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7262B1 - 냉장고의 디스펜서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냉장고의 디스펜서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7262B1
KR101817262B1 KR1020160050797A KR20160050797A KR101817262B1 KR 101817262 B1 KR101817262 B1 KR 101817262B1 KR 1020160050797 A KR1020160050797 A KR 1020160050797A KR 20160050797 A KR20160050797 A KR 20160050797A KR 101817262 B1 KR101817262 B1 KR 1018172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ice
opening
discharge unit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07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21924A (ko
Inventor
김동선
Original Assignee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507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7262B1/ko
Priority to US15/471,916 priority patent/US10119750B2/en
Priority to CN201710229495.9A priority patent/CN107367099B/zh
Publication of KR201701219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19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72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72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 F25C1/24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for refrigerators, e.g. freezing tr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4Liquid-dispensing taps or cocks adapted to seal and open tapping holes of casks, e.g. for beer
    • B67D3/047Liquid-dispensing taps or cocks adapted to seal and open tapping holes of casks, e.g. for beer with a closing element having a rotational mov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2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20Distributing ice
    • F25C5/22Distributing ice particularly adapted for household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8Parts formed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s
    • F25D23/082Strips
    • F25D23/087Sealing stri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12Arrangements of compartments additional to cooling compartments; Combinations of refrigerators with other equipment, e.g. stove
    • F25D23/126Water cool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03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the beverage being a single liquid
    • B67D1/0009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the beverage being a single liquid the beverage being stored in an intermediate container connected to a supp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28Constructional details
    • B67D2210/00031Housing
    • B67D2210/00034Modules
    • B67D2210/00036Modules for use with or in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10Refrigerator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00Problems to be solved
    • F25D2500/02Geometry problems

Abstract

냉장고의 디스펜서 어셈블리가 소개된다.
이 냉장고의 디스펜서 어셈블리는, 디스펜서 본체와, 디스펜서 본체에 마련된 물 공급유로와, 디스펜서 본체에 형성된 수납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물 공급유로에서 제공받은 물을 선택적으로 토출하는 분리형 토출유닛과, 분리형 토출유닛이 수납부에서 인출가능하도록 물 공급유로 및 분리형 토출유닛 사이를 연결하는 연장관을 포함하고, 분리형 토출유닛은 물이 유동되는 토출유로가 마련된 토출바디와, 토출유로 상에 설치되는 회전샤프트와, 회전샤프트의 회전에 의해 상기 토출유로를 선택적으로 개방하는 개폐부재와, 회전샤프트를 회전시키기 위한 토출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냉장고의 디스펜서 어셈블리{DISPENSER ASSEMBLY OF 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의 디스펜서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일정한 수용공간을 갖추어 음식물 등을 영상 또는 영하의 저온상태로 유지하는 장치로서, 저온 범위에 따라 수용공간의 내부를 영상 온도 상태로 유지하는 냉장실과 수용공간의 내부를 영하 온도 상태로 유지하는 냉동실로 구획될 수 있다.
최근에는 정수된 물과 얼음에 대한 가정 내 수요가 높아짐에 따라, 정수기와 제빙기(Ice Maker)가 일체형으로 구성된 냉장고의 수요가 점진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제빙기는 냉장고의 양태에 따라 냉동실, 냉장실, 도어 중 어느 한 곳에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정수기와 제빙기가 일체로 구성되는 냉장고에는, 물 또는 얼음을 외부로 인출하기 위한 디스펜서가 냉장고의 도어 전면부의 외측에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냉장고의 디스펜서의 경우, 디스펜서 본체(12)에는 도어의 내측으로 들어가는 형상의 캐비티가 형성되고, 이 캐비티에는 얼음 토출구(14), 얼음 가이드(16), 분리 토출구(18), 물 토출용 레버(11) 및 얼음 토출용 레버(13) 등이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얼음 토출구(14)는 디스펜서 본체(12)의 일측(예를 들어, 캐비티의 안쪽)에 형성되고, 이 얼음 토출구(14)의 선단에는 얼음 가이드(16)가 결합되며, 디스펜서 본체(12)의 다른 일측(예를 들어, 캐비티의 바깥쪽)에는 분리 토출구(18)가 형성된다. 여기서, 얼음 토출구(14)와 분리 토출구(18)는 디스펜서의 캐비티 측에 고정형으로 장착되는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얼음 가이드(16)의 일측(외향 측)에는 물을 분리 토출구(18)를 통해 토출하기 위한 물 토출용 레버(13)가 장착되고, 캐비티의 내측 벽면의 일측에는 얼음 토출을 위한 얼음 토출구(14), 얼음 가이드(16) 및 얼음 토출용 레버(13)가 장착된다.
그러나, 종래 냉장고의 디스펜서의 경우, 분리 토출구가 디스펜서에 고정형으로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캐비티 내에 수납이 어려운 구조(캐비티의 높이방향 및 폭방향에 부적합한 크기)의 용기로는, 분리 토출구로부터 물을 제공받기 어려울 수 있다.
미국 등록특허 제7,874,460호(공고일: 2011. 01. 25.)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용기의 크기 및 형태에 무관하게, 디스펜서로부터 물을 자유롭게 제공받을 수 있는 냉장고의 디스펜서 어셈블리를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디스펜서 어셈블리는, 디스펜서 본체; 상기 디스펜서 본체에 마련된 물 공급유로; 상기 디스펜서 본체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물 공급유로에서 제공받은 물을 선택적으로 토출하는 고정형 토출유닛; 상기 디스펜서 본체에 형성된 수납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물 공급유로에서 제공받은 물을 선택적으로 토출하는 분리형 토출유닛; 및 상기 분리형 토출유닛이 상기 수납부에서 인출가능하도록 상기 물 공급유로 및 상기 분리형 토출유닛 사이를 연결하는 연장관을 포함하고, 상기 물 공급유로는 상기 고정형 토출유닛과 상기 분리형 토출유닛으로 분기되도록 제공되고, 상기 분리형 토출유닛은 물이 유동되는 토출유로가 마련된 토출바디; 상기 토출유로 상에 설치되는 회전샤프트; 상기 토출유로가 선택적으로 개방되도록 상기 회전샤프트에 마련되는 개폐부재; 및 상기 토출유로가 개방되도록 상기 개폐부재를 회전시키는 토출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분리형 토출유닛은 상기 토출유로에 대한 상기 개폐부재의 닫힘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한 탄성부재; 상기 토출버튼의 푸쉬에 의해 상기 토출유로가 개방되도록 상기 개폐부재에서 돌출되는 개폐바; 및 상기 개폐부재의 외경에 마련되는 실링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형 토출유닛은 상기 물 공급유로에 연결되도록 상기 디스펜서 본체에 마련되는 고정 토출구; 및 상기 고정 토출구를 기계적으로 개폐시키기 위한 물 토출레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연장관이 권취 수용되도록 상기 디스펜서 본체에 마련되는 롤링 수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디스펜서 본체에 마련된 얼음 공급유로; 및 상기 디스펜서 본체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얼음 공급유로에서 제공받은 얼음을 선택적으로 배출하는 얼음 토출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얼음 토출유닛은 상기 디스펜서 본체에 마련된 얼음 토출구; 상기 얼음 토출구의 선단에 설치된 얼음 가이드; 및 상기 얼음 토출구에서의 얼음을 선택적으로 토출하기 위한 얼음 토출 레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디스펜서 어셈블리는, 디스펜서 본체; 상기 디스펜서 본체에 마련된 물 공급유로; 상기 디스펜서 본체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물 공급유로에서 제공받은 물을 선택적으로 토출하는 고정형 토출유닛; 및 상기 디스펜서 본체에 형성된 수납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물 공급유로에서 제공받은 물을 선택적으로 토출하는 분리형 토출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물 공급유로는 상기 고정형 토출유닛과 상기 분리형 토출유닛으로 분기되도록 제공되고, 상기 분리형 토출유닛은 물이 유동되는 토출유로가 마련된 토출바디; 상기 토출유로를 선택적으로 개방하는 개폐부재; 상기 토출유로에 대한 상기 개폐부재의 닫힘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탄성부재; 및 상기 개폐부재를 푸쉬하여 상기 개폐부재를 개방시키는 토출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형 토출유닛은 상기 물 공급유로에 연결되도록 상기 디스펜서 본체에 마련되는 고정 토출구; 및 상기 고정 토출구를 기계적으로 개폐시키기 위한 물 토출레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디스펜서로부터 착탈 가능한 분리형 토출유닛을 통해, 디스펜서의 캐비티에 대한 높이/폭 방향 크기의 제약 없이, 디스펜서로부터 물을 자유롭게 제공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디스펜서의 캐비티 내 위치한 사용자(용기)에 물을 공급하는 동시에, 디스펜서 본체로부터 멀리 위치한 사용자(용기)에도 물을 공급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분리형 토출유닛에 제공된 기계적인 스위칭 기능을 통해, 디스펜서에서 토출되는 물을 사용자에게 편리하게 제공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냉장고에 설치되는 디스펜서의 측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디스펜서 어셈블리에서, 분리형 토출유닛이 디스펜서 본체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냉장고의 디스펜서 어셈블리에서, 분리형 토출유닛이 디스펜서 본체에서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연장관이 권취 수용되는 롤링 수용부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A-A"선부를 일부 절개하여 도시한 절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디스펜서 어셈블리에서, 분리형 토출유닛을 통해 물이 토출되는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작용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은 특허 청구 가능한 본 발명의 여러 측면(aspects) 중 하나이며, 하기의 설명은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기술의 일부를 이룰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공지된 구성 또는 기능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을 명료하게 하기 위해 생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들을 포함할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그리고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은 이와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들을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디스펜서 어셈블리에서, 분리형 토출유닛이 디스펜서 본체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냉장고의 디스펜서 어셈블리에서, 분리형 토출유닛이 디스펜서 본체에서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연장관이 권취 수용되는 롤링 수용부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3의 "A-A"선부를 일부 절개하여 도시한 절개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디스펜서 어셈블리에서, 분리형 토출유닛을 통해 물이 토출되는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다.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디스펜서 어셈블리는, 디스펜서 본체(100), 물 공급유로, 고정형 토출유닛(200), 분리형 토출유닛(300), 연장관(400), 얼음 공급유로 및 얼음 토출유닛(500)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펜서 본체(100)는 냉장고의 도어 전면부의 외측에 마련될 수 있다. 디스펜서 본체(100)의 내부에는 정수기에서 제공하는 물을 고정형 토출유닛(200) 및/또는 분리형 토출유닛(300)으로 안내하는 물 공급유로와, 제빙기(Ice Maker)에서 제공하는 얼음을 얼음 토출유닛(500)으로 안내하는 얼음 공급유로가 마련될 수 있다.
디스펜서 본체(100)에는 용기의 수용이 가능하도록 도어의 내측으로 들어가는 홈 형상의 캐비티가 제공될 수 있다. 캐비티는 냉장고 내 정수기 또는 제빙기(Ice Maker)에서 제공하는 물 또는 얼음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공간으로, 디스펜서 본체(100)의 전면 하측부에 위치될 수 있다. 이 캐비티에는 고정형 토출유닛(200) 및 얼음 토출유닛(500) 등이 적어도 노출되게 배치될 수 있다.
디스펜서 본체(100)에는 분리형 토출유닛(300)이 착탈 자유롭게 삽입 가능한 수납부(110)가 마련될 수 있다. 수납부(110)는 디스펜서 본체(100)의 전면 상측부에 위치되어, 디스펜서 본체(100)의 분리형 토출유닛(300)이 착탈 가능한 일정 크기의 수납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이 수납부(110)는 롤링 수용부(120)와 연통되므로, 분리형 토출유닛(300)은 연장관(400)을 통해 롤링 수용부(120)의 롤러(121)와 연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롤링 수용부(120)는 분리형 토출유닛(300)이 수납부(110)로 삽입될 때, 연장관(400)을 권취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으로, 롤링 수용부(120)의 중심에는 연장관(400)을 탄성적으로 권취할 수 있는 롤러(121)가 장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분리형 토출유닛(300)이 수납부(110)로부터 분리되어 멀어져 갈 때, 롤러(121)에 권취되어 있는 연장관(400)은 롤러(121)에서 풀려 나가게 되고, 분리된 분리형 토출유닛(300)이 수납부(110)로 삽입될 때, 연장관(400)은 롤링 수용부(120) 내 롤러(121)에 권취될 수 있다.
물 공급유로(미도시)는 냉장고 내 정수기에서 제공된 물을 고정형 토출유닛(200) 및/또는 분리형 토출유닛(300)으로 전달하기 위한 유로로, 고정형 토출유닛(200)의 고정 토출구(210) 또는 분리형 토출유닛(300)의 토출유로(311)로 분기될 수 있다.
이로써, 정수기에서 제공된 물은, 물 공급유로를 거쳐 고정형 토출유닛(200)에 고정 토출구(210)로 공급되거나, 물 공급유로를 통과하여 분리형 토출유닛(300)의 토출유로(311)로 공급될 수 있다.
고정형 토출유닛(200)은 디스펜서 본체(100)의 전방측에 고정 설치되어, 캐비티 내에 수용된 용기에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고정형 토출유닛(200)은 물 공급유로에 연결되도록 캐비티의 내측 상면에 위치되는 고정 토출구(210)와, 고정 토출구(210)를 기계적으로 개폐시키기 위한 물 토출레버(2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물 토출레버(220)로는 사용자에 의한 온(누름) 조작시, 고정 토출구(210)를 기계적으로 개방시키는 기계식 개폐 밸브가 사용될 수 있다. 물론, 기계식 개폐 밸브 이외에도, 물 토출레버(220)는 온 조작시 전기적인 신호에 의해 고정 토출구(210)를 개방시키는 전자식 개폐 밸브일 수 있다.
분리형 토출유닛(300)은 디스펜서 본체(100)의 수납부(110)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연장관(400)을 통해 물 공급유로로부터 제공받은 물을 선택적으로 토출할 수 있다.
이러한 분리형 토출유닛(300)은 토출바디(310), 회전샤프트(320), 개폐부재(330), 토출버튼(340), 탄성부재(360), 개폐바(331) 및 실링부재(35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토출바디(310)는 디스펜서 본체(100)의 수납부(110)에 착탈가능하도록 수납부(110)의 홈 형상에 대응되는 하우징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토출바디(310)의 내부에는 물 공급유로의 물이 유동되는 토출유로(311)가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으며, 토출바디(310)의 일측벽에는 토출버튼(340)이 승강 가능하게 장착되는 장착홈부(312)가 마련될 수 있다.
회전샤프트(320)는 토출유로(311) 상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샤프트로, 이 회전샤프트(320)에는 개폐부재(330)가 장착될 수 있다. 예컨대, 회전샤프트(320)의 양단부는 토출유로(311)의 내벽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고, 회전샤프트(320)의 중심부에는 개폐부재(330)가 고정 설치될 수 있다.
개폐부재(330)는 회전샤프트(320)의 회전에 의해 토출유로(311)를 선택적으로 개방 또는 폐쇄하기 위한 원형의 도어 형태로 구성되는데, 이때, 개폐부재(330)의 외경은 토출유로(311)의 내경에 대응되는 직경을 갖는다.
그리고 개폐부재(330)의 일측면에는 토출버튼(340)의 버튼바(341)에 의해 푸쉬 가능한 개폐바(331)가 마련될 수 있다. 개폐바(331)는 토출버튼(340)의 버튼바(341)가 승강되는 이동 경로 상에 위치되도록 개폐부재(330)의 일면에서 수직하게 연장될 수 있다.
또한, 개폐부재(330)의 외경면에는 링 형상의 실링부재(350)가 마련될 수 있다. 개폐부재(330)에 의한 토출유로(311)의 닫힘시, 실링부재(350)는 개폐부재(330)의 외경면과 토출유로(311)의 내경면 사이의 틈을 밀폐함으로써, 개폐부재(330)의 외경면과 토출유로(311)의 내경면 사이의 틈에서 발생되는 누수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토출버튼(340)은 개폐바(331)를 푸쉬하여 개폐부재(330)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조로, 토출바디(310)의 일측벽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때, 토출버튼(340)의 하부에는 토출버튼(340)의 누름시, 개폐부재(330)의 개폐바(331)를 푸시하기 위한 버튼바(341)가 수직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탄성부재(360)는 회전샤프트(320)를 원래의 위상으로 복귀시킬 수 있는 토션스프링으로, 평상시 토출유로(311)에 대한 개폐부재(330)의 닫힘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탄성력을 회전샤프트(320)에 제공할 수 있다.
연장관(400)은 물 공급유로 및 분리형 토출유닛(300) 사이를 연결하기 위한 배관으로, 길이 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연질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연장관(400)은 롤링 수용부(120)의 롤러(121)에 의해 당김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분리형 토출유닛(300)이 수납부(110)로부터 당겨져 분리되면, 연장관(400)은 소정의 길이만큼 롤링 수용부(120)에서 인출될 수 있고, 분리형 토출유닛(300)의 당김이 해제되면, 연장관(400)은 롤러(121)의 당김에 의해 롤링 수용부(120)에 인입되면서 롤러(121)에 권취될 수 있다.
얼음 공급유로(미도시)는 냉장고 내 제빙기에서 제공된 얼음을 얼음 토출유닛(500)으로 전달하기 위한 유로로, 얼음 토출유닛(500), 보다 자세하게는 얼음 토출유닛(500)의 얼음 토출구(510)에 연통될 수 있다.
얼음 토출유닛(500)은 디스펜서 본체(100)의 캐비티 내벽과 고정형 토출유닛(200) 사이에 위치되어, 얼음 공급유로에서 제공받은 얼음을 선택적으로 배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캐비티의 내벽측에 얼음 토출유닛(500)이 배치되고, 캐비티의 바깥측에 고정형 토출유닛(200)이 배치되는 구조이지만, 이들 얼음 토출유닛(500) 및 고정형 토출유닛(200)의 배치 구조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얼음 토출유닛(500)은 얼음 공급유로에 연통되도록 디스펜서 본체(100)에 마련되는 얼음 토출구(510)와, 얼음 토출구(510)의 선단에 설치된 얼음 가이드(520)와, 얼음 토출구(510)에서의 얼음을 선택적으로 토출하기 위한 얼음 토출레버(53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얼음 가이드(520)는 얼음 토출구(510)의 선단으로부터 일정 길이만큼 신장되어, 얼음 토출구(510)에서 토출되는 얼음을 캐비티의 하방향으로 안내할 수 있다.
얼음 토출레버(530)는 얼음 토출의 온/오프를 조작하기 위한 누름 스위치로, 디스펜서 본체(100)의 캐비티 내벽에 장착될 수 있다. 이 얼음 토출레버(530)의 배면 측에는 얼음 토출레버(530)의 누름이 감지될 때 얼음 토출구(510)를 개방시키기 위한 누름 감지신호를 발생하는 스위치(미도시)와, 얼음 토출레버(530)의 누름이 해제될 때 얼음 토출레버(530)의 위치를 누름 전의 원 위치로 자동 복귀시키기 위한 스프링 구조체(미도시)가 장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토출버튼(340)에 의한 눌림 해제시, 회전샤프트(320)를 원래 위치로 복귀되면서 개폐부재(330)가 토출유로(311)를 폐쇄하는 개폐시스템이 적용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아니하며, 개폐부재(330)가 토출유로(311)를 폐쇄하기 위해서 다양한 형태의 개폐시스템이 분리형 토출유닛(300)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별도의 회전샤프트 없이, 탄성부재(360)의 탄성력만을 이용하여 토출유로(311)를 개폐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디스펜서 본체(100)의 캐비티 내에 용기를 삽입하여 물을 받고자 할 때, 용기의 크기나 형태에 따라, 용기를 캐비티 내에 삽입하기 어려울 수 있다. 예를 들면, 용기의 크기가 캐비티의 높이방향 또는 폭방향 크기보다 큰 대용량 용기인 경우가 이에 해당될 수 있다.
이 경우, 분리형 토출유닛(300)을 디스펜서 본체(100)의 수납부(110)에서 분리한 후, 수납부(110)에서 분리된 분리형 토출유닛(300)을 디스펜서 본체(100)의 외측 방향으로 당기면, 연장관(400)이 롤링 수용부(120)에서 인출되면서, 분리형 토출유닛(300)을 원하는 위치까지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분리형 토출유닛(300)의 토출버튼(340)을 누르면, 토출버튼(340)의 버튼바(341)가 개폐부재(330)의 개폐바(331)를 푸쉬하고, 개폐바(331)에 의해 푸쉬된 개폐부재(330)는 회전샤프트(320)를 통해 회전(예를 들면, 도 6의 반시계방향)되면서 토출유로(311)를 개방시킬 수 있다. 물 공급유로에서 이동된 물은, 연장관(400)을 거쳐 분리형 토출유닛(300)의 토출유로(311)를 통해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토출버튼(340)의 누름이 해제되면, 탄성부재(360)는 회전샤프트(320)를 원래의 위상으로 복귀시키는데, 이때, 개폐부재(330)는 회전샤프트(320)의 회전(예를 들면, 도 5의 시계방향)에 의해 토출유로(311)를 폐쇄할 수 있고, 토출버튼(340)도 원래 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이후, 분리형 토출유닛(300)의 당김이 해제되면, 연장관(400)은 롤러(121)의 당김에 의해 롤링 수용부(120)에 인입되면서 롤러(121)에 권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분리형 토출유닛(300)을 수납부(110)로부터 분리시켜 연장관(400)을 신장시키는 방식으로 원하는 길이만큼 뺀 상태에서, 분리형 토출유닛(300)의 토출버튼(340)을 누름으로써, 물을 외부로 토출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캐비티의 크기(길이 방향 제약, 폭 방향 제약 등)에 맞지 않는 어떠한 용기 혹은 객체 등에도 원하는 만큼의 물을 원활하게 공급할 수 있다.
한편, 디스펜서 본체(100)의 캐비티 내에 용기를 삽입하여 물을 받고자 하는 경우, 용기를 캐비티 내에 삽입한 상태에서, 물 토출레버(220)를 누르면, 물 토출레버(220)의 누름 조작에 따라, 고정 토출구(210)가 개방되므로, 사용자는 고정 토출구(210)를 통해 물을 제공받을 수 있다.
아울러, 디스펜서 본체(100)의 캐비티 내에 용기를 삽입하여 얼음을 받고자 하는 경우, 용기를 캐비티 내에 삽입한 상태에서, 얼음 토출레버(530)를 누르면, 얼음 토출레버(530)의 누름 조작에 따라, 얼음 토출구(510)가 개방되므로, 사용자는 얼음 토출구(510)를 통해 얼음을 제공받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디스펜서로부터 착탈 가능한 분리형 토출유닛을 통해, 디스펜서의 캐비티에 대한 높이/폭 방향 크기의 제약 없이, 디스펜서로부터 물을 자유롭게 제공할 수 있고, 디스펜서의 캐비티 내 위치한 사용자(용기)에 물을 공급하는 동시에, 디스펜서 본체로부터 멀리 위치한 사용자(용기)에도 물을 공급할 수 있으며, 분리형 토출유닛에 제공된 기계적인 스위칭 기능을 통해, 디스펜서에서 토출되는 물을 사용자에게 편리하게 제공할 수 있다는 등의 우수한 장점을 갖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 등이 가능함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즉,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후술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디스펜서 본체 200 : 고정형 토출유닛
300 : 분리형 토출유닛 310 : 토출바디
320 : 회전샤프트 330 : 개폐부재
340 : 토출버튼 350 : 실링부재

Claims (8)

  1. 디스펜서 본체;
    상기 디스펜서 본체에 마련된 물 공급유로;
    상기 디스펜서 본체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물 공급유로에서 제공받은 물을 선택적으로 토출하는 고정형 토출유닛;
    상기 디스펜서 본체에 형성된 수납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물 공급유로에서 제공받은 물을 선택적으로 토출하는 분리형 토출유닛;
    상기 분리형 토출유닛이 상기 수납부에서 인출가능하도록 상기 물 공급유로 및 상기 분리형 토출유닛 사이를 연결하는 연장관;
    상기 디스펜서 본체에 마련된 얼음 공급유로;
    상기 디스펜서 본체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얼음 공급유로에서 제공받은 얼음을 선택적으로 배출하는 얼음 토출유닛; 및
    상기 연장관이 권취 수용되도록 상기 디스펜서 본체에 마련되는 롤링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물 공급유로는 상기 고정형 토출유닛과 상기 분리형 토출유닛으로 분기되도록 제공되고,
    상기 분리형 토출유닛은 물이 유동되는 토출유로가 마련된 토출바디와, 상기 토출유로 상에 설치되는 회전샤프트와, 상기 토출유로가 선택적으로 개방되도록 상기 회전샤프트에 마련되는 개폐부재와, 상기 토출유로가 개방되도록 상기 개폐부재를 회전시키는 토출버튼과, 상기 토출유로에 대한 상기 개폐부재의 닫힘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한 탄성부재와, 상기 토출버튼의 푸쉬에 의해 상기 토출유로가 개방되도록 상기 개폐부재에서 돌출되는 개폐바와, 상기 개폐부재의 외경에 마련되는 실링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롤링 수용부의 중심에는 상기 연장관을 탄성적으로 권취할 수 있는 롤러가 장착되고,
    상기 연장관은 상기 분리형 토출유닛이 상기 수납부로 삽입될 때, 상기 롤링 수용부 내 상기 롤러에 권취되고,
    상기 얼음 토출유닛은 상기 디스펜서 본체에 마련된 얼음 토출구와, 상기 얼음 토출구의 선단에 설치된 얼음 가이드와, 상기 얼음 토출구에서의 얼음을 선택적으로 토출하기 위한 얼음 토출 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얼음 토출레버의 배면 측에는 상기 얼음 토출레버의 누름이 감지될 때 상기 얼음 토출구를 개방시키기 위한 누름 감지신호를 발생하는 스위치와, 상기 얼음 토출레버의 누름이 해제될 때 상기 얼음 토출레버의 위치를 누름 전의 원 위치로 자동 복귀시키기 위한 스프링 구조체가 장착되고,
    상기 고정형 토출유닛은 상기 물 공급유로에 연결되도록 상기 디스펜서 본체에 마련되는 고정 토출구와, 상기 고정 토출구를 기계적으로 개폐시키기 위한 물 토출레버를 포함하는 냉장고의 디스펜서 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회전샤프트의 회전에 의해 상기 토출유로를 선택적으로 개방 또는 폐쇄하기 위한 원형의 도어 형태로 제공되고,
    상기 개폐부재의 외경은 상기 토출유로의 내경에 대응되는 직경을 갖는 냉장고의 디스펜서 어셈블리.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60050797A 2016-04-26 2016-04-26 냉장고의 디스펜서 어셈블리 KR1018172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0797A KR101817262B1 (ko) 2016-04-26 2016-04-26 냉장고의 디스펜서 어셈블리
US15/471,916 US10119750B2 (en) 2016-04-26 2017-03-28 Dispenser assembly for refrigerator
CN201710229495.9A CN107367099B (zh) 2016-04-26 2017-04-06 冰箱用分配器组件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0797A KR101817262B1 (ko) 2016-04-26 2016-04-26 냉장고의 디스펜서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1924A KR20170121924A (ko) 2017-11-03
KR101817262B1 true KR101817262B1 (ko) 2018-01-11

Family

ID=600901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0797A KR101817262B1 (ko) 2016-04-26 2016-04-26 냉장고의 디스펜서 어셈블리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119750B2 (ko)
KR (1) KR101817262B1 (ko)
CN (1) CN10736709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7259B1 (ko) * 2016-04-26 2018-01-11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디스펜서 어셈블리
US10246317B2 (en) * 2016-12-13 2019-04-02 Whirlpool Corporation Push pedal water dispenser assembly
US10739063B2 (en) * 2017-12-20 2020-08-11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Water dispenser
CN111854260B (zh) * 2019-04-26 2022-10-28 青岛海尔电冰箱有限公司 分配器及具有该分配器的冰箱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77578B1 (ko) * 1997-12-31 2001-01-15 윤종용 디스펜서를갖는냉장고및그작동제어방법
US20080184730A1 (en) * 2004-06-04 2008-08-07 Whirlpool Corporation Water dispenser for refrigerator freezers
US20100307184A1 (en) * 2007-10-30 2010-12-09 Lg Electronics Inc. Dispense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12395A (en) * 1946-01-19 1950-06-20 Seeger Refrigerator Co Liquid dispensing apparatus
CN87209952U (zh) * 1987-07-03 1988-11-02 李鸿维 延时自动停水龙头
US5366117A (en) * 1991-04-23 1994-11-22 Bar Master International Condiment dispenser
KR970028385A (ko) * 1995-11-29 1997-06-24 배순훈 냉장고용 급수기의 급수레버 제어구조
KR100412951B1 (ko) * 2001-10-16 2003-12-31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냉장고의 디스펜서 물공급장치
KR200307819Y1 (ko) * 2002-12-30 2003-03-17 홍인택 절수 및 사용이 편리한 샤워기
KR20040084297A (ko) * 2003-03-27 2004-10-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디스팬서
CN100464145C (zh) * 2005-05-09 2009-02-25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电冰箱用分配器的水供给管
CN101660861B (zh) * 2006-12-11 2011-12-21 Lg电子株式会社 带有分配器的冰箱
CN101660859B (zh) * 2006-12-11 2013-04-10 Lg电子株式会社 带有分配器的冰箱
US20080163641A1 (en) * 2006-12-28 2008-07-10 Whirlpool Corporation Enhanced aesthetics for water dispensing illumination
KR200444237Y1 (ko) * 2007-09-11 2009-04-22 김창진 수동자동겸용 분리형 절수수도꼭지
CN103313931B (zh) * 2010-11-24 2016-04-27 伊莱克斯家用产品有限公司 液体和/或冰分配系统
CN102305514A (zh) * 2011-09-26 2012-01-04 合肥美的荣事达电冰箱有限公司 冰箱及冰箱冰水分配器
CN202938577U (zh) * 2012-08-11 2013-05-15 博西华电器(江苏)有限公司 带有分配器的制冷器具
CN203393787U (zh) * 2013-07-30 2014-01-15 廖志辉 分离式水龙头
KR102198958B1 (ko) * 2014-03-31 2021-01-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냉장고 제어 방법
CN204176076U (zh) * 2014-10-09 2015-02-25 何伟 分体龙头
CN104567216B (zh) * 2014-11-26 2016-11-30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一种自动接饮装置及具有该自动接饮装置的冰箱门体
US20160370100A1 (en) * 2015-06-16 2016-12-22 Dongbu Daewoo Electronics Corporation Dispenser structure for a refrigerator,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 operation thereof
KR101817259B1 (ko) * 2016-04-26 2018-01-11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디스펜서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77578B1 (ko) * 1997-12-31 2001-01-15 윤종용 디스펜서를갖는냉장고및그작동제어방법
US20080184730A1 (en) * 2004-06-04 2008-08-07 Whirlpool Corporation Water dispenser for refrigerator freezers
US20100307184A1 (en) * 2007-10-30 2010-12-09 Lg Electronics Inc. Dispense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307284A1 (en) 2017-10-26
CN107367099B (zh) 2020-01-21
US10119750B2 (en) 2018-11-06
CN107367099A (zh) 2017-11-21
KR20170121924A (ko) 2017-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7262B1 (ko) 냉장고의 디스펜서 어셈블리
KR102218018B1 (ko) 냉장고
KR100900292B1 (ko) 음식물 보관기기 및 그 제어방법
US9726413B2 (en)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8596085B2 (en) Refrigerator and dispenser for the same
KR20100033530A (ko) 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
KR19990026165A (ko) 냉장고용 디스펜서어셈블리 및 그 제어방법
US7188487B2 (en) Dispenser for refrigerator
KR20090004141A (ko) 음식물 보관기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405932B1 (ko) 음식물 보관기기
KR100951288B1 (ko) 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
CN101342970A (zh) 真空保鲜盒及使用该真空保鲜盒的家用电器
KR101817259B1 (ko) 냉장고의 디스펜서 어셈블리
US20100175416A1 (en) Refrigerator
US20100175417A1 (en) Refrigerator
KR20170119864A (ko) 디스펜서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20130045437A (ko) 냉장고
US20060179851A1 (en) Refrigerator
KR101153582B1 (ko) 디스펜서의 물꼭지 오염 방지 장치
KR100957424B1 (ko) 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
KR101671479B1 (ko) 냉장 기기의 디스펜서 구조물과 그 작동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0957441B1 (ko) 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
KR100906889B1 (ko) 냉장고의 디스펜서부 급수스위치 장치
KR20100024129A (ko) 냉장고
KR20110015975A (ko) 냉장고의 디스펜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