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8222B1 - 받침대 겸용 손잡이가 구비된 냄비 - Google Patents

받침대 겸용 손잡이가 구비된 냄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8222B1
KR101818222B1 KR1020160110099A KR20160110099A KR101818222B1 KR 101818222 B1 KR101818222 B1 KR 101818222B1 KR 1020160110099 A KR1020160110099 A KR 1020160110099A KR 20160110099 A KR20160110099 A KR 20160110099A KR 101818222 B1 KR101818222 B1 KR 1018182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handle
function
pedestal
p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00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진희
남상한
남성우
Original Assignee
이진희
남상한
남성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진희, 남상한, 남성우 filed Critical 이진희
Priority to KR10201601100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82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82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82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06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 A47J45/07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of detachable type
    • A47J45/071Saucepan, frying-pan hand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2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16Stands, or holders for kitchen art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20/00Receptacles
    • Y10S220/912Cookware, i.e. pots and p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받침대 겸용 손잡이가 구비된 냄비에 관한 것으로서, 음식을 조리하는 냄비 본체 및 상기 냄비 본체의 일측에 연결되는 받침대 겸용 손잡이를 포함하며, 상기 받침대 겸용 손잡이는, 상기 냄비 본체의 일측에 외팔보 형태로 연결되어 상기 냄비 본체를 파지하는 손잡이 기능과, 십자가 형태로 변신되어 상기 냄비 본체를 받치는 받침 기능을 겸유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받침대 겸용 손잡이가 구비된 냄비{Pot having handle combined stand}
본 발명은, 받침대 겸용 손잡이가 구비된 냄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손잡이 기능과 받침 기능의 구현이 가능하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간편하게 변신시켜 해당 기능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사용상의 편의성이 대폭 향상될 수 있는 받침대 겸용 손잡이가 구비된 냄비에 관한 것이다.
냄비는 음식을 끓이거나 삶는 데 쓰는 조리용 툴이다. 냄비는 통상적인 솥보다는 운두가 낮으며, 뚜껑과 손잡이를 구비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러한 냄비는 스테인리스 스틸로 제작되는 것이 보통이나 그 사이즈와 재질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출시되어 사용되고 있다.
한편, 앞서 기술한 것처럼 냄비는 음식을 끓이거나 삶는 데 쓰이기 때문에 뜨거울 수밖에 없는데, 이러한 냄비를 식탁 등에 올려두고자 할 때는 받침대를 반드시 사용해야 한다. 즉 받침대를 식탁에 먼저 올리고 받침대 위로 냄비를 올려야 한다.
만약, 받침대를 사용하지 않고 뜨거운 냄비를 식탁 위에 그대로 올려두면 식탁이 열에 의해 손상될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받침대를 보관해 둔 장소를 잊는 경우처럼 급하게 받침대를 사용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받침대가 주변에 없으면 곤란한 상황에 처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해볼 때, 신개념의 받침대 겸용 손잡이가 구비된 냄비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된다.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09-0059536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1-0074303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02-0029214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09-0016825호
본 발명의 목적은, 손잡이 기능과 받침 기능의 구현이 가능하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간편하게 변신시켜 해당 기능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사용상의 편의성이 대폭 향상될 수 있는 받침대 겸용 손잡이가 구비된 냄비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음식을 조리하는 냄비 본체; 및 상기 냄비 본체의 일측에 연결되는 받침대 겸용 손잡이를 포함하며, 상기 받침대 겸용 손잡이는, 상기 냄비 본체의 일측에 외팔보 형태로 연결되어 상기 냄비 본체를 파지하는 손잡이 기능과, 십자가 형태로 변신되어 상기 냄비 본체를 받치는 받침 기능을 겸유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받침대 겸용 손잡이가 구비된 냄비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받침대 겸용 손잡이는, 상기 냄비 본체의 외벽에 고정되는 고정 손잡이부; 및 제1,2 힌지에 의해 상기 냄비 본체의 외벽과 바닥에 절첩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고정 손잡이부와 포개지거나 분리 가능한 회전 손잡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 손잡이부는, 상기 제1 힌지가 연결되는 회전 지지대; 상기 제2 힌지에 의해 상기 회전 지지대와 절첩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받침기능 지지대; 상기 제1 받침기능 지지대와 포개지거나 상기 제1 받침기능 지지대에 교차되게 배치되는 제2 받침기능 지지대; 및 상기 제1 받침기능 지지대와 상기 제2 받침기능 지지대의 회전축심을 형성하는 탄성 회전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 회전축부가 위치되는 상기 제1 및 제2 받침기능 지지대에는 상기 제1 및 제2 받침기능 지지대가 십자가 형태로 배치될 때 단차가 발생되지 않도록 제1 및 제2 단차발생 방지용 그루브가 형성되며, 상기 탄성 회전축부는, 상기 제1 받침기능 지지대의 제1 단차발생 방지용 그루브 영역에 배치되는 제1 회전축; 상기 제2 받침기능 지지대의 제2 단차발생 방지용 그루브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제1 회전축과 연결되는 제2 회전축; 및 상기 제1 회전축과 상기 제2 회전축을 탄성적으로 연결하는 인장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받침대 겸용 손잡이는 열전달이 최소화되는 내열소재로 제작되며, 단면은 다각형 또는 원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손잡이 기능과 받침 기능의 구현이 가능하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간편하게 변신시켜 해당 기능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사용상의 편의성이 대폭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각각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받침대 겸용 손잡이가 구비된 냄비의 사시도로서 손잡이 기능으로 사용된 상태의 도면들이다.
도 3은 도 2의 받침대 겸용 손잡이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3의 분리도이다.
도 5 및 도 6은 각각 도 1 및 도 2에 대응되는 도면으로서 받침대 겸용 손잡이가 받침 기능으로 사용된 상태의 도면들이다.
도 7 및 도 8은 각각 도 1 및 도 5의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받침대 겸용 손잡이의 측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받침대 겸용 손잡이의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어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작용)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각각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받침대 겸용 손잡이가 구비된 냄비의 사시도로서 손잡이 기능으로 사용된 상태의 도면들, 도 3은 도 2의 받침대 겸용 손잡이 영역의 확대도, 도 4는 도 3의 분리도, 도 5 및 도 6은 각각 도 1 및 도 2에 대응되는 도면으로서 받침대 겸용 손잡이가 받침 기능으로 사용된 상태의 도면들, 그리고 도 7 및 도 8은 각각 도 1 및 도 5의 측면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냄비(100)는 손잡이 기능과 받침 기능의 구현이 가능하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간편하게 변신시켜 해당 기능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사용상의 편의성이 대폭 향상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냄비 본체(110)와, 받침대 겸용 손잡이(120)를 포함할 수 있다.
냄비 본체(110)는 음식을 끓이거나 삶거나 굽는 데 쓰는 부분이다. 컵이나 그릇 형상을 갖는다.
참고로, 본 실시예에서 지칭하는 냄비(100)는 도면의 형상에 무관하게 음식을 끓이거나 삶는 데 쓰이면서 받침대 겸용 손잡이(120)를 구비하기만 하면 어떠한 것이 적용되어도 무방하다.
예컨대, 프라이팬일지라도 받침대 겸용 손잡이(120)가 적용되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도면의 형상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는다.
받침대 겸용 손잡이(120)는 냄비 본체(110)의 일측에 연결되는 부속물이다. 특히, 본 실시예에 적용되는 받침대 겸용 손잡이(120)는 냄비 본체(110)의 일측에 외팔보 형태로 연결되어 냄비 본체(110)를 파지하는 손잡이 기능과, 십자가 형태로 변신되어 냄비 본체(110)를 받치는 받침 기능을 겸유한다.
즉 받침대 겸용 손잡이(120)는 도 1, 도 2, 및 도 7처럼 손잡이 기능으로 사용될 수도 있고, 도 5, 도 6 및 도 8처럼 받침 기능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처럼 받침대 겸용 손잡이(120)가 하나의 구성이기는 하지만 받침대 겸용 손잡이(120)가 2가지 기능으로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그 활용도가 증가할 수 있으며, 나아가 사용상의 편의성이 대폭 향상될 수 있다.
이러한 받침대 겸용 손잡이(120)는 크게 고정 손잡이부(130)와, 회전 손잡이부(140)로 나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고정 손잡이부(130)와 회전 손잡이부(140)는 단면이 사각형의 형상을 가지며, 서로 유사한 부피를 갖는다.
그리고 고정 손잡이부(130)와 회전 손잡이부(140)는 열전달이 최소화되는 내열소재로 제작된다. 따라서 고정 손잡이부(130)를 잡더라도 또한 회전 손잡이부(140)를 받치더라도 뜨겁지 않다.
고정 손잡이부(130)는 냄비 본체(110)의 외벽에 고정되는 부분이다. 즉 회전 손잡이부(140)가 제1 및 제2 힌지(191,192)를 통해 절첩되는 구조를 갖는 반면 고정 손잡이부(130)는 그 위치에서 고정된다.
회전 손잡이부(140)는 제1 힌지(191)에 의해 냄비 본체(110)의 외벽에 절첩 가능하게 연결되는 구성으로서 고정 손잡이부(130)와 포개지거나 분리 가능하다.
이러한 회전 손잡이부(140)는 제1 힌지(191)가 연결되는 회전 지지대(150)와, 제2 힌지(192)에 의해 회전 지지대(150)와 절첩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받침기능 지지대(160)와, 제1 받침기능 지지대(160)와 포개지거나 제1 받침기능 지지대(160)에 교차되게 배치되는 제2 받침기능 지지대(170)와, 제1 받침기능 지지대(160)와 제2 받침기능 지지대(170)의 회전축심을 형성하는 탄성 회전축부(180)를 포함한다.
이처럼 제1 및 제2 힌지(191,192), 그리고 탄성 회전축부(180)에 의해 회전 손잡이부(140)의 각 구성이 부분적으로 이동 또는 회전되기 때문에 도 5, 도 6 및 도 8처럼 이동 또는 절첩되면서 받침 기능으로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받침기능 지지대(160,170)은 안적적인 받침을 위해 십자가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이처럼 제1 및 제2 받침기능 지지대(160,170)가 십자가 형태로 변신될 때 단차가 발생되지 않도록 제1 및 제2 받침기능 지지대(160,170)에 제1 및 제2 단차발생 방지용 그루브(161,171)가 형성된다.
다시 말해, 탄성 회전축부(180)가 위치되는 제1 및 제2 받침기능 지지대(160,170)에는 제1 및 제2 받침기능 지지대(160,170)가 십자가 형태로 배치될 때 단차가 발생되지 않도록 제1 및 제2 단차발생 방지용 그루브(161,171)가 형성된다.
만약, 도 5에서 제1 및 제2 받침기능 지지대(160,170)에 단차가 발생되면 냄비가 기울어질 수 있지만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제1 및 제2 받침기능 지지대(160,170)가 십자가 형태로 변신되더라도 단차가 발생되지 않기 때문에 받침 기능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즉 냄비 본체(110)가 흔들리지 않도록 안정적으로 받칠 수 있다.
탄성 회전축부(180)는 제1 받침기능 지지대(160)의 제1 단차발생 방지용 그루브(161) 영역에 배치되는 제1 회전축(181)과, 제2 받침기능 지지대(170)의 제2 단차발생 방지용 그루브(171) 영역에 배치되며, 제1 회전축(181)과 연결되는 제2 회전축(182)와, 제1 회전축(181)과 제2 회전축(182)을 탄성적으로 연결하는 인장스프링(183)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도 3에서 도 4처럼 제1 및 제2 받침기능 지지대(160,170)를 서로 십자가 형태로 배치하기 위해서는 우선 인장스프링(183)의 힘을 이용해서 제1 받침기능 지지대(160)에 대해 제2 받침기능 지지대(170)를 벌린 후, 도 4처럼 십자가 형태로 배치하면 된다. 그러면 제1 및 제2 받침기능 지지대(160,170)의 제1 및 제2 단차발생 방지용 그루브(161,171)가 맞물리면서 제1 및 제2 받침기능 지지대(160,170)에 단차가 발생되지 않게 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받침대 겸용 손잡이(120)의 작용을 설명한다.
받침대 겸용 손잡이(120)를 손잡이 기능으로 사용하고자 할 때는 도 1, 도 2, 및 도 7처럼 그대로 사용하면 된다.
만약, 받침대 겸용 손잡이(120)를 받침 기능으로 사하고자 할 때는 도 5, 도 6 및 도 8처럼 회전 손잡이부(140)를 변신시키면 된다.
우선, 제1 힌지(191)를 통해 회전 지지대(150)를 회전시킨 후, 제2 힌지(192)를 통해 제1 및 제2 받침기능 지지대(160,170)를 냄비 본체(110)의 바닥으로 배치한다.
그런 다음, 인장스프링(183)의 힘을 이용해서 제1 받침기능 지지대(160)에 대해 제2 받침기능 지지대(170)를 벌린 후, 도 4처럼 십자가 형태로 배치하면 된다.
그러면 제1 및 제2 받침기능 지지대(160,170)의 제1 및 제2 단차발생 방지용 그루브(161,171)가 맞물리면서 제1 및 제2 받침기능 지지대(160,170)에 단차가 발생되지 않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와 작용을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손잡이 기능과 받침 기능의 구현이 가능하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간편하게 변신시켜 해당 기능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사용상의 편의성이 대폭 향상될 수 있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받침대 겸용 손잡이의 측면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냄비(200) 역시, 냄비 본체(210)와, 받침대 겸용 손잡이(220)를 포함한다.
그리고 받침대 겸용 손잡이(220)는 내열소재로 된 고정 손잡이부(230)와, 회전 손잡이부(240)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받침대 겸용 손잡이(220)를 이루는 고정 손잡이부(230)와 회전 손잡이부(240) 모두는 단면이 반원형 형상을 이루는데, 이와 같은 구조로 받침대 겸용 손잡이(220)가 제작되더라도 무방하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손잡이 기능과 받침 기능의 구현이 가능하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간편하게 변신시켜 해당 기능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사용상의 편의성이 대폭 향상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받침대 겸용 손잡이의 측면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냄비(300) 역시, 냄비 본체(310)와, 받침대 겸용 손잡이(320)를 포함한다.
그리고 받침대 겸용 손잡이(320)는 내열소재로 된 고정 손잡이부(330)와, 회전 손잡이부(340)을 포함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냄비(300)가 손잡이 기능으로 사용될 때, 고정 손잡이부(330)에 대해 회전 손잡이부(340)가 임으로 벌어지면 곤란하다. 이를 저지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냄비(300)에는 클램프(395)가 마련된다.
클램프(395)는 고정 손잡이부(330)와 회전 손잡이부(340)의 단부에 끼워지는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이때, 클램프(395)의 망실을 저지하기 위해 망실 방지용 끈(396)이 고정 손잡이부(330)와 클램프(395)에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손잡이 기능과 받침 기능의 구현이 가능하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간편하게 변신시켜 해당 기능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사용상의 편의성이 대폭 향상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냄비
110 : 냄비 본체
120 : 받침대 겸용 손잡이
130 : 고정 손잡이부
140 : 회전 손잡이부
150 : 회전 지지대
160 : 제1 받침기능 지지대
161 : 제1 단차발생 방지용 그루브
170 : 제2 받침기능 지지대
171 : 제2 단차발생 방지용 그루브
180 : 탄성 회전축부
181 : 제1 회전축
182 : 제2 회전축
183 : 인장스프링
191 : 제1 힌지
192 : 제2 힌지

Claims (5)

  1. 음식을 조리하는 냄비 본체; 및
    상기 냄비 본체의 일측에 연결되는 받침대 겸용 손잡이; 를 포함하고,
    상기 받침대 겸용 손잡이는 상기 냄비 본체의 외벽에 고정되는 고정 손잡이부와, 상기 받침대 겸용 손잡이의 길이방향으로 이격 설치된 제1,2 힌지에 의해 상기 냄비 본체의 외벽과 바닥에 절첩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고정 손잡이부와 나란하게 포개지거나 분리 가능한 회전 손잡이부와, 상기 고정 손잡이부와 상기 회전 손잡이부의 단부에 끼워져 상기 회전 손잡이부가 상기 고정 손잡이부로부터 임으로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클램프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 손잡이부는 상기 제1 힌지가 연결되는 회전 지지대와, 제1 단차발생 방지용 그루브가 구비되고 상기 제2 힌지에 의해 상기 회전 지지대와 절첩 가능하게 연결된 제1 받침기능 지지대와, 제2 단차발생 방지용 그루브가 구비되고 상기 제1 받침기능 지지대와 포개지거나 십자가 형태로 교차 배치된 제2 받침기능 지지대와, 상기 제1 및 제2 받침기능 지지대의 회전축심을 형성하는 탄성 회전축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및 제2 단차발생 방지용 그루브는 상기 제1 및 제2 받침기능 지지대가 상호 나란하게 포개져 배치될 때 상호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 및 제2 받침기능 지지대가 십자가 형태로 상호 교차 배치될 때에는 상호 맞물리도록 하여 상기 제1 및 제2 단차발생 방지용 그루브를 통해 상기 제1 및 제2 받침기능 지지대 간에 단차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고,
    상기 탄성 회전축부는 상기 제1 받침기능 지지대의 제1 단차발생 방지용 그루브 영역에 배치되는 제1 회전축과, 상기 제2 받침기능 지지대의 제2 단차발생 방지용 그루브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회전축과 연결되는 제2 회전축과, 상기 제1 회전축과 상기 제2 회전축을 탄성적으로 연결하는 인장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받침대 겸용 손잡이가 구비된 냄비.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60110099A 2016-08-29 2016-08-29 받침대 겸용 손잡이가 구비된 냄비 KR1018182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0099A KR101818222B1 (ko) 2016-08-29 2016-08-29 받침대 겸용 손잡이가 구비된 냄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0099A KR101818222B1 (ko) 2016-08-29 2016-08-29 받침대 겸용 손잡이가 구비된 냄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8222B1 true KR101818222B1 (ko) 2018-01-12

Family

ID=610010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0099A KR101818222B1 (ko) 2016-08-29 2016-08-29 받침대 겸용 손잡이가 구비된 냄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822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6141A (ko) * 2018-12-19 2020-06-29 문형록 보조받침대가 부가된 안마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6141A (ko) * 2018-12-19 2020-06-29 문형록 보조받침대가 부가된 안마기
KR102136834B1 (ko) * 2018-12-19 2020-07-22 문형록 보조받침대가 부가된 안마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5100774A4 (en) Multifunctional Cookware
JP3200334U (ja) 多用途鍋
KR101758330B1 (ko) 회전국솥의 덮개 힌지장치
KR101818222B1 (ko) 받침대 겸용 손잡이가 구비된 냄비
KR200493626Y1 (ko) 부분 개폐가 가능한 냄비형 요리도구용 뚜껑
US3143059A (en) Holder for steaming stuffed artichokes
KR200489172Y1 (ko) 절첩이 용이한 회전식 냄비 손잡이용 받침대.
US10874249B2 (en) Chef shield
JP3208768U (ja) 調理器具
KR102086443B1 (ko) 조리도구 받침대
US20120145865A1 (en) Pot and utensil rest
JP4285498B2 (ja) 誘導加熱式調理器
JP6547156B1 (ja) 調理用鍋
US1067290A (en) Culinary utensil.
CN106136965B (zh) 一种多功能伸缩锅铲
CN107661025B (zh) 一种便携蒸笼
KR102594665B1 (ko) 뚝배기의 거치 및 불조절이 가능한 솥뚜껑 불판
JP5911076B1 (ja) 柄の立つお玉
KR102460952B1 (ko) 도마, 뚜껑 겸용 인덕션 불판
JP6999881B2 (ja) 蓋、調理器具セット、及びつまみ
JP3208780U (ja) 加熱用調理器具
JP2009284981A (ja) 自立形御玉杓子
KR200357120Y1 (ko) 조리용기
US3102656A (en) Combined receptacle cover and server
JP6647962B2 (ja) 調理器用の調理蓋、及びそれを備えた調理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