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7757B1 - 동영상 자막과 IoT 디바이스의 연동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동영상 자막과 IoT 디바이스의 연동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7757B1
KR101817757B1 KR1020160063582A KR20160063582A KR101817757B1 KR 101817757 B1 KR101817757 B1 KR 101817757B1 KR 1020160063582 A KR1020160063582 A KR 1020160063582A KR 20160063582 A KR20160063582 A KR 20160063582A KR 101817757 B1 KR101817757 B1 KR 1018177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ot
caption
iot device
file
moving pi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35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32561A (ko
Inventor
강성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스마트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스마트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스마트큐
Priority to KR10201600635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7757B1/ko
Publication of KR201701325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25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77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77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1Discovery or management thereof, e.g. service location protocol [SLP] or web services
    • H04L67/16
    • G06F17/272
    • G06F17/2785
    • H04L67/327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60Scheduling or organising the servicing of application requests, e.g. requests for application data transmissions using the analysis and optimisation of the required network resources
    • H04L67/63Routing a service request depending on the request content or contex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동영상 자막과 IoT 디바이스의 연동 방법 및 시스템이 제시된다. 동영상 자막과 IoT 디바이스의 연동 시스템은, 재생되는 동영상 파일에 제공되는 자막 파일을 수신하는 자막 파일 수신부; 수신된 상기 자막 파일에서 HTML 태그 정보를 포함한 제어 및 특수 문자를 제거하고 자막 내용을 대상으로 파싱 및 분석하는 IoT 자막 분석부; 상기 자막 파일의 분석된 결과를 이용하여 기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IoT 디바이스에 전달하기 위한 동작 시나리오를 생성하는 IoT 시나리오 생성부; 및 생성된 상기 동작 시나리오를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IoT 디바이스에 전송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IoT 디바이스를 동작시키는 동작 시나리오 전송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동영상 자막과 IoT 디바이스의 연동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Interworking Video Subtitle and IoT Device}
아래의 실시예들은 동영상 자막과 IoT 디바이스의 연동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동영상 감상 시 제공되는 자막 파일을 이용하여 IoT 디바이스에 시나리오를 전송하여 현장감 있는 시청 환경을 제공하는 동영상 자막과 IoT 디바이스의 연동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재 개인용 컴퓨터 등의 디지털 기기를 통해 미리 저장되거나 스트리밍 방식으로 다운로드되는 동영상 파일을 재생하는 기술이 널리 보급되어 있다. 동영상 파일은 다양한 압축 코덱에 의해 인코딩되며, 재생 프로그램에 의해 디코딩되어 재생된다. 또한, 미리 작성된 자막 파일을 동영상 파일과 함께 화면에 보여줌으로써 모국어로 시청할 수 없는 동영상 파일의 경우에 가독 가능한 스크립트 형태의 자막을 통해 번역된 내용을 볼 수 있게 해주는 기술이 많이 이용되고 있다.
자막 파일은 동영상 파일과 별개로 만들어지고 별개의 파일로 존재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한국공개특허 10-2015-0057591호는 이러한 동영상파일에 대한 자막데이터 생성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음성인식을 통해 동영상 자막을 자동으로 생성하고 동기화 할 수 있는 동영상파일에 대한 자막데이터 생성방법 및 장치에 관한 기술을 기재하고 있다.
실시예들은 동영상 자막과 IoT 디바이스의 연동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하여 기술하며, 보다 구체적으로 동영상 감상 시 제공되는 자막 파일을 이용하여 IoT 디바이스에 시나리오를 전송하여 현장감 있는 시청 환경을 제공하는 기술을 제공한다.
실시예들은 재생되는 동영상의 자막 파일을 파싱 또는 분석하여 IoT 디바이스에 전달되는 동작 시나리오를 생성하고 전송함으로써, 동영상 감상 시 조명, 스피커, 에어컨, 의자 등의 IoT 디바이스의 동작으로 몰입감과 현장감을 느낄 수 있는 동영상 자막과 IoT 디바이스의 연동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자막과 IoT 디바이스의 연동 시스템은, 재생되는 동영상 파일에 제공되는 자막 파일을 수신하는 자막 파일 수신부; 수신된 상기 자막 파일에서 HTML 태그 정보를 포함한 제어 및 특수 문자를 제거하고 자막 내용을 대상으로 파싱 및 분석하는 IoT 자막 분석부; 상기 자막 파일의 분석된 결과를 이용하여 기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IoT 디바이스에 전달하기 위한 동작 시나리오를 생성하는 IoT 시나리오 생성부; 및 생성된 상기 동작 시나리오를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IoT 디바이스에 전송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IoT 디바이스를 동작시키는 동작 시나리오 전송부를 포함한다.
상기 IoT 자막 분석부는, 수신된 상기 자막 파일에서 HTML 태그 정보를 포함한 제어 및 특수 문자를 제거하고, 상기 제어 및 특수 문자가 제거된 자막 내용을 파싱 및 분석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IoT 디바이스의 동작을 위해 기설정된 문자와 매칭되는 문자를 인식하여, 인식된 상기 문자의 시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IoT 시나리오 생성부는, 인식된 상기 문자와 시간 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 수집하며 기설치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IoT 디바이스를 인지하고, 수집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문자와 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기설치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IoT 디바이스를 동작시키기 위한 동작 시나리오를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IoT 디바이스를 동작시키는 상기 동작 시나리오를 IoT 제어 문자로 입력 받아, 상기 IoT 제어 문자가 추가된 자막 파일을 제공하는 IoT 제어 문자 입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영상 자막과 IoT 디바이스의 연동 시스템은 동글(dongle)로 구현되어, 동영상 재생 장치, 상기 IoT 디바이스 또는 상기 IoT 디바이스와 연결된 공유기와 유무선 통신에 의해 연결되 연결되거나, 상기 동영상 재생 장치와 통합된 장치로 구현되며, 상기 자막 파일 수신부는 상기 동영상 재생 장치의 구동에 따라 재생되는 동영상 파일에 제공되는 자막 파일을 수신하고, 상기 동작 시나리오 전송부는 생성된 상기 동작 시나리오를 연결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IoT 디바이스에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자막과 IoT 디바이스의 연동 방법은, 재생되는 동영상 파일에 제공되는 자막 파일을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상기 자막 파일에서 HTML 태그 정보를 포함한 제어 및 특수 문자를 제거하고 자막 내용을 파싱 및 분석하는 단계; 상기 자막 파일의 분석된 결과를 이용하여 기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IoT 디바이스에 전달하기 위한 동작 시나리오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생성된 상기 동작 시나리오를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IoT 디바이스에 전송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IoT 디바이스를 동작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수신된 상기 자막 파일에서 HTML 태그 정보를 포함한 제어 및 특수 문자를 제거하고 자막 내용을 파싱 및 분석하는 단계는, 수신된 상기 자막 파일에서 HTML 태그 정보를 포함한 제어 및 특수 문자를 제거하는 단계; 상기 제어 및 특수 문자가 제거된 자막 내용을 파싱 및 분석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IoT 디바이스의 동작을 위해 기설정된 문자와 매칭되는 문자를 인식하는 단계; 및 인식된 상기 문자의 시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자막 파일의 분석된 결과를 이용하여 기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IoT 디바이스에 전달하기 위한 동작 시나리오를 생성하는 단계는, 인식된 상기 문자와 시간 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 수집하는 단계; 기설치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IoT 디바이스를 인지하는 단계; 및 수집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문자와 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기설치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IoT 디바이스를 동작시키기 위한 동작 시나리오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재생되는 동영상의 자막 파일을 파싱 또는 분석하여 IoT 디바이스에 전달되는 동작 시나리오를 생성하고 전송함으로써, 동영상 감상 시 조명, 스피커, 에어컨, 의자 등의 IoT 디바이스의 동작으로 몰입감과 현장감을 느낄 수 있는 동영상 자막과 IoT 디바이스의 연동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별도의 투자비용 없이 설치되어 있는 IoT 디바이스와 자막 파일을 이용하여 동영상 감상 시 기존 환경에 비하여 보다 현장감과 현실감 있는 시청 환경을 제공하는 동영상 자막과 IoT 디바이스의 연동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자막과 IoT 디바이스의 연동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자막과 IoT 디바이스의 연동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자막과 IoT 디바이스의 연동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자막 내용을 파싱 및 분석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IoT 디바이스에 전달하기 위한 동작 시나리오를 생성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기술되는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여러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아래의 실시예들은 동영상 감상 시 제공되는 자막 파일을 이용하여 IoT 디바이스에 시나리오를 전송하여 보다 현장감 있는 시청 환경을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동영상 감상 시 영상, 오디오, 및 자막 파일이 제공된다. 이때 자막 파일은 동영상의 진행 시간을 파악하여 해당 시간에 화면 하단에 해당 문자를 출력하여 감상자의 이해를 돕거나 번역을 위한 용도로 사용된다. 아래의 실시예들은 IoT 디바이스를 위한 별도의 시나리오나 추가 작업 없이 기존 제공되는 자막 파일을 이용하여 분석 및 동작 시나리오를 자동으로 생성하여 IoT 디바이스와 연동하여 동작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자막과 IoT 디바이스의 연동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자막과 IoT 디바이스의 연동 시스템(100)은 동영상 재생 장치(110), 디스플레이 장치(120),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IoT 디바이스(130, 131, 132)와 연결되고, 재생되는 동영상 파일의 자막 파일을 파싱(parsing) 또는 분석하여 IoT 디바이스(130)에 전달할 동작 시나리오를 생성하고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일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자막과 IoT 디바이스의 연동 시스템(100)은 자막 파일을 수신하는 자막 파일 수신부, 수신된 자막 파일을 파싱 및 분석하는 IoT 자막 분석부, 분석된 결과를 이용하여 IoT 디바이스(130)에 전달되는 동작 시나리오를 생성하는 IoT 시나리오 생성부, 및 생성된 시나리오를 IoT 디바이스(130)에 전송하는 동작 시나리오 전송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동영상 재생 장치(110)는 동영상 파일을 재생할 수 있는 장치로, 별도의 장치인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또는 동영상 파일을 재생하는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이 될 수 있다.
예컨대, 동영상 재생 장치(110)는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PC, 노트북, 무선통신 단말, 스마트폰(Smart phone), PMP(Portable Media Play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태블릿 PC(Tablet PC), 셋탑박스(Set-top box), 스마트 TV 등 다양한 장치가 될 수 있다.
동영상 파일을 재생하는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의 단말에 다양하게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에서 실행되는 동영상 파일을 재생하는 어플리케이션에는 윈도우 미디어 플레이어(Window Media Player), 곰 플레이어(GOM Player), KM 플레이어(KM Player) 등이 있고,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임베디드(embedded) 단말기에서 실행되는 동영상 파일을 재생하는 어플리케이션에는 MX 플레이어(MX Player) 등이 있다. 동영상 파일을 재생하는 어플리케이션은 일반적으로 동영상 파일, 음원 파일, 자막 파일 등을 실행시킬 수 있으며, 영상과 음원을 동시에 재생하면서 문자 정보인 자막 파일도 함께 재생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20)는 재생되는 하나 이상의 영상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동영상 및 동영상에 대응하는 자막을 표시할 수 있는 것으로, 예컨대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PC, 노트북, 무선통신 단말, 스마트폰(Smart phone), PMP(Portable Media Play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태블릿 PC(Tablet PC), 셋탑박스(Set-top box), 스마트 TV 등 다양한 장치가 될 수 있다.
여기에서, 동영상 재생 장치(110)와 디스플레이 장치(120)는 동일한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일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자막과 IoT 디바이스의 연동 시스템(100)은 동글(dongle), 별도의 장치, 또는 어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어, 동영상 재생 장치(110), IoT 디바이스(130) 또는 IoT 디바이스(130)와 연결된 공유기와 유무선 통신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동영상 재생 장치(110)는 동영상 자막과 IoT 디바이스의 연동 시스템(100)과 통합된 하나의 제품으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에서, 동글(dongle)은 기존 스마트 기기에서 이용하던 동영상 파일을 TV 등의 대화면으로 옮겨 그대로 볼 수 있게 해준다.
예를 들어 TV 등의 디스플레이 장치(120)에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입력 단자가 형성되어 HDMI 입력이 가능하여, 동글(dongle)을 디스플레이 장치(120)의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입력 단자에 연결시킴으로써, 동글(dongle)과 디스플레이 장치(120)가 연결될 수 있다.
유무선 통신은 이동통신, 위성통신 등의 무선 통신모듈, 인터넷 등의 유선 통신모듈,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UWB(Ultra Wideband) 및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지그비(Zigbee) 등의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 등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가 동영상 감상을 위하여 동영상 재생 장치(110)를 구동시킴에 따라 자막 파일이 제공된 동영상인 경우, 자막 파일 수신부는 동영상 파일의 자막 파일을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IoT 자막 분석부는 수신된 자막 파일에서 HTML 태그 정보를 포함한 제어 및 특수 문자를 제거하여 순수 자막 내용만을 대상으로 분석하여 분석 결과를 IoT 시나리오 생성부에서 전달할 수 있다.
이에, IoT 시나리오 생성부는 전달 받은 분석 결과를 기본으로 하여 설치 되어 있는 IoT 디바이스(130) 기반으로 동작 시나리오를 작성할 수 있다. 동작 시나리오 전송부는 IoT 시나리오 생성부에서 생성된 동작 시나리오를 IoT 디바이스(130)에 전달할 수 있다.
비디오, 오디오, 자막(있는 경우)을 디스플레이 장치(120)를 통해 화면에 출력하고, 적정 시점에 IoT 디바이스(130)는 전달 받은 시나리오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아래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자막과 IoT 디바이스의 연동 시스템에 대해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자막과 IoT 디바이스의 연동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자막과 IoT 디바이스의 연동 시스템(200)은 자막 파일 수신부(210), IoT 자막 분석부(220), IoT 시나리오 생성부(230), 및 동작 시나리오 전송부(2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동영상 자막과 IoT 디바이스의 연동 시스템(200)은 IoT 제어 문자 입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일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자막과 IoT 디바이스의 연동 시스템(200)은 동글(dongle) 또는 별도의 장치로 구현될 수 있으며, 스마트 기기의 어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자막과 IoT 디바이스의 연동 시스템(200)은 동글(dongle), 별도의 장치, 또는 어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어, 동영상 재생 장치(250), IoT 디바이스(270) 또는 IoT 디바이스(270)와 연결된 공유기와 유무선 통신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자막 파일 수신부(210)는 재생되는 동영상 파일에 제공되는 자막 파일을 수신할 수 있다.
즉, 자막 파일 수신부(210)는 동영상 재생 장치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신으로 연결되어 동영상 재생 장치의 구동에 따라 재생되는 동영상 파일에 제공되는 자막 파일을 수신할 수 있다.
IoT 자막 분석부(220)는 수신된 자막 파일에서 HTML 태그 정보를 포함한 제어 및 특수 문자를 제거하고 자막 내용을 대상으로 파싱 및 분석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IoT 자막 분석부(220)는 수신된 자막 파일에서 HTML 태그 정보를 포함한 제어 및 특수 문자를 제거하고, 제어 및 특수 문자가 제거된 자막 내용을 파싱 및 분석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IoT 디바이스(270)의 동작을 위해 기설정된 문자와 매칭되는 문자를 인식하여 인식된 문자의 시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에서 기설정된 문자 및 상기의 기설정된 문자와 매칭되는 문자는 기호, 단어, 문장 등을 포함할 수 있다.
IoT 시나리오 생성부(230)는 자막 파일의 분석된 결과를 이용하여 기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IoT 디바이스(270)에 전달하기 위한 동작 시나리오를 생성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IoT 시나리오 생성부(230)는 인식된 문자와 시간 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 수집하며 기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IoT 디바이스(270)를 인지하고, 수집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문자와 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기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IoT 디바이스(270)를 동작시키기 위한 동작 시나리오를 생성할 수 있다.
IoT(Internet of Thing) 디바이스는 유선 또는 무선 인터넷으로 연결되어 통신이 가능한 기기로, 예를 들어,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스위치가 조작 또는 밝기 조절이 가능한 스마트 조명,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스위치가 조작 가능한 에어컨,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스위치가 조작 가능한 움직이는 의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IoT 디바이스(270)를 동작시키기 위한 동작 시나리오는 동영상에서의 어두운 환경을 시청 환경으로 구현하기 위해 스마트 조명의 밝기를 어둡게 조절하거나 스마트 조명의 전원을 차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IoT 디바이스(270)를 동작시키기 위한 동작 시나리오는 동영상에서의 번개가 치는 상황을 시청 환경으로 구현하기 위해 스마트 조명을 깜빡이도록 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IoT 디바이스(270)를 동작시키기 위한 동작 시나리오는 동영상에서의 열차가 흔들리는 상황을 시청 환경으로 구현하기 위해 사용자가 앉아 있는 스마트 의자를 흔들리도록 움직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IoT 디바이스(270)를 동작시키기 위한 동작 시나리오는 동영상에서의 바람이 부는 상황을 시청 환경으로 구현하기 위해 스마트 에어컨 또는 선풍기를 동작시킬 수 있다.
동작 시나리오 전송부(240)는 생성된 동작 시나리오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IoT 디바이스(270)에 전송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IoT 디바이스(270)를 동작시킬 수 있다.
즉, 동작 시나리오 전송부(240)는 생성된 동작 시나리오를 유선 또는 무선 통신에 의해 연결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IoT 디바이스(270)에 전송할 수 있다.
더욱이, 일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자막과 IoT 디바이스의 연동 시스템(200)은 IoT 제어 문자 입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oT 제어 문자 입력부는 사용자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IoT 디바이스(270)를 동작시키는 동작 시나리오를 IoT 제어 문자로 입력 받아, IoT 제어 문자가 추가된 자막 파일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IoT 제어 문자 입력부는 사용자로부터 입력 수단이 제공되는 별도의 입력 장치를 통해 IoT 제어 문자가 포함된 자막 파일을 제공할 수 있으며, 별도의 전자 장치로부터 IoT 제어 문자가 포함된 자막 파일을 전달 받을 수도 있다. 예컨대 IoT 제어 문자 입력부는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IoT 제어 문자가 포함된 자막 파일을 전달 받을 수 있다.
이러한 일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자막과 IoT 디바이스의 연동 시스템(200)은 동글(dongle) 또는 별도의 장치로 구현될 수 있으며, 스마트 기기의 어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예컨대 동영상 자막과 IoT 디바이스의 연동 시스템(200)은 동글(dongle)로 구현되며, 동글(dongle)은 동영상 재생 장치, IoT 디바이스(270) 또는 IoT 디바이스(270)와 연결된 공유기와 유무선 통신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동글(dongle)은 동영상 재생 장치와 통합된 하나의 제품으로 제공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입력이 가능한 TV에 동글(dongle)을 연결함으로써, 동글(dongle)에서 재생되는 동영상의 자막 파일을 수신하여 파싱 및 분석을 통해 IoT 디바이스(270)의 동작 시나리오를 생성하고, 생성된 동작 시나리오를 IoT 디바이스(270)에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재생되는 동영상의 자막 파일을 파싱 또는 분석하여 IoT 디바이스(270)에 전달되는 동작 시나리오를 생성하고 전송함으로써, 동영상 감상 시 조명, 스피커, 에어컨, 의자 등의 IoT 디바이스(270)의 동작으로 몰입감과 현장감을 느낄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자막과 IoT 디바이스의 연동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그리고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자막 내용을 파싱 및 분석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고,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IoT 디바이스에 전달하기 위한 동작 시나리오를 생성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자막과 IoT 디바이스의 연동 방법은 재생되는 동영상 파일에 제공되는 자막 파일을 수신하는 단계(310), 수신된 자막 파일에서 HTML 태그 정보를 포함한 제어 및 특수 문자를 제거하고 자막 내용을 파싱 및 분석하는 단계(320), 자막 파일의 분석된 결과를 이용하여 기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IoT 디바이스에 전달하기 위한 동작 시나리오를 생성하는 단계(330), 및 생성된 동작 시나리오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IoT 디바이스에 전송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IoT 디바이스를 동작시키는 단계(3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자막 파일에서 HTML 태그 정보를 포함한 제어 및 특수 문자를 제거하고 자막 내용을 파싱 및 분석하는 단계는, 수신된 자막 파일에서 HTML 태그 정보를 포함한 제어 및 특수 문자를 제거하는 단계; 제어 및 특수 문자가 제거된 자막 내용을 파싱 및 분석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IoT 디바이스의 동작을 위해 기설정된 문자와 매칭되는 문자를 인식하는 단계; 및 인식된 문자의 시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자막 파일의 분석된 결과를 이용하여 기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IoT 디바이스에 전달하기 위한 동작 시나리오를 생성하는 단계는, 인식된 문자와 시간 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 수집하는 단계; 기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IoT 디바이스를 인지하는 단계; 및 수집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문자와 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기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IoT 디바이스를 동작시키기 위한 동작 시나리오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실시예들에 따르면 별도의 투자비용 없이 설치되어 있는 IoT 디바이스와 자막 파일을 이용하여 동영상 감상 시 기존 환경에 비하여 보다 현장감과 현실감 있는 시청 환경을 제공하는 동영상 자막과 IoT 디바이스의 연동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아래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자막과 IoT 디바이스의 연동 방법에 대해 하나의 예를 들어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자막과 IoT 디바이스의 연동 방법은 도 2에서 설명한 일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자막과 IoT 디바이스의 연동 시스템(200)을 이용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자막과 IoT 디바이스의 연동 시스템(200)은 자막 파일 수신부(210), IoT 자막 분석부(220), IoT 시나리오 생성부(230), 및 동작 시나리오 전송부(2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동영상 자막과 IoT 디바이스의 연동 시스템(200)은 IoT 제어 문자 입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단계(310)에서, 자막 파일 수신부(210)는 재생되는 동영상 파일에 제공되는 자막 파일을 수신할 수 있다.
단계(320)에서, IoT 자막 분석부(220)는 수신된 자막 파일에서 HTML 태그 정보를 포함한 제어 및 특수 문자를 제거하고 자막 내용을 대상으로 파싱 및 분석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단계(321)에서 IoT 자막 분석부(220)는 수신된 자막 파일에서 HTML 태그 정보를 포함한 제어 및 특수 문자를 제거할 수 있다.
단계(322)에서 IoT 자막 분석부(220)는 제어 및 특수 문자가 제거된 자막 내용을 파싱 및 분석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IoT 디바이스의 동작을 위해 기설정된 문자와 매칭되는 문자를 인식할 수 있다. 여기에서 기설정된 문자 및 상기의 기설정된 문자와 매칭되는 문자는 기호, 단어, 문장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인식된 문자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일 수 있으며, 인식된 문자가 복수 개인 경우 문자들을 조합하여 분석할 수 있다.
단계(323)에서 IoT 자막 분석부(220)는 인식된 문자의 시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후, IoT 자막 분석부(220)는 인식된 문자와 시간 정보를 IoT 시나리오 생성부(230)에 전달할 수 있다.
단계(330)에서, IoT 시나리오 생성부(230)는 자막 파일의 분석된 결과를 이용하여 기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IoT 디바이스에 전달하기 위한 동작 시나리오를 생성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단계(331)에서 IoT 시나리오 생성부(230)는 인식된 문자와 시간 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 수집할 수 있다.
단계(332)에서 IoT 시나리오 생성부(230)는 기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IoT 디바이스를 인지할 수 있다.
단계(333)에서 IoT 시나리오 생성부(230)는 수집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문자와 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기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IoT 디바이스를 동작시키기 위한 동작 시나리오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수집된 문자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일 수 있으며, 수집된 문자가 복수 개인 경우 문자들을 조합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IoT 디바이스를 동작시키기 위한 동작 시나리오를 생성할 수 있다.
단계(340)에서, 동작 시나리오 전송부(240)는 생성된 동작 시나리오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IoT 디바이스에 전송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IoT 디바이스를 동작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IoT 디바이스를 동작시키기 위한 동작 시나리오는 동영상에서의 환경을 시청 환경으로 구현하기 위해 스마트 조명의 전원 또는 밝기를 조절하거나, 조명의 색깔을 변경할 수도 있으며 조명을 깜빡이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사용자가 앉아 있는 스마트 의자를 흔들리도록 움직이거나 에어컨, 선풍기, 온풍기 등을 통해 바람 효과 또는 온도 조절을 할 수 있다. 그리고, 스피커의 음량을 조절하는 것도 가능하다. 더욱이, IoT 디바이스를 동작시키기 위한 동작 시나리오는 구비된 다양한 IoT 디바이스와 연동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IoT 디바이스는 바람을 부는 효과를 제공하는 공기 분사 장치, 향기 발산 장치, 비누방울 분사 장치, 포그 발생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IoT 제어 문자 입력부는 사용자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IoT 디바이스를 동작시키는 동작 시나리오를 IoT 제어 문자로 입력 받아, IoT 제어 문자가 추가된 자막 파일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IoT 제어 문자 입력부는 사용자로부터 입력 수단이 제공되는 별도의 입력 장치를 통해 IoT 제어 문자가 포함된 자막 파일을 제공할 수 있으며, 별도의 전자 장치로부터 IoT 제어 문자가 포함된 자막 파일을 전달 받을 수도 있다. 예컨대 IoT 제어 문자 입력부는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IoT 제어 문자가 포함된 자막 파일을 전달 받을 수 있다.
아래에서는 일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자막과 IoT 디바이스의 연동 방법에 대해 하나의 예를 들어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자막과 IoT 디바이스의 연동 방법은 도 2에서 설명한 일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자막과 IoT 디바이스의 연동 시스템(200)을 이용하여 동작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자막과 IoT 디바이스의 연동 시스템(200)은 IoT 자막 분석부(220) 및 IoT 시나리오 생성부(2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동영상 자막과 IoT 디바이스의 연동 시스템(200)은 자막 파일 수신부(210) 및 동작 시나리오 전송부(24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IoT 자막 분석부는 자막 파일에서 IoT 디바이스가 동작할 수 있는 문자열을 분석하여 IoT 시나리오 생성부에 전달할 수 있다.
아래는 기존 제공되는 동영상 파일의 자막 파일의 일부분이다.
<SYNC Start=216993><P Class=ENUSCC>왕좌의 게임 5시즌 최종화<br><어머니신의 자비>
<SYNC Start=221993><P Class=ENUSCC>&nbsp;
<SYNC Start=242639><P Class=ENUSCC>바람을 조심하라
<SYNC Start=247127><P Class=ENUSCC>의 신께서<br>약속을 지키셨습니다
<SYNC Start=249763><P Class=ENUSCC>그분의 이 눈을<br>녹여 없앴습니다
<SYNC Start=258805><P Class=ENUSCC>신께서 볼튼의 깃발이<br>타는 걸 보여주셨어요
<SYNC Start=287717><P Class=ENUSCC>대열을 정렬시키게
<SYNC Start=289252><P Class=ENUSCC>전하
<SYNC Start=294341><P Class=ENUSCC>새벽이, 가까워지고 있습니다
<SYNC Start=295675><P Class=ENUSCC>어제 탈영이<br>많이 있었습니다
<SYNC Start=301898><P Class=ENUSCC>얼마나?
<SYNC Start=303600><P Class=ENUSCC>거의 반입니다
<SYNC Start=305327><P Class=ENUSCC>폭풍우가 몰려<br> 오고 있습니다.
IoT 자막 분석부는 위에서 굵은 글씨로 표기된 문자열을 인식하여 SYNC Start=242639 와 같은 해당 시간과 함께 IoT 시나리오 생성을 위한 IoT 시나리오 생성부에 전달할 수 있다.
이에, IoT 시나리오 생성부는 IoT 자막 분석부에서 전달 받은 문자열을 조립하여 어떤 시나리오로 동작할 것인지를 분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위의 바람, 빛, 불, 타는, 새벽, 폭풍우를 전달 받은 경우, 현재 인지된 IoT 디바이스가 LED 전등과 선풍기나 에어컨 그리고 IoT 지원 스피커가 연결되어 있다면, 바람과 조명의 밝기와 색 그리고 볼륨 제어가 가능하므로 IoT 시나리오 생성부는 아래와 같은 시나리오를 작성하여 해당 IoT 디바이스에 정해진 시간에 전송할 수 있다.
- 선풍기 또는 에어컨의 세기를 서서히 올리며(Start=242639~287717)
- 조명을 붉을 빛을 점점 밝게 진행하고(Start=247127~294341)
- 연결된 오디오 장치의 볼륨을 크게(Start=305327) 하였다가 다시 정상 볼륨으로 복귀시킬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의 기존 자막 파일에 보다 정확한 시청 환경을 제공하기 위하여 추가적인 IoT 제어 문자가 포함된 자막 파일을 제공할 수도 있다.
아래에서는 기존 제공 자막 파일에 IoT 제어 문자를 추가한 예를 나타낸다.
<SYNC Start=216993><P Class=ENUSCC>왕좌의 게임 5시즌 최종화<br><어머니신의 자비>
<SYNC Start=221993><P Class=ENUSCC>&nbsp;
<SYNC Start=242639><P Class=ENUSCC>바람을 조심하라
<SYNC Start=247127><P Class=ENUSCC>의 신께서<br>약속을 지키셨습니다
<SYNC Start=249763><P Class=ENUSCC>그 분의 이 눈을<br>녹여 없앴습니다
<SYNC Start=258805><P Class=ENUSCC>신께서 볼튼의 깃발이<br>타는 걸 보여주셨어요
<SYNC Start=287717><P Class=ENUSCC>대열을 정렬시키게
<SYNC Start=289252><P Class=ENUSCC>전하
<SYNC Start=294341><P Class=ENUSCC>새벽이, 가까워지고 있습니다
<-- IOT =light color=red dur=3s -->
<SYNC Start=295675><P Class=ENUSCC>어제 탈영이<br>많이 있었습니다
<SYNC Start=301898><P Class=ENUSCC>얼마나?
<SYNC Start=303600><P Class=ENUSCC>거의 반입니다
<SYNC Start=305327><P Class=ENUSCC>폭풍우가 몰려<br> 오고 있습니다.
<-- IOT =fan level=2 dur=3s -->
이러한 IoT 제어 문자를 포함하는 자막 파일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되지 않되, 연동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IoT 디바이스를 제어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실시예들은 별도의 투자비용 없이 설치되어 있는 IoT 디바이스와 자막 파일을 이용하여 동영상 감상 시 기존 환경에 비하여 보다 현장감과 현실감 있는 시청 환경을 제공하는 효과를 가진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컨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A(field programmabl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00, 200: 동영상 자막과 IoT 디바이스의 연동 시스템
110, 250: 동영상 재생 장치
120, 260: 디스플레이 장치
130, 270: IoT 디바이스
210: 자막 파일 수신부
220: IoT 자막 분석부
230: IoT 시나리오 생성부
240: 동작 시나리오 전송부

Claims (7)

  1. 재생되는 동영상 파일에 제공되는 자막 파일을 수신하는 자막 파일 수신부;
    수신된 상기 자막 파일에서 HTML 태그 정보를 포함한 제어 및 특수 문자를 제거하고 자막 내용을 대상으로 파싱 및 분석하는 IoT 자막 분석부;
    상기 자막 파일의 분석된 결과를 이용하여 기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IoT 디바이스에 전달하기 위한 동작 시나리오를 생성하는 IoT 시나리오 생성부; 및
    생성된 상기 동작 시나리오를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IoT 디바이스에 전송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IoT 디바이스를 동작시키는 동작 시나리오 전송부
    를 포함하고,
    상기 IoT 자막 분석부는,
    수신된 상기 자막 파일에서 HTML 태그 정보를 포함한 제어 및 특수 문자를 제거하고, 상기 제어 및 특수 문자가 제거된 자막 내용을 파싱 및 분석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IoT 디바이스의 동작을 위해 기설정된 문자와 매칭되는 문자를 인식하여, 인식된 상기 문자의 시간 정보를 획득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자막과 IoT 디바이스의 연동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IoT 시나리오 생성부는,
    인식된 상기 문자와 시간 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 수집하며 기설치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IoT 디바이스를 인지하고, 수집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문자와 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기설치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IoT 디바이스를 동작시키기 위한 동작 시나리오를 생성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자막과 IoT 디바이스의 연동 시스템.
  4. 재생되는 동영상 파일에 제공되는 자막 파일을 수신하는 자막 파일 수신부;
    수신된 상기 자막 파일에서 HTML 태그 정보를 포함한 제어 및 특수 문자를 제거하고 자막 내용을 대상으로 파싱 및 분석하는 IoT 자막 분석부;
    상기 자막 파일의 분석된 결과를 이용하여 기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IoT 디바이스에 전달하기 위한 동작 시나리오를 생성하는 IoT 시나리오 생성부; 및
    생성된 상기 동작 시나리오를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IoT 디바이스에 전송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IoT 디바이스를 동작시키는 동작 시나리오 전송부
    를 포함하고,
    사용자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IoT 디바이스를 동작시키는 상기 동작 시나리오를 IoT 제어 문자로 입력 받아, 상기 IoT 제어 문자가 추가된 자막 파일을 제공하는 IoT 제어 문자 입력부
    를 더 포함하는 동영상 자막과 IoT 디바이스의 연동 시스템.
  5. 재생되는 동영상 파일에 제공되는 자막 파일을 수신하는 자막 파일 수신부;
    수신된 상기 자막 파일에서 HTML 태그 정보를 포함한 제어 및 특수 문자를 제거하고 자막 내용을 대상으로 파싱 및 분석하는 IoT 자막 분석부;
    상기 자막 파일의 분석된 결과를 이용하여 기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IoT 디바이스에 전달하기 위한 동작 시나리오를 생성하는 IoT 시나리오 생성부; 및
    생성된 상기 동작 시나리오를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IoT 디바이스에 전송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IoT 디바이스를 동작시키는 동작 시나리오 전송부
    를 포함하고,
    동영상 자막과 IoT 디바이스의 연동 시스템은 동글(dongle)로 구현되어, 동영상 재생 장치, 상기 IoT 디바이스 또는 상기 IoT 디바이스와 연결된 공유기와 유무선 통신에 의해 연결되거나, 상기 동영상 재생 장치와 통합된 장치로 구현되며,
    상기 자막 파일 수신부는 상기 동영상 재생 장치의 구동에 따라 재생되는 동영상 파일에 제공되는 자막 파일을 수신하고, 상기 동작 시나리오 전송부는 생성된 상기 동작 시나리오를 연결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IoT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자막과 IoT 디바이스의 연동 시스템.
  6. 재생되는 동영상 파일에 제공되는 자막 파일을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상기 자막 파일에서 HTML 태그 정보를 포함한 제어 및 특수 문자를 제거하고 자막 내용을 대상으로 파싱 및 분석하는 단계;
    상기 자막 파일의 분석된 결과를 이용하여 기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IoT 디바이스에 전달하기 위한 동작 시나리오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생성된 상기 동작 시나리오를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IoT 디바이스에 전송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IoT 디바이스를 동작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자막 파일에서 HTML 태그 정보를 포함한 제어 및 특수 문자를 제거하고 자막 내용을 대상으로 파싱 및 분석하는 단계는,
    수신된 상기 자막 파일에서 HTML 태그 정보를 포함한 제어 및 특수 문자를 제거하는 단계;
    상기 제어 및 특수 문자가 제거된 자막 내용을 파싱 및 분석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IoT 디바이스의 동작을 위해 기설정된 문자와 매칭되는 문자를 인식하는 단계; 및
    인식된 상기 문자의 시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동영상 자막과 IoT 디바이스의 연동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자막 파일의 분석된 결과를 이용하여 기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IoT 디바이스에 전달하기 위한 동작 시나리오를 생성하는 단계는,
    인식된 상기 문자와 시간 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 수집하는 단계;
    기설치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IoT 디바이스를 인지하는 단계; 및
    수집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문자와 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기설치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IoT 디바이스를 동작시키기 위한 동작 시나리오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동영상 자막과 IoT 디바이스의 연동 방법.
KR1020160063582A 2016-05-24 2016-05-24 동영상 자막과 IoT 디바이스의 연동 방법 및 시스템 KR1018177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3582A KR101817757B1 (ko) 2016-05-24 2016-05-24 동영상 자막과 IoT 디바이스의 연동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3582A KR101817757B1 (ko) 2016-05-24 2016-05-24 동영상 자막과 IoT 디바이스의 연동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2561A KR20170132561A (ko) 2017-12-04
KR101817757B1 true KR101817757B1 (ko) 2018-02-21

Family

ID=609213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3582A KR101817757B1 (ko) 2016-05-24 2016-05-24 동영상 자막과 IoT 디바이스의 연동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775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7970B1 (ko) * 2019-05-24 2020-03-11 김병준 자막 및 번역 기능이 적용된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20898A (ja) 2009-03-24 2010-10-07 Toshiba Corp 外部機器制御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20898A (ja) 2009-03-24 2010-10-07 Toshiba Corp 外部機器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2561A (ko) 2017-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336796A1 (en) Video stream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computer device, and storage medium
CN107771395B (zh) 生成和发送用于虚拟现实的元数据的方法和装置
US9288531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compensating for disabilities when presenting a media asset
US9131280B2 (en) Customizing the display of information by parsing descriptive closed caption data
KR101571283B1 (ko) 그래픽 오브젝트를 이용한 증강 미디어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미디어 콘텐츠 송신 방법 및 장치, 및 수신 방법 및 장치
EP192814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linking basic device and extended devices
US20200074994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KR102277749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00046584A (ko) 영상 디코딩 방법, 영상 출력 방법, 영상 처리 방법 및 그 장치
KR20150083355A (ko) 증강 미디어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20140113405A (ko) 미디어 가공 메커니즘을 구비한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그 작동 방법
KR20160059162A (ko) 방송 수신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08777819A (zh) 一种基于浏览器播放器播放网页视频的控制方法及控制装置
US11438669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sign language interpretation of media stream data
US9009760B2 (en) Provisioning interactive video content from a video on-demand (VOD) server
EP3525475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generating summary image of electronic device
KR101817757B1 (ko) 동영상 자막과 IoT 디바이스의 연동 방법 및 시스템
KR20100034859A (ko) 엠펙4 단일 미디어 기반 멀티 디바이스 동영상 송/수신장치및 방법
WO2021049048A1 (ja) 映像提供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KR20050116916A (ko) 환경 정보를 포함하는 콘텐츠를 생성하고 재생하는 방법과그 재생 장치
KR101619153B1 (ko)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시각 또는 청각 장애인의 디지털 영상 콘텐츠 간편 시청 시스템 및 그 방법
US11546673B2 (en) Automatic video augmentation
US20230209102A1 (en)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for
Fernandez et al. ImmersiaTV: an end-to-end toolset to enable customizable and immersive multi-screen TV experiences
CN114007091A (zh) 一种视频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