流装置和方法
CN208415477U (zh) 一种污水池水面垃圾自动清理装置
CN210154942U (zh) 一种监理用给水管道试压压力控制装置
AU2016257063B2 (en) Pool cleaning apparatus with optimized control
CN209092787U (zh) 一种可自动升降刮泥机
KR101443735B1 (ko) 레일형 부력식 스파이럴 원형 슬러지 수집기
JP2018040187A (ja) 浚渫装置
JP2021046603A (ja) 変圧器用珪素鋼に対する酸洗設備
KR101445342B1 (ko) 직접흡입식 슬러지 제거장치
CN113209702B (zh) 市政污水处理装置
CN109763532A (zh) 一种大坝泄洪洞水下清淤系统
CN105771339B (zh) 漂浮式刮吸泥系统及刮吸泥的操作法
CN210389628U (zh) 一种混凝土管桩智能生产装置及使用该装置的生产线
JP2003064760A (ja) 昇降式越流堰
JP2587791B2 (ja) 溜池などの底床側汚泥除去回収装置
CN220899615U (zh) 一种沉淀池浮渣清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