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5181B1 - 포장상자 - Google Patents

포장상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5181B1
KR101815181B1 KR1020160041178A KR20160041178A KR101815181B1 KR 101815181 B1 KR101815181 B1 KR 101815181B1 KR 1020160041178 A KR1020160041178 A KR 1020160041178A KR 20160041178 A KR20160041178 A KR 20160041178A KR 101815181 B1 KR101815181 B1 KR 1018151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surface portion
folded
sheet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11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14424A (ko
Inventor
박정호
Original Assignee
박정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정호 filed Critical 박정호
Priority to KR10201600411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5181B1/ko
Publication of KR201701144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44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51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51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50Internal supporting or protecting elements for contents
    • B65D5/5002Integral elements for containers having tubular body walls
    • B65D5/5011Integral elements for containers having tubular body walls formed by folding inwardly of extensions hinged to the upper or lower edges of the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0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 or erecting a single blank to form a tubular body with or without subsequent folding operations, or the addition of separate elements, to close the ends of the body
    • B65D5/0254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 or erecting a single blank to form a tubular body with or without subsequent folding operations, or the addition of separate elements, to close the ends of the body with end closures formed by inward folding of flaps and securing them by means of a tongue integral with one of the fl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266Folding lines, score lines, crease 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295Ventilating arrangements, e.g. openings, spac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 B65D81/0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65D85/36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bakery products, e.g. biscu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5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living organisms, articles or materials sensitive to changes of environment or atmospheric conditions, e.g. land animals, birds, fish, water plants, non-aquatic plants, flower bulbs, cut flowers or foli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Toxicology (AREA)
  • Zoology (AREA)
  • Cart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장상자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내부에 식품의 보호 및 유지를 위한 용지가 더 구비되는 포장상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포장상자는, 내측에 좌측면부, 전측면부, 우측면부, 후측면부, 바닥면부를 포함하는 박스 및 상기 좌측면부와 전측면부 및 우측면부에 걸쳐 일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박스의 내측을 덮도록 접히되, 양측에 구겨짐 없이 원터치 방식으로 접히도록 접지 도움수단이 형성되는 용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포장상자{THE BOX FOR PACKING}
본 발명은 포장상자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내부에 식품의 보호 및 유지를 위한 용지가 더 구비되는 포장상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품을 담는 포장용 종이상자는 식품이 포장용 상자와 직접 닿는 면이 식품용에 적합해야 한다고 식품 위생법에 명기되어 있다.
그래서 포장용 종이상자는 재질 자체를 식품위생법에서 허용하고, 식품 포장으로 공인된 용지를 사용하거나 그렇지 않은 용지의 경우 식품이 닿는 내측에 PET 라미네이팅 처리를 하거나, 이면이 PE코팅 처리된 용지를 사용하거나, 식품 위생법상 공인된 재질의 밑지를 별도로 깔아주거나 한다.
특히 우유나 버터, 마가린을 함유한 제과류 및 제빵류나 식용유를 사용하여 가공하는 어묵류, 치킨류, 튀김류 등은 그 제품의 특성상 제품 자체에 기름기를 함유하고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의 제품을 담는 포장용 상자를 선택함에 있어 전술한 포장용재의 조건에 부합하도록 별도의 제조과정을 거쳐야만 한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코팅 재질이 기름기를 차단하는 기능으로 인하여 오히려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제품이 더욱 눅눅해지는 부작용이 있으며, 별도의 제조과정으로 인한 비용과 시간에 따른 노력을 감수해야 한다.
또한, 포장상자 자체의 지지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별도의 보강용 용지가 따로 구비되어야 한다는 점도 기존의 포장상자가 가지는 불편함을 더욱 부각시킨다.
그러한 불편함의 해소를 위하여 일반적으로 식품 보관용 포장상자의 내측을 덮도록 별도의 속지가 끼워지고 있으나, 그마저도 속지를 마련하는데 따르는 비용 및 속지를 포장상자의 내부에 맞도록 하나씩 접어 끼우는데 따르는 시간이 추가로 발생하기 때문에, 근본적인 해결책으로서의 역할을 해내고 있지 못하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58222호(2008년 9월 4일)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속지의 역할을 하는 일체형 용지가 구비되며, 상기 용지의 양측에는 포장상자에 용이하게 접혀 넣어지기 위한 접지 도움수단이 마련되는 포장상자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전술한 과정을 통하여 식품의 잔유 흡수와 충격에 대한 보강이 가능한 용지가 일체로 형성되는 포장상자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의 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의 포장상자는, 내측에 좌측면부, 전측면부, 우측면부, 후측면부, 바닥면부를 포함하는 박스 및 상기 좌측면부와 전측면부 및 우측면부에 걸쳐 일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박스의 내측을 덮도록 접히되, 양측에 구겨짐 없이 원터치 방식으로 접히도록 접지 도움수단이 형성되는 용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용지는, 상기 전측면부와 이어지며 접혀짐에 따라 전측면부를 덮게 되는 제1 용지와, 상기 좌측면부 및 제1 용지의 좌측과 이어지며 접혀짐에 따라 좌측면부를 덮게 되는 제2 용지와, 상기 우측면부 및 제1 용지의 우측과 이어지며 접혀짐에 따라 우측면부를 덮게 되는 제3 용지와, 상기 제1 용지의 상측과 이어지며 접혀짐에 따라 바닥면부를 덮게 되는 제4 용지와, 상기 제4 용지의 상측과 이어지며 접혀짐에 따라 후측면부를 덮게 되는 제5 용지 및, 상기 제5 용지의 상측과 이어지는 제6 용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접지 도움수단은, 상기 제1 용지와 제2 용지의 사이 및 상기 제1 용지와 제3 용지의 사이에 각각 마련되는 구김방지공과, 상기 제1 용지와 제2 용지의 사이 및 상기 제1 용지와 제3 용지의 사이에 각각 마련되며, 각각의 일단이 상기 구김방지공 각각의 일단과 마주하는 제1 접지선과, 상기 제2 용지와 제3 용지 각각에 사선형태로 형성되는 것으로, 각각의 일단이 상기 구김방지공의 좌측단부 및 우측단부와 마주하고 각각의 타단이 상기 제2 용지의 좌측 상단 및 제3 용지의 우측 상단을 향하는 제2 접지선과, 상기 제1 접지선의 각각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2 접지선의 각각에 대향되게 형성되는 제3 접지선과, 각각의 일단이 상기 제1 접지선 각각의 타단과 마주하고 각각의 타단이 상기 제3 접지선 각각의 일단과 마주하여, 상기 제1 용지와 상기 제4 용지를 분리하는 분리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4 용지에는, 다수의 유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의 포장상자는, 속지의 역할을 하는 원터치 접힘식의 일체형 용지가 구비됨으로써, 별도의 속지를 구비하는데 따르는 낭비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4 용지에 마련되는 유공을 통해 식품의 하부에서 배출되는 잔유를 포장상자와 용지의 사이로 흡수함으로써 식품이 눅눅해지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포장상자의 외부와 내부에 각각 코팅을 따로 할 필요가 없어, 내부 별도 코팅에 따르는 비용 및 시간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유공이 형성됨으로써, 제4 용지와 식품 간의 마찰력이 강화되어 식품이 내부에서 미끄러지지 않고 본래의 형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각 용지가 박스의 내부에 중첩되는 것에 의하여, 포장상자의 내구력을 강화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기존의 고평량 용지 또는 골판지 합지를 대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포장상자의 외부와 내부에 각각 식품의 설명 또는 선전을 포함하는 문구를 별도의 인쇄를 할 필요가 없어, 인쇄에 따르는 비용, 시간 및 소모자원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상자의 전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상자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접지 도움수단에 의해 용지가 접지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상자와 접지 도움수단이 포함되지 않은 포장상자의 접힘상태를 비교하는 도면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대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과제의 해결 수단, 발명의 효과를 포함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다음에 기재할 실시예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상자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상자의 전개도이고,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상자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접지 도움수단에 의해 용지가 접지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상자는, 박스(100) 및 용지(200)를 포함한다.
우선, 박스(100)는 식품이 놓여지는 바닥면부(150)와, 상자의 측면을 지지하는 좌측면부(110), 전측면부(120), 우측면부(130), 후측면부(140)와 박스(100)의 개구된 상부에 덮여지는 덮개면부(160)와, 덮개면부(160)의 상측에 일체로 연결되어 덮개면부(160)가 상자에 덮여진 상태로 고정되도록 박스(100)의 내측에 삽입되는 날개면부(170)로 구성되어 식품을 보관할 경우 또는 식품을 운송할 경우 식품의 상태를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한다.
이때,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박스(100)를 펼쳐보면 바닥면부(150)는 좌측면부(110)의 하측에 일체로 연결되는 좌측 바닥면부(151)와 전측면부(120)의 하측에 일체로 연결되는 전측 바닥면부(152)와 우측면부(130)의 하측에 일체로 연결되는 우측 바닥면부(153) 및 후측면부(140)의 하측에 일체로 연결되는 후측 바닥면부(154)로 이루어진다.
바닥면부(150)를 이루는 각각은 서로의 상하부에 조립되어 상호 지지가 가능하며, 특히 보다 작은 크기의 좌측 바닥면부(151)와 우측 바닥면부(153)의 양면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 일종의 접착 수단으로 활용하여 바닥면부(150)의 연결을 보다 견고히 할 수 있다.
또한, 바닥면부(150)의 상측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좌측면부(110), 전측면부(120), 우측면부(130), 후측면부(140)가 자리하고 있다. 특히 후측면부(140)의 좌측에는 접착면부(141)가 일체로 연결되어 우측면부(130)의 내측에 접착됨으로써, 후측면부(140)와 우측면부(130)가 고정 연결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외에도, 덮개면부(160)는 후측면부(140)의 상측에 일체로 연결되며 날개면부(17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덮개면부(160)의 상측과 일체 연결된다.
다음으로 용지(200)는 박스(100)와 일체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박스(100)의 좌측면부(110), 전측면부(120), 우측면부(130)의 상부 모서리에 맞닿아있으며, 상기의 상부 모서리를 시작으로 박스(100)의 내측을 덮도록 접히되, 원터치 방식으로 접히도록 접지 도움수단(300)이 포함된다.
이때 원터치 방식은 한 번의 동작으로 구겨짐 없이 용이하게 접혀지는 것을 기준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용지(200)는 제1 용지(210), 제2 용지(220), 제3 용지(230), 제4 용지(240), 제5 용지(250), 제6 용지(260)로 구성되어 이루어진다.
제1 용지(210)는 전측면부(120)의 상측에 일체로 연결되며 전측면부(120)의 상단 모서리를 따라 접혀져 전측면부(120)의 내측을 덮는다.
제2 용지(220)는 좌측면부(110)의 상측 및 제1 용지(210)의 좌측에 일체로 연결되며 좌측면부(110)의 상단 모서리를 따라 접혀져 좌측면부(110)의 내측을 덮는다.
제3 용지(230)는 우측면부(130)의 상측 및 제1 용지(210)의 우측에 일체로 연결되며 우측면부(130)의 상단 모서리를 따라 접혀져 우측면부(130)의 내측을 덮는다.
제4 용지(240)는 제1 용지(210)의 상측에 일체로 연결되며 제1 용지(210)와의 사이에 마련된 접힘선을 따라 접혀져 바닥면부(150)의 내측을 덮는다.
또한, 제4 용지(240)에는 다수의 유공(241)이 형성된다. 식품을 포장상자에 장기간 보관되는 경우, 기름이 함유된 식품 특유의 잔유가 식품 외부로 흘러나오게 된다. 이때 잔유는 유공(241)을 따라 하부로 배출되며, 제4 용지(240)의 하면부와 바닥면부(150)의 상면부로 흡수된다. 여기서 잔유의 흡수율을 더 높이기 위해, 제4 용지(240)의 하면부과 바닥면부(150)의 상면부 사이에는 흡수포 등이 더 마련될 수 있다.
제5 용지(250)는 제4 용지(240)의 상측에 일체로 연결되며 제4 용지(240)와의 사이에 마련된 접힘선을 따라 접혀져 후측면부(140)의 내측을 덮는다.
제6 용지(260)는 제5 용지(250)의 상측에 일체로 연결되고 제4 용지(240)와의 사이에 마련된 접힘선을 따라 접혀져 제4 용지(240)와 수평으로 마주하며 덮개면부(160)의 내측을 덮는다.
이때, 용지(200)는 전술한 구성요소 만으로도 박스(100)의 내측으로 접힘되는 것이 가능하나, 접힘되는 과정에서 다수의 구김 또는 찢어짐 등의 손상이 발생할 수 있고 그마저도 용지(200)를 이루는 구성요소의 각각을 일일이 접어 넣어야 하는 불편을 감수해야 한다.
여기서, 도 2에도 확인할 수 있듯이 전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접지 도움수단(300)이 용지(200)의 양측에 마련된다.
접지 도움수단(300)은 구김방지공(310)과 제1 접지선(320)과 제2접지선(330)과 제3 접지선(340) 및 분리선(350)으로 구성되어 이루어진다. 이를 통하여 용지(200) 원터치 방식으로 간편하게 박스(100)의 내측으로 접히게 되며, 접힘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손상 역시 방지가 가능하다.
이때, 접지 도움수단(300)은 제1용지(210)를 사이에 두고 용지(200)의 양측에 각각 대향되게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설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좌측에 형성된 접지 도움수단(300)을 예로 들어 서술하도록 한다.
우선, 구김방지공(310)은 상기 제1 용지(210)와 상기 제2 용지(220)의 사이에 마련되며 일측과 타측은 제1 용지(210)와 제2 용지(220)에 동시에 마주하고, 우측은 제2 용지(220)와 마주하며, 좌측은 제1 용지(210)와 마주하도록 절개된다.
더욱 상세하게, 구김방지공(310)은 일단이 상호 마주하도록 대향되는 한쌍의 장변과, 일단이 각각의 장변의 타단에 마주하고 타단이 상호 마주하는 한쌍의 단변으로 이루어진 네모꼴로 절개된다. 따라서 장변과 장변이 마주하는 상단부와 단변과 단변이 마주하는 하단부와 좌측의 장변과 좌측의 단변이 마주하는 좌측단부 및 우측의 장변과 우측의 단변이 마주하는 우측단부가 구김방지공(310)의 구성요소로 이루어지게 된다.
전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구김방지공(310)은 접지 시 각 제1 용지(210)와 제2 용지(220) 간의 일그러짐으로 인하여 가장 손상이 발생하기 쉬우며 접어 넣기도 어려운 부분을 절개한 것으로, 이를 통하여 접지 과정에 따른 손상이 미리 방지될 수 있으며 접지 시의 일그러짐도 발생하지 않아 접지과정 자체도 더욱 용이해진다.
제1 접지선(320)은 제1 용지(210)와 상기 제2 용지(220) 사이에 마련되며, 일단이 구김방지공(310)의 상단부와 마주하는 접힘선이다. 제1 접지선(320)을 따라 구김방지공(310)의 일단과 타단을 사이에 두고 제1 용지(210)와 제2 용지(220)가 상호 접지된다.
제2 접지선(330)은 제2 용지(220)와 사선형태로 형성되는 것으로, 일단이 구김방지공(310)의 좌측단부와 마주하고 타단이 제2 용지(220)의 좌측 상단을 향하여 제2 용지(220)를 가로지른다.
또한, 제3 접지선(340)은 제1 접지선(320)을 사이에 두고 제2 접지선(330)에 대향되게 형성되어 제2 접지선(330)과 제3 접지선(340)에 따라 제1 용지(110)의 일측과 제2 용지(120)의 일측이 상기 제1 접지선(320)을 기준으로 마주 접지된다.
이때, 분리선(350)은 각각의 일단이 상기 제1 접지선 각각의 타단과 마주하고 각각의 타단이 상기 제3 접지선 각각의 일단과 마주함으로써, 일단부터 타단까지 제1 용지(210)와 제4 용지(240)를 분리한다.
분리선(350)을 통해 제3 접지선(340)을 따라 접지되는 제1 용지(210)의 일측은 제4 용지를 손상시키지 않고 제2 접지선(330)을 따라 접지되는 제2 용지(220)의 일측과 동일하게 접지되는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과정에 의하여 제1 용지(210)의 일측과 제2 용지(220)의 타측은 마주 중첩된 세모꼴 형태로 상기 박스(100)의 내측에 접지되며, 이는 제1 용지(210)의 타측과 제3 용지(230)의 일측도 동일하게 접지된다.
이후, 접지 도움수단(300)에 의해 접지된 용지(200)의 양측을 눌러 박스(100)에 밀어 넣으면 원터치로 용지(200) 전체가 박스(100) 내측에 접혀 넣어지게 된다.
접지 도움수단(300)이 얼마나 중요한 기능을 수행하는 것은 도 4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상자와 접지 도움수단이 포함되지 않은 포장상자의 접힘상태를 비교하는 도면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도 4의 (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접지 도움수단(300)이 포함되지 않은 포장상자는 (a)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따르는 포장상자와 달리 내측으로 접혀 넣어질 경우 심한 손상이 발생하여 용지(200)가 가지는 기능을 제대로 수행할 수 없으며, 단순히 육안으로 확인하기에도 미관상의 차이가 뚜렷하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박스
110 : 좌측면부
120 : 전측면부
130 : 우측면부
140 : 후측면부
141 : 접착면부
150 : 바닥면부
151 : 좌측 바닥면부
152 : 전측 바닥면부
153 : 우측 바닥면부
154 : 후측 바닥면부
160 : 덮개면부
170 : 날개면부
200 : 용지
210 : 제1 용지
220 : 제2 용지
230 : 제3 용지
240 : 제4 용지
241 : 유공
250 : 제5 용지
260 : 제6 용지
300 : 접지 도움수단
310 : 구김방지공
320 : 제1 접지선
330 : 제2 접지선
340 : 제3 접지선
350 : 분리선

Claims (4)

  1. 내측에 좌측면부, 전측면부, 우측면부, 후측면부, 바닥면부를 포함하는 박스; 및
    상기 좌측면부와 전측면부 및 우측면부에 걸쳐 일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박스의 내측을 덮도록 접히되, 양측에 구겨짐 없이 원터치 방식으로 접히도록 접지 도움수단이 형성되는 용지; 를 포함하며,
    상기 용지는,
    상기 전측면부와 이어지며 접혀짐에 따라 전측면부를 덮게 되는 제1 용지와,
    상기 좌측면부 및 제1 용지의 좌측과 이어지며 접혀짐에 따라 좌측면부를 덮게 되는 제2 용지와,
    상기 우측면부 및 제1 용지의 우측과 이어지며 접혀짐에 따라 우측면부를 덮게 되는 제3 용지와,
    상기 제1 용지의 상측과 이어지며 접혀짐에 따라 바닥면부를 덮게 되는 제4 용지와,
    상기 제4 용지의 상측과 이어지며 접혀짐에 따라 후측면부를 덮게 되는 제5 용지 및,
    상기 제5 용지의 상측과 이어지는 제6 용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상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 도움수단은,
    상기 제1 용지와 제2 용지의 사이 및 상기 제1 용지와 제3 용지의 사이에 각각 마련되는 구김방지공과,
    상기 제1 용지와 제2 용지의 사이 및 상기 제1 용지와 제3 용지의 사이에 각각 마련되며, 각각의 일단이 상기 구김방지공 각각의 일단과 마주하는 제1 접지선과,
    상기 제2 용지와 제3 용지 각각에 사선형태로 형성되는 것으로, 각각의 일단이 상기 구김방지공의 좌측단부 및 우측단부와 마주하고 각각의 타단이 상기 제2 용지의 좌측 상단 및 제3 용지의 우측 상단을 향하는 제2 접지선과,
    상기 제1 접지선의 각각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2 접지선의 각각에 대향되게 형성되는 제3 접지선과,
    각각의 일단이 상기 제1 접지선 각각의 타단과 마주하고 각각의 타단이 상기 제3 접지선 각각의 일단과 마주하여, 상기 제1 용지와 상기 제4 용지를 분리하는 분리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상자.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4 용지에는,
    다수의 유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상자.

  4. 삭제
KR1020160041178A 2016-04-04 2016-04-04 포장상자 KR1018151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1178A KR101815181B1 (ko) 2016-04-04 2016-04-04 포장상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1178A KR101815181B1 (ko) 2016-04-04 2016-04-04 포장상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4424A KR20170114424A (ko) 2017-10-16
KR101815181B1 true KR101815181B1 (ko) 2018-01-04

Family

ID=602961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1178A KR101815181B1 (ko) 2016-04-04 2016-04-04 포장상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518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45337B (zh) * 2019-09-11 2021-03-16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包装盒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28069A (ja) 2000-10-19 2002-05-09 Enshu Shikogyo Kk 二重構造の段ボール箱
JP2007137495A (ja) 2005-11-21 2007-06-07 Yanai Shiko Kk 備品収納部付組立て紙蓋
JP2013184712A (ja) * 2012-03-06 2013-09-19 Kyocera Document Solutions Inc 包装ケース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28069A (ja) 2000-10-19 2002-05-09 Enshu Shikogyo Kk 二重構造の段ボール箱
JP2007137495A (ja) 2005-11-21 2007-06-07 Yanai Shiko Kk 備品収納部付組立て紙蓋
JP2013184712A (ja) * 2012-03-06 2013-09-19 Kyocera Document Solutions Inc 包装ケー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4424A (ko) 2017-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40333A (en) Dual bags for french fries and ketchup
EP2129592A2 (en) Folding eating utensil integrated or attachable to food cover
US9233515B2 (en) Clamshell carton with tear strip
CA3026374C (en) Tray with cupholders and hand-holes
JP5067960B2 (ja) ウェッブコーナー型紙容器
KR101815181B1 (ko) 포장상자
US20070045338A1 (en) Food dispensing and distributing apparatus including sauce holder, and method of using
JP2005170517A (ja) ウェッブコーナーカートン
EP3828092B1 (en) Packaging device
US7661580B1 (en) Hot food container
KR200491208Y1 (ko) 접이식 종이 상자
CA2885938C (en) Improved packaging
KR101577384B1 (ko) 크기가 조절 가능한 포장용 상자
JP5067959B2 (ja) 紙容器の分別方法
JP4353727B2 (ja) 紙製のケース
KR101877758B1 (ko) 재활용 분리 상자가 만들어지는 기능성 포장상자
JP2010274951A (ja) 首掛けラベル付き容器
JP7491500B2 (ja) 紙袋
KR101882918B1 (ko) 재활용 분리 상자가 만들어지는 기능성 피자 포장상자
JP5051492B2 (ja) 絞り成形紙容器
JP3203598U (ja) フィンガーフード用容器
JP4887723B2 (ja) ランチボックス
JP2004051157A (ja) ウェッブコーナー型紙容器
JP4443997B2 (ja) ウェッブコーナー型紙容器
JP3182961U (ja) 組み立て容器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