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7492B1 - Multi-chamber vessel - Google Patents

Multi-chamber vesse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7492B1
KR101817492B1 KR1020157019002A KR20157019002A KR101817492B1 KR 101817492 B1 KR101817492 B1 KR 101817492B1 KR 1020157019002 A KR1020157019002 A KR 1020157019002A KR 20157019002 A KR20157019002 A KR 20157019002A KR 101817492 B1 KR101817492 B1 KR 1018174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inner container
compartment
bag
external fo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1900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099563A (en
Inventor
후지오 노가미
치하루 미야지마
야스히로 무라마쓰
Original Assignee
이에이 파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에이 파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이에이 파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995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956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74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749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05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for collecting, storing or administering blood, plasma or medical fluids ; Infusion or perfusion containers
    • A61J1/10Bag-type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1412Containers with closing means, e.g. caps
    • A61J1/1418Threaded ty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20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or mixing fluids, e.g. from vial to syringe
    • A61J1/2003Accessories used in combination with means for transfer or mixing of fluids, e.g. for activating fluid flow, separating fluids, filtering fluid or venting
    • A61J1/202Separ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20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or mixing fluids, e.g. from vial to syringe
    • A61J1/2093Containers having several compartments for products to be mix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20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or mixing fluids, e.g. from vial to syringe
    • A61J1/2003Accessories used in combination with means for transfer or mixing of fluids, e.g. for activating fluid flow, separating fluids, filtering fluid or venting
    • A61J1/202Separating means
    • A61J1/2024Separating means having peelable sea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matology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Package Specialized In Special Use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액 등에 사용하기 위한 복실 용기에 관한 것으로, 격실간의 약 시일부의 최초의 개통, 그에 이어지는 소형 용기의 약 시일부의 개통이라는 개통 순서를 확실하게 할 수 있고, 일부의 약제만으로 수액이 행하여진다는 오조작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복실 용기는 바깥주머니(10) 및 안주머니(32)를 구비하고, 바깥주머니(10)는 제 1 격벽으로서의 약 시일부(28)를 구비하고, 약 시일부(28)에 의해 바깥주머니 내부는 각각의 액상 약제를 수용하는 격실(29,30)로 구획된다. 안주머니(32)는 외주가 약 시일부(38)에 의해 봉지되어 내부에 약제를 수용한다. 약 시일부(38)는 그 전체 또는 일부가 하측 격실(30)을 배출 제어실(40)로부터 분리하는 제 2 격벽으로 된다. 격실(29,30)을 분리하는 약 시일부(28)를 개통시키는 외압으로부터 안주머니(32)의 약 시일부(38)를 개통시키는 외압이 크게 설정된다. 바깥주머니(10)를 수용하는 액상 약제에 대한 외압에 의해 최초에 약 시일부(28), 이어서 안주머니(32)의 개봉이 행하여진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artmented container for use in a liquid such as a liquid, and it is possible to ensure the opening order of the first opening of the weak seal portion between the compartments and the subsequent opening of the weak seal portion of the small container, So as to reliably prevent erroneous operations. The compartmented container has the outer bag 10 and the inner bag 32. The outer bag 10 has the weak seal portion 28 as the first partition and the inner portion of the outer bag is sealed by the weak seal portion 28, And a compartment (29, 30) for containing the liquid medicament. The inner pocket 32 is sealed by the weak seal portion 38 to receive the medicine therein. The weak seal portion 38 becomes a second bulkhead separating the lower compartment 30 from the discharge control chamber 40 in whole or in part. The external pressure for opening the weak seal portion 38 of the inner bag 32 from the external pressure for opening the weak seal portion 28 for separating the compartments 29 and 30 is set to a large value. The weak seal portion 28 and then the inner bag 32 are first opened by the external pressure against the liquid medicine containing the outer bag 10.

Description

복실 용기{MULTI-CHAMBER VESSEL}MULTI-CHAMBER VESSEL}

본 발명은 수액(輸液) 등에 사용하기 위한 가요성(연약) 합성 수지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백(bag)(주머니형체)으로서 구성되고, 내부를 박리 가능 용착부에 의해 간막이함으로써, 여러 종류의 약제를 개별적으로 수납하도록 한 복실 용기 및 그 시일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constituted as a bag (bag-shaped body) made of a flexible synthetic resin film for use in an infusion solution or the like, and the inside can be partitioned by a peelable fused portion, And a method of sealing the same.

수술 후 환자들을 위한 고칼로리 수액용의 수액 백으로서, 합성 수지 필름을 소재로 하여, 혼합에 의해 경시적인 품질 변화의 우려가 있는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액상 약제와, 포도당을 포함하는 액상 약제를 약 시일부(격벽)에 의해 구획된 별개의 격실에 분리 수용하여 두는 것이 최근에 널리 채용되고 있다. 수액시 직전에 한쪽의 약액 수용 부분을 외부에서 손바닥 등에 의해 가압함으로써 수액 백을 약 시일부와의 접속부에서 확개(擴開) 변형시켜서 약 시일부에 외압을 가함으로써 격실간을 분리하는 약 시일부의 박리 및 쌍방의 약제 혼합에 이르게 하여 수액에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2액 혼합형 수액 백의 개량으로서, 장기간에 걸쳐 수액을 계속하는 환자를 위해 비타민 등 미량 영양소의 보급으로 격실의 내부에 소형의 주머니형체를 수납한 것도 제안되고 있다(특허문헌 1 내지 3). 즉, 특허문헌 1 및 2의 기술에서는 복실 용기는 모두 합성 수지 필름으로 형성된 용기 본체와 용기 본체 내부에 수용된 소형 용기(내측 용기)로 이루어지고, 내측 용기는 외주가 대향면에서 약 시일되고, 이 약 시일부가 외측의 용기 본체의 대향면에 고착(固着)(강 시일)되어 있다. 그러므로, 격실간의 약 시일 개통시의 용기 본체의 대향면의 확개·이간은 내측 용기의 개봉으로 연결되어, 내측 용기에 수용되어 있던 약제는 격실에 수용되어 있던 약제와 혼합하게 되고, 배출구에서 배출(수액)하는 것이 가능해진다.A liquid bag for a high calorie liquid for patients after surgery, comprising a liquid pharmaceutical agent containing amino acid and a liquid pharmaceutical agent containing glucose, which is a synthetic resin film as a raw material and has a risk of quality change over time by mixing, (Baffle) in a separate compartment which is partitioned by a partition (partition). The liquid bag is widened at the connection portion with the weak seal portion by pressing one of the liquid containing portion of the liquid receiving portion with the palm or the like from the outside immediately before the liquid is injected to apply the external pressure to the weak seal portion to separate the compartment Peeling and mixing of the two drugs can be performed to provide the solution. As an improvement of such a two-liquid mixed sap, it has been proposed that a compact bag-shaped body is housed in a compartment by supplying micronutrients such as vitamins for patients who continue to take liquid over a long period of time (Patent Documents 1 to 3). That is, in the technologies of Patent Documents 1 and 2, all of the compartmented containers are composed of a container body formed of a synthetic resin film and a small container (inner container) housed inside the container body. And the weak seal portion is fixed to the opposing face of the outer container body (strong seal). Therefore, the expansion / contraction of the opposing face of the container body at the time of slight seal opening between the compartments is connected by the opening of the inner container, so that the medicine contained in the inner container is mixed with the medicine contained in the compartment, Liquid) can be obtained.

또한, 특허문헌 3의 기술에서는 소용기는 격실의 사이에 배치되어 폭 방향으로 연장하여 설치되어 있고, 소용기의 상하를 밀봉부(약 시일)로 하여 구성하고, 개봉부가 외측 용기의 대향면에 용착(강 시일)되어 있다. 그러므로, 격실 연통을 위한 외압에 의한 용기 확개시에 소용기의 개봉부가 박리·개통되어, 내측 용기에 수용되어 있던 약제는 격실에 수용되어 있던 약제와 혼합되고, 배출구에서 배출되기에 이른다.In the technique of Patent Document 3, the small-sized container is disposed between the compartments and extends in the width direction. The small container is constructed by sealing the upper and the lower portions of the container (weak seal), and the opening portion is welded (Strong seal). Therefore, the opening portion of the small container is peeled and opened at the start of opening of the container by the external pressure for the compartment communication, and the medicine contained in the inner container is mixed with the medicine contained in the compartment and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ort.

한편, 내측 용기를 구비한 것은 아니지만, 격실을 구획하기 위한 약 시일부(제 1 격벽)에 더하여, 이 약 시일부로부터 개통을 위한 외압값이 보다 큰 약 시일부(제 2 격벽)를 배출구에 근접하게 형성하고, 제 1 격벽의 개통에 의한 약액의 혼합, 이에 이어 가압에 의해 제 2 격벽의 개통을 더 일으키게 하여, 격실간 약제의 혼합을 확실하게 일으키게 하고 나서 배출을 행하도록 한 것이 제안되고 있다(특허문헌 4).On the other hand, in addition to the inner vessel, a weak seal portion (second partition) having a larger external pressure value for opening from the seal portion is formed in the discharge port in addition to the weak seal portion (first partition) It is proposed that the first partition wall is formed so that the mixing of the chemical solution by the opening of the first partition wall and then the opening of the second partition wall by pressurization are performed to surely cause the mixing of the inter-compartment medicine, (Patent Document 4).

특허문헌 1: 일본 특허공보 제4096200호Patent Document 1: 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4096200 특허문헌 2: 일본 특허공보 제4822860호Patent Document 2: 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4822860 특허문헌 3: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04-313487호Patent Document 3: JP-A-2004-313487 특허문헌 4: 일본 특허공보 제4236131호Patent Document 4: 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4236131

특허문헌 1 내지 3에서는 약 시일부의 개통은 배출구로부터 이간측의 격실에서의 약액 부분을 가압함으로써 행하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고, 따라서, 내측 용기는 가압되는 측의 격실에 형성되어 있고, 이에 의해 격실의 개통과 내측 용기의 개봉을 연동시킬 수 있다. 또한, 미개통인 채로 수액이 되지 않도록, 수액에 앞서 소정 부위(배출구로부터 이간측의 격실)에서 가압함으로써 개통 작업을 행하는 것의 필요성에 대한 설명서가 제품의 표면에 인쇄되어 있다. 그렇지만,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는 배출구측(하측)의 격실은 직접 배출구에 개구하고 있기 때문에, 개통을 행하지 않아도 수액 세트의 천자(穿刺)를 행하면 하측 격실로부터의 수액의 배출은 가능하고, 이 경우에는 수액의 혼합도 소량 약제의 도입도 되지 않은 채 수액이 행하여질 우려가 있다.In Patent Documents 1 to 3, it is assumed that the weak seal portion is opened by pressing the chemical liquid portion in the compartment on the side of the gap from the discharge port, and therefore the inner container is formed in the compartment on the side to be pressed, The opening and the opening of the inner container can be interlocked. Further, a description is given on the surface of the product for the necessity of performing the opening operation by pressing the predetermined portion (the compartment on the side closer to the outlet from the outlet) prior to the liquid so as to prevent the liquid from remaining untreated. However, in the prior art, since the compartment on the discharge side (lower side) is directly opened to the discharge port, it is possible to discharge the liquid from the lower compartment by puncturing the liquid set without opening. In this case,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liquid may be mixed without mixing the liquid or introducing a small amount of the medicament.

특허문헌 4는 격실간의 제 1 격벽에 더하여, 배출구의 앞에 제 2 격벽을 형성하고, 제 2 격벽의 박리 개통을 위한 외력을 제 1 격벽의 그것보다 크게 하여, 개통 순서를 제 1 격벽, 이어서 제 2 격벽으로 하고 있지만, 내측 용기를 구비한 것이 아니고, 내측 용기를 구비한 수액 백에서의 상기 문제점에 대한 해결책을 전혀 제시하고 있지 않다.In Patent Document 4, a second partition is formed in front of the discharge port in addition to the first partition between the compartments, and the external force for separation and opening of the second partition is made larger than that of the first partition, 2 barrier rib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provide an inner container, and does not provide any solution to the above problem in a liquid bag having an inner container.

본 발명은 내측 용기를 내장한 복실 용기에서의 이상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격실간의 제 1 격벽의 최초의 개통, 그에 이어지는 배출구 앞의 제 2 격벽의 개통이라는 개통 순서를 확실히 할 수 있고, 또한 내측 용기의 확실한 개통도 행하게 하여 일부의 약제만으로 수액이 행하여진다는 오조작의 가능성을 확실하게 배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mentioned problems in a compartment containing an inner container, and it is possible to ensure the opening sequence of the first opening of the first partition between the compartments and the subsequent opening of the second partition in front of the outlet, It is possible to securely open the inner container and to reliably exclude the possibility of an erroneous operation in which the liquid is sucked only with a part of the medicament.

본 발명의 복실 용기는 가요성 필름으로부터 주머니형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외측 용기와, 외측 용기의 외주부에 고착되고, 약제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와, 상기 배출구와 이간측에 있어서 외측 용기의 내부를 구획하고, 외측 용기로의 외력에 의해 개통 가능한 제 1 격벽과, 상기 배출구와 근접측에 있어서 외측 용기의 내부를 구획하고, 제 1 격벽을 개통시키는 외력보다 큰 외측 용기로의 외력에 의해 개통 가능한 제 2 격벽과, 제 1 격벽의 배출구로부터 이간측에 있어서 외측 용기 내부에 형성되고, 제 1 액상 약제를 수용하는 제 1 격실과, 제 1 격벽과 제 2 격벽간에 있어서 외측 용기 내부에 형성되고, 제 2 액상 약제를 수용하는 제 2 격실과, 제 2 격실과 배출구 사이에 있어서 외측 용기 내부에 형성되고, 또한 배출구와 연통한 배출 제어실과, 가요성 필름으로부터 형성되고, 제 2 격실의 배출구와 근접측에서의 배출 제어실의 내측에 배치되며 보조 약제를 수용하고, 외주를 따라 개봉 가능하게 구성된 밀봉부를 갖는 내측 용기와, 제 2 격실과 근접측을 따라 내측 용기를 외측 용기의 대향 내면에 고착하고, 내측 용기의 상기 밀봉부의 개통을 위한 외력을 부여하는 외력 부여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The compartmented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n outer container formed from a flexible film in a bag-like shape; a discharge port for discharging the medicine, which is fixed to the outer peripheral portion of the outer container; A first partition wall which can be opened by an external force to the outer container and a second partition which divides the inside of the outer container on the side close to the discharge port and which can be opened by an external force to an outer container larger than an external force for opening the first partition, A first compartment formed in the outer container at an interval from the discharge port of the first partition and accommodating the first liquid medicament and a second compartment formed in the outer container between the first partition and the second partition, A discharge compartment formed in the outer container between the second compartment and the discharge port and communicating with the discharge port, An inner container which is formed from a film and which is disposed inside the discharge control chamber on the side close to the discharge port of the second compartment and contains an auxiliary medicament and has a seal portion which is configured to be releasable along the outer periphery; And an external force applying portion for attaching the sealing portion to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container and for applying an external force for opening the sealing portion of the inner container.

내측 용기를 구성하는 가요성 필름은 약제 수용을 위한 공동부(空洞部)를 형성하기 위한 오목부를 가열 성형할 수 있다.The flexible film constituting the inner container may be thermoformed into a recess for forming a hollow portion for receiving the medicine.

제 2 격벽은 제 2 격실과의 근접측에서의 내측 용기의 밀봉부와, 내측 용기의 밀봉부의 제 2 격실과의 근접측 양단부를 외측 용기 측부에 제 2 격실과 배출 제어실을 분리하기 위해 연결하는 연결부에서 구성할 수 있다.The second partition wall has a sealing portion of the inner container on the side close to the second compartment and a connecting portion connecting the both side ends of the sealing portion of the inner container close to the second compartment to the side of the outer container for separating the second compartment and the discharge control chamber Can be configured.

외력 부여부를 따른 내측 용기의 제 2 격실측 단부에 있어서, 외력 부여부에서의 내측 용기의 외측 용기의 대향 내면으로의 고착부는 내측 용기의 상기 밀봉부로부터 제 2 격실측에 어느 정도 연장시킬 수 있다. 또한, 고착부를 내측 용기의 밀봉부와 실질적으로 겹치지 않도록 할 수 있다.At the second compartment side end portion of the inner container along the external force applying portion, the fixed portion of the inner container to the opposite inner surface of the outer container at the external force applying portion can be extended to some extent from the sealing portion to the second compartment of the inner container . Further,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ixing portion from substantially overlapping with the sealing portion of the inner container.

내측 용기의 밀봉부에서의 제 2 격실과의 이간측을 국부적으로 외측 용기의 대향면에 고착하는 보조적 외력 부여부를 형성할 수 있다. 보조적 외력 부여부(국부적 시일부)는 배출구를 끼우도록 한 쌍 설치할 수 있다.It is possible to form an auxiliary external force applying portion for locally securing the separated side of the sealed portion of the inner container with the second compartment to the opposing face of the outer container. Auxiliary external force application (local seal part) can be installed in pairs so as to fit the discharge port.

또한, 본 발명은 이상의 복실 용기의 시일 방법으로서, 격실과 이간측에서 외주가 미시일(未 Seal)의 외측 용기를 준비하는 동시에, 한편 내부에 보조 약제를 수용하여 외주를 밀봉부에 의해 밀봉한 내측 용기를 준비하고, 내측 용기를 상기 미 시일부에서 외측 용기에 삽입하고, 격실과 근접측에 있어서 내측 용기의 밀봉부를 외측 용기의 대향 내면과 용착함으로써 외력 부여부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실 용기의 시일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내측 용기를 구성하는 가요성 필름은 외력 부여부 형성을 위한 용착 온도보다 높은 용착 온도의 내층을 구비한 것이고, 또한, 내측 용기를 구성하는 가요성 필름은 격실과의 근접측에서의 밀봉부로부터 격실측에 연장하는 연장부를 구비하고, 외력 부여부의 형성을 위해 연장부도 커버하는 크기의 가열면을 구비한 시일 금형을 사용하여 외력 부여부의 시일을 행할 수 있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for sealing a compartmented container as described above, which comprises preparing an outer container with an outer sealant sealant at a gap side from the compartment and sealing the outer periphery with an encapsulating portion Wherein the inner container is inserted into the outer container from the unsealed portion and the sealed portion of the inner container is weld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container on the side close to the compartment to form an external force applying portion. To provide a sealing method. The flexible film constituting the inner container is provided with an inner layer having a deposition temperature higher than the deposition temperature for forming the external force application portion and the flexible film constituting the inner container is provided with a sealing film It is possible to seal the external force applying portion by using the seal mold having the extending portion extending to the actual side and having the heating surface of the size covering the extended portion for forming the external force applying portion.

복실 용기에서의 내측 용기의 제조시에는 평탄화된 주머니형 필름 시트의 폭 방향 중간부를 박리 가능하게 센터 시일하는 동시에 닫힌 양단을 컷트함으로써 개방하고, 시트 개방부를 통하여 센터 시일을 따르도록 주액 노즐을 삽입하고, 시일 금형에 의해, 시트에 박리 가능하게 사이드 시일 및 크로스 시일에 의한 보텀 시일을 형성함으로써 공동부를 구획 형성하고, 시트를 이송시킨 후에 공동부에 주액 노즐로부터 소정량의 약제를 주입하고, 크로스 시일에 의해 약제 주입 후의 공동부의 탑(top)측의 폐쇄를 행한다. 이와 같이, 시트의 이송과 적절히 협동시키면서, 사이드 시일 및 크로스 시일에 의한 보텀에서 폐쇄된 공동부의 구획 형성, 약제의 주입 및 크로스 시일에 의한 탑 폐쇄의 모든 공정을 반복하여, 시트를 약제 충전부의 연쇄체에 구성한다. 다음 공정에서 내측 용기로 했을 때 최외면이 되는 시트면에 보호막이 박리 가능하게 접착되어 있고, 외측 용기로의 장착시에 보호막은 박리된다.In manufacturing the inner container in the compartmented container, the middle portion in the widthwise direction of the flattened bag-shaped film sheet is peelably center-sealed, and both ends of the closed container are cut off to insert the infusion nozzle so as to follow the center seal through the sheet opening portion And a bottom seal is formed by a seal mold and a bottom seal so that the seal can be peeled off from the sheet by a seal mold. After a sheet is fed, a predetermined amount of medicament is injected into the cavity from the injection nozzle, To close the top of the cavity after drug injection. As described above, all the steps of formation of the closed space of the cavity closed at the bottom by the side seal and the cross seal, injection of the medicine, and top closure by the cross seal are repeated while cooperating properly with the transport of the sheet, . The protective film is peelably adhered to the sheet surface serving as the outermost surface when the inner container is used in the next step, and the protective film is peeled off at the time of attachment to the outer container.

약액을 주입하는 공동부는 시일시에 필름을 주액 노즐의 외경부(주액 본체)에서 시일 금형에 의해 가압 성형하여, 형상 고정된 공동부로 할 수 있다.The cavity for injecting the chemical liquid can be formed into a shape-fixed cavity by press-molding the film with the seal mold from the outer diameter portion of the injection nozzle at the time of sealing.

내측 용기를 제 2 격실과 배출 제어실 사이에서 외측 용기 내부에 배치하고, 또한 제 2 격실과 근접측을 따라 내측 용기를 외측 용기의 대향 내면에 고착하여 이루어지는 외력 부여부를 형성하고, 또한 개봉을 위한 외압을 제 1 격벽에 비해 제 2 격벽을 크게 함으로써, 제 1 격벽 개통에 후속한 제 2 격벽의 개통에 연동하여 내측 용기의 밀봉부를 개봉할 수 있고, 제 1 및 제 2 격실에 수용되어 있던 약제를 내측 용기에 수용되어 있던 약제와 확실하게 혼합하여 배출구에 도입할 수 있다.The inner container is disposed inside the outer container between the second compartment and the discharge control chamber and the outer container is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container along the side close to the second compartment, It is possible to open the sealed portion of the inner container in cooperation with the opening of the second partition wall following the opening of the first partition wall by opening the second partition wall as compared with the first partition wall, It can be mixed with the medicament contained in the inner container and introduced into the discharge port.

또한, 내측 용기의 밀봉부에서의 제 2 격실과의 근접측을 제 2 격벽의 형성에 관여시킴으로써 외력에 의한 내측 용기의 개봉 기능이 손상되지 않고, 외측 용기의 한정된 내부 공간의 유효 이용이 가능해지고, 한편, 내측 용기의 외표면은 실질적으로 전면(용착부 이외)에 있어서 배출 제어실에 개방인 채로 할 수 있고, 멸균시에 배출 제어실에 수용된 소량의 주사용수의 증기에 의해, 내측 용기 및 배출 제어실 내를 멸균할 수 있다. Further, by making the vicinity of the second compartment in the sealing portion of the inner container participate in the formation of the second partition wall, the opening function of the inner container due to the external force is not impaired and the limited internal space of the outer container can be effectively used On the other hand,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container can remain substantially open to the discharge control chamber on the front surface (other than the welded portion), and by the steam of a small amount of the injection water accommodated in the discharge control chamber at the time of sterilization, The inside can be sterilized.

외력 부여부에서의 내측 용기의 외측 용기의 대향 내면으로의 고착부 제 2 격실측을 향하여 연재시킴으로써, 개봉시에 있어서의 외측 용기를 구성하는 필름간의 확개에 의한 외력을 내측 용기의 밀봉부에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고, 효율적인 개봉에 이르게 할 수 있다.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the external force from expanding between the films constituting the outer container at the time of opening to the sealing portion of the inner container efficiently And can lead to efficient opening.

제 2 격실로부터의 이간측에 있어서 내측 용기의 밀봉부를 보조적 외력 부여부에 의해 국부적으로 외측 용기의 대향 내면에 고착함으로써, 제 2 격벽에 가해지는 외력을 내측 용기의 효율적인 개봉에 기여시킬 수 있다. 한편, 내측 용기는 외면에서는 실질적 전면에 있어서 배출 제어실에 노출된 채이고, 내측 용기의 상기 멸균 기능이 손상되는 경우는 없다. 또한, 보조적 외력 부여부는 용기 형상에 의해 내측 용기가 제 2 격실측에 끌려 들어가면 일어날 수 있는, 내측 용기의 자세 붕괴를 방지하고, 개봉시에 있어서의 내측 용기의 자세를 정확하게 유지하여, 내측 용기의 원활한 개봉 동작을 실현할 수 있다.The external force exerted on the second partition wall can be contributed to the efficient opening of the inner container by locally securing the sealed portion of the inner container on the opposite side from the second compartment to the opposite inner surface of the outer container. On the other hand, the inner container is exposed to the discharge control chamber on the substantial front surface at the outer surface, and the sterilization function of the inner container is not impaired. The auxiliary external force applying portion prevents the posture collapse of the inner container which can occur when the inner container is pulled by the second compartment side by the container shape and precisely maintains the posture of the inner container at the time of opening, The opening operation can be realized.

주머니형 필름 시트에서 시일·충전을 행하는 약제 충전부의 연쇄체로부터 내측 용기를 1개 1개 잘라내도록 함으로써, 내측 용기의 효율적인 제조가 가능해지고, 또한 시일시에 약제 수용을 위한 공동부를 가열 성형함으로써, 시트의 볼록면 형상이 고정화되고, 찌부러지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소량의 약제를 위한 소용적 부분을 확실하게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보호막에 의해 외측 용기로의 장착에 이르기까지의 사이에 있어서 이물의 부착 방지나 무균 상태를 확보할 수 있다.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manufacture the inner container by cutting the inner container one by one from the chain member of the drug packed portion to be sealed and filled in the bag-shaped film sheet, and by thermally molding the cavity portion for receiving the medicine at the time of sealing, The convex surface shape of the sheet is fixed and it is hard to crumble, so that a small-sized portion for a small amount of medicine can be surely secured.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adhesion of the foreign matter and ensure the sterility of the foreign matter during the time until the protective film is attached to the outer container.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서의 복실형 용기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II선에 따른 화살표 부분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III-III선에 따른 화살표 부분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IV-IV선에 따른 화살표 부분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복실형 용기의 제조 공정에서의 단계 (a) 내지 (c)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후속하는 단계 (d) 내지 (f)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5(C)의 VII-VII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외력 부여부로서의 강 시일부 형성시에 있어서의 시일 금형에 의한 바깥주머니를 구성하는 수지 소재에 대한 안주머니의 용착 공정 (a), (b)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서의 복실형 용기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IX-IX선에 따른 화살표 부분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서의 복실형 용기의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서의 복실형 용기의 평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XII-XII선에 따른 화살표 부분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1의 XIII-XIII선에 따른 화살표 부분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에서의 복실형 용기의 평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형태에서의 복실형 용기의 평면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XVI-XVI선에 따른 화살표 부분 단면도이다.
도 17은 도 16에서의 부분도이지만, 외력 부여부로서의 강 시일 형성시에 있어서의 시일 금형과 바깥주머니 및 안주머니의 위치 관계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형태에서의 복실형 용기의 평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 8 실시형태에서의 복실형 용기의 평면도이다.
도 20은 도 19의 복실 용기에서의 안주머니의 제조 장치의 개략적 측면도이다.
도 21은 도 19의 복실 용기에서의 안주머니의 제조 장치의 개략적 정면도이다.
도 22는 도 19의 복실 용기에서의 안주머니를 구성하는 필름의 모식적인 단면도이다.
도 23은 도 20의 XXIII-XXIII선에 따른 화살표 부분 단면도이다.
도 24는 도 20의 XXIV-XXIV선에 따른 화살표 부분 단면도이다.
도 25는 도 21의 XXV-XXV선에 따른 화살표 부분 단면도이다.
도 26은 도 20의 XXVI-XXVI선에 따른 화살표 부분 단면도이며, (a)는 시일 금형의 합체 전의 상태를 도시하고, (b)는 합체 후의 상태를 도시한다.
도 27은 도 21의 XXVII-XXVII선에 따른 화살표 부분 단면도이다.
1 is a plan view of a compartmentalized contain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II in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I-III in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V-IV in Fig.
Fig. 5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steps (a) to (c)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compartmentalized container of Fig. 1;
Figure 6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steps (d) to (f) subsequent to Figure 5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VII-VII in Fig. 5 (C), showing the step (a) of bonding the inner bag to the resin material constituting the outer bag by the seal mold at the time of forming the steel seal portion, , and (b), respectively.
8 is a plan view of a compartmentalized contain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X-IX in Fig.
10 is a plan view of a compartmentalized containe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plan view of a compartmentalized container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arrow along line XII-XII in Fig. 11. Fig.
1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XIII-XIII in Fig. 11; Fig.
14 is a plan view of a compartmentalized container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plan view of a compartmentalized container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XVI-XVI in Fig.
Fig. 17 is a partial view of Fig. 16, but schematically shows th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seal mold, the outer bag and the inner bag at the time of forming a strong seal as an external force application.
18 is a plan view of a compartmentalized container in a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9 is a plan view of a compartmentalized container in an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20 is a schematic side view of a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n inner bag in the compartment of Fig. 19;
21 is a schematic front view of a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n inner bag in the compartment of Fig. 19;
22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film constituting the inner bag in the compartmented container of Fig. 19;
FIG. 2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arrow along the line XXIII-XXIII in FIG. 20; FIG.
Fig. 2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XXIV-XXIV in Fig. 20; Fig.
Fig. 2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XXV-XXV in Fig. 21; Fig.
Fig. 2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XXVI-XXVI in Fig. 20, wherein (a) shows the state before the seal metal mold is combined, and (b) shows the state after the metal mold.
FIG. 2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XXVII-XXVII in FIG.

이하 수액용 백으로서 실시되는 본 발명의 복실 용기의 제 1 실시형태를 설명하면, 도 1에 있어서 도면부호 10은 인플레이션 등에 의해 성형된 바깥주머니(본 발명의 외측 용기)이며, 두께 200㎛의 폴리에틸렌 필름 등 다층 구조의 합성 수지 연질 필름(본 발명의 가요성 필름)을 소재로 한다. 바깥주머니(10)는 납작한 실질적인 직사각형을 이루고,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깥주머니(10)를 구성하는 합성 수지 연질 필름은 한 쌍(상하)의 필름편(12 및 14)을 구비하고 있고, 그 외연부(外緣部) 전체 둘레를 대향면을 따라 박리 불능 용착, 즉 강 시일함으로써 주머니형으로 형성하여 구성된다. 바깥주머니(10)를 따른 이 강 시일부를 도 1에서 부호 16으로 나타낸다. 강 시일부(16)의 용착시에는, 바깥주머니(10)의 약액 수용 부위를 외부에서 가압한 경우에도 시일면의 박리가 일어나지 않도록, 즉, 강 시일부(16)에 있어서는 대향 필름면의 완전 고착 상태가 유지되도록 용착 온도 및 용착 시간의 설정이 행하여지고 있다. 강 시일부(16)에는 바깥주머니(10)의 하부에서 배출구(18)가, 바깥주머니(10)의 상부에는 혼주구(混注口)(20)가 유밀(流密) 상태를 유지하도록 고착되어 있다. 바깥주머니(10)의 배출구(18) 및 혼주구(20)는 바깥주머니(10)를 구성하는 합성 수지 연질 필름과의 용착성을 높이기 위해서, 이와 동질의 소재로 금형으로 성형된다. 즉, 바깥주머니(10)가 폴리에틸렌을 소재로 하는 경우에는 배출구(18) 및 혼주구(20)도 폴리에틸렌을 소재로 형성된다. 배출구(18) 및 혼주구(20)는 상하의 필름편(12 및 14)에 박리 불능 용착함으로써 바깥주머니(10)와 일체화되어 있다. 바깥주머니(10)와 배출구(18) 및 혼주구(20)와 일체화를 위해, 바깥주머니(10)를 구성하는 필름편(12 및 14)은 배출구(18) 및 혼주구(20)를 끼워서 전체 둘레에서 액밀(液密)이 되도록, 또한 바깥주머니(10)의 외주의 강 시일부(16)와 이음새 없이 접속하도록 박리 불가능하게 용착(강 시일)되어 있다. 강 시일부(16)에서의 배출구(18), 혼주구(20) 각각의 용착부를 도면부호 16A,16B로 나타낸다(도 1). 배출구(18) 및 혼주구(20)는 그 통 형상을 유지할 수 있는 두꺼운 합성 수지의 금형 성형품이고, 그 구조는 기본적으로 같지만 배출구(18)에 대하여 설명하면 배출구(18)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 형상 본체(22)와 캡(24)과 고무 마개(26)를 구비하고, 통 형상 본체(22)는 선단부(22-1)가 상기의 용착부(16A)에 의해 바깥주머니(10)와 일체화되고, 통 형상 본체(22)는 테이퍼부(22-2)를 개재하여 바깥주머니(10)의 외부에 돌출하고, 통 형상 본체(22)의 단부에 캡(24)이 고무 마개(26)를 끼워서 고착(용착)되어 있다. 고무 마개(26)는 수액 세트의 니들(needle)을 천자하기 위한 것이다. 혼주구(20)(도 1)는 배출구(18)와 같은 구성을 갖는 것이고, 도시하지 않지만, 배출구(18)의 고무 마개(26)와 같은 고무 마개를 제공하고 있고, 혼주용 니들의 천자를 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A first embodiment of a compartmented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implemented as a liquid bag will be described. In Fig. 1, reference numeral 10 denotes an outer bag (outer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formed by inflation or the like, A flexible synthetic resin film (flexible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a multilayer structure such as a film is used as a material. 2 and 3, the synthetic resin soft film constituting the outer bag 10 has a pair of (upper and lower) film pieces 12 and 14 And is formed in a bag-like shape by releasably welding or peeling the entire circumference of the outer rim along the opposite face. This steel seal portion along the outer bag 10 is indicated by reference numeral 16 in Fig.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ealing surface from being peeled off even when the chemical-solution receiving portion of the outer bag 10 is pressurized from the outside at the time of melting the steel seal portion 16, The welding temperature and the welding time are set so that the fixed state is maintained. A discharge port 18 is fix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outer bag 10 and a mixing port 20 is fix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outer bag 10 so as to maintain an oil-tight state in the steel seal portion 16 have. The discharge port 18 and the mixing port 20 of the outer bag 10 are formed into a metal mold with the same material as the synthetic resin flexible film constituting the outer bag 10 in order to improve the weldability thereof. That is, when the outer bag 10 is made of polyethylene, the outlet 18 and the inner bag 20 are made of polyethylene. The discharge port 18 and the mixing port 20 are integrated with the outer bag 10 by releasably welding them to the upper and lower film pieces 12 and 14. The film pieces 12 and 14 constituting the outer bag 10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the discharge port 18 and the mixing port 20 in order to integrate the outer bag 10 with the discharge port 18 and the mixing port 20, Tightly adhered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outer bag 10 so as to be liquid tight at the periphery thereof and to be seamlessly connected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outer bag 10 without any seam. The welded portions of the discharge port 18 and the ferrule 20 in the steel seal portion 16 are denoted by reference numerals 16A and 16B (Fig. 1). The discharge port 18 and the mixing port 20 are thick molded products of a synthetic resin capable of retaining the shape of the cylinder and the structure thereof is basically the same. However, with respect to the discharge port 18, The tubular body 22 is provided with a tubular body 22 and a cap 24 and a rubber stopper 26. The tubular body 22 has a tip end 22-1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outer pocket And the tubular body 22 protrudes outside the outer bag 10 via the tapered portion 22-2 and the cap 24 is attached to the end of the tubular body 22 with a rubber stopper (Welded) by sandwich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plates 26. The rubber stopper 26 is for puncturing the needle of the liquid set. The mixing port 20 (Fig. 1) has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discharge port 18 and provides a rubber stopper, such as the rubber stopper 26 of the discharge port 18, though not shown, It is possible to do.

이 실시형태에서 강 시일부(박리 불능 용착부) 및 약 시일부(박리 가능 용착부)는 모두 필름 대향면을 용착함으로써 구성되지만, 단면(도 2, 도 3, 도 4 및 다른 실시형태이지만 도 9, 도 12, 도 13, 도 16, 및 도 17)에서는 명확화를 위해 강 시일부 및 약 시일부에서의 용착 부위는 굵은 선(강 시일은 실선, 약 시일은 파선)으로 나타내고 있다.In this embodiment, both of the steel seal portion (non-removable welded portion) and the weak seal portion (peelable welded portion) are formed by welding the film opposing surfaces. However, 9, 12, 13, 16, and 17), for the sake of clarity, the welded portions in the steel seal portion and the weak seal portion are shown by thick lines (steel seal is solid line and weak seal is broken line).

바깥주머니(10) 외주의 강 시일부(16)에서의 상부에는 수액시에 수액 스탠드에 현가하기 위한 개구부(27)(도 1)가 형성된다.An opening 27 (FIG. 1) is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outer periphery of the outer bag 10 in the steel seal portion 16 for suspension in the receiver.

도 1에 있어서, 도면부호 28은 바깥주머니(10)를 구성하는 상하의 필름편(12 및 14)을 대향면에서 박리 가능하게 용착하여 구성되는 약 시일부(본 발명의 제 1 격벽)이다(도 2 및 도 3 참조). 약 시일부(28)는 바깥주머니(10) 높이 방향의 중간 부위를 모든 폭에 걸쳐, 즉, 바깥주머니(10) 양측의 강 시일부(16)까지 강 시일부(16)와 유밀하게 일체 연접(連接)하도록 연장하여 설치되어 있고, 따라서, 바깥주머니(10)의 내부 공간은 상하의 제 1 및 제 2 격실(29,30)로 분리된다. 제 1 및 제 2 격실(29,30)에 액상 약제가 개별적으로(분리 상태로) 수용되지만, 액상 약제로서는 고칼로리 수액용의 경우에는 각각 아미노산을 함유하는 약액과 포도당을 함유하는 약액이다. 약 시일부(28)의 용착시에는, 격실(29,30)의 약액 수용 부위를 외부에서 가압한 경우에 있어서의 약 시일부(28)와의 접속부에서의 바깥주머니(10)의 확개 변형에 의해 시일면의 박리가 일어나도록 용착 온도 및 용착 시간이 적당하게 설정된다. 강 시일부(16)에 대해서도 약 시일부(28)에 대해서도 같은 폴리에틸렌 필름의 대향면들이기 때문에, 폴리에틸렌의 융점>강 시일부(16)의 시일 온도>약 시일부(28)의 시일 온도로 된다. 구체적으로는 폴리에틸렌 필름들의 강 시일부(16)(후술의 강 시일부(42)도)의 시일 온도는 150℃ 정도, 약 시일부(28)의 시일 온도는 130℃ 정도이다.1, reference numeral 28 denotes a weak seal portion (a first part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ormed by welding the upper and lower film pieces 12 and 14 constituting the outer bag 10 in such a manner that the upper and lower film pieces 12 and 14 are peelably welded 2 and Fig. 3). The weak seal portion 28 is formed so that the intermediate portion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outer bag 10 extends over the entire width, that is, the strong seal portion 16 on both sides of the outer bag 10, The inner space of the outer bag 10 is separated into the upper and lower first and second compartments 29 and 30. Although the liquid medicines are individually contained (separated) in the first and second compartments 29 and 30, the liquid medicament is a chemical solution containing a liquid medicine and glucose containing amino acids in the case of high calorie liquid. When the weak seal portion 28 is melted by the widening of the outer bag 10 at the connection portion with the weak seal portion 28 when the liquid containing portion of the compartments 29 and 30 is pressed from the outside The welding temperature and the welding time are appropriately set so that the peeling of the sealing surface occurs. The melting point of the polyethylene> the sealing temperature of the strong sealing portion 16> the sealing temperature of the sealing portion 28 because the opposing surfaces of the strong sealing portion 16 and the weak sealing portion 28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polyethylene film . Specifically, the seal temperature of the steel seal portion 16 of the polyethylene films (also the steel seal portion 42 described later) is about 150 占 폚, and the seal temperature of the seal portion 28 is about 130 占 폚.

안주머니(32)(본 발명의 내측 용기)는 고칼로리 수액용의 경우에는 비타민 등의 보조 약제를 수납하기 위한 것이다. 안주머니(32)는 평평한 가늘고 긴 직사각형을 이루며 바깥주머니(10)의 내부에서의 하측 격실(30)과 배출구(18) 사이에 수용되어 있다. 안주머니(32)는 후술의 외력 부여부(강 시일부(42))에 의해 바깥주머니(10)에 연결·고착되고, 바깥주머니(10)의 내부의 액압에 응동(應動)하여 개봉이 행하여진다. 강 시일부의 내측에 고착되어 강 시일부(16,42)와 중첩된 안주머니(32)의 외연(外緣)을 도 1에서 파선(32')으로 나타낸다. 안주머니(32)는 소재로서 바깥주머니(10)와 같이 다층 폴리에틸렌 필름에 의해 구성되는 것은 바깥주머니(10)와 같지만, 내약품성을 위한 약제와 직접 접촉하는 특수한 표면층을 구비한 것으로 할 수 있고, 예를 들면, 미량 또는 미량 약제가 비타민인 경우에는 다층 폴리에틸렌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기재층 위에 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COP) 표면층(안주머니(32)의 내면이 되는 층)을 형성할 수 있다. 기재층을 구성하는 폴리에틸렌층과 COP 수지층은 수지간의 강한 친화성에 의해 인플레이션 성형에 의한 가열하에서 견고하게 일체화된 상태로 주머니형으로 성형할 수 있다. 안주머니(32)를 구성하는 다층 필름의 구성에 대해서는 도 19에 도시한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도 23의 설명을 참조하기 바란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주머니(32)는 상하의 필름편(34,36)으로 이루어지고, 이 실시형태에서는 간단 명료를 위해 1액만을 수용하도록 되어 있고, 상하의 필름편(34,36)은 모든 둘레를 따라 용착되어 있고, 이 용착부는 약 시일부(38)(본 발명의 밀봉부)로서 구성되어 내부에 약제 수용실(39)을 형성하고, 여기에 비타민 등의 미량 약제가 수용된다. 안주머니(32)는 직사각형을 이루고 있기 때문에, 약 시일부(38)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양측부(38-1,38-2) 및 상하 측부(38-3,38-4)에서 구성된다. 그리고, 약 시일부(38)를 박리 개통시키기 위한 외력의 값은 격실(29,30) 사이의 약 시일부(28)를 박리 개통시키기 위한 외력의 값보다 적당히 커지도록 용착 온도 및 용착 시간이 설정된다. 이에 의해, 바깥주머니(10)에 대한 안주머니(32)의 후술 고착 구조에 의해, 외력에 의해 약 시일부(28)의 개통에 의한 격실(29,30) 사이의 약액의 혼합, 이어서 약 시일부(38)의 개통에 의한 혼합 약액으로의 미량 약제의 도입이라는 일련의 개통 순서의 확보를 행할 수 있다. 약 시일부(28)의 용착면은 폴리에틸렌 필름, 한편 약 시일부(38)의 용착면은 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이기 때문에 같은 박리 가능 시일에서도 용착 조건은 별개로 설정하고, 약 시일부(28)의 개통을 위한 외력<약 시일부(38)의 개통을 위한 외력으로 할 필요가 있다. 같은 개봉 가능한 약 시일부라도 격실(29,30) 사이를 구획하는 약 시일(28)은 폴리에틸렌 필름들이고, 상기한 바와 같이 온도로서 130℃ 정도이고, 한편 안주머니(32)의 약 시일부(38)의 시일 온도는 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들의 용착이며, 소재의 용융 온도가 높아지기 때문에 약 시일부(28)의 개통을 위한 외력<약 시일부(38)의 개통을 위한 외력으로 할 필요도 가미하면, 약 시일이라도 180℃ 정도로 높아진다.The inner pocket 32 (inner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contain an auxiliary medicament such as vitamins in the case of a high calorie liquid. The inner pocket 32 has a flat, elongated rectangular shape and is accommodated between the lower compartment 30 and the outlet 18 in the inside of the outer bag 10. The inner bag 32 is connected to and fixed to the outer bag 10 by an external force imparting portion 42 described later (a strong seal portion 42), is subjected to fluid pressure inside the outer bag 10, Loses. An outer edge of the inner bag 32 which is fixed to the inner side of the steel seal portion and overlapped with the steel seal portions 16 and 42 is shown by a broken line 32 'in FIG. The inner pouch 32 is made of a multilayer polyethylene film such as the outer pouch 10 as a material, but it can be provided with a special surface layer that is in direct contact with the medicament for chemical resistance, For example, when the trace amount or trace amount of the drug is vitamin, a surface layer of a cyclic polyolefin resin (COP) (the inner surface of the inner pouch 32) can be formed on the base layer made of the multilayer polyethylene film. The polyethylene layer and the COP resin layer constituting the substrate layer can be molded into a bag-like shape in a state of being firmly integrated under heating by inflation molding due to the strong affinity between the resins. For the construction of the multilayer film constituting the inner bag 32, see the description of Fig. 23 relating to another embodiment shown in Fig. As shown in Fig. 2, the inner bag 32 consists of upper and lower film pieces 34 and 36. In this embodiment, only one liquid is accommodated for clarity and the upper and lower film pieces 34, And the bonded portion is formed as a weak seal portion 38 (sealing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o form a medicine containing chamber 39 therein, and a trace amount of medicines such as vitamins are contained therein. Since the inner pocket 32 is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the weak seal portion 38 is formed in the left and right side portions 38-1 and 38-2 and the upper and lower side portions 38-3 and 38-4 . The value of the external force for separating and opening the weak seal portion 38 is set so that the welding temperature and the welding time are set so as to become larger than the value of the external force for separating and opening the weak seal portion 28 between the compartments 29, do. By the later-described fixing structure of the inner bag 32 with respect to the outer bag 10, mixing of the chemical liquid between the compartments 29, 30 due to the opening of the weak seal portion 28 by external force, It is possible to secure a sequence of opening sequence of introducing a trace amount of medicament into the mixed medicament solution by opening of the valve 38. Since the weld surface of the weak seal portion 28 is a polyethylene film and the weld surface of the weak seal portion 38 is an annular polyolefin based resin film, the welding conditions are set separately for the same peelable seal, It is necessary to set the external force for opening the &quot; weak seal portion 38 &quot; The weak seal 28 separating the compartments 29 and 30 from each other is a polyethylene film having a temperature of about 130 ° C. as described above while the weak seal portion 38 of the inner pocket 32 is sealed, The sealing temperature of the annular polyolefin based resin films is high and the melting temperature of the material is high. Therefore, if the external force for opening the weak seal portion 28 is required to be an external force for opening the weak seal portion 38, Even if the seal is about 180 ° C.

배출 제어실(40)은 하측 격실(30)과 배출구(18) 사이에서 외측 용기(10)의 내부에 형성되고, 또한 배출구(18)에 항상 개구하고 있다. 또한, 안주머니(32)와의 일반적 위치 관계이지만 제 2 격실(30)과 배출구(18) 사이에서 배출 제어실(40)의 내측에 안주머니(32)는 배치되어 있다.The discharge control chamber 40 is formed inside the outer vessel 10 between the lower compartment 30 and the discharge port 18 and is always open to the discharge port 18. The inner pocket 32 is disposed inside the discharge control chamber 40 between the second compartment 30 and the discharge port 18 although this is a general positional relationship with the inner pocket 32. [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의 바깥주머니(10)에 대한 안주머니(32)의 고착 구조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이 실시형태에서 안주머니(32)는 바깥주머니(10)의 모든 폭 가까이, 즉 바깥주머니(10)의 좌우 대향측 가장자리의 조금 앞까지 연장되어 있고, 바꾸어 말하면 안주머니(32)는 그 폭이 바깥주머니(10)의 폭보다 어느 정도 좁게 되어 있다. 도 5 및 도 6에서 후술하는 수액 백 제조 공정으로부터 명확해지겠지만, 안주머니(32)의 약 시일부(38)(밀봉부)의 상측부(38-3) 양단 및 좌우 양측부(38-1,38-2)는 외부 가장자리부가 바깥주머니를 구성하는 필름편(12,14)에 의해 끼워지고, 이 부위에서 강 시일부(16)는 그 폭이 어느 정도 넓게 취해져 폭광부(幅廣部)(16-1)를 구성하고 있다(안주머니(32)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면 폭넓게 하지 않고 동일한 폭인 채라도 좋다). 안주머니(32)의 약 시일부(38)의 상측부(38-3)의 폭 방향 양단은 강 시일부(16)의 폭광부(16-1)에서의 상하 필름편(12,14) 사이에서 강 시일됨으로써 일체화되고, 하측 격실(30)의 하부 가장자리가 구획되고 또한 하측 격실(30)과 배출 제어실(40)이 액밀적으로 격리된다. 즉, 안주머니(32)의 약 시일부(38)의 상측부(38-3)(내측 용기의 제 2 격실(30)과의 근접측에서의 약 시일부(38))와, 강 시일부(16)의 폭광부(16-1)(내측 용기의 제 2 격실(30)과의 근접측에서의 약 시일부(38)를 양단에서 외측 용기의 대향 외주 측부(16)에 하측 격실(30)과 배출 제어실(40)을 분리하기 위해 연결하는 본 발명의 연결부를 구성함)가 이 실시형태에서의 본 발명의 제 2 격벽을 구성한다. 즉, 하측 격실(30)은 제 1 격벽으로서의 약 시일부(28)와, 안주머니(32)의 약 시일부(38)의 상측부(38-3)가 강 시일(16)의 폭광부(16-1)에 일체화됨으로써 구성되는 제 2 격벽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배출 제어실(40)은 상술한 바와 같이 배출구(18)에 항상 개구하고 있지만, 이 실시형태에서는 안주머니(32)의 약 시일부(38)의 상측부(38-3)를 강 시일(16)의 폭광부(16-1)에 일체화함으로써 구성되는 제 2 격벽이 배출 제어실(40)의 상측을 구획하게 된다. 그리고, 배출 제어실(40)은 약 시일부(38)의 개통시에 격실(29,30)의 약액을 안주머니(32)의 소량 약제와 함께 배출구(18)에 유도하는 역활을 하게 된다. 안주머니(32)의 약 시일부(38)의 상측부(38-3)를 하측 격실(30)의 하부 가장자리가 되는 제 2 격벽과 겸용시킨 이 실시형태의 구조는 바깥주머니(10)의 한정된 내부 공간의 유효 이용이 가능해지고, 한편, 안주머니(32)의 외표면은 강 시일(16,42)과의 용착부(38-3,38-1,38-2,44) 이외에서 배출 제어실(40)에 개방인 채로이기 때문에 후술하는 바와 같이 안주머니(32)의 멸균에 유리하다. 그리고, 이 실시형태에서는 안주머니(32)의 약 시일부(38)의 좌우 양측부(38-1,38-2)도 폭광부(16-1)를 구성하는 필름편(12,14) 사이에 협착되어 강 시일되어 있다. 즉, 안주머니(32)의 상측부(38-3)의 양단과 용착하여 본 발명의 연결부를 구성하는 강 시일부(16)(폭광부(16-1))는 이에 연속하여, 안주머니(32)의 좌우 양측부(38-1,38-2)에도 강용착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 구조는 개통시에 안주머니(32)의 좌우 양측부(38-1,38-2)를 유지함으로써 안주머니(32)의 상측부(38-3) 및 하측부(38-4)에 외력을 집중적으로 가하여 그 개통에 이르게 하여 약액의 원활한 배출에 기여시킬 수 있는 점에서 유리하다.Next, a description will be given in detail of a fixing structure of the inner bag 32 with respect to the outer bag 10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embodiment, the inner bag 32 is formed so as to be close to all the widths of the outer bag 10, The width of the inner bag 32 is narrower than the width of the outer bag 10 to some extent. 5 and 6, the upper and lower ends 38-3 and 38-1 of the weak seal portion 38 (sealing portion) of the inner bag 32, 38-2 are sandwiched by the film pieces 12, 14 constituting the outer bag portion at the outer edge portion, and the width of the steel seal portion 16 at this portion is taken to be somewhat wide so as to form a widened portion 16-1). (If the inner pocket 32 can be held, it may be the same width without being wide.) The widthwise ends of the upper side portion 38-3 of the weak seal portion 38 of the inner bag 32 are sandwich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film pieces 12 and 14 of the thickened portion 16-1 of the steel seal portion 16 The bottom edge of the lower compartment 30 is partitioned and the lower compartment 30 and the discharge control chamber 40 are liquid-tightly separated. That is, the upper side portion 38-3 of the weak seal portion 38 of the inner bag 32 (the weak seal portion 38 on the side close to the second compartment 30 of the inner container) The weakened portion 16-1 of the inner container (the weak seal portion 38 on the side close to the second compartment 30 of the inner container is connected to the outer compartment side 16 of the outer container at both ends thereof) 40) constituting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constitute the second part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embodiment. That is, the lower compartment 30 has the weak seal portion 28 as the first partition and the upper portion 38-3 of the weak seal portion 38 of the inner pocket 32 are connected to the wide portion 16 -1) of the first barrier ribs. The upper side portion 38-3 of the weak seal portion 38 of the inner bag 32 is inserted into the discharge hole 18 of the strong seal 16 And the second partition formed by integrating the light with the wide-width portion 16-1 divides the upper side of the discharge control chamber 40. [ The discharge control chamber 40 serves to guide the chemical liquid in the compartments 29 and 30 to the discharge port 18 together with a small amount of medicament in the inner pocket 32 when the weak seal portion 38 is opened. The structure of this embodiment in which the upper side portion 38-3 of the weak seal portion 38 of the inner bag 32 is also used as the second partition wall which is the lower edge of the lower compartment 30,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pocket 32 can be effectively used in the discharge control chamber 40 (40) except for the welded portions 38-3, 38-1, 38-2, 44 with the steel seals 16, , It is advantageous for sterilizing the inner bag 32 as described later. In this embodiment, the left and right side portions 38-1 and 38-2 of the weak seal portion 38 of the inner bag 32 are also sandwiched between the film pieces 12 and 14 constituting the deepening portion 16-1 And is tightly sealed. That is, the strong seal portion 16 (the thickened portion 16-1), which is welded to both ends of the upper portion 38-3 of the inner bag 32 and constitutes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lso to both the right and left side portions 38-1 and 38-2. This structure holds the left and right side portions 38-1 and 38-2 of the inner bag 32 at the time of opening so that an external force is concentrated on the upper side portion 38-3 and the lower side portion 38-4 of the inner bag 32 So that it is possible to contribute to the smooth discharge of the chemical solution.

다음에, 바깥주머니(10)에 대한 외력에 의해 안주머니(32)를 개통시키기 위한, 바깥주머니(10)에 대한 안주머니(32)의 고착 구조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안주머니(32)는 외주를 따른 약 시일부(38)의 폭 방향에서의 좌우 양측부(38-1,38-2)(도 1)가 바깥주머니(10)의 강 시일부(16)(폭광부(16-1))를 구성하는 상하의 필름편(12 및 14) 사이에서 강용착되고, 또한 상측부(38-3)(도 1, 도 3 및 도 4)가 모든 폭을 따라 바깥주머니(10)의 상하의 필름편(12 및 14) 대향면에 강 시일(박리 불능 용착=고착)되어 있다. 안주머니(32)의 상측부(38-3)를 바깥주머니(10)의 대향면에 대한 강 시일부는 부호부호 42로 나타내고, 이 강 시일부(42)(본 발명의 외력 부여부)는 강 시일부(16)의 좌우 양측 부분에 일체 연접하도록 모든 폭을 따라 또한 안주머니(32)의 약 시일부(38)에서의 상측 측부(38-3)와 상하 거의 중첩되도록(도 2 및 도 3 참조) 연장하여 설치되어 있다. 강 시일부(42)에 의해, 바깥주머니(10)의 내부에 안주머니(32)가 제 2 격실과 근접측에서 고착되고, 또한 외부에서 가압함으로써 발생하는 액압을 받아 안주머니(32)를 확개·개통에 이르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안주머니(32)는 외주를 따른 약 시일부(38)에서의 하측 측부(38-4)(배출구(18)와 근접측)에 대해서는 다음에 설명하는 포인트 시일부(44)를 제외하고 바깥주머니(10)와는 프리(비용착)이다. 그러므로, 안주머니(32)의 외면에서의 비용착부를 배출 제어실(40)에 개구시킬 수 있다. 배출 제어실(40)에는 수액 백의 제조 공정에서의 습열하의 멸균을 위한 소량의 물을 충전할 수 있다. 그리고, 안주머니(32)는 외주를 따른 약 시일부(38)에서의 하측 측부(38-4)(안주머니(32)에서의 밀봉부의 제 2 격실(30)과의 이간측)에서의 폭 방향의 중앙 부위에서, 바깥주머니(10)의 대향면에 국부적으로 강 시일(소위 포인트 시일)되고, 이 국부적인 강 시일부(본 발명의 보조적 외력 부여부)를 도면부호 44로 나타낸다(도 2도 참조). 국부적인 강 시일부(44)는 외력에 의한 안주머니(32)의 전체 둘레의 개통 및 개통시의 자세 유지에 기여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외력 부여부로서의 강 시일부(42)는 바깥주머니(10)의 내면에 대한 안주머니(32)의 외면의 용착이기 때문에 폴리에틸렌들의 용착이며, 용착 온도는 상술한 바와 같이 150℃ 정도이고, 시일 금형 사이에서 협착하여도 환상 폴리올레핀들인 안주머니(32)의 내면들이 용착되는 경우는 없고, 강 시일부(42)와 안주머니의 약 시일부(38)(의 상측부(38-3))를 중첩된 실시형태의 배치로 하여도 약 시일부(38)는 약 시일부인 채로이다.Next, the fixing structure of the inner bag 32 with respect to the outer bag 10 for opening the inner bag 32 by an external force against the outer bag 1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inner bag 32 has an outer periphery The right and left side portions 38-1 and 38-2 (Fig. 1)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weak seal portion 38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tight seal portion 16 (the thickening portion 16-1) And the upper side 38-3 (Figs. 1, 3, and 4) are welded to the upper and lower film pieces 12 and 14 of the outer bag 10 along all widths 12 and 14) are opposed to each other by steel seals (non-removable welded = fixed). The upper sealed portion 38-3 of the inner bag 32 is denoted by the reference numeral 42 with respect to the opposing face of the outer bag 10 and the strong sealed portion 42 (See Figs. 2 and 3) along the entire width so as to be integrally joined to both the right and left side portions of the inner pocket 32 and the upper side portion 38-3 of the weak seal portion 38 of the inner pocket 32, And is extended. The inner seal pocket 32 is secured to the inside of the outer bag 10 by the steel seal part 42 on the side close to the second compartment and by the action of pressure externally, the inner bag 32 is widened and opened . The inner pouch 32 is attached to the lower side portion 38-4 (on the side close to the discharge port 18) of the weak seal portion 38 along the outer periphery, except for the point seal portion 44 to be described later, And is free from the bag 10. Therefore, the non-expendable portion on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bag 32 can be opened in the discharge control chamber 40. [ The discharge control chamber 40 can be filled with a small amount of water for sterilization under the humid atmosphere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liquid bag. The inner pouch 32 is disposed in the widthwise direction at the lower side portion 38-4 of the weak seal portion 38 along the outer periphery (the side away from the second compartment 30 of the sealing portion in the inner pocket 32) (So-called point seal) locally on the opposite face of the outer bag 10 at the central portion, and the local steel seal portion (whether or not the auxiliary external force applying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reference numeral 44 ). The local steel seal portion 44 can contribute to the opening of the entire periphery of the inner bag 32 by the external force and the posture at the time of opening. Since the steel seal part 42 as the external force applying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fusion of the polyethylene on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pocket 32 with respect to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bag 10 and the welding temperature is about 150 DEG C as described above, The inner surfaces of the inner pouch 32 which are the annular polyolefins are not welded even if they are stuck between the seal molds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inner surface The weak seal portion 38 remains the weak seal portion.

수액 백 개통시의 바깥주머니(10)로의 외력을 안주머니(32)에 그 개봉을 위해 전달하는 본 발명의 외력 부여부는 강 시일부(42)에 의해 구성되고, 강 시일부(42)는 안주머니(32)의 약 시일부(38)에서의 상측부(38-3)에 상하로 중첩되도록 폭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2 및 도 3의 단면도에 있어서 강 시일부(42)(대향면간의 용착부를 굵은 실선으로 나타냄)와 약 시일부(38)의 상측부(38-3)는 지면과 직교하여 실질적으로 모든 폭에 연장되어 있다. 안주머니(32)의 약 시일부(38)(대향면간의 용착부를 굵은 점선으로 나타냄)의 상측부(38-3)에서는, 실질적 모든 폭에 있어서 안주머니(32)를 구성하는 상하 합성 수지 필름편(34,36)의 단연부(端綠部)(34-1,36-1)는 바깥주머니(10)를 형성하는 상하 합성 수지 필름편(12,14)의 내면을 따라 격실(30) 안을 향하여 어느 정도 연장되어 있고, 이 단연부(34-1,36-1)는 바깥주머니(10)를 구성하는 상하 필름편(12,14)의 대향면에 모든 폭에서 강용착(강 시일부(42)에서의 단연부(34-1,36-1)의 용착부를 도면부호 42'로 나타냄)되고, 한편, 안주머니(32)를 구성하는 필름편(34,36)의 단연부(34-1,36-l)는 내면들이 당연히 분리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안주머니(32)를 구성하는 필름편(34,36) 사이의 내면들의 굵은 점선으로 나타낸 용착부(약 시일부(38)의 상측부(38-3))와 비교하여, 바깥주머니(10)를 구성하는 상하 필름편(12,14)의 내면과 안주머니(32)를 구성하는 필름편(34,36)의 외면의 굵은 실선으로 나타낸 용착부(강 시일부(42))는 보다 격실(3O) 측에 연장되어 있다. 바깥주머니(10)를 구성하는 상하 필름편(12,14)이 강 시일부(42)((42'))로 안주머니(32)를 구성하는 필름편(34,36)에서의 격실(3O)측의 연장부(34-1,36-1)에 강용착되어 있는 이 구성은 개봉시에 있어서의 바깥주머니(10)를 구성하는 필름편(12,14) 사이의 확개에 의한 외력을 격실측의 단연부(34-1,36-1)를 개재하여 안주머니(32)의 약 시일부(38), 특히, 안주머니(32)의 개봉 기점이 되는 상측 측부(38-3)에 효율적으로 전달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안주머니(32)의 개봉을 확실화하는 것에 도움이 될 수 있다. The external force application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transferring an external force to the outer bag 10 at the time of opening of the bag into the inner pocket 32 for opening the bag is constituted by the strong seal portion 42 and the strong seal portion 42 is constituted by the inner pocket 32 in the widthwise direction so as to overlap with the upper portion 38-3 of the weak seal portion 38 of the upper portion 38-3. 2 and 3, the steel seal portion 42 (the welded portion between the opposed surfaces is shown by a thick solid line) and the upper side portion 38-3 of the weak seal portion 38 are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ground It extends to all widths. The upper portion 38-3 of the weak seal portion 38 of the inner pouch 32 (indicated by the thick broken line between the opposite surfaces) has the upper and lower synthetic resin film pieces 34-1 and 36-1 of the upper and lower synthetic resin film pieces 34 and 36 are directed toward the inside of the compartment 30 along the inner surfaces of the upper and lower synthetic resin film pieces 12 and 14 forming the outer bag 10 And these edge portions 34-1 and 36-1 are welded to the opposing faces of the upper and lower film pieces 12 and 14 constituting the outer bag 10 by means of steel welding 34-1 and 36-1 of the film pieces 34 and 36 constituting the inner bag 32 are denoted by the reference numeral 42 ' 36-l), the inner surfaces are of course separated. In other words, compared with the bonded portion (the upper portion 38-3 of the weak seal portion 38) indicated by the thick dotted line of the inner surfaces between the film pieces 34 and 36 constituting the inner bag 32, (Welded portion 42) shown by a thick solid line on the inner surfaces of the upper and lower film pieces 12 and 14 and the outer surfaces of the film pieces 34 and 36 constituting the inner pocket 32 constitute the compartment (Not shown). The upper and lower film pieces 12 and 14 constituting the outer bag 10 are separated from the compartment 30 in the film pieces 34 and 36 constituting the inner bag 32 by the strong seal portions 42 and 42 ' This configuration, which is welded to the extensions 34-1 and 36-1 of the outer bag 10 at the time of unsealing, is characterized in that an external force due to the expansion between the film pieces 12 and 14 constituting the outer bag 10 at the time of unsealing,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transfer the weak seal portion 38 of the inner bag 32, particularly, to the upper side portion 38-3 serving as the opening origin of the inner bag 32 via the edge portions 34-1 and 36-1 , And may help to ensure the opening of the inner bag 32. [

본 발명에서는 안주머니(32)의 내면을 구성하는 수지층은 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 등이고, 또한 바깥주머니(10)와 같은 소재(폴리에틸렌)를 다층으로 한 구조(도 19의 실시형태에 관련하여 도 22를 참조 바람)이지만, 안주머니(32)의 내면을 구성하는 수지(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 등)는 그 용융 온도가 그 상층을 구성하는 수지(폴리에틸렌 등)의 용융 온도보다 상당히 높고, 따라서, 약제를 수용하여 외주(38)를 약 시일하여 완성된 안주머니(32)를 바깥주머니(10)의 내부에 수용하고, 시일 금구로 외부로부터 협착함으로써 바깥주머니(10) 내면과 안주머니(32) 외면 사이(실시형태에서는 폴리에틸렌 필름들)에서 강 시일(42,42',44)하여도(시일 온도는 150℃ 정도), 안주머니(32)의 내면들(실시형태에서는 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들)이 용착에 이르지 않고, 시일 금구의 온도에 의해 안주머니(32)의 약 시일부(38)(시일 온도는 180℃ 정도)의 적합한 약 시일 상태가 손상되어버리는 경우도 없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esin layer constituting the inner surface of the inner bag 32 is formed of a cyclic polyolefin resin film or the like and has a structure in which a material (polyethylene) like the outer bag 10 is formed into a multilayer (Such as a cyclic polyolefin resin) constituting the inner surface of the inner bag 32 has a melting temperature which is considerably higher than the melting temperature of the resin (such as polyethylene) constituting the upper layer, and therefore, The finished inner bag 32 is received in the outer bag 10 and is tightly sealed from the outside with a sealing metal so that the inner bag 32 is interposed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bag 10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bag 32 (Annular polyolefin-based resin films in the embodiment) do not reach to be welded even when the steel seals 42, 42 ', and 44 are made (the seal temperature is about 150 ° C) , From about anjumeoni seal 32 by the temperature of the metal part 38 there is if they are about the sealing state is damaged suitable (sealing temperature is about 180 ℃).

도 5 및 도 6의 (a) 내지 (f)는 제 1 실시형태의 수액 백의 제조 공정의 일례를 차례대로 설명하는 것이고, 통 형상 합성 수지 필름은 롤에 감겨 있고, 롤로부터 인출된 시트에 수액 백의 윤곽 형상에 따라 강 시일 및 약 시일을 행하고, 바깥주머니가 되는 소재(48)는 롤로부터 인출된 통 형상 폴리에틸렌 다층 필름 시트에 제품에서의 강 시일 및 약 시일이 되는 일부의 부위를 포함하여 미리 강 시일 및 약 시일을 실시하고(통 형상 시트의 상하 대향면을 용착하고), 그 후 바깥주머니(10)의 윤곽에 따라 트리밍한 것을 나타낸다. 소재(48)의 외주부는 여기저기에 강 시일되어 있고 이것은 제품의 강 시일부(16)(도 1)의 일부가 된다. 또한, 약 시일부(28)는 이미 형성되어 있다. 나중에 혼주구의 장착 부위가 되는 미시일부를 도면부호 48-1로 나타낸다.Figs. 5 and 6 (a) to 6 (f) illustrate one example of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liquid bag of the first embodiment in order. The tubular synthetic resin film is wound on a roll, The material 48 to be an outer bag is subjected to a process of forming a tubular polyethylene multilayered film sheet drawn out from the roll, including a steel seal in a product and a part of a part to be a weak seal,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tubular sheet are fused), and then trimmed according to the contour of the outer bag 10. The outer circumferential portion of the material 48 is tightly sealed in this place and becomes a part of the steel seal portion 16 (Fig. 1) of the product. Further, the weak seal portion 28 is already formed. A portion of the micro-part which will be the attachment part of the mouthpiece later is denoted by reference numeral 48-1.

다음의 공정 (b)는 미리 제조 왼료된 안주머니(32)의 삽입 공정을 나타낸다. 안주머니(32)는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외주를 약 시일부(38)로 하고, 내부에 미량 약제가 수납 완료되어 있고, 또한 표리면을 분리 가능한 보호막에 의해 피복한 상태로 제공된다. 안주머니(32)의 폭(W1)은 바깥주머니가 되는 소재(48)의 폭(W2)보다 어느 정도 좁게 취해져 있고, 바깥주머니의 배출구 장착측이 되는 소재(48)의 단부(48-2)는 미용착이며, 단부(48-2)에서의 상하 필름편 사이에 안주머니(32)가 표리면의 보호막을 박리한 후, 개별적으로 커트되어 소정 위치까지 삽입된다(화살표 A). 안주머니 제조 공정의 구체예에 대해서는 도 19의 실시형태와의 관련에서 후술한다.The next step (b) shows the inserting process of the previously prepared inner bag 32.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1 to 4, the inner pocket 32 has the outer periphery thereof as the weak seal portion 38,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pocket 32 is covered with a separable protective film Lt; / RTI &gt; The width W1 of the inner bag 32 is taken to be somewhat narrower than the width W2 of the material 48 to be the outer bag and the end 48-2 of the material 48 to be the outlet- The inner bag 32 is peeled off between the upper and lower film pieces at the end portion 48-2, and then the upper and lower films are separately cut and inserted to a predetermined position (indicated by arrow A). Specific examples of the inner bag manufacturing process will be described later in connection with the embodiment of Fig.

공정 (c)는 삽입 후의 안주머니 소재(48)에 대한 고착(강 시일) 공정을 나타내고, 대향하는 한 쌍의 가열면이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시일 금형의 협착에 의해 안주머니(32)의 외주 약 시일부(38)에서의 내측(격실측) 측부(38-3)가 바깥주머니 소재(48)의 대향 내면에 강용착되고, 강 시일부(42)(도 2 및 도 3의 도면부호 42'의 부위도 포함함)가 형성되며, 동시에 강 시일부(16)에서의 안주머니(32)의 측부(38-1,38-2)를 고착하고 있는 폭광부위(16-1)도 형성된다. 강 시일부(42)의 형성을 위한 시일 금형은 강 시일부의 크기에 준한 크기의 가열면을 가지고 있지만, 바깥주머니(10)를 구성하는 필름편(12,14)의 내면과 안주머니(32)를 구성하는 필름(34,36)의 외면은 폴리에틸렌 필름들이고, 상술한 바와 같이 15O℃ 정도의 온도에서, 시일 금형에 의해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안주머니(32)의 격실(30)의 측으로의 연장 단부(34-1,36-1)에 이르기까지 강 시일되어, 강 시일부(42)(도면부호 42'로 나타낸 부위도)가 형성된다. 시일 금형은 당연히 안주머니(32)를 구성하는 필름편(34,36)에서의 격실(30)의 측으로의 연장 단부(34-1,36-1)의 내면들도 가압하지만, 안주머니(32)의 내면을 구성하는 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용융 온도가 높기 때문에, 150℃ 정도에 가열한 시일 금형에서는 안주머니(32)를 구성하는 필름편(34,36)에서의 격실(30)의 측으로의 연장 단부(34-1,36-l)는 내면들에서는 용착되지 않는다. 또한, 안주머니(32)의 약 시일부(38)에도 시일 금형의 열이 가해지지만 약 시일부(38)는 약 시일인 채로이다.The step (c) shows a fixing (strong sealing) process to the inner bag material 48 after the insertion, and a pair of opposing heating surfaces are stuck to each other in the widthwise direction, The inner side (compartment side) side portion 38-3 of the portion 38 is strongly weld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opposite side of the outer bag material 48 and the strong seal portion 42 And a light-shielding portion 16-1 for fixing the side portions 38-1 and 38-2 of the inner bag 32 in the steel seal portion 16 is also formed. The seal mold for forming the steel seal part 42 has a heating surface of a size corresponding to the size of the steel seal part. However, the inner surface of the film pieces 12, 14 constituting the outer bag 10 and the inner pocket 32 The outer surfaces of the constituting films 34 and 36 are polyethylene films and are formed by the seal mold at a temperature of about 150 DEG C as described above to the side of the compartment 30 of the inner bag 32 shown in Figs. And is strongly sealed until reaching the extending end portions 34-1 and 36-1, so that a strong seal portion 42 (a portion indicated by the reference numeral 42 ') is formed. The seal mold naturally pressurizes the inner surfaces of the extending ends 34-1 and 36-1 of the film pieces 34 and 36 constituting the inner bag 32 toward the side of the compartment 30, The annular polyolefin resin constituting the inner surface has a high melting temperature and therefore the end portions of the film pieces 34 and 36 constituting the inner pocket 32 in the seal mold heated to about 150 ° C toward the side of the compartment 30 34-1, 36-1) are not welded on the inner surfaces. Further, the heat of the seal mold is applied to the weak seal portion 38 of the inner bag 32, while the weak seal portion 38 remains the weak seal.

도 7(a), (b)는 시일 금형에 의한 강 시일부(42)의 형성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금형은 상부 다이(102)와 하부 다이(104)(도 6의 지면 직교 방향으로 모든 폭에 연장됨)를 구비하고, 상술한 150℃ 정도라는 소정 온도에 가열된 상하의 다이(102,104) 사이에서 바깥주머니 소재(48)와 안주머니(32)가 협착되고, 바깥주머니 소재(48)와 안주머니(32)는 대향면에서 상하의 다이(102,104)에 의한 가열하에서 도 7(a)와 같이 밀착된다. 이때, 안주머니(32)를 구성하는 필름편(34,36)에서의 밀봉부(38-3)뿐만 아니라 밀봉부(38-3)로부터의 연장 단부(34-1,36-1)도 가열, 가압된다. 따라서, 밀봉부(38-3)의 외면뿐만 아니라 연장 단부(34-1,36-1)의 외면도 저용융 온도 특히 바깥주머니 소재(48)의 대향 내면에 강 시일된다. 그리고, 연장 단부(34-1,36-1)의 내면들은 고용융 온도층들이기 때문에 다이(102,104)에 의한 가열하에서의 가압에 관계없이 용착은 일어나지 않는다. 밀봉부(38-3)는 내면을 구성하는 수지 필름층의 고용융 온도(상술한 바와 같이 180℃ 정도)로 인해 시일 금형에서의 열에 관계없이 약 시일로서 유지된다. 소정 용착 시간 경과 후에 상하의 다이(102,104)가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간한다. 바깥주머니 소재(48)의 내면과 안주머니(32)의 외면이 강용착(굵은 실선)됨으로써 강 시일부(42)가 형성되고, 연장 단부(34-1,36-1)의 외면도 바깥주머니 소재(48)의 대향 내면에 강 시일(굵은 실선으로 나타냄)되며, 밀봉부(38)(하측 측부(38-4))는 약 시일(굵은 파선)인 채이고, 도 3에서의 바깥주머니(10)에 대한 안주머니(32)의 부착 구조가 얻어진다. 또한, 작도상 도 3과 도 7에서 위치 관계가 좌우 반대로 되어 있는 것에 주의 바란다.7A and 7B are sectional views schematically showing the formation of a steel seal portion 42 by a seal mold and the mold is divided into an upper die 102 and a lower die 104 The outer bag material 48 and the inner bag 32 are stuck between the upper and lower dies 102 and 104 heated to a predetermined temperature of about 150 DEG C and the outer bag material 48 is stuck, And the inner bag 32 ar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as shown in Fig. 7 (a) under the heating by the upper and lower dies 102 and 104 on the opposite surface. At this time, as well as the sealing portion 38-3 of the film pieces 34 and 36 constituting the inner bag 32, the extending end portions 34-1 and 36-1 from the sealing portion 38-3 are also heated, Lt; / RTI &gt; Therefore, not only the outer surface of the sealing portion 38-3, but also the outer surfaces of the extending end portions 34-1 and 36-1 are tightly sealed at the low melting temperature, particularly the opposite inner surfaces of the outer bag material 48. [ And, since the inner surfaces of the extending ends 34-1 and 36-1 are the high melting temperature layers, welding does not occur regardless of the pressing under heating by the dies 102 and 104. [ The sealing portion 38-3 is maintained as a weak seal regardless of the heat in the seal mold due to the high melting temperature (about 180 DEG C as described above) of the resin film layer constituting the inner surface. After the predetermined welding time has elapsed, the upper and lower dies 102 and 104 are separated as shown in Fig. 7 (b).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bag material 48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bag 32 are welded together (thick solid line) to form a steel seal portion 42. The outer surfaces of the extending ends 34-1, The sealing portion 38 (the lower side portion 38-4) is kept in a sealed state (thick broken line) on the opposite inner surface of the outer bag 10 in Fig. 3, The attachment structure of the inner bag 32 is obtained. It should be noted that the positional relationship is reversed in FIGS. 3 and 7 in the construction.

도 6에 도시한 공정(d)에서는 바깥주머니의 외주의 강 시일부(16)의 일부인 소재(48)의 배출구측의 단부(48-4)가 강 시일되고, 안주머니(32)를 배출구측에서 바깥주머니 대향면에 고착하는 포인트 시일부(44)(도 2)도 형성되지만, 도면부호 48-5의 부위는 배출구(18)의 장착용 개구부로서 미시일인 채로 남겨진다.In the step (d) shown in Fig. 6, the end portion 48-4 on the discharge port side of the material 48, which is a part of the steel seal portion 16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outer bag, A point seal portion 44 (Fig. 2) for fixing to the opposite face of the outer bag is also formed, but a portion indicated by reference numeral 48-5 is left as a mounting opening of the discharge port 18 to remain unfixed.

공정 (e)에서는 미시일 부위(48-5)로의 배출구(18)의 장착 및 강 시일이 되고, 이에 대해서는 도 1 및 도 2에 이미 설명한 바와 같고, 또한, 소재(48)의 상태로 미 시일인 채의 부위(48-1)(도 5(a)도 참조)에는 혼주구(20)가 삽입되고, 배출구(18)와 마찬가지로 강 시일되어, 강 시일부(16A,16B)(도 1도 참조)가 형성된다. 이에 의해, 배출 제어실(40)이 밀봉 형성된다. 배출 제어실(40)의 밀봉 형성에 앞서, 후술하는 습열하의 멸균을 위해 미량의 증류수의 충전이 행하여진다. 이 상태에서는 소재(48)의 부위(48-6,48-7)가 미시일인 채로 남아있다.In the step (e), the discharge port 18 to the microreaction site 48-5 is mounted and sealed, and this is the same as already described in Figs. 1 and 2, (See also Fig. 5 (a)), the mixing port 20 is inserted and is tightly sealed in the same manner as the discharge port 18, and the steel seal portions 16A and 16B ) Is formed. Thereby, the discharge control chamber 40 is sealed. Prior to the formation of the seal in the discharge control chamber 40, a small amount of distilled water is filled in for sterilization under the humid heat to be described later. In this state, the regions 48-6 and 48-7 of the material 48 remain unchanged.

다음의 공정에서는 소재(48)의 미시일 부위(48-6,48-7)에서 각각의 약액 충전이 행하여진다(화살표 B,C). 약액 충전은 동시에 행할 수 있다. 약액 충전 후에 미시일 부위(48-6,48-7)의 강 시일이 행하여지고, 각각의 약액을 충전한 격실(29,30)이 얻어진다. (f)는 수액 백으로서 완성된 것(도 1의 것과 같음)을 나타낸다.In the next step, the respective chemical liquids are filled at the micro portions 48-6 and 48-7 of the material 48 (arrows B and C). The chemical liquid filling can be performed at the same time. After the chemical liquid is filled, strong sealing of the microreactive portions 48-6 and 48-7 is performed, and compartments 29 and 30 filled with the respective chemical liquids are obtained. (f) shows a completed bag (as shown in Fig. 1).

완성된 수액 백은 이후 증기 멸균기에 의한 멸균 공정이 실시된다. 수액 백의 안주머니(32)는 측부위(38-1,38-2) 및 제 2 격실측의 측부(38-3)가 강 시일부(16,42)에 의해 바깥주머니 대향면에 고착되어 있지만, 배출구측의 측부(38-4)는 포인트 시일부(44)로 바깥주머니 대향면에 고착되어 있을 뿐이며, 안주머니(32)는 강 용착부를 제외한 그 모든 외면에서 배출 제어실(40)에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안주머니(32)의 외면은 습열하에서의 멸균을 받을 수 있다. 즉, 공정 (e)에서의 배출 제어실(40)로의 충전수는 증기 멸균기에서의 가열에 의해 증발하여 수증기가 되어 배출 제어실(40) 안에 충만하고, 안주머니(32)의 외면을 전면적으로 습열하에서 효율적으로 멸균할 수 있다.The finished bag is then sterilized by a steam sterilizer. The side portions 38-1 and 38-2 and the side portion 38-3 on the second compartment side are fixed to the face of the outer bag by the strong seal portions 16 and 42. However, Since the side portion 38-4 on the discharge port side is only fixed to the opposite face of the outer bag by the point seal portion 44 and the inner bag 32 is exposed to the discharge control chamber 40 on all the outer surfaces except for the strongly bonded portion ,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pocket 32 can be sterilized under humid heat. That is, the water filled in the discharge control chamber 40 in the step (e) is evaporated by the heating in the steam sterilizer to become steam and filled in the discharge control chamber 40, so that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pocket 32 can be efficiently Lt; / RTI &gt;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형태의 수액 백에 있어서 수액시의 개봉은 수액 백을 책상 등의 대(臺) 위에 탑재하여, 격실(29,30)의 약액 수용 부위의 한쪽 또는 양쪽을 외부에서 손바닥으로 가압하여 행한다. 혼주구(20)의 측의 격실(29)의 측만 가압을 행한 경우에는 바깥주머니(10)는 격실(29)측에서 약 시일(28)과의 접속 부위에서 확개되고, 격실(29,30) 사이를 구획하는 약 시일(28)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약 시일(28)을 최초로 개통시킨다. 이에 대하여 격실(29,30) 양쪽의 가압 또는 배출구(18)측의 격실(30)만 가압을 행한 경우, 바깥주머니(10)는 격실(30)측에서의 약 시일(28)의 접속 부위 및 약 시일(38)(상측부(38-3))로의 접속 부위에서도 확개된다. 약 시일(38)의 상측부(38-3)로의 접속 부위에 대한 힘 전달은 바깥주머니(10)를 구성하는 합성 수지 필름편이 강 시일부(42)에 의해 약 시일(38)의 상측부(38-3)에 고착되어 있는 것에 따른다. 그렇지만, 상기한 바와 같이, 약 시일부(38)를 박리 개통하는 외력>약 시일부(28)를 박리 개통시키는 외력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처음에는 격실(29,30) 사이를 구획하는 약 시일(28)이 박리하고, 더 계속되는 가압에 의해 약 시일(38)을 박리 개통시킨다. 즉, 약 시일(38)은 바깥주머니(10)로의 접속 부위인 상측부(38-3)를 기점으로 박리 개통되지만, 외부에서 계속되는 가압에 의한 바깥주머니(10)를 구성하는 합성 수지 필름편(12,14)의 확개에 의해 배출 제어실(40)측의 부위(38-4)에서도 박리 개통에 이른다. 그러므로, 상측 격실(29)에 수용된 약액 및 하측 격실(30)에 수용된 약액, 또한 안주머니(32)에 수용된 약제는 모두 배출구(18)로 유도할 수 있고, 약제가 미혼합으로 수액되어버릴 우려를 배제하고 있다.In the liquid bag according to the embodiment described above, the liquid bag is placed on a table such as a desk, and one or both of the liquid holding portions of the compartments 29 and 30 are pressed from the outside to the palm I do. The outer bag 10 is widened at the connection with the weak seal 28 at the side of the compartment 29 and the compartments 29 and 30 are opened at the side of the compartment 29. [ The weak seal 28 is first opened by an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weak seal 28 that separates the weak seal 28. [ When the compartments 30 on both sides of the compartments 29 and 30 are pressed only by the compartments 30 on the side of the compartments 29 and 30, the outer bag 10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weak seal 28 on the compartment 30 side, (The upper side portion 38-3). The force transmission to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weak seal 38 to the upper side portion 38-3 is such that the synthetic resin film piece constituting the outer bag 10 is stuck to the upper side portion 38C of the weak seal 38 38-3, respectively. However,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external force for separating and opening the weak seal portion 38> the external force for separating and opening the weak seal portion 28, the weak seal for separating between the compartments 29 and 30 28 are peeled off, and the weak seal 38 is peeled and opened by further pressing. That is, the weak seal 38 is peeled and opened from the upper side 38-3, which is the connection portion to the outer bag 10, but the synthetic resin film piece 38 constituting the outer bag 10 12, and 14, the separation and opening of the portion 38-4 on the side of the discharge control chamber 40 is achieved. Therefore, the chemical solution contained in the upper compartment 29, the chemical solution contained in the lower compartment 30, and the medicine contained in the inner pocket 32 can all be led to the discharge port 18, .

그리고, 도 2 및 도 3에서 단면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강 시일부(본 발명의 외력 부여부)(42)는 약 시일(38)의 상측부(38-3)를 따라 형성된다(도 2 및 도 3의 지면 직교 방향). 그리고, 안주머니(32)를 구성하는 상하 합성 수지 필름(34,36)의 단부(34-1,36-1)가 격실(30)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고, 격실(30)측으로의 연장 단부(34-1,36-1)에 이르기까지 바깥주머니(10)를 구성하는 상하 필름(12,14)의 내면에 강 시일되어 있고, 따라서, 수액 백 개통시의 바깥주머니(10)를 구성하는 상하 필름(12,14)의 확개에 의한 외력은 상하 필름(12,14)에 추종하여 확개하는 안주머니(32)를 구성하는 상하 필름 단부(34-1,36-1)를 개재하여, 안주머니(32)를 구성하는 상하 필름(34,36)의 내면들의 용착부인 약 시일부(38)의 상측부(38-3)에 효율적으로 전달되고, 여기를 개봉의 기점으로 안주머니(32)의 약 시일부(38)의 확실한 개봉을 촉구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 있어서 안주머니(32)의 약 시일부(38)는 좌우 양측부(38-1,38-2)에서도 강 시일부(16)(도 1의 폭광부(16-1))에 일체화되어 있는 구성에 의해, 외력이 약 시일부(38)에 가해질 때에 안주머니(32)가 바깥주머니(10)의 내면 대향부에 끌려가는 힘을 강 시일부(16)가 받고, 안주머니(32)가 내측에 끌려 들어가는 일이 없기 때문에, 수액의 흐름 방향인 약 시일부(38)의 위, 하측부(38-3,38-4)를 확실하게 개봉하여, 수액을 구석구석까지 배출구(18)로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안주머니(32)는 배출 제어실(42)측의 측부(38-4)에서 포인트 시일부(44)에 의해 바깥주머니 대향면에 강 시일되어 있기 때문에, 안주머니(32)의 모든 폭에서의 개통을 촉구하여, 수액을 구석구석까지 배출구(18)로 유도할 수 있고, 또한 개통시에 있어서 안주머니(32)가 배출구 이간측으로 끌려 들어가는 일이 없기 때문에 안주머니(32)의 자세를 적절하게 유지하는 것에도 도움이 될 수 있다.2 and 3, a steel seal portion (an external force applying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42 is formed along the upper side portion 38-3 of the weak seal 38 (see Fig. 2 And the plane orthogonal direction of Fig. 3). The ends 34-1 and 36-1 of the upper and lower synthetic resin films 34 and 36 constituting the inner bag 32 extend toward the compartment 30 and extend toward the compartment 30 The upper and lower films 12 and 14 constituting the outer bag 10 are tightly sealed to the inner surfaces of the upper and lower films 12 and 14 constituting the outer bag 10 at the time of opening of the infusion bag, The external force caused by the expansion of the upper and lower films 12 and 14 is transmitted to the inner pocket 32 through the upper and lower film end portions 34-1 and 36-1 constituting the inner pocket 32 expanding following the upper and lower films 12 and 14. [ Which is a bonded portion of the inner and outer surfaces of the upper and lower films 34 and 36 constituting the upper and lower films 34 and 36, 38 can be reliably opened. 1, the weak seal portion 38 of the inner bag 32 is attached to the strong seal portion 16 (the thickening portion 16-1 in Fig. 1) in both the right and left side portions 38-1 and 38-2. When the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weak seal portion 38, the strong seal portion 16 receives the force that the inner bag 32 is attracted to the inner surface facing portion of the outer bag 10,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38-3 and 38-4 of the weak seal portion 38 which is the flow direction of the liquid solution are surely opened and the liquid is supplied to the discharge port 18 to every corner, Lt; / RTI &gt; Since the inner bag 32 is tightly sealed to the outer bag facing surface by the point seal portion 44 at the side portion 38-4 on the side of the discharge control chamber 42, The inner bag 32 is prevented from being pulled to the side of the outlet port during the opening of the outlet port 18 so that the posture of the inner bag 32 can be appropriately maintained Can also help.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를 나타내고, 제 1 실시형태와의 차이점은 안주머니(32)의 상하 필름편(34,36)을 박리 가능하게 용착하는 약 시일부(60)(본 발명의 내측 용기 구획부)를 구비하고 있고, 약 시일부(60)에 의해 안주머니(32)의 내부는 좌우의 격실(62,64)로 구획되고, 각각의 격실(62,64)에 별도의 보조 약제를 수용할 수 있다. 그러므로, 바깥주머니(10)에서의 약액의 외부로부터의 가압하에서의 외력 부여부(강 시일부(42))에 의한 안주머니(32) 외주의 약 시일부(38)의 개봉시에 약 시일부(60)도 개봉되어, 격실(62,64) 안의 약제를 배출구(18)를 향하여서 배출할 수 있다.8 and 9 show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fference from the first embodiment is that a weak seal portion 60 (see FIG. 8) for peeling the upper and lower film pieces 34 and 36 of the inner pocket 32 The inside of the inner pocket 32 is partitioned into left and right compartments 62 and 64 by the weak seal portion 60 and separated into the compartments 62 and 64 separately Can be accommodated. Therefore, when the weak seal portion 38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inner bag 32 is opened by the external force application (strong seal portion 42) under pressure from the outside of the chemical liquid in the outer bag 10, So that the medicine in the compartments 62 and 64 can be discharged toward the discharge port 18.

도 10은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고, 바깥주머니(10)의 하단(10-1)(제 2 격실측)이 배출구(18)를 향하여 폭이 서서히 좁아진 형상을 하고 있다. 이 바깥주머니(10)의 하단부(10-1)에 안주머니(32)가 위치한다. 안주머니(32)가 외주를 따라 약 시일부(38)(본 발명의 밀봉부)를 갖고, 약 시일부(38)는 좌우 측부(38-1,38-2) 및 상하 측부(38-3,38-4)로 이루어진다. 좌우 측부(38-1,38-2)는 바깥주머니(10) 하단(10-1)의 형상에 따라 경사져 있지만, 강 시일부(16)에서의 폭광부(16-1)를 구성하는 상하 필름에 용착된다. 안주머니(32)의 약 시일부(38)의 격실(30)과의 근접측(상측 측부(38-3))과 강 시일(16)의 이 부위(16-1)에서 하측 격실(30)과 배출 제어실(40)을 격리하는 제 2 격벽이 형성되는 것은 같다. 또한, 바깥주머니(10)의 상하 필름편이 안주머니(32)의 약 시일부(38)의 상측 측부(38-3)에 중첩되도록 강용착 되어, 외력 부여부가 되는 강 시일부(42)를 구성하고 있는 것도 같다. 그리고, 이 실시형태에서는 안주머니(32)의 내부는 내측 용기 구획부로서의 약 시일부(60)에 의해 상하의 격실(72,74)로 구획되어 있다.Fig. 10 shows another embodiment, in which the lower end 10-1 (the second compartment side) of the outer bag 10 has a shape gradually narrowed toward the outlet 18. The inner bag 32 is positioned on the lower end 10-1 of the outer bag 10. [ The weak seal portion 32 has the weak seal portion 38 (sealing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long the outer periphery and the weak seal portion 38 has the left and right side portions 38-1 and 38-2 and the upper and lower side portions 38-3, 38-4). The left and right side portions 38-1 and 38-2 are inclined in accordance with the shape of the lower end 10-1 of the outer bag 10 but the upper and lower films 38-1 and 38-2 constituting the thickened portion 16-1 in the strong seal portion 16, Respectively. (Upper side portion 38-3) of the weak seal portion 38 of the inner bag 32 and the compartment 30 of the weak seal portion 32 and the portion 16-1 of the strong seal 16 form the lower compartment 30 The second partition wall for isolating the discharge control chamber 40 is formed. The upper and lower film pieces of the outer bag 10 are steel-welded to be superimposed on the upper side portion 38-3 of the weak seal portion 38 of the inner bag 32 to constitute a steel seal portion 42 to be an external force applying portion It is the same. In this embodiment, the inside of the inner bag 32 is partitioned into upper and lower compartments 72 and 74 by a weak seal portion 60 as an inner container dividing portion.

도 11은 또 다른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나타내고, 안주머니(32)는 외주의 약 시일부(38)(본 발명의 밀봉부)의 상측 부분(38-3)의 양단이 바깥주머니(10) 외주의 강 시일부(16)의 좌우 측부로부터 상당히 간격을 두고 종단(終端)하고 있다. 그리고, 안주머니(32) 외주의 약 시일부(38)의 양측 부분(38-1,38-2)의 하단도 바깥주머니(10) 외주의 강 시일부(16)의 하측부로부터 간격을 두고 종단하고 있다. 안주머니(32)는 약 시일부(38)의 상측 부분(38-3) 및 양측 부분(38-1,38-2)을 따라 바깥주머니(10)의 대향면에 강 시일되고, 이 강 시일부(42)가 본 발명의 외력 부여부를 구성하고, 바깥주머니(10)로의 외력에 의해 약 시일부(38)가 박리되어, 안주머니(32)의 개봉이 행하여지는 것은 제 1 실시형태와 같다. 그리고, 강 시일부(42)는 약 시일부(38)의 상측 부분(38-3) 및 양측 부분(38-1,38-2)의 하단을 넘어, 바깥주머니(10) 외주의 강 시일부(16)의 하측부까지 연장하여 설치되는 연장부(42-1,42-2)를 구비하고 있다(도 13도 참조). 연장부(42-1,42-2)는 바깥주머니를 구성하는 합성 수지 필름 대향부를 용착하고 있다. 즉, 이 실시형태에서는 약 시일부(38)의 상측 부분(38-3) 및 양측 부분(38-1 및 38-2)이 약 시일부(38)에서의 하측 격실(30)과의 근접측이 되지만, 강 시일부(42)에 연장부(42-1,42-2)를 형성함으로써 하측 격실(30)과 배출 제어실(40)이 유밀 분리되고, 즉, 강 시일부(42)의 연장부(42-1,42-2)가 내측 용기의 제 2 격실과의 근접측에서의 밀봉부(38-1,38-2 및 38-3)를 양단에서 외측 용기의 대향 외주 측부(강 시일부)(16)에 하측 격실(30)과 배출 제어실(40)을 분리하면서 연결하는 본 발명의 연결부를 구성하게 된다. 바꾸어 말하면, 약 시일부(38)의 상측 부분(38-3) 및 양측 부분(38-1,38-2)과 강 시일(42)의 연장부(42-1,42-2)가 협동함으로써 제 2 격실(30)과 배출 제어실(40)을 분리하는 본 발명의 제 2 격벽이 구성된다. 또한, 안주머니(32)는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약 시일부(60)(본 발명의 내측 용기 구획부)에 의해 내부를 각각이 보조 약제를 수용하는 격실(72,74)에 분리되어 있다(도 12도 참조).Fig. 11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ner bag 32 has a structure in which both ends of the upper portion 38-3 of the outer periphery weak seal portion 38 (sealing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terminated at a significantly spaced distance from the left and right side portions of the steel seal portion 16 of the first embodiment. The lower ends of the side portions 38-1 and 38-2 of the weak seal portion 38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inner bag 32 are also spaced apart from the lower side of the steel seal portion 16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outer bag 10, . The inner pocket 32 is tightly sealed to the opposing face of the outer bag 10 along the upper portion 38-3 and the both side portions 38-1 and 38-2 of the weak seal portion 38, It is the same as in the first embodiment that the inner sleeve 42 constitutes the external force applying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weak seal portion 38 is peeled off by the external force to the outer bag 10 so that the inner bag 32 is opened. The steel seal portion 42 extends beyond the lower ends of the upper portion 38-3 and the both side portions 38-1 and 38-2 of the weak seal portion 38 and is connected to the upper end portion 38-3 of the weak seal portion 38, And extension portions 42-1 and 42-2 extending to the lower side of the main body 16 (see Fig. 13). The extension portions 42-1 and 42-2 fuse the synthetic resin film opposing portions constituting the outer bag. That is, in this embodiment, the upper portion 38-3 and the both-side portions 38-1 and 38-2 of the weak seal portion 38 are located close to the lower compartment 30 in the weak seal portion 38 The lower compartment 30 and the discharge control chamber 40 are oil tightly separated by forming the extension portions 42-1 and 42-2 in the steel seal portion 42. That is, The portions 42-1 and 42-2 are arranged so that the sealing portions 38-1, 38-2 and 38-3 on the side close to the second compartment of the inner container are connected to the opposite outer peripheral side portions (strong sealing portions) The lower compartment 30 and the discharge control chamber 40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connected to each other. In other words, the upper portion 38-3 and both the side portions 38-1 and 38-2 of the weak seal portion 38 cooperate with the extension portions 42-1 and 42-2 of the steel seal 42 The second partition wall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eparating the second compartment 30 and the discharge control chamber 40 is constituted. Further, the inner bag 32 is divided into compartments 72 and 74, each of which houses therein the auxiliary medicament, by a weak seal portion 60 (an inner container dividing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extending in the transverse direction 12).

도 14는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고, 바깥주머니(10)의 폭이 좁혀진 하단부(10-1A)를 갖고 있고, 이 점은 도 10의 실시형태와 유사하지만, 도 14에서 하단부(10-lA)는 넥 형상으로 좁혀져 있고, 이 부위(10-1)에 안주머니(32)(강 시일부(16,42)와 중첩된 윤곽선을 파선으로 나타냄)가 수용된다. 안주머니(32)가 밀봉부(38(38-1,38-2,38-3 및 38-4))를 구비하고, 밀봉부(38)에서의 하측 격실(30)과 근접한 상측부(38-3)를 따라 강 시일부(42)는 바깥주머니(10)의 내면을 대향한 안주머니(32)(약 시일부(60)에 의해 상하의 격실(72,74)로 구획되어 있음)의 내면에 고착한 구성은 도 1 및 그 외의 실시형태와 차이가 없다. 또한, 밀봉부(38) 상측부(38-3)의 양단 및 좌우의 양측부(38-2)가 바깥주머니(10) 외주의 강 시일부(16)의 형성시에, 바깥주머니(10)를 구성하는 상하의 필름 사이에 협착되고, 유밀 구조를 얻는 구조에 대해서도 차이가 없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서 강 시일부(16)는 밀봉부(38)의 좌우 양측부(38-2)와의 고착부에서도 폭은 동일을 유지하고 있다.14 shows another embodiment and has a lower end portion 10-1A having a narrowed width of the outer bag 10. This point is similar to the embodiment of Fig. 10, but the lower end portion 10-lA of Fig. And the inner pocket 32 (the outline overlapped with the strong seal portions 16 and 42 is indicated by a broken line) is accommodated in this portion 10-1. The inner pouch 32 has the sealing portions 38 (38-1, 38-2, 38-3 and 38-4) and the upper side 38- 3, the steel seal portion 42 is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inner bag 32 (the upper and lower compartments 72 and 74 are partitioned by the weak seal portion 60) facing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bag 10 One configuration is not different from Fig. 1 and other embodiments. Both ends of the upper portion 38-3 of the sealing portion 38 and the both side portions 38-2 of the right and left sides of the sealing portion 38 are formed in the outer bag 10 at the time of forming the steel seal portion 16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outer bag 10, There is no difference in the structure for obtaining an oil-tight structure. In this embodiment, the width of the steel seal portion 16 is also the same at the fixed portions to the left and right side portions 38-2 of the sealing portion 38.

도 14의 실시형태에서는 안주머니(32)가 바깥주머니(10)의 넥 형상의 하단부(10-1A)에 수용되어 있고, 안주머니(32)가 소형화되어 치수 정밀도를 얻기 쉬워진다. 또한, 밀봉부(38)에서의 수액 유통 방향에서의 상하 측부(38-3,38-4)의 길이가 단축되고, 개통시의 응력이 보다 집중적으로 가해지기 때문에 안주머니(32)의 박리 개통이 용이하고 확실해진다.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4, the inner pocket 32 is accommodated in the lower end portion 10-1A of the neck of the outer bag 10, so that the inner pocket 32 can be made compact, and the dimensional precision can be easily obtained. In addition, since the length of the upper and lower side portions 38-3 and 38-4 in the liquid circulation direction in the sealing portion 38 is shortened and the stress at the time of opening is more intensively applied, Easy and clear.

이상의 실시형태에서 강 시일부(42)는 안주머니(32)의 밀봉부(38)에서의 하측 격실(30)과 근접측, 즉, 상측부(38-3)와 상하에 중첩되는(겹침), 또는 실질적으로 중첩되는(겸침) 고착(강용착) 구조를 채용하고 있지만, 강 시일부(42)가 밀봉부(38)의 상측부와 겹치지 않는 구조(강 시일부(42)에서의 대향 용착부가 실질적으로 격실(30)측에만 위치하는 구조)를 채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하에 이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 5는 도 1과 기본적으로는 같고, 안주머니(32)는 바깥주머니(10) 외주의 강 시일부(16)까지 연장되어 있고, 하측 격실(30) 배출실(40) 사이의 유밀 구조를 얻고 있다. 또한, 도 1과는 달리, 강 시일부(16)는 폭광부(16-1)는 구비하지 않고, 안주머니(32)의 양단은 강 시일부(16)를 구성하는 상부 필름 사이에서 협착·시일된다. 도 1과 마찬가지로 밀봉부(약 시일부)(38)는 좌우의 측부(38-1,38-2) 및 상하의 상하 측부(38-3,38-4)를 구비한다. 세로 방향의 약 시일부(60)에 의해 안주머니(32)의 내부는 좌우의 격실(62,64)로 구획되어 있다. 외력 부여부로서의 강 시일부(42)는 다른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바깥주머니(10)의 내면을 안주머니(32)의 대향 외면에 고착하지만, 강 시일부(42)는 밀봉부(38-3)로부터 격실(30)측에 어긋나 있고, 양자는 거의 또는 전혀 겹치지 않는 배치로 되어 있다. 즉,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깥주머니(10)를 구성하는 상하 필름(12,14)과 안주머니(32)를 구성하는 상하 합성 수지 필름편(34,36)의 강용착은 실질적으로 단연부(34-1,36-1)에서만 행하여지고 있다. 바깥주머니(10)를 구성하는 합성 수지 필름편(12,14)은 안주머니(32)를 구성하는 합성 수지 필름편(34,36)과는 밀봉부(38-3)에서는 용착되어 있지 않다.In the embodiment described above, the steel seal portion 42 is overlapped (overlapped) with the lower side compartment 30 and the upper side portion 38-3 of the inner side bag 32 at the sealing portion 38, The structure in which the steel seal portion 42 does not overlap with the upper portion of the seal portion 38 (the structure in which the opposed weld portion 42 in the steel seal portion 42 is not overlapped) 15 is basically the same as that of Fig. 1, and the inner pocket 32 is formed on the outer side Tight structure between the discharge chamber 40 of the lower compartment 30 and the oil seal portion 16 of the outer periphery of the bag 10 is obtained. 1, the strong seal portion 16 is not provided with the thickened portion 16-1, and both ends of the inner pocket 32 are stuck and sealed between the upper films constituting the strong seal portion 16, do. As in Fig. 1, the sealing portion (weak seal portion) 38 has left and right side portions 38-1 and 38-2 and upper and lower side portions 38-3 and 38-4. The inside of the inner pocket 32 is partitioned into left and right compartments 62 and 64 by the weak seal portion 6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steel seal portion 42 as the external force applying means fixes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bag 10 to the opposite outer surface of the inner bag 32 like the other embodiments, Are arranged on the side of the compartment 30 so that they are almost or not overlapped at all. That is, as shown in Fig. 16, the upper and lower films 12 and 14 constituting the outer bag 10 and the upper and lower synthetic resin film pieces 34 and 36 constituting the inner bag 32 are strongly welded (34-1, 36-1). The synthetic resin film pieces 12 and 14 constituting the outer bag 10 are not welded to the synthetic resin film pieces 34 and 36 constituting the inner bag 32 in the sealing portion 38-3.

도 17은 이 실시형태에서의 시일 금형에 의한 강 시일부(42)의 형성을 도 7(b)에 준하여 모식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소정 온도로 가열된 상하의 다이(102,104) 사이에서 바깥주머니(30)와 안주머니(32)가 협착되고, 바깥주머니(10)를 끼고, 안주머니(32)를 구성하는 필름편(34,36)에서의 밀봉부(38-3)로부터 제 2 격실(32)로의 연장 단부(34-1,36-1)의 가압이 행하여진다. 상하의 다이(102,104)는, 바깥주머니(10)와 안주머니(32)의 대향면의 가압은 연장 단부(34-1,36-1)로부터 밀봉부(38-3)측에서는 행하지 않는다. 따라서, 밀봉부(38-3)란 실질적으로 겹치지 않도록 연장 단부(34-1,36-1)가 바깥주머니(10)를 구성하는 상하 필름편(12,14)의 대향면에 용착되고(연장 단부(34-1,36-1)의 대향 내면들은 고용융 온도층들에서 용착은 일어나지 않음), 외력 부여부로서의 강 시일부(42)의 형성이 행하여진다(도 16).Fig. 17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formation of the steel seal portion 42 by the seal mold in this embodiment in accordance with Fig. 7 (b). In the upper and lower dies 102 and 104 heated to a predetermined temperature, The first compartment 30 and the inner pouch 32 are narrowed and the second compartment 32 is sealed from the sealing portion 38-3 of the film pieces 34 and 36 constituting the inner pocket 32 with the outer bag 10 interposed therebetween. The extension ends 34-1 and 36-1 are pressed. The upper and lower dies 102 and 104 do not press the opposing faces of the outer bag 10 and the inner bag 32 from the extending ends 34-1 and 36-1 to the sealing portion 38-3. Therefore, the sealing portions 38-3 are welded to the opposing faces of the upper and lower film pieces 12 and 14 constituting the outer bag 10 so that the sealing portions 38-3 do not substantially overlap, The opposite inner surfaces of the end portions 34-1 and 36-1 are not welded in the high melting temperature layers), and the strong seal portion 42 is formed as an external force applying portion (Fig. 16).

이 실시형태에서도, 개봉시에 있어서의 바깥주머니(10)를 구성하는 필름편(12,14) 사이의 확개에 의한 외력을 격실측의 단연부(34-1,36-1)를 개재하여 개봉부(38-3)에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기 때문에, 확실한 개봉을 실현할 수 있다. 그리고, 외력 부여부로서의 강 시일부(42)와 개봉부(38-3)가 중첩된 용착 구조의 비교에서는 강 시일부(42)와 개봉부(38-3)가 중첩된 구조의 경우에는, 도 3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착부가 상하로 4개소 중첩되고, 이 부위에서 용기가 단단해지기 쉽지만, 이 실시형태에서는 강 시일부(42)(굵은 실선)와 약 시일인 개봉부(38-3)(굵은 파선)는 중첩되지 않거나 실질상 중첩되지 않기 때문에 용기가 국부적으로 지나치게 단단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as well, the external force caused by the expansion between the film pieces 12, 14 constituting the outer bag 10 at the time of unsealing is transmitted to the unsealing portion (not shown) via the edge portions 34-1, 38-3), it is possible to realize a reliable opening. In the case of a structure in which the steel seal portion 42 and the open portion 38-3 are overlapped with each other in the comparison of the welding structure in which the steel seal portion 42 and the open portion 38-3 as the external force applying portion are overlapped, In this embodiment, the tight seal portion 42 (thick solid line) and the tight seal portion 38-3 (thick broken line) are formed i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Are not overlapped or substantially do not overlap,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ontainer from being excessively hardened locally.

도 18은 도 8의 실시형태의 변형 실시형태이며, 안주머니(32)의 밀봉부(약 실부)(38)는 좌우의 측부(38-1,38-2) 및 상하 측부(38-3,38-4)를 구비한다. 그렇지만, 안주머니(32)는 소형화되어 좌우의 폭이 좁게 되어 있고, 상하 측부(38-3,38-4)는 좌우 양측의 강 시일부(16)에 도달되지 않는다. 외력 부여부로서의 강 시일부(42)는 바깥주머니(10)의 내면을 밀봉부(38)의 상측부(38-3)에서 안주머니(32)의 외면에 강 시일한다. 강 시일부(42)는 밀봉부(38)의 상측부(38-3)를 넘은 부분(42A,42B)이 바깥주머니(10)의 좌우 양측의 강 시일부(16)까지 연장되며 여기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 격실(30)과 배출 제어실(40) 사이의 유밀 분리(본 발명의 제 2 격벽의 형성)는 안주머니(32)의 밀봉부(38)의 상측부(38-3)가 그 양측의 강 시일부(42)에서의 바깥주머니(10)의 상하 필름편을 용착하는 부분(42A,42B)을 개재하여 강 시일부(16)까지 연장되며 여기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음으로써 행하여지게 된다. 부분(42A,42B)은 바깥주머니(10)의 대향 내면을 박리 가능하게 용착하는 약 시일로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외력 부여부로서의 강 시일부(42)는 도 3 및 도 7에 준하여 안주머니(32)의 밀봉부(38)에서의 상측부(38-3)와 겹치는 구성으로 하고, 격실(30)과 배출 제어실(40)의 유밀 분리 상태를 확보할 수 있다. 즉, 강 시일부(42)가 도 16과 같이, 안주머니(32)의 밀봉부(38)에서의 상측부(38-3)와 중첩되지 않는 구조이면, 안주머니(32)의 밀봉부(38)의 상측부(38-3)와 강 시일부(42)의 부분(42A,42B)의 접속부에서 액 누출이 생기고, 본 발명의 제 2 격벽으로서의 기능이 상실하게 되므로, 그 기능 확보를 위해 시일부(42,38-3)의 중첩이 필요하다.18 is a modified embodiment of the embodiment of Fig. 8, in which the sealing portion (weak seal portion) 38 of the inner bag 32 has left and right side portions 38-1 and 38-2 and upper and lower side portions 38-3 and 38 -4). However, the inner pocket 32 is downsized so that the left and right widths are narrow, and the upper and lower side portions 38-3 and 38-4 do not reach the right and left strong seal portions 16, respectively. The steel seal portion 42 as the external force applying portion tightens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bag 10 to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bag 32 at the upper side portion 38-3 of the sealing portion 38. [ The portions 42A and 42B of the sealing portion 38 over the upper portion 38-3 of the sealing portion 38 extend to the steel sealing portions 16 on both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outer bag 10, Respectively. (The second partition wall of the present invention) between the compartment 30 and the discharge control chamber 40 is such that the upper portion 38-3 of the sealing portion 38 of the inner bag 32 is separated from the upper portion Is extended to the steel seal portion 16 through the portions 42A and 42B for welding the upper and lower film pieces of the outer bag 10 in the outer case 42 and is integrally connected thereto. The portions 42A and 42B can be configured as weak seals for releasably welding the opposite inner surfaces of the outer bag 10. 3 and 7, the upper end portion 38-3 of the sealing portion 38 of the inner bag 32 is overlapped with the upper end portion 38-3 of the sealing portion 38, The state of oil-tight separation of the oil pan 40 can be ensured. 16, the sealing portion 38 of the inner bag 32 is formed so as not to overlap with the upper portion 38-3 of the sealing portion 38 of the inner bag 32, Liquid leakage occurs at the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upper portion 38-3 of the upper seal portion 42 and the portions 42A and 42B of the strong seal portion 42 and the function as the second partition wal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ost. (42, 38-3).

도 19는 제 8 실시형태의 복실 용기를 나타내고 있고, 도 14의 실시형태와 비슷하지만, 약액 백 하부의 형상이 조금 다르고, 또한 바깥주머니(10) 안에 안주머니(32)를 고정하는 바깥주머니(10)의 강 용착부(16-1)의 형태에도 차이가 있다. 즉, 강 용착부(16-1)는 바깥주머니(10) 외주의 강 시일부(16)로부터 안주머니(32)를 향하여 폭이 좁은 선단부(16-1A)가 안주머니(32)의 상측(격실(30)측) 모퉁이부까지 연장하여 설치된다. 그리고, 안주머니(32)의 약 시일부(38)에서의 좌우 양측부(38-1,38-2)와 상측 측부(38-3)의 접속부가 강 용착부(16-1)에 의해 바깥주머니(10)에 고정되어 있다. 선단부(16-1A)로부터 배출구(18)측에서는, 안주머니(32)는 바깥주머니(10)에 대해서 기본적으로는 프리이지만, 안주머니(32)는 하측 측부(38-4)에서의 양단에서, 즉, 배출구(18)를 끼우도록 포인트 시일부(44-1,44-2)에 의해 바깥주머니(10)에 고정된다. 즉, 바깥주머니(10)의 상하 필름면은 안주머니(32)의 약 시일부(38)에서의 하측 측부(38-4)에 도면부호 44-1,44-2로 나타낸 국소적 부위에서 박리 불가능하게 강용착되어 있다. 도 14의 실시형태와 안주머니(32)는 바깥주머니(10)의 폭 방향으로 가늘고 긴 장방 형상을 이루고, 그 내부는 내측 용기 구획부로서의 약 시일부(60)에 의해 상하의 격실(72,74)로 구획되어 있다. 포인트 시일부(44-1,44-2)를 양측에 설치함으로써 도 6(d), (e)에서 설명한 배출구(18)의 장착시에 개구부(48-5)를 구성하는 필름간을 넓히기 쉬워져, 소정 위치로의 배출구(18)의 삽입을 보다 용이하고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Fig. 19 shows a compartmented container according to the eighth embodiment, which is similar to the embodiment of Fig. 14, except that the shape of the chemical liquid bag is slightly different, and the outer bag 10 The shape of the welded portion 16-1 of the welded portion 16 is also different. That is, the strong welded portion 16-1 is formed so that the tip portion 16-1A having a narrow width from the steel seal portion 16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outer bag 10 toward the inner pocket 32 is positioned above the inner pocket 32 30) side to the corner. The connection portions between the left and right side portions 38-1 and 38-2 and the upper side portion 38-3 of the weak seal portion 32 of the inner bag 32 are fastened to each other by the welded portion 16-1, (Not shown). The inner bag 32 is basically free from the outer bag 10 on the side of the discharge port 18 from the tip 16-1A. The inner bag 32 is disposed at both ends of the lower side 38-4, And is fixed to the outer bag 10 by the point seal portions 44-1 and 44-2 so as to sandwich the discharge port 18. [ That is, the upper and lower film surfaces of the outer bag 10 can not be peeled off from the local portion indicated by reference numerals 44-1 and 44-2 on the lower side portion 38-4 of the weak seal portion 38 of the inner bag 32 . 14 and the inner bag 32 form a rectangular shape elongat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outer bag 10 and the interior thereof is surrounded by upper and lower compartments 72 and 74 by a weak seal portion 60 as an inner container dividing portion. Respectively. By providing the point sealing portions 44-1 and 44-2 on both sides, it is easy to widen the film constituting the opening 48-5 at the time of mounting the discharge port 18 described in Figs. 6 (d) and 6 (e) So that it is possible to more easily and reliably insert the discharge port 18 into the predetermined position.

다음에, 이 제 8 실시형태에서의 안주머니(32)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면, 도 20 및 도 21에서 안주머니(32)를 구성하는 통 형상 시트상 소재(80)는 인플레이션 등에 의해 성형된 롤(R)에 감겨 있다. 도 22는 시트상 소재(80)를 구성하는 필름(F)의 단면 형상을 모식적으로 도시하고 있고, 다층 폴리에틸렌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폴리에틸렌 기재층(F1)의 한 면(안주머니(32)의 내면이 되는 층)에 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C0P)층(F2)을 형성하고, 다른 면(안주머니(32)의 외면이 되는 층)에 폴리아미드 수지(나일론)로 이루어지는 보호막(F3)을 박리 가능하게 접착하여 이루어진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R)로부터 시트상 소재(80)를 인출하기 위한 구동부(82-1,82-2)가 하류측에 설치된다. 구동부(82-1,82-2)는 적절한 구동 장치를 구비하고 있고, 롤(R)로부터 시트상 소재(80)의 소기(所期)의 인출 운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소재(80)의 인플레이션시에 필름(F)을 구성하는 폴리에틸렌 기재층(F1), 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COP)층(F2) 및 보호막이 되는 폴리아미드 수지층(F3)은 다중 용융 압출 노즐을 사용함으로써 형성되지만, 폴리아미드 수지층(F3)은 기재층(F1)에 대해서는 일체화될 정도의 친화성은 없지만, 상호의 점착(박리는 가능)은 유지하여 인플레이션이 행하여진다. 이 때문에, 통 형상 시트상 소재(80)에 대한 이하에 설명하는 안주머니 연쇄체 성형 공정에 있어서 폴리아미드 수지층(F3)(보호막)은 점착된 채로 유지된다. 보호막(F3)은 폴리에틸렌 기재층과 친화성이 약한 수지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폴리프로필렌,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Next,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inner bag 32 in the eighth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Fig. 20 and Fig. 21, the cylindrical sheet-like material 80 constituting the inner bag 32 is rolled R). 22 schematically shows a cross-sectional shape of the film F constituting the sheet-like material 80. One surface of the polyethylene base layer F 1 made of a multilayer polyethylene film (the inner surface of the inner bag 32) the layer) (to form a C0P) layer (F 2), the other side (anjumeoni 32 cyclic polyolefin-based resin can be peeled off the protective film (F 3) consisting of a polyamide resin (nylon) in the layer which is the outer surface of) Respectively. As shown in Fig. 20, driving portions 82-1 and 82-2 for pulling out the sheet-like material 80 from the roll R are provided on the downstream side. The driving units 82-1 and 82-2 are provided with suitable driving devices and are configured to control the drawing movement of the sheet material 80 from the roll R in a predetermined period. The polyethylene base layer F 1 constituting the film F, the cyclic polyolefin resin (COP) layer F 2 and the polyamide resin layer F 3 constituting the protective film during the inflation of the material 80 But the polyamide resin layer F 3 is not affinity enough to be integrated with the base layer F 1 , but inflation is performed by maintaining mutual adhesion (which can be peeled off) . For this reason, the polyamide resin layer (protective film) F 3 is kept adhered to the cylindrical sheet-like material 80 in the process of molding the sachet chain product described below. The protective film (F 3 )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a resin having a weak affinity with the polyethylene base layer, and polypropylene, ethylene vinyl alcohol copolymer and the like may be used.

도 23은 롤(R)로부터 인출된 직후의 시트상 소재(80)의 단면 형상을 모식적으로 도시하고 있고, 편평하지만 양단이 닫힌 주머니형을 하고 있고, 시트상 소재(80)의 대향 내면이 도 22에서의 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COP)층(F2)으로 되어 있다.23 schematically shows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sheet-like material 80 immediately after being drawn out from the roll R and has a flat shape but closed at both ends. The inner surface of the sheet- there is a cyclic polyolefin resin (COP) layer (F 2) in Fig.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롤러(84,85) 사이에 센터용 시일 장치(금형)(86-1,86-2)가 배치되고, 금형(86-1,86-2)의 개소에서 일단 정지된 시트상 소재(78)는 시일 금형(86-1,86-2)이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합체함으로써 내면(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COP)층(F2))들이 폭 방향의 중심으로 소정 폭으로 박리 가능 용착(약 시일)된다. 시일 금형(86-1,86-2)의 개방 상태에서의 가열면 길이만큼의 이동 및 이에 계속되는 시일 금형(86-1,86-2)의 합체에 의한 시일의 반복에 의해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 시일부(센터 시일)(80A)는 시트상 소재(78)의 중심선을 따르도록 모든 길이에 걸쳐 형성되고, 도 19에서의 작은 주머니(38)의 약 시일부(60)가 된다. 센터 시일(80A)을 형성하는 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COP)층(F2)들의 약 시일 온도는 도면의 실시형태에 관련하여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180℃ 정도이다.As shown in FIG. 20, center sealing devices (molds) 86-1 and 86-2 are disposed between the guide rollers 84 and 85, the still sheet-like material (78) sealing the mold (86-1,86-2), the center of the inner surface by polymer, as shown (cyclic polyolefin-based resin (COP) layer (F 2)) to the width direction in FIG. 24 (Approximately sealed) in a predetermined width. By the movement of the heating molds 86-1 and 86-2 by the length of the heating surface in the open state and the subsequent sealing by the combination of the sealing dies 86-1 and 86-2, The weak seal portion (center seal) 80A is formed over all lengths along the center line of the sheet-like material 78 and becomes the weak seal portion 60 of the small pouch 38 in Fig. About the seal temperature of the center seal cyclic polyolefin-based resin to form the (80A) (COP) layer (F 2) is on the order of 180 ℃ as described above in connection with the embodiment of the figure.

가이드 롤러(84-2)의 하류에 커터(88)가 배치되고, 커터(88)에 의해 시트상 소재(80)가 그 폭 방향의 양쪽 단연부가 절제되고, 시트상 소재(80)는 그 양측에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부(80B-1,80B-2)를 형성한다.The cutter 88 is disposed downstream of the guide roller 84-2 and both ends of the sheet material 80 in the width direction are cut off by the cutter 88. The sheet material 80 is cut on both sides The opening portions 80B-1 and 80B-2 are formed as shown in Fig.

도 20에서 커터(88)의 하류에는 시트상 소재(80)의 이동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원형 주상(기둥 형상)의 주액 본체(90-1,90-2)(후술하는 바와 같이 시트에 볼록면 형상을 부여하기 위한 성형 금형으로서도 도움이 됨)가 배치되고, 주액 본체(90-1,90-2)는 양측으로부터 시트상 소재(80)의 개구부(80B-1,80B-2)를 개재하여 시트상 소재(80)의 내부에서 센터 시일(80A)을 따르도록 삽입 위치되어 있다(도 26(a)도 참조). 통 형상을 이루는 주액 본체(90-1,90-2)에 그 중심선을 따라 모든 길이를 넘어 주액 노즐(92-1,92-2)이 삽입 고정되어 있다. 액 노즐(92-1,92-2)의 상단은 액상 약제의 공급관(93-1,93-2)(도 21)에 접속되고, 약제 공급관(93-1,93-2)은 시트상 소재(80)의 개구부(80B-1,80B-2)로부터 외부에 연장되고, 도시하지 않은 각각의 약제 공급원(탱크 및 펌프 등)에 접속되어 있다. 시트상 소재(80)를 개재하여 주액 본체(90-1,90-2)를 끼우도록 사이드용 시일 금형(94-1,94-2)이 배치된다. 도 2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일 금형(94-1,94-2)은 횡단면에서 주액 본체(90-1,90-2)의 외경의 위 및 아래 절반을 대략 일치하는 형상의 오목면(94-lA,94-lB;94-2A,94-2B)을 형성하고 있다. 이 오목면(94-lA,94-lB;94-2A,94-2B)은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형(94-1,94-2)의 상단면에서 하단면까지 연장되어 있다.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형(94-1,94-2)에서의 오목면(94-lA,94-1B;94-2A,94-2B)의 양측은 평탄면(94-1C,94-2C)을 보이고 있고, 이 평탄면(94-1C,94-2C)이 시트상 소재(80)의 양쪽 사이드의 시일을 행한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이드용 시일 금형(94-1,94-2)의 아래쪽 위치(하나의 약제 밀봉부의 길이만큼 이간한 위치)에 크로스용의 시일 금형(95-1,95-2)이 배치된다.20, circular main column bodies (columnar main body 90-1, 90-2) extending along the moving direction of the sheet material 80 (a convex surface And the main body 90-1 and 90-2 ar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sheet material 80 through openings 80B-1 and 80B-2 of the sheet material 80 And is inserted and positioned in the sheet material 80 along the center seal 80A (see also Fig. 26 (a)). Injection nozzles 92-1 and 92-2 are inserted and fixed over the entire length along the center line of the tub-shaped main body 90-1 and 90-2. The upper ends of the liquid nozzles 92-1 and 92-2 are connected to the liquid medicine supply lines 93-1 and 93-2 (Fig. 21), and the medicine supply lines 93-1 and 93-2 are connected to the sheet- 2 extend outward from the openings 80B-1 and 80B-2 of the housing 80 and are connected to respective drug supply sources (tanks, pumps, etc.) (not shown). Side seal dies 94-1 and 94-2 are disposed to sandwich the liquid body 90-1 and 90-2 with the sheet-like material 80 interposed therebetween. As shown in Fig. 26 (a), the seal dies 94-1 and 94-2 are formed in the shape of a concave shape having substantially the same shape as the upper and lower halves of the outer diameter of the liquid main bodies 90-1 and 90-2, 94-lA, 94-lB; 94-2A, 94-2B. The concave surfaces 94-1A and 94-1B; 94-2A and 94-2B extend from the upper surface to the lower surface of the molds 94-1 and 94-2 as shown in FIG. As shown in Fig. 26, both sides of the concave surfaces 94-1A, 94-1B; 94-2A and 94-2B in the molds 94-1 and 94-2 are flat surfaces 94-1C and 94- 2C. The flat surfaces 94-1C and 94-2C seal both sides of the sheet-like material 80. The sheet- As shown in Fig. 20, seal molds 95-1 and 95-2 for crossing are provided at positions below the side seal molds 94-1 and 94-2 (positions separated by the length of one drug seal) .

도 26(a)는 시일 금형(94-1,94-2)의 개방 위치를 도시하고, 도 26(b)는 도 26(a)의 위치로부터 시일용 금형(94-1,94-2)을 합체시킨 시일 위치를 도시한다. 평탄면(94-1C,94-2C)이 시트상 소재(80)를 끼고 합체(도 20의 좌우)함으로써 시트상 소재(80)에 사이드 시일(80C-1,80C-2)(도 19의 안주머니(32)의 약 시일부(38)에서의 상하 측부(38-3,38-4)가 됨)이 형성되고, 또한, 시일 금형(95-1,95-2)이 합체(도 20의 좌우)함으로써 시트상 소재(80)에 크로스 시일(80D)(도 10의 안주머니(32)의 약 시일부(38)에서의 좌우 양측부(38-1,38-2)가 됨)이 형성된다. 또한, 금형(94-1,94-2)의 오목면(94-1A,94-lB;94-2A,94-2B)이 주액 본체(90-1,90-2)의 외경의 위 및 아래 절반을 대략 일치하는 형상을 보이고 있으므로, 시트상 소재(80)는 오목면(94-lA,94-1B;94-2A,94-2B)과 주액 본체(90-1,90-2)의 외경면 사이에서 협착되고, 또한 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COP)층(F2)들의 약 시일 온도인 180℃ 정도에서 가열을 받기 때문에 오목면(94-1A,94-lB;94-2A,94-2B)의 만곡 형상에 준하여 열 세트된다. 그러므로, 시트상 소재(80)는 시일용 금형(94-1,94-2)으로부터 나온 상태에서, 단면이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목면(94-1A,94-1B;94-2A,94-2B)의 만곡 형상에 준하여 볼록 형상으로 고정되고, 시일용 금형(94-1,94-2)의 길이에 따른 길이를 갖는 공동부(80E-1,80E-2)가 형성된다. 이 공동부(80E-1,80E-2)가 도 19의 안주머니(32)의 약 시일부(38)에서의 상하의 격실(72,74)이 된다.26A shows the open positions of the seal dies 94-1 and 94-2 and Fig. 26B shows the positions of the seal dies 94-1 and 94-2 from the position of Fig. 26A, As shown in Fig. The side seals 80C-1 and 80C-2 (see FIG. 19) are attached to the sheet-like material 80 by the flat surfaces 94-1C and 94-2C of the sheet- The upper and lower side portions 38-3 and 38-4 in the weak seal portion 38 of the inner bag 32 are formed) and the seal dies 95-1 and 95-2 are combined Thereby forming a cross seal 80D (left and right side portions 38-1 and 38-2 in the weak seal portion 38 of the inner bag 32 of Fig. 10) in the sheet-like material 80 . The concave surfaces 94-1A and 94-1B; 94-2A and 94-2B of the molds 94-1 and 94-2 are positioned above and below the outer diameter of the instilling body 90-1 and 90-2, The sheet-like material 80 is in contact with the concave surfaces 94-1A and 94-1B (94-2A and 94-2B) and the outer diameter of the fluid body 90-1 and 90-2 if it is blocking between the surface and also because the concave receiving the heating at about the sealing temperature of about 180 ℃ of the cyclic polyolefin-based resin (COP) layer (F 2) (94-1A, 94 -lB; 94-2A, 94-2B ) In accordance with the curved shape. Therefore, the sheet-like material 80 has a concave surface 94-1A, 94-1B (94-2A, 94-2A, 94-2A) as shown in Fig. 27, And 80E-2 having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the sealing molds 94-1 and 94-2 are formed in a convex shape in accordance with the curved shape of the sealing molds 94-1 and 94-2B. The cavity portions 80E-1 and 80E-2 become upper and lower compartments 72 and 74 in the weak seal portion 38 of the inner bag 32 of FIG.

구동부(82-1,82-2)에 의한 시트상 소재(80)의 이동과 시일용 금형(94-1,94-2 및 95-1,95-2)에 의한 시일 동작과 약제 주입과의 연계에 대하여 설명하면, 시트상 소재(80)의 이동이 정지되고, 약제 공급관(93-1,93-2)을 끼운 상태에서 시일용 금형(94-1,94-2)이 도 2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합체되어, 면(94-lD,94-2D)에 의한 사이드 시일(80C-1,80C-2)의 형성이 행하여진다. 또한, 시트상 소재(80)는 오목면(94-lA,94-1B;94-2A,94-2B)과 주액 본체(90-1,90-2)의 외경면 사이에서 협착되는 점에서, 그 만곡 형상에 준한 볼록면 형상에 열 세트된다. 또한, 시일 금형(94-1,94-2)으로부터 하나의 약제 밀봉부의 길이만큼 하류의 위치에서는 시일용 금형(95-1,95-2)은 합체되어 크로스 시일(80D)의 형성이 행하여진다. 그리고, 시일용 금형(94-1,94-2 및 95-1,95-2)은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로 갈라진다. 이때, 크로스 시일(80D)은 이번의 시일용 금형(95-1,95-2)의 합체에 의해 새롭게 구획 형성된 공동부(80E-1,80E-2)에 연접된 전번의 시일용 금형(95-1,95-2)의 합체에 의해 구획 형성된 공동부(80E-1,80E-2)의 보텀을 폐쇄한다. 그리고, 연접한 공동부(80E-1,80E-2)는 탑측은 아직 열려 있고, 주액 노즐(92-1,92-2)의 하단(92-1A,92-2A)은 상단이 아직 개방된 채의 공동부(80E-1,80E-2)를 개구하고 있다(도 21). 그리고, 상단이 아직 개방된 채의 공동부(80E-1,80E-2)에 각각의 약제 공급원(펌프 등)에서 약제(96-1,96-2)가 주액 노즐(92-1,92-2)의 하단(92-1A,92-2A)으로부터 소정량 주입된다. 그리고, 시일용 금형(94-1,94-2 및 95-1,95-2)이 다시 합체되고, 시일용 금형(95-1,95-2)의 합체에 의해 크로스 시일(80D)을 형성하지만, 이 크로스 시일(80D)은 약제(96-1,96-2)의 주입이 완료된 전번의 시일용 금형(95-1,95-2)의 합체에 의해 구획 형성된 공동부(80E-1,80E-2)의 탑을 폐쇄하고, 보텀, 사이드 및 탑의 전체 둘레에서 밀봉된 하나의 약제 밀봉부가 구성되고, 한편, 시일용 금형(94-1,94-2)의 합체에 의해 새로운 사이드 시일(80C-1,80C-2)이 형성되는 동시에, 상부가 개방된 새로운 공동부(80E-1,80E-2)가 구획 형성되고, 이하 같은 작업의 반복에 의해 각각이 도 19의 복실 용기의 안주머니(32)가 되는 다수의 약제 충전부의 연쇄체(M)(이하, 안주머니 연쇄체)가 구성된다.The movement of the sheet material 80 by the driving portions 82-1 and 82-2 and the sealing action by the sealing molds 94-1 and 94-2 and 95-1 and 95-2 When the sheet-like material 80 is stopped and the sealing dies 94-1 and 94-2 are inserted in the state shown in Fig. 26 (b) with the medicine supply pipes 93-1 and 93-2 interposed therebetween, To form the side seals 80C-1 and 80C-2 by the surfaces 94-1D and 94-2D, respectively. The sheet material 80 is stuck between the concave surfaces 94-1A and 94-1B; 94-2A and 94-2B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90-1 and 90-2, And is set in a convex surface shape corresponding to the curved shape. Further, at positions downstream from the seal dies 94-1 and 94-2 by the length of one drug seal, the seal dies 95-1 and 95-2 are combined to form the cross seal 80D . Then, the sealing dies 94-1, 94-2 and 95-1, 95-2 are split right and left as shown in Fig. At this time, the cross seal 80D is moved to the previous sealing mold 95 (or 95E-1 and 80E-2) connected to the cavities 80E-1 and 80E-2 newly formed and divided by the combination of the sealing dies 95-1 and 95-2 -1, 95-2), the bottoms of the cavities 80E-1 and 80E-2 partitioned by the coalescence are closed. The jointed portions 80E-1 and 80E-2 are still open on the top side and the lower ends 92-1A and 92-2A of the instilling nozzles 92-1 and 92-2 are opened And the cavity portions 80E-1 and 80E-2 are opened (Fig. 21). In the cavity portions 80E-1 and 80E-2, the upper ends of which are still open, the medicines 96-1 and 96-2 are supplied from the respective drug supply sources (pumps, etc.) to the injection nozzles 92-1 and 92- 2 by a predetermined amount from the lower ends 92-1A and 92-2A. Then, the sealing dies 94-1, 94-2, 95-1, 95-2 are combined again, and the cross seals 80D are formed by the combination of the sealing dies 95-1, 95-2 However, the cross seal 80D is provided with the cavities 80E-1 and 80E-2 formed by the combination of the sealing molds 95-1 and 95-2 for the previous time, in which the injection of the medicines 96-1 and 96-2 is completed, 80E-2 are closed, and the bottom, side, and one drug seal portion sealed around the entire periphery of the column are formed. On the other hand, by the combination of the sealing molds 94-1, 94-2, And 80C-2 are formed, and new cavities 80E-1 and 80E-2 having upper openings are formed, and by repeating the same operation, A plurality of medicament-packed chain members M (hereinafter referred to as &quot; inner cartilage chain members &quot;

안주머니 연쇄체(M)는 도 2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보호막(F3)이 표리면에 접착된 채이며, 이 상태에서 도 5 및 도 6의 공정을 행하는 복실형 용기 제조 설비까지 이송된다. 보호막(F3)에 의해 이송 공정 중에서의 안주머니 연쇄체(M)의 이물 부착 방지나 무균 상태를 확보할 수 있다. 그리고, 도 5의 복실 용기 제조 공정의 실시시에 안주머니 연쇄체(M)에서의 보호막(F3)을 박리하고, 이어서 크로스 시일(80D)을 중간에서 절단함으로써 하나의 안주머니(32)로서 완전 분리되어, 도 5(b)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안주머니(32)의 삽입 공정을 실시할 수 있다.Anjumeoni chain body (M) is less than the adhesive on both surfaces a protective film (F 3) table as described in Figure 23, the state in Figure 5 and is transferred to the manufacturing facility for performing the process, acid-type container of FIG. The protective film F 3 can prevent foreign matter adherence and sterility of the inner sachet chain member M during the transferring process. And, FIG peeling a protective film (F 3) in anjumeoni chain body (M) during the conduct of 5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compartmented container, followed by complete removal as a anjumeoni 32 by cutting in the middle the cross seal (80D) And the inserting pouch 32 can be inserted as described in Fig. 5 (b).

10: 바깥주머니(본 발명의 외측 용기)
12,14: 바깥주머니를 구성하는 필름편
16: 강 시일부
16-1: 강 시일부(16)의 폭광부(본 발명의 연결부)
18: 배출구
20: 혼주구
28: 약 시일부(본 발명의 제 1 격벽)
32: 안주머니(본 발명의 내측 용기)
34,36: 안주머니를 구성하는 필름편
34-1,36-1: 단연부
38: 안주머니 외주의 약 시일부
38-1,38-2: 약 시일부의 좌우 양측부
38-3,38-4: 약 시일부의 상하 측부
40: 배출 제어실
42: 강 시일부(본 발명의 외력 부여부)
42': 단연부의 용착부
44: 포인트 시일부(본 발명의 보조적 외력 부여부)
80: 시트상 소재
80A: 센터 시일
80B-1,80B-2: 개구부
80C-1,80C-2: 사이드 시일
80D: 크로스 시일
80E-1,80E-2: 공동부
82-1,82-2: 구동부
86-1,86-2: 센터용 시일 금형
88: 커터
90-1,90-2: 주액 본체
92-1,92-2: 주액 노즐
93-1,93-2: 약제 주입관
94-1,94-2: 사이드용 시일 금형
95-1,95-2: 크로스용 시일 금형
10: outer bag (outer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12, 14: Film pieces constituting the outer bag
16: Steel seal part
16-1: Widening part of the strong seal part 16 (connection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18: Outlet
20: Honjugu
28: weak seal portion (first partition wall of the present invention)
32: Inner pouch (inner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34,36: Film pieces constituting the inner bag
34-1, 36-1:
38: Seal part of outer circumference of inner bag
38-1, 38-2: left and right sides of the weak seal portion
38-3, 38-4: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weak seal portion
40: Exhaust control chamber
42: Steel seal part (Whether the external for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ttached)
42 ': welded portion of the edge portion
44: Point sealing portion (whether auxiliary external force applying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80: sheet-like material
80A: Center seal
80B-1, 80B-2:
80C-1, 80C-2: side seal
80D: Cross seal
80E-1 and 80E-2:
82-1 and 82-2:
86-1, 86-2: Center seal mold
88: Cutter
90-1, 90-2:
92-1, 92-2: Injection nozzle
93-1, 93-2: drug injection tube
94-1, 94-2: Side seal mold
95-1, 95-2: Sealing tool for cross

Claims (22)

가요성 필름으로부터 주머니형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외측 용기와, 외측 용기의 외주부에 고착되고, 약제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와, 상기 배출구와 이간측에 있어서 외측 용기의 내부를 구획하고, 외측 용기로의 외력에 의해 개통 가능한 제 1 격벽과, 상기 배출구와 근접측에 있어서 외측 용기의 내부를 구획하고, 제 1 격벽을 개통시키는 외력보다 큰 외측 용기로의 외력에 의해 개통 가능한 제 2 격벽과, 제 1 격벽의 배출구로부터 이간측에 있어서 외측 용기 내부에 형성되고, 제 1 액상 약제를 수용하는 제 1 격실과, 제 1 격벽과 제 2 격벽간에 있어서 외측 용기 내부에 형성되고, 제 2 액상 약제를 수용하는 제 2 격실과, 제 2 격실과 배출구 사이에 있어서 외측 용기 내부에 형성되고, 또는 배출구와 연통한 배출 제어실과, 가요성 필름으로부터 형성되고, 제 2 격실의 배출구와 근접측에서의 배출 제어실의 내측에 배치되며 보조 약제를 수용하고, 외주를 따라 개봉 가능하게 구성된 밀봉부를 갖는 내측 용기와, 제 2 격실과 근접측을 따라 내측 용기를 외측 용기의 대향 내면에 고착하고, 내측 용기의 상기 밀봉부의 개통을 위한 외력을 부여하는 외력 부여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실 용기.An outer container formed from a flexible film and formed into a bag-like shape; a discharge port fixed to the outer peripheral portion of the outer container for discharging the medicine; and an inner portion of the outer container separated from the discharge port, A second partition wall partitioning the inside of the outer container on the side close to the discharge port and being openable by an external force to an outer container larger than an external force for opening the first partition wall, A first compartment formed inside the outer container at a gap side from the discharge port of the first liquid medicament and containing a first liquid medicament and a second compartment formed inside the outer container between the first partition and the second partition, A discharge compartment formed in the outer container between the second compartment and the discharge port or in communication with the discharge port, An inner container disposed on the inner side of the discharge control chamber on the side close to the discharge port of the second compartment and having an encapsulating portion accommodating the auxiliary medicament and being capable of being opened along the outer periphery; And an external force applying unit for attaching the external force to the inside surface of the inner container to apply an external force for opening the sealing portion of the inner contain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격벽은 내측 용기의 제 2 격실과의 근접측에서의 밀봉부와, 내측 용기의 제 2 격실과의 근접측에서의 밀봉부를 양단에서 외측 용기의 대향 외주 측부에 제 2 격실과 배출 제어실을 분리하기 위해 연결하는 연결부에서 구성된 복실 용기.The contain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cond partition has a sealing portion at a side close to the second compartment of the inner container, and a sealing portion at a side close to the second compartment of the inner container, A compartmentalized container comprising a connection portion for connection to separate the discharge control chamber.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내측 용기의 밀봉부와 일체로 용착된 외측 용기 외주의 강 시일부인 복실 용기.3. The compartmental container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connecting portion is a steel seal portion which is welded integrally with the sealing portion of the inner container and is an outer peripheral portion of the outer container. 제 3 항에 있어서, 내측 용기의 밀봉부에서의 제 2 격실과의 근접측은 외측 용기의 모든 폭 가까이까지 연장되어 있는 복실 용기.4. A compartmental container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a proximal side of the sealing portion of the inner container with the second compartment extends to near full width of the outer container. 제 4 항에 있어서, 내측 용기의 밀봉부에서의 양측 측부는 상기 연결부의 연접부인 외측 용기 외주의 강 시일부와 일체로 연결되어 있는 복실 용기.5. The compartmental container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both side portions of the sealing portion of the inner container are integrally connected to the steel sealing portion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outer container which is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connecting portion.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내측 용기의 밀봉부에서의 제 2 격실과의 근접측 양단부와 이에 대향한 외측 용기의 외주에서의 강 시일부를 접속하고, 내측 용기의 대향 내면간을 밀봉하는 강 시일부인 복실 용기.3. The container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connecting portion is formed by connecting both ends close to the second compartment of the sealed portion of the inner container and a steel seal portion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outer container facing the sealed portion, Mrs. 제 2 항에 있어서, 외력 부여부는 내측 용기의 제 2 격실과의 근접측에서의 밀봉부를 따라 배치되는 복실 용기.3. The compartmental container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external force applying portion is disposed along the sealing portion on the side close to the second compartment of the inner container. 제 7 항에 있어서, 외력 부여부에서의 내측 용기의 외측 용기의 대향 내면으로의 고착부는 내측 용기의 상기 밀봉부에서 제 2 격실측을 향하여 어느 정도 연재 하는 복실 용기.8. The compartmental container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the fixed portion of the inner container to the opposite inner surface of the inner container at the external force applying portion extends to some extent from the sealing portion of the inner container toward the second compartment. 제 8 항에 있어서, 외력 부여부에서의 내측 용기의 외측 용기의 대향 내면으로의 고착부는 내측 용기의 밀봉부와 실질적으로 겹치지 않도록 되는 복실 용기.9. The compartmental container according to claim 8, wherein the fixed portion of the inner container to the opposite inner surface of the outer container at the external force applying portion is substantially not overlapped with the sealed portion of the inner container.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력 부여부는 내측 용기의 밀봉부에서의 제 2 격실과의 근접측의 실질적 모든 폭을 따라 연장하여 설치되는 복실 용기.10. The compartmental container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9, wherein the external force applying portion is installed to extend along substantially all of a width on a side close to the second compartment in the sealing portion of the inner container.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격실에서의 배출구측에 있어서 외측 용기는 폭이 좁아진 형상을 보이고, 내측 용기는 외측 용기의 폭이 좁아진 부위에 설치되는 복실 용기.10. The compartmental container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9, wherein the outer container has a narrowed shape at the discharge port side in the second compartment, and the inner container is provided at a portion where the width of the outer container is narrowed.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내측 용기의 밀봉부에서의 제 2 격실과의 이간측을 국부적으로 외측 용기의 대향면에 고착하는 보조적 외력 부여부를 구비한 복실 용기.10. The compartmental container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9, further comprising an auxiliary external force applying portion for locally securing the separated side of the sealed portion of the inner container with the second compartment to the opposite surface of the outer container.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적 외력 부여부는 배출구를 끼고 한 쌍 형성된 복실 용기.13. The compartmental container according to claim 12, wherein the auxiliary external force applying portion is formed in a pair with the discharge port therebetween.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내측 용기는 그 내부를 복수의 격실로 구획하는 내측 용기 구획부를 구비한 복실 용기.10. The compartmental container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9, wherein the inner container has an inner container dividing portion into a plurality of compartments.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내측 용기는 가요성 필름편을 대향면들로 박리 가능하게 용착함으로써 개봉 가능한 밀봉부로 하고, 한편, 내측 용기의 외면을 이에 대향한 외측 용기의 내면에 박리 불가능하게 용착함으로써 외력 부여부로 한 복실 용기.10. A container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9, wherein the inner container is a releasable seal by peelably welding the flexible film piece to opposite surfaces, while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container is opposed to the outer container And an outer force imparting portion by melting and releasing the inner surface in a non-releasable manner. 제 15 항에 있어서, 내측 용기를 구성하는 가요성 필름은 용융 온도가 낮은 수지를 소재로 하는 층과 용융 온도가 높은 수지를 소재로 하는 층을 구비한 다층구조로 이루어지고, 내측 용기의 밀봉부는 대향한 가요성 필름편에서의 고용융 온도층의 대향면들의 용착에 의해 구성되고, 외력 부여부는 가요성 필름편에서의 저용융 온도의 층을 외측 용기에 대향면들로 용착함으로써 구성되는 복실 용기.16.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5, wherein the flexible film constituting the inner container has a multilayer structure including a layer made of a resin having a low melting temperature and a layer made of a resin having a high melting temperature, Wherein the external force application portion is constituted by fusion of opposing surfaces of the high melting temperature layer in the opposing flexible film pieces, and the external force application portion is formed by melting a layer of the low melting temperature in the flexible film piece, .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내측 용기를 구성하는 가요성 필름은 약제 수용을 위한 공동부를 구획 형성하기 위한 가열 형성된 오목부를 구비하는 복실 용기.10. The compartmental container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9, wherein the flexible film constituting the inner container has a heat-formed concave portion for partitioning the cavity portion for receiving the medicine.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복실 용기의 시일 방법에 있어서,
격실과 이간측에서 외주가 미시일의 외측 용기를 준비하는 동시에, 한편 내부에 보조 약제를 수용하여 외주를 밀봉부에 의해 밀봉한 내측 용기를 준비하고, 내측 용기를 상기 미시일부에서 외측 용기의 내부에 삽입하고, 격실과 근접측에 있어서 내측 용기의 밀봉부에서의 가요성 필름 외면을 외측 용기를 구성하는 가요성 필름의 대향 내면과 용착함으로써 외력 부여부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실 용기의 시일 방법.
The method for sealing a compartment container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9,
Preparing an inner container in which an outer container with an outer periphery is not formed at the side of the compartment and an auxiliary medicament is received in the compartment and the outer periphery is sealed by a sealing portion,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flexible film in the sealed portion of the inner container is welded to the opposite inner surface of the flexible film constituting the outer container on the side close to the compartment, thereby forming the external force applying portion.
제 18 항에 있어서, 내측 용기를 구성하는 가요성 필름은 다층 구조이고, 용융 온도가 낮은 층과 용융 온도가 높은 층을 구비하고 있고, 내측 용기의 밀봉부는 한 쌍의 가요성 필름편의 고용융 온도층을 대향시키고 또한 박리 가능하게 용착함으로써 구성되어 있고, 시일 금형의 한 쌍의 가열면간에서의 협착에 의해 내측 용기의 대향면은 용착시키지 않고, 외측 용기의 내면과 내측 용기의 저용융 온도의 외면 사이를 용착하여 외력 부여부로 하도록 한 복실 용기의 시일 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8, wherein the flexible film constituting the inner container has a multilayer structure, and has a layer with a low melting temperature and a layer with a high melting temperature, and the sealing portion of the inner container has a high melting temperature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container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container at the low melting temperature of the inner container are bonded to each other without being welded to each other by the stitches between the pair of heating surfaces of the seal mold. Thereby forming an external force applying portion.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복실 용기에서의 내측 용기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평탄화된 주머니형 필름 시트의 폭 방향 중간부를 박리 가능하게 센터 시일하는 동시에 주머니형 필름 시트의 닫힌 양단을 컷트함으로써 개방하고, 시트 개방부를 통하여 센터 시일을 따르도록 주액 노즐을 삽입하고, 시일 금형에 의해, 시트에 박리 가능하게 사이드 시일 및 크로스 시일에 의한 보텀 시일을 형성함으로써 공동부를 구획 형성하고, 시트에 이송시킨 후에 공동부에 주액 노즐로부터 소정량의 약제를 주입하고, 크로스 시일에 의해 약제 주입 후의 공동부의 탑측의 폐쇄를 행하고, 이후, 보텀에서 폐쇄되고 탑에서 개구한 공동부의 구획 형성 및 시트 이송 후의 약제의 주입 및 크로스 시일에 의한 탑 폐쇄의 각 공정의 반복에 의해, 전체 둘레에서 밀봉된 약제 충전부의 연쇄체를 형성하고, 연쇄체로부터 하나의 약제 충전부를 잘라냄으로써 내측 용기로 하는 내측 용기의 제조 방법.
10.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inner container in a compartmented container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9,
The center of the flattened bag-shaped film sheet in the width direction is peelably center-sealed, both ends of the bag-like film sheet are cut off, and the injection nozzle is inserted through the sheet opening so as to follow the center seal. , A bottom seal is formed by peeling the bottom seal so that the bottom seal can be peeled off from the sheet, and a predetermined amount of medicament is injected into the cavity after the medicament is fed to the sheet after the medicament is injected By repeating the respective steps of forming the partition of the cavity closed at the bottom and the cavity opened at the bottom and injecting the medicine after the sheet transfer and the top closure by the cross seal after the closing of the top side of the cavity portion, Forming a chained body of a live part, cutting out one medicament-packed part from the chained body Wherein the inner container is made of an inner container.
제 20 항에 있어서, 내측 용기로 했을 때 그 최외면이 되는 주머니형 필름 시트의 표면에 외측 용기로의 내측 용기 장착 전에 박리되는 보호막이 접착되어 있는 내측 용기의 제조 방법.21. The manufacturing method of an inner container according to claim 20, wherein a protective film is adhered to the surface of the bag-like film sheet which becomes the outermost surface when the inner container is used, and peeled off before the inner container is attached to the outer container. 제 20 항에 있어서, 시일시에 필름은 주액 노즐의 외경부에서 시일 금형에 의해 가압하고, 상기 공동부를 형성하는 필름 부위를 볼록면을 나타내기 위해 가열 형성하는 내측 용기의 제조 방법.
21. The manufacturing method of an inner container according to claim 20, wherein the film is pressurized by a seal mold at an outer diameter portion of the injection nozzle at the time of sealing, and the film portion forming the cavity portion is formed by heating to form a convex surface.
KR1020157019002A 2012-12-28 2013-12-27 Multi-chamber vessel KR101817492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287303 2012-12-28
JPJP-P-2012-287303 2012-12-28
PCT/JP2013/067891 WO2014103411A1 (en) 2012-12-28 2013-06-28 Multi-chamber vessel
JPPCT/JP2013/067891 2013-06-28
PCT/JP2013/085066 WO2014104281A1 (en) 2012-12-28 2013-12-27 Multi-chamber vesse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9563A KR20150099563A (en) 2015-08-31
KR101817492B1 true KR101817492B1 (en) 2018-01-11

Family

ID=510205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19002A KR101817492B1 (en) 2012-12-28 2013-12-27 Multi-chamber vessel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817492B1 (en)
CN (1) CN104837465B (en)
WO (2) WO2014103411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685644B2 (en) * 2014-12-25 2020-04-22 エイワイファーマ株式会社 Infusion contain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105342850B (en) * 2015-11-13 2019-10-18 重庆莱美药业股份有限公司 Single needle medicine mixer, hard double nip and transfusion flexible bag
EP3375427B1 (en) * 2015-11-13 2023-06-21 Chongqing Lummy Pharmaceutical Co., Ltd. Drug mixer, hard dual-port member, and soft infusion bag
CN108024301B (en) * 2016-11-04 2022-07-26 夏普株式会社 Base station, user equipment and execution method thereof
KR101964384B1 (en) * 2017-08-25 2019-04-01 씨제이헬스케어 주식회사 medical solution bag
CN107583084B (en) * 2017-11-02 2023-04-25 山东新华医疗器械股份有限公司 Sealing structure of sterilizer
JP7365256B2 (en) 2020-02-07 2023-10-19 エイワイファーマ株式会社 Multi-chamber containe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09830B1 (en) 1992-05-03 1999-07-15 오쯔카 아끼히코 Vessel having a plurality of chambers
JP2005152618A (en) * 2003-10-28 2005-06-16 Otsuka Pharmaceut Factory Inc Manufacturing method of medical multiple-room vessel
KR100524357B1 (en) * 1997-11-12 2005-10-26 비. 브라운 메디컬 인코포레이티드 Flexible multiple compartment medical container with preferentially rupturable seals
JP2009119114A (en) 2007-11-16 2009-06-04 C I Kasei Co Ltd Medical agent container and method for producing medical agent container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311727A1 (en) * 1975-05-21 1976-12-17 Tuboplast France PACKAGING CONTAINER FOR EXTEMPORARY PREPARATION OF MULTI-COMPONENT SOLUTIONS
JPH07323488A (en) * 1994-05-31 1995-12-12 Tokan Kogyo Co Ltd Manufacture of bag like container
SE9601348D0 (en) * 1996-04-10 1996-04-10 Pharmacia Ab Improved containers for parenteral fluids
JP2003062038A (en) * 2001-08-23 2003-03-04 Otsuka Pharmaceut Factory Inc Chemical container with inner small bag for chemical solution
JP2003220116A (en) * 2002-01-31 2003-08-05 Ajinomoto Faruma Kk Medical fluid container
JP4481708B2 (en) * 2004-04-05 2010-06-16 テルモ株式会社 Medical multi-chamber container
CN101668506B (en) * 2007-04-27 2013-07-17 味之素株式会社 Double-cell container
JP5141949B2 (en) * 2007-07-12 2013-02-13 味の素株式会社 Multi-chamber container
JP5171823B2 (en) * 2007-07-19 2013-03-27 株式会社大塚製薬工場 Double room bag
CN102727380A (en) * 2011-04-15 2012-10-17 上海武彬包装制品有限公司 Improved solid and liquid double-chamber infusion container
CN202236306U (en) * 2011-08-30 2012-05-30 北京锐业制药有限公司 Multilayer co-extrusion transfusion double-chamber bag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09830B1 (en) 1992-05-03 1999-07-15 오쯔카 아끼히코 Vessel having a plurality of chambers
KR100524357B1 (en) * 1997-11-12 2005-10-26 비. 브라운 메디컬 인코포레이티드 Flexible multiple compartment medical container with preferentially rupturable seals
JP2005152618A (en) * 2003-10-28 2005-06-16 Otsuka Pharmaceut Factory Inc Manufacturing method of medical multiple-room vessel
JP2009119114A (en) 2007-11-16 2009-06-04 C I Kasei Co Ltd Medical agent container and method for producing medical agent contai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837465A (en) 2015-08-12
WO2014104281A1 (en) 2014-07-03
WO2014103411A1 (en) 2014-07-03
CN104837465B (en) 2018-03-27
KR20150099563A (en) 2015-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7492B1 (en) Multi-chamber vessel
KR101426318B1 (en) Multichamber container
US4632673A (en) Pierceable port for containers
EP3654909B1 (en) Sterile product bag with filtered port
JP4463205B2 (en) Medical multi-chamber contain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6564491B2 (en) Multi-chamber container
KR101532257B1 (en) Double-chamber container
JP4958581B2 (en) Port member for infusion bag and infusion bag
JP4535840B2 (en) Manufacturing method of medical multi-chamber container
JP5104884B2 (en) Method for producing medical drug enclosure and container therefor
KR101124328B1 (en) A kit of medical plastic bag having multi- chambers
JP4822860B2 (en) Medical multi-chamber container
JP2009517239A (en) Method for producing a film bag and method for filling a film bag
CA1207283A (en) Pierceable port for containers
JPH0639018A (en) Container for medial treatment
JP4768898B2 (en) Method for producing medical drug enclosure and container therefor
JP7365256B2 (en) Multi-chamber container
JP3932427B2 (en) Manufacturing method of medical multi-chamber container
JP3004139B2 (en) Medical container
CN102227200A (en) Receptacle and method for storing and supplying liquid and liquid medical preparation
JP5223244B2 (en) Multi-chamber container
JP4365948B2 (en) Infusion bag
JP2007185418A (en) Multi-chamber container
JP6521449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chemical container with stopper
JP2001314484A (en) Medical plural chamber contain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