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5894B1 - 영상분석을 이용한 강제 승강방식의 팽창 수축형 해상풍력발전용 파일 보호장치 - Google Patents

영상분석을 이용한 강제 승강방식의 팽창 수축형 해상풍력발전용 파일 보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5894B1
KR101815894B1 KR1020160158873A KR20160158873A KR101815894B1 KR 101815894 B1 KR101815894 B1 KR 101815894B1 KR 1020160158873 A KR1020160158873 A KR 1020160158873A KR 20160158873 A KR20160158873 A KR 20160158873A KR 101815894 B1 KR101815894 B1 KR 1018158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bnormal object
unit
image frame
image
wind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88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나루이엠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나루이엠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나루이엠에스
Priority to KR10201601588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58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58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58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80/00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3D1/00 - F03D17/0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13/00Assembly, mounting or commissioning of wind motors;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ing wind motor components
    • F03D13/20Arrangements for mounting or supporting wind motors; Masts or towers for wind motors
    • F03D13/25Arrangements for mounting or supporting wind motors; Masts or towers for wind motors specially adapted for offshore install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20Analysis of motion
    • G06T7/269Analysis of motion using gradient-based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30Determination of transform parameters for the alignment of images, i.e. image registration
    • G06T7/33Determination of transform parameters for the alignment of images, i.e. image registration using feature-based methods
    • G06T7/337Determination of transform parameters for the alignment of images, i.e. image registration using feature-based methods involving reference images or patch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70Determining position or orientation of objects or cameras
    • G06T7/73Determining position or orientation of objects or cameras using feature-based methods
    • G06T7/74Determining position or orientation of objects or cameras using feature-based methods involving reference images or patch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Wind turbines with rotation axis in wind dir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7Offshore wind turb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Wind Motors (AREA)

Abstract

해양풍력 발전용 파일(Support Pile)을 보호하는 해상 풍력발전 파일 보호장치에 있어서, 해수면의 상부에 이격되게 지지파일의 외주면에 장착되어 승강수단(60)에 의해 수면위로 부유되게 낙하되거나, 해수면에 위치하여 부력에 의해 수위와 연동되게 승강하는 승강구(10)와, 상기 승강구(10)에 장착되어 팽창된 상태에서 포스트에 가해지는 이상물체의 충격을 흡수하고 이상물체 퇴거시인 정상시에 수축되는 팽창 수축식 보호수단(20)과, 이상물체감지부(50)의 지령을 받아 상기 팽창 수축식 보호수단(20)을 팽창 수축동작을 시행하는 보호수단 작동부(30)와, 상기 포스트에 이물체가 접근하는지 여부를 감시하고 이상 물체가 근접하였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보호수단 작동부(30)에 제어 신호를 인가하는 이상물체감지부(5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이상물체감지부(50)는, 목표물(T)을 촬영하는 카메라(51)와, 상기 카메라(51)로 촬영한 영상을 영상 프레임(F)으로 저장하는 영상 저장부(53)와, 전 단계의 영상 프레임과 미리 저장된 목표물(T)이 존재하지 않았을 때 배경 영상 프레임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비교 영상 프레임과 분석 대상이 되는 분석 대상 영상 프레임(F)을 비교 분석하여 배경 화면에 새로이 출현한 목표물(T)의 존재, 접근 여부를 분석하는 영상 분석부(55),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분석을 이용한 승강식 해상풍력발전용 파일 보호장치.

Description

영상분석을 이용한 강제 승강방식의 팽창 수축형 해상풍력발전용 파일 보호장치 { protective device for offshore wind power generation structure }
본 발명은 바다의 수위 변화에 적응하여 포스트를 따라 상하로 승강됨으로써 포스트에 작용하는 부력을 최소화할 수 있는 영상분석을 이용한 승강식 해상풍력발전용 파일 보호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해상 풍력발전기가 밀집해 있는 해상 풍력 발전 단지에 폐선이나 육상의 폐 컨테이너 등 중량의 물체가 태풍, 해일 등의 자연 재해시에 해안 근처에 설치된 해상 풍력 발전 단지로 접근하여 파도 등에 의해 가속된 후 풍력 발전기 장치를 지지하고 있는 파일(pile)을 큰 모멘텀으로 타격하여 파일이 기울어지거나 수직 상태에서 벗어나서 한기당 200억 이상의 설치비가 소요된 풍력발전기를 사용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파일을 보수하기 위한 노력이 거의 새로 파일을 해저 바닥에 심을 때와 같은 장비, 노력, 비용이 들고 인접한 지지파일에 의해 중장비가 근접할 수 없는 경우도 있어 파일의 고정성 및 수직성에 손상이 온경우 수리가 거의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기술과 직접 관련이 있는 선행기술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유사 분양의 출원으로서 공개특허 10-2013-0000659호(삼성중공업 주식회사)는 "상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해상의 지정된 설치포스트에 설치되는 타워; 상기 타워의 상단부에 설치되며, 내부에 전기를 생산하기 위한 발전기가 마련되는 낫셀; 및 상기 낫셀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바람에 의하여 회전됨으로써 상기 발전기에서 전력이 생산되도록 하는 블레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타워의 외주면에는 직경방향으로 함몰되어, 상기 타워를 리프팅 또는 언로딩하기 위한 크레인의 클램핑 유닛이 고정되는 타워측 함몰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풍력발전기." 와 "1 항의 해상풍력발전기를 해상에 설치하기 위한 해상풍력발전기 설치 크레인으로서, 크레인 선박에 설치되는 크레인본체; 상기 크레인 본체로부터 연장되며, 일단이 상기 크레인본체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지브; 상기 지브의 타단에 설치되어, 상하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클램핑유닛 가이드부; 및 상기 클램핑유닛 가이드부의 연장방향을 따라서 이동가능하게 상기 클램핑 유닛 가이드부에 설치되며, 해상풍력발전기의 타워측 함몰홈을 선택적으로 클램핑하는 클램핑유닛;을 포함하는 해상풍력발전기 설치크레인."을 게시한다. 이러한 장비 방법은 파일(또는 타워)의 직립성 보수용으로 사용되기 어렵다.
본 발명은 정상시 해수면 상부에 위치하고 비상시 해수면으로 하강하여 이상 물체의 충격을 흡수하여 파일으로 보호하고 이상 물체 퇴거시 다시 상승하여 전체 발전 단지 유지 보수가 용이하고 보호장치 분실 파손, 소음발생의 문제점을 해결한 영상분석을 이용한 승강식 해상풍력발전용 파일 보호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바다의 수위 변화에 적응하여 포스트를 따라 상하로 승강됨으로써 포스트에 작용하는 부력을 최소화할 수 있는 영상분석을 이용한 승강식 해상풍력발전용 파일 보호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영상분석을 이용한 승강식 해상풍력발전용 파일 보호장치는, 해양풍력 발전용 파일(Support Pile)을 보호하는 해상 풍력발전 파일 보호장치에 있어서,
해수면의 상부에 이격되게 지지파일의 외주면에 장착되어 승강수단(60)에 의해 수면위로 부유되게 낙하되거나, 해수면에 위치하여 부력에 의해 수위와 연동되게 승강하는 승강구(10)와,
상기 승강구(10)에 장착되어 팽창된 상태에서 포스트에 가해지는 이상물체의 충격을 흡수하고 이상물체 퇴거시인 정상시에 수축되는 팽창 수축식 보호수단(20)과,
이상물체감지부(50)의 지령을 받아 상기 팽창 수축식 보호수단(20)을 팽창 수축동작을 시행하는 보호수단 작동부(30)와,
상기 포스트에 이물체가 접근하는지 여부를 감시하고 이상 물체가 근접하였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보호수단 작동부(30)에 제어 신호를 인가하는 이상물체감지부(50),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이상물체감지부(50)는, 목표물(T)을 촬영하는 카메라(51)와, 상기 카메라(51)로 촬영한 영상을 영상 프레임(F)으로 저장하는 영상 저장부(53)와, 전 단계의 영상 프레임과 미리 저장된 목표물(T)이 존재하지 않았을 때 배경 영상 프레임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비교 영상 프레임과 분석 대상이 되는 분석 대상 영상 프레임(F)을 비교 분석하여 배경 화면에 새로이 출현한 목표물(T)의 존재, 접근 여부를 분석하는 영상 분석부(55),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이다.
영상 분석부(55)는, 전 단계의 영상 프레임과 미리 저장된 목표물(T)이 존재하지 않았을 때 배경 영상 프레임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비교 영상 프레임과 분석 대상 영상 프레임(F)을 비교 분석하되, 영상 프레임의 일정 영역 이상의 픽셀 값들의 명암값 또는 칼라데이터의 차이가 일정 범위 이상이면 배경 화면에 새로이 목표물(T)이 출현한 것으로 판단한다.
이상물체감지부(50)는 이상물체가 근접하고 있다고 판단한 경우 해수면 상부에 위치하고 있던 슬라이딩식 승강구(10) 및 팽창 수축식 보호수단(20) 결합체를 해수면으로 낙하시키고, 상기 이상물체감지부(50)의 지령을 받은 상기 보호수단 작동부(30)는 팽창 수축식 보호수단(20)을 팽창시키고, 상기 이상물체감지부(50)가 이상물체가 퇴거하여 비상상태가 종료되었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팽창 수축식 보호수단(20)을 초기 상태로 수축시키고, 상기 승강수단(60)이 상기 슬라이딩식 승강구(10) 및 팽창 수축식 보호수단(20) 결합체를 해수면 위의 초기 상태로 상승시킨다.
팽창 수축식 보호수단(20)은,
고압 공기의 주입에 의해 반경방향으로 팽창하고 공기의 누설에 의해 반경 방향으로 수축하는 중심에 포스트가 삽입될 수 있는 주름형 에어댐 또는 튜브형 에어댐인 것이 바람직하다.
승강식 해상풍력발전용 파일 보호장치 운용 방법에 있어서, 이상물체감지부(50)가 이상물체가 근접하고 있다고 판단한 경우 해수면 상부에 위치하고 있던 슬라이딩식 승강구(10) 및 팽창 수축식 보호수단(20) 결합체를 해수면으로 낙하시키는 단계(S10)와;
보호수단 작동부(30)가 이상물체감지부(50)의 지령을 받고 팽창 수축식 보호수단(20)을 팽창시키는 단계(S20)와;
상기 이상물체감지부(50)가 이상물체가 퇴거하여 비상상태가 종료되었다고 판단한 경우 보호수단 작동부(30)를 통하여 팽창 수축식 보호수단(20)을 초기 상태로 수축시키는 단계(S30)와;
이상물체감지부(50)가 이상물체가 퇴거하였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이상물체감지부(50)의 지령은 받은 승강수단(60)이 상기 슬라이딩식 승강구(10) 및 팽창 수축식 보호수단(20) 결합체를 해수면 위의 초기 상태로 상승시키는 단계(S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는 경우, 본 발명은 정상시 해수면 상부에 위치하고 비상시 해수면으로 하강하여 이상 물체의 충격을 흡수하여 파일으로 보호하고 이상 물체 퇴거시 다시 상승하여 전체 발전 단지 유지 보수가 용이하고 보호장치 분실 파손, 소음발생의 문제점을 해결한 영상분석을 이용한 승강식 해상풍력발전용 파일 보호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는 경우, 바다의 수위 변화에 적응하여 포스트를 따라 상하로 승강됨으로써 포스트에 작용하는 부력을 최소화할 수 있는 영상분석을 이용한 승강식 해상풍력발전용 파일 보호장치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영상분석을 이용한 승강식 해상풍력발전용 파일 보호장치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영상분석을 이용한 승강식 해상풍력발전용 파일 보호장치 상세도.
도 3은 본 발명의 영상분석을 이용한 승강식 해상풍력발전용 파일 보호장치 작동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영상분석을 이용한 승강식 해상풍력발전용 파일 보호장치 운용방법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위 연동형 부력 승강식 해상풍력발전용 구조물 보호장치 전체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위 연동형 부력 승강식 해상풍력발전용 구조물 보호장치 상세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위 연동형 에어댐 유로 연결도.
도 8은 본 발명의 수위 연동형 부력 승강식 해상풍력발전용 구조물 보호장치
이하에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위 연동형 부력 승강식 해상풍력발전용 구조물 보호장치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영상분석을 이용한 승강식 해상풍력발전용 파일 보호장치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영상분석을 이용한 승강식 해상풍력발전용 파일 보호장치 상세도, 도 3은 본 발명의 영상분석을 이용한 승강식 해상풍력발전용 파일 보호장치 작동 순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영상분석을 이용한 승강식 해상풍력발전용 파일 보호장치 운용방법 흐름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영상분석을 이용한 승강식 해상풍력발전용 파일 보호장치는, 해양풍력 발전용 파일(Support Pile)을 보호하는 해상 풍력발전 파일 보호장치에 있어서, 해수면의 상부에 이격되게 지지파일의 외주면에 장착되어 승강수단(60)에 의해 수면위로 부유되게 낙하되거나, 해수면에 위치하여 부력에 의해 수위와 연동되게 승강하는 승강구(10)와, 상기 승강구(10)에 장착되어 팽창된 상태에서 포스트에 가해지는 이상물체의 충격을 흡수하고 이상물체 퇴거시인 정상시에 수축되는 팽창 수축식 보호수단(20)과, 이상물체감지부(50)의 지령을 받아 상기 팽창 수축식 보호수단(20)을 팽창 수축동작을 시행하는 보호수단 작동부(30)와, 상기 포스트에 이물체가 접근하는지 여부를 감시하고 이상 물체가 근접하였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보호수단 작동부(30)에 제어 신호를 인가하는 이상물체감지부(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영상분석을 이용한 승강식 해상풍력발전용 파일 보호장치에 있어서, 이상물체감지부(50)는, 목표물(T)을 촬영하는 카메라(51)와, 상기 카메라(51)로 촬영한 영상을 영상 프레임(F)으로 저장하는 영상 저장부(53)와, 전 단계의 영상 프레임과 미리 저장된 목표물(T)이 존재하지 않았을 때 배경 영상 프레임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비교 영상 프레임과 분석 대상이 되는 분석 대상 영상 프레임(F)을 비교 분석하여 배경 화면에 새로이 출현한 목표물(T)의 존재, 접근 여부를 분석하는 영상 분석부(55),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영상분석을 이용한 승강식 해상풍력발전용 파일 보호장치에 있어서, 영상 분석부(55)는, 전 단계의 영상 프레임과 미리 저장된 목표물(T)이 존재하지 않았을 때 배경 영상 프레임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비교 영상 프레임과 분석 대상 영상 프레임(F)을 비교 분석하되, 영상 프레임의 일정 영역 이상의 픽셀 값들의 명암값 또는 칼라데이터의 차이가 일정 범위 이상이면 배경 화면에 새로이 목표물(T)이 출현한 것으로 판단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영상분석을 이용한 승강식 해상풍력발전용 파일 보호장치에 있어서, 이상물체감지부(50)는 이상물체가 근접하고 있다고 판단한 경우 해수면 상부에 위치하고 있던 슬라이딩식 승강구(10) 및 팽창 수축식 보호수단(20) 결합체를 해수면으로 낙하시키고, 상기 이상물체감지부(50)의 지령을 받은 상기 보호수단 작동부(30)는 팽창 수축식 보호수단(20)을 팽창시키고, 상기 이상물체감지부(50)가 이상물체가 퇴거하여 비상상태가 종료되었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팽창 수축식 보호수단(20)을 초기 상태로 수축시키고, 상기 승강수단(60)이 상기 슬라이딩식 승강구(10) 및 팽창 수축식 보호수단(20) 결합체를 해수면 위의 초기 상태로 상승시킨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영상분석을 이용한 승강식 해상풍력발전용 파일 보호장치에 있어서, 팽창 수축식 보호수단(20)은, 고압 공기의 주입에 의해 반경방향으로 팽창하고 공기의 누설에 의해 반경 방향으로 수축하는 중심에 포스트가 삽입될 수 있는 주름형 에어댐 또는 튜브형 에어댐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승강식 해상풍력발전용 파일 보호장치 운용 방법에 있어서, 이상물체감지부(50)가 이상물체가 근접하고 있다고 판단한 경우 해수면 상부에 위치하고 있던 슬라이딩식 승강구(10) 및 팽창 수축식 보호수단(20) 결합체를 해수면으로 낙하시키는 단계(S10)와;
보호수단 작동부(30)가 이상물체감지부(50)의 지령을 받고 팽창 수축식 보호수단(20)을 팽창시키는 단계(S20)와;
상기 이상물체감지부(50)가 이상물체가 퇴거하여 비상상태가 종료되었다고 판단한 경우 보호수단 작동부(30)를 통하여 팽창 수축식 보호수단(20)을 초기 상태로 수축시키는 단계(S30)와;
이상물체감지부(50)가 이상물체가 퇴거하였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이상물체감지부(50)의 지령은 받은 승강수단(60)이 상기 슬라이딩식 승강구(10) 및 팽창 수축식 보호수단(20) 결합체를 해수면 위의 초기 상태로 상승시키는 단계(S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 실시예 - 진공 펌프 수축형>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위 연동형 부력 승강식 해상풍력발전용 구조물 보호장치에 있어서, 팽창 수축식 보호수단(20)은 부력 슬라이딩식 승강구(10)의 외면에 장착되는 팽창 수축이 가능한 풍선형 또는 주름에 의한 접힘 방식의 에어댐(21)이고, 보호수단 작동부(30)는 이상물체 접근시 상기 에어댐(21)에 고압공기를 주입하는 고압공기 공급부(31) 또는 에어댐(21) 내부로 개스를 공급생성하는 개스발생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이상물체 퇴거시 상기 에어댐(21)으로부터 고압공기를 흡입 제거하여 에어댐(21)을 초기 상태로 수축시키는 진공펌프(35)를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위 연동형 부력 승강식 해상풍력발전용 구조물 보호장치에 있어서, 부력 슬라이딩식 승강구(10)에 공기 흡배기 유로(15)가 구비한다. 공기 흡배기 유로(15)는 유연호스(32)와 연통되고, 유연호스(32)는 T형 연결수단으로 통해 제1 제어밸브(V1)를 거쳐서 고압공기 공급부(31)와 연결되고 제2 제어밸브(V2)를 거쳐서 진공펌프(35)와 연결된다. 공기 흡배기 유로(15)는 팽창 수축식 보호수단(20)인 에어댐(21)의 흡배기공(23)과 연통된다.
이상물체 접근시 제1 제어밸브(V1)가 개방되어 상기 고압공기 공급부(31)가 유연호스(32)와 연통되었을 때 상기 공기 공급용 일방형 체크밸브(C1)를 통하여 공기가 주입되고 이때 제3밸브(V3)는 폐쇄상태에 있다. 이상물체 퇴거시 제1 제어밸브(V1)가 폐쇄되고 제2 밸브(V2)가 개방되며, 에어댐(20)에 근접하거나 에어댐 내부에 설치된 제3 밸브(V3)가 개방되어 진공펌프(35)와 에어댐(20)이 연통된다.
<제2 실시예 - 밴드 수축형>
도 8은 본 발명의 수위 연동형 부력 승강식 해상풍력발전용 구조물 보호장치 사용상태도(팽창상태)이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팽창 수축식 보호수단(20)은 부력 슬라이딩식 승강구(10)의 외면에 장착되는 팽창 수축이 가능한 풍선형 또는 주름에 의한 접힘 방식의 에어댐(21)이고, 보호수단 작동부(30)는 이상물체 접근시 상기 에어댐(21)에 고압공기를 주입하는 고압공기 공급부(31) 또는 가스를 생성하는 개스발생부(32) 중 적어도 하나와, 이상물체 퇴거시 상기 에어댐(21)으로부터 고압공기를 제거하여 에어댐(21)을 초기 상태로 수축시키는 수축용 밴드(37)를 포함한다. 에어댐(21)의 외측을 360도 둘러서 폐쇄원형의 수축용 밴드(37)이 구비되어 내부의 고압 팽창력에 의해 인장되어 에어댐(21)의 팽창을 방해하지 않지만 수축시 에어댐의 수축을 보조하고 보관시 에어댐의 부피를 줄여주고 장착 보관을 용이하게 한다. 이때 제3 밸브(V3)가 개방되어 수축으로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됐지만, 본 발명의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하여지는 것으로 본 발명과 균등 범위에 속하는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도면부호는 단순히 발명의 이해를 보조하기 위한 것으로 권리범위의 해석에 영향을 미치지 아니함을 밝히며 기재된 도면부호에 의해 권리범위가 좁게 해석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0 : 승강구
20 : 팽창 수축식 보호수단
30 : 보호수단 작동부
50 : 이상물체감지부
51 : 카메라
53 : 영상 저장부
55 : 영상 분석부
60 : 승강수단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해양풍력 발전용 파일(Support Pile)을 보호하는 해상 풍력발전 파일 보호장치에 있어서,
    해수면의 상부에 이격되게 지지파일의 외주면에 장착되어 승강수단(60)에 의해 수면위로 부유되게 낙하되거나, 해수면에 위치하여 부력에 의해 수위와 연동되게 승강하는 승강구(10)와,
    상기 승강구(10)에 장착되어 팽창된 상태에서 포스트에 가해지는 이상물체의 충격을 흡수하고 이상물체 퇴거시인 정상시에 수축되는 팽창 수축식 보호수단(20)과,
    이상물체감지부(50)의 지령을 받아 상기 팽창 수축식 보호수단(20)을 팽창 수축동작을 시행하는 보호수단 작동부(30)와,
    상기 포스트에 이물체가 접근하는지 여부를 감시하고 이상 물체가 근접하였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보호수단 작동부(30)에 제어 신호를 인가하는 이상물체감지부(50),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이상물체감지부(50)는, 목표물(T)을 촬영하는 카메라(51)와, 상기 카메라(51)로 촬영한 영상을 영상 프레임(F)으로 저장하는 영상 저장부(53)와, 전 단계의 영상 프레임과 미리 저장된 목표물(T)이 존재하지 않았을 때 배경 영상 프레임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비교 영상 프레임과 분석 대상이 되는 분석 대상 영상 프레임(F)을 비교 분석하여 배경 화면에 새로이 출현한 목표물(T)의 존재, 접근 여부를 분석하는 영상 분석부(55),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영상 분석부(55)는, 전 단계의 영상 프레임과 미리 저장된 목표물(T)이 존재하지 않았을 때 배경 영상 프레임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비교 영상 프레임과 분석 대상 영상 프레임(F)을 비교 분석하되,
    영상 프레임의 일정 영역 이상의 픽셀 값들의 명암값 또는 칼라데이터의 차이가 일정 범위 이상이면 배경 화면에 새로이 목표물(T)이 출현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이상물체감지부(50)는 이상물체가 근접하고 있다고 판단한 경우 해수면 상부에 위치하고 있던 슬라이딩식 승강구(10) 및 팽창 수축식 보호수단(20) 결합체를 해수면으로 낙하시키고,
    상기 이상물체감지부(50)의 지령을 받은 상기 보호수단 작동부(30)는 팽창 수축식 보호수단(20)을 팽창시키고,
    상기 이상물체감지부(50)가 이상물체가 퇴거하여 비상상태가 종료되었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팽창 수축식 보호수단(20)을 초기 상태로 수축시키고,
    상기 승강수단(60)이 상기 슬라이딩식 승강구(10) 및 팽창 수축식 보호수단(20) 결합체를 해수면 위의 초기 상태로 상승시키고,

    상기 팽창 수축식 보호수단(20)은, 고압 공기의 주입에 의해 반경방향으로 팽창하고 공기의 누설에 의해 반경 방향으로 수축하는 중심에 포스트가 삽입될 수 있는 주름형 에어댐 또는 튜브형 에어댐(21)이고,
    상기 보호수단 작동부(30)는 이상물체 접근시 상기 에어댐(21)에 고압공기를 주입하는 고압공기 공급부(31) 또는 가스를 생성하는 개스발생부(32) 중 적어도 하나와, 이상물체 퇴거시 상기 에어댐(21)으로부터 고압공기를 제거하여 에어댐(21)을 초기 상태로 수축시키는 수축용 밴드(37)를 포함하고,
    에어댐(21)의 외측을 360도 둘러서 폐쇄원형의 수축용 밴드(37)가 구비되어 내부의 고압 팽창력에 의해 인장되어 에어댐(21)의 팽창을 방해하지 않지만 수축시 에어댐의 수축을 보조하고 보관시 에어댐의 부피를 줄여주고 장착 보관을 용이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분석을 이용한 강제 승강방식의 팽창 수축형 해상풍력발전용 파일 보호장치.



  5. 삭제
  6. 삭제
KR1020160158873A 2016-11-28 2016-11-28 영상분석을 이용한 강제 승강방식의 팽창 수축형 해상풍력발전용 파일 보호장치 KR1018158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8873A KR101815894B1 (ko) 2016-11-28 2016-11-28 영상분석을 이용한 강제 승강방식의 팽창 수축형 해상풍력발전용 파일 보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8873A KR101815894B1 (ko) 2016-11-28 2016-11-28 영상분석을 이용한 강제 승강방식의 팽창 수축형 해상풍력발전용 파일 보호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5894B1 true KR101815894B1 (ko) 2018-01-09

Family

ID=610004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8873A KR101815894B1 (ko) 2016-11-28 2016-11-28 영상분석을 이용한 강제 승강방식의 팽창 수축형 해상풍력발전용 파일 보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589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3659B1 (ko) * 2013-08-08 2014-08-25 주식회사 나루이엠에스 팽창 수축이 가능한 에어댐을 이용한 해상 풍력발전 구조물 보호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3659B1 (ko) * 2013-08-08 2014-08-25 주식회사 나루이엠에스 팽창 수축이 가능한 에어댐을 이용한 해상 풍력발전 구조물 보호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55178C2 (ru) Защитная конструкция для сбора текучей среды, вытекающей в водное пространство
CN102296607B (zh) 在水下地层中安装基础构件的方法及系统
US8523482B1 (en) On demand non-rigid underwater oil and gas containment and retrieval system and method
US5154537A (en) Barrier curtain
US20150110564A1 (en) Offshore structures and associated apparatus and methods
JP2013032686A (ja) 建物用浮力付与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建物
US4573426A (en) Floating boom
KR101258916B1 (ko) 시추선
KR101815894B1 (ko) 영상분석을 이용한 강제 승강방식의 팽창 수축형 해상풍력발전용 파일 보호장치
CN206592246U (zh) 一种海上风力发电用结构物保护装置
CN211713956U (zh) 一种水下钻孔灌注桩钢护筒安装装置
CN105711772A (zh) 船舶防侧翻装置
JP2017186889A (ja) 非常用安全装置
CN112253398B (zh) 一种海上风电机组单桩基础内部气体自动排放方法
NO346090B1 (no) Enkelt søyle halvt nedsenkbar plattform for fast forankring på dypt vann
EP3231987B1 (en) An inflatable containment structure and method for recovering hydrocarbons or toxic fluids leaking from a sub-sea structure
US8678707B1 (en) Well-head blowout containment system
CN106812671B (zh) 一种利用影像分析的升降式海上风力发电用桩保护装置及其运用方法
KR101433659B1 (ko) 팽창 수축이 가능한 에어댐을 이용한 해상 풍력발전 구조물 보호장치
CN115506394B (zh) 一种用于多舱系筒型基础的泵撬块系统
KR101776457B1 (ko) 급속 차폐 시스템
CN205327369U (zh) 一种橡胶打捞浮筒
KR101716327B1 (ko) 유압식 선체 고정장치를 갖춘 해상 플랫폼
JP6464388B2 (ja) 非常用防護装置
EP3290590A1 (en) A method and a tool assembly for the removal of a monopile found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