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5418B1 - 인두화를 위한 각인기에 장착된 펜팁 - Google Patents

인두화를 위한 각인기에 장착된 펜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5418B1
KR101815418B1 KR1020170048948A KR20170048948A KR101815418B1 KR 101815418 B1 KR101815418 B1 KR 101815418B1 KR 1020170048948 A KR1020170048948 A KR 1020170048948A KR 20170048948 A KR20170048948 A KR 20170048948A KR 101815418 B1 KR101815418 B1 KR 1018154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n tip
burning
electrode terminal
shape
burn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89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수
김슬기
Original Assignee
김슬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슬기 filed Critical 김슬기
Priority to KR10201700489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54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54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54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3/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ornamental 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7/00Paperhanging

Landscapes

  • Pens And Brushes (AREA)

Abstract

인두화는 재료를 그을리거나 태워서 표현하는 대중적인 공예로써 목재, 가죽, 대나무, 한지, 박 등 기타 열에 의한 변형이 가능한 재료를 주소재로하며 사용자의 범위에 따라서 작업성과 작품성, 효율성에 차이가 크게 나타나게 한다. 본 발명의 요지는 양질의 재료는 물론 흠, 굴곡, 비평면 등 재료의 특성에 쉽게 적용하여 표현 작업이 용이하고, 문양을 이루는 선폭, 형상 등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인두화를 위한 각인기에 장착된 펜팁을 제시한다. 그 펜팁은 저항발열을 이용하여 재료의 표면에 문양을 인쇄하기 위한 각인기에 장착되는 펜팁으로, 갭(G)을 가지면서 분리된 전극단자와, 전극단자에 접합되는 버닝부 및 전극단자 및 버닝부를 결합시키는 접합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인두화를 위한 각인기에 장착된 펜팁{Pen tip installed at imprinter for pyrographic}
본 발명은 각인기에 장착된 펜팁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저항발열을 이용하여, 목재 및 기타재료의 표면에 다양한 굵기 및 형상을 가진 문양을 구현하기 위한 각인기에 장착되는 펜팁에 관한 것이다.
인두화는 목재, 가죽, 한지, 대나무, 원단, 박 등의 재료에 다양한 문양을 각인하는 것으로, 지적인(intellectual) 작업이며 예술적인(artistic) 영역에 속한다. 인두화는 각인기 펜대에 금속 팁을 장착하며, 펜팁을 가열한 뒤 소재에 접촉시켜, 소재를 그을리거나 태워서 글, 그림, 문양 등을 각인하는 작업이다. 즉, 인두화를 위한 각인기는 몸체, 펜 연결 케이블 및 펜팁으로 구성된다. 상기 펜팁은 통상적으로 니크롬선과 같은 열선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펜팁의 온도는 수백℃ 정도로 유지한다. 종래의 펜팁은 전체적 또는 부분적으로 굵기가 일정한 열선이 끊어짐이 없이 구부리거나 압착하는 방식으로 제작되어 연결된 형태이다. 이러한 버닝에 대한 펜팁에 관하여, 미국등록특허 제4,473946호, 미국공개특허 제2005-0155964호 등에 상세하게 설명되어 있다.
도 1은 종래의 펜팁의 일부 사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펜팁은 열선(101) 자체가 다각형을 이루어지거나(a), b와 c와 같이, 열선(102a, 103a)의 일부가 눌려서 납작해진 상태(102b, 103b)로 이루어진 열선(102, 103) 등이 있다. 종래의 펜팁은 앞의 사례 이외에도 매우 다양한 종류가 있다. 그런데, 종래의 펜팁은 나무결, 흠집, 비평면, 재료별 등이 있는 재질에 따라서 인두화 작업이 매우 어렵다. 왜냐하면, 상기 팁이 흠집, 나무결 등에 박히거나 움직임이 원활하지 않는 등의 불편함이 있기 때문이다. 또한, 종래의 펜팁의 굵기는 일정하게 정해져 있으므로, 소재에 표현되는 문양을 이루는 선폭, 형상 등을 자유롭게 조절하기 어렵다. 예를 들어, 폭이 1cm인 문양(선, 면)을 종래의 펜팁으로 표현하기 위해서는 여러 번의 작업이 필요하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인두화 작업에서 누구나 쉽고 다양한 표현을 구현할 수 있고, 흠이 있는 소재에서의 표현작업이 용이하고, 문양을 이루는 선폭, 형상 등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인두화를 위한 각인기에 장착된 펜팁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각인기에 장착된 펜팁은 저항발열을 이용하여 소재의 표면에 문양을 표현하기 위한 각인에 장착되는 펜팁에 있어서, 상기 펜팁은 갭(G)을 가지면서 분리된 전극단자와, 상기 전극단자에 접합되는 버닝부 및 상기 전극단자 및 버닝부를 결합시키는 접합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펜팁에 있어서, 상기 전극단자는 상기 버닝부의 중심부에 접합될 수 있다. 상기 버닝부는 전기적인 저항에 의해 발열되는 저항발열체이다. 상기 버닝부는 상기 전극단자가 일측에 편재되어 접합되며 타원형을 포함하는 원형의 밑판과 상기 밑판이 연장된 측벽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버닝부는 상기 전극단자가 일측에 편재되어 접합되며 직사각형을 포함하는 사각형의 밑판과 상기 밑판이 연장된 측벽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버닝부는 상기 전극단자가 일측에 편재되어 접합되며 원통 형태일 수 있다. 상기 버닝부는 상기 전극단자 사이에 삽입되어 접합되며, 원통 형태일 수 있다. 상기 버닝부는 상기 전극단자 사이에 삽입되어 접합되며, 상기 전극단자의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이 확장되는 원통일 수 있다.
바람직한 본 발명의 펜팁에 있어서, 상기 버닝부는 전체가 평편한 형태, 부분적으로 볼록한 형태, 전체가 볼록한 형태 및 전체가 볼록한 형태의 일부에 부분적으로 볼록한 형태가 조합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펜팁에 있어서, 상기 버닝부는 전사 문양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버닝부는 복수개의 구가 접합될 수 있으며, 상기 구는 접합층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버닝부는 복수개의 나사산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인두화를 위한 각인기에 장착된 펜팁에 의하면, 갭(G)을 가지면서 분리된 전극단자 사이에 다양한 종류의 버닝부를 결합시켜 펜팁(pen tip)을 제작함으로써, 양질의 재료 및 흠이 있는 재료 또는 기타 재료별 특징에 무관하게 표현작업이 용이하고, 문양을 이루는 선폭, 형상 등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으며, 초보자라도 쉽게 작업 할 수 있으며, 인두화 작업을 하는 시간과 횟수를 줄여서 작품성을 높이고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펜팁의 사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인두화를 위한 각인기에 장착된 제1 펜팁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a) 및 사시도(a)의 2B-2B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b)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인두화를 위한 각인기에 장착된 제2 펜팁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a) 및 사시도(a)의 3B-3B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b)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인두화를 위한 각인기에 장착된 제3 펜팁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인두화를 위한 각인기에 장착된 제4 펜팁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인두화를 위한 각인기에 장착된 제5 펜팁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인두화를 위한 각인기에 장착된 제6 펜팁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인두화를 위한 각인기에 장착된 제7 펜팁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갭(G)을 가지면서 분리된 전극단자 사이에 다양한 종류의 버닝부를 결합시켜 펜팁(pen tip)을 제작함으로써, 양질의 재료 및 흠이 있는 재료에서의 표현작업이 용이하고, 문양의 폭, 형상 등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펜팁을 제시한다. 이를 위해, 상기 펜팁의 구조를 상세하게 알아보고, 버닝부에 의한 작업 효과를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인두화는 목재를 그을리거나 태워서 글과 그림 문양을 다양하게 표현하는 것으로, 지적인 작업이며 예술적인 영역에 속한다. 인두화는 파이로그래픽(pyrographic)이라고도 하며, 여기서 문양이란 회화, 글씨 등이 있다.
인두화는 각인기에 장착되어 가열된 금속 펜팁을 목재에 접촉시켜, 목재를 그을리거나 태워서 문양을 인쇄한다. 즉, 인두화를 위한 각인기는 인두의 몸체, 펜 연결 케이블 및 펜팁으로 구성된다. 상기 몸체는 펜팁의 저항발열을 위한 전원을 제공하고, 인두화 작업에 요구되는 각종 제어를 실시한다. 상기 몸체는 공지되어 있으며,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몸체를 적용할 수 있다. 펜팁에서는, 옴(Ω)의 법칙에 따른 전기적 저항으로 유도된 발열이 이루어진다. 상기 발열은 펜팁이 수백도의 온도를 유지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인두화를 위한 각인기에 장착된 제1 펜팁(10)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a) 및 사시도(a)의 2B-2B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b)이다.
도 2에 의하면, 제1 펜팁(10)은 (+) 및 (-) 전원과 연결된 전극단자(11), 접합부(12) 및 제1 버닝부(15)를 포함한다. 접합부(12)는 전극단자(11)를 제1 버닝부(15)에 결합시킨다. 접합부(12)는 제1 버닝부(15)의 중심부에 위치하고, 접합부(12) 사이는 갭(G)을 가지며, 아크, 알곤 및 기타 특수용접이 바람직하다. 접합부(12)가 제1 버닝부(15)의 중심부에 위치하면, 발열에 의한 열전달이 제1 버닝부(15)에 빠르고 균일하게 일어난다. 이에 따라, 상기 중심부는 앞에서 설명한 기술적 사상을 만족하는 개념이다. 제1 버닝부(15)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며, 전기적 저항으로 발열이 유도되는 저항발열체이다. 상기 저항발열체는 굳이 제한하지 않으나, 니크롬, 동, 텅스텐 등이 있다. 전극단자(11)에 전원을 가하면, 전극단자(11) 및 제1 버닝부(15)는 발열되어 수백도의 온도를 유지한다.
제1 버닝부(15)는 밑판(13) 및 측벽(14)로 이루어진다. 제1 버닝부(15)의 밑판(13)은 타원형을 포함한 원형이다. 밑판(13) 및 측벽(14)이 만나는 부분은 라운딩 되는 것이 좋다. 제1 버닝부(15)의 밑판(13)은 전체가 평편한 형태(13a), 부분적으로 볼록한 형태(13b) 및 전체가 볼록한 형태(13c) 중의 어느 하나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전체가 볼록한 형태(13c)의 일부에 부분적으로 볼록한 형태(13b)가 조합된 것일 수 있다. 여기서, 볼록하다는 것은 전극단자(11)의 반대방향으로 돌출된 것을 말한다. 이러한 밑판(13)은 제1 펜팁(10)에 의해 표현하고자 하는 문양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체가 평편한 형태(13a)이면, 상대적으로 폭이 넓은 선폭을 구현할 수 있다. 부분적으로 볼록한 형태(13b)이면 상대적으로 작은 선폭이 표현되며, 전체가 볼록한 형태(13c)이면 목재에 접촉되는 면적을 조절하여 선폭을 달리할 수 있다.
전극단자(11) 및 제1 버닝부(15)는 조절각도(θ)를 가진다. 조절각도(θ)는 0도보다 크고 90도보다 작을 수 있다. 전극단자(11)는 금속이므로 연성이 있어서, 우드버닝 과정에서 필요에 따라 조절각도(θ)을 조절할 수 있다. 조절각도(θ)를 가지면, 제1 버닝부(15)가 목재에 접촉하는 정도를 자유롭게 조절하는 데 유용하다. 예컨대, 조절각도(θ)가 90도이면 목재와의 접촉면적이 작아지고, 조절각도(θ)가 45도이면 상기 접촉면적이 커진다. 조절각도(θ)는 목재와의 접촉면적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적 사상에 근거한다. 이에 따라, 조절각도(θ)는 상기 기술적 사상을 고려하지 않고, 이는 조절각도(θ)의 반복실험을 통하여 획득할 수 없는 것이다.
제1 펜팁(10)을 재료에 접촉시키면, 목재는 그을리거나 탄화되어 문양이 새겨진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제1 버닝부(15)는 단부가 날카롭지 않도록 측벽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나무결, 흠집, 비평면 등의 재료의 형태에 무관하게 평탄하지 않은 재료의 표면에 박히지 않고 쉽게 이동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버닝부(15)는 소재의 결, 흠 등에 박히지 않고, 표면이 비평면이라고 할지라도 용이하게 움직인다. 또한,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버닝부(15)와 재료와의 접촉면적을 달리하여, 문양을 표현하고자 하는 선폭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선폭이 넓으면 면폭이라고 말할 수 있지만,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선폭이라고 통칭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인두화를 위한 각인기에 장착된 제2 펜팁(20)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a) 및 사시도(a)의 3B-3B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b)이다. 여기서, 제2 펜팁(20)은 제2 버닝부(23)의 형상을 제외하고 도 2에서 제시한 제1 펜팁(10)과 동일하므로, 동일한 참조부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에 의하면, 제2 펜팁(20)은 (+) 및 (-) 전원과 연결된 전극단자(11), 접합부(12) 및 제2 버닝부(23)를 포함한다. 제2 버닝부(23)는 밑판(21) 및 측벽(22)로 이루어진다. 제2 버닝부(23)의 밑판(21)은 직사각형을 포함한 사각형이다. 제2 버닝부(23)의 밑판(21)은 전체가 평편한 형태(21a), 부분적으로 볼록한 형태(21b) 및 전체가 볼록한 형태(21c) 중의 어느 하나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전체가 볼록한 형태(21c)의 일부에 부분적으로 볼록한 형태(21b)가 조합된 것일 수 있다. 이러한 밑판(21)은 제2 펜팁(20)에 의해 표현하고자 하는 문양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제1 및 제2 버닝부(15, 23)은 원형이나 사각형이 아닌 하트, 별 등과 같은 특정 문양일 수 있다. 즉, 도시된 제1 및 제2 버닝부(15, 23)에 하트, 별 등의 특정 문양을 결합시킨 후, 재료에 접촉시키면 재료에는 상기 특정 문양이 새겨진다. 상기 특정 문양을 재료의 표면에 접촉한 채, 움직이지 않으면 상기 문양이 재료의 표면에 전사된다. 이러한 특정 문양을 전사 문양이라고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및 제2 펜팁(10, 20)은 재료에 표현하고자 하는 문양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인두화를 위한 각인기에 장착된 제3 펜팁(30)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여기서, 제3 펜팁(30)은 제3 버닝부(31)의 형상을 제외하고 도 2에서 제시한 제1 펜팁(10)과 동일하므로, 동일한 참조부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4에 의하면, 제3 펜팁(30)은 (+) 및 (-) 전원과 연결된 전극단자(11), 접합부(12) 및 제3 버닝부(31)를 포함한다. 제3 버닝부(31)는 복수개의 구슬이 접합된 것이다. 제3 버닝부(31)는 열전달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접합층(32)에 의해 접합된다. 만일, 접합층(32)이 없으면, 제3 버닝부(31) 사이의 접합면적이 작아서 열전달이 제대로 일어나지 않는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접합면적을 넓히는 접합층(32)을 이용하여 열전달을 수월하게 한다. 제3 버닝부(31)의 크기 등은 제3 펜팁(30)에 의해 표현하고자 하는 문양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제3 버닝부(31)로 목재에 인쇄하면, 복수개의 선을 한꺼번에 표현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인두화를 위한 각인기에 장착된 제4 펜팁(40)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여기서, 제4 펜팁(40)은 제4 버닝부(41)의 형상을 제외하고 도 2에서 제시한 제1 펜팁(10)과 동일하므로, 동일한 참조부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5에 의하면, 제4 펜팁(40)은 (+) 및 (-) 전원과 연결된 전극단자(11), 접합부(12) 및 제4 버닝부(41)를 포함한다. 제4 버닝부(41)는 원통 형태이다. 제4 버닝부(41)은 표면이 전체가 평편한 형태(41a), 부분적으로 볼록한 형태(41b) 및 전체가 볼록한 형태(41c) 중의 어느 하나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전체가 볼록한 형태(41c)의 일부에 부분적으로 볼록한 형태(41b)가 조합된 것일 수 있다. 이러한 제4 버닝부(41)의 형상 및 크기는 제4 펜팁(40)에 의해 표현하고자 하는 문양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인두화를 위한 각인기에 장착된 제5 펜팁(50)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여기서, 제5 펜팁(50)은 제5 버닝부(51)의 형상을 제외하고 도 2에서 제시한 제1 펜팁(10)과 동일하므로, 동일한 참조부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6에 의하면, 제5 펜팁(50)은 (+) 및 (-) 전원과 연결된 전극단자(11), 접합부(12) 및 제5 버닝부(51)를 포함한다. 제5 버닝부(51)는 나사 형태이다. 제5 버닝부(51)로 재료에 인쇄하면, 나사산의 숫자만큼의 선을 한꺼번에 표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5 버닝부(51)의 나사산의 수가 5개이면, 5개의 선이 재료에 인쇄된다. 또한, 나사산의 형태를 달리하면, 재료에 인쇄되는 선폭이 달라진다. 도면에서는, 나사산이 뾰쪽한 예를 나타내었으나, 나사산의 끝부분을 라운딩하면 뾰쪽한 경우에 비해 선폭이 커진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인두화를 위한 각인기에 장착된 제6 펜팁(60)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여기서, 제6 펜팁(60)은 제6 버닝부(61)의 형상을 제외하고 도 2에서 제시한 제1 펜팁(10)과 동일하므로, 동일한 참조부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7에 의하면, 제6 펜팁(60)은 (+) 및 (-) 전원과 연결된 전극단자(11), 접합부(12) 및 제6 버닝부(61)를 포함한다. 제6 버닝부(61)는 원통 형태이다. 접합부(12)는 제1 내지 제5 펜팁(10, 20, 30, 40, 50)에서의 접합부는 제1 내지 제5 버닝부(15, 23, 31, 41, 51)의 일측에 편재되어 접합되나, 제6 버닝부(61)는 전극단자(11) 사이에 삽입된다. 상기 편재와 상기 삽입은 도면을 통하여 자명하게 구분할 수 있다. 제6 버닝부(61)은 목재와 접촉하는 부분이 전체적으로 평편한 형태(61a), 부분적으로 볼록한 형태(61b) 및 전체가 볼록한 형태(61c) 중의 어느 하나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전체가 볼록한 형태(61c)의 일부에 부분적으로 볼록한 형태(61b)가 조합된 것일 수 있다. 이러한 제6 버닝부(61)의 형상 및 크기는 제6 펜팁(60)에 의해 표현하고자 하는 문양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인두화를 위한 각인기에 장착된 제7 펜팁(70)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여기서, 제7 펜팁(70)은 제7 버닝부(71)의 형상을 제외하고 도 6에서 제시한 제6 펜팁(60)과 동일하므로, 동일한 참조부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8에 의하면, 제7 펜팁(70)은 (+) 및 (-) 전원과 연결된 전극단자(11), 접합부(12) 및 제7 버닝부(71)를 포함한다. 제7 버닝부(71)는 속이 빈 원통에서 전극단자(11)의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이 확장된 형태이다. 제7 버닝부(71)은 목재와 접촉하는 부분이 전체적으로 평편한 형태(71a), 부분적으로 볼록한 형태(71b) 및 전체가 볼록한 형태(71c) 중의 어느 하나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전체가 볼록한 형태(71c)의 일부에 부분적으로 볼록한 형태(71b)가 조합된 것일 수 있다. 이러한 제7 버닝부(71)의 형상 및 크기는 제7 펜팁(70)에 의해 표현하고자 하는 문양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펜팁들은 전극단자(11)가 종래와는 달리 일체화되지 않고 갭(G)을 가지면서 분리되어 있다. 전극단자(11)가 분리되어 있으면, 전극단자(11)에 앞에서 설명한 다양한 형태의 펜팁들을 접합시킬 수 있다. 이러한 펜팁부들은 재료에 표현하고자 하는 문양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된다. 본 발명에서 갭(G)은 인쇄부의 종류, 크기, 발열정도 등을 고려하여 사전에 설정된다.
이상,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10, 20, 30, 40, 50, 60, 70; 제1 내지 제7 펜팁
11; 전극단자 12; 접합부
13, 21; 밑판
14, 22; 측벽
15, 23, 31, 41, 51, 61, 71; 제1 내지 제7 버닝부
32; 접합층

Claims (13)

  1. 저항발열을 이용하여 재료의 표면에 글과 그림, 문양을 표현하기 위한 각인기에 장착되는 펜팁에 있어서,
    상기 펜팁은,
    갭(G)을 가지면서 분리된 전극단자;
    상기 전극단자에 접합되는 버닝부; 및
    상기 전극단자 및 상기 버닝부를 결합시키는 접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버닝부는 상기 전극단자가 일측에 편재되어 접합되며, 밑판과 상기 밑판이 연장되어 패인 공간을 형성하는 측벽을 이루고, 상기 밑판과 상기 측벽이 만나는 부분은 라운딩 되어 상기 재료의 표면에서의 이동을 원활하게 하며, 상기 전극단자는 상기 버닝부의 중심부에 접합되어 상기 전극단자 및 상기 밑판은 0보다 크고 90보다 작은 조절각도를 이루고,
    상기 밑판은 전체가 평편한 형태, 부분적으로 볼록한 형태, 전체가 볼록한 형태 및 전체가 볼록한 형태의 일부에 부분적으로 볼록한 형태가 조합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형태를 가지고, 상기 형태는 상기 재료의 표면에 표현되는 선폭에 따라 정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두화를 위한 각인기에 장착된 펜팁.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닝부는 전기적인 저항에 의해 발열되는 저항발열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두화를 위한 각인기에 장착된 펜팁.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밑판은 타원형을 포함하는 원형 또는 직사각형을 포함하는 사각형 중의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두화를 위한 각인기에 장착된 펜팁.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닝부는 전사 문양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두화를 위한 각인기에 장착된 펜팁.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KR1020170048948A 2017-04-17 2017-04-17 인두화를 위한 각인기에 장착된 펜팁 KR1018154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8948A KR101815418B1 (ko) 2017-04-17 2017-04-17 인두화를 위한 각인기에 장착된 펜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8948A KR101815418B1 (ko) 2017-04-17 2017-04-17 인두화를 위한 각인기에 장착된 펜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5418B1 true KR101815418B1 (ko) 2018-01-08

Family

ID=610036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8948A KR101815418B1 (ko) 2017-04-17 2017-04-17 인두화를 위한 각인기에 장착된 펜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541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752737A (zh) * 2021-09-30 2021-12-07 玉旗美 一种文字图案的复烙方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73946A (en) 1983-04-06 1984-10-02 Hill Richard L Pyrographic iron tip
JP3041419B2 (ja) 1998-10-26 2000-05-15 京都大学長 ドパミンd4受容体に結合する放射性ヨウ素標識診断剤
CN201357689Y (zh) 2009-01-06 2009-12-09 徐灿清 电烙画工具
US20120132637A1 (en) 2010-11-30 2012-05-31 Timothy Effrem Wood burning apparatus
CN203381412U (zh) 2013-05-07 2014-01-08 吴云峰 具有内加热形式的多功能烙画笔头
US9125379B1 (en) 2013-05-01 2015-09-08 Jerone Levy Portable branding iron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73946A (en) 1983-04-06 1984-10-02 Hill Richard L Pyrographic iron tip
JP3041419B2 (ja) 1998-10-26 2000-05-15 京都大学長 ドパミンd4受容体に結合する放射性ヨウ素標識診断剤
CN201357689Y (zh) 2009-01-06 2009-12-09 徐灿清 电烙画工具
US20120132637A1 (en) 2010-11-30 2012-05-31 Timothy Effrem Wood burning apparatus
US9125379B1 (en) 2013-05-01 2015-09-08 Jerone Levy Portable branding iron
CN203381412U (zh) 2013-05-07 2014-01-08 吴云峰 具有内加热形式的多功能烙画笔头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P03041419 U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752737A (zh) * 2021-09-30 2021-12-07 玉旗美 一种文字图案的复烙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5418B1 (ko) 인두화를 위한 각인기에 장착된 펜팁
JP2014514187A (ja) 連続工程で起伏を有する壁被覆物を製造する方法
JP2006308976A5 (ko)
JP2021126904A (ja) 樹脂シートの製造方法
CN109367224A (zh) 一种多工位笔夹移印机
JPH04219168A (ja) 凹凸表面を有するフィルムの製造装置
JP6623626B2 (ja) 転写方法
CN207736948U (zh) 一种平压平薄型烫金版结构
US1136591A (en) Method of forming stencil-sheets.
CN207224881U (zh) 一种防卷曲高平滑度热转印纸
KR20040031561A (ko) 전사 인쇄장치의 가열 누름판 구조
CN211542922U (zh) 一种热敏打印头电极引脚结构
KR102360816B1 (ko) 그라데이션 효과를 갖는 패턴층 제조 장치 및 그라데이션 효과를 갖는 패턴층 제조 방법
KR200301531Y1 (ko) 전사 인쇄장치의 가열 누름판 구조
JPH11216998A (ja) 箔の刻印方法及び装置
US20050285295A1 (en) Heat embossing method and apparatus
CN212889543U (zh) 一种隔热凹凸版
CN217133903U (zh) 压花纸标签
JP6286994B2 (ja) オフセット印刷装置
WO2023004144A3 (en) Additive chemistries, methods, and systems for additive manufacturing
JP4649627B2 (ja) 熱可塑性樹脂板の突合せ溶着方法、熱可塑性樹脂板の突合せ溶着装置、突合せ溶着した熱可塑性樹脂板
JP2005329717A (ja) 筆記具の再転写加飾方法
JP2007092192A (ja) エンボス加工用離型紙の製造装置および製造方法
JPH05318992A (ja) 木目調エンボス版、木目調エンボス版の製造方法及び木目調化粧材
US7889396B2 (en) Engraving method for a laser engrav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